KR101614620B1 - Aerial Robot System Based on Multi-rotor for Mechanical Tasks - Google Patents
Aerial Robot System Based on Multi-rotor for Mechanical Task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14620B1 KR101614620B1 KR1020140173765A KR20140173765A KR101614620B1 KR 101614620 B1 KR101614620 B1 KR 101614620B1 KR 1020140173765 A KR1020140173765 A KR 1020140173765A KR 20140173765 A KR20140173765 A KR 20140173765A KR 101614620 B1 KR101614620 B1 KR 10161462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manned aerial
- tool
- work tool
- robot
- contro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13/00—Control systems or transmitting systems for actuating flying-control surfaces, lift-increasing flaps, air brakes, or spoilers
- B64C13/02—Initiating means
- B64C13/16—Initiating means actuated automatically, e.g. responsive to gust detectors
- B64C13/20—Initiating means actuated automatically, e.g. responsive to gust detectors using radiated signa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7/00—Rotorcraft; Rotors peculiar thereto
- B64C27/04—Helicopters
- B64C27/08—Helicopters with two or more rotor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40—Application of hydrogen technology to transportation, e.g. using fuel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무인 비행로봇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각종 작업을 위한 작업 툴에 무인 비행로봇을 탈착식으로 결합하여 공중에서 고난이도의 기계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기계 작업이 가능한 멀티 로터 기반의 무인 비행로봇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nmanned aerial robot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multi-rotor-based unmanned aerial vehicle system capable of performing a machine operation in an aerial manner by detachably coupling a unmanned aerial robot to a work tool for various operations. To a flying robot system.
현재 무인 비행로봇은 다양한 구조와 크기의 것이 개발되어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항공 기술 및 통신 기술의 급격한 발전에 따라 탐사 및 정찰 등을 목적으로 하는 무인 비행로봇 시스템의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무인 비행로봇 시스템의 개발은 인간이 직접 탑승하여 수행하기에 위험하거나 어려운 작업도 가능하게 하는 이점을 가져왔다.At present, unmanned aerial robots have been developed in various structures and sizes and are used in various fields. Especially in recent years, development of an unmanned aerial robot system for exploration and reconnaissance has been actively pursued in accordance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aviation technology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The development of such an unmanned aerial robot system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carry out dangerous or difficult tasks to be carried out by human being.
통상적으로, 무인 비행로봇 시스템은 비행 제어를 위한 관제 시스템과, 원격지에서 관제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되는 비행 제어 신호에 따라 비행을 수행하여 각종 현지 데이터를 취득하여 관제 시스템으로 송신하는 무인 비행로봇으로 이루어진다. 무인 비행로봇은 카메라, 센서, 통신장비, 또는 다른 장비를 탑재하고 있으며, 원격 조종되거나 또는 스스로 조종된다.Generally, the unmanned aerial robot system is composed of a control system for flight control and an unmanned flying robot that performs flight according to the flight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system at a remote place, acquires various local data, and transmits the acquired local data to the control system. The unmanned aerial robot is equipped with a camera, sensor, communication equipment, or other equipment, and is remotely controlled or self-controlled.
종래에는 무인 비행로봇이 특수한 군용 정찰기를 제외하고는 거의 도입이 어려웠으나, 최근에 저렴한 비용으로 공공부문이나 민수용 제품으로의 적용이 가능해 졌다. 특히, 군, 경찰, 소방 등의 공공분야에서는 정찰, 수색, 감시, 정보 수집 등의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이 가능해 졌으며, 카메라를 이용한 현장 영상의 실시간 확인 및 전송은 지휘센터에서 현장의 상황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게 해준다.Conventionally, unmanned aerial robots have been hardly introduced except for special military military reconnaissance aircraft, but recently it has become possible to apply them to public sector and civilian products at low cost. Particularly, in public areas such as military, police, and fire department, it can be used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reconnaissance, search, surveillance, and information gathering. , Allowing you to judge accurately.
현재 다양한 종류의 무인 비행로봇이 개발된 바 있다. 다양한 무인 비행로봇 중에서 멀티 로터 기반의 무인 비행로봇은 추진체로 여러 개의 로터를 구비한다. 멀티 로터는 로터의 개수에 따라서 트라이 로터, 쿼드 로터, 헥사 로터, 옥토 로터 등으로 나누어 진다. 멀티 로터 기반의 무인 비행로봇은 수직 이착륙 및 높은 기동성으로 인하여 다른 무인 비행로봇에 비하여 건물이 밀집되어 있는 도심이나 산악, 재난지역 등 험하고 복잡한 지역의 정찰 및 감시 등 여러 응용 분야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Currently, various types of unmanned aerial robot have been developed. Among various unmanned flying robots, a multi-rotor-based unmanned aerial robot has several rotors as propellant. The multi-rotor is divided into a tri-rotor, a quad-rotor, a hex rotor, and an octrotor depending on the number of rotors. Due to the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and high maneuverability, the multi-rotor based unmanned aerial robot can be used for various applications such as reconnaissance and surveillance in harsh and complex areas such as urban areas, mountainous areas, and disaster areas where buildings are concentrated compared to other unmanned flying robots have.
이러한 멀티 로터 기반의 무인 비행로봇은 등록특허공보 제0668234호(2007. 01. 12.), 등록특허공보 제0812755호(2008. 03. 12.), 등록특허공보 제0929260호(2009. 12. 01.), 등록특허공보 제1042200호(2011. 06. 16.) 등에 다양한 구조의 것이 개시되어 있다.Such a multi-rotor based unmanned aerial robot is disclosed in Patent Publication No. 0668234 (Dec. 12, 2007), No. 0812755 (Dec. 31, 2008), No. 0929260 (Dec. 01.), and Patent Document No. 1042200 (June 16, 2011).
그런데 종래에는 비행로봇으로 작업 툴을 움직여 각종 기계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작업 툴의 종류나 크기에 따라 그에 맞는 전용 비행로봇을 제작하여 사용하여야 했다. 따라서, 기계 작업의 종류가 바뀌면 기존의 비행로봇을 사용하지 못하고 비행로봇을 새로 제작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Conventionally, in order to perform a variety of machine operations by moving a work tool with a flying robot, a dedicated flying robot corresponding to the type and size of the work tool had to be manufactured and used. Therefore, if the type of machine work is changed, there is a problem that a conventional flying robot can not be used and a new flying robot needs to be manufactured.
또한 종래에는 고난이도의 기계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개별 무인 비행로봇이 복잡한 시스템과 복잡한 제어 알고리즘을 갖추어야 했다.Conventionally, in order to perform a high-level machine operation, each unmanned flying robot has to have a complicated system and a complicated control algorithm.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복수의 무인 비행로봇과 각종 작업 툴을 간단한 탈착식 구조로 하여 작업 툴이 바뀌더라도 새로운 무인 비행로봇을 제작할 필요가 없이 동일한 무인 비행로봇을 사용할 수 있는 기계 작업이 가능한 멀티 로터 기반의 비행로봇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describ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imple uninstallable structure of a plurality of unmanned flying robots and various working tools, A multi-rotor-based flying robot capable of machine operation using a robo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기계 작업이 가능한 멀티 로터 기반의 무인 비행로봇 시스템은, 지지 프레임과, 상기 지지 프레임에 서로 이격되도록 설치되고 회전하는 날개를 구비하여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복수의 로터와, 상기 지지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복수의 로터의 동작을 제어하고 외부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제어모듈과, 작업 툴 연결부를 구비하는 복수의 무인 비행로봇; 상기 복수의 무인 비행로봇이 탈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무인 비행로봇의 작업 툴 연결부가 연결되는 복수의 비행로봇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비행로봇 연결부에 연결되는 상기 복수의 무인 비행로봇에 의해 움직이면서 기계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 툴; 및 상기 작업 툴을 이용한 기계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무인 비행로봇을 제어하기 위한 작업 툴 제어 프로세스가 저장되는 제어부와, 상기 작업 툴 제어 프로세스에 따라 상기 작업 툴에 결합된 상기 복수의 무인 비행로봇에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통신부를 갖는 관제 장치;를 포함하는 점에 특징이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ulti-rotor-based unmanned aerial vehicle system capable of machine operation, including a support frame, a plurality of rotors A control module coupled to the support frame to control operation of the plurality of rotors and to communicate with the outside, and a plurality of unmanned flying robots having a work tool connection portion; And a plurality of flying robot connection portions to which the working tool connection portion of the unmanned aerial robot is connected so that the plurality of unmanned flying robots can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plurality of unmanned flying robots, A work tool for performing a machine operation while moving; And a work tool control process for controlling the plurality of unmanned aerial vehicles in order to perform a machining operation using the work tool;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plurality of unmanned aerial vehicles And a control unit having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to the robot.
본 발명에 따른 기계 작업이 가능한 멀티 로터 기반의 무인 비행로봇 시스템은 복수의 무인 비행로봇을 다양한 작업을 위한 작업 툴에 간단하게 탈착식으로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기계 작업에 사용되는 작업 툴의 종류가 바뀌더라도 그 작업 툴에 맞는 새로운 무인 비행로봇을 제작할 필요가 없이 범용의 무인 비행로봇을 적절한 개수로 작업 툴에 연결하여 작업 툴을 이용한 고난이도의 기계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The multi-rotor-based unmanned aerial robo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easily combining the plurality of unmanned aerial robots with work tools for various tasks. Therefore, even if the type of the work tool used for the machine work is changed, it is not necessary to produce a new unmanned aerial robot suitable for the work tool, and the universal unmanned aerial robot is connected to the proper number of work tools, Can be perform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계 작업이 가능한 멀티 로터 기반의 무인 비행로봇 시스템은 종래의 무인 비행로봇 시스템이 복잡한 시스템과 복잡한 제어 알고리즘을 갖춘 작업 툴 전용 무인 비행로봇을 사용하는 것에 비해, 상대적으로 단순한 구조 및 단순한 제어 알고리즘을 갖춘 범용 무인 비행로봇을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ulti-rotor-based unmanned aerial robo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relatively simple structure and a relatively simple structure, A universal unmanned aerial robot with a simple control algorithm can be use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계 작업이 가능한 멀티 로터 기반의 무인 비행로봇 시스템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기계 작업이 가능한 멀티 로터 기반의 무인 비행로봇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기계 작업이 가능한 멀티 로터 기반의 무인 비행로봇 시스템의 무인 비행로봇과 작업 툴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계 작업이 가능한 멀티 로터 기반의 무인 비행로봇 시스템의 일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multi-rotor-based unmanned aerial robot system capable of performing a machine op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ulti-rotor-based unmanned aerial robot system capable of machine operation shown in FIG.
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mbined structure of the unmanned aerial robot and the work tool of the multi-rotor based unmanned aerial robot system shown in FIG. 1.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art of a multi-rotor-based unmanned aerial robot system capable of performing a machine oper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기계 작업이 가능한 멀티 로터 기반의 무인 비행로봇 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multi-rotor based unmanned aerial robot system capable of performing a machine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계 작업이 가능한 멀티 로터 기반의 무인 비행로봇 시스템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나타낸 기계 작업이 가능한 멀티 로터 기반의 무인 비행로봇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 3은 도 1에 나타낸 기계 작업이 가능한 멀티 로터 기반의 무인 비행로봇 시스템의 무인 비행로봇과 작업 툴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multi-rotor-based unmanned aerial vehicle system capable of performing a machine op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multi- FIG. 3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a combined structure of the unmanned aerial robot and the work tool of the multi-rotor-based unmanned aerial robot system capable of performing the machining shown in FIG.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계 작업이 가능한 멀티 로터 기반의 무인 비행로봇 시스템(100)은 작업 툴(110)과, 복수의 무인 비행로봇(130)과, 관제 장치(150)를 포함한다. 이러한 무인 비행로봇 시스템(100)은 비행 기능을 갖는 복수의 무인 비행로봇(130)이 하나의 작업 툴(110)에 탈착식으로 결합되어 작업 툴(110)을 수직 이착륙시키거나 수평 이동시킴으로써 작업 툴(110)을 이용한 무인 기계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작업 툴(110)이 청소용 툴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1 to 3, a multi-rotor-based unmanned
작업 툴(110)은 몸체부(111)와, 청소 작업을 위해 몸체부(111)에서 연장된 작업부(112)와, 무인 비행로봇(130)의 결합을 위한 비행로봇 연결부1, 2, 3(115, 116, 117, 이하 모두 '비행로봇 연결부'라 한다)을 포함한다. 작업부(112)는 청소 대상물에 접하여 청소 대상물을 청소하는 청소 도구(113)와, 청소 도구(113)가 결합되는 조인트(114)와, 청소 도구(113)를 조인트(114)에 대해 움직이는 구동기(미도시)를 포함한다. 물론, 작업부(112)의 구조는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다른 움직임이 가능한 구조 또는 움직임이 없는 구조 등 다양한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The
복수의 비행로봇 연결부(115)(116)(117)는 몸체부(111)에 상호 이격되도록 구비된다. 이들 비행로봇 연결부(115)(116)(117)는 복수의 무인 비행로봇(130)과의 기구적 및 전기적 연결을 위한 것이다. 비행로봇 연결부(115)(116)(117)에는 후술할 무인 비행로봇(130)의 작업 툴 연결부(145)가 삽입 결합되는 결합 홈(118)이 구비된다. 결합 홈(118)의 내측에는 복수의 식별 홈(119)이 마련된다. 복수의 식별 홈(119)은 무인 비행로봇(130)에 구비되는 복수의 식별 돌기(147)와 함께 작업 툴(110) 상에서 무인 비행로봇(130)의 결합 위치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해주는 위치 식별수단을 구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위치 식별수단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비행로봇 연결부(115)(116)(117)는 몸체부(111)에 볼 조인트 구조로 구비된다. 이렇게 비행로봇 연결부(115)(116)(117)를 몸체부(111)에 대해 움직임이 가능한 조인트 구조로 하면, 이에 연결되는 무인 비행로봇(130)의 몸체부(111)에 대한 배치 각도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물론, 비행로봇 연결부는 도시된 구조 이외에 무인 비행로봇의 작업 툴 연결부가 결합될 수 있는 다양한 다른 구조로 몸체부에 구비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flying
도면에 나타내지는 않았으나, 몸체부(111)의 내측에는 복수의 비행로봇 연결부(115)(116)(117)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기 회로와, 복수의 비행로봇 연결부(115)(116)(117)와 작업부(112)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기 회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몸체부(111) 내측의 전기 회로들을 통해 비행로봇 연결부(115)(116)(117)를 통해 작업 툴(110)에 결합되는 복수의 무인 비행로봇(130)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작업부(112)와도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n electric circuit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plurality of flying
작업 툴(110)의 몸체부(111)에는 작업 툴(110)의 식별 정보를 제공하는 QR 코드(120)가 마련된다. 사용자가 관제 장치(150)에 구비되는 인식 기구(155)로 QR 코드(120)를 인식시키면, 해당 작업 툴(110)에 대한 식별 정보가 관제 장치(150)에 제공될 수 있다. 인식 기구(155)로는 QR 코드(120)를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가 이용될 수 있다.The
물론, 해당 작업 툴(110)에 대한 식별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QR 코드(120) 이외의 다양한 다른 툴 식별수단이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툴 식별수단의 종류에 따라 인식 기구도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같이 툴 식별수단으로 QR 코드(120)가 이용되는 경우, 관제 장치(150)에 QR 코드(120) 식별을 위한 별도의 인식 기구(155)를 설치하지 않고, 스마트폰의 카메라와 QR 코드 인식 앱을 이용하여 해당 작업 툴(110)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여 관제 장치(150)에 제공할 수도 있다.Of course, various other tool identification means other than the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무인 비행로봇(130)은 지지 프레임(131)과, 지지 프레임(131)에 설치되는 복수의 로터(135)와, 복수의 로터(135)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모듈(140)과, 작업 툴(110)과의 연결을 위한 작업 툴 연결부(145)를 포함한다. 이러한 멀티로터 기반의 무인 비행로봇(130, UAV)은 수직 이착륙과 민첩한 비행 및 제자리 비행이 가능하며 간단한 구조를 갖는다.1 to 3, the UAV 130 includes a
지지 프레임(131)은 중앙의 지지판(132)과, 지지판(132)에 방사형으로 연결되는 네 개의 지지대(133)를 포함한다. 네 개의 지지대(133)는 90도 간격으로 배치된다. 지지판(132)에는 제어모듈(140)이 설치되고, 네 개의 지지대(133) 각각에 로터(135)가 하나씩 설치된다. 복수의 로터(135)는 지지 프레임(131)의 중앙으로부터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각각의 지지대(133)에 고정된다.The
로터(135)는 지지 프레임(131)의 네 지지대(133)에 하나씩 네 개가 설치된다. 로터(135)는 날개(136)와 날개(136)를 회전시키는 구동부(137)를 포함하여 추진력을 발생시킨다. 구동부(137)는 지지대(133)에 고정된다. 복수의 로터(135) 각각의 날개(136)의 회전 중심축은 지지 프레임(131)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모두 동일하다. 따라서, 복수의 로터(135)는 동일한 방향으로 추진력을 발생시킨다. 로터(135)의 동작은 제어모듈(140)에 의해 제어된다. 복수의 로터(135) 각각의 회전 방향과 회전 속도는 제어모듈(140)에 의해 다양하게 제어될 수 있다. 예컨대,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로터(135)는 정방향으로 회전하고, 서로 마주하는 나머지 한 쌍의 로터(135)는 역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Four
제어모듈(140)은 지지 프레임(131) 중앙의 지지판(132)에 고정되어 복수의 로터(135)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모듈(140)은 프로세서와, IMU(Inertial Measurement Unit) 등의 자세 검출기구와, 통신모듈을 포함한다. 이러한 제어모듈(140)은 무인 비행로봇(130)의 비행 상태를 검출하고 로터들(135)의 동작을 제어하여 무인 비행로봇(130)의 비행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모듈(140)은 통신모듈을 통해 지상의 관제 장치(150) 등 외부와 통신할 수 있다. 관제 장치(150)와의 통신을 통해 제어모듈(140)은 관제 장치(150)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무인 비행로봇(13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고, 무인 비행로봇(130)의 상태를 관제 장치(150)에 알릴 수도 있다.The
무인 비행로봇(130)의 작업 툴 연결부(145)는 지지 프레임(131)에 하측으로 연장되도록 결합된다. 작업 툴 연결부(145)의 끝단에는 작업 툴(110)의 비행로봇 연결부(115)(116)(117)에 마련된 결합 홈(118)에 대응하는 결합 돌기(146)가 구비된다. 무인 비행로봇(130)의 작업 툴 연결부(145) 끝단에 구비된 결합 돌기(146)가 작업 툴(110)의 비행로봇 연결부(115)(116)(117)에 마련된 결합 홈(118)에 삽입됨으로써, 작업 툴(110)과 무인 비행로봇(130)은 기구적으로 연결됨과 동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작업 툴(1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무인 비행로봇(130)은 작업 툴(110) 내부의 전기 회로를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작업 툴(110)의 작업부(112)와도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working
이렇게 복수의 무인 비행로봇(130)이 작업 툴(1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때, 복수의 무인 비행로봇(130) 중에서 어느 하나의 무인 비행로봇(130)에 구비되는 제어모듈(140)이 복수의 무인 비행로봇(130)을 모두 제어하는 메인 제어부로 작용할 수도 있다. 즉, 작업 툴(110)에 결합되는 복수의 무인 비행로봇(130)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제어모듈(140)이 관제 장치(150)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나머지 무인 비행로봇들(130)의 동작까지 모두 제어할 수 있다. 메인 제어부로 작용하는 제어모듈(140)은 작업 툴(110)을 이용한 설정된 기계 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복수의 무인 비행로봇(130)을 통합적으로 작동시키게 된다. 이 경우, 작업 툴(110)의 복수의 비행로봇 연결부(115)(116)(117) 중 미리 선택된 하나의 비행로봇 연결부에 연결되는 무인 비행로봇(130)이 메인 제어부의 기능을 가질 수 있다.When the plurality of unmanned flying
물론, 복수의 무인 비행로봇(130)은 각각의 제어모듈(140)을 통해 관제 장치(150)로부터 각각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그 제어 신호에 맞게 각각 작동함으로써, 전체적으로는 통합적인 움직임을 보일 수도 있다.Of course, the plurality of unmanned
무인 비행로봇(130)의 작업 툴 연결부(145)에 구비된 결합 돌기(146)에는 비행로봇 연결부(115)(116)(117)에 마련되는 복수의 식별 홈(119)에 대응하는 복수의 식별 돌기(147)가 외면으로부터 돌출 구비된다. 작업 툴 연결부(145)의 결합 돌기(146)가 비행로봇 연결부(115)(116)(117)의 결합 홈(118)에 결합될 때, 결합 돌기(146)에 구비된 식별 돌기(147)는 비행로봇 연결부(115)(116)(117)의 식별 홈(119)에 삽입될 수 있다. 결합 돌기(146)가 결합 홈(118)에 결합된 상태에서 식별 돌기(147)가 식별 홈(119)에 삽입되면 그 식별 돌기(147)는 결합 돌기(146)로부터 돌출된 상태로 있게 된다. 반면, 식별 홈(119)에 삽입되지 못하는 식별 돌기(147)는 비행로봇 연결부(115)(116)(117)의 내면에 의해 눌려져 적어도 일부가 결합 돌기(146) 속으로 들어간 상태가 된다.The coupling protrusions 146 provided in the working
이들 복수의 식별 돌기(147)와 복수의 식별 홈(119)은 작업 툴(110)에 연결되는 무인 비행로봇(130)이 작업 툴(110) 상의 어느 위치에 결합되었는지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해주는 위치 식별수단을 구성한다. 일예로, 복수의 무인 비행로봇(130)에 구비되는 식별 돌기(147)의 개수를 동일하게 하고 복수의 비행로봇 연결부(115)(116)(117) 각각에 구비되는 식별 홈(119)의 개수를 다르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작업 툴(110)에 연결되는 복수의 무인 비행로봇(130)은 이들 각각이 연결된 비행로봇 연결부(115)(116)(117)의 위치에 따라 눌려지는 식별 돌기(147)의 개수가 다르게 나타난다. 그리고 눌려지는 식별 돌기(147)의 개수에 따라 무인 비행로봇(130) 내에서 다른 식별 신호가 발생하도록 하고, 발생하는 식별 신호와 그에 대응하는 각 비행로봇 연결부(115)(116)(117)의 매칭 정보를 관제 장치(150)에 미리 저장해 놓으면 작업 툴(110) 상에서 무인 비행로봇(130)이 결합되는 비행로봇 연결부(115)(116)(117)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이러한 식별 홈(119)과 식별 돌기(147)를 구비하는 위치 식별수단을 이용하면, 복수의 무인 비행로봇(130)이 이에 구비된 작업 툴 연결부(145)를 통해 작업 툴(110)의 비행로봇 연결부(115)(116)(117)에 결합될 때 식별 홈(119)과 식별 돌기(147)의 작용으로 복수의 무인 비행로봇(130)은 각각 서로 다른 식별 신호를 발생하고 그 식별 신호를 관제 장치(150)에 송신한다. 이때, 관제 장치(150)는 각각의 무인 비행로봇(130)으로부터 식별 신호를 수신하고, 미리 저장되어 있는 식별 신호와 비행로봇 연결부(115)(116)(117)의 매칭 정보를 이용하여 각각의 무인 비행로봇(130)의 작업 툴(110) 상에서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관제 장치(150)는 복수의 무인 비행로봇(130)이 작업 툴(110)을 이용한 기계 작업(본 실시예에서는 청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복수의 무인 비행로봇(130)을 그 설치 위치에 따라 각각 제어한다. 이때, 관제 장치(150)는 복수의 무인 비행로봇(130) 각각에 개별적인 제어 신호를 송신하거나, 복수의 무인 비행로봇(130) 중 메인 제어부 기능을 갖는 무인 비행로봇(130)에 통합적인 제어 신호를 송신하여 복수의 무인 비행로봇(130)이 통합적으로 작동하도록 한다.The plurality of unmanned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관제 장치(150)는 제어부(151)와, 통신부(152)와, 조작부(153)와, 디스플레이(154)와, 인식 기구(155)를 포함한다. 통신부(152)는 무인 비행로봇(130)과의 통신을 담당하고, 디스플레이(154)는 무인 비행로봇 시스템(100)의 상태나 무인 비행로봇 시스템(100)에 대한 각종 정보를 표시한다. 제어부(151)는 작업 툴(110)을 이용한 기계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작업 툴 제어 프로세스를 저장하고, 저장된 작업 툴 제어 프로세스에 따라 복수의 무인 비행로봇(130)을 작동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통신부(152)를 통해 무인 비행로봇(130)에 송신한다. 관제 장치(150)의 제어부(151)에는 다양한 작업 툴을 작동시키기 위한 다양한 작업 툴 제어 프로세스가 저장될 수 있다. 제어부(151)는 무인 비행로봇들(130)이 연결되는 작업 툴이 선택되면, 무인 비행로봇들(130)이 해당 작업 툴을 이용하여 기계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선택된 작업 툴에 대응하는 작업 툴 제어 프로세스에 따라 제어 신호를 무인 비행로봇들(130)에 송신한다.1 and 2, the
조작부(153)는 사용자 입력을 위한 것이다. 사용자는 조작부(153)를 통해 선택된 작업 툴(110)에 대한 작업 툴 제어 프로세스에 따라 무인 비행로봇(130)을 제어할 수 있는 조작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조작부(153)를 통해 작업 툴(110)에 대한 식별 정보를 수동으로 입력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는 조작부(153)를 통해 무인 비행로봇(130)의 작업 툴(110) 상의 연결 위치를 직접 입력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조작부(153)를 통해 작업 툴(110)에 연결되는 복수의 무인 비행로봇(130) 각각의 식별 번호와, 이들이 각각 연결되는 작업 툴(110)의 비행로봇 연결부(115)(116)(117) 각각의 식별 번호를 일대일로 매칭하는 방법으로 각 무인 비행로봇(130)의 작업 툴(110) 상의 연결 위치를 입력할 수 있다.물론, 작업 툴(110)에 대한 식별 정보는 인식 기구(155)를 통해 제어부(151)에 제공될 수 있다. 즉, 작업자가 인식 기구(155)로 작업 툴(110)에 마킹된 QR 코드(120)를 인식시키면 해당 작업 툴(110)에 대한 식별 정보가 제어부(151)에 제공된다. 이때, 제어부(151)는 해당 작업 툴(110)에 대한 작업 툴 제어 프로세스에 따라 작업 툴(110)에 연결된 무인 비행로봇(130)에 제어 신호를 송신한다.The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기계 작업이 가능한 멀티 로터 기반의 무인 비행로봇 시스템(100)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multi-rotor-based unmanned
먼저, 사용자는 관제 장치(150)의 인식 기구(155)로 작업 툴(110)에 마킹된 QR 코드(120)를 인식시켜 해당 작업 툴(110)에 대한 식별 정보를 관제 장치(150)의 제어부(151)에 제공한다. 물론, 사용자는 관제 장치(150)의 조작부(153)를 통해 해당 작업 툴(110)에 대한 식별 정보를 직접 입력할 수도 있다. 관제 장치(150)의 제어부(151)는 작업 툴(110)의 식별 정보를 제공받고 해당 작업 툴(110)에 대한 작업 툴 제어 프로세스를 선택한다.First, the user recognizes the
이후, 사용자는 작업 툴(110)의 비행로봇 연결부(115)(116)(117)에 무인 비행로봇들(130)의 작업 툴 연결부(145)를 결합하여 복수의 무인 비행로봇(130)을 작업 툴(110)에 기구적 및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작업 툴(110)의 식별 단계와 작업 툴(110)과 무인 비행로봇(130)의 연결 단계는 그 실행 순서가 바뀔 수도 있다.Thereafter, the user combines the work
작업 툴(110)에 복수의 무인 비행로봇(130)이 연결될 때, 복수의 무인 비행로봇(130)은 인식 홈(119)과 인식 돌기(147)의 작용으로 이들 각각이 연결되는 비행로봇 연결부(115)(116)(117)에 따라 서로 다른 식별 신호를 발생하여 그 식별 신호를 관제 장치(150)에 송신한다. 작업 툴(110)에 복수의 무인 비행로봇(130)을 연결할 때, 작업 툴(110)의 비행로봇 연결부(115)(116)(117)는 조인트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비행로봇 연결부(115)(116)(117)의 각도를 적절하게 조절하여 복수의 비행로봇(130) 각각의 추진 방향(로터 날개(136)의 회전 중심축 방향)을 다양하게 바꿀 수 있다.The plurality of unmanned
작업 툴(110)에 연결되는 복수의 무인 비행로봇(130)은 작업 툴(110) 내부의 전기 회로를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작업 툴(110)의 작업부(112)와도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 경우, 복수의 무인 비행로봇(130) 중에서 어느 하나의 무인 비행로봇(130)에 구비되는 제어모듈(140)이 복수의 무인 비행로봇(130)을 모두와 작업 툴(110)의 작업부(112)를 제어하는 메인 제어부로 작용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unmanned flying
이렇게 세팅이 완료되면, 관제 장치(150)는 선택된 작업 툴 제어 프로세스에 따라 메인 제어부의 기능을 갖는 무인 비행로봇(130)에 제어 신호를 송신한다. 그리고 제어 신호를 수신한 무인 비행로봇(130)의 제어모듈(140)은 작업 툴(110)을 이용한 설정된 기계 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복수의 무인 비행로봇(130)의 동작을 통합적으로 제어한다. 또한, 관제 장치(150)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한 무인 비행로봇(130)은 작업 툴(110)의 작업부(112) 동작도 제어하여 해당 기계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When the setting is completed, the
도시된 것과 같이, 복수의 무인 비행로봇(130)은 각각의 추진 방향(로터 날개(136)의 회전 중심축 방향)이 서로 평행하지 않게 작업 툴(110)에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작업 툴 제어 프로세스에 따라 무인 비행로봇들(130)을 제어함에 있어서, 각 무인 비행로봇(130)에 구비된 복수의 로터(135) 각각의 동작을 적절하게 제어함으로써 작업 툴(110)을 상하전후좌우 수평 이동시키거나 다방향 회전시키는 등 작업 툴(110)을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As shown, the plurality of unmanned
물론, 관제 장치(150)는 작업 툴 제어 프로세스에 따라 복수의 무인 비행로봇(130) 각각에 각기 다른 제어 신호를 송신하여 복수의 무인 비행로봇(130)을 개별 제어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복수의 무인 비행로봇(130)은 작업 툴(110)을 이용한 기계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통합적인 움직임을 나타낸다.Of course, the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계 작업이 가능한 멀티 로터 기반의 무인 비행로봇 시스템의 일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Meanwhile, FIG.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art of a multi-rotor-based unmanned aerial robot system capable of performing a machine oper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나타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계 작업이 가능한 멀티 로터 기반의 무인 비행로봇 시스템(200)은 작업 툴(210)과, 복수의 무인 비행로봇(130)과, 관제 장치(150; 도 1 참조)를 포함하는 것으로, 무인 비행로봇(130)과 관제 장치(150)는 상술한 것과 같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인 비행로봇 시스템(200)은 작업 툴(210)로 소방용 물 분사 툴을 갖는 것이다.The multi-rotor-based unmanned
작업 툴(210)은 몸체부(211)와, 물 분사를 위해 몸체부(211)의 선단에 구비되는 작업부(212)와, 물 공급을 위해 몸체부(211)의 후단에 구비되는 공급 호스(214)와, 무인 비행로봇(130)의 결합을 위한 복수의 비행로봇 연결부(215)(216)를 포함한다. 작업부(212)는 노즐(213)과 노즐(213)을 개폐하기 위한 개폐기구(미도시)를 포함한다.The working
복수의 비행로봇 연결부(215)(216)는 몸체부(211)에 상호 이격되도록 구비된다. 이들 비행로봇 연결부(215)(216)는 복수의 무인 비행로봇(130)과의 기구적 및 전기적 연결을 위한 것으로, 그 구체적인 구성이나 무인 비행로봇(130)의 작업 툴 연결부(145)와의 연결 구조는 상술한 작업 툴(110)의 비행로봇 연결부(115)(116)(117)와 동일하다. 몸체부(211)의 내측에는 복수의 비행로봇 연결부(215)(216)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기 회로와, 복수의 비행로봇 연결부(215)(216)와 작업부(212)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기 회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몸체부(211) 내측의 전기 회로들을 통해 비행로봇 연결부(215)(216)를 통해 작업 툴(210)에 결합되는 복수의 무인 비행로봇(130)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작업부(212)와도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flying
작업 툴(210)의 몸체부(211)에는 작업 툴(210)의 식별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툴 식별수단으로서의 QR 코드(120)가 마련된다. 물론, 툴 식별수단은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QR 코드(120) 이외의 다양한 다른 것으로 변경될 수 있다.The
본 실시예에 따른 무인 비행로봇 시스템(200)은 상술한 무인 비행로봇 시스템(100)과 같이 작업 툴(210) 상에서 해당 무인 비행로봇(130)의 결합 위치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해주는 위치 식별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도면에 나타내지는 않았으나 위치 식별수단으로는 상술한 무인 비행로봇 시스템(100)에 구비된 것과 같이 복수의 식별 홈(119; 도 3 참조)과 복수의 식별 돌기(147; 도 3 참조)를 포함하는 구조, 또는 그 밖의 다양한 다른 구조의 것이 이용될 수 있다.The unmanned
이 밖에, 본 발명에 의한 무인 비행로봇 시스템은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은 청소용 작업 툴(110)이나 소방용 작업 툴(210) 이외에 정찰, 재난구조, 운송, 건설, 농업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는 다양한 기계 작업이 가능한 작업 툴을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nmanned aerial robo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various types of machines that can be utilized in various fields such as reconnaissance, disaster relief, transportation, construction, and agriculture, in addition to the
상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계 작업이 가능한 멀티 로터 기반의 무인 비행로봇 시스템(100)(200)은 복수의 무인 비행로봇(130)을 다양한 작업을 위한 작업 툴(110)(210)에 간단하게 탈착식으로 결합하는 구조를 취한다. 따라서, 기계 작업에 사용되는 작업 툴의 종류가 바뀌더라도 그 작업 툴에 맞는 새로운 무인 비행로봇을 제작할 필요가 없이 범용의 무인 비행로봇(130)을 적절한 개수로 작업 툴에 연결하여 작업 툴을 이용한 고난이도의 기계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multi-rotor-based unmanned aerial robot system 100 (200) capable of performing the machine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unmanned flying
또한 종래에는 고난이도의 기계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작업 툴에 전용으로 사용되는 무인 비행로봇이 복잡한 시스템과 복잡한 제어 알고리즘을 갖추어야 했지만, 본 발명에 따른 기계 작업이 가능한 멀티 로터 기반의 무인 비행로봇 시스템(100)(200)은 상대적으로 단순한 구조 및 단순한 제어 알고리즘을 갖춘 범용 무인 비행로봇(130)을 사용할 수 있다.Conventionally, in order to perform a high-level machine operation, the unmanned aerial robot dedicated to each work tool has to have a complex system and a complicated control algorithm. However, the multi-rotor based unmanned aerial robot system (100) 200 can use the general purpose unmanned
이상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예를 들어, 도면에는 무인 비행로봇(130)이 네 개의 로터(120)를 갖는 쿼드콥터(quad-copter) 구조를 갖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무인 비행로봇은 로터가 3개인 트리콥터(tri-copter), 6개인 헥사콥터(hexa-copter) 또는 그 이외에 비행 기능을 갖출 수 있도록 다양한 개수의 로터를 갖는 다른 구조를 취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figure, the unmanned
또한 도면에는 지지 프레임(111)이 중앙의 지지판(112)에서 네 개의 지지대(113)가 방사형으로 연장된 구조인 것으로 나타냈으나, 지지 프레임은 복수의 로터를 지지하고 이에 다양한 작업 툴이 설치될 수 있는 다양한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Although the
또한 도면에는 해당 작업 툴(110)(210)에 대한 식별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툴 식별수단으로 작업 툴(110)(210)의 몸체부(111)(211) 표면에 마킹되는 QR 코드(120)가 이용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툴 식별수단은 다양한 다른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다른 예로, QR 코드(120) 대신 작업 툴(110)(210)의 몸체부(111)(211)에는 바코드가 툴 식별수단으로서 마킹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 작업 툴에 구비되는 복수의 비행로봇 연결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무인 비행로봇의 작업 툴 연결부에 의해 기구적 또는 전기적으로 작동되어 해당 작업 툴의 식별 정보를 무인 비행로봇에 제공하는 형태의 툴 식별수단이 구비될 수도 있다. 이러한 툴 식별수단은 무인 비행로봇의 작업 툴 연결부가 비행로봇 연결부에 결합될 때 조작됨으로써 해당 작업 툴을 나타내는 고유의 신호를 발생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관제 장치에는 툴 식별수단에 의해 발생하는 고유 신호와 그에 대응하는 작업 툴의 매칭 정보가 미리 저장될 수 있다.The figure also shows tool identification means for provi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the
또한 도면에는 작업 툴(110)(210)과 무인 비행로봇(130)의 연결을 위해 작업 툴(110)(210)에 결합 홈(118)을 갖는 조인트 형태의 비행로봇 연결부(115~117, 215~216)가 설치되고, 무인 비행로봇(130)에 결합 돌기(146)를 갖는 막대 형태의 작업 툴 연결부(145)가 지지 프레임(131)의 하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작업 툴과 무인 비행로봇의 연결 구조는 이러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즉, 작업 툴과 무인 비행로봇은 홈-돌기 구조 이외의 다양한 다른 구조로 상호 탈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작업 툴과 무인 비행로봇 간의 상호 전기적 연결은 기구적 연결수단과는 별도의 무선 또는 유선의 전기적 연결수단을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다른 예로, 무인 비행로봇이 작업 툴에 기구적으로 연결될 때 작업 툴과 무인 비행로봇은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을 수 있고, 무인 비행로봇들끼리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을 수도 있다.The drawing also shows a joint type of flying
또한 도면에는 각 무인 비행로봇(130)의 작업 툴(110)(210) 상에서의 결합 위치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해주는 위치 식별수단이 작업 툴(110)(210)에 구비되는 식별 홈(119)과 무인 비행로봇(130)에 구비되는 식별 돌기(147)를 포함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위치 식별수단은 도시된 것 이외의 다양한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일예로, 위치 식별 마크와 이를 인식할 수 있는 인식 기구를 이용하여 위치 식별수단을 구성할 수도 있다. 이 밖에, 작업 툴 및/또는 무인 비행로봇의 연결 부위에 작업 툴과 무인 비행로봇의 결합 시 기구적 또는 전기적으로 작용하여 신호를 발생하는 장치를 설치하고 이를 위치 식별수단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In the drawing, the position identification means for identifying the coupling position on each of the work tool 110 (210) of each unmanned aerial robot (130) includes an identification groove (119) provided in the work tool (110) And the
또한 도면에는 나타내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에 의한 무인 비행로봇 시스템은 작업 툴이나 무인 비행로봇에 거리 센서나 압력 센서 등 다양한 센서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작업 툴 제어 프로세스에 따라 복수의 무인 비행로봇을 제어할 때, 각종 센서로부터 검출 신호를 실시간으로 피드백받아 무인 비행로봇들의 제어에 이용할 수 있다.Also,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unmanned aerial robo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quipped with various sensors such as a distance sensor and a pressure sensor in a work tool or an unmanned aerial robot. When controlling a plurality of unmanned aerial vehicles according to a work tool control process, detection signals from various sensors can be fed back in real time and used for controlling unmanned aerial robot.
100, 200 : 무인 비행로봇 시스템 110, 210 : 작업 툴
111, 211 : 몸체부 112, 212 : 작업부
115, 116, 117, 215, 216 : 비행로봇 연결부
118 : 결합 홈 119 : 식별 홈
120 : QR 코드 130 : 무인 비행로봇
131 : 지지 프레임 132 : 지지판
133 : 지지대 135 : 로터
136 : 날개 137 : 구동부
140 : 제어모듈 145 : 작업 툴 연결부
146 : 결합 돌기 147 : 식별 돌기
150 : 관제 장치 151 : 제어부
152 : 통신부 153 : 조작부
154 : 디스플레이 155 : 인식 기구100, 200: Unmanned
111, 211:
115, 116, 117, 215, and 216: a flying robot connection portion
118: coupling groove 119: identification groove
120: QR code 130: Unmanned aerial robot
131: support frame 132: support plate
133: support member 135: rotor
136: wing 137:
140: Control module 145: Work tool connection
146: engaging projection 147: identification projection
150: control device 151: control unit
152: communication unit 153:
154: display 155: recognition device
Claims (10)
상기 복수의 무인 비행로봇이 탈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무인 비행로봇의 작업 툴 연결부가 연결되는 복수의 비행로봇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비행로봇 연결부에 연결되는 상기 복수의 무인 비행로봇에 의해 움직이면서 기계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 툴; 및
상기 작업 툴을 이용한 기계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무인 비행로봇을 제어하기 위한 작업 툴 제어 프로세스가 저장되는 제어부와, 상기 작업 툴 제어 프로세스에 따라 상기 작업 툴에 결합된 상기 복수의 무인 비행로봇에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통신부를 갖는 관제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 작업이 가능한 멀티 로터 기반의 무인 비행로봇 시스템.A plurality of rotors provided on the support frame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generate a propulsive force, the motors being mounted on the support frame, the motors being coupled to the support frame to control operation of the plurality of rotors, A control module, and a plurality of unmanned flying robots having work tool connection portions;
And a plurality of flying robot connection portions to which the working tool connection portion of the unmanned aerial robot is connected so that the plurality of unmanned flying robots can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plurality of unmanned flying robots, A work tool for performing a machine operation while moving; And
A control unit for storing a work tool control process for controlling the plurality of unmanned aerial vehicles to perform a machining operation using the work tool;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plurality of unmanned flying robots And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to the control unit. The multi-rotor-based unmanned aerial robot system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작업 툴에 결합되는 상기 복수의 무인 비행로봇은 상기 작업 툴의 복수의 비행로봇 연결부를 통해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 작업이 가능한 멀티 로터 기반의 무인 비행로봇 시스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lurality of unmanned flying robots coupled to the working tool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plurality of flying robot connecting portions of the working tool.
상기 작업 툴에 결합되는 상기 복수의 무인 비행로봇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제어모듈이 나머지 무인 비행로봇들의 동작까지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 작업이 가능한 멀티 로터 기반의 무인 비행로봇 시스템.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control module included in any one of the plurality of unmanned flying robots coupled to the working tool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remaining unmanned flying robots.
상기 작업 툴에 결합되는 상기 복수의 무인 비행로봇은 상기 관제 장치로부터 각각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개별적으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 작업이 가능한 멀티 로터 기반의 무인 비행로봇 시스템.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plurality of unmanned flying robots coupled to the working tool are individually controlled by receiving control signals from the control unit.
상기 무인 비행로봇이 상기 작업 툴 연결부를 통해 상기 작업 툴의 비행로봇 연결부에 연결될 때 상기 관제 장치가 상기 무인 비행로봇의 상기 작업 툴 상의 연결 위치를 식별할 수 있도록 상기 무인 비행로봇의 작업 툴 연결부와 상기 작업 툴의 비행로봇 연결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위치 식별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 작업이 가능한 멀티 로터 기반의 무인 비행로봇 시스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when the unmanned aerial robot is connected to the flying robot connecting portion of the working tool through the working tool connecting portion, the control device controls the operation tool connecting portion of the unmanned aerial robot to identify the connection position on the working tool of the unmanned aerial robot And a position identification means installed in at least one of the flying robot connecting portions of the work tool. The multi-rotor-based unmanned aerial robot system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작업 툴은 자신의 식별 정보를 상기 관제 장치에 제공하기 위한 툴 식별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 작업이 가능한 멀티 로터 기반의 무인 비행로봇 시스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ork tool comprises tool identification means for provi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work tool to the control apparatus.
상기 툴 식별수단은 상기 작업 툴의 표면에 마킹되는 QR 코드 또는 바코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 작업이 가능한 멀티 로터 기반의 무인 비행로봇 시스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tool identification means is a QR code or barcode marked on the surface of the working tool.
상기 관제 장치는 사용자가 상기 작업 툴 제어 프로세스에 따라 상기 작업 툴에 결합된 상기 복수의 무인 비행로봇을 제어할 수 있도록 조작 신호를 입력하는 조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 작업이 가능한 멀티 로터 기반의 무인 비행로봇 시스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 apparatus further comprises an operation section for inputting an operation signal so that a user can control the plurality of unmanned flying robots coupled to the work tool according to the work tool control process. Based unmanned aerial robot system.
상기 무인 비행로봇이 상기 작업 툴 연결부를 통해 상기 작업 툴의 비행로봇 연결부에 연결될 때 사용자가 상기 조작부를 통해 상기 무인 비행로봇의 상기 작업 툴 상의 연결 위치를 직접 입력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 작업이 가능한 멀티 로터 기반의 무인 비행로봇 시스템.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when the unmanned aerial robot is connected to the flying robot connecting portion of the working tool through the working tool connecting portion, the user can directly input the connecting position on the working tool of the unmanned aerial robot through the operating portion. Multi - rotor based unmanned aerial robot system.
사용자가 상기 조작부를 통해 상기 작업 툴의 식별 정보를 직접 입력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 작업이 가능한 멀티 로터 기반의 무인 비행로봇 시스템.9. The method of claim 8,
And the user can directly input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work tool through the operation unit. The multi-rotor-based unmanned aerial robot system according to claim 1,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73765A KR101614620B1 (en) | 2014-12-05 | 2014-12-05 | Aerial Robot System Based on Multi-rotor for Mechanical Task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73765A KR101614620B1 (en) | 2014-12-05 | 2014-12-05 | Aerial Robot System Based on Multi-rotor for Mechanical Task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14620B1 true KR101614620B1 (en) | 2016-04-22 |
Family
ID=55918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73765A KR101614620B1 (en) | 2014-12-05 | 2014-12-05 | Aerial Robot System Based on Multi-rotor for Mechanical Task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14620B1 (en)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7161331A (en) * | 2017-05-27 | 2017-09-15 | 徐秀娥 | A kind of automatic replacing fluorescent tube unmanned plane |
WO2018018518A1 (en) * | 2016-07-28 | 2018-02-01 | 深圳市大疆创新科技有限公司 | Multi-rotor unmanned aerial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
WO2018125445A1 (en) * | 2016-12-30 | 2018-07-05 | Intel Corporation | Drone swarm for increased cargo capacity |
JP2019001397A (en) * | 2017-06-19 | 2019-01-10 | 株式会社日立製作所 | Flight machine, transport system, and operation method of transport system |
WO2019079100A1 (en) * | 2017-10-20 | 2019-04-25 | Amazon Technologies, Inc. | Distributed and reconfigurable aerial vehicle configuration |
WO2021100501A1 (en) * | 2019-11-19 | 2021-05-27 | 東洋製罐株式会社 | Takeoff and landing platform, method for using takeoff and landing platform, and program |
US11480958B2 (en) | 2015-02-19 | 2022-10-25 | Amazon Technologies, Inc. | Collective unmanned aerial vehicle configurations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542085A (en) | 2005-05-04 | 2008-11-27 | ロッキード・マーチン・コーポレーション | Autonomous environmental control system and management method from after capture of unmanned aerial vehicle to before launch |
JP2012503167A (en) | 2008-09-18 | 2012-02-02 | レイセオン カンパニー | Marine deployment method and apparatus |
KR101400397B1 (en) | 2012-11-13 | 2014-05-27 |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 Solar panel management Aerial Robot |
KR101451646B1 (en) | 2014-07-16 | 2014-10-16 | (주)테크맥스텔레콤 | The multi function for ducted type unmanned aircraft |
-
2014
- 2014-12-05 KR KR1020140173765A patent/KR101614620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542085A (en) | 2005-05-04 | 2008-11-27 | ロッキード・マーチン・コーポレーション | Autonomous environmental control system and management method from after capture of unmanned aerial vehicle to before launch |
JP2012503167A (en) | 2008-09-18 | 2012-02-02 | レイセオン カンパニー | Marine deployment method and apparatus |
KR101400397B1 (en) | 2012-11-13 | 2014-05-27 |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 Solar panel management Aerial Robot |
KR101451646B1 (en) | 2014-07-16 | 2014-10-16 | (주)테크맥스텔레콤 | The multi function for ducted type unmanned aircraft |
Cited B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480958B2 (en) | 2015-02-19 | 2022-10-25 | Amazon Technologies, Inc. | Collective unmanned aerial vehicle configurations |
WO2018018518A1 (en) * | 2016-07-28 | 2018-02-01 | 深圳市大疆创新科技有限公司 | Multi-rotor unmanned aerial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
WO2018125445A1 (en) * | 2016-12-30 | 2018-07-05 | Intel Corporation | Drone swarm for increased cargo capacity |
US10324462B2 (en) | 2016-12-30 | 2019-06-18 | Intel Corporation | Drone swarm for increased cargo capacity |
CN107161331A (en) * | 2017-05-27 | 2017-09-15 | 徐秀娥 | A kind of automatic replacing fluorescent tube unmanned plane |
JP2019001397A (en) * | 2017-06-19 | 2019-01-10 | 株式会社日立製作所 | Flight machine, transport system, and operation method of transport system |
WO2019079100A1 (en) * | 2017-10-20 | 2019-04-25 | Amazon Technologies, Inc. | Distributed and reconfigurable aerial vehicle configuration |
US11066163B2 (en) | 2017-10-20 | 2021-07-20 | Amazon Technologies, Inc. | Distributed and reconfigurable aerial vehicle configuration |
WO2021100501A1 (en) * | 2019-11-19 | 2021-05-27 | 東洋製罐株式会社 | Takeoff and landing platform, method for using takeoff and landing platform, and program |
JP2021079815A (en) * | 2019-11-19 | 2021-05-27 | 東洋製罐株式会社 | Take-off/landing base, method for using the same, and program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14620B1 (en) | Aerial Robot System Based on Multi-rotor for Mechanical Tasks | |
US10571779B2 (en) | Flying camera with string assembly for localization and interaction | |
US10308348B2 (en) | Unmanned moving vehicle piloting method and unmanned moving vehicle watching device | |
CN110226141B (en) | Safety system for the operation of an unmanned aerial vehicle | |
KR101627042B1 (en) | Reconfigurable Aerial Vehicle Based on Multi-rotor | |
CN106687878B (en) |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with visual indicia | |
JP6816156B2 (en) | Systems and methods for adjusting UAV orbits | |
JP6268659B2 (en) | UAV energy exchange station | |
EP2682837B1 (en) | Closed-loop feedback control using motion capture system | |
CN110180112B (en) | Cooperative reconnaissance fire-extinguishing operation method for unmanned aerial vehicle and fire-fighting robot | |
US11599107B2 (en) | Apparatus, methods and systems for remote or onboard control of flights | |
EP3460616B1 (en) | Addressing method for functional modules of a movable object | |
JP4012749B2 (en) | Remote control system | |
CN105992980A (en) | Unmanned aerial vehicle control method and device based on headless mode | |
CN104685436A (en) | Methods for launching and landing an unmanned aerial vehicle | |
US11613022B2 (en) | Robot syste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object by using the robot system | |
KR101914179B1 (en) | Apparatus of detecting charging position for unmanned air vehicle | |
CN106647788B (en) | UAV Flight Control method and device | |
CN210228953U (en) | Unmanned aerial vehicle and fire-fighting robot reconnaissance fire extinguishing operation system | |
KR101872295B1 (en) | Apparatus for attitude stabilization of small unmanned aerial vehicle | |
WO2021256464A1 (en) | Image capturing system and robot system | |
Shaqura et al. | Human supervised multirotor UAV system design for inspection applications | |
KR20150097047A (en) | multicopter system using of marker recognition | |
Vargas et al. | A combined Wiimote-camera tracking system for small aerial vehicles | |
Wenzel et al. | A Quadrocopter Hovering above a Person Wearing a Modified Cap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