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4539B1 - 화면 조명 제어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화면 조명 제어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4539B1
KR101614539B1 KR1020090061043A KR20090061043A KR101614539B1 KR 101614539 B1 KR101614539 B1 KR 101614539B1 KR 1020090061043 A KR1020090061043 A KR 1020090061043A KR 20090061043 A KR20090061043 A KR 20090061043A KR 101614539 B1 KR101614539 B1 KR 1016145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llumination
widget
idle screen
state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10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3664A (ko
Inventor
이진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0900610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4539B1/ko
Publication of KR201100036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36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45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45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2Illumination; Arrangements for improving the visibility of characters on d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software upgrading or downloa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대기화면에 설정된 위젯과 관련하여, 위젯 컨텐츠의 업데이트가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대기화면의 조명 상태를 확인하는 조명 확인부와, 상기 대기화면의 조명 상태가 전체 오프(off)로 확인 됨에 따라, 상기 위젯의 위치를 식별하는 위젯 식별부, 및 상기 식별된 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대기화면에서 상기 위젯에 상당하는 영역의 조명을 제어하고, 상기 조명 상태를 상기 전체 오프에서 부분 조명으로 전환하는 조명 제어부를 포함하는 화면 조명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위젯 컨텐츠, 업데이트, 조명, 부분 조명

Description

화면 조명 제어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BACKLIGHT OF DISPLAY SCREEN}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대기화면에 설정된 위젯과 관련하여 위젯 컨텐츠의 업데이트가 이루어지는 경우, 대기화면의 조명 사용을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모바일 단말에서의 화면 조명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신기술의 발달로 모바일 단말에서는 음성/영상 통화, 메시지 송수신과 같은 기본적인 기능 외에도, 무선 인터넷, 이메일, DMB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최근의 모바일 단말에서는 위젯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원래 위젯(Widget)은 단말 사용자 또는 응용프로그램/운영체계 등과의 상호작용을 보다 원활하게 지원해 주는 그래픽 인터페이스의 하나로, 모바일 단말에 내장된 응용프로그램을 대기화면 상에서 바로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하였으나, 최근에는 위젯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실시간으로 수신되는 증권, 날씨, 뉴스, 메일, 블로그 등에 관한 다양한 위젯 컨텐츠를 대기화면 상에 표시하는 정보형 위젯이 제공되고 있다.
한편, 종래에는 대기화면의 조명이 오프(off)된 대기상태(idle)에서, 대기화면에 설정된 위젯과 관련하여 위젯 컨텐츠가 업데이트 되는 경우, 모바일 단말에서는 매번 대기화면 전체의 조명을 온(on) 하고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라 화면 조명을 제어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대기화면의 조명이 오프(off)된 대기상태에서, 대기화면(100)에 기 설정된 날씨 위젯(110)과 관련된 날씨 정보가 업데이트 되는 경우, 모바일 단말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기화면(100)의 전체 영역에 대해 조명을 온(on) 하므로, 배터리가 쉽게 소모되어 배터리 교체 주기가 빨라지는 등 불편함이 있었다.
즉, 종래에는 업데이트가 이루어지는 날씨 위젯(110)과 관련된 영역의 조명을 선택적으로 온(on) 할 수가 없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대기화면에 설정된 위젯과 관련하여 위젯 컨텐츠의 업데이트가 이루어지는 경우, 대기화면의 조명 사용을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대기화면에 설정된 위젯과 관련하여 위젯 컨텐츠의 업데이트 시, 대기화면의 조명 사용을 효율적으로 관리하여 모바일 단말의 배터리 소모를 줄이고 오랜 시간 동안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화면 조명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조명이 오프(off)된 대기상태(idle)에서 대기화면에 설정된 위젯과 연관된 위젯 컨텐츠가 업데이트 되는 경우, 대기화면 전체가 아닌, 위젯이 위치한 해당 영역의 조명을 선택적으로 밝게 함으로써, 단말 사용자가 업데이트된 위젯 컨텐츠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배터리 소모를 최소화 할 수 있는 화면 조명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면 조명 제어 시스템은, 대기화면에 설정된 위젯과 관련하여, 위젯 컨텐츠의 업데이트가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대기화면의 조명 상태를 확인하는 조명 확인부와, 상기 대기화면의 조명 상태가 전체 오프(off)로 확인 됨에 따라, 상기 위젯의 위치를 식별하는 위젯 식별부, 및 상기 식별된 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대기화면에서 상기 위젯에 상당하는 영역의 조명을 제어하고, 상기 조명 상태를 상기 전체 오프에서 부분 조명으로 전환하는 조명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면 조명 제어 방법은, 대기화면에 설정 된 위젯과 관련하여, 위젯 컨텐츠의 업데이트가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대기화면의 조명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대기화면의 조명 상태가 전체 오프(off)로 확인 됨에 따라, 상기 위젯의 위치를 식별하는 단계와, 상기 식별된 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대기화면에서 상기 위젯에 상당하는 영역의 조명을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조명 상태를 상기 전체 오프에서 부분 조명으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대기화면에 설정된 위젯과 관련하여 위젯 컨텐츠의 업데이트 시, 대기화면의 조명 사용을 효율적으로 관리하여 모바일 단말의 배터리 소모를 줄이고 오랜 시간 동안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조명이 오프(off)된 대기상태(idle)에서 대기화면에 설정된 위젯과 연관된 위젯 컨텐츠가 업데이트 되는 경우, 대기화면 전체가 아닌, 위젯이 위치한 해당 영역의 조명을 선택적으로 밝게 함으로써, 단말 사용자가 업데이트된 위젯 컨텐츠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배터리 소모를 최소화 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2는 위젯 컨텐츠 제공 서버와 푸쉬 서버, 및 모바일 단말 간의 전체적인 네트워크 연결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면 조명 제어 시스템은 모바일 단말의 내부에 포함될 수 있다.
위젯 컨텐츠 제공 서버는 푸쉬 서버를 경유하여 대기화면 상에 위젯이 설정된 모바일 단말로, 신규의 위젯 컨텐츠를 실시간으로 전송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은 위젯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신규의 위젯 컨텐츠를 이용하여, 대기화면 상에 설정된 위젯을 통해 기 제공 중인 위젯 컨텐츠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이때, 조명이 오프(off)된 대기상태(idle)에서 대기화면에 설정된 위젯과 연관된 위젯 컨텐츠가 업데이트 되는 경우, 상기 화면 조명 제어 시스템은 대기화면 전체가 아닌, 위젯이 위치한 해당 영역의 조명을 선택적으로 밝게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화면 조명 제어 시스템은 대기화면 전체의 조명을 오프 그대로 유지한 상태에서 업데이트가 이루어지는 해당 위젯에 한해 부분적으로 조명을 밝게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 사용자는 업데이트된 위젯 컨텐츠를, 대기화면에서 조명이 밝게 제어된 영역에 위치하는 위젯을 통해 손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또한, 모바일 단말의 배터리 소모도 최소화 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면 조명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면 조명 제어 시스템(300)은 조명 확인부(310), 위젯 식별부(320), 및 조명 제어부(3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조명 확인부(310)는 대기화면에 설정된 위젯과 관련하여 위젯 컨텐츠의 업데이트가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대기화면의 조명 상태를 확인하는 기능을 한다.
모바일 단말은 대기화면에 설정된 위젯에 관련된 위젯 컨텐츠를, 위젯 컨텐츠 제공 서버(미도시함)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위젯을 통해 단말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단말은 위젯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실시간으로 수신되는 신규의 위젯 컨텐츠를 이용하여, 상기 위젯을 통해 기 제공 중인 위젯 컨텐츠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이때, 조명 확인부(310)는 업데이트하려는 신규의 위젯 컨텐츠가 상기 위젯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 완료되는 시점에 대기화면의 조명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예컨대, 조명 확인부(310)는 대기화면의 전체 영역에서 조명이 들어오는 경우 대기화면의 조명 상태를 전체 온(on)으로 확인하고, 대기화면의 전체 영역에서 조명이 들어오지 않는 경우, 대기화면의 조명 상태를 전체 오프(off)로 확인하고, 또는 대기화면의 일부 영역에서만 조명이 들어오는 경우, 대기화면의 조명 상태를 부분 조명으로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위젯 컨텐츠는 뉴스, 날씨, 증권, 블로그, 메일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젯은 뉴스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뉴스 위젯, 날씨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날씨 위젯, 증권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증권 위젯, 블로그 에 등록된 새 글을 알리거나 표시하는 블로그 위젯, 또는 메일의 수신 여부를 알리거나 수신 메일을 표시하는 메일 위젯 등의 정보형 위젯이 될 수 있다.
위젯 식별부(320)는 상기 대기화면의 조명 상태가 전체 오프로 확인 됨에 따라, 상기 위젯의 위치를 식별하는 기능을 한다.
즉, 모바일 단말에서 어플리케이션이 구동하지 않거나 입력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는 대기상태(idle)일 경우, 대기화면의 전체 영역에서 조명이 들어오지 않으므로, 조명 확인부(310)는 상기 대기화면의 조명 상태를 전체 오프로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위젯 식별부(320)는 위젯 컨텐츠의 업데이트가 이루어지는 위젯의 대기화면에서의 현위치를 픽셀 또는 위치좌표 등으로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위젯 식별부(320)는 상기 대기화면의 조명 상태가 부분 조명으로 확인되는 경우에도 상기 위젯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
조명 제어부(330)는 상기 식별된 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대기화면에서 상기 위젯에 상당하는 영역의 조명을 제어하고, 상기 조명 상태를 상기 전체 오프에서 부분 조명으로 전환하는 기능을 한다.
여기서 부분 조명은 대기화면의 일부 영역의 조명을 밝게 제어하는 조명 상태가 될 수 있다.
이하,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조명 제어부(330)를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화면 조명을 제어하는 일례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는 날씨 위젯(410)과 연관된 날씨 정보가 업데이트 됨에 따라, 날씨 위젯(410)에 상당하는 영역의 조명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대기화면(400)이 도시되어 있다.
즉, 대기화면의 조명이 어둡게 제어된 상태에서 날씨 위젯(410)의 날씨 정보가 업데이트 되는 경우, 도 4에 도시된 대기화면(400)과 같이, 조명 제어부(330)는 식별된 날씨 위젯(410)의 위치로부터 선정된 범위에 해당하는 영역의 조명을 밝게 제어 함으로써, 단말 사용자가 날씨 위젯(410)과 함께, 업데이트 되는 날씨 정보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조명 제어부(330)는 상기 영역을 제외한, 대기화면(400)의 나머지 영역의 조명을 오프된 상태 그대로 어둡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조명 제어부(330)는 대기화면(400)의 조명 상태를, 전체 오프에서 부분 조명으로 전환할 수 있다.
이때, 도 4의 대기화면(400)과 같이, 날씨 위젯(410)에 상응하는 영역의 조명이 밝게 제어되는 동안, 모바일 단말에서 키입력, 메뉴 조작 또는 화면 터치와 같은 입력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조명 제어부(330)는 대기화면(400)의 전체 조명을 밝게 제어하고, 상기 부분 조명에서 전체 온으로 조명 상태를 전환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입력 이벤트의 발생 없이 일정 시간이 경과하는 경우, 조명 제어부(330)는 도 4에 도시된 대기화면(400)의 전체 조명을 어둡게 제어하고, 상기 부분 조명에서 전체 오프로 조명 상태를 전환할 수 있다.
도 5에는 날씨 위젯(510)과 연관된 날씨 정보가 업데이트 되는 동안, 메일 위젯(520)과 연관된 메일 정보가 업데이트 되는 경우의 대기화면(500)이 도시되어 있다.
즉, 대기화면(500)에서 날씨 위젯(510)에 상응하는 영역의 조명이 밝게 제어되는 동안, 메일 위젯(520)과 연관된 메일 정보의 업데이트가 이루어지는 경우, 대기화면(500)에서 날씨 위젯(510)에 상응하는 영역에서만 조명이 들어오는 중이므로, 조명 확인부(310)는 조명 상태를 부분 조명으로 확인할 수 있다.
대기화면(500)의 조명 상태가 부분 조명으로 확인 됨에 따라, 위젯 식별부(320)는 메일 위젯(520)의 위치를 식별하고, 조명 제어부(330)는 식별된 메일 위젯(520)의 위치를 이용하여, 대기화면(500)에서 메일 위젯(520)에 상응하는 영역의 조명을 더 밝게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 사용자는 업데이트 되는 날씨 정보와 메일 정보를, 날씨 위젯(510)과 메일 위젯(520)을 통해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조명 제어부(330)는 날씨 위젯(510)과 메일 위젯(520)에 상응하는 영역을 제외한, 대기화면(500)의 나머지 영역의 조명을 오프된 상태 그대로 어둡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조명 제어부(330)는 대기화면(400)의 조명 상태를 부분 조명으로 유지할 수 있다.
도 6에는 날씨 위젯(610)의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의 대기화면(600)이 도시되어 있다.
도 4에서 날씨 위젯(410)에 상응하는 영역의 조명이 밝게 제어되는 동안, 도 6과 같이 날씨 위젯(610)의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 위젯 식별부(320)는 상기 위치 변경에 연동하여 대기화면(600)에서 날씨 위젯(610)의 변경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조명 제어부(330)는 식별된 날씨 위젯(610)의 변경 위치로부터 선정된 범위에 해당하는 영역의 조명을 선택적으로 밝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조명 제어부(330)는 상기 위치 변경 이전의 위치(즉, 도 4의 날씨 위젯(410)의 위치)로부터 선정된 범위에 해당하는 영역의 조명을 다시 어둡게 제어할 수 있다.
즉, 조명 제어부(330)는 위치 변경된 날씨 위젯(610)에 상응하는 영역을 제외한, 대기화면(600)의 나머지 영역의 조명을 오프된 상태로 어둡게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대기화면에 설정된 위젯과 관련하여 위젯 컨텐츠의 업데이트 시, 대기화면의 조명 사용을 효율적으로 관리하여 모바일 단말의 배터리 소모를 줄이고 오랜 시간 동안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면 조명 제어 방법의 순서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면 조명 제어 방법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면 조명 제어 시스템(30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이하 도 7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도 3을 함께 참조하여 도 7을 설명하여 발명의 이해를 도모한다.
단계 710에서 상기 화면 조명 제어 시스템(300)은 대기화면에 설정된 위젯과 관련하여 위젯 컨텐츠의 업데이트가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대기화면의 조명 상태를 확인한다.
모바일 단말은 대기화면에 설정된 위젯에 관련된 위젯 컨텐츠를, 위젯 컨텐츠 제공 서버(미도시함)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위젯을 통해 단말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단말은 위젯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실시간으로 수신되는 신규의 위젯 컨텐츠를 이용하여, 상기 위젯을 통해 기 제공 중인 위젯 컨텐츠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이때, 조명 확인부(310)는 업데이트하려는 신규의 위젯 컨텐츠가 상기 위젯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 완료되는 시점에 대기화면의 조명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예컨대, 조명 확인부(310)는 대기화면의 전체 영역에서 조명이 들어오는 경우 대기화면의 조명 상태를 전체 온(on)으로 확인하고, 대기화면의 전체 영역에서 조명이 들어오지 않는 경우, 대기화면의 조명 상태를 전체 오프(off)로 확인하고, 또는 대기화면의 일부 영역에서만 조명이 들어오는 경우, 대기화면의 조명 상태를 부분 조명으로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단계 710에서의 확인 결과, 대기화면의 조명 상태가 전체 온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화면 조명 제어 시스템(300)은 대기화면의 조명 상태를 부분 조명으로 전환하지 않고 그대로 종료할 수 있다.
상기 단계 710에서의 확인 결과, 대기화면의 조명 상태가 전체 오프로 확인되는 경우, 단계 720에서 상기 화면 조명 제어 시스템(300)은 상기 위젯의 위치를 식별한다.
즉, 모바일 단말에서 어플리케이션이 구동하지 않거나 입력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는 대기상태(idle)일 경우, 대기화면의 전체 영역에서 조명이 들어오지 않으므로, 조명 확인부(310)는 상기 대기화면의 조명 상태를 전체 오프로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위젯 식별부(320)는 위젯 컨텐츠의 업데이트가 이루어지는 위젯의 대기화면에서의 현위치를 픽셀 또는 위치좌표 등으로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위젯 식별부(320)는 상기 대기화면의 조명 상태가 부분 조명으로 확인되는 경우에도 상기 위젯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
단계 730에서 상기 화면 조명 제어 시스템(300)은 상기 식별된 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대기화면에서 상기 위젯에 상당하는 영역의 조명을 제어하고, 상기 조명 상태를 상기 전체 오프에서 부분 조명으로 전환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대기화면의 조명이 어둡게 제어된 상태에서 날씨 위젯(410)의 날씨 정보가 업데이트 되는 경우, 조명 제어부(330)는 식별된 날씨 위젯(410)의 위치로부터 선정된 범위에 해당하는 대기화면(400) 내 영역의 조명을 밝게 제어 할 수 있다.
그리고, 조명 제어부(330)는 상기 영역을 제외한, 대기화면(400)의 나머지 영역의 조명을 오프된 상태 그대로 어둡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조명 제어부(330)는 대기화면(400)의 조명 상태를, 전체 오프에서 부분 조명으로 전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 사용자는 날씨 위젯(410)과 함께, 업데이트 되는 날씨 정보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단계 740에서 상기 화면 조명 제어 시스템(300)은 상기 영역의 조명이 제어되는 동안 입력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대기화면의 조명을 밝게 제어하고, 상기 조명 상태를 상기 부분 조명에서 상기 전체 온으로 전환한다.
도 4의 대기화면(400)과 같이, 날씨 위젯(410)에 상응하는 영역의 조명이 밝게 제어되는 동안, 모바일 단말에서 키입력, 메뉴 조작 또는 화면 터치와 같은 입력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조명 제어부(330)는 대기화면(400)의 전체 조명을 밝게 제어하고, 상기 부분 조명에서 전체 온으로 조명 상태를 전환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입력 이벤트의 발생 없이 일정 시간이 경과하는 경우, 조명 제어부(330)는 도 4에 도시된 대기화면(400)의 전체 조명을 어둡게 제어하고, 상기 부분 조명에서 전체 오프로 조명 상태를 전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위젯 컨텐츠의 업데이트 시 대기화면의 조명 사용을 효율적으로 관리하여 모바일 단말의 배터리 소모를 줄이고 단말 사용자가 보다 오랜 시간 동안 모바일 단말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 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라 화면 조명을 제어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위젯 컨텐츠 제공 서버와 푸쉬 서버, 및 모바일 단말 간의 전체적인 네트워크 연결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면 조명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화면 조명을 제어하는 일례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면 조명 제어 방법의 순서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0: 화면 조명 제어 시스템
310: 조명 확인부
320: 위젯 식별부
330: 조명 제어부

Claims (16)

  1. 대기화면에 설정된 위젯과 관련하여, 위젯 컨텐츠의 업데이트가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대기화면의 조명 상태를 확인하는 조명 확인부;
    상기 대기화면의 조명 상태가 전체 오프로 확인 됨에 따라, 상기 위젯의 위치를 식별하는 위젯 식별부; 및
    상기 조명 상태를 상기 전체 오프에서 부분 조명으로 전환하여, 상기 위젯의 위치에 상당하는 영역의 조명을 제어하는 조명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영역의 조명이 제어되는 동안 입력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조명 제어부는,
    상기 조명 상태를 상기 부분 조명에서 전체 온으로 전환하여, 상기 대기화면의 조명을 제어하는 화면 조명 제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확인부는,
    상기 대기화면의 조명 상태를 전체 온, 전체 오프, 또는 부분 조명 중 어느 하나로 확인하는 화면 조명 제어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제어부는,
    상기 대기화면 내, 상기 식별된 위치로부터 선정된 범위에 해당하는 영역의 조명을 켜도록 제어하는 화면 조명 제어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화면 상의 임의의 위젯에 대한 조명 상태가 부분 조명으로 확인된 상태에서, 상기 위젯 컨텐츠의 업데이트가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조명 제어부는,
    상기 업데이트와 연관되어 식별된 위젯의 위치를 적어도 포함하는 상기 대기화면 상의 영역으로, 상기 부분 조명이 확장되도록 조명을 제어하는 화면 조명 제어 시스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의 조명이 제어되는 동안 상기 위젯의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
    상기 조명 제어부는,
    상기 대기화면 내, 상기 위젯의 변경 위치로부터 선정된 범위에 해당하는 영역의 조명을 켜도록 제어하는 화면 조명 제어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입력 이벤트의 발생 없이 일정 시간이 경과하는 경우,
    상기 조명 제어부는,
    상기 조명 상태를 상기 부분 조명에서 상기 전체 오프로 전환하여, 상기 영역의 조명을 끄도록 제어하는 화면 조명 제어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젯 컨텐츠는,
    뉴스, 날씨, 증권, 블로그, 메일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화면 조명 제어 시스템.
  9. 대기화면에 설정된 위젯과 관련하여, 위젯 컨텐츠의 업데이트가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대기화면의 조명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대기화면의 조명 상태가 전체 오프로 확인 됨에 따라, 상기 위젯의 위치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조명 상태를 상기 전체 오프에서 부분 조명으로 전환하여, 상기 위젯의 위치에 상당하는 영역의 조명을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영역의 조명이 제어되는 동안 입력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조명 상태를 상기 부분 조명에서 전체 온으로 전환하여, 상기 대기화면의 조명을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화면 조명 제어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화면의 조명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대기화면의 조명 상태를 전체 온, 전체 오프, 또는 부분 조명 중 어느 하나로 확인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화면 조명 제어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위젯의 위치에 상당하는 영역의 조명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대기화면 내, 상기 식별된 위치로부터 선정된 범위에 해당하는 영역의 조명을 켜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화면 조명 제어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화면 상의 임의의 위젯에 대한 조명 상태가 부분 조명으로 확인된 상태에서, 상기 위젯 컨텐츠의 업데이트가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업데이트와 연관되어 식별된 위젯의 위치를 적어도 포함하는 상기 대기화면 상의 영역으로, 상기 부분 조명이 확장되도록 조명을 제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화면 조명 제어 방법.
  13. 삭제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의 조명이 제어되는 동안 상기 위젯의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
    상기 대기화면 내, 상기 위젯의 변경 위치로부터 선정된 범위에 해당하는 영역의 조명을 켜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화면 조명 제어 방법.
  15. 제9항에 있어서,
    입력 이벤트의 발생 없이 일정 시간이 경과하는 경우,
    상기 조명 상태를 상기 부분 조명에서 상기 전체 오프로 전환하여, 상기 영역의 조명을 끄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화면 조명 제어 방법.
  16. 제9항 내지 제12항, 제14항 및 제15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
KR1020090061043A 2009-07-06 2009-07-06 화면 조명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16145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1043A KR101614539B1 (ko) 2009-07-06 2009-07-06 화면 조명 제어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1043A KR101614539B1 (ko) 2009-07-06 2009-07-06 화면 조명 제어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3664A KR20110003664A (ko) 2011-01-13
KR101614539B1 true KR101614539B1 (ko) 2016-04-21

Family

ID=43611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1043A KR101614539B1 (ko) 2009-07-06 2009-07-06 화면 조명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453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7097B1 (ko) 2014-09-12 2021-07-1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18615A (ja) 2001-03-22 2001-11-16 Nec Corp 液晶表示装置
KR100788185B1 (ko) * 2003-09-03 2007-12-26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전자 디스플레이의 영역들의 선택적인 조명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18615A (ja) 2001-03-22 2001-11-16 Nec Corp 液晶表示装置
KR100788185B1 (ko) * 2003-09-03 2007-12-26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전자 디스플레이의 영역들의 선택적인 조명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3664A (ko) 2011-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27306B2 (en) Intelligent event information presentation method and terminal
US8881057B2 (en) Methods and apparatus to display mobile device contexts
EP1942396A1 (en) Method of controlling touch pad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of
JP4501991B2 (ja) 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0861656B1 (ko) 설정 시간에 따라 대기화면에 설정된 모바일 위젯을표시하는 방법 및 이동 통신 단말기
EP1615115A2 (en) Method and system for using a color scheme to communicate information in a computer
CN105474129A (zh) 用于在电子装置中执行省电模式的方法及其电子装置
CN110602807B (zh) 控制通信终端主界面的方法、通信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9122369B2 (en)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updating display screen with online widget
CN103518170A (zh) 便携式电子设备中的省电的应用更新
CN102138284A (zh) 用于移动通信设备的休眠模式
KR20040095161A (ko) 컴퓨팅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의 보조 표시를 위한 방법 및시스템
BRPI0516199A2 (pt) método para controlar um telefone móvel
CN103092985A (zh) 移动终端实现推送信息显示的方法
KR20130031658A (ko) 휴대단말기의 표시제어장치 및 방법
CN103176825A (zh) 应用程序业务更新数据的处理方法及装置
CN106793030A (zh) 应用管理方法、装置及移动终端
CN104881234A (zh) 一种电子设备运行方法及装置
KR101614539B1 (ko) 화면 조명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N106201211A (zh) 一种屏幕显示方法和装置
CN104798037A (zh) 用户功能操作方法和支持该方法的电子装置
KR101210364B1 (ko) 사용자의 행동 분석 결과에 따라 동작하는 이동통신단말기및 그 방법
KR101029670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스케쥴관리 방법
KR20100070659A (ko) 위젯 서비스 사용 정보 알림 방법 및 시스템
JP7264305B1 (ja) 情報表示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