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3609B1 - Apparatus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voice of among the portable terminal groups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voice of among the portable terminal group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3609B1
KR101613609B1 KR1020140037042A KR20140037042A KR101613609B1 KR 101613609 B1 KR101613609 B1 KR 101613609B1 KR 1020140037042 A KR1020140037042 A KR 1020140037042A KR 20140037042 A KR20140037042 A KR 20140037042A KR 101613609 B1 KR101613609 B1 KR 1016136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room
icon
portable terminal
se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704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112571A (en
Inventor
성용준
이동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컴메이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컴메이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컴메이트
Priority to KR10201400370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3609B1/en
Publication of KR201501125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257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36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360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04W4/10Push-to-Talk [PTT] or Push-On-Call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스마트폰, 태블릿 PC, 이동통신단말기, PDA 등) 그룹 간에 개설된 방을 통해 개설된 방에 포함된 휴대용 단말기 간에 사람의 음성을 중계하기 위해 사용하는 휴대용 양방향 무선 기능을 수행하는 워키토키 기능을 사용하여 사용자와의 의사소통을 극대화할 수 있는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를 활용한 휴대용 단말기 그룹 간의 음성통신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휴대용 단말기를 각각 1:1로 원격 제어하고, DB 서버의 연락처 그룹을 휴대용 단말기에 각각 할당하며, 각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데이터를 취합하여 DB 서버에 전달하는 복수의 운영체제가 설치되어 있는 복수개의 단위서버와, 상기 복수의 단위서버를 통하여 상기 단위서버에 연결된 복수의 휴대용 단말기를 제어하여 그룹 간에 개설된 공유방을 통해 개설된 공유방에 포함된 휴대용 단말기 간에 워키토키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음성 데이터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하나의 컨트롤 서버와,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를 제공하기 위한 휴대폰 단말기 정보, 복수의 소그룹으로 분할된 복수의 소그룹 정보 및 음성통신 서비스 제공을 위한 서비스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DB)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a portable two-way radio function used for relaying a voice of a person between portable terminals included in a room opened through a room established between a group of portable terminals (smart phone, tablet PC,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DA, etc.)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oice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a mobile terminal group using a mobile instant messenger capable of maximizing communication with a user by using a walkie-talkie function, A plurality of unit servers ea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systems for assigning a contact group of a DB server to a portable terminal, collecting data from each portable terminal and delivering the collected data to a DB server, A plurality of portable terminals controlled by the plurality of portable terminals, A control server for providing a voice data transmission service so as to use a walkie-talkie function between portable terminals included in a shared room, mobile phone terminal information for providing a mobile instant messenger, a plurality of small group information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mall groups, And a database (DB) server in which service information for providing a communication service is stored.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 그룹 간의 음성통신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voice of among the portable terminal groups}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 그룹 간의 음성통신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용 단말기(스마트폰, 태블릿 PC, 이동통신단말기, PDA 등) 그룹 간에 개설된 방을 통해 개설된 방에 포함된 휴대용 단말기 간에 사람의 음성을 중계하기 위해 사용하는 휴대용 양방향 무선 기능을 수행하는 워키토키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휴대용 단말기 그룹 간의 음성통신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voice messages between groups of portable terminals, and more particularly, to a voice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voice messages between a group of portable terminals (smart phone, tablet PC,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DA, And more particularly, to a voice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between a group of portable terminals that provide a walkie-talkie function for performing a portable two-way radio function used for relaying a voice of a person.

멀티미디어 통신기술이 급속도로 발전하면서 근래에는 불특정 다수 간에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수단의 제공이 가능하게 되었다.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multimedia communication technology, it has become possible to provide new communication means among many unspecified persons.

특히 스마트폰의 등장으로 트위터나 페이스북과 같은 SNS(Social Networking Service)를 이용하여 온라인상에서 불특정 타인과 관계를 맺을 수 있는 기회가 증가하였다. 스마트폰은 휴대전화기와 개인휴대용 단말기의 장점을 합한 것으로, 컴퓨터에서 간단하게 처리 가능한 형태의 프로그램 수행 및 인터넷 접속 등의 데이터통신 기능을 휴대전화기에 포함하도록 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스마트폰에 운영체제(OS)를 탑재하여 응용 프로그램의 설치 및 실행이 가능하다는 점이 스마트폰의 가장 큰 특징이다.In particular, with the advent of smartphones, there has been an increase in opportunities to engage with unspecified people online by using SNS (Social Networking Service) such as Twitter or Facebook. The smart phone combines the merits of a portable telephone and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and includes a data communication function such as program execution in a form that can be easily processed by a computer and an Internet connection in a mobile phone. The most important characteristic of smartphone is that it can install and run application program by installing operating system (OS) on smartphone.

최근에는 카카오톡, whatsAPP, 다음 마이피플, 네이버라인 등 친구자동등록 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Mobile Instant Messenger)의 사용이 보편화되어, 실시간으로 자신의 의사를 피력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등 서로 간의 의사소통을 통한 공감대 형성의 수단으로 이용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스마트폰 등의 스마트 기기를 매개로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를 활용한 커뮤니케이션이 증가하고 있으며, 그 사용자도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는 추세이다.In recent years, the use of Mobile Instant Messenger (KACA), whichsAPP, next MyPhone, Naver Line, etc., has been widely used, and provides an environment that allows users to express their opinions in real time It is used as a means of building consensus through communication among each other. Therefore, communication using mobile instant messenger is increasing through smart devices such as smart phones, and the user is also growing rapidly.

그러나 기존의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는 서로간의 의사소통을 전달하는 수단으로 문자(텍스트(text))나 이미지 등을 이용하고 있어, 자신의 의사를 전달하기 위해 입력수단을 통해 문자를 입력하거나 특정 이미지 등을 검색하여 삽입하는 등 번거로움이 발생되었다. 또한 자신의 의사를 문자로 입력함에 따라 상대방에게 자신의 의사를 보다 정확하게 전달하는데 어려움이 있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existing mobile instant messengers use letters (text) or images as a means of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so that they can input characters through input means or convey specific images It is troublesome to search and insert. Also,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transmit his / her opinion to the other party more accurately by inputting his or her own intention.

등록특허공보 제10-0680494호 :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워키토키 구현방법Registration No. 10-0680494: Implementation of a walkie talkie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48209호 : 워키토키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단말기의 동작방법Patent Document 10-2008-0048209: Operation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walkie-talkie function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휴대용 단말기(스마트폰, 태블릿 PC, 이동통신단말기, PDA 등) 그룹 간에 개설된 방을 통해 개설된 방에 포함된 휴대용 단말기 간에 사람의 음성을 중계하기 위해 사용하는 휴대용 양방향 무선 기능을 수행하는 워키토키 기능을 사용하여 사용자와의 의사소통을 극대화할 수 있는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를 활용한 휴대용 단말기 그룹 간의 음성통신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rtable terminal including a portable terminal (smart phone, tablet PC,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DA, A voice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a mobile terminal group using a mobile instant messenger capable of maximizing communication with a user by using a walkie-talkie function performing a portable two-way radio function used for relaying voice, .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Other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그룹 간의 음성통신 장치의 특징은 휴대용 단말기를 각각 1:1로 원격 제어하고, DB 서버의 연락처 그룹을 휴대용 단말기에 각각 할당하며, 각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데이터를 취합하여 DB 서버에 전달하는 복수의 운영체제가 설치되어 있는 복수개의 단위서버와, 상기 복수의 단위서버를 통하여 상기 단위서버에 연결된 복수의 휴대용 단말기를 제어하여 그룹 간에 개설된 공유방을 통해 개설된 공유방에 포함된 휴대용 단말기 간에 워키토키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음성 데이터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하나의 컨트롤 서버와,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를 제공하기 위한 휴대폰 단말기 정보, 복수의 소그룹으로 분할된 복수의 소그룹 정보 및 음성통신 서비스 제공을 위한 서비스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DB)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voice communication apparatus for a group of portable terminals, comprising: a remote control unit for remotely controlling a portable terminal at a ratio of 1: 1, allocating a contact group of a DB server to each portable terminal, A plurality of unit servers installed with a plurality of operating systems for collecting data from the plurality of unit servers and transmitting the collected data to the DB server and a plurality of portable terminals connected to the unit server through the plurality of unit servers, A control server for providing a voice data transmission service to use a walkie-talkie function among the portable terminals included in the shared room, mobile phone terminal information for providing a mobile instant messenger, a plurality of small group information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mall groups, Service information for providing voice communication service The database (DB) which consists in including the server.

바람직하게 상기 단위서버에 설치되어 있는 운영체제는 각 단위서버에 할당된 복수의 휴대용 단말기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단말기 컨트롤 패키지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단말기 컨트롤 패키지는 휴대용 단말기를 초기화하고, 휴대용 단말기의 연락처를 동기화하며,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의 기능을 컨트롤하는 단말기 컨트롤부와, 휴대용 단말기의 터치, 잠금해제, 키입력을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을 컨트롤하는 단말기 기초 컨트롤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operating system installed in the unit server is provided with a terminal control package for remote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portable terminals assigned to each unit server. The terminal control package initializes the portable terminal, A terminal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functions of the mobile instant messenger, and a terminal basic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operations of the portable terminal including touch, unlock, and key input of the portable terminal.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그룹 간의 음성통신 방법의 특징은 (A) 휴대용 단말기 저장소 내부에 휴대용 단말기 그룹 간의 음성통신 서비스를 위한 모바일 앱이 다운로드되어 저장되는 단계와, (B) 상기 모바일 앱의 이벤트가 발생하면, 컨트롤서버의 명령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에 설치된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를 이용하여 DB 서버에 이름과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개인정보 및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의 친구목록을 수신하는 단계와, (C)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친구목록을 취합하여 휴대용 단말기별로 사용자 DB를 생성한 후, 해당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전송받은 연락처 그룹을 휴대용 단말기에 등록하는 단계와, (D)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등록된 사용자 DB에 포함된 친구목록을 기반으로 워키토키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휴대용 단말기 그룹을 갖는 공유방의 개설 및 참여를 수행하여 공유방에 접속되는 단계와, (E) 상기 공유방에 접속된 휴대용 단말기 간에 워키토키 기능을 갖는 음성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communicating voice messages between groups of portable terminals,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A) downloading and storing a mobile application for a voice communication service between groups of portable terminals in a portable terminal storage; B) receiving the personal information including the name and the phone number and the friend list of the mobile instant messenger on the DB server using the mobile instant messenger installed in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command of the control server when the mobile app event occurs; (C) collecting a friend list receiv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creating a user DB for each portable terminal, transmitting the created user DB to the portable terminal, and registering the contact group transmitt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to the portable terminal, (D) a list of friends included in the user DB registered in the portable terminal (E) a voice data service having a walkie-talkie function is provided between the portable terminals connected to the shared room by performing a step of opening and participating in a shared room having a portable terminal group for performing a walkie-talkie function And a step of performing the steps of:

바람직하게 상기 (D) 단계는 (D1) 단위서버에서 휴대용 단말기 화면에 음성통신 서비스를 위해 휴대용 단말기 간의 그룹을 설정하기 위한 시작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D2) 상기 시작화면에 표시된 아이콘이 선택되면, 선택된 아이콘을 기반으로 제공된 설정창을 통해 입력된 정보를 기반으로 새로운 공유방 개설, 개설된 공유방 참여 및 환경설정이 이루어지는 단계와, (D3) 상기 설정된 정보를 가지고 공유방에 접속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step (D) includes the steps of: (D1) displaying a start screen for setting a group of portable terminals for a voice communication service on a screen of the portable terminal at a unit server; (D2) (D3) accessing a shared room with the set information, and a step (D3) of opening a new shared room, participating in a shared room, and setting an environment based on the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setting window provided based on the selected icon .

바람직하게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시작화면은 휴대용 단말기 화면에 새로운 그룹을 생성하기 위해 공유방을 개설하기 위한 제 1 선택 아이콘(방만들기)과, 이미 그룹으로 생성되어 개설된 방에 참여하기 위한 제 2 선택 아이콘(참여하기)과, 제공되는 그룹 음성통신 서비스에서 이용되거나 적용될 자신의 대화명 및 아바타와, 푸시 알람 설정을 포함하는 기본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환경설정 아이콘(Setting)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displayed startup screen includes a first selection icon (room creation) for opening a shared room to create a new group on the screen of the portable terminal, a second selection icon And an environment setting icon for setting basic information including a pseudo alarm setting and a pseudo alarm name to be used or applied in the provided group voice communication service.

바람직하게 상기 (D2) 단계는 시작화면에 표시된 아이콘 중, 제 1 선택 아이콘(방만들기)이 선택되는 단계와, 단위서버에서 휴대용 단말기 화면에 음성통신 서비스를 위한 새로운 그룹을 위한 공유방 개설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상기 개설될 공유방의 비밀번호를 비밀번호 입력창에 입력받고, 방만들기 버튼이 선택되면 새로운 공유방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새로운 공유방 생성 후 시작하기 아이콘이 선택되면 새롭게 생성된 공유방으로 사용자를 접속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step (D2) includes the steps of: selecting a first selection icon (room creation) among the icons displayed on the start screen, and displaying a sharing room setting screen for a new group for voice communication service on the portable terminal screen A step of receiving a password of a shared room to be opened in a password input window and creating a new shared room when a room creation button is selected; And a step of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to each other.

바람직하게 상기 (D2) 단계는 시작화면에 표시된 아이콘 중, 제 2 선택 아이콘(참여하기)이 선택되는 단계와, 단위서버에서 휴대용 단말기 화면에 음성통신 서비스를 위해 개설되어 있는 공유방의 참여를 위한 공유방 진입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개설되어 있는 공유방 중 사용자가 참여하고자 하는 고유방의 방 정보를 방 정보 입력창에 직접 입력되거나, 또는 방 정보 입력창을 선택하여 하부에 펼쳐지는 선택창을 이용하여 현재 개설되어 있는 모든 공유방 중 하나의 공유방이 선택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공유방에 미리 정의되어 있는 비밀번호를 비밀번호 입력창에 입력된 후, 접속하기 아이콘이 선택되면 해당 공유방으로 사용자를 접속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step (D2) includes the steps of: selecting a second selection icon (participation) among the icons displayed on the start screen; and selecting a second selection icon Displaying the entrance screen, displaying the room information input window by directly inputting the room information of the private room, which the user intends to participate in, to the room information input window, or selecting the room information input window, Selecting one shared room among all the shared rooms that have been opened; and connecting a user to the shared room when a connection icon is selected after inputting a password defined in the shared room selected in the password input window .

바람직하게 상기 (D2) 단계는 시작화면의 환경설정 화면, 공유방 개설 화면 및 공유방 진입 화면 중 어느 하나에 표시된 아이콘 중, 아바타 설정 아이콘(Setting)이 선택되는 단계와, 휴대용 단말기 화면에 미리 만들어진 아바타 샘플들이 팝업창 형태로 표시되는 단계와, 사용자로부터 상기 표시되는 아바타 샘플들 중 하나를 선택되면, 선택된 아바타를 사용자의 아바타로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설정된 아바타를 서버 DB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step (D2) includes the steps of: selecting an avatar setting icon among icons displayed on any one of an environment setting screen of a start screen, a sharing room setting screen, and a sharing room entry screen; and a step of selecting an avatar sample Displaying the selected avatar in the form of a pop-up window, setting the selected avatar as a user avatar when one of the displayed avatar samples is selected from the user, and storing the set avatar in the server DB .

바람직하게 상기 (D2) 단계는 시작화면의 환경설정 화면, 공유방 개설 화면 및 공유방 진입 화면 중 어느 하나에 표시된 아이콘 중, 대화명 설정 아이콘(Setting)이 선택되는 단계와, 휴대용 단말기 화면에 대화명을 입력할 대화명 입력창을 제공하는 단계와,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공된 대화명 입력창에 사용될 대화명이 입력되면, 입력된 대화명의 중복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확인결과, 중복된 대화명이 없으면, 사용가능 메시지를 화면에 표시하고, 입력된 대화명을 사용자의 대화명으로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설정된 아바타를 서버 DB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step (D2) includes the steps of: selecting a setting icon of the icon displayed on any one of the environment setting screen of the start screen, the sharing room setting screen and the sharing room entry screen; A step of providing a screen name input window; confirming whether or not the screen name to be used in the screen name input window provided by the user is inputted, if the inputted screen name is duplicated; and if the screen name is not duplicated, Displaying the displayed avatar in the server DB, setting the entered avatar as a user's avatar name, and storing the avatar in the server DB.

바람직하게 상기 (E) 단계는 (E1) 단위서버에서 휴대용 단말기 화면에 음성통신 서비스를 위한 PTT(Push To Talk)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E2) 상기 PTT 화면에 표시된 아이콘이 선택되면, 선택된 아이콘을 기반으로 제공된 설정창을 통해 입력된 정보를 기반으로 음성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채널별 그룹을 설정하고, 설정된 그룹에 사용자를 포함시켜 그룹을 제어하는 단계와, (E3) 상기 설정된 그룹에 포함되는 휴대용 단말기 간에 워키토키 기능을 통한 음성 데이터 전달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step (E) includes the steps of: (E1) displaying a PTT (Push To Talk) screen for a voice communication service on a portable terminal screen at a unit server; (E2) Setting a channel-specific group for a voice data service based on information input through a setting window provided on the basis of the icon, and controlling the group by including the user in the set group; and (E3) And providing a voice data delivery service through the walkie-talkie function between the terminals.

바람직하게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PTT 화면은 공유방에 포함된 휴대용 단말기의 그룹 간에 워키토키 기능을 사용하여 음성으로 의사소통이 가능하도록 음성 데이터를 전달하도록 설정하는 PTT 아이콘과, 상기 전달되는 음성 데이터를 공유방의 그룹 내에 있는 전체 휴대용 단말기로 제공되도록 설정하는 전체 톡 아이콘과, 채널 변경을 통해 공유방을 변경하기 위한 채널이동 아이콘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displayed PTT screen includes a PTT icon for setting voice data to be communicated between the groups of portable terminals included in the shared room using a walkie-talkie function so as to enable voice communication, And a channel movement icon for changing the shared channel through the channel change. [0028]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directed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바람직하게 상기 (E2) 단계는 PTT 화면에 표시된 아이콘 중, PTT 아이콘이나 또는 전체 톡 아이콘이 선택되는 단계와, 공유방에 포함된 휴대용 단말기의 그룹 간에 워키토키 기능을 사용하여 음성으로 의사소통이 가능하도록 음성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도록 음성 데이터 전달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이때, 상기 PTT 아이콘이 선택되면 공유방에 포함된 소채널 그룹 중 선택된 소채널 그룹으로만 음성 데이터를 전달하는 단계와, 상기 전체 톡 아이콘이 선택되면 공유방에 포함된 모든 소채널 그룹으로 음성 데이터를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step (E2) comprises the steps of: selecting a PTT icon or a full-touch icon among the icons displayed on the PTT screen; and allowing a voice communication using the walkie-talkie function between groups of portable terminals included in the shared room Transmitting voice data to a selected small channel group among a plurality of small channel groups included in a shared room when the PTT icon is selected; And transmitting voice data to all the small channel groups included in the shared room when the talk icon is selected.

바람직하게 상기 (E2) 단계는 PTT 화면에 표시된 아이콘 중, 채널이동 아이콘이 선택되면, 채널현황 보기 및 초대하기 중 어느 하나를 선택받는 단계와, 상기 채널현황 보기가 선택되면, 단위서버에서 공유방에 포함된 소채널 그룹 정보가 정보창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단계와, 상기 소채널 그룹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소채널 그룹에 포함되는 참여자 상세현황이 아래 펼쳐짐 형식으로 펼져짐 창으로 디스플레이 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소채널 그룹에 참여여부를 선택하여 소채널의 참여 인원으로 설정되는 단계와, 상기 초대하기가 선택되면, 단위서버에서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의 친구목록을 이용하여 취합하여 등록된 사용자 DB에 포함된 친구목록을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사용자에 의해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친구목록 중 공유방의 그룹으로 포함시키고자 하는 친구를 초대 아이콘을 선택하여 초대하는 단계와, 단위서버에서 상기 초대에 응한 친구를 해당 공유방 그룹의 일원으로 설정하여 공유방 그룹으로 포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step (E2) includes the steps of: selecting one of a channel status display and an invitation when a channel move icon is selected from the icons displayed on the PTT screen; and if the channel status view is selected, Channel group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elected small channel group is displayed through an information window; and displaying, when one of the small channel groups is selected, a detailed status of the participant included in the selected small channel group in an expanded form in an expanded form below; Selecting one of the selected small channel groups as a participant in the selected small channel and setting a participant in the selected small channel group as a participant in the selected small channel group; Displaying a friend list on the screen, and displaying a list of friends displayed on the screen by the user A step of inviting a friend to be included as a breast group by selecting an invitation icon, and a step of setting a friend who has accepted the invitation as a member of the sharing room group in the unit server and including the friend as a sharing room group do.

바람직하게 상기 (E) 단계는 휴대용 단말기와 블루투스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하드웨어 단말기를 이용한 원격 버튼조작을 통해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모바일 기기의 화면에서 벗어나, 하드웨어 단말기만을 이용한 워키토키 기능을 갖는 음성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step (e)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providing a voice data service having a walkie-talkie function using only a hardware terminal, by visually releasing the screen of the mobile device through a remote button operation using a hardware terminal capable of Bluetooth local communication with the portable terminal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그룹 간의 음성통신 장치 및 방법은 워키토키 기능을 사용하여 사용자와의 의사소통을 음성으로 전달할 수 있어, 기존에 자신의 의사를 전달하기 위해 입력수단을 통해 문자를 입력하거나 특정 이미지 등을 검색하여 삽입하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apparatus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voice messages between groups of portable termina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transmit voice to a user by using a walkie-talkie func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inconvenience of inputting characters or searching for and inserting specific images.

그리고 자신의 의사를 음성으로 직접 전달함에 따라 상대방에게 자신의 의사를 보다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by directly communicating his / her doctor's voice, it is possible to transmit the doctor's opinion to the other person more accurately.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그룹 간의 음성통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그룹 간의 음성통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3 은 도 2에서 고유방의 개설 및 참여되어 접속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4 는 도 2에서 음성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5 내지 도 12 는 도 2의 휴대용 단말기 그룹 간의 음성통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을 캡쳐한 도면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voice communication apparatus between groups of portable termina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voice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groups of portable termina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flow chart for explaining in detail the process of establishing and participating in a private room in FIG.
FIG. 4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process of providing a voice data service in detail in FIG.
5 to 12 are views illustrating a screen of a portable terminal for explaining a voice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groups of portable terminals of FIG. 2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성 및 이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그룹 간의 음성통신 장치 및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A preferred embodiment of a voice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between groups of portable termina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t is provided to let you know.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mere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various equival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water and variations may be present.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그룹 간의 음성통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voice communication apparatus between groups of portable termina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본 발명의 휴대용 단말기 그룹 간의 음성통신 장치(100)는 하나의 컨트롤 서버(110)와, 복수개의 단위서버(130)와, 서비스를 위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DB) 서버(120)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1, a voice communication apparatus 100 between groups of portable termina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rol server 110, a plurality of unit servers 130, a database (DB) server 120 as shown in FIG.

상기 컨트롤 서버(110)는 복수의 단위서버(130)를 통하여 상기 단위서버(130)에 연결된 복수의 휴대용 단말기(200)를 제어하여 그룹 간에 개설된 공유방을 통해 개설된 공유방에 포함된 휴대용 단말기 간에 워키토키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음성 데이터 전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즉, 상기 컨트롤 서버(110)는 복수의 단위서버(120)를 통하여 상기 각 단위서버(120)에 연결된 복수의 휴대용 단말기(200)를 제어하는 것으로, 각 단위서버(120)의 복수의 운영체제에 명령을 전달하기 위한 모바일 컨트롤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다.The control server 110 controls a plurality of portable terminals 200 connected to the unit server 130 through a plurality of unit servers 130 and controls the plurality of portable terminals 200 among the portable terminals Provides voice data transmission service to use walkie talky function. That is, the control server 110 controls a plurality of portable terminals 200 connected to the unit servers 120 through a plurality of unit servers 120, and controls the plurality of operating systems of the unit servers 120 A mobile control program is installed to communicate commands.

상기 단위서버(120)는 휴대용 단말기(200)를 각각 1:1로 원격 제어하고, 상기 DB 서버(120)의 연락처 그룹을 휴대용 단말기(200)에 각각 할당하며, 각 휴대용 단말기(200)로부터 데이터를 취합하여 DB 서버(120)에 전달하는 복수의 운영체제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The unit server 120 remotely controls the portable terminal 200 to 1: 1, assigns the contact group of the DB server 120 to the portable terminal 200, A plurality of operating systems for collecting and delivering to the DB server 120 are installed.

상기 단위서버(120)에 설치되어 있는 운영체제에는 각 단위서버(120)에 할당된 복수의 휴대용 단말기(200)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단말기 컨트롤 패키지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단말기 컨트롤 패키지는 휴대용 단말기(200)를 초기화하고, 휴대용 단말기(200)의 연락처를 동기화하며,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의 기능을 컨트롤하는 단말기 컨트롤 프로그램과, 휴대용 단말기(200)의 터치, 잠금해제, 키입력을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200)의 동작을 컨트롤하는 단말기 기초 컨트롤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A terminal control package for remote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portable terminals 200 allocated to each unit server 120 is installed in the operating system installed in the unit server 120. The terminal control package includes a portable terminal 200 A terminal control program for controlling the functions of the mobile instant messenger and a portable terminal 200 including touch, unlock, and key input of the portable terminal 200, And a terminal-based control program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상기 DB 서버(120)는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를 제공하기 위한 휴대폰 단말기 정보(이름/닉네임, 휴대폰 전화번호 등), 복수의 소그룹으로 분할된 복수의 소그룹 정보 및 음성통신 서비스 제공을 위한 서비스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상기 복수의 소그룹은 하나의 공유방에 다수의 채널로 분할되어 생성된 그룹으로, 사용자는 하나의 공유방에 복수의 소그룹을 포함시킬 수 있다.The DB server 120 stores mobile phone terminal information (name / nickname, mobile phone number, etc.) for providing a mobile instant messenger, a plurality of small group information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mall groups, and service information for providing a voice communication service have. The plurality of small groups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channels in one common room, and the user may include a plurality of small groups in one common room.

아울러,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이동통신단말기, PDA 등 휴대가 가능한 단말기로서, 휴대용 단말기 그룹 간의 음성통신 장치(100)에서 개발한 모바일 앱 및 웹페이지에 접속하여 제공되는 정보를 다운로드받아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Mobile Instant Messenger)가 설치되어 있다. 이에 친구자동등록 기능에 의해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의 친구목록에 저장하고, 상기 친구목록을 상기 DB 서버(120)로 송신하며, 컨트롤 서버(110)의 명령에 따라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에 등록된 친구의 휴대용 단말기(200), 즉, 타깃 휴대용 단말기(200)에 음성통신 서비스 제공을 위한 음성 데이터를 포함하는 모바일 컨텐츠를 전송하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portable terminal is a portable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a tablet PC,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PDA. The portable terminal is connected to a mobile application and a web page developed by a voice communication apparatus 100 between portable terminal groups, The mobile instant messenger (mobile instant messenger) is installed. And transmits the friend list to the DB server 120. The control server 110 stores the friend list in the friend list of the mobile instant messenger by the friend registering function, (I.e., mobile content including voice data for providing voice communication service to the target portable terminal 200).

이때,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는 카카오톡, whatsApp, 다음 마이피플, 네이버라인 등 친구자동등록 기능이 포함된 서비스를 적용하여 상대방이 자신의 휴대전화번호를 저장하였을 경우 자동으로 등록이 되고, 자신은 상대방의 휴대전화번호를 알지 못한다 해도 상대방에게 등록이 되어있을 경우 친구추천으로 상대방치 추천되어 친구로 추가될 수 있는 친구자동등록 기능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친구자동등록 기능을 이용하여 대상 집단 중 음성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 사용자를 추출하는데 활용한다.
At this time, the mobile instant messenger is automatically registered when the other party stores his mobile phone number by applying the service including the auto-registration function of friends such as Kakao Talk, whatsApp, next MyPhone, Naver Line, Even if you do not know your mobile phone number, if you are registered to the other party, there is a friend auto-registration function that can be added as a friend by recommending friend's recommenda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such a friend automatic registration function is utilized to extract a mobile instant messenger user to provide a voice communication service among a target group.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그룹 간의 음성통신 장치의 동작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또는 도 2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동일한 부재를 지칭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voice communication device between groups of portable termina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in FIG. 1 or FIG. 2 denote the same members performing the same function.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그룹 간의 음성통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참고로, 휴대용 단말기(200) 저장소 내부에는 휴대용 단말기 그룹 간의 음성통신 장치(100)에서 개발한 모바일 앱 및 웹페이지에 접속하여 제공되는 정보를 다운로드받아 저장되어 있는 것을 가정한다(S100).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voice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groups of portable termina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reference, it is assumed that information provided by accessing and storing mobile apps and web pages developed by the voice communication apparatus 100 between portable terminal groups is stored in the storage of the portable terminal 200 (S100).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휴대용 단말기(200)로 그룹 음성통신 서비스 조작이라는 이벤트가 발생하면(S200), 컨트롤서버(110)의 명령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200)에 설치된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를 이용하여 DB 서버(120)에 이름과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개인정보 및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의 친구목록을 수신한다(S300).2, when an event called group voice communication service operation is generated in the portable terminal 200 (S200), a mobile instant messenger installed in the portable terminal 200 is used according to a command of the control server 110 The personal information including the name and the phone number, and the friend list of the mobile instant messenger are received in the DB server 120 (S300).

이어, 단위서버(130)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된 친구목록을 취합하여 휴대용 단말기별로 사용자 DB를 생성한 후, 해당 휴대용 단말기(200)로 전송하며, 상기 휴대용 단말기(200)가 전송받은 연락처 그룹을 휴대용 단말기(200)에 등록한다(S400).Then, the unit server 130 collects the friend list receiv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200, generates a user DB for each portable terminal, and transmits the user DB to the portable terminal 200, The received contact group is registered in the portable terminal 200 (S400).

그리고 단위서버(130)는 휴대용 단말기(200)에 등록된 사용자 DB에 포함된 친구목록을 기반으로 워키토키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휴대용 단말기 그룹을 갖는 공유방의 개설 및 참여를 수행하여 공유방에 접속된다(S500). 상기 고유방의 개설 및 참여되어 접속하는 과정을 도 3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The unit server 130 is connected to the shared room by performing the participation and participation of the shared room having the portable terminal group for performing the walkie-talkie function based on the friend list included in the user DB registered in the portable terminal 200 S500). The process of opening and participating in the private room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FIG.

이어, 상기 공유방에 접속된 휴대용 단말기 간에 사람의 음성을 중계하기 위해 사용하는 휴대용 양방향 무선 기능을 수행하는 워키토키 기능을 갖는 음성 데이터 전송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음성을 통해 서로 간의 의사소통을 위한 공감대 형성의 수단으로 이용한다(S600). 상기 음성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 4를 참조하여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Next, by providing a voice data transmission service having a walkie-talkie function that performs a portable two-way radio function used for relaying voice of a person between portable terminals connected to the shared room, a consensus (S600). The process of providing the voice data servic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FIG.

도 3 은 도 2에서 고유방의 개설 및 참여되어 접속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FIG.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opening and participating in a private room in FIG. 2 in detail.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단위서버(120)는 휴대용 단말기(200) 화면에 음성통신 서비스를 위해 휴대용 단말기(200) 간의 그룹을 설정하기 위한 시작화면을 디스플레이 한다(S501).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시작화면은 도 5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휴대용 단말기(200) 화면에 새로운 그룹을 생성하기 위해 공유방을 개설하기 위한 제 1 선택 아이콘(방만들기)(201)과, 이미 그룹으로 생성되어 개설된 방에 참여하기 위한 제 2 선택 아이콘(참여하기)(202)을 포함한다. 또한 제공되는 그룹 음성통신 서비스에서 이용되거나 적용될 자신의 대화명 및 아바타와, 푸시 알람 온/오프 설정 등 서비스를 위한 기본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환경설정 아이콘(Setting)(203)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3, the unit server 120 displays a start screen for setting a group of the portable terminals 200 for voice communication service on the screen of the portable terminal 200 (S501). 5, the display screen includes a first selection icon (room creation) 201 for opening a shared room for creating a new group on the screen of the portable terminal 200, And a second selection icon (participation) 202 for participating in the created room. Also, it includes an environment setting icon (Setting) 203 for setting basic information for a service such as the own name and avatar to be used or applied in the provided group voice communication service and a push alarm on / off setting.

이어, 상기 시작화면에 표시된 아이콘 중, 제 1 선택 아이콘(방만들기)(201)이 선택되면(S502), 도 6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단위서버(120)는 휴대용 단말기(200) 화면에 음성통신 서비스를 위한 새로운 그룹을 위한 공유방 개설 화면이 디스플레이 된다(S105). 그리고 개설될 공유방의 비밀번호를 비밀번호 입력창(206)에 입력함으로써 설정하고(S504), 방만들기 버튼을 선택하면 새로운 공유방이 생성되고(S505), 이어 시작하기 아이콘(207)이 선택되면 새롭게 생성된 공유방으로 접속되게 된다(S519). 상기 비밀번호는 생성된 공유방에 참여하고자 하는 사람들이 기입한 비밀번호로서, 미리 약속된 사용자들끼리만 그룹을 형성하고자 하기 위한 방법 중에 하나이다. 6, when the first selection icon (room creation) 201 of the icons displayed on the start screen is selected (S502), the unit server 120 displays the icon on the screen of the portable terminal 200 A sharing room opening screen for a new group for the voice communication service is displayed (S105). Then, a new shared room is created (S505) by inputting the password of the shared room to be opened in the password input window 206 (S504), and a start room icon 207 is selected when the room creation button is selected And connected to the shared room (S519). The password is a password written by people who want to participate in the created shared room, and is one of methods for forming a group only among promised users.

한편, 상기 공유방 개설 화면에는 아바타 설정 및 대화명 설정을 위한 설정창(204)(205)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접속되는 공유방에서 사용될 자신의 아바타 및 대화명을 설정할 수 있다. 참고로 별도의 설정이 없는 경우, 앞서 미리 설정한 아바타 및 대화명으로 설정되거나, 앞서 설정된 내용이 없는 경우 미리 정의되어 있는 기본값으로 설정된다. 상기 아바타 설정 및 대화명 설정은 아래 환경설정을 통해 이루어지는 경우와 동일하므로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sharing room setting screen includes a setting window 204 (205) for avatar setting and screen name setting, and can set its own avatar and screen name to be used in the shared room to be connected. For reference, if there is no separate setting, it is set to the previously set avatar and screen name, or to the predefined default value if there is no previous setting. The avatar setting and the screen name setting are the same as those performed through the following environment setting, and therefor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또한, 상기 시작화면에 표시된 아이콘 중, 제 2 선택 아이콘(참여하기)(202)이 선택되면(S502), 도 7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단위서버(120)는 휴대용 단말기(200) 화면에 음성통신 서비스를 위해 개설되어 있는 공유방의 참여를 위한 공유방 진입 화면이 디스플레이 된다(S506). 그리고 개설되어 있는 공유방 중 자신이 참여하고자 하는 고유방의 방 정보(번호 등)을 방 정보 입력창(208)에 직접 입력하거나, 또는 방 정보 입력창(208)을 선택하여 하부에 펼쳐지는 선택창(미도시)을 이용하여 현재 개설되어 있는 모든 공유방 중 하나의 공유방을 선택한다(S507). 이어 선택된 공유방에 미리 정의되어 있는 비밀번호를 비밀번호 입력창(209)에 입력된 후(S508), 접속하기 아이콘(210)이 선택되면 해당 공유방에 접속되게 된다(S519).When the second selection icon (participation) 202 is selected from among the icons displayed on the start screen (S502), the unit server 120 displays the selected icon on the screen of the portable terminal 200 A sharing-box entry screen for participating in a shared room established for the voice communication service is displayed (S506). Then, the room information input window 208 or the room information input window 208 is selected by directly inputting the room information (number or the like) of the unique room to which the user wants to participate in the opened shared room, (Step S507). In step S507, the user selects one shared room among all the shared rooms currently open. Then, a password previously defined in the selected shared area is input to the password input window 209 (S508). When the connect icon 210 is selected, the shared area is connected to the shared area (S519).

한편, 상기 공유방 개설 화면에는 아바타 설정 및 대화명 설정을 위한 설정창(204)(205)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접속되는 공유방에서 사용될 자신의 아바타 및 대화명을 설정할 수 있다. 참고로 별도의 설정이 없는 경우, 앞서 미리 설정한 아바타 및 대화명으로 설정되거나, 앞서 설정된 내용이 없는 경우 미리 정의되어 있는 기본값으로 설정된다. 상기 아바타 설정 및 대화명 설정은 아래 환경설정을 통해 이루어지는 경우와 동일하므로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sharing room setting screen includes a setting window 204 (205) for avatar setting and screen name setting, and can set its own avatar and screen name to be used in the shared room to be connected. For reference, if there is no separate setting, it is set to the previously set avatar and screen name, or to the predefined default value if there is no previous setting. The avatar setting and the screen name setting are the same as those performed through the following environment setting, and therefor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또한 상기 시작화면에 표시된 아이콘 중, 환경설정 아이콘(Setting)(203)이 선택되면(S502), 도 8a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단위서버(120)는 휴대용 단말기(200) 화면에 환경설정을 위한 환경설정 화면이 디스플레이 된다. 그러면, 사용자는 접속되는 공유방에서 사용될 자신의 아바타, 대화명 또는 기타정보(푸시알람 등)를 설정할 수 있다.8A, when the setting icon 203 of the icon displayed on the start screen is selected (S502), the unit server 120 sets the environment setting on the screen of the portable terminal 200 Is displayed. Then, the user can set his / her avatar, screen name or other information (push alarm, etc.) to be used in the shared room to be connected.

먼저, 아바타 설정은 디스플레이되는 환경설정 화면에서 아바타 편집 아이콘(204)이 선택되면(S509), 도 8b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휴대용 단말기(200) 화면에 미리 만들어진 아바타 샘플들이 팝업창 형태로 표시되고, 사용자는 상기 표시되는 아바타 샘플들 중 하나를 선택하게 된다. 그리고 이렇게 선택된 아바타가 자신의 아바타로 설정된다(S511). 이어 상기 설정된 아바타는 서버 DB(120)에 저장된다(S512).First, when the avatar editing icon 204 is selected on the environment setting screen in which the avatar setting is displayed (S509), the avatar samples previously created on the screen of the portable terminal 200 are displayed in the form of a pop-up window , The user selects one of the displayed avatar samples. Then, the selected avatar is set as its avatar (S511). The set avatar is stored in the server DB 120 (S512).

또한 대화명 설정은 디스플레이되는 환경설정 화면에서 아바타 편집 아이콘(204)이 선택되면(S509), 도 8c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휴대용 단말기(200) 화면에 대화명을 입력할 대화명 입력창(205a)이 제공된다(S513). 그리고 사용자는 상기 제공된 대화명 입력창(205a)에 사용될 대화명을 입력한 후 중복확인 아이콘(205b)을 선택한다. 그러면, 단위서버(130)는 DB 서버(120)데 저장되어 있는 사용되는 대화명과 입력된 대화명을 서로 비교하여 중복여부를 확인한 후, 중복된 대화명이 없으면, 사용가능 메시지를 화면에 표시한다. 그리고 사용자에 의해 OK 아이콘이 선택되면 입력된 대화명이 사용자의 대화명으로 설정된다(S514). 이어 상기 설정된 아바타는 서버 DB(120)에 저장된다(S515).When the avatar editing icon 204 is selected on the environment setting screen in which the screen name is displayed (S509), a screen name input window 205a for inputting a screen name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portable terminal 200 (S513). Then, the user inputs a screen name to be used in the provided screen name input window 205a, and then selects a duplicate check icon 205b. Then, the unit server 130 compares the used screen name stored in the DB server 120 with the inputted screen name to check whether or not the screen name is duplicated. If there is no duplicate screen name, the unit server 130 displays the available message on the screen. If the OK icon is selected by the user, the entered screen name is set as the screen name of the user (S514). The set avatar is stored in the server DB 120 (S515).

또한 기타정보 중 푸시알람 설정은 이를 위한 Push 알람 켜기/끄기 아이콘(211)이 도 8a의 환경설정 화면에 직접 제공되며(S516), 상기 Push 알람 켜기/끄기 아이콘(211)을 선택하여 푸시알람을 설정한다(S517). 그리고 상기 설정된 기타정보는 서버 DB(120)에 저장된다(S518).In addition, the push alarm setting for the other information is directly provided to the environment setting screen of FIG. 8A (S516), and the push alarm on / off icon 211 for the push alarm is provided directly by selecting the push alarm on / (S517). The set other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server DB 120 (S518).

그리고 이렇게 설정된 정보를 가지고 공유방에 접속되게 된다(S519).
Then, it is connected to the shared room with the set information (S519).

도 4 는 도 2에서 음성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FIG.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providing a voice data service in FIG. 2 in detail.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단위서버(120)는 휴대용 단말기(200) 화면에 음성통신 서비스를 위한 PTT(Push To Talk) 화면을 디스플레이 한다(S601).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PTT 화면은 도 9a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공유방에 포함된 휴대용 단말기의 그룹 간에 워키토키 기능을 사용하여 음성으로 의사소통이 가능하도록 음성 데이터를 전달하도록 설정하는 PTT 아이콘(212)과, 상기 전달되는 음성 데이터를 공유방의 그룹 내에 있는 전체 휴대용 단말기로 제공되도록 설정하는 전체 톡 아이콘(213)과, 채널 변경을 통해 공유방을 변경하기 위한 채널이동 아이콘(214)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4, the unit server 120 displays a PTT (Push To Talk) screen for voice communication service on the screen of the portable terminal 200 (S601). 9A, the displayed PTT screen includes a PTT icon 212 for setting voice data to be communicated by using a walkie-talkie function among groups of portable terminals included in a shared room, A buddy icon 213 for setting the delivered voice data to be provided to all portable terminals in a group of a shared room, and a channel movement icon 214 for changing a shared room through a channel change.

실시예로서, 각 공유방에 5개까지의 소채널이 생성되며, 상기 PTT 아이콘(212)이 선택되면 1개의 소채널 내에서만 음성전달이 이루어지고, 전체 톡 아이콘(213)을 선택하면, 공유방 내 모든 소채널의 사용자에게 음성이 전달되게 된다. 그리고 채널이동 아이콘(214)을 통해 소채널인 5개 채널 내에 자유롭게 이동이 가능하다.In the embodiment, up to five small channels are created in each shared room. When the PTT icon 212 is selected, voice transmission is performed only in one small channel, and when the all-talk icon 213 is selected, The voice will be delivered to all small channel users. And is movable freely within five channels, which are small channels, through the channel movement icon 214.

이때, 상기 PTT 아이콘(212), 전체 톡 아이콘(213) 및 채널이동 아이콘(214)은 휴대용 단말기(200) 화면을 통해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는 이를 터치하여 선택하도록 하고 있으나, 이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 9b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별도의 하드웨어 단말기를 통해 선택할 수도 있다. At this time, the PTT icon 212, the full talk icon 213, and the channel movement icon 214 ar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portable terminal 200, and the user touches the PTT icon 212 to select the PTT icon 212. However, Or may be selected through a separate hardware terminal as shown in FIG. 9B.

즉, 도 9a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화면을 통해서 시각적으로 앱을 주시하여 앱 상의 화면을 터치하여 워키토키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모바일 기기의 배터리 사용을 현저하게 떨어뜨리며, 사용자는 워키토키 기능 이외에 다른 작업을 할 수 없어, 워키토키 기능 본래의 기능에 충실하지 못하는 문제를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 9b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별도의 하드웨어 단말기를 통해 휴대용 단말기(200)가 아닌 별도의 하드웨어 단말기를 이용하여 워키토키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또한 블루투스 통신과 같이 근거리 통신망을 이용한 별도의 하드웨어 단말기로 버튼신호를 제어함으로써, 이러한 문제점을 상호 보완할 수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 9A, when the user visually observes the application through the screen and touches the screen on the application to perform the walkie-talkie function, the battery usage of the mobile device is significantly lowered. It is impossible to perform other tasks in addition to that, it can indicate a problem that the walkie talkie function is not faithful to the original function.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s shown in FIG. 9B, a separate hardware terminal is used instead of the portable terminal 200 through a separate hardware terminal so that a walkie-talkie function can be used. In addition, such a problem can be complemented by controlling the button signal with a separate hardware terminal using a local area network, such as Bluetooth communication.

그리고 상기 하드웨어 단말기는 블루투스 통신과 같이 근거리 통신망을 이용하여 버튼신호만을 주고받으며 휴대용 단말기(200)와의 통신이 이루어지며, 본 발명의 음성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위서버(130)와의 통신은 휴대용 단말기(200)를 통해서 와이파이, 3G, 4G, LTE 등의 모바일 통신망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hardware terminal communicates with the portable terminal 200 through only a button signal using a local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a Bluetooth communication. Communication with the unit server 130, which provides the voice communication ser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200, or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Wi-Fi, 3G, 4G, or LTE.

이에, 상기 PTT 화면에 표시된 아이콘 중 PTT 아이콘(212)이나 또는 전체 톡 아이콘(213)이 선택되면(S602), 공유방에 포함된 휴대용 단말기의 그룹 간에 워키토키 기능을 사용하여 음성으로 의사소통이 가능하도록 음성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도록 음성 데이터 전달 서비스가 실행된다(S610). 이때, 위에서 설명하고 있는 것과 같이, PTT 아이콘(212)이 선택되는 경우는 공유방에 포함된 소채널 그룹 중 선택된 소채널 그룹으로만 음성 데이터를 전달하고, 전체 톡 아이콘(213)이 선택되는 경우는 공유방에 포함된 모든 소채널 그룹으로 음성 데이터를 전달한다. When the PTT icon 212 or the touchtone icon 213 among the icons displayed on the PTT screen is selected (S602), voice communication can be performed using the walkie-talkie function among the groups of the portable terminals included in the shared room The voice data delivery service is executed so that voice data can be transmitted (S610). At this time, when the PTT icon 212 is selected as described above, voice data is transmitted only to the selected small channel group among the small channel groups included in the shared room. When the talk icon 213 is selected And transmits voice data to all the small-channel groups included in the shared room.

그리고 상기 음성 데이터 서비스의 실행은 휴대용 단말기(200)를 통해서 와이파이, 3G, 4G, LTE 등의 모바일 통신망을 통해 공유방 내의 소채널 그룹에 공유되어 있는 휴대용 단말기(200)로 의사소통을 위한 음성 데이터가 워키토키 방식으로 전달되도록 제어하는 것으로, 이는 이미 공지되어 있는 자명한 기술로서, 이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The execution of the voice data service is performed through the portable terminal 200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Wi-Fi, 3G, 4G and LTE, and voice data for communication is transmitted to the portable terminal 200 shared in the small- To be transmitted in a walkie-talkie manner. This is a self-evident technology that is already known,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한편, 상기 PTT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아이콘 중 채널이동 아이콘(214)이 선택되면(S602), 다시 채널현황 보기 및 초대하기를 선택하도록 아이콘(미도시)을 제공한다(S603). 이때, 상기 초대하기는 PTT 화면에 PTT 아이콘(212), 전체 톡 아이콘(213) 및 채널이동 아이콘(214)과 함께 별도의 아이콘으로 제공될 수도 있으며, 그 위치는 한정되지는 않는다.Meanwhile, if the channel move icon 214 among the icons displayed on the PTT screen is selected (S602), an icon (not shown) is provided to select the channel status view and invite again (S603). At this time, the invitation may be provided as a separate icon along with the PTT icon 212, the full-touch icon 213, and the channel movement icon 214 on the PTT screen, but the position is not limited.

그리고 채널현황 보기가 선택되면(S603), 도 10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단위서버(130)에서 공유방에 포함된 소채널 그룹 정보가 정보창(215a)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며, 이 중 하나의 소채널 그룹을 선택하면(S604), 선택된 소채널 그룹에 포함되는 참여자 상세현황이 아래 펼쳐짐 형식으로 펼져짐 창(215b)으로 디스플레이된다(S605). 이때, 소채널 그룹에 포함된 참여자는 누구나 다른 소채널을 추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는 음성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채널의 선택 및 설정을 수행할 수 있어 채널내의 모든 소채널 내에 자유롭게 이동이 가능하다(S606). 참고로 소그룹 상세보기를 펼치다 보면 내용이 화면을 넘어가게 되면, 상하 스크롤(216) 터치로 화면을 위아래로 스크롤 할 수 있다. 한편, 소채널에 포함된 참여자가 0명인 그룹은 일괄적으로 삭제처리 된다. 그리고 본인이 참여하고 있는 채널은 하이라이트 등으로 표시되어, 현재 자신이 포함되어 있는 소채널을 손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When the channel status view is selected (S603), as shown in FIG. 10, the small-channel group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hared room in the unit server 130 is displayed through the information window 215a, When a group is selected (S604), the participant detail status included in the selected small channel group is displayed in the expanded form in the expanded form window 215b (S605). At this time, any participant included in the small channel group can add another small channel, so that the user can perform selection and setting of the channel for the voice data service, so that the user can move freely in every small channel in the channel (S606). When the contents are displayed on the screen, the user can scroll up and down the screen by touching the up / down scroll (216). On the other hand, groups with zero participant included in the small channel are collectively deleted. The channel in which the user is participating is displayed as a highlight or the like so that the user can easily confirm the small channel including the current channel.

또한 초대하기가 선택되면(S603), 도 11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단위서버(130)에서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의 친구목록을 이용하여 취합하여 등록된 사용자 DB에 포함된 친구목록(217)을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S607). 이에 사용자는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친구목록 중 공유방의 그룹으로 포함시키고자 하는 친구를 초대 아이콘(218)을 선택하여 초대한다(S608). 그리고 단위서버(130)는 상기 초대에 응한 친구를 해당 공유방 그룹의 일원으로 설정함으로써, 공유방 그룹으로 포함시킨다(S609).11, when the invitation message is selected (S603), the friend list 217 included in the registered user DB is collected by using the friend list of the mobile instant messenger in the unit server 130, (S607). Accordingly, the user selects the invitation icon 218 to invite a friend to be included in the shared room group among the friend lists displayed on the screen, and invites them (S608). In step S609, the unit server 130 sets the friend who has accepted the invitation as a member of the sharing group, and includes the friend as a shared room group.

한편, 도 12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음성 데이터 서비스에 따른 추가정보(Info.)나 특정 상품 및 업체의 광고가 들어가는 화면을 추가할 수 있으며, 이때, 앱 내 결제로 물품을 직접 구매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12, it is possible to add additional information (Info.) According to the voice data service or a screen for entering advertisements of specific products and businesses. At this time, Services may be provided.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Claims (14)

삭제delete 삭제delete (A) 휴대용 단말기 저장소 내부에 휴대용 단말기 그룹 간의 음성통신 서비스를 위한 모바일 앱이 다운로드되어 저장되는 단계와,
(B) 상기 모바일 앱의 이벤트가 발생하면, 컨트롤서버의 명령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에 설치된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를 이용하여 DB 서버에 이름과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개인정보 및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의 친구목록을 수신하는 단계와,
(C)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친구목록을 취합하여 휴대용 단말기별로 사용자 DB를 생성한 후, 해당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전송받은 연락처 그룹을 휴대용 단말기에 등록하는 단계와,
(D)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등록된 사용자 DB에 포함된 친구목록을 기반으로 워키토키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휴대용 단말기 그룹을 갖는 공유방의 개설 및 참여를 수행하여 공유방에 접속되는 단계와,
(E) 상기 공유방에 접속된 휴대용 단말기 간에 워키토키 기능을 갖는 음성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이때, 상기 (D) 단계는
(D1) 단위서버에서 휴대용 단말기 화면에 음성통신 서비스를 위해 휴대용 단말기 간의 그룹을 설정하기 위한 시작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D2) 상기 시작화면에 표시된 아이콘이 선택되면, 선택된 아이콘을 기반으로 제공된 설정창을 통해 입력된 정보를 기반으로 새로운 공유방 개설, 개설된 공유방 참여 및 환경설정이 이루어지는 단계와,
(D3) 상기 설정된 정보를 가지고 공유방에 접속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그룹 간의 음성통신 방법.
(A) downloading and storing a mobile app for a voice communication service between portable terminal groups in a portable terminal storage;
(B) when an event of the mobile application occurs, receiving personal information including a name and a phone number and a friend list of the mobile instant messenger on a database server using a mobile instant messenger installed in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 command of a control server Step,
(C) collecting a list of friends receiv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to generate a user DB for each portable terminal, transmitting the created user DB to the portable terminal, and registering the contact group transmitt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to the portable terminal,
(D) opening and joining a shared room having a portable terminal group for performing a walkie-talkie function based on a friend list included in a user DB registered in the portable terminal, and accessing the shared room;
(E) providing a voice data service having a walkie-talkie function between portable terminals connected to the shared room,
At this time, the step (D)
(D1) displaying a start screen for setting a group of portable terminals for a voice communication service on a screen of the portable terminal at a unit server,
(D2) a step of opening a new shared room, participating in a shared room and setting an environment based on information input through a setting window provided on the basis of the selected icon when the icon displayed on the start screen is selected,
(D3) connecting to the shared room with the set information.
삭제delet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시작화면은 휴대용 단말기 화면에 새로운 그룹을 생성하기 위해 공유방을 개설하기 위한 제 1 선택 아이콘(방만들기)과, 이미 그룹으로 생성되어 개설된 방에 참여하기 위한 제 2 선택 아이콘(참여하기)과, 제공되는 그룹 음성통신 서비스에서 이용되거나 적용될 자신의 대화명 및 아바타와, 푸시 알람 설정을 포함하는 기본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환경설정 아이콘(Setting)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그룹 간의 음성통신 방법.
The method of claim 3,
The display screen includes a first selection icon (room creation) for opening a shared room to create a new group on the screen of the portable terminal, a second selection icon And an environment setting icon for setting basic information including a pseudo alarm setting and a pseudonym of the pseudo voice communication service to be used or applied in the provided group voice communication service. Voice communication method.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D2) 단계는
시작화면에 표시된 아이콘 중, 제 1 선택 아이콘(방만들기)이 선택되는 단계와,
단위서버에서 휴대용 단말기 화면에 음성통신 서비스를 위한 새로운 그룹을 위한 공유방 개설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상기 개설될 공유방의 비밀번호를 비밀번호 입력창에 입력받고, 방만들기 버튼이 선택되면 새로운 공유방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새로운 공유방 생성 후 시작하기 아이콘이 선택되면 새롭게 생성된 공유방으로 사용자를 접속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그룹 간의 음성통신 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step (D2)
A step of selecting a first selection icon (room creation) among the icons displayed on the startup screen,
Displaying a sharing room opening screen for a new group for a voice communication service on a portable terminal screen in a unit server,
Receiving a password of the shared room to be opened in the password input window and creating a new shared room when the room creation button is selected,
And connecting the user to the newly created shared room when the icon for starting creation of the new shared room is selected.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D2) 단계는
시작화면에 표시된 아이콘 중, 제 2 선택 아이콘(참여하기)이 선택되는 단계와,
단위서버에서 휴대용 단말기 화면에 음성통신 서비스를 위해 개설되어 있는 공유방의 참여를 위한 공유방 진입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개설되어 있는 공유방 중 사용자가 참여하고자 하는 고유방의 방 정보를 방 정보 입력창에 직접 입력되거나, 또는 방 정보 입력창을 선택하여 하부에 펼쳐지는 선택창을 이용하여 현재 개설되어 있는 모든 공유방 중 하나의 공유방이 선택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공유방에 미리 정의되어 있는 비밀번호를 비밀번호 입력창에 입력된 후, 접속하기 아이콘이 선택되면 해당 공유방으로 사용자를 접속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그룹 간의 음성통신 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step (D2)
A step of selecting a second selection icon (participation) among the icons displayed on the start screen,
Displaying a shared-room entry screen for participating in a shared room established for a voice communication service on a screen of a portable terminal in a unit server,
The room information of the private room to which the user intends to participate is entered directly into the room information input window or the room information input window is selected and one of all the shared rooms currently opened Selecting a shared room,
And inputting a predefined password in the selected shared area into the password input window and then connecting the user to the shared area when the connect icon is selected.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D2) 단계는
시작화면의 환경설정 화면, 공유방 개설 화면 및 공유방 진입 화면 중 어느 하나에 표시된 아이콘 중, 아바타 설정 아이콘(Setting)이 선택되는 단계와,
휴대용 단말기 화면에 미리 만들어진 아바타 샘플들이 팝업창 형태로 표시되는 단계와,
사용자로부터 상기 표시되는 아바타 샘플들 중 하나를 선택되면, 선택된 아바타를 사용자의 아바타로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설정된 아바타를 서버 DB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그룹 간의 음성통신 방법.
8. The method as claimed in claim 6 or 7, wherein the step (D2)
Setting an avatar setting icon among icons displayed on any one of an environment setting screen, a sharing room setting screen, and a sharing room entry screen of a start screen,
A step of displaying pre-created avatar samples on the portable terminal screen in a form of a pop-up window,
Setting one of the displayed avatar samples as a user's avatar when the selected one of the avatar samples is selected from the user;
And storing the set avatar in a server DB.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D2) 단계는
시작화면의 환경설정 화면, 공유방 개설 화면 및 공유방 진입 화면 중 어느 하나에 표시된 아이콘 중, 대화명 설정 아이콘(Setting)이 선택되는 단계와,
휴대용 단말기 화면에 대화명을 입력할 대화명 입력창을 제공하는 단계와,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공된 대화명 입력창에 사용될 대화명이 입력되면, 입력된 대화명의 중복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확인결과, 중복된 대화명이 없으면, 사용가능 메시지를 화면에 표시하고, 입력된 대화명을 사용자의 대화명으로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설정된 아바타를 서버 DB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그룹 간의 음성통신 방법.
8. The method as claimed in claim 6 or 7, wherein the step (D2)
Selecting a screen name setting icon among the icons displayed on any one of the environment setting screen, the sharing room setting screen, and the sharing room entry screen of the start screen;
Providing a screen name input window for inputting a screen name on a portable terminal screen;
Checking whether a nickname to be used in the nickname input window provided by the user is duplicated,
Displaying the usable message on the screen and setting the entered screen name as the user's screen name if there is no duplicate screen name;
And storing the set avatar in a server DB.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
(E1) 단위서버에서 휴대용 단말기 화면에 음성통신 서비스를 위한 PTT(Push To Talk)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E2) 상기 PTT 화면에 표시된 아이콘이 선택되면, 선택된 아이콘을 기반으로 제공된 설정창을 통해 입력된 정보를 기반으로 음성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채널별 그룹을 설정하고, 설정된 그룹에 사용자를 포함시켜 그룹을 제어하는 단계와,
(E3) 상기 설정된 그룹에 포함되는 휴대용 단말기 간에 워키토키 기능을 통한 음성 데이터 전달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그룹 간의 음성통신 방법.
4.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step (E)
(E1) displaying a PTT (Push To Talk) screen for a voice communication service on a portable terminal screen at a unit server,
(E2) When the icon displayed on the PTT screen is selected, a channel-specific group for the voice data service is set based on the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setting window provided based on the selected icon, , ≪ / RTI &
(E3) providing voice data delivery service through a walkie-talkie function between portable terminals included in the set group.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PTT 화면은
공유방에 포함된 휴대용 단말기의 그룹 간에 워키토키 기능을 사용하여 음성으로 의사소통이 가능하도록 음성 데이터를 전달하도록 설정하는 PTT 아이콘과, 상기 전달되는 음성 데이터를 공유방의 그룹 내에 있는 전체 휴대용 단말기로 제공되도록 설정하는 전체 톡 아이콘과, 채널 변경을 통해 공유방을 변경하기 위한 채널이동 아이콘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그룹 간의 음성통신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displayed PTT screen
A PTT icon for setting voice data to be communicated so that voice communication can be performed using a walkie-talkie function among groups of portable terminals included in a shared room, and a PTT icon for providing the transmitted voice data to all portable terminals And a channel movement icon for changing a sharing room through a channel change. The voice communication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E2) 단계는
PTT 화면에 표시된 아이콘 중, PTT 아이콘이나 또는 전체 톡 아이콘이 선택되는 단계와,
공유방에 포함된 휴대용 단말기의 그룹 간에 워키토키 기능을 사용하여 음성으로 의사소통이 가능하도록 음성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도록 음성 데이터 전달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이때, 상기 PTT 아이콘이 선택되면 공유방에 포함된 소채널 그룹 중 선택된 소채널 그룹으로만 음성 데이터를 전달하는 단계와,
상기 전체 톡 아이콘이 선택되면 공유방에 포함된 모든 소채널 그룹으로 음성 데이터를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그룹 간의 음성통신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step (E2)
A step of selecting a PTT icon or a full-touch icon among the icons displayed on the PTT screen,
Providing a voice data transfer service for transferring voice data so that voice communication can be performed using a walkie-talkie function between groups of portable terminals included in a shared room,
If the PTT icon is selected, transmitting the voice data only to the selected small channel group among the small channel groups included in the shared channel,
And transmitting the voice data to all the small channel groups included in the shared room when the full call icon is selected.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E2) 단계는
PTT 화면에 표시된 아이콘 중, 채널이동 아이콘이 선택되면, 채널현황 보기 및 초대하기 중 어느 하나를 선택받는 단계와,
상기 채널현황 보기가 선택되면, 단위서버에서 공유방에 포함된 소채널 그룹 정보가 정보창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단계와,
상기 소채널 그룹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소채널 그룹에 포함되는 참여자 상세현황이 아래 펼쳐짐 형식으로 펼져짐 창으로 디스플레이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소채널 그룹에 참여여부를 선택하여 소채널의 참여 인원으로 설정되는 단계와,
상기 초대하기가 선택되면, 단위서버에서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의 친구목록을 이용하여 취합하여 등록된 사용자 DB에 포함된 친구목록을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사용자에 의해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친구목록 중 공유방의 그룹으로 포함시키고자 하는 친구를 초대 아이콘을 선택하여 초대하는 단계와,
단위서버에서 상기 초대에 응한 친구를 해당 공유방 그룹의 일원으로 설정하여 공유방 그룹으로 포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그룹 간의 음성통신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step (E2)
Selecting one of the channel status view and invitation when the channel move icon is selected among the icons displayed on the PTT screen,
When the view of the channel status is selected, displaying the small channel group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hared room in the unit server through the information window,
Selecting one of the small channel groups and displaying the participant detailed statuses included in the selected small channel group in an expanded form in a bottom expanded form;
Selecting a participant in the selected small channel group and setting it as a participant of a small channel,
Displaying the friend list included in the registered user DB on the screen by using the friend list of the mobile instant messenger in the unit server when the invitation is selected,
A step of inviting a friend to be included as a group of a shared room among friend lists displayed on the screen by a user by selecting an invitation icon,
And setting a friend who has accepted the invitation as a member of the sharing group in the unit server and including the friend as a shared room group.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
휴대용 단말기와 블루투스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하드웨어 단말기를 이용한 원격 버튼조작을 통해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모바일 기기의 화면에서 벗어나, 하드웨어 단말기만을 이용한 워키토키 기능을 갖는 음성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그룹 간의 음성통신 방법.
4.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step (E)
And a step of providing a voice data service having a walkie-talkie function using only a hardware terminal by visually leaving the screen of the mobile device through a remote button operation using a hardware terminal capable of Bluetooth short-range communication with the portable terminal To a group of portable terminals.
KR1020140037042A 2014-03-28 2014-03-28 Apparatus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voice of among the portable terminal groups KR10161360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7042A KR101613609B1 (en) 2014-03-28 2014-03-28 Apparatus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voice of among the portable terminal group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7042A KR101613609B1 (en) 2014-03-28 2014-03-28 Apparatus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voice of among the portable terminal group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2571A KR20150112571A (en) 2015-10-07
KR101613609B1 true KR101613609B1 (en) 2016-04-21

Family

ID=54343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7042A KR101613609B1 (en) 2014-03-28 2014-03-28 Apparatus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voice of among the portable terminal group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3609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03299A (en) * 2018-12-05 2019-05-24 广州信位通讯科技有限公司 It is a kind of for the characteristic parameter matching method of intelligent intercom, system and device
KR20200111444A (en) 2019-03-19 2020-09-29 주식회사 와우인포텍 Communication system of local wireless network and method for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9320B1 (en) * 2018-09-19 2020-11-16 주식회사 아이페이지온 Method and a ptt service management system for managing a media resource (room) according to a talk group change in a ptt service
KR102560419B1 (en) * 2021-03-16 2023-07-26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Sequential interpretation booths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share voices in a relay way
KR102655041B1 (en) * 2021-03-16 2024-04-08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Online interpretation booth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sharing voi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0328B1 (en) * 2013-02-08 2013-07-01 트라이콤텍 주식회사 Communication system using mobile instant messenger and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0328B1 (en) * 2013-02-08 2013-07-01 트라이콤텍 주식회사 Communication system using mobile instant messenger and method thereof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03299A (en) * 2018-12-05 2019-05-24 广州信位通讯科技有限公司 It is a kind of for the characteristic parameter matching method of intelligent intercom, system and device
CN109803299B (en) * 2018-12-05 2022-03-04 广州信位通讯科技有限公司 Parameter matching method, system and device for intelligent interphone
KR20200111444A (en) 2019-03-19 2020-09-29 주식회사 와우인포텍 Communication system of local wireless network and method for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2571A (en) 2015-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24627B1 (en) Methods related to messenger integration service
KR10205081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ivate chatting in group chats
KR10161360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voice of among the portable terminal groups
US9497143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on-air service using official account
KR102165709B1 (en) Method for providing a customized user interface for group communication in a communication device
EP3557516B1 (en) Method for providing human network management service in mobile terminal
US20150188858A1 (en) Communication method, communication apparatus, and program
US10123177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program
JP2012048708A (en) Communication support device and program
US10735477B2 (en) System,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ology for establishing multiple data communications between terminals
JP645122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JPWO2007046364A1 (en) Presence display terminal device and presence management system
KR20150015058A (en)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group based on common interest, and service apparatus applied to the same
KR20140054487A (en) Group conversation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uim having recorded group conversation program therein
KR101726562B1 (en) Method for transfering emotion message in SNS
JP2023545696A (en) Personalization messaging service system, personalization messaging service method, and user terminal provided with personalization messaging service
JP6418629B2 (en) Remote conference system, remote conference device, remote conference method and program
KR20130125274A (en) Method for displaying user profile on terminal device
JP2013115590A (en) Group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device
KR20080024057A (en) A mobile device operable for communicating in mobile ad hoc network, a method for establishing a data exchange session and a computer readable medium
JP2015002526A (en) Conference system and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CN108076035B (en) Friend making method with anonymous function
KR101989174B1 (en) Personal Information Sharing Device and Method
JP2021071898A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program
KR20140141860A (e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