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1512B1 - 소음저감장치의 소음저감성능 평가방법 - Google Patents
소음저감장치의 소음저감성능 평가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11512B1 KR101611512B1 KR1020140130614A KR20140130614A KR101611512B1 KR 101611512 B1 KR101611512 B1 KR 101611512B1 KR 1020140130614 A KR1020140130614 A KR 1020140130614A KR 20140130614 A KR20140130614 A KR 20140130614A KR 101611512 B1 KR101611512 B1 KR 10161151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noise
- value
- frequency
- noise reduction
- correct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H—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G01H5/00—Measuring propagation velocity of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e.g. of pressure wave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H—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G01H11/00—Measuring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by detecting changes in electric or magnetic propert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Waves (AREA)
Abstract
소음저감장기의 소음저감성능 평가 방법이 개시된다. 소음저감장치를 설치하기 전, 소음원의 주파수 별로 측정된 소음값에 기설정된 소음원의 주파수별 보정값을 반영하여, 주파수별로 제1 보정 소음값을 계산하는 단계, 소음저감장치를 설치한 후, 소음원의 주파수 별로 측정된 소음값에 기설정된 소음원의 주파수별 보정값을 반영하여, 주파수별로 제2 보정 소음값을 계산하는 단계, 제1 보정 소음값을 이용하여 제1 소음도값을 계산하는 단계, 제2 보정 소음값을 이용하여 제2 소음도값을 계산하는 단계 및 제1 소음도값과 제2 소음도값의 차이값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저감장치의 소음저감성능 평가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소음저감장치의 소음저감성능 평가방법에 관한 것이다.
소음의 원인은 다양하다. 무엇보다도 교통량의 증가와 주행속도의 상승에 따른 도로, 철도 교통 소음이 가장 심각하다. 이러한 교통 소음을 줄이는 방법으로 소음 발생 원인의 제거, 완화 또는 소음의 전달 경로의 차단 등 다양한 대처 방안이 연구되고 있는데, 기술적인 한계와 비용 대비 효과 측면에서 현재까지 가장 효과적인 대책은 도로변 및 철도변에 소음저감장치를 설치하는 것이다.
소음저감장치는 설치가 다른 방음시설물보다 간편하고 방음효과가 뛰어나며, 다양한 형태의 제작을 통해 다양한 방음효과를 만들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지나치게 높이 설치할 경우 운전자와 거주민에게 위압감을 주고 주변 가옥에 대한 경관이 무시되며 일조권을 방해하는 등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일본 특개 2009-288174호 (2008.05.30. 도로교용 신축 장치 소음 평가 방법)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실제 소음원의 주파수별 특성을 반영하여 소음저감장치의 소음저감 성능을 평가함으로써 신뢰성 높은 평가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소음저감장치를 설치하기 전, 소음원의 주파수 별로 측정된 소음값에 기설정된 소음원의 주파수별 보정값을 반영하여, 주파수별로 제1 보정 소음값을 계산하는 단계, 소음저감장치를 설치한 후, 소음원의 주파수 별로 측정된 소음값에 기설정된 소음원의 주파수별 보정값을 반영하여, 주파수별로 제2 보정 소음값을 계산하는 단계 제1 보정 소음값을 이용하여 제1 소음도값을 계산하는 단계, 제2 보정 소음값을 이용하여 제2 소음도값을 계산하는 단계 및 제1 소음도값과 제2 소음도값의 차이값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저감장치의 소음저감성능 평가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제1 소음도값과 제2 소음도값은 수학식1로 계산될 수 있다.
수학식1)
보정값은 실제 소음원을 복수의 현장에서 측정한 주파수별 평균소음값이며, 보정값을 통해 소음저감장치 설치 전, 후에 소음원의 주파수별 소음값에 실제 소음원의 주파수별 소음값을 반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실제 소음원의 주파수별 특성을 반영하여 소음저감장치의 소음저감 성능을 평가함으로써 신뢰성 높은 평가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저감장치의 소음저감성능 평가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저감장치의 소음저감성능 평가방법에서 소음저감장치를 설치하기 전, 후에 테스트 소음원(아스팔트 포장)의 측정된 소음값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저감장치의 소음저감성능 평가방법에서 테스트 소음원(아스팔트 포장)의 측정된 소음값에 보정값을 반영한 보정 소음값(제1 보정 소음값 및 제2 보정 소음값)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소음저감장치를 설치하기 전, 아스팔트를 포장하는 복수의 실제 현장에서 측정한 평균 소음값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저감장치의 소음저감성능 평가방법에서 소음저감장치 설치 전 후, 복수의 측정지점을 통해 소음을 측정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내지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저감장치의 소음저감성능 평가방법에서 아스팔트 포장, 콘크리트 포장, 배수성 포장, 무궁화/새마을, KTX, 전철/지하철 들의 실제 현장에서 측정하여 계산해 낸 보정값을 나타낸 그래프 및 표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저감장치의 소음저감성능 평가방법에서 소음저감장치를 설치하기 전, 후에 테스트 소음원(아스팔트 포장)의 측정된 소음값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저감장치의 소음저감성능 평가방법에서 테스트 소음원(아스팔트 포장)의 측정된 소음값에 보정값을 반영한 보정 소음값(제1 보정 소음값 및 제2 보정 소음값)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소음저감장치를 설치하기 전, 아스팔트를 포장하는 복수의 실제 현장에서 측정한 평균 소음값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저감장치의 소음저감성능 평가방법에서 소음저감장치 설치 전 후, 복수의 측정지점을 통해 소음을 측정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내지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저감장치의 소음저감성능 평가방법에서 아스팔트 포장, 콘크리트 포장, 배수성 포장, 무궁화/새마을, KTX, 전철/지하철 들의 실제 현장에서 측정하여 계산해 낸 보정값을 나타낸 그래프 및 표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저감장치의 소음저감성능 평가방법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각 구성에 대한 방향은 도면에 도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한다. 다만, 이러한 방향을 통한 설명은 작동 상태에 대한 일례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 따른 소음저감장치의 소음저감성능 평가방법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저감장치의 소음저감성능 평가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저감장치의 소음저감성능 평가방법에서 소음저감장치를 설치하기 전, 후에 테스트 소음원(아스팔트 포장)의 측정된 소음값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저감장치의 소음저감성능 평가방법에서 테스트 소음원(아스팔트 포장)의 측정된 소음값에 보정값을 반영한 보정 소음값(제1 보정 소음값 및 제2 보정 소음값)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소음저감장치를 설치하기 전, 아스팔트를 포장하는 복수의 실제 현장에서 측정한 평균 소음값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 내지 도 4 및 표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소음저감장치의 소음저감성능 평가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기존의 소음저감장치의 소음저감성능 평가방법은 소음저감장치의 설치 전, 후에 테스트 소음원의 소음값을 통해 소음도값(Overall값)를 계산하였다. 소음도값(Over all값)은 소음의 정도를 나타내는 값으로서, 낮을수록 소음저감성능이 뛰어나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2는 소음원(테스트 음원)의 소음값을 소음저감장치 설치 전, 후로 나누어 나타낸 그래프로서, 50Hz ~ 5000Hz 사이의 소음값들은 대부분 50 ~ 60 Hz에 분포되어 있다. 이는 실제 소음원의 주파수별 특성(주행차량 및 포장의 종류에 따른 소음)을 반영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기존의 소음저감장치의 소음저감성능 평가방법은 실제 소음원의 주파수별 특성(주행차량 및 포장의 종류에 따른 소음)을 반영하지 못해 평가결과의 신뢰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반면에 본 실시예는 소음저감장치 설치 전, 후에 측정된 소음값에 각각 보정값을 반영하여 도 3과 같이 보정된 소음값을 통해 소음도값(Overall값)을 계산함으로써, 실제 소음원의 주파수별 특성을 반영한 합리적이고 신뢰성 높은 소음저감장치의 소음저감성능 평가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는 소음저감장치를 설치하기 전, 소음원의 주파수 별로 측정된 소음값에 기설정된 상기 소음원의 주파수별 보정값을 반영하여, 주파수별로 제1 보정 소음값을 계산하는 단계(S200), 상기 소음저감장치를 설치한 후, 상기 소음원의 주파수 별로 측정된 소음값에 기설정된 상기 소음원의 주파수별 보정값을 반영하여, 주파수별로 제2 보정 소음값을 계산하는 단계(S400), 상기 제1 보정 소음값을 이용하여 제1 소음도값을 계산하는 단계(S500), 상기 제2 보정 소음값을 이용하여 제2 소음도값을 계산하는 단계(S600) 및 상기 제1 소음도값과 상기 제2 소음도값의 차이값을 계산하는 단계(S7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표 1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소음저감장치의 소음저감성능의 평가방법은 표 1의 예(아스팔트 포장의 경우)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6 내지 도 11과 같이 본 실시예는 다양한 종류의 보정값을 통해 소음값을 보정할 수 있다.
-소음원(아스팔트를 포장하는 경우)에
보정값을
반영하여 비교
본 실시예에서는 합리적인 소음저감성능 평가방법을 위해서 다양한 소음원에서 발생한 소음값에 보정값을 반영하였다. 그 중 아스팔트를 포장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소음저감장치가 설치되기 전과 후의 각각의 소음값(즉, 소음 측정값)과 이들 측정된 각각의 소음값(소음 측정값)에 보정값이 반영된 제1 보정 소음값, 제2 보정 소음값 들을 함께 비교하였다.
200 Hz |
250 Hz |
315 Hz |
400 Hz |
500 Hz |
630 Hz |
800 Hz |
1000 Hz |
1250 Hz |
1600 Hz |
2000 Hz |
2500 Hz |
3150 Hz |
4000 Hz |
5000 Hz |
소음도값 (Over All값) |
|
설치 전 (보정전) 소음 측정값(dB) |
58.5 |
58.9 |
54.6 |
56.0 |
54.9 |
55.9 |
57.2 |
54.5 |
53.7 |
55.6 |
54.7 |
53.9 |
56.7 |
57.0 |
56.8 |
68.0 (기존소음도값) |
아스팔 트 포장 보정값 (dB) |
-16. 2 |
-14.4 |
-12.0 |
-9.8 |
-6.9 |
-3.9 |
-1.1 |
0.0 |
-1.2 |
-3.6 |
-7.0 |
-9.6 |
-11.7 |
-15.4 |
-18.9 |
|
설치전(보정후) 제1 보정 소음값 (dB) |
42.3 |
44.5 |
42.6 |
46.2 |
48.1 |
52.0 |
56.1 |
54.5 |
52.4 |
52.0 |
47.8 |
44.3 |
45.0 |
41.6 |
37.8 |
61.7 (제1 소음도값) |
설치후(보정전) 소음 측정값(dB) |
57.9 |
60.7 |
51.9 |
53.6 |
52.9 |
54.3 |
53.6 |
50.9 |
48.9 |
52.1 |
49.1 |
50.5 |
50.4 |
50.8 |
51.2 |
65.8 (기존소음도값) |
아스팔트 포장 보정값 (dB) |
-16.2 |
-14.4 |
-12.0 |
-9.8 |
-6.9 |
-3.9 |
-1.1 |
0.0 |
-1.2 |
-3.6 |
-7.0 |
-9.6 |
-11.7 |
-15.4 |
-18.9 |
|
설치후(보정후) 제2 보정 소음값 (dB) |
41.7 |
46.4 |
39.9 |
43.9 |
46.0 |
50.4 |
52.5 |
50.9 |
47.6 |
48.5 |
42.1 |
40.9 |
38.7 |
35.4 |
32.3 |
58.5 (제2 소음도값) |
감음 성능 |
0.6 |
-1.8 |
2.7 |
2.3 |
2.1 |
1.5 |
3.5 |
3.6 |
4.8 |
3.5 |
5.7 |
3.4 |
6.3 |
6.2 |
5.6 |
3.2 (제1소음도값-제2소음도값) |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는 소음저감장치를 설치하기 전 소음원의 주파수 별로 소음값을 측정하는 단계(S1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와 같이, 소음 측정 지점은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복수의 소음 측정 지점들(1번 ~ 9번)은 각각 일정 거리 이격되게 배치되어 측정거리 및 측정높이를 달리할 수 있다. 소음 측정 지점을 복수로 형성함으로써 소음값의 오차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상기 소음저감장치를 설치하기 전 상기 소음원의 주파수 별로 측정된 상기 소음값에 기설정된 상기 소음원의 주파수별 보정값을 반영하여, 주파수별로 제1 보정 소음값을 계산하는 단계(S200)를 포함할 수 있다.
표 1을 참조하면, 소음저감장치를 설치하기 전, 소음원(아스팔트를 포장하는 경우)의 주파수 별로 소음값을 측정할 수 있다. 측정된 소음값(소음 측정값)은 상기 소음원(아스팔트를 포장하는 경우)에 대한 주파수별 기설정된 보정값(아스팔트 포장)을 통해 주파수별로 보정되어 제1 보정 소음값으로 계산될 수 있다.
하나의 주파수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소음저감장치를 설치하기 전에는, 500Hz에서 54.9dB이 측정되었고, 이는 실제 현장의 주파수별 특성을 반영하지 않은 소음값이다. 따라서 실제 현장의 주파수별 특성을 반영하도록 아스팔트 소음원의 경우 500Hz에 해당하는 보정값(-6.9dB)를 통해 측정된 소음값을 보정함으로써 보정된 소음값(48.1 dB)을 얻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소음저감장치를 설치하기 전, 보정된 소음값을 제1 보정 소음값이라 하겠다.
또한, 본 실시예는 상기 소음저감장치를 설치한 후 상기 소음원의 주파수 별로 소음값을 측정하는 단계(S3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S100의 단계와 같이 다수의 소음측정지점을 통해 소음값의 오차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상기 소음저감장치를 설치한 후, 상기 소음원의 주파수 별로 측정된 소음값에 기설정된 상기 소음원의 주파수별 보정값을 반영하여, 주파수별로 제2 보정 소음값을 계산하는 단계(S400)를 포함할 수 있다.
표 1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나의 주파수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소음저감장치를 설치 한 뒤에는, 500Hz에서 52.9dB이 측정되었고 실제 현장의 주파수별 특성을 반영하도록 보정값(-6.9dB)를 통해 보정함으로써 보정된 소음값(46.0 dB)을 얻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소음저감장치 설치 후 보정된 소음값을 제2 보정 소음값이라 하겠다.
또한, 본 실시예는 상기 제1 보정 소음값을 이용하여 제1 소음도값을 계산하는 단계(S500), 상기 제2 보정 소음값을 이용하여 제2 소음도값을 계산하는 단계(S600) 및 상기 제1 소음도값과 상기 제2 소음도값의 차이값을 계산하는 단계(S7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소음도값과 상기 제2 소음도값은 하기의 수학식1을 이용하여 계산될 수 있다.
수학식1)
(Y는 소음도값(=Over all 값, 단위:dB),는 주파수별 제1 보정 소음값 또는 주파수별 제2 보정 소음값임, 예를 들어 은 소음저감장치 설치 전 100Hz의 보정된 소음측정값(제1보정 소음값), 또는 소음저감장치 설치 후 100Hz의 보정된 소음측정값(제2보정 소음값) 일 수 있음)
수학식1의 괄호 안은 각각의 주파수별 제1 보정 소음값 또는 주파수별 제2 보정 소음값들을 10으로 나눈 후, 각각의 나눈값들을 10의 지수로 올린 값들의 합이다. 이 합들이 밑이 10인 로그의 지수로 계산되고, 이렇게 계산된 로그값에 10이 곱해지게 된다.
표 1을 통해 설명하면, 수학식1의 괄호 안은 200Hz의 제1 보정 소음값(42.3 dB), 250Hz의 제1 보정 소음값 (44.5 dB), 315Hz의 제1 보정 소음값(42.6 dB), 400Hz의 제1 보정 소음값(46.2 dB), 500Hz의 제1 보정 소음값(48.1 dB) … 4000Hz의 제1 보정 소음값(41.6 dB), 5000Hz의 제1 보정 소음값(37.8 dB)을 각각 10으로 나눈 후, 각각의 나눈값들을 10의 지수로 올린 값들의 합이다. 이 합들이 밑이 10인 로그의 지수로 계산되고, 이렇게 계산된 로그값에 10이 곱해짐으로써 Y 값, 즉 소음도값(Overall 값)이 계산된다.
이로써 제1 보정 소음값은 수학식1을 통해 제1 소음도값(Overall 값 = 61.7 dB)으로 계산될 수 있고, 제1 보정 소음값은 수학식1을 통해 제2 소음도값(Overall 값 = 58.5 dB)으로 계산 될 수 있다.
소음저감장치 설치 전에 수학식1을 통해 계산된 제1 소음도값과, 소음저감장치 설치 후에 수학식1을 통해 계산된 제2 소음도값을 계산해 낼 수 있고, 제1 소음도값과 제2 소음도값의 차이를 통해 차이값을 계산해 낼 수 있다.
여기서 차이값은 소음도값(Overall값)을 나타내는 값으로서, 차이값이 클수록 소음저감성능이 뛰어나다는 것을 의미한다. 표 1을 참조하면, 보정값을 반영하지 않은 차이값(2.2dB)은 보정값을 반영한 차이값(3.2dB)보다 1만큼 적은 것을 알 수 있다.
보정값을 반영하지 않은 차이값(2.2dB)은 실제 현장 소음원의 주파수별 특성을 반영하지 못한 값으로서, 실제 소음원에 적용되어 소음저감성능이 발휘 될 경우, 평가된 만큼의 성능을 발휘하지 못하였고, 성능평가에 대한 신뢰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본 실시예는 보정값을 통해 실제 현장 소음원의 주파수별 특성을 반영한 최종 차이값(소음도값)을 계산함으로써 합리적이며, 신뢰도 높은 소음저감성능 평가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을 참조하여, 보정값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보정값은 실제소음원의 복수의 현장에서 측정한 주파수별 평균소음값 값으로서, 본 실시예는 보정값을 통해 소음저감장치 설치 전, 후에 상기 소음원의 주파수별 소음값에 상기 실제 소음원의 주파수별 소음값을 반영할 수 있다.
도 2는 테스트 소음원(아스팔트 포장)의 소음값을 소음저감장치 설치 전, 후로 나누어 나타낸 것이다. 50Hz ~ 5000Hz 사이의 소음값들이 대부분 50 ~ 60 Hz에 분포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는 실제 소음원의 주파수별 특성(주행차량 및 포장의 종류에 따른 소음)을 반영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도 3은 테스트 소음원(아스팔트 포장)의 소음값에 보정값을 반영하여 소음저감장치 설치 전, 후로 나누어 나타낸 것이다. 도 2에 비해 주파수 마다 소음값들의 변동폭이 큰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는 실제 소음원의 주파수별 특성(주행차량 및 포장의 종류에 따른 소음)을 반영하기 때문이다. 특히, 1000Hz에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고 5000Hz에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고 있다.
도 4을 참조하면, 실제 소음원(아스팔트 포장)의 소음값을 소음저감장치 설치전을 기준으로 나타낸 것이다. 이는 실제 소음원의 주파수별 특성(주행차량 및 포장의 종류에 따른 소음)을 반영하기 때문이다. 도 10의 그래프는 도 9의 그래프와 유사하게 1000Hz에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고 있고 5000Hz에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예는 보정값을 통해 도 2의 테스트 소음원(아스팔트 포장)의 주파수별 소음값을 도 3의 테스트 소음원(아스팔트 포장)의 주파수별 소음값으로 보정함으로써, 도 4의 실제 소음원(아스팔트 포장)의 주파수별 소음값의 그래프 형상과 유사하게 보정할 수 있다.
도 3의 소음저감장치 설치전, 보정된 테스트 소음원(아스팔트 포장)의 주파수별 소음값은 도 4의 소음저감장치 설치전, 실제 소음원(아스팔트 포장)의 주파수별 소음값과 다르지만,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보정된 테스트 소음원(아스팔트 포장)의 주파수의 변화량에 대한 소음값의 변화량이 실제 소음원(아스팔트 포장)의 주파수의 변화량에 대한 소음값의 변화량과 유사해 지도록 보정할 수 있다.
표 1 및 도 1 내지 4는 아스팔트 포장시 발생하는 소음만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도 6 내지 도 11에서와 같이, 아스팔트 포장, 콘크리트 포장, 배수성 포장, 무궁화/새마을, KTX, 전철/지하철에서 측정한 보정값들을 확인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는 도로소음에 대한 보정값으로서, 도 6는 아스팔트를 포장하는 실제 현장에서, 도 7는 콘크리트를 포장하는 실제 현장에서, 도 8는 배수성 포장하는 실제 현장에서 측정하여 계산해 낸 보정값을 나타낸 것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철도소음에 대한 보정값으로서, 도 9는 무궁화/새마을이 운행되는 실제 현장에서, 도 10는 KTX가 운행되는 실제 현장에서, 도 11는 전철/지하철이 운행되는 실제 현장에서 측정하여 계산해 낸 보정값을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보정된 소음값(제1 보정 소음값, 제2 보정 소음값)들을 상기의 수학식1에 대입함으로써 제1 보정 소음값에 대한 제1 소음도값 값과 제2 보정 소음값에 대한 제2 소음도값을 계산할 수 있으며, 상기 두 소음도값의 차이, 즉 차이값을 통해 실제 소음도값의 주파수를 반영한 소음도값을 계산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는 보정값을 통해 테스트 소음원의 주파수의 변화량에 대한 소음값의 변화량이 실제 소음원의 주파수의 변화량에 대한 소음값의 변화량과 유사해지도록 보정함으로써, 실제의 주파수별 특성을 반영한 소음도값(Overall값)을 계산할 수 있게 된다.
이와같이, 본 실시예는 보정값을 통해 소음저감장치 설치 전, 후에 소음원의 소음값(제1 보정 소음값, 제2 보정 소음값)을 보정하여 소음도값(Overall값)을 계산함으로써, 실제 소음원의 주파수별 특성을 반영하여 신뢰도 높은 소음저감장치의 소음저감성능 평가방법을 제시할 수 있다.
이상, 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3)
- 소음저감장치를 설치하기 전, 소음원의 주파수 별로 측정된 소음값에 기설정된 상기 소음원의 주파수별 보정값을 반영하여, 주파수별로 제1 보정 소음값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소음저감장치를 설치한 후, 상기 소음원의 주파수 별로 측정된 소음값에 기설정된 상기 소음원의 주파수별 보정값을 반영하여, 주파수별로 제2 보정 소음값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제1 보정 소음값을 이용하여 제1 소음도값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제2 보정 소음값을 이용하여 제2 소음도값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소음도값과 상기 제2 소음도값의 차이값을 계산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소음도값과 상기 제2 소음도값은,
하기의 수학식1을 통해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저감장치의 소음저감성능 평가방법.
수학식1)
(Y는 소음도값(=Overall 값, 단위:dB), 는 주파수별 제1 보정 소음값 또는 주파수별 제2 보정 소음값)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값은,
실제 소음원을 복수의 현장에서 측정한 주파수별 평균소음값이며,
상기 보정값을 통해, 상기 소음저감장치 설치 전, 후에 상기 소음원의 주파수별로 측정된 소음값에 상기 실제 소음원의 주파수별로 측정된 소음값을 반영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저감장치의 소음저감성능 평가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30614A KR101611512B1 (ko) | 2014-09-29 | 2014-09-29 | 소음저감장치의 소음저감성능 평가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30614A KR101611512B1 (ko) | 2014-09-29 | 2014-09-29 | 소음저감장치의 소음저감성능 평가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38208A KR20160038208A (ko) | 2016-04-07 |
KR101611512B1 true KR101611512B1 (ko) | 2016-04-12 |
Family
ID=55789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30614A KR101611512B1 (ko) | 2014-09-29 | 2014-09-29 | 소음저감장치의 소음저감성능 평가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11512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723415B (zh) * | 2020-06-15 | 2024-02-27 | 中科上声(苏州)电子有限公司 | 一种车辆降噪系统的性能评估方法及装置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72017B1 (ko) | 2005-11-14 | 2007-01-19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철도차량 소음 예측방법 |
KR101185180B1 (ko) | 2011-05-20 | 2012-09-24 | (주)에스엠인스트루먼트 | 하드디스크드라이브 소음 측정 장치 및 방법 |
-
2014
- 2014-09-29 KR KR1020140130614A patent/KR10161151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72017B1 (ko) | 2005-11-14 | 2007-01-19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철도차량 소음 예측방법 |
KR101185180B1 (ko) | 2011-05-20 | 2012-09-24 | (주)에스엠인스트루먼트 | 하드디스크드라이브 소음 측정 장치 및 방법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김철환 외 4명,한국소음진동공학회 논문집 제20권 제9호, pp.791-796,2010년.*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38208A (ko) | 2016-04-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Bueno et al. | Pavement temperature influence on close proximity tire/road noise | |
US6682261B1 (en) | Method for correcting the roughness of pavement | |
KR101611512B1 (ko) | 소음저감장치의 소음저감성능 평가방법 | |
CA3098547C (en) | Tires with noise-reducing main grooves | |
Clar-Garcia et al. | A new methodology to assess sound power level of tyre/road noise under laboratory controlled conditions in drum test facilities | |
Ledee et al. | The determination of road surface corrections for CNOSSOS-EU model for the emission of road traffic noise | |
Expósito-Sobrino et al. | Evaluation of a pavement surface renewal for urban traffic noise abatement | |
Zofka et al. | Pavement noise measurements in Poland | |
Trimpop | Modification of ISO9613-2 for long propagation distances | |
Linden et al. | Use of High Friction Surface for Highway Noise Reduction | |
Boothby | Design of wood highway sound barriers | |
Schwanen et al. | Additional noise reduction with diffracting elements on barriers: experimental testing | |
Hustim et al. | Road traffic noise prediction model for heterogeneous traffic based on ASJ-RTN Model 2008 with consideration of horn | |
Van der Eerden et al. | The barrier effect of roadside diffracting elements for standard noise calculations | |
JP7261049B2 (ja) | 監視対象監視箇所での監視対象の予測方法及び予測装置 | |
KIM et al. | Estimation Method for Acoustic Performance of Noise Reducing Devices on the Noise Barrier Consitering the Source Characteristics | |
Jackett | Uncertainty of road-traffic noise prediction in New Zealand | |
Han et al. | A revision on mandatory microphone positions in the ISO11819-2 for different pavement surfaces based on noise emission characteristics | |
JP6123086B2 (ja) | 重量床衝撃音遮断性能の評価方法 | |
CN105157646A (zh) | 摊铺宽度测量系统、摊铺机及摊铺宽度测量方法 | |
Hoever et al. | The influence of modelling parameters on the simulation of car tyre rolling noise and rolling resistance | |
Huebelt et al. | German prediction model of the sound propagation in and around tunnels | |
Brouns et al. | Calculating traffic noise reduction at long distance using diffracting elements | |
An et al. | A study of pavement noise for asphalt pavements with different service life in national highway | |
Donavan et al. | The Effectiveness of Quieter Pavement in Reducing Traffic Noise in the Presence of Other Noise Abatement Feature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