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0593B1 - 공동주택의 음식물쓰레기집중처리기 - Google Patents

공동주택의 음식물쓰레기집중처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0593B1
KR101610593B1 KR1020150087179A KR20150087179A KR101610593B1 KR 101610593 B1 KR101610593 B1 KR 101610593B1 KR 1020150087179 A KR1020150087179 A KR 1020150087179A KR 20150087179 A KR20150087179 A KR 20150087179A KR 101610593 B1 KR101610593 B1 KR 1016105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food waste
valve
food
distribution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71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1649A (ko
Inventor
지기현
Original Assignee
지기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기현 filed Critical 지기현
Publication of KR201600016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16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05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0593B1/ko
Priority to CN201610447062.6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6256452A/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5/00Gathering or removal of refuse otherwise than by receptacles or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5/00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by a single other group in this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주택 각 가정에 설치된 음식물쓰레기분쇄기로, 분쇄된 음식물쓰레기를 집중 및 건조, 수거함으로써, 하수관거 내 음식물쓰레기 퇴적으로 인한 하수흐름방해, 관거부식, 수질악화 등을 방지한다. 특히, 본 발명은, 오수관과 우수관이 합쳐진 합류식 하수관거시스템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1본체, 제2본체, 제3본체 중 2개의 본체가 분쇄된 음식물쓰레기를 집중하는 동안, 나머지 1개의 본체는 분쇄된 음식물쓰레기의 집중을 중단한 채, 이미 집중된 음식물쓰레기를 건조하고, 건조된 음식물쓰레기는 음식물쓰레기전용수거용기에 수거한다. 따라서 공동주택 각 가정에서 분쇄된 음식물쓰레기가 한꺼번에 배출되더라도 이를 연달아 처리할 수 있고, 음식물쓰레기에서 분리된 오수에 의한 오염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음식물쓰레기분쇄기를 이용하는 미국식의 편리함과 위생성, 그리고 합류식 하수관거시스템과 하수종말처리장의 사정을 고려한 음식물쓰레기처리방식으로, 그 효과와 경제성과 편리성은 다른 어느 것과 견줄 수 없다.

Description

공동주택의 음식물쓰레기집중처리기 { Apparatus For Gathering Food Waste In Apartment Houses }
본 발명은 배수전처리시스템을 활용한 공동주택의 음식물쓰레기처리기에 관한 것이다.
공동주택 각 가정에서, 음식물쓰레기분쇄기를 사용하여 분쇄된 음식물쓰레기를 하수구로 직배출하면, 오수관과 우수관이 합쳐진 합류식 하수관거시스템의 특성상, 하수관거 내 음식물쓰레기 퇴적으로 인한 하수흐름방해, 관거부식, 수질악화 우려 등 환경과 사회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한국등록특허(10-1455962)는 배수전처리시스템을 활용한 공동주택의 음식물쓰레기집중처리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한국등록특허(10-1455962)에 개시된 공동주택의 음식물쓰레기집중처리장치는, 건조부가 수거통지지판 아래에 위치한 열에 의한 건조방식으로, 음식물쓰레기가 열에 의해 익게 되면 음식물쓰레기 자체에 함유된 수분이 국물이 되면서 오염의 원인이 되는 문제가 있으며, 수거용장치를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수거는 수거용장치를 음식물쓰레기전용수거용기의 상단에 분리·장착하는 불편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열에 의한 건조방식이 아니라 송풍에 의한 건조방식이어서 수질요염의 원인을 제거하고, 수거용장치를 이용하지 않고 음식물쓰레기전용수거용기에 음식물쓰레기를 수거할 수 있게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음식물쓰레기집중처리기는,
공동주택 각 가정에 설치된 음식물쓰레기분쇄기로 분쇄된 음식물쓰레기가 오수와 함께 배출되는 하수관과 연결·분배된 제1-1분배관, 제2-1분배관, 제3-1분배관;
상기 하수관과 연결·분배되며, 제1-1분배관, 제2-1분배관, 제3-1분배관 하측에 위치된 제1-2분배관, 제2-2분배관, 제3-2분배관;
상기 제1-1분배관에 설치된 제1-1밸브, 상기 제1-2분배관에 설치된 제1-2밸브, 상기 제2-1분배관에 설치된 제2-1밸브, 상기 제2-2분배관에 설치된 제2-2밸브, 상기 제3-1분배관에 설치된 제3-1밸브, 상기 제3-2분배관에 설치된 제3-2밸브;
상기 제1-2분배관에 설치된 제1비상밸브, 상기 제2-2분배관에 설치된 제2비상밸브, 상기 제3-2분배관에 설치된 제3비상밸브;
상기 제1-1분배관 및 상기 제1-2분배관과 연결되어 상기 분쇄된 음식물쓰레기를 오수와 함께 분배받는 제1본체;
상기 제2-1분배관 및 상기 제2-2분배관과 연결되어 상기 분쇄된 음식물쓰레기를 오수와 함께 분배받는 제2본체;
상기 제3-1분배관 및 상기 제3-2분배관과 연결되어 상기 분쇄된 음식물쓰레기를 오수와 함께 분배받는 제3본체;
상기 제1본체, 상기 제2본체, 상기 제3본체 내부 각각에는,
상기 분배받은 음식물쓰레기와 오수 중에서 오수는 여과부로 배출하고 음식물쓰레기가 집중되는 집중통;
상기 집중통의 좌우측에 위치하며, 상기 집중통에서 분리·배출된 오수를 여과하여 하수관으로 배출하는 여과부;
상기 집중통의 좌우측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집중통에 집중된 음식물쓰레기를 건조하는 건조부; 및
상기 집중통의 아래에 위치하며, 음식물쓰레기전용수거용기를 분리장착이 가능한 용기통;이 설치되며,
상기 제1본체, 상기 제2본체, 상기 제3본체 상면 각각에는,
상기 분배된 음식물쓰레기가 상기 집중통에 일정높이로 일정시간 형성되면, 이를 감지하여 상기 제1비상밸브, 상기 제2비상밸브, 상기 제3비상밸브 각각을 제어하는 감지기;가 설치되며,
상기 제1본체, 상기 제2본체, 상기 제3본체 중 2개의 본체로 상기 분쇄된 음식물쓰레기가 집중되는 동안, 나머지 1개의 본체에서는 상기 분쇄된 음식물쓰레기의 집중이 중단된 채 이미 집중된 음식물쓰레기가 건조되고, 건조된 음식물쓰레기는 상기 음식물쓰레기전용수거용기에 수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공동주택 각 가정에 설치된 음식물쓰레기분쇄기로, 분쇄된 음식물쓰레기를 집중 및 건조, 수거함으로써, 하수관거 내 음식물쓰레기 퇴적으로 인한 하수흐름방해, 관거부식 수질악화 등을 방지한다. 특히 본 발명은 오수관과 우수관이 합쳐진 합류식 하수관거시스템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1본체, 제2본체, 제3본체 중 2개의 본체가 분쇄된 음식물쓰레기를 집중하는 동안, 나머지 1개의 본체는 분쇄된 음식물쓰레기의 집중을 중단한 채, 이미 집중된 음식물쓰레기를 건조하고, 건조된 음식물쓰레기는 음식물쓰레기전용수거용기에 수거한다. 따라서 공동주택 각 가정에서 분쇄된 음식물쓰레기가 한꺼번에 배출되더라도 이를 연달아 처리할 수 있고, 음식물쓰레기에서 분리된 오수에 의한 오염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수거된 음식물쓰레기는, 동물용 사료나 농사용 거름, 바이오가스 생산에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음식물쓰레기를 자원으로 재활용할 수 있게 해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의 음식물쓰레기집중처리기가 공동주택 지하층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의 음식물쓰레기집중처리기 제1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의 음식물쓰레기집중처리기 제2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2와 도 3에 도시된 제1본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단면 IV-IV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단면 V-V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집중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음식물쓰레기전용수거용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의 음식물쓰레기집중처리기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의 음식물쓰레기집중처리기가 공동주택 지하층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의 음식물쓰레기집중처리기 제1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의 음식물쓰레기집중처리기 제2형을 나타낸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2에 도시된 공동주택의 음식물쓰레기집중처리기 제1형을 기준으로 우선 설명하고, 도 3에 도시된 공동주택의 음식물쓰레기집중처리기 제2형은 제1형과의 공통점은 제외하고 차이점만을 후단에서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의 음식물쓰레기집중처리기(1)는 음식물쓰레기와 오수가 배출되는 지하층 하수관에 설치된다. 즉 하수관(L1)과 하수관(L2) 사이에 설치된다.
하수관(L1)으로 공동주택 각 가정에서 분쇄된 음식물쓰레기와 오수가 배출된다. 하수관(L2)으로 공동주택의 음식물쓰레기집중처리기(1)에서 처리된 오수가 배출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의 음식물쓰레기집중처리기(1)는, 공동주택 각 가정에 설치된 음식물쓰레기분쇄기로 분쇄된 음식물쓰레기가 오수와 함께 배출되는 지하층 하수관(L1)과 연결·분배된 제1-1분배관(D11), 제2-1분배관(D21), 제3-1분배관(D31);
하수관(L1)과 연결·분배된 제1-1분배관(D11), 제2-1분배관(D21), 제3-1분배관(D31) 하측에 위치된 제1-2분배관(D12), 제2-2분배관(D22), 제3-2분배관(D32);
제1-1분배관(D11)에 설치된 제1-1밸브(V11), 제1-2분배관(D12)에 설치된 제1-2밸브(V12), 제2-1분배관(D21)에 설치된 제2-1밸브(V21), 제2-2분배관(D22)에 설치된 제2-2밸브(V22), 제3-1분배관(D31)에 설치된 제3-1밸브(V31), 제3-2분배관(D32)에 설치된 제3-2밸브(V32);
제1-2분배관(D12)에 설치된 제1비상밸브(E1), 제2-2분배관(D22)에 설치된 제2비상밸브(E2), 제3-2분배관(D32)에 설치된 제3비상밸브(E3);
제1-1분배관(D11) 및 제1-2분배관(D12)과 연결되어 분쇄된 음식물쓰레기를 오수와 함께 분배받는 제1본체(10);
제2-1분배관(D21) 및 제2-2분배관(D22)과 연결되어 분쇄된 음식물쓰레기를 오수와 함께 분배받는 제2본체(20);
제3-1분배관(D31) 및 제3-2분배관(D32)과 연결되어 분쇄된 음식물쓰레기를 오수와 함께 분배받는 제3본체(30);로 구성된다.
제1본체(10)의 상면에는 음식물쓰레기유입구(11)가 구비된다.
제2본체(20)의 상면에는 음식물쓰레기유입구(21)가 구비된다.
제3본체(30)의 상면에는 음식물쓰레기유입구(31)가 구비된다.
제1-1분배관(D11)과 제1-2분배관(D12)은 하나의 관으로 합쳐진 상태로, 음식물쓰레기유입구(11)에 연결된다.
제2-1분배관(D21)과 제2-2분배관(D22)은 하나의 관으로 합쳐진 상태로, 음식물쓰레기유입구(21)에 연결된다.
제3-1분배관(D31)과 제3-2분배관(D32)은 하나의 관으로 합쳐진 상태로, 음식물쓰레기유입구(31)에 연결된다.
제1-1밸브(V11), 제1-2밸브(V12), 제2-1밸브(V21), 제2-2밸브(V22), 제3-1밸브(V31), 제3-2밸브(V32)는 수동으로 개폐하는 밸브이다.
제1비상밸브(E1), 제2비상밸브(E2), 제3비상밸브(E3)는 자동으로 개폐 가능한 밸브이다.
제1비상밸브(E1)는 평상시에는 열려 있다가, 제1-2밸브(V12)를 수동으로 차단하지 않은 경우에 닫혀서 제1-2분배관(D12)을 막는다.
제2비상밸브(E2)는 평상시에는 열려 있다가, 제2-2밸브(V22)를 수동으로 차단하지 않은 경우에 닫혀서 제2-2분배관(D22)을 막는다.
제3비상밸브(E3)는 평상시에는 열려 있다가, 제3-2밸브(V32)를 수동으로 차단하지 않은 경우에 닫혀서 제3-2분배관(D32)을 막는다.
제1본체(10), 제2본체(20), 제3본체(30)의 구성요소는 모두 동일하다. 따라서 제2본체(20)와 제3본체(30)의 구성요소에는 제1본체(10)의 구성요소와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한다.
이하, 제1본체(10)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제1본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단면 IV-IV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점선화살표는 음식물쓰레기에서 오수가 분리·여과·배출되는 방향을 나타낸다. 도 6는, 도 4에 도시된 단면 V-V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집중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본체(10)의 상면에는 음식물쓰레기를 건조할 때 발생하는 스팀이 배출되는 스팀배출통(12)이 구비된다. 스팀배출통(12)에는 스팀배출통(12)을 개폐하는 스팀밸브(13)가 설치된다.
제1본체(10)의 상면에는 감지기(14)가 설치된다.
감지기(14)는 제어부(15) 및 광원과 광센서로 구성된다.
감지기(14) 정면에는 제어부(15)가 설치된다. 제어부(15)는 감지기(14)와 신호를 주고받아 제1비상밸브(E1)를 통제한다.
감지기(14)의 하부에는 광원에서 발산되는 빛의 투과율에 의해 음식물쓰레기와 오수를 구분하는 광센서가 구비된다.
감지기(14)는 집중통(110)에 집중된 음식물쓰레기(W, 이하, 도면부호 W를 생략한다.)가 일정높이로 일정시간 형성되는 것을 감지한다.
제1본체(10)의 정면에는 본체상단문(17)이 설치된다. 본체상단문(17)을 열고 집중통하단막이(113)를 제1본체(10)의 내부에 분리·장착할 수 있다.
제1본체(10)와 본체상단문(17) 사이로 오수가 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1본체(10)와 본체상단문(17)에는 고무링(미도시)이 설치된다. 또한, 제1본체(10)와 본체상단문(17)을 밀착시키기 위해, "압착잠금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집중통(110)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집중통(110)은 제1본체(10)의 내부에 고정된 육면체 형태의 통이다.
집중통(110) 상면의 음식물쓰레기유입구(11)로 음식물쓰레기가 집중통(110)의 내부로 유입·집중된다.
본체상단문(17)을 통해서, 집중통(110)에 집중된 음식물쓰레기의 양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체상단문(17)에 투명창(18)이 설치되고, 투명창(18)과 마주보는 다른 투명창(111)이 집중통(110)에 설치된다.
집중통(110)의 바닥면에는 집중통하단막이(113)가 서랍식으로 분리장착가능하다. 즉 음식물쓰레기를 집중할 때에는 제1본체(10)에 집중통하단막이(113)를 장착하고, 음식물쓰레기를 배출할 때에는 집중통하단막이(113)를 제1본체(10)에서 분리시킨다. 집중통하단막이(113)를 제1본체(10)에 장착할 수 있게 집중통(110) 하단 좌우 뒷면에 고정틀(112)이 설치되고, 집중통하단막이(113)를 제1본체(10)에 분리할 수 있게 하단막이손잡이(114)가 설치된다. 집중통하단막이(113)와 고정틀(112) 사이로 음식물쓰레기와 오수가 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무링(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집중통하단막이(113)가 제1본체(10)의 내부에 장착되면, 집중통(110) 내부에 집중된 음식물쓰레기와 오수가 집중통(110) 하단을 통해서 빠져나가지 못한다.
집중통(110)의 좌우측면에는 여과부(120)로 오수가 배출되는 제1여과망(122a)이 설치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과부(120)는 집중통(110)의 좌우측에 위치한다. 여과부(120)는 여과틀(121)과 여과망(122)으로 구성된다.
여과틀(121)은 제1오수통로(P1), 제2오수통로(P2), 제3오수통로(P3)를 형성한다. 제1오수통로(P1), 제2오수통로(P2), 제3오수통로(P3)는 집중통(110)과 멀어지면서 단계적으로 내려가는 계단식으로 형성된다.
제3오수통로(P3)의 바닥에는 배수구(123)가 구비된다. 배수구(123)는 하수관(L2)과 연결된다.
여과망(122)의 여과구멍의 크기는 제1여과망(122a)→제2여과망(122b)→제3여과망(122c)으로 나아감에 따라 점차 작아진다.
제1여과망(122a)은 집중통(110)에 설치된다. 제2여과망(122b), 제3여과망(122c)은 여과틀(121)에 설치되며, 집중통(110)과 멀어지는 순서로 배치된다.
집중통(110)에 집중된 음식물쓰레기에서 분리된 오수는, 제1여과망(122a), 제1오수통로(P1), 제2여과망(122b), 제2오수통로(P2), 제3여과망(122c), 제3오수통로(P3)를 차례로 통과한 후 배수구(123)를 통해 하수관(L2)으로 배출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부(130)는 제어부(131), 도어(132), 발열부(134), 송풍기(135)로 구성된다.
제어부(131)는 제1본체(10)의 상면에 설치된다. 도어(132), 발열부(134), 송풍기(135)는 집중통(110)의 좌우측 상부에 설치된다.
제어부(131)의 제어에 의하여, 도어(132), 발열부(134), 송풍기(135)는 작동한다.
음식물쓰레기를 집중할 때에는 제1여과망(122a)을 통과한 오수가 건조부(13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어부(131)의 제어에 의하여 도어(132)를 닫고 발열부(134)와 송풍기(135)의 작동을 중지한다.
음식물쓰레기를 건조할 때에는 제어부(131)의 제어에 의하여 도어(132)를 열고 발열부(134)의 발열에 의한 온기를 송풍기(135)의 송풍에 의해 집중통(110)에 집중된 음식물쓰레기와 제1오수통로(P1)와 제2오수통로(P2)에 축적된 음식물찌꺼기를 건조시킨다.
도 4, 도 5 그리고 도 8을 참조하면,
도 4의 제1본체(10) 하부에는 본체하단문(19)이 있고, 도 5의 집중통(110) 하부에는 용기통(115)이 있으며, 도 8에는 음식물쓰레기전용수거용기(150)가 있다.
본체하단문(19)을 열고 용기통(115)에 음식물쓰레기전용수거용기(150)를 분리·장착할 수 있다.
음식물쓰레기전용수거용기(150) 상단의 모양이 여러 가지가 있어, 용기통(115)에 음식물쓰레기전용수거용기(150)를 완전히 장착하기 위해서는 음식물쓰레기전용수거용기(150)의 상단구조를 일원화하여야 하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의 음식물쓰레기집중처리기의 작동을 설명한다.
[설명 1] [집중·건조와 수거의 2단계]
본 발명은 제1본체(10), 제2본체(20), 제3본체(30) 중 2개의 본체가 분쇄된 음식물쓰레기를 집중하는 동안, 나머지 1개의 본체는 분쇄된 음식물쓰레기의 집중을 중단하고, 이미 집중된 음식물쓰레기를 건조하는 단계와, 건조된 음식물쓰레기를 음식물쓰레기전용수거용기(150)에 수거하는 단계로 되어있다.
[설명 2] [제1형의 분쇄된 음식물쓰레기의 집중과 건조]
이는 [표001] 보고 아래 글을 보면 이해가 쉽다.
Figure 112015501913739-pat00001
먼저, 제1본체(10)의 집중통(110)에 1차적으로, 제2본체(20)의 집중통(110)에 2차적으로 음식물쓰레기를 집중하고, 제3본체(30)의 집중통(110)에 집중된 음식물쓰레기를 건조시킨다.
제1본체(10)의 집중통(110)에 음식물쓰레기를 1차적으로 집중하기 위해서는 제1-1밸브(V11)을 잠그고 제1-2밸브(V12)를 연다. 왜냐하면 제1-1분배관(D11)과 제1-2분배관(D12)의 구조상, 제1-1분배관(D11) 보다는 제1-1분배관(D11) 아래쪽에 있는 제1-2분배관(D12)을 통해서 제1본체(10)의 집중통(110)으로 집중되기 쉽기 때문이다.
또한, 제2본체(20)의 집중통(110)에 음식물쓰레기를 2차적으로 집중하기 위해서는, 음식물쓰레기가 집중되기 쉬운 제2-2분배관(D22)에 설치된 제2-2밸브(V22)를 잠그고, 음식물쓰레기가 집중되기 어려운 제2-1분배관(D21)에 설치된 제2-1밸브(V21)를 연다. 나머지 밸브들은 모두 잠근다.
제1본체(10)에 음식물쓰레기를 1차적으로 집중할 경우에는, 제1본체(10)에 설치된 감지기(14)를 작동시킨다(감지기(14)에 대한 설명은 [설명 4]에서 설명).
그리고 이때, 제3본체(30)의 건조부(130)를 작동시키고, 제3본체(30)의 스팀밸브(13)를 열어서, 음식물쓰레기 건조할 때 발생하는 스팀을, 스팀배출통(12)을 통해서 배출한다(건조부(130)에 대한 설명은 [설명 5]에서 설명).
일정시간이 지나 제3본체(30)의 집중통(110)에 있는 음식물쓰레기가 건조되면, 건조된 음식물쓰레기를 수거한다(건조된 음식물쓰레기 수거에 대한 설명은 [설명 3]에서 설명).
다음으로, 제2본체(20)의 집중통(110)에 1차적으로, 제3본체(30)의 집중통(110)에 2차적으로 음식물쓰레기를 집중하고, 제1본체(10)의 집중통(110)에 집중된 음식물쓰레기를 건조시키는 것은 아래와 같다.
제2본체(20)의 집중통(110)에 음식물쓰레기를 1차적으로 집중하기 위해서는 제2-1밸브(V21)를 잠그고 제2-2밸브(V22)를 연다. 왜냐하면 제2-1분배관(D21)과 제2-2분배관(D22)의 구조상, 제2-1분배관(D21) 보다는 제2-1분배관(D21) 아래쪽에 있는 제2-2분배관(D22)을 통해서 제2본체(20)의 집중통(110)으로 집중되기 쉽기 때문이다.
또한, 제3본체(30)의 집중통(110)에 음식물쓰레기를 2차적으로 집중하기 위해서는, 음식물쓰레기가 집중되기 쉬운 제3-2분배관(D32)에 설치된 제3-2밸브(V32)를 잠그고, 음식물쓰레기가 집중되기 어려운 제3-1분배관(D31)에 설치된 제3-1밸브(V31)를 연다. 나머지 밸브들은 모두 잠근다.
제2본체(20)에 음식물쓰레기를 1차적으로 집중할 경우에는, 제2본체(20)에 설치된 감지기(14)를 작동시킨다(감지기(14)에 대한 설명은 [설명 4]에서 설명).
그리고 이때, 제1본체(10)의 건조부(130)를 작동시키고, 제1본체(10)의 스팀밸브(13)를 열어서, 음식물쓰레기 건조할 때 발생하는 스팀을, 스팀배출통(12)을 통해서 배출한다(건조부(130)에 대한 설명은 [설명 5]에서 설명).
일정시간이 지나 제1본체(10)의 집중통(110)에 있는 음식물쓰레기가 건조되면, 건조된 음식물쓰레기를 수거한다(건조된 음식물쓰레기 수거에 대한 설명은 [설명 3]에서 설명).
다음으로, 제3본체(30)의 집중통(110)에 1차적으로, 제1본체(10)의 집중통(110)에 2차적으로 음식물쓰레기를 집중하고, 제2본체(20)의 집중통(110)에 집중된 음식물쓰레기를 건조시키는 것은 아래와 같다.
제3본체(30)의 집중통(110)에 음식물쓰레기를 1차적으로 집중하기 위해서는 제3-1밸브(V31)를 잠그고 제3-2밸브(V32)를 연다. 왜냐하면 제3-1분배관(D31)과 제3-2분배관(D32)의 구조상, 제3-1분배관(D31) 보다는 제3-1분배관(D31) 아래쪽에 있는 제3-2분배관(D32)을 통해서 제3본체(30)의 집중통(110)으로 집중되기 쉽기 때문이다.
또한, 제1본체(10)의 집중통(110)에 음식물쓰레기를 2차적으로 집중하기 위해서는, 음식물쓰레기가 집중되기 쉬운 제1-2분배관(D12)에 설치된 제1-2밸브(V12)를 잠그고, 음식물쓰레기가 집중되기 어려운 제1-1분배관(D11)에 설치된 제1-1밸브(V11)를 연다. 나머지 밸브들은 모두 잠근다.
제3본체(30)에 음식물쓰레기를 1차적으로 집중할 경우에는, 제3본체(30)에 설치된 감지기(14)를 작동시킨다(감지기(14)에 대한 설명은 [설명 4]에서 설명).
그리고 이때, 제2본체(20)의 건조부(130)를 작동시키고, 제2본체(20)의 스팀밸브(13)를 열어서, 음식물쓰레기 건조할 때 발생하는 스팀을, 스팀배출통(12)을 통해서 배출한다(건조부(130)에 대한 설명은 [설명 5]에서 설명).
일정시간이 지나 제2본체(20)의 집중통(110)에 있는 음식물쓰레기가 건조되면, 건조된 음식물쓰레기를 수거한다(건조된 음식물쓰레기 수거에 대한 설명은 [설명 3]에서 설명).
이렇게 반복하면 공동주택의 음식물쓰레기집중처리기(1)는 음식물쓰레기를 집중과 건조를 할 수 있다.
[설명 3] [건조된 음식물쓰레기 수거]
제1본체(10){제2본체(20)와 제3본체(30)도 동일}의 집중통(110) 내에 건조된 음식물쓰레기를 수거하는 것은 아래와 같다.
수거전담원은 제1본체(10)의 본체하단문(19)을 열고, 음식물쓰레기전용수거용기(150)를 용기통(115)에 장착한다. 본체상단문(17)을 열고 하단막이손잡이(114)를 잡고 집중통하단막이(113)을 당긴다. 집중통하단막이(113)가 제1본체(10)에서 분리되면서 집중통(110) 내에 집중된 음식물쓰레기가 음식물쓰레기전용수거용기(150)로 낙하된다. 수거전담원은 여과부(120)의 오수통로에 있는 음식물찌꺼기를 진공청소기로 청소한다. 수거전담원은 집중통하단막이(113)를 제1본체(10)에 장착하고 본체상단문(17)을 닫는다. 수거전담원은 용기통(115)에서 음식물쓰레기전용수거용기(150)를 분리하고 본체하단문(19)을 닫는다.
[설명 4] [제1형의 감지기와 비상밸브]
제1본체(10){제2본체(20)와 제3본체(30)도 동일}의 감지기(14)와 제1비상밸브(E1){제2비상밸브(E2)와 제3비상밸브(E3)도 동일}의 작동은 아래와 같다.
제1본체(10)에 장착된 집중통(110)에 집중된 음식물쓰레기가 일정높이로 일정시간 형성되었는데도 수거전담원이 제1-2밸브(V12)에 의해 제1-2분배관(D12)을 차단하지 않았다면, 감지기(14)의 제어부(15)는 제1비상밸브(E1)에게 제1-2분배관(D12)을 차단하도록 지시한다. 제1비상밸브(E1)는 제1-2분배관(D12)에서 제1본체(10)로 음식물쓰레기와 오수의 이동을 차단시킨다. 그리고 감지기(14)의 제어부(15)는 제1비상밸브(E1)가 제1-2분배관(D12)을 차단한 시간을 디스플레이하고, 제1비상밸브(E1)가 제1-2분배관(D12)을 차단하였다는 사실을 관리사무소에 알린다.
제1비상밸브(E1)가 제1-2분배관(D12)을 차단하였더라도 음식물쓰레기는 제2-1분배관(D21)를 타고 제2본체(20)에 설치된 집중통(110)으로 집중되므로, 음식물쓰레기가 하수관(L1)을 타고 역류되지 않는다.
감지기(14)는 음식물쓰레기와 오수에 대한 빛의 투과율이 상이한 점을 이용하여 음식물쓰레기에 대한 빛의 투과율을 기설정함으로써, 기설정된 값에 의해 음식물쓰레기를 식별하도록 구성된다.
음식물쓰레기에 대한 빛의 투과율을 기설정할 때에는 집중통(110)에 일시에 다량 유입된 오수와 음식물쓰레기에 반응하지 않도록 음식물쓰레기가 일정높이로 일정시간 유지되는 기준 값으로 하여 빛의 투과율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설명 5] [건조부]
제1본체(10){제2본체(20)와 제3본체(30)도 동일}의 건조부(130)의 작동은 아래와 같다.
집중통(110)에 집중된 음식물쓰레기가 기설정된 일정시간동안 탈수된 후, 건조부(130)의 제어부(131)는 도어(132)를 열고 발열부(134)와 송풍기(135)를 가동시킨다. 송풍기(135)의 송풍에 의하여 발열부(134)에서 따스해진 온기는 제1여과망(122a)을 통과하여 집중통(110) 내의 음식물쓰레기를 건조시키고, 제1오수통로(P1)와 제2오수통로(P2)에 축적된 음식물찌꺼기를 건조시킨다. 그리고 건조부(130)의 제어부(131)는 기설정된 일정시간동안 음식물쓰레기를 건조한 사실을 디스플레이 한다.
[설명 6] [음식물쓰레기의 역류방지]
제1본체(10){제2본체(20), 제3본체(30)도 동일}에 집중된 음식물쓰레기의 역류방지는 아래와 같다.
본 발명은 수거전담원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본 발명이 있는 장소로 이동하며, 밸브작동을 하고 음식물쓰레기를 수거하는 것이다.
그런데, 제1본체(10)에 장착된 집중통(110)에 집중된 음식물쓰레기가 일정높이로 일정시간 형성되었는데도, 수거전담원이 제1-2밸브(V12)에 의해 제1-2분배관(D12)을 차단하지 않았다면, 음식물쓰레기는 제2-1분배관(D21)를 타고 제2본체(20)에 설치된 집중통(110)으로 집중되므로, 일정기간 동안 음식물쓰레기가 하수관(L1)을 타고 역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감지기(14)와 비상밸브를 설치하여 작동시키고, 관리사무소와 수거전담원이 통제한다면 음식물쓰레기가 하수관(L1)을 타고 역류되지 않는다.
[설명 7][공동주택의 음식물쓰레기집중처리기 제2형의 제1형과 다른 점]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의 음식물쓰레기집중처리기 제1형과 비교 하에 제2형의 다른 점만을 설명한다.
공동주택 각 가정에 설치된 음식물쓰레기분쇄기로 분쇄된 음식물쓰레기가 오수와 함께 배출되는 하수관과 연결·분배된 제a-2분배관, 상기 제a-2분배관 하측에 있는 제c-1분배관, 상기 제c-1분배관 하측에 있는 제b-1분배관, 상기 제b-1분배관 하측에 있는 제a-1분배관;
상기 제a-2분배관에 설치된 제a-2밸브, 상기 제c-1분배관에 설치된 제c-1밸브, 상기 제b-1분배관에 설치된 제b-1밸브, 상기 제a-1분배관에 설치된 제a-1밸브;
상기 제a-1분배관에 설치된 제a-1비상밸브, 상기 제b-1분배관에 설치된 제b-1비상밸브, 상기 제c-1분배관에 설치된 제c-1비상밸브,
상기 제a-2분배관 및 상기 제a-1분배관과 연결되어 상기 분쇄된 음식물쓰레기를 오수와 함께 분배받는 제1본체;
상기 제b-1분배관과 연결되어 상기 분쇄된 음식물쓰레기를 오수와 함께 분배받는 제2본체;
상기 제c-1분배관과 연결되어 상기 분쇄된 음식물쓰레기를 오수와 함께 분배받는 제3본체;
상기 제1본체, 상기 제2본체, 상기 제3본체 내부 각각에는,
상기 분배받은 음식물쓰레기와 오수 중에서 오수는 여과부로 배출하고 음식물쓰레기가 집중되는 집중통;
상기 집중통의 좌우측에 위치하며, 상기 집중통에서 분리·배출된 오수를 여과하여 하수관으로 배출하는 여과부;
상기 집중통의 좌우측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집중통에 집중된 음식물쓰레기를 건조하는 건조부; 및
상기 집중통의 아래에 위치하며, 음식물쓰레기전용수거용기를 분리장착이 가능한 용기통;이 설치되며,
상기 제1본체, 상기 제2본체, 상기 제3본체 상면 각각에는,
상기 분배된 음식물쓰레기가 상기 집중통에 일정높이로 일정시간 형성되면, 이를 감지하여 상기 제a-1비상밸브, 상기 제b-1비상밸브, 상기 제c-1비상밸브 각각을 제어하는 감지기;가 설치되며,
상기 제1본체, 상기 제2본체, 상기 제3본체 중 2개의 본체로 상기 분쇄된 음식물쓰레기가 집중되는 동안, 나머지 1개의 본체에서는 상기 분쇄된 음식물쓰레기의 집중이 중단된 채 이미 집중된 음식물쓰레기가 건조되고, 건조된 음식물쓰레기는 상기 음식물쓰레기전용수거용기에 수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의 음식물쓰레기집중처리기(1) 제2형은, 공동주택 각 가정에 설치된 음식물쓰레기분쇄기로 분쇄된 음식물쓰레기가 오수와 함께 배출되는 지하층 하수관(L1)과 연결·분배된 제a-2분배관(a2), 제a-2분배관(a2) 하측에 있는 제c-1분배관(c1), 제c-1분배관(c1) 하측에 있는 제b-1분배관(b1), 제b-1분배관(b1) 하측에 있는 제a-1분배관(a1);
제a-2분배관(a2)에 설치된 제a-2밸브(av2), 제c-1분배관(c1)에 설치된 제c-1밸브(cv1), 제b-1분배관(b1)에 설치된 제b-1밸브(bv1), 제a-1분배관(a1)에 설치된 제a-1밸브(av1);
제c-1분배관(c1)에 설치된 제c-1비상밸브(cE1), 제b-1분배관(b1)에 설치된 제b-1비상밸브(bE1), 제a-1분배관(a1)에 설치된 제a-1비상밸브(aE1); 및
제a-2분배관(a2) 및 제a-1분배관(a1)과 연결되어 상기 분쇄된 음식물쓰레기를 오수와 함께 분배받는 제1본체(10);
제b-1분배관(b1)과 연결되어 상기 분쇄된 음식물쓰레기를 오수와 함께 분배받는 제2본체(20);
제c-1분배관(c1)과 연결되어 상기 분쇄된 음식물쓰레기를 오수와 함께 분배받는 제3본체(30);로 구성된다.
제1본체(10)의 상면에는 음식물쓰레기유입구(11)가 구비된다.
제2본체(20)의 상면에는 음식물쓰레기유입구(21)가 구비된다.
제3본체(30)의 상면에는 음식물쓰레기유입구(31)가 구비된다.
제a-2분배관(a2)과 제a-1분배관(a1)은 하나의 관으로 합쳐진 상태로, 제1본체(10)의 상면에 구비된 음식물쓰레기유입구(11)에 연결된다.
제b-1분배관(b1)은 제2본체(20)의 상면에 구비된 음식물쓰레기유입구(21)에 연결된다.
제c-1분배관(c1)은 제3본체(30)의 상면에 구비된 음식물쓰레기유입구(31)에 연결된다.
제a-1밸브(av1), 제b-1밸브(bv1), 제c-1밸브(cv1), 제a-2밸브(av2)는 수동으로 개폐하는 밸브이다.
제a-1비상밸브(aE1), 제b-1비상밸브(bE1), 제c-1비상밸브(cE1)는 자동으로 개폐 가능한 밸브이다.
제a-1비상밸브(aE1)는 평상시에는 열려 있다가, 제a-1밸브(av1)를 수동으로 차단하지 않은 경우에 닫혀서 제a-1분배관(a1)을 막는다.
제b-1비상밸브(bE1)는 평상시에는 열려 있다가, 제b-1밸브(bv1)를 수동으로 차단하지 않은 경우에 닫혀서 제b-1분배관(b1)을 막는다.
제c-1비상밸브(cE1)는 평상시에는 열려 있다가, 제c-1밸브(cv1)를 수동으로 차단하지 않은 경우에 닫혀서 제c-1분배관(c1)을 막는다.
[설명 8] [제2형의 분쇄된 음식물쓰레기의 집중과 건조]
이는 [표002] 보고 아래 글을 보면 이해가 쉽다.
Figure 112015501913739-pat00002
먼저, 제1본체(10)에 음식물쓰레기가 1차적으로 집중되고, 제2본체(20)에 음식물쓰레기가 2차적으로 집중되고, 제3본체(30)의 집중통(110)에 집중된 음식물쓰레기를 건조시킨다.
제1본체(10)의 집중통(110)에 음식물쓰레기를 1차적으로 집중하고, 제2본체(20)의 집중통(110)에 음식물쓰레기가 2차적으로 집중하기 위해서는 제a-1밸브(av1)와 제b-1밸브(bv1)를 연다. 그리고 나머지 밸브들은 모두 잠근다. 왜냐하면, 제a-1분배관(a1)과 제b-1분배관(b1)의 구조상, 제a-1분배관(a1)이 제b-1분배관(b1) 아래쪽에 있어서 제2본체(20)보다는 제1본체(10)의 집중통(110)으로 음식물쓰레기가 집중되기 쉽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제2본체(20)의 집중통(110)에 1차적으로, 제3본체(30)의 집중통(110)에 2차적으로 음식물쓰레기를 집중하고, 제1본체(10)의 집중통(110)에 집중된 음식물쓰레기를 건조시키는 것은 아래와 같다.
제2본체(20)의 집중통(110)에 음식물쓰레기를 1차적으로 집중하고, 제3본체(30)의 집중통(110)에 2차적으로 음식물쓰레기를 집중하기 위해서는 제b-1밸브(bv1)와 제c-1밸브(cv1)를 연다. 그리고 나머지 밸브들은 모두 잠근다. 왜냐하면, 제b-1분배관(b1)과 제c-1분배관(c1)의 구조상, 제b-1분배관(b1)이 제c-1분배관(c1) 아래쪽에 있어서 제3본체(30)보다는 제2본체(20)의 집중통(110)으로 음식물쓰레기가 집중되기 쉽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제3본체(30)의 집중통(110)에 1차적으로, 제1본체(10)의 집중통(110)에 2차적으로 음식물쓰레기를 집중하고, 제2본체(20)의 집중통(110)에 집중된 음식물쓰레기를 건조시키는 것은 아래와 같다.
제3본체(30)의 집중통(110)에 음식물쓰레기를 1차적으로 집중하고, 제1본체(10)의 집중통(110)에 2차적으로 음식물쓰레기를 집중하기 위해서는 제c-1밸브(cv1)와 제a-2밸브(av2)를 연다. 그리고 나머지 밸브들은 모두 잠근다. 왜냐하면, 제c-1분배관(c1)과 제a-2분배관(a2)의 구조상, 제c-1분배관(c1)이 제a-2분배관(a2) 아래쪽에 있어서 제1본체(10)보다는 제3본체(30)의 집중통(110)으로 음식물쓰레기가 집중되기 쉽기 때문이다.
[설명 9] [제2형의 감지기와 비상밸브]
제1본체(10){제2본체(20)와 제3본체(30)도 동일}의 감지기(14)와 제a-1비상밸브(aE1){제b-1비상밸브(bE1)와 제c-1비상밸브(cE1)도 동일}의 작동은 아래와 같다.
제1본체(10)에 장착된 집중통(110)에 집중된 음식물쓰레기가 일정높이로 일정시간 형성되었는데도 수거전담원이 제a-1밸브(av1)에 의해 제a-1분배관(a1)을 차단하지 않았다면, 감지기(14)의 제어부(15)는 제a-1비상밸브(aE1)에게 제a-1분배관(a1)을 차단하도록 지시한다. 제a-1비상밸브(aE1)는 제a-1분배관(a1)에서 제1본체(10)로 음식물쓰레기와 오수의 이동을 차단시킨다. 그리고 감지기(14)의 제어부(15)는 제a-1비상밸브(aE1)가 제a-1분배관(a1)을 차단한 시간을 디스플레이하고, 제a-1비상밸브(aE1)가 제a-1분배관(a1)을 차단하였다는 사실을 관리사무소에 알린다.
제a-1비상밸브(aE1)가 제a-1분배관(a1)을 차단하였더라도 음식물쓰레기는 제b-1분배관(b1)를 타고 제2본체(20)에 설치된 집중통(110)으로 집중되므로, 음식물쓰레기가 하수관(L1)을 타고 역류되지 않는다.
[설명 10][본 발명의 경제성과 편리성]
본 발명은 수거전담원 1인이 청소기와 음식물쓰레기전용수거용기(150)를 카트기에 실고, 본 발명이 있는 장소로 이동하며 밸브작동을 하고 음식물쓰레기를 수거하는 것이다.
수거전담원 1인이 본 발명 1기에서 밸브작동과 음식물쓰레기를 수거하는데 평균 20분 정도 소요(이동거리 포함)된다면, 1시간에 3개, 하루(8시간 근무)에 24개의 집중통(110)에서 음식물쓰레기를 수거하게 된다.
아파트 15층이면 아파트 하수관 구조상 아파트 30세대에 본 발명 1기를 설치하게 된다. 그리고 하루에 1개의 집중통(110)에서 음식물쓰레기를 수거한다면, 수거전담원 1인이 하루에 720세대(24*30)의 음식물쓰레기를 수거하는 것이 된다. 만일 아파트 20층이라면 960세대(24*40)의 음식물쓰레기를 수거하는 것이 된다.
본 발명은 음식물쓰레기분쇄기를 이용하는 미국식의 편리함과 위생성, 그리고 합류식 하수관거시스템과 하수종말처리장의 사정을 고려한 음식물쓰레기처리방식이다.
본 발명은 현재 음식물쓰레기처리에 있어서, 음식물쓰레기와 오수의 분리, 분리된 음식물쓰레기 청결과 이송문제, 음식물쓰레기의 자원재활용과 환경문제 등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그 효과와 경제성과 편리성은 다른 어느 것과 견줄 수 없다.
1 - 공동주택의 음식물쓰레기집중처리기. L1, L2 - 하수관.
D11, D12, D21, D22, D31, D32 - 제1형의 분배관.
V11, V12, V21, V22, V31, V32 - 제1형의 밸브.
E1, E2, E3, - 제1형의 비상밸브.
10, 20, 30 - 본체. 11, 21, 31 - 음식물쓰레기유입구.
12 - 스팀배출통. 13 - 스팀밸브.
14 - 감지기. 15 - 감지기의 제어부.
17 - 본체상단문. 18 - 투명창.
19 - 본체하단문
110 - 집중통. 111 - 투명창.
112 - 고정틀. 113 - 집중통하단막이.
114 - 하단막이손잡이. 115 - 용기통
120 - 여과부. 121 - 여과틀.
122 - 여과망. 123 - 배수구.
P1, P2, P3 - 오수통로.
130 - 건조부. 131 - 건조부의 제어부.
132 - 도어. 134 - 발열부.
135 - 송풍기 150 - 음식물쓰레기전용수거용기.
a1, b1, c1, a2 - 제2형의 분배관.
av1, bv1, cv1, av2 - 제2형의 밸브.
aE1, bE1, cE1 - 제2형의 비상밸브.

Claims (11)

  1. 공동주택 각 가정에 설치된 음식물쓰레기분쇄기로 분쇄된 음식물쓰레기가 오수와 함께 배출되는 하수관과 연결·분배된 제1-1분배관, 제2-1분배관, 제3-1분배관;
    상기 하수관과 연결·분배되며, 제1-1분배관, 제2-1분배관, 제3-1분배관 하측에 위치된 제1-2분배관, 제2-2분배관, 제3-2분배관;
    상기 제1-1분배관에 설치된 제1-1밸브, 상기 제1-2분배관에 설치된 제1-2밸브, 상기 제2-1분배관에 설치된 제2-1밸브, 상기 제2-2분배관에 설치된 제2-2밸브, 상기 제3-1분배관에 설치된 제3-1밸브, 상기 제3-2분배관에 설치된 제3-2밸브;
    상기 제1-2분배관에 설치된 제1비상밸브, 상기 제2-2분배관에 설치된 제2비상밸브, 상기 제3-2분배관에 설치된 제3비상밸브;
    상기 제1-1분배관 및 상기 제1-2분배관과 연결되어 상기 분쇄된 음식물쓰레기를 오수와 함께 분배받는 제1본체;
    상기 제2-1분배관 및 상기 제2-2분배관과 연결되어 상기 분쇄된 음식물쓰레기를 오수와 함께 분배받는 제2본체;
    상기 제3-1분배관 및 상기 제3-2분배관과 연결되어 상기 분쇄된 음식물쓰레기를 오수와 함께 분배받는 제3본체;
    상기 제1본체, 상기 제2본체, 상기 제3본체 내부 각각에는,
    상기 분배받은 음식물쓰레기와 오수 중에서 오수는 여과부로 배출하고 음식물쓰레기가 집중되는 집중통;
    상기 집중통의 좌우측에 위치하며, 상기 집중통에서 분리·배출된 오수를 여과하여 하수관으로 배출하는 여과부;
    상기 집중통의 좌우측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집중통에 집중된 음식물쓰레기를 건조하는 건조부; 및,
    상기 집중통의 아래에 위치하며, 음식물쓰레기전용수거용기를 분리장착이 가능한 용기통;이 설치되며,
    상기 제1본체, 상기 제2본체, 상기 제3본체 상면 각각에는,
    상기 분배된 음식물쓰레기가 상기 집중통에 일정높이로 일정시간 형성되면, 이를 감지하여 상기 제1비상밸브, 상기 제2비상밸브, 상기 제3비상밸브 각각을 제어하는 감지기;가 설치되며,
    상기 제1본체, 상기 제2본체, 상기 제3본체 중 2개의 본체로 상기 분쇄된 음식물쓰레기가 집중되는 동안, 나머지 1개의 본체에서는 상기 분쇄된 음식물쓰레기의 집중이 중단된 채 이미 집중된 음식물쓰레기가 건조되고, 건조된 음식물쓰레기는 상기 음식물쓰레기전용수거용기에 수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음식물쓰레기집중처리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1분배관과 상기 제1-2분배관은 하나의 관으로 합쳐진 상태로, 상기 제1본체의 상면에 구비된 음식물쓰레기유입구에 연결되고,
    상기 제2-1분배관과 상기 제2-2분배관은 하나의 관으로 합쳐진 상태로, 상기 제2본체의 상면에 구비된 음식물쓰레기유입구에 연결되고,
    상기 제3-1분배관과 상기 제3-2분배관은 하나의 관으로 합쳐진 상태로, 상기 제3본체의 상면에 구비된 음식물쓰레기유입구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음식물쓰레기집중처리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본체에 음식물쓰레기가 1차적으로 집중되고 상기 제2본체에 음식물쓰레기가 2차적으로 집중되고 상기 제3본체에서 이미 집중된 음식물쓰레기가 건조되기 위해서, 상기 제1-2밸브와 상기 제2-1밸브를 열고, 상기 제1-1밸브와 상기 제2-2밸브와 상기 제3-1밸브와 상기 제3-2밸브를 닫고,
    상기 제2본체에 음식물쓰레기가 1차적으로 집중되고 상기 제3본체에 음식물쓰레기가 2차적으로 집중되고 상기 제1본체에서 이미 집중된 음식물쓰레기가 건조되기 위해서, 상기 제2-2밸브와 상기 제3-1밸브를 열고, 상기 제2-1밸브와 상기 제3-2밸브와 상기 제1-1밸브와 상기 제1-2밸브를 닫고,
    상기 제3본체에 음식물쓰레기가 1차적으로 집중되고 상기 제1본체에 음식물쓰레기가 2차적으로 집중되고 상기 제2본체에서 이미 집중된 음식물쓰레기가 건조되기 위해서, 상기 제3-2밸브와 상기 제1-1밸브를 열고, 상기 제3-1밸브와 상기 제1-2밸브와 상기 제2-1밸브와 상기 제2-2밸브를 닫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음식물쓰레기집중처리기.
  4. 공동주택 각 가정에 설치된 음식물쓰레기분쇄기로 분쇄된 음식물쓰레기가 오수와 함께 배출되는 하수관과 연결·분배된 제a-2분배관, 상기 제a-2분배관 하측에 있는 제c-1분배관, 상기 제c-1분배관 하측에 있는 제b-1분배관, 상기 제b-1분배관 하측에 있는 제a-1분배관;
    상기 제a-2분배관에 설치된 제a-2밸브, 상기 제c-1분배관에 설치된 제c-1밸브, 상기 제b-1분배관에 설치된 제b-1밸브, 상기 제a-1분배관에 설치된 제a-1밸브;
    상기 제a-1분배관에 설치된 제a-1비상밸브, 상기 제b-1분배관에 설치된 제b-1비상밸브, 상기 제c-1분배관에 설치된 제c-1비상밸브,
    상기 제a-2분배관 및 상기 제a-1분배관과 연결되어 상기 분쇄된 음식물쓰레기를 오수와 함께 분배받는 제1본체;
    상기 제b-1분배관과 연결되어 상기 분쇄된 음식물쓰레기를 오수와 함께 분배받는 제2본체;
    상기 제c-1분배관과 연결되어 상기 분쇄된 음식물쓰레기를 오수와 함께 분배받는 제3본체;
    상기 제1본체, 상기 제2본체, 상기 제3본체 내부 각각에는,
    상기 분배받은 음식물쓰레기와 오수 중에서 오수는 여과부로 배출하고 음식물쓰레기가 집중되는 집중통;
    상기 집중통의 좌우측에 위치하며, 상기 집중통에서 분리·배출된 오수를 여과하여 하수관으로 배출하는 여과부;
    상기 집중통의 좌우측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집중통에 집중된 음식물쓰레기를 건조하는 건조부; 및,
    상기 집중통의 아래에 위치하며, 음식물쓰레기전용수거용기를 분리장착이 가능한 용기통;이 설치되며,
    상기 제1본체, 상기 제2본체, 상기 제3본체 상면 각각에는,
    상기 분배된 음식물쓰레기가 상기 집중통에 일정높이로 일정시간 형성되면, 이를 감지하여 상기 제a-1비상밸브, 상기 제b-1비상밸브, 상기 제c-1비상밸브 각각을 제어하는 감지기;가 설치되며,
    상기 제1본체, 상기 제2본체, 상기 제3본체 중 2개의 본체로 상기 분쇄된 음식물쓰레기가 집중되는 동안, 나머지 1개의 본체에서는 상기 분쇄된 음식물쓰레기의 집중이 중단된 채 이미 집중된 음식물쓰레기가 건조되고, 건조된 음식물쓰레기는 상기 음식물쓰레기전용수거용기에 수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음식물쓰레기집중처리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a-2분배관과 상기 제a-1분배관은 하나의 관으로 합쳐진 상태로, 상기 제1본체의 상면에 구비된 음식물쓰레기유입구에 연결되고,
    상기 제b-1분배관은 상기 제2본체의 상면에 구비된 음식물쓰레기유입구에 연결되고,
    상기 제c-1분배관은 상기 제3본체의 상면에 구비된 음식물쓰레기유입구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음식물쓰레기집중처리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본체에 음식물쓰레기가 1차적으로 집중되고 상기 제2본체에 음식물쓰레기가 2차적으로 집중되고 상기 제3본체에서 이미 집중된 음식물쓰레기가 건조되기 위해서, 상기 제a-1밸브와 상기 제b-1밸브를 열고, 상기 제c-1밸브와 상기 제a-2밸브를 닫고,
    상기 제2본체에 음식물쓰레기가 1차적으로 집중되고 상기 제3본체에 음식물쓰레기가 2차적으로 집중되고 상기 제1본체에서 이미 집중된 음식물쓰레기가 건조되기 위해서, 상기 제b-1밸브와 상기 제c-1밸브를 열고, 상기 제a-1밸브와 상기 제a-2밸브를 닫고,
    상기 제3본체에 음식물쓰레기가 1차적으로 집중되고 상기 제1본체에 음식물쓰레기가 2차적으로 집중되고 상기 제2본체에서 이미 집중된 음식물쓰레기가 건조되기 위해서, 상기 제c-1밸브와 상기 제a-2밸브를 열고, 상기 제a-1밸브와 상기 제b-1밸브를 닫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음식물쓰레기집중처리기.
  7. 제1항 또는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집중통은,
    상기 본체에 고정되어, 상면으로 음식물쓰레기가 유입되고, 정면에는 투명창이 있으며, 바닥면은 집중통하단막이를 분리·장착할 수 있으며, 좌우측면에는 제1여과망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음식물쓰레기집중처리기.
  8. 제1항 또는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부는,
    상기 집중통의 좌우측에 위치되며 제1오수통로, 제2오수통로, 제3오수통로를 형성하는 여과틀; 및
    상기 집중통에 설치된 제1여과망과, 상기 집중통과 멀어지는 순서대로 상기 여과틀에 설치된 제2여과망, 제3여과망으로 구성된 여과망;을 포함하며,
    상기 제1오수통로, 상기 제2오수통로, 상기 제3오수통로는 상기 집중통과 멀어지면서 단계적으로 내려가는 계단식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여과망, 상기 제2여과망, 상기 제3여과망은 그 순서대로 여과구멍이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음식물쓰레기집중처리기.
  9. 제1항 또는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부는,
    제어부, 도어, 발열부, 송풍기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본체, 상기 제2본체, 상기 제3본체 상면 각각에 위치하고, 상기 도어와 상기 발열부, 그리고 상기 송풍기는 상기 집중통의 좌우측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음식물쓰레기를 집중할 때에는 상기 도어를 닫고 상기 발열부와 상기 송풍기의 작동을 중지하고, 음식물쓰레기를 건조할 때에는 상기 도어를 열고 상기 발열부의 발열에 의한 온기를 상기 송풍기의 송풍에 의해 상기 집중통에 집중된 음식물쓰레기와 오수통로에 축적된 음식물찌꺼기를 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음식물쓰레기집중처리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기는,
    상기 제1본체, 상기 제2본체, 상기 제3본체 상면 각각에 위치하며,
    상기 감지기는 제어부 및 광원과 광센서로 구성되고,
    상기 감지기의 하부에는 상기 광원에서 발산되는 빛의 투과율에 의해 음식물쓰레기와 오수를 구분하되, 음식물쓰레기가 일정높이로 일정시간 형성될 경우 음식물쓰레기를 감지하여,
    상기 제1-2분배관에 설치된 상기 제1비상밸브, 상기 제2-2분배관에 설치된 상기 제2비상밸브, 상기 제3-2분배관에 설치된 상기 제3비상밸브를 각각 작동시켜,
    상기 제1-2분배관에서 상기 제1본체로 음식물쓰레기와 오수의 이동을 차단시키고, 상기 제2-2분배관에서 상기 제2본체로 음식물쓰레기와 오수의 이동을 차단시키고, 상기 제3-2분배관에서 상기 제3본체로 음식물쓰레기와 오수의 이동을 차단시키고,
    상기 제1비상밸브, 상기 제2비상밸브, 상기 제3비상밸브가 작동된 시간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1비상밸브, 상기 제2비상밸브, 상기 제3비상밸브가 작동된 상태를 관리사무소로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음식물쓰레기집중처리기.
  1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기는,
    상기 제1본체, 상기 제2본체, 상기 제3본체 상면 각각에 위치하며,
    상기 감지기는 제어부 및 광원과 광센서로 구성되고,
    상기 감지기의 하부에는 상기 광원에서 발산되는 빛의 투과율에 의해 음식물쓰레기와 오수를 구분하되, 음식물쓰레기가 일정높이로 일정시간 형성될 경우 음식물쓰레기를 감지하여,
    상기 제a-1분배관에 설치된 상기 제a-1비상밸브, 상기 제b-1분배관에 설치된 상기 제b-1비상밸브, 상기 제c-1분배관에 설치된 상기 제c-1비상밸브를 각각 작동시켜,
    상기 제a-1분배관에서 상기 제1본체로 음식물쓰레기와 오수의 이동을 차단시키고, 상기 제b-1분배관에서 상기 제2본체로 음식물쓰레기와 오수의 이동을 차단시키고, 상기 제c-1분배관에서 상기 제3본체로 음식물쓰레기와 오수의 이동을 차단시키고,
    상기 제a-1비상밸브, 상기 제b-1비상밸브, 상기 제c-1비상밸브가 작동된 시간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a-1비상밸브, 상기 제b-1비상밸브, 상기 제c-1비상밸브가 작동된 상태를 관리사무소로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음식물쓰레기집중처리기.
KR1020150087179A 2013-09-06 2015-06-19 공동주택의 음식물쓰레기집중처리기 KR1016105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610447062.6A CN106256452A (zh) 2013-09-06 2016-06-20 公共住宅的食物垃圾集中处理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7094 2013-09-06
KR20140079473A KR20150028703A (ko) 2013-09-06 2014-06-27 공동주택의 음식물쓰레기집중수거처리기
KR1020140079473 2014-06-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1649A KR20160001649A (ko) 2016-01-06
KR101610593B1 true KR101610593B1 (ko) 2016-04-07

Family

ID=51998967

Family Applications (1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1832A KR101455962B1 (ko) 2013-09-06 2014-06-13 공동주택의 음식물쓰레기집중처리장치
KR20140079473A KR20150028703A (ko) 2013-09-06 2014-06-27 공동주택의 음식물쓰레기집중수거처리기
KR20140081595A KR20150028704A (ko) 2013-09-06 2014-07-01 공동주택의 음식물쓰레기집중수거시스템
KR20140081596A KR20150028705A (ko) 2013-09-06 2014-07-01 공동주택의 음식물쓰레기집중처리시스템
KR20140085923A KR20150028708A (ko) 2013-09-06 2014-07-09 공동주택의 음식물쓰레기공동처리장치
KR20140085924A KR20150028709A (ko) 2013-09-06 2014-07-09 공동주택의 음식물쓰레기공동처리시스템
KR20140085926A KR20150028710A (ko) 2013-09-06 2014-07-09 공동주택의 음식물쓰레기공동수거처리기
KR20140085925A KR20150028946A (ko) 2013-09-06 2014-07-09 공동주택의 음식물쓰레기공동수거시스템
KR20140089819A KR20150028712A (ko) 2013-09-06 2014-07-16 공동주택의 음식물쓰레기공동처리기
KR20140089820A KR20150028713A (ko) 2013-09-06 2014-07-16 공동주택의 음식물쓰레기집중처리기
KR20140111425A KR20150028949A (ko) 2013-09-06 2014-08-26 공동주택의 음식물쓰레기집중수거장치
KR1020150059453A KR101692145B1 (ko) 2013-09-06 2015-04-28 공동주택의 음식물쓰레기공동처리기
KR1020150059452A KR101718609B1 (ko) 2013-09-06 2015-04-28 공동주택의 음식물쓰레기집중처리기
KR1020150087179A KR101610593B1 (ko) 2013-09-06 2015-06-19 공동주택의 음식물쓰레기집중처리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1832A KR101455962B1 (ko) 2013-09-06 2014-06-13 공동주택의 음식물쓰레기집중처리장치
KR20140079473A KR20150028703A (ko) 2013-09-06 2014-06-27 공동주택의 음식물쓰레기집중수거처리기
KR20140081595A KR20150028704A (ko) 2013-09-06 2014-07-01 공동주택의 음식물쓰레기집중수거시스템
KR20140081596A KR20150028705A (ko) 2013-09-06 2014-07-01 공동주택의 음식물쓰레기집중처리시스템
KR20140085923A KR20150028708A (ko) 2013-09-06 2014-07-09 공동주택의 음식물쓰레기공동처리장치
KR20140085924A KR20150028709A (ko) 2013-09-06 2014-07-09 공동주택의 음식물쓰레기공동처리시스템
KR20140085926A KR20150028710A (ko) 2013-09-06 2014-07-09 공동주택의 음식물쓰레기공동수거처리기
KR20140085925A KR20150028946A (ko) 2013-09-06 2014-07-09 공동주택의 음식물쓰레기공동수거시스템
KR20140089819A KR20150028712A (ko) 2013-09-06 2014-07-16 공동주택의 음식물쓰레기공동처리기
KR20140089820A KR20150028713A (ko) 2013-09-06 2014-07-16 공동주택의 음식물쓰레기집중처리기
KR20140111425A KR20150028949A (ko) 2013-09-06 2014-08-26 공동주택의 음식물쓰레기집중수거장치
KR1020150059453A KR101692145B1 (ko) 2013-09-06 2015-04-28 공동주택의 음식물쓰레기공동처리기
KR1020150059452A KR101718609B1 (ko) 2013-09-06 2015-04-28 공동주택의 음식물쓰레기집중처리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4) KR101455962B1 (ko)
CN (1) CN10625645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3658B1 (ko) * 2019-04-22 2019-10-17 이남혁 공동주택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5962B1 (ko) * 2013-09-06 2014-10-31 지기현 공동주택의 음식물쓰레기집중처리장치
CN109248899B (zh) * 2018-04-17 2021-08-20 中国瑞林工程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判断废电路板样品中各金属品位的方法
KR102290074B1 (ko) 2020-03-30 2021-08-17 이남혁 옥내설치용 통합 쓰레기 배출장치
KR102231300B1 (ko) * 2020-07-24 2021-03-23 박시원 친환경 주택 생활하수 건조 처리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5962B1 (ko) 2013-09-06 2014-10-31 지기현 공동주택의 음식물쓰레기집중처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514563C2 (sv) * 1999-07-16 2001-03-12 Centralsug Ab En metod för avfallsuppsamlingssystem
KR100472611B1 (ko) * 2001-11-16 2005-03-08 함용승 중앙 집중식 음식물 쓰레기 자동 처리 시스템
KR200270122Y1 (ko) 2001-12-18 2002-03-29 김영주 아파트 주방에서의 음식물 쓰레기 배출 및 수거망장치시스템
KR100958817B1 (ko) * 2006-09-29 2010-05-24 문상훈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
KR100869941B1 (ko) 2008-08-05 2008-11-24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상수도용 압력식 정수시설 장치
FI122333B (fi) * 2010-06-03 2011-12-15 Maricap Oy Menetelmä materiaalinsiirtojärjestelmässä, materiaalinsiirtojärjestelmä ja materiaalinsiirtojärjestelmän alipainelähde
WO2013079784A1 (en) * 2011-12-02 2013-06-06 Maricap Oy Method and pneumatic material conveying system
KR101277073B1 (ko) 2012-03-28 2013-06-20 임창완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및 방법
FI124175B (fi) * 2012-08-22 2014-04-15 Maricap Oy Menetelmä materiaalin käsittelemiseksi materiaalinsiirtojärjestelmässä, materiaalinsiirtojärjestelmä ja materiaalinsiirtojärjestelmän erotinlaite
KR20150134662A (ko) * 2014-05-22 2015-12-02 장다영 공동주택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5962B1 (ko) 2013-09-06 2014-10-31 지기현 공동주택의 음식물쓰레기집중처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3658B1 (ko) * 2019-04-22 2019-10-17 이남혁 공동주택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8946A (ko) 2015-03-17
KR20160003550A (ko) 2016-01-11
KR20150028705A (ko) 2015-03-16
CN106256452A (zh) 2016-12-28
KR20150028949A (ko) 2015-03-17
KR20150028713A (ko) 2015-03-16
KR20160001616A (ko) 2016-01-06
KR20150028708A (ko) 2015-03-16
KR101692145B1 (ko) 2017-01-02
KR101718609B1 (ko) 2017-04-04
KR20160001649A (ko) 2016-01-06
KR20150028703A (ko) 2015-03-16
KR101455962B1 (ko) 2014-10-31
KR20150028712A (ko) 2015-03-16
KR20150028704A (ko) 2015-03-16
KR20150028710A (ko) 2015-03-16
KR20150028709A (ko) 2015-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0593B1 (ko) 공동주택의 음식물쓰레기집중처리기
US9644350B2 (en) System for recycling grey water
CN102505728A (zh) 雨水资源化利用成套技术
CN211922150U (zh) 具有快速排水功能的市政道路排水系统
KR101549613B1 (ko) 이동식 주택의 상하수도 시스템
CN107143009A (zh) 公厕给排水智能节水系统
KR100907480B1 (ko) 오수 재활용 장치
EP2786970A1 (en) Waste water treatment method
CN204529518U (zh) 一种新型餐饮废水处理全自动隔油提升设备
CN203429708U (zh) 具有储存反渗透净水机中非饮用水的壁挂式厨柜
JP4341850B1 (ja) 集合住宅用生ごみ処理活用システム
JP2012158971A (ja) 公衆トイレに於ける汚物の搬送装置及び搬送方法
CN107585905B (zh) 一种循环水系统环保厕所
CN206706920U (zh) 一种可回收水家用台式洗脸盆
CN201648072U (zh) 一种集成环保净水器
KR20150134662A (ko) 공동주택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US20130067646A1 (en) Waterless Urinal
CN204569580U (zh) 一种餐饮废水处理油水分离设备
CN205019957U (zh) 一种生物除臭设备的预洗池喷淋水循环系统
CN205516703U (zh) 一种过滤器反清洗装置
CN205590445U (zh) 二级分离式半自动隔油设备
CN111569467A (zh) 尿液生理活性物质的萃取系统及其使用方法
AU2009100268A4 (en) A method and system for reusing water
KR20110067500A (ko) 디스포저 통과 오수 처리장치
CN203108906U (zh) 节水清洗冷却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