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0383B1 - Indoor unit of Water circulation system associated with refrigerant cycle - Google Patents

Indoor unit of Water circulation system associated with refrigerant cy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0383B1
KR101610383B1 KR1020090112328A KR20090112328A KR101610383B1 KR 101610383 B1 KR101610383 B1 KR 101610383B1 KR 1020090112328 A KR1020090112328 A KR 1020090112328A KR 20090112328 A KR20090112328 A KR 20090112328A KR 101610383 B1 KR101610383 B1 KR 1016103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ipe
refrigerant
drain
drain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232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55775A (en
Inventor
강동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123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0383B1/en
Publication of KR201100557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577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03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038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68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refrigerant piping outside the heat exchanger within the unit ca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5/00Other 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 F24D15/04Other 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using heat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1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D19/100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 F24D19/1051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domestic hot water
    • F24D19/1054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domestic hot water the system uses a heat pum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9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hea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07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ool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ir-conditioning
    • F24F5/001Compression cycle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46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using natural energy, e.g. solar energy, energy from the groun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46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using natural energy, e.g. solar energy, energy from the ground
    • F24F2005/0064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using natural energy, e.g. solar energy, energy from the ground using solar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기 본체의 외부에 위치되는 드레인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냉매사이클 연동 물 순환 시스템의 실내기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실내기 본체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고, 상기 드레인 어셈블리의 선택적 사용 및 간편한 교체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door unit of a water circulation system linked to a refrigerant cycle including a drain assembly positioned outside the indoor unit body.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amage due to the condensed water generated in the indoor unit body can be minimized, and the drain assembly can be selectively used and easily replaced.

냉매사이클, 물 순환 시스템, 실내기, 드레인 어셈블리 Refrigerant cycle, water circulation system, indoor unit, drain assembly

Description

냉매사이클 연동 물 순환 시스템의 실내기{Indoor unit of Water circulation system associated with refrigerant cycle}{Indoor unit of water circulation system associated with refrigerator cycle}

본 발명은 냉매사이클과 연동하여 온수 공급 및 냉난방 기능을 수행하는 물 순환 시스템의 실내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door unit of a water circulation system that performs hot water supply and cooling and heating functions in conjunction with a refrigerant cycle.

종래에는 실내의 냉난방은 냉매사이클을 이용한 공기조화기에 의하여 수행되고, 온수 공급은 별도의 가열원을 구비하는 보일러에 의하여 수행되었다.Conventionally, heating and cooling of the room is performed by an air conditioner using a refrigerant cycle, and hot water is supplied by a boiler having a separate heating source.

보다 상세히, 상기 공기조화기는 실외에 설치되는 실외기와, 실내에 설치되는 실내기를 포함한다. 상기 실외기에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냉매와 실외 공기의 열교환을 위한 실외열교환기, 냉매가 팽창되는 감압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실내기에는 냉매와 실내 공기의 열교환을 위한 실내열교환기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실외열교환기 및 실내열교환기 중 어느 하나는 응축기, 다른 하나는 증발기로 작용하여, 상기 압축기, 실외열교환기, 감압장치, 실내열교환기는 냉매사이클을 수행하게 된다.More specifically, the air conditioner includes an outdoor unit installed outdoors and an indoor unit installed in the room. The outdoor unit is provided with a compressor for compressing the refrigerant, an outdoor heat exchanger for exchanging heat between the refrigerant and outdoor air, and a decompression device for expanding the refrigerant. The indoor unit is provided with an indoor heat exchanger for heat exchange between the refrigerant and the room air. At this time, any one of the outdoor heat exchanger and the indoor heat exchanger functions as a condenser and the other operates as an evaporator, and the compressor, outdoor heat exchanger, decompressor, and indoor heat exchanger perform a refrigerant cycle.

그리고, 상기 보일러는 오일, 가스 또는 전기 등을 이용하여 열을 발생시켜, 물을 가열함으로써 온수를 공급하거나 바닥난방을 수행한다. The boiler generates heat by using oil, gas or electricity, and supplies hot water by heating water or performs floor heating.

본 발명은 응축수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냉매사이클 연동 물 순환 시스템의 실내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door unit of a water circulation system linked to a refrigerant cycle that can minimize the damage caused by condensed water.

그리고, 본 발명은 부품의 선택적 사용 및 교체가 더욱 간편해질 수 있는 냉매사이클 연동 물 순환 시스템의 실내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door unit of a water circulation system linked to a refrigerant cycle in which selective use and replacement of components can be simplified.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o the precise forms disclosed. Other objects, which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t will be possible.

상기한 바와 같이 제안되는 본 발명에 의한 냉매사이클 연동 물 순환 시스템의 실내기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고, 물과 냉매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수냉매열교환기; 상기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및 상기 냉매와 실외 공기 간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실외열교환기를 포함하는 실외기와, 상기 수냉매열교환기를 연결하는 냉매배관; 실내 냉난방을 위한 실내 냉난방부 및 온수 공급을 위한 급탕부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수냉매열교환기를 연결하는 수배관; 및 상기 본체의 외부에 위치되고, 상기 수냉매열교환기, 냉매배관 및 수배관 중 적어도 하나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를 집수하는 드레인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indoor unit of the water circulation system linked to the refrigerant cy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having a space formed therein; A water-refrigerant heat exchanger provided in the main body and performing heat exchange between water and refrigerant; An outdoor unit including a compressor for compressing the refrigerant and an outdoor heat exchanger for exchanging heat between the refrigerant and outdoor air; a refrigerant pipe connecting the water refrigerant heat exchanger; A water pipe connecting at least one of an indoor cooling and heating unit for indoor cooling and heating and a hot water supply unit for supplying hot water, and the water refrigerant heat exchanger; And a drain assembly located outside the main body and collecting condensed water generated in at least one of the water-refrigerant heat exchanger, the refrigerant pipe, and the water pipe.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냉매사이클 연동 물 순환 시스템의 실내기에 의하면, 실내기 본체에서 발생되는 응축수가 모두 드레인 어셈블리에 집수될 수 있으므로, 상기 응축수가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방향으로 누수되는 현상이 최소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응축수로 인한 사용자의 불괘감 또는 상기 실내기에 인접한 물건의 손상 등과 같은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indoor unit of the water circulation system interlocked with the refrigerant cy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densed water generated in the indoor unit body can be collected in the drain assembly, so that the phenomenon that the condensed water leaks in an unintended direction by the user is minimized .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damage such as a user's burning due to the condensed water or damage to an object adjacent to the indoor unit can be minimized.

그리고, 상기 드레인 어셈블리가 상기 실내기 본체의 외부에 위치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상기 드레인 어셈블리를 선택적으로 더욱 간편하게 결합 또는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레인 어셈블리가 손상된 경우, 상기 드레인 어셈블리를 교체하는 작업도 더욱 간편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Further, since the drain assembly is located outside the indoor unit body, the drain assembly can be selectively or more easily combined or separated according to the user's needs. In addition, when the drain assembly is damaged, the operation of replacing the drain assembly can be further simplified.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냉매사이클 연동 물 순환 시스템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Hereinafter, a water circulation system linked to a refrigerant cy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냉매사이클 연동 물 순환 시스템의 실시예의 구성도이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mbodiment of a water circulation system linked with a refrigerant cy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 순환 시스템(1)은, 냉매 사이클이 수행되는 히트펌프와, 실내의 급탕 및 냉난방을 위하여 상기 냉매와 열교환하는 물이 유동하는 실내열전달부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a water circulation system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eat pump in which a refrigerant cycle is performed, and an indoor heat transfer unit in which water for heat exchange with the refrigerant flows for hot water supply and cooling / do.

상세히, 상기 히트펌프는, 냉매를 고온 고압으로 압축하는 압축기(21)와, 상기 압축기(21)로부터 토출되는 냉매의 흐름 방향을 조절하는 사방 밸브(four-way valve)(22)와, 상기 사방 밸브(22)를 통과한 고온 고압의 냉매가 상기 실내열전달부의 수배관을 따라 흐르는 물과 열교환하는 수냉매 열교환기(water-refrigerant heat exchanger)(31)와, 상기 수냉매 열교환기(31)를 통과한 냉매가 저온 저압으로 팽창되도록 하는 팽창부(expansion part)(24) 및 상기 팽창부(24)를 통과한 냉매가 실외 공기와 열교환하도록 하는 실외 열교환기(23)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압축기(21), 사방 밸브(22), 수냉매 열교환기(31), 팽창부(24) 및 실외 열교환기(23)는 냉매배관(25)에 의하여 연결되어 냉매 사이클 폐회로를 구성한다. Specifically, the heat pump includes a compressor 21 for compressing the refrigerant to a high temperature and a high pressure, a four-way valve 22 for regulating the flow direction of the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compressor 21, A water-refrigerant heat exchanger 31 in which high-temperature, high-pressure refrigerant having passed through the valve 22 is heat-exchanged with water flowing along a water pipe of the indoor heat-transfer portion, and a water-refrigerant heat exchanger An expansion part 24 for allowing the refrigerant that has passed through to expand at a low temperature and a low pressure and an outdoor heat exchanger 23 for allowing refrigerant having passed through the expansion part 24 to exchange heat with outdoor air. The compressor 21, the four-way valve 22, the water-refrigerant heat exchanger 31, the expansion unit 24, and the outdoor heat exchanger 23 are connected by a refrigerant pipe 25 to constitute a refrigerant cycle closed circuit .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물 순환 시스템(1)은, 냉매 사이클이 포함되는 실외기(2)와, 상기 냉매 사이클을 따라 상변화되는 냉매와 물이 열교환되도록 하는 실내기(3)와, 실내의 온수 공급을 위하여 상기 실내기(3)에 연결되는 급탕부(hot water supply part)(4)와, 실내의 냉난방을 위하여 상기 실내기(3)에 연결되는 수배관(water pipe)으로 구성되는 냉난방부(5)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water circulation system (1) comprises an outdoor unit (2) including a refrigerant cycle, an indoor unit (3) for exchanging heat between the refrigerant and the water that is changed in phase along the refrigerant cycle, A hot water supply part 4 connected to the indoor unit 3 for the indoor unit 3 and a water pipe connected to the indoor unit 3 for cooling and heating the room, .

여기서, 상기 히트펌프에 포함되는 상기 압축기(21), 사방밸브(22), 팽창부(24) 및 실외 열교환기(23)는, 실외에 위치되는 상기 실외기(2)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실외기(2)가 냉방 모드로 운전되는 경우에는 상기 실외 열교환기(23)가 증발기의 기능을 수행하고, 난방 모드로 운전되는 경우에는 응축기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Here, the compressor 21, the four-way valve 22, the expansion unit 24, and the outdoor heat exchanger 23 included in the heat pump are installed in the outdoor unit 2 located outdoors. When the outdoor unit 2 is operated in the cooling mode, the outdoor heat exchanger 23 performs the function of the evaporator. When the outdoor unit 2 operates in the heating mode, the outdoor heat exchanger 23 performs the function of the condenser.

또한, 상기 히트펌프에 포함되는 상기 수냉매 열교환기(31)는, 실내에 위치되는 상기 실내기(3)에 설치된다. 더불어, 상기 실내기(3)에는, 상기 수냉매 열교환기(31)와, 상기 수냉매 열교환기(31)의 출구측에 연장되는 수배관에 장착되어, 물의 흐름을 감지하는 플로우 스위치(flow switch)(32)와, 상기 플로우 스위치(32)로부터 물의 유동 방향으로 이격된 어느 지점에서 분지되는 팽창 탱크(expansion tank)(33)와, 상기 수냉매 열교환기(31)의 출구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수배관의 단부가 삽입되며, 내부에 보조 히터(35)가 제공되는 집수 탱크(34)와, 상기 집수 탱크(34)의 출구측 수배관의 어느 지점에 제공되는 워터 펌프(water pump)(36)가 설치된다. Further, the water-refrigerant heat exchanger (31) included in the heat pump is installed in the indoor unit (3) located in the room. In addition, the indoor unit 3 is provided with a water-refrigerant heat exchanger 31 and a flow switch installed in a water pipe extending to the outlet side of the water-refrigerant heat exchanger 31, An expansion tank 33 branched from the flow switch 32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flow direction of the water and a water pipe 33 extending from the outlet side of the water refrigerant heat exchanger 31, And a water pump 36 provided at any point of the water pipe at the outlet side of the water collecting tank 34 is connected to the water collecting tank 34 Respectively.

보다 상세히, 상기 수냉매 열교환기(31)는 상기 냉매 사이클 폐회로를 따라 흐르는 냉매와 상기 수배관을 따라 흐르는 물이 열교환하는 장치로서, 예를 들면 판형 열교환기가 적용 가능하다. 상기 수냉매 열교환기(31)의 내부에는, 상기 냉매와 물이 독립적으로 유동하면서 서로 열교환할 수 있는 유로가 형성된다. More specifically, the water-refrigerant heat exchanger (31) exchanges heat between refrigerant flowing along the refrigerant cycle closed circuit and water flowing along the water pipe, and for example, a plate heat exchanger is applicable. In the water-refrigerant heat exchanger (31), a flow path is formed in which the refrigerant and the water independently flow and can exchange heat with each other.

여기서, 상기 시스템(1)이 급탕 모드 또는 난방 모드로 운전되는 경우에는, 상기 수냉매 열교환기(31)에서는 상기 압축기(21)를 통과한 고온 고압의 기체 냉매로부터 상기 수배관을 따라 흐르는 물로 열이 전달된다. 반대로, 상기 시스템(1)이 냉방 모드로 운전되는 경우에는, 상기 수냉매 열교환기(31)에서는 상기 수배관을 따라 흐르는 물로부터 상기 팽창부(24)를 통과한 냉매로 열이 전달된다. 즉, 상기 시스템(1)이 급탕 모드 또는 난방 모드로 운전되는 경우에는, 상기 수냉매 열교환기(31)로 유입되는 물은 상기 급탕부(4) 및 냉난방부(5)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열을 방출하여 식은 상태이다. 반대로, 상기 시스템(1)이 냉방 모드로 운전되는 경우에는, 상기 수냉매 열교환기(31)로 유입되는 물은 상기 냉난방부(5)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열을 흡수하여 가열된 상태이다.In this case, when the system 1 is operated in the hot water supply mode or the heating mode, the water refrigerant heat exchanger 31 performs heat exchange between the high-temperature and high-pressure gas refrigerant that has passed through the compressor 21, ≪ / RTI > Conversely, when the system 1 is operated in the cooling mode, heat is transferred from the water flowing along the water pipe to the refrigerant passing through the expansion part 24 in the water-refrigerant heat exchanger 31. That is, when the system 1 is operated in the hot water supply mode or the heating mode, the water flowing into the water-refrigerant heat exchanger 31 flows through the hot water supply unit 4 and the cooling / And is in a state of being cooled. Conversely, when the system 1 is operated in the cooling mode, the water flowing into the water-refrigerant heat exchanger 31 is in a state of being absorbed and heated by the process of passing through the cooling / heating unit 5.

또한, 상기 팽창 탱크(33)는, 상기 수냉매 열교환기(31)를 통과하면서 가열된 물의 부피가 적정 수준 이상으로 팽창될 때 이를 흡수하는 완충 기능을 수행한다. In addition, the expansion tank 33 performs a buffering function of absorbing the water when the volume of the heated water is expanded to an appropriate level or higher while passing through the water-refrigerant heat exchanger 31.

또한, 상기 집수 탱크(34)는, 상기 수냉매 열교환기(31)를 통과한 물이 집수되는 용기이다. 그리고, 상기 집수 탱크(34) 내부에는 보조 히터(35)가 장착되어, 제상 운전 과정 또는 수냉매 열교환기(31)를 통한 흡입 열량이 요구되는 열량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 선택적으로 동작하게 된다. The water collecting tank (34) is a container for collecting 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water-refrigerant heat exchanger (31). An auxiliary heater 35 is installed in the water collecting tank 34 to selectively operate when the amount of heat absorbed through the defrosting operation process or the water-refrigerant heat exchanger 31 is less than a required heat quantity.

그리고, 상기 집수 탱크(34)의 상측에는 에어 벤트(air vent)(343)가 형성되어, 상기 집수 탱크(34) 내에 존재하는 과열 상태의 공기가 배출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집수 탱크(35)의 어느 일측에는 압력 게이지(341)와 릴리프 밸브(342)가 제공되어, 상기 집수 탱크(35) 내부의 압력이 적절하게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압력 게이지(341)를 통해서 표시되는 상기 집수 탱크(35) 내부 수압이 과도하게 높을 때에는, 상기 릴리프 밸브(342)가 개방되도록 하여 탱크 내 압력이 적절하게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An air vent 343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collecting tank 34 so that the superheated air existing in the collecting tank 34 is discharged. A pressure gauge 341 and a relief valve 342 are provided on either side of the water collecting tank 35 so that the pressure inside the water collecting tank 35 can be appropriately adjusted. For example, when the water pressure inside the water collecting tank 35 displayed through the pressure gauge 341 is excessively high, the relief valve 342 is opened so that the pressure in the tank can be appropriately adjusted.

또한, 상기 워터 펌프(36)는, 상기 집수 탱크(34)의 출구측에서 연장되는 수배관을 통해서 토출되는 물을 펌핑하여, 급탕부(4)와 냉난방부(5)로 공급되도록 한다. The water pump 36 pumps the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water pipe extending from the outlet side of the water collecting tank 34 to be supplied to the hot water supply unit 4 and the cooling and heating unit 5.

한편, 상기 실내열전달부는, 상기 급탕부(4) 및 상기 냉난반부(5)를 포함한다. On the other hand, the indoor heat transfer part includes the hot water supply part 4 and the cold / hot water half part 5.

먼저, 상기 급탕부(4)는, 사용자가 세면 또는 설거지 등과 같은 작업에 필요 한 물을 데워서 공급하는 부분이다. 상세히, 상기 워터 펌프(36)로부터 물의 흐름 방향으로 이격된 어느 지점에는 물의 흐름을 제어하는 삼방 밸브(three-way valve)(60)가 제공된다. 상기 삼방 밸브(60)는, 상기 워터 펌프(36)에 의하여 펌핑된 물이 상기 급탕부(4) 또는 상기 냉난방부(5)로 흐르도록 하는 방향 전환 밸브이다. 따라서, 상기 삼방 밸브(60)의 출구측에는 급탕부로 연장되는 급탕 배관(48)과, 상기 냉난방부(5)로 연장되는 냉난방 배관(53)이 각각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워터 펌프(36)에 의하여 펌핑되는 물은 상기 삼방 밸브(60)의 제어에 따라 상기 급탕 배관(48) 또는 냉난방 배관(53) 중 어느 한 쪽으로 선택적으로 흐르게 된다. First, the hot water supply unit 4 is a part for warming up and supplying water required for a work such as washing or washing dishes. In detail, a three-way valve 60 for controlling the flow of water is provided at any point spaced apart from the water pump 36 in the water flow direction. The three-way valve 60 is a direction switching valve for allowing water pumped by the water pump 36 to flow into the hot water supply unit 4 or the cooling / heating unit 5. The hot water pipe 48 extending to the hot water supply unit and the cooling / heating pipe 53 extending to the cooling / heating unit 5 are connected to the outlet of the three-way valve 60, respectively. The water pumped by the water pump 36 selectively flows to either the hot water pipe 48 or the cooling / heating pipe 53 under the control of the three-way valve 60.

상기 급탕부(4)에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저장하고, 저장된 물이 데워지도록 하는 급탕 탱크(41)와, 상기 급탕 탱크(41)의 내부에 제공되는 보조 히터(42)가 포함된다. 그리고, 설치 형태에 따라 상기 급탕 탱크(41)에 열을 공급하는 보조 열원이 더 추가될 수 있다. 그리고, 제시 가능한 보조 열원으로서는 태양열을 이용한 축열조(43)가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급탕부(4)의 일측면에는 냉수가 유입되기 위한 입수부(411)와, 가열된 물이 토출되는 출수부(412)가 구비된다. The hot water supply unit 4 includes a hot water tank 41 for storing water supplied from outside and heating the stored water and an auxiliary heater 42 provided inside the hot water tank 41. Further, an auxiliary heat source for supplying heat to the hot water tank 41 may be further added depending on the installation mode. As a possible auxiliary heat source, a heat storage tank 43 using solar heat is possible. A water inlet 411 for introducing cold water and a water outlet 412 for discharging heated water ar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hot water supply unit 4.

상세히, 상기 삼방 밸브(60)로부터 연장되는 급탕 배관의 일부는 상기 급탕 탱크(41)로 인입되어, 상기 급탕 탱크(41) 내부에 저장된 물을 가열한다. 즉, 상기 급탕 배관(48) 내부를 따라 흐르는 고온의 물로부터 상기 급탕 탱크(41)에 저장된 물로 열이 전달된다. 그리고, 특정한 경우에는 상기 보조 히터(42)와 상기 보조 열원이 동작하여 추가적인 열을 더 공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목욕을 하기 위하여 온수를 많이 필요로 하는 경우와 같이, 단시간에 물이 데워져야 하는 경우에 동작할 수 있다. Part of the hot water piping extending from the three-way valve 60 is drawn into the hot water tank 41 to heat the water stored in the hot water tank 41. That is, heat is transferred from the hot water flowing along the inside of the hot water pipe 48 to the water stored in the hot water tank 41. In a specific case, the auxiliary heater 42 and the auxiliary heat source may operate to further supply additional heat. For example, it can operate when water needs to be warmed up in a short time, such as when the user needs a lot of hot water to bathe.

실시예에 따라, 상기 출수부(412)에는 샤워기(45)와 같은 온수 토출 장치 또는 가습기(46)와 같은 가전 장치가 연결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보조 열원으로서 태양열을 이용한 축열조(43)가 사용되는 경우, 상기 축열조(43)로부터 연장되는 축열 배관(47)이 상기 급탕 탱크(41) 내부로 삽입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축열 배관(47) 상에는 축열 배관 폐회로 내부의 유속을 제어하는 보조 펌프(44)가 장착되고, 상기 축열 배관(47) 내부의 물의 흐름 방향을 제어하기 위한 방향 절환 밸브(VA)가 장착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water outlet 412 may be connected to a hot water discharge device such as a shower 45 or a household appliance such as a humidifier 46. When the solar heat storage tank 43 is used as the auxiliary heat source, the heat storage pipe 47 extending from the heat storage tank 43 may be inserted into the hot water tank 41. An auxiliary pump 44 for controlling the flow rate in the heat storage pipe closed circuit is mounted on the heat storage pipe 47 and a direction switching valve VA for controlling the flow direction of the water in the heat storage pipe 47 is mounted .

상기에서 제시된 태양열을 이용한 축열부와 같은 보조 열원 구조는 제시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다양한 형태를 가지고 다른 위치에 장착 가능함을 밝혀 둔다. It is to be noted that the auxiliary heat source structure such as the heat storage unit using the solar heat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illustrated embodiment but can be mounted in different locations with various shapes.

한편, 상기 냉난방부(5)에는, 상기 냉난방 배관(53)의 일부가 실내 바닥에 매설되어 형성되는 바닥 냉난방부(51)와, 상기 냉난방 배관(53)의 어느 지점으로부터 분지되어 상기 바닥 냉난방부(51)와 병렬 연결되는 공기 냉난방부(52)가 포함된다. The cooling / heating unit 5 includes a floor cooling / heating unit 51 formed by partially embedding the cooling / heating pipe 53 in the floor of the room, And an air cooling / heating unit 52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air conditioning unit 51.

상세히, 상기 바닥 냉난방부(5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 바닥에 미앤더 라인(meander line) 형태로 매설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기 냉난방부(52)는 팬 코일 유닛(Fan Coil Unit) 또는 라디에이터(Radiator)등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기 냉난방부(52)에는 상기 냉난방 배관(53)으로부터 분지되는 공기 냉난방 배관(54) 일부가 열교환 수단으로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공기 냉난방 배관(54)이 분지되는 지점에는 삼방 밸브와 같은 유로 전환 밸브(55,56)가 설치되어, 상기 냉난방 배관(53)을 따라 흐르는 냉매가 상기 바닥 냉난방부(51)와 공기 냉난방부(52)로 나뉘어 흐르거나 어느 한 쪽으로만 흐르도록 할 수 있다.In detail, the floor heating / heating unit 51 may be embedded in meander lines on the floor of the room as shown in the figure. The air cooling / heating unit 52 may be a fan coil unit or a radiator. A part of the air cooling / heating pipe 54 branched from the cooling / heating pipe 53 is provided in the air cooling / heating unit 52 as a heat exchange unit. A flow switching valve 55 or 56 such as a three-way valve is provided at a branch point of the air cooling / heating pipe 54 so that the refrigerant flowing along the cooling / It can be divided into the cooling / heating section 52 and flowed to either side.

또한, 상기 삼방 밸브(60)로부터 연장되는 상기 급탕 배관(48)의 단부는 상기 공기 냉난방 배관(54)의 출구단으로부터 물의 흐름 방향으로 이격되는 지점에서 합지된다. 따라서, 급탕 모드에서는 상기 급탕 배관(48)을 따라 흐르는 냉매는 상기 냉난방 배관(53)으로 다시 합쳐진 후에 상기 수냉매 열교환기(31)로 유입된다. The end of the hot water piping 48 extending from the three-way valve 60 is joined at a point where it is spaced apart from the outlet end of the air cooling / heating pipe 54 in the direction of water flow. Therefore, in the hot water supply mode, the refrigerant flowing along the hot water supply pipe (48) is reintroduced into the cooling / heating pipe (53) and then flows into the water refrigerant heat exchanger (31).

여기서, 상기 급탕 배관(48)이 상기 냉난방 배관(53)과 합쳐지는 지점과 같이, 역류 차단을 필요로 하는 지점에는 역지 밸브(V)가 설치되어, 물의 역류가 방지되도록 할 수 있다. 같은 맥락으로, 상기 유로 전환 밸브(56)가 설치되는 방법 외에, 상기 공기 냉난방 배관(54)의 출구단과 상기 바닥 냉난방부(51)의 출구단에 역지 밸브가 각각 설치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Here, a check valve (V) is installed at a point where the reverse flow shut-off is required, such as a point where the hot water pipe (48) is combined with the cooling / heating pipe (53), so that back flow of water can be prevented. In the same manner,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a check valve at the outlet end of the air cooling / heating pipe 54 and at the outlet end of the bottom cooling / heating unit 51, respectively, in addition to the way in which the flow path switching valve 56 is installed.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냉매사이클 연동 물 순환 시스템의 실내기 구조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structure of an indoor unit of a water circulation system linked to a refrigerant cy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냉매사이클 연동 물 순환 시스템의 실시예의 외관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냉매사이클 연동 물 순환 시스템의 실시예의 내부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of a water circulation system interlocked with a refrigerant cy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ternal state of an embodiment of a water circulation system interlocked with a refrigerant cy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실내기(3)는, 상기 수냉매열교환기(31), 집수탱크(34), 팽창탱크(33), 워터펌프(36) 등과 같은 부품이 설치되는 실내기 본체(30)와, 상기 실내기 본체(30)에 설치되는 다양한 부품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를 집수 및 안내하기 위한 드레인 어셈블리(7)를 포함한다.2 and 3, the indoor unit 3 includes an indoor unit main body 3 in which components such as the water-refrigerant heat exchanger 31, the water collecting tank 34, the expansion tank 33, the water pump 36, And a drain assembly 7 for collecting and guiding condensed water generated from various components installed in the indoor unit body 30. [

상기 실내기 본체(30)의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수냉매열교환기(31)와, 상기 집수탱크(34)와, 상기 팽창탱크(33)와, 상기 워터펌프(36)가 설치된다. 상기 수냉매열교환기(31)는 상기 실내기 본체(30)의 중심부에 위치되고, 상기 집수탱크(34)는 상기 수냉매열교환기(31)의 일측방에 위치되고, 상기 팽창탱크(33)는 상기 수냉매열교환기(31)의 상방에 위치되고, 상기 워터펌프(36)는 상기 집수탱크(34)의 하방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수냉매열교환기(31), 집수탱크(34), 팽창탱크(33) 및 워터펌프(36)는, 수배관(61)으로 연결된다. A space is formed in the indoor unit body 30 to provide the water-refrigerant heat exchanger 31, the water collecting tank 34, the expansion tank 33, and the water pump 36. The water-refrigerant heat exchanger (31)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indoor unit body (30), the water collecting tank (34) is located at one side of the water-refrigerant heat exchanger (31) Is located above the water-refrigerant heat exchanger (31), and the water pump (36) is located below the water collecting tank (34). The water refrigerant heat exchanger 31, the water collecting tank 34, the expansion tank 33 and the water pump 36 are connected to the water pipe 61.

상기 수냉매열교환기(31)와 집수탱크(34)를 연결하는 수배관(61)의 일측에는 상기 플로우 스위치(32)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집수탱크(34)의 상단에는 상기 에어 벤트(343)가 설치되고, 상기 집수탱크(34)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는 배관의 단부에는 상기 압력 게이지(341) 및 릴리프 밸브(342)가 설치된다. The flow switch 32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water pipe 61 connecting the water refrigerant heat exchanger 31 and the water collecting tank 34. The air vent 343 is installed at the upper end of the water collecting tank 34 and the pressure gauge 341 and the relief valve 342 are installed at the end of the pipe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water collecting tank 34 do.

한편 상기 수냉매열교환기(31)에는, 상기 수냉매열교환기(31)와 상기 실외기(2) 간에 냉매를 유동시키기 위한 냉매배관(25)이 연결된다. 즉, 상기 냉매배관(25)은, 상기 압축기(2)(도 1 참조) 및 실외열교환기(23)(도 1 참조)를 포함하는 실외기(2)와 상기 수냉매열교환기(31)를 연결한다. 상기 냉매배관(25)은, 상기 수냉매열교환기(31)를 향하여 유입되는 냉매를 안내하기 위한 유입측 냉매배관(251)과, 상기 수냉매열교환기(31)로부터 토출되는 냉매를 안내하기 위한 토출측 냉매배관(252)을 포함한다. 상기 유입측 냉매배관(251)은 상기 수냉매열교환기(31)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실내기 본체(30)의 하방으로 연장된다. 상기 토출측 냉매배 관(252)은 상기 수냉매열교환기(31)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실내기 본체(30)의 하방으로 연장된다. 즉, 상기 유입측 냉매배관(251) 및 토출측 냉매배관(252)은 모두 상기 실내기 본체(30)의 바닥면을 관통하여, 상기 실내기 본체(30)의 하방으로 연장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the water refrigerant heat exchanger (31) is connected to a refrigerant pipe (25) for flowing the refrigerant between the water-refrigerant heat exchanger (31) and the outdoor unit (2). That is, the refrigerant piping 25 connects the outdoor unit 2 including the compressor 2 (see FIG. 1) and the outdoor heat exchanger 23 (see FIG. 1) and the water-refrigerant heat exchanger 31 do. The refrigerant pipe (25) includes an inlet-side refrigerant pipe (251) for guiding the refrigerant flowing toward the water-refrigerant heat exchanger (31), a refrigerant pipe for guiding the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water- And a discharge side refrigerant pipe 252. The inlet-side refrigerant pipe 251 extends from the upper end of the water-refrigerant heat exchanger 31 to the lower side of the indoor unit body 30. The discharge-side refrigerant pipe 252 extends down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water-refrigerant heat exchanger 31 to the indoor unit body 30. That is, the inlet-side refrigerant pipe 251 and the outlet-side refrigerant pipe 252 extend through the bottom surface of the indoor unit body 30 and extend downwardly from the indoor unit body 30.

또한, 상기 수배관(61)은, 상기 수냉매열교환기(31)로 유입되는 물을 안내하기 위한 유입측 수배관(611)과, 상기 수냉매열교환기(31)로부터 토출되어 상기 집수탱크(34) 및 워터펌프(36)를 통과한 물을 상기 급탕부(4) 및 냉난방부(5)로 안내하기 위한 토출측 수배관(612)을 포함한다. 상기 유입측 수배관(611)은 상기 수냉매열교환기(31)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실내기 본체(30)의 하방으로 연장된다. 상기 토출측 수배관(612)은 상기 수냉매열교환기(31)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실내기 본체(30)의 하방으로 연장된다. 즉, 상기 유입측 수배관(611) 및 토출측 수배관(612)은 모두 상기 실내기 본체(30)의 바닥면을 관통하여, 상기 실내기 본체(30)의 하방으로 연장되게 된다.The water pipe 61 includes an inlet water pipe 611 for guiding the water flowing into the water refrigerant heat exchanger 31 and an outlet water pipe 611 discharged from the water refrigerant heat exchanger 31, And a discharge side water pipe 612 for guiding the water having passed through the water pump 36 and the water pump 36 to the hot water supply unit 4 and the cooling and heating unit 5. The inlet-side water pipe 611 extends from the lower end of the water-refrigerant heat exchanger 31 to the lower side of the indoor unit body 30. The discharge side water pipe 612 extends from the upper end of the water-refrigerant heat exchanger 31 to the lower side of the indoor unit body 30. That is, both the inflow water pipe 611 and the discharge water pipe 612 extend through the bottom surface of the indoor unit body 30 and extend downwardly from the indoor unit body 30.

한편, 상기 드레인 어셈블리(7)는, 상기 실내기 본체(30)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를 집수하고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안내하기 위하여, 상기 실내기 본체(30)의 하방에 위치된다. 이때, 상기 드레인 어셈블리(7)는, 상기 실내기 본체(30)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를 효과적으로 집수할 수 있도록, 상기 실내기 본체(30)의 하단부를 둘러싸게 된다.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실내기 본체(30)는 수직 방향으로 상기 드레인 어셈블리(7)의 사영 내에 포함되게 된다. The drain assembly 7 is positioned below the indoor unit body 30 to guide condensate generated in the indoor unit body 30 to be collected and discharged smoothly. At this time, the drain assembly 7 surrounds the lower end of the indoor unit body 30 so as to effectively collect the condensed water generated from the indoor unit body 30. On the other hand, the indoor unit body 30 is included in the projection of the drain assembly 7 in the vertical direction.

더불어, 상기 드레인 어셈블리(7)는, 상기 실내기 본체(30)의 외부에 위치되 는 상기 냉매배관(25) 및 수배관(61)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게 된다.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냉매배관(25) 및 수배관(61)은 상기 실내기 본체(30)의 바닥면 및 드레인 어셈블리(7)를 관통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drain assembly 7 surrounds at least a part of the refrigerant pipe 25 and the water pipe 61 located outside the indoor unit body 30. On the other hand, the refrigerant pipe 25 and the water pipe 61 pass through the bottom surface of the indoor unit body 30 and the drain assembly 7.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냉매사이클 연동 물 순환 시스템의 실시예의 드레인 어셈블리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drain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a water circulation system linked to a refrigerant cy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냉매사이클 연동 물 순환 시스템의 실시예의 제 1 드레인 유닛이 분리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냉매사이클 연동 물 순환 시스템의 실시예의 드레인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drain unit of a water circulation system linked to a refrigerant cy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drain assembly of a water circul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드레인 어셈블리(7)는, 응축수가 집수되는 드레인부(71)와, 상기 드레인부(71)를 차폐하는 단열커버부(75)를 포함한다. 상기 드레인부(71)는, 상기 실내기 본체(30)와 상기 드레인 어셈블리(7)의 사이 공간에 노출되어, 실질적으로 상기 실내기 본체(30)에서 발생되는 응축수가 집수되는 부분에 해당한다. 그리고, 상기 단열커버부(75)는, 상기 드레인 어셈블리(7) 내외부의 단열을 위하여 상기 드레인부(71)의 외면을 둘러싸도록 형성된다.4 and 5, the drain assembly 7 includes a drain portion 71 for collecting condensed water, and a heat insulating cover portion 75 for shielding the drain portion 71. As shown in FIG. The drain portion 71 corresponds to a portion where the condensed water generated in the indoor unit body 30 is collected in the space between the indoor unit body 30 and the drain assembly 7. The heat insulating cover part 75 is formed to sur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drain part 71 for heat insulation inside and outside the drain assembly 7.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드레인 어셈블리(7)는, 상기 냉매배관(25) 및 수배관(61)의 전방에 위치되는 제 1 드레인 유닛(78)과, 상기 냉매배관(25) 및 수배관(61)의 후방에 위치되는 제 2 드레인 유닛(79)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 1 드레인 유닛(78)은 상기 냉매배관(25) 및 수배관(61) 각각의 전반부를 감싸게 되고, 상기 제 2 드레인 유닛(79)은 상기 냉매배관(25) 및 수배관(61) 각각의 후반부를 감싸게 된다. 즉, 상기 제 1 드레인 유닛(78)과 제 2 드레인 유닛(79)은 상기 냉매 배관(25) 및 수배관(61)을 연결하는 가상의 선을 경계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drain assembly 7 includes a first drain unit 78 positioned in front of the refrigerant pipe 25 and the water pipe 61, and a second drain unit 78 located in front of the refrigerant pipe 25 and the water pipe 61 And a second drain unit 79 located behind the second drain unit 79. The first drain unit 78 surrounds the first half of each of the refrigerant pipe 25 and the water pipe 61 and the second drain unit 79 surrounds the refrigerant pipe 25 and the water pipe 61 ) To wrap the second half of each. That is, the first drain unit 78 and the second drain unit 79 are bounded by virtual lines connecting the refrigerant pipe 25 and the water pipe 61.

그리고, 상기 제 1 드레인 유닛(78)은, 상기 응축수가 집수되는 제 1 드레인부(72)와, 상기 제 1 드레인부(72)를 둘러싸는 제 1 단열커버부(76)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2 드레인 유닛(79)은, 상기 응축수가 집수되는 제 2 드레인부(73)와, 상기 제 2 드레인부(73)를 둘러싸는 제 2 단열커버부(77)를 포함한다.The first drain unit 78 includes a first drain part 72 for collecting the condensed water and a first heat insulating cover part 76 surrounding the first drain part 72. The second drain unit 79 includes a second drain portion 73 for collecting the condensed water and a second heat insulating cover portion 77 surrounding the second drain portion 73.

한편, 상기 드레인 어셈블리(7)는, 서로 높이가 다른 2단의 바닥면을 포함한다. 보다 상세히, 상기 드레인 어셈블리(7)는, 상기 냉매배관(25)에 대응되는 제 1 바닥면(711)과, 상기 수배관(61)에 대응되는 제 2 바닥면(712)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 1 바닥면(711)은 상기 제 2 바닥면(712)보다 높게 위치된다. 즉, 상기 드레인 어셈블리(7)의 내부 공간에서, 상기 수배관(61)에 대응되는 내부 공간이, 상기 냉매배관(25)에 대응되는 내부 공간보다 더욱 넓다. On the other hand, the drain assembly 7 includes two bottom surfaces having different heights. More specifically, the drain assembly 7 includes a first bottom surface 711 corresponding to the refrigerant pipe 25 and a second bottom surface 712 corresponding to the water pipe 61. At this time, the first bottom surface 711 is located higher than the second bottom surface 712. That is,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drain assembly 7, the internal space corresponding to the water pipe 61 is wider than the internal space corresponding to the refrigerant pipe 25.

통상적으로 수배관(61)을 연결하는 연결부가 냉매배관(25)을 연결하는 연결부보다 크게 되는데, 상기 수배관(61)에 대응되는 내부 공간이 상기 냉매배관(25)에 대응되는 내부 공간보다 크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수배관(61)의 연결부 및 냉매배관(25)의 연결부가 모두 상기 드레인 어셈블리(7)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레인 어셈블리(7)가 전체적으로 상기 수배관(61)의 연결부를 수용할 수 있는 만큼의 내부 공간 높이에 적합하게 형성되는 경우에 비하여, 상기 드레인 어셈블리(7)의 전체적인 부피가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드레인 어셈블리(7)의 설치를 위한 설치 공간이 최소화될 수 있다.The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the water pipe 61 is generally larger than the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the refrigerant pipe 25 so that the internal space corresponding to the water pipe 61 is larger than the internal space corresponding to the refrigerant pipe 25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water pipe 61 and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refrigerant pipe 25 can all be accommodated in the drain assembly 7. The overall volume of the drain assembly 7 can be reduced a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drain assembly 7 is formed to fit the inner space height enough to accommodate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water pipe 61 as a whole have. Therefore, the installation space for installing the drain assembly 7 can be minimized.

이때, 상기 제 1 드레인부(72), 제 1 단열커버부(76), 제 2 드레인부(73) 및 제 2 단열커버부(77)는 모두 서로 높이가 다른 2단의 바닥면(711,712,751,752)을 가지도록 형성된다.The first drain portion 72, the first heat insulating cover portion 76, the second drain portion 73 and the second heat insulating cover portion 77 are formed by two bottom surfaces 711, 712, 751, .

한편, 상기 드레인 어셈블리(7)는, 상기 냉매배관(25) 및 수배관(61)이 각각 관통하기 위한 냉매배관홀(741) 및 수배관홀(742)이 형성된다. 상기 냉매배관홀(741) 및 수배관홀(742)은 상기 제 1 드레인 유닛(78) 및 제 2 드레인 유닛(79)이 결합됨으로써 형성된다.The drain assembly 7 is formed with a refrigerant pipe hole 741 and a water pipe hole 742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pipe 25 and the water pipe 61 pass. The refrigerant pipe hole 741 and the water pipe hole 742 are formed by coupling the first drain unit 78 and the second drain unit 79.

보다 상세히, 상기 제 1 단열커버부(76) 및 제 2 단열커버부(77) 각각에는 상기 냉매배관(25) 또는 수배관(61)을 둘러싸는 배관 커버부(753,754,755,756)가 형성된다. 상기 배관 커버부(753,754,755,756)는, 상기 냉매배관(25)을 둘러싸는 냉매배관 커버부(753,754)와, 상기 수배관(61)을 둘러싸는 수배관 커버부(755,756)를 포함한다. 상기 냉매배관 커버부(753,754)는, 상기 유입측 냉매배관(251)을 둘러싸는 제 1 냉매배관 커버부(753,754)와, 상기 토출측 냉매배관(252)을 둘러싸는 제 2 냉매배관 커버부(753,754)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수배관 커버부(755,756)는, 상기 유입측 수배관(611)을 둘러싸는 제 1 수배관 커버부(755,756)와, 상기 토출측 수배관(612)을 둘러싸는 제 2 수배관 커버부(755,756)를 포함한다. More specifically, pipe cover portions 753, 754, 755 and 756 surrounding the refrigerant pipe 25 or the water pipe 61 are formed in the first and second heat insulating cover portions 76 and 77, respectively. The pipe cover portions 753, 754, 755 and 756 include refrigerant pipe cover portions 753 and 754 surrounding the refrigerant pipe 25 and water pipe cover portions 755 and 756 surrounding the water pipe 61. The refrigerant pipe cover portions 753 and 754 include first refrigerant pipe cover portions 753 and 754 surrounding the inflow refrigerant pipe 251 and second refrigerant pipe cover portions 753 and 754 surrounding the discharge side refrigerant pipe 252 ). The water pipe cover parts 755 and 756 include first water pipe cover parts 755 and 756 surrounding the inflow water pipe 611 and a second water pipe cover part 752 surrounding the discharge water pipe 612. [ (755, 756).

이때, 상기 냉매배관 커버부(753,754)는, 상기 냉매배관(25)에 대응되는 상기 단열커버부(75)의 제 1 바닥면(751)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수배관 커버부(755,756)는, 상기 수배관(61)에 대응되는 상기 단열커버부(75)의 제 2 바닥면(752)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다.The refrigerant pipe cover parts 753 and 754 extend upward from the first bottom surface 751 of the heat insulating cover part 75 corresponding to the refrigerant pipe 25. The water pipe cover portions 755 and 756 extend upward from the second bottom surface 752 of the heat insulating cover portion 75 corresponding to the water pipe 61.

그리고, 상기 제 1 드레인부(72) 및 제 2 드레인부(73) 각각에는 상기 냉매 배관(25) 및 수배관(61)이 수용되기 위한 배관 수용부(713,714,715,716)가 형성된다. 상기 배관 수용부(713,714,715,716)는, 상기 냉매배관(25)이 수용되기 위한 냉매배관 수용부(713,714)와, 상기 수배관(61)이 수용되기 위한 수배관 수용부(715,716)를 포함한다. 상기 냉매배관 수용부(713,714)는, 상기 유입측 냉매배관(251)이 수용되는 제 1 냉매배관 수용부(713)와, 상기 토출측 냉매배관(252)이 수용되는 제 2 냉매배관 수용부(714)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수배관 수용부(715,716)는, 상기 유입측 수배관(611)이 수용되는 제 1 수배관 수용부(715)와, 상기 토출측 수배관(612)이 수용되는 제 2 수배관 수용부(716)를 포함한다.The first drain portion 72 and the second drain portion 73 are formed with pipe receiving portions 713, 714, 715 and 716 for receiving the refrigerant pipe 25 and the water pipe 61, respectively. The pipe receiving portions 713, 714, 715 and 716 include refrigerant pipe receiving portions 713 and 714 for receiving the refrigerant pipe 25 and water pipe receiving portions 715 and 716 for receiving the water pipe 61. The refrigerant pipe accommodating portions 713 and 714 include a first refrigerant pipe accommodating portion 713 accommodating the inflow refrigerant pipe 251 and a second refrigerant pipe accommodating portion 714 accommodating the discharge side refrigerant pipe 252 ). The water pipe accommodating portions 715 and 716 include a first water pipe accommodating portion 715 accommodating the inflow water pipe 611 and a second water pipe accommodating portion 715 accommodating the discharge side water pipe 612, (716).

이때, 상기 냉매배관 수용부(713,714)는, 상기 냉매배관(25)에 대응되는 상기 드레인부(71)의 제 1 바닥면(711)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수배관 수용부(715,716)는, 상기 수배관(61)에 대응되는 상기 드레인부(71)의 제 2 바닥면(712)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다.At this time, the refrigerant pipe receiving portions 713 and 714 extend upward from the first bottom surface 711 of the drain portion 71 corresponding to the refrigerant pipe 25. The water pipe receiving portions 715 and 716 extend upward from the second bottom surface 712 of the drain portion 71 corresponding to the water pipe 61.

상기 냉매배관 커버부(753,754), 수배관 커버부(755,756), 냉매배관 수용부(713,714) 및 수배관 수용부(715,716)는, 상기 드레인 어셈블리(7)가 상기 실내기 본체(3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실내기 본체(30)의 바닥면을 관통하여 외부로 연장되는 상기 냉매배관(25) 및 수배관(61)이 통과하는 지점에 위치되는 것은 당연하다. The refrigerant pipe cover portions 753 and 754, the water pipe cover portions 755 and 756, the refrigerant pipe accommodating portions 713 and 714 and the water pipe accommodating portions 715 and 716 are formed such that the drain assembly 7 is coupled to the indoor unit body 30 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the refrigerant pipe 25 and the water pipe 61 extending through the bottom surface of the indoor unit body 30 and passing through the refrigerant pipe 25 and the water pipe 61 pass through.

상기 제 1 단열커버부(76)의 냉매배관 커버부(753,754)와, 상기 제 2 단열커버부(77)의 냉매배관 커버부(753,754)가 결합됨으로써, 상기 냉매배관홀(74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드레인부(72)의 냉매배관 수용부(713,714)와, 상기 제 2 드레인부(73)의 냉매배관 수용부(713,714)가 결합됨으로써, 상기 냉매배관 수용부(713,714)는 상기 냉매배관 커버부(753,754)를 둘러싸게 된다. 즉, 상기 냉매배관(25)을 기준으로 볼 때, 상기 냉매배관 커버부(753,754) 및 냉매배관 수용부(713,714)는 상기 냉매배관(25)의 외측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위치된다. The refrigerant pipe cover portions 753 and 754 of the first heat insulating cover portion 76 and the refrigerant pipe cover portions 753 and 754 of the second heat insulating cover portion 77 are combined to form the refrigerant pipe hole 741 . The refrigerant pipe receiving portions 713 and 714 of the first drain portion 72 and the refrigerant pipe receiving portions 713 and 714 of the second drain portion 73 are coupled to each other, And encloses the refrigerant pipe cover portions 753 and 754. That is, the refrigerant pipe cover portions 753 and 754 and the refrigerant pipe receiving portions 713 and 714 are positioned sequentially outward of the refrigerant pipe 25, as viewed from the refrigerant pipe 25.

또한, 상기 제 1 단열커버부(76)의 수배관 커버부(미도시)와, 상기 제 2 단열커버부(77)의 수배관 커버부(755,756)가 결합됨으로써, 상기 수배관홀(74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드레인부(72)의 수배관 수용부(미도시)와, 상기 제 2 드레인부(73)의 수배관 수용부(715,716)가 결합됨으로써, 상기 수배관 수용부(715,716)는 상기 수배관 커버부(755,756)를 둘러싸게 된다. 즉, 상기 수배관(61)을 기준으로 볼 때, 상기 수배관 커버부(755,756) 및 수배관 수용부(715,716)는 상기 수배관(61)의 외측에 순차적으로 위치된다. 이때, 상기 제 1 단열커버부(76)의 수배관 커버부 및 상기 제 1 드레인부(72)의 수배관 수용부는, 도 5에서 직접적으로 보이지는 않지만, 상기 제 2 단열커버부(77)의 수배관 커버부(755,756) 및 제 2 드레인부(73)의 수배관 수용부(715,716)와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The water pipe cover portion (not shown) of the first heat insulating cover portion 76 and the water pipe cover portions 755 and 756 of the second heat insulating cover portion 77 are engaged with each other, . The water pipe receiving portions 715 and 716 of the first drain portion 72 and the water pipe receiving portions 715 and 716 of the second drain portion 73 are coupled to each other, And encloses the water pipe cover portions 755 and 756. That is, the water pipe cover portions 755 and 756 and the water pipe receiving portions 715 and 716 are sequentially positioned on the outside of the water pipe 61 when viewed from the water pipe 61. At this time, the water pipe cover portion of the first heat insulating cover portion 76 and the water pipe receiving portion of the first drain portion 72 are not directly visible in FIG. 5, but the water pipe cover portion of the second heat insulating cover portion 77 And is form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water pipe accommodating portions 715 and 716 of the water pipe cover portions 755 and 756 and the second drain portion 73, respectively.

다른 한편으로, 상기 드레인 어셈블리(7)의 내부를 기준으로 보면, 상기 냉매배관 수용부(713,714) 및 냉매배관 커버부(753,754)는 상기 드레인 어셈블리(7)의 내부로부터 순차적으로 위치된다. 또한, 상기 드레인 어셈블리(7)의 내부를 기준으로 보면, 상기 수배관 수용부(715,716) 및 수배관 커버부(755,756)는 상기 드레인 어셈블리(7)의 내부로부터 순차적으로 위치된다.On the other hand, when viewed from the inside of the drain assembly 7, the refrigerant pipe receiving portions 713 and 714 and the refrigerant pipe cover portions 753 and 754 are sequentially positioned from the inside of the drain assembly 7. The water pipe receiving portions 715 and 716 and the water pipe cover portions 755 and 756 are positioned sequentially from the inside of the drain assembly 7 as viewed from the inside of the drain assembly 7.

한편, 상기 냉매배관 커버부(753,754) 및 수배관 커버부(755,756)는, 상기 냉매배관 수용부(713,714) 및 수배관 수용부(715,716)에 비하여 높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냉매배관 커버부(753,754) 및 수배관 커버부(755,756)에 집수되는 응축수는, 상대적으로 높이가 낮은 상기 냉매배관 수용부(713,714) 및 수배관 수용부(715,716)를 따라 상기 드레인부(71)의 바닥면으로 유동할 수 있다. 즉, 상기 냉매배관 커버부(753,754) 및 수배관 커버부(755,756)에 집수되는 응축수가 고여 있지 않고,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refrigerant pipe cover portions 753 and 754 and the water pipe cover portions 755 and 756 are formed higher than the refrigerant pipe receiving portions 713 and 714 and the water pipe receiving portions 715 and 716. Accordingly, the condensed water collected in the refrigerant pipe cover portions 753 and 754 and the water pipe cover portions 755 and 756 flows along the refrigerant pipe receiving portions 713 and 714 and the water pipe receiving portions 715 and 716,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71. That is,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condensed water collected in the refrigerant pipe cover portions 753 and 754 and the water pipe cover portions 755 and 756 is not accumulated and can be discharged smoothly.

한편, 상기 드레인 어셈블리(7)에는, 상기 드레인 어셈블리(7)에 집수된 응축수가 상기 드레인 어셈블리(7)의 외부로 배출되기 위한 응축수 배출구(743)가 구비된다. 상기 응축수 배출구(743)는, 상기 드레인 어셈블리(7)의 최하단에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드레인 어셈블리(7)에 집수되는 응축수는 자중에 의하여 자연적으로 최하단에 위치되는 응축수 배출구(743)를 향하여 유동하게 된다. 즉, 상기 드레인 어셈블리(7)에 집수되는 응축수가 더욱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drain assembly 7 is provided with a condensed water discharge port 743 through which the condensed water collected in the drain assembly 7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drain assembly 7. The condensed water discharge port 743 is located at the lowermost end of the drain assembly 7. Accordingly, the condensed water collected in the drain assembly 7 flows toward the condensed water discharge port 743, which is naturally located at the lowermost end due to its own weight. That is,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condensed water collected in the drain assembly 7 can be discharged more smoothly.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응축수 배출구(743)가 상기 제 2 드레인부(73)에 일체로 형성된다. 다만, 상기 응축수 배출구(743)는, 상기 제 1 드레인부(72)에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드레인부(71)와 별개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응축수 배출구(743)의 단부에는, 응축수를 집수하기 위한 저장부가 구비되거나, 응축수를 실외로 안내하기 위한 배관이 연결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densed water discharge port 743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second drain portion 73. However, the condensed water discharge port 743 may be provided in the first drain portion 72 or may be formed separately from the drain portion 71. A storage unit for collecting condensed water may be provided at an end of the condensed water discharge port 743, or a pipe for guiding the condensed water to the outside can be connected.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냉매사이클 연동 물 순환 시스템의 실내기에서 응축수의 유동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flow of the condensed water in the indoor unit of the water circulation system interlocked with the refrigerant cy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상기 시스템(1)은 냉방 모드로 운전되는 경우에는, 상기 수냉매열교환기(31)를 유동하는 물은 실내 공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저온의 상태이다. 그리고, 상기 수냉매열교환기(31)를 유동하는 냉매는 상기 수냉매열교환기(31)를 유동하는 물로부터 열을 흡수해야 하므로, 상기 수냉매열교환기(31)를 유동하는 물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저온의 상태이다. 결국, 상기 시스템(1)이 냉방 모드로 운전되는 경우에는, 상기 수냉매열교환기(31)를 유동하는 물과 냉매는 모두 실내 공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저온의 상태이다. 따라서, 상기 수냉매열교환기(31)의 외면에는 응축수가 발생하게 된다.First, when the system 1 is operated in the cooling mode, water flowing in the water-refrigerant heat exchanger 31 is relatively low in temperature as compared with room air. The refrigerant flowing through the water-refrigerant heat exchanger (31) is required to absorb heat from the water flowing through the water-refrigerant heat exchanger (31). Therefore, It is at low temperature. As a result, when the system 1 is operated in the cooling mode, the water and the refrigerant flowing through the water-refrigerant heat exchanger 31 are relatively low in temperature as compared with the room air. Therefore, condensed water is genera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water-refrigerant heat exchanger (31).

또한, 상기 물과 냉매는, 상기 실내기(3) 내부에 설치되는 집수탱크(34), 팽창탱크(33), 워터펌프(36), 수배관(61), 냉매배관(25)을 통하여 유동하게 되므로, 상기 집수탱크(34), 팽창탱크(33), 워터펌프(36), 수배관(61), 냉매배관(25)에서도 응축수가 발생하게 된다.The water and the refrigerant flow through the water collecting tank 34, the expansion tank 33, the water pump 36, the water pipe 61, and the refrigerant pipe 25 provided in the indoor unit 3 Condensed water is also generated in the water collecting tank 34, the expansion tank 33, the water pump 36, the water pipe 61, and the refrigerant pipe 25.

상기 수냉매열교환기(31), 집수탱크(34), 팽창탱크(33), 워터펌프(36), 수배관(61) 및 냉매배관(25) 중 적어도 하나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는 자중에 의하여 하방으로 유동하게 된다. 상기 수냉매열교환기(31), 집수탱크(34), 팽창탱크(33), 워터펌프(36), 수배관(61) 및 냉매배관(25)은 모두 상기 실내기 본체(30)의 내부에 설치되기 때문에, 상기 응축수는 모두 상기 실내기 본체(30)의 바닥면으로 유동하게 된다. The condensed water generated in at least one of the water-refrigerant heat exchanger 31, the water collecting tank 34, the expansion tank 33, the water pump 36, the water pipe 61, and the refrigerant pipe 25, . The water refrigerant heat exchanger 31, the water collecting tank 34, the expansion tank 33, the water pump 36, the water pipe 61 and the refrigerant pipe 25 are all installed inside the indoor unit body 30 The condensed water flows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indoor unit body 30.

그리고, 상기 실내기 본체(30)의 바닥면에 존재하는 틈을 통하여 상기 실내 기 본체(30)의 외부로 유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실내기 본체(30)의 하방에는, 상기 실내기 본체(30)의 하단부를 둘러싸는 드레인 어셈블리(7)가 위치되기 때문에, 상기 실내기 본체(30)의 외부로 유동하는 응축수는 모두 상기 드레인 어셈블리(7)에 집수되게 된다. Then, the air flows to the outside of the indoor unit body (30) through a gap existing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indoor unit body (30). Since the drain assembly 7 surrounding the lower end of the indoor unit main body 30 is located below the indoor unit main body 30 at this time, (7).

보다 상세히, 상기 실내기 본체(30)의 외부로 유동하는 응축수는, 상기 드레인부(71)의 바닥면에 집수된다. 상기 드레인부(71)의 바닥면에 집수된 응축수는 자중에 의하여 상기 드레인 어셈블리(7)의 최하단에 위치되는 상기 응축수 배출구(743) 방향으로 유동하게 된다. More specifically, the condensed water flowing out of the indoor unit main body (30) is collec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drain portion (71). The condensed water collec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drain portion 71 flows in the direction of the condensed water discharge port 743 located at the lowermost end of the drain assembly 7 due to its own weight.

이때, 상기 실내기 본체(30)의 외부로 유동하는 응축수 중 일부는, 상기 냉매배관(25) 및 수배관(61)을 둘러싸는 배관 커버부(753,754,755,756)에 집수될 수도 있다. 특히, 상기 실내기 본체(30)의 바닥면과 상기 드레인 어셈블리(7) 사이에 위치되는 상기 냉매배관(25) 및 수배관(61)에서도 응축수가 발생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냉매배관(25) 및 수배관(61)에서 발생되는 대부분의 응축수가 상기 배관 커버부(753,754,755,756)로 집수된다. At this time, some of the condensed water flowing outside the indoor unit body 30 may be collected in the pipe cover portions 753, 754, 755, and 756 surrounding the refrigerant pipe 25 and the water pipe 61. Particularly, condensed water may be generated in the refrigerant pipe 25 and the water pipe 61 located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indoor unit body 30 and the drain assembly 7. In this case, the refrigerant pipe 25 And most of the condensed water generated in the water pipe 61 is collected by the pipe cover parts 753, 754, 755, and 756.

그런데, 상기 배관 커버부(753,754,755,756)를 둘러싸는 상기 배관 수용부(713,714,715,716)가 더 낮게 위치되므로, 상기 배관 커버부(753,754,755,756)에 집수된 응축수는 자중에 의하여 상기 배관 수용부(713,714,715,716)를 따라 자연적으로 상기 드레인부(71)의 바닥면을 향하여 유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드레인 바닥면의 응축수는 상기 응축수 배출구(743) 방향으로 유동하게 된다.Since the pipe accommodating portions 713, 714, 715 and 716 surrounding the pipe cover portions 753, 754, 755 and 756 are positioned lower, the condensed water collected in the pipe cover portions 753, 754, 755 and 756 is naturally accumulated along the pipe accommodating portions 713, 714, And flows toward the bottom surface of the drain portion 71 as shown in FIG. The condensed water on the drain bottom flows in the direction of the condensed water discharge port 743.

그리고, 상기 응축수는 상기 응축수 배출구(743)를 통하여 별도로 구비되는 저장부 또는 실외로 배출될 수 있다.The condensed water may be discharged through the condensed water discharge port 743 to a separate storage unit or outdoors.

한편, 상기 제 1 드레인부(72), 제 2 드레인부(73), 제 1 단열커버부(76), 제 2 단열커버부(77)는, 예를 들면 후크 방식 등과 같은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레인 어셈블리(7)와 상기 실내기 본체(30)의 결합 방식도, 예를 들면 나사 체결 방식과 같은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The first drain portion 72, the second drain portion 73, the first heat insulating cover portion 76 and the second heat insulating cover portion 77 are coupled in various ways such as a hook type . Also, the coupling method of the drain assembly 7 and the indoor unit main body 30 may be combined in various ways, for example, a screw connection method.

상기 시스템(1)에 의하면, 상기 실내기 본체(30)에서 발생되는 응축수가 모두 원활하게 집수 또는 배출될 수 있다. 이는 상기 드레인 어셈블리(7)가 상기 실내기 본체(30)의 하단부를 둘러싸기 때문에, 상기 실내기 본체(30)에서 발생되어 하방으로 유동하는 응축수가 모두 상기 드레인 어셈블리(7)에 집수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응축수로 인하여 발생되는 사용자의 불쾌감, 인접한 물건들의 손상 등과 같은 피해가 최소화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system 1, all the condensed water generated in the indoor unit body 30 can be collected or discharged smoothly. This is because the drain assembly 7 surrounds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indoor unit main body 30 so that all the condensed water generated in the indoor unit main body 30 and flowing downward is collected in the drain assembly 7. [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damage such as discomfort of the user caused by the condensed water, damage of adjacent objects, and the like can be minimized.

그리고, 상기 드레인 어셈블리(7)가 상기 실내기 본체(30)의 외부에 위치되기 때문에, 상기 드레인 어셈블리(7)의 선택적 사용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시스템(1)이 급탕 모드 및 난방 모드로 운전되는 경우에는, 상기 실내기 본체(30)에서 응축수가 발생될 가능성이 낮으므로, 상기 시스템(1)은 상기 드레인 어셈블리(7)가 제거된 상태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내기 본체(30) 내부에서 물이 누수되는 경우에, 임시적으로 누수되는 물을 집수 또는 배출하기 위하여, 상기 드레인 어셈블리(7)를 상기 실내기 본체(30)에 결합한 상태로 상기 시스템(1)을 사용할 수도 있다.Since the drain assembly 7 is located outside the indoor unit body 30, the drain assembly 7 can be selectively used. For example, when the system 1 is operated in the hot-water supply mode and the heating mode, the possibility of generating condensed water in the indoor unit main body 30 is low, You can use it in the removed state. The drain assembly 7 may be connected to the indoor unit main body 30 in order to collect or discharge water temporarily leaking when water leaks from the indoor unit body 30. [ ) May be used.

또한, 상기 드레인 어셈블리(7)가 손상된 경우에, 상기 드레인 어셈블리(7) 가 상기 실내기 본체(30)의 외부에 위치되므로, 상기 드레인 어셈블리(7)를 교체하는 작업이 더욱 간편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drain assembly 7 is located outside the indoor unit body 30 when the drain assembly 7 is damaged, the operation of replacing the drain assembly 7 can be simplified have.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many other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in light of the above teaching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on the basis of the appended claims will be.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냉매사이클 연동 물 순환 시스템의 실시예의 구성도.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mbodiment of a water circulation system linked to a refrigerant cy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냉매사이클 연동 물 순환 시스템의 실시예의 외관 사시도.2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of a water circulation system linked to a refrigerant cy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냉매사이클 연동 물 순환 시스템의 실시예의 내부 모습을 보인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ner appearance of an embodiment of a water circulation system linked to a refrigerant cy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냉매사이클 연동 물 순환 시스템의 실시예의 제 1 드레인 유닛이 분리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FIG.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irst drain unit of an embodiment of a water circulation system interlocked with a refrigerant cy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냉매사이클 연동 물 순환 시스템의 실시예의 드레인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drain assembly of an embodiment of a water circulation system linked to a refrigerant cy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7)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본체;A body having a space formed therein; 상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고, 물과 냉매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수냉매열교환기;A water-refrigerant heat exchanger provided in the main body and performing heat exchange between water and refrigerant; 상기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및 상기 냉매와 실외 공기 간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실외열교환기를 포함하는 실외기와, 상기 수냉매열교환기를 연결하는 냉매배관;An outdoor unit including a compressor for compressing the refrigerant and an outdoor heat exchanger for exchanging heat between the refrigerant and outdoor air; a refrigerant pipe connecting the water refrigerant heat exchanger; 실내 냉난방을 위한 실내 냉난방부 및 온수 공급을 위한 급탕부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수냉매열교환기를 연결하는 수배관; 및A water pipe connecting at least one of an indoor cooling and heating unit for indoor cooling and heating and a hot water supply unit for supplying hot water, and the water refrigerant heat exchanger; And 상기 본체의 외부에 위치되고, 상기 수냉매열교환기, 냉매배관 및 수배관 중 적어도 하나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를 집수하는 드레인 어셈블리를 포함하고,And a drain assembly located outside the main body and collecting condensed water generated in at least one of the water-refrigerant heat exchanger, the refrigerant pipe, and the water pipe, 상기 드레인 어셈블리는, 상기 본체에서 연장되는 상기 냉매배관 및 수배관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사이클 연동 물 순환 시스템의 실내기.Wherein the drain assembly surrounds at least a part of the refrigerant pipe and the water pipe extending from the main body.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드레인 어셈블리는, 상기 본체의 하단부를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사이클 연동 물 순환 시스템의 실내기.Wherein the drain assembly surrounds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냉매배관 및 수배관은 상기 본체의 바닥면을 관통하여 하방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사이클 연동 물 순환 시스템의 실내기.Wherein the refrigerant pipe and the water pipe extend downwardly through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본체는, 수직 방향으로 상기 드레인 어셈블리의 사영 내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사이클 연동 물 순환 시스템의 실내기.Wherein the main body is contained in the projection of the drain assembly in a vertical direction.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드레인 어셈블리에는, 상기 드레인 어셈블리에 집수된 응축수가 상기 드레인 어셈블리의 외부로 배출되기 위한 응축수 배출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사이클 연동 물 순환 시스템의 실내기.Wherein the drain assembly includes a condensed water discharge port for discharging the condensed water collected in the drain assembly to the outside of the drain assembly. 제 5 항에 있어서,6. 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응축수 배출구는 상기 드레인 어셈블리의 최하단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사이클 연동 물 순환 시스템의 실내기.And the condensed water discharge port is located at the lowermost end of the drain assembly.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드레인 어셈블리에는, 상기 냉매배관 및 수배관이 각각 관통하기 위한 냉매배관홀 및 수배관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사이클 연동 물 순환 시스템의 실내기.Wherein the drain assembly is formed with a refrigerant pipe hole and a water pipe hole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pipe and the water pipe pass through, respectively.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드레인 어셈블리는,The drain assembly includes: 상기 응축수가 집수되는 드레인부; 및A drain for collecting the condensed water; And 상기 드레인부를 차폐하는 단열커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사이클 연동 물 순환 시스템의 실내기.And a heat insulating cover portion for shielding the drain portion. 제 8 항에 있어서,9. The method of claim 8, 상기 드레인부 및 단열커버부는 2개의 층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 사이클 연동 물 순환 시스템의 실내기.Wherein the drain portion and the heat insulating cover portion are formed of two layers. 제 8 항에 있어서,9. The method of claim 8, 상기 냉매배관 또는 수배관을 둘러싸도록, 상기 단열커버부의 바닥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배관 커버부; 및A pipe cover portion extending upward from a bottom surface of the heat insulating cover portion so as to surround the refrigerant pipe or the water pipe; And 상기 배관 커버부를 둘러싸도록, 상기 드레인부의 바닥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배관 수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사이클 연동 물 순환 시스템의 실내기.And a pipe accommodating portion extending upward from a bottom surface of the drain portion so as to surround the pipe cover portion. 제 10 항에 있어서,11. 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배관 커버부가 상기 배관 수용부보다 더 높게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사이클 연동 물 순환 시스템의 실내기.And the pipe cover portion extends higher than the pipe receiving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냉매배관 및 수배관은 상기 본체의 바닥면 및 드레인 어셈블리를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사이클 연동 물 순환 시스템의 실내기.Wherein the refrigerant pipe and the water pipe pass through the bottom surface and the drain assembly of the main body. 제 12 항에 있어서,13. 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드레인 어셈블리는, 상기 냉매배관이 관통하는 제 1 바닥면과, 상기 수배관이 관통하는 제 2 바닥면을 포함하고,Wherein the drain assembly includes a first bottom surface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pipe passes, and a second bottom surface through which the water pipe passes, 상기 제 1 바닥면과 제 2 바닥면의 높이가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사이클 연동 물 순환 시스템의 실내기.And the height of the first bottom surface is different from the height of the second bottom surface. 제 12 항에 있어서,13. 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드레인 어셈블리는, The drain assembly includes: 상기 수배관 및 냉매배관을 연결하는 가상의 선을 경계로 하는 제 1 드레인 유닛과 제 2 드레인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사이클 연동 물 순환 시스템의 실내기.And a first drain unit and a second drain unit which are bounded by imaginary lines connecting the water pipe and the refrigerant pipe. 제 14 항에 있어서,15. The method of claim 14, 상기 제 1 드레인 유닛은, 상기 응축수가 집수되는 제 1 드레인부와, 상기 제 1 드레인부를 둘러싸는 제 1 단열커버부를 포함하고,Wherein the first drain unit includes a first drain portion for collecting the condensed water and a first heat insulating cover portion surrounding the first drain portion, 상기 제 2 드레인 유닛은, 상기 응축수가 집수되는 제 2 드레인부와, 상기 제 2 드레인부를 둘어싸는 제 2 단열커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사이클 연동 물 순환 시스템의 실내기.Wherein the second drain unit includes a second drain portion for collecting the condensed water and a second heat insulating cover portion surrounding the second drain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고, 물의 부피 변화를 완충하는 팽창탱크;An expansion tank provided in the main body and buffering a volume change of water; 상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고, 물의 저장하기 위한 집수탱크; 및A collecting tank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for storing water; And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고, 물을 강제 유동시키는 워터펌프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사이클 연동 물 순환 시스템의 실내기.Further comprising at least one of a water pump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and a water pump for forcedly flowing water. 제 16 항에 있어서,17. The method of claim 16, 상기 드레인 어셈블리는, 상기 팽창탱크, 집수탱크 및 워터펌프 중 적어도 하나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를 집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사이클 연동 물 순환 시스템의 실내기.Wherein the drain assembly collects condensed water generated in at least one of the expansion tank, the water collecting tank, and the water pump.
KR1020090112328A 2009-11-20 2009-11-20 Indoor unit of Water circulation system associated with refrigerant cycle KR10161038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2328A KR101610383B1 (en) 2009-11-20 2009-11-20 Indoor unit of Water circulation system associated with refrigerant cy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2328A KR101610383B1 (en) 2009-11-20 2009-11-20 Indoor unit of Water circulation system associated with refrigerant cy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5775A KR20110055775A (en) 2011-05-26
KR101610383B1 true KR101610383B1 (en) 2016-04-07

Family

ID=44364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2328A KR101610383B1 (en) 2009-11-20 2009-11-20 Indoor unit of Water circulation system associated with refrigerant cy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038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1851B1 (en) * 2016-09-23 2018-07-26 코텍엔지니어링주식회사 Geothermy-hydrothermal multiple heat pump syste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KR102651792B1 (en) * 2022-04-22 2024-03-27 주식회사 중원써모텍 Unit cooler including a drain plate with a thermal insulation 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5775A (en) 2011-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9509B1 (en) Hot water circulation system associated with heat pump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266675B1 (en) Water circulation system associated with refrigerant cycle
JP4700690B2 (en) Heat pump type water heater
JP4743008B2 (en) Heat pump type water heater
WO2006030903A1 (en) Heat-pump-type hot water supply apparatus
KR20130119056A (en) Ground source heat pump and its control for heating cooling and hot water
KR200400682Y1 (en) Cooling device using water of boiler
KR101610383B1 (en) Indoor unit of Water circulation system associated with refrigerant cycle
KR101482158B1 (en) Cool and Hot water Circulation Conditioner For Mattress, Panel
KR101045428B1 (en) Water circulation system associated with refrigerant cycle
CN102853490B (en) Pipeline cold and heat circulation system
KR100540362B1 (en) Heating, cooling and hot water supply system with heat pump
KR20100125817A (en) Heat pump system
JP4228976B2 (en) Heat pump water heater
KR101610958B1 (en) Water circulation system associated with refrigerant cycle and the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100016752A (en) Hot water circulation system associated with heat pump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10012904A (en) Multi function refrigerator
KR101500737B1 (en) Heater assembly for Hot water circulation system associated with heat pump
KR101456716B1 (en) Method for controlling hot water circulation system associated with heat pump
KR20140094673A (en) Heat Pump
EP3974746A1 (en) A heat pump system
KR101570534B1 (en) Water circulation system associated with refrigerant cy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2009257661A (en) Hot water heating device
KR20110045173A (en) Water circulation system
JP2009109061A (en) Heat pump type air conditioning device comprising heating pan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