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0368B1 - Gate-Pump - Google Patents

Gate-Pump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0368B1
KR101610368B1 KR1020140114806A KR20140114806A KR101610368B1 KR 101610368 B1 KR101610368 B1 KR 101610368B1 KR 1020140114806 A KR1020140114806 A KR 1020140114806A KR 20140114806 A KR20140114806 A KR 20140114806A KR 101610368 B1 KR101610368 B1 KR 1016103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mp
water
gate
separation membrane
fluid sepa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480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026362A (en
Inventor
박경희
Original Assignee
박경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경희 filed Critical 박경희
Priority to KR10201401148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0368B1/en
Publication of KR201600263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636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03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036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4Valves, slides, or the like; Arrangements therefor; Submerged sluice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펌프일체형수문의 주요한 구성요소인 게이트펌프(Gate-Pump)에 관한 것이다.
상기 펌프일체형수문은 기존 수로의 수문에 직접 게이트펌프를 설치하여 수문의 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펌프의 기능을 겸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게이트펌프는 일반적으로, 게이트펌프 본체의 일측에 흡입구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토출구가 형성되며 게이트펌프 본체의 내부에 임펠러 허브, 임펠러, 웨어링 등이 내설되어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흡입구로부터 흡입된 물은 토출구 측으로 빠르게 이송된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ate pump which is a main component of a pump-integrated water pump.
The integrated pump-type water gate is constructed such that a gate pump is installed directly in the water gate of the existing water channel to perform a water intake function and to function as a pump.
Generally, the gate pump has a suction port formed at one side of the gate pump body, a discharge port formed at the other side thereof, and an impeller hub, an impeller, and a wear ring are disposed inside the gate pump body. The water sucked from the suction port is quickly transferred to the discharge port side.

Description

게이트펌프{Gate-Pump}Gate pump {Gate-Pump}

본 발명은 펌프일체형수문(Pump Gate)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ump-integrated pumped gate.

상기 펌프일체형수문은 게이트펌프(Gate Pump)를 수문에 직접 설치하여 일체화한 배수설비이다. 이러한 펌프일체형수문은 종래의 유수지 및 배수장시설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기존 수로의 수문에 게이트펌프를 설치하여 수문의 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펌프의 기능을 겸하도록 구성된다.The integrated pump-type water gate is a drainage facility in which a gate pump is directly installed at the gate. Such a pump-integrated type gate does not require a conventional drainage and drainage facility, and a gate pump is installed in an existing waterway gate to perform the function of a water intake and to function as a pump.

상기 수문은 일반적으로, 수문본체와; 상기 수문본체에 형성되는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에 구멍이 천공되어 형성되며 상기 게이트펌프가 끼워지는 수통공과; 상기 수통공의 외주에 상기 펌프측 체결플렌지를 체결할 수 있도록 대응하여 형성되는 게이트측 체결플렌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water gate generally comprises a hydrologic main body; An opening formed in the hydrologic main body; A hole in the opening to puncture the gate pump; A gate side fastening flange corresponding to the pump side fastening flange so as to be fastened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water passage; .

상기 게이트펌프는 일반적으로, 게이트펌프 본체의 일측에 흡입구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토출구가 형성되며 게이트펌프 본체의 내부에 임펠러 허브, 임펠러, 웨어링 등이 내설되어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흡입구로부터 흡입된 물은 토출구 측으로 빠르게 이송된다.Generally, the gate pump has a suction port formed at one side of the gate pump body, a discharge port formed at the other side thereof, and an impeller hub, an impeller, and a wear ring are disposed inside the gate pump body. The water sucked from the suction port is quickly transferred to the discharge port side.

다음은, 본 발명 분야와 관련하는 배경 기술에 대하여 알아본다.Next, the background art relating to the field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 및 도 2의 도시는 등록실용신안 제382030호(2005.04.07)를 하나의 실예로 들어서, 종래의 펌프일체형수문에 대한 하나의 구성을 예시한 것이다.Figures 1 and 2 illustrate one configuration for a conventional pump-integrated sluice gate by taking the registered utility model No. 382030 (Apr. 4, 2005) as an example.

그리고 역류 방지밸브 및 수중 펌프를 구비한 수문에 관한 예시가 도 3에 도시되어 있으며 이는, 등록실용신안 제361664호(2004.09.01)와 관련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토출관은 손실 수두를 최소화하고, 펌프의 완벽지지 및 중심 유지를 위하여 90도 엘보로 구성되며, 말단에 역류 방지를 위한 유동 플랩을 가지는 역류 방지 밸브가 설치된다.An example of a gate with a check valve and a submerged pump is shown in Fig. 3, which is related to Registration No. 361664 (Sep. 1, 2004). More specifically, the discharge pipe is provided with a check valve having a 90 ° elbow for minimizing the loss head, perfect support and centering of the pump, and a flow flap for preventing reverse flow at the end.

도 4에 도시된 바는 이물질 배출이 용이한 펌프에 관한 것이다. 이는 등록특허 제1007473호(2011.01.04)와 관련한다.As shown in Fig. 4, the pump is easy to discharge foreign matter. This relates to Registration No. 1007473 (Jan. 4, 2011).

본 발명은, 유수의 단속을 제어하여서, 폭우나 홍수 등으로 인한 유량 및 수압 증가시에 적절한 대응을 취하고, 물이 제방을 범람하여 수몰피해 등을 발생시킬 위험을 예방하는데에 만전을 기할 수 있도록 하며 특히, 게이트펌프의 유수 이송효율을 극대화시켜서 효과적인 수자원 관리를 기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intermittent water flow so as to take appropriate measures in response to an increase in flow rate and water pressure due to heavy rain or floods and to prevent the risk of water flooding, In particular, it aims to maximize water transfer efficiency of gate pump and to manage water resources effectively.

이를 위하여 특히, 임펠러와 그 사이에 이물질 혹은 협잡물이 끼일 가능성을 줄이고 동시에, 임펠러의 끝단의 흡입력이 약해지는 것을 방지하며, 물이 역류하지 않도록 하는 수단을 제공하고자 한다.To this end, it is particularly desirable to provide a means for reducing the possibility of impurities or impurities being caught between the impeller and the impeller, while at the same time preventing the suction force at the end of the impeller from weakening and preventing water from flowing backwards.

전술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 발명 펌프일체형수문의 게이트펌프는,
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gate pump of the present invention,

전후방이 개구된 펌프본체와; 상기 펌프본체를 펌프일체형수문에 고정하는 체결플렌지와; 상기 펌프본체의 전방에 위치하며 물을 흡입하는 흡입구와; 상기 펌프본체의 후방에 위치하며 물이 토출되는 토출구를; 포함하는 본체부와,
A pump body having front and rear openings; A fastening flange for fastening the pump body to the pump-integrated sluice gate; A suction port located in front of the pump body and sucking water; A discharge port located behind the pump body and discharging water; ,

상기 펌프본체의 길이를 따라 전방으로부터 삽입되어 배치되는 수중모터와; 상기 수중모터를 상기 본체부에 고정시키는 모터스트럿과; 상기 수중모터의 후방에 배치되어 물을 밀어내도록 회전하는 임펠러를; 포함하는 모터부와,
An underwater motor inserted from the front along the length of the pump body; A motor strut for fixing the submersible motor to the main body; An impeller disposed behind the submersible motor and rotating to push water out; A motor section,

상기 임펠러의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펌프본체의 내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내주를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면서 고리형태의 날개형상을 취하여 설치되는 유체분리막과; 상기 유체분리막을 상기 펌프본체에 고정시키는 유체분리막스트럿과; 상기 유체분리막의 전방에서 물을 흡입하는 유체분리막입구와; 상기 유체분리막의 후방에서 저압에 의해 물이 빨려나가는 유체분리막출구를; 포함하는 흡인력발생부로,A fluid separation membrane disposed at the rear of the impeller and spaced apart from an inner circumference of the pump body and spaced apart along the inner circumference at intervals, A fluid separation membrane strut for fixing the fluid separation membrane to the pump body; A fluid separation membrane inlet for sucking water in front of the fluid separation membrane; A fluid separation membrane outlet through which water is sucked from the rear of the fluid separation membrane by low pressure; As the suction force generating section,

이루어진다.
.

한편, 본 발명은 도면 등에 예시된 실시례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치는 범주 내에서 다양한 다른 실시들이 가능하다.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본 발명에 따르면,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임펠러와 본체부의 사이에 이물질이나 협잡물이 끼일 가능성을 줄여서 게이트펌프의 고장, 오작동 가능성을 줄이고,It is possible to reduce the possibility that foreign substances or impurities are trapped between the impeller and the main body portion, thereby reducing the malfunction and malfunction of the gate pump,

임펠러의 끝단의 흡입력을 유지하고 또한, 부분적으로 물이 거꾸로 흐르는 역류 발생을 방지하여서 게이트펌프의 흡인력을 높여서,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suction force at the end of the impeller and to prevent the reverse flow of water partially flowing backwards, thereby increasing the suction force of the gate pump,

게이트펌프의 유수 이송효율을 극대화하므로써, 유수의 단속을 효율적으로 제어하여 효과적인 수자원 관리를 기할 수 있다.By maximizing the water transfer efficiency of the gate pump, efficient water resource management can be achieved by efficiently controlling the interruption of the water flow.

본 발명은 또한, 게이트펌프 외에 일반적인 수중펌프 또는 환기구 등에도 적용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applicable to a general underwater pump or a ventilator in addition to the gate pump.

먼저,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하는 펌프일체형수문의 배경기술에 관한 도시이다. 단, 배경기술의 도면부호는 본 발명의 도면부호와는 무관하다.
도 1은 펌프일체형수문을 예시한 측단면도.
도 2는 펌프일체형수문을 예시한 정면도.
도 3은 게이트펌프를 예시한 정단면도.
도 4는 게이트펌프를 예시한 부분 측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관한 도시이다.
도 5는 A 사시도; B 배면에서 보인 사시도; C 측면도;
도 6은 A1 정면도; A2는 구성요소의 일부를 생략한 정면도; B2 배면도; 구성요소의 일부를 생략한 배면도;
도 7은 정투상도 및 측면 투시도.
도 8은 측단면으로 보인 동작의 예시도.
도 9는 부분을 확대하여 보인 측면 투시도.
도 10은 다른 실시의, A 부분을 생략하고 도시한 정면도; B 정면에서 보인 사용례의 예시도;
1 to 4 are views pertaining to the background art of a pump-integrated water suppl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reference numerals of the background art are not related to the reference numerals of the present invention.
1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pump-integrated type water gate.
2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 pump-integrated type water gate.
3 is a front 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gate pump.
4 is a partial side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gate pump;
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5 is a perspective view A; B A perspective view from the back; C side view;
6 is an A1 front view; A2 is a front view in which a part of the components is omitted; B2 back view; A back view omitted from a part of the components;
Figure 7 is a chronological and lateral perspective view.
Figure 8 is an exemplary view of the operation seen in side cross-section;
FIG. 9 is a side perspective view of the enlarged portion. FIG.
Fig. 10 is a front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mitting part A; Fig. B is an illustration of an example of use seen from the front;

본 발명의 게이트펌프는 펌프일체형수문의 수문본체에 장착되어 수문의 개폐와 함께 가동하면서 물을 밀어내거 흡입하면서 수위를 조절한다.The gate pump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hydrologic main body of the integral water type pump and operates the water gate while opening and closing the water gate to adjust the water level by pushing and pulling the water.

일반적으로 상기 수문에는 개구부를 구성하며, 상기 개구부에는 상기 게이트펌프를 삽입하여 끼울 수 있도곡 수통공을 천공, 형성한다.Generally, the gate is constituted by an opening, and the gate pump is inserted into the opening to form a through hole.

또한, 상기 수통공의 외주에는 수문측의 체결플렌지를 구성하고, 상기 수문측의 체결플렌지와 상기 게이트펌프측의 체결플렌지를 맞댄 후에 나사체결, 리벳팅 등을 통하여 수문에 단단하게 고정시킨다.
Further, a fastening flange on the side of the water gate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water passage, and the fastening flange on the side of the water gate and the fastening flange on the side of the gate pump are tightly fixed to the water gate through screw tightening or riveting.

이하, 첨부된 도면의 실시례를 중심으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개시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에서, 펌프일체형수문에 구비되는 본 발명의 게이트펌프는, 본체부(10), 모터부(20) 및 흡인력발생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5 to 7, the gate pump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provided in a pump-integrated type gate, includes a main body 10, a motor 20, and a suction force generator 30.

상기 본체부(10)는,The main body portion 10 includes:

펌프본체(11), 체결플렌지(12), 흡입구(13) 및 토출구(14)로 이루어져 구성된다.A pump body 11, a fastening flange 12, a suction port 13, and a discharge port 14.

상기 펌프본체(11)는, 전후방이 개구되어 드럼 형상을 취하며 내부에 모터부(20)를 하우징하며 거센 유수의 압력 및 충격에 버틸 수 있는 충분한 강성을 가지도록 강철 등의 금속제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ump main body 11 is made of metal such as steel so as to have a drum shape with front and rear openings and housing the motor part 20 therein and having sufficient rigidity to withstand pressure and impact desirable.

상기 체결플렌지(12)는, 상기 펌프본체(11)를 수문에 고정하는데에 사용되며 주로 상기 체결플렌지(12)에 일정간격을 두고 구멍을 뚫어 형성한 나사체결공에 나사, 리벳 등을 이용하여 상기 수문측의 체결플렌지(12)에 단단히 고정한다.The fastening flange 12 is used to fasten the pump body 11 to the water gate and is screwed or screwed into a screw fastening hole formed by drilling a hol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fastening flange 12 And tightly fixed to the tightening flange 12 on the side of the water gate.

상기 흡입구(13) 및 토출구(14)는, 각각 펌프본체(11)의 전방 및 후방에 개구된 형태로 위치되어서 상기 흡입구(13)로부터 물을 빨아들여서 상기 토출구(14)에서 배출하면서 어느 한 곳의 물을 다른 곳으로 이송한다.
The suction port 13 and the discharge port 14 are located at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pump body 11 so as to be sucked from the suction port 13 and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14, Of water to another location.

상기 모터부(20)는,The motor section (20)

수중모터(21), 모터스트럿(22) 및 임펠러(23)를 포함하여 구성되며,An underwater motor 21, a motor strut 22 and an impeller 23,

상기 수중모터(21)는, 물속에 잠겨서 작동에 지장이 없도록 완전히 밀폐되어야하며, 거친 유속에 따른 환경에서 고장이 없도록 충분한 내충격력을 갖도록 제작되어야 한다. 또,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데에 지장이 없도록 시설이 갖추어져야 할 것이다.The submersible motor 21 should be completely sealed so as to be immersed in water so as not to interfere with operation, and should be made to have a sufficient impact force so as not to malfunction in an environment of rough flow rate. In addition, the facility should be equipped so that it does not interfere with receiving power from the outside.

상기 모터스트럿(22)은, 상기 수중모터(21)를 상기 본체부(10)에 고정시키는 지지대 역할을 수행한다. 수중모터(21)의 고속회전시에 만일, 제대로 고정되지 않고 있다면, 이는 곧바로 강력한 진동 발생이 예고되며 상기 진동은 게이트펌프의 고장으로 이어지는 것이다. 상기 수중모터(21)는 상기 펌프본체(11)의 길이를 따라 놓이며, 그 전방은 상기 펌프본체(11)의 전방으로 어느정도 튀어나오는 구조를 취하는 것이 보통이므로, 상기 모터스트럿(22)은 상기 수중모터(21)의 허리 또는 꼬리 쪽에 형성되는 것이다.The motor strut 22 serves as a support for fixing the submersible motor 21 to the main body 10. If the underwater motor 21 rotates at a high speed, if it is not fixed properly, it is immediately predicted that a strong vibration will be generated and this vibration will lead to a failure of the gate pump. Since the underwater motor 21 is disposed along the length of the pump body 11 and the forward portion of the underwater motor 21 is protruded to the front of the pump body 11, And is formed on the waist or tail side of the submersible motor 21.

상기 임펠러(23)는, 상기 수중모터(21)의 후방에 회전을 하도록 연결되어 수중모터(21)의 전기 동력을 물리적인 유체의 흐름으로 바꾼다.The impeller 23 is connected to the rear of the submersible motor 21 so as to rotate, and converts the electric power of the submersible motor 21 into a flow of a physical fluid.

한편, 본 발명의 배경기술인 도 3 및 도 4의 예시를 보면, 임펠러의 맨 끝 외주는 웨어링에 맞닿아 있다. 상기 웨어링은 펌프본체의 내부에 끼워져서 상기 임펠러의 외주로부터 물이 새어나가거나, 역류하지 않도록 막는 기능을 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example of FIGS. 3 and 4, which is a backgr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end of the impeller is in contact with the wear ring. The wear ring is inserted into the pump body to prevent water from leaking from the outer periphery of the impeller or preventing the water from flowing backward.

그런데, 수문을 통과하는 물은 혼탁하며 협잡물이 매우 많이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임펠러와 웨어링 사이에 이물질이 끼는 경우가 잦다. 이 경우 수중모터의 정상적인 회전이 불가능해지며, 전기동력계통에 강한 부하를 주어서 자칫 큰 고장으로 연결될 수 있는 것이다. 도 3 및 도 4의 배경기술은 이러한 점을 시정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상기 웨어링을 분할하여서 스프링 등의 탄성을 이용하여 협잡물 등 이물질이 끼더라도 탄력적으로 대응하도록 만들어져 있다.However, the water passing through the gates is turbid and contains a lot of pollutants. Therefore, foreign matter often gets caught between the impeller and the wearer. In this case, normal rotation of the underwater motor becomes impossible, and a strong load is applied to the electric power system, so that it can be connected to a large failure. 3 and FIG. 4 are intended to correct this point, and the wearer is divided so that elasticity such as a spring or the like can be used to elastically cope with foreign matter such as impurities.

하지만, 웨어링을 사용하여 임펠러와 마찰력이 발생하고, 웨어링을 분할하여서 구성이 번잡하고, 다수의 스프링을 사용하므로 구성의 번잡은 물론이거니와 게이트펌프는 물에 잠겨서 작동하도록 되어 있는바, 수중에서 스프링의 내구성 신뢰가 떨어진다.
However, since friction force is generated with the impeller using the wear ring, and the construction is complicated by the division of the wear ring, and a large number of springs are used, not only the construction troubles but also the gate pump are operated so as to be immersed in water, Durability is poor.

본 발명의 흡인력발생부(30) 구성은 전술한 배경기술의 단점을 극복하고자 안츨된 것으로서, 상기 흡인력발생부(30)는 물리학 및 유체역학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베르누이정리(Bernoulli's theorem)를 활용하여 구성한 것이다.The suction force generating unit 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overcome the disadvantages of the background art described above. The suction force generating unit 30 is constructed by utilizing the Bernoulli's theorem widely known in the field of physics and fluid mechanics will be.

베르누이정리란 예를 들어, 굵기가 변하는 관에 공기를 흐르게 하고 굵기가 다른 부분의 아래로 가는 유리관을 연결한다. 가는 유리관 속에서의 물의 높이를 관찰하면 굵은 쪽에 연결된 물기둥은 그 높이가 낮아지고, 가는 쪽에 연결된 물기둥은 높이가 높아진다. 같은 높이에서 유체가 흐르는 경우 유체의 속력은 좁은 통로를 흐를 때 증가하고 넓은 통로를 흐를 때 감소한다. 베르누이의 정리에 따르면 유체의 속력이 증가하면 유체 내부의 압력이 낮아지고, 반대로 속력이 감소하면 내부 압력이 높아진다. 압력이 높아지면 유리관 속의 물기둥을 더 세게 누르므로 물기둥의 높이가 낮아지고, 압력이 낮아지면 유리관 속의 물기둥을 약하게 누르므로 물기둥의 높이는 높아진다.
Bernoulli theorem, for example, lets air flow through a tube of varying thickness and connects a glass tube that goes below the thickness. When we observe the height of water in a thin glass tube, the height of the water column connected to the thicker side is lowered, and the height of the water column connected to the thinner side is higher. When fluid flows at the same height, the velocity of the fluid increases as it flows through the narrow passages and decreases as it flows through the wide passages. According to Bernoulli's theorem, as the fluid velocity increases, the pressure inside the fluid decreases, and conversely as the velocity decreases, the internal pressure increases. As the pressure increases, the height of the water column decreases as the water column in the glass tube is pressed harder. As the pressure decreases, the water column in the glass tube presses weaker, increasing the height of the water column.

도 5 내지 도 8의 예시에 따르면 상기 흡인력발생부(30)는,5 to 8, the suction force generating unit 30 includes:

유체분리막(31), 유체분리막스트럿(32), 유체분리막입구(33) 및 유체분리막출구(3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fluid separation membrane 31, the fluid separation membrane strut 32, the fluid separation membrane inlet 33, and the fluid separation membrane outlet 34.

상기 유체분리막(31)은, 상기 임펠러(23)의 맨끝 외주측의 후방에 근접하여 배치된다. 그 형태는 날개의 면을 말아서 만든 고리형상을 취한다. 그리고 상기 펌프본체(11)의 내주(내둘레)로부터 일정거리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The fluid separation membrane 31 is disposed close to the rear of the outer peripheral side of the end of the impeller 23. Its shape takes the shape of a ring made by rolling the face of a wing.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inner circumference (inner circumference) of the pump body 11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상기 유체분리막스트럿(32)은, 상기 유체분리막(31)이 상기 배치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잡아 고정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유체분리막(31)의 외주로부터 상기 펌프본체(11)의 내주로 연장되어 양자를 고정하는 기둥 혹은 판의 일종이다. 동시에, 상기 유체분리막스트럿(32)은 수로(35)를 수평방향으로 구획하는 칸막이 역할을 겸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가능한, 칸막이 판의 형태를 취하는 것이 물의 높이 즉, 수위가 낮아져도 물이 차지 않은 다른 칸의 수로와 구분을 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상기 칸막이 판 형태를 취하여 수로를 수평으로 구분하는 경우에, 부분적으로 물에 잠기지 않는 수로(35) 구간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물에 잠기는 부분만큼은 별도로 저압의 압력을 유지시키기에 유리하다.The fluid separation membrane strut 32 functions to hold and fix the fluid separation membrane 31 so as to maintain the disposed state and extends from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fluid separation membrane 31 to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pump body 11 It is a kind of pole or plate fixing the two. At the same time, the fluid separation membrane strut 32 can also serve as a partition for horizontally dividing the channel 35.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o take the form of the partition plate, because the water level, that is, the water level, can be differentiated from the other channels which do not occupy water. In the case of dividing the water channel horizontally by taking the form of the partition plate, it is advantageous to keep the pressure of low pressure separately as much as the part immersed in water even when the water channel 35 which is not immersed partially occurs.

상기 유체분리막입구(33) 및 유체분리막출구(34)는, 각각 상기 유체분리막(31)의 전방 및 후방에 위치하여서, 전방의 유체분리막입구(33)로부터 물이 흡인되어서 후방의 유체분리막출구(34)로 빠져나간다. 엄밀히 말해서는, 상기 유체분리막출구(34)에서 흡인되는 힘으로 상기 유체분리막입구(33) 측의 물을 잡아끄는 것이다.The fluid separation membrane inlet 33 and the fluid separation membrane exit 34 are respectively located at the front and rear of the fluid separation membrane 31 so that water is sucked from the front fluid separation membrane inlet 33, 34). Strictly speaking, the water on the side of the fluid separation membrane inlet 33 is pulled out by a force attracted from the fluid separation membrane outlet 34.

도7, 도 8 및 도 9의 예시와 함께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7, 8 and 9, and more specifically,

수중모터(21)의 동력으로 임펠러(23)가 회전하면, 물(water)이 흡입구(13)로부터 흡인되어 토출구(14)로 배출되게 된다. 이때, 유체분리막(31)의 후방에는 물의 흐르는 유속에 의해서 저압(30b)이 발생하게 되고, 상기 저압(30b)은 유체분리막(31) 내의 수로(35)를 통하여 임펠러(23)의 외주와 펌프본체(11)의 내주 사이(31a) 간격(d1)에 존재하는 물을 흡인(30c)하여 유속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비록, 임펠러(23)와 펌프본체(11)가 맞닿지 않고 간격(d1)이 있어도 혹은, 웨어링이 없다고 하더라도, 부분적으로 물의 흐름이 멈추는 부분이 생기거나 역류하는 일이 발생하지 않는다.When the impeller 23 is rotated by the power of the underwater motor 21, water is sucked from the suction port 13 and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ort 14. At this time, a low pressure 30b is generated at the rear of the fluid separation membrane 31 due to the flow velocity of water. The low pressure 30b is transmitted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impeller 23 through the water passage 35 in the fluid separation membrane 31, The water present in the interval d1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ce 31a of the main body 11 is sucked 30c to generate a flow velocity. Therefore, even if the impeller 23 and the pump main body 11 are not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re is a gap d1 or there is no wear ring, a part where the flow of water stops partially does not occur or the back flow does not occur.

임펠러(23)가 펌프내부 또는 웨어링 등에 물리적인 접촉을 하지 않으므로 마찰이 없어서 에너지효율이 높고, 수명을 길게 할 수 있고, 이물질 등이 끼어서 발생하는 고장이 없어진다.Since the impeller 23 does not physically contact the inside of the pump or the wear ring, there is no friction so that the energy efficiency is high, the life can be prolonged, and troubles caused by foreign substances are eliminated.

한편, 상기 저압(30b) 발생에 의한 흡인력을 강화시키도록 도 9의 예시와 같이 유체분리막출구(34)의 이격거리(d3)를 유체분리막입구(33)의 이격거리(d2)보다 크게 할 수 있다. 유체분리막(31) 입구측의 흡인력은 상기 이격거리의 차이만큼 커지게 되는 것이다.9, the separation distance d3 of the fluid separation membrane outlet 34 may be set to be larger than the separation distance d2 of the fluid separation membrane inlet 33 in order to enhance the suction force due to the generation of the low pressure 30b have. The attraction force at the inlet side of the fluid separation membrane 31 becomes larger by the difference in the separation distance.

도 10 A에 도시된 예시에서는, 유체분리막(31)이 정면에서 보아 수평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 이유는 도 10 B와 같이 수문에 흘러들어오는 물이 항상 게이트펌프 전체를 잠기게 하는 것은 아니어서. 중간 혹은 게이트펌프의 저면만 잠기는 수가 있다.In the example shown in Fig. 10A, the fluid separation membrane 31 is formed horizontally as viewed from the front. This is because the water flowing into the gates does not always lock the entire gate pump as shown in FIG. 10B. Only the bottom of the middle or gate pump can be locked.

이때, 정면에서 보아 유체분리막(31)이 가능한 수평상태로 형성되어 있으면 적어도, 물에 잠기는 층에 대해서 만큼은 상기 저압의 힘의 다른 곳으로 새지 않고 흡인작용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다.At this time, if the fluid separation membrane 31 is formed in a horizontal state as viewed from the front, at least the water-immersed layer is not leaked to the other portion of the low-pressure force and the suction action can be faithfully performed.

또한, 펌프게이트의 저면은 물에 잠겨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유체분리막(31) 간의 간격을 크게 주어도 된다. 그러나 펌프게이트의 상면은 저수 수위에 따라 잠기거나 잠기지 않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할 수 있으므로 미세한 차이에라도 적응할 수 있도록 상면측의 유체분리막(31) 사이의 간격은 촘촘히, 적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since the bottom surface of the pump gate is mostly immersed in water, the gap between the fluid separation membranes 31 may be increased. However, since the upper surface of the pump gate may not be immersed or immersed frequently depending on the water level, it is preferable that the interval between the fluid separation membranes 31 on the upper surface side is made smaller and smaller so as to adapt even to minute differences.

본 발명의 구성은 또한, 펌프게이트 외의 다른 곳에 사용되는 수중펌프 또는 환기구 등에도 적용할 수 있다.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applied to an underwater pump or a ventilator used in other places than the pump gate.

본체부(10); 펌프본체(11); 체결플렌지(12); 흡입구(13); 토출구(14)
모터부(20); 수중모터(21); 모터스트럿(22); 임펠러(23);
흡인력발생부(30): 유체분리막(31): 유체분리막스트럿(32); 유체분리막입구(33); 유체분리막출구(34);
임펠러에 의한 유체흐름(30a); 저압발생부위(30b); 저압발생으로 인한 유체흐름(30c)
A main body 10; A pump body (11); A fastening flange 12; A suction port 13; The discharge port (14)
A motor unit 20; An underwater motor 21; A motor strut 22; An impeller 23;
Suction force generating section (30): fluid separating membrane (31): fluid separating membrane strut (32); A fluid separation membrane inlet (33); A fluid separation membrane outlet (34);
Fluid flow 30a by the impeller; A low-pressure generating portion 30b; Fluid flow 30c due to low pressure generation

Claims (1)

전후방이 개구된 펌프본체와; 상기 펌프본체를 펌프일체형수문에 고정하는 체결플렌지와; 상기 펌프본체의 전방에 위치하며 물을 흡입하는 흡입구와; 상기 펌프본체의 후방에 위치하며 물이 토출되는 토출구를; 포함하는 본체부와,
상기 펌프본체의 길이를 따라 전방으로부터 삽입되어 배치되는 수중모터와; 상기 수중모터를 상기 본체부에 고정시키는 모터스트럿과; 상기 수중모터의 후방에 배치되어 물을 밀어내도록 회전하는 임펠러를; 포함하는 모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게이트펌프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의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펌프본체의 내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내주를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면서 고리형태의 날개형상을 취하여 설치되는 유체분리막과; 상기 유체분리막을 상기 펌프본체에 고정시키는 유체분리막스트럿과; 상기 유체분리막의 전방에서 물을 흡입하는 유체분리막입구와; 상기 유체분리막의 후방에서 저압에 의해 물이 빨려나가는 유체분리막출구를; 포함하는 흡인력발생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펌프.
A pump body having front and rear openings; A fastening flange for fastening the pump body to the pump-integrated sluice gate; A suction port located in front of the pump body and sucking water; A discharge port located behind the pump body and discharging water; ,
An underwater motor inserted from the front along the length of the pump body; A motor strut for fixing the submersible motor to the main body; An impeller disposed behind the submersible motor and rotating to push water out; The motor unit,
A gate pump comprising:
A fluid separation membrane disposed at the rear of the impeller and spaced apart from an inner circumference of the pump body and spaced apart from the inner circumference at regular intervals, A fluid separation membrane strut for fixing the fluid separation membrane to the pump body; A fluid separation membrane inlet for sucking water in front of the fluid separation membrane; A fluid separation membrane outlet through which water is sucked from the rear of the fluid separation membrane by low pressure; The suction force generating unit,
Further comprising:
KR1020140114806A 2014-08-31 2014-08-31 Gate-Pump KR10161036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4806A KR101610368B1 (en) 2014-08-31 2014-08-31 Gate-Pump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4806A KR101610368B1 (en) 2014-08-31 2014-08-31 Gate-Pump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6362A KR20160026362A (en) 2016-03-09
KR101610368B1 true KR101610368B1 (en) 2016-04-12

Family

ID=55536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4806A KR101610368B1 (en) 2014-08-31 2014-08-31 Gate-Pump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0368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0333B1 (en) * 2018-12-06 2019-03-20 코리아이엔티(주) Pump integrated type with drainage pump member equipped with dust separator function and a drain pump member having a dust separator functio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9792B1 (en) 2010-10-05 2011-03-04 주식회사 우승산업 A pump equipped with the combining plate for a variable angl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9792B1 (en) 2010-10-05 2011-03-04 주식회사 우승산업 A pump equipped with the combining plate for a variable angl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0333B1 (en) * 2018-12-06 2019-03-20 코리아이엔티(주) Pump integrated type with drainage pump member equipped with dust separator function and a drain pump member having a dust separator fun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6362A (en) 2016-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578288A (en) A kind of gas-liquid mixed type self priming centrifugal pump
KR101610368B1 (en) Gate-Pump
CN108757495B (en) Intelligent centrifugal pump
KR101405433B1 (en) Double Suction Water Pump
JP6158106B2 (en) Pump device
KR101328537B1 (en) Centrifugal pump capable of recycling
JP2015143476A (en) Pump system
KR20100050986A (en) A underwater pump
CN211976026U (en) Impeller type anti-blocking rotating joint
CN206784504U (en) A kind of adjustable water saver
CN204429105U (en) A kind of novel membrane separator
JP2011117314A (en) Fluid energy recovering apparatus
CN215171104U (en) Backflow-preventing splashing device
CN207526705U (en) A kind of submersible pump
SE519641C2 (en) Combined centrifugal and vacuum pump for pumping pulp
US20140134021A1 (en) Pump for a Domestic Appliance
CN220354142U (en) Cavitation suppression device of centrifugal pump
CN204113759U (en) There is the vertical pump of exhaust throwing disc
CN203978912U (en) Sand control submersible pump
JP2014173576A (en) Self-priming pump
CN210240098U (en) Special mechanical seal for lithium battery decomposition liquid raw material pump
CN215330279U (en) Integrated water piece with double-outlet micropump
CN212615414U (en) Novel structure of water pump
CN211423471U (en) Structure valve with separable flow guide body and valve body
TWI795103B (en) Pump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