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9328B1 - Fabrics with cut loop group, manufacturing method of the fabrics and textile goods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Fabrics with cut loop group, manufacturing method of the fabrics and textile goods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9328B1
KR101609328B1 KR1020140063768A KR20140063768A KR101609328B1 KR 101609328 B1 KR101609328 B1 KR 101609328B1 KR 1020140063768 A KR1020140063768 A KR 1020140063768A KR 20140063768 A KR20140063768 A KR 20140063768A KR 101609328 B1 KR101609328 B1 KR 1016093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fibers
fabric
fineness
cut loo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376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136365A (en
Inventor
이현삼
최성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클렘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클렘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클렘본
Priority to KR10201400637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9328B1/en
Publication of KR201501363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636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93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932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27/00Woven pile fabric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16Cloths; Pads; Sponge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2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 D02G3/38Threads in which fibres, filaments, or yarns are wound with other yarns or filaments, e.g. wrap yarns, i.e. strands of filaments or staple fibres are wrapped by a helically wound binder yarn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11/00Teasing, napping or otherwise roughening or raising pile of textile fabr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 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트 루프 조직을 갖는 원단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르면 바닥사에 의해 형성된 직물 또는 편물 형태의 바닥포와, 상기 바닥포의 적어도 일면에 원사로 짜거나 떠서 형성된 루프사, 상기 루프사의 적어도 일부를 커트하여 형성된 커트 루프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원단으로서, 상기 원사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섬유로 된 적어도 하나의 제1사 및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섬유로 된 적어도 하나의 제2사를 서로 평행하게 위치시킨 후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1사와 제2사를 하나로 집어주는 인터를 주어 제조된 것이며, 상기 제1사의 섬유의 섬도와 상기 제2사의 섬유의 섬도는 서로 다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커트루프 조직을 갖는 원단을 제공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abric having a cut loop structure, comprising a bottom fabric in the form of a fabric or a knitted fabric formed by a bottom yarn, a loop yarn formed by weaving or loosely formed yarn on at least one side of the bottom fabric, The yarn comprising at least one first yarn of one or two or more fibers and at least one second yarn of one or two or more fibers in parallel with one another, Wherein the first yarn and the second yarn are made of fibers having a fineness different from a fineness of the fibers of the first yarn and a fineness of the fibers of the second yarn, .

Description

커트 루프 조직을 갖는 원단,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제품{Fabrics with cut loop group, manufacturing method of the fabrics and textile goods using the same} [0001] Fabrics having a cut loop structure, fabrication methods thereof, and products using the same [0001]

본 발명은 커트 루프 조직을 갖는 원단,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제품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abric having a cut loop structure,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a product using the same.

일반적으로 극세사란 1데니어(denier) 이하의 섬유로서 초극세사가 3차원구조로 되어 있고 염색 분할시 생긴 무수히 많은 마이크로 공간이 있어 수분 흡수력, 세탁력, 터치감, 보온성이 뛰어난 소재이다. 극세사를 소재로 한 행주, 걸레, 타월, 가운 등은 탁월한 세척력과 높은 속건성, 뛰어난 항균성과 내구성 등으로 인하여 우수한 평가를 받고 있다. 특히 극세사로 된 청소용 걸레의 경우 찌든 때 등을 흡착시켜 닦아주는데 일반 면 걸레보다 5배 이상 흡수력이 뛰어나며, 그 효율과 수명이 일반 면 걸레보다 7~8배 뛰어나다는 등의 장점으로 인하여 큰 인기를 모으며 널리 사용되고 있다. In general, microfiber yarns are less than 1 denier, and the microfibers have a three-dimensional structure. Since there are innumerable micro-spaces formed by the dye-splitting, they are excellent in water absorption, washing power, touch feeling and warmth. Microfiber cloths, mops, towels, and bathrobes are highly evaluated for their excellent cleaning power, fast drying properties, excellent antibacterial properties and durability. Especially, cleaning wipes made of micro-wool are absorbed more than 5 times more than general mop, and its efficiency and life is 7 ~ 8 times better than general mop. And is widely used.

청소용 걸레에 사용되는 원단은 통상적으로 루프 조직을 갖도록 원사를 편성하여 제직하고, 제직하여 얻어진 루프를 커트하여 제조된 것을 사용하게 된다. 이것은 커트하지 않은 루프 조직의 원단으로 제조된 걸레는 제거 대상이 되는 이물질을 잡지 못하고 밀어내 버려 청소의 효과가 떨어지기 때문이다. 즉, 커트 루프 조직을 갖는 원단으로 제조된 걸레는 청소 시 커트된 루프와 루프 사이에 이물질이 끼여 제거됨으로서 청소 시 이물질의 제거 효과가 높아지기 때문에 대부분의 청소용 걸레에는 커트 루프 조직을 갖는 원단이 적용된다. The fabric used for the cleaning mop is usually fabricated by cutting a loop obtained by weaving a yarn so as to have a loop structure and weaving. This is because the rag made from the fabric of the uncut loop tissue is not able to catch the foreign object to be removed and the cleaning effect is reduced. In other words, a cloth made of a fabric having a cut loop structure has a cut loop structure in the most of the cleaning cloths since foreign matter is removed between the loops and the loops when the cloth is cleaned. .

그러나 커트 루프 조직을 갖는 청소용 걸레에 적용되는 원단 제조시 원사를 극세사로 사용한 경우 극세사로 인하여 청소 초기에는 그 닦임성이 증대되는 이점은 있으나, 극세사의 굵기가 워낙 얇기 때문에 반발 탄성이 낮아서 신축성과 복원력이 떨어져 청소하는 과정에서 극세사가 물을 흡수하거나 압력을 받아 눌리게 되면 실들이 뭉치거나 엉킨 상태로 존재하게 되어 밀림성이 떨어져 청소효과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when a yarn is used as a microfiber in the production of a fabric for a cleaning mop having a cut loop structu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degree of scrubbing is increased at the beginning of cleaning due to microfiber, but since the thickness of the microfiber is very thin, the repulsive elasticity is low, When the microfiber absorbs water or presses the microfibers in the process of separating the microfibers, the threads are aggregated or entangled, and the frigidity is reduced to deteriorate the cleaning effect.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한국 특허 제929510호에서는 심초형 복합구조를 갖는 파일사로 컷파일층을 형성한 청소용 파일 포백을 개시하고 있다. 여기서 심초형 복합구조를 갖는 파일사는 5 내지 55dtex의 단사섬유 섬도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심부 형성사와, 그 심부를 둘러싸는 0.01 내지 2.5dtex의 단사섬유 섬도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초부 형성사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716623호에서 합성섬유 분섬사를 중심사로 사용하고, 분할형 극세사를 커버링사로 사용하되, 중심사에 분할형 극세사를 연사한 후 열처리하여 커버링사가 중심사에 고착되도록 한 기술을 개시한 바 있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Korean Patent No. 929510 discloses a cleaning pile fabric in which a cut fille layer having a core-sheath type composite structure is formed. Wherein the pile yarn having a core-sheath type composite structure comprises at least one deep forming yarn having a single yarn fineness of 5 to 55 dtex and at least one noving yarn having a single yarn fineness of 0.01 to 2.5 dtex surrounding the core portion. Korean Patent No. 716623 discloses a technique in which a synthetic fiber splittable yarn is used as a core yarn and a split type microfiber yarn is used as a covering yarn and a covering yarn is fixed to the center yarn by heat treating the split type microfibers at a center yarn There is one.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원단을 이용하여 청소용 도구로 사용하는 경우 기존의 다른 원단을 사용한 청소용 도구에 비하여 닦임성과, 밀림성, 흡수성, 속건성 및 촉감이 우수한 특성을 나타내게 된다. When used as a cleaning tool using the fabric prepared by the above-described method, the cleaning tool using the other fabric shows superior characteristics such as scrubbing ability, wrinkling resistance, water absorbency, quick drying property and touch feeling.

상기한 기술들에서 파일사, 즉 원단 제조를 위한 원사는 심부를 형성하는 중심사에 커버링사를 감아 제조된다. 그에 따라 이와 같은 원사를 이용하여 커트루프 원단을 제조하는 경우 원사의 제조시간이 길어져 생산성이 떨어지며, 원사의 제조단가가 높아 최종 원단이나 제품의 제조단가를 상승시키는 문제점이 있다.In the above-mentioned techniques, filament yarns, i.e. yarns for producing fabrics, are manufactured by winding covering yarns around core yarns forming the core. Accordingly, when the cut loop fabric is manufactured using such a yarn, the production time of the yarn is prolonged and productivity is low, and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yarn is high, resulting in a problem of raising the cost of manufacturing the final fabric or the product.

이에 본 발명자는 커트 루프 조직을 갖는 원단의 생산성의 향상 및 생산원가를 크게 절감할 수 있으며, 청소용 제품에 적용시 극 미세먼지나 머리카락 등의 이물질을 쉽게 잡아내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닦임성과, 밀림성, 흡수성, 속건성 및 촉감 등의 특성이 극대화될 수 있는 원단을 개발해내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ors have found that when a fabric having a cut loop structure can be improved in productivity and production cost can be greatly reduced, and when applied to a cleaning product, foreign matter such as fine dust or hair can be easily captured,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mpleted by developing a fabric capable of maximizing properties such as hiding, absorbency, quick drying property and touch.

따라서 본 발명은 간단하게 제조된 원사를 이용하면서도 청소용 제품 등에 적용시 극 미세먼지나 머리카락 등의 이물질을 쉽게 잡아내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닦임성과, 밀림성, 흡수성, 속건성 및 촉감 등의 특성이 극대화될 수 있는 커트루프 조직을 갖는 원단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remove foreign matters such as ultrafine dust and hair when applied to a cleaning product while using a simply manufactured yarn, and also has properties such as scrubbing property, wrinkling property, water absorbency, quick drying propert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abric having a cut loop structure that can be maximized.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원단을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커트루프 조직을 갖는 원단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fabric having a cut loop structure capable of efficiently fabricating the fabric.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커트루프 조직을 갖는 원단을 이용한 제품을 제공하는데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product using the fabric having the cut loop structur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바닥사에 의해 형성된 직물 또는 편물 형태의 바닥포와, 상기 바닥포의 적어도 일면에 원사로 짜거나 떠서 형성된 루프사, 상기 루프사의 적어도 일부를 커트하여 형성된 커트 루프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원단으로서, 상기 원사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섬유로 된 적어도 하나의 제1사 및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섬유로 된 적어도 하나의 제2사를 서로 평행하게 위치시킨 후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1사와 제2사를 하나로 집어주는 인터를 주어 제조된 것이며, 상기 제1사의 섬유의 섬도와 상기 제2사의 섬유의 섬도는 서로 다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커트루프 조직을 갖는 원단을 제공한다. 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knitted fabric comprising a bottom fabric in the form of a woven or knitted fabric formed by a bottom yarn, a loop yarn formed by weaving or loosening the yarn on at least one side of the bottom fabric, Wherein the yarn comprises at least one first yarn of one or two or more fibers and at least one second yarn of one or two or more fibers in parallel with each other, Wherein the first yarn and the second yarn are manufactured by interposing a yarn into a single yarn, wherein the fineness of the fibers of the first yarn and the fineness of the fibers of the second yarn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또한 본 발명은 직물 또는 편물 형태의 바닥포 적어도 일면에 원사를 이용하여 루프사를 형성하고, 상기 루프사의 적어도 일부를 커트한 다음 후가공하여 커트 루프층을 형성한 원단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원사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섬유로 된 적어도 하나의 제1사 및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섬유로 된 적어도 하나의 제2사를 서로 평행하게 위치시킨 후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1사와 제2사를 하나로 집어주는 인터를 주어 제조된 것이며, 상기 제1사의 섬유의 섬도와 상기 제2사의 섬유의 섬도는 서로 다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커트루프 조직을 갖는 원단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fabric having a loop formed by using a yarn on at least one surface of a fabric or a knitted fabric in the form of a fabric or a knitted fabric and at least a part of the loop yarn is cut and then processed to form a cut loop layer, At least one first yarn made of one or two or more fibers and at least one second yarn made of one or two or more fibers are plac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and then the first yarn and the second yarn Wherein the fineness of the fibers of the first yarn and the fineness of the fibers of the second yarn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wherein the fineness of the fibers of the first yarn is different from the fineness of the fibers of the second yarn.

상기 제1사의 섬유의 섬도는 4 내지 60데니아이고, 상기 제2사의 섬유의 섬도는 0.002 내지 3.5데니아일 수 있다. The fineness of the fibers of the first yarn may be 4 to 60 denier and the fineness of the fibers of the second yarn may be 0.002 to 3.5 denier.

상기 제1사의 총 섬도는 20 내지 400데니아이고, 상기 제2사의 총 섬도는 20내지 600데니아일 수 있다. The total fineness of the first yarn may be 20 to 400 denier and the total fineness of the second yarn may be 20 to 600 denier.

상기 제1사의 섬유는 천연식물섬유, 천연동물섬유, 재생섬유, 반합성섬유 및 합성섬유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The fibers of the first yarn may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natural plant fibers, natural animal fibers, regenerated fibers, semi-synthetic fibers and synthetic fibers.

상기 제1사의 섬유는 분섬사일 수 있다. The fibers of the first yarn may be splitter yarns.

상기 분섬사는 폴리에스테르 분섬사, 나일론 분섬사 또는 레이온 분섬사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isperse yarn may include a polyester disperse yarn, a nylon disperse yarn, or a rayon disperse yarn.

상기 제2사의 섬유는 레이온,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폴리염화비닐리덴 및 폴리프로필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The fibers of the second yarn may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rayon, polyester, polyamide, polyvinylidene chloride, and polypropylene.

상기 제2사는 분할형극세사 또는 해도사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상기 제2사는 폴리에스테르와 나일론으로 된 분할형극세사일 수 있다. The second yarn may be a split microfiber or sea chart, and preferably the second yarn may be a split microfiber made of polyester and nylon.

상기 제1사 또는 제2사는 연사일 수 있다. The first yarn or the second yarn may be a continuous yarn.

상기 인터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한 것일 수 있다. The interstions may b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인터는 2mm 내지 1m 간격으로 형성한 것일 수 있다. The interstices may be formed at intervals of 2 mm to 1 m.

상기 인터는 압축공기를 불어 넣어주는 에어인터 밍글에 의해 형성된 것일 수 있다.The intercooler may be formed by air intermingling which blows compressed air.

상기 커트한 루프의 길이가 1mm~50mm가 되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The length of the cut loop may be 1 mm to 50 mm.

상기 후가공은 알칼리감량가공을 포함할 수 있다. The post-processing may include alkali reduction processing.

상기 알칼리 감량가공 후의 커트 루프층의 커트된 루프는 제2사의 수축에 의해 제1사가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를 갖는 것일 수 있다. The cut loop of the cut loop layer after alkali reduction processing may have a shape in which the first yarn protrudes outward due to contraction of the second yarn.

상기 후가공은 알칼리감량가공 및 염색가공을 포함할 수 있다. The post-processing may include alkali reduction processing and dyeing processing.

상기 염색가공은 100~150℃에서 30분 내지 60분 동안 실시하는 것일 수 있다. The dyeing may be carried out at 100 to 150 DEG C for 30 to 60 minutes.

상기 염색가공 후의 커트 루프층의 커트된 루프는 제1사가 제2사의 외측으로 돌출됨과 동시에 단부가 열에 의해 휘어져 갈고리 형태를 갖는 것일 수 있다. The cut loop of the cut loop layer after the dyeing process may be such that the first yarn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yarn and the end portion is bent by heat to have a hook shape.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원단을 가공하여서 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product characterized in that the fabric is processed.

상기 제품은 행주, 걸레, 주방용 매트, 욕실용 매트, 타월, 목욕용 장갑 및 비듬제거 크리너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The product may be any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cloth, a mop, a kitchen mat, a bath mat, a towel, a bath glove, and a dandruff removal cleaner.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커트루프 조직을 갖는 원단은 원사로 간단한 공정으로 제조된 것을 사용하여 기존 중심사에 커버링사를 연사하여 제조된 원사를 사용하는 것에 비하여 원단의 생산성의 향상 및 생산원가를 크게 절감할 수 있으며, 특히 감량가공 등에 의해 제2사가 수축되면서 제1사가 돌출된 형태를 가짐과 동시에 그 단부가 갈고리 형태로 휘어짐에에 따라 제1사가 갈고리 역할을 하여 극 미세먼지나 머리카락 등의 이물질을 쉽게 잡아내면서 닦아줄 수 있고, 제2사에 의해 닦임성과, 밀림성, 흡수성, 속건성 및 촉감이 우수한 특성을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커트루프 조직을 갖는 원단은 행주나 걸레를 포함하여 각종 매트, 타월, 목욕용품 등의 제품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The fabric having the cut loop structure manufactured by the above-described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mproved in the productivity of the fabric compared to the case of using the yarn manufactured by the simple yarn manufacturing process using the covering yarn of the conventional core yarn And the production cost can be greatly reduced. Particularly, the second yarn is contracted by weight reduction or the like, and the first yarn is protruded. At the same time as the end portion thereof is bent into a hook shape, the first yarn serves as a hook, And hair can be easily wiped off while being wiped off, and the second yarn exhibits excellent properties such as scrub resistance, wrinkling resistance, water absorbency, quick dryness and touch. Therefore, the fabric having the cut loop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fully used for various mats, towels, bath articles, etc. including cloths and ra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원단의 표면을 나타낸 사진이다.1 is a photograph showing the surface of a fabric fabrica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에 따른 커트 루프 조직을 갖는 원단은 바닥사에 의해 형성된 직물 또는 편물 형태의 바닥포와, 상기 바닥포의 적어도 일면에 원사로 짜거나 떠서 형성된 루프사, 상기 루프사의 적어도 일부를 커트하여 형성된 커트 루프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A fabric having a cut loop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ottom yarn in the form of a woven or knitted fabric formed by a bottom yarn, a loop yarn formed by weaving or loosely formed yarn on at least one side of the bottom yarn, a cut formed by cutting at least a part of the loop yarn Loop layer.

상기한 커트 루프 조직을 갖는 원단은 직물 또는 편물 형태의 바닥포 적어도 일면에 원사를 이용하여 루프사를 형성하고, 상기 루프사의 적어도 일부를 커트한 다음 후가공하여 커트 루프층을 형성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The fabric having the cut loop structure may be fabricated by a method in which a loop yarn is form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a bottom fabric or a bottom fabric in the form of a knitted fabric or knitted fabric and at least a part of the loop yarn is cut and then processed to form a cut loop layer .

이때 상기 원사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섬유로 된 적어도 하나의 제1사 및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섬유로 된 적어도 하나의 제2사를 서로 평행하게 위치시킨 후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1사와 제2사를 하나로 집어주는 인터를 주어 제조된 것이며, 상기 제1사의 섬유의 섬도와 상기 제2사의 섬유의 섬도는 서로 다른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Wherein the yarn comprises at least one first yarn of one or two or more fibers and at least one second yarn of one or two or more fibers in parallel with each other and then the first yarn and the second yarn And the fineness of the fibers of the first yarn and the fineness of the fibers of the second yarn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한 바와 같이 커트 루프 조직을 갖는 원단의 제조에 사용된 원사의 구조에 가장 큰 특징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ucture of the yarn used in the production of the fabric having the cut loop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is the most important feature.

상기 원사는 적어도 하나의 제1사와 적어도 하나의 제2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The yarn comprises at least one first yarn and at least one second yarn.

상기 제1사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섬유로 된 것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원사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섬유로 된 것일 수 있다. The first yarn may be of one or more fibers. Likewise, the second yarn may be of one or more fibers.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사를 구성하는 섬유의 섬도와 제2사를 구성하는 섬유의 섬도는 서로 다르다. 일예로 상기 제1사를 구성하는 섬유의 섬도는 제2사를 구성하는 섬유의 섬도에 비하여 큰 것일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neness of the fibers constituting the first yarn and the fineness of the fibers constituting the second yarn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For example, the fineness of the fibers constituting the first yarn may be larger than the fineness of the fibers constituting the second yarn.

예를 들어 상기 제1사의 섬유의 섬도는 4 내지 60데니아이고, 상기 제2사의 섬유의 섬도는 0.002 내지 3.5데니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사의 총 섬도는 20 내지 400데니아이고, 상기 제2사의 총 섬도는 20 내지 600데니아일 수 있다. For example, the fineness of the fibers of the first yarn may be between 4 and 60 denier and the fineness of the fibers of the second yarn may be between 0.002 and 3.5 denier. Also, the total fineness of the first yarn may be 20 to 400 denier, and the total fineness of the second yarn may be 20 to 600 denier.

본 발명에 따른 원사를 이용하여 커트 루프 조직을 갖는 원단으로 제조시 상기 제1사는 상대적으로 굵기가 굵어 반발 탄성 계수를 높여 복원력과 탄성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제조된 원단을 청소용 걸레로 사용하는 경우 커트 루프가 압력을 받아 눌려져도 곧바로 회복되게 되어 밀림성 저하에 의한 청소효율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제1사의 효과를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제1사의 섬유의 섬도는 4 내지 60데니아이고, 제1사의 총 섬도는 20 내지 400데니아인 것이 바람직하다. When the yar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as a fabric having a cut loop structure, the first yarn is relatively thick and has a high rebound resilience to improve restoring force and elasticity. Therefore, when the manufactured fabric is used as a cleaning mop, even if the cut loop is pressed under pressure, it is immediately restored, and the cleaning efficiency due to a drop in the wrinkling property can be prevented from being lowered. In order to sufficiently exhibit the effect of the first yarn, the fineness of the fibers of the first yarn is preferably 4 to 60 denier and the total fineness of the first yarn is preferably 20 to 400 denier.

이때, 상기 제1사를 구성하는 섬유의 섬도가 4데니아 미만이고, 제1사의 총 섬도가 20데니아 미만일 경우 원사를 이용하여 커트 루프 조직을 갖는 원단으로 제조시 커트 루프의 복원력과 탄성력이 충분히 개선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제1사를 구성하는 섬유의 섬도가 60데니아 초과이고, 제1사의 총 섬도가 400데니아 초과일 경우 원사를 이용하여 커트 루프 조직을 갖는 원단으로 제조시 그 제품으로 면을 닦을 때 닦는 면에 스크레치가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At this time, when the fineness of the fibers constituting the first yarn is less than 4 denier and the total fineness of the first yarn is less than 20 denier, the restoring force and the elastic force of the cut loop are sufficiently improved It is not possible. Also, when the fineness of the fibers constituting the first yarn is greater than 60 denier and the total fineness of the first yarn is greater than 400 denier, the yarn is used as a fabric having a cut loop structure, There is a problem that scratches may occur.

본 발명에 따른 원사를 이용하여 커트 루프 조직을 갖는 원단으로 제조시 상기 제2사는 상대적으로 굵기가 가늘어 흡수성이나 속건성 및 촉감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제조된 원단을 청소용 걸레 등으로 사용하는 경우 제2사에 의해 흡수성이나 속건성 및 촉감이 우수한 특성을 발휘한다. 이러한 제2사로서의 효과를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제2사의 섬유의 섬도는 0.002 내지 3.5데니아이고, 제2사의 총 섬도는 20 내지 600데니아인 것이 바람직하다. When the yar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as a fabric having a cut loop structure, the second yarn is relatively thin to improve absorbency, quick drying property and tactile feel. Therefore, when the manufactured fabric is used as a cleaning mop or the like, the second yarn exhibits excellent properties such as absorbency, quick drying property and touch. The fineness of the fibers of the second yarn is preferably 0.002 to 3.5 denier and the total fineness of the second yarn is preferably 20 to 600 denier in order to sufficiently exhibit the effect as the second yarn.

상기 제2사를 구성하는 섬유의 섬도가 0.002데니아 미만이고, 제2사의 총 섬도가 20데니아 미만일 경우 원사를 이용하여 커트 루프 조직을 갖는 원단으로 제조시 속건성이 떨어지는지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제2사를 구성하는 섬유의 섬도가 3.5데니아 초과이고, 제2사의 총 섬도가 600데니아 초과일 경우 흡수성이 떨어지고 촉감이 나빠지는 문제점이 있다.
If the fineness of the fibers constituting the second yarn is less than 0.002 denier and the total fineness of the second yarn is less than 20 denier,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fabric having cut-loop structure using the yarn is poor in quick drying property during manufacture. Further, when the fineness of the fibers constituting the second yarn exceeds 3.5 denier and the total fineness of the second yarn exceeds 600 deni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bsorbency is deteriorated and the feeling of touch is deteriorated.

상기 제1사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섬유로 된 것일 수 있으며, 둘 이상의 섬유로 이루어지는 경우 각각은 서로 동일한 섬도를 가져도 되고, 서로 다른 섬도를 가져도 된다. 또한 상기 제1사가 둘 이상의 섬유로 이루어지는 경우 각각은 서로 동일한 재질이거나 이종의 재질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사가 둘 이상의 섬유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제1사는 연사 또는 인터를 주어 하나의 실 형태로 제조된 것일 수 있다. The first yarn may be made of one or more than two fibers, and in the case of two or more fibers, each of the first yarns may have the same fineness or different fineness. When the first yarn is formed of two or more fibers, the first yarns may be the same material or different materials. If the first yarn is made of two or more fibers, the first yarn may be one yarn having a twist yarn or an inter yarn.

여기서 연사란 두올 이상의 실을 합하여 꼬임을 주는 것으로서, 통상적으로 연사과정에서 꼬임을 주는 방향을 구분하여 왼쪽으로 꼰 것을 좌연(左撚) 또는 Z연이라 하고, 오른쪽으로 꼰 것을 우연(右撚) 또는 S연이라 한다. 이러한 연사에 쓰이는 기계로는 링연사기(ring twister)와 플라이어 연사기(flyer twister) 커버링 기계 등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Here, twist yarn is a twisted yarn that is twisted together to form twisted yarns. In general, twisted yarns are divided into left twisted yarns or right twisted yarns and right twisted yarns S series. Ring twisters and flyer twister covering machines are widely used for such speakers.

바람직하게 상기 제1사의 섬유는 천연식물섬유, 천연동물섬유, 재생섬유, 반합성섬유 및 합성섬유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Preferably, the fibers of the first yarn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natural plant fibers, natural animal fibers, regenerated fibers, semi-synthetic fibers and synthetic fibers.

바람직하게 상기 제1사의 섬유는 분섬사일 수 있다. 상기 분섬사는 폴리에스테르 분섬사, 나일론 분섬사 또는 레이온 분섬사일 수 있다. 상기 분섬사는 바람직하게 2 내지 50필라멘트로 이루어진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시판되는 폴리에스테르는 분섬사에는 섬도가 200데니어/10필라멘트, 300데니어/10필라멘트, 320데니어/8필라멘트, 300데니어/6필라멘트 등이 있으며, 나일론 분섬사에는 180데니어/12필라멘트 또는 240데니어/12필라멘트 등이 있으며, 레이온 분섬사에는 섬도가 200데니어/10필라멘트, 300데니어/10필라멘트, 320데니어/8필라멘트, 300데니어/6필라멘트 등이 있으며, 본 발명이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Preferably, the fibers of the first yarn may be split yarns. The disperse yarn may be polyester yarn, nylon yarn, or rayon yarn. The fibrillated yarn is preferably composed of 2 to 50 filaments. For example, commercially available polyester has a fineness of 200 denier / 10 filament, 300 denier / 10 filament, 320 denier / 8 filament, 300 denier / 6 filament and the like, and 180 denier / 12 filament Or 240 denier / 12 filament, and the rayon split yarn has a fineness of 200 denier / 10 filament, 300 denier / 10 filament, 320 denier / 8 filament, and 300 denier / 6 filament. no.

상기 제2사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섬유로 된 것일 수 있으며, 둘 이상의 섬유로 이루어지는 경우 각각은 서로 다른 동일한 섬도를 가져도 되고, 서로 다른 섬도를 가져도 된다. 또한 상기 제2사가 둘 이상의 섬유로 이루어지는 경우 각각은 서로 동일한 재질이거나 이종의 재질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사가 둘 이상의 섬유로 이루어지는 경우 연사하여 하나의 실 형태로 제조된 것일 수 있다. The second yarn may be made of one or more than two fibers, and when the second yarn is made of two or more fibers, each of the second yarns may have the same fineness or different fineness. When the second yarn is formed of two or more fibers, the second yarns may be the same material or different materials. When the second yarn is formed of two or more fibers, the second yarn may be formed into a single yarn by twisting.

상기 제2사의 섬유는 레이온,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폴리염화비닐리덴 및 폴리프로필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The fibers of the second yarn may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rayon, polyester, polyamide, polyvinylidene chloride, and polypropylene.

상기 제2사는 분할형극세사 또는 해도사일 수 있다. The second yarn may be a split micro-yarn or sea chart.

여기서 분할형극세사 및 해도사는 당해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알려진 것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사는 폴리에스테르와 나일론으로 된 분할형극세사일 수 있다.
Here, the segmented microfibers and sea charts can be used without limitation as generally known in the art. For example, the second yarn may be a split micro-yarn made of polyester and nylon.

전술한 제1사와 제2사를 이용하여 원사를 제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제1사와 적어도 하나의 제2사를 서로 평행하게 위치시킨 후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1사와 제2사를 하나로 집어주는 인터를 주게 된다. In order to produce a yarn using the first yarn and the second yar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first yarn and at least one second yarn are position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and then the first yarn and the second yarn To give you one.

이때, 인터는 당해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을 제한 없이 적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인터는 압축공기를 불어 넣어주는 에어인터 밍글에 의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인터는 필요에 따라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한 것으로서, 예를 들어 열가압을 통해 제1사와 제2사를 하나로 잡아주는 인터를 줄 수도 있다. At this time, the interconnection may be applied to any method generally used in the art without limitation, for example, the interconnection may be formed by air intermingling which blows compressed air. However, the interconnection may be variously modified as needed, for example, by interposing the first and second yarns together by heat pressing.

이때 인터는 길이방향 전체에 걸쳐 인터를 줄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인터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인터는 2mm 내지 1m 간격으로 형성한 것일 수 있다. 상기 간격으로 인터를 주는 경우 제조된 원사는 직물 또는 편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inters may be interposed all over the longitudinal direction. Preferably, the interstices may b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Preferably, the interlayer may be formed at intervals of 2 mm to 1 m. When the interlining is performed at the above-described intervals, the produced yarn can be used for producing a fabric or a knitted fabric.

이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제1사와 적어도 하나의 제2사를 종래 커버링에 의한 방법이 아니라 서로 평행하게 위치시킨 후 인터를 주어 제조하는 경우 원사의 제조공정이 간단할 뿐만 아니라 원사의 제조단가를 기존 중심사에 커버링사를 연사하여 원사를 제조하는 방법에 비해 매우 크게 절감(약 60~70%)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원사를 사용하여 청소용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커트 루프 조직을 갖는 원단으로 제조할 경우 제품은 동등하거나 그 이상의 효과를 보여준다.
When at least one first yarn and at least one second yarn are position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instead of the conventional covering method, the yarn manufacturing process is simple, and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yarn is changed from the existing center (About 60 to 70%) compared with the method of manufacturing yarns by covering yarns with a covering yarn. In addition, when the fabri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anufactured from a fabric having a cut loop structure that can be usefully used for cleaning, the product shows equivalent or superior effects.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원사를 이용하여 커트 루프 조직을 갖는 원단을 제조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커트 루프 조직을 갖는 원단은 바닥사에 의해 형성된 직물 또는 편물 형태의 바닥포의 적어도 일면에 원사로 짜거나 떠서 형성된 루프사 및 상기 루프사의 적어도 일부를 커트한 다음 감량 가공하여 제조된 커트 루프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yarn is used to produce a fabric having a cut loop structure. A fabric having a cut loop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loop yarn formed by weaving a yarn or floated on at least one side of a bottom fabric in the form of a woven or knitted fabric formed by a bottom yarn, And a cut loop layer.

여기서, 바닥포와, 상기 바닥포의 적어도 일면에 루프사를 형성하고, 이를 커트하여 커트 루프층을 형성하는 것은 당해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통상의 파일 직기를 사용하여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any person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form a loop yarn by forming a loop yarn on at least one side of the bottom yarn and the bottom yarn and cutting it to form a cut loop layer have.

예를 들어 파일 직기에 의하여 수득되는 본 발명에 따른 원단의 형태는 편면파일, 양면파일, 이중 벨벳 등의 파일 직물, 그리고 트리콧(tricot) 편기, 러셀(raschel) 편기, 싱커(sinker) 파일 편기, 시일(sseal) 편기에 의하여 얻어지는 파일 편물이 포함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form of the fabri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btained by a pile loom may be a single-sided file, a double-sided file, a pile fabric such as a double velvet, and a tricot knitter, a raschel knitter, , And a file knitted fabric obtained by a seam knitting machine.

예를 들어서 본 발명에 따른 원단은 위사와 경사를 이용하여 바닥포를 제조하고, 상기 바닥포의 일면 또는 양면에 원사를 경사로 하여 루프사를 형성한 다음 상기 루프사를 커트하여 커트 루프층을 형성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fabri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anufactured by manufacturing a bottom yarn using weft yarns and warp yarns, forming a loop yarn on the yarn on one or both sides of the bottom yarn, and then cutting the loop yarn to form a cut loop layer can do.

이때, 상기 커트 루프층의 커트 루프의 길이는 적용 제품을 고려하여 조절 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상기 커트된 루프의 길이는 1mm~50mm가 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At this time, the length of the cut loop of the cut loop layer can be adjusted in consideration of the applied product. Preferably, the length of the cut loop is 1 mm to 50 mm.

즉,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원단의 용도에 맞게 통상의 기모 과정을 통해 바닥포의 외부로 돌출되는 루프의 길이를 조절한 다음 커트할 수 있다. That is, the length of the loop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bottom cloth can be adjusted through a conventional brass process in accordance with the use of the fabric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n cut.

예를 들어 제조된 원단을 타월 등의 목욕용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커트된 루프 길이는 2mm~5mm가 적당하며, 제조된 원단을 스펀지나 글러브 등의 주방용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커트된 루프 길이는 5mm~8mm가 적당하며, 제조된 원단을 걸레용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커트된 루프 길이는 8mm~25mm가 적당하다. For example, if the manufactured fabric is to be used as a bath for a towel or the like, the cut loop length is suitably from 2 mm to 5 mm. If the manufactured fabric is to be used for a kitchen such as a sponge or a glove, 8 mm is suitable, and if the manufactured fabric is used for mop, the cut loop length is preferably 8 mm to 25 mm.

이러한 기모와 커트는 당해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기모기나 커트기(샤링기) 등을 사용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The bristles and cuts can be carried out by using a bristle or a cutter (shearing machine) commonly used in the art,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커트가 완료되면, 당해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실시하는 후가공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후가공은 알칼리 감량가공이나 염색 등의 공정일 수 있다. Once the cut is completed, post-processing that is generally performed in the art can be performed. For example, the post-processing may be an alkali reduction process or dyeing process.

예들 들어 상기 알칼리 감량 가공은 100~130℃에서 30분 내지 60분 동안 알칼리용액으로 처리하여 원사를 구성하는 제2사를 분할, 감량 및 수축시키는 것일 수 있다. For example, the alkali reduction treatment may be performed by treating with an alkali solution at 100 to 130 ° C for 30 minutes to 60 minutes to divide, reduce and shrink the second yarn constituting the yarn.

예들 들어 제2사가 폴리에스테르와 나일론으로 된 분할형 극세사인 경우 알칼리 처리과정에서 폴리에스테르는 부분적으로 가수분해되어 가용성 부산물인 다이소듐 테레프탈레이트(Disodium terephthalate, 이하 "디에스티"라 한다)와 에틸렌글리콜(ethlene glycol)를 생성되고, 폴리아미드(나일론)는 분할된다. 즉, 알칼리 처리에 의하여 제2사는 감량, 분할 및 수축이 일어나게 된다. 특히 제2사의 수축은 루프의 커트된 부분에서 집중적으로 일어나게 되는데, 그에 따라 루프가 커팅된 부분의 제1사는 제2사의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가 된다. 즉, 상기 알칼리 감량가공 후의 커트 루프층의 커트된 루프는 제2사의 수축에 의해 제1사가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를 갖는다.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split microfiber made of polyester and nylon, the polyester is partially hydrolyzed during the alkali treatment to produce soluble disaccharides such as disodium terephthalate (hereinafter referred to as "diester") and ethylene glycol ethlene glycol) is produced, and the polyamide (nylon) is divided. That is, by the alkali treatment, the second yarn is subject to loss, division and shrinkage. Particularly, the shrinkage of the second yarn is concentrated in the cut portion of the loop, so that the first yarn of the portion where the loop is cut becomes a shape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yarn. That is, the cut loop of the cut loop layer after alkali reduction processing has a form in which the first yarn protrudes outward due to contraction of the second yarn.

상기 알칼리 용액은 통상의 알칼리 감량가공에 사용되는 용액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수산화나트륨(NaOH)을 사용할 수 있다. The alkali solution can be used without limitation in a solution used for ordinary alkali reduction processing, for example, sodium hydroxide (NaOH) can be used.

이와 같은 처리에 의해 제1사가 제2사의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를 갖는 경우 제1사가 극 미세먼지나 머리카락 등의 이물질을 쉽게 잡아내면서 닦아줄 수 있어 닦임성과 밀림성을 향상시켜주게 된다. 또한 제2사는 알칼리 감량가공에 의해 다수의 극세사로 분할되며, 이렇게 분할된 극세사는 닦임성과, 밀림성, 흡수성, 속건성 및 촉감을 향상시킨다. If the first yarn has a shape protruding outward from the second yarn by the above-described process, the first yarn can easily wipe off foreign matters such as fine dust and hair, thereby improving the scrubability and wrinkling resistance. In addition, the second yarn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microfine yarns by an alkali reduction process, and the microfine yarns thus divided improve the scrubbing resistance, wrinkling resistance, absorbency, quick dryness and tactile feel.

상기의 알칼리 감량가공에서 감량은 알칼리 용액, 예를 들어 수산화나트륨(NaOH) 농도 및 처리 온도에 큰 영향을 받는다. 수축률을 고려한다면 100~130℃에서 30분 내지 60분 동안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alkali reduction process, the weight loss is greatly influenced by the alkali solution, for example, the sodium hydroxide (NaOH) concentration and the treatment temperature. If the shrinkage factor is considered, it is preferable to carry out the reaction at 100 to 130 ° C for 30 minutes to 60 minutes.

알칼리 감량가공 이후에는 생성된 가수분해 부산물을 제거하기 위해 수세과정을 거칠 수 있다. 상기 수세과정은 세척 및 정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세척은 70~80℃의 온수로 수세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정련은 수세 과정에서 정련제를 투입하여 불순물을 제거하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탄산소오다, 규산소오다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에스티(DST) 제거를 위해 필요시 제3인산소오다를 사용할 수 있다.
After the alkali reduction process, washing process may be performed to remove the hydrolysis by-products generated. The washing process may be performed by washing and refining. Here, the washing may be performed by washing with hot water at 70 to 80 ° C. Here, refining is a method of removing impurities by injecting a refining agent during the flushing process, and generally used soda, oxygen, and oxygen can be used, and a tertiary phosphorous acid can be used if necessary for removing the DST .

상기 알칼리 감량가공 이후에 선택적으로 제조된 원단을 고온에서 염색하는 염색가공을 더 거칠 수 있다. 여기서 염색은 당해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을 적용하여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After the alkali reduction process, dyeing processing may be further performed to dyes the fabric selectively produced at a high temperature. Here, dyeing can be easily carried out by applying a method commonly used in the art.

필요에 따라서 상기 염색 이전에 알칼리 감량가공하여 제조된 원단의 염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전술한 수세과정의 정련 이후 산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산처리는 통상의 염색과정에서 사용되는 산처리제인 알씨 하이드로(RC Cleaning, 대한민국 소재 한솔 주식회사 제조품)를 사용해서 pH 4~5가 되도록 조정해주는 것일 수 있다. If necessary, an acid treatment may be carried out after refining of the above-described water washing process to facilitate dyeing of the fabric prepared by alkali reduction before dyeing. The acid treatment may be carried out by adjusting the pH to 4 to 5 using an acid treatment agent (RC Cleaning (manufactured by Hansol K.K.), which is used in a conventional dyeing process.

염색을 위한 염료는 폴리에스테르나 폴리에스테르와 폴리아미드 복합 극세사용 염료를 사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염료로는 다이아닉스 플라 바인 엑스에프(dianix fla vaine xf), 다이아닉스 레드(dianix red), 씨비엔 엑스에프(cbn xf)(이상은 다국적 기업인 다이스타 제조품)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염색 칼라는 연한 색부터 진한 색까지 다양한 색깔이 가능하다. Dyes for dyeing can be made by using polyester or polyester and polyamide composite microfiber dyes. Examples of such dyes include dianix fla vaine xf, dianix red, and cbn xf, which are manufactured by Daisuta, a multinational company. Dyeing color can be various colors ranging from light color to dark color.

염색시 염료 이외에 분산제, 균염제, 섬유유연제, 항균제를 같이 투입하여 염색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바이러스를 제거하는 데 탁월한 효과가 있는 클로록시레놀도 같이 투입하여 염색을 실시할 수 있다. Dyeing can be carried out by adding a dispersant, a leveling agent, a fabric softener, and an antibacterial agent in addition to the dye. In addition, cloroxylenol, which has an excellent effect for removing viruses, can also be injected and stained.

상기 염색은 100~150℃에서 30분 내지 60분 동안 실시하는 것일 수 있다. The dyeing may be carried out at 100 to 150 ° C for 30 minutes to 60 minutes.

이와 같이 고온에서 염색을 실시할 경우 커트된 루프 부분의 외측으로 돌출된 제1사의 단부가 열에 의해 휘어져 갈고리 형태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온 염색에 의하여 제1사의 끝부분이 갈고리 형태가 되면 극 미세먼지나 머리카락 등의 이물질을 보다 쉽게 잡아내면서 닦아줄 수 있어 닦임성과 밀림성이 극대화되게 된다. When dyeing is performed at such a high temperature, the end portion of the first yarn protruding outward of the cut loop portion may be warped by heat and become hooked. When the end portion of the first yarn is hooked by the high temperature dyeing, foreign substances such as fine dust and hair can be easily wiped off and wiped off, thereby maximizing the scrubbing and wiping.

염색이 완료되며 수세 후 건조하여 염색된 원단을 얻을 수 있으며, 상기 수세 및 건조는 원단 염색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실시하는 방법을 적용하면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After the dyeing is completed, the fabric is washed and then dried to obtain a dyed fabric. The washing and drying can be easily carried out by applying a method generally used in the field of dyed fabrics.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되는 커트루프 조직을 갖는 원단의 표면 사진을 도 1에 나타내었다. 사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1사가 제2사의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를 갖는데, 제1사가 충분한 복원력과 탄성력을 가짐으로서 원단을 청소용으로 사용하는 경우 소정의 압력으로 눌려도 바로 회복되며, 물을 흡수하여도 밀림성이 저하되지 않아 청소효율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고온 염색과정에서 외부로 돌출된 상기 제1사의 단부는 열에 의해 휘어져 갈고리 형태를 가짐에 따라 청소시 갈고리 역할을 하여 극 미세먼지나 머리카락 등의 이물질을 쉽게 잡아내면서 닦아줄 수 있어 닦임성과 밀림성이 극대화되게 된다. 또한 제2사가 흡수성이나 속건성 및 촉감을 우수하게 만들어 준다.
As described above, a surface photograph of a fabric having a cut loop structure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FIG. As shown in the photograph, the first yarn has a shape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yarn. When the first yarn has sufficient restoring force and elasticity, the fabric is recovered immediately when it is pressed at a predetermined pressure when it is used for cleaning,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eterioration of the cleaning efficiency due to the deterioration of the wilting property. In particular, since the end portion of the first yarn protruding outwardly during the high-temperature dyeing process is bent by heat and has a hook shape, it acts as a hook when cleaning and can wipe out foreign substances such as ultrafine dust and hair easily, Sex is maximized. In addition, the second company makes excellent absorbency, quick dryness and touch.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원단은 소정의 크기로 절단한 후 가공하여 다양한 용도로 사용가능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커트 루프 조직을 갖는 원단을 가공하여서 된 제품을 제공한다. Therefore, the fabric produced by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ut into a predetermined size and then processed to be used for various purposes.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roduct obtained by processing a fabric having a cut loop structure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제품은 행주, 걸레, 주방용 매트, 욕실용 매트, 타월, 목욕용 장갑 및 비듬제거 크리너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The product may be any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cloth, a mop, a kitchen mat, a bath mat, a towel, a bath glove, and a dandruff removal cleaner.

예를 들어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원단을 소정의 크기로 절단한 후 가공하여 청소용 걸레로 사용하면 닦임성이 매우 우수하게 된다. 또한 상기한 원단을 화장실이나 주방에 설치하는 매트로 활용하거나 골프용 잔디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다. 특히 화장실이나 주방에 설치하는 매트로 사용하게 되면 신체에 묻은 물기나 주방에서 세척시 흐트러지는 물기를 흡수하여 주위를 청결하게 함은 물론 떨어지는 물기에 의하여 바닥이 미끄럽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사용과정에서 커트 루프의 반발 탄성이 높아 기모가 잘 서고 쿠션력이 우수하며, 촉감이 좋은 이점이 있다.
For example, if the fabric produc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cut into a predetermined size and then processed and used as a cleaning mop, the cleaning property is extremely excellent. In addition, the fabric may be used as a mat to be installed in a toilet or a kitchen, or may be used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golf grass. Especially when used as a mat to be installed in a bathroom or a kitchen, it can absorb the water that gets buried in the body and the water that is disturbed when washing it in the kitchen to clean the surroundings and prevent the floor from being slippery due to falling water. In the process, the rebound elasticity of the cut loop is high, and the bristles are well formed, the cushioning power is excellent, and the touch is advantageous.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하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시된 것일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following examples.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실시예 1>&Lt; Example 1 >

제1사로 300데니어/10필라멘트인 폴리에스테르 분섬사를 사용하고, A polyester yarn of 300 denier / 10 filaments was used as the first yarn,

제2사로 150데니어/72필라멘트 나일론 및 폴리에스테르로 된 분할형 극세사(각 필라멘트는 16분할형이고, 폴리에스테르와 폴리아미드(나일론)는 각각 80%와 20%로 구성됨)를 사용하였다. The second yarn was used in a split type microfiber made of 150 denier / 72 filament nylon and polyester (each filament was divided into 16 segments and polyester and polyamide (nylon) consisted of 80% and 20%, respectively).

상기 제1사 1개와 상기 제2사 2개를 평행하게 위치시킨 후 5mm 간격으로 인터를 주어 상기 제1사와 제2사들이 하나의 실형태가 되도록 하였다. 이때, 인터는 에어인터 밍글 펀 와인더기(대원기계)로 실시하였다. The first yarn and the second yarn were placed in parallel and then interwoven at intervals of 5 mm so that the first yarns and the second yarns were in a single yarn shape. At this time, Inter was carried out by Air Interminking Fun Winder (Daewon Machinery).

제조된 원사를 환편기에서 루프 조직을 갖도록 편성한 다음 제직하고, 기모 후 커트하여 커트된 루프의 길이가 8mm인 원단을 제조하였다. The fabricated yarn was knitted in a circular knitting machine so as to have a loop structure, and then woven, and a fabric having a length of 8 mm was cut out by brushed and cut to produce a fabric.

이렇게 제조된 원단을 수산화나트륨 수용액(10%(w/w) NaOH 사용)에 넣고 130℃에서 30분 동안 처리한 후 60℃의 온수를 살포하여 세척한 다음 정련제를 이용하여 정련하였다. 그런 다음 알씨 하이드로(대한민국 소재 한솔 주식회사 제조품)를 사용해서 pH 4.5가 되도록 산처리한 후, 130℃에서 30분 동안 검정색 염료인 다이아닉스 블랙(다이스타 제품)과 분산제인 DC-505(신광유화 제품), 대전방지제인 아놀-25B(신광유화 제품), 유연제인 3M(신광유화 제품)를 포함하는 염색조에 투입하여 염색한 다음 수세 및 건조하여 원단을 얻었다. The fabric was soaked in sodium hydroxide aqueous solution (using 10% (w / w) NaOH), treated at 130 ° C for 30 minutes, washed with 60 ° C hot water, and refined using a scouring agent. Then, acid treatment was carried out to obtain a pH of 4.5 using alcidium (manufactured by Hansol K.K., Ltd., Republic of Korea), and then the black dye, Dynix Black (Diester product) and dispersant DC-505 ), Antistatic agent Arnol-25B (Shin-Kwang emulsion), and softener 3M (Shin-Kwang emulsion), followed by washing with water and drying to obtain a fabric.

제조된 원단의 표면 사진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다. The surface photograph of the manufactured fabric is shown in Fig.

<실시예 2>&Lt; Example 2 >

원사로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것을 사용하였으며, 그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원단을 제조하였다. A fabric was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yarn was produced in the following manner.

원사: 제1사로 200데니어/10필라멘트인 폴리에스테르 분섬사를 사용하고, 제2사로 120데니어/10필라멘트 나일론 및 폴리에스테르로 된 분할형 극세사(각 필라멘트는 16분할형이고, 폴리에스테르와 폴리아미드(나일론)는 각각 80%와 20%로 구성됨)를 사용하였다. 상기 제1사 2개와 상기 제2사 4개를 평행하게 위치시킨 후 5mm 간격으로 인터를 주어 상기 제1사와 제2사들이 하나의 실형태가 되도록 하였다. 이때, 인터는 에어인터 밍글 펀 와인더기(대원기계)로 실시하였다.
Yarn: polyester yarn with a yarn size of 200 denier / 10 filaments was used as the first yarn, and yarn was divided into yarns of 120 denier / 10 filament nylon and polyester split yarn (each filament was divided into 16 divisions, (Nylon) are composed of 80% and 20%, respectively). The first two yarns and the second four yarns were placed in parallel and then intermeshed at intervals of 5 mm so that the first yarns and the second yarns were formed into a single yarn shape. At this time, Inter was carried out by Air Interminking Fun Winder (Daewon Machinery).

<실시예 3>&Lt; Example 3 >

원사로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것을 사용하였으며, 그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원단을 제조하였다. A fabric was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yarn was produced in the following manner.

원사: 제1사로 180데니어/12필라멘트인 나일론 분섬사를 사용하고, 제2사로 120데니어/10필라멘트 나일론 및 폴리에스테르로 된 분할형 극세사(각 필라멘트는 16분할형이고, 폴리에스테르와 폴리아미드(나일론)는 각각 80%와 20%로 구성됨)를 사용하였다. 상기 제1사 2개와 상기 제2사 4개를 평행하게 위치시킨 후 5mm 간격으로 인터를 주어 상기 제1사와 제2사들이 하나의 실형태가 되도록 하였다. 이때, 인터는 에어인터 밍글 펀 와인더기(대원기계)로 실시하였다.
Yarn: Yarn: yarn of nylon having a yarn size of 180 denier / 12 filaments as the first filament yarn and yarn of 120 denier / 10 filament yarns of nylon and polyester yarn as the second yarn (each filament is divided into sixteen yarns and made of polyester and polyamide Nylon) were composed of 80% and 20%, respectively. The first two yarns and the second four yarns were placed in parallel and then intermeshed at intervals of 5 mm so that the first yarns and the second yarns were formed into a single yarn shape. At this time, Inter was carried out by Air Interminking Fun Winder (Daewon Machinery).

<실시예 4><Example 4>

원사로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것을 사용하였으며, 그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원단을 제조하였다. A fabric was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yarn was produced in the following manner.

원사: 제1사로 300데니어/10필라멘트인 폴리에스테르 분섬사를 사용하고, 제2사로 150데니어/72필라멘트 및 150/48필라멘트의 나일론 및 폴리에스테르로 된 분할형 극세사(각 필라멘트는 16분할형이고, 폴리에스테르와 폴리아미드(나일론)는 각각 80%와 20%로 구성됨)를 사용하였다. 상기 제1사 1개와 상기 제2사를 평행하게 위치시킨 후 5mm 간격으로 인터를 주어 상기 제1사와 제2사들이 하나의 실형태가 되도록 하였다. 이때, 인터는 에어인터 밍글 펀 와인더기(대원기계)로 실시하였다.
Yarn: polyester yarn yarns of 300 denier / 10 filaments were used as the first filament yarns, and yarns of split yarns of 150 denier / 72 filaments and 150/48 filaments of nylon and polyester were used as the second filaments , Polyester and polyamide (nylon) are composed of 80% and 20%, respectively). The first yarn and the second yarn were position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at intervals of 5 mm so that the first yarns and the second yarns were in a single yarn shape. At this time, Inter was carried out by Air Interminking Fun Winder (Daewon Machinery).

<비교예 1>&Lt; Comparative Example 1 &

원사로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것을 사용하였으며, 그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원단을 제조하였다. A fabric was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yarn was produced in the following manner.

원사: 300데니어/10필라멘트인 폴리에스테르 분섬사를 중심사로 하고, 120데니어/10필라멘트 나일론 및 폴리에스테르로 된 분할형 극세사(각 필라멘트는 16분할형이고, 폴리에스테르와 폴리아미드(나일론)는 각각 80%와 20%로 구성됨)를 커버링사로 하였으며, 중심사에 대하여 커버링사를 각각 S연과 Z연으로 연사하여 원사를 제조하였다. 이때 연사는 연사기에서 1차 S연으로 꼬임수가 600TPM이 되도록 연사하고, 2차는 Z연으로 꼬임수가 540TPM이 되도록 하였다.
Yarn: 300 denier / 10 filaments, polyester filament yarn as the core yarn, 120 filament yarns divided into 10 filament nylon and polyester split filaments (each filament is divided into 16 filaments, polyester and polyamide (nylon) 80% and 20%) were covered with a covering yarn, and cover yarns were formed on the center yarn by S yarn and Z yarn, respectively. At this time, the twist yarn was twisted so that the number of twists was 600 TPM from the twisted yarn to the first S-twisted yarn, and the twist number was twisted to 540 TPM by the Z-axis.

<실험예><Experimental Example>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원단을 사각으로 절단한 후 마감하여 걸레를 제조하였으며, 제조된 걸레의 닦임성, 밀림성, 복원성, 흡수성, 속건성 및 촉감성을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평가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The fabric prepared in the above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as cut into squares and then finished to prepare a rag. The wiping property, the wilting property, the restorability, the absorbency, the quick drying property and the tactile property of the prepared rag were evaluated by the following methods, Are shown in Table 1 below.

- 닦임성 -- Scrubbing -

가로세로 각각 2m 크기의 장판에 커피 50ml를 붓은 다음 걸레로 닦아내고, 이후 장판의 표면을 30 내지 40대 주부 30명에게 육안으로 관찰하게 한 다음 닦임성을 우수, 보통, 불량으로 평가하도록 하였다.50 ml of coffee was poured into a 2-m-long plate, and then the surface of the plate was visually observed by 30 housewives in their 30s and 40s, and then evaluated for scrub resistance as excellent, normal, and defective.

- 밀림성 -- Thickness -

걸레에 100ml의 물을 붓은 다음 30 내지 40대 주부 30명에게 각각 가로세로 각각 2m 크기의 장판에서 걸레질을 하게 한 다음 밀림성을 우수, 보통, 불량으로 평가하도록 하였다.After pouring 100 ml of water into the mop, 30 people in their 30s and 40s were asked to mop the mop in a size of 2m in width and 2m in width, respectively.

- 복원성 -- Stability -

걸레의 표면에 10Kg의 무게추(10×200×200mm)를 30초간 올려놓고, 무게추를 제거한 다음 30초경과 후 육안으로 걸레의 표면을 관찰하여 커트 루프가 복원되어 있으면 양호, 눌려진 상태로 존재하면 불량으로 복원성을 평가하였다.A weight of 10 kg (10 × 200 × 200 mm) was placed on the surface of the mop for 30 seconds and the weight was removed. The surface of the mop was observed for about 30 seconds after the removal of the weight. And the stability was evaluated by poor quality.

- 흡수성 -- Absorbency -

흡수성은 걸레를 2cm폭으로 절단한 다음 하부 1cm를 물속에 침지한 상태에서 1cm 상승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측정하여 흡수성을 평가하였다.The absorbency was evaluated by measuring the time taken to rise 1 cm under the condition that the mop was cut into a width of 2 cm and the lower 1 cm was immersed in water.

- 건조성 -- Drying -

걸레의 무게를 잰 다음 그 표면에 물 10g을 붓고, 이후 상온에서 건조하여 무게가 초기 걸레의 무게가 될 때까지 걸리는 시간을 측정하여 건조성을 평가하였다.The weight of the mop was measured, and then the drying time was measured by measuring the time taken for the weight to reach the initial mop weight by pouring 10 g of water on the surface and then drying at room temperature.

- 촉감성 -- Tactile -

30 내지 40대 주부 30명에게 걸레의 표면을 만진 후 촉감을 매우 우수(5점), 우수(4점), 보통(3점), 불량(2점), 매우불량(1점)으로 나누어 평가하도록 한 후 그 평균 값을 나타내었다.After touching the surface of the mop to 30 housewives in their 30s and 40s, the touch was rated as excellent (5 points), excellent (4 points), normal (3 points), poor (2 points), and very poor (1 point) And the mean value was shown.

- 세탁견뢰도 -- Wash fastness -

KS K ISO 105-C01:207에서 규정한 방법에 의거하여 실시하였다(40± 2℃, 30분 1%스파크).KS K ISO 105-C01: 207 (40 ± 2 ° C, 1 minute spark for 30 minutes).

구분division 실시예 1Example 1 실시예 2Example 2 실시예 3Example 3 실시예 4Example 4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닦임성(명)Shavings (Persons) 우수Great 2828 2828 2727 2828 2424 보통usually 22 22 33 22 55 불량Bad 00 00 00 00 1One 밀림성(명)Limestone (persons) 우수Great 2929 2828 2828 2727 2424 보통usually 1One 22 22 33 44 불량Bad 00 00 00 00 22 복원성Stability 양호Good 양호Good 양호Good 양호Good 양호Good 흡수성(sec)Absorbency (sec) 1.01.0 0.90.9 1.11.1 1.41.4 1.61.6 속성건(분)Property matter (minute) 180180 170170 180180 170170 180180 촉감성Tactile 4.94.9 4.64.6 4.64.6 4.64.6 4.64.6 세탁견뢰도
(급)
Wash fastness
(class)
변퇴색Fading color 4-54-5 4-54-5 4-54-5 4-54-5 4-54-5
오염(폴리에스테르)Pollution (Polyester) 4-54-5 4-54-5 4-54-5 4-54-5 4-54-5

상기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4에서 제조된 원단을 이용하여 제조된 걸레의 경우 종래의 방법에 따라 비교예 1에서 제조된 원단을 이용하여 제조된 걸레에 비하여 닦임성 및 밀림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촉감성이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As shown in Table 1, in the case of the rag made using the fabric prepared in Examples 1 to 4 of the present invention, in comparison with the rag made using the fabric prepared in Comparative Example 1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method, It can be confirmed that not only excellent hiding property but also excellent tactile property can be confirmed.

Claims (30)

바닥사에 의해 형성된 직물 또는 편물 형태의 바닥포와, 상기 바닥포의 적어도 일면에 원사로 짜거나 떠서 형성된 루프사, 상기 루프사의 적어도 일부를 커트하여 형성된 커트 루프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원단으로서,
상기 원사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섬유로 된 적어도 하나의 제1사 및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섬유로 된 적어도 하나의 제2사를 서로 평행하게 위치시킨 후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1사와 제2사를 하나로 집어주는 인터를 주어 제조된 것이며,
상기 제1사의 섬유의 섬도와 상기 제2사의 섬유의 섬도는 서로 다른 것이며,
상기 제1사의 섬유는 분섬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트루프 조직을 갖는 원단.
A fabric comprising a bottom foil in the form of a woven or knitted fabric formed by a bottom yarn, a loops yarn woven or float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bottom fabric, and a cut loop layer formed by cutting at least a part of the loop yarn,
The yarn is produced by positioning at least one first yarn made of one or two or more fibers and at least one second yarn made of one or two or more fibers in parallel with each other and then winding the first yarn and the second yarn together It is manufactured by giving an interposer,
The fineness of the fibers of the first yarn and the fineness of the fibers of the second yarn are differ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fibers of the first yarn are splittable yarn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사의 섬유의 섬도는 4 내지 60데니아이고, 상기 제2사의 섬유의 섬도는 0.002 내지 3.5데니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트루프 조직을 갖는 원단.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neness of the fibers of the first yarn is from 4 to 60 denier and the fineness of the fibers of the second yarn is from 0.002 to 3.5 deni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사의 총 섬도는 20 내지 400데니아이고, 상기 제2사의 총 섬도는 20내지 600데니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트루프 조직을 갖는 원단.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otal fineness of the first yarn is 20 to 400 denier and the total fineness of the second yarn is 20 to 600 deni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사의 섬유는 천연식물섬유, 천연동물섬유, 재생섬유, 반합성섬유 및 합성섬유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트루프 조직을 갖는 원단.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bers of the first yarn compris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natural plant fibers, natural animal fibers, regenerated fibers, semi-synthetic fibers and synthetic fibers.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섬사는 폴리에스테르 분섬사, 나일론 분섬사 또는 레이온 분섬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트루프 조직을 갖는 원단.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said fibrillated yarn is a polyester filament yarn, a nylon filament yarn or a rayon filament yar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사의 섬유는 레이온,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폴리염화비닐리덴 및 폴리프로필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트루프 조직을 갖는 원단.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bers of the second yarns compris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rayon, polyester, polyamide, polyvinylidene chloride, and polypropylen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사는 분할형극세사 또는 해도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트푸르 조직을 갖는 원단.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cond yarn is a split microfiber yarn or chart yarn.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2사는 폴리에스테르와 나일론으로 된 분할형극세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트루프 조직을 갖는 원단.
The method of claim 8,
And the second yarn is a split microfiber made of polyester and nyl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사 또는 제2사는 연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트루프 조직을 갖는 원단.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yarn or the second yarn is a twist yar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터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커트루프 조직을 갖는 원단.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uts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인터는 2mm 내지 1m 간격으로 형성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커트루프 조직을 갖는 원단.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interstices are formed at intervals of 2 mm to 1 m.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터는 압축공기를 불어 넣어주는 에어인터 밍글에 의해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커트루프 조직을 갖는 원단.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tercooler is formed by air intermingling which blows compressed ai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트한 루프의 길이는 1mm~5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트루프 조직을 갖는 원단.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ength of the cut loop is from 1 mm to 50 mm.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트 루프층의 커트된 루프는 제2사의 수축에 의해 제1사가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를 갖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커트 루프 조직을 갖는 원단.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ut loop of the cut loop layer has a shape in which the first yarn protrudes outwardly by contraction of the second yar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트 루프층의 커트된 루프는 제1사가 제2사의 외측으로 돌출됨과 동시에 그 단부가 열에 의해 휘어져 갈고리 형태를 갖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커트 루프 조직을 갖는 원단.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ut loop of the cut loop layer has a cut loop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yarn projects outside the second yarn and the end portion thereof is bent by heat to have a hook shape.
직물 또는 편물 형태의 바닥포 적어도 일면에 원사를 이용하여 루프사를 형성하고, 상기 루프사의 적어도 일부를 커트한 다음 후가공하여 커트 루프층을 형성한 원단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원사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섬유로 된 적어도 하나의 제1사 및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섬유로 된 적어도 하나의 제2사를 서로 평행하게 위치시킨 후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1사와 제2사를 하나로 집어주는 인터를 주어 제조된 것이며, 상기 제1사의 섬유의 섬도와 상기 제2사의 섬유의 섬도는 서로 다른 것이고,
상기 제1사의 섬유는 분섬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트루프 조직을 갖는 원단의 제조방법.
A method for producing a fabric having a loop yarn formed on at least one side of a bottom fabric or knitted fabric in the form of a fabric or a knitted fabric, at least a part of the loop yarn being cut,
The yarn is produced by positioning at least one first yarn made of one or two or more fibers and at least one second yarn made of one or two or more fibers in parallel with each other and then winding the first yarn and the second yarn together Wherein a fineness of the fibers of the first yarn and a fineness of the fibers of the second yarn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Wherein the fibers of the first yarn are splittable yarns.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제1사의 섬유의 섬도는 4 내지 60데니아이고, 상기 제2사의 섬유의 섬도는 0.002 내지 3.5데니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트루프 조직을 갖는 원단의 제조방법.
18.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the fineness of the fibers of the first yarn is 4 to 60 denier and the fineness of the fibers of the second yarn is 0.002 to 3.5 denier.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제1사의 총 섬도는 20 내지 400데니아이고, 상기 제2사의 총 섬도는 20 내지 600데니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트루프 조직을 갖는 원단의 제조방법.
18.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the total fineness of the first yarn is 20 to 400 denier and the total fineness of the second yarn is 20 to 600 denier.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커트한 루프의 길이가 1mm~50mm가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트 루프 조직을 갖는 원단의 제조방법.
18. The method of claim 17,
And the length of the cut loop is 1 mm to 50 mm.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후가공은 알칼리 감량가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트루프 조직을 갖는 원단의 제조방법.
18.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the post-processing comprises an alkali reduction process.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알칼리 감량가공 후의 커트 루프층의 커트된 루프는 제2사의 수축에 의해 제1사가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를 갖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커트루프 조직을 갖는 원단의 제조방법.
23. The method of claim 21,
Wherein the cut loop of the cut loop layer after alkali reduction processing has a shape in which the first yarn protrudes outward due to contraction of the second yarn.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후가공은 알칼리 감량가공 및 염색가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트루프 조직을 갖는 원단의 제조방법.
18.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said post-processing comprises alkali reduction processing and dyeing processing.
청구항 23에 있어서,
상기 염색가공은 100~150℃에서 30분 내지 60분 동안 실시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커트루프 조직을 갖는 원단의 제조방법.
24. The method of claim 23,
Wherein the dyeing is carried out at 100 to 150 DEG C for 30 to 60 minutes.
청구항 24에 있어서,
상기 염색가공 후의 커트 루프층의 커트된 루프는 제1사가 제2사의 외측으로 돌출됨과 동시에 그 단부가 열에 의해 휘어져 갈고리 형태를 갖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커트 루프 조직을 갖는 원단의 제조방법.
27. The method of claim 24,
Wherein the cut loop of the cut loop layer after the dyeing process has a cut loop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yarn projects outside the second yarn and the end portion thereof is bent by heat to have a hook shape.
청구항 1 내지 4 및 6 내지 16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원단을 가공하여서 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Characterized in that the fabric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and 6 to 16 is worked. 청구항 26에 있어서,
상기 제품은 행주, 걸레, 주방용 매트, 욕실용 매트, 타월, 목욕용 장갑 및 비듬제거 크리너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27. The method of claim 26,
Wherein the product is any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cloth, a mop, a kitchen mat, a bath mat, a towel, a bath glove, and a dandruff removal cleaner.
청구항 17 내지 25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커트루프 조직을 갖는 원단.A fabric having a cut loop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duced by a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7 to 25. 청구항 28의 원단을 가공하여서 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Characterized in that the fabric of claim 28 is worked. 청구항 29에 있어서,
상기 제품은 행주, 걸레, 주방용 매트, 욕실용 매트, 타월, 목욕용 장갑 및 비듬제거 크리너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29. The method of claim 29,
Wherein the product is any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cloth, a mop, a kitchen mat, a bath mat, a towel, a bath glove, and a dandruff removal cleaner.
KR1020140063768A 2014-05-27 2014-05-27 Fabrics with cut loop group, manufacturing method of the fabrics and textile goods using the same KR10160932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3768A KR101609328B1 (en) 2014-05-27 2014-05-27 Fabrics with cut loop group, manufacturing method of the fabrics and textile goods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3768A KR101609328B1 (en) 2014-05-27 2014-05-27 Fabrics with cut loop group, manufacturing method of the fabrics and textile goods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6365A KR20150136365A (en) 2015-12-07
KR101609328B1 true KR101609328B1 (en) 2016-04-05

Family

ID=548723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3768A KR101609328B1 (en) 2014-05-27 2014-05-27 Fabrics with cut loop group, manufacturing method of the fabrics and textile goods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932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94932A1 (en) * 2015-12-02 2017-06-08 주식회사 클렘본 Fabric having cut-loop structure,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and product using sam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7976B1 (en) * 2006-03-22 2007-07-13 주식회사 새 한 Elastic interlaced textured yarn and method for producing polyester fabric thereby
KR101258053B1 (en) * 2013-02-18 2013-04-24 최진화 Cutted microfiber pile fabric has excellent absorption and adsorption ability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KR101326213B1 (en) * 2012-09-21 2013-11-11 주식회사 클렘본 Fabrics with cut loop group, manufacturing method of the fabrics and textile goods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7976B1 (en) * 2006-03-22 2007-07-13 주식회사 새 한 Elastic interlaced textured yarn and method for producing polyester fabric thereby
KR101326213B1 (en) * 2012-09-21 2013-11-11 주식회사 클렘본 Fabrics with cut loop group, manufacturing method of the fabrics and textile goods using the same
KR101258053B1 (en) * 2013-02-18 2013-04-24 최진화 Cutted microfiber pile fabric has excellent absorption and adsorption ability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6365A (en) 2015-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6215B1 (en) Fabrics with cut loop group, manufacturing method of the fabrics and textile goods using the same
JP3895212B2 (en) Standing blank fabric and mop for cleaning
KR100716623B1 (en) Fabric with the cut loop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CN107059216A (en) Pile and its manufacture method
EP3354776A1 (en) Fabric having cut-loop structure,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and product using same
JP6063478B2 (en) Dough having cut loop structure,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product using the same
JP4742819B2 (en) Wiping cloth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6063479B2 (en) Dough having cut loop structure,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product using the same
KR200399304Y1 (en) Microfiber cleaner mixed with metallic yarn
KR101609328B1 (en) Fabrics with cut loop group, manufacturing method of the fabrics and textile goods using the same
KR101505502B1 (en) Fabrics with cut loop group, manufacturing method of the fabrics and textile goods using the same
KR101609326B1 (en) Yarn for Fabrics with cut loop group, manufacturing method of the fabrics and textile goods using the same
KR101505503B1 (en) Fabrics with cut loop group, manufacturing method of the fabrics and textile goods using the same
KR101561033B1 (en) Excellent Water Absorbent Cleaning Cloth Without Lint Generation
JP2008183218A (en) Cleaner
JP2009247789A (en) Cleaner
EP3199676B1 (en) Cleaning cloth produced using a fabric having cut loops
KR100604997B1 (en) Pile knitting fabrics having stiff fibers area and high-absorbable fibers area and mop thereof
KR100957842B1 (e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fabric for dusters with fancy yarn
JP4384680B2 (en) Double-sided moquette cloth for wiping
KR101472478B1 (en) Fabrics with cut loop group, manufacturing method of the fabrics and textile goods using the same
KR100554264B1 (en) A Cleaning Fabric having improved Cleaning Ability and Dimensional Stability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08184711A (en) Cleaner
KR101558843B1 (en) Fabrics with loop group
KR20140137559A (en) Cleaning Pad Using Fabric for Clea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