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9181B1 - Special Purpose Vehicle Having a Vehicle Maintenance Cargo with Horizontal Direction Opening Type - Google Patents

Special Purpose Vehicle Having a Vehicle Maintenance Cargo with Horizontal Direction Opening Typ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9181B1
KR101609181B1 KR1020150091328A KR20150091328A KR101609181B1 KR 101609181 B1 KR101609181 B1 KR 101609181B1 KR 1020150091328 A KR1020150091328 A KR 1020150091328A KR 20150091328 A KR20150091328 A KR 20150091328A KR 101609181 B1 KR101609181 B1 KR 1016091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vehicle
opened
closed
upper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132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차기종
Original Assignee
차기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기종 filed Critical 차기종
Priority to KR10201500913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918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91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918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14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the object being a workshop for servicing, for maintenance, or for carrying workmen dur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2Covering of lo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achines For Laying And Maintaining Railway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ecial equipped vehicle having a vehicle maintenance cargo box. The special equipped vehicle having a vehicle maintenance cargo box with a horizontally opening upper door comprises: a cargo box including a side door, an upper door, and a body frame coupled to the side door and the upper door wherein the ceiling portion and side portion of the cargo box are opened and closed. The upper door opened and closed in a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a longitudinal direction of a vehicle along a guide rail formed on an upside of the body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door of the cargo box is opened and clos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the vehicle is able to freely be parked without restriction of selecting a place to perform work; is possible to adjust a degree of opening of the upside of the cargo box; and is possible to variously apply the cargo box in accordance with a work environment and purpose.

Description

수평 개방형 상부도어를 갖는 차량정비용 적재함을 구비한 특장차{Special Purpose Vehicle Having a Vehicle Maintenance Cargo with Horizontal Direction Opening Typ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ecial purpose vehicle having a horizontal open upper door,

본 발명은 차량정비용 적재함을 구비한 특장차에 관한 것으로서, 적재함의 상부도어가 차량의 길이 방향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개폐되도록 하여, 장소의 선택의 제한없이 자유롭게 주차하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수평 개방형 상부도어를 갖는 차량정비용 적재함을 구비한 특장차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ecially equipped vehicle equipped with a vehicle load balancer, in which an upper door of a loading box is opened and closed in a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ecially equipped vehicle equipped with a vehicle fixed load carrying an open upper door.

일반적으로, 이동식 정비용 차량의 적재함은 차량을 정비하기 위해 충분한 공간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적재함의 좌우측면에 개폐가능한 도어를 형성하여 정비 대상 차량을 수용한 후 도어를 개방하여 정비에 필요한 작업 환경을 갖추도록 구성되어 있다.Generally, since the loading box of a mobile fixed-use vehicle requires a sufficient space for servicing the vehicle,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door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loading box, Respectively.

이와 관련된 종래의 기술로서,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287768호에서는 프레임에 윙바디힌지가 부착되어 윙바디와 결합되어 있는 구조로 윙바디힌지를 중심으로 윙바디가 펼쳐져 트럭의 적재함 위에서 작업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이동식정비용 차량이 개시되어 있다.As a related art related to the related art, Korean Utility Model No. 20-0287768 discloses a structure in which a wing-bodied hinge is attached to a frame to be coupled to a wing-bodied structure, and a wing-bod is spread around the wing-bodied hinge to secure a working space on the loading- A mobile fixed-fee vehicle is disclosed.

그러나, 상기 문헌에서의 이동식 정비용 차량은 윙바디힌지가 차량 전후방의 프레임 상부 중앙에 구성되어 있어 차량을 정비시 차량을 들어올릴 수 있는 높이가 한정되어 있고 좌우폭이 특장차에 따른 적재함의 크기에 따라 한정되어 있다는 단점이 있다.However, in the above-mentioned portable fixed-price vehicles, the wing bodyshine is formed at the upper center of the frame at the front and rear of the vehicle, so that the height at which the vehicle can be lifted when the vehicle is being maintained is limited, and the width of the vehicle is limit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loading box .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자는 '차량정비용 적재함을 구비한 특장차'를 출원(출원번호 10-2014-0195628호)한 바 있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the invento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filed a patent application (Application No. 10-2014-0195628) for a specially equipped vehicle with a fixed car load.

상기 종래기술은 상부에 대칭으로 여닫이형인 상부도어를 형성하여 적재함 상측 공간을 넓게 확보함으로써, 차량 정비시 공간 상의 제약이 없도록 한 것이다.The above-mentioned prior art has the upper door symmetrically formed on the upper part to secure a space on the upper side of the loading space, so that there is no restriction on the space in vehicle maintenance.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상부도어 개방시 적재함 외측으로 개방된 도어가 돌출되어, 상부도어를 개방하여 작업을 시작할 때 주변 환경을 항상 고려하여야 하므로, 장소의 선택에 제약이 있으며, 이동형으로 차량 정비용 특장차에 적용함에 일부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related art, when the upper door is opened, the door opened to the outside of the loading box is protruded. Therefore, when the operation is started by opening the upper door, the surrounding environment must be always taken into considera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re are some limitations in application to specially equipped vehicle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적재함의 상부도어가 차량의 길이 방향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개폐되도록 하여, 장소의 선택의 제한없이 자유롭게 주차하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수평 개방형 상부도어를 갖는 차량정비용 적재함을 구비한 특장차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orizontal opening type upper door which can open and close an upper door of a loading box in a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a longitudinal direction of a vehicl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pecially equipped vehicle equipped with a fixed-capacity load box having a door.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측면도어 및 상부도어와, 상기 측면도어 및 상기 상부도어가 결합되는 바디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적재함이 구비되어, 상기 적재함의 천정부 및 측면부가 개폐되는 특장차에 있어서, 상기 상부도어는 상기 바디프레임의 상측부에 형성된 가이드레일을 따라 차량의 길이 방향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개방형 상부도어를 갖는 차량정비용 적재함을 구비한 특장차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pecially equipped vehicle having a side door, an upper door, and a loading box including a body frame to which the side door and the upper door are coupled, And the upper door is opened / closed in a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along a guide rail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body frame. Technical Solution < RTI ID = 0.0 >

또한, 상기 상부도어는 상기 가이드레일에 결합되는 고정도어와 상기 고정도어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개폐도어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The upper door may include a fixed door coupled to the guide rail and an opening / closing door that moves along the guide rail relative to the fixed door.

여기에서, 상기 고정도어 및 개폐도어는 상기 바디프레임 상측 일측부를 회동축으로 하여 차량의 길이 방향에 대한 상기 바디프레임의 중심축에 대해 양측으로 개폐될 수도 있다.Here, the fixed door and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may be opened and closed on both sides of the central axis of the body frame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with the upper side of the body frame being the rotation axis.

또한, 상기 상부도어는 복수개의 개폐도어를 포함하여, 다단 개폐시킬 수도 있으며, 또한,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접철식으로 차량의 길이 방향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개폐될 수도 있다.The upper door may include a plurality of opening / closing doors, and may be opened / closed in multi-stages, and may be opened / closed horizontally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in a folding type along the guide rails.

한편, 상기 상부도어 내측에는, 상기 적재함 내부를 비추는 조명등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조명등은, 상부도어 내측면에 매립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개폐도어가 개방되면 자동 오프되고, 상기 개폐도어가 닫히면 자동 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meantime, it is preferable that an illuminating lamp illuminating the inside of the loading box is formed on the inside of the upper door, the illuminating lamp is embedded in the inner side of the upper door, and is automatically turned off when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is opened, It is preferable to be automatically turned on.

또한, 상기 적재함에는 일측 모서리가 상기 적재함의 후면 하측 모서리와 힌지결합되어 개폐되는 후면도어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후면도어는, 하측 모서리는 적재함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측 모서리는 지면에 접촉되도록 경사지게 개방되며, 수평 길이 및 경사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loading door is formed with a rear door which is hingedly connected to a lower rear corner of the loading box, and the upper door has an upper corner inclined to be in contact with the floor when the lower door is coupled to the loading box. And the horizontal length and the inclination angle can be adjusted.

여기에서, 상기 상부도어 상부에는 태양광 모듈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a solar module is provided on the upper door.

본 발명은 적재함의 상부도어가 차량의 길이 방향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개폐되도록 하여, 장소의 선택의 제한없이 자유롭게 주차하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적재함의 상측부의 개방 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 환경이나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upper door of the loading box to be opened and clos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so as to freely park and work without restriction on the selection of the place and to adjust the opening degree of the upper part of the loading box, It can be applied variously according to the working environment or purpose.

또한, 본 발명은 적재함 내부에 조명등을 설치하되, 적재함을 개방식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조명이 자동으로 오프되도록 하고, 폐쇄형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자동으로 온되도록 하여, 다양한 작업 환경에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illuminating lamp is installed inside a loading box, the lighting is automatically turned off when the loading box is used openly, and automatically when the loading box is closed, so that it can be conveniently used in various working environments .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적재함의 상부도어 상부에는 태양광 모듈을 구비하여, 태양광 전기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 친환경적이면서 에너지 절약형 특장차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solar cell module is provided on the upper door of the loading do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solar energy can be utilized to supply an environmentally friendly and energy-saving specially equipped vehicle.

또한, 본 발명은 적재함의 후면에 형성된 후면도어가 적재함 하측에서 힌지결합에 따른 회동식으로 결합되어 개폐됨으로써, 필요시에는 후면도어가 정비 대상 차량을 적재함 내부로 이동시키기 위한 발판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ar door formed on the rear side of the loading box is coupled with the lower side of the loading door by pivotally coupling with the hinged side, so that the rear door can be usefully used as a scaffold for moving the vehicle to be loaded There is an effect.

도 1a, 도 1b -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주요부에 대한 모식도.
도 2a, 도 2b -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주요부에 대한 모식도.
도 3a, 도 3b -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주요부에 대한 모식도.
도 4 -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주요부에 대한 후방 모식도.
도 5a, 도 5b -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주요부에 대한 모식도.
도 6 -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주요부에 대한 모식도.
Figs. 1A and 1B are schematic diagrams of essential part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S. 2A and 2B are schematic diagrams of main part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S. 3A and 3B are schematic diagrams of main part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rear schematic view of a main par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A and 5B are schematic diagrams of essential parts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schematic diagram of a main part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본 발명은 차량정비용 적재함을 구비한 특장차에 관한 것으로서, 적재함의 상부도어가 차량의 길이 방향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개폐되도록 하여, 장소의 선택의 제한없이 자유롭게 주차하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수평 개방형 상부도어를 갖는 차량정비용 적재함을 구비한 특장차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ecially equipped vehicle equipped with a vehicle load balancer, in which an upper door of a loading box is opened and closed in a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ecially equipped vehicle equipped with a vehicle fixed load carrying an open upper door.

또한, 본 발명은 적재함의 상측부의 개방 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 환경이나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adjust the opening degree of the upper part of the loading box, and can be applied variously according to the working environment or purpose.

또한, 본 발명은 적재함 내부에 조명등을 설치하되, 적재함을 개방식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조명이 자동으로 오프되도록 하고, 폐쇄형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자동으로 온되도록 하여, 다양한 작업 환경에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a lighting lamp is installed inside a loading box, the lighting is automatically turned off when the loading box is used openly, and automatically when the loading box is used in a closed type, so that it can be conveniently used in various working environments .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적재함의 상부도어 상부에는 태양광 모듈을 구비하여, 태양광 전기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 친환경적이면서 에너지 절약형 특장차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In addition, a solar module is provided on the upper door of the loading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solar energy can be utilized to supply environmentally friendly and energy-saving specially equipped vehicles.

또한, 본 발명은 적재함의 후면에 형성된 후면도어가 적재함 하측에서 힌지결합에 따른 회동식으로 결합되어 개폐됨으로써, 필요시에는 후면도어가 정비 대상 차량을 적재함 내부로 이동시키기 위한 발판으로 유용하게 사용되도록 한 것이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ar door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loading box is pivotably coupled with the lower side of the loading door in a pivoting manner according to the hinge coupling so that the rear door can be used as a scaffold for moving the vehicle to be loaded It is.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측면도어(120) 및 상부도어(130)와, 상기 측면도어(120) 및 상기 상부도어(130)가 결합되는 바디프레임(110)으로 이루어진 적재함(100)이 구비되어, 상기 적재함(100)의 천정부 및 측면부가 개폐되는 특장차에 있어서, 상기 상부도어(130)는 상기 바디프레임(110)의 상측부에 형성된 가이드레일(111)을 따라 차량의 길이 방향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loading box 100 including a side door 120 and an upper door 130 and a body frame 110 to which the side door 120 and the upper door 130 are coupled is provided The upper door 130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frame 110 along a guide rail 111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body frame 110 so as to be horizontal And is opened / clos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본 발명에 따른 특장차는 차량 정비를 위한 장소로 이동이 가능한 특수 차량에 관한 것으로서, 적재함(100) 내부에는 차량 정비를 위한 장비 및 부품이 장착되어 있으며, 필요시에는 정비 차량을 적재함(100) 내부로 운반시킨 후, 차량 정비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e special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ecial vehicle capable of moving to a place for vehicle maintenance, and is equipped with equipment and parts for vehicle maintenance inside the loading box 100. If necessary, And then car maintenance can be performed.

이러한 특장차는 일반적으로 후측부에 적재함(100)이 구비되어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적재함(100)은 측면도어(120) 및 상부도어(130)로 이루어져, 측면(좌우측면 및 후 측면) 및 상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차량 정비의 편의성을 도모한 것이다.The load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side door 120 and an upper door 130 and has a side surface (right and left side surface and rear surface side) So as to facilitate the maintenance of the vehicle.

여기에서, 상기 좌우 측면도어(120)는, 상측도어(121)와 하측도어(122)로 이루어지며, 각각 차량의 길이 방향과 평행한 바디프레임(110)의 상하측부 회동축으로 하여 상측 또는 하측으로 회동식으로 개방되어, 적재함(100)의 상부뿐만 아니라 좌우측도 개방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의 편의성을 도모한 것이다.The left and right side doors 120 are formed by upper and lower doors 121 and 122 as upper and lower side turning shafts of the body frame 110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So that not only the upper portion of the loading box 100 but als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loading box 100 can be opened, thereby facilitating the operation.

또한, 이러한 적재함(100) 하부에는 자동화 방식으로 구성된 복수개의 아웃트리거(T)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아웃트리거(T)를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으며, 차량 정비시 안정감있게 작업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outriggers T configured in an automated manner can be accommodat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loading box 100, and it is not necessary to separately provide the outriggers T, .

상기 아웃트리거(T)는 평상시에는 상기 적재함(100) 하부에 수용되어 있다가, 정비 대상 차량의 수용시에는 아웃트리거(T)를 외부로 돌출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에서, 상기 측면도어(120) 중 하측도어(122)는 바디프레임(110)의 하측부 회동축을 중심으로 상기 적재함(100) 밖으로 하향 개방하여 고정되며, 상기 아웃트리거(T) 위로 포개져 상기 적재함(100)의 바닥면과 평행하게 유지될 수 있어, 특장차에 따른 한정된 적재함(100)의 좌우폭을 넓힐 수 있어, 차량 정비 시 공간 확보가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The outrigger T is normally hous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loading box 100 and allows the outrigger T to be used when the outrigger T is received. Here, the lower door 122 of the side door 120 is downwardly opened out of the loading box 100 around the lower side turning shaft of the body frame 110, and is fixed on the outrigger T And can be held parallel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loading box 100, so that the limited width of the loading box 100 can be widened according to the bogie.

여기에서, 상기 적재함(100)은 바디프레임(110)에 의해 골격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측면도어(120) 및 상부도어(130)는 상기 바디프레임(110)에 결합되어 상기 바디프레임(110)을 회동축 또는 가이드레일(111)로 이용하여 개폐가 자유롭도록 형성된 것이다.The side door 120 and the upper door 130 may be coupled to the body frame 110 so that the body frame 110 may be coupled to the body frame 110. [ Which is used as a pivot shaft or a guide rail 111, to be freely opened and closed.

상기 바디프레임(110)은 기본적으로 차량의 길이 방향으로 긴 육각 기둥의 프레임 형태로 형성되되, 적재함(100)을 지지하고, 각 도어들을 지지하기 위해서 차량의 길이 방향에 대해 적어도 한 개 이상, 바람직하게는 두 개 정도의 지지프레임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프레임은 적재함(100)의 형태에 대응하여 육각 기둥의 상면 또는 측면에 일자형으로 형성되거나, 육각 기둥의 상면 또는 측면에 동시에 형성된 디귿자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body frame 110 is basically formed in a frame shape of a hexagonal column that is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The body frame 110 supports the loading box 100 and supports at least one or more It is preferable that about two support frames are formed. The support frame may be formed as a straight line on the upper surface or side surface of the hexagonal column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loading box 100, or may be formed in a diagonal shap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r the side surface of the hexagonal column at the same time.

본 발명은 이러한 바디프레임(110)의 상측부에 결합된 상부도어(130)의 개폐 방식에 대한 다양한 실시예를 제공하고자 하며, 특히 본 발명은 적재함(100)의 상부도어(130)가 차량의 길이 방향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개폐되도록 하여, 상측으로는 차량 정비를 위한 공간을 확보함과 동시에 적재함(100) 상측으로 개방된 상부도어(130)의 돌출을 최소화하여 차량 정비를 위한 장소의 선택의 제한없이 자유롭게 이동하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의 편의성을 도모한 것이다.The upper door 130 of the loading frame 100 may be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frame 110. The upper door 130 may be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frame 110, A space for maintenance of the vehicle is secured at the upper side and a protrusion of the upper door 130 opened to the upper side of the loading box 100 is minimized, So that it is possible to move freely without any limitation and to perform work, thereby making the work convenient.

또한, 상기 상부도어(130)의 개방 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 환경이나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Further, the degree of opening of the upper door 130 can be adjusted, and various applications can be applied according to the working environment or purpose.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1실시예>&Lt; Embodiment 1 >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주요부에 대한 모식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는 측면도어(120) 및 상부도어(130)와, 상기 측면도어(120) 및 상기 상부도어(130)가 결합되는 바디프레임(110)으로 이루어진 적재함(100)이 구비되어, 상기 적재함(100)의 천정부 및 측면부가 개폐되는 특장차에 있어서, 상기 상부도어(130)는 상기 바디프레임(110)의 상측부에 형성된 가이드레일(111)을 따라 차량의 길이 방향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개폐되되, 상기 상부도어(130)는 상기 가이드레일(111)에 결합되는 고정도어(131)와 상기 고정도어(131)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기 가이드레일(111)을 따라 이동하는 개폐도어(132)로 이루어진 것이다.1 is a schematic view of a main par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drawing,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frame 110 to which the side door 120, the upper door 130, and the side door 120 and the upper door 130 are coupled The upper door 130 is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frame 110 along a guide rail 111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body frame 110, Wherein the upper door 130 includes a fixed door 131 coupled to the guide rail 111 and a guide rail 111 connected to the fixed door 131 in a horizontal direction relative to the fixed door 131, And an opening / closing door 132 that moves along.

상기 바디프레임(110)에는 가이드레일(111)이 형성되어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상기 바디프레임(110) 상측부의 일측 프레임(차량의 길이 방향에 해당하는 프레임)에는 상부도어(130)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가이드레일(111)이 형성되어 있다.A guide rail 111 is formed on the body frame 110. More specifically, the upper door 130 can be moved to one side frame (a frame corresponding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on the upper side of the body frame 110 A guide rail 111 is formed.

또한, 상기 바디프레임(110) 상측부의 타측 프레임(차량의 길이 방향에 대한 수평 방향에 해당하는 프레임)에는 상기 상부도어(130)를 닫을 때 적재함(100) 내부를 밀폐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도어(130)를 닫을 때 상기 바디프레임(110)과 상부도어(130)가 접촉되는 부분에의 상기 바디프레임(110)에, 내측으로 오목함 수용홈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도어(130)가 상기 바디프레임(110)의 수용함에 결합되어 안착되게 함으로써, 적재함(100) 내부에의 밀폐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The upper frame 130 is formed to be able to close the inside of the loading box 100 when the upper door 130 is closed, and the other frame (frame corresponding to the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on the upper side of the body frame 110, A concave receiving groove is formed in the body frame 110 at a portion where the body frame 110 and the upper door 13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when the upper door 130 is closed, Is coupled to the receiving box of the body frame 110 to be seated, thereby enhancing the hermeticity of the inside of the loading box 100.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도어(130)는 상기 가이드레일(111)에 결합되는 고정도어(131)와, 상기 고정도어(131)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기 가이드레일(111)을 따라 이동하는 개폐도어(132)를 포함하여, 상기 가이드레일(111)을 따라 상기 개폐도어(132)가 이동하면서 차량의 길이 방향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상부도어(130)가 개폐되도록 하는 것이다.1A, the upper door 130 includes a fixed door 131 to be coupled to the guide rail 111, a movable door 131 to move along the guide rail 111 relative to the fixed door 131, Closing door 132 along the guide rail 111 so that the upper door 130 is opened and clos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상기 고정도어(131)에 대한 개폐도어(132)는 상기 고정도어(131) 내부에 서랍형으로 수용되면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개폐되거나, 상기 고정도어(131) 하측부 또는 상측부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개폐될 수 있다.The opening and closing door 132 with respect to the fixed door 131 may be opened or closed in a sliding manner while being received in a drawer form inside the fixed door 131 or may be opened or closed in a sliding manner to a lower or upper portion of the fixed door 131 have.

도 1b는 고정도어(131)가 적재함(100)의 전방에 위치하고, 개폐도어(132)가 적재함(100)의 후방에 위치한 것을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적재함(100)은 고정도어(131) 하측부로 개폐도어(132)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하여 개방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1B shows that the fixed door 131 is located at the front of the loading box 100 and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132 is located at the rear of the loading box 100. The loading box 100 is fix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ixed door 131 And the opening / closing door 132 is moved in a sliding manner to open.

여기에서, 상기 고정도어(131)는 필요에 의해 개폐도어(132)가 될 수 있으며, 상기 개폐도어(132)는 필요에 의해 고정도어(131)로도 될 수 있으며, 작업 환경에 따라서, 필요한 위치의 도어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한다.Here, the fixed door 131 may be an opening / closing door 132 if necessary, and the opening / closing door 132 may be a fixed door 131 if necessary. Depending on the working environment, Thereby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이러한 상기 개폐도어(132)는 가이드레일(111)을 따라 즉, 차량의 길이 방향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개폐되는 방식으로 수동으로 개폐될 수도 있으며, 유압식 또는 전기식으로 개폐될 수도 있으며, 또한, 상기 개폐도어(132)의 개방 정도를 조절하여, 작업 환경이나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opening and closing door 132 may be manually opened or closed by sliding along the guide rail 111, that is, horizontally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or may be opened or closed by hydraulic or electric, The degree of opening of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132 may be adjusted to variously be applied according to the working environment or purpose.

이에 의해 적재함(100)의 상부도어(130)가 차량의 길이 방향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개폐되도록 하여, 상측으로는 차량 정비를 위한 공간을 확보함과 동시에 적재함(100) 상측으로 개방된 상부도어(130)의 돌출을 최소화하여 차량 정비를 위한 장소의 선택의 제한없이 자유롭게 이동하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의 편의성을 도모하였다.As a result, the upper door 130 of the loading box 100 is opened / clos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thereby securing a space for vehicle maintenance on the upper side and opening the upper door 130 to minimize the protrusion of the vehicle, thereby allowing the operator to move freely without limiting the selection of the place for vehicle maintenance, thereby facilitating the operation.

한편, 상기 적재함(100)을 이루는 측면도어(120)는 좌우 측면도어(120)와 후면도어(140)로 이루어지며, 상기 후면도어(140)는 일측 모서리가 상기 적재함(100)의 후면 하측 모서리와 힌지 결합되어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식으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ide door 120 constituting the loading box 100 is composed of left and right side doors 120 and a rear door 140. One side edge of the rear door 140 is connected to the rear lower side edge of the loading box 100, And is pivotally coupled to the hinge.

즉, 적재함(100)의 후면 상측 모서리에서 후면도어(140)가 분리되어 하측 모서리의 힌지를 중심으로 바깥쪽으로 회동하면서 개방되는 구조이다.That is, the rear door 140 is separated from the upper rear corner of the loading box 100 and is opened while pivoting outward about the hinge of the lower corner.

구체적으로는 상기 후면도어(140)는, 하측 모서리는 상기 적재함(100)에 힌지 결합된 상태에서 상측 모서리는 지면에 접촉되도록 경사지게 개방되며, 다단 길이 연장이 가능하여 수평 길이 및 경사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형성된다.Specifically, the rear door 140 is sloped upward so that its upper edge is hinged to the loading box 100 while the lower edge thereof is hinged to the loading box 100, and the length of the multi-end can be extended to adjust the horizontal length and the inclination angle .

이에 의해 적재함(100)의 후면에 형성된 후면도어(140)가 적재함(100) 하측에서 힌지결합에 따른 회동식으로 결합되어 개폐됨으로써, 필요시에는 후면도어(140)가 정비 대상 차량을 적재함(100) 내부로 이동시키기 위한 발판으로 유용하게 사용되도록 한 것이며, 작업환경이나 정비 대상 차량의 형태나 크기에 따라 후면도어(140)의 수평 길이 및 경사 각도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여 작업 및 사용의 편의성을 도모한 것이다.As a result, the rear door 140, which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loading box 100, is pivotably coupled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loading box 100 according to the hinge connection, The horizontal length and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rear door 140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working environment and the shape and size of the vehicle to be repaired, .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부도어(130) 내측에는 상기 적재함(100) 내부를 비추는 조명등을 형성하여, 작업이 원활하도록 하였으며, 특히, 상기 조명등은 LED등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조명등은 작업 시 걸리적거리지 않도록 상부도어(130) 내측면에 매립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inside of the upper door 1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with an illumination lamp for illuminating the inside of the loading box 100 to facilitate the operation. In particular, the illumination lamp is preferably formed of LED, It is preferable that the upper door 130 is formed to be buried in the side surface of the upper door 130 so as not to be caught.

즉, 상기 상부도어(130) 내측면에 조명등 수용홈을 형성하고, 그 내부에 조명등이 설치되도록 한 것으로, 상부도어(130)가 개폐되더라도 조명등에 부딪히지 않도록 한 것이다.That is, an illumination light receiving groove is formed on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upper door 130, and an illuminating lamp is installed therein, so that even if the upper door 130 is opened or closed, it does not hit the illumination lamp.

이러한 조명등은 상기 개폐도어(132)가 개방되면 자동으로 오프(off)되고, 상기 개폐도어(132)가 닫히면 자동 온(on)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는 일반적으로 차량의 문이 열리면 도어 등(light)이 온되는 것과 비슷한 방식으로 설치되게 된다.The illuminating lamp is automatically turned off when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132 is opened and is automatically turned on when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132 is closed. light is turned on.

즉, 상기 개폐도어(132)의 개방 신호가 조명등 패널에 입력되게 되면 자동으로 오프되고, 또한 개폐도어(132)가 닫히게 되면 그 신호를 입력받아 조명등이 자동으로 온되도록 한다. 필요시에는 상기 조명등이 항상 온 상태 또는 오프 상태를 유지하게 조명등 스위치를 미리 온 또는 오프로 설정해 놓을 수도 있다.
That is, when the opening signal of the opening / closing door 132 is inputted to the illumination panel, it is automatically turned off. When the opening / closing door 132 is closed, the signal is inputted and the lighting lamp is automatically turned on. If necessary, the illumination switch may be previously turned on or off so that the illumination lamp is always on or off.

<제2실시예>&Lt; Embodiment 2 >

도 2a, 도 2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주요부에 대한 모식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는 기본적으로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하여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상부도어(130)에 있어서 개폐되는 개폐도어(132)가 복수개로 이루어져 다단 개폐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FIGS. 2A and 2B are schematic diagrams of a main par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figure, the secon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basically the same as the first embodiment, and a duplicat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A plurality of opening / closing doors 132 opened / And is formed so as to be opened and closed at multiple stages.

상기 다단으로 개폐되는 개폐도어(132)는 적재함(100)의 크기를 고려하여 4단~6단 정도로 개폐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1실시예와 동일한 방식으로 작동되게 된다.The multi-stage opening / closing door 132 is preferably opened and closed in a range of four to six stages in consideration of the size of the loading box 100, and is operate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first embodiment.

즉, 상기 고정도어(131)에 대한 개폐도어(132)는 상기 고정도어(131) 내부에 서랍형으로 수용되면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개폐되거나, 상기 고정도어(131) 하측부 또는 상측부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개폐될 수 있다.That is, the opening / closing door 132 with respect to the fixed door 131 is opened / closed in a sliding manner while being accommodated in the drawer type inside the fixed door 131, or may be opened / closed in a sliding manner to the lower side or the upper side of the fixed door 131 .

도 2는 고정도어(131)가 적재함(100)의 전방에 위치하고, 개폐도어(132)가 상대적으로 적재함(100)의 후방에 위치한 것을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고정도어(131) 하측부로 개폐도어(132)가 다단으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개방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2 is a front view of the fixed door 131. The fixed door 131 is located in front of the loading box 100 and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132 is relatively located behind the loading door 100.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132 are opened in a multi-stage sliding manner.

이러한 상기 개폐도어(132)는 가이드레일(111)을 따라 즉, 차량의 길이 방향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개폐되는 방식으로 수동으로 개폐될 수도 있으며, 유압식 또는 전기식으로 개폐될 수도 있으며, 또한, 상기 개폐도어(132)의 개방 정도를 조절하여, 작업 환경이나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132 may be manually opened or closed by sliding along the guide rail 111, that is, horizontally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or may be opened or closed by hydraulic or electric, The degree of opening of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132 is adjusted to be variously applied according to the working environment or purpose.

<제3실시예>&Lt; Third Embodiment >

도 3a, 도 3b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주요부에 대한 모식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예는 기본적으로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하여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상부도어(130)가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차량의 길이 방향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개폐되되, 상기 고정도어(131) 및 개폐도어(132)는 상기 바디프레임(110) 상측 일측부를 회동축으로 하여 차량의 길이 방향에 대한 상기 바디프레임(110)의 중심축에 대해 양측으로 개폐되도록 형성된 것이다.3A and 3B are schematic diagrams of a main par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drawing,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asically the same as the first embodiment, and a duplicat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first embodiment, The fixed door 131 and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132 are formed on the center axis of the body frame 110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with the upper side of the body frame 110 as a rotation axis, As shown in Fig.

즉, 수평방향으로 개폐되는 것과 동시에, 차량의 길이 방향의 중심축에 대해 양측으로 상부도어(130)가 개폐되도록 하여, 적재함(100)의 상측이 완전히 오픈되도록 하였다.That is, the upper door 130 is opened and closed at both sides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so that the upper side of the loading box 100 is completely opened.

도 3b는 고정도어(131)가 적재함(100)의 전방에 위치하고, 개폐도어(132)가 상대적으로 적재함(100)의 후방에 위치하여 상기 고정도어(131) 하측부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개방되면서, 상기 고정도어(131) 및 개폐도어(132)가 적재함(100) 상측으로 양쪽으로 완전히 개방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3B shows a state in which the fixed door 131 is located in front of the loading box 100 and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132 is located behind the loading door 100 and is opened to the lower side of the fixed door 131 in a sliding manner, It is shown that the fixed door 131 and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132 are fully opened to the upper side of the loading box 100 on both sides.

여기에서, 상기 고정도어(131) 및 개폐도어(132)는 상기 바디프레임(110) 상측 일측부에 힌지 결합되어, 이를 회동축으로 하여 차량의 길이 방향에 대한 상기 바디프레임(110)의 중심축에 대해 양측으로 개폐되도록 하였으며, 이는 수동으로 개폐하거나, 유압식 또는 전기식으로 작동되도록 하였다.The fixed door 131 and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132 are hinged to one side of the upper side of the body frame 110 so that the fixed door 131 and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132 are pivotally connected to the central axis of the body frame 110, To open and close manually, or to be hydraulically or electrically operated.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주요부에 대한 후방 모식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고정도어(131) 하측부로 개폐도어(132)가 슬라이딩 되어 수평 방향으로 개방된 후 다시 적재함(100) 상측으로 개방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여기에서, 개폐도어(132)는 상대적으로 회동축이 고정도어(131)의 회동축에 비해 안쪽으로 위치되도록 하여, 양측 개폐시 간섭이 고정도어(131) 및 개폐도어(132)의 간섭이 없도록 하였다.FIG. 4 is a rear schematic view of a main par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132 is slid to the lower side of the fixed door 131 and opened horizontally, . Here, the opening / closing door 132 relatively moves the pivot shaft inward relative to the pivot shaft of the fixed door 131, so that the interference between the fixed door 131 and the opening / closing door 132 can be prevented Respectively.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예는 적재함(100) 상측의 공간의 개방감을 최대화한 것으로서, 정비 대상 차량을 들어올려 정비 작업을 수행하거나, 정비 대상 차량의 높이나 형태에 관계없이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적재함(100) 내부에서 다양한 정비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정비 작업의 편의성 및 효율성을 도모한 것이다.
The thir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ximizes the open feeling of the space above the load box 100. The thir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ximizes the open feeling of the space above the load box 100, It is possible to perform a variety of maintenance work within the loading box 100, thereby improving convenience and efficiency of the maintenance work.

<제4실시예><Fourth Embodiment>

도 5a, 도 5b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주요부에 대한 모식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4실시예는 기본적으로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하여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상부도어(130)가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차량의 길이 방향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개폐되되, 상기 상부도어(130)는 상기 가이드레일(111)을 따라 접철식으로 차량의 길이 방향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5A and 5B are schematic diagrams of a main part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drawing,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asically the same as the first embodiment, and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upper door 130 is opened and closed in a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in a folding type along the guide rail 111. [

도 5b는 적재함(100)의 전방에서 후방 측으로 상부도어(130)가 슬라이딩 되면서, 접철식으로 개방되는 것을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상부도어(130)가 적재함(100)의 일측(전방)으로 개방되어, 적재함(100) 상측의 개방 공간을 최대화하도록 한 것이다.5B shows that the upper door 130 is opened in a folding manner while sliding the upper door 130 from the front to the rear of the loading box 100. The upper door 130 is opened to one side (front side) of the loading box 100, The open space on the upper side of the housing 100 is maximized.

상기 접철식으로 개방되는 상부도어(130)는, 접철되는 단위 상부도어(130)의 좌우측에 상기 가이드레일(111)에 결합되는 롤러 등이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레일(111)을 따라 상부도어(130)의 접철 및 슬라이딩 개폐가 용이하도록 하였다.
The upper door 130 is folded and opened so that rollers or the like coupled to the guide rails 111 are formed on left and right sides of the unit upper door 130 folded and folded along the guide rails 111, ) Are easily folded and opened and closed.

<제5실시예><Fifth Embodiment>

도 6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주요부에 대한 모식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5실시예는 기본적으로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하여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상부도어(130) 상부에 태양광 모듈(15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IG. 6 is a schematic view of a main part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figure, the fifth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basically the same as the first embodiment, and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solar module 150 is provided on the upper door 130 .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도어(130) 상부에 태양광 모듈(150)을 구비함으로써, 태양광 전기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 친환경적이면서 에너지 절약형 특장차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As shown in FIG. 6, the solar module 150 is provided on the upper door 130 to utilize solar electricity, thereby supplying environmentally-friendly and energy-saving specially equipped vehicles.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정비용 적재함을 구비한 특장차는, 적재함의 상부도어가 차량의 길이 방향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개폐되도록 하여, 장소의 선택의 제한없이 자유롭게 주차하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적재함의 상측부의 개방 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 환경이나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pecially equipped vehicle equipped with the vehicle load tray is configured such that the upper door of the loading box is opened and clos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And the opening degree of the upper part of the loading box can be adjusted so that it can be applied variously according to the working environment or purpose.

또한, 본 발명은 적재함 내부에 조명등을 설치하되, 적재함을 개방식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조명이 자동으로 오프되도록 하고, 폐쇄형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자동으로 온되도록 하여, 다양한 작업 환경에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a lighting lamp is installed inside a loading box, the lighting is automatically turned off when the loading box is used openly, and automatically when the loading box is used in a closed type, so that it can be conveniently used in various working environments .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적재함의 상부도어 상부에는 태양광 모듈을 구비하여, 태양광 전기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 친환경적이면서 에너지 절약형 특장차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a solar module is provided on the upper door of the loading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utilize solar electricity, so that an environmentally friendly and energy-saving specially equipped vehicle can be supplied.

또한, 본 발명은 적재함의 후면에 형성된 후면도어가 적재함 하측에서 힌지결합에 따른 회동식으로 결합되어 개폐됨으로써, 필요시에는 후면도어가 정비 대상 차량을 적재함 내부로 이동시키기 위한 발판으로 유용하게 사용되도록 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ar door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loading box is pivotably coupled with the lower side of the loading door in a pivoting manner according to the hinge coupling so that the rear door can be used as a scaffold for moving the vehicle to be loaded do.

100 : 적재함 110 : 바디프레임
111 : 가이드레일 120 : 측면도어
121 : 상측도어 122 : 하측도어
130 : 상부도어 131 : 고정도어
132 : 개폐도어 140 : 후면도어
150 : 태양광 모듈
100: Carrier 110: Body frame
111: guide rail 120: side door
121: upper door 122: lower door
130: upper door 131: fixed door
132: opening / closing door 140: rear door
150: Solar module

Claims (15)

측면도어 및 상부도어와, 상기 측면도어 및 상기 상부도어가 결합되는 바디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적재함이 구비되어, 상기 적재함의 천정부 및 측면부가 개폐되는 특장차에 있어서,
상기 상부도어는 상기 바디프레임의 상측부에 형성된 가이드레일을 따라 차량의 길이 방향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개폐되며,
상기 적재함에는,
일측 모서리가 상기 적재함의 후면 하측 모서리와 힌지결합되어 개폐되는 후면도어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개방형 상부도어를 갖는 차량정비용 적재함을 구비한 특장차.
And a body frame to which the side door and the upper door are coupled, wherein the ceiling portion and the side portion of the loading box are opened and closed,
Wherein the upper door is opened and closed in a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along a guide rail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body frame,
In the loading box,
And a rear door which is hinged to one side edge of the rear lower side edge of the loading box so as to be opened and closed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loading doo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도어는 상기 가이드레일에 결합되는 고정도어와 상기 고정도어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개폐도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개방형 상부도어를 갖는 차량정비용 적재함을 구비한 특장차.[2]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upper door comprises a fixed door coupled to the guide rail, and an opening / closing door that moves along the guide rail relative to the fixed door. Specially equipped vehicles with loading boxes.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도어 및 개폐도어는 상기 바디프레임 상측 일측부를 회동축으로 하여 차량의 길이 방향에 대한 상기 바디프레임의 중심축에 대해 양측으로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개방형 상부도어를 갖는 차량정비용 적재함을 구비한 특장차.3. The door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fixed door and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are opened and closed at both sides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of the body frame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with the upper side of the body frame as a pivot axis. Specially equipped vehicles with fixed - load car.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도어 내측에는,
상기 적재함 내부를 비추는 조명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개방형 상부도어를 갖는 차량정비용 적재함을 구비한 특장차
4.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inside the upper door,
And a lighting lamp for illuminating the inside of the loading box is formed.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등은,
상부도어 내측면에 매립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개방형 상부도어를 갖는 차량정비용 적재함을 구비한 특장차.
The lighting system according to claim 4,
And is formed in a shape of being embedded in an inner side surface of the upper door.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등은,
상기 개폐도어가 개방되면 자동 오프되고, 상기 개폐도어가 닫히면 자동 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개방형 상부도어를 갖는 차량정비용 적재함을 구비한 특장차.
6. The lighting system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door is automatically turned off when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is opened, and automatically turned on when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is closed.
제 1항 내지 제 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도어 상부에는 태양광 모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개방형 상부도어를 갖는 차량정비용 적재함을 구비한 특장차.The specially equipped vehicl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further comprising a solar module on an upper portion of the upper door.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도어는,
복수개의 개폐도어를 포함하여 다단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개방형 상부도어를 갖는 차량정비용 적재함을 구비한 특장차.
8. The apparatus of claim 7, wherein the upper door comprises:
And a plurality of open / close doors, which are opened and closed at a plurality of stage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도어는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접철식으로 차량의 길이 방향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개방형 상부도어를 갖는 차량정비용 적재함을 구비한 특장차.The specially equipped vehicle of claim 1, wherein the upper door is horizontally opened and clos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in a folding-type manner along the guide rails.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도어 내측에는,
상기 적재함 내부를 비추는 조명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개방형 상부도어를 갖는 차량정비용 적재함을 구비한 특장차
10. The door according to claim 9, wherein, inside the upper door,
And a lighting lamp for illuminating the inside of the loading box is formed.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등은,
상부도어 내측면에 매립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개방형 상부도어를 갖는 차량정비용 적재함을 구비한 특장차.
The light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0,
And is formed in a shape of being embedded in an inner side surface of the upper door.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도어는,
하측 모서리는 적재함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측 모서리는 지면에 접촉되도록 경사지게 개방되며, 수평 길이 및 경사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개방형 상부도어를 갖는 차량 정비용 적재함을 구비한 특장차.
The rear doo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ower edge is inclinedly opened to be in contact with the ground and the horizontal length and the inclination angle are adjustable when the lower edge is coupled to the loading box.
제 9항 내지 제 11항 및 제 1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도어 상부에는 태양광 모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개방형 상부도어를 갖는 차량정비용 적재함을 구비한 특장차.The vehicle of any one of claims 9 to 14, further comprising a solar module on the upper door, wherein the solar module is installed on the upper door.
KR1020150091328A 2015-06-26 2015-06-26 Special Purpose Vehicle Having a Vehicle Maintenance Cargo with Horizontal Direction Opening Type KR10160918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1328A KR101609181B1 (en) 2015-06-26 2015-06-26 Special Purpose Vehicle Having a Vehicle Maintenance Cargo with Horizontal Direction Opening Typ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1328A KR101609181B1 (en) 2015-06-26 2015-06-26 Special Purpose Vehicle Having a Vehicle Maintenance Cargo with Horizontal Direction Opening Typ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9181B1 true KR101609181B1 (en) 2016-04-05

Family

ID=55800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1328A KR101609181B1 (en) 2015-06-26 2015-06-26 Special Purpose Vehicle Having a Vehicle Maintenance Cargo with Horizontal Direction Opening Typ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9181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7768Y1 (en) * 2002-03-30 2002-09-05 임관빈 A movable maintenance car
JP2006224723A (en) * 2005-02-15 2006-08-31 Osaka Sairen Seisakusho:Kk Illuminating equipment in vehicular article storag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7768Y1 (en) * 2002-03-30 2002-09-05 임관빈 A movable maintenance car
JP2006224723A (en) * 2005-02-15 2006-08-31 Osaka Sairen Seisakusho:Kk Illuminating equipment in vehicular article storag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5299351U (en) Over -and -under type LED street lamp
CN202577773U (en) Window system having shielded operator
CN100577459C (en) Full-automatic telescopic sunshading umbrella for automobile
KR101949166B1 (en) Tent Mounted on a Roof of Vehicle
CN106996519A (en) A kind of portable courtyard illuminating lamp
CA2325059A1 (en) Extendable bay window for mobile living quarters
KR101609181B1 (en) Special Purpose Vehicle Having a Vehicle Maintenance Cargo with Horizontal Direction Opening Type
CN212786119U (en) Outdoor regulator cubicle convenient to overhaul
CN210105386U (en) Foldable room and foldable movable villa
US6084358A (en) Garage door mounted light
GB2451126A (en) Vehicle with retractable cargo compartment
CN210203870U (en) Drawing exhibition is put table for environmental design
KR101743373B1 (en) Food truck
CN201636777U (en) Transparent plate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lamp box
CN110042966A (en) A kind of Multifunction open fastening deformation ceiling
CN110386049A (en) A kind of repair car of electric power with hoistable platform
CN204488619U (en) The detachable high lid in pick up compartment
CN201916712U (en) Solar-energy camping lamp
CN212280493U (en) Cabinet is accomodate in poverty alleviation official working
CN201927333U (en) Music stand
CN207094287U (en) A kind of rotatable lamp bracket in construction site
CN209137977U (en) A kind of integrated shelter of removable light of stage sound equipment
CN109067324A (en) A kind of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equipment
KR101775482B1 (en) Portable rechargeable illumination device having multi-joint structure
CN209499274U (en) A kind of Multifunction show shel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