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9145B1 - 영화 또는 방송의 촬영 현장에서 촬영되는 영상을 관리하는 영상 관리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영화 또는 방송의 촬영 현장에서 촬영되는 영상을 관리하는 영상 관리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9145B1
KR101609145B1 KR1020140112471A KR20140112471A KR101609145B1 KR 101609145 B1 KR101609145 B1 KR 101609145B1 KR 1020140112471 A KR1020140112471 A KR 1020140112471A KR 20140112471 A KR20140112471 A KR 20140112471A KR 101609145 B1 KR101609145 B1 KR 1016091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ata
data
image
streaming
vide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24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25696A (ko
Inventor
강상우
류연
오세광
옥임식
Original Assignee
씨제이파워캐스트(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제이파워캐스트(주) filed Critical 씨제이파워캐스트(주)
Priority to KR10201401124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9145B1/ko
Publication of KR201600256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56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91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91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2343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 H04N21/234345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the reformatting operation being performed only on part of the stream, e.g. a region of the image or a time seg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1Server components or server architectures
    • H04N21/218Source of audio or video content, e.g. local disk arr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4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monitoring of server load, available bandwidth, upstream reque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4Management at additional data server, e.g. shopping server, rights management server
    • H04N21/2541Rights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3Camer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촬영 현장에서 영화 또는 방송용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을 관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a) 촬영 현장에서 영화 또는 방송용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 데이터가 변환(Conversion) 또는 보정(Correction)되는 단계; (b) 변환 또는 보정된 영상 데이터가 스트리밍(Streaming) 서버에 전달되는 단계; 및 (c) 상기 스트리밍 서버가 사용자 단말 장치에 상기 영상 데이터를 스트리밍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영화 또는 방송의 촬영 현장에서 촬영되는 영상을 관리하는 영상 관리 방법 및 시스템{IMAGE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FOR CAPTURED IMAGE AT THE FILM SITE OF BROADCAST SITE}
본 발명은 영화 또는 방송의 촬영 현장에서 촬영되는 영상을 관리하는 영상 관리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영화 또는 방송의 촬영 현장에 촬영되는 영상을 변환 또는 보정 한 뒤에, 제작사/투자배급사 또는 방송국 직원들이 사용하는 단말 장치에 실시간으로 스트리밍(Streaming)할 수 있는 영상 관리 기술에 관한 것이다.
종래 영화 또는 방송의 촬영 현장에서 촬영되는 영상은, 촬영이 완료된 뒤에 원본 영상 데이터를 하드 디스크 등의 이동식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운반하는 형식으로 관리되었다.
이에 따라, 촬영 현장에 있지 않은 제작사/투자배급사의 관계자 또는 방송국 관계자들이 원본 영상 데이터를 확인하기까지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고, 제작사/투자배급사의 관계자 또는 방송 관계자가 촬영 현장에서 촬영되고 있는 영상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Monitoring)하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또한, 이러한 촬영 영상의 모니터링과 관련된 문제점 이외에도, 촬영 현장과 연계하여 최종 영상 데이터를 컨펌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구체적으로, 종래에는, 촬영이 완료된 뒤에 원본 영상 데이터를 보정 하여 최종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므로, 제작/투자배급사 관계자 또는 방송국 관계자에 의해 최종 영상이 컨펌 되지 못하고 거절되는 경우에는, 사후에 다시 재촬영을 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영화 또는 방송 촬영 분야에서,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영상 관리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KR 10-2004-0076905 (2004.09.04.공개)
본 발명은, 영화 또는 방송 촬영 현장에서 촬영되는 영상을 영화 또는 방송의 관계자들에게 실시간으로 스트리밍(Streaming)하는 영상 관리 기술을 구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기술적 과제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 관리 방법은, (a) 촬영 현장에서 영화 또는 방송용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 데이터가 변환(Conversion) 또는 보정(Correction)되는 단계; (b) 변환 또는 보정된 영상 데이터가 스트리밍(Streaming) 서버에 전달되는 단계; 및 (c) 상기 스트리밍 서버가 사용자 단말 장치에 상기 영상 데이터를 스트리밍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 관리 방법은, 상기 (a) 단계가, 촬영 현장에서 촬영된 원본 영상 데이터가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에서 재생이 가능한 제1영상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되는 단계; 및 상기 제1영상 데이터가 스트리밍이 가능한 제2영상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 관리 방법은, 상기 원본 영상 데이터가 r3d, ari, mxf, DNG 또는 RMF 포맷의 영상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 관리 방법은, 상기 제1영상 데이터가 Prores422 또는 DNxHD 포맷의 영상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 관리 방법은, 상기 제2영상 데이터가 Mpeg-ts 포맷의 영상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 관리 방법은, 상기 (a) 단계가, 촬영 현장에서 촬영된 원본 영상 데이터가 보정되고 제3영상 데이터가 생성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 관리 방법은,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스트리밍 서버가, 모니터링(Monitoring) 모드 또는 영상 컨펌(Confirm) 모드로 동작하고, 상기 모니터링 모드에서, 원본 영상 데이터가 변환된 제2영상 데이터를 전달받고, 상기 영상 컨펌 모드에서, 원본 영상 데이터가 보정된 제3영상 데이터를 전달받으며, 상기 제2영상 데이터는 상기 제3영상 데이터보다 더 저화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 관리 방법은, 상기 (b) 단계가, 상기 변환 또는 보정된 영상 데이터가 상기 스트리밍 서버에 전달되는 단계; 상기 스트리밍 서버가 변환 또는 보정된 데이터에 대해 DRM(Digital Right Management) 패키징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스트리밍 서버가 DRM 패키징된 데이터를 프로젝트 계정별, 일자별 또는 씬(Scene)별로 분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 관리 방법은,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스트리밍 서버가, 사용자 단말 장치에 DRM 패키징 된 영상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서비스를 구현하거나, 또는 사용자 단말 장치의 요청에 따라 프로젝트 계정별, 일자별 또는 씬(Scene)별 영상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 관리 시스템은, 촬영 현장에서 영화 또는 방송용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변환(Conversion)하거나 또는 상기 영상 데이터를 보정(Correction) 하는 영상 처리 장치; 및 상기 영상 처리 장치가 변환 또는 보정 한 영상 데이터를 전달받고, 전달받은 영상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 장치에 스트리밍하는 스트리밍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는, 촬영 현장에서 영화 또는 방송용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멀티미디어 플레이어를 통해 재생될 수 있는 제1영상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하는 제1영상 처리부; 상기 제1영상 데이터를 스트리밍이 가능한 제2영상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하는 제2영상 처리부; 및 상기 제2영상 데이터를 스트리밍 서버에 전송하기 위한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는, 영화 또는 방송용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색 보정 하여 제3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3영상 처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제3영상 데이터를 상기 스트리밍 서버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리밍 서버는, 촬영 현장에서 영화 또는 방송용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 데이터가 변환 또는 보정된 뒤에, 변환 또는 보정된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하는 영상 데이터에 대해 DRM 패키징을 수행하는 DRM 관리부; 및 사용자 단말 장치에 영상 데이터를 스트리밍 시키는 스트리밍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촬영 영상의 스트리밍 방법은, 촬영 현장에서 영화 또는 방송용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뒤에 변환 또는 보정되고, 스트리밍 서버에 의해 DRM 패키징된 영상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 장치가 스트리밍 받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가 스트리밍 되는 영상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가 디코딩된 영상을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프로그램(어플리케이션)의 형태로 구현된 뒤에 프로그램 제공 서버를 통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영화/방송 관계자들이 영화/방송 현장에서 촬영되고 있는 영상 데이터를 신속하게 모니터링(Monitoring)할 수 있는 영상 관리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현장에서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변환 또는 보정 하고, 변환 또는 보정된 영상을 영화/방송 관계자들의 단말 장치에 스트리밍 하여, 영화/방송 관계자들로 하여금 현장에 촬영되고 있는 영상 데이터를 신속하게 확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영화/방송 현장에서 촬영되고 있는 영상 데이터를 기초로 영상 컨펌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현장에서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보정 한 뒤에 영화/방송 관계자의 단말 장치에 스트리밍하고, 영화/방송 관계자로 하여금 이러한 스트리밍 동작과 연계하여 영상 데이터를 컨펌하게 하는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현장에서 촬영되고 있는 영상 데이터를 기초로 영상 컨펌 프로세스를 진행하므로, 관계자들에 의해 영상이 컨펌되지 않고 거절되더라도 그 즉시 현장에서 재촬영을 수행할 수 있고, 재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재차 컨펌 프로세스를 진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영화/방송 현장에서 촬영된 고화질의 영상 데이터를 영상 관리 모드(예컨대, 모니터링 모드, 영상 컨펌 모드)에 따라 서로 다른 포맷으로 변환할 수 있으며, 각 영상 관리 모드에서 서로 다른 포맷의 영상 데이터를 스트리밍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니터링 모드에서는, 안정적인 스트리밍을 위해 저화질의 영상 포맷으로 변화된 영상 데이터를 스트리밍하고, 영상 컨펌 모드에서는, 보정까지 완료된 고화질의 영상 데이터를 스트리밍할 수 있다. 따라서, 각 영상 관리 모드에서 데이터 처리 동작의 효율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통신망의 데이터 트래픽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 관리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 관리 시스템의 예시들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리밍 서버의 예시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예시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의 예시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영상 관리 방법, 영상 관리 시스템'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설명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된 도면에 표현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쉽게 설명하기 위해 도식화된 도면으로 실제로 구현되는 형태와 상이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 표현되는 각 구성부는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예일 뿐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구현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구성부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부는 순전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구성만으로 구현될 수도 있지만, 동일 기능을 수행하는 다양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구성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하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에 의해 둘 이상의 구성부들이 함께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는 표현은, '개방형'의 표현으로서 해당 구성요소들이 존재하는 것을 단순히 지칭할 뿐이며, 추가적인 구성요소들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제1, 제2, 제3, (a), (b), (c)' 등과 같은 표현은, 복수의 구성들을 구분하기 위한 용도로만 사용된 표현으로써, 구성들 사이의 순서나 기타 특징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이하,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영상 관리 방법을 살펴본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영상 관리 방법은, 촬영 현장에서 영화 또는 방송용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 데이터가 변환(Conversion) 또는 보정(Correction)되는 단계(S10), 변환 또는 보정된 영상 데이터가 스트리밍(Streaming) 서버에 전달되는 단계(S20), 스트리밍 서버가 사용자 단말 장치에 영상 데이터를 스트리밍하는 단계(S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S10 단계는, 촬영 현장에서 영화 또는 방송용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 데이터가 변환 또는 보정되는 단계이다. 이러한 상기 S10 단계에서는, 영상 관리의 목적(촬영 영상의 단순 모니터링, 영상 컨펌 등)에 따라 촬영 현장의 원본 영상 데이터가 변환(Conversion) 또는 보정(Correction)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환 또는 보정에 의해 실제 스트리밍의 대상이 되는 영상 데이터가 생성될 수 있다. 한편, 여기서 상기 영상 데이터의 변환 동작을 통해, 고화질의 원본 영상 데이터로부터 저용량(저화질)의 영상 데이터가 생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상기 저용량의 영상 데이터는 '(고속 서비스가 보장된) 촬영 영상의 단순 모니터링 시스템' 등을 구현하는 데에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 데이터의 보정 동작을 통해, 고화질의 원본 영상 데이터로부터 고화질의 보정 영상 데이터가 생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고화질의 보정 영상 데이터는 '(고화질의 보정 영상이 보장된) 영상 컨펌 시스템' 등을 구현하는 데에 활용될 수 있다.
상기 S10 단계가 포함할 수 있는 세부적인 프로세스들은 도 2를 참조하여 살펴볼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S10 단계는, 먼저 촬영 현장에서 영화 또는 방송용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원본 영상 데이터가 생성(S11)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원본 영상 데이터는, 바람직하게는 r3d, ari, mxf, DNG, RMF 등의 데이터 포맷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S11 단계 이후에는, 상기 S10 단계가 대표적으로 2가지의 세부 프로세스로 진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S10 단계는, 원본 영상 데이터를 변환하여 제1영상 데이터 및 제2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1프로세스'로 진행(S11 - S12 - S13)되거나, 원본 영상 데이터를 보정 하여 제3영상데이터를 생성하는 '제2프로세스'로 진행(S11 - S14)될 수 있다.
상기 제1프로세스는, 상기 원본 영상 데이터가 변환되어 저용량의 영상 데이터가 생성되는 프로세스로써, '촬영 영상의 단순 모니터링 시스템' 등을 구현하는 과정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1프로세스는, 상기 원본 영상 데이터가 제1영상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되는 단계(S1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영상 데이터는, 멀티미디어 플레이어를 통해 재생이 가능한 고화질의 영상 데이터 포맷으로써, 바람직하게는 고화질의 압축 코덱 Prores422 혹은 DNxHd의 QuickTime 영상 데이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프로세스는, 상기 제1영상 데이터가 생성된 뒤에는, 상기 제1영상 데이터가 스트리밍이 가능하고 DRM 패키징이 가능한 제2영상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되는 단계(S1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영상 데이터는, DRM 패키징이 가능하고 웹을 통한 스트리밍이 가능한 저용량의 영상 데이터 포맷으로써, 바람직하게는 Mpeg-ts 포맷의 영상 데이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프로세스는, 상기 원본 영상 데이터가 보정되어 고화질의 영상 데이터가 생성되는 프로세스로써, '영상 컨펌 시스템' 등을 구현하는 과정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2프로세스는, 상기 원본 영상 데이터가 보정되어 제3영상 데이터가 생성되는 단계(S1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정은, 바람직하게는 색 보정일 수 있으며, 상기 제3영상 데이터는 상기 원본 영상 데이터와 마찬가지로 고화질의 영상 데이터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S10 단계는, 다양한 전자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영화 또는 방송 촬영 현장에 설치된 영상 처리 장치 또는 촬영 현장의 촬영 장치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영상 처리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S10 단계는, 상기 제1프로세스 및 상기 제2프로세스를 각각 처리하는 복수의 영상 처리 장치에 의해 수행되거나, 상기 제1프로세스 및 상기 제2프로세스를 통합적으로 처리하는 단일의 영상 처리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S20 단계는, 상기 S10 단계를 통해 변환 또는 보정된 영상 데이터가 스트리밍 서버에 전달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S20 단계는 상기 S10 단계의 제1프로세스를 통해 변화된 제2영상 데이터 또는 상기 제2프로세스를 통해 보정된 제3영상 데이터가 상기 스트리밍 서버에 전달되는 단계이다. 이를 위해, 상기 스트리밍 서버는, 통신망을 통해 복수의 영상 처리 장치 또는 통합화된 영상 처리 장치와 연결될 수 있으며, FTP 등의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영상 데이터를 전달받을 수 있다.
한편, 상기 S20 단계에서, 상기 스트리밍 서버는 동작 모드에 따라 상기 제2영상 데이터 또는 상기 제3영상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전달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스트리밍 서버는, '단순 모니터링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 상기 제2영상 데이터를 전달받고, '영상 컨펌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 상기 제3영상 데이터를 전달받을 수 있다. '단순 모니터링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는, 영상을 신속하게 스트리밍하는 것이 최우선이므로 저용량(저화질)의 상기 제2영상 데이터를 전달받고, '영상 컨펌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는, 고화질의 보정 영상을 스트리밍하는 것이 필요하므로 상기 제3영상 데이터를 전달받는 것이다.
상기 변환 또는 보정된 영상 데이터가 상기 스트리밍 서버에 전달된 뒤에는, 전달된 영상 데이터들이 상기 스트리밍 서버에 의해 2차적으로 처리될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정리/분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와 같이, 변환 또는 보정된 영상이 스트리밍 서버에 전달(S21)된 뒤에, 상기 스트리밍 서버는 전달된 영상 데이터에 대해 DRM 패키징을 수행(S22)할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DRM 패키징 된 영상 데이터들을 프로젝트 계정별, 일자별 또는 씬(Scene)별로 정리/분류할 수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동작을 통해 상기 스트리밍 서버는, 스트리밍 되고 있는 영상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DRM 패키징)할 수 있으며, 촬영 현장에서 촬영되고 있는 실시간 촬영 영상 자체를 스트리밍하거나(실시간 스트리밍), 프로젝트 계정별, 일자별 또는 씬별로 정리된 영상 데이터를 선택에 따라 스트리밍(프로젝트별/일자별/씬별 스트리밍)할 수 있다.
상기 S30 단계는, 상기 S20 단계를 통해 전달된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스트리밍 서버가 사용자 단말 장치에 영상 데이터를 스트리밍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스트리밍 서버는, 영상 처리 장치로부터 전달되는 영상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사용자 단말 장치에 스트리밍하거나, 영상 처리 장치로부터 전달되는 영상 데이터를 정리/분류한 뒤에 사용자 단말 장치의 요청에 따라 스트리밍 할 수 있다. 전자의 경우에는, 상기 스트리밍 서버가 전달받은 상기 제2영상 데이터 또는 제3영상 데이터에 대하여 실시간 DRM 패키징을 수행하면서 사용자 단말 장치에 영상 데이터를 스트리밍을 하게 된다. 또한, 후자의 경우에는, 상기 스트리밍 서버가 DRM 패키징 된 상태로 분류/정리된 영상 데이터들 중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요청(선택)과 매칭되는 영상 데이터를 추출하여 스트리밍하게 된다.
한편, 이 경우 상기 스트리밍 서버와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는, 통신망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상에는 스트리밍되는 영상을 표시하거나, 스트리밍 동작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UI(User Interface)가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영화 또는 방송 관계자의 단말 장치일 수 있다. 따라서, 영화 또는 방송 관계자들은 이상에서 살핀 프로세스를 통하여, 촬영 현장에서 촬영되고 있는 영상을 실시간으로 스트리밍 받거나, 선택에 따라 프로젝트별, 일자별, 시간별로 스트리밍 받을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촬영 현장을 단순 모니터링하거나, 촬영 현장과 연계하여 영상 컨펌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관리 방법은, 다양한 전자 장치들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망을 통해 서로 연결된 영상 처리 장치, 스트리밍 서버, 단말 장치 등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영상 관리 시스템의 몇 가지 예시들을 살펴본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 관리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촬영 현장에서 영화 또는 방송용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 데이터를 전달받고 영상 처리하는 '영상 처리 장치', 상기 영상 처리 장치로부터 영상 처리된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스트리밍 서버', 상기 스트리밍 서버로부터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받는 '사용자 단말 장치'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영상 처리 장치의 세부적인 영상 처리 프로세스에 따라 3가지 Type으로 분류될 수 있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관리 시스템을 살펴볼 수 있다. (이하에서 살펴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관리 시스템은, 촬영 영상 데이터의 단순 모니터링에 최적화된 시스템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관리 시스템은, 촬영 현장에서 영화 또는 방송용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변환하는 영상 처리 장치(300), 상기 영상 처리 장치가 변환한 영상 데이터를 전달받고, 전달받은 영상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 장치에 스트리밍하는 스트리밍 서버(100), 상기 스트리밍 서버로부터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받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영상 처리 장치(300)는, 촬영 현장의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원본 영상 데이터를 '멀티미디어 플레이어를 통해 재생될 수 있는 제1영상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할 수 있으며, 상기 제1영상 데이터를 'DRM 패키징이 가능하고 스트리밍이 가능하며 저용량(저화질)인 제2영상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 처리 장치(300)는, 변환된 상기 제2영상 데이터를 FTP 프로토콜 등을 이용하여 상기 스트리밍 서버(100)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트리밍 서버(100)는, 상기 영상 처리 장치(300)로부터 상기 제2영상 데이터를 전달받으며, 전달받은 데이터를 기초로 사용자 단말 장치(200)에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 경우, 상기 스트리밍 서버(100)는, 1) 전달받은 영상 데이터에 대하여 실시간 DRM 패키징을 수행하면서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200)에 실시간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2) 전달받은 영상 데이터에 대하여 DRM 패키징을 수행하고, DRM 패키징 된 영상데이터들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 뒤에,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요청(선택)에 따라 영상 데이터를 스트리밍 할 수 있다. 한편, 이 경우 상기 스트리밍 서버(100)는, 상기 저용량(저화질) 제2영상 데이터를 기초로 스트리밍 동작을 수행하므로, 어느 경우든 고속의 스트리밍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상기 스트리밍 서버(100)로부터 스트리밍 되는 영상 데이터들의 DRM을 해제한 뒤에, 가시적인 형태로 영상을 표시한다. 이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1) 촬영 현장의 실시간 영상 데이터를 표시하거나, 2)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요청(선택) 정보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200)에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등에 의한 UI(User Interface) 환경이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UI 환경을 통해 스트리밍 서비스가 구현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 관리 시스템을 살펴볼 수 있다. (이하에서 살펴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관리 시스템은, 촬영 현장과 연계한 영상 컨펌에 최적화된 시스템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 관리 시스템은, 촬영 현장에서 영화 또는 방송용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보정하는 영상 처리 장치(400), 상기 영상 처리 장치가 보정 한 영상 데이터를 전달받고, 전달받은 영상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 장치에 스트리밍하는 스트리밍 서버(100), 상기 스트리밍 서버로부터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받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영상 처리 장치(400)는, 촬영 현장의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원본 영상 데이터를 색 보정 하여 고화질의 제3영상 데이터를 생성할 있으며, 생성된 상기 제3영상 데이터를 통신망을 통해 상기 스트리밍 서버(100)에 전달할 수 있다. 즉, 상기 영상 처리 장치(400)는, 위에서 살펴본 영상 처리 장치(300)와는 달리 저용량(저화질)의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지 않으며, 속도는 보장되지 않더라도 촬영 영상의 향후 서비스 가능 여부를 명확하게 판단할 수 있는 고화질의 영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또한, 상기 스트리밍 서버(100)는, 상기 영상 처리 장치(400)로부터 상기 제3영상 데이터를 전달받으며, 전달받은 데이터를 기초로 사용자 단말 장치(200)에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 경우, 상기 스트리밍 서버(100)는, 1) 전달받은 영상 데이터에 대하여 실시간 DRM 패키징을 수행하면서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에 실시간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2) 전달받은 영상 데이터에 대하여 DRM 패키징을 수행하고, DRM 패키징된 영상데이터들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 뒤에,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검색 또는 요청(선택)에 따라 영상 데이터를 스트리밍 할 수 있다. 한편, 이 경우 상기 스트리밍 서버(100)는, 고화질의 제3영상 데이터를 기초로 스트리밍 동작을 수행하므로, 통신 채널에 넓은 대역폭을 할당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상기 스트리밍 서버(100)로부터 스트리밍 되는 영상 데이터들의 DRM을 해제한 뒤에, 가시적인 형태로 영상을 표시한다. 이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1) 촬영 영상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표시하거나, 2) 입력된 검색 또는 요청(선택) 정보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표시되고 있는 영상 데이터를 컨펌 또는 승인하는 프로세스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200)에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등에 의한 UI(User Interface) 환경이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UI 환경을 통해 스트리밍 서비스가 구현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 관리 시스템을 살펴볼 수 있다. (이하에서 살펴볼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 관리 시스템은, '단순 모니터링을 위한 프로세스' 및 '영상 컨펌을 위한 프로세스' 모두를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 관리 시스템은, 촬영 현장에서 영화 또는 방송용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동작 모드에 따라 변환하거나 보정 하는 영상 처리 장치(500), 상기 영상 처리 장치가 변환하거나 보정 한 영상 데이터를 전달받고, 전달받은 영상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 장치에 스트리밍하는 스트리밍 서버(100), 상기 스트리밍 서버로부터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받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영상 처리 장치(500)는, 촬영 현장의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원본 영상 데이터를 동작 모드에 따라 변환하거나 보정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영상 처리 장치(500)는, '단순 모니터링 모드' 및 '영상 컨펌 모드'로 선택적으로 동작할 수 있으며, 상기 단순 모니터링 모드에서는 영상 변환을 통해 상기 제2영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영상 컨펌 모니터링 모드에서는 영상 보정을 통해 상기 제3영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또한, 생성된 제2영상 데이터 또는 제3영상 데이터를 통신망을 통해 상기 스트리밍 서버에 전달할 수 있다. 결국, 상기 영상 처리 장치(500), 위에서 살펴본 영상 처리 장치(300, 400)들의 기능을 통합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트리밍 서버(100)는, 상기 영상 처리 장치(500)로부터 상기 제2영상 데이터 또는 제3영상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전달받으며, 전달받은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200)에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 경우, 상기 스트리밍 서버(100)는, 1) 전달받은 영상 데이터에 대하여 실시간 DRM 패키징을 수행하면서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에 실시간 영상 데이터를 스트리밍 하거나, 2) 전달받은 영상 데이터에 대하여 DRM 패키징을 수행하고, DRM 패키징된 영상데이터들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 뒤에,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검색 또는 요청(선택)에 따라 영상 데이터를 스트리밍 할 수 있다. 한편, 이 경우 상기 스트리밍 서버(100)는, 상기 영상 처리 장치(500)의 동작 모드에 따라 스트리밍에 활용되는 대역폭을 다르게 할당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트리밍 서버(100)는, 상기 제2영상 데이터가 전달되는 경우보다 상기 제3데이터가 전달되는 경우에 더 넓은 대역폭을 할당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트리밍 서버(100)는, '실시간 서비스'를 제공할 때의 대역폭을 '사용자의 요청/선택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할 때보다 더 넓게 할당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상기 스트리밍 서버(100)로부터 스트리밍 되는 영상 데이터들의 DRM을 해제한 뒤에, 가시적인 형태로 영상을 표시한다. 이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1) 촬영 영상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표시하거나, 2) 입력된 검색 또는 요청(선택) 정보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영상 컨펌 모드에서는, 표시되고 있는 영상 데이터를 컨펌 또는 승인하는 프로세스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200)에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등에 의한 UI(User Interface) 환경이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UI 환경을 통해 스트리밍 서비스가 구현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핀 본 발명에 따른 '영상 관리 시스템'은, 카테고리는 상이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영상 관리 방법'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술적 특징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영상 관리 방법'과 관련하여 상술한 특징들은, 상기 '영상 관리 시스템'에도 유추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리밍 서버의 예시적인 구성을 살펴본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리밍 서버(100)는,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한 통신부(110),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하는 영상 데이터에 대해 DRM 패키징을 수행하는 DRM 관리부(120), 사용자 단말 장치에 영상 데이터를 스트리밍 시키는 스트리밍 관리부(130), 데이터 저장을 위한 저장부(140), 상기 스트리밍 서버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스트리밍 서버(100)는,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는 다양한 전자 장치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2 이상의 전자 장치가 결합 된 형태로도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통신부(110)는, 다른 전자 장치들과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러한 상기 통신부(110)를 통해, 상기 스트리밍 서버(100)는 상기 영상 처리 장치(300, 400, 500) 및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200)와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영상 처리 장치(300, 400, 500)로부터 변환 또는 보정된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200)에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통신부(110)는, 다양한 유선 통신 모듈 또는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다양한 무선 또는 유선 통신 규격을 통해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통신부(110)는, ITU, IEEE, ISO, IEC 등에서 규정하는 다양한 표준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표준 통신 모듈 이외에도 다양한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DRM 관리부(120)는, 상기 영상 처리 장치(300, 400, 500)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데이터에 대하여 DRM 패키징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상기 DRM 관리부(120)는, 상기 통신부(110)를 통해 수신되는 '변환 또는 보정된 영상 데이터'에 대하여, 실시간 DRM 패키징을 수행하거나 일반적인 DRM 패키징을 수행할 수 있다. 전자의 경우에는 실시간으로 DRM 패키징 된 영상 데이터를 상기 스트리밍 관리부(130)에 전달하여 영상 데이터가 실시간으로 스트리밍 되도록 할 수 있으며, 후자의 경우에는 DRM 패키징 된 영상 데이터를 상기 저장부(140)에 전달하여 정리/분류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스트리밍 관리부(130)는, DRM 패키징된 영상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에 스트리밍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상기 스트리밍 관리부(130)는, 상기 통신부(110)를 통해 수신되는 변환 또는 보정된 영상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스트리밍하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요청(선택)에 매칭되는 영상 데이터를 스트리밍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140)는, 상기 스트리밍 서버(100)와 관련된 다양한 데이터가 저장되는 구성이다. 예를 들어, 상기 저장부(140)는, 상기 통신부(110)를 통해 전달되는 변환 또는 보정된 영상 데이터, 영상 데이터들의 속성을 나타내는 메타 데이터, DRM 패키징에 활용되는 데이터, 영상 데이터의 스트리밍을 구현하기 위한 데이터 등 다양한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저장부(140)는, DRM 패키징이 완료된 영상 데이터들의 정리/분류(예컨대, 프로젝트 계정별, 일자별, 씬별 등으로 정리/분류) 정보를 DB화하여 저장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정보들이 영상 데이터의 스트리밍 과정에서 활용되게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저장부(140)는 다양한 메모리 소자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통신부(110), 상기 DRM 관리부(120), 상기 스트리밍 관리부(130), 상기 저장부(140), 상기 제어부(150)를 포함하는 상기 스트리밍 서버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상기 제어부(150)는, 적어도 하나의 연산 장치를 포함할 수 있는데, 여기서 상기 연산 장치는 범용적인 중앙연산장치(CPU), 특정 목적에 적합하게 구현된 프로그래머블 디바이스 소자(CPLD, FPGA), 주문형 반도체 연산장치(ASIC) 또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칩일 수 있다.
이상에서 살핀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리밍 서버'는, 카테고리는 상이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영상 관리 방법'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술적 특징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영상 관리 방법'과 관련하여 상술한 특징들은, 상기 '스트리밍 서버'에도 유추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예시적인 구성을 살펴본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한 통신부(210),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영상 데이터의 DRM을 해제하는 DRM 처리부(220), 영상 데이터의 스트리밍 동작을 관리하는 스트리밍 처리부(230),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동작과 관련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240),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 영상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 등의 구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부 및 어플리케이션(또는 프로그램)의 데이터 처리를 통해 영상 데이터의 스트리밍을 위한 UI(User Interface)를 구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노트북, PDA 등의 전자 장치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연산 동작과 데이터 송수신 동작이 가능한 다양한 전자 장치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통신부(210)는, 다른 전자 장치들과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러한 상기 통신부(210)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상기 스트리밍 서버(100)와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스트리밍 서버(100)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스트리밍 받거나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정보를 상기 스트리밍 서버(100)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통신부(210)는, 다양한 유선 통신 모듈 또는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다양한 무선 또는 유선 통신 규격을 통해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통신부(210)는, ITU, IEEE, ISO, IEC 등에서 규정하는 다양한 표준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표준 통신 모듈 이외에도 다양한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DRM 처리부(220)는, 상기 스트리밍 서버(100)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데이터의 DRM을 해제(디코딩)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상기 통신부(210)가 상기 스트리밍 서버(100)로부터 수신하는 영상 데이터들이 DRM 패키징 된 상태로 전달되므로, 이러한 DRM 처리부(220)의 해제(디코딩) 동작이 수행되어야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200)상에서 재생될 수 있다.
상기 스트리밍 처리부(230)는, 영상 데이터의 스트리밍 동작을 총괄적으로 관리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트리밍 처리부(230)는, 상기 통신부(210)를 통해 전달되고 상기 DRM 처리부(220)를 통해 디코딩된 영상 데이터들이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200)상에서 실시간으로 재생되도록 하는 동작을 관리한다. 이 경우, 상기 스트리밍 처리부(23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 영상 처리 프로세스 등을 함께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240)는,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동작과 관련된 다양한 데이터들이 저장되는 구성이다. 예를 들어, 상기 저장부(240)에는, 상기 통신부(210)를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 DRM 해제(디코딩)을 수행하기 위한 기초 데이터, 스트리밍 서비스의 UI 환경을 구현하기 위한 데이터 등 다양한 데이터들이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저장부(240)는 다양한 메모리 소자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통신부(210), 상기 DRM 처리부(220), 상기 스트리밍 처리부(230), 상기 저장부(240)의 동작을 포함하는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다양한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상기 제어부(250)는, 적어도 하나의 연산 장치를 포함할 수 있는데, 여기서 상기 연산 장치는 범용적인 중앙연산장치(CPU), 특정 목적에 적합하게 구현된 프로그래머블 디바이스 소자(CPLD, FPGA), 주문형 반도체 연산장치(ASIC) 또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칩일 수 있다.
이상에서 살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는, 카테고리는 상이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영상 관리 방법'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술적 특징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영상 관리 방법'과 관련하여 상술한 특징들은,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에도 유추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의 예시적인 구성을 살펴본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는, 촬영 현장에서 영화 또는 방송용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스트리밍 서버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스트리밍 서버에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본 동작을 전체로, 대표적으로 3가지의 Type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8 내지 도 10과 같은 3가지 Type의 구성부들을 포함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는,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는 다양한 전자 장치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2 이상의 전자 장치가 결합 된 형태로도 구현될 수도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300)의 예시적인 구성을 살펴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300)는,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한 통신부(310), 원본 영상 데이터를 제1영상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하는 제1영상 처리부(320), 상기 제1영상 데이터를 제2영상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하는 제2영상 처리부(330), 상기 영상 처리 장치의 동작과 관련된 데이터들이 저장되는 저장부(340), 상기 영상 처리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310)는, 다른 전자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러한 상기 통신부(310)는, 촬영 현장에 설치된 카메라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거나, 촬영 현장에 설치된 카메라로부터 촬영 영상을 전달받는 중계 장치 또는 매개 장치와 연결될 수 있으며, 이러한 연결을 통해 원본 영상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310)는, 스트리밍 서버(100)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만을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이러한 연결을 통해 상기 스트리밍 서버(100)에 변환된 영상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통신부(310)는, 다양한 유선 통신 모듈 또는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다양한 무선 또는 유선 통신 규격을 통해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통신부(310)는, ITU, IEEE, ISO, IEC 등에서 규정하는 다양한 표준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표준 통신 모듈 이외에도 다양한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영상 처리부(320)는, 원본 영상 데이터를 멀티미디어 플레이어를 통해 재생될 수 있는 포맷으로 변환하는 동작을 수행하며, 이를 통해 제1영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여기서 상기 제1영상 데이터는, 멀티미디어 플레이어를 통해 재생이 가능한 고화질의 영상 데이터 포맷으로써, 바람직하게는 고화질의 압축 코덱 Prores422 혹은 DNxHd의 QuickTime 영상 데이터일 수 있다.
상기 제2영상 처리부(330)는, 상기 제1영상 데이터를 웹 스트리밍이 가능하고 DRM 패키징이 가능하며, 저용량(저화질)인 포맷으로 변환하는 동작을 수행하며, 이를 통해 제2영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여기서 상기 제2영상 데이터는, 바람직하게는 Mpeg-ts 포맷의 영상 데이터일 수 있다.
상기 저장부(340)는, 상기 영상 처리 장치(300)의 동작과 관련된 다양한 데이터들이 저장되는 구성이다. 예를 들어, 상기 저장부(340)에는, 상기 통신부(310)를 통해 수신되는 원본 영상 데이터, 제1영상 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데이터, 제2영상 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데이터, 변환된 영상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저장부(340)는 다양한 메모리 소자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50)는, 상기 통신부(310), 상기 제1영상 처리부(320), 상기 제2영상 처리부(330), 상기 저장부(340)의 동작을 포함하는 상기 영상 처리 장치(300)의 다양한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상기 제어부(350)는, 적어도 하나의 연산 장치를 포함할 수 있는데, 여기서 상기 연산 장치는 범용적인 중앙연산장치(CPU), 특정 목적에 적합하게 구현된 프로그래머블 디바이스 소자(CPLD, FPGA), 주문형 반도체 연산장치(ASIC) 또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칩일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400)의 예시적인 구성을 살펴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400)는,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한 통신부(410), 원본 영상 데이터를 보정 하여 제3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3영상 처리부(420), 상기 영상 처리 장치의 동작과 관련된 데이터들이 저장되는 저장부(430), 상기 영상 처리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4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410)는, 다른 전자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구성으로써, 상기 스트리밍 서버(100)에 보정된 제3영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통신부(31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제3영상 처리부(420)는, 원본 영상 데이터를 보정 하여 제3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구성이다. 여기서 상기 제3영상 처리부(420)가 수행하는 보정은, 바람직하게는 색 보정 처리일 수 있으며, 다빈치 리졸브, 스크래치, 베이스 라이트 등의 영상 처리 방식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영상 처리부(420)가 생성하는 제3영상 데이터는, 실제 영상이 영화 또는 방송에서 서비스될 때의 품질을 판단할 수 있을 정도의 고화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저장부(430)는, 상기 영상 처리 장치(400)의 동작과 관련된 다양한 데이터들이 저장되는 구성이다. 예를 들어, 상기 저장부(430)에는, 상기 통신부(410)를 통해 수신되는 원본 영상 데이터, 보정 처리를 위한 데이터, 보정된 영상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저장부(430)는 다양한 메모리 소자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440)는, 상기 통신부(410), 상기 제3영상 처리부(420), 상기 저장부(430)의 동작을 포함하는 상기 영상 처리 장치(400)의 다양한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상기 제어부(440)는, 적어도 하나의 연산 장치를 포함할 수 있는데, 여기서 상기 연산 장치는 범용적인 중앙연산장치(CPU), 특정 목적에 적합하게 구현된 프로그래머블 디바이스 소자(CPLD, FPGA), 주문형 반도체 연산장치(ASIC) 또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칩일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500)는, 다른 전자 장치들과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부(510), 원본 영상 데이터를 변환하여 제1영상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제1영상 처리부(520), 상기 제1영상 데이터를 변화하여 제2영상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제2영상 처리부(530), 원본 영상 데이터를 보정 하여 제3영상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제3영상 처리부(540), 상기 영상 처리 장치의 동작과 관련된 다양한 데이터들을 저장하는 저장부(550), 상기 영상 처리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56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500)는, 위에서 살펴본 영상 처리 장치들(300, 400)의 동작을 통합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장치이다. 예를 들어, 상기 영상 처리 장치(500)는, 동작 모드에 따라 상기 제1영상 데이터, 제2영상 데이터 또는 상기 제3영상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제1영상 데이터 또는 제3영상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생성하여 상기 스트리밍 서버에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영상 처리 장치(500)가 포함하는, 상기 통신부(510), 상기 제1영상 처리부(520), 상기 제2영상 처리부(530), 상기 제3영상 처리부(540), 상기 저장부(550) 등의 구성들은, 위에서 살펴본 영상 처리 장치들(300, 400)의 구성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동작을 수행하며, 다만 상기 제어부(560)에 의해 각 모드 별로 제어될 뿐이다. 예를 들어, 단순 모니터링 모드에서는 상기 제어부(560)에 의해 상기 제1영상 처리부(520) 및 상기 제2영상 처리부(530)가 동작 되고, 영상 컨펌 모드에서는 상기 제어부(560)에 의해 상기 제3영상 처리부(540)가 동작 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핀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는, 카테고리는 상이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영상 관리 방법'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술적 특징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영상 관리 방법'과 관련하여 상술한 특징들은, 상기 '영상 처리 장치'에도 유추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촬영 영상의 스트리밍 방법'을 살펴본다.
본 발명에 따른 '촬영 영상의 스트리밍 방법'은, 촬영 현장에서 영화 또는 방송용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뒤에 변환 또는 보정되고, 스트리밍 서버에 의해 DRM 패키징된 영상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 장치가 스트리밍 받는 단계(a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a 단계 이후에는,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가 스트리밍 되는 영상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단계(b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b 단계 이후에는,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가 디코딩된 영상을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단계(c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핀 본 발명에 따른 '촬영 영상의 스트리밍 방법'은, 카테고리는 상이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영상 관리 방법'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술적 특징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영상 관리 방법'과 관련하여 상술한 특징들은, 상기 '촬영 영상의 스트리밍 방법'에도 유추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 살핀 본 발명에 따른 '촬영 영상의 스트리밍 방법'은, 프로그램의 형태로 구현된 뒤에 전자 장치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거나, 프로그램 다운로드 관리 장치(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서버 등)를 통해 배포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며, 이들에 의하여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 대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을 가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수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 스트리밍 서버 110 : 통신부
120 : DRM 관리부 130 : 스트리밍 관리부
140 : 저장부 150 : 제어부
200 : 사용자 단말 장치 210 : 통신부
220 : DRM 처리부 230 : 스트리밍 처리부
240 : 저장부 250 : 제어부
300, 400, 500 : 영상 처리 장치
310, 410, 510 : 통신부
320, 520 : 제1영상 처리부
330, 530 : 제2영상 처리부
420, 540 : 제3영상 처리부
340, 430, 550 : 저장부
350, 440, 560 : 제어부

Claims (14)

  1. (a) 촬영 현장에서 영화 또는 방송용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 데이터가 변환(Conversion) 또는 보정(Correction)되는 단계;
    (b) 변환 또는 보정된 영상 데이터가 스트리밍(Streaming) 서버에 전달되는 단계; 및
    (c) 상기 스트리밍 서버가 사용자 단말 장치에 상기 영상 데이터를 스트리밍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스트리밍 서버는,
    모니터링(Monitoring) 모드 또는 영상 컨펌(Confirm) 모드로 동작하고,
    상기 모니터링 모드에서, 원본 영상 데이터가 변환된 제2영상 데이터를 전달받고,
    상기 영상 컨펌 모드에서, 원본 영상 데이터가 보정된 제3영상 데이터를 전달받으며, 상기 제2영상 데이터는 상기 제3영상 데이터보다 더 저화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관리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촬영 현장에서 촬영된 원본 영상 데이터가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에서 재생이 가능한 제1영상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되는 단계; 및
    상기 제1영상 데이터가 스트리밍이 가능한 제2영상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관리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원본 영상 데이터는, r3d, ari, mxf, DNG 또는 RMF 포맷의 영상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관리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상 데이터는, Prores422 또는 DNxHD 포맷의 영상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관리 방법.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영상 데이터는, Mpeg-ts 포맷의 영상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관리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촬영 현장에서 촬영된 원본 영상 데이터가 보정되고 제3영상 데이터가 생성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관리 방법.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변환 또는 보정된 영상 데이터가 상기 스트리밍 서버에 전달되는 단계;
    상기 스트리밍 서버가 변환 또는 보정된 데이터에 대해 DRM(Digital Right Management) 패키징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스트리밍 서버가 DRM 패키징된 데이터를 프로젝트 계정별, 일자별 또는 씬(Scene)별로 분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관리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스트리밍 서버는, 사용자 단말 장치에 DRM 패키징 된 영상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서비스를 구현하거나, 또는 사용자 단말 장치의 요청에 따라 프로젝트 계정별, 일자별 또는 씬(Scene)별 영상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관리 방법.
  10. 촬영 현장에서 영화 또는 방송용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변환(Conversion)하거나 또는 상기 영상 데이터를 보정(Correction) 하는 영상 처리 장치; 및
    상기 영상 처리 장치가 변환 또는 보정 한 영상 데이터를 전달받고, 전달받은 영상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 장치에 스트리밍하는 스트리밍 서버;
    를 포함하고,
    상기 스트리밍 서버는,
    모니터링(Monitoring) 모드 또는 영상 컨펌(Confirm) 모드로 동작하고,
    상기 모니터링 모드에서, 원본 영상 데이터가 변환된 제2영상 데이터를 전달받고,
    상기 영상 컨펌 모드에서, 원본 영상 데이터가 보정된 제3영상 데이터를 전달받으며, 상기 제2영상 데이터는 상기 제3영상 데이터보다 더 저화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관리 시스템.
  11. 촬영 현장에서 영화 또는 방송용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멀티미디어 플레이어를 통해 재생될 수 있는 제1영상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하는 제1영상 처리부;
    상기 제1영상 데이터를 스트리밍이 가능한 제2영상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하는 제2영상 처리부;
    영화 또는 방송용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색 보정 하여 제3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3영상 처리부; 및
    상기 제2영상 데이터 또는 제3영상 데이터를 스트리밍 서버에 전송하기 위한 통신부;
    를 포함하고,
    상기 스트리밍 서버는,
    모니터링(Monitoring) 모드 또는 영상 컨펌(Confirm) 모드로 동작하고,
    상기 모니터링 모드에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스트리밍 서버에 원본 영상 데이터가 변환된 제2영상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영상 컨펌 모드에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스트리밍 서버에 원본 영상 데이터가 보정된 제3영상 데이터를 전송하며,
    상기 제2영상 데이터는 상기 제3영상 데이터보다 더 저화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처리 장치.
  12. 삭제
  13. 촬영 현장에서 영화 또는 방송용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 데이터가 변환 또는 보정된 뒤에, 변환 또는 보정된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하는 영상 데이터에 대해 DRM 패키징을 수행하는 DRM 관리부; 및
    사용자 단말 장치에 영상 데이터를 스트리밍 시키는 스트리밍 관리부;
    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는,
    모니터링 모드 시, 원본 영상 데이터가 변환된 제2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영상 컨펌 모드 시, 원본 영상 데이터가 보정된 제3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며, 상기 제2영상 데이터는 상기 제3영상 데이터보다 더 저화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리밍 서버.
  14. 촬영 현장에서 영화 또는 방송용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뒤에 변환 또는 보정되고, 스트리밍 서버에 의해 DRM 패키징된 영상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 장치가 스트리밍 받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가 스트리밍 되는 영상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가 디코딩된 영상을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가 스트리밍 받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스트리밍 서버는,
    모니터링(Monitoring) 모드 또는 영상 컨펌(Confirm) 모드로 동작하며,
    상기 모니터링 모드에서, 상기 스트리밍 서버는 원본 영상 데이터가 변환된 제2영상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영상 컨펌 모드에서, 상기 스트리밍 서버는 원본 영상 데이터가 보정된 제3영상 데이터를 전송하며,
    상기 제2영상 데이터는 상기 제3영상 데이터보다 더 저화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영상의 스트리밍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가능한 형태로 제공하는 프로그램 제공 서버.
KR1020140112471A 2014-08-27 2014-08-27 영화 또는 방송의 촬영 현장에서 촬영되는 영상을 관리하는 영상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16091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2471A KR101609145B1 (ko) 2014-08-27 2014-08-27 영화 또는 방송의 촬영 현장에서 촬영되는 영상을 관리하는 영상 관리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2471A KR101609145B1 (ko) 2014-08-27 2014-08-27 영화 또는 방송의 촬영 현장에서 촬영되는 영상을 관리하는 영상 관리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5696A KR20160025696A (ko) 2016-03-09
KR101609145B1 true KR101609145B1 (ko) 2016-04-06

Family

ID=55536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2471A KR101609145B1 (ko) 2014-08-27 2014-08-27 영화 또는 방송의 촬영 현장에서 촬영되는 영상을 관리하는 영상 관리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914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47288A (ja) 2011-01-13 2012-08-02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放送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6905A (ko) 2003-02-27 2004-09-0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단말기로 촬영한 영상의 저장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47288A (ja) 2011-01-13 2012-08-02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放送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5696A (ko) 2016-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58697B2 (en) Approach to live multi-camera streaming of events with hand-held cameras
US10123070B2 (en) Method and system for central utilization of remotely generated large media data streams despite network bandwidth limitations
US10698864B2 (en) Auxiliary manifest file to provide timed metadata
US9462307B2 (en) ABR live to VOD system and method
EP3213519B1 (en) Video stream synchronization
US978805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video transmission and storage
US10951700B2 (en) Synchronizing data between personal and timecode devices
CA3210903A1 (en) Embedded appliance for multimedia capture
EP3157240A1 (en) Synchronizing data between personal and timecode devices
US11778267B2 (en) Multi-mode conversion of multiple video streams
US10602030B2 (en) Synchronizing data between personal and timecode devices
US10979765B2 (en) Issue reporting by a receiving device
US20130120570A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prioritising content for distribution
US1071583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localized management of video data
CN113473165A (zh) 直播控制系统、直播控制方法、装置、介质与设备
KR101609145B1 (ko) 영화 또는 방송의 촬영 현장에서 촬영되는 영상을 관리하는 영상 관리 방법 및 시스템
CN115361495B (zh) 实时拍摄信息的传输方法、管理方法、装置及系统
EP3364571A1 (en) Receiving device, transmitting device, and data processing method
KR101547013B1 (ko) 시나리오 기반 컨텐츠 제작 관리 방법 및 시스템
WO2017193760A1 (zh) 内容发布方法、装置和系统以及内容分布式网络系统
WO2008078854A1 (en) Procedure for personal video recording service considering for the available storage of the mobile device in mobile iptv environment
US20190158893A1 (en) Video Content Integr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CN113727183A (zh) 直播推流方法、装置、设备、存储介质及计算机程序产品
AU2016225817A1 (en) Embedded appliance for multimedia cap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