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8197B1 - System for recycling rain of building roof - Google Patents
System for recycling rain of building roof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08197B1 KR101608197B1 KR1020150157430A KR20150157430A KR101608197B1 KR 101608197 B1 KR101608197 B1 KR 101608197B1 KR 1020150157430 A KR1020150157430 A KR 1020150157430A KR 20150157430 A KR20150157430 A KR 20150157430A KR 101608197 B1 KR101608197 B1 KR 10160819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ainwater
- pipe
- water
- drain hole
- drai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4064 recycling Method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13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3
- 239000008213 purified wat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9000003463 adsorbe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9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0356 contamin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086 pum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344 environmental pollu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7717 exclu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1100000719 pollutant Toxicity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3049 sedi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725 suspen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41000190070 Sarracenia purpure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74 ascen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73 ground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813 municipal solid was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647 oxi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254 oxi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44 precipit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56 precipi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12 sanit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43 solid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54 steril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792 war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51 waste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02—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rain-water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00—Methods or layout of installations for water supply
- E03B1/04—Methods or layout of installations for water supply for domestic or like local supply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02—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rain-water
- E03B3/03—Special vessels for collecting or storing rain-water for use in the household, e.g. water-butt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00—Methods or layout of installations for water supply
- E03B1/04—Methods or layout of installations for water supply for domestic or like local supply
- E03B1/041—Greywater supply systems
- E03B2001/047—Greywater supply systems using rainwater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08—Rainwater harves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 지붕 빗물 재활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건축물에 소형화를 통해 간단하게 적용되어 지붕의 빗물을 유도 배수하며 이 과정에서 오염농도가 높은 초기 빗물을 간단한 방법으로 분리하여 정화수를 생활용수(화장실용수 등)로 급수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건축 지붕 빗물 재활용 시스템은, 건축물의 지붕과 연결되며 상기 건축물의 벽면을 따라 배관되어 상기 지붕의 빗물을 유도 배수하는 배수관(10)과; 상기 배수관(10)의 저부에 장착되며 초기 빗물을 집수하는 초기빗물 집수통(20)과; 내부가 격벽을 통해 정화부와 급수부로 구획되는 밀폐형의 통 구조로서 상기 건축물의 내부 또는 외부에 갖추어지며 상기 정화부가 연결관(31)을 통해 상기 배수관(10)과 연결되어 상기 배수관(10)을 통해 유도 배수되는 빗물을 상기 정화부의 흡착제를 통해 정화한 후 상기 급수부에서 저장하는 집수탱크(30)와; 상기 초기빗물 집수통(20)에 일정량의 초기 빗물이 집수되면 상기 배수관(10)과 상기 집수탱크(30)의 연결관(31)을 연결하는 한편 상기 초기빗물 집수통(20)의 입구를 폐쇄하여 빗물을 상기 집수탱크(30)로 유도하는 밸브수단(40)을 포함하며, 상기 배수관(10)은 저부에 상기 초기빗물 집수통(20)과 연통하는 제1배수홀(11)이 하부를 향해 개방 형성되는 한편, 저부의 단부로부터 상부로 이격되는 둘레부에는 상기 연결관(31)과 연통하는 제2배수홀(12)이 측방향을 향해 개방 형성되고, 상기 초기빗물 집수통(20)은 상부가 개방되면서 저부에 드레인홀(24)이 구비된 통 구조로서 상기 배수관(10)에 승강 가능하게 연결되며 평상시 상기 제2배수홀(12)을 폐쇄하는 한편 일정량의 초기 빗물이 저장되면 하강에 의해 상기 제2배수홀(12)을 개방하는 집수통 본체(21), 상기 집수통 본체(21)와 배수관(10)에 설치되어 상기 집수통 본체(21)를 상기 제2배수홀(12)의 폐쇄 방향으로 탄력 지지하는 개폐로드(42)를 포함하며, 상기 밸브수단(40)은 일면에 빗물의 원활한 유도를 위하여 경사부가 구비된 판재로서 상기 배수관(10)의 내부에 저부가 회전되도록 장착되며 평상시 상기 제2배수홀(12)을 폐쇄하는 개폐판(41), 상기 개폐판(41)과 상기 집수통 본체(21)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집수통 본체(21)의 하강시 상기 개폐판(41)을 회전시켜 상기 제2배수홀(12)을 개방하는 한편 상기 제1배수홀(11)을 폐쇄하는 개폐로드(42)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ilding roof rainwater recycling system, which can be simply applied to a building through miniaturization to induce drainage of roof rainwater. In this process, early rainwater having a high pollution concentration is separated by a simple method, Etc.) for the purpose of watering.
The rainwater recycling system for building ro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drain pipe (10) connected to a roof of a building and piped along a wall surface of the building to induce and drain rainwater of the roof; An initial rainwater collection container 20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water discharge pipe 10 and collecting initial rainwater; And the purified water is connected to the drain pipe (10) through the connection pipe (31), and the drain pipe (10) is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building A water collecting tank (30) for purifying the rainwater introduced and drained through the adsorbent of the purifying unit and storing the water in the water supplying unit; When a predetermined amount of initial rainwater is collected in the initial rainwater cistern 20, the connection pipe 31 between the water pipe 10 and the catchment tank 30 is connected, and the inlet of the initial rainwater cistern 20 is closed And a valve means 40 for guiding rainwater to the catchment tank 30. The drainage pipe 10 has a first drain hole 11 communicating with the initial rainwater catcher 20 at a bottom portion thereof, And a second drain hole (12) communicating with the connection pipe (31) is formed in the peripheral portion spaced upwardly from the end of the bottom portion to open laterally, and the initial rainwater collection container (20) A drainage hole 24 is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upper part of the drainage pipe 10 and is connected to the drainage pipe 10 so as to be able to ascend and descend. Normally, the second drainage hole 12 is closed, and when a predetermined amount of rainwater is stored, (21) for opening said second drain hole (12) by means of said drain hole And an opening and closing rod 42 installed on the main body 21 and the drain pipe 10 to elastically support the main body 21 in the closing direction of the second drain hole 12. The valve means 40, Closing plate (41) which is mounted on the inside of the drain pipe (10) so as to rotate at the bottom and closes the second drain hole (12) And the second drain hole 12 is opened while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41 is rotated when the water collecting container main body 21 is lowered while being rotatably connected to the water collecting container main body 21, And an opening / closing rod (42) for closing the first drain hole (11).
Description
본 발명은 빗물을 생활용수로 급수하기 위한 것으로, 건축물에 소형화를 통해 간단하게 적용되어 지붕의 빗물을 유도 배수하며 이 과정에서 오염농도가 높은 초기 빗물을 간단한 방법으로 분리하여 정화수를 생활용수(화장실용수 등)로 급수하는 건축 지붕 빗물 재활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supplying rainwater to living water, which is applied to a building through miniaturization to induce drainage of roof water. In this process, initial rainwater having a high concentration of pollutants is separated by a simple method, Etc.) to the construction roof rainwater recycling system
최근에 들어 전 세계적으로 환경에 대한 중요성과 관심도가 높아져 가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물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으나 기상 이변 및 지구온난화현상 등으로 안정적 수원확보가 어려울 뿐 더러 산업이 고도 성장됨에 따라 발생되는 오폐수 및 생활하수로 수질이 심각하게 오염되어 가고 있고, 또한 지하수가 고갈되어 가는 물 부족 현상을 볼 수 있다.In recent years, the importance and interest of the environment has been increasing worldwide. In particular, the importance of water has been emphasized. However, it is difficult to secure a stable water source due to unusual weather and global warming phenomenon. Also, the water quality is seriously polluted by wastewater and domestic sewage caused by the high growth of industry, Water shortage phenomenon can be seen.
그럼에도 현재 천연자원인 빗물을 하천이나 호수, 강, 또는 바다로 그냥 흘려보내는 것은 너무 아까운 현실이다. 따라서 비교적 빗물을 집수하기 쉽고 오염이 없는 빗물을 이용하기 위해, 빗물이 지상에 떨어져 흙, 먼지 등 오염 물질과 접하기 전에 건축물의 지붕에서 만이라도 집수하여 화장실 등 허드렛물, 조경수로 활용함으로써 물자원의 지속 가능한 이용을 도모하고, 국민의 삶의 질을 높이게 하는 것은 물론 물 부족 국가로 분리된 우리에게 물 부족으로 인한 문제를 해결하는데 조금이나마 일조 하려는데 그 배경이 있다.Nevertheless, it is a real waste of time to pour rainwater, which is a natural resource, into rivers, lakes, rivers or the sea. Therefore, in order to use rainwater which is relatively easy to collect rainwater and to use pollution-free rainwater, the rainwater falls on the ground and collects only from the roof of the building before contacting with contaminants such as dust and dust. We are trying to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life of the people and to solve the problems caused by water shortage.
그러나 건축물의 지붕에서 빗물을 집수하여 활용하려면 빗물을 집수 할 수 있는 빗물 집수조 설비와 집수한 물을 저수할 수 있는 저류조 설비가 필요하다.However, in order to collect and use rainwater from the roof of a building, it is necessary to construct a rainwater collecting facility capable of collecting rainwater and a storage facility capable of storing the collected water.
집수조 설비를 갖추려면 우천 초기에 발생되는 현상으로 지붕면에 쌓여 있던 비행성 이물질이 빗물과 함께 집수되고, 대기 중에 분포되어 있던 미세먼지 등의 오염물질들이 비와 섞여 낙하 하면서 지붕 표면에 쌓여 있던 비산먼지 등 오염 물질을 함께 씻어 흐르게 되므로 빗물은 더러워진 상태로 된 현탁액이 유입하게 된다. 따라서 집수조 설비에는 비행성 이물질을 제거하는 설비와 현탁액을 처리하는 설비가 꼭 필요하다.In order to equip the water collecting facility, the airborne foreign matter accumulated on the roof surface was collected together with the rainwater, and the pollutants such as the fine dust distributed in the air dropped on the roof surface due to the falling rain mixed with the rain Dust and other pollutants are washed together to flow the rainwater into the soiled state suspension. Therefore, facilities for removing airborne contaminants and equipment for treating suspensions are essential to the water tank.
저수조 설비는 우천 시에만 물을 집수할 수 있는 특수성이 있기 때문에 단시간 내에 한꺼번에 내리는 물을 저장할 수 있는 일정크기와 저장기간을 정해야 하며 경제성을 고려해야 한다.Because the water tank facility has the special ability to collect water only in case of rainy weather, it is necessary to set a certain size and storage period for storing the water that falls at once within a short time, and consider economical efficiency.
또한 일정기간 동안 물을 저장하는 데에는 물의 변질이 없어야 하고, 청정을 유지해야 한다. 따라서 저류조 설비는 균등집수와 퇴적물 유출이 방지 되어야 하고, 물의 사(死)구역을 없애며, 바닥면에 쌓이는 퇴적물을 신속히 제거하여 퇴적물이 부패되는 일이 없도록 설비로 갖추어야 한다.In addition, water storag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should be free from deterioration of water and should be kept clean. Therefore, the storage facility should be equipped with equipments to prevent collecting and discharging of sediments, eliminating dead zones of water, and removing sediments on the floor quickly so that sediments are not corrupted.
특허문헌(등록특허 제10-1217165호)은 빗물유입부와; 상기 빗물유입부로부터 유입된 초기 빗물 중에 포함된 각종 쓰레기, 입자가 큰 협잡물, 비중이 큰 토사류 및 고형물류와 같은 오염물질을 무동력으로 계속(연속) 순환시켜 1차 정화처리(분리침전)시키고 빠르게 처리수를 유출하도록 무동력의 초기빗물배제수단을 포함한 초기빗물배제장치와; 상기 초기빗물배제장치를 통해 유출된 빗물의 2차 정화(여과)처리하기 위하여 하이브리드여과수단을 구비한 자연유하식 하이브리드여과장치와; 상기 자연유하식 하이브리드여과지장치 내에 침전된 침전물과 하이브리드여과지에 억류된 오염물질을 세척하기 위해 구성된 역세척수배출수단을 구비한 역세척수배출장치와; 상기 자연유하식 하이브리드여과장치에서 정화(여과)된 처리수를 저장, 저류 및 공급을 위하여 저장저류공급수단을 포함한 저장저류조와: 상기 저장저류조에 저장저류된 빗물을 3차 정화(살균)처리하는 고도산화방식(AOP)의 부유식물정화수단을 포함하는 부유식물정화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초기빗물배제장치를 이용한 자연유하식 빗물처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무동력 초기빗물배제수단은 강우초기에 빗물에 혼입된 오염물질을 무동력으로 계속(연속) 순환시켜 분리침전 시키고 상징수를 유출할 수 있도록, 초기빗물배제장치의 내부 전단에 수직형과 경사형의 순환유도판(baffle)으로 구성된 순환공간부와, 후단에 부표(float), 부표유도관 및 연속빗물유출배관으로 형성된 연속빗물유출공간부와, 하부에 메쉬망, 초기빗물배제관 및 밸브, 침전부로 구성되어 있는 무동력 초기빗물 배제장치를 이용한 자연유하식 빗물처리시스템으로서, 공동주택 등의 건축물에 적용할 수 없다.The patent document (registered patent No. 10-1217165) includes a rainwater inflow section; (Continuous precipitation) by continuously circulating (continuously) the contaminants such as various kinds of trash, large-sized contaminants, heavy soil and solid materials contained in the initial rainwater inflowed from the rainwater inflow section, An initial rainwater exclusion device including an initial rainwater exclusion means of non-motive force for discharging treated water; A natural descent hybrid filtration apparatus having a hybrid filtration means for a second purification (filtration) treatment of the rainwater flowing out through the initial rainwater rejection apparatus; A backwash water discharging device having a backwash water discharging means configured to clean the precipitate settled in the natural downfalling hybrid filter paper device and the contaminant trapped in the hybrid filter paper; A storage tank including a storage tank for storing, storing, and supplying purified water filtered and filtered in the natural-drop type hybrid filtration apparatus; and a third tank for sterilizing (sanitizing) the rainwater stored in the storage tank And a floating plant purifying device including a floating plant purifying means of a high altitude oxidation method (AOP), characterized in that the non-motive initial rainwater exclusion means comprises rainfall- It is composed of vertical and inclined circulation baffles on the inner front of the initial rainwater drainage system so that the contaminants mixed in the rainwater can be continuously circulated continuously (continuously) A continuous rainwater outflow space formed by a circulation space part, a float at a rear end, a buoy guide pipe and a continuous rainwater outflow pipe, a mesh net at the bottom, And rainwater drainage system using a non-motive initial rainwater drainage system composed of a valve and a settling section, and can not be applied to buildings such as apartment houses.
특허문헌(등록특허 제10-0913787호)은 하면이 중심부로부터 양끝단까지 점차적으로 하향되는 기울기를 갖고 그 양끝단에 관통홀이 형성되어 건축물 지붕을 따라 설치되는 복수개의 빗물받이부와; 상기 빗물받이부의 관통홀에 수직하게 설치되어 빗물을 지상까지 유도하는 제1 유도파이프와, 지상으로 유도된 빗물을 지하로 유도하도록 제1 유도파이프로부터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2 유도파이프로 이루어진 유도파이프와; 상기 제2 유도파이프의 끝단이 상부에 배치되어 빗물이 저장되도록 지하로 설치되되, 하면에는 대각방향으로 복수개의 끼움홈이 형성되고 측면에는 그 끼움홈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속되는 체결홈이 형성된 콘크리트박스와; 상기 끼움홈 및 체결홈에 X자 형상으로 설치되는 복수개의 사각프레임과, 복수개의 그물망과 이 그물망 사이에 로프로 고정되는 직물망으로 이루어져 상기 사각프레임 상하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삽입홀과 양측부에 형성된 가이드홈을 통해 설치되는 여과망으로 구성된 여과부와; 상기 여과부를 거쳐 여과된 빗물이 상기 콘크리트박스 내 일정수위에 도달하는 것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신호에 따라 상기 콘크리트박스 내 물을 펌핑하기 위한 펌핑부와; 상기 펌핑부를 통해 유도된 물이 저장되고, 상기 펌핑부를 통해 유도된 물이 저장되고, 솔라셀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는 열선이 내측에 설치된 저장탱크;로 구성되되, 상기 저장탱크의 상부에는 내부의 물을 태양열로 가열하기 위한 볼록렌즈가 설치되고, 상기 여과부 사이의 공간에서는 수생식물이 재배되는 것이며, 비점오염원의 선정화가 이루어지지 않아 정화(여과) 구성이 복잡하고 공동주택 등의 건축물에 소규모로 적용하기 어렵다.Patent Document 10-0913787 discloses a rainwater collecting apparatus including a plurality of rainwater collecting units having slopes whose lower surface is gradually downwardly inclined from the center to both ends thereof and having through holes at both ends thereof to be installed along the roof of the building; A guide pipe provided perpendicularly to the through hole of the rainwater receiver to guide the rainwater to the ground and a second guide pipe extending obliquely from the first guide pipe to guide the groundwater to the ground, ; A plurality of fitting grooves are formed in a lower surface of the lower guide pipe so that the rainwater is stor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induction pip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guide pipe is vertically continuous from the fitting groove, ; A plurality of square net frames provided in the fitting grooves and the fastening grooves in an X shape, a plurality of net meshes and a cloth net fixed between the net meshes by a rope, the insertion hole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square frame, A filtration unit comprising a filter net installed through a guide groove formed in the filter unit; A sensing unit for sensing that the rainwater filtered through the filtering unit reaches a certain level in the concrete box; A pumping unit for pumping water in the concrete box according to a signal sensed by the sensing unit; And a storage tank in which water led through the pumping unit is stored, water led through the pumping unit is stored, and heat rays supplied through the solar cell are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storage tank, A convex lens for heating the water to the solar heat is installed, aquatic plants are grown in the space between the filtration units, the selection of nonpoint pollution sources is not made, the purification (filtration) structure is complicated, .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건축물에 소형화를 통해 간단하게 적용되어 지붕의 빗물을 유도 배수하며 이 과정에서 오염농도가 높은 초기 빗물을 간단한 방법으로 분리하여 정화수를 생활용수(화장실용수 등)로 급수하는 건축 지붕 빗물 재활용 시스템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ainwater- Toilet water, etc.) for the construction roof rainwater recycling system.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건축물에 소형화를 통해 간단하게 적용되어 지붕의 빗물을 유도 배수하며 이 과정에서 오염농도가 높은 초기 빗물을 간단한 방법으로 분리하여 정화수를 생활용수(화장실용수 등)로 급수하는 건축 지붕 빗물 재활용 시스템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ainwater- Toilet water, etc.) for the construction roof rainwater recycling system.
본 발명에 의한 건축 지붕 빗물 재활용 시스템에 의하면, 배수관(10)을 통해 지붕으로부터 빗물을 유도 배수하여 빗물로 인한 지붕의 침수와 누수를 방지하며 이 과정에서 오염농도가 높은 초기 빗물을 초기빗물 집수통(20)을 통해 분리하여 오염도가 낮은 빗물만을 재사용하도록 급수함으로써 저렴한 비용으로 운용이 가능하고 결과적으로 대형은 물론 소형의 건축물에서도 적용성이 좋아 빗물 재활용 시스템의 보급을 확대함으로써 물 고갈 현상으로 인한 어려움을 극복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roof rainwater recycl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ainwater is guided and drained from the roof through the drain pipe (10) to prevent flooding and leakage of the roof due to rainwater. In this process, the initial rainwater, It is possible to operate at a low cost by supplying water to reuse only low-pollution rainwater separated by the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건축 지붕 빗물 재활용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건축 지붕 빗물 재활용 시스템에 적용된 배수관(10)과 밸브수단(40) 및 초기빗물 집수통(20)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건축 지붕 빗물 재활용 시스템의 작동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건축 지붕 빗물 재활용 시스템의 다른 예시도.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general view of a rainwater recycling system for building ro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3 is an operational view of a building roof rainwater recycl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other example of a building roof rainwater recycl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The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are to be interpreted in accordance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the inventor can proper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explain his invention in the best way. It must be interpreted in terms of meaning and concept.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생수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mere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even water and variation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인 도 1 내지 도 4에 따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아하, 도 1 내지 도 4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건축 지붕 빗물 재활용 시스템은, As shown in FIGS. 1 to 4, a building roof rainwater recycl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건축물의 지붕과 연결되며 상기 건축물의 벽면을 따라 배관되어 상기 지붕의 빗물을 유도 배수하는 배수관(10)과;A drain pipe (10) connected to the roof of the building and piped along the wall of the building to induce and drain the rainwater of the roof;
상기 배수관(10)의 저부에 장착되며 초기 빗물을 집수하는 초기빗물 집수통(20)과;An initial
내부가 격벽을 통해 정화부와 급수부로 구획되는 밀폐형의 통 구조로서 상기 건축물의 내부 또는 외부에 갖추어지며 상기 정화부가 연결관(31)을 통해 상기 배수관(10)과 연결되어 상기 배수관(10)을 통해 유도 배수되는 빗물을 상기 정화부의 흡착제를 통해 정화한 후 상기 급수부에서 저장하는 집수탱크(30)와;And the purified water is connected to the drain pipe (10) through the connection pipe (31), and the drain pipe (10) is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building A water collecting tank (30) for purifying the rainwater introduced and drained through the adsorbent of the purifying unit and storing the water in the water supplying unit;
상기 초기빗물 집수통(20)에 일정량의 초기 빗물이 집수되면 상기 배수관(10)과 상기 집수탱크(30)의 연결관(31)을 연결하는 한편 상기 초기빗물 집수통(20)의 입구를 폐쇄하여 빗물을 상기 집수탱크(30)로 유도하는 밸브수단(40)을 포함하며,When a predetermined amount of initial rainwater is collected in the
상기 배수관(10)은 저부에 상기 초기빗물 집수통(20)과 연통하는 제1배수홀(11)이 하부를 향해 개방 형성되는 한편, 저부의 단부로부터 상부로 이격되는 둘레부에는 상기 연결관(31)과 연통하는 제2배수홀(12)이 측방향을 향해 개방 형성되고,A
상기 초기빗물 집수통(20)은 상부가 개방되면서 저부에 드레인홀(24)이 구비된 통 구조로서 상기 배수관(10)에 승강 가능하게 연결되며 평상시 상기 제2배수홀(12)을 폐쇄하는 한편 일정량의 초기 빗물이 저장되면 하강에 의해 상기 제2배수홀(12)을 개방하는 집수통 본체(21), 상기 집수통 본체(21)와 배수관(10)에 설치되어 상기 집수통 본체(21)를 상기 제2배수홀(12)의 폐쇄 방향으로 탄력 지지하는 개폐로드(42)를 포함하며,The initial
상기 밸브수단(40)은 일면에 빗물의 원활한 유도를 위하여 경사부가 구비된 판재로서 상기 배수관(10)의 내부에 저부가 회전되도록 장착되며 평상시 상기 제2배수홀(12)을 폐쇄하는 개폐판(41), 상기 개폐판(41)과 상기 집수통 본체(21)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집수통 본체(21)의 하강시 상기 개폐판(41)을 회전시켜 상기 제2배수홀(12)을 개방하는 한편 상기 제1배수홀(11)을 폐쇄하는 개폐로드(42)를 포함하는 것이고,The valve means (40) is a plate member having an inclined portion for smoothly guiding rainwater on one surface thereof. The valve means (40) is mounted on the inside of the drain pipe (10) And the
또한, 상기 배수관(10)의 제2배수홀(12)과 대향되는 벽면에 형성되는 제3배수홀(13)과 연통하며 저부가 지중에 매설되는 급수관(50)과; 상기 급수관(50)을 개폐하는 버터플라이밸브(51)와; 상기 버터플라이밸브(51)를 개폐 구동하는 구동수단과; A
지표면을 향해 개방되는 다수의 저장부가 구비된 불투수성 재질의 판재로서 지중에 포설되며 상기 급수관(50)과 연결되어 상기 급수관(50)에 유입되는 빗물을 상기 저장부를 통해 담수하여 지중에 급수하는 급수벨트(60)를 포함하고.
The water supply system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water supply pipe (50) is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pipe (50) (60).
상기 버터플라이밸브(51)의 구동수단은 The driving means of the butterfly valve (51)
상기 집수통 본체(21)에 우천시 초기우수가 점점 채워짐에 따라 집수통 본체(21)의 내측에 형성된 가이드돌기(23)가 하강함에 따라 상기 가이드돌기(23)와 결합된 래크(26)가 하강하므로, 상기 래크(26)에 치합되는 피니온(52)은 상기 래크(26)의 승강에 따라 상기 피니온(52)이 회전하므로, 상기 피니온(52)축에 장착되는 상기 버터플라이밸브(51)가 개폐되는 것이다.As the
지붕의 빗물을 집배수하는 배수관(10), 배수관(10)을 통해 유도 배수되는 초기 빗물을 저장하는 초기빗물 집수통(20), 배수관(10)을 통해 유도 배수되는 빗물로서 초기빗물 집수통(20)에 저장되는 초기 빗물이외의 빗물을 저장하는 집수탱크(30), 배수관(10)을 초기빗물 집수통(20) 또는 집수탱크(30)와 연결하는 밸브수단(40)으로 구성된다.An initial
배수관(10)은 건축물의 외벽에 지붕에서부터 바닥에 걸쳐 배관되면서 상부가 지붕의 바닥에 매설되는 집수구와 연결되어 지붕의 빗물을 공급받아 유도 배수한다.The drain pipe (10) is piped from the roof to the floor o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and the upper part is connected to the catching hole embedded in the bottom of the roof, and the rainwater of the roof is supplied and drained.
배수관(10)은 사각파이프 구조로서, 초기빗물 집수통(20)과 연통하는 제1배수홀(11)이 하단부에 하부를 향해 개방되도록 형성되며, 하단부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는 둘레부에는 집수탱크(30)와 연결관(31)을 통해 연통하는 제2배수홀(12)이 형성된다.A
초기빗물 집수통(20)은 상부가 개방되면서 저부에 드레인홀(24)이 구비된 통 구조로서 배수관(10)의 저부에 승강 가능하게 연결되는 집수통 본체(21)), 집수통 본체(21))를 탄력 지지하는 탄성부재(22)로 구성된다.The initial
집수통 본체(21))는 배수관(10)의 저부에 승강 가능하게 삽입되는 관형의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보다 큰 용적으로 이루어져 상기 연결부의 저부에 형성되어 초기빗물(초기오염물도 포함)을 저장하는 저장부로 구성된다.The
집수통 본체(21))는 원활한 승강을 위하여 배수관(10)과 요철형의 가이드수단을 통해 연결된다. 상기 집수통 본체(21))는 외주면에 가이드돌기(23)가 형성되고 이와 대응하는 배수관(10)은 내주면에는 가이드홈(13)이 형성되어, 가이드돌기(23)와 가이드홈(13)이 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The main body (main body 21) is connected to the
상기 집수통 본체(21)에 초기 우수는 점점 채워짐에 따라 하강하는 상기 가이드 돌기(23)에 결합된 랙(26)이 하강하므로 랙(26)과 치합된 피니온(52)이 구동하여 버터프라이밸브(51)가 열리게 되므로 집수탱크(30)에 정화된 빗물이 저장된다. The
이에 따라 집수통 본체(21)는 탄성부재(22)의 탄성력에 의해 평상시 제2배수홀(12)을 폐쇄하는 위치에 설치된다.Accordingly, the
한편, 집수통 본체(21))는 초기 빗물이 집수되면 하중에 의해 하강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따라서 제2배수홀(12)을 개방한다.
On the other hand, the main body (main body 21) is configured to descend by the load when the initial rainwater is collected, thus opening the
또한, 집수통 본체(21))는 집수된 초기 빗물을 강제로 드레인하기 위하여 드레인홀(24)이 구성된다. 드레인홀(24)은 신속한 배수를 위하여 하나 이상이 적용 가능하고 물론 마개를 통해 개폐된다.In addition, the
집수통 본체(21))는 드레인부를 인위적으로 개방하여 빗물을 드레인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다른 방법으로 집수통 본체(21))의 바닥부에 배수홀이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단 집수통 본체(21)) 내부에는 개폐판(41)을 개방시킬 정도의 빗물이 저장되어야 하므로 상기 배수홀은 집수통 본체(21))의 상측에 형성된 개방부의 면적보다 작아야 한다.It is also possible that the drain hole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main body (21) by another method. The drain hole must be smaller than the area of the opening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catching receptacle
탄성부재(22)는 집수통 본체(21))의 둘레부를 감싸는 원통형, 집수통 본체(21))의 둘레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다수의 코일스프링 등이 가능하다.The
집수탱크(30)는 건축물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되며 제2배수홀(12)과 연통하는 연결관(31)을 매개로 하여 배수관(10)과 연결되어 빗물을 공급받으며, 이때, 오염원과 초기 빗물은 초기빗물 집수통(20)에 저장되므로 집수탱크(30)에는 오염원이 없는 정화 상태의 빗물을 공급받는다.The
집수탱크(30)는 연결관(31)을 통해 유입되는 빗물을 정화한 후 사용하도록 정화부(33)와 급수부(34)로 구분된다.The water collecting tank (30) is divided into a purifier (33) and a water feeder (34) so as to use the purified water after cleaning the rainwater flowing through the connection pipe (31).
정화부(33)와 급수부(34)는 격벽(35)을 통해 구획되며, 정화부(33)는 연결관(31)과 연결되며 내부에 흡착제가 충진되어 있고, 급수부(34)는 격벽(35)의 오버플로우부를 통해 정화 빗물을 급수받으며 취출 콕을 통해 공급한다.The purifying
연결관(31)은 빗물을 필요시에만 집수탱크(30)에 급수되도록 개폐밸브(32)가 구성된다. 개폐밸브(32)는 연결관(31)을 개폐하는 버터플라이밸브(51)일 수 있으며, 상용자의 수동조작에 의해 개폐 구동할 수 있고 또는 집수탱크(30)에 설치되는 수위센서(33)를 통해 일정 수위의 빗물이 저장되면 컨트롤러의 제어를 통해 구동하는 모터와 연결되어 자동으로 개폐 구동할 수도 있다.The connection pipe (31) is provided with an on-off valve (32) so that water is supplied to the catch tank (30) only when rainwater is required. The on / off
물론, 연결관(31)의 폐쇄시 배수관(10)의 빗물이 초기빗물 집수통(20)을 통해 외부로 드레인되도록 집수통 본체(21))의 드레인홀(24)은 개방되어야 한다.Of course, the
밸브수단(40)은 초기빗물 집수통(20)에 일정량의 초기 빗물이 집수되면 배수관(10)과 집수탱크(30)의 연결관(31)을 연결하는 한편 초기빗물 집수통(20)의 입구를 폐쇄하여 빗물을 집수탱크(30)로 유도하는 것이며, 개폐판(41)과 개폐로드(42)로 구성된다.The valve means 40 connects the
개폐판(41)은 배수관(10) 내부에 저부가 힌지를 통해 배수관(10)에 연결되어 회동하면서 제2배수홀(12)을 개폐하며, 평상시 제2배수홀(12)을 폐쇄하는 한편 빗물의 급수시 제2배수홀(12)을 개방한다.The opening and closing
개폐판(41)은 빗물의 급수시를 기준으로 할 때 상면에 경사부가 구성되어 배수관(10)을 따라 낙하하는 빗물이 원활하게 연결관(31)으로 유도되도록 한다.The opening /
개폐로드(42)은 개폐판(41)과 집수통 본체(21))에 연결 각각 회동핀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집수통 본체(21))를 통해 상승하여 개폐판(41)의 개폐 구동을 제어한다.The opening and closing
개폐판(41)은 배수관(10) 본체에 직접 형성되는 것보다는 배수관(10)에 관이음되는 별도의 관형 소켓에 구성되는 것이 설치와 유지보수를 감안할 때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본 발명에 의한 건축 지붕 빗물 재활용 시스템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building roof rainwater recycl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도 3의 좌측 도면은 평상시이고, 우측 도면은 초기빗물을 저장한 후 빗물의 집수시이다.The left-hand side of FIG. 3 is normal, and the right-hand side is a collection of rainwater after storing initial rainwater.
평상시 탄성부재(22)의 탄성력에 의해 집수통 본체(21))가 제2배수홀(12)을 폐쇄하는 한편 제1배수홀(11)을 개방하고 있다.The
따라서, 초기 빗물과 지붕의 바닥 등에 있는 오염물은 집수통 본체(21)) 내부에 집수된다.Therefore, the contaminants in the initial rainwater and the bottom of the roof are collected inside the main body (21).
집수통 본체(21))에 초기 빗물이 집수됨에 따라 집수통 본체(21))의 하중이 무거워지므로 집수통 본체(21))가 하강하게 된다.(The
집수통 본체(21))가 하강함에 따라 개폐로드(42)에 의해 개폐판(41)이 도면 기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제1배수홀(11)을 폐쇄하는 한편 제2배수홀(12)을 개방한다. 개폐판(41)이 회전하는 과정에서 수압이 빗물이 개폐판(41)의 상부로 떨어지게 되므로 개폐판(41)은 더욱 빠르게 회전한다.The opening and closing
이에 따라 배수관(10)에 유입되는 빗물(오염물이 없는 정화 빗물)은 개폐판(41)을 통해 제2배수홀(12)로 유도되어 연결관(31)을 경유한 후 집수탱크(30)에 집수된다.The rainwater flowing into the
집수탱크(30)에 집수되는 빗물은 정화부(33)에서 다시 정화된 후 급수부(34)에 급수된다. 사용자는 집수탱크(30)의 급수부(34)에 저장 중인 정화 빗물을 생활용수 등으로 사용한다.The rainwater collected in the
한편, 이 과정에서 비가 그치게 되면 배수관(10)에 유입되는 빗물의 양이 줄어들게 되고, 탄성부재(22)의 탄성력이 집수통 본체(21))의 하중보다 커지면서 집수통 본체(21))가 상승하며, 따라서 개폐로드(42)가 상승하여 개폐판(41)을 도면 기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고, 결과적으로 제2배수홀(12)이 폐쇄된다.When the rain is stopped in this process, the amount of the rainwater flowing into the
비가 그치거나 필요시 사용자는 드레인홀(24)을 개방하여 집수통 본체(21)) 내부의 빗물을 외부로 드레인한다.When the rain is stopped or the user desires to open the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예를 도시한 것으로, 배수관(10)에 집수되는 빗물을 집수탱크(30)에 급수함과 아울러 지중에 급수하도록 급수관(50)과 급수벨트(60)가 구성된다.4 is a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A
급수관(50)은 제2배수홀(12)과 대향되는 벽면에 형성되는 제3배수홀(13)과 연결되는 한편 저부가 지중에 매설되고, 내부에 버터플라이 밸브(51)가 갖추어진다.The
급수관(50)은 제3배수홀(13)과 연결되는 경사부 및 경사부의 하단부에서 지중을 향해 연장되며 급수벨트(60)와 연결되는 수직부로 이루어진다.The water supply pipe (50) is composed of an inclined part connected to the third drain hole (13) and a vertical part extending from the lower end of the inclined part toward the ground and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belt (60).
버터플라이 밸브(51)는 구동수단을 통해 급수관(50) 내부를 개폐한다.The butterfly valve (51) opens and closes the inside of the water supply pipe (50) through the driving means.
상기 구동수단은 집수통 본체(21))의 하강시 이 하강을 이용하여 개폐시키는 래크(26)와 피니언(52)이 바람직하다. 즉 집수통 본체(21))의 외부에는 래크(26)가 고정되고 버터플라이 밸브(51)의 회전축 단부에는 피니언(52)이 연결되면서 래크(26)와 치합되어 있다. 따라서, 집수통 본체(21))의 하강시 래크(26)가 하강하고 피니언(52)이 회전하여 버터플라이 밸브(51)가 회전함으로써 급수관(50)이 개방되어 저장부(61)에 빗물의 저장이 시작된다.The drive means is preferably a
급수벨트(60)는 다수의 상부 개방형 저장부(61)가 구비된 판재로서 불투수성이 바람직하고, 저장부(61)를 통해 급수관(50)에서 급수되는 빗물을 저장하고 가뭄시 저장된 물을 급수할 수 있다.The
10 : 배수관 11,12,13 : 제1,2,3 배수홀
20 : 초기빗물 집수통 21 : 집수통 본체
22 : 탄성부재 30 : 집수탱크
31 : 연결관 40 : 밸브수단
41 : 개폐판 42 : 개폐로드
50 : 급수관 60 : 급수벨트10:
20: Initial rainwater collecting container 21:
22: elastic member 30: collecting tank
31: connector 40: valve means
41: opening / closing plate 42: opening / closing rod
50: water pipe 60: water supply belt
Claims (3)
상기 배수관(10)의 저부에 장착되며 초기 빗물을 집수하는 초기빗물 집수통(20)과;
내부가 격벽을 통해 정화부와 급수부로 구획되는 밀폐형의 통 구조로서 상기 건축물의 내부 또는 외부에 갖추어지며 상기 정화부가 연결관(31)을 통해 상기 배수관(10)과 연결되어 상기 배수관(10)을 통해 유도 배수되는 빗물을 상기 정화부의 흡착제를 통해 정화한 후 상기 급수부에서 저장하는 집수탱크(30)와;
상기 초기빗물 집수통(20)에 일정량의 초기 빗물이 집수되면 상기 배수관(10)과 상기 집수탱크(30)의 연결관(31)을 연결하는 한편 상기 초기빗물 집수통(20)의 입구를 폐쇄하여 빗물을 상기 집수탱크(30)로 유도하는 밸브수단(40)을 포함하며,
상기 배수관(10)은 저부에 상기 초기빗물 집수통(20)과 연통하는 제1배수홀(11)이 하부를 향해 개방 형성되는 한편, 저부의 단부로부터 상부로 이격되는 둘레부에는 상기 연결관(31)과 연통하는 제2배수홀(12)이 측방향을 향해 개방 형성되고,
상기 초기빗물 집수통(20)은 상부가 개방되면서 저부에 드레인홀(24)이 구비된 통 구조로서 상기 배수관(10)에 승강 가능하게 연결되며 평상시 상기 제2배수홀(12)을 폐쇄하는 한편 일정량의 초기 빗물이 저장되면 하강에 의해 상기 제2배수홀(12)을 개방하는 집수통 본체(21), 상기 집수통 본체(21)와 배수관(10)에 설치되어 상기 집수통 본체(21)를 상기 제2배수홀(12)의 폐쇄 방향으로 탄력 지지하는 개폐로드(42)를 포함하며,
상기 밸브수단(40)은 일면에 빗물의 원활한 유도를 위하여 경사부가 구비된 판재로서 상기 배수관(10)의 내부에 저부가 회전되도록 장착되며 평상시 상기 제2배수홀(12)을 폐쇄하는 개폐판(41), 상기 개폐판(41)과 상기 집수통 본체(21)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집수통 본체(21)의 하강시 상기 개폐판(41)을 회전시켜 상기 제2배수홀(12)을 개방하는 한편 상기 제1배수홀(11)을 폐쇄하는 개폐로드(42)를 포함하고,
상기 배수관(10)의 제2배수홀(12)과 대향되는 벽면에 형성되는 제3배수홀(13)과 연통하며 저부가 지중에 매설되는 급수관(50)과; 상기 급수관(50)을 개폐하는 버터플라이밸브(51)와;
상기 버터플라이밸브(51)를 개폐 구동하는 구동수단과;
지표면을 향해 개방되는 다수의 저장부가 구비된 불투수성 재질의
판재로서 지중(地中)에 설치되며 상기 급수관(50)과 연결되어 상기 급수관(50)에 유입되는 빗물을 상기 저장부(61)에 저장된 빗물을 담수하여 가뭄시에 급수하는 급수벨트(60)에 있어서,
상기 버터플라이밸브(51)의 구동수단은 상기 집수통 본체(21)에 우천시 초기우수가 점점 채워짐에 따라 집수통 본체(21)의 내측에 형성된 가이드돌기(23)가 하강함에 따라 상기 가이드돌기(23)와 결합된 래크(26)가 하강하므로, 상기 래크(26)에 치합되는 피니온(52)은 상기 래크(26)의 승강에 따라 상기 피니온(52)이 회전하므로, 상기 피니온(52)축에 장착되는 상기 버터플라이밸브(51)가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지붕 빗물 재활용 시스템.A drain pipe (10) connected to the roof of the building and piped along the wall of the building to induce and drain the rainwater of the roof;
An initial rainwater collection container 20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water discharge pipe 10 and collecting initial rainwater;
And the purified water is connected to the drain pipe (10) through the connection pipe (31), and the drain pipe (10) is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building A water collecting tank (30) for purifying the rainwater introduced and drained through the adsorbent of the purifying unit and storing the water in the water supplying unit;
When a predetermined amount of initial rainwater is collected in the initial rainwater cistern 20, the connection pipe 31 between the water pipe 10 and the catchment tank 30 is connected, and the inlet of the initial rainwater cistern 20 is closed And valve means (40) for guiding rainwater to the catchment tank (30)
A first drain hole 11 communicating with the initial rainwater collection container 20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drain pipe 10 to be opened downward. On the circumference of the drain pipe 10, The second drain hole (12)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drain hole (31) is opened toward the lateral direction,
The initial rainwater collecting container 20 has a tubular structure having a drain hole 24 at the bottom while being opened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nd is vertically connected to the drain pipe 10 and normally closes the second drain hole 12 A water collecting container main body 21 for opening the second drain hole 12 by descending when a predetermined amount of initial rainwater is stored and a water collecting container main body 21 installed on the water collecting container main body 21 and the water pipe 10, And an opening / closing rod (42)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second drain hole (12) in a closing direction of the second drain hole (12)
The valve means (40) is a plate member having an inclined portion for smoothly guiding rainwater on one surface thereof. The valve means (40) is mounted on the inside of the drain pipe (10) And the second drain hole 12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41 and the water collecting container main body 21 so as to rotate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41 when the water collecting container main body 21 is lowered, And an opening / closing rod (42) for opening the first drain hole (11) while opening the first drain hole
A water supply pipe (50) communicating with a third drain hole (13) formed on a wall surface opposite to the second drain hole (12) of the drain pipe (10) and having a bottom embedded in the ground; A butterfly valve (51) for opening / closing the water supply pipe (50);
Driving means for opening and closing the butterfly valve (51);
An impermeable material having a plurality of storage portions opened toward the earth surface
A water supply belt 60 installed in the ground as a plate material and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pipe 50 so as to discharge rainwater flowing into the water supply pipe 50 from the storage unit 61, In this case,
The drive means of the butterfly valve 51 moves the guide protrusions 23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collection container main body 21 downwardly as the initial clearance gradually fills up in the collection container main body 21, The pinion 52 engaged with the rack 26 is rotated by the pinion 52 as the rack 26 is lifted and lowered so that the pinion 52 52), the butterfly valve (51) mounted on the shaft is opened and close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57430A KR101608197B1 (en) | 2015-11-10 | 2015-11-10 | System for recycling rain of building ro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57430A KR101608197B1 (en) | 2015-11-10 | 2015-11-10 | System for recycling rain of building roof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08197B1 true KR101608197B1 (en) | 2016-04-01 |
Family
ID=55799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57430A Active KR101608197B1 (en) | 2015-11-10 | 2015-11-10 | System for recycling rain of building roof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08197B1 (en)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46136B1 (en) * | 2019-07-10 | 2019-11-18 | 대한환경평가그룹 주식회사 | Water purification system for treating non-point pollution source |
KR102078752B1 (en) | 2019-06-18 | 2020-02-18 | 주식회사 코리아모바일 | Environment-friendly restroom using reprocessed toilet water using hollow fiber membranes and rainwater |
CN114319507A (en) * | 2021-12-14 | 2022-04-12 | 蒋红 | Water treatment system based on ecological building |
CN114876002A (en) * | 2022-05-19 | 2022-08-09 | 山东省水利科学研究院 | Building roof rainwater collection system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
CN117027107A (en) * | 2023-08-24 | 2023-11-10 | 东湾工程技术(深圳)有限公司 | Bury formula integration rainwater recovery unit for green building |
CN118049016A (en) * | 2024-03-07 | 2024-05-17 | 山东省交通规划设计院集团有限公司 | Green roofing system |
CN119221562A (en) * | 2024-11-29 | 2024-12-31 | 山东省水利科学研究院 | A system and method for coupling urban rainwater and flood water resources to recharge groundwater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262633A (en) * | 2000-03-23 | 2001-09-26 | Hiroshi Takahashi | Rainwater storage tank |
KR200464340Y1 (en) * | 2012-07-09 | 2012-12-28 | 김재영 | rain water harvesting system |
-
2015
- 2015-11-10 KR KR1020150157430A patent/KR101608197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262633A (en) * | 2000-03-23 | 2001-09-26 | Hiroshi Takahashi | Rainwater storage tank |
KR200464340Y1 (en) * | 2012-07-09 | 2012-12-28 | 김재영 | rain water harvesting system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78752B1 (en) | 2019-06-18 | 2020-02-18 | 주식회사 코리아모바일 | Environment-friendly restroom using reprocessed toilet water using hollow fiber membranes and rainwater |
KR102046136B1 (en) * | 2019-07-10 | 2019-11-18 | 대한환경평가그룹 주식회사 | Water purification system for treating non-point pollution source |
CN114319507A (en) * | 2021-12-14 | 2022-04-12 | 蒋红 | Water treatment system based on ecological building |
CN114876002A (en) * | 2022-05-19 | 2022-08-09 | 山东省水利科学研究院 | Building roof rainwater collection system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
CN114876002B (en) * | 2022-05-19 | 2024-01-19 | 山东省水利科学研究院 | Building roof rainwater collection system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
CN117027107A (en) * | 2023-08-24 | 2023-11-10 | 东湾工程技术(深圳)有限公司 | Bury formula integration rainwater recovery unit for green building |
CN118049016A (en) * | 2024-03-07 | 2024-05-17 | 山东省交通规划设计院集团有限公司 | Green roofing system |
CN119221562A (en) * | 2024-11-29 | 2024-12-31 | 山东省水利科学研究院 | A system and method for coupling urban rainwater and flood water resources to recharge groundwate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08197B1 (en) | System for recycling rain of building roof | |
KR101243415B1 (en) | Rainwater purification apparatus | |
KR100777516B1 (en) | Filter cartridge with regulated surface cleaning mechanism | |
US5707527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ing storm water runoff | |
KR101382006B1 (en) | Apparatus for treating rainwater and overflow water of confluent water drainage | |
KR101548007B1 (en) | rainwater utilizing device for non-point source contaminant reduction | |
KR101033859B1 (en) | Initial excellent segregation storage tank | |
US20050230317A1 (en) | Watershed runoff drainage device & method | |
KR100956387B1 (en) | Rainwater collection device capable of initial rainwater separation without power | |
KR101226173B1 (en) | Recycling system of rainwater | |
KR101160567B1 (en) | Rainwater filtering apparatus with fluidized media and purification system using it | |
KR101556157B1 (en) | Filtration and Purification Apparatus of Rainwater | |
WO1999035093A1 (en) | Self-cleaning siphon-actuated radial flow filter basket | |
KR100773811B1 (en) | Stormwater Treatment System | |
KR100991836B1 (en) | Apparatus of reducing the nonpoint pollution source | |
KR101227920B1 (en) | Early stage stormwater exclusion and treatment device and method | |
KR101086019B1 (en) | Early Rainwater Treatment System | |
KR101036018B1 (en) | Pollutant filter of sewage and filtering device using same | |
KR101639004B1 (en) | Rainwater reusing system inhanced primary rainwater discharge function | |
KR101585575B1 (en) | Apparatus for reusing rainwater | |
KR101779591B1 (en) | Recycle system based on multiple water treatment | |
KR101608043B1 (en) | The aequipmenr of reducing non-point pollution material in rainwater | |
KR101466656B1 (en) | Stand-alone apparatus for portable drinking water production by collection of rainwater equipped with solar panel and power supply battery | |
KR101879690B1 (en) | Purify non-motorized exclusion apparatus which removes a fixed quantity of early rainwater and guide store of rainwater | |
KR101036019B1 (en) | Wastewater Filt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11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51123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1110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12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32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3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603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311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3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31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32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32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32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