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8171B1 - Implant unit - Google Patents

Implant uni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8171B1
KR101608171B1 KR1020150010147A KR20150010147A KR101608171B1 KR 101608171 B1 KR101608171 B1 KR 101608171B1 KR 1020150010147 A KR1020150010147 A KR 1020150010147A KR 20150010147 A KR20150010147 A KR 20150010147A KR 101608171 B1 KR101608171 B1 KR 1016081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mediate structure
implant unit
artificial root
artificial
abu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014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광섭
Original Assignee
김광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섭 filed Critical 김광섭
Priority to KR10201500101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8171B1/en
Priority to US14/987,873 priority patent/US10653506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81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817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6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with shock absorb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37Details of the shape
    • A61C8/0045Details of the shape with a stepped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2Catch or snap type conn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8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an additional scre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9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tapered or conical conne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plant unit. The implan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 artificial dental root coupled with the alveolar bone, and including a long hole inside; a middle structure inserted into the long hole of the artificial dental root; and an abutment coupled with the middle structure. Disclosed is the implant unit coupled by a first structure formed on at least one among the artificial dental root and the middle structure, and a second structure storing the first structure on the other one among the artificial dental root and the middle structure. The technical su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ing the implant unit enabling semipermanent use of the implant unit, and relieving and removing a continuous stress generated on the implant unit for preventing additional diseases caused by the use.

Description

임플란트 유닛{Implant unit}Implant unit < RTI ID = 0.0 >

본 발명은 임플란트 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응력 완화가 가능한 치과용 임플란트 유닛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plant unit, and more particularly, to a dental implant unit capable of relieving stress.

인공 치아는 사람의 자연 치아와 외형 및 기능면에서 거의 동일한 상태가 되도록 인위적으로 만들어낸 치아이다. 상기 인공 치아는 충치와 같은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자연 치아가 결손되었을 경우 자연 치아를 대체하는 용도로 사용된다.Artificial teeth are artificially created teeth that are almost identical to human natural teeth in appearance and function. The artificial tooth is used as a substitute for a natural tooth when natural teeth are missing due to various factors such as tooth decay.

치과적 질병의 증상과 예후에 따라 상기 인공 치아로서 자연 치아를 대체하고자 할 경우에 일반적으로 브릿지, 틀니 또는 치조골 내의 매식이란 세 가지 접근 방법이 있다. 상기 브릿지의 경우, 건강한 인접 치아를 깎아내야만 하므로 자연 치아의 손상을 가져오게 되고, 치아 뿌리가 없어 저작력이 약화될 뿐만 아니라 수명도 십년 정도로 그리 길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상기 틀니의 경우에는 자연 치아의 손상과 치조골이 사용 과정에서 점진적으로 흡수되는 현상과 사용시 구강으로부터 분리되거나 사용자에게 구강 내 이물감을 주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브릿지 및 틀니는 치조골이 튼튼한 이상 그 적용이 점차 줄어들고 있는 실정이다.There are generally three approaches to replacing natural teeth as artificial teeth according to the symptoms and prognosis of a dental disease, in general, implantation in bridges, dentures or alveolar bone. In the case of the bridge, since healthy adjacent teeth must be shaved, natural teeth are damaged,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masticatory force is weakened because there is no tooth root, and the life span is not as long as ten years. In the case of the dentures, there is a problem that natural teeth are damaged and the alveolar bone is gradually absorbed in the use process, and is separated from the oral cavity in use or inconvenient because the user gives a foreign body feeling to the oral cavity. Therefore, the bridge and the denture are being applied more and more as long as the alveolar bone is strong.

반면, 인공 치아를 치조골에 매식하는 임플란트 방법은 치조골이 치료에 적합한 상태를 유지하는 한, 인접한 자연 치아에 손상을 주지 않으면서 독립적 시술이 가능하고, 매식이 완료된 후에는 자연 치아와 구별하기 어려울 정도로 외형과 기능이 우수하여 그 적용이 확대되고 있다. 또한, 이에 적용되는 임플란트 유닛은 관리 상태에 따라 수명이 반영구적이어서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implant method of implanting an artificial tooth into an alveolar bone allows an independent operation without damaging the adjacent natural tooth as long as the alveolar bone is maintained in a state suitable for treatment, and it is difficult to distinguish it from the natural tooth after the implantation is completed Its appearance and function are excellent and its application is expanding. In addition, the implant unit to which the implant unit is applied is preferable because the service life is semi-permanent depending on the management state.

인공 치아를 치조골에 매식하기 위한 종래의 임플란트 유닛은 일반적으로 치아 역할을 하는 보철물(crown), 치아의 뿌리 역할을 하는 인공 치근(fixture)와 상기 보철물과 상기 인공 치근 사이를 연결하는 지대주(abutment)를 포함한다. 상기 임플란트 유닛의 경우, 사용자가 음식물을 씹어서 섭취하는 행위 등을 통해 구강 내에서 지속적인 하중이 반복될 때, 치조골이 파괴되거나 지속적인 응력 집중에 의해 치조골의 흡수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병증을 유발하거나 수명 감소의 요인이 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이미 치조골의 흡수가 많이 진행된 경우, 종래의 임플란트 유닛은 부가적인 뼈 이식 없이는 시술이 어렵거나 불가능한 문제가 있다. 예를 들어, 상악 구치부의 경우 부비동(상악동)과의 거리가 가깝거나, 하악 구치부의 경우 신경과의 거리가 짧아, 부가적인 뼈 이식 수술이 필요한 경우가 그러하다.A conventional implant unit for implanting an artificial tooth into an alveolar bone generally comprises a crown serving as a tooth, an artificial root serving as a root of the tooth, an abutment connecting the prosthesis and the artificial root, . In the case of the implant unit, when the user repeatedly loads the oral cavity through chewing and ingesting food, the alveolar bone may be destroyed or the alveolar bone may be absorbed by the continuous stress concentration, resulting in additional disease Or may be a factor in reducing the life span. In addition, when the alveolar bone has already absorbed much, the conventional implant unit ha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or impossible to perform the procedure without additional bone grafting. For example, the maxillary posterior region is close to the sinus (maxillary sinus), and the mandibular posterior region is short in distance to the nerve, requiring additional bone grafting.

따라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 임플란트 유닛의 반영구적 사용과 사용에 따른 추가 병증을 방지하기 위하여 임플란트 유닛에 발생할 수 있는 지속적인 응력을 완화 및 해소할 수 있는 임플란트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mplant unit capable of mitigating and alleviating a continuous stress that may occur in an implant unit in order to prevent additional complications of semi-permanent use and use of the implant unit.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유닛은, 치조골에 결합되며 내부에 장공이 형성된 인공 치근; 상기 인공 치근의 상기 장공에 삽입되는 중간 구조체; 및 상기 중간 구조체에 결합된 지대주를 포함하고, 상기 인공 치근 및 상기 중간 구조체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 제 1 구조물과 나머지 하나에 상기 제 1 구조물을 수용하는 제 2 구조물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구조물은 상기 중간 구조체는 하단부에 형성된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구조물은 상기 돌기를 수용하도록 상기 인공 치근의 내측면 형성된 홈, 인공 치근은 상기 돌기를 수용하기 위한 홈을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인공 치근은 내주면을 따라 형성된 상기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중간 구조체는 상기 돌기를 수용하기 위한 상기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간 구조체의 하부는 다수의 분지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 분지 구조일 수 있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mplant unit comprising: an artificial root coupled to an alveolar bone and having a slot formed therein; An intermediate structure inserted into the elongated hole of the artificial root; And an abutment coupled to the intermediate structure, wherein the abutment may be fastened by a first structure formed on at least one of the artificial root and the intermediate structure and a second structure accommodating the first structure to the remaining one. In some embodiments, the first structure may include a protrusion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intermediate structure, and the second structure may include a groove formed in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artificial tooth to receive the protrusion, Or the artificial root may include the protrusion form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intermediate structure may include the groove for receiving the protrusion. The lower portion of the intermediate structure may be a branched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branche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중간 구조체 및 상기 지대주의 내측면에 회전 결합되는 결합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 부재는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은 단형 결합 부재 또는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 장형 결합 부재일 수 있다. 상기 중간 구조체의 내주면을 따라 결합 부재를 체결하기 위한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 부재에는 상기 돌기를 수용하기 위한 홈이 형성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it may include the intermediate structure and a mating member rotationally coupled to the abutment inner surface. The engaging member may be a short engaging member having a relatively short length or a long engaging member having a relatively long length. A protrusion for fastening the coupling member is form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termediate structure, and a groove for receiving the protrusion may be formed in the coupling member.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인공 치근의 바닥면과 상기 중간 구조체의 하면 사이에는 갭이 형성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a gap may be formed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artificial root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intermediate structur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인공 치근과 중간 구조체의 체결 수단 예컨대 중간 구조체의 돌기와 상기 돌기를 수용하기 위한 인공 치근의 홈 상호간의 결합에 인공 치근과 중간 구조체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인공 치근과 중간 구조체 사이에 형성된 갭으로 인하여 중간 구조체로부터 인공 치근으로 전달되는 응력을 분산 및/또는 흡수하여 임플란트 유닛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중간 구조체 하단의 분지 구조로 인하여 중간 구조체로부터 인공 치근으로 전달되는 응력을 분산 및/또는 흡수할 수 있다. 또한, 스크류와 같은 결합 부재가 회전 결합 되어 지대주와 중간 구조체의 강성 결합이 가능하고, 특히, 길이가 긴 장형 결합 부재의 경우 장형 결합 부재와 중간 구조체가 회전 결합에 더해 장형 결합 부재의 말단의 홈에 중간 구조체의 돌기가 체결되어 지대주와 중간 구조체를 더욱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치조골이 흡수되어 얇아진 경우나 치아 사이의 간극이 좁은 환자의 경우에, 직경이 최소화된 임플란트 유닛을 사용하더라도 인공 치근과 중간 구조체 사이에 형성된 갭에 의해 응력을 효율적으로 흡수 및 분산시킴으로써, 크기가 큰 임플란트 유닛을 매식한 것과 동일한 신뢰성을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ngaging force between the artificial tooth root and the intermediate structure can be improved by the engagement between the projections of the artificial root and the intermediate structure, for example, between the projections of the intermediate structure and the grooves of the artificial root for receiving the projections, The gap formed between the intermediate structure and the intermediate structure can disperse and / or absorb the stress transmitted from the intermediate structure to the artificial root to improve the life of the implant unit. In addition, the branch structure at the lower end of the intermediate structure can disperse and / or absorb the stress transmitted from the intermediate structure to the artificial root. In addition, in the case of an elongated engagement member having a long length, the elongate engagement member and the intermediate structure are rotatably engaged with each other, The abutment and the intermediate structure can be more firmly coupled. Further, even in the case where the alveolar bone is absorbed and thinned and the gap between the teeth is narrow, even when the implant unit having the smallest diameter is used, the stress is efficiently absorbed and dispersed by the gap formed between the artificial root and the intermediate structure, The same reliability as that obtained by implanting a large implant unit can be obtain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공 치근과 중간 구조체 사이에 형성된 갭에 의해 치경부(임플란트 유닛과 잇몸이 만나는 영역)에서의 응력을 감소시킴으로써, 치조골의 흡수를 막아 임플란트 유닛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임플란트 유닛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공 치근과 중간 구조체 사이에 형성된 갭에 의해 응력 집중 문제가 해소되어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임플란트 유닛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추가적인 뼈 이식과 같은 부가적인 수술을 줄여, 수술 후 통증, 치유 기간 및 의료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즉시 시술이 가능한 임플란트 유닛이 제공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reducing the stress in the cervical portion (region where the implant unit and the gum meet) by the gap formed between the artificial root and the intermediate structure, absorption of the alveolar bone is prevented to prolong the life of the implant unit An implant unit can be provided.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tress concentration problem is solved by the gap formed between the artificial root and the intermediate structure, the implant unit having a relatively small diameter can be used, thereby reducing additional operations such as bone grafting , An implant unit that can be immediately operable to reduce post-operative pain, duration of healing, and medical costs may be provid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유닛을 도시한 분해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간 구조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유닛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유닛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유닛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1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implan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intermediat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implant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implant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implant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in order to more ful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following embodiments may be modified in various other form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more faithful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또한, 이하의 도면에서 각 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해 과장된 것이며,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은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In the following drawings, thickness and size of each layer are exaggerated for convenience and clarity of description,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denote the same elements in the drawings. As used herein, the term "and / or" includes any and all combinations of one or more of the listed item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한 형상, 단계,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단계,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As used herein, the singular forms "a," "an," and "the" include singular form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Also, " comprise "and / or" comprising "when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taken to specify the presence of stated features, steps, numbers, operations, elements, elements and / Steps, numbers, operations, elements, elements, and / or group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유닛(100A)을 도시한 분해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간 구조체(12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FIG. 1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implant unit 100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intermediate structure 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유닛(100A)은 치조골(101)에 결합되고 내부에 장공(111)이 형성된 인공 치근(110), 인공 치근(110)의 장공(111)에 삽입되는 중간 구조체(120) 및 중간 구조체(120)에 결합된 지대주(130)를 포함한다. 1, an implant unit 100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rtificial root 110 coupled to an alveolar bone 101 and having a long hole 111 formed therein, And an abutment 130 coupled to the intermediate structure 120. As shown in FIG.

인공 치근(110)은 잇몸(102)의 아래에 형성된 치조골(101)(턱뼈)에 직접 매식되어 기둥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인공 치근(110)은 치조골(102)과의 유합을 위해 외측 표면에 다수의 나사산 또는 요철 표면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은 나사산(114)이 예시되어 있다. 인공 치근(110)은 티타늄(Ti), 텅스텐(W), 알루미늄(Al), 하프늄(Hf), 니오븀(Nb), 탄탈륨(Ta), 지르코늄(Zr), 백금(Pt), 또는 이들 중 어느 하나의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금속 재료들은 예시적이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부식이 없고 적합한 강도와 생체 적합성을 갖는 다른 금속, 금속이 아닌 세라믹 인공뼈 재료 또는 이들의 복합 재료가 인공 치근(110)에 적용될 수 있다. The artificial root 110 is directly embedded in the alveolar bone 101 (jawbone) formed below the gum 102 to serve as a pillar. To this end, the artificial root 110 may have a plurality of threaded or uneven surfaces formed on its outer surface for fusion with the alveolar bone 102. Figure 1 illustrates a thread 114. The artificial root 110 may be any one of titanium (Ti), tungsten (W), aluminum (Al), hafnium (Hf), niobium (Nb), tantalum (Ta), zirconium (Zr), platinum One alloy may be included. The metallic materials are illustrativ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other metallic, non-metallic ceramic artificial bone materials or composites thereof having no corrosion and suitable strength and biocompatibility may be applied to the artificial root 110 .

일부 실시예에서, 인공 치근(110)은 그 표면 상에 생체 활성이 작고 치조골(101)과의 반응성을 촉진하여 결합력이 향상되도록 생체 활성이 우수한 수산화아파타이트[Ca10(PO4)6(OH)2, HA]와 같은 인산칼슘계 세라믹 코팅층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인공 치근(110) 상에 TiO2, Ta2O5, Nb2O5, ZrO2, SiO2, RuO2, MoO3, VO, VO2, V2O3, V2O5, CrO2, 또는 CrO3와 같은 금속 세라믹이 코팅될 수도 있다. 이들 재료들은 예시적이며, 당업자라면 상기 코팅 재료로서 골유착을 촉진할 수 있는 임의의 재료가 적용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n some embodiments, the artificial root 110 has apatite (Ca 10 (PO 4 ) 6 (OH)) having superior bioactivity so that the bioactivity of the artificial root 110 is small and the reactivity with the alveolar bone 101 is enhanced, 2 , HA] may be included. In another embodiment, in the artificial tooth root (110) TiO 2, Ta 2 O 5, Nb 2 O 5, ZrO 2, SiO 2, RuO 2, MoO 3, VO, VO 2, V 2 O 3, V 2 O 5 , CrO 2 , or CrO 3 may be coated. These materials are illustrative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any material capable of promoting osseointegration as the coating material may be applied.

인공 치근(110)의 장공(111)은 중심축(CL)을 따라 몸체(113)의 내부에 깊이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장공(111) 내에 중간 구조체(120)가 삽입된다. 장공(111)은 적어도 하부가 테이퍼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중간 구조체(120)도 상기 테이퍼 형상에 맞추어 그 하부에 테이퍼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임플란트 유닛(110A)이 상부의 보철물(150)로부터 하부의 인공 치근(110)에 대하여 중심축(CL)을 따라 작용하는 수직 응력은 상기 테이퍼 형상이 갖는 경사면(120S)에 의해 인공 치근(110)의 하부 전체 길이에 걸쳐 고르게 분산될 수 있다. 그에 의해 응력의 집중에 의한 치조골(101)의 손상 및 흡수를 방지하여 임플란트 유닛(110A)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경사면(120S)은 중간 구조체(120)가 장공(111) 내에서 연직 하방으로 침강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한 부재(limiter)로서 작용하면서 동시에 가이드 역할을 하여 중간 구조체(120)가 인공 치근(110)에 결합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The elongated hole 111 of the artificial root 110 may be formed in the depth direction inside the body 113 along the central axis CL. The intermediate structure 120 is inserted into the long hole 111. At least the lower portion of the elongated hole 111 may have a tapered shape, and the intermediate structure 120 may have a tapered shape at the lower portion thereof in accordance with the tapered shape. The vertical stress acting from the upper prosthesis 150 to the lower artificial root 110 along the central axis CL is transmitted to the artificial root 110 by the inclined surface 120S having the tapered shape, Evenly distributed over the entire length of the lower portion of the substrate. Whereby the damage and absorption of the alveolar bone 101 due to the concentration of stress can be prevented and the life of the implant unit 110A can be prolonged. The inclined surface 120S serves as a limiter for preventing the intermediate structure 120 from sinking vertically downward in the elongated hole 111 and at the same time serves as a guide to prevent the intermediate structure 120 from being inserted into the artificial root Lt; RTI ID = 0.0 > 110 < / RTI >

임플란트 유닛(100A)은 치조골의 흡수가 많이 진행되어, 상악 구치부의 경우 부비동(상악동)과의 거리가 가깝거나, 하악 구치부에서 신경과의 거리가 짧아 정상적인 길이의 임프란트 유닛을 매식할 수 없는 경우가 있지만, 본 발명의 임플란트 유닛은 응력 분산이 가능하기 때문에 부가적인 뼈 이식 수술 없이 정상적인 기능을 하는 임프란트 유닛을 시술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정상적인 길이의 임프란트 유닛을 매식할 수 있는 경우에는 바로 보철물(150)을 임프란트 시술시 함께 제작하여 즉시 기능이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The implant unit 100A is a case where the alveolar bone is absorbed so much that the distance from the sinus (maxillary sinus) is short in the maxillary posterior part, or the distance between the nerve and the nerve is short, However, since the implant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stress dispers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normal functioning implant unit can be performed without an additional bone grafting operation. In addition, when the implant unit of a normal length can be implanted, the prosthesis 150 may be immediately fabricated at the time of the implant procedure, so that the prosthesis 150 can be immediately made functional.

일부 실시예에서, 장공(111) 내부에서 몸체(113)의 일부로서 스텝(113T)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몸체(113)의 스텝(113T)에 대응되는 구성으로서 중간 구조체(120)의 측벽에도 카운터 스텝(124)이 제공되며, 이들 스텝들은 몸체 (113)와 중간 구조체(120)의 정상 체결시 0.5 mm 정도의 유격을 갖도록 설계되어 몸체(113)와 중간 구조체(120)가 서로 꽉 맞물리는 것을 유도할 수 있다. 인공 치근(110)의 최대 직경 또는 폭은 3 mm 내지 6 mm의 범위 내일 수 있다. 인공 치근(110)의 길이는 3 mm 내지 15 mm의 범위 내일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step 113T may be formed as part of the body 113 inside the slot 111. [ A counter step 124 is also provided on the sidewall of the intermediate structure 120 as a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step 113T of the body 113. These steps are performed during normal engagement of the body 113 and the intermediate structure 120 It is designed to have a clearance of about 0.5 mm so that the body 113 and the intermediate structure 120 can be tightly engaged with each other. The maximum diameter or width of the artificial root 110 may be in the range of 3 mm to 6 mm. The length of the artificial root 110 may be in the range of 3 mm to 15 mm.

몸체(113)에 고정된 중간 구조체(120)의 상단부(125)가 인공 치근(110)의 상단부보다 더 돌출되어 지대주(130)가 탑재될 수 있는 영역이 확보될 수 있다. 이러한 중간 구조체(120)의 돌출된 상단부(125) 상에 지대주(130)가 결합될 수 있다. 중간 구조체(120)의 상단부(125) 상에 탑재된 지대주(130)의 회전과 슬립을 방지하기 위해 중간 구조체(120)의 상단부(125)는 사각, 오각 또는 육각 형태의 다각형이나 타원형 단면을 가질 수 있으며, 이 경우, 지대주(130)의 저부도 중간 구조체(120)의 상단부(125)를 수용하기 위해 중간 구조체(120)의 상단부(125)를 수?하기 위한 대응 형상의 홈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육각 형태의 상단부(125)에 지대주(130)가 안착되면 상호간 대응되는 구조에 의해 지대주(130)가 중간 구조체(120)의 상단부(125) 상에서 회전하거나 슬립되는 것이 제한될 수 있다.The upper end portion 125 of the intermediate structure 120 fixed to the body 113 is more protruded than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artificial root 110 so that an area where the abutment 130 can be secured can be secured. The abutment 130 may be engaged on the protruded upper end 125 of the intermediate structure 120. The upper end 125 of the intermediate structure 120 has a polygonal or oval cross section in the shape of a square, a pentagon or a hexagon to prevent rotation and slippage of the abutment 130 mounted on the upper end 125 of the intermediate structure 120 The bottom of the abutment 130 may also have a correspondingly shaped groove for receiving the upper end 125 of the intermediate structure 120 to receive the upper end 125 of the intermediate structure 120 . For example, when the abutment 130 is seated on the hexagonal upper end 125, the abutment 130 may be restricted from rotating or slipping on the upper end 125 of the intermediate structure 120 .

일 실시예에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 구조체(120)는 하단부에 형성된 제 1 구조물(121)을 포함하고, 인공 치근(110)은 내측면에 제 1 구조물(121)을 수용하도록 대응되는 반대 형상의 제 2 구조물(112)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구조물(121)은 중간 구조체(120)의 하단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반지름 방향으로 돌출된 플랜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 2 구조물(112)은 상기 플랜지 형상의 제 1 구조물(121)을 수용할 수 있도록 인공 치근(110)의 내측면에 형성된 트렌치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 2 구조물(112)은 인공 치근(110)의 내측면을 따라 수평 방향으로 일정한 폭만큼 중심축(CL)을 향하여 돌출된 돌출 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제 1 구조물(121)은 상기 돌출 링 형상을 수용할 수 있도록 중간 구조체(120)의 하단부에 형성된 트렌치일 수 있다. 1, the intermediate structure 120 includes a first structure 121 formed at a lower end thereof, and the artificial root 110 is adapted to receive a first structure 121 at an inner side thereof, Lt; RTI ID = 0.0 > 112 < / RTI > For example, the first structure 121 may have a flange shape protruding radially from the lower end of the intermediate structure 12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second structure 112 may be a trench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artificial root 110 to accommodate the flange-like first structure 121. In another embodiment, the second structure 112 may have a protruding ring shape protruding toward the central axis CL by a certain width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artificial root 110. In this case, the first structure 121 may be a trench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intermediate structure 120 to accommodate the projecting ring shape.

인공 치근(110)과 중간 구조체(120)를 결합하기 위하여, 중간 구조체(120)가 인공 치근(110)의 장공(111)으로 삽입되어 인공 치근(110)의 저부를 향하여 진행하다가 중간 구조체(120)의 제 1 구조물(121)이 인공 치근(110)의 제 2 구조물(112)에 수용되거나 제 2 구조물(112)이 제 1 구조물(121)에 수용되는 경우 중간 구조체(120)가 인공 치근(110)에 체결된다. The intermediate structure 120 is inserted into the elongated hole 111 of the artificial root 110 and moves toward the bottom of the artificial root 110 to join the artificial root 110 and the intermediate structure 120 to the intermediate structure 120 When the first structure 121 of the artificial root 110 is accommodated in the second structure 112 of the artificial root 110 or the second structure 112 is accommodated in the first structure 121, 110).

일 실시예에서, 제 1 구조물(121)은 제 1 경사면(121a)을 가질 수 있다. 제 1 경사면(121a)은 중심축(CL)을 따라 인공 치근(110)의 하부로 진행시 중간 구조체(120)를 안내하기에 적합하도록 인공 치근(110)의 테이퍼 형상의 장공의 경사면과 중심축 사이의 각도보다 더 크고 90˚보다 작은 각도를 가질 수 있다. 제 1 구조물(121)은 제 2 경사면(121b)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제 2 경사면(121b)은 중간 구조물(120)의 체결 후 인공 치근(110)으로부터 중간 구조체(120)의 탈착이 용이하게 하는 적합한 각도를 가질 수 있다. 전술한 제 1 경사면(121a)과 제 2 경사면(121b)은 중심축(CL)에 평행한 평면으로 절취시의 교차선이 직선, 볼록한 곡선 또는 상기 직선과 곡선의 조합을 갖는 돌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유사하게, 제 2 구조물(112)이 돌출된 플랜지 형상을 갖는 경우, 제 2 구조물(112)도 상기 제 1 경사면과 상기 제 2 경사면을 가질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irst structure 121 may have a first inclined surface 121a. The first inclined surface 121a is formed to have an inclined surface of a tapered slot of the artificial tooth 110 and a central axis of the artificial tooth 110, Lt; RTI ID = 0.0 > 90. ≪ / RTI > The first structure 121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inclined surface 121b. The second inclined surface 121b may have an appropriate angle to facilitate detachment of the intermediate structure 120 from the artificial root 110 after fastening of the intermediate structure 120. [ The first inclined surface 121a and the second inclined surface 121b described above are planes parallel to the central axis CL, and the intersecting line at the time of cutting may have a straight line, a convex curve, or a protruding shape having a combination of the straight line and the curved line. have. Similarly, when the second structure 112 has a protruding flange shape, the second structure 112 may also have the first inclined surface and the second inclined surface.

도 1은 인공 치근(110)과 중간 구조체(120)를 체결하기 위한 구조물로서 홈(112)과 돌기(121a)를 예시하지만, 인공 치근(110)과 중간 구조체(120)는 링 또는 마찰 클립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링 또는 마찰 클립에 관하여는, 본 출원인에 의해 2014년 5월 23일자로 출원되고 본 명세서에 참조에 의해 그 전체가 포함된 한국 특허 출원 제10-2014-0062128호의 개시 사항을 참조할 수 있다. Figure 1 illustrates a groove 112 and a protrusion 121a as a structure for fastening the artificial root 110 and the intermediate structure 120. The artificial root 110 and the intermediate structure 120 are formed of a ring or a friction clip . As regards the ring or friction clip, reference can be made to the disclosure of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14-0062128, filed May 23, 2014, which is hereby incorporated by reference in its entirety .

일 실시예에서, 중간 구조체(120)는 하부에 형성된 분지 구조(126)를 포함할 수 있다. 분지 구조(126)의 내부에는 중간 구조체(120)와 지대주(130)의 강성 결합을 위한 결합 부재(140)가 체결되도록 결합 홈(122)을 포함한다. 분지 구조(126)는 일정 간격만큼 분리된 복수의 편들(126P)을 포함한다. 이들 복수의 편들(126P)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4등분 된 부채꼴이 2등분, 3등분 또는 5등분 이상의 부채꼴 형상의 단부를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편들은 사각형, 오각형 또는 육각형 이상의 다각형이 2등분 또는 3등분 이상으로 분할된 형상의 단부를 가질 수도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intermediate structure 120 may include a branch structure 126 formed at the bottom. The branch structure 126 includes an engagement groove 122 for fastening a coupling member 140 for rigid coupling between the intermediate structure 120 and the abutment. The branch structure 126 includes a plurality of pieces 126P separated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s shown in FIG. 2, the plurality of pieces 126P may have a fan-shaped end divided into quadratic, quadratic, or quadratic parts. In another embodiment, the plurality of pieces may have ends of a shape in which a polygon of a square shape, a pentagon shape, or a hexagon shape or the like is divided into two equal parts or more than three equal parts.

중간 구조체(120)의 하부가 분지 구조를 갖는 경우 중간 구조체(120)가 인공 치근(110)에 결합되기 위해 인공 치근(110)의 저부로 중간 구조체(120)가 안내되는 동안 복수의 편들(126P)이 화살표 A 방향으로 오므라드는 변형을 통하여 인공 치근(110)의 제 2 구조물(112)과 중간 구조체(120)의 제 1 구조물(121)이 용이하게 체결되도록 한다. 제 1 구조물이 제 2 구조물에 도달하면 중간 구조체(120)의 복수의 편들(126P)은 다시 화살표 B 방향으로 벌려지는 변형으로 탄성적으로 복원되어 제 1 구조물과 제 2 구조물이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중간 구조체(120)의 분지 구조(126)는 중간 구조물과 인공 치근이 체결된 이후에 지대주로부터 전달되는 응력에 대하여 중간 구조물이 장공 내에서 수평 방향으로 미소 변위를 허용함으로써 응력의 완화 또는 감소를 확보할 수 있다. While the intermediate structure 120 is guided to the bottom of the artificial root 110 so that the intermediate structure 120 is coupled to the artificial root 110 when the lower portion of the intermediate structure 120 has a branch structure, The second structure 112 of the artificial root 110 and the first structure 121 of the intermediate structure 120 are easily fastened through the deformation. When the first structure reaches the second structure, the plurality of pieces 126P of the intermediate structure 120 are elastically restored by deforming in the direction of arrow B again, so that the first structure and the second structure can be fastened. In addition, the branch structure 126 of the intermediate structure 120 allows the intermediate structure to undergo slight displacemen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ithin the slot relative to the stress transmitted from the abutment after the intermediate structure and the artificial root are engaged, thereby relieving or reducing the stress .

일 실시예에 따르면, 중간 구조체(120)가 인공 치근(110)에 체결된 후 인공 치근(110)의 바닥면과 중간 구조체(120)의 하면 사이에는 갭(G)이 제공될 수 있다. 갭(G)은 중간 구조체(120)와 인공 치근(110) 사이의 유격으로서 중간 구조체(120)의 미소 변위를 허용하거나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생체 적합성 탄성 물질을 채워 음식물의 저작 과정이나 이갈이 또는 이악물기와 같은 위해한 응력으로부터 임플란트 유닛(100)과 치조골(101)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다.A gap G may be provided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artificial root 110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intermediate structure 120 after the intermediate structure 120 is fastened to the artificial root 110. The gap G allows slight displacement of the intermediate structure 120 as a clearance between the intermediate structure 120 and the artificial root 110 or by filling the biocompatible elastic material as described below to make the food masticate, So that the implant unit 100 and the alveolar bone 101 can be protected.

일 실시예에서, 중간 구조체(120) 및 지대주(130)의 내측면에는 결합 부재(140)가 회전 결합되어 체결된다. 결합 부재(140)는 결합의 정도에 따라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은 단형 결합 부재(shortened assembling element)(141)와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 장형 결합 부재(elongated assembling element)(142)일 수 있다. 결합 부재(140)가 중간 구조체(120) 및 지대주(130)의 내측면에 회전 결합되어 체결됨으로써 중간 구조체(120)가 인공 치근(110)에 더 단단하게 결합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인공 치근(110)이 치조골(101)에 더 단단하게 결합될 수 있다. 중간 구조체(120) 및 지대주(130)의 내측면에는 나사산(123, 134)이 형성되고, 결합 부재(140)로서 스크류가 나사산(123,134)에 회전 결합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inner surface of the intermediate structure 120 and the abutment 130 is rotationally coupled to the coupling member 140. The coupling member 140 may be a shortened assembling element 141 having a relatively short length and an elongated assembling element 142 having a relatively long length depending on the degree of coupling. The coupling member 14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intermediate structure 120 and the abutment 130 so that the intermediate structure 120 can be more firmly coupled to the artificial root 110, 110 may be more tightly coupled to the alveolar bone 101. Threads 123 and 134 are formed on the inner surfaces of the intermediate structure 120 and the abutment 130 and the screw can be rotationally coupled to the threads 123 and 134 as the engaging member 140. [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형 결합 부재(132)는 환자의 치조골이 다소 약한 경우, 중간 구조체(120)와 인공 치근(110) 사이에 연성 결합을 가능하게 하여 일정 범위 내에서 임플란트 유닛(100B)의 움직임을 허용할 수 있어 정상적인 저작활동이나 비정상적인 응력, 예컨대 이갈이에 의한 응력으로부터 임플란트 유닛(100B)과 치조골(101)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임플란트 유닛을 치조골에 매식한 직후에는 치조골과 임플란트 유닛 사이의 결합이 약한 상태이므로 이때 단형 결합 부재(141)에 의한 연성 결합으로 인하여 임플란트 유닛(100B)에 가해지는 응력을 분산하거나 응력의 전달을 부분적으로 차단할 수 있어 임플란트 유닛(100B)이 매식된 직후부터 정상적인 기능을 할 수 있다. 2, when the alveolar bone of the patient is somewhat weak, the short-type coupling member 132 allows soft coupling between the intermediate structure 120 and the artificial root 110, so that the implant unit 100B ) To allow the implant unit 100B and the alveolar bone 101 to be protected from normal chewing activity or stress due to abnormal stress, for example, irritation. Immediately after implanting the implant unit into the alveolar bone, since the alveolar bone and the implant unit are weakly coupled, the stress applied to the implant unit 100B is dispersed due to the soft coupling by the single- The implant unit 100B can perform a normal function immediately after implantation.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형 결합 부재(142)는 중간 구조체(120) 및 지대주(130)의 내측면에 회전 결합되고 장형 결합 부재(142)의 말단은 중간 구조체(120)를 관통하여 인공 치근(110)과 중간 구조체(120) 사이에 형성된 갭(G)에 돌출되어 체결된다.3, the elongated engaging member 142 is rotatably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intermediate structure 120 and the abutment 130 and the distal end of the elongated engaging member 142 penetrates the intermediate structure 120 And is protruded and fastened to a gap G formed between the artificial root 110 and the intermediate structure 120.

일 실시예에서, 중간 구조체(120)는 하단의 내측면에 장형 결합 부재(142)를 체결하도록 형성된 돌기(127)를 가지고, 장형 결합 부재(142)는 외주면을 따라 돌기(127)를 수용하도록 대응되는 반대 형상의 홈(143)을 가진다. 장형 결합 부재(142)가 지대주(130) 및 중간 구조체(120)에 체결됨으로써 인공 치근(110)이 치조골(101)에 강성 결합될 수 있다. 장형 결합 부재(142)는 분리식 또는 일체식일 수 있다. 분리식 장형 결합 부재(142)는 제1 장형 결합 부재(142A)와 제2 장형 결합 부재(143A)를 가지며, 제1 장형 결합 부재(142A)가 중간 구조체(120)에 형성된 결합 홈(122)에 회전 결합하고 홈(143)에 중간 구조체(120)의 돌기(127)가 체결된 다음, 제2 장형 결합 부재(142B)가 중간 구조체(120) 및 지대주(130)에 회전 결합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intermediate structure 120 has a protrusion 127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lower end to fasten the elongated engagement member 142, and the elongated engagement member 142 is configured to receive the protrusion 127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has a corresponding opposite-shaped groove 143. The artificial root 110 can be rigidly coupled to the alveolar bone 101 by fastening the elongate engaging member 142 to the abutment 130 and the intermediate structure 120. The elongated engagement member 142 may be separate or integral. The detachable long type engaging member 142 has a first elongated engaging member 142A and a second elongated engaging member 143A and the first elongated engaging member 142A has an engaging groove 122 formed in the intermediate structure 120, And the second elongated engaging member 142B can be rotationally coupled to the intermediate structure 120 and the abutment 130 after the protrusion 127 of the intermediate structure 120 is fastened to the groove 143. [

상술한 바와 같이 중간 구조체(120)는 인공 치근(110)의 장공(111)에 결합되어 지대주(130) 및 보철물(150)로부터 전달되는 응력을 인공 치근(110)과 함께 흡수하고 분산시킬 수 있다. 중간 구조체(120)는 티타늄(Ti), 의과용 스텐레스 스틸(surgical stainless steel), 금(Au), 백색 세라믹 지르코늄(Zr) 및 그 등가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이들 재료들은 예시적이며, 당업자라면 중간 구조체(120)로서 응력을 흡수 및 분산시킬 수 있는 임의의 재료가 적용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The intermediate structure 120 is coupled to the elongated hole 111 of the artificial root 110 and absorbs and disperses the stress transmitted from the abutment 130 and the prosthesis 150 together with the artificial root 110 . The intermediate structure 120 may be formed of any one selected from titanium (Ti), surgical stainless steel, gold (Au), white ceramic zirconium (Zr), and the like. These materials are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any material capable of absorbing and dispersing stresses as intermediate structure 120 may be applied.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지대주(130)는 중간 구조체(120)에 결합될 수 있다. 중간 구조체(120)에 결합된 지대주(130)는 인공 치아 또는 보철물(150)이 장착되기 위한 지지체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Also, as described above, the abutment 130 can be coupled to the intermediate structure 120. The abutment 130 coupled to the intermediate structure 120 serves as a support for mounting the artificial teeth or the prosthesis 150.

지대주(130)는 티타늄(Ti), 의과용 스텐레스 스틸(surgical stainless steel), 금(Au), 백색 세라믹 지르코늄(Zr) 및 그 등가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 지대주(130)의 재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지대주(130)는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형상기억합금으로 제조될 수도 있다.The abutment 130 may be formed of any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itanium (Ti), surgical stainless steel, gold (Au), white ceramics zirconium (Zr), and the like, But is not limited to the material of For example, the abutment 130 may be made entirely or partially of a shape memory alloy.

지대주(130)의 상부 및/또는 하부에 각각 요철 패턴(131, 132)이 제공될 수 있다. 상부의 요철 패턴(121)은 이에 결합되는 인공 치아 또는 보철물(150)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하부의 요철 패턴(132)은 중간 구조체(120)와 결합시 지대주(130)의 상대 회전을 방지하여 안정된 결합을 유도할 수 있다.Concave and convex patterns 131 and 132 may be provided on upper and / or lower portions of the abutment 130, respectively. The concave-convex pattern 121 on the upper side can improve the binding force of the artificial teeth or the prosthesis 150 coupled thereto. The lower concave-convex pattern 132 prevents relative rotation of the abutment 130 when coupled with the intermediate structure 120, thereby inducing stable coupling.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지대주(130)의 저부는 중간 구조체(120)의 상단부(125)를 수용하기 위한 홈 영역을 가질 수 있다. 중간 구조체(120)의 상단부(125)가 상방으로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형인 경우 지대주(130)의 홈 영역과 상단부(125)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키고 경사면을 제공함으로써 지대주(130)의 저부와 중간 구조체(120)이 상단부(125)의 결합 부위에서 발생하는 응력을 분산시켜 피로도를 감소시킴으로써 임플란트 유닛(100)의 수명을 증가시키고 시술시 상기 경사면이 가이드 역할을 하여 지대주(130)의 저부와 중간 구조체(120)의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Referring again to FIG. 1, the bottom of the abutment 130 may have a groove region for receiving the upper end 125 of the intermediate structure 120. When the upper end portion 125 of the intermediate structure 120 is tapered so as to be narrow in the upward direction,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groove region of the abutment 130 and the upper end portion 125 is increased and the inclined surface is provided, Since the structure 120 disperses the stress generated at the joint portion of the upper end portion 125 to reduce the fatigue, the lifetime of the implant unit 100 is increased and the inclined surface serves as a guide during the operation, The structure 120 can be easily coupled.

중간 구조체(120)의 상단부(125)에 탑재된 지대주(130) 상에는 인공 치아 또는 보철물(150)이 탑재된다. 지대주(130)와 중간 구조체(120) 사이의 결합은 결합 부재(140)에 의해 강하게 체결될 수 있다. An artificial tooth or prosthesis 150 is mounted on the abutment 130 mounted on the upper end 125 of the intermediate structure 120. The coupling between the abutment 130 and the intermediate structure 120 can be tightly coupled by the coupling member 140.

상기 실시예에 따르면, 중간 구조체(120)에 의해 인공 치근(110)의 매식 후에 즉시 기능이 가능하다. 또한, 중간 구조체(120)는 음식물의 저작 과정이나 이갈이 또는 이악물기와 같은 위해한 충격으로부터 임플란트 유닛과 치조골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function immediately after implantation of the artificial root 110 by the intermediate structure 120. In addition, the intermediate structure 120 protects the implant unit and the alveolar bone from impacts such as chewing, toothbrushing, or twisting of food.

도 5를 참조하면, 임플란트 유닛(100D)는, 치조골(101)에 매시되는 인공 치근(110), 중간 구조체(120)의 상단부(125)에 결합되는 지대주(130) 및 지대주(130)를 인공 치근(110)에 결합시키는 결합 부재(140)를 포함할 수 있다. 환자의 치조골이 다소 약한 경우, 임플란트 유닛(100D)은 중간 구조체(120)와 인공 치근(110) 사이의 결합이 다소 느슨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중간 구조체(120)와 인공 치근(110)의 장공(111) 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격(R1, R2)이 포함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이들 유격들(R1, R2, R3) 내에는 생리적합성 물질 중에서 중간 구조체(120)와 인공 치근(110)의 체결을 쉽게 하는 윤활 성분이 채워질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유격(R1)에는 부드러운 테이퍼형 링이나 클립, 또는 탄성 소재가 채워질 수도 있다. 제2 유격(R2)은 빈 공간으로 잔류될 수도 있다.5, the implant unit 100D includes an artificial root 110 that is meshed with the alveolar bone 101, an abutment 130 coupled to the upper end 125 of the intermediate structure 120, and an abutment 130, And a coupling member 140 for coupling to the root 110. When the alveolar bone of the patient is somewhat weak, the implant unit 100D is inserted into the elongated holes 111 of the intermediate structure 120 and the artificial root 110, so that the coupling between the intermediate structure 120 and the artificial root 110 can be somewhat loosened. ) May include at least one clearance (R1, R2). In some embodiments, these clearances R1, R2, R3 may be filled with a lubricating component that facilitates fastening of the intermediate structure 120 and the artificial root 110 among physiological synthetic materials. In some embodiments, the first clearance R1 may be filled with a soft tapered ring or clip, or an elastic material. And the second clearance R2 may remain as an empty space.

전술한 실시예들에 관한 사항은 모순되지 않는 한 상호 호환되어 사용되거나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다. The matters rela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may be used mutually interchangeably or in combination as long as they are not contradictory.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 유닛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following claim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100A, 100B, 100C, 100D; 임플란트 유닛들
110; 인공 치근 111; 장공
112; 제2 구조물 113; 몸체
113T; 스텝 114; 나사산
120; 중간 구조체 121; 제1 구조물
121a; 돌기 122; 결합 홈
123; 나사산 124; 카운터 스텝
125; 상단부 126; 분지 구조
127; 돌기
130; 지대주 131, 132; 요철 패턴
133; 결합 홈 134; 나사산
140; 결합 부재 141; 단형 결합 부재
142; 장형 결합 부재 143; 홈
150: 보철물 G: 갭
100A, 100B, 100C, 100D; Implant units
110; Artificial root 111; Long hole
112; A second structure 113; Body
113T; Step 114; Thread
120; Intermediate structure 121; The first structure
121a; A projection 122; Joining groove
123; Threads 124; Counter step
125; An upper end 126; Branch structure
127; spin
130; Abutment 131, 132; Uneven pattern
133; A coupling groove 134; Thread
140; A coupling member 141; The short-
142; An elongated fitting member 143; home
150: prosthesis G: gap

Claims (7)

치조골에 결합되며 내부에 장공이 형성된 인공 치근;
상기 인공 치근의 상기 장공에 삽입되는 중간 구조체; 및
상기 중간 구조체에 결합된 지대주를 포함하고,
상기 중간 구조체의 하부는 서로 이격된 복수의 편들을 포함하는 분지 구조를 포함하는 임플란트 유닛.
Artificial root attached to the alveolar bone and having a long hole formed therein;
An intermediate structure inserted into the elongated hole of the artificial root; And
An abutment coupled to the intermediate structure,
Wherein the lower portion of the intermediate structure comprises a branch structure including a plurality of pieces spaced from each oth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 치근 및 상기 중간 구조체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 제 1 구조물과 나머지 하나에 상기 제 1 구조물을 수용하는 제 2 구조물에 의해 상기 인공 치근과 상기 중간 구조체가 체결되고,
상기 제 1 구조물은 상기 중간 구조체의 하단부에 형성된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구조물은 상기 돌기를 수용하도록 상기 인공 치근의 내측면 형성된 홈을 포함하는 임플란트 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rtificial tooth root and the intermediate structure are fastened by a first structure formed on at least one of the artificial root and the intermediate structure and a second structure accommodating the first structure to the remaining one,
Wherein the first structure includes protrusions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intermediate structure, and the second structure includes grooves formed at the inner side of the artificial tooth root to receive the protrusions.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구조체 및 상기 지대주의 내측면에 회전 결합되는 결합 부재를 포함하는 임플란트 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n engaging member rotatably coupled to the intermediate structure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abutment.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부재는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은 단형 결합 부재 또는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 장형 결합 부재인 임플란트 유닛.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engaging member is a short engaging member having a relatively short length or a long engaging member having a relatively long length.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구조체의 내주면을 따라 결합 부재를 체결하기 위한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 부재에는 상기 돌기를 수용하기 위한 홈이 형성된 임플란트 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protrusion is formed for fastening the engaging member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termediate structure,
Wherein the engaging member is provided with a groove for receiving the projec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 치근의 바닥면과 상기 중간 구조체의 하면 사이에는 갭이 형성된 임플란트 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gap is formed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artificial root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intermediate structure.
KR1020150010147A 2015-01-05 2015-01-21 Implant unit KR101608171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0147A KR101608171B1 (en) 2015-01-21 2015-01-21 Implant unit
US14/987,873 US10653506B2 (en) 2015-01-05 2016-01-05 Implant un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0147A KR101608171B1 (en) 2015-01-21 2015-01-21 Implant uni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8171B1 true KR101608171B1 (en) 2016-03-31

Family

ID=55652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0147A KR101608171B1 (en) 2015-01-05 2015-01-21 Implant uni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8171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4931B1 (en) * 2008-03-19 2010-04-27 정유진 Implant system with a division type of abutmen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4931B1 (en) * 2008-03-19 2010-04-27 정유진 Implant system with a division type of abutm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2353B1 (en) Dental implant
KR102085066B1 (en) Dental implant
US8540512B2 (en) Dental implant system
KR101173758B1 (en) Implant unit using hook pin combination structure
KR101669893B1 (en) The dual structure abutments of the implant
KR100938991B1 (en) Mini implant
KR101660183B1 (en) Implant unit
KR101608176B1 (en) Implant unit
KR20080049378A (en) Implant unit using dentistry
KR100662583B1 (en) Crown temporary fixation implant unit
KR101646168B1 (en) Dental Implant assembly
KR102097376B1 (en) Implants that can distribute the force of the implants and are easy to detachable
KR101608170B1 (en) Implant unit
KR101090203B1 (en) Dental implant fixture and method for menufacturing the dental implant fixture
US10743966B2 (en) Implant unit
KR101608169B1 (en) Implant unit
KR101608167B1 (en) Implant unit
JP6649555B2 (en) Integrated implant
KR101608171B1 (en) Implant unit
KR20140059679A (en) Dental implant abutment
JP2001523132A5 (en)
KR20180009101A (en) Implant unit
KR200392241Y1 (en) Dental Temporary Implant
AU2013357849A1 (en) One-part or multi-part implant system comprising a mounting element having one or more outer rings
KR101608136B1 (en) Implant un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