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8082B1 - 탁구 네트장치 - Google Patents

탁구 네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8082B1
KR101608082B1 KR1020150168147A KR20150168147A KR101608082B1 KR 101608082 B1 KR101608082 B1 KR 101608082B1 KR 1020150168147 A KR1020150168147 A KR 1020150168147A KR 20150168147 A KR20150168147 A KR 20150168147A KR 101608082 B1 KR101608082 B1 KR 1016080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
table tennis
fixing
ping
po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81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성민
Original Assignee
홍성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성민 filed Critical 홍성민
Priority to KR10201501681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80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80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80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7/00Sporting games or accessories therefor,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B1/00 - A63B65/00
    • A63B67/04Table games physically beneficial for the human body, modelled on outdoor sports, e.g. table tennis
    • A63B67/045Supports for table tennis ne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1/00Tennis nets or accessories for tennis or like games, e.g. volley-ball
    • A63B61/003Nets for tennis or like games or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1/00Tennis nets or accessories for tennis or like games, e.g. volley-ball
    • A63B61/04Straining or adjusting devices for nets, e.g. centre strainers, single-double adjusters, net height met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16Table tenn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탁구공이 네트에 걸릴 경우 사용자가 위치하는 탁구대의 단부측 방향으로 자유 낙하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수집할 수 있어, 탁구를 편리하게 즐길 수 있도록;
탁구대의 상판에 배치되어 공간을 분할하여 구획하는 네트와, 상기 네트의 양단을 상기 탁구대에 고정지지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탁구 네트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네트는, 수직부의 하단에 위치하는 분기부위를 중심으로 하부가 상기 수직부를 중심으로 양측방향으로 경사면을 형성하면서 상기 탁구대의 상판의 공간을 분할하여 구획하도록 된 한 쌍의 분기편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탁구 네트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탁구 네트장치{A table tennis net equipment}
본 발명은, 탁구대에 설치되어 탁구대의 공간을 분할 구획하여 탁구게임을 즐기도록 된 탁구 네트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탁구공이 네트에 걸릴 경우 사용자가 위치하는 탁구대의 단부측 방향으로 자유 낙하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수집할 수 있어, 탁구를 편리하게 즐길 수 있도록 된 탁구 네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탁구는 스포츠의 한 종류로써, 누구나 접할 수 있는 스포츠로, 그 장비로 탁구라켓과 탁구공 및 탁구대가 있다.
상기에서 탁구대(ping pong table)는, 탁구 경기에 사용되는 탁자 혹은 테이블을 가리키는 것으로, 탁구공이 튀는 탁구대 상판과 탁구대 상판의 중앙 영역에 배치되어 탁구대의 공간을 분할하여 구획하는 네트를 가진 네트장치와 탁구대 상판을 지면에 대해 일정 높이 지지하는 다리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탁구대 상판의 면적, 네트의 높이 및 강도, 그리고 브리지의 높이는 탁구 규칙에 맞게 적절하게 설계되어 사용된다.
한편, 상기한 네트장치는, 상기 탁구대의 상판에 설치되어 공간을 분할하여 구획하는 네트와, 상기 네트의 양단을 상기 탁구대에 고정지지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고정수단은, 전면에 상기 네트의 상단과 하단을 각각 고정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가 직립된 상태로 고정되며 상기 탁구대의 단부에 결합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체결부재를 통해 상기 네트가 고정된 상기 고정부재를 상기 탁구대에 고정하게 된다.
상기한 체결부재는, 상기 탁구대에 끼움결합하거나 클립고정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통상적으로 스프링에 의해 탄성력을 가지는 집게구조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한국실용신안등록공고번호 제20-1991-0004703호(명칭: 탁구 내트 자동권취수납 및 고정장치)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2세트의 크램프를 구비하고, 2개의 크램프의 주체는 감합 하우징과 원통체와 결합하는 L형의 형체이며, 상기 감합 하우징의 내측단에서 상부 협지판을 각각 설치하고 하부에는 가동 블럭을 각각 삽입 설치하여 이 내부에 스프링을 감합 하우징의 고정점과 가동 블럭의 연결봉에 사이에 각각 탄력 설치하되 상기 가동 블럭이 상향으로 항시 부세력을 받도록 하고, 상기 가동블럭의 하단에 하부 협지판을 형성하여 상기 상부 협지판과의 사이에 U형 협지홈을 형성하며, 일측의 원통체의 내부에 하나의 회전축을 설치하고 상부는 뚜껑으로 복착시키고 하부에는 귄취스프링을 설치하여 상기 회전축이 복원력을 갖도록 하고, 상기 원통체의 최하단부에 원주형의 회동구를 돌출되게 상기 원통체에 삽입설치하여 상기 회전축과 연동되게 하며, 네트의 일단은 상기 회전축에 고정시키고 타단은 상기 원통체의 측방으로 인출시켜서 이에 원호상 계지판을 결합시키고 또 다른 원통체의 측방에는 절결부를 형성하고 이 상부에 뚜껑으로 복착하여 구성된 네트 고정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한편, 한국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0389814호(명칭: 스토핑 기어식 탁구네트 지주대)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탁구네트 지주대의 외부 측면에 부착되어 있는 기어와 상기 기어를 고정시킬 수 있는 스토파와: 상기 기어와 연결된 원통형 바로 구성된 네트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그리고, 한국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0456760호(명칭: 야외용 탁구대)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일정한 두께를 갖는 테이블 중앙에 네트를 구비하고, 테이블의 하부에는 테이블을 지지하는 다리가 있는 탁구대에 있어서, 양측 다리 사이의 중간에 각각의 다리를 서로 연결하는 지지대를 결합 설치하며, 네트의 재질을 HPL(하이 프레셔 라미네이트)로 형성하여 테이블의 중앙에 고정결합 설치하는 탁구대기 기재되어 있다.
또한, 한국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0170324호(명칭: 탁구대용 네트 이동장치)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중앙 양단의 폴대에 네트를 결합하는 탁구대에 있어서, 상기 탁구대의 중앙측 양단에는 센티미터 또는 인치간격의 눈금을 표시하고, 그 눈금은 네트가 좌,우로 이동될 때 네트와 함께 이동되는 지시침이 이동된 위치를 지시할 수 있도록 하여서 된 네트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1, 한국실용신안등록공고번호 제20-1991-0004703호 2, 한국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0389814호 3, 한국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0456760호 4, 한국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0170324호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탁구 네트장치들은, 탁구대의 상판에 대한 공간을 분할하고 구획할 수는 있으나, 게임 도중에 탁구공이 네트에 걸려 멈춤될 때에는, 탁구공이 네트 주변에 낙하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일일이 네트가 위치된 공간으로 이동하여 탁구공을 수거하여야만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속도가 빠른 탁구공이 네트의 하단을 통해 상대 측 공간으로 이동될 때에는 육안으로 인지하기 어려워 득실 여부를 판독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탁구공이 네트에 걸릴 경우 사용자가 위치하는 탁구대의 단부측 방향으로 자유 낙하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수집할 수 있어, 탁구를 편리하게 즐길 수 있으며, 탁구공이 네트의 하부로 타격 되더라도 상대 측 공간으로 넘어가지 않도록 득실 여부를 용이하게 판독할 수 있도록 된 탁구 네트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탁구 네트장치는, 탁구대의 상판에 배치되어 공간을 분할하여 구획하는 네트와, 상기 네트의 양단을 상기 탁구대에 고정지지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탁구 네트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네트는, 수직부의 하단에 위치하는 분기부위를 중심으로 하부가 상기 수직부를 중심으로 양측방향으로 경사면을 형성하면서 상기 탁구대의 상판의 공간을 분할하여 구획하도록 된 한 쌍의 분기편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고정수단은, 전면에 상기 네트의 수직부의 상단과 상기 분기편들의 하단을 각각 고정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가 직립된 상태로 고정되며 상기 탁구대의 단부에 결합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탁구 네트장치는, 네트를 구성하는 상기 분기편들이 탁구대에 경사면을 형성하면서 배치되어, 탁구공이 네트의 수직부 및 분기편에 걸리어 낙하할 경우, 상기 분기편의 경사면을 통해 탁구대의 단부측 방향으로 유도됨은 물론, 낙하에너지를 통한 추진력에 의해 탁구대의 단부로 이동하게 되어 사용자가 원활하게 수거하여 운동을 즐길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이와 더불어, 탁구공이 네트의 하부로 타격 되더라도, 상기 한 쌍의 분기편들에 의해 각각 차단되어 상대 측 공간으로 넘어가지 않아 득실 여부를 용이하게 판독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탁구 네트장치를 보인 개략 사시 예시도.
도 2는, 본 실시 예에 의한 탁구 네트장치에 적용되는 고정수단을 보인 개략 예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실시 예에 의한 탁구 네트장치의 설치상태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5는, 본 실시 예에 의한 탁구 네트장치를 보인 일부 발췌 개략 예시도.
도 6은, 본 실시 예에 의한 탁구 네트장치의 사용상태를 보인 일부 발췌 개략 예시도.
도 7 및 도 8은, 본 실시 예에 의한 탁구 네트장치를 보인 일부 발췌 개략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탁구 네트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탁구 네트장치를 보인 도면으로, 본 실시 예에 의한 탁구 네트장치(1)는, 탁구대(2)의 상판에 배치되어 공간을 분할하여 구획하는 네트(3)와, 상기 네트(3)의 양단을 상기 탁구대(2)에 고정지지하는 고정수단(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고정수단(4)을 통해 상기 네트(3)가 상기 탁구대(2)의 상판을 가로지르면서 배치되게 설치되어 상기 탁구대(2)의 상판의 공간을 분할하여 구획함으로써 탁구를 즐기게 된다.
이러한, 본 실시 예에 의한 탁구 네트장치(1)에서, 상기 네트(3)는, 그물망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네트(3)는, 상부를 구성하는 수직부(31)의 하단에 위치하는 분기부위를 중심으로 하부가 상기 수직부(31)를 중심으로 양측방향으로 경사면을 형성하면서 상기 탁구대(2)의 상판의 공간을 분할하여 구획하도록 된 한 쌍의 분기편(32)들을 가진다.
즉, 상기 수직부(31)는 단일의 망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분기편(32)들이 상기 분기부위에서 각각 분기되어 한 쌍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네트(3)를 구성하는 상기 분기편(32)들이 탁구대(2)의 상판에 경사면을 형성하면서 배치될 수 있어, 탁구공이 네트의 수직부(31) 및 분기편(32)에 걸리어 낙하할 경우, 상기 분기편(32)가 형성하는 경사면을 통해 탁구대(2)의 단부측 방향으로 유도된다.
이와 더불어, 탁구공이 낙하에너지를 통한 추진력에 의해 탁구대(2)의 단부로 이동하게 되어 사용자가 원활하게 수거하여 운동을 즐길 수 있게 된다.
아울러, 탁구공이 네트(3)의 하부로 타격 되더라도, 상기 한 쌍의 분기편(32)들에 의해 각각 차단되어 상대 측 공간으로 넘어가지 않아 득실 여부를 용이하게 판독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한 수직부(31)의 상단과 상기 분기편(32)들의 하부에서 양측단에는, 상기 고정수단(4)과 연결되는 와이어(33)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탁구 네트장치(1)에서, 상기한 고정수단(4)은, 전면에 상기 네트(3)의 수직부(31)의 상단과 상기 분기편(32)들의 하단을 각각 고정하는 고정부재(41)와, 상기 고정부재(41)가 직립된 상태로 고정되며 상기 탁구대(2)의 단부에 결합하는 체결부재(4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체결수단(42)을 통해 상기 탁구대(2)에 고정되는 상기 고정부재(41)를 통해 상기 네트(3)의 와이어(33)들이 각각 고정되어 상기 네트(3)가 탁구대(2)의 상판의 공간을 분할하면서 구획하도록 배치된다.
상기에서 고정부재(41)는, 상기 분기편(32)들의 하단이 사이 간격을 가지면서 벌어져 상기 분기편(32)들이 상기 분기부위를 중심으로 경사면을 형성하도록 상기 와이어(33)들을 고정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체결부재(42)는, 상기 탁구대(2)에 끼움 결합하거나 클립고정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스프링에 의해 탄성력을 가지는 집게구조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탁구 네트장치(1)에서, 상기한 고정부재(41)는, 상기 체결부재(42)에 직립되게 결합하며 전면에 수직방향으로 개구가 내측공간 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안내홈(411)이 형성되는 지지프레임(412)과, 상기 지지프레임(412)의 안내홈(411)에서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끼움 결합하며 전면에 상기 네트(3)의 수직부(31)에서 연결된 와이어(33)가 고정되는 고리(51)를 가지는 고정체(5)가 구비되는 수직링크(413)와, 상기 수직링크(413)의 하단에 회전가능하게 각각 축결합하며 상기 분기편(32)들에서 연결된 와이어(33)가 각각 고정되는 고리(51)를 가지는 고정체(5)가 각각 구비되는 한 쌍의 분기링크(414)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상기 분기링크(414)들을 상기 수직링크(413)를 중심으로 벌리면, 상기 분기편(32)들의 하단이 벌어지게 되어, 상기 분기편(32)들이 경사면을 형성하면서 상기 탁구대(2)의 상판에 배치된다.
한편, 상기한 수직링크(413)에는 상기 네트(3)의 수직부(31)에서 분기부위와 연결된 와이어(33)가 고정되는 고리(51)를 가지는 고정체(5)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한 지지프레임(412)에는 상기 외부에서 상기 안내홈(411)으로 연통되며 너트홈이 형성된 너트관(6)이 구비되고, 상기 너트관(6)에는 체결볼트(7)가 체결되어, 상기 체결볼트(7)를 통해 상기 수직링크(413)를 가압하여 상기 수직링크(413)의 위치를 고정하도록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탁구 네트장치(1)는, 도 3 및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탁구공이 네트(3)의 수직부(31) 및 분기편(32)에 걸리어 낙하할 경우, 상기 분기편(32)의 경사면을 통해 탁구대(2)의 단부측 방향으로 유도됨은 물론, 낙하에너지를 통한 추진력에 의해 탁구대(2)의 단부로 이동하게 되어 사용자가 원활하게 수거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네트장치 2 : 탁구대
3 : 네트 31 : 수직부
32 : 분기편 33 : 와이어
4 : 고정수단 41 : 고정부재
411 : 안내홈 412 : 지지프레임
413 : 수직링크 414 : 분기링크
5 : 고정체 51 : 고리
6 : 너트관 7 : 체결볼트

Claims (2)

  1. 탁구대(2)의 상판에 배치되어 공간을 분할하여 구획하는 네트(3)와, 상기 네트(3)의 양단을 상기 탁구대(2)에 고정지지하는 고정수단(4)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탁구 네트장치(1)에 있어서;
    상기한 네트(3)는,
    수직부(31)의 하단에 위치하는 분기부위를 중심으로 하부가 상기 수직부(31)를 중심으로 양측방향으로 경사면을 형성하면서 상기 탁구대(2) 상판의 공간을 분할하여 구획하도록 된 한 쌍의 분기편(32)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한 고정수단(4)은,
    전면에 상기 네트(3)의 수직부(31)의 상단과 상기 분기편(32)들의 하단을 각각 고정하는 고정부재(41)와, 상기 고정부재(41)가 직립된 상태로 고정되며 상기 탁구대(2)의 단부에 결합하는 체결부재(4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한 고정부재(41)는,
    상기 체결부재(42)에 직립되게 결합하며 전면에 수직방향으로 개구가 내측공간 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안내홈(411)이 형성되는 지지프레임(412)과, 상기 지지프레임(412)의 안내홈(411)에서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끼움 결합하며 전면에 상기 네트(3)의 수직부(31)에서 연결된 와이어(33)가 고정되는 고리(51)를 가지는 고정체(5)가 구비되는 수직링크(413)와, 상기 수직링크(413)의 하단에 회전가능하게 각각 축결합하며 상기 분기편(32)들에서 연결된 와이어(33)가 각각 고정되는 고리(51)를 가지는 고정체(5)가 각각 구비되는 한 쌍의 분기링크(414)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구 네트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지지프레임(412)에는,
    외부에서 상기 안내홈(411)으로 연통되며 너트홈이 형성된 너트관(6)이 구비되고, 상기 너트관(6)에는 체결볼트(7)가 체결되어, 상기 체결볼트(7)를 통해 상기 수직링크(413)를 가압하여 상기 수직링크(413)의 위치를 고정하도록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구 네트장치.
KR1020150168147A 2015-11-30 2015-11-30 탁구 네트장치 KR1016080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8147A KR101608082B1 (ko) 2015-11-30 2015-11-30 탁구 네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8147A KR101608082B1 (ko) 2015-11-30 2015-11-30 탁구 네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8082B1 true KR101608082B1 (ko) 2016-04-11

Family

ID=55800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8147A KR101608082B1 (ko) 2015-11-30 2015-11-30 탁구 네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808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6517B1 (ko) 2021-03-04 2021-04-29 강윤기 터치네트 감지장치를 구비한 네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5013847A1 (en) 1993-11-18 1995-05-26 Eureka 93 S.R.L. Portable equipment for the realization of sports nets
KR200370483Y1 (ko) 2004-08-20 2004-12-17 송정애 어린이용 탁구대
KR200434364Y1 (ko) * 2006-09-29 2006-12-20 김영일 탁구대용 탁구공 비산 방지기
US20070090601A1 (en) * 2005-10-25 2007-04-26 Grace Liao Bouncing practice ne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5013847A1 (en) 1993-11-18 1995-05-26 Eureka 93 S.R.L. Portable equipment for the realization of sports nets
KR200370483Y1 (ko) 2004-08-20 2004-12-17 송정애 어린이용 탁구대
US20070090601A1 (en) * 2005-10-25 2007-04-26 Grace Liao Bouncing practice net
KR200434364Y1 (ko) * 2006-09-29 2006-12-20 김영일 탁구대용 탁구공 비산 방지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6517B1 (ko) 2021-03-04 2021-04-29 강윤기 터치네트 감지장치를 구비한 네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07568B1 (en) Ball game
FI89767B (fi) Spel med pao magnetisk vaeg manoevrerade spelpjaeser
US6287220B1 (en) Soccer practice return net
US20040242347A1 (en) Training device for ball games
KR102189431B1 (ko) 홀컵 내에 설치된 골프공 배출기
US7927255B2 (en) Trampoline with dual spring elements
KR101608082B1 (ko) 탁구 네트장치
US5060940A (en) Basketball shot return device
US2735682A (en) Basketball game
CN205287522U (zh) 一种吸盘底座足球训练器械
KR200450824Y1 (ko) 투척 게임기구
KR200434364Y1 (ko) 탁구대용 탁구공 비산 방지기
KR101320547B1 (ko) 회전형 골프클럽 및 골프백 보관 장치
US20220032152A1 (en) Shot making training apparatus
KR200388231Y1 (ko) 공 회수기구
CN203816159U (zh) 一种乒乓球台下收集及弹射装置
KR200474263Y1 (ko) 짐볼 행거
US20070249434A1 (en) Training Device for Gymnasium
KR200429703Y1 (ko) 축구 및 농구 겸용 운동기구
KR102415729B1 (ko) 셀프 탁구연습기
CN210992901U (zh) 一种体育教学用便于调节力度的高尔夫训练辅助装置
CN213100719U (zh) 一种篮球训练用的篮球收集装置
JP3228309U (ja) 遊戯装置
US20120329581A1 (en) Basketball Hockey Table
CN212383174U (zh) 一种防止卡球的篮球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