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7893B1 - Apparatus for generating sssep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generating sssep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7893B1
KR101607893B1 KR1020140180473A KR20140180473A KR101607893B1 KR 101607893 B1 KR101607893 B1 KR 101607893B1 KR 1020140180473 A KR1020140180473 A KR 1020140180473A KR 20140180473 A KR20140180473 A KR 20140180473A KR 101607893 B1 KR101607893 B1 KR 1016078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frequency
eeg
generating
evoked potent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047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성환
박희진
Original Assignee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1804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789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78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789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5Input arrangements based on nervous system activity detection, e.g. brain waves [EEG] detection, electromyograms [EMG] detection, electrodermal response det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69Electroencephalography [EE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sychiat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euro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Psych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Abs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device operating method for generating steady-state somatosensory evoked potential (SSSEP) of a brainwave comprises: a step of transmitting a first control signal which generates at least one electric stimulus having a different current, a frequency or a pulse width; a step of receiving a brainwave signal sensed as a response to the generated electric stimulus; a step of eliminating noise from the received brainwave signal; a step of extracting a feature point from the brainwave where noise is eliminated; a step of classifying each of the brainwaves by a command based on the feature point of the brainwave signal; and a step of receiving/transmitting a second control signal whose at least one among a current, a frequency, or a pulse width is changed.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generating somatosensory evoked potential capable of providing different commands of the SSSEP.

Description

정상 상태 체감각 유발 전위 발생 장치 및 그 운용 방법 {APPARATUS FOR GENERATING SSSEP AND OPERATING METHOD THEREOF}[0001] APPARATUS FOR GENERATING SSSEP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0002]

본 발명은 전기 자극을 이용한 SSSEP발생 시스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정상 상태 체감각 유발 전위를 발생하여 다양한 기기의 인터페이스를 제어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SSSEP using an electric stimul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generating a steady state sensory evoked potential to control interfaces of various devices.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rain-Computer Interface) 기술은 사용자의 뇌에서 일어나는 신경세포들의 활동이 컴퓨터에 연결되어, 마우스나 키보드 등의 입력장치가 없어도 컴퓨터와 소통이 가능하게 만들어 줄 수 있다. Brain-Computer Interface technology allows the activity of the neurons in the user's brain to be connected to the computer, making it possible to communicate with the computer without the need for an input device such as a mouse or a keyboard.

특히,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기술은 사고나 질병에 의해 운동신경에 장애가 있는 환자들의 움직임을 보조해 주기 위한 보철 제어나, 의사소통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스펠러 등에 주로 사용되어 왔다. In particular, brain-computer interface technology has been used mainly in prosthetic control to assist movement of patients with motor neurons due to accidents or diseases, and spellers to enable communication.

또한, 이러한 응용 장치에 사용자의 의도를 실시간으로 반영하기 위하여, 유발전위를 이용하기도 한다. 유발 전위란, 인체에 일정하게 직접적이거나 간접적인 자극을 가했을 때, 그 자극으로 인하여 인체에서 발생되는 전위를 말한다. 유발 전위는 뇌파 기록으로 관찰될 수 있다. 특히, 유발전위는 정보전달속도(Information Transfer Rate)가 높으므로 실시간으로 사용자의 의도를 빠르게 반영할 수 있고, 다른 뇌파를 사용하는 시스템들과 비교하여 학습 및 훈련시간이 짧으며, 기기 제어를 하기 위한 커맨드를 다양하게 만들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In order to reflect the user's intention in real time on the application device, the induced potential may be used. Trigger potential refers to the potential generated by the human body due to the stimulus when the human body is subjected to a constant direct or indirect stimulus. Evoked potentials can be observed with EEG recordings. Especially, since the evoked potential has a high information transfer rate, it can reflect the intention of the user in real time and has shorter learning and training time than other systems using EEG,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various commands can be created.

또한, 유발 전위는 자극의 종류에 따라 나뉘게 되는데, 이 중 시각자극에 의한 정상 상태 시각 유발 전위(Steady-State Visual Evoked Potential, SSVEP)와 촉각자극에 의한 정상상태 체감각 유발전위(Steady-State Somatosensory Evoked Potential, SSSEP)가 있다.In addition, the evoked potentials are divided according to the types of stimuli. Among them, steady-state visual evoked potential (SSVEP) by visual stimulation and steady-state somatosensory potential by tactile stimulation Evoked Potential, SSSEP).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108778호(발명의 명칭: SSVEP 기반 차량 안전 주행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서는 전방 차량의 운행 상태 및 운전자의 주의 상태를 파악하는 기술이 제안되었다.In this regard,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13-0108778 (entitled: SSVEP-based vehicle safety driving control system and method) discloses a technology for grasping the driving state of the front vehicle and the state of the driver's attention.

그러나 정상 상태 시각 유발 전위는 뇌파 응답의 생리학적 기전을 이용하는 기법으로 일정 주기로 깜박이는 빛을 응시하면 대뇌 피질의 뇌파에서 빛이 깜박이는 주기와 동기화된 신호가 검출되는 원리를 이용하기 때문에, 시각 자극에 의한 노이즈를 유발할 수도 있다. 또한, 시각적인 자극에 기인하기 때문에, 시선의 제약을 가지며 눈의 피로를 야기시킬 수 있다. However, since the steady-state visual evoked potential utilizes the physiological mechanism of the EEG response, when the gazing of the flashing light at regular intervals uses the principle that the signal synchronized with the period of flashing of the light in the cerebral cortex is detected, May cause noise due to noise. In addition, it is caused by visual stimulation, which has a limitation of eye gaze and can cause eye fatigue.

한편, 일반적으로 촉각자극에 의한 정상상태 체감각 유발전위는 시선의 제약이 없다는 장점이 있으나, 반복적인 자극에 대한 순응현상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계식 진동을 이용하여 자극을 유도하는 장치는, 진동을 유발하기 위한 하드웨어가 필요하기 때문에, 부피가 증가할 수밖에 없다.On the other hand, in general,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tactile stimulation-induced steady state sensory evoked potential has no limitation of eyes, but there is a problem of compliance with repetitive stimulation. In addition, since the apparatus for inducing the stimulation using mechanical vibration requires hardware for causing vibration, the volume is necessarily increased.

또한, 기계식 진동을 이용한 자극의 종류는 시각자극의 종류보다 다양하게 구현되기 어렵기 때문에 커맨드가 다양하지 못하다. 커맨드가 다양하지 못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의도를 정확하게 파악하거나, 파악된 사용자의 의도대로 기기를 정밀하게 제어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types of stimuli using mechanical vibration are not as diverse as those of visual stimuli, so the commands do not vary.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precisely grasp the intention of the user or precisely control the device in accordance with the intention of the user.

본 발명의 목적은 정상 상태의 체감각 유발 전위의 다양한 커맨드를 제공할 수 있는 체감각 유발 전위의 발생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generating a somatosensory evoked potential capable of providing various commands of a bodily sensory evoked potential in a steady state.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뇌파의 정상 상태 체감각 유발 전위 발생 장치의 운용 방법은, 전류, 주파수 또는 펄스폭이 상이한 하나 이상의 전기적 자극을 제공하는 제 1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발생된 각 전기적 자극에 대한 반응으로서 감지된 뇌파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뇌파신호에서 잡음을 제거하는 단계, 잡음이 제거된 뇌파신호에서 특징점을 추출하는 단계, 뇌파신호의 특징점에 기초하여 각 뇌파신호를 커맨드 별로 분류하는 단계, 및 전류, 주파수 또는 펄스폭 중 어느 하나를 변경시킨 제 2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operating an apparatus for generating a steady state sensory evoked potential in an EEG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ing a sensed EEG signal as a response to each generated electrical stimulus, removing noise from the received EEG signal, extracting feature points from the EEG signal from which the noise has been removed, Classifying the EEG signals according to commands based on the feature points of the EEG signals, and transmitting a second control signal in which one of the current, the frequency, and the pulse width is changed.

또한,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따른 정상 상태 체감각 유발 전위 발생 장치는 데이터 송수신부, 정상 상태 체감각 유발 전위 발생 애플리케이션이 저장된 메모리; 및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이때 프로세서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전류, 주파수 또는 펄스폭이 상이한 하나 이상의 전기적 자극을 발생시키는 제 1 제어신호를 송신하고, 발생된 각 전기적 자극에 대한 반응으로서 감지된 뇌파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뇌파신호에서 잡음을 제거하고, 잡음이 제거된 뇌파신호에서 특징점을 추출하고, 뇌파신호의 특징점에 기초하여 각 뇌파신호를 커맨드 별로 분류하고, 전류, 주파수 또는 펄스폭 중 어느 하나를 변경시킨 제 2 제어신호를 송신한다.According to 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pparatus for generating a steady state sensory evoked potential, comprising: a memory for storing a data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a steady state sensory evoked potential generating application; And a processor executing the application. At this time, the processor transmits a first control signal for generating one or more electrical stimuli that differ in current, frequency, or pulse width depending on the execution of the application, receives the sensed EEG signal as a response to each generated electrical stimulus, A method of extracting feature points from a noise-canceled EEG signal, classifying each EEG signal by commands based on the feature points of the EEG signal, and changing the current, frequency, or pulse width 2 control signal.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정상 상태 체감각 유발 전위 발생 장치의 운용 방법은 전기자극을 통해 촉각을 유도하기 때문에 자발적인 상상에 의한 것에 비해 높은 성능을 보장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tactile sense is induced through the electric stimulation, the operation method of the steady state sensory evoked potential generating device can ensure high performance as compared with that caused by spontaneous imagination.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다양한 전류, 주파수 또는 펄스폭을 이용하여, 순응현상을 방지하고 다수의 커맨드를 생성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currents, frequencies, or pulse widths can be used to prevent complications and generate a large number of commands.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휴대폰, 차량의 스티어링 휠, 햅틱 장비 등 전기촉각 자극을 사용하는 인터페이스가 많아지고 있다는 점에서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terfaces for using electric tactile stimulation such as a mobile phone, a steering wheel of a vehicle, and a haptic device are increasingly used in various field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상 상태 체감각 유발 전위 발생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앙처리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상 상태 체감각 유발 전위 발생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상 상태 체감각 유발 전위 발생 장치의 운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극제시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FIG. 1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n apparatus for generating a sensed-state potent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entral process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function of the steady state sensory evoked potential generation applica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the apparatus for generating a sensory evoked potent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stimulating ag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denoted by like reference character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part, it include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electrically connected" with another part in between . Also,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comprising ", it means that it can include other elements as we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including " an element, it is understood that the element may include other elements as we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The word " step (or step) "or" step "used to the extent that it is us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does not mean" step for.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상 상태 체감각 유발 전위 발생 장치의 운용 방법 및 장치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operating the apparatus for generating a sensed-state-of-steady-state potent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상 상태 체감각 유발 전위 발생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FIG. 1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n apparatus for generating a sensed-state potent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도 1을 참조하면, 정상 상태 체감각 유발 전위 발생 장치(10)는 자극부(100), 중앙처리장치(200), 및 감지부(300)를 포함한다. 자극부(100)와 감지부(300)는 중앙처리장치(200)의 실행에 따라, 중앙처리장치(200)와 신호를 송수신 할 수 있다. 이때, 자극부(100)와 감지부(300)는 중앙처리장치(200)와 별도로 존재할 수도 있고, 중앙처리장치(200)내에 결합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steady state sensory evoked potential generating apparatus 10 includes a stimulating unit 100, a central processing unit 200, and a sensing unit 300. The stimulation unit 100 and the sensing unit 300 can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to and from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00 according to the execution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00. In this case, the stimulating unit 100 and the sensing unit 300 may be separately provided from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00, or may be implemented in a form coupled to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00.

도 1에 표시되고 아래에 설명되는 기능 블록들은 가능한 구현의 예들일 뿐이다. 다른 구현들에서는 상세한 설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기능 블록들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정상 상태 체감각 유발 전위 장치(10)의 하나 이상의 기능 블록이 개별 블록들로 표시되지만, 정상 상태 체감각 유발 전위 장치(10)의 기능 블록들 중 하나 이상은 동일 기능을 실행하는 다양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구성들의 조합일 수 있다.The functional blocks shown in FIG. 1 and described below are merely examples of possible implementations. In other implementations, other functional blocks may be us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lso, while one or more functional blocks of the steady state sensory evoked potential device 10 are represented as discrete blocks, one or more of the functional blocks of the steady state sensory evoked potential device 10 may be implemented with various hardware And a combination of software configurations.

또한, 디스플레이가 추가적으로 더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는 각 단계의 필요한 정보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앙처리장치(200)의 실행에 따라, 전류, 주파수 또는 펄스폭과 같은 전기적 자극의 정도를 표시할 수도 있다.Further, a display may be further included. The display can display the necessary information for each step on the screen. For example, depending on the execution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00, the degree of electrical stimulation such as current, frequency or pulse width may be displayed.

자극부(100)는 중앙처리장치(200)로부터 제 1 및 제 2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전기적 자극을 발생시킬 수 있다. 즉, 자극부(100)는 전류, 주파수 또는 펄스폭이 상이한 하나 이상의 전기적 자극을 발생시킨다. 이때, 중앙처리장치(200)로부터 제공되는 제 1 및 제 2 제어신호는, 전기 자극의 순서를 상이하게 배치하여 제공될 수도 있고, 전기 자극의 지속시간을 변경할 수도 있다. 또한, 정상 상태 체감각 유발 전위 발생 장치(10)상에 스위치 형태로 입력할 수 있는 툴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단계, 순서, 지속시간 등을 입력 받아 자극부로 제 1 및 제 2 제어신호를 송신할 수도 있다. 또한, 중앙처리장치(200)는 다양한 전기자극을 제공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imulating unit 100 may receive the first and second control signals from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00 to generate electrical stimulation. That is, the stimulating portion 100 generates one or more electric stimuli that differ in current, frequency, or pulse width. At this time, the first and second control signals provided from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00 may be provided by arranging the order of the electric stimulation differently, or may change the duration of the electric stimulation. In addition, a tool that can be input in the form of a switch is provided on the steady state sensory evoked potential generating device 10, and the first and second control signals are transmitted to the stimulating unit by receiving a desired step, order, You may. In addition,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00 may include software capable of providing various electrical stimuli.

또한, 자극부(100)에서는 사용자의 체감각 영역에서 촉각자극을 일으키도록 하는 전기적 자극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의 자극은 촉각자극을 발생시키되, 신체에는 무해하며 사용자의 근육을 수축시키지 않는 정도의 전류, 주파수 또는 펄스폭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timulation unit 100 may provide an electrical stimulus to cause tactile stimulation in the body's sensory area of the user. The stimulation at this time is preferably a current, frequency, or pulse width that is tactile stimulus, harmless to the body, and does not shrink the user's muscles.

특히, 전기 자극으로 발생한 촉각 자극으로 인한 순응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펄스폭을 조절하여 동일한 주파수의 진동 자극에도, 그 진동의 세기가 다르게 느껴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주파수의 변형을 통해 특정 커맨드에 대응하는 주파수를 제어할 수 있다. 정상 상태 체감각 유발 전위 발생 장치(10)는 순응현상이 일어나기 전에 먼저 전류, 주파수 또는 펄스폭 중 어느 하나를 변경시킨 제 2 제어신호를 자극부(100)로 송신할 수 있다.Particularly, in order to prevent the complication due to the tactile stimulation caused by the electric stimulation,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pulse width so that the vibration intensity of the same frequency is different from the vibration stimulus of the same frequency. At this time, the frequency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command can be controlled through the modification of the frequency. The steady state sensory evoked potential generating apparatus 10 may first transmit a second control signal to the stimulating unit 100 in which the current, frequency, or pulse width is changed before the adaptation phenomenon occurs.

일반적으로 유발 전위(Evoked Potential)에는 청각 유발 전위(AEP, Auditory evoked potential), 시각 유발 전위(Visual evoked potential), 체감각 유발 전위(SSEP, Somatosensory evoked potential), 운동 유발 전위(MEP, Motor evoked potential) 등이 다양하게 사용된다. 각 유발 전위를 유발하는 자극신호로서 각각 청각자극신호, 시각자극신호, 상지(上肢) 또는 하지(下肢) 신경의 자극신호, 운동영역 부위 두피에 대한 자극신호, 경추 부위의 전기자극신호 등이 사용된다. 여기에서는 자극 신호로서 체감각 유발 전위가 사용될 수 있다.In general, evoked potentials include auditory evoked potentials, visual evoked potentials, somatic evoked potentials (SSEPs), motor evoked potentials (MEPs), motor evoked potentials ) Are used variously. The stimulation signals that induce the respective excitation potentials include auditory stimulation signals, visual stimulation signals, stimulus signals of the upper limbs or lower limbs, stimulation signals of the scalp area scalp, and electric stimulation signals of the cervical vertebrae do. Here, the somatosensory evoked potential can be used as a stimulus signal.

여기에서 자극 신호는 특별히 그 종류를 한정하지 않고, 감지부(300)를 통해서 감지되는 유발 전위는 자극신호가 가해진 피험자의 근육에 접촉된 전극으로부터 발생되는 것이면 모두 가능하다.Here, the stimulation signal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the stimulation potential sensed through the sensing unit 300 may be all that is generated from an electrode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muscle of the subject to which the stimulation signal is applied.

감지부(300)는 발생된 각 전기적 자극에 대한 반응으로서 생성된 뇌파를 감지하여 중앙처리장치(200)의 송수신부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EEG장비를 통해 자극에 대한 뇌파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이때의 뇌파 측정은 국제 전극 시스템에 따라 최소 4개 이상의 채널에서 뇌파를 추출할 수 있다. 추출 방식은 비침습적 방식으로 마이크로 칩을 두피에 부착하는데, 체감각 영역으로부터 유발된 뇌파를 습득하기 때문에 감각운동기 피질(Sensory motor cortex) 영역에 채널을 부착한다.The sensing unit 300 senses an EEG generated as a response to each generated electrical stimulus, and transmits the generated EEG to the transceiver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00. In addition, EEG equipment can be used to detect EEG signals for stimulation. At this time, EEG measurement can extract brain waves from at least 4 channels according to the international electrode system. The extraction method attaches the microchip to the scalp in a noninvasive manner, attaching the channel to the sensory motor cortex region because it acquires brain waves induced from the somatosensory area.

먼저, 시스템 연산 속도 향상과 최적의 메모리 관리 측면에서 측정된 뇌파신호를 다운샘플링을 한다. EEG(Electroenceplography)로부터 추출된 뇌파는 다양한 잡음(Noise)성분을 포함한다. 잡음 성분의 종류에는 근전도(EMG)나 눈의 깜빡임 또는 안구의 움직임(EOG)성분 등이 있다. 이러한 잡음들은 EEG신호에 비해 수배 이상으로 크기 때문에 EEG신호를 얻기 위해서 제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First, downsampling the EEG signals measured in terms of system operation speed and optimal memory management. The EEG extracted from EEG (Electroenceplography) contains various noise components. Types of noise components include electromyogram (EMG), eye blinking, and eye movement (EOG) components. These noises are larger than the EEG signal several times, so it is desirable to remove them to obtain the EEG signal.

다음으로, 중앙처리장치(200)에 대하여 도 2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Next,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 to FIG.

먼저,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앙처리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entral process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중앙처리장치(200)는 메모리(210), 프로세서(220), 및 데이터 송수신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00 may include a memory 210, a processor 220, and a data transmitting / receiving unit 230.

메모리(210)는 정상 상태 체감각 유발 전위 발생 애플리케이션(211)을 포함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211)의 기능은 도 3을 예를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The memory 210 may include a steady state sensory evoked potential generation application 211. The function of the application 211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as an example.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상 상태 체감각 유발 전위 발생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function of the steady state sensory evoked potential generation applica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애플리케이션(211)은 제어신호 발생부(2111), 잡음 제거부(2112), 특징점 추출부(2113), 및 뇌파신호 분류부(2114)를 포함할 수 있다.3, the application 211 may include a control signal generating unit 2111, a noise removing unit 2112, a feature point extracting unit 2113, and an EEG signal classifying unit 2114.

프로세서(220)는 애플리케이션(211)의 실행에 따라, 먼저 제어신호 발생부(2111)에서 전류, 주파수 또는 펄스폭이 상이한 하나 이상의 전기적 자극을 발생시키는 제 1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자극부(100)로 송신할 수 있다. 이때의 데이터의 송신 및 수신은 송수신부(230)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The processor 220 first generates a first control signal for generating at least one electric stimulus having a different current, frequency or pulse width in the control signal generator 2111 and outputs the first control signal to the stimulation unit 100 ). ≪ / RTI >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data at this time can be performed through the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230.

다음으로, 프로세서(220)는 발생된 각 전기적 자극에 대한 반응으로서 감지된 뇌파신호를 수신하고, 이때, 잡음 제거부(2112)는 수신된 뇌파신호에서 잡음을 제거할 수 있다. Next, the processor 220 receives the detected EEG signal as a response to each generated electrical stimulus, and the noise remover 2112 can remove noise from the received EEG signal.

예를 들어, 잡음 제거부(2112)는 수신된 뇌파신호에서 근전도(EMG) 신호와 안전도(EOG)신호의 시간 주파수 성분을 파악하여 선형 분리를 할 수 있다. 또한, 독립 성분 분석법(Independent Component Analysis)을 이용하여 잡음을 제거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noise removing unit 2112 can perform a linear separation by grasping time-frequency components of an electromyogram (EMG) signal and a safety degree (EOG) signal from a received EEG signal. In addition, the noise can be removed by using Independent Component Analysis.

필터를 이용하여 잡음을 제거할 수도 있는데, 노치필터(Notch filter)를 사용하여, 전원 주파수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대역 통과 필터(band-pass filter)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목적하는 주파수 영역 외에 나머지 주파수 영역을 필터링 할 수도 있다.Noise can be removed using a filter, which can be removed using a notch filter. In addition, a band-pass filter may be used to filter the remaining frequency regions other than the frequency region desired by the user.

다음으로, 특징점 추출부(2113)는 잡음이 제거된 뇌파신호에서 특징점을 추출할 수 있다. 여기에서, 특징점 추출부(2113)는 잡음이 제거된 뇌파신호를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하고, 설정된 임계값 이상의 파워값을 갖는 주파수를 추출하여 특징점을 추출할 수 있다.Next, the feature point extracting unit 2113 can extract the feature points from the noise-canceled EEG signals. In this case, the feature point extracting unit 2113 can extract a feature point by converting a noise-removed EEG signal into a frequency domain and extracting a frequency having a power value equal to or higher than a set threshold value.

특히, 잡음이 제거된 뇌파를 공간 주파수 영역에서 분석할 수 있다. 고속 푸리에 변환(Fast Fourier Transform, FFT)와 같은 주파수 영역으로 신호를 변환해주는 기법을 사용하여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한다. 특정 임계값을 설정하고 임계값 이상의 주파수 대역의 파워값을 갖는 주파수를 특징점으로 추출할 수 있다. Especially, the noise-canceled EEG can be analyzed in the spatial frequency domain. And converts it into a frequency domain using a technique of converting a signal to a frequency domain such as Fast Fourier Transform (FFT). A specific threshold value can be set and a frequency having a power value of a frequency band equal to or higher than a threshold value can be extracted as a feature point.

또한, 공통 공간 패턴(Common spatial pattern)필터링 기법을 이용하여 신호의 공간상의 특징을 극대화시킨다. 이는 감각운동기 피질 영역의 공간상의 경계가 뚜렷하지 않아 이를 극대화하기 위해 사용하는 기법으로서, 공간상의 특징을 극대화하고 밴드파워를 추출 후, 주파수 성분의 특징 또한 추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mmon spatial pattern filtering technique is used to maximize spatial characteristics of a signal. This technique is used to maximize the spatial boundary of the sensory motor cortex area. It can be used to maximize spatial features, extract the band power, and then extract the characteristics of frequency components.

공간 필터링이 적용된 신호의 분산을 구하고 이에 로그를 적용함으로써 시간 영역에서 파워스펙트럼 밀도를 구하는 것과 같은 효과로서 밴드파워를 추출할 수 있다. 전술한 추출한 주파수 성분의 특징과 공간 필터가 적용된 밴드파워 특징점의 차원 결합을 통한 결합 특징점을 최종적으로 추출할 수 있다.The band power can be extracted as the effect of obtaining the power spectral density in the time domain by obtaining the variance of the signal to which the spatial filtering is applied and applying the log. It is possible to finally extract the joint feature points by dimensionally combining the features of the extracted frequency components and the band power feature points to which the spatial filter is applied.

다음으로, 뇌파신호 분류부(2114)는 뇌파신호의 특징점에 기초하여 각 뇌파신호를 커맨드 별로 분류할 수 있다. Next, the EEG signal classifier 2114 classifies the EEG signals according to commands based on the feature points of the EEG signals.

즉, 뇌파신호 분류부(2114)는 뇌파신호의 특징점에 기초하여 각 뇌파신호를 커맨드 별로 분류한다. 예를 들어, 추출된 특징점을 CCA(Canonical Correlation Analysis)방법을 통하여 분류한다. 특히, 추출된 특징점과 특정 커맨드에 대응하는 특정 주파수와의 관련 정도에 의해 분류할 수 있다.That is, the EEG signal classifying unit 2114 classifies the EEG signals according to commands based on the feature points of the EEG signals. For example, extracted minutiae are classified through CCA (Canonical Correlation Analysis) method. In particular, it can b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association between the extracted feature point and a specific frequency corresponding to a specific command.

다음으로, 중앙처리장치(200)는 전류, 주파수 또는 펄스폭 중 어느 하나를 변경시킨 제 2 제어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즉, 제어신호 발생부(2111)는 전기적 자극으로 인하여 체감각의 순응반응이 발생되기 전에, 전류, 주파수 또는 펄스폭 중 어느 하나를 변경시킨 제 2 제어신호를 발생시켜 송신하여, 전기적 자극을 변경시킬 수 있다. 또한, 순응반응이 발생되면 전류, 주파수 또는 펄스폭 중 어느 하나를 변경시킨 제 2 제어신호를 송신하여, 제 2 제어신호를 수신한 자극부(110)에서 전기적 자극을 변경시킬 수 있다.Next,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00 can transmit a second control signal that changes either the current, the frequency, or the pulse width. That is, the control signal generating unit 2111 generates and transmits a second control signal that changes either the current, the frequency, or the pulse width before the adaptive reaction of the body sensation occurs due to the electric stimulation, . Also, when the adaptive reaction occurs, the second control signal that changes the current, the frequency, or the pulse width may be transmitted to change the electric stimulus in the stimulation unit 110 receiving the second control signal.

또한, 중앙처리장치(200)는 제 1 및 제 2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전기적 자극을 발생시키는 자극부(1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의 자극부(100)는 정상 상태 체감각 유발 전위 발생 장치(10)의 내부에 결합된 형태일 수도 있고, 외부에 배치 되어 분리된 형태일 수도 있다. 분리된 형태일 경우, 자극부(100)는 정상 상태 체감각 유발 전위 발생 장치(10)의 송수신부(230)과 연결되어 네트워크를 통해 정보를 송수신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00 may further include a stimulation unit 100 that generates electrical stimulation based on the first and second control signals. The stimulation unit 100 may be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steady state sensory evoked potential generator 10, or may be disposed outside and separate from the stimulation unit 100. In the separated form, the stimulation unit 100 may be connected to the transceiver unit 230 of the steady state sensory evoked potential generator 10 to transmit and receive information through the network.

한편, 중앙처리장치(200)에 의해 생성된 뇌파신호를 수신하기 전에 뇌파 신호를 감지하여 송수신부(230)로 전송하는 감지부(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이때의 감지부(300)는 정상 상태 체감각 유발 전위 발생 장치(10)의 내부에 결합된 형태일 수도 있고, 외부에 배치 되어 분리된 형태일 수도 있다. 분리된 형태일 경우, 감지부(300)는 정상 상태 체감각 유발 전위 발생 장치(10)의 송수신부(230)과 연결되어 네트워크를 통해 정보를 송수신 할 수 있다.The sensing unit 300 may further include a sensing unit 300 sensing the EEG signal before transmitting the EEG signal generated by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00 and transmitting the signal to the transceiving unit 230. Likewise, the sensing unit 300 may be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steady state sensory evoked potential generating device 10, or may be disposed outside and separate from the sensing unit 300. In the separated form, the sensing unit 300 may be connected to the transceiver 230 of the steady state sensory evoked potential generator 10 to transmit and receive information through the network.

또한, 중앙처리장치(200)는 전술한 순응현상을 감지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감지부(300)에서 얻어진 EEG신호는 중앙처리장치(200)에서 고속 푸리에 변환(Fast Fourier Transforms, FFT)를 통해, 일정구간에서의 주파수 크기로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중앙처리장치(200)는 사용자마다의 트레이닝 시간 동안의 임계값 및 각 주파수의 평균 피크값(peak)을 산출해 낼 수 있다. 만약, 순응반응이 일어나게 되면, 일정구간에서의 주파수 크기가 점점 감소하여 평균 피크값보다 작아질 수 있는데, 이 시점을 순응반응이 일어나는 시점으로 설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00 may detect the aforementioned compliance phenomenon. For example, the EEG signal obtained from the sensing unit 300 may be outputted in a frequency range of a predetermined interval through Fast Fourier Transform (FFT) in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00. In addition,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00 can calculate a threshold value during a training time for each user and an average peak value (peak) of each frequency. If an adaptive response occurs, the frequency magnitude in a certain section may gradually decrease and become smaller than the average peak value, and this point may be set as a time point at which the adaptive reaction occurs.

다음으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상 상태 체감각 유발 전위 발생 장치의 운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Next, FIG. 4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of operating the apparatus for generating a normal-sensed sensory evoked potent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정상 상태 체감각 유발 전위 발생 장치의 운용 방법은 전류, 주파수 또는 펄스폭이 상이한 하나 이상의 전기적 자극을 발생시키는 제 1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단계(S400), 발생된 각 전기적 자극에 대한 반응으로서 생성된 뇌파신호를 수신하는 단계(S410), 수신된 뇌파신호에서 잡음을 제거하는 단계(S420), 잡음이 제거된 뇌파신호에서 특징점을 추출하는 단계(S430), 뇌파신호의 특징점에 기초하여 각 뇌파신호를 커맨드 별로 분류하는 단계(S440), 및 전류, 주파수 또는 펄스폭 중 어느 하나를 변경시킨 제 2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단계(S45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4, the method for operating the steady state sensory evoked potential generator includes transmitting a first control signal for generating at least one electrical stimulus having a different current, frequency, or pulse width (S400) A step S430 of removing the noise from the received EEG signal, a step S430 of extracting a feature point from the EEG signal from which noise has been removed, (S440) classifying each EEG signal by command based on the EEG signal, and transmitting a second control signal in which any one of current, frequency, and pulse width is changed (S450).

먼저, 중앙처리장치(200)는 전류, 주파수 또는 펄스폭이 상이한 하나 이상의 전기적 자극을 발생시키는 제 1 제어신호를 송신한다(S400).First,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00 transmits a first control signal for generating at least one electric stimulus having a different current, frequency, or pulse width (S400).

이때, 중앙처리장치(200)에 의해 송신된 제 1 제어신호로 인하여, 자극부(100)는 전류, 주파수 또는 펄스폭이 상이한 하나 이상의 전기적 자극을 발생할 수 있다.At this time, due to the first control signal transmitted by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00, the stimulation unit 100 may generate one or more electric stimuli having different current, frequency or pulse width.

또한, 자극부(100)에서 전기적 자극이 유발되어 사용자의 촉각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때, 전기적 자극이 신체에 무해하고 사용자의 근육을 수축시키지 않는 정도로 유지되도록 자극부(100)에서 발생되는 전류, 주파수 또는 펄스폭이 제어될 수 있고, 이때의 전기적 자극은 체감각에서 순응이 발생되기 이전에 전류, 주파수 또는 펄스폭의 변화로 조절될 수 있다.In addition, electrical stimulation may be induced in the stimulation unit 100 to generate a tactile sense of the user. At this time, the current, frequency, or pulse width generated in the stimulation unit 100 can be controlled so that the electric stimulation is harmless to the body and is maintained to the extent that the user's muscle is not contracted. Frequency, or pulse width before it is turned on.

예를 들어, 자극부(100)에 사용되는 전극이 음극과 양극의 형태로 하나의 채널을 이룰 수 있다. 즉, 한 전극에서 전기 자극이 주어지고, 이 전기 자극은 피부를 투과하여 체감각 신경을 자극하고, 다른 전극을 통해 빠져 나가게 될 수 있다. 이때 사용되는 전극은 패치형태로 얇고 피부에 밀착될 수 있다. 또한, 전극을 사용하기 위해 피부에 증류수 등을 도포하여 저항을 낮추어 줄 수 있다.For example, the electrode used in the stimulation unit 100 may form one channel in the form of a cathode and an anode. That is, an electric stimulus is given to one electrode, and this electric stimulus permeates through the skin to stimulate the sensory nerve, and can escape through the other electrode. At this time, the electrode used is thin in a patch form and can be adhered to the skin. Further, in order to use the electrode, distilled water or the like may be applied to the skin to lower the resistance.

다음으로, 중앙처리장치(200)는 앞선단계(S400)에서 발생된 각 전기적 자극에 대한 반응으로서 감지된 뇌파신호를 수신한다(S410). 이때, 감지부(300)에서는 EEG장비를 통해 자극에 대한 뇌파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Next,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00 receives the sensed EEG signal as a response to each electrical stimulus generated in the previous step S400 (S410). At this time, the sensing unit 300 can detect an EEG signal for stimulation through the EEG equipment.

다음으로, 중앙처리장치(200)는 앞선단계(S410)에서 수신된 뇌파신호에서 잡음을 제거한다(S420). 이때, 수신된 뇌파신호에서 근전도(EMG) 신호와 안전도(EOG)신호의 시간 주파수 성분을 파악하여 선형 분리를 할 수 있다. 또한, 독립 성분 분석법(Independent Component Analysis)을 이용하여 잡음을 제거할 수 있고, 노치필터(Notch filter) 및 대역 통과 필터(band-pass filter)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목적하는 주파수 영역 외에 나머지 주파수 영역을 필터링 할 수도 있다.Next,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00 removes noise from the EEG signal received in the preceding step S410 (S420). At this time, the time-frequency component of the EMG signal and the safety (EOG) signal can be grasped and linearly separated from the received EEG signal.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remove noise using an Independent Component Analysis (ANOVA) method. By using a notch filter and a band-pass filter, May be filtered.

다음으로, 중앙처리장치(200)는 앞선단계(S420)에서 잡음이 제거된 뇌파신호에서 특징점을 추출한다(S430). 좀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잡음이 제거된 뇌파신호를 주파수 영역으로 신호를 변환하고, 설정된 임계값 이상의 파워값을 갖는 주파수를 추출하여 특징점을 추출할 수 있다.Next, in step S420,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00 extracts feature points from the noise-canceled EEG signal (S430). More specifically, it is possible to extract a feature point by converting a signal having a noise-removed EEG signal into a frequency domain and extracting a frequency having a power value equal to or higher than a set threshold value.

다음으로, 중앙처리장치(200)는 앞선단계(S430)에서 추출된 뇌파신호의 특징점에 기초하여 각 뇌파신호를 커맨드 별로 분류한다(S440).Next,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00 classifies the EEG signals according to commands based on the feature points of the EEG signals extracted in the preceding step S430 (S440).

이때, 추출된 특징점을 CCA(Canonical Correlation Analysis)방법을 통하여 분류하고, 추출된 특징점과 특정 커맨드에 대응하는 특정 주파수와의 관련 정도에 의해 분류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extracted minutiae can be classified by the CCA (Canonical Correlation Analysis) method, and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association between the minutiae extracted and the specific frequency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command.

예를 들어, 특정 임계값을 설정하고 임계값 이상의 주파수 대역의 파워를 특징점으로 추출한다. 또한, 공통 공간 패턴(Common spatial pattern)필터링 기법을 이용하여 신호의 공간상의 특징을 극대화시킨다. 이는 감각운동기 피질 영역의 공간상의 경계가 뚜렷하지 않아 이를 극대화하기 위해 사용하는 기법으로써, 공간상의 특징을 극대화하고 밴드파워를 뽑음으로써 주파수 성분의 특징 또한 추출하기 위해 사용한다. 공간 필터링이 적용된 신호의 분산을 구하고 이에 로그를 적용함으로써 시간 영역에서 파워스펙트럼 밀도를 구하는 것과 같은 효과로 밴드파워를 추출할 수 있다. For example, a specific threshold value is set and the power of the frequency band exceeding the threshold value is extracted as a feature point. In addition, the common spatial pattern filtering technique is used to maximize spatial characteristics of a signal. This is a technique used to maximize the spatial boundary of the sensory cortex in the cortical area. It is used to extra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frequency component by maximizing spatial characteristics and extracting the band power. The band power can be extracted with the same effect of obtaining the power spectral density in the time domain by obtaining the variance of the signal to which the spatial filtering is applied and applying the log.

전술한 추출한 주파수 성분의 특징과 공간 필터가 적용된 밴드파워 특징점의 차원 결합을 통한 결합 특징점을 최종적으로 추출할 수 있다. 추출된 특징점을 Multiclass Linear discriminant analysis(LDA)분류 알고리즘에 입력으로 넣어주면, 선형 분류기(LDA)는 공분산과 고유벡터를 이용하여 클래스 내의 분산은 최소화하고, 클래스 사이의 공분산은 최대로 하여 분류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신속하게 분류할 수 있기 때문에, 실시간으로 변화하는 뇌파신호를 감지하여 분류할 때, 시간차를 줄일 수도 있다.It is possible to finally extract the joint feature points by dimensionally combining the features of the extracted frequency components and the band power feature points to which the spatial filter is applied. If the extracted feature points are input to the classification algorithm of Multiclass Linear Discriminant Analysis (LDA), the Linear Classifier (LDA) minimizes the variance within the class using covariance and eigenvectors, and classifies the covariance between classes as the maximum have. Therefore, the time difference can be reduced when detecting and classifying EEG signals that change in real time because they can be classified quickly.

다음으로, 중앙처리장치(200)는 앞선단계(S440)로부터 뇌파신호를 분류한 후, 제공된 각 전기적 자극에 대한 체감각의 순응반응이 발생되기 전에, 전류, 주파수 또는 펄스폭 중 어느 하나를 변경시킨 제 2 제어신호를 송신한다(S450).Next,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00 classifies the EEG signals from the preceding step S440 and then changes either the current, the frequency, or the pulse width before the adaptation reaction of the body senses to each of the provided electric stimuli is generated (S450).

또는, 순응반응이 발생되면 전류, 주파수 또는 펄스폭 중 어느 하나를 변경시킨 제 2 제어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제 2 제어신호는 자극부(100)로 송신되고, 이로 인해 전기적 자극이 제어될 수 있다. 이때의 각 전기적 자극에 대한 체감각의 순응반응은 뇌파신호를 모니터링하여 감지할 수도 있다. Alternatively, if an adaptive reaction occurs, a second control signal that changes either the current, the frequency, or the pulse width may be transmitted. At this time, the second control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stimulation unit 100, whereby the electrical stimulation can be controlled. At this time, the adaptation reaction of the somatosensory to each electric stimulus may be detected by monitoring the EEG signal.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극제시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stimulating ag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자극부(100)는 두개의 전극으로 분류된 형태로, 사용자의 양팔에 위치되며, 팔의 말초신경 중 하나인 정중신경을 자극할 수 있다. 정중신경은 일반적으로 손바닥의 감각과 일부 손가락의 움직임, 손목의 뒤집힘 등의 운동기능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magnetic stimulation unit 100 is classified into two electrodes. The stimulation unit 100 is located in both arms of the user and can stimulate the median nerve, one of the peripheral nerves of the arm. Median nerves are generally known to be involved in motor functions such as palm sensation, movement of some fingers, and wrist flipping.

또한, 감지부(300)는 사용자의 머리에, 뇌파를 기록할 때 두피상의 전극배치법인 국제 10-20법에 기인하여 위치되어 있다. 이 방법으로 19개의 전극이 대뇌양반구위에 거의 같은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nsing unit 300 is located in the head of the user due to the International 10-20 method of positioning the electrodes on the scalp when recording brain waves. In this way, 19 electrodes can be placed at approximately equal intervals in the cerebral cortex.

도 5와 같이, 중앙처리장치(200)는 자극부(100) 및 감지부(300)와 연결된 형태일 수도 있고, 외부에 독립적으로 존재할 수도 있다.As shown in FIG. 5,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00 may be connected to the stimulation unit 100 and the sensing unit 300, or may be independently provided externally.

또한, 경우에 따라 도 5와 같이 시각자극을 함께 유도할 수도 있다. 즉, 해당 주파수에 따라 화살표와 같은 방향 정보를 나타내거나 특정 커맨드를 나타내는 시각 정보를 화면에 제시하고, 시각자극에 해당하는 신호를 감지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하여, 특정 커맨드를 분류할 수도 있고, 특정 커맨드를 사용자에게 인지시킬 수도 있다.In some cases, the visual stimulation may be induced together as shown in Fig. That is, it is also possible to display direction information such as an arrow according to the frequency or to present time information indicating a specific command on the screen, and to detect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time stimulus.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classify a specific command or to recognize a specific command to the user.

이때, 프로세서(220)는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커맨드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커맨드,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커맨드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processor 220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program command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t this time, th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include a program command, a data file, a data structure, or the like, alone or in combination. On the other hand, the program commands to be recorded on the recording medium may be thos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available to those skilled in the computer software.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커맨드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 magnetic recording medium such as a magnetic medium such as a hard disk, a floppy disk and a magnetic tape, an optical medium such as a CD-ROM and a DVD, a magnetic disk such as a floppy disk, And a hardware device specific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commands such as a magneto-optical media and a ROM, a RAM, a flash memory, and the like.

한편, 이러한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커맨드,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또한, 프로그램 커맨드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On the other hand, such a recording medium may be a transmission medium such as a light or a metal wire, a wave guide, or the like including a carrier wave for transmitting a signal designating a program command, a data structure and the like. The program commands also include high 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as well as machine language code such as that produced by a compiler. The hardware devices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전술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정상 상태 체감각 유발 전위 발생 장치의 운용 방법은 전류, 주파수 또는 펄스폭이 상이한 전기적 자극을 유발하고, 두피에서 뇌 파를 측정하여 우수한 성능으로 사용자의 의도를 판별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커맨드를 만들어 기기 인터페이스를 제어할 수 있도록 정상 상태 체감각 유발 전위(SSSEP)를 기반으로 수행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상 상태 체감각 유발 전위 발생장치는 4개 이상의 커맨드를 필요로 하고, 시선의 제약 없이 자율적으로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데 활용이 가능하다. 따라서 척추손상으로 인한 사지 마비 환자들뿐만 아니라 일반인들의 편리한 기기 인터페이스 제어에 있어서도 큰 도움을 줄 수 있다.The operation method of the apparatus for generating a normal state sensory evoked potent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uses electrical stimulation in which current, frequency, or pulse width is different, and brain waves are measured in the scalp, (SSSEP) so as to control the instrument interface by generating various commands as well as to identify the sensory triggering potential (SSSEP). The apparatus for generating a normal state sensory evoked potent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quires four or more commands and can be utilized to configure an interface for autonomously controlling the apparatus without restriction of sight line. Therefore, it can be a great help for the convenience of the device interface control of the general public as well as the limb paralysis patients due to the spinal injury.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readily understan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entity may be distributed and implemented, and components described as being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are to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10: 정상 상태 체감각 유발 전위 발생 장치
100: 자극부
200: 중앙처리장치
210: 메모리
211: 애플리케이션
2111: 제어신호 발생부
2112: 잡음 제거부
2113: 특징점 추출부
2114: 뇌파신호 분류부
220: 프로세서
230: 송수신부
300: 감지부
10: Normal state sensory evoked potential generator
100:
200: central processing unit
210: memory
211: Application
2111: Control signal generator
2112: Noise canceling
2113: Feature point extraction unit
2114: EEG signal classifier
220: Processor
230: Transmitting /
300:

Claims (15)

정상 상태 체감각 유발 전위 발생 장치의 운용 방법에 있어서,
전류, 주파수 또는 펄스폭이 상이한 하나 이상의 전기적 자극을 발생시키는 제 1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발생된 각 전기적 자극에 대한 반응으로서 감지된 뇌파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뇌파신호에서 잡음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잡음이 제거된 뇌파신호에서 특징점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뇌파신호의 특징점에 기초하여 각 뇌파신호를 커맨드 별로 분류하는 단계; 및
상기 전기적 자극으로 인하여 체감각의 순응반응이 발생되기 전 또는 순응반응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전류, 주파수 또는 펄스폭 중 어느 하나를 변경시킨 제 2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상 상태 체감각 유발 전위 발생 장치의 운용 방법.
A method of operating a device for generating a steady state sensory evoked potential,
Transmitting a first control signal for generating at least one electrical stimulus different in current, frequency or pulse width;
Receiving a sensed EEG signal as a response to each of the generated electrical stimuli;
Removing noise from the received EEG signal;
Extracting feature points from the noise-canceled EEG signal;
Classifying the EEG signals according to commands based on feature points of the EEG signals; And
And transmitting a second control signal that changes either the current, the frequency, or the pulse width when the adaptive response of the body sensation is generated by the electrical stimulation or when the adaptive response occurs, A method of operating an evoked potential generato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생된 전기적 자극은
촉각자극을 발생시키되, 신체에 무해하고 사용자의 근육을 수축시키지 않는 정도의 전류, 주파수 또는 펄스폭을 가진 것인 정상 상태 체감각 유발 전위 발생 장치의 운용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generated electrical stimulation
Wherein the tactile sense stimulus is generated and has a current, frequency, or pulse width that is harmless to the body and does not shrink the user's muscl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뇌파신호는
EEG장비를 통해 감지된 것인 정상 상태 체감각 유발 전위 발생 장치의 운용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EEG signal
A method of operating a device for generating a steady state sensory evoked potential that is sensed by an EEG instrumen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잡음을 제거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뇌파신호에서 근전도(EMG)신호와 안전도(EOG)신호의 시간 주파수 성분을 파악하여 선형 분리를 하는 것을 포함하는 정상 상태 체감각 유발 전위 발생 장치의 운용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removing noise
(EMG) signal and an EOG signal from the received EEG signal and linearly separating the EMG signal and the EOG sign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잡음을 제거하는 단계는
독립 성분 분석법(Independent Component Analysis)을 이용하여 잡음(Noise)을 제거하는 것을 포함하고, 노치필터(Notch filter) 및 대역 통과 필터를 이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정상 상태 체감각 유발 전위 발생 장치의 운용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removing noise
A method of operating a steady state sensory evoked potential generator comprising removing noise using an Independent Component Analysis and using a Notch filter and a bandpass filt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징점을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잡음이 제거된 뇌파신호를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하고, 설정된 임계값 이상의 파워값을 갖는 주파수를 추출하는 정상 상태 체감각 유발 전위 발생 장치의 운용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extracting the feature points
And converting the noise-canceled EEG signal into a frequency domain and extracting a frequency having a power value equal to or higher than a preset threshold valu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맨드 별로 분류하는 단계는
상기 추출된 특징점과 특정 커맨드에 대응하는 특정 주파수와의 관련 정도에 의해 분류하는 정상 상태 체감각 유발 전위 발생 장치의 운용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classifying by the command
And classifying the extracted feature points by a degree of association between the extracted feature points and a specific frequency corresponding to a specific command.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컴퓨터 상에서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ing a program for performing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on a computer. 정상 상태 체감각 유발 전위 발생 장치에 있어서,
데이터 송수신부;
정상 상태 체감각 유발 전위 발생 애플리케이션이 저장된 메모리;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전류, 주파수 또는 펄스폭이 상이한 하나 이상의 전기적 자극을 발생시키는 제 1 제어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발생된 각 전기적 자극에 대한 반응으로서 감지된 뇌파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뇌파신호에서 잡음을 제거하고,
상기 잡음이 제거된 뇌파신호에서 특징점을 추출하고,
상기 뇌파신호의 특징점에 기초하여 각 뇌파신호를 커맨드 별로 분류하고,
상기 전기적 자극으로 인하여 체감각의 순응반응이 발생되기 전 또는 순응반응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전류, 주파수 또는 펄스폭 중 어느 하나를 변경시킨 제 2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것인 정상 상태 체감각 유발 전위 발생 장치.
A device for generating a steady state sensory evoked potential,
A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A memory for storing a steady state sensory evoked potential generating application; And
And a processor executing the application,
The processor comprising:
A first control signal for generating at least one electric stimulus different in current, frequency or pulse width depending on the execution of the application,
Receiving a sensed EEG signal as a response to each of the generated electrical stimuli,
Removing noise from the received EEG signal,
Extracting feature points from the noise-canceled EEG signal,
Classifying the EEG signals by commands based on the feature points of the EEG signals,
Wherein the second control signal is a signal that changes the current, frequency, or pulse width when an adaptive response of the somatic sensation is generated by the electrical stimulation or when an adaptive response occurs, Generating device.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전기적 자극을 발생시키는 자극부를 더 포함하는 정상 상태 체감각 유발 전위 발생 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And a magnetic pole portion for generating electrical stimulation based on the first and second control signals.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뇌파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송수신부로 전송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정상 상태 체감각 유발 전위 발생 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And a sensing unit for sensing the EEG signal and transmitting the sensed EEG signal to the transceiver unit.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40180473A 2014-12-15 2014-12-15 Apparatus for generating sssep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160789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0473A KR101607893B1 (en) 2014-12-15 2014-12-15 Apparatus for generating sssep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0473A KR101607893B1 (en) 2014-12-15 2014-12-15 Apparatus for generating sssep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7893B1 true KR101607893B1 (en) 2016-04-11

Family

ID=55800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0473A KR101607893B1 (en) 2014-12-15 2014-12-15 Apparatus for generating sssep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7893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05450A (en) * 2022-01-07 2022-04-12 天津大学 Method for recognizing lower limb multi-joint motor imagery
WO2023003229A1 (en) * 2021-07-19 2023-01-26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Neuromonitor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3967B1 (en) * 2006-04-13 2007-07-30 이순혁 Device for brain function analysis/development using evoked potential
KR101457477B1 (en) * 2013-05-22 2014-11-05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Auditory stimulus generator inducing brain wave, Brain computer interface system and metho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3967B1 (en) * 2006-04-13 2007-07-30 이순혁 Device for brain function analysis/development using evoked potential
KR101457477B1 (en) * 2013-05-22 2014-11-05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Auditory stimulus generator inducing brain wave, Brain computer interface system and method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03229A1 (en) * 2021-07-19 2023-01-26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Neuromonitor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CN114305450A (en) * 2022-01-07 2022-04-12 天津大学 Method for recognizing lower limb multi-joint motor imagery
CN114305450B (en) * 2022-01-07 2023-09-19 天津大学 Method for identifying lower limb multi-joint motor imager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62456B2 (en) Classification / detection of sensory evoked potentials (SEP) in the time domain
Ochoa EEG signal classification for brain computer interface applications
Lin et al. EEG-based assessment of driver cognitive responses in a dynamic virtual-reality driving environment
JP7372358B2 (en) Association between intentional and unintentional changes in brain state and brain signals
US9081890B2 (en) Rehabilitation training system and method
KR101518575B1 (en) Analysis method of user intention recognition for brain computer interface
KR101549325B1 (en) Method for control of machine interface
KR102269587B1 (en) Brain-computer interface systems and method for analysing brain wave signals expressed by motor imagery
Aldea et al. Classifications of motor imagery tasks in brain computer interface using linear discriminant analysis
KR101607893B1 (en) Apparatus for generating sssep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152727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rainwave Detection Device Attached onto Frontal Lobe and Concentration Analysis Method based on Brainwave
CN109567936B (en) Brain-computer interface system based on auditory attention and multi-focus electrophysiology and implementation method
Szachewicz Classification of motor imagery for brain-computer interfaces
Mora et al. A BCI platform supporting AAL applications
KR100612046B1 (en) Method and appratus for recognizing positive/negative intention using fine change of gamma wave of brain wave
KR10227699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wearable robot by detecting motion intention of users based on brain machine interface
Carra et al. Evaluation of sensorimotor rhythms to control a wheelchair
AlZu'bi et al. Toward inexpensive and practical brain computer interface
CN107168313A (en) Control the method and device of vehicle drive
Bansal et al. Real time acquisition and analysis of neural response for rehabilitative control
He et al. A brain signals-based interface between drivers and in-vehicle devices
Khorshidtalab et al. Evaluating the effectiveness of time-domain features for motor imagery movements using SVM
CN113807402A (en) System for inhibiting MIs-triggering of MI-BCI system and training and testing method thereof
Sun et al. An asynchronous MI-BCI system based on masterslave features
Hong et al. A combined feature extraction method for left-right hand motor imagery in BC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