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7402B1 - 이동통신 서비스 가입자의 부정사용 검출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서비스 가입자의 부정사용 검출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7402B1
KR101607402B1 KR1020140150075A KR20140150075A KR101607402B1 KR 101607402 B1 KR101607402 B1 KR 101607402B1 KR 1020140150075 A KR1020140150075 A KR 1020140150075A KR 20140150075 A KR20140150075 A KR 20140150075A KR 101607402 B1 KR101607402 B1 KR 1016074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criber
information
past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00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찬
박정우
유정모
허하미
이새롬
박종철
방수인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500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74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74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74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4Accounting or bi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이동통신 서비스 가입자의 부정사용 검출 방법 및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정사용 검출 방법은, 이동통신 서비스 가입자의 정보를 분석하여 가입자의 부정사용 위험등급을 산출하고, 산출된 위험등급에 기초하여 각기 다른 모니터링 강도로 가입자의 부정사용을 모니터링한다. 이에 의해, 부정사용 가능성이 높은 가입자에 대한 집중적이고 강도 높은 모니터링이 가능해져, 이동통신 서비스 부정사용 검출 속도가 빨라지면서도 가능성은 더 높아지게 된다.

Description

이동통신 서비스 가입자의 부정사용 검출 방법 및 시스템{Moblie Telecommunication Subscriber's Fraud Detection Method and System}
본 발명은 이동통신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통신 서비스 가입자가 불법/편법적으로 서비스를 부정사용하는 행위를 검출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서비스 부정사용의 대표적인 예로, 고의적인 요금 미납과 단말기 편취를 들 수 있는데, 양자 모두 서비스 사업자에 막대한 손실을 주어 양질의 서비스 제공을 어렵게 하는 요인이다.
고의적인 요금 미납 행위에는, 과도한 통화요금 발생 또는 과도한 데이터 요금 발생 후 요금을 고의로 미납하는 행위는 물론, 다량의 소액 결제 후 요금을 고의로 미납하는 행위까지 포함된다.
단말기 편취 행위에는, 이동통신 서비스 가입 후 바로 단말기(특히, 신규 기종)를 타인에게 양도하고,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는 행위 등이 포함된다.
동일 가입자가 여러 회선에 가입하고, 가입한 여러 회선을 통해 의도적으로 불법/편법적인 행위를 하는 경우, 위와 같은 부정사용에 의한 피해는 더욱 커지게 된다.
이에, 이동통신 사업자는 서비스 부정사용을 탐지하고 부정사용이 의심되는 사용자들을 감사(audit) 하는 것으로 대응하고 있다. 하지만, 부정사용 탐지는, 서비스 가입자들에 대한 사후 점검만을 행하고 있다는 점에서, 대응이 선제적이지 못하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서비스 가입자들에 대해 일괄적인 기준으로 부정사용을 탐지하는데, 많은 서비스 가입자들을 대상으로 하여야 한다는 점에서, 탐지가 정확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탐지 주기가 길어질 수 밖에 없다.
이에 따라, 서비스 가입자에 의한 이상 징후가 발생하고 난 후 한참이 지나서야 서비스 가입자의 부정사용 행위가 탐지되는 경우가 허다하다. 즉,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이상 징후 발생(8일) 부터 부정사용 행위 탐지(14일)까지 7일이라는 비교적 긴 Time-Gap이 발생하게 될 수 있는데, Time-Gap 구간에서 또 다른 부정사용 행위가 이미 발생하였다는 점에서 문제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 서비스 가입자의 부정사용 위험등급에 기초하여 가입자의 부정사용을 모니터링하는 이동통신 서비스 부정사용 검출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서비스 부정사용 검출 방법은, 이동통신 서비스 가입자의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가입자의 부정사용 위험등급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 단계에서 산출된 위험등급에 기초하여, 각기 다른 모니터링 강도로 상기 가입자의 부정사용을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산출 단계는, 상기 가입자의 상기 이동통신 서비스 가입 시점에서, 상기 가입자의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입자의 정보는, 상기 가입자의, 인적 정보, 현재 가입 서비스 정보, 과거 서비스 가입 정보 및 과거 사용 이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인적 정보는, 성별, 연령 및 신용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현재 가입 서비스 정보는, 현재 가입하고자하는 서비스에 대한, 요금제, 단말 기종, 멤버쉽 정보 및 청구서 수령 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과거 서비스 가입 정보는, 과거 가입하였던 서비스에 대한, 요금제, 단말 기종, 멤버쉽 정보 및 청구서 수령 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과거 이력은, 과거 동시에 가입하였던 회선수, 과거 기변 이력 및 과거 부정사용 내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니터링 단계는, 위험등급이 높은 가입자는 위험등급이 낮은 가입자 보다 짧은 주기로, 상기 가입자의 부정사용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니터링 단계는, 상기 가입자의 사용 방식이 부정사용 시나리오들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면, 상기 가입자가 부정사용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입자의 사용 방식은, 상기 가입자가 가입한 모든 회선을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입자의 사용 방식과 비교되는 부정사용 시나리오들은, 상기 가입자의 위험등급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정사용 시나리오는, 기정해진 기간 내에 이상 패턴들 중 적어도 하나가 발생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상 패턴은, 기정해진 금액 이상의 소액결제, 기정해진 요금 이상의 통화, 기정해진 요금 이상의 데이터 사용, 기정해진 금액 이하의 통화 및 기정해진 횟수 이상의 기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산출 단계는, 상기 가입자의 상기 이동통신 서비스 가입 이후 특정 기간이 지난 시점에서, 상기 가입자의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산출 단계는, 상기 가입자가 개인인지 법인인지 여부에 따라 위험등급 산출 기준을 서로 다르게 적용하여, 상기 가입자의 부정사용 위험 등급을 산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서비스 부정사용 검출 시스템은, 이동통신 서비스 가입자의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가입자의 부정사용 위험등급을 산출하는 산출부; 및 상기 산출부에 의해 산출된 위험등급에 기초하여, 각기 다른 모니터링 강도로 상기 가입자의 부정사용을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부;를 포함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이동통신 서비스 가입자의 부정사용 위험등급을 산출하고, 그에 기초하여 가입자의 부정사용을 모니터링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의해, 부정사용 가능성이 높은 가입자에 대한 집중적이고 강도 높은 모니터링이 가능해져, 이동통신 서비스 부정사용 검출 속도가 빨라지면서도 가능성은 더 높아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이동통신 서비스 가입 시점에서 부정사용 위험등급을 산출하므로, 서비스 가입자들에 대한 사후 점검만을 행하는 기존 방식에 비해 부정사용 검출이 훨씬 빨라지게 됨은 물론, 상습적 부정사용 가입자에 대한 적극적 조치가 가능해진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회선 단위가 아닌 가입자 단위로 부정사용 탐지를 수행하므로, 지능적이고 대규모의 부정사용에 대해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부정사용 시나리오들을 유형화하여 부정사용을 검출하므로, 객관적인 부정사용 검출이 가능해짐은 물론 부정사용 적중률을 높여 더욱 정확한 부정사용 검출이 가능해진다.
도 1은 서비스 가입자의 부정사용 탐지까지 발생하는 Time-Gap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서비스 부정사용 검출 시스템의 블럭도,
도 3은 가입자 DB에 저장된 가입자 정보를 예시한 도면,
도 4는 부정사용 시나리오들을 예시한 도면,
도 5는 또 다른 형태의 부정사용 시나리오들을 예시한 도면,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서비스 부정사용 검출 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1. 이동통신 서비스 부정사용 검출 시스템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서비스 부정사용 검출 시스템의 블럭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서비스 부정사용 검출 시스템'(이하, '부정사용 검출 시스템'으로 약칭한다.)은, 부정사용을 모니터링함에 앞서, 이동통신 서비스 가입 시점에 가입자의 부정사용 위험등급을 산출한다.
그리고, 부정사용 검출 시스템은, 산출된 위험등급을 기초로 가입자의 부정사용을 차등적으로 모니터링한다. 즉, 위험등급이 높은 가입자에 대해서는 강도 높게 모니터링한다. 강도 높은 모니터링이라 함은, 모니터링 주기를 단기간(예를 들면, 일(日) 단위로 모니터링)으로 하는 것은 물론, 부정사용으로 보는 행위를 폭넓게 적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정사용 검출 시스템은, 위험등급 산출부(110), 시나리오 생성부(120), 부정사용 모니터링부(130), 가입자 DB(140), 부정사용 시나리오 DB(150) 및 사용내역 DB(160)를 포함한다.
2. 이동통신 서비스 가입자의 부정사용 위험등급
위험등급 산출부(110)는 이동통신 서비스 가입 시점에 가입자의 정보를 분석하여, 부정사용 위험등급을 산출한다. '부정사용 위험등급'(이하, '위험등급'으로 약칭한다.)은, 가입자가 가입 이후에 이동통신 서비스를 불법/편법적으로 부정사용할 위험도를 나타낸다. 높은 등급의 가입자는, 낮은 등급의 가입자 보다 이동통신 서비스를 부정사용할 가능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가입자 정보는 가입자 DB(140)에 구축되어 있는 것을 이용하며, 산출된 부정사용 위험등급은 가입자 DB(140)에 해당 가입자의 다른 정보와 함께 저장한다.
도 3에는 가입자 DB(140)의 구조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에는 특정 가입자 1인에 대한 정보를 예시하였다. 가입자 DB(140)에 저장되어 있는 가입자에 대한 정보는 도시된 것들 보다 훨씬 더 많지만, 도 3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에 필요한 정보들만을 나타내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입자 정보에는, 1) 인적 정보, 2) 현재 가입 서비스 정보, 3) 과거 서비스 가입 정보, 4) 과거 사용 이력 및 5) 위험등급이 포함된다.
인적 정보는, 성별, 연령, 신용도 등과 같은 가입자에 대한 기본 정보이다. 현재 가입 서비스 정보는, 현재 가입하고자하는 이동통신 서비스의, 요금제, 단말 기종, 멤버쉽 정보, 청구서 수령 방법 등이다. 그리고, 과거 서비스 가입 정보는, 가입자가 과거에 가입하였던 서비스(예를 들어, 가입 시점을 기준으로 6개월 이내에 가입하였던 적이 있는 서비스)의, 요금제, 단말 기종, 멤버쉽 정보 및 청구서 수령 방법 등이다.
과거 이력은, 가입자가 과거 동시에 가입하였던 회선수, 과거 기변 이력, 과거 부정사용 내역 등이 포함된다.
위험등급은, 전술한 위험등급 산출부(110)에 의해 산출되어 가입자 DB(140)에 저장된 것으로, 인적 정보, 현재 가입 서비스 정보, 과거 서비스 가입 정보 및 과거 사용 이력을 기초로 산출된다.
구체적으로, 인적 정보와 관련하여,
a) 통계적으로 부정사용 가능성이 높은 "남자" 가입자에 대해서는 "여자" 가입자 보다 높은 점수를 부여하고,
b) 통계적으로 부정사용 가능성이 높은 "30~40대" 가입자에 대해서는 "다른 연령대" 가입자 보다 높은 점수를 부여하고,
c) 통계적으로 부정사용 가능성이 높은 "낮은 신용도"의 가입자에 대해서는 "높은 신용도"의 가입자 보다 높은 점수를 부여한다.
또한, 현재 가입 서비스 정보와 과거 서비스 가입 정보와 관련하여,
a) 통계적으로 부정사용 가능성이 높은 "비싼 요금제"를 선택한 가입자에 대해서는 "값싼 요금제"를 선택한 가입자 보다 높은 점수를 부여하고,
b) 통계적으로 부정사용 가능성이 높은 "고가의 단말 기종"을 선택한 가입자에 대해서는 "저가의 단말 기종"을 선택한 가입자 보다 높은 점수를 부여하고,
c) 통계적으로 부정사용 가능성이 높은 "멤버쉽을 신청하지 않은 가입자"에 대해서는 "멤버쉽을 신청한 가입자" 보다 높은 점수를 부여하고,
d) 통계적으로 부정사용 가능성이 높은 "청구서 수령 방법을 MMS"로 선택한 가입자에 대해서는 "청구서 수령 방법을 우편이나 이메일"로 선택한 가입자 보다 높은 점수를 부여한다.
한편, 과거 이력과 관련하여, a) 과거 동시에 가입하였던 회선수가 많은 가입자, b) 과거 기변 이력이 많았던 가입자, c) 과거 부정사용 내역이 있는 가입자에 대해서는 높은 점수를 부여한다. 이러한 가입자들은 부정사용 가능성이 매우 높은 자이기 때문이다.
이후, 위험등급 산출부(110)는 부여된 점수들을 합산하고 합산된 점수를 토대로, 가입자의 위험등급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1) 합산된 점수가 90점 이상인 경우 위험등급을 "1 등급"으로, 2) 합산된 점수가 80점 이상 90점 미만인 경우 위험등급을 "2 등급"으로, 3) 합산된 점수가 80점 미만인 경우 위험등급을 "3 등급"으로, 결정할 수 있다.
한편, 부여된 점수들을 합산함에 있어, 위험등급 산출부(110)는 합산할 점수들에 각기 다른 가중치를 적용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이동통신 서비스 부정사용 가능성과 가장 관련도가 높은 "과거 이력"에 대해 보다 높은 가중치를 적용하는 것이다.
3. 이동통신 서비스 부정사용 시나리오
다시, 도 2를 참조하여, 부정사용 검출 시스템의 다른 구성들에 대해 설명한다.
시나리오 생성부(120)는 가입자의 서비스 사용 방식이 부정사용에 해당하는지 판단하는 기준(Rule)에 해당하는 부정사용 시나리오들을 생성하여, 부정사용 시나리오 DB(150)를 구축한다. 이를 위해 시나리오 생성부(120)는 과거 부정사용 내역들을 분석하여야 한다.
부정사용 시나리오들은, 위험등급에 따라 각기 다르게 생성/정의된다. 도 4에는 위험등급에 따른 부정사용 시나리오들을 예시하였다. 도 4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1) 가입자의 위험등급이 "1 등급"인 경우, 7일 동안 이상 패턴이 1개 이상 발생하면 부정사용으로 취급하고,
2) 가입자의 위험등급이 "2 등급"인 가입자의 경우, 10일 동안 이상 패턴이 2개 이상 발생하면 부정사용으로 취급하며,
3) 가입자의 위험등급이 "3 등급"인 가입자의 경우, 15일 동안 이상 패턴이 3개 이상 발생하면 부정사용으로 취급한다.
여기서, 이상 패턴이라 함은, 이동통신 서비스를 불법/편법적으로 부정사용할 가능성이 있는 구체적인 행위들이다. 예를 들어, 기정해진 금액 이상의 소액결제(매우 많은 횟수의 소액결제), 기정해진 요금 이상의 통화(매우 많은 통화량 발생), 기정해진 요금 이상의 데이터 사용(매우 많은 데이터 사용) 등은 고의적인 요금 미납 가능성이 있는 이상 패턴들이다.
또한, 기정해진 금액 이하의 통화(매우 적은 통화량), 기정해진 횟수 이상의 기변(매우 많은 횟수의 기변) 등은 단말기 편취 가능성이 있는 이상 패턴들이다.
여기서, 이상 패턴에 해당하는지 여부 판단은, 회선 기준이 아닌 가입자 기준임에 유념하여야 한다. 즉, 한 명의 가입자가 10개의 회선에 가입한 경우, 소액결제 금액, 통화 요금, 데이터 요금, 기변 횟수 등은, 10개의 회선에 대한 것들을 합산하여, 이상 패턴에 해당하는지 판단하는 것이다.
도 5에 다른 종류의 부정사용 시나리오들을 예시하였다. 도 5에 예시된 부정사용 시나리오들은, 위험등급에 따라 각기 다르게 정의된다는 점에서 도 4에 예시된 부정사용 시나리오들과 동일하지만, 이상 패턴의 조합을 보다 구체적으로 정의하였다는 점에서도 4에 예시된 부정사용 시나리오들과 차이가 있다.
구체적으로, 도 5에 예시된 부정사용 시나리오들에 따르면,
1) 가입자의 위험등급이 "1 등급"인 경우, 11) 7일 동안 이상 패턴 A가 발생하거나, 12) 7일 동안 이상 패턴 B가 발생하거나, 13) 7일 동안 이상 패턴 C가 발생하거나, 14) 7일 동안 이상 패턴 D가 발생하면, 부정사용으로 취급하고,
2) 가입자의 위험등급이 "2 등급"인 경우, 21) 7일 동안 이상 패턴 A가 발생하거나, 22) 10일 동안 이상 패턴 B와 C가 모두 발생하거나, 23) 10일 동안 이상 패턴 C와 D가 모두 발생하면, 부정사용으로 취급하며,
3) 가입자의 위험등급이 "3 등급"인 경우, 31) 7일 동안 이상 패턴 A가 발생하거나, 32) 15일 동안 이상 패턴 B, C 및 D가 모두 발생하면 부정사용으로 취급한다.
통계적으로 부정사용으로 취급될 가능성이 매우 높은 이상 패턴 A에 대해서는 위험등급과 상관 없이 동일한 시나리오를 적용하였고, 이상 패턴들을 조합하여 시나리오를 생성하였다는 점에서, 전술한 부정사용 시나리오들과 차이가 있다.
4. 부정사용 모니터링
다시, 도 2를 참조하여, 부정사용 검출 시스템의 다른 구성들에 대해 설명한다.
부정사용 모니터링부(130)는 가입자의 이동통신 서비스 사용이 부정사용에 해당하는지 모니터링한다. 구체적으로, 부정사용 모니터링부(130)는, 사용내역 DB(160)에 누적되어 있는 가입자의 이동통신 서비스 사용 방식이 부정사용 시나리오 DB(150)에 저장되어 있는 부정사용 시나리오에 해당하는지 판단하여, 가입자의 부정사용을 모니터링한다.
가입자의 부정사용 모니터링에는 가입자 DB(120)에 저장되어 있는 가입자의 위험등급이 참조된다. 이 위험등급은, 가입자의 서비스 사용 방식과 비교할 부정사용 시나리오들을 선정하는데 이용됨은 물론, 모니터링 주기를 결정함에 있어서도 이용된다.
예를 들어, 위험등급이 "1 등급"인 가입자의 모니터링은 일(日) 단위로, 위험등급이 "2 등급"인 가입자의 모니터링은 주(週) 단위로, 위험등급이 "3 등급"인 가입자의 모니터링은 월(月) 단위로, 수행할 수 있다.
위험등급에 따라 적용되는 부정사용 시나리오들이 달라지는 것은, 도 4와 도 5를 통해 설명한 바 있다.
5. 이동통신 서비스 부정사용 검출 방법
이하에서는, 도 2에 도시된 시스템에 의한 이동통신 서비스 부정사용 검출 과정에 대해,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서비스 부정사용 검출 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서비스 가입 요청이 있으면(S210-Y), 위험등급 산출부(110)는 가입 시점에서 가입자 DB(140)에 저장되어 있는 가입자 정보를 기준으로, 가입자의 위험등급을 산출한다(S220).
그리고, 위험등급 산출부(110)는 S220단계에서 산출한 위험등급을 가입자 DB(140)에 가입자의 다른 정보와 함께 저장한다(S230).
이후, 부정사용 모니터링부(130)는 가입자의 이동통신 서비스 사용 방식이 부정사용에 해당하는지 모니터링한다(S240). S240단계에서의 모니터링은, 가입자의 사용 방식이 부정사용 시나리오 DB(150)에 저장된 부정사용 시나리오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방식으로 수행된다.
비교 대상이 되는 부정사용 시나리오와 모니터링 주기는, 가입자의 위험등급에 따라 결정된다. 또한, 서비스 사용 방식은, 회선 기준이 아닌 가입자 기준이므로, 다회선 가입자의 사용 방식은 가입한 모든 회선들에 대한 사용 내역을 고려한다.
S240단계에서의 모니터링 결과, 가입자의 부정사용이 검출되면(S250), 부정사용 모니터링부(130)는 관리자에게 부정사용을 알람하여, 이동통신 서비스 부정사용 발생 사실 및 해당 가입자를 안내한다(S260). 이에, 관리자는 해당 가입자에 대한 감사에 착수하게 된다.
6. 변형예
지금까지, 이동통신 서비스 부정사용 검출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해,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들어 상세히 설명하였다.
위 실시예에서, 도 3에 언급한 가입자 정보의 분류와 세부 내용은 모두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다. 언급되지 않은 가입자 정보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다.
아울러, 도 4와 도 5에 언급한 부정사용 시나리오 역시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다. 언급되지 않은 부정사용 시나리오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위 실시예에서는, 가입자에 대해 일단 가입을 허가한 후에 부정사용을 모니터링하는 상황을 상정하였으나, 위험등급이 높은 가입자에 대해서는, 가입을 제한하거나, 조건부 가입을 허가하는 등의 사전 조치를 취하는 것으로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위 실시예에서는 부정사용 시나리오를 생성하여 이용하는 것을 언급하였는데,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단편적인 예에 불과하다. 정상사용 시나리오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 경우 정상사용 시나리오들 중 하나에 해당하는 가입자는 이동통신 서비스를 부정사용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위 실시예에서, 이동통신 서비스 부정사용 검출 시스템은 가입자의 이동통신 서비스 가입 시점에서 가입자의 정보를 분석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외에도 가입자가 가입한 후 특정 기간이 지난 시점에 가입자의 정보를 분석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이동통신 서비스 부정사용 검출 시스템은 가입시점시 분석하는 경우와 가입 이후 시점에 분석하는 경우의 위험등급 산출 기준을 서로 다르게 적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동통신 서비스 부정사용 검출 시스템은 가입 후 60일이 도래한 시점의 가입자들의 정보를 분석하여 위험 등급을 판단할 수도 있다.
또한, 이동통신 서비스 부정사용 검출 시스템은 가입자가 개인인지 법인인지 여부에 따라 위험등급 산출 기준을 서로 다르게 적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동통신 서비스 부정사용 검출 시스템은, 가입자가 개인인 경우 해당 가입자가 여러 개의 회선을 가입해놓는 것은 비정상적인 행위로 위험등급을 높게 판단하게 되지만, 가입자가 법인인 경우 해당 가입자가 여러 개의 회선을 가입해 놓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이러한 사실이 위험등급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장치와 방법의 기능을 수행하게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수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사상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코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읽을 수 있고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어떤 데이터 저장 장치이더라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디스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등이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코드 또는 프로그램은 컴퓨터간에 연결된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10 : 위험등급 산출부 140 : 가입자 DB
120 : 시나리오 생성부 150 : 부정사용 시나리오 DB
130 : 부정사용 모니터링부 160 : 사용내역 DB

Claims (13)

  1. 이동통신 서비스 가입자의 정보로부터 부정사용 가능성을 판단하여, 상기 가입자의 부정사용 위험등급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 단계에서 산출된 위험등급에 기초하여, 각기 다른 모니터링 강도로 상기 가입자의 부정사용을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링 단계는,
    상기 가입자의 사용 방식이 부정사용 시나리오들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면, 상기 가입자가 부정사용하는 것으로 판단하며,
    위험등급이 높은 가입자는 위험등급이 낮은 가입자 보다 짧은 주기로, 상기 가입자의 부정사용을 모니터링하고,
    상기 가입자의 사용 방식과 비교되는 부정사용 시나리오들은,
    상기 가입자의 위험등급에 따라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서비스 부정사용 검출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산출 단계는,
    상기 가입자의 상기 이동통신 서비스 가입 시점에서, 상기 가입자의 정보를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서비스 부정사용 검출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입자의 정보는,
    상기 가입자의, 인적 정보, 현재 가입 서비스 정보, 과거 서비스 가입 정보 및 과거 사용 이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서비스 부정사용 검출 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인적 정보는,
    성별, 연령 및 신용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현재 가입 서비스 정보는,
    현재 가입하고자하는 서비스에 대한, 요금제, 단말 기종, 멤버쉽 정보 및 청구서 수령 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과거 서비스 가입 정보는,
    과거 가입하였던 서비스에 대한, 요금제, 단말 기종, 멤버쉽 정보 및 청구서 수령 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과거 이력은,
    과거 동시에 가입하였던 회선수, 과거 기변 이력 및 과거 부정사용 내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서비스 부정사용 검출 방법.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입자의 사용 방식은,
    상기 가입자가 가입한 모든 회선을 고려하여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서비스 부정사용 검출 방법.
  8. 삭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부정사용 시나리오는,
    기정해진 기간 내에 이상 패턴들 중 적어도 하나가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서비스 부정사용 검출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이상 패턴은,
    기정해진 금액 이상의 소액결제, 기정해진 요금 이상의 통화, 기정해진 요금 이상의 데이터 사용, 기정해진 금액 이하의 통화 및 기정해진 횟수 이상의 기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서비스 부정사용 검출 방법.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산출 단계는,
    상기 가입자의 상기 이동통신 서비스 가입 이후 특정 기간이 지난 시점에서, 상기 가입자의 정보를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서비스 부정사용 검출 방법.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산출 단계는,
    상기 가입자가 개인인지 법인인지 여부에 따라 위험등급 산출 기준을 서로 다르게 적용하여, 상기 가입자의 부정사용 위험 등급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서비스 부정사용 검출 방법.
  13. 이동통신 서비스 가입자의 정보로부터 부정사용 가능성을 판단하여, 상기 가입자의 부정사용 위험등급을 산출하는 산출부; 및
    상기 산출부에 의해 산출된 위험등급에 기초하여, 각기 다른 모니터링 강도로 상기 가입자의 부정사용을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링부는,
    상기 가입자의 사용 방식이 부정사용 시나리오들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면, 상기 가입자가 부정사용하는 것으로 판단하며,
    위험등급이 높은 가입자는 위험등급이 낮은 가입자 보다 짧은 주기로, 상기 가입자의 부정사용을 모니터링하고,
    상기 가입자의 사용 방식과 비교되는 부정사용 시나리오들은,
    상기 가입자의 위험등급에 따라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서비스 부정사용 검출 시스템.
KR1020140150075A 2014-10-31 2014-10-31 이동통신 서비스 가입자의 부정사용 검출 방법 및 시스템 KR1016074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0075A KR101607402B1 (ko) 2014-10-31 2014-10-31 이동통신 서비스 가입자의 부정사용 검출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0075A KR101607402B1 (ko) 2014-10-31 2014-10-31 이동통신 서비스 가입자의 부정사용 검출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7402B1 true KR101607402B1 (ko) 2016-03-30

Family

ID=55660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0075A KR101607402B1 (ko) 2014-10-31 2014-10-31 이동통신 서비스 가입자의 부정사용 검출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740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0495B1 (ko) * 2020-06-11 2021-04-15 주식회사 카카오뱅크 신분 인증 부정 사용자 차등 관리 방법 및 서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0495B1 (ko) * 2020-06-11 2021-04-15 주식회사 카카오뱅크 신분 인증 부정 사용자 차등 관리 방법 및 서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306363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eventing illicit use of a telephony platform
CN106791220B (zh) 防止电话诈骗的方法及系统
Becker et al. Fraud detection in telecommunications: History and lessons learned
RU2510982C2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оценки пользователей для фильтрации сообщений
US8095109B2 (en) Charging of GPRS traffic for roaming mobiles by performing traffic counting at the user terminal
JP5547289B2 (ja) 電気通信ネットワークにおいて不正を検出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CN107274212A (zh) 作弊识别方法及装置
CN106445796B (zh) 作弊渠道的自动检测方法及装置
CN109168168B (zh) 一种检测国际盗打的方法
CN106548342B (zh) 一种可信设备确定方法及装置
CN109857484A (zh) 针对接口调用请求的处理方法及系统
CN107231494A (zh) 一种用户通信特征的获取方法、存储介质及电子设备
CN108271158A (zh) 呼叫处理方法及系统
CN113923048B (zh) 网络攻击行为识别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20170006158A (ko) 문자 메시지 부정 사용 탐지 방법 및 시스템
CN110347566A (zh) 用于对注册风控模型进行效能评估的方法及装置
KR101607402B1 (ko) 이동통신 서비스 가입자의 부정사용 검출 방법 및 시스템
Tarmazakov et al. Modern approaches to prevent fraud in mobile communications networks
Alraouji et al. International call fraud detection systems and techniques
Panigrahi et al. Use of dempster-shafer theory and Bayesian inferencing for fraud detection i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s
Ab Raub et al. Using subscriber usage profile risk score to improve accuracy of telecommunication fraud detection
Kabari et al. Telecommunications subscription fraud detection using Naïve Bayesian network
US8463237B1 (en) Using communications records to detect unauthorized use of telecommunication services
Ruiz-Agundez et al. Fraud detection for voice over ip services on next-generation networks
CN113837512A (zh) 异常用户的识别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