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7325B1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신호 재전송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신호 재전송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7325B1
KR101607325B1 KR1020090015533A KR20090015533A KR101607325B1 KR 101607325 B1 KR101607325 B1 KR 101607325B1 KR 1020090015533 A KR1020090015533 A KR 1020090015533A KR 20090015533 A KR20090015533 A KR 20090015533A KR 101607325 B1 KR101607325 B1 KR 1016073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signal
retransmission
uplink grant
grant
up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55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92708A (ko
Inventor
성두현
조한규
박규진
이은종
박형호
정재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900927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27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73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73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12Hybrid protocols;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신호 재전송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데이터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신호에 대한 재전송용 상향링크 그랜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재전송용 상향링크 그랜트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 신호를 재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신호 재전송 방법{METHOD OF RETRANSMITTING DATA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무선 통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신호 재전송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은 음성이나 데이터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광범위하게 전개되고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의 목적은 다수의 사용자가 위치와 이동성에 관계없이 신뢰할 수 있는(reliable) 통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런데, 무선 채널(wireless channel)은 경로 손실(path loss), 잡음(noise), 다중 경로(multipath)에 의한 페이딩(fading) 현상, 심벌 간 간섭(intersymbol interference, ISI) 또는 단말의 이동성으로 인한 도플러 효과(Doppler effect) 등의 비이상적인 특성이 있다. 무선 채널의 비이상적 특성을 극복하고, 무선 통신의 신뢰도(reliability)를 높이기 위해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무선 통신의 신뢰도를 높이는 기술 중 ARQ(automatic repeat request)가 있다. ARQ는 수신기에서 데이터 신호 수신이 실패한 경우, 전송기에서 데이터 신호를 재전송하는 것이다. 또한, FEC(Forward Error Correction)와 ARQ를 결합한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도 있다. HARQ를 사용하는 수신기는 기본적으로 수신된 데이터 신호에 대해 에러정정을 시도하고, 에러 검출 부호(error detection code)를 사용하여 재전송 여부를 결정한다. 에러 검출 부호는 CRC(Cyclic Redundancy Check)를 사용할 수 있다. CRC 검출 과정을 통해 데이터 신호의 에러가 검출되지 않으면, 수신기는 데이터 신호의 디코딩에 성공한 것으로 판단한다. 이 경우, 수신기는 전송기로 ACK(Acknowledgement) 신호를 전송한다. CRC 검출 과정을 통해 데이터 신호의 에러가 검출되면, 수신기는 데이터 신호의 디코딩에 실패한 것으로 판단한다. 이 경우, 수신기는 전송기로 NACK(Not-Acknowledgement) 신호를 보낸다. 전송기는 NACK 신호가 수신되면 데이터 신호를 재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HARQ는 무선 통신의 신뢰도를 높이는 중요한 기술이다. 그런데, HARQ를 수행하기 위한 데이터 신호에 대한 HARQ ACK/NACK 신호 전송, 데이터 신호의 재전송은 제어신호의 오버헤드 증가 및 한정된 무선자원의 낭비 등을 초래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이 기지국으로 데이터 신호를 재전송하는 경우, 다른 단말이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다른 데이터 신호와 충돌(collision)이 발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효율적인 데이터 신호 재전송 방법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신호 재전송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일 양태에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신호 재전송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데이터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신호에 대한 재전송용 상향링크 그랜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재전송용 상향링크 그랜트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 신호를 재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양태에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스케줄링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상향링크 그랜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상향링크 그랜트에 따른 데이터 신호의 디코딩에 실패한 경우, 상기 데이터 신호에 대한 재전송용 상향링크 그랜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재전송용 상향링크 그랜트에 따른 상기 데이터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재전송용 상향링크 그랜트의 손실로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수행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데이터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신호를 전송함에 따라 타이머를 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 신호에 대한 재전송용 상향링크 그랜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타이머를 중단하고, 상기 재전송용 상향링크 그랜트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 신호를 재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무선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는 RF(Radio Frequency)부 및 상기 RF부와 연결되어, 데이터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데이터 신호에 대한 재전송용 상향링크 그랜트를 수신하고, 상기 재전송용 상향링크 그랜트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 신호를 재전송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효율적인 데이터 신호 재전송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전체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의 기술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single carrier-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등과 같은 다양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다. CDMA는 UTRA(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나 CDMA2000과 같은 무선 기술(radio technology)로 구현될 수 있다. TDMA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EDGE(Enhanced Data Rates for GSM Evolution)와 같은 무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OFDMA는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1 (Wi-Fi), IEEE 802.16 (WiMAX), IEEE 802.20, E-UTRA(Evolved UTRA) 등과 같은 무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UTRA는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의 일부이 다.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는 E-UTRA를 사용하는 E-UMTS(Evolved UMTS)의 일부로써, 하향링크에서 OFDMA를 채용하고 상향링크에서 SC-FDMA를 채용한다.
설명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3GPP LTE를 위주로 기술하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무선 통신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무선 통신 시스템(10)은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11; Base Station, BS)을 포함한다. 각 기지국(11)은 특정한 지리적 영역(일반적으로 셀이라고 함)(15a, 15b, 15c)에 대해 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셀은 다시 다수의 영역(섹터라고 함)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단말(12; User Equipment, UE)은 고정되거나 이동성을 가질 수 있으며, MS(mobile station), UT(user terminal), SS(subscriber station), 무선기기(wireless devic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무선 모뎀(wireless modem), 휴대기기(handheld device)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기지국(11)은 일반적으로 단말(12)과 통신하는 고정된 지점(fixed station)을 말하며, eNB(evolved-NodeB), BTS(Base Transceiver System),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이하에서 하향링크(downlink, DL)는 기지국에서 단말로의 통신을 의미하며, 상향링크(uplink, UL)는 단말에서 기지국으로의 통신을 의미한다. 하향링크에서 전송기는 기지국의 일부분일 수 있고, 수신기는 단말의 일부분일 수 있다. 상향링크에서 전송기는 단말의 일부분일 수 있고, 수신기는 기지국의 일부분일 수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이 채용하는 듀플렉스(duplex) 방식에는 제한이 없으며, TDD(Time Division Duplex),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또는 H-FDD(Half-duplex FDD) 방식을 채택할 수 있다. TDD 방식은 상향링크 전송과 하향링크 전송이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차지하면서 서로 다른 시간에 이루어지는 것을 말한다. FDD 방식은 상향링크 전송과 하향링크 전송이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차지하고,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을 말한다. H-FDD 방식은 상향링크 전송과 하향링크 전송이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차지하면서, 동시에 이루어질 수 없는 것을 말한다. 즉, H-FDD 방식은 상향링크 전송과 하향링크 전송이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에서 서로 다른 시간에 이루어진다.
무선 통신 시스템은 상향링크 및/또는 하향링크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를 지원할 수 있다.
도 2는 3GPP LTE에서 무선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무선 프레임(radio frame)은 10개의 서브프레임(subframe)으로 구성되고,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2개의 슬롯(slot)으로 구성된다. 무선 프레임 내 슬롯은 0부터 19까지 슬롯 번호가 매겨진다. 하나의 서브프레임이 전송되는 데 걸리는 시간을 TTI(transmission time interval)라 한다. TTI는 데이터 신호 전송을 위한 스케줄링 단위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무선 프레임의 길이는 10ms이고, 하나의 서브프레임의 길이는 1ms이고, 하나의 슬롯의 길이는 0.5ms 일 수 있다.
무선 프레임의 구조는 예시에 불과하고, 무선 프레임에 포함되는 서브프레임 의 수 또는 서브프레임에 포함되는 슬롯의 수 등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3은 3GPP LTE에서 하나의 상향링크 슬롯에 대한 자원 그리드(resource grid)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향링크 슬롯은 시간 영역(time domain)에서 복수의 SC-FDMA 심벌을 포함하고, 주파수 영역(frequency domain)에서 NUL 자원블록(Resource Block, RB)을 포함한다. SC-FDMA 심벌은 하나의 심벌 구간(symbol period)을 표현하기 위한 것으로, 시스템에 따라 OFDMA 심벌 또는 심벌 구간이라고 할 수 있다. 자원블록은 자원 할당 단위로 주파수 영역에서 복수의 부반송파를 포함한다. 상향링크 슬롯에 포함되는 자원블록의 수 NUL은 셀에서 설정되는 상향링크 전송 대역폭(bandwidth)에 종속한다.
자원 그리드 상의 각 요소(element)를 자원요소(Resource Element)라 한다. 여기서, 하나의 자원블록은 시간 영역에서 7 SC-FDMA 심벌, 주파수 영역에서 12 부반송파로 구성되는 7×12 자원요소를 포함하는 것을 예시적으로 기술하나, 자원블록 내 SC-FDMA 심벌의 수와 부반송파의 수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SC-FDMA 심벌의 수는 CP(Cyclic Prefix, 이하 CP)의 길이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노멀(normal) CP의 경우 SC-FDMA 심벌의 수는 7이고, 확장된(extended) CP의 경우 SC-FDMA 심벌의 수는 6이다.
도 3의 3GPP LTE에서 하나의 상향링크 슬롯에 대한 자원 그리드는 하향링크 슬롯에 대한 자원 그리드에도 적용될 수 있다. 다만, 하향링크 슬롯은 시간 영역에 서 복수의 OFDM 심벌을 포함한다.
도 4는 3GPP LTE에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조의 예를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은 2개의 연속적인(consecutive) 슬롯을 포함한다.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내의 첫번째 슬롯의 앞선 최대 3 OFDM 심벌들이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가 할당되는 제어영역(control region)이고, 나머지 OFDM 심벌들은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가 할당되는 데이터 신호 영역(data region)이 된다. 제어영역에는 PDCCH 이외에도 PCFICH(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 PHICH(physical Hybrid ARQ indicator channel) 등의 제어채널이 할당될 수 있다. PDCCH는 PDSCH 상의 하향링크 전송의 자원 할당을 알려주는 하향링크 그랜트를 나를 수 있다. 단말은 PDCCH 상으로 전송되는 제어신호를 디코딩하여 PDSCH 상으로 전송되는 데이터 신호를 읽을 수 있다. 또한, PDCCH는 상향링크 전송의 자원 할당을 알려주는 상향링크 그랜트를 나를 수 있다. 단말은 상향링크 그랜트를 이용하여 상향링크 데이터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영역이 3 OFDM 심벌을 포함하는 것은 예시에 불과하다. 서브프레임 내 제어영역이 포함하는 OFDM 심벌의 수는 PCFICH를 통해 알 수 있다. PHICH는 상향링크 전송의 응답으로 HARQ ACK(Acknowledgement)/NACK(Not-Acknowledgement) 신호를 나른다.
도 5는 3GPP LTE에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조의 예를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은 상향링크 제어신호를 나르는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가 할당되는 제어영역과 사용자 데이터 신 호를 나르는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가 할당되는 데이터 영역으로 나눌 수 있다. SC-FDMA에서 싱글 반송파 특성을 유지하기 위해, 하나의 단말에게 주파수 영역으로 연속적인 자원블록을 자원으로 할당한다. 하나의 단말은 PUCCH와 PUSCH를 동시에 전송할 수 없다.
하나의 단말에 대한 PUCCH는 서브프레임에서 자원블록 쌍(RB pair)으로 할당된다. 자원블록 쌍에 속하는 자원블록들은 제1 슬롯과 제2 슬롯 각각에서 서로 다른 부반송파를 차지한다. 이를 PUCCH에 할당되는 자원블록 쌍이 슬롯 경계(slot boundary)에서 주파수 도약(frequency hopping)된다고 한다. m은 서브프레임 내에서 PUCCH에 할당된 자원블록의 주파수 영역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인덱스이다.
PUSCH는 전송채널(transport channel)인 UL-SCH(Uplink Shared Channel)에 맵핑된다. PUCCH 상에서 전송되는 상향링크 제어신호는 HARQ ACK/NACK 신호, 하향링크 채널 상태를 나타내는 CQI(channel quality indicator), 상향링크 무선자원 할당 요청인 SR(scheduling request) 등이 있다.
무선자원 스케줄링(radio resource scheduling) 방식으로는 동적 스케줄링(dynamic scheduling) 방식, 지속적 스케줄링(persistent scheduling) 방식, 반지속적 스케줄링(semi-persistent scheduling, SPS) 방식 등이 있다. 동적 스케줄링 방식은 데이터 신호를 전송 또는 수신할 때마다, 제어신호를 통해 스케줄링 정보가 요구되는 방식이다. 지속적 스케줄링 방식은 미리 설정된 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 신호를 전송 또는 수신한다. 즉, 데이터 신호 전송에 사용되는 자원이 고정된다. 또한, 데이터 신호에 대한 전송 포맷도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지속적 스케 줄링 방식은 데이터 신호의 전송 또는 수신할 때마다 제어신호를 통한 스케줄링 정보가 요구되지 않는다. 반지속적 스케줄링 방식은 반지속적 스케줄링 구간(semi-persistent scheduling interval) 동안, 데이터 신호의 전송 또는 수신할 때마다 제어신호를 통한 스케줄링 정보가 요구되지 않는 방식이다. 즉, 반지속적 스케줄링 구간 동안, 데이터 신호 전송에 사용되는 자원이 고정된다. 또한, 반지속적 스케줄링 구간 동안, 데이터 신호에 대한 전송 포맷도 고정될 수 있다.
도 6은 동적 스케줄링 방식을 이용한 상향링크 데이터 신호 전송 방법의 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단말(UE)은 데이터 신호(DATA SIGNAL)를 전송할 때마다 기지국(BS)으로부터 상향링크 그랜트(UPLINK GRANT)를 매번 수신한다. 단말은 기지국으로 상향링크 그랜트를 이용하여 데이터 신호를 전송한다. 3GPP LTE에서 상향링크 그랜트는 PDCCH 상으로 전송되고, 데이터 신호는 PUSCH 상으로 전송될 수 있다. IEEE 802.16에서 상향링크 그랜트는 UL-MAP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동적 스케줄링 방식은 기지국이 상향링크 채널 상태(uplink channel condition)에 따라 스케줄링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VoIP(Voice over IP)는 IP(Internet Protocol)를 통해 음성 데이터 신호를 전송하는 서비스로서, 종래 CS(Circuit Switched) 영역(domain)에서 제공하던 음성 데이터 신호를 PS(Packet Switched) 영역에서 제공하는 방법이다. CS 기반 음성 서비스에서는 종-대-종(end-to-end)으로 연결을 유지하며 음성 데이터 신호를 전송하는데 반해 VoIP에서는 연결을 유지하지 않은 채로(connection-less) 음성 데이터 신호를 전송하기 때문에, 네트워크 자원을 매우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무선통신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사용자 데이터 신호도 매우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며, 제한된 네트워크 자원의 효율적 이용을 위해 기존의 CS 기반 서비스들이 상당 부분 PS 기반 서비스로 대체되고 있는 추세이다. VoIP 역시 이러한 맥락에서 개발되고 있으며, 향후 대부분의 무선통신 시스템에서는 모든 음성 서비스가 VoIP를 통해 제공될 것으로 예상된다.
도 7은 VoIP에서의 트래픽 모델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을 참고하면, VoIP에서 발생하는 음성 패킷의 종류는 대화구간 (Talkspurt)에서 발생하는 패킷과 침묵구간(Silence Period)에서 발생하는 패킷으로 나눌 수 있다. 예를 들어, 12.2 kbps AMR(Adaptive Multi-Rate)을 가정한다면, 대화구간에서는 RTP 패킷이 20ms의 주기로 발생하고, 35 ~ 49 바이트의 크기를 갖는다. 그리고 침묵구간에서 RTP 패킷이 160ms 주기로 발생하고, 10 ~ 24 바이트의 크기를 갖는다.
VoIP과 같은 음성 서비스에서는 일정한 주기로 패킷이 생성되면, 생성되는 패킷의 크기가 비교적 작고 일정하다. 따라서, VoIP는 일반적으로 지속적 스케줄링 방식 또는 반지속적 스케줄링 방식을 사용하기 적합하다.
도 8은 지속적 스케줄링 방식을 이용한 상향링크 데이터 신호 전송 방법의 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기지국(BS)은 단말(UE)에게 초기 상향링크 그랜트(INITIAL UPLINK GRANT)를 전송한다. 단말은 기지국으로 데이터 신호(DATA SIGNAL)를 전송할 때마다 초기 상향링크 그랜트를 이용한다. 데이터 신호는 VoIP 데이터 신호일 수 있다. 3GPP LTE에서 초기 상향링크 그랜트는 PDCCH 상으로 전송되고, 데이터 신호는 PUSCH 상으로 전송될 수 있다. 또는, 초기 상향링크 그랜트는 물리계층의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위 계층은 단말과 네트워크 간에 무선자원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RRC(Radio Resource Control)일 수 있다.
지속적 스케줄링 방식의 경우, 무선 베어러(Radio Bearer) 설정 과정에서 이를 미리 예측하여 무선자원을 지속적으로 할당하고, 이에 따라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신호 없이도 패킷을 전송 또는 수신한다. 지속적 스케줄링 방식으로 데이터 신호를 전송 또는 수신할 때, 스케줄링 정보가 제공되지 않고 미리 설정된 무선자원을 이용하기 때문에 데이터 신호를 전송 또는 수신하는 시점에서의 채널 상태가 고려되지 않아, 채널 상태가 변한 경우에 전송 오류율이 높아질 수 있다.
도 9는 반지속적 스케줄링 방식을 이용한 상향링크 데이터 신호 전송 방법의 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기지국(BS)은 단말(UE)에게 반지속적 상향링크 그랜트(SEMI-PERSISTENT UPLINK GRANT)를 전송한다. 반지속적 스케줄링 구간 동안, 단말은 기지국으로 반지속적 상향링크 그랜트를 이용하여 데이터 신호(DATA SIGNAL)를 전송한다. 데이터 신호는 VoIP 데이터 신호이고, VoIP의 대화구간을 반지속적 스케줄링 구간으로 할 수 있다. 3GPP LTE에서 반지속적 상향링크 그랜트는 PDCCH 상으로 전송되고, 데이터 신호는 PUSCH 상으로 전송될 수 있다. 반지속적 스케줄링 구간은 물리계층의 상위계층(예를 들어, RRC)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도 10은 상향링크 동기(synchronous)/비적응적(non-adaptive) HARQ의 예를 나타낸다.
도 10을 참조하면, 기지국(BS)은 단말(UE)로 상향링크 그랜트(UL Grant)를 전송한다. 기지국으로부터 상향링크 그랜트를 수신한 단말은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기지국으로 상향링크 데이터(UL Data) 신호를 전송한다. 단말로부터 상향링크 데이터 신호를 수신한 기지국은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 단말로 HARQ ACK/NACK 신호를 전송한다. HARQ ACK/NACK 신호는 상향링크 데이터 신호가 성공적으로 디코딩되면 ACK 신호가 되고, 상향링크 데이터 신호의 디코딩에 실패하면 NACK 신호가 된다. 디코딩 성공 여부는 에러 검출 부호인 CRC(Cyclic Redundancy Check)를 이용하여 판단할 수 있다. CRC 검출 과정을 통해 상향링크 데이터 신호의 에러가 검출되지 않으면, 기지국은 상향링크 데이터 신호의 디코딩에 성공한 것으로 판단한다. CRC 검출 과정을 통해 상향링크 데이터 신호의 에러가 검출되면, 기지국은 상향링크 데이터 신호의 디코딩에 실패한 것으로 판단한다.
기지국으로부터 NACK 신호를 수신한 단말은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기지국으로 상향링크 데이터 신호를 재전송한다. NACK 신호를 수신한 단말은 ACK 신호가 수신되거나 최대 재전송 횟수까지 상향링크 데이터 신호를 재전송할 수 있다.
IEEE 802.16에서 상향링크 그랜트는 UL-MAP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3GPP LTE에서 상향링크 그랜트는 PDCCH 상으로 전송되고, 상향링크 데이터 신호는 PUSCH 상으로 전송되고, HARQ ACK/NACK 신호는 PHICH 상으로 전송될 수 있다. 상향링크 데이터 신호는 TTI 동안 전송되는 UL-SCH를 위한 데이터 블록인 전송 블록(transport block)에 대한 신호일 수 있다.
상향링크 그랜트에 대한 상향링크 데이터 신호의 전송 시점, 상향링크 데이터 신호에 대한 HARQ ACK/NACK 신호의 전송 시점, NACK 신호에 대한 상향링크 데이터 신호의 재전송 시점 등은 각각 기지국이 단말에게 알려주거나, 미리 약속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전송 시점들이 미리 약속되어 있는 경우를 동기 HARQ라 한다. 예를 들어, FDD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그랜트가 n번 서브프레임을 통해 수신되면, 상향링크 그랜트를 이용한 상향링크 데이터 신호는 n+4번 서브프레임을 통해 전송된다.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 신호에 대한 HARQ ACK/NACK 신호는 n+8번 서브프레임을 통해 전송된다. NACK 신호에 대한 상향링크 데이터 신호는 n+12번 서브프레임을 통해 전송된다.
HARQ ACK/NACK 신호 전송에 이용되는 자원은 연관된 상향링크 데이터 신호가 전송된 자원을 이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HARQ ACK/NACK 신호 전송에 이용되는 자원은 시간-주파수 자원(예를 들어, 자원요소), 직교 시퀀스 등일 수 있다. 상향링크 데이터 신호가 전송된 자원은 시간-주파수 자원(예를 들어, 자원블록), 상향링크 데이터 신호의 복조(demodulation)를 위한 참조신호(reference signal)의 순환 쉬프트(cyclic shift) 등일 수 있다.
상향링크 데이터 신호가 재전송되는 자원 및 재전송 포맷은 이전에 전송된 상향링크 데이터 신호가 전송된 자원 및 전송 포맷과 동일하다. 이를 비적응적 HARQ라 한다. 비적응적 HARQ의 경우, 재전송용 상향링크 그랜트(uplink grant for retransmission)가 전송되지 않으므로 제어신호 오버헤드(control signal overhead)를 줄일 수 있다. 그런데, 비적응적 HARQ는 재전송에 대한 유연 성(flexibility)이 부족하다. 따라서, 다른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상향링크 데이터 신호와 충돌(collision)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지속적 스케줄링 방식 또는 반지속적 스케줄링 방식으로 전송되는 데이터 신호(예를 들어, VoIP)와 충돌이 발생할 수 있다.
도 11은 상향링크 동기/적응적(adaptive) HARQ의 예를 나타낸다.
도 11을 참조하면, 기지국(BS)에서 상향링크 데이터(UL Data) 신호의 디코딩에 실패하면, 기지국은 단말(UE)로 NACK 신호 및 재전송용 상향링크 그랜트를 전송한다. 기지국으로부터 NACK 신호 및 재전송용 상향링크 그랜트를 수신한 단말은 기지국으로 재전송용 상향링크 그랜트를 이용하여 상향링크 데이터 신호를 재전송한다. 이를 적응적 HARQ라 한다. 재전송용 상향링크 그랜트가 전송되는 것을 제외한 나머지는 도 10에서 설명한 내용과 같다.
상향링크 그랜트는 상향링크 데이터 신호의 스케줄링을 위한 제어신호이다. 상향링크 그랜트는 자원 할당 필드, 전송 포맷 필드 및 새 데이터 지시자(new data indicator, NDI)를 포함한다. 상향링크 그랜트는 이외에도 상향링크 그랜트와 다른 제어신호를 구별하는 플래그(flag) 필드, 주파수 홉핑(frequency hopping) 여부를 지시하는 홉핑 플래그 필드, 상향링크 전력 제어를 위한 TPC(Transmit Power Control) 명령 필드, 복조를 위한 참조신호의 순환 쉬프트를 지시하는 순환 쉬프트 필드 및 CQI 보고 여부를 지시하는 CQI 보고 지시자(CQI report indicator)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자원 할당 필드는 상향링크 데이터 신호 전송을 위한 무선자원을 할당한다. 무선자원은 시간-주파수 자원일 수 있다. 3GPP LTE에서 자원 할당 필드가 할당하는 무선자원은 자원블록이다. 단말은 자원 할당 필드를 이용하여 상향링크 데이터 신호 전송에 할당된 자원블록의 위치, 자원블록의 개수 등을 알 수 있다.
전송 포맷 필드는 상향링크 데이터 신호에 대한 전송 포맷을 지시한다. 전송 포맷은 변조 방식, 채널 부호화 방식 등이 될 수 있다. 전송 포맷 필드의 값은 전송 포맷 테이블로부터 선택되는 하나의 MCS 인덱스일 수 있다. 전송 포맷 테이블은 상향링크 데이터 신호 전송에 사용되는 MCS 인덱스들의 집합이다. 기지국과 단말은 사전 협의된 전송 포맷 테이블을 사용한다. 전송 포맷 테이블의 MCS 인덱스들 각각은 상향링크 데이터 신호에 대한 변조 방식, 상향링크 데이터 신호의 크기 결정에 이용되는 TBS(Transport block size) 인덱스, 상향링크 데이터 신호에 대한 채널 부호화에 이용되는 리던던시 버전(redundancy version)에 대응될 수 있다. 리던던시 버전은 마더 코드(mother code)로부터 레이트 매칭을 수행하여 레이트 매칭된 비트를 생성할 때 마더 코드의 시작점을 지시한다. 마더 코드는 정보 비트에 채널 부호화를 수행하여 생성된 비트이다.
다음 표는 전송 포맷 테이블의 일 예를 나타낸다.
Figure 112009011544963-pat00001
전송 포맷 테이블은 MCS 인덱스에 따라 변조 방식을 지시하는 변조 차수(modulation order), TBS 인덱스, 리던던시 버전이 특정된다. 여기서, 변조 차수 2는 QPSK, 변조 차수 4는 16QA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변조 차수 6은 64QAM을 의미한다. 표 1과 같이 MCS 인덱스들이 0부터 31까지의 정수인 경우, 전송 포맷 필드의 크기는 5 비트일 수 있다.
새 데이터 지시자는 상향링크 그랜트가 새로운 상향링크 데이터 신호 전송을 위한 것인지, 상향링크 데이터 신호의 재전송을 위한 것인지 여부를 지시한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향링크 데이터 신호의 재전송을 위한 상향링크 그랜트를 재전송용 상향링크 그랜트라 한다. 단말은 새 데이터 지시자를 통해 상향링크 그랜트가 재전송용 상향링크 그랜트 인지 여부를 알 수 있다.
새 데이터 지시자의 크기는 1비트일 수 있다. 1비트의 새 데이터 지시자가 토글(toggle)되면, 상향링크 그랜트는 새로운 상향링크 데이터 신호 전송을 위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전에 전송된 상향링크 그랜트의 새 데이터 지시자가 '0'인 경우를 설명한다. 후속으로 전송된 상향링크 그랜트의 새 데이터 지시자가 '0'이면, 후속으로 전송된 상향링크 그랜트는 재전송용 상향링크 그랜트이다. 만일, 후속으로 전송된 상향링크 그랜트의 새 데이터 지시자가 '1'로 토글되면, 후속으로 전송된 상향링크 그랜트는 새로운 상향링크 데이터 신호 전송을 위한 것이다.
단말이 데이터 신호에 대한 NACK 신호와 함께 재전송용 상향링크 그랜트를 수신한 경우, 단말은 재전송용 상향링크 그랜트가 지시하는 무선자원, 전송 포맷에 따라 데이터 신호를 기지국으로 재전송한다.
그런데, 기지국이 단말로 NACK 신호와 함께 재전송용 상향링크를 전송하였음에도, 단말이 NACK 신호는 수신하나, 재전송용 상향링크 그랜트를 디코딩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재전송용 상향링크 그랜트 손실(loss)이라 한다. 이때, 단말은 동기/비적응적 HARQ 방식으로 상향링크 데이터 신호를 재전송하게 된다. 이 경우, 다른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상향링크 데이터 신호와 충돌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재전송용 상향링크 그랜트가 전송되었는지 여부를 구별할 수 있는 상향링크 데이터 신호 재전송 방법이 필요하다.
단말이 재전송용 상향링크 그랜트 전송 여부를 구별하기 위해, 기지국은 NACK 신호와 재전송용 상향링크 그랜트 전송을 선택적으로 한다.
첫째, 기지국은 단말에게 재전송용 상향링크 그랜트 없이 NACK 신호만을 전송한다. 단말은 단말은 기지국에게 비적응적 HARQ 방식으로 데이터 신호를 재전송한다. 이는 도 10의 경우와 같다.
둘째, 기지국은 단말에게 NACK 신호 없이 재전송용 상향링크 그랜트만을 전송한다. NACK 신호를 검출 여부와 상관없이, 단말은 기지국으로 재전송용 상향링크 그랜트를 이용하여 데이터 신호를 재전송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신호 재전송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단말(UE)은 기지국(BS)으로 데이터 신호를 전송한다(S110, Transmit data signal). 기지국은 단말에게 재전송용 상향링크 그랜트(Uplink grant for retransmission)을 전송한다(S120). 재전송용 상향링크 그랜트를 수신한 단말은 기지국이 데이터 신호의 디코딩에 실패했다고 판단한다. 단말은 기지국으로 재전송용 상향링크 그랜트를 이용하여 데이터 신호를 재전송한다(S130, Retransmit data signal). 단말은 기지국으로 데이터 신호를 전송할 때, 이전에 수신한 상향링크 그랜트를 이용하여 데이터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기지국은 단말에게 재전송용 상향링크 그랜트 전송 시 NACK 신호를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신호 재전송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기지국(BS)은 단말(UE)로 상향링크 그랜트(Uplink grant)를 전송한다(S210). 단말은 기지국으로 상향링크 그랜트를 이용하여 데이터 신호를 전송한다(S220, Transmit data signal). 기지국은 단말에게 NACK 신호 없이 재전송용 상향링크 그랜트(Uplink grant for retransmission without NACK)를 전송한다(S230). 재전송용 상향링크 그랜트를 수신한 단말은 NACK 신호를 검출하지 못하더라도 기지국이 데이터 신호 디코딩에 실패했다고 판단한다. 단말은 기지국으로 재전송용 상향링크 그랜트를 이용하여 데이터 신호를 재전송한다(S240, Retransmit data signal).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향링크 스케줄링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기지국(BS)은 단말(UE)로 상향링크 그랜트(Uplink grant)를 전송한다(S310). 단말은 기지국으로 상향링크 그랜트를 이용하여 데이터 신호를 전송한다(S320, Transmit data signal). 기지국은 단말에게 NACK 신호 없이 재전송용 상향링크 그랜트(Uplink grant for retransmission without NACK)를 전송한다(S330). 이때, 재전송용 상향링크 그랜트가 전송 중 손실되어, 단말은 재전송용 상향링크 그랜트를 수신하지 못한다. 단말은 NACK 신호를 검출하지 못하고, 재전송용 상향링크 그랜트를 디코딩하지도 못한다(S340, No detection of NACK & No decoding of uplink grant). 단말은 재전송용 상향링크 그랜트의 손실로 인식한다. 단말은 기지국으로 데이터 신호를 재전송하지 않는다(S350, Not retransmit data signal). 기지국은 재전송용 상향링크 그랜트를 전송하였음에도 단말로부터 데이터 신호를 재전송받지 못하므로, 재전송용 상향링크 그랜트 손실을 인지한다(S360, Detection of uplink grant loss). 이후, 기지국은 단말로 재전송용 상향링크 그랜트를 다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단말은 재전송용 상향링크 그랜트가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었는지 여부를 구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다른 단말이 전송한 상향링크 데이터 신호와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전체적인 시스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런데, VoIP과 같이 지속적 스케줄링 방식 또는 반지속적 스케줄링 방식으로 전송되는 상향링크 데이터 신호의 HARQ 방법이 문제된다. 지속적 스케줄링 방식 또는 반지속적 스케줄링 방식의 경우, 단말은 지정된 자원을 통해 연속해서 상향링크 데이터 신호를 전송한다. 이 경우, HARQ ACK/NACK 신호 전송 방법이 문제된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HARQ 수행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기지국(BS)은 단말(UE)로 데이터 신호를 전송한다(S410, Transmit data signal). 단말은 데이터 신호를 전송함에 따라 타이머(Timer)를 개시(Start)한다. 기지국은 데이터 신호의 디코딩에 성공하여도, 단말에게 ACK 신호를 전송하지 않는다(S420, No transmit ACK). 즉, 기지국은 단말에게 데이터 신호의 수신 성공을 명시적으로 알리지 않는다. 타이머가 만료(Expiry)될 때까지,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데이터 신호에 대한 ACK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에 대한 재전송용 상향링크 그랜트 중 어느 것도 수신하지 않는다. 이 경우, 단말은 데이터 신호가 기지국에서 성공적으로 수신된 것으로 인지한다(S430, Detection of successful reception).
단말은 타이머를 개시하면서, 데이터 신호를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단말은 타이머가 만료되면, 단말은 데이터 신호가 성공적으로 수신된 것으로 인지하므로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 신호를 삭제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HARQ 수행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기지국(BS)은 단말(UE)로 데이터 신호를 전송한다(S510, Transmit data signal). 단말은 데이터 신호를 전송함에 따라 타이머(Timer)를 개시(Start)한다. 기지국이 데이터 신호의 디코딩에 실패한 경우, 기지국은 단말에게 NACK 신호 없이 재전송용 상향링크 그랜트(Uplink grant for retransmission without NACK)를 전송한다(S520). 재전송용 상향링크 그랜트를 수신한 단말은 타이머를 중단(Stop)한다. 단말은 기지국으로 재전송용 상향링크 그랜트를 이용하여 데이터 신호를 재전송한다(S530).
도 15 및 16의 데이터 신호는 지속적 스케줄링 방식 또는 반지속적 스케줄링 방식으로 전송될 수 있다. 즉, 데이터 신호는 고정된 무선자원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데이터 신호는 VoIP 데이터 신호일 수 있다. 재전송용 상향링크 그랜트는 데이터 신호의 재전송을 지시하는 새 데이터 지시자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은 데이터 신호를 고정된 무선자원을 통해 재전송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고정된 데이터 신호를 고정된 전송 포맷으로 재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은 재전송용 상향링크 그랜트의 자원 할당 필드 및 전송 포맷 필드를 확인할 필요가 없다. 이때, 단말은 새 데이터 지시자를 통해 재전송용 상향링크 그랜트인지 여부만을 확인하면 되므로, 디코딩 복잡도(complexity)를 크게 줄일 수 있다.
도 15 및 16에 설명한 HARQ 수행 방법은 일반적인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 시에도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이 데이터 신호에 대한 NACK 신호를 수신하고, 동기/비적응적 방식으로 데이터 신호를 재전송한 경우에 적용 가능하다. 단말은 데이터 신호 재전송에 따라 타이머를 개시한다. 기지국은 재전송된 데이터 신호에 대한 HARQ ACK/NACK 신호를 전송하지 않는다. 기지국이 재전송된 데이터 신호에 대한 디코딩에 실패한 경우, 기지국은 단말에게 NACK 신호 없이 재전송용 상향링크 그랜트를 전송한다. 단말은 재전송용 상향링크 그랜트를 이용하여 데이터 신호를 재전송한다. 만일, 타이머가 만료될 때까지 단말이 재전송용 상향링크 그랜트를 수신하지 않는 경우, 단말은 재전송된 데이터 신호가 기지국에서 성공적으로 수신된 것으로 인지한다.
이와 같은 HARQ 수행 방법은 단말이 상향링크 데이터 신호마다 HARQ ACK/NACK 신호를 검출하지 않고, 재전송용 상향링크 그랜트의 전송 여부만을 확인하면 된다. 이를 통해, 단말의 신호 처리 오버헤드를 감소시키고, 단말의 전력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전체적인 시스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7은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50)는 단말의 일부일 수 있다.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50)는 프로세서(processor, 51), 메모리(memory, 52), RF부(Radio Frequency unit, 53), 디스플레이부(display unit, 54), 사용자 인터페이스부(user interface unit, 55)를 포함한다. RF부(53)는 프로세서(51)와 연결되어, 무선 신호(radio signal)를 송신 및/또는 수신한다. 메모리(52)는 프로세서(51)와 연결되어, 구동 시스템, 애플리케이션 및 일반적인 파일을 저장한다. 디스플레이부(54)는 단말의 여러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며,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 잘 알려진 요소를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55)는 키패드나 터치 스크린 등 잘 알려진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프로세서(51)는 지금까지 상술한 데이터 신호 재전송 등 HARQ 수행에 관한 모든 방법들을 수행한다.
도 18은 기지국의 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기지국(60)은 프로세서(processor, 61), 메모리(memory, 62), 스케줄러(scheduler, 63) 및 RF부(64)를 포함한다. RF부(64)는 프로세서(61)와 연결되어, 무선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한다. 프로세서(61)는 지금까지 상술한 HARQ 수행과 관한 모든 방법들을 수행할 수 있다. 메모리(62)는 프로세서(61)와 연결되어, 프로세서(61)에서 처리된 정보들을 저장한다. 스케줄러(63)는 프로세서(61)와 연결되어, 지금까지 상술한 HARQ 수행을 위한 스케줄링에 관한 모든 방법들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 구현에 있어, 상술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디자인된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DSP(digital signal processing), PLD(programmable logic device),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 프로세서, 다른 전자 유닛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구현에 있어, 상술한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메모리 유닛에 저장될 수 있고,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된다. 메모리 유닛이나 프로세서는 당업자에게 잘 알려진 다양한 수단을 채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켜 실시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의 범위 내의 모든 실시예들을 포함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무선 통신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2는 3GPP LTE에서 무선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3은 3GPP LTE에서 하나의 상향링크 슬롯에 대한 자원 그리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는 3GPP LTE에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조의 예를 나타낸다.
도 5는 3GPP LTE에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조의 예를 나타낸다.
도 6은 동적 스케줄링 방식을 이용한 상향링크 데이터 신호 전송 방법의 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은 VoIP에서의 트래픽 모델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8은 지속적 스케줄링 방식을 이용한 상향링크 데이터 신호 전송 방법의 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9는 반지속적 스케줄링 방식을 이용한 상향링크 데이터 신호 전송 방법의 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0은 상향링크 동기/비적응적 HARQ의 예를 나타낸다.
도 11은 상향링크 동기/적응적 HARQ의 예를 나타낸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신호 재전송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신호 재전송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향링크 스케줄링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HARQ 수행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HARQ 수행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7은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8은 기지국의 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Claims (17)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수행 방법에 있어서,
    N번째 서브프레임에서, 기지국이, 상향링크 그랜트를 전송하는 단계;
    N+4번째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기지국이, 상기 상향링크 그랜트에 대한 데이터 신호를 단말로부터 수신하되, 상기 상향링크 그랜트는 상기 데이터 신호 수신을 위한 무선자원을 할당하는 제1 자원할당필드를 포함하는, 단계;
    N+8번째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기지국이, 상기 데이터 신호에 대한 디코딩(decoding) 실패로 재전송용 상향링크 그랜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이,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재전송용 상향링크 그랜트에 의해 상기 데이터 신호를 재수신한다면 N+12번째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재전송된 데이터 신호에 대해 디코딩을 수행하고,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재전송용 상향링크 그랜트에 의해 상기 데이터 신호를 재수신하지 않는다면 N+12번째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재전송용 상향링크 그랜트의 손실(loss)을 감지하되, 상기 재전송용 상향링크 그랜트는 상기 데이터 신호 재수신을 위한 무선자원을 할당하는 제2 자원할당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자원할당필드 및 상기 제2 자원할당필드는 동일하고 고정된 무선자원을 지시하는, 단계; 및
    상기 기지국이 상기 재전송용 상향링크 그랜트의 손실을 감지하면, N+16번째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재전송용 상향링크 그랜트를 상기 단말로 재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전송용 상향링크 그랜트를 전송할 때, 상기 데이터 신호에 대한 NACK 신호가 전송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타이머를 개시하고,
    상기 타이머가 만료될 때까지 상기 데이터 신호에 대한 ACK 신호가 전송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그랜트는 상기 데이터 신호의 전송을 지시하는 제1 데이터 지시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재전송용 상향링크 그랜트는 상기 데이터 신호의 재전송을 지시하는 제2 데이터 지시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 지시자의 크기 및 상기 제2 데이터 지시자의 크기는 1비트이고,
    상기 제1 데이터 지시자의 값과 상기 제2 데이터 지시자의 값이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를 수행하는 무선장치에 있어서,
    무선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는 RF(Radio Frequency)부; 및
    상기 RF부와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N번째 서브프레임에서, 상향링크 그랜트를 전송하고,
    N+4번째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상향링크 그랜트에 대한 데이터 신호를 단말로부터 수신하되, 상기 상향링크 그랜트는 상기 데이터 신호 수신을 위한 무선자원을 할당하는 제1 자원할당필드를 포함하고,
    N+8번째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데이터 신호에 대한 디코딩(decoding) 실패로 재전송용 상향링크 그랜트를 전송하고,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재전송용 상향링크 그랜트에 의해 상기 데이터 신호를 재수신한다면 N+12번째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재전송된 데이터 신호에 대해 디코딩을 수행하고,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재전송용 상향링크 그랜트에 의해 상기 데이터 신호를 재수신하지 않는다면 N+12번째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재전송용 상향링크 그랜트의 손실(loss)을 감지하되, 상기 재전송용 상향링크 그랜트는 상기 데이터 신호 재수신을 위한 무선자원을 할당하는 제2 자원할당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자원할당필드 및 상기 제2 자원할당필드는 동일하고 고정된 무선자원을 지시하고,
    상기 재전송용 상향링크 그랜트의 손실을 감지하면, N+16번째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재전송용 상향링크 그랜트를 상기 단말로 재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장치.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KR1020090015533A 2008-02-27 2009-02-25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신호 재전송 방법 KR1016073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170208P 2008-02-27 2008-02-27
US61/031,702 2008-02-27
US7786708P 2008-07-02 2008-07-02
US61/077,867 2008-07-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2708A KR20090092708A (ko) 2009-09-01
KR101607325B1 true KR101607325B1 (ko) 2016-03-30

Family

ID=41301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5533A KR101607325B1 (ko) 2008-02-27 2009-02-25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신호 재전송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732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7520B1 (ko) 2010-07-09 2013-01-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안테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참조 신호 송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02264039B (zh) 2011-04-29 2013-12-11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实现半持续调度传输的方法及装置
KR101820742B1 (ko) * 2011-05-30 2018-01-22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 방법
KR101570352B1 (ko) 2011-10-14 2015-1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기기간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재전송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EP2866366B1 (en) * 2012-04-26 2021-11-17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method using partial device control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LG Electronics, 3GPP TSG-RAN WG1 #50bis, R1-074217, 2007.10.08.
Nokia 외, "Implicit ACK/NAK for LTE DL", 3GPP TSG-RAN WG1 #49bis, R1-072996, 2007.06.25.*
Panasonic, "DL ACK/NACK modulation and UL HARQ behaviour", 3GPP TSG-RAN WG1 #50, R1-073613, 2007.08.2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2708A (ko) 2009-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9133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HARQ
KR101634384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cqi 전송 방법
US9191162B2 (en) Simultaneous reporting of ACK/NACK and channel-state information using PUCCH format 3 resources
KR100905385B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제어신호의 효율적인 전송방법
KR101548067B1 (ko) Tdd 기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harq 수행 방법 및 장치
US9723627B2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uplink data in support of multi-subframe scheduling
US8797985B2 (en) Channel selection and channel-state information collision handling
US8625652B2 (en) Collision-free group hopp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3459194B1 (en) Decoupled transmissions of channel quality feedback and acknowledgement/negative-acknowledgement feedback
CN112994866B (zh) 借助时分双工的多发射时间间隔协调
US8630276B2 (en) Method of transmitting control information for performing HARQ proces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plurality of transmission bands
KR101558571B1 (ko) Harq를 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
US20110310784A1 (en) Method for performing harq oper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607325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신호 재전송 방법
JP2019511852A (ja) 基地局、端末及び通信方法
KR20080063151A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짧은 레이턴시 지원 방법
WO2013051982A1 (en) Channel selection and channel-state information collision handling
US2023026178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plink transmission on configured grant resources
KR20110047162A (ko) 통신 방법
NZ623748B2 (en) Simultaneous reporting of ack/nack and channel-state information using pucch format 3 resour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