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5808B1 - Apparatus for automatic detecting bad parts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automatic detecting bad par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5808B1
KR101605808B1 KR1020150187335A KR20150187335A KR101605808B1 KR 101605808 B1 KR101605808 B1 KR 101605808B1 KR 1020150187335 A KR1020150187335 A KR 1020150187335A KR 20150187335 A KR20150187335 A KR 20150187335A KR 101605808 B1 KR101605808 B1 KR 1016058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embled
weight
electronic
normal
assembly compon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733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정
Priority to KR10201501873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580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58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580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16Sorting according to w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6Sort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6Sort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 B07C5/361Processing or control devices therefor, e.g. escort memo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6Sort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 B07C5/361Processing or control devices therefor, e.g. escort memory
    • B07C5/362Separating or distributor mechanis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9/0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01G19/62Over or under weighing apparatu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selecting defective components which can accurately select a defect by being applied to an assembly component modularized by assembling multiple unit components. The apparatus comprises: an electronic scale unit which measures the weight of an assembly component and determines whether the assembly component is normal or abnormal; a component moving unit which moves the assembly component determined as normal by the electronic scale unit, to a storage box; and a warning lamp which displays whether the assembly component determined by the electronic scale unit is normal or abnormal, wherein the electronic scale unit includes multiple electronic scales capable of independently measuring the partial weight of each area by dividing the assembly component into multiple areas. A reference range with respect to the total weight of the assembly component for determining whether the assembly component is normal or abnormal and a reference range with respect to a partial weight of the assembly component shared in each electronic scale are set. The determination whether the assembly component is normal or abnormal is performed as follows. Only when the sum of the partial weights measured by the electronic scales of the electronic scale unit falls within the reference range with respect to the total weight of the assembly component and the partial weight of the assembly component measured by each electronic scale falls within the reference range with respect to the partial weight of the assembly component shared in each electronic scale, is it determined that the assembly component is normal. When the sum of the partial weights measured by the electronic scales of the electronic scale unit exceeds or falls below the reference range with respect to the total weight of the assembly component or the partial weight of the assembly component measured by each electronic component shared in each electronic scale, is it determined that the assembly component is abnormal.

Description

불량 부품 자동 선별장치{APPARATUS FOR AUTOMATIC DETECTING BAD PARTS}[0001] APPARATUS FOR AUTOMATIC DETECTING BAD PARTS [0002]

본 발명은 불량 부품 자동 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수의 단위부품의 조립에 의해 이루어지는 조립부품의 불량 여부를 자동으로 판단하여 선별해 내는 불량 부품 자동 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aulty part automatic sort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defective part automatic sorting apparatus that automatically judges and selects whether or not an assembled part is assembled by assembling a plurality of unit parts.

예를 들어, 자동차의 경우 엄청난 수의 단위부품의 조립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때 각각의 단위부품이 직접 완성차의 생산라인에 공급되는 것이 아니라, 몇 개의 단위부품을 조립하여 모듈화된 조립부품이 완성차의 생산라인에 공급되게 되는데, 이와 같이 모듈화된 조립부품은 대부분 중소기업이 조립하여 공급하고 있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automobiles, a large number of unit parts are assembled. In this case, the respective unit parts are not directly supplied to the production line of the finished vehicle, but a few unit parts are assembled and the modulated assembled parts are supplied to the production line of the finished vehicle. Most of the modular assembled parts are assembled by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

이런 모듈화된 조립부품의 조립은 작업자의 손을 거쳐 조립되게 되는데, 아무리 숙련된 작업자가 조립을 하더라도 반복되는 작업과정 속에서 일부 단위 부품이 결손이 나거나 불필요한 단위부품이 추가되는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Assembly of such modular assembly parts is assembled via the hands of an operator. Even if a skilled worker assembles, some unit parts may be defective or unnecessary unit parts may be added in a repeated work process .

이와 같이 단위부품이 결손 또는 불필요한 추가된 조립부품이 그대로 완성차에 적용되는 경우, 완성차에 치명적인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바, 이와 같은 불량부품에 대한 검수 및 선별은 대단히 중요한 작업과정의 하나라고 볼 수 있다.If the unit parts are defective or unnecessary additional assembled parts are applied to the finished vehicle as they are, it is possible to cause a fatal problem in the finished vehicle. Thus, inspection and selection of such defective parts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work processes .

한편, 한국공개특허 제2003-0081225호 공보(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한다.)에서는, 이송장치를 통해 이송되는 과정에서 볼트의 정상과 불량 여부를 판별하기 위하여 광학카메라를 이송장치의 상측과 측부에 위치시키고, 광학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를 제어장치의 콘트롤러부에 전달되어 미리 입력되어 있는 이미지의 데이터와 비교하여 양품과 불량품으로 판단하고 이후에 설정된 작동에 따라 동작을 제어하는, '볼트 불량 선별장치'를 개시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i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03-0081225 (hereinafter referred to as "Patent Document 1"), 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the bolt is normal or defective in the process of being transferred through the transfer device, And an image picked up by the optical camera is transmitted to a controller unit of a control device and is compared with data of an image inputted in advance to judge it as a good product and a defective product, Bolt defect sorting device '.

상기 특허문헌 1의 '볼트 불량 선별장치' 광학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를 제어장치의 콘트롤러부에 미리 입력된 이미지의 데이터와 비교하여 불량 여부를 판단한다는 점에서 "볼트"와 같이 형상이 일정한 단위부품에 적절하게 이용될 수 있지만, 다수의 단위부품을 조립하여 모듈화된 조립부품에 있어서는 그 형상이 일정하지 않고, 수시로 변화하는 제품 사양에 대응하여야 하기 때문에 불량 여부를 정확하게 검출하는데 한계가 있다. The 'bolt defect sorting device' of the above patent document 1 In order to judge whether there is a defect by comparing the image photographed by the optical camera with the data of the image inputted in advance in the controller part of the control device, However, since a plurality of unit parts are assembled to form a modularized assembled part, the shape of the assembled part is not constant, and it must correspond to a product specification that changes from time to time.

특허문헌 1 : 한국공개특허 제2003-0081225호 공보Patent Document 1: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03-0081225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감안한 것으로, 다수의 단위부품을 조립하여 모듈화된 조립부품에 적용하여 불량 여부를 정확하게 선별할 수 있는 불량 부품 자동 선별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efective part automatic sorting apparatus which can accurately select defects by assembling a plurality of unit parts and applying them to modularized assembly parts.

본 발명의 불량 부품 자동 선별장치는, 조립부품의 중량을 측정하여 조립부품의 정상 또는 이상 여부를 판정하는 전자저울부와, 상기 전자저울부에서 정상으로 판정된 상기 조립부품을 수납박스로 이동시키는 부품이동부와, 상기 전자저울부에서 판정된 상기 조립부품의 정상 또는 이상 여부를 표시하는 경고등을 포함하고, 상기 전자저울부는, 상기 조립부품을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하여 각 영역의 부분중량을 독립적으로 측정가능한 복수의 전자저울로 구성하되, 상기 조립부품의 정상 또는 이상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상기 조립부품의 전체 중량에 대한 기준범위 및 각 전자저울에서 분담하는 상기 조립부품의 부분중량에 대한 기준범위가 설정되고, 상기 조립부품의 정상 또는 이상 여부의 판정은, 상기 전자저울부의 복수의 전자저울에서 측정된 부분중량의 합이 상기 조립부품의 전체 중량에 대한 기준범위 이내이고, 각 전자저울에서 측정된 상기 조립부품의 부분중량이 각 전자저울에서 분담하는 상기 조립부품의 부분중량에 대한 기준범위 이내인 경우에만 정상으로 판정하고, 상기 전자저울부의 복수의 전자저울에서 측정된 부분중량의 합이 상기 조립부품의 전체 중량에 대한 기준범위를 초과하거나 미달인 경우, 또는 각 전자저울에서 측정된 상기 조립부품의 부분중량이 각 전자저울에서 분담하는 상기 조립부품의 부분중량에 대한 기준범위를 초과하거나 미달하는 경우 이상으로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selecting a defective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 electronic balance section for measuring the weight of an assembly part and judging whether the assembly part is normal or abnormal and for moving the assembly part determined to be normal in the electronic balance section to a storage box And a warning lamp for indicating whether the assembled part is normal or abnormal. The electronic balance part divides the assembled part into a plurality of areas, and divides the partial weight of each area into independent areas Wherein the reference range for the total weight of the assembly part for determining whether the assembly is normal or abnormal and the reference range for the partial weight of the assembly part shared by each electronic balance And the determination of whether the assembly is normal or abnormal may be made based on a result of measurement by the plurality of electronic scales of the electronic balance section Minute weight is within the reference range for the total weight of the assembly part and the partial weight of the assembly measured at each electronic balance is within the reference range for the partial weight of the assembly part shared by each electronic balance And when the sum of the partial weights measured in the plurality of electronic scales of the electronic balance part exceeds or falls below the reference range for the total weight of the assembly part, And when the partial weight exceeds or falls below the reference range with respect to the partial weight of the assembled part sharing in each electronic balance, it is determined that the partial weight is abnormal.

또한, 본 발명의 불량 부품 자동 선별장치는, 상기 부품이동부에 의해 상기 수납박스로 이동하는 정상으로 판정된 상기 조립부품의 수를 계산하는 계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defective-part automatic sor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further comprising a calculation section for calculating the number of the assembled parts determined to be normal to move to the storage box by the moving section.

또한, 본 발명의 불량 부품 자동 선별장치는, 상기 전자저울부와 상기 경고등 사이에 타이머가 더 마련되며, 상기 경고등은 상기 조립부품이 정상인 경우의 점등영역과 상기 조립부품이 이상인 경우의 점등영역으로 구분되며, 상기 전자저울부에서 상기 조립부품을 이상으로 판정하는 경우, 상기 타이머에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된 후까지 계속 이상으로 판정되는 경우에만, 상기 경고등의 이상인 경우의 점등영역이 점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in the faulty part automatic sor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timer is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electronic scale section and the warning lamp, and the warning lamp is classified into a lighting area when the assembled part is normal and a lighting area when the assembled part is abnormal And the ignition lamp is turned on when the abnormality of the warning lamp is turned on only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assembled part is abnormal in the electronic balance section until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after the predetermined time elapses .

또한, 본 발명의 불량 부품 자동 선별장치는, 상기 전자저울부 및 부품이동부를 실장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상측에 조립부품을 투입하기 위한 호퍼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in the defective-part automatic sor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onic balance section and the housing for housing the moving parts are further provided, and a hopper for putting the assembled parts on the housing is provided.

본 발명에 의하면, 다수의 단위부품을 조립하여 모듈화된 조립부품에 적용하여 불량 여부를 정확하게 선별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unit parts can be assembled and applied to a modularized assembling part, whereby it is possible to precisely select whether or not the unit parts are defective.

본 발명에 의하면, 독립적으로 측정가능한 복수의 전자저울을 하나의 전자저울부로 이용함으로써 전자저울 자체의 오차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하여, 조립부품의 불량 여부를 정확하게 선별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a plurality of independently-measurable electronic balances as one electronic balance section, the influence of the error of the electronic balance itself is minimized, and it is possible to precisely select whether or not the assembly components are defective.

본 발명에 의하면, 조립부품이 이상으로 판정된 경우, 경고등 및 경고음에 의하여 작업자에게 알려줌으로써 신속하게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n assembled part is judged to be abnormal, it is possible to promptly take action by informing the operator by a warning lamp and a warning sound.

본 발명에 의하면, 조립부품이 정상으로 판정된 경우, 자동으로 선별이 되어 수납박스로 이동되며, 수납박스로 이동하는 정상으로 판정된 조립부품을 자동으로 카운팅 함으로써, 작업 공정을 줄일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assembled parts are judged to be normal, they are automatically sorted and moved to the housing box, and the assembled parts determined to be normal to move to the housing box are automatically counted, thereby reducing the work process.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불량 부품 자동 선별장치의 개략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불량 부품 자동 선별장치 중 부품선별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의 (a)는 본 발명의 부품선별부 중 전자저울부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고, (b)는 조립부품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부품선별부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faulty part automatic sor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part selection unit of the automatic faulty part selec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a)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the electronic balance part in the part sorting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b) is an illustration of an example of an assembling part.
4 is a circuit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component sel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해,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Fig.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불량 부품 자동 선별장치의 개략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불량 부품 자동 선별장치 중 부품선별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의 (a)는 본 발명의 부품선별부 중 전자저울부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고, (b)는 조립부품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부품선별부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FIG.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faulty part automatic sor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art sorting unit in the automatic faulty part sor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n assembly part, and Fig. 4 is a circuit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part sorting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의한 불량 부품 자동 선별장치는,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100)의 상측에 마련된 호퍼(200)와, 상기 하우징(100)의 일측에 마련된 경고등(400)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100) 내에 부품선별부(300) 및 수납박스(500)가 실장된다.The apparatus for automatically selecting a faulty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housing 100, a hopper 200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housing 100, and a warning lamp 400 provid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100, The component sorting unit 300 and the storage box 500 are mounted in the housing 100.

본 발명에 의한 불량 부품 자동 선별장치의 상기 하우징(100)의 저면에 이동바퀴(600)가 마련되고, 또 상기 하우징(100)의 일측에 손잡이(700)를 마련함으로써 이동식으로 운영할 수 있다.The moving wheel 600 may be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100 of the automatic parting device for bad par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handle 700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100 to be operated in a movable manner.

상기 호퍼(200)는 조립부품이 투입되는 곳으로, 상기 호퍼(200)에 투입된 조립부품은 다시 상기 호퍼(200)의 저면에 형성된 가이드부(미도시)를 따라 하나씩 순차로 상기 부품선별부(300)의 정확한 측정위치로 공급된다.The hopper 200 is a place where the assembling parts are inserted and the assembled parts put into the hopper 200 are sequentially fed one by one along guide parts (not shown)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hopper 200 300).

상기 부품선별부(3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부품의 중량을 측정하여 조립부품의 이상(異常) 여부를 판단하는 전자저울부(310)와, 상기 전자저울부(310)에서 정상으로 판정한 조립부품을 피스톤 동작에 의하여 수납박스(500)로 이동시키는 부품이동부(320) 및 상기 부품이동부(320)에 의해 수납박스(500)로 이동하는 정상의 조립부품의 수를 카운팅(계산) 하는 계산부(3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2, the part sorting unit 300 includes an electronic scale unit 310 for measuring the weight of the assembled part and determining whether the assembled part is abnormal, (320) and the number of normal assembling parts (320) moving to the housing box (500) by the moving part (320) by moving the piston assembly to the housing box (500) And a calculation unit 330 for counting (calculating)

즉, 상기 전자저울부(310)는 상기 호퍼(200)로부터 공급된 조립부품의 중량을 측정하여 미리 설정된 중량의 기준범위와 대비하여 조립부품의 이상 여부를 판정한다. 상기 전자저울부(310)에 의하여 조립부품의 중량이 정상으로 판정되면, 실린더형의 상기 부품이동부(320)는 피스톤 동작에 의하여 상기 전자저울부(310) 상에 놓여 있는 조립부품를 상기 수납박스(500)로 이동시키는 한편, 상기 계산부(330)에 의해 상기 수납박스(500)로 이동하는 정상으로 판정된 조립부품의 수를 카운팅하게 된다.That is, the electronic scale unit 310 measures the weight of the assembled part supplied from the hopper 200, and determines whether the assembled part is abnormal with respect to a reference range of a predetermined weight. When the weight of the assembled part is determined to be normal by the electronic scale part 310, the cylindrical part 320 is moved by the piston to move the assembled part, which is placed on the electronic scale part 310, (500), and counts the number of assembly parts determined to be normal to move to the storage box (500) by the calculation unit (330).

또한, 상기 전자저울부(310)는,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독립적으로 측정 가능한 복수의 전자저울, 예를 들어 4개의 전자저울(310a, 310b, 310c, 310d)을 하나의 측정장치로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3 (a), the electronic balance unit 310 includes a plurality of independently-measurable electronic scales, for example, four electronic scales 310a, 310b, 310c, and 310d It is preferable to use it as a measuring device.

즉, 하나의 전자저울로 조립부품의 정상 여부를 판단하는 경우, 전자저울 자체의 오차에 의한 판정오류를 방지하기 어렵다. That is, when determining whether the assembled part is normal with one electronic balance, it is difficult to prevent the determination error due to the error of the electronic balance itself.

이를, 도 3의 (b)에서와 같이, 하나의 본체기판(S)에 4개의 볼트 부품(B1, B2, B3, B4)을 조립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본체기판(S)의 중량이 8g이고, 상기 본체기판(S)에 조립되어야 할 각 볼트 부품(B1, B2, B3, B4)의 중량을 각각 1g이라고 할 때, 조립된 상태의 조립부품의 전체 중량은 12g이 된다. 3 (b), the four bolt parts B1, B2, B3, and B4 are assembled to one main substrate S as an example. In this case, the weight of the main substrate S And the weight of each bolt part B1, B2, B3, B4 to be assembled to the main body substrate S is 1 g, the total weight of the assembled parts in the assembled state becomes 12 g.

만약, 본체기판(S)에 조립되어야 할 각 볼트 부품(B1, B2, B3, B4) 중 하나의 부품이 결손된 경우, 전체 조립부품의 중량에 대한 결손된 부품의 중량비는 1/12이 된다. 즉, 하나의 전자저울을 사용하는 경우, 전체 조립부품의 중량의 1/12 범위 내에서 조립부품의 정상 또는 이상 여부를 판정하여야 한다. If one of the bolt parts B1, B2, B3 and B4 to be assembled to the main body substrate S is broken, the weight ratio of the defective part to the weight of the whole assembly part is 1/12 . That is, when using one electronic balance, it is necessary to determine whether the assembly is normal or abnormal within a range of 1/12 of the weight of the entire assembly.

반면에, 이를 도 3의 (a)에서와 같이, 4개의 전자저울(310a, 310b, 310c, 310d)을 하나의 전자저울부(310)로 이용하는 경우, 조립부품이 4개의 전자저울(310a, 310b, 310c, 310d)을 걸치는 영역("A" 영역)에서 각 전자저울과 접하도록 위치했을 때, 즉, 상기 조립부품의 각 볼트 부품(B1, B2, B3, B4)을 포함하는 부분영역이 4개의 전자저울(310a, 310b, 310c, 310d)에 각각에 대응하도록 위치시켰을 때, 각 전자저울(310a, 310b, 310c, 310d)에 분담되는 조립부품의 중량은 평균적으로 3g이 되고, 해당 전자저울에서의 분담되는 중량에 대한 부품 결손에 의한 중량비는 1/3이 된다. 즉, 해당 전자저울에서의 분담되는 조립부품의 중량의 1/3 범위 내에서 조립부품의 정상 또는 이상 여부를 판정할 수 있게 된다. 3 (a), when the four electronic scales 310a, 310b, 310c, and 310d are used as one electronic scales 310, the assembled parts are divided into four electronic scales 310a, (B1, B2, B3, B4) of the assembled part are positioned so as to contact each electronic balance in the area ("A" area) The weight of the assembly parts shared among the electronic scales 310a, 310b, 310c, and 310d becomes 3g on an average when the four electronic scales 310a, 310b, 310c, and 310d are positioned to correspond to the respective scales, The weight ratio due to the component deficiency with respect to the weight shared by the balance is 1/3. That is,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assembled parts are normal or abnormal within a range of 1/3 of the weight of the assembled parts shared by the electronic balance.

이와 같이,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된 조립부품의 각 영역의 부분중량을 독립적으로 측정 가능한 4개의 전자저울(310a, 310b, 310c, 310d)로 전자저울부(310)로 사용하는 경우, 하나의 전자저울만을 사용하는 경우보다 전자저울에서 측정되는 중량에 대해 결손부품이 자치하는 비중이 커지기 때문에, 상기 전자저울부(310)에서의 조립부품의 이상 여부 판정에 있어서, 전자저울 자체의 오차에 의한 영향을 덜 받게 되고, 또한, 4개의 전자저울을 사용하는 경우 어느 하나의 전자저울에 의한 오차가 발생하더라도 상기 전자저울부(310) 전체에 미치는 영향은 1/4로 줄어든다는 점에서도 전자저울 자체의 오차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In this way, when the electronic weight portion 310 is used as four electronic scales 310a, 310b, 310c, and 310d capable of independently measuring the partial weights of the respective regions of the assembled components divided into the plurality of regions, The specific weight of the defective part is greater than the weight measured by the electronic balance more than when the balance is used alone. Therefore, in determining whether the assembled part is abnormal in the electronic balance part 310, Even if an error is caused by one of the electronic scales, the effect on the whole of the electronic scale unit 310 is reduced to 1/4 in the case of using four electronic scales, The effect of error can be minimized.

또한, 대부분의 조립부품에 있어서는, 도 3의 (b)에서와 같이, 하나의 본체기판(S)에 부품(B1, B2, B3, B4)들은 조립되기 때문에, 조립된 상태에서 부품(B1, B2, B3, B4)들이 양쪽으로 돌출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즉, 조립부품을 상기 전자저울부(310)에 위치시켰을 때, 조립되는 부품이 결손부분은 부품이 조립된 부분과 단차가 발생하게 되고, 따라서 조립되는 부품이 결손부분은 그와 대응하는 전자저울과 접촉하지 않게 된다. 3 (b), since the components B1, B2, B3 and B4 are assembled to one main substrate S, the parts B1, B2, B3, B4 are projected on both sides. That is, when the assembled part is placed on the electronic scale part 310, the defective part of the assembled part will be stepped with the part where the part is assembled, .

예를 들어 조립되는 부품(B1)이 결손 된 경우, 본체기판(S)에 조립된 부품(B2, B3, B4)은 각각에 대응하는 전자저울에 접하여 각 전자저울에서 분담되는 중량이 측정되지만, 조립되는 부품(B1)이 원래 접해야되는 부분의 전자저울에서는 조립부품의 중량이 측정되지 않게 된다. 물론 각 전자저울(310a, 310b, 310c, 310d)에서 측정되는 부분중량의 합산에 의해 전체 중량의 도출은 당연히 가능하다.For example, when the assembled part B1 is defective, the parts B2, B3, and B4 assembled to the main body substrate S are measured in terms of the weight shared by the respective electronic balances in contact with the corresponding electronic balances, The weight of the assembled part is not measured in the electronic balance of the part where the assembled part B1 is originally to be contacted. Of course, it is possible to derive the total weight by summing the partial weights measured in the respective electronic balances 310a, 310b, 310c and 310d.

즉, 단지 하나의 전자저울만을 사용하여 전체 중량만으로 조립부품의 정상 여부를 판단하는 경우에는 전자저울 자체의 오차가 조립부품이 정상인지를 판단하기 위해 설정된 기준범위의 상한 또는 하한을 넘어서는 경우, 불량부품을 정상으로 판단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나, 4개의 전자저울(310a, 310b, 310c, 310d)을 사용하여 조립부품의 정상 여부를 판단하는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전자저울 자체의 오차에 의한 판정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That is, when only one electronic balance is used to determine whether the assembled part is normal or not based on the total weight, if the error of the electronic balance itself exceeds the upper or lower limit of the reference range set for determining whether the assembly is normal, However, in the case of determining whether the assembled parts are normal by using the four electronic scales 310a, 310b, 310c, and 310d, it is necessary to determine whether the assembled parts are normal or not, It is preferable in that the error can be minimized.

다음은, 상기 전자저울부(310)에서 조립부품이 정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Next, a method for determining whether the assembled parts are normal in the electronic scale unit 310 will be described.

상기 전자저울부(310)의 전자저울이 한 개인 경우에는, 먼저 조립부품의 정상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기준범위가 설정되고, 상기 전자저울부(310)의 전자저울에서 측정된 조립부품의 중량이 상기 기준범위 이내인 경우에는 정상으로, 상기 전자저울부(310)의 전자저울에서 측정된 조립부품의 중량이 상기 기준범위를 초과하거나 미달인 경우에는 이상으로 판정한다.If the electronic scale of the electronic scale unit 310 has one electronic balance, a reference range for determining whether the assembly is normal is set, and the weight of the assembly scale measured by the electronic scale of the electronic scale unit 310 And the weight of the assembled part measured by the electronic scale of the electronic scale part 310 exceeds or falls below the reference range, it is determined that the abnormality is abnormal.

한편, 상기 전자저울부(310)의 전자저울이 4 개인 경우에는, 먼저 조립부품의 전체 중량에 대한 기준범위가 설정될 뿐만 아니라 각 전자저울에서 분담하는 조립부품의 부분중량에 대한 기준범위가 설정되고, 상기 전자저울부(310)의 전체 전자저울에서 측정된 조립부품의 전체중량(각 전자저울에서 측정된 조립부품의 부분중량을 합산한 중량)이 조립부품의 전체 중량에 대한 기준범위 이내이고 각 전자저울에서 측정된 조립부품의 부분중량이 각 전자저울에서 분담하는 조립부품의 부분중량에 대한 기준범위 이내인 경우에만 정상으로 판정한다.If the electronic balance unit 310 has four electronic balances, the reference range for the total weight of the assembled components is set first, and the reference range for the partial weight of the assembly components shared by the electronic balances is set And the total weight of the assembled parts (the sum of the partial weights of the assembled parts measured on each electronic balance) measured on the entire electronic balance of the electronic balance part 310 is within the reference range for the total weight of the assembly Only when the partial weight of the assembled part measured on each electronic balance is within the reference range for the part weight of the assembled part which is shared in each electronic balance is judged as normal.

즉, 상기 전자저울부(310)의 전체 전자저울에서 측정된 조립부품의 전체중량이 조립부품의 전체 중량에 대한 기준범위를 초과하거나 미달인 경우, 또는 각 전자저울에서 측정된 조립부품의 부분중량이 각 전자저울에서 분담하는 조립부품의 부분중량에 대한 기준범위를 초과하거나 미달(전혀 부분중량이 측정되지 않는 경우를 포함한다)인 경우에는 이상으로 판정한다.That is, when the total weight of the assembled parts measured on the entire electronic balance of the electronic balance part 310 exceeds or falls below the reference range for the total weight of the assembled parts, or when the partial weight of the assembled parts measured on each electronic balance If it exceeds or does not exceed the reference range for the partial weight of the assembly parts shared by each electronic balance (including the case where the partial weight is not measured at all), it is determined to be abnormal.

이와 같이 함으로써, 전자저울 자체의 오차에 의한 판정오류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립부품이 잘못 결합된 경우까지 불량부품으로 선별해 낼 수 있다. 이를, 도 3의 (b)에서 예시된 조립부품을 바탕으로 설명하면, 하나의 본체기판(S)에 조립되는 부품(B1, B2, B3, B4) 중에서 어느 하나의 부품(B1)이 결손된 경우에 당연히 불량부품으로 선별해 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어느 하나의 부품(B1)이 잘못된 위에 결합되어 있는 경우에도 불량부품으로 선별해 낼 수 있게 된다.By doing so, it is possible not only to prevent a determination error due to an error of the electronic balance itself, but also to select defective parts until the assembled parts are misjoined. 3 (b), any one of the parts B1, B2, B3, and B4 assembled to one main substrate S is defective It is possible to select the defective part as a matter of course and also to select defective parts even if any one part B1 is misjudged.

또한, 상술한 전자저울부(310)를 복수의 전자저울로 구성하는 예로써 4개의 전자저울을 이용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2개, 3개, 또는 5개 이상의 전자저울을 이용할 수 있으나, 5개 이상의 전자저울을 이용하는 경우 구성이 복잡해지고 각 전자저울마다 기준범위설정 등 작업공수가 늘어나는 반면 조립부품을 4개의 영역으로 구분하면 4개의 전자저울로 대응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또한 조립부품이 일자형인 경우와 같이 4개의 전자저울에 모두 대응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4개의 전자저울 중 일부 전자저울만을 작동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상기 전자저울부(310)를 4개의 전자저울로 구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Further, although the above-described electronic balance unit 310 is described as using four electronic scales as an example of constituting a plurality of electronic scale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although two, three, or five or more electronic scales can be used, the configuration becomes complicated when five or more electronic scales are used, and the work flow increases such as the reference range setting for each electronic scales, It is possible to use only four of the four electronic scales in case that it is difficult to cope with all four electronic scales as in the case where the assembled parts are straight type It is most preferable that the electronic scale unit 310 is composed of four electronic scales.

또한, 상기 경고등(400)은 상기 전자저울부(310)에서 측정된 조립부품의 중량이 기준범위의 중량 이내인지 즉 정상인지, 또는 기준범위의 중량을 초과하거나 미달하는지를 시각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것으로, 3개의 점등영역(HI, OK, LO)으로 구분된다. 즉, 상기 전자저울부(310)에서 측정된 조립부품의 중량이 정상으로 판정된 경우 "OK"영역이 점등되고, 상기 전자저울부(310)에서 측정된 조립부품의 중량이 기준 중량을 초과하는 경우 "HI"영역이 점등되며, 상기 전자저울부(310)에서 측정된 조립부품의 중량이 기준 중량에 미달하는 경우 "LO"영역이 점등이 되어, 작업자로 하여금 현재 측정 중인 조립부품이 양품(良品)인지 불량품(不良品)인지를 확인할 수 있고, 또한 불량품인 경우 조립부품의 중량이 기준 중량에 미달하는지 또는 초과하는지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The warning lamp 400 is provided to visually show whether the weight of the assembled part measured by the electronic scale unit 310 is within the range of the reference range, that is, whether it is normal or exceeds or falls below the reference range. And three lighting areas (HI, OK, LO). That is, when the weight of the assembled part measured by the electronic scale part 310 is determined to be normal, the "OK" area is lit, and when the weight of the assembled part measured by the electronic scale part 310 exceeds the reference weight The "LO" area is turned on when the weight of the assembled part measured by the electronic scale part 310 is less than the reference weight, and the operator makes the assembled part, which is currently being measured, (Defective product) or defective product (defective product) can be confirmed, and in the case of a defective product, it is possible to easily grasp whether the weight of the assembled part is below or exceeds the reference weight.

물론, 상기한 경고등(400)의 점등영역에서의 점등제어는 기본 원칙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전자저울부(310)의 전자저울이 4개인 경우, 다양한 형태의 조립부품의 이상(불량)이 나타날 수 있는데, 단순히 결합되는 부품이 결손되거나 불필요하게 추가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도 있고, 또 잘못된 위치에 결합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즉, 이와 같이 조립부품의 불량 형태에 따라 점등영역의 조합을 달리하여, 어떤 형태의 불량이 발생하였는지를 작업자에게 즉시 전달할 수 있다.Of course, the lighting control of the above-described warning lamp 400 in the lighting region is not limited to this basic principle. For example, when there are four electronic scales of the electronic scale unit 310, various types of assemblies may be defective. In such a case, there may be a case in which merely parts to be combined are defective or unnecessarily added , Or may be coupled to a wrong location. 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o promptly inform the operator of what kind of defects have occurred by changing the combination of the lighting areas in accordance with the defective shape of the assembled parts.

또한, 이때 상기 경고등(400)의 3개의 점등영역(HI, OK, LO)의 발광색을 달리하여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조립부품이 불량품인 경우 상기 경고등(400)의 해당 영역의 점등과 함께 경고음이 발령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luminescent colors of the three lighting areas HI, OK, and LO of the warning lamp 400 are different so that they can be easily grasped visually. Particularly, when the assembled parts are defective, It is preferable that a warning sound is issued along with lighting of the corresponding area.

다음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불량 부품 자동 선별장치에 의한 불량 조립부품의 자동선별 과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Next, with reference to FIG. 4, the automatic selection process of the defective assembled parts by the defective-part automatic sor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상기 전자저울부(310)에 양품의 조립부품의 기준 중량의 상한 및 하한을 설정한다. First, an upper limit and a lower limit of the reference weight of assembled parts of good products are set in the electronic scale unit 310. [

상기 전자저울부(310)에서 측정된 조립부품의 중량이 기준 중량의 상한 및 하한의 범위 이내인 경우(즉, 정상으로 판정된 경우)에는 제1 릴레이를 구동하여 솔레노이드 밸브를 개방하고, 개방된 솔레노이드 밸브는 부품이동부(302)를 작동시켜 조립부품을 상기 수납박스(500)로 이동시킨다. 이때 micro S/W로 구성된 감지부에서 상기 부품이동부의 동작을 감지하여 상기 계산부(330)에 전달되고, 상기 계산부(330)는 상기 수납박스(500)로 이동하는 정상으로 판정된 조립부품의 수를 카운팅하게 된다.When the weight of the assembled part measured by the electronic scale unit 310 is within the range of the upper limit and the lower limit of the reference weight (that is, when it is determined as normal), the first relay is driven to open the solenoid valve, The solenoid valve actuates the component transfer part 302 to move the assembly part to the storage box 500. At this time, the sensing part of micro S / W senses the operation of the part and is transmitted to the calculation part 330. The calculation part 330 calculates the assembly The number of parts is counted.

이때, 상기 계산부(330)에는 필요한 조립부품의 수를 미리 입력하여, 조립부품의 수가 필요한 목표치에 도달하면 경고음 등에 의하여 작업자에게 알려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계산부(330)에서 카운팅 한 정상의 조립부품의 수가 미리 설정된 필요한 조립부품의 수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 경고등(400)의 "OK" 영역이 점등된 상태에서 경고음을 발령하여 필요한 부품의 수가 채워졌음을 작업자에게 알려줌으로써, 작업자가 상기 수납박스(500)를 교체하던가 작업을 종료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수납박스(500)의 교체가 용이하도록 상기 수납박스(500)의 아래 쪽에 레일부(510)를 마련하고 있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calculation unit 330 inputs the number of necessary assembling parts in advance, and informs the operator of the number of assembling parts by warning sound or the like when the number of assembling parts reaches a required target value. That is, when the number of normal assembled parts counted by the calculator 330 reaches a predetermined number of necessary assembled parts, a warning sound is issued in a state in which the "OK" area of the warning lamp 400 is lit, It is preferable that the operator informs the operator that the number of the storage box 500 has been filled, thereby allowing the operator to replace the storage box 500 or end the opera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 rail portion 510 is provided below the storage box 500 so that the storage box 500 can be easily replaced.

즉, 이와 같이 상기 계산부(330)에서 정상의 조립부품을 카운팅하여 목표치에 도달했을 때 작업자에게 알려 줌으로써, 박스단위 포장시 별도로 작업자가 각각의 박스에 수납되는 조립부품의 수를 직접 세어야 하는 작업을 줄일 수 있게 된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That is, by counting the normal assembled parts in the calculation unit 330 and notifying the worker when the measured assembled parts reach the target value, the operator must directly count the number of assembled parts stored in each box at the time of box-based packaging It is preferable in that the work can be reduced.

반면, 상기 전자저울부(310)의 측정에 의하여 조립부품의 중량이 기준 중량보다 초과하거나 미달하는 경우에는, 제2 릴레이를 구동하여, 경고음과 함께 경고등(400)의 해당영역(조립부품의 중량이 기준 중량을 초과하는 경우 "HI"영역, 조립부품의 중량이 기준 중량에 미달하는 경우 "LO"영역)을 점등시켜 작업자에게 조립부품의 불량 여부를 알려주게 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weight of the assembled part exceeds or falls below the reference weight due to the measurement of the electronic balance part 310, the second relay is driven to detect the weight of the corresponding area of the warning lamp 400 Quot; HI "area when the weight exceeds the reference weight, and" LO "area when the weight of the assembly part is lower than the reference weight) is turned on.

이때 제2 릴레이와 경고등(400) 사이에 타이머를 더 구비하여 상기 제2 릴레이로 입력된 신호를 일정 시간 지연시킨 후에 상기 경고등(400)을 작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a timer is additionally provided between the second relay and the warning lamp 400 so that the signal inputted to the second relay is delayed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then the warning lamp 400 is operated.

즉, 조립부품이 상기 전자저울부(310)에 측정 위치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전자저울부(310)는 측정에 의하여 조립부품의 중량이 정상인지 여부를 판단하게 되는데, 이때 조립부품이 상기 전자저울부(310)에 위치하는 과정에서 일시적인 흔들림 등에 의하여 정상의 조립부품이 이상으로 판단될 가능성이 있다.That is, when the assembly part is located at the measurement position on the electronic scale part 310, the electronic scale part 310 determines whether the weight of the assembly part is normal by the measurement. At this tim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normal assembled parts are judged to be abnormal due to temporary shaking or the like in the process of being positioned in the scale part 310. [

따라서, 일단 상기 전자저울부(310)의 측정에 의하여, 조립부품이 이상으로 판단되어 상기 제2 릴레이가 구동되더라도, 타이머에 설정된 일정 시간을 지연시킨 후, 타이머에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여도 상기 제2 릴레이가 계속하여 구동되는 경우(즉, 타이머에 설정된 시간이 경과된 후에도 계속하여 이상으로 판정되는 경우)에만, 상기 경고등(400)을 작동시킴으로써 상기 전자저울부(310)의 일시적인 오류에 의하여 경고등이 점등이 남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even if the assembled part is judged to be abnormal by the measurement of the electronic scale part 310 and the second relay is driven, after a predetermined time set in the timer is delayed, The warning lamp 400 is operated only when the relay 2 continues to be driven (that is, even if the time set in the timer has elaps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is lighting from being ignited.

100 하우징 200 호퍼
300 부품선별부 310 전자저울부
320 부품이동부 330 계산부
400 경고등 500 수납박스
510 레일부 600 이동바퀴
700 손잡이
100 housing 200 hopper
300 part selection part 310 electronic balance part
320 part moving part 330 calculation part
400 warning lights 500 storage box
510 Race Part 600 Moving Wheels
700 handles

Claims (4)

다수의 단위부품의 조립에 의해 이루어지는 조립부품의 불량 여부를 자동으로 판단하여 선별하는 불량 부품 자동 선별장치로서,
상기 조립부품이 투입되는 호퍼와,
상기 호퍼의 저면에 형성된 가이드부를 따라 순차로 공급되는 상기 조립부품의 중량을 측정하여 조립부품의 정상 또는 이상 여부를 판정하는 전자저울부와,
상기 전자저울부에서 정상으로 판정된 상기 조립부품을 피스톤 동작에 의하여 수납박스로 이동시키는 부품이동부와,
상기 부품이동부의 동작을 감지하여 상기 수납박스로 이동하는 정상의 조립부품의 수를 계산하는 계산부와,
상기 전자저울부에서 판정된 상기 조립부품의 정상 또는 이상 여부를 표시하기 위하여 상기 조립부품이 정상인 경우의 점등영역과 상기 조립부품이 이상인 경우의 점등영역으로 구분된 경고등과,
상기 전자저울부와 상기 경고등 사이에 마련된 타이머를 포함하되,
상기 전자저울부에서 상기 조립부품을 이상으로 판정하는 경우, 상기 타이머에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된 후까지 계속 이상으로 판정되는 경우에만, 상기 경고등의 이상인 경우의 점등영역이 점등되며,
상기 전자저울부는, 상기 조립부품을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하여 각 영역의 부분중량을 독립적으로 측정가능한 복수의 전자저울로 구성하되, 상기 조립부품의 정상 또는 이상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상기 조립부품의 전체 중량에 대한 기준범위 및 각 전자저울에서 분담하는 상기 조립부품의 부분중량에 대한 기준범위가 설정되고,
상기 조립부품의 정상 또는 이상 여부의 판정은, 상기 전자저울부의 복수의 전자저울에서 측정된 부분중량의 합이 상기 조립부품의 전체 중량에 대한 기준범위 이내이고, 각 전자저울에서 측정된 상기 조립부품의 부분중량이 각 전자저울에서 분담하는 상기 조립부품의 부분중량에 대한 기준범위 이내인 경우에만 정상으로 판정하고,
상기 전자저울부의 복수의 전자저울에서 측정된 부분중량의 합이 상기 조립부품의 전체 중량에 대한 기준범위를 초과하거나 미달인 경우, 또는 각 전자저울에서 측정된 상기 조립부품의 부분중량이 각 전자저울에서 분담하는 상기 조립부품의 부분중량에 대한 기준범위를 초과하거나 미달하는 경우 이상으로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량 부품 자동 선별장치.
A faulty part automatic sorting apparatus for automatically judging and selecting whether or not defective assembled parts formed by assembling a plurality of unit parts,
A hopper into which the assembly part is inserted,
An electronic balance part for measuring the weight of the assembled part which is sequentially supplied along the guide part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hopper to judge whether the assembled part is normal or abnormal,
A part for moving the assembled part determined to be normal by the electronic balance part to the housing box by a piston operation,
A calculation unit for calculating the number of normal assembled parts moving to the storage box by sensing the operation of the part,
A warning lamp divided into a lighting area in which the assembled part is normal and a lighting area in which the assembled part is abnormal in order to indicate whether the assembled part is normal or abnormal,
And a timer provided between the electronic balance unit and the warning lamp,
The ignition region in the case of abnormality of the warning lamp is lit only when the electronic balance section judges the assembled part as abnormal, and only when it is judged that the assembled part is abnormally continued until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Wherein the electronic balance section is constituted by a plurality of electronic scales capable of independently measuring a partial weight of each region by dividing the assembled component into a plurality of regions, A reference range for the weight and a reference range for the partial weight of the assembly part shared by each electronic balance are set,
Wherein the determination of whether the assembly is normal or abnormal is made based on the fact that the sum of the partial weights measured in the plurality of electronic balances of the electronic balance portion is within the reference range with respect to the total weight of the assembly component, Is judged to be normal only when the partial weight of the electronic part is within the reference range for the partial weight of the assembled part sharing in each electronic balance,
When the sum of the partial weights measured on the plurality of electronic balances of the electronic balance unit exceeds or falls below the reference range for the total weight of the assembly or when the partial weight of the assembly measured by each electronic balance is less than Or more than the reference range of the partial weight of the assembled part shared by the plurality of parts.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저울부 및 부품이동부를 실장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호퍼는 상기 하우징의 상측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량 부품 자동 선별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housing in which the electronic balance portion and the component mounting portion are mounted,
And the hopper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housing.
KR1020150187335A 2015-12-28 2015-12-28 Apparatus for automatic detecting bad parts KR10160580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7335A KR101605808B1 (en) 2015-12-28 2015-12-28 Apparatus for automatic detecting bad par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7335A KR101605808B1 (en) 2015-12-28 2015-12-28 Apparatus for automatic detecting bad part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5808B1 true KR101605808B1 (en) 2016-03-23

Family

ID=55645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7335A KR101605808B1 (en) 2015-12-28 2015-12-28 Apparatus for automatic detecting bad part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5808B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0132B1 (en) * 2017-10-25 2018-06-25 남근호 An automatic assembly station at a production line
KR102166385B1 (en) * 2020-04-17 2020-10-15 주식회사 토시스 Error-proofing device for assembling vehicle
CN112791980A (en) * 2020-12-28 2021-05-14 刘德才 Intelligent detection sorting machine for gallium nitride chips
KR102283825B1 (en) * 2020-01-28 2021-07-29 선병수 Band sealer for agricultural food packing with measurement function
KR20210130364A (en) 2020-04-22 2021-11-01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Automated system for spline shaft and automated evaluation method thereof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90042A (en) * 2007-05-28 2008-12-04 Anritsu Sanki System Co Ltd Sorting apparatus
JP2009011923A (en) * 2007-07-04 2009-01-22 Yamato Scale Co Ltd Weight selecto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90042A (en) * 2007-05-28 2008-12-04 Anritsu Sanki System Co Ltd Sorting apparatus
JP2009011923A (en) * 2007-07-04 2009-01-22 Yamato Scale Co Ltd Weight selector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0132B1 (en) * 2017-10-25 2018-06-25 남근호 An automatic assembly station at a production line
KR102283825B1 (en) * 2020-01-28 2021-07-29 선병수 Band sealer for agricultural food packing with measurement function
KR102166385B1 (en) * 2020-04-17 2020-10-15 주식회사 토시스 Error-proofing device for assembling vehicle
KR20210130364A (en) 2020-04-22 2021-11-01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Automated system for spline shaft and automated evaluation method thereof
CN112791980A (en) * 2020-12-28 2021-05-14 刘德才 Intelligent detection sorting machine for gallium nitride chip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5808B1 (en) Apparatus for automatic detecting bad parts
JP6860653B2 (en) Goods sorting device
US10926367B2 (en) Machine tool
KR101572064B1 (en) Vision inspection device for metal work surface inspection
US8285494B2 (en) Conveyor chain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CN103964196B (en) Article classifying device
KR101479857B1 (en) Automated inspection system for automobile parts
KR102225450B1 (en) Combi-type device for weight sorting
KR101397116B1 (en) Headlamp test device
JP2008296201A (en) Weight sorting apparatus
US20210174310A1 (en) Efficient service rack system
JP4854839B2 (en) Machine diagnostic method and apparatus
EP1178292A2 (en) Weight checking apparatus
JP2006322751A (en) Weighing device
KR20090097985A (en) A processing hole measuring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thereof of crank shaft
CN106353089B (en) Method for operating a plurality of measuring machines and integrated device comprising at least two measuring machines
CN102554703B (en) Casting primary standard processing method capable of balancing finishing allowance
WO2017037844A1 (en) Ic test system
JP2010237019A (en) Weighing device
JP2012139725A (en) Spot welding automatic inspection device
KR102002920B1 (en) An automation system for trimming and intpecting a forging and an operting method for the same
KR101859868B1 (en) Soldering control system with function of automatic position adjustment for iron tip
JP2007168949A (en) Article inspection device
JPH064283Y2 (en) Work instruction / monitoring system for combination scales
JP2005121410A (en) Weight inspection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