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5103B1 - A pump for hot water mat having function of preventing water leakage - Google Patents

A pump for hot water mat having function of preventing water leakag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5103B1
KR101605103B1 KR1020140122639A KR20140122639A KR101605103B1 KR 101605103 B1 KR101605103 B1 KR 101605103B1 KR 1020140122639 A KR1020140122639 A KR 1020140122639A KR 20140122639 A KR20140122639 A KR 20140122639A KR 101605103 B1 KR101605103 B1 KR 1016051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tank
inlet
outlet
m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263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정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성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성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성사
Priority to KR10201401226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510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51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510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02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with forced circulation, e.g. by pump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ump assembly for a hot water mat to supply hot water to a hot water mat. The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lower casing (20) of which upper part is opened; an upper casing (10) combined with the upper part of the lower casing to form a predetermined space between the casings; a water tank installed in the spac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casings, and including an inlet (22a) to supply water to the inside; and a leakage prevention valve (30) installed at the inlet of the water tank. The leakage prevention valve comprises: a body (32) including an inlet to make water flow into the water tank; a reducing part (36) formed and connected in the bottom of the body, and reducing a cross-sectional area of an inner water flow path; and an outlet (34) formed in the bottom of the reducing part, and formed into a flat slit. As the outlet (34) is transformed by the flow of the water, heading for the inside of the water tank, a water flow path is formed, and if the opposite flow of the water acts on an outer part of the reducing part, the outlet (34) is closed.

Description

누수 방지 기능을 구비하는 온수매트용 펌프 어셈블리{A pump for hot water mat having function of preventing water leakag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ump assembly for a hot water mat having a water leakage prevention function,

본 발명은 온수매트에 고온의 물을 매트 내부로 공급하고 매트를 순환한 저온의 물을 받아서 가열한 후 매트로 공급하는 온수 매트용 펌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물탱크를 구비하는 펌프 어셈블리가 전복되는 경우에도 내부의 물이 외부로 누수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온수 매트용 펌프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ump for hot water mat which supplies hot water to the inside of a mat by supplying hot water to a mat, And the inner water is not leaked to the outside even when the water tank is overturned.

최근에 물을 가열하여 고온 상태로 만든 후, 이러한 고온의 물을 매트에 내장된 파이프로 공급함으로써, 난방 기능을 수행하는 온수 매트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온수 매트에 고온의 물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가 펌프 어셈블리라고 할 수 있는데, 이러한 펌프 어셈블리의 내부에는 물을 가열하기 위한 히터와, 상기 히터에 의한 열을 이용하여 가열되는 물을 담기 위한 물탱크가 포함되어 있다. Recently, a hot water mat which performs a heating function is widely used by heating water to a high temperature state and then supplying such high temperature water to a pipe built in the mat. An apparatus for supplying high temperature water to the hot water mat may be referred to as a pump assembly. Inside the pump assembly, a heater for heating water, a water tank for storing water heated by the heater, .

그리고 장기간 사용에 의하여, 매트 및 펌프를 순환하는 물의 양은 작아지게 되는데, 이렇게 작아진 물을 보충하기 위해서는 펌프에 내장되어 있는 물탱크에 보충수를 넣어야 한다. 통상 펌프에 내장되는 물탱크는, 물을 넣을 수 있는 입구를 구비하고 소정량의 물을 내장할 수 있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입구를 개폐하는 캡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The amount of water circulating through the mat and the pump is reduced by long-term use. In order to replenish the reduced water, the replenishing water must be added to the water tank built in the pump. Generally, a water tank built in a pump generally includes a main body having an inlet for receiving water and containing a predetermined amount of water, and a cap for opening and closing the inlet of the main body.

예를 들면 한국 특허 제10-0944712호에서 개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보충수를 공급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물탱크의 케이싱커버을 열어서 입구가 노출되도록 한 다음에 물을 공급해야 한다. 그러나 온수 매트용 펌프는 실제로 그 크기가 크지 않기 때문에, 펌프에 내장되는 물탱크 자체의 크기도 크지 않다. 예를 들면 온수 매트용 물탱크는, 일반적인 가습기의 물탱크의 수분의 일 정도에 불과한 크기를 가지고 있다. 통상 온수 펌프 전체에 들어가는 물의 양은 대략 1.5리터 전후라고 할 수 있는데, 이러한 크기는 가열하고자 하는 물의 양과 매트를 전체적으로 고온으로 유지할 수 있는 온수 라인의 길이 등을 고려하여 최적으로 결정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For example, as disclosed in Korean Patent No. 10-0944712, in order to supply the replenishing water, water is usually supplied after opening the casing cover of the water tank to expose the inlet. However, since the size of the pump for the hot water mat is not large, the size of the water tank built in the pump itself is not large. For example, a water tank for a hot water mat has a size that is only a fraction of that of a water tank of a general humidifier. Normally, the amount of water entering the entire hot water pump is about 1.5 liters, which is determined optimally in consideration of the amount of water to be heated and the length of the hot water line which can maintain the mat as a whole at a high temperature.

그런데 온수 매트를 사용할 때, 물탱크의 입구를 막는 캡이 정확하게 결합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캡이 물탱크를 정확하게 막고 있지 않는 경우에는 펌프 어셈블리가 전복되면 물탱크 내부의 물이 외부로 흘러 나오게 된다. 물탱크 내부의 물이 누수되면, 물이 사용 환경에 노출되는 불편함 이외에도, 펌프 어셈블리 내부의 전기적 부품과 접촉하여 전기적 단락 등과 같은 손상을 일으키게 된다. However, when using a hot mat, the cap that closes the inlet of the water tank may not be correctly engaged. If the cap is not blocking the water tank correctly, the water inside the water tank flows out to the outside when the pump assembly is overturned. In addition to the inconvenience that water is exposed to the environment when the water in the water tank leaks, it also comes into contact with the electrical parts inside the pump assembly, causing damage such as electrical shorts.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사용 상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되는 것으로, 물탱크를 내장하고 있는 펌프 어셈블리가 전복되는 경우에도, 물탱크 내부의 물이 외부로 흘러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온수 매트용 펌프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order to overcome such inconveniences in us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ot water mattress which can prevent water in the water tank from flowing out to the outside even when the pump assembly having the water tank is overturned And to provide a pump assembly for a pump.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실질적으로는 사용 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 그리고 사용 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o mean that the convenience of use can be substantially improved and the stability in use can be ensured.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펌프 어셈블리는, 상부가 열린 하부케이싱과; 상기 하부케이싱의 상부에 결합되어, 그 사이에서 일정한 공간을 형성하는 상부케이싱; 상기 상부케이싱과 하부케이싱 사이의 공간에 설치되고, 내부에 물을 공급할 수 있는 입구를 가지는 물탱크; 그리고 상기 물탱크의 입구에 설치되는 누수방지밸브를 포함한다. 상기 누수방지밸브는, 물탱크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입구를 구비하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하부에 형성되고 연결되고 내부의 물 흐름 통로의 단면적이 축소되는 축소부, 그리고 상기 축소부의 하단부에 성형되고 일자상의 슬릿으로 형성되는 출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물탱크의 내부로 향하는 물의 흐름에 의하여 출구는 변형되어 물이 흐르는 통로를 형성하고, 반대 방향의 물의 흐름이 축소부 외측에 작용하게 되면 출구가 닫히게 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ump assembly including: a lower casing having an upper portion; An upper casing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lower casing to form a constant space therebetween; A water tank installed in a space between the upper casing and the lower casing and having an inlet capable of supplying water therein; And a water leakage prevention valve installed at an inlet of the water tank. The water leakage prevention valve includes a body having an inlet through which water flows into the water tank, a reduced portion form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and having a reduced cross-sectional area of the water flow passage therein, And an outlet formed as a straight slit. The outlet is deformed by the flow of water toward the inside of the water tank to form a passage through which the water flows, and when the flow of water in the opposite direction acts on the outside of the reducing section, the outlet is closed.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물탱크의 입구에 대응하는 위치의 상부케이싱에는 통과공이 형성되어 있어서, 물의 보충을 용이하게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upper casing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inlet of the water tank, thereby facilitating replenishment of water.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케이싱커버를 역으로 하여, 상부케이싱 상면에 결합한 상태에서, 손쉽게 보충수를 물탱크로 공급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보충수를 손쉽게 공급할 수 있다는 것은 실질적으로 사용 상의 편의성이 더욱 향상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easily supply the makeup water to the water tank while the casing cover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casing. The ability to easily provide supplemental water in this way means that the ease of use is substantially improved.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케이싱커버를 통하여 보충수를 공급할 때, 보충수는 오직 물탱크의 내측으로만 공급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보충수가 펌프 어셈블리 내부의 다른 전기적 부품으로 침투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제품의 안전성을 더욱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장점이 있음을 알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replenishing water is supplied through the casing cover, the replenishing water is supplied only to the inside of the water tank.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replenishment water from penetrating into other electric parts inside the pump assembly, and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safety of the product.

도 1은 본 발명의 펌프 어셈블리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펌프 어셈블리의 분해 상태 예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펌프 어셈블리의 단면 예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pump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xploded state of a pump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exemplary view of a pump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온수 매트용 펌프 어셈블리의 전체적인 외관을 보인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펌프 어셈블리는, 상부케이싱(10)과 하부케이싱(20)이 결합되어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싱을 구성하고 있으며, 그 내부에는 온수의 가열 및 펌핑을 위하여 필요한 부품이 설치되어 있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ased on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1, a pump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sing (10) and a lower casing (20) joined to each other to form a casing as a whole, as shown in FIG. 1 showing the overall appearance of a pump assembly for a hot water ma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necessary parts for heating and pumping the hot water are installed therein.

그리고 도시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하부케이싱(20)의 외측에는, 물을 가열하기 위한 히터 등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전원연결부(16)와, 상기 전원연결부(16)에서 공급되는 전원으로 히터를 통하여 가열된 물이 매트로 공급되는 공급포트(12), 그리고 매트를 순환하면서 저온화된 물이 다시 물탱크 내부로 들어오는 귀환포트(14)가 설치되어 있다. As shown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a power source connection portion 16 for applying power to a heater or the like for heating water and a power source supplied from the power source connection portion 16 are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lower casing 20 through a heater A supply port 12 through which the heated water is supplied to the mat, and a return port 14 through which the low-temperature water flows back into the water tank while circulating the mat.

다음에는 도 2를 같이 참고하면서, 본 발명에 의한 펌프의 내부 구성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귀환포트(14)를 통하여 들어온 물은 다시 물탱크(22)의 내부로 유입되어, 히터(24)의 가열에 의하여 고온화된다. 물탱크(22)의 내부에 설치되는 히터(24)에 의하여 가열된 온수는 모터(23)에 의하여 구동되는 임펠러에 의하여 내부공급관(25)을 통하여 상기 공급포트(12)로 나가게 된다. 상기 케이싱(10,20)의 내부에 고정되어 있는 물탱크(22)는 상단부에 입구(22a)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입구(22a)에는 누수방지밸브(30)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입구(22a)는 상방으로 일정한 길이로 연장되어 있다.Hereinafter,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pum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Water introduced through the return port 14 flows into the interior of the water tank 22 again and is heated by the heating of the heater 24. The hot water heated by the heater 24 installed in the water tank 22 is discharged to the supply port 12 through the internal supply pipe 25 by the impeller driven by the motor 23. The water tank 22 fixed to the inside of the casings 10 and 20 has an inlet 22a at the upper end and a leakage preventing valve 30 at the inlet 22a. This inlet 22a extends upwardly to a certain length.

그리고 본 발명의 누수방지밸브(30)와는 무관하게 캡(26)을 이용하여 물탱크(22)의 입구(22a)를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는 본 발명의 물탱크는, 상기 캡(26)의 구성을 생략하고, 이하에서 설명하는 누수방지밸브(30) 만을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누수방지밸브(3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상적인 상태에서, 상부에서 하방으로는 물이 공급될 수 있으나, 전복되었을 경우 물탱크의 내부에서 외부로 물이 흘러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It is also possible to open and close the inlet 22a of the water tank 22 by using the cap 26 irrespective of the leakage preventing valve 30 of the present invention. Alternatively, in the water tank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lso possible to omit the configuration of the cap 26 and to install only the leakage preventing valve 30 described below. 2, water can be supplied from the upper part to the lower part in a normal state as shown in FIG. 2. However, when the waterproof valve 30 is rolled over, the waterproof valve 30 prevents water from flowing from the inside of the water tank to the outside To be installed.

도 3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누수방지밸브(30)의 구성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물탱크(22)의 입구(22a)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누수방지밸브(30)는, 물이 들어오는 입구를 포함하는 원통상의 바디(32)와, 상기 바디(32)에서 연속되며 물이 흐르는 통로의 단면적이 점차적으로 감소하는 축소부(36), 그리고 상기 축소부(36)의 단부에 형성되는 출구(34)로 구성되고 있다. 이러한 누수방지밸브(30)는 연성이면서도 탄성 복원력을 가지는 재질, 예를 들면 실리콘 또는 연질의 고무 등으로 성형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the construction of the leakage prevention valve 30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he water leakage prevention valve 30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inlet 22a of the water tank 22 is provided with a cylindrical body 32 including an inlet for water to be introduced into the body 32, A reduction portion 36 in which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flowing passage gradually decreases, and an outlet 34 formed at the end portion of the reduction portion 36. The leakage preventing valve 30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flexibility and elastic restoring force, for example, silicone rubber or soft rubber.

상기 바디(32)는 원통상으로 성형되어 그 내부를 통하여 물이 흐를 수 있는 경로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플랜지부(31)가 형성된 입구에는 합성수지재로 만들어지는 유도관(40)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유도관(40)은 물탱크에서 공급되는 물을 상기 바디(32)의 입구로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 바디(32)보다 강도가 높은 합성수지재로 사출 성형된다. 이러한 유도관(40)에 의하여, 상기 바디(32) 부분은 유입되는 물에 대하여 변형되지 않으면서, 입구(22a)와 견고한 연결관계를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유도관(40)은, 상기 바디(32)를 사이에 두고 입구(22a)의 내측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누수방지밸브(30)의 바디(32) 부분을 입구(22a)의 내측에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The body 32 is formed cylindrically and forms a path through which water can flow.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an induction pipe 40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may be installed at the entrance formed with the flange portion 31. The induction pipe 40 guides the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tank to the inlet of the body 32 and is injection-molded into a synthetic resin material having a strength higher than that of the body 32. By this guide pipe 40, the body 32 portion can maintain a strong connection with the inlet 22a without being deformed with respect to the incoming water. That is, the induction pipe 40 is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inlet 22a with the body 32 interposed therebetween, so that the body 32 of the leakage prevention valve 30 is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inlet 22a It can be firmly supported.

그리고 상기 축소부(36)는, 실질적으로 내부를 흐르는 물의 통로 단면적이 줄어드는 부분으로,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서로 대칭되도록 성형되는 한 쌍의 경사면(36)으로 성형되고 있다. 이러한 축소부(36)에 의하여 출구(34)는 직선형의 슬릿으로 만들어진다. 따라서 물탱크(22)에서 상기 바디(32)의 내부로 물이 공급되면, 이렇게 공급되는 물은 바디(32)의 내부에서 상기 축소부(36)를 거쳐서 출구(34)로 흐르게 된다. The shrinking portion 36 is formed as a pair of inclined surfaces 36 that are formed so as to be symmetrical to each other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By this shrinkage portion 36, the outlet 34 is made into a straight slit. Accordingly, when water is supplied into the body 32 from the water tank 22, the water thus supplied flows into the outlet 34 through the reduced portion 36 in the body 32.

상기 출구(34)는 물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에는, 일자형의 슬릿 형상을 유지하고 있으나, 공급되는 물의 압력에 의하여 변형되어 물이 통과할 수 있도록 양측으로 벌어지게 된다. 이러한 출구(34)는, 바디(32) 내부를 흐르는 물에 의하여 변형되어 양측으로 벌어지게 되지만, 그 반대 방향의 물의 흐름에 의해서는 실질적으로 출구(34)가 열리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즉, 반대 방향으로 물이 흐르게 되면 이러한 물의 압력은 상기 축소부(36)에 작용하게 되지만, 이러한 물의 압력은 출구(34)가 닫히는 방향으로 힘을 작용시키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누수방지밸브(30)는 바디(32)의 내부를 통한 물의 흐름에 대해서는 출구(34)가 변형되면서 열리지만, 그 반대 방향의 물의 흐름에 대해서는 출구(34)가 열리지 않게 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이와 같은 누수방지밸브(30)를 입구(22a)의 내부에 삽입함으로써, 상기 물탱크(22)에서 외부로 향하는 물의 흐름을 차단되어, 실질적으로 물탱크(22)가 전복되어도 물이 외부로 누수되지 않게 된다. When the water is not supplied, the outlet (34) maintains a straight slit shape, but is deformed by the pressure of the supplied water and spreads to both sides so that water can pass through it. This outlet 34 is deformed by the water flowing inside the body 32 and spreads to both sides, but it can be seen that the outlet 34 is not substantially opened by the flow of water in the opposite direction. That is, when the water flows in the opposite direction, the pressure of the water acts on the reduced portion 36, but the pressure of the water causes the forc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outlet 34 is closed. Accordingly, the leakage prevention valve 3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structed such that the outlet 34 is opened while the water 34 flows through the inside of the body 32, but the outlet 34 is not opened for the flow of water in the opposite direction . Therefore, by virtue of inserting such a waterproof valve 30 into the inlet 22a, the flow of water from the water tank 22 to the outside is cut off, so that even when the water tank 22 is substantially rolled over, It will not leak outside.

본 발명의 누수방지밸브(30)의 바디(32)의 외측면에는 돌출된 랜스(38)가 성형되어 있는데, 이러한 랜스(38)는 입구(22a)의 내측면에서 임의로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성형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유도관(40)과 입구(22a)의 내측면 사이에 삽입되는 누수방지밸브(30)의 바디(32)가, 상기 랜스(38)에 의하여 더욱 압축되면서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A protruding lance 38 is mol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32 of the leakproof valve 30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lance 38 is molded to prevent the inner surface of the inlet 22a from falling off. will be. The body 32 of the leakage prevention valve 30 inserted between the induction pipe 40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inlet 22a is further compressed by the lance 38 to maintain a stable state of engagement .

그리고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케이싱(10)의 상면 중앙 부분에는 부분적인 구형에 대응하도록 오목하게 성형된 오목부분(18)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오목부분(18)의 중앙에는 중앙에 통과공(15a)을 형성하는 입구부분(1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입구부분(15)의 내주연에는 패킹(13)이 설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통과공(15a)은 물탱크(22)에 물을 주입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부분이다. As shown in Fig. 1, a concave portion 18 is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casing 10 so as to correspond to a partial spherical shape. In the center of the concave portion 18, an inlet portion 15 forming a through hole 15a is formed at the center. It can be seen that the packing 13 is provided at the inner periphery of the inlet portion 15. The through-hole 15a is a portion formed so that water can be injected into the water tank 22.

다음에는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펌프 어셈블리의 전체적인 동작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펌프 어셈블리가 동작하면, 물탱크(22) 내부의 히터(24)가 발열하면서 물을 가열하게 된다. 이렇게 가열된 물은 내부공급관(25)를 거쳐 공급포트(12)로 공급되고, 이어서 온수 매트 내부의 온수 통로를 따라 순환하면서 온수매트를 가열시키게 된다. Hereinafter,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pump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hen the pump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perated, the heater 24 in the water tank 22 heats and heats the water. The heated water is supplied to the supply port 12 through the internal supply pipe 25 and then circulates along the hot water passage inside the hot water mat to heat the hot water mat.

그리고 온수 매트를 순환하면서 저온화된 물은 귀환포트(14)를 통하여, 물탱크(22)의 내부로 다시 들어오게 된다. 이러한 과정이 지속되면서 온수 매트는 사용자가 원하는 정도의 고온을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실제 사용 환경에서, 온수매트는 방바닥에 사용되거나 침대 상에 올려져서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고, 이때 상술한 펌프 어셈블리는 방바닥에 놓아진 상태 또는 침대 옆의 협탁 등에 올려진 상태로 사용된다. Then, the water that has been cooled down while circulating the hot water mat is returned to the inside of the water tank 22 through the return port 14. As this process continues, the hot water mat will be able to maintain the desired high temperature. However, in an actual use environment, it is common that the hot water mat is used in a floor or on a bed, and the above-mentioned pump assembly is used in a state of being placed on a floor or in a state of being stood on the side of a bed.

이러한 사용 상태에서 또는 비사용 상태에서도, 생활 환경에 밀착하여 노출되어 있는 펌프 어셈블리는 사용자에 의하여 또는 다른 외부 요인에 의하여 외력을 받아서 넘어질 수 있다. 종래의 경우에는, 캡(26)이 완전히 물탱크(22)의 입구(22a)를 막고 있지 않으면, 물탱크 내부의 물이 외부로 누수될 수밖에 없었다. In such a used state or in an unused state, the pump assembly exposed in close contact with the living environment may be subjected to an external force by the user or other external factors and may fall over. In the conventional case, if the cap 26 is not completely blocking the inlet 22a of the water tank 22, the water inside the water tank has to leak outside.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물탱크(22)를 포함하는 펌프 어셈블리는 전도되는경우가 발생하여도, 입구(22a)를 통하여 물이 외부로 누수되지 않게 된다. 즉, 상술한 누수방지밸브(30)의 출구(34)는 일자형의 슬릿으로 성형되어 있고, 그 상부에 경사부 또는 축소부(36)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물탱크(22)가 전도되어 내부의 물이 상기 출구(34)을 가압하더라도, 출구(34)는 개방되지 않는다. Howe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ump assembly including the water tank 22 is prevented from leaking water to the outside through the inlet 22a even if the pump assembly is conducted. That is, the outlet 34 of the leakage preventing valve 30 described above is formed as a straight slit, and an inclined portion or a reduced portion 36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Therefore, even if the water tank 22 is conducted and the water in the interior pressurizes the outlet 34, the outlet 34 is not opened.

즉, 물탱크 내부에서 외부를 향하여 물이 흐르게 되면, 이러한 물의 압력은 상기 축소부(36)에 작용하게 되지만, 이러한 물의 압력은 출구(34)가 닫히는 방향으로 힘을 작용시키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누수방지밸브(30)는 바디(32)의 내부를 통한 물의 흐름에 대해서는 출구(34)가 변형되면서 열리지만, 그 반대 방향의 물의 흐름에 대해서는 출구(34)가 열리지 않게 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누수방지밸브(30)를 입구(22a)의 내부에 삽입함으로써, 상기 물탱크(22)에서 외부로 향하는 물의 흐름을 차단되어, 실질적으로 물탱크(22)가 전복되어도 물이 외부로 누수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물탱크(22)의 입구(22a)를 개폐하는 캡(26)은 선택적인 것이라고 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That is, when the water flows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of the water tank, the pressure of the water acts on the reduced portion 36, but the pressure of the water causes a forc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outlet 34 is closed. Accordingly, the leakage prevention valve 3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structed such that the outlet 34 is opened while the water 34 flows through the inside of the body 32, but the outlet 34 is not opened for the flow of water in the opposite direction . By inserting the leakage preventing valve 30 into the inlet 22a, the flow of water from the water tank 22 to the outside is cut off, so that even when the water tank 22 is actually overturned, . As described above, the cap 26 for opening and closing the inlet 22a of the water tank 22 can be said to be optional.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물탱크의 입구에 누수방지밸브를 장착하는 것에 의하여, 물탱크가 전도되는 경우가 발생하더라도 물탱크 내부의 물이 펌프 어셈블리의 내부로 누수되어 전기적 사고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기본적인 주제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leakage prevention valve is attached to the inlet of the water tank, so that water in the water tank leaks into the pump assembly even if the water tank is turned over,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is constructed so as to be able to prevent the above-mentioned problems.

그리고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한 것임도 당연하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t would be natural to say that.

10 ..... 상부케이싱
12 ..... 공급포트
14 ..... 귀환포트
15 ..... 입구부분
15a ..... 통과공
18 ..... 오목부분
20 ..... 하부케이싱
22 ..... 물탱크
22a ...... 입구
24 ..... 히터
30 ..... 누수방지밸브
31 .... 바디
34 ..... 출구
36 ..... 축소부
10 ..... upper casing
12 ..... supply port
14 ..... return port
15 ..... entrance part
15a ..... through ball
18 ..... concave portion
20 ..... lower casing
22 ..... water tank
22a ...... entrance
24 ..... heater
30 ..... Leak prevention valve
31 .... body
34 ..... Exit
36 ..... shrink portion

Claims (2)

상부가 열린 하부케이싱(20)과;
상기 하부케이싱의 상부에 결합되어, 그 사이에서 일정한 공간을 형성하는 상부케이싱(10);
상기 상부케이싱과 하부케이싱 사이의 공간에 설치되고, 내부에 물을 공급할 수 있는 입구(22a)를 가지는 물탱크; 그리고
상기 물탱크의 입구에 설치되는 누수방지밸브(3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누수방지밸브는, 물탱크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입구를 구비하는 바디(32)와, 상기 바디의 하부에 형성되고 연결되고 내부의 물 흐름 통로의 단면적이 축소되는 축소부(36), 그리고 상기 축소부의 하단부에 성형되고 일자상의 슬릿으로 형성되는 출구(34)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물탱크의 내부로 향하는 물의 흐름에 의하여 출구(34)는 변형되어 물이 흐르는 통로를 형성하고, 반대 방향의 물의 흐름이 축소부 외측에 작용하게 되면 출구(34)가 닫히며;
상기 축소부(36)는 서로 대칭되도록 성형되는 한 쌍의 경사면(36)으로 구성되고, 상기 출구(34)는 직선형의 슬릿으로 성형되는 온수 매트용 펌프 어셈블리.
A lower casing (20) having an upper portion opened;
An upper casing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lower casing to form a predetermined space therebetween;
A water tank installed in a space between the upper casing and the lower casing and having an inlet (22a) capable of supplying water therein; And
And a water leakage prevention valve (30) installed at an inlet of the water tank;
The water leakage prevention valve includes a body 32 having an inlet into which water flows into the water tank, a reduced portion 36 form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and having a reduced cross sectional area of the water flow passage therein, And an outlet (34)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reduced portion and formed as a slit in a straight line;
By the flow of water toward the interior of the water tank, the outlet 34 is deformed to form a passage through which the water flows, and when the flow of water in the opposite direction acts on the outside of the reducing section, the outlet 34 is closed;
Wherein the shrinkage portion (36) comprises a pair of inclined surfaces (36) formed to be symmetrical to each other, and the outlet (34) is formed into a straight sli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의 입구에 대응하는 위치의 상부케이싱에는 통과공(15a)이 형성되는 온수 매트용 펌프 어셈블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through hole (15a) is formed in an upper casing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n inlet of the water tank.






KR1020140122639A 2014-09-16 2014-09-16 A pump for hot water mat having function of preventing water leakage KR10160510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2639A KR101605103B1 (en) 2014-09-16 2014-09-16 A pump for hot water mat having function of preventing water leaka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2639A KR101605103B1 (en) 2014-09-16 2014-09-16 A pump for hot water mat having function of preventing water leakag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5103B1 true KR101605103B1 (en) 2016-03-21

Family

ID=55651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2639A KR101605103B1 (en) 2014-09-16 2014-09-16 A pump for hot water mat having function of preventing water leakag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5103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02762A (en) * 2000-06-16 2002-01-09 Kubota Corp Leak preventing structure of fuel tank
KR100783597B1 (en) * 2007-08-22 2007-12-07 주식회사 성신모텍 Heating apparatus for a hot water circulation ma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02762A (en) * 2000-06-16 2002-01-09 Kubota Corp Leak preventing structure of fuel tank
KR100783597B1 (en) * 2007-08-22 2007-12-07 주식회사 성신모텍 Heating apparatus for a hot water circulation ma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76245B2 (en) Threaded plugs in furniture being partially submerged
KR20180013447A (en) Hot water recirculation valve using direct water supply pipe
KR200468400Y1 (en) Safety valve device of boiler for a hot-water heating mat
KR101605103B1 (en) A pump for hot water mat having function of preventing water leakage
KR101514987B1 (en) Warm water mat boiler
KR20120042414A (en) Counter current protection apparatus and heating boiler with power
US20170248324A1 (en) Heating device for hot water mat
KR101337930B1 (en) Joint assembly equipped with valve
JP2022512029A (en) Hairdressing equipment with a liquid drainage system
KR101569433B1 (en) A pump assembly for hot water mat having function of preventing flowing backward
GB2545847A (en) Makeup water supply valve of boiler having air gap forming means
KR101623539B1 (en) A pump for hot water mat
KR101802399B1 (en) An apparatus for heating medical fluid of animal
KR20090082986A (en) Hot-water mat device
KR101794923B1 (en) Boiler apparatus having a slim mat
KR100741513B1 (en) Foot bath
KR101700530B1 (en) Recycle device of hot water for mat of hot water
KR20150004468U (en) Air mat having temperature ragulating function
KR101854782B1 (en) Boiler apparatus having slim mat
KR20170126285A (en) Regenerative Poultice Device
KR20080105199A (en) Method of making hot water heating device
KR101337926B1 (en) Fluid circulation system
KR101969454B1 (en) Hot water supply apparatus with backdraft preventing function
KR101633857B1 (en) Air Pump
KR20160129618A (en) Hot water circulation mat having non-motorized drain fun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