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5088B1 - 거북목 및 일자목 교정을 위한 자세 교정 시스템 - Google Patents

거북목 및 일자목 교정을 위한 자세 교정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5088B1
KR101605088B1 KR1020140064313A KR20140064313A KR101605088B1 KR 101605088 B1 KR101605088 B1 KR 101605088B1 KR 1020140064313 A KR1020140064313 A KR 1020140064313A KR 20140064313 A KR20140064313 A KR 20140064313A KR 101605088 B1 KR101605088 B1 KR 1016050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atient
pressure value
head
ne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43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37174A (ko
Inventor
안재홍
곽동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자세과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자세과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자세과학
Priority to KR10201400643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5088B1/ko
Publication of KR201501371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71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50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50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40Processing input control signals of video game devices, e.g. signals generated by the player or derived from the environment
    • A63F13/42Processing input control signals of video game devices, e.g. signals generated by the player or derived from the environment by mapping the input signals into game commands, e.g. mapping the displacement of a stylus on a touch screen to the steering angle of a virtual vehicle
    • A63F13/422Processing input control signals of video game devices, e.g. signals generated by the player or derived from the environment by mapping the input signals into game commands, e.g. mapping the displacement of a stylus on a touch screen to the steering angle of a virtual vehicle automatically for the purpose of assisting the player, e.g. automatic braking in a driving g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자의 자세 정보를 취득하는 자세 정보 취득부; 및 상기 자세 정보를 입력 신호로 하여 설정된 가상의 게임을 운용하는 컨텐츠부를 포함하는 자세 교정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거북목 및 일자목 교정을 위한 자세 교정 시스템{SYSTEM FOR CORRECTING POSTURE}
본 발명은 자세 교정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모바일과 같은 장치에 설치되는 게임을 통해 환자의 자세가 설정된 교정 자세를 이루도록 할 수 있는 거북목 및 일자목 교정을 위한 자세 교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목 디스크{경추 수핵 탈출증 (cervical herniated nucleus pulpususdisc)이지만, 이하 '목 디스크'라 칭함}란 경추 추간판(디스크)이 외부의 급격한 자극이나 나이가 증가함에 따라 수분이 감소하여 퇴행성 변화를 일으켜서 탄력성이 상실되어 굳어지고 추간판 벽에 균열이 발생하여 내부의 굳어진 수핵이 빠져나오는 것을 주원인으로 발생되는 증상이며 외상에 의해 발생하기도 한다.
이러한 목 디스크는 뒷목 및 어깨 상부의 통증이 가장 흔한 증상이며, 병이 발생한 부위에 따라 어깨와 팔의 통증이나 약화가 발생하기도 하고, 심한 경우 척수에 손상을 줘서 다리의 힘이 약해지거나 마비가 발생하기도 하며, 심하면 수술을 통해 치료해야 하지만, 초기에는 약물 치료와 물리치료를 적절히 시행하면서 증상의 완화 및 호전을 유도하는 조치를 취함이 일반적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경우, 대부분의 환자의 목은 일자목을 형성한다.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일자목을 정상 상태로 교정하는 배게 형상의 교정구의 개발이 되어 있으나, 이는 환자의 평상시의 생활 또는 운동 중에, 반복적으로 교정하여 줄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공개번호 제10-2014-0132541호(2014.11.18)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환자의 등, 목 및 머리의 자세 정보를 취득함과 아울러, 이를 사용하여 게임을 실시하도록 하여 환자의 자세를 설정된 교정 자세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도록 할 수 있는 거북목 및 일자목 교정을 위한 자세 교정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환자 스스로 게임을 실시하면서, 교정 과정을 게임을 통해 모니터링하도록 할 수 있는 거북목 및 일자목 교정을 위한 자세 교정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환자의 자세 정보를 취득하는 자세 정보 취득부; 및 상기 자세 정보를 입력 신호로 하여 설정된 가상의 게임을 운용하는 컨텐츠부를 포함하는 거북목 및 일자목 교정을 위한 자세 교정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자세 정보 취득부는, 상기 환자의 등, 목 및 머리를 포함하는 신체에 밀착되는 자세 교정부와, 상기 교정부에 설치되며, 상기 환자의 등, 목 및 머리의 자세 정보를 취득하고, 취득한 상기 자세 정보를 상기 컨텐츠 부로 전송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자세 교정부는, 상기 환자의 등에 밀착되는 등 지지부와, 상기 등 지지부의 상단에 형성되며, 상기 환자의 목에 접촉되는 목 지지부와, 상기 목 지지부의 상단에 형성되며, 상기 환자의 머리 후두를 지지하는 머리 지지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센서부는, 상기 등 지지부에 설치되며, 밀착되는 상기 환자의 등 다수 위치에서의 제 1압력값을 측정하는 제 1센서부와, 상기 목 지지부에 설치되며, 밀착되는 상기 환자의 목 다수 위치에서의 제 2압력값을 측정하는 제 2센서부와, 상기 머리 지지부에 설치되며, 밀착되는 상기 환자의 머리 후두의 다수 위치에서의 제 3압력값을 측정하는 제 3센서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컨텐츠 부는, 상기 게임이 실시되는 게임 실시부와, 상기 제 1압력값, 제 2압력값, 제 3압력값을 상기 입력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입력 신호를 상기 게임 실시부로 전송하여 상기 게임이 실시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 신호를 사용하여 상기 게임에서 가상의 동작을 표시부를 통해 외부로 가시적 표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게임은, 가상의 자동차가 주행하는 자동차 게임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압력값, 제 2압력값, 제 3압력값을 모두 전송 받으면, 상기 자동차의 주행을 시작하도록 상기 게임 실시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 1압력값, 제 2압력값, 제 3압력값 중, 적어도 하나의 압력값을 전송 받지 못하면, 상기 자동차의 주행을 중지하도록 상기 게임 실시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 3압력값이, 상기 머리의 후두 우측에 위치되는 제 3센서부로부터 전송되는 값이면, 상기 자동차를 우측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게임 실시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 3압력값이, 상기 머리의 후두 좌측에 위치되는 제 3센서부로부터 전송되는 값이면, 상기 자동차를 좌측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게임 실시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 3압력값에 따라 상기 자동차의 주행 속도가 비례되도록 상기 게임 실시부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에는, 상기 환자의 등, 목, 머리의 설정된 정상 자세를 이룰 수 있는 기준 제 1,2,3압력값이 기설정되고,
상기 기준 제 1,2,3압력값에 따라 상기 자동차의 주행 회전 방향과, 주행 속도가 설정되고,
상기 제어부는, 전송되는 상기 제 1,2,3압력값이 상기 기준 제 1,2,3압력값으로부터 벗어나면, 상기 표시부를 통해 알람을 발생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준 제 1,2,3압력값은, 상기 환자에 따라 상기 제어부에 가변 설정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등 지지부는, 상하를 따라 길이가 조절되어 상기 제 1센서부의 위치를 가변 조절하고, 상기 머리 지지부는, 상기 목 지지부의 상단에서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게임 실시부는, 무선 통신 기기에 프로그램화되어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2,3압력값을 상기 입력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무선 통신 기기와 설정된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무선으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환자의 등, 목 및 머리의 자세 정보를 취득함과 아울러, 이를 사용하여 게임을 실시하도록 하여 환자의 자세를 설정된 교정 자세를 지속적으로 유지하여 거북목 및 일자목을 바른 자세로 교정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환자 스스로 게임을 실시하면서, 교정 과정을 게임을 통해 모니터링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센서를 통해 치료자세를 잡아주고 치료에 대한 동기부여를 확실하게 심어줄 수 있도록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치료과정을 자동차 모의주행을 하는 모습으로 안내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거북목 및 일자목 교정을 위한 자세 교정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르는 거북목 및 일자목 교정을 위한 자세 교정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다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센서부의 배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자세 교정부에 환자가 위치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게임 실시부에서 가상의 자동차 게임이 진행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거북목 및 일자목 교정을 위한 자세 교정 시스템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거북목 및 일자목 교정을 위한 자세 교정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르는 자세 정보 취득부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센서부의 배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 하면, 본 발명의 거북목 및 일자목 교정을 위한 자세 교정 시스템은 크게 자세 정보 취득부(100)와, 컨텐츠 부(200)로 구성된다.
자세 정보 취득부 (100)
도 2 및 도 3을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자세 정보 취득부(100)는 크게 자세 교정부(110)와, 센서부(120)로 구성된다.
상기 저세 교정부(110)는 지면에 지지되는 상태로 설치될 수도 있고, 그 후면은 벽체와 같은 다른 지지물(1)에 지지되는 것이 좋다. 또한, 자세 교정부(110)는 상기 지지물(1)에 부착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자세 교정부(110)는 크게 등 지지부(111)와, 목 지지부(112)와, 머리 지지부(113)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등 지지부(111), 목 지지부(112) 및 머리 지지부(113)는 하나의 몸체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등 지지부(111)는 전방을 따라 볼록한 곡면을 형성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곡면이 이루는 곡률은 인체가 정상 상태를 이룰 수 있는 척추의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목 지지부(112)는 상기 등 지지부(111)의 상단에 설치된다. 상기 목 지지부(112)는 환자의 목(12) 부분의 후방에 위치되도록 위치된다.
상기 머리 지지부(113)는 상기 목 지지부(112)의 상단에 형성되고, 환자의 머리 후두(13)가 접촉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머리 지지부(113)는, 환자의 머리 후두(13)를 감싸도록 곡면을 이루어 형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센서부(120)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자세 교정부(110)에 탈착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센서부(120)는 제 1,2,3센서부(121,122,123)로 구성된다.
제 1,2,3센서부(121,122,123)는 다수의 압력 센서로 구성된다.
다만, 제 2센서부(122)에는 환자의 목(12)까지의 거리값을 측정하는 근접 센서 또는 거리 센서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센서부(121)는 등 지지부(111)의 외면부에 설치되고, 상기 등 지지부(111)의 외면부는 환자의 등(11) 위치에 위치된다.
상기 제 1센서부(121)는 다수의 제 1압력 센서로 구성되고, 상기 제 1압력 센서들은 등 지지부(111)의 외면부 설정된 위치에 설치된다.
이하, 제 1압력 센서의 구성 번호를 '121'로 명기한다.
따라서, 제 1압력 센서들(121)은 환자의 등(11)이 밀착되면서 가해지는 힘에 따라 가변되는 제 1압력값들을 각 설치 위치에서 측정하고, 이를 후술되는 제어부(220)에 전송한다.
또한, 상기 제 2센서부(122)는 목 지지부(112)의 외면부에 설치되고, 상기 목 지지부(112)의 외면부는 환자의 목 위치에 위치된다.
상기 제 2센서부(122)는 다수의 제 2압력 센서로 구성되고, 상기 제 2압력 센서들 및 근접 센서들은 목 지지부(112)의 외면부 설정된 위치에 설치된다.
따라서, 제 2압력 센서들은 환자의 목이 밀착되어 가해지는 힘에 따라 가변되는 제 2압력값들을 각 설치 위치에서 측정하고, 이를 후술되는 제어부에 전송한다.
또한, 근접 센서들은 환자의 목(12)까지의 거리값을 측정하여 이를 제어부(220)에 전송하고, 제어부(220)는 목(12) 까지의 거리값이 설정된 거리값을 이루는 지를 판단하여 목 지지부(112)에 근접되었음을 판단한다.
또한, 상기 제 3센서부(123)는 머리 지지부(113)의 외면부에 설치되고, 상기 머리 지지부(113)의 외면부는 환자의 머리 후두(13)에 밀착되도록 위치된다.
상기 제 3센서부(123)는 다수의 제 3압력 센서로 구성되고, 상기 제 3압력 센서들은 머리 지지부(113)의 외면부 설정된 위치에 설치된다.
이하, 제 3압력 센서의 구성 번호를 '123'으로 명기한다.
따라서, 제 3압력 센서들(123)은 환자의 머리 후두(13)가 밀착되어 가해지는 힘에 따라 가변되는 제 3압력값들을 각 설치 위치에서 측정하고, 이를 후술되는 제어부(220)에 전송한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에 따르는 등 지지부는 상하로 위치가 조절되도록 다단으로 삽입 및 돌출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세하게는, 등 지지부는 다단으로 삽입 및 돌출 가능하게 연결되는 베이스와, 베이스의 전단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환자의 등에 접촉되며, 미리 결정된 척추의 곡선 라인을 따르는 곡면을 갖는 탈착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는 출몰 가능한 축을 갖는 실린더 일 수 있다.
상기 탈착 부재는 실린더의 전면부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되, 별도의 체결부재를 사용하여 결합될 수도 있고, 후크식 결합이 가능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등 지지부는 상기 등 지지부의 상하로의 사이즈는 환자의 등 길이에 부합되도록 가변 조절될 수 있다.
다음은, 상기 센서부(120)로부터 신호를 전송 받는 컨텐츠 부(200)를 설명한다.
컨텐츠 부 (200)
도 1 내지 도 3을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컨텐츠 부(200)는 게임(2)이 실시되는 게임 실시부(210)와, 상기 제 1압력값, 제 2압력값, 거리값, 제 3압력값을 상기 입력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입력 신호를 상기 게임 실시부(210)로 전송하여 상기 게임(2)이 실시되도록 하는 제어부(220)로 구성된다.
상기 게임 실시부(210)에는 게임(2)이 내장되어 설치된다.
상기 게임(2)은 자동차 게임일 수 있다. 상기 자동차 게임은 자동차(3)의 주행을 표시부(230)를 통해 가상으로 표시하는 종류의 게임이다.
상기 자동차의 주행 동작은 센서부(120)로부터 전송 받은 자세 정보를 입력 신호로 하여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자동차(3)의 주행은 주행 시작, 중지, 우회전 및 좌회전 등의 동작으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220)는 상기 제 1압력값, 제 2압력값, 거리값, 제 3압력값을 모두 전송 받으면, 상기 자동차(3)의 주행을 시작하도록 상기 게임 실시부(210)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220)는 상기 제 1압력값, 제 2압력값, 거리값, 제 3압력값 중, 적어도 하나의 압력값을 전송 받지 못하면, 상기 자동차(3)의 주행을 중지하도록 상기 게임 실시부(210)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220)는 상기 제 3압력값이, 상기 머리의 후두(13) 우측에 위치되는 제 3센서부(123)로부터 전송되는 값이면, 상기 자동차(3)를 우측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게임 실시부(210)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220)는 상기 제 3압력값이, 상기 머리의 후두(13) 좌측에 위치되는 제 3센서부(123)로부터 전송되는 값이면, 상기 자동차(3)를 좌측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게임 실시부(210)를 제어한다.
여기서, 제어부(220)는 상기 제 3압력값에 따라 상기 자동차(3)의 주행 속도가 비례되도록 상기 게임 실시부(210)를 제어하는 것이 좋다.
이에 더하여, 상기 제어부(220)에는 상기 환자의 등(11), 목(12), 머리(13)의 설정된 정상 자세를 이룰 수 있는 기준 제 1,2,3압력값이 기설정되고, 상기 기준 제 1,2,3압력값에 따라 상기 자동차(3)의 주행 회전 방향과, 주행 속도가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20)는, 전송되는 상기 제 1,2,3압력값이 상기 기준 제 1,2,3압력값으로부터 벗어나면, 상기 표시부(230)를 통해 알람을 발생시키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게임 실시부(210)는, 무선 통신 기기(300)에 프로그램화되어 설정된다.
상기 제어부(220)는 상기 제 1,2,3압력값을 상기 입력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무선 통신 기기(300)와 설정된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무선으로 전송하는 것이 좋다.
상기 무선 통신 기기(300)는 휴대용 모바일 기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자세 교정 시스템을 통한 일자목 교정 방법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자세 교정부에 환자가 위치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5 및 도 6은 게임 실시부에서 가상의 자동차 게임이 진행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그 외 구성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자세 정보 취득부(100)의 자세 교정부(110)는 벽체(1)에 고정 설치된다.
도 4의 (A), (B), (C)를 참조 하면, 통상, 일자목 증후군을 앓고 있는 환자(10)는 경추가 1자모양으로 펴짐과 동시에 머리가 앞으로 빠져나와 있고 배가 앞으로 나오게 된다.
이와 같은 환자(10)는 등(11)이 자세 교정부(110)의 등 지지부(111)에 밀착되도록 위치된다.
즉, 환자(10)는 등(11)이 등 지지부(111)의 외면부에 밀착되고, 이때, 환자의 머리(13)는 머리 지지부(113)로부터 현저히 떨어지게 된다.
이어, 환자(10)는 등(11)을 등 지지부(111)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시선은 수평을 유지하고 머리(13)를 최대한 뒤 쪽으로 당긴다.
이어, 환자의 머리 후두(13)는 머리 지지부(113)의 외면부에 닿을 수 있다.
이때, 목 지지부(112)에 설치되는 근접 센서들은 환자의 목까지의 거리값을 측정하고, 이를 제어부(220)로 전송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는, 환자(10)의 등(11)이 등 지지부(111)에 밀착되고, 머리 후두(13)가 머리 지지부(113)의 외면부에 밀착되며, 환자의 목(12)은 목 지지부(112)로부터 설정된 거리로 이격된 상태를 이룬다.
환자(10)는 이와 같은 자세를 유지하며 5분정도 유지하면, 자세 교정이 가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자세는 일자목 증후군의 경추 상부의 근육이 짧아진 것을 늘려주고 경추 하부의 근육이 늘어난 것을 당겨줘 지속 운동시 일자목을 치료할 수 있다.
또한 경추 부근의 근력이 강해짐과 더불어 인그램 트레이닝을 통해 우리 몸의 뇌가 위의 자세를 기억하게 됨으로 평소에도 바른 자세로 목을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자세에서, 머리 지지부(113)에 설치되는 제 3압력 센서들(123)은 후방으로 당겨진 머리 후두(13)와 접촉되어 발생되는 제 3압력값들을 측정하고, 이를 제어부(220)로 전송한다.
여기서, 제어부(220)는 제 1,2,3압력 센서들(121,122,123)로부터 측정되는 모든 압력값들 및 근접 센서로부터의 거리값을 전송 받으면, 표시부(230)에 표시되는 가상의 자동차(3)가 주행을 시작하도록 게임 실시부(210)를 제어한다.
곡선주행 구간에 맞춰 환자(10)는 우측(->) 또는 좌측(<-)을 향해 자세를 교정한다. 이때, 변화되는 제 3압력값은 제 3압력 센서들(123)로부터 측정되어 제어부(220)로 전송된다.
따라서, 환자의 머리(13)를 우측(->) 또는 좌측(<-)으로 기울임으로써, 자동차(3)의 주행 방향을 우회전 또는 좌회전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환자의 머리(13)를 옆으로 기울이는 것을 통해 목(12)의 스트레칭을 발생시키고, 이에 의해 근육이 이완되어 빠른 치료를 손쉽게 진행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서는 거북목 또는 일자목 증상을 갖는 환자 또는 사용자가 상술한 자동차 게임을 진행하면서 교정하는 방법을 대표적인 실시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자세 정보 취득부를 통해 환자의 자세를 변경 정보를 취득하고, 이를 입력 신호로 하여 속도, 방향을 제어할 수 있는 다른 가상의 게임 모두 포함할 수 있음을 물론이다.
예를 들어, 속도 및 방향이 가변되어 게임이 진행되는 런님 프로그램일 수도 있다.
이상 상기와 같은 구성 및 작용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는 환자의 등, 목 및 머리의 자세 정보를 취득함과 아울러, 이를 사용하여 게임을 실시하도록 하여 환자의 자세를 설정된 교정 자세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는 환자 스스로 게임을 실시하면서, 교정 과정을 게임을 통해 모니터링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는 센서를 통해 치료자세를 잡아주고 치료에 대한 동기부여를 확실하게 심어줄 수 있도록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치료과정을 자동차 모의주행을 하는 모습으로 안내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자세 교정 시스템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벽체
2 : 게임
3 : 자동차
10 : 환자
11 : 등
12 : 목
13 : 머리 후두
100 : 자세 정보 취득부
110 : 자세 교정부
111 : 등 지지부
112 : 목 지지부
113 : 머리 지지부
120 : 센서부
121 : 제 1센서부
122 : 제 2센서부
123 : 제 3센서부
200 : 컨텐츠 부
210 : 게임 실시부
220 ; 제어부
300 : 무선 통신 기기

Claims (10)

  1. 환자의 자세 정보를 취득하는 자세 정보 취득부; 및
    상기 자세 정보를 입력 신호로 하여 설정된 가상의 게임을 운용하는 컨텐츠부를 포함하고,
    상기 자세 정보 취득부는,
    상기 환자의 등, 목 및 머리를 포함하는 신체에 밀착되는 자세 교정부와,
    상기 교정부에 설치되며, 상기 환자의 등, 목 및 머리의 자세 정보를 취득하고, 취득한 상기 자세 정보를 상기 컨텐츠 부로 전송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 교정 시스템.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세 교정부는,
    상기 환자의 등에 밀착되는 등 지지부와,
    상기 등 지지부의 상단에 형성되며, 상기 환자의 목에 접촉되는 목 지지부와,
    상기 목 지지부의 상단에 형성되며, 상기 환자의 머리 후두를 지지하는 머리 지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 교정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등 지지부에 설치되며, 밀착되는 상기 환자의 등 다수 위치에서의 제 1압력값을 측정하는 제 1센서부와,
    상기 목 지지부에 설치되며, 밀착되는 상기 환자의 목 다수 위치에서의 제 2압력값을 측정하는 제 2센서부와,
    상기 머리 지지부에 설치되며, 밀착되는 상기 환자의 머리 후두의 다수 위치에서의 제 3압력값을 측정하는 제 3센서부를 구비하되,
    상기 자세 정보는, 상기 제 1,2,3압력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 교정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부는,
    상기 게임이 실시되는 게임 실시부와,
    상기 제 1압력값, 제 2압력값, 제 3압력값을 상기 입력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입력 신호를 상기 게임 실시부로 전송하여 상기 게임이 실시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 신호를 사용하여 상기 게임에서 가상의 동작을 표시부를 통해 외부로 가시적 표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 교정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은, 가상의 자동차가 주행하는 자동차 게임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압력값, 제 2압력값, 제 3압력값을 모두 전송 받으면, 상기 자동차의 주행을 시작하도록 상기 게임 실시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 1압력값, 제 2압력값, 제 3압력값 중, 적어도 하나의 압력값을 전송 받지 못하면, 상기 자동차의 주행을 중지하도록 상기 게임 실시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 3압력값이, 상기 머리의 후두 우측에 위치되는 제 3센서부로부터 전송되는 값이면, 상기 자동차를 우측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게임 실시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 3압력값이, 상기 머리의 후두 좌측에 위치되는 제 3센서부로부터 전송되는 값이면, 상기 자동차를 좌측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게임 실시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 3압력값에 따라 상기 자동차의 주행 속도가 비례되도록 상기 게임 실시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 교정 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는,
    상기 환자의 등, 목, 머리의 설정된 정상 자세를 이룰 수 있는 기준 제 1,2,3압력값이 기설정되고,
    상기 기준 제 1,2,3압력값에 따라 상기 자동차의 주행 회전 방향과, 주행 속도가 설정되고,
    상기 제어부는, 전송되는 상기 제 1,2,3압력값이 상기 기준 제 1,2,3압력값으로부터 벗어나면, 상기 표시부를 통해 알람을 발생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 교정 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제 1,2,3압력값은,
    상기 환자에 따라 상기 제어부에 가변 설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 교정 시스템.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등 지지부는,
    상하를 따라 길이가 조절되어 상기 제 1센서부의 위치를 가변 조절하고,
    상기 머리 지지부는, 상기 목 지지부의 상단에서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읕 특징으로 하는 자세 교정 시스템.
  10.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 실시부는, 무선 통신 기기에 프로그램화되어 설정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2,3압력값을 상기 입력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무선 통신 기기와 설정된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무선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 교정 시스템.

KR1020140064313A 2014-05-28 2014-05-28 거북목 및 일자목 교정을 위한 자세 교정 시스템 KR1016050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4313A KR101605088B1 (ko) 2014-05-28 2014-05-28 거북목 및 일자목 교정을 위한 자세 교정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4313A KR101605088B1 (ko) 2014-05-28 2014-05-28 거북목 및 일자목 교정을 위한 자세 교정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7174A KR20150137174A (ko) 2015-12-09
KR101605088B1 true KR101605088B1 (ko) 2016-03-22

Family

ID=54873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4313A KR101605088B1 (ko) 2014-05-28 2014-05-28 거북목 및 일자목 교정을 위한 자세 교정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508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4081A (ko) 2019-10-14 2021-04-22 주식회사 에스엠디솔루션 일자목 증후군 개선용 자세 감응형 모니터링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1968B1 (ko) * 2016-12-14 2018-04-04 우성배 자세 교정 웨어러블 이어폰 장치
KR101949460B1 (ko) * 2017-09-01 2019-02-19 (주)자세과학 게임을 사용한 거북목 교정시스템
KR102232346B1 (ko) * 2019-01-21 2021-03-25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거북목 교정 시스템
KR102181886B1 (ko) * 2019-01-25 2020-11-25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베개 기반의 거북목 증후군 재활 지원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86757A (en) 1990-11-30 1992-02-11 Lestini William F Three-point cervical fixation device
US5199940A (en) 1991-09-12 1993-04-06 Morris James B Posture training and correcting device
JP2010207331A (ja) 2009-03-09 2010-09-24 Nintendo Co Ltd 姿勢算出装置、姿勢算出プログラム、ゲーム装置、およびゲーム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86757A (en) 1990-11-30 1992-02-11 Lestini William F Three-point cervical fixation device
US5199940A (en) 1991-09-12 1993-04-06 Morris James B Posture training and correcting device
JP2010207331A (ja) 2009-03-09 2010-09-24 Nintendo Co Ltd 姿勢算出装置、姿勢算出プログラム、ゲーム装置、およびゲームプログラ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4081A (ko) 2019-10-14 2021-04-22 주식회사 에스엠디솔루션 일자목 증후군 개선용 자세 감응형 모니터링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7174A (ko) 2015-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5088B1 (ko) 거북목 및 일자목 교정을 위한 자세 교정 시스템
US11298588B2 (en) Therapy and physical training device
US20230000716A1 (en) Treatment of headache disorders
JP6134735B2 (ja) Ans刺激
KR20150129580A (ko) 삼킴 장애 구강 훈련장치
KR101458714B1 (ko) 척추견인 장치
KR20150137173A (ko) 거북목 및 일자목 교정 장치
CN202859403U (zh) 卧位多角度颈椎电动牵引床
KR101809633B1 (ko) 데이터 분류를 통한 척추 재활치료기
KR101748138B1 (ko) 손목운동 제어기능 평가 시스템
US11672720B2 (en) Rehabilitation device
JP2015501708A (ja) 視床下部を刺激するためのデバイス
RU2389463C1 (ru) Способ комплексной мануальной диагностики и лечения черепной патологии
KR101687312B1 (ko) 온열 고주파 조사 밴드를 갖는 척추 재활 치료 장치
KR101949460B1 (ko) 게임을 사용한 거북목 교정시스템
CN114053111B (zh) 一种带牵引推拿功能的脊柱侧弯医疗设备
KR101163342B1 (ko) 신체교정용 장치, 신체교정용 장치의 제어기 및 제어 방법
EP2945589B1 (en) Rehabilitation device
KR20210090407A (ko) 거북목 증후군의 치료를 위한 경추 교정운동장치 및 경추 교정운동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