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5041B1 - A position control apparatus for a television receiver having a sliding type speaker - Google Patents

A position control apparatus for a television receiver having a sliding type speak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5041B1
KR101605041B1 KR1020150156807A KR20150156807A KR101605041B1 KR 101605041 B1 KR101605041 B1 KR 101605041B1 KR 1020150156807 A KR1020150156807 A KR 1020150156807A KR 20150156807 A KR20150156807 A KR 20150156807A KR 101605041 B1 KR101605041 B1 KR 1016050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aker
housing
display
guide
slid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680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강태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탑시스템
강태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탑시스템, 강태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탑시스템
Priority to KR10201501568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504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50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5041B1/en
Priority to PCT/KR2016/012716 priority patent/WO2017082600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Holding-devices for protective discs or for picture mas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6Supports for loudspeaker ca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display location adjusting device installs a speaker in a housing of the location adjusting device to output a sound at a predetermined height even though a height location of a display is changed, and additionally makes the speaker appear in accordance with whether the speaker is used to always close an installation hole of the housing through which the speaker is inputted and outputted to prevent internal contamination inside the housing due to dust input from the outside.

Description

이동형 스피커가 구비된 디스플레이 위치 조절장치{A position control apparatus for a television receiver having a sliding type speaker}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sition control apparatus,

본 발명은 이동형 스피커가 구비된 디스플레이 위치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디스플레이의 높낮이 위치변경에도 불구하고 일정한 높이에서 소리를 출력할 수 있도록 위치 조절장치의 하우징에 스피커가 탑재되도록 하고, 또한 스피커의 사용여부에 따라 하우징에 출몰되도록 하면서 스피커가 출입되는 하우징의 설치공이 항상 폐쇄되도록 하여 외부로부터 먼지 유입에 따른 하우징 내부 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이동형 스피커가 구비된 디스플레이 위치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position adjusting apparatus provided with a portable speaker, in particular, a speaker is mounted on a housing of a position adjusting apparatus so that a sound can be outputted at a constant height despite a change of the height of the displa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position adjusting device having a portable speaker that can prevent the contamination of the housing due to the inflow of dust from the outside by allowing the mounting hole of the housing in and out of the housing to be always closed.

TV 시청은 사람들에게 주요한 오락 행위 및 정보원 중의 하나인 반면에, 고정된 위치에서 장시간 TV를 시청하면, 신체가 불편하게 되고, 견갑상완골의 관절주위염, 요통, 척추증, 및 좌골신경통과 같은 질병에 유발시킬 수 있다.While watching TV is one of the main entertainment and information sources for people, watching TV for a long time at a fixed location makes the body uncomfortable, causing diseases such as periarticular inflammation of the scapula, back pain, spinal cord, and sciatica .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사람들이 풍부하고 다채로운 TV 프로그램을 편안하게 즐길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노력하였다.To solve these problems, we tried to make people enjoy TV programs rich and colorful.

이에 따라 최근에는 사람들은 TV 세트를 최적의 시각 내에 위치하도록 하기 위하여 눕거나 앉아 있는 자신의 위치에서의 시야각에 따라 TV 세트의 높이 및 시각을 원격 또는 수동 조정함으로써 편안하게 TV를 시청할 수 있고, 위와 같은 질병을 가진자 및 병원 침상 환자들도 이용하여 치료할 수 있는 요건을 만족하는 디스플레이 위치 조절장치를 요구하고 있다.Accordingly, in recent years, people can comfortably watch the TV by remotely or manually adjusting the height and time of the TV set according to the viewing angle at their own position, lying or sitting, in order to place the TV set in the optimum time, And a display position control device that meets the requirements that can be treated by using patients with the same disease and hospital bed.

본 발명자는 한국특허등록 제10-0521359호에 개시되고, 도 37 내지 도 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요구사항을 만족하는 "TV수상기 위치제어장치"를 특허등록한 바 있다.The present inventor has patented a "TV receiver position control device" which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521359 and satisfies the above requirements as shown in Figs. 37 to 40. Fig.

이는 시청자가 시청자세에 따라 TV수상기를 시청자의 눈높이에 맞도록 원하는 높이로 이동시킬 수 있고 또한 각도를 조절하여 적당한 각도로 시청할 수 있게 한 것으로서, 벽면(1)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마련되는 프레임(10)과, 이 프레임(10)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며 TV수상기(200)가 고정되는 이동블럭(20)과, 이 이동블럭(20)을 상기 프레임(10)에 대해 승강시키는 승강수단과, 상기 이동블럭(20)에 대하여 TV수상기(200)의 각도를 조정하는 각도조정수단을 구비한다.This allows the viewer to move the TV set to a desired height so as to match the viewer's eye level according to the viewing posture and to view the TV set at a proper angle by adjusting the angle. The frame 1 is provided with a frame A moving block 20 which is supported movably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along the frame 10 and on which the TV receiver 200 is fixed and a moving block 20 for moving the moving block 20 up and down relative to the frame 10 And an angle adjusting means for adjusting the angle of the TV receiver 200 with respect to the moving block 20. [

상기와 같은 장치는 스크류 구동모터 및 회전모터(500)의 정역구동에 의해서 TV수상기(200)의 시청자의 눈높이에 맞도록 원하는 높이로 이동시킬 수 있고 또한 각도를 조절하여 적당한 각도로 시청할 수 있게 원격제어에 의해서 제어할 수 있게 한다.Such a device can be moved to a desired height according to the eye level of a viewer of the TV receiver 200 by driving the screw driving motor and the rotary motor 500 forward and backward, Thereby enabling control by control.

그런데, 상기와 같은 장치는 TV수상기(200)에 스피커가 장착된 구조로서, TV수상기(200)의 높이에 따라 시청자와의 거리가 변하기 때문에 TV수상기(200)의 높이 변화에 따라 스피커의 소리크기 조절도 함께 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However, since the distance from the viewer is changed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TV receiver 200, the above-mentioned apparatus has a structure in which a speaker is mounted on the TV receiver 200, There is also a hassle to adjust.

또한, 스크류(11)가 외부로 노출된 구조이고 TV수상기(200)에 의한 정전기로 인하여 스크류(11)에 도포된 구리스 등의 오일에 먼지 등의 이물질로 인한 오염속도가 빠르게 진행되어 승강작동이 원활하지 않고 청소주기를 단축시키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crew 11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e contamination speed due to foreign matter such as dust rapidly advances to the oil such as grease coated on the screw 11 due to static electricity by the TV receiver 200,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leaning cycle is shortened.

한국특허등록 제10-0521359호Korea Patent No. 10-0521359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디스플레이의 높낮이 위치변경에도 불구하고 일정한 높이에서 소리를 출력할 수 있도록 위치 조절장치의 하우징에 스피커가 탑재되도록 하고, 또한 스피커의 사용여부에 따라 하우징에 출몰되도록 하면서 스피커가 출입되는 하우징의 설치공이 항상 폐쇄되도록 하여 외부로부터 먼지 유입에 따른 하우징 내부 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이동형 스피커가 구비된 디스플레이 위치 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peaker in a housing of a position adjusting device for outputting sound at a predetermined height despite the change of the height of the display,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isplay position adjusting device having a portable speaker capable of preventing the interior of the housing from being contaminated due to inflow of dust from the outside by allowing the mounting hole of the housing in and out of the housing to be always closed.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은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에 수직으로 세워진 수직지지대와, 상기 수직지지대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승강유니트와, 상기 승강유니트를 승강시키는 승강수단과, 상기 승강유니트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선단에 디스플레이가 결합되는 메인링크와, 상기 메인링크를 회동시켜서 상기 디스플레이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수단과, 전면에 상기 메인링크가 돌출되어 슬라이딩하는 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승강수단 및 각도조절수단을 수용하며 하단이 상기 받침대에 고정되는 하우징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위치 조절장치에 있어서,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levator system including a pedestal, a vertical support vertically installed on the pedestal, a lift unit movably coupled to the vertical support, elevating means for lifting and lowering the elevation unit, An angle adjustment means for adjusting the angle of the display by pivoting the main link, and a slot for protruding and sliding the main link is formed on a front surface of the main link, And a housing having a lower end receiving the adjusting means and fixed to the pedestal,

상기 하우징의 좌우 양측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로부터의 소리신호를 발산하는 스피커가 마련되며,A speaker for emitting a sound signal from the display is provid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housing,

상기 하우징에 상기 스피커가 출몰가능하게 마련되는 설치공이 형성되고,An installation hole is formed in the housing so that the speaker can be projected and retracted,

상기 스피커를 직진 왕복이동시켜서 상기 하우징 내부로 진입시키거나 외부로 돌출시키는 스피커출몰수단;을 구비하며,And a speaker protrusion means for reciprocating the speaker in a straight direction to enter the inside of the housing or to protrude to the outside,

또한, 본 발명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출몰수단은, 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apparatus, the speaker appearance /

상기 설치공을 통하여 상기 하우징의 내측 및 외측으로 출입되며, 상기 스피커가 장착되고 가이드홈이 형성되며 제2랙기어가 마련된 슬라이딩부재와;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며 상기 가이드홈에 슬라이딩되는 가이드돌기와, 상기 제2랙기어와 맞물리는 제2피니언기어가 마련된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장착되어 상기 제2피니언기어를 회전시키는 제4모터;를 구비하고,A sliding member which is inserted into and out of the housing through the installation hole, in which the speaker is mounted and the guide groove is formed, and a second rack gear is provided; A fixing plate having a guide protrusion fixed to the housing and slidable in the guide groove, and a second pinion gear engaged with the second rack gear; And a fourth motor mounted on the fixed plate and rotating the second pinion gear,

상기 슬라이딩부재는 상기 하우징 방향으로 개방되고 상기 제2랙기어 및 상기 가이드홈이 마련되는 가이드설치홈과, 상기 가이드설치홈의 측면에 형성되고 스피커가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결합되는 스피커설치홈)과,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상면과 하면에 장착되어 상기 가이드설치홈과 상기 스피커설치홈의 상면과 하면을 막아주는 덮개로 이루어지며,Wherein the sliding member has a guide mounting groove which is opened in the housing direction and in which the second rack gear and the guide groove are formed, and a speaker mounting groove formed in a side surface of the guide mounting groove and in which the speaker is slidably coup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cover mount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sliding member to close the guide mounting groove and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speaker mounting groove,

상기 제4모터의 구동으로 상기 슬라이딩부재가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었을 때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전면, 후면, 측면 및 상기 덮개에 의해 상기 설치공이 폐쇄되고,The installation hole is closed by the front surface, the rear surface, the side surface, and the cover of the sliding member when the sliding member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by driving the fourth motor,

상기 슬라이딩부재가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진입되었을 때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측면이 상기 설치공을 폐쇄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은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에 수직으로 세워진 수직지지대와, 상기 수직지지대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승강유니트와, 상기 승강유니트를 승강시키는 승강수단과, 상기 승강유니트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선단에 디스플레이가 결합되는 메인링크와, 상기 메인링크를 회동시켜서 상기 디스플레이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수단과, 전면에 상기 메인링크가 돌출되어 슬라이딩하는 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승강수단 및 각도조절수단을 수용하며 하단이 상기 받침대에 고정되는 하우징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위치 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좌우 양측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로부터의 소리신호를 발산하는 스피커가 마련되며,
상기 하우징에 상기 스피커가 출몰가능하게 마련되는 설치공이 형성되고,
And a side surface of the sliding member closes the mounting hole when the sliding member enters the inside of the housing.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levating apparatus including a pedestal, a vertical support vertically installed on the pedestal, a vertical lifting unit movably coupled to the vertical support, a lifting unit lifting and lowering the lifting unit, A main link rotatably coupled to the display and coupled to the display at an end thereof; an angle adjusting means for adjusting an angle of the display by pivoting the main link; a slot formed on the front surface to slide the main link, And a housing which receives the angle adjusting means and whose lower end is fixed to the pedestal,
A speaker for emitting a sound signal from the display is provid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housing,
An installation hole is formed in the housing so that the speaker can be projected and retracted,

상기 스피커를 직진 왕복이동시켜서 상기 하우징 내부로 진입시키거나 외부로 돌출시키는 스피커출몰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스피커출몰수단은,
And a speaker protrusion means for reciprocating the speaker in a straight direction to enter the inside of the housing or to protrude to the outside,
The speaker appearance /

상기 설치공의 내측 하우징에 고정되며, 제6피니언기어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가이드돌기가 구비된 고정플레이트와; 일측이 개방된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 가이드설치홈에 상기 가이드돌기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홈과, 상기 제6피니언기어가 치합되는 제6랙기어가 마련된 슬라이딩부재와;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탑재되어 상기 제6피니언기어를 회전구동시키는 제6모터;를 구비하며,A stationary plate fixed to an inner housing of the installation hole, the stationary plate being rotatably engaged with a sixth pinion gear and having a guide projection; A sliding member having a guide groove in which the guide protrusion is slidably engaged with the guide mounting groove formed in a " C "shape with one side open, and a sixth rack gear to which the sixth pinion gear is engaged; And a sixth motor mounted on the fixed plate for rotationally driving the sixth pinion gear,

상기 슬라이딩부재에 상기 스피커가 장착되는 스피커설치공을 상기 가이드설치홈과 연통되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speaker mounting hole in which the speaker is mounted on the sliding member is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guide mounting groove.

또한, 디스플레이의 온(on), 오프(off)를 감지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의 신호에 의해 상기 제4모터 또는 제6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하되,In addition, a sensor unit for sensing on and off of a display;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fourth motor or the sixth motor by a signal of the sensor unit; Further comprising: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의 신호에 의해 디스플레이의 전원이 켜졌을 때 상기 제4모터 또는 제6모터를 제어하여 스피커를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시키고, 상기 센서부의 신호에 의해 디스플레이의 전원이 꺼졌을 때 상기 제4모터 또는 제6모터를 제어하여 스피커를 하우징의 내부로 진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troller controls the fourth motor or the sixth motor to project the speaker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when the power of the display is turned on by the signal of the sensor unit and when the power of the display is turned off by the signal of the sensor unit And the fourth motor or the sixth motor is controlled so that the speaker enters the inside of the housing.

첫째, 스피커(S)를 하우징(100)에 장착함으로써, 디스플레이(T)의 높낮이 위치변경에도 불구하고 일정한 높이에서 소리를 출력할 수 있도록 하여 종래와 같이 TV수상기의 높이에 따라 스피커의 소리크기 조절도 함께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한다.First, by mounting the speaker S to the housing 100, it is possible to output a sound at a predetermined height despite the change of the height of the display T, thereby controlling the sound volume of the speaker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TV receiver It also eliminates the hassle of having to work together.

또한, 스피커출몰수단에 의해 스피커를 하우징의 내부에 진입시키거나 외부로 돌출시킴으로써, 즉 스피커의 사용여부에 따라 하우징에 출입되도록 하면서 스피커가 출입되는 하우징의 설치공이 항상 폐쇄되도록 하여 외부로부터 먼지 유입에 따른 하우징 내부 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by allowing the speaker to come into or out of the housing by means of the speaker appearance and dismounting means, that is, depending on whether the speaker is used or not, the installation hole of the housing in which the speaker is put in and out is always closed, Thereby preventing contamination of the inside of the housing.

둘째, 상기 제어부에 의해 디스플레이의 전원상태에 따라 스피커를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시키거나 내부로 진입시킴으로써, 스피커의 개폐를 수월하게 할 수 있게 한다.Second, the control unit allows the loudspeaker to protrude outside or to enter the interior of the housing according to the power state of the display, thereby facilitating opening and closing of the loudspeak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하우징을 제외한 구성을 나타낸 일측 및 타측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하우징을 제외한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각도조절수단의 첫 번째 실시예에 따른 각도조절수단, 보조브라켓트 및 밸런싱부재를 나타낸 일측 및 타측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각도조절수단의 첫 번째 실시예에 따른 각도조절수단, 보조브라켓트 및 밸런싱부재를 나타낸 측면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각도조절수단의 두 번째 실시예에 따른 각도조절수단, 보조브라켓트 및 밸런싱부재를 나타낸 일측 및 타측 사시도.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브라켓트, 안내관의 구성을 나타낸 일측 및 타측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승강유니트 및 스크루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3은 도 10 및 도 11에서 지지롤러를 기준으로 접취한 평단면도.
도 14는 도 10 및 도 11에서 돌출부를 기준으로 접취한 평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스피커출몰수단의 첫 번째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에서 슬라이딩부재가 돌출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스피커출몰수단의 첫 번째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에 슬라이딩부재가 진입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스피커출몰수단의 첫 번째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일측 및 타측 사시도.
도 18 및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스피커출몰수단의 첫 번째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일측 및 타측 분해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스피커출몰수단의 첫 번째 실시예에 따른 작동과정을 나타낸 평 단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스피커출몰수단의 두 번째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에서 회전부재가 돌출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스피커출몰수단의 두 번째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에 회전부재가 진입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스피커출몰수단의 두 번째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스피커출몰수단의 두 번째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스피커출몰수단의 두 번째 실시예에 따른 작동과정을 나타낸 평 단면도.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 번째 방법에 의해 스피커출몰수단에 의해 슬라이딩부재가 돌출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 번째 방법에 의해 스피커출몰수단에 의해 슬라이딩부재가 진입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2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 번째 방법에 의한 스피커출몰수단에 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9 및 도 3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 번째 방법에 의한 스피커출몰수단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 번째 방법에 의한 스피커출몰수단의 작동과정을 나타낸 평 단면도.
도 3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 번째 방법에 의해 스피커출몰수단에 의해 회전부재가 돌출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3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 번째 방법에 의해 스피커출몰수단에 의해 회전부재가 진입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3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 번째 방법에 의한 스피커출몰수단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3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 번째 방법에 의한 스피커출몰수단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 번째 방법에 의한 스피커출몰수단의 작동과정을 나타낸 평 단면도.
도 37은 종래 디스플레이 승강장치를 나타낸 개념도.
도 38은 도 37의 주요 구동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39 및 도 40은 각도조정 상태를 설명하는 작동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and FIG. 3 are perspective views of one side and the other side, respectively, showing a configuration except for a housing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sid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except for a housing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S. 5 and 6 are perspective views of an angle adjusting means, an auxiliary bracket and a balancing memb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angle adjusting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ide view of an angle adjusting means, an auxiliary bracket and a balancing memb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angle adjusting means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and FIG. 9 are perspective views of one side and the other of the angle adjusting means, the auxiliary bracket and the balancing memb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angle adjusting mean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10 and FIG. 11 are a perspective view of one side and the other side showing the construction of an auxiliary bracket and a guide tub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mbined state of a lifting unit and a screw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13 is a plan sectional view taken on the basis of the supporting roller in Figs. 10 and 11. Fig.
Fig. 14 is a plan sectional view taken on the basis of protrusions in Figs. 10 and 11. Fig.
FIG. 1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liding member protruding from a housing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speaker appearance / dismounting means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liding member is introduced into a housing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speaker appearance / dismounting means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7 is a perspective view of one side and the other side showing a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speaker appearance and appearance means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18 and FIG. 19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of one side and the other side showing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speaker appearance and appearance mean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0 is a plan sectional view showing an operation proces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speaker appearance / disconnection means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otating member protruding from a housing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speaker appearance / dismounting means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rotary member is introduced into a housing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speaker appearance / dismounting means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speaker appearance and appearance means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speaker appearance-and-appearance means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5 is a plan sectional view showing an operation proces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speaker appearance / appearance means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liding member protruded by a speaker appearance / dismounting means according to a third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liding member is introduced by a speaker appearance and dismounting means according to a third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peaker appearance / dismounting means according to the third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9 and 30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showing a configuration of the speaker appearance / dismantlement means according to the third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1 is a plan sectional view showing an operation process of the speaker appearance-and-appearance means according to a third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otating member protruded by a speaker appearance / dismounting means according to a fourth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rotary member is introduced by a speaker appearance and dismantlement means according to a fourth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speaker appearance / dismounting means according to a fourth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speaker appearance-and-appearance means according to a fourth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36 is a plan sectional view showing an operation process of the speaker appearance-and-appearance means according to a fourth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37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conventional display platform; Fig.
FIG. 3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driving unit of FIG. 37; FIG.
Figs. 39 and 40 are operational views for explaining an angle adjustment state. Fig.

본 발명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위치 조절장치는 디스플레이의 높낮이 위치변경에도 불구하고 일정한 높이에서 소리를 출력할 수 있도록 위치 조절장치의 하우징에 스피커가 탑재되도록 하고, 또한 스피커의 사용여부에 따라 하우징에 출몰되도록 하면서 스피커가 출입되는 하우징의 설치공이 항상 폐쇄되도록 하여 외부로부터 먼지 유입에 따른 하우징 내부 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The display position adjus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such that a speaker is mounted on the housing of the position adjusting device so that sound can be outputted at a constant height despite the change of the height of the display, The installation hole of the housing in and out of the speaker is always closed so that contamination of the inside of the housing due to the inflow of dust from the outside can be prevented.

이하에서는 먼저 디스플레이 위치 조절장치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고, 후부에서 스피커 작동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display position adjusting device will be described first, and the speaker operation configuration at the rear will be described.

도 1 내지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위치 조절장치는, 받침대(110), 메인브라켓트(150), 리드스크루(200), 제1모터(210), 안내관(220), 승강유니트(300), 보조브라켓트(400), 메인링크(430), 각도조절수단(500)(600), 밸런싱부재(700), 하우징(100), 제1안내롤러(420), 제2안내롤러(310), 차폐수단(도시되지 않음) 및 스피커출몰수단(800,900,80,90)을 포함한다.1 to 36, a display position adjus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edestal 110, a main bracket 150, a lead screw 200, a first motor 210, The first link member 220, the lifting unit 300, the auxiliary bracket 400, the main link 430, the angle adjusting unit 500, the balancing member 700, the housing 100, the first guide roller 420, A second guide roller 310, a shielding means (not shown), and a speaker protrusion means 800, 900, 80, 90.

상기 받침대(1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면에 지지되어 본 발명을 지면 등에 세울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후술하는 상기 하우징(100)의 하단과 결합된다.The pedestal 110 is supported on the floor as shown in FIG. 1 to support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ground, and is coupled with the lower end of the housing 1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 메인브라켓트(15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받침대(110)의 상부에 고정 장착된다.The main bracket 150 is fixedly mount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pedestal 110 as shown in FIGS.

즉, 상기 메인브라켓트(150)는 다른 구성요소를 결합하기 위한 구조물 역할을 하기에 상기 받침대(110)의 상면에 고정 장착된다.That is, the main bracket 150 serves as a structure for coupling other components, and is fixedly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edestal 110.

상기 리드스크루(200)는 도 2 내지 도 4,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브라켓트(150)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The lead screw 200 is rotatably mounted on the main bracket 150 as shown in FIGS. 2 to 4, 10 and 11.

그리고 상기 리드스크루(200)의 상단은 후술하는 상기 안내관(220)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The upper end of the lead screw 200 is rotatably mount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guide pipe 220 to be described later.

이러한 상기 리드스크루(200)는 회전에 의해 상기 승강유니트(300)가 승강 운동하게 한다.The lead screw 200 causes the lifting unit 300 to move up and down by rotation.

상기 제1모터(210)는 상기 메인브라켓트(150)에 장착되어 상기 리드스크루(200)를 회전시킨다.The first motor 210 is mounted on the main bracket 150 to rotate the lead screw 200.

그리고 상기 안내관(220)은 청구항 1 기재의 수직지지대의 기능을 하며, 상기 승강유니트(300)의 승강운동을 안내하는 것으로, 도 내지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상기 리드스크루(200)가 삽입된다.The guide pipe 220 functions as a vertical support unit as described in claim 1 and guides the lifting and lowering movement of the lifting unit 300. The guide pipe 220 is formed in a hollow shape as shown in FIGS. The lead screw 200 is inserted.

그리고 상기 안내관(220)의 좌우 양측으로는 도 10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길게 슬라이드공(221)이 형성된다.On both right and left sides of the guide pipe 220, a slide hole 221 is formed to be lo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s shown in FIGS.

상기 슬라이드공(221)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하는 상기 승강유니트(300)의 돌출부(301)가 삽입되어 슬라이딩하는 부분이다.The slide hole 221 is a portion where a projection 301 of the lifting unit 300 described later is inserted and slid as shown in FIG.

이러한 상기 슬라이드공(221)을 통해 상기 승강유니트(300)와 상기 보조브라켓트(400)가 연결되어 상기 승강유니트(300)와 함께 상기 보조브라켓트(400)가 승강운동을 할 수 있게 한다.The lifting unit 300 and the auxiliary bracket 40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slide hole 221 so that the auxiliary bracket 400 can move up and down together with the lifting unit 300.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공(221)의 외주연에는 도 10, 도 11 및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플랜지(222)가 형성된다.10, 11, 13 and 14, a flange 222 protruding in the outward direction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lide hole 221.

이렇게 형성된 상기 플랜지(222)에는 후술하는 지지롤러(410)가 장착된다.The support roller 41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mounted on the flange 222 thus formed.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 승강유니트(300)는 도 1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드스크루(200)의 나사산에 장착되어 상기 안내관(220)의 내부에 삽입된다. The elevating unit 300 is mounted on the thread of the lead screw 200 and inserted into the guide pipe 220 as shown in FIG.

이러한 상기 승강유니트(300)는 상기 리드스크루(200)의 회전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승강운동을 한다.The elevating unit 300 moves up and down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the rotation of the lead screw 200.

그리고 상기 승강유니트(300)의 좌우 양측으로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드공(221)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돌출부(301)가 형성된다.As shown in FIG. 12, projections 301 that slide along the slide holes 221 are form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lifting unit 300.

상기 돌출부(301)는 상기 슬라이드공(221)을 통해 상기 안내관(220)의 외부로 돌출되어 후술하는 상기 보조브라켓트(400)와 상기 승강유니트(300)를 상호 결합하여, 상기 승강유니트(300)의 승강운동시, 상기 보조브라켓트(400)도 함께 승강운동을 하게 한다.The protrusion 301 is protruded to the outside of the guide pipe 220 through the slide hole 221 and couples the auxiliary bracket 400 to be described later with the elevation unit 300 to connect the elevation unit 300 The auxiliary bracket 400 also moves up and down together.

즉, 상기 돌출부(301)는 상기 안내관(220) 내부의 상기 승강유니트(300)가 상기 리드스크루(200)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승강운동을 할 때, 후술하는 상기 보조브라켓트(400)도 함께 승강 운동하게 상호 결합시키다.That is, when the elevating unit 300 in the guide pipe 220 moves up and down by the lead screw 200, the protruding portion 301 also supports the auxiliary bracket 4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Join together to lift and lower.

이와 같이 상기 승강유니트(300)가 상기 안내관(220) 내부에서 상기 리드스크루(200)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승강운동을 하면서 상기 보조브라켓트(400)을 승강 운동시킴으로써, 상기 안내관(220) 내부에 상기 리드스크루(200)에 장착된 상기 승강유니트(300) 등에 도포 된 구리스 등의 오일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하면서 먼지 등이 쌓이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As the elevating unit 300 moves upward and downward by the lead screw 200 in the guide pipe 220 to move the auxiliary bracket 400 up and down, The oil such as grease applied to the elevation unit 300 mounted on the lead screw 200 is prevented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and accumulation of dust or the like is prevented.

상기 보조브라켓트(400)는 상기 승강유니트(300)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승강 운동을 하면서 함께 승강운동을 하는 구성요소들이 결합되는 부분이다.The auxiliary bracket 400 is a portion to which the components moving up and down together with the up-and-down movement by the up-and-down unit 300 are coupled.

이러한 상기 보조브라켓트(40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드공(221)을 통해 상기 안내관(220)의 내부에서 외부로 돌출된 상기 승강유니트(300)의 상기 돌출부(301)와 결합되어 상기 승강유니트(300)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승강 운동한다.2 to 4, the auxiliary bracket 400 includes the protrusion 301 of the lifting unit 300 protruding from the inside of the guide pipe 220 through the slide hole 221 And is lifted and lowered by the lifting unit 300 in the vertical direction.

이러한 상기 보조브라켓트(400)는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내관(220)의 좌우 양측에 형성된 상기 슬라이드공(221)을 통해 상기 승강유니트(300)의 돌출부(301)와 결합되게 상기 안내관(220)의 좌우 양측에 배치된다.13 and 14, the auxiliary bracket 400 is coupled to the protrusion 301 of the lifting unit 300 through the slide hole 221 formed on both sides of the guide tube 220 And is dispos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guide pipe 220 so as to be opposed to each other.

그리고 상기 보조브라켓트(400)에는 도 2, 도 3,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출부(301)의 상하부에 이격 배치되어 전술한 상기 슬라이드공(221)의 상기 플랜지(222)에 접하여 슬라이딩되면서 회전하는 지지롤러(410)가 장착된다.As shown in FIGS. 2, 3, 13, and 14, the auxiliary bracket 400 is spaced apart from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protruding portion 301, and is inserted into the flange 222 of the slide hole 221 And a support roller 410 which is slid in contact with and rotates is mounted.

이러한 상기 지지롤러(410)는 제1롤러부(411)와 제2롤러부(412)가 일체로 형성된다.The support roller 410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first roller portion 411 and the second roller portion 412.

상기 제1롤러부(411)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랜지(222)의 끝단에 전면이 접하도록 배치된다.The first roller portion 411 is disposed so that its front surface is in contact with the end of the flange 222 as shown in FIG.

이러한 상기 제1롤러부(411)는 상기 보조브라켓트(400)의 승강운동 시, 상기 안내관(220)에 접하여 보조브라켓트(400)가 좌우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한다.The first roller unit 411 prevents the auxiliary bracket 400 from moving left and right when the auxiliary bracket 400 is lifted and lowered in contact with the guide pipe 220.

그리고 상기 제2롤러부(412)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롤러부(411)의 전면에 단턱지게 돌출형성되어 상기 플랜지(222)의 내면에 접하여 회전한다.13, the second roller 412 protrudes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roller 411 and rotates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flange 222.

즉, 상기 제2롤러부(412)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롤러부(411)의 전면에 단턱지게 돌출형성되어 상기 플랜지(222)에 삽입되어 상기 플랜지(222)의 내면에 외주연이 접하여 회전한다.13, the second roller portion 412 is protrudingly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roller portion 411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flange 222, and is inserted into the inner surface of the flange 222 The outer periphery is in contact with and rotated.

이러한 상기 제2롤러부(412)는 상기 보조브라켓트(400)의 승강운동시, 상기 플랜지(222)에 삽입되어 상기 프랜지의 내면에 외주연이 접하여 회전면서 상기 보조브라켓트(400)가 상기 전후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보다 잘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되게 한다.The second roller portion 412 is inserted into the flange 222 when the auxiliary bracket 400 is lifted and lowered, so that the outer peripheral edge of the second roller portion 412 contacts the inner surface of the flange, So as to slide in the vertical direction more effectively.

이와 같이 상기 지지롤러(410)가 상기 제1롤러부(411)와 상기 제2롤러부(412)가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보조브라켓트(400)가 상기 승강유니트(300)에 의해 상기 안내관(220)을 따라 승강운동시, 상기 제1롤러부(411)는 상기 보조브라켓트(400) 좌우로 유동된는 것을 방지하고, 제2롤러부(412)는 상기 보조브라켓트(400)가 전후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보다 잘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되게 한다.The support roller 410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first roller portion 411 and the second roller portion 412 so that the auxiliary bracket 400 is supported by the lifting unit 300, The first roller portion 411 prevents the first roller portion 411 from being moved to the left and right of the auxiliary bracket 400 and the second roller portion 412 prevents the auxiliary bracket 400 from moving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So as to slide in the up-and-down direction more effectively.

그리고 상기 보조브라켓트(400)의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에는 전방으로 돌출된 지지대(401)가 형성된다.As shown in FIGS. 2 to 4 of the auxiliary bracket 400, the support bracket 401 protruding forward is formed at the front.

이러한 상기 지지대(401)에는 후술하는 상기 메인링크(430)가 결합되어 상기 메인링크(430)가 시소운동을 하도록 지지한다.The main link 430 is coupled to the support base 401 to support the main link 430 in a seesaw motion.

상기 메인링크(430)는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대(401)에 제1힌지(431)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시소 운동을 한다.1 to 9, the main link 43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support 401 by a first hinge 431 to perform seesaw motion.

그리고 상기 메인링크(430)의 전단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T)가 장착된다.A display T is mounted on the front end of the main link 430 as shown in FIG.

즉, 상기 메인링크(430)는 상기 지지대(401)에 시소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어 전방에 장착된 상기 디스플레이(T)를 후술하는 상기 각도조절수단(500)(600)에 의해 시청 각도를 조절하게 된다.That is, the main link 430 is coupled to the support table 401 so as to be seesawed to adjust the viewing angle of the display T mounted on the front by the angle adjusting means 500 and 600 .

상기 각도조절수단(500)(600)은 도 2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브라켓트(400)에 장착되어 상기 메인링크(430)를 상기 제1힌지(431)를 중심으로 시소운동시킨다.2 to 9, the angle adjusting means 500 and 600 may be mounted on the auxiliary bracket 400 to seesaw the main link 430 about the first hinge 431 .

이러한 상기 각도조절수단(500)(600)은 두 가지 실시예로 이루어진다.
The angle adjusting means 500 and 600 include two embodiments.

첫 번째, 상기 각도조절수단(500)은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510), 웜기어(520), 웜(530), 제2모터(540)를 포함한다.First, the angle adjusting means 500 includes a rotating shaft 510, a worm gear 520, a worm 530, and a second motor 540 as shown in FIGS.

상기 회전축(510)은 상기 제1힌지(431)와 동일한 중심선상에서 일단은 상기 메인링크(430)에 고정장착되며, 타단은 상기 보조브라켓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One end of the rotation shaft 510 is fixedly mounted on the main link 430 on the same center line as the first hinge 431 and the other end is rotatably mounted on the auxiliary bracket.

상기 회전축(510)은 상기 제1힌지(431)를 중심으로 상기 메인링크(430)를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rotation shaft 510 serves to rotate the main link 430 around the first hinge 431.

그리고 상기 웜기어(520)는 상기 회전축(510)의 타단, 즉 상기 메인링크(430)의 반대편에 장착된다.The worm gear 520 is mounted on the opposite end of the rotation shaft 510, that is, on the opposite side of the main link 430.

그리고 상기 웜(530)은 상기 웜기어(520)와 맞물리도록 상기 보조브라켓트(400)에 장착된단.The worm 530 is mounted on the auxiliary bracket 400 so as to be engaged with the worm gear 520.

그리고 상기 제2모터(540)는 상기 보조브라켓트(400)에 장착되어 상기 웜(530)을 회전시킨다.The second motor 540 is mounted on the auxiliary bracket 400 to rotate the worm 530.

이러한 상기 제2모터(540)의 회전에 의해 상기 회전축(510)을 회전시켜, 상기 메인링크(430)가 상기 제1힌지(431)를 중심으로 시소운동하도록 하게 하여 상기 메인링크(430)의 전단에 장착된 디스플레이(T)의 시청각도를 조절한다.The rotation of the second motor 540 causes the rotation shaft 510 to rotate so that the main link 430 performs a seesaw movement about the first hinge 431, Adjusts the viewing angle of the display (T) mounted on the front end.

이와 같이 상기 각도조절수단(500)이 상기 회전축(510), 상기 웜기어(520), 상기 웜(530) 및 상기 제2모터(540)를 포함함으로써, 디스플레이(T)의 시청각도 손쉽게 조절할 수 있다.The viewing angle of the display T can be easily adjusted by including the rotation shaft 510, the worm gear 520, the worm 530, and the second motor 540 in this way .

특히, 메인링크(430)의 제1힌지(431)에 회전력을 부여하여서 작은 회전각도 조절만으로도 디스플레이(T)의 각도 위치를 신속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하며, 메인링크(430)의 회전중심인 제1힌지(431)를 중심으로 디스플레이(T)와 밸런싱부재(700)에 의한 무게균형을 유지하고 또한 제1힌지(431)에 회전축(510)을 연결하여 회전력을 부여함으로써, 제2모터(540)의 구동부하를 경감하고 정숙한 각도조절을 가능하도록 한다.
Particularly, it is possible to quickly control the angular position of the display T by applying a rotational force to the first hinge 431 of the main link 430, The weight balance by the display T and the balancing member 700 is maintained with respect to the first hinge 431 and the rotating shaft 510 is connected to the first hinge 431 to impart rotational force to the second motor 540 ) To reduce the driving load and enable a quiet angle adjustment.

한편, 두 번째, 상기 각도조절수단(600)은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랙기어(610), 제1피니언기어(620) 및 제3모터(630)를 포함한다.Secondly, the angle adjusting means 600 includes a first rack gear 610, a first pinion gear 620 and a third motor 630 as shown in FIGS. 8 and 9.

상기 제1랙기어(섹터기어; 61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메인링크(430)의 후방에 장착된다.The first rack gear (sector gear) 610 is formed in a fan shape as shown in FIG. 9 and mounted on the rear side of the main link 430.

그리고 상기 제1피니언기어(620)는 상기 제1랙기어(610)와 맞물리도록 상기 보조브라켓트(400)에 장착된다.The first pinion gear 620 is mounted on the auxiliary bracket 400 so as to be engaged with the first rack gear 610.

그리고 상기 제3모터(630)는 상기 보조브라켓트(400)에 장착되어 상기 제1피니언기어(620)를 회전시킨다.The third motor 630 is mounted on the auxiliary bracket 400 to rotate the first pinion gear 620.

이러한 상기 제3모터(630)가 회전하면, 상기 제1피니언기어(620)와 상기 제1랙기어(610)에 의해 상기 메인링크(430)가 상기 제1힌지(431)를 중심으로 시소운동하면서 상기 메인링크(430)의 전단에 장착된 디스플레이(T)의 시청각도를 조절하게 된다.When the third motor 630 rotates, the main link 430 rotates about the first hinge 431 by the first pinion gear 620 and the first rack gear 610, And adjusts the viewing angle of the display T mounted on the front end of the main link 430.

이와 같이 상기 각도조절수단(600)이 상기 제1랙기어(610), 상기 제1피니언기어(620) 및 상기 제3모터(630)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제3모터(630)를 회전시켜 상기 디스플레이(T)의 시청각도를 손쉽게 조절할 수 있다.
The angle adjusting means 600 includes the first rack gear 610, the first pinion gear 620 and the third motor 630 to rotate the third motor 630, The viewing angle of the display T can be easily adjusted.

상기 밸런싱부재(700)는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링크(430)의 후단에 장착되어 상기 디스플레이(T)의 중량에 대하여 밸런스를 맞추어 균형을 잡아준다.As shown in FIGS. 2 and 4, the balancing member 700 is mounted at the rear end of the main link 430 to balance and balance the weight of the display T.

즉, 상기 밸런싱부재(700)는 상기 메인링크(430)의 전단에 장착된 상기 디스플레이(T)의 무게의 의해 상기 메인링크(430)가 상기 제1힌지(431)를 중심으로 전방으로 쏠리면서 하중이 전방으로 편심되지 않도록 균형을 잡아준다.That is, in the balancing member 700, the main link 430 is pivoted forward about the first hinge 431 by the weight of the display T mounted on the front end of the main link 430 Balance the load so that it is not eccentric to the front.

이와 같이 상기 밸런싱부재(700)를 장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T)의 무게에 의해 전방으로 무게중심이 쏠리지 않도록 균형을 잡아 줌으로써, 안정적으로 상기 각도조절수단(500)(600)에 의해 각도를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디스플레이(T)의 하중에 의해 전방으로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By mounting the balancing member 700 in such a manner that the weight T of the display T is balanced so that the center of gravity does not shift forward due to the weight of the display T, it is possible to stably adjust the angle by the angle adjusting means 500 And can be prevented from falling forward due to the load of the display (T).

이러한 상기 밸런싱부재(700)는 도 2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량부재(710), 가이드봉(720), 연결로프(730) 및 가이드롤러(740)를 포함한다.The balancing member 700 includes a weight member 710, a guide rod 720, a connecting rope 730, and a guide roller 740 as shown in FIGS.

상기 중량부재(710)는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가이드공(711)이 형성되어 도 2 및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브라켓트(400)의 후방 하부에 배치된다.The weight member 710 is formed with a guide hole 711 penetrat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disposed at the rear lower portion of the auxiliary bracket 400 as shown in FIGS.

이러한 상기 중량부재(710)는 상기 디스플레이(T) 중량에 대응되는 무게로 이루어진다.The weight member 710 has a weight corresponding to the display T weight.

그리고 상기 가이드공(711)은 후술하는 상기 가이드봉(720)이 삽입되어 상기 중량부재(710)가 상기 승강유니트(300)에 의해 승강운동을 할 때, 상기 중량부재(710)를 안내한다.The guide hole 711 guides the weight member 710 when the weight member 710 is lifted and lowered by the lifting unit 300 by inserting the guide rod 720 to be described later.

상기 가이드봉(720)은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부는 상기 받침대(110)에 장착되고, 상단부는 상기 하우징(100)에 장착된다.2 and 4, the lower end of the guide rod 720 is mounted on the pedestal 110, and the upper end of the guide rod 720 is mounted on the housing 100 as shown in FIGS.

이러한 상기 가이드봉(720)은 상기 가이드공(711)을 통해 상기 중량부재(710)가 삽입되어 상기 승강유니트(300)의 승강 운동시, 상기 중량부재(710)의 승강운동을 안내한다.The weight member 710 is inserted through the guide hole 711 to guide the lifting and lowering movement of the weight member 710 when the lifting unit 300 is lifted or lowered.

그리고 상기 연결로프(730)는 도 2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상기 메인링크(430)의 후단에 장착되고, 타단은 상기 중량부재(710)의 상부에 장착된다.2 to 9, one end of the connecting rope 730 is mounted to the rear end of the main link 430, and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rope 730 is moun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weight member 710.

즉, 상기 연결로프(730)는 상기 중량부재(710)와 상기 메인링크(430)의 후단을 연결해 주는 역할을 한다.That is, the connecting rope 730 connects the weight member 710 and the rear end of the main link 430.

또한, 상기 연결로프(7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각도조절수단(500)(600)에 의해 상기 메인링크(430)의 시소운동 시, 상기 메인링크(430)의 후단이 전후방향으로 이동하여도 상기 중량부재(710)가 전후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게 한다.The rear end of the main link 430 moves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when the main link 430 is seated by the angle adjusting means 500 and 600 as described above, So that the weight member 710 does not move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또한, 상기 중량부재(710)를 상기 메인브라켓트(150)의 하부에 배치되게 하여 전체적인 부피를 감소시킨다.Further, the weight member 710 is disposed below the main bracket 150 to reduce the overall volume.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량부재(710)를 상기 메인링크(430)의 후단에 직접결합하게 되면 전후방향으로 폭이 증가 되지만, 상기 중량부재(710)를 상기 메인브라켓트(150)의 후단에 배치되게 상기 연결로프(730)로 연결하여 전후방향의 폭을 감소시킬 수 있다. 6, when the weight member 710 is directly coupled to the rear end of the main link 430, the weight member 710 may be extend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However, when the weight member 710 is coupled to the main bracket 150, The connection rope 730 may be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connecting rope 730 to reduce the width in the front-rear direction.

상기 가이드롤러(740)는 도 2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브라켓트(400)에 장착되어 상기 연결로프(730)를 가이드 한다.The guide roller 740 is mounted on the auxiliary bracket 400 to guide the connection rope 730 as shown in FIGS.

즉, 상기 가이드롤러(740)는 상기 연결로프(730)를 안내하여 상기 각도조절수단(500)(600)에 의해 상기 메인링크(430)의 각도조절에 따른 상기 중량부재(710)의 상하 이동시, 상기 중량부재(710)의 전후 유동을 방지한다.That is, the guide roller 740 guides the connecting rope 730 and moves up and down the weight member 710 according to the angle adjustment of the main link 430 by the angle adjusting means 500 (600) Thereby preventing the weight member 710 from flowing back and forth.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가이드롤러(740)는 상기 메인링크(430)가 수평에 위치할 때와 상기 메인링크(430)의 시소운동에 따라 전방으로 하향경사지게 위치할 때 상기 중량부재(710)가 상하방향 및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가이드롤러(740)가 상기 연결로프(730)를 가이드하여 상기 중량부재(710)가 상하방향으로 이동은 하지만,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해 준다.More specifically, when the main link 430 is positioned horizontally and when the guide roller 740 is inclined downward forward according to a seesaw motion of the main link 430, the weight member 710 The guide roller 740 guides the connecting rope 730 to move the weight member 710 in the vertical direction but prevents the weight member 710 from moving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

이와 같이 상기 연결로프(730)를 안내하는 가이드롤러(740)를 장착함으로써, 상기 메인링크(430)의 시소운동에 의한 상기 중량부재(710)의 전후 이동을 방지하여 중량부재(710)와 다른 구성요소 간의 충돌 및 간섭을 방지하여 전후 폭을 줄일 수 있고, 또한, 중량부재(710)가 상기 가이드봉(720)을 따라 승강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한다.By mounting the guide roller 740 guiding the connecting rope 730 as described above, the weight member 710 can be prevented from moving back and forth due to seesaw motion of the main link 430, The weight member 710 can smoothly move up and down along the guide rods 720. [0154] As shown in FIG.

그리고 상기 가이드봉(720)을 장착함으로써, 상기 승강유니트(300)에 의해 상기 중량부재(710)의 승강 운동시, 상기 중량부재(710)가 전후 좌우로 유동 되지 않고 상하방향으로 승강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한다.When the weight member 710 is lifted and lowered by the lifting unit 300 by the guide rod 720, the weight member 710 does not move back and forth, .

상기 하우징(100)은 전방에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링크(430)가 돌출되어 슬라이딩 되는 장공(101)이 형성되어 하단이 상기 받침대(110)에 고정된다.As shown in FIG. 1, the housing 100 has a slot 101 in which the main link 430 protrudes and slides, and a lower end of the slot 100 is fixed to the pedestal 110.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하우징(100)을 구성요소들을 감싸는 몸체판(120)과, 상기 몸체판(120)의 전방에 장착되어 상기 장공(101)이 형성된 전면판(130)과, 상부를 막아주는 덮개판(140)으로 이루어지게 하였다.The body 100 includes a body plate 120 surrounding the housing 100, a front plate 130 mounted on the front of the body plate 120 and having the long holes 101 formed therein, And a cover plate (140).

본 실시예에 달리 상기 하우징(100)을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몸체판(120)을 측판과 후면판으로 분리하여 상호 결합되게 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housing 100 may be integrally formed, and if necessary, the body plate 120 may be separated into a side plate and a back plate to be coupled to each other.

이러한 상기 하우징(100)은 내부에 배치되는 구성요소에 먼지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The housing 100 prevents dust or the like from being introduced into the components disposed therein.

그리고 이러한 상기 하우징(100)의 좌우 양측에는 설치공(121)이 형성되어 스피커(S)가 결합된 상기 스피커출몰수단(800,900,80,90)이 결합된다.Mounting holes 121 are form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housing 100 to connect the speaker appearance-dismantling means 800, 900, 80, 90, to which the speaker S is coupled.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later.

그리고 상기 전면판(130)에는 상기 차폐수단(도시되지 않음)이 상기 장공(101)에 장착되어 상기 장공(101)을 막아준다.In the front plate 130, the shielding means (not shown) is attached to the elongated hole 101 to block the elongated hole 101.

즉, 상기 차폐수단은 상기 장공(101)으로 돌출된 상기 메인링크(430)를 제외한 부분을 막아 상기 장공(101)을 통해 상기 하우징(100) 내부로 먼지 등이 유입되는 것을 막아준다.That is, the shielding means blocks a portion of the elongated hole 101 except for the main link 430, thereby preventing dust or the like from flowing into the housing 100 through the elongated hole 101.

한편, 도 2 내지 도 4, 도 10, 도 11 및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내관(220)의 외주연에는 전방과 후방에 상하방향으로 레일홈(223)이 형성된다.2 to 4, 10, 11, 13 and 14, rail grooves 223 are formed in the outer periphery of the guide pipe 220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front and rear sides.

이러한 상기 레일홈(223)은 후술하는 상기 제1안내롤러(420)의 회전을 안내한다.The rail groove 223 guides the rotation of the first guide roller 42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 제1안내롤러(420)는 도 2 내지 도 4, 도 10, 도 11 및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브라켓트(400)의 전방과 후방에 장착되어 상기 안내관(220)의 외주연에 형성된 상기 레일홈(223)을 따라 회전한다.2 to 4, 10, 11, 13 and 14, the first guide roller 420 is mounted on the front and rear of the auxiliary bracket 400, And is rotated along the rail groove 223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rail.

그리고 상기 제2안내롤러(31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유니트(300)에 장착되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내관(220)의 내주면을 따라 회전한다.12, the second guide roller 310 is mounted on the elevation unit 300 and rotates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uide tube 220 as shown in FIG.

즉, 상기 제1안내롤러(420)는 상기 승강유니트(300)의 승강운동에 의해 상기 레일홈(223)을 따라 회전하고, 상기 제2안내롤러(310)는 상기 안내관(220)의 내주연을 따라 회전한다.That is, the first guide roller 420 rotates along the rail groove 223 by the lifting and lowering movement of the lifting unit 300, and the second guide roller 310 rotates about the inside of the guide tube 220 Rotate along the periphery.

이와 같이 상기 제1안내롤러(420)와 상기 제2안내롤러(310)를 장착함으로써, 상기 승강유니트(300)가 유동 되지 않게 상기 안내관(220)의 내부에서 승강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게 할 뿐더러, 상기 안내관(220)을 상호 안팎에서 잡아줌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T)의 하중에 의해 일측으로 편심되는 것을 방지하여 보다 수월하게 승강 운동하도록 도와 준다.By mounting the first guide roller 420 and the second guide roller 310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smoothly move up and down the inside of the guide pipe 220 so that the lift unit 300 does not flow In addition, by holding the guide pipe 220 inside and outside, it is prevented from being eccentric to one side due to the load of the display T, thereby helping to move up and down more easily.

상기 스피커출몰수단(800,900,80,90)은 스피커(S)를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로 진입시키거나 외부로 돌출되도록 한다.The speaker protrusion means 800, 900, 80 and 90 allow the speaker S to enter the inside of the housing 100 or protrude to the outside.

즉, 상기 스피커출몰수단(800,900,80,90)은 디스플레이(T)의 사용시에는 스피커(S)를 상기 하우징(100)의 설치공(121)으로부터 돌출시키고,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로 진입시킬 수 있게 한다.That is, when the display T is used, the speaker protrusion means 800, 900, 80, 90 project the speaker S from the installation hole 121 of the housing 100, To be introduced into the interior of the vehicle.

이러한 상기 스피커출몰수단(800,900,80,90)도 네 가지 실시예로 이루어진다.
The speaker appearance-and-appearance means 800, 900, 80, and 90 also include four embodiments.

상기 스피커출몰수단(800)은 도 15 내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부재(810), 가이드홈(820), 가이드돌기(830), 제2랙기어(840), 제2피니언기어(850), 제4모터(860), 센서부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15 to 20, the speaker appearance and removal means 800 includes a sliding member 810, a guide groove 820, a guide protrusion 830, a second rack gear 840, a second pinion gear 850 ), A fourth motor 860, a sensor unit, and a control unit.

상기 스피커(S)가 설치된 슬라이딩부재(810)는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0)의 상기 설치공(121)을 통해 상기 하우징(100)의 내외측으로 슬라이딩된다.The sliding member 810 provided with the speaker S is slid to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housing 100 through the installation hole 121 of the housing 100 as shown in FIG.

이러한 상기 슬라이딩부재(810)는 도 17 내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설치홈(811), 스피커설치홈(812) 및 덮개(813)를 포함한다.The sliding member 810 includes a guide mounting groove 811, a speaker mounting groove 812, and a cover 813 as shown in FIGS. 17 to 19.

상기 가이드설치홈(811)은 상기 하우징(100)방향으로 개방되어 후술하는 상기 제2랙기어(840) 및 상기 가이드홈(820) 또는 상기 가이드돌기(830)가 장착된다.The guide mounting groove 811 is opened in the direction of the housing 100 and the second rack gear 840 and the guide groove 820 or the guide protrusion 830 to be described later are mounted.

상기 스피커설치홈(812)은 상기 가이드설치홈(811)의 측면에 형성되어 스피커(S)가 설치된다.The speaker installation groove 812 is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guide installation groove 811, and a speaker S is installed.

즉, 상기 스피커설치홈(812)은 스피커(S)가 전방 즉, 시청자를 향하도록 상기 가이드홈(820)의 측면에 형성된다.That is, the speaker installation groove 812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guide groove 820 so that the speaker S faces forward, that is, toward the viewer.

이와 같이 상기 가이드설치홈(811)에 상기 제2랙기어(840) 및 상기 가이드홈(820) 또는 상기 가이드돌기(830)가 설치되고, 상기 스피커설치홈(812)에 스피커(S)가 설치됨으로써, 상기 슬라이딩부재(810)의 외부로 상기 랙기어, 상기 가이드홈(820) 또는 상기 가이드돌기(830) 및 스피커(S)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먼지 등에 의한 오염을 방지한다.The second rack gear 840 and the guide groove 820 or the guide protrusion 830 are installed in the guide mounting groove 811 and the speaker S is installed in the speaker mounting groove 812 Thereby preventing the rack gear, the guide groove 820 or the guide protrusion 830 and the speaker S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from the outside of the sliding member 810 to prevent contamination by dust or the like.

이러한 상기 스피커설치홈(812)에는 스피커(S)가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결합된다.The speaker S is slidably coupled to the speaker mounting groove 812 in a vertical direction.

그리고 상기 스피커설치홈(812)의 전면에는 도 17 내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판(812a)을 설치하여 스피커(S)를 보호하게 할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보호막을 설치하지 않을 수도 있다.As shown in FIGS. 17 to 20, a protection plate 812a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peaker installation groove 812 to protect the speaker S, and if necessary, have.

이와 같이 상기 스피커설치홈(812)에 스피커(S)가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결합됨으로써, 상기 슬라이딩부재(810)에 결합된 스피커(S)가 임의로 전방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손쉽게 스피커(S)를 설치할 수 있다.The speaker S is slidably coupled to the speaker mounting groove 812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speaker S coupled to the sliding member 810 can be easily removed from the speaker S, Can be installed.

상기 덮개(813)는 상기 슬라이딩부재(810)의 상면과 하면에 장착되어 상기 가이드설치홈(811)과 상기 스피커설치홈(812)의 상면과 하면을 막아준다.The cover 813 is mount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sliding member 810 and blocks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guide mounting groove 811 and the speaker mounting groove 812.

즉, 상기 덮개(813)는 상기 가이드설치홈(811)과 상기 스피커설치홈(812)에 의해 개방된 상기 슬라이딩부재(810)의 상면과 하면을 막아 먼지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슬라이딩 결합된 스피커(S)가 하부로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That is, the lid 813 prevents dust and the like from entering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sliding member 810 opened by the guide installation groove 811 and the speaker installation groove 812, Thereby preventing the speaker S from falling downward.

이와 같이 형성된 상기 슬라이딩부재(810)는 도 15 및 도 2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0)의 외부로 돌출되었을 때 상기 슬라이딩부재(810)의 전면 후면 측면 및 상기 덮개(813)에 의해 상기 설치공(121)을 막아주고, 도 16 및 도 2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로 진입되었을 때 상기 슬라이딩부재(810)의 측면이 상기 설치공(121)을 막아주게 된다.15 and 20A, when the sliding member 810 is protruded out of the housing 100 as shown in FIG. 15 and FIG. 20A, the front surface of the front surface of the sliding member 810 and the cover 813, 16 and 20 (b), when the sliding member 810 enters the inside of the housing 100, the side surface of the sliding member 810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hole 121 ).

이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부재(810)가 상기 설치공(121)을 막아줌으로써, 상기 설치공(121)을 통해 먼지 등이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스피커(S)는 진출입할 수 있다.The sliding member 810 blocks the installation hole 121 to prevent dust or the like from flowing into the interior of the housing 100 through the installation hole 121, .

이러한 상기 슬라이딩부재(810)는 본 실시예와 달리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The sliding member 810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unlike the present embodiment.

상기 가이드홈(820)은 상기 슬라이딩부재(810)에 형성된다.The guide groove 820 is formed in the sliding member 810.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가이드홈(820)은 도 17 내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부재(810)의 상기 가이드설치홈(811)에 형성된다.More specifically, the guide groove 820 is formed in the guide mounting groove 811 of the sliding member 810 as shown in FIGS.

그리고 상기 가이드돌기(830)는 상기 가이드홈(820)에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홈(820)을 따라 슬라이딩되게 상기 하우징(100)에 고정된 고정플레이트(890)에 형성된다.The guide protrusion 830 is formed on a fixed plate 890 fixed to the housing 100 to be coupled to the guide groove 820 and slide along the guide groove 820.

이와 달리 상기 가이드홈(820)과 상기 가이드돌기(830)를 상호 반대되게 형성할 수도 있다.Alternatively, the guide groove 820 and the guide protrusion 830 may be formed opposite to each other.

상기 제2랙기어(840)는 상기 슬라이딩부재(810)에서 상기 하우징(100) 방향으로 장착된다.The second rack gear 840 is mounted in the direction of the housing 100 from the sliding member 810.

즉, 상기 제2랙기어(840)는 도 17 내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부재(810)의 상기 가이드설치홈(811)에서 상기 하우징(100) 방향으로 장착된다.17 to 19, the second rack gear 840 is mounted in the guide mounting groove 811 of the sliding member 810 in the direction of the housing 100.

그리고 상기 제2피니언기어(850)는 상기 하우징(100)에 고정된 고정플레이트(890)에 설치되어 상기 제2랙기어(840)와 맞물린다.The second pinion gear 850 is mounted on a fixed plate 890 fixed to the housing 100 and engaged with the second rack gear 840.

그리고 상기 제4모터(860)는 상기 고정플레이트(890)에 장착되어 상기 제2피니언기어(850)를 회전시킨다.The fourth motor 860 is mounted on the fixed plate 890 to rotate the second pinion gear 850.

이러한 상기 제4모터(860)가 회전하면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피니언기어(850)가 회전하면서 상기 제2랙기어(840)를 이동시켜 상기 슬라이딩부재(810)가 상기 가이드홈(820)과 상기 가이드돌기(830)에 가이드되어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설치홈을 통해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진입하거나 외부로 돌출된다.When the fourth motor 860 rotates, the second pinion gear 850 rotates to move the second rack gear 840 as shown in FIG. 20, The guide protrusion 830 and the guide protrusion 830 and slid into the housing 100 through the installation groove or protrude to the outside.

이와 같이 상기 스피커출몰수단(800)이 상기 슬라이딩부재(810), 상기 가이드홈(820), 상기 가이드돌기(830), 제2랙기어(840), 제2피니언기어(850), 제4모터(860)로 이루어짐으로써, 스피커(S)를 사용할 경우에는 상기 하우징(100)의 외부로 돌출시켜 소리를 들을 수 있게 하고,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로 진입시켜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한다.The speaker protruding means 800 may be attached to the sliding member 810, the guide groove 820, the guide protrusion 830, the second rack gear 840, the second pinion gear 850, The housing 100 can be made to protrude out of the housing 100 when the speaker S is used and to enter the inside of the housing 100 when not in use, .

상기 센서부는 디스플레이(T)의 온(on), 오프(off)를 감지한다.The sensor unit senses whether the display T is on or off.

그리고 상기 제어부(도시되지 않음)는 상기 센서부의 신호에 의해 상기 제3모터(630)를 제어한다.The controller (not shown) controls the third motor 630 by a signal from the sensor unit.

이러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의 신호에 의해 디스플레이(T)의 전원이 켜졌을 때 상기 제4모터(860)를 제어하여 스피커(S)를 상기 하우징(100)의 외부로 돌출시키고, 상기 센서부의 신호에 의해 디스플레이(T)의 전원이 꺼졌을 때 상기 제4모터(860)를 제어하여 스피커(S)를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로 진입시킨다.The controller controls the fourth motor 860 to project the speaker S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0 when the power of the display T is turned on by the signal of the sensor unit, Controls the fourth motor 860 so that the speaker S enters the inside of the housing 100 when the power of the display T is turned off.

이와 같이 상기 제어부에 의해 디스플레이(T)의 전원상태에 따라 스피커(S)를 상기 하우징(100)의 외부로 돌출시키거나, 내부로 진입시킴으로써,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된다.Thus, the controller S automatically performs the operation by projecting the speaker S out of the housing 100 or entering the inside of the housing 100 according to the power state of the display T by the controller.

그리고 필요에 따라서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부재(810)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센서(814)를 장착하여 스피커(S)가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로의 진입위치와, 상기 하우징(100)의 외부로의 돌출위치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18, a position sensing sensor 814 for sensing the position of the sliding member 810 may be mounted so that the position of the speaker S in the inside of the housing 100, So that the protruding position of the housing 100 to the outside can be sensed.

상기 스피커출몰수단(900)은 도 21 내지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부재(910), 종동기어(920), 주동기어(930), 제5모터(940), 센서부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The speaker appearance-and-appearance means 900 includes a rotary member 910, a driven gear 920, a driven gear 930, a fifth motor 940, a sensor unit, and a control unit, as shown in FIGS. .

상기 회전부재(910)는 상기 하우징(100)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설치공(121)을 개폐시키며 스피커(S)가 장착된다.The rotary member 910 is hinged to the housing 100 to open and close the installation hole 121, and a speaker S is mounted.

이러한 상기 회전부재(910)는 회전에 의해 스피커(S)를 도 21, 도 22 및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0)의 외부로 돌출시키거나,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로 진입시킨다.21, 22, and 25, the rotary member 910 is rotated to project the speaker S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0 or to enter the inside of the housing 100 .

이러한 상기 회전부재(910)는 도 22 내지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막음판(911), 제2막음판(912), 스피커설치홈(913) 및 힌지축(914)을 포함한다.The rotary member 910 includes a first closure plate 911, a second closure plate 912, a speaker installation groove 913, and a hinge shaft 914, as shown in FIGS.

상기 제1막음판(911)은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설치공(121)을 개폐시킨다.The first closing plate 911 opens and closes the mounting hole 121 as shown in FIG.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제1막음판(911)은 도 2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피커(S)가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진입되었을 때 상기 설치공(121)을 폐쇄시킨다.More specifically, the first blocking plate 911 closes the mounting hole 121 when the speaker S enters the inside of the housing 100 as shown in FIG. 25 (a).

그리고 상기 제2막음판(912)은 스피커(S)가 상기 하우징(100) 외부로 돌출될 때 상기 설치공(121)을 폐쇄시킨다.The second blocking plate 912 closes the mounting hole 121 when the speaker S protrudes from the housing 100.

즉, 상기 제2막음판(912)은 도 23 내지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막음판(911)과 일정한 각도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1막음판(911)이 상기 설치공(121)을 개방할 때 상기 제2막음판(912)은 상기 설치공(121)을 막아준다.23 to 25, the second barrier plate 912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barrier plate 911 by a predetermined angle, and the first barrier plate 911 is spaced apart from the installation hole 121 is opened, the second blocking plate 912 blocks the installation hole 121.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제2막음판(912)은 도 2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피커(S)가 상기 하우징(100)의 외부로 돌출되었을 때 상기 설치공(121)을 막아준다.More specifically, the second barrier plate 912 blocks the installation hole 121 when the speaker S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0 as shown in FIG. 25 (b).

이와 같이 상기 제1막음판(911)과 상기 제2막음판(912)이 스피커(S)가 상기 하우징(100)의 외부 또는 내부에 위치하는 것에 상관없이 상기 설치공(121)을 폐쇄해줌으로써, 먼지 등이 상기 설치공(121)을 통해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The first closing plate 911 and the second closing plate 912 close the mounting hole 121 irrespective of whether the speaker S is located outside or inside the housing 100 Dust, and the like from entering the interior of the housing 100 through the installation hole 121.

상기 스피커설치홈(913)은 상기 제2막음판(912)이 상기 설치공(121)을 폐쇄시켰을 때, 상기 제1막음판(911)에 전방으로 개방되게 형성되어 스피커(S)가 장착된다.The speaker mounting groove 913 is formed to open forward to the first closing plate 911 when the second closing plate 912 closes the mounting hole 121 so that the speaker S is mounted .

이러한 상기 스피커설치홈(913)에는 스피커(S)가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결합된다.The speaker S is slidably coupled to the speaker mounting groove 913 in a vertical direction.

그리고 상기 스피커설치홈(913)의 전면에는 도 23 내지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판(913a)을 설치하여 스피커(S)를 보호하게 할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보호판(913a)을 설치하지 않을 수도 있다.23 to 25, a protection plate 913a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peaker installation groove 913 to protect the speaker S, and if necessary, the protection plate 913a may be installed It may not.

이와 같이 상기 스피커설치홈(913)에 스피커(S)가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결합됨으로써, 상기 회전부재(910)에 결합된 스피커(S)가 임의로 전방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손쉽게 스피커(S)를 설치할 수 있다.The speaker S is slidably coupled to the speaker installation groove 913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speaker S coupled to the rotary member 910 can be easily removed from the speaker S, Can be installed.

그리고 상기 스피커설치홈(913)의 상면과 하면에는 도 23 및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된 스피커(S)가 빠지지 않게 하면서 먼지 등이 유입되지 않도록 덮개(915)로 막아주는 것이 바람직하다.23 and 24, it is preferable that the loudspeaker S is blocked by the lid 915 so that the inserted speaker S is not removed and dust and the like are prevented from being introduced into the speaker mounting groove 913.

상기 힌지축(914)은 도 23 및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막음판(911)과 상기 제2막음판(912)이 일정한 각도로 접하는 상면과 하면에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100)의 상기 설치공(121)의 후방 상면과 하면에 힌지 결합된다.23 and 24, the hinge shaft 914 is formed on the top and bottom surfaces of the first closure plate 911 and the second closure plate 912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is hingedly coupled to a rear upper surface and a lower surface of the installation hole 121 of the main body 100.

이러한 상기 힌지축(914)에 의해 상기 회전부재(910)가 회전하면서, 상기 제1막음판(911)과 상기 제2막음판(912)이 상기 하우징(100)의 설치공(121)을 선택적으로 막아주게 된다.The rotary member 910 is rotated by the hinge shaft 914 so that the first blocking plate 911 and the second blocking plate 912 selectively press the mounting holes 121 of the housing 100 .

즉, 상기 힌지축(914)을 중심으로 상기 회전부재(910)가 회전하여 도 2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피커설치홈(913)이 상기 설치공(121)을 통해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진입되었을 때 상기 제1막음판(911)이 상기 설치공(121)을 폐쇄시키고, 도 2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피커설치홈(913)이 상기 설치공(121)을 통해 상기 하우징(100)의 외부로 돌출되었을 때 상기 제2막음판(912)이 상기 설치공(121)을 폐쇄시킨다.That is, the rotary member 910 rotates around the hinge shaft 914 and the speaker installation groove 913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100 through the installation hole 121 as shown in FIG. 25 (a) The first closure plate 911 closes the installation hole 121 and the speaker installation groove 913 is inserted into the installation hole 121 as shown in Figure 25 (b) The second closing plate 912 closes the mounting hole 121 when the first closing plate 912 protrudes from the housing 100 through the second closing plate 912. [

상기 종동기어(920)는 상기 회전부재(910)의 힌지결합부에 장착된다.The driven gear 920 is mounted on the hinge coupling portion of the rotary member 910.

즉, 상기 종동기어(920)는 도 2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부재(910)의 하부에 형성된 상기 힌지축(914)에 장착된다.That is, the driven gear 920 is mounted on the hinge shaft 914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rotary member 910 as shown in FIGS. 23 and 14. FIG.

그리고 상기 주동기어(930)는 상기 종동기어(920)와 맞물리도록 상기 하우징(100)에 장착된다.The driven gear 930 is mounted on the housing 100 to engage with the driven gear 920.

그리고 상기 제5모터(940)는 상기 하우징(100)에 장착되어 상기 주동기어(930)를 회전시킨다.The fifth motor 940 is mounted on the housing 100 to rotate the main gear 930.

이러한 상기 제5모터(940)의 회전에 의해 상기 회전부재(910)가 회전하여 상기 회전부재(910)에 장착된 상기 스피커(S)가 상기 설치공(121)을 통해 도 21, 도 22 및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진입하거나 외부로 돌출되게 된다.The rotation of the fifth motor 940 causes the rotary member 910 to rotate and the speaker S mounted on the rotary member 910 is rotated through the installation holes 121, As shown in FIG. 25, it enters the inside of the housing 100 or protrudes to the outside.

이와 같이 상기 스피커출몰수단(900)이 상기 회전부재(910), 종동기어(920), 주동기어(930), 제5모터(940)로 이루어짐으로써, 스피커(S)를 사용할 경우에는 상기 회전부재(910)를 회전시켜 상기 하우징(100)의 외부로 돌출시켜 소리를 들을 수 있게 하고,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회전부재(910)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로 진입시켜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한다.When the speaker S is used, the speaker appearance-and-appearance means 900 includes the rotary member 910, the driven gear 920, the spur gear 930, and the fifth motor 940, (Not shown) to rotate the rotary member 910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enter the interior of the housing 100, Thereby preventing exposure to the outside.

상기 센서부(도시되지 않음)는 디스플레이(T)의 온(on), 오프(off)를 감지한다.The sensor unit (not shown) senses the display T on and off.

그리고 상기 제어부(도시되지 않음)는 상기 센서부의 신호에 의해 상기 제5모터(940)를 제어한다.The control unit (not shown) controls the fifth motor 940 by a signal from the sensor unit.

이러한 상기 제어부(도시되지 않음)는 상기 센서부의 신호에 의해 디스플레이(T)의 전원이 켜졌을 때 상기 제5모터(940)를 제어하여 스피커(S)를 하우징(100)의 외부로 돌출시키고, 상기 센서부의 신호에 의해 디스플레이(T)의 전원이 꺼졌을 때 상기 제5모터(940)를 제어하여 스피커(S)를 하우징(100)의 내부로 진입시킨다.The control unit (not shown) controls the fifth motor 940 when the power of the display T is turned on by the signal of the sensor unit to project the speaker S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0, When the power of the display T is turned off by the signal of the sensor unit, the fifth motor 940 is controlled to enter the speaker 100 into the housing 100.

이와 같이 상기 제어부에 의해 디스플레이(T)의 전원상태에 따라 스피커(S)를 상기 하우징(100)의 외부로 돌출시키거나, 내부로 진입시킴으로써,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된다.Thus, the controller S automatically performs the operation by projecting the speaker S out of the housing 100 or entering the inside of the housing 100 according to the power state of the display T by the controller.

그리고 필요에 따라서는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부재(910)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센서(916)를 장착하여 스피커(S)가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로 진입되었거나, 상기 하우징(100)의 외부로 돌출되었음을 알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4, a position sensing sensor 916 for sensing the position of the rotary member 910 may be installed to allow the speaker S to enter the interior of the housing 100, It is preferable that it can be seen that it protrudes out of the housing 100.

상기 스피커출몰수단(80)은 도 26 내지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부재(81), 가이드홈(82), 가이드돌기(83), 제6랙기어(84), 제6피니언기어(85), 제6모터(86), 센서부 및 제어부를 포함합니다.26 to 31, the speaker appearance and removal means 80 includes a sliding member 81, a guide groove 82, a guide projection 83, a sixth rack gear 84, a sixth pinion gear 85, a sixth motor 86, a sensor unit, and a control unit.

상기 슬라이딩부재(81)는 도 26 및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 방향으로 개방된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100)의 상기 설치공(121)을 통해 상기 하우징(100)의 내외측으로 슬라이딩된다.26 and 29, the sliding member 81 is formed in a shape of a " C "shape opened in the direction of the housing 100, and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100 through the installation hole 121 of the housing 100. [ 100).

이러한 상기 슬라이딩부재(81)는 도 28 내지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설치홈(81a), 스피커설치공(81b) 및 덮개(81c)를 포함한다.The sliding member 81 includes a guide mounting groove 81a, a speaker mounting hole 81b and a lid 81c as shown in Figs.

상기 가이드설치홈(81a)은 상기 하우징(100)방향으로 개방되어 후술하는 상기 제6랙기어(84) 및 상기 가이드홈(82) 또는 상기 가이드돌기(83)가 장착된다.The guide groove 81a is opened in the direction of the housing 100 and the sixth rack gear 84 and the guide groove 82 or the guide protrusion 83 described later are mounted.

상기 스피커(S)가 장착되는 스피커설치공(81b)은 상기 슬라이딩부재(81)의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100)의 측면을 향하도록 형성된다.The speaker mounting hole 81b on which the speaker S is mounted is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sliding member 81 and is formed to face the side surface of the housing 100. [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스피커설치공(81b)을 상기 슬라이딩부재(81)의 측면에 상하방향으로 이격되게 두 개를 형성하였지만, 본 실시예와 달리 다수개 또는 한 개만 형성할 수도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peaker mounting hole 81b is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sliding member 81 so as to be spaced apart in the vertical direction. However, unlike the present embodiment, a plurality of or one speaker mounting holes 81b may be formed.

상기 덮개(81c)는 상기 슬라이딩부재(81)의 상면과 하면에 장착되어 상기 가이드설치홈(81a)의 상면과 하면을 막아준다.The lid 81c is mount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sliding member 81 to close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guide mounting groove 81a.

즉, 상기 덮개(81c)는 상기 가이드설치홈(81a)에 의해 개방된 상기 슬라이딩부재(81)의 상면과 하면을 막아 먼지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That is, the lid 81c blocks the top and bottom surfaces of the sliding member 81 opened by the guide mounting groove 81a to prevent dust or the like from entering the lid 81c.

이와 같이 형성된 상기 슬라이딩부재(81)는 도 26 및 도 3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0)의 외부로 돌출되었을 때 상기 슬라이딩부재(81)의 전면 후면 측면 및 상기 덮개(81c)에 의해 상기 설치공(121)을 막아주고, 도 27 및 도 3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로 진입되었을 때 상기 슬라이딩부재(81)의 측면 즉, 상기 스피커설치공(81b)이 형성된 측면이 상기 설치공(121)을 막아주게 된다.26 and 31 (b), when the sliding member 81 is protrud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0, the front surface of the front surface of the sliding member 81 and the surface of the cover 81c, 27 and 31 (a), the side surface of the sliding member 81, that is, the side surface of the speaker installation hole 81, The side surface of the mounting hole 81b is blocked by the mounting hole 121.

이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부재(81)가 상기 설치공(121)을 막아줌으로써, 상기 설치공(121)을 통해 먼지 등이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The sliding member 81 blocks the installation hole 121 to prevent dust or the like from entering the interior of the housing 100 through the installation hole 121.

상기 가이드홈(82)은 도 28 내지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부재(81)의 상기 가이드설치홈(81a)에 형성된다.The guide groove 82 is formed in the guide groove 81a of the sliding member 81 as shown in FIGS.

그리고 상기 가이드돌기(83)는 상기 가이드홈(82)에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홈(82)을 따라 슬라이딩되게 상기 하우징(100)의 상기 고정플레이트(89)에 형성된다.The guide protrusion 83 is formed on the fixing plate 89 of the housing 100 so as to be coupled to the guide groove 82 and slide along the guide groove 82.

이와 달리 상기 가이드홈(82)과 상기 가이드돌기(83)를 상호 반대되게 형성할 수도 있다.Alternatively, the guide groove 82 and the guide protrusion 83 may be formed opposite to each other.

상기 제6랙기어(84)는 상기 슬라이딩부재(81)에서 상기 하우징(100) 방향으로 장착된다.The sixth rack gear 84 is mounted in the direction of the housing 100 from the sliding member 81.

즉, 상기 제6랙기어(84)는 도 28 내지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부재(81)의 상기 가이드설치홈(81a)에서 상기 하우징(100) 방향으로 장착된다.That is, the sixth rack gear 84 is mounted in the direction of the housing 100 from the guide mounting groove 81a of the sliding member 81, as shown in FIGS.

그리고 상기 제6피니언기어(85)는 상기 하우징(100)에 고정된 상기 고정플레이트(89)에 설치되어 상기 제6랙기어(84)와 맞물린다.The sixth pinion gear 85 is mounted on the fixed plate 89 fixed to the housing 100 and engaged with the sixth rack gear 84.

그리고 상기 제6모터(86)는 상기 고정플레이트(89)에 장착되어 상기 제6피니언기어(85)를 회전시킨다.The sixth motor 86 is mounted on the fixed plate 89 to rotate the sixth pinion gear 85.

이러한 상기 제6모터(86)가 회전하면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6피니언기어(85)가 회전하면서 상기 제6랙기어(84)를 이동시켜 상기 슬라이딩부재(81)가 상기 가이드홈(82)과 상기 가이드돌기(83)에 가이드되어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설치공(121)을 통해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진입하거나 외부로 돌출된다.When the sixth motor 86 rotates, the sixth pinion gear 85 rotates to move the sixth rack gear 84, as shown in FIG. 31, And is guided and slid by the guide protrusion 82 and the guide protrusion 83 so as to enter the inside of the housing 100 through the installation hole 121 or protrude to the outside.

이와 같이 상기 스피커출몰수단(80)이 상기 슬라이딩부재(81), 상기 가이드홈(82), 상기 가이드돌기(83), 제6랙기어(84), 제6피니언기어(85), 제6모터(86)로 이루어짐으로써, 스피커(S)를 사용할 경우에는 상기 하우징(100)의 외부로 돌출시켜 소리를 들을 수 있게 하고,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하우징(100)의 측면으로 밀착시켜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한다.The speaker protruding and lowering means 80 is mounted on the sliding member 81, the guide groove 82, the guide protrusion 83, the sixth rack gear 84, the sixth pinion gear 85, The housing 100 can be made to sound by being protrud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0 when the speaker S is used and can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housing 100 when not in use, .

상기 센서부는 디스플레이(T)의 온(on), 오프(off)를 감지한다.The sensor unit senses whether the display T is on or off.

그리고 상기 제어부(도시되지 않음)는 상기 센서부의 신호에 의해 상기 제6모터(86)를 제어한다.The control unit (not shown) controls the sixth motor 86 by a signal from the sensor unit.

이러한 상기 제어부(도시되지 않음)는 상기 센서부의 신호에 의해 디스플레이(T)의 전원이 켜졌을 때 상기 제6모터(86)를 제어하여 스피커(S)를 상기 하우징(100)의 외부로 돌출시키고, 상기 센서부의 신호에 의해 디스플레이(T)의 전원이 꺼졌을 때 상기 제6모터(86)를 제어하여 스피커(S)를 상기 하우징(100)의 측면으로 밀착시킨다.The control unit (not shown) controls the sixth motor 86 when the power of the display T is turned on by the signal of the sensor unit to project the speaker S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0 , And controls the sixth motor (86) when the power of the display (T) is turned off by a signal of the sensor unit to bring the speaker (S) into close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housing (100).

이와 같이 상기 제어부에 의해 디스플레이(T)의 전원상태에 따라 스피커(S)를 상기 하우징(100)의 외부로 돌출시키거나, 측면에 밀착시킴으로써,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된다.Thus, the speaker S is automatically protrud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0 according to the power state of the display T or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by the controller.

그리고 필요에 따라서는 도 29 및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부재(81)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센서(87)를 장착하여 스피커(S)가 상기 하우징(100)의 측면에 밀착된 위치와, 상기 하우징(100)의 외부로의 돌출위치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29 and 30, a position sensing sensor 87 for sensing the position of the sliding member 81 may be mounted so that the speaker S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housing 100 And the protruding position of the housing 100 to the outside.

상기 스피커출몰수단(90)은 도 32 내지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부재(91), 종동기어(92), 주동기어(93), 제7모터(94), 센서부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32 to 36, the speaker appearance-and-dismounting means 90 includes a rotary member 91, a driven gear 92, a driven gear 93, a seventh motor 94, a sensor unit, and a control unit .

상기 회전부재(91)는 상기 하우징(100)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설치공(121)을 개폐시키며 스피커(S)를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로 진입시키거나 또는 외부로 돌출시킨다.The rotary member 91 is hinged to the housing 100 to open or close the installation hole 121 and to push the speaker S into or out of the housing 100.

즉, 상기 회전부재(91)는 회전에 의해 스피커(S)를 도 32 및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0)의 외부로 돌출시키거나,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로 진입시킨다.That is, the rotary member 91 rotates to project the speaker S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0 or to enter the inside of the housing 100 as shown in FIGS. 32 and 33.

이러한 상기 회전부재(91)는 도 34 내지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막음판(91a), 제2막음판(91b), 전면판(91c), 스피커설치공(91d) 및 힌지축(91e)을 포함한다.34 to 36, the rotary member 91 includes a first blocking plate 91a, a second blocking plate 91b, a front plate 91c, a speaker mounting hole 91d, and a hinge shaft 91b. 91e.

상기 제1막음판(91a)은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설치공(121)을 개폐시킨다.The first blocking plate 91a opens and closes the mounting hole 121 as shown in FIG.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제1막음판(91a)은 도 3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피커(S)가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진입되었을 때 상기 설치공(121)을 폐쇄시킨다.More specifically, the first blocking plate 91a closes the mounting hole 121 when the speaker S enters the inside of the housing 100 as shown in FIG. 36 (a).

그리고 상기 제2막음판(91b)은 스피커(S)가 상기 하우징(100) 외부로 돌출될 때 상기 설치공(121)을 폐쇄시킨다.The second blocking plate 91b closes the mounting hole 121 when the speaker S protrudes out of the housing 100.

즉, 상기 제2막음판(91b)은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막음판(91a)과 일정한 각도로 이격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1막음판(91a)이 상기 설치공(121)을 개방할 때 상기 제2막음판(91b)은 상기 설치공(121)을 폐쇄시킨다.36, the second barrier plate 91b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barrier plate 91a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the first barrier plate 91a is spaced apart from the installation hole 121, The second blocking plate 91b closes the mounting hole 121. [0053]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제2막음판(91b)은 도 3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피커(S)가 상기 하우징(100)의 외부로 돌출되었을 때 상기 설치공(121)을 막아준다.More specifically, the second blocking plate 91b closes the mounting hole 121 when the speaker S protrudes out of the housing 100 as shown in FIG. 36 (b).

이와 같이 상기 제1막음판(91a)과 상기 제2막음판(91b)이 스피커(S)가 상기 하우징(100)의 외부 또는 내부에 위치하는 것에 상관없이 상기 설치공(121)을 폐쇄해줌으로써, 먼지 등이 상기 설치공(121)을 통해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The first blocking plate 91a and the second blocking plate 91b close the mounting hole 121 irrespective of whether the speaker S is located outside or inside the housing 100 Dust, and the like from entering the interior of the housing 100 through the installation hole 121.

상기 전면판(91c)은 도 32 내지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각도로 이격되게 형성된 상기 제1막음판(91a)과 상기 제2막음판(91b)의 전면에 형성된다.The front plate 91c is forme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first blocking plate 91a and the second blocking plate 91b which are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angle as shown in FIGS.

즉, 상기 전면판(91c)은 상기 제1막음판(91a)과 상기 제2막음판(91b)과 함께 단면상 내부가 빈 삼각형으로 형성되도록 상기 제1막음판(91a)과 상기 제2막음판(91b)의 전면에 형성된다.That is, the front plate 91c is formed with the first blocking plate 91a and the second blocking plate 91b so that the inside of the front blocking plate 91c is formed as a hollow triangle, (91b).

상기 스피커(S)가 장착되는 스피커설치공(91d)은 상기 전면판(91c)에 형성된다.A speaker installation hole 91d on which the speaker S is mounted is formed on the front plate 91c.

그리고 상기 전면판(91c)의 전면에는 도 32 내지 도 36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판(91f)을 설치하여 상기 스피커설치공(91d)에 장착된 스피커(S)를 보호하게 할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보호판(91f)을 설치하지 않을 수도 있다.32-36, a protection plate 91f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ront plate 91c to protect the speaker S mounted on the speaker installation hole 91d, The protective plate 91f may not be provided.

그리고 상기 전면판(91c), 상기 제1막음판(91a) 및 상기 제2막음판(91b)에 의해 형성된 내부공간의 상면과 하면에는 도 34 및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공간에 먼지 등이 유입되지 않도록 덮개(91g)로 막아주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S. 34 and 35,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inner space defined by the front plate 91c, the first closing plate 91a, and the second closing plate 91b, It is preferable that the cover 91g is closed.

상기 힌지축(91e)은 도 34 및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막음판(91a)과 상기 제2막음판(91b)이 접하는 상면과 하면에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100)의 상기 설치공(121)의 후방 상면과 하면에 힌지 결합된다.34 and 35, the hinge shaft 91e is formed on the top and bottom surfaces of the first blocking plate 91a and the second blocking plate 91b, And is hinged to the rear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hole 121.

이러한 상기 힌지축(91e)에 의해 상기 회전부재(91)가 회전하면서, 상기 제1막음판(91a)과 상기 제2막음판(91b)이 상기 하우징(100)의 설치공(121)을 선택적으로 막아주게 된다.The first blocking plates 91a and the second blocking plates 91b selectively press the mounting holes 121 of the housing 100 while the rotary member 91 is rotated by the hinge shafts 91e. .

즉, 상기 힌지축(91e)을 중심으로 상기 회전부재(91)가 회전하여 도 3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피커설치공(91d)이 형성된 상기 전면판(91c)이 상기 설치공(121)을 통해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진입되었을 때 상기 제1막음판(91a)이 상기 설치공(121)을 폐쇄시키고, 도 3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피커설치공(91d)이 형성된 상기 전면판(91c)이 상기 설치공(121)을 통해 상기 하우징(100)의 외부로 돌출되었을 때 상기 제2막음판(91b)이 상기 설치공(121)을 폐쇄시킨다.That is, the rotary member 91 rotates around the hinge shaft 91e, and the front plate 91c, on which the speaker mounting hole 91d is formed, as shown in FIG. 36 (a) The first closure plate 91a closes the installation hole 121 and the speaker installation hole 91d is opened as shown in Figure 36 (b) The second blocking plate 91b closes the mounting hole 121 when the front plate 91c having the protrusion 91c protruded out of the housing 100 through the mounting hole 121. [

상기 종동기어(92)는 상기 회전부재(91)의 힌지결합부에 장착된다.The driven gear 92 is mounted on the hinge coupling portion of the rotary member 91.

즉, 상기 종동기어(92)는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부재(91)의 하부에 형성된 상기 힌지축(91e)에 장착된다.That is, the driven gear 92 is mounted on the hinge shaft 91e form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rotary member 91 as shown in FIG.

그리고 상기 주동기어(93)는 상기 종동기어(92)와 맞물리도록 상기 하우징(100)에 장착된다.The driven gear 93 is mounted on the housing 100 to engage with the driven gear 92.

그리고 상기 제7모터(94)는 상기 하우징(100)에 장착되어 상기 주동기어(93)를 회전시킨다.The seventh motor (94) is mounted on the housing (100) to rotate the main gear (93).

이러한 상기 제7모터(94)의 회전에 의해 상기 회전부재(91)가 회전하여 상기 회전부재(91)에 장착된 상기 스피커(S)가 상기 설치공(121)을 통해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진입하거나 외부로 돌출되게 된다.The rotary member 91 is rotated by the rotation of the seventh motor 94 so that the speaker S mounted on the rotary member 91 is rotated through the installation hole 121 as shown in FIG. So as to enter the inside of the housing 100 or protrude to the outside.

상기 센서부(도시되지 않음)는 디스플레이(T)의 온(on), 오프(off)를 감지한다.The sensor unit (not shown) senses the display T on and off.

그리고 상기 제어부(도시되지 않음)는 상기 센서부의 신호에 의해 상기 제7모터(94)를 제어한다.The control unit (not shown) controls the seventh motor 94 by a signal from the sensor unit.

이러한 상기 제어부(도시되지 않음)는 상기 센서부의 신호에 의해 디스플레이(T)의 전원이 켜졌을 때 상기 제7모터(94)를 제어하여 스피커(S)를 하우징(100)의 외부로 돌출시키고, 상기 센서부의 신호에 의해 디스플레이(T)의 전원이 꺼졌을 때 상기 제7모터(94)를 제어하여 스피커(S)를 하우징(100)의 내부로 진입시킨다.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seventh motor 94 to project the speaker S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0 when the power of the display T is turned on by the signal of the sensor unit, When the power of the display T is turned off by the signal of the sensor unit, the seventh motor 94 is controlled so that the speaker S enters the inside of the housing 100.

이와 같이 상기 제어부에 의해 디스플레이(T)의 전원상태에 따라 스피커(S)를 상기 하우징(100)의 외부로 돌출시키거나, 내부로 진입시킴으로써,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된다.Thus, the controller S automatically performs the operation by projecting the speaker S out of the housing 100 or entering the inside of the housing 100 according to the power state of the display T by the controller.

그리고 필요에 따라서는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부재(91)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센서(95)를 장착하여 스피커(S)가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로 진입되었거나, 상기 하우징(100)의 외부로 돌출되었음을 알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35, a position sensing sensor 95 for sensing the position of the rotary member 91 may be mounted to allow the speaker S to enter the interior of the housing 100, It is preferable that it can be seen that it protrudes out of the housing 100.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위치 조절장치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The display position adjus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embodied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하우징 101: 장공 110: 받침대
120: 몸체판 121: 설치공 130: 전면판
140: 덮개판 150: 메인브라켓트 200: 리드스크루
210: 제1모터 220: 안내관 221: 슬라이드공
222: 플랜지 223: 레일홈 300: 승강유니트
301: 돌출부 310: 제2안내롤러 400: 보조브라켓트
401: 지지대 410: 지지롤러 411: 제1롤러부
412: 제2롤러부 420: 제1안내롤러 430: 메인링크
431: 제1힌지 500: 각도조절수단 510: 회전축
520: 웜기어 530: 웜 640: 제2모터
600: 각도조절수단 610: 제1랙기어 620: 제1피니언기어
630: 제3모터 700: 밸런싱부재 710: 중량부재
711: 가이드공 720: 가이드봉 730: 연결로프
740: 가이드롤러 800: 스피커출몰수단 810: 슬라이딩부재
811: 가이드설치홈 812: 스피커설치홈 812a: 보호판
813: 덮개 814: 위치감지센서 820: 가이드홈
830: 가이드돌기 840: 제2랙기어 850: 제2피니언기어
860: 제4모터 890: 고정플레이트 900: 스피커출몰수단
910: 회전부재 911: 제1막음판 912: 제2막음판
913: 스피커설치홈 913a: 보호판 914: 힌지축
915: 덮개 916: 위치감지센서 920: 종동기어
930: 주동기어 940: 제5모터 S: 스피커
T: 디스플레이
80: 스피커출몰수단 81: 슬라이딩부재 81a: 가이드설치홈
81b: 스피커설치공 81c: 덮개 82: 가이드홈
83: 가이드돌기 84: 제6랙기어 85: 제6피니언기어
86: 제6모터 87: 위치감지센서 89: 고정플레이트
90: 스피커출몰수단 91: 회전부재 91a: 제1막음판
91b: 제2막음판 91c: 전면판 91d: 스피커설치공
91e: 힌지축 91f: 보호판 92: 종동기어
93: 주동기어 94: 제7모터 95: 위치감지센서
100: housing 101: elongated hole 110: pedestal
120: body plate 121: mounting hole 130: front plate
140: Cover plate 150: Main bracket 200: Lead screw
210: first motor 220: guide tube 221: slide ball
222: flange 223: rail groove 300: lift unit
301: protrusion 310: second guide roller 400: auxiliary bracket
401: support base 410: support roller 411: first roller portion
412: second roller portion 420: first guide roller 430: main link
431: first hinge 500: angle adjusting means 510:
520: Worm gear 530: Worm 640: Second motor
600: angle adjusting means 610: first rack gear 620: first pinion gear
630: Third motor 700: Balancing member 710: Weight member
711: guide ball 720: guide rod 730: connecting rope
740: guide roller 800: speaker protruding means 810: sliding member
811: Guide installation groove 812: Speaker installation groove 812a: Shield plate
813: cover 814: position sensor 820: guide groove
830: Guide protrusion 840: Second rack gear 850: Second pinion gear
860: Fourth motor 890: Fixing plate 900: Speaker appearance means
910: rotating member 911: first blocking plate 912: second blocking plate
913: Speaker installation groove 913a: Shield plate 914: Hinge shaft
915: cover 916: position sensor 920: driven gear
930: Spur gear 940: Fifth motor S: Speaker
T: Display
80: Speaker appearance / dismounting means 81: Sliding member 81a: Guide mounting groove
81b: Speaker mounting hole 81c: Cover 82: Guide groove
83: guide projection 84: sixth rack gear 85: sixth pinion gear
86: sixth motor 87: position detection sensor 89: fixed plate
90: speaker protruding means 91: rotary member 91a: first blocking plate
91b: second blocking plate 91c: front plate 91d: speaker mounting hole
91e: Hinge shaft 91f: Shield plate 92:
93: Main drive gear 94: Seventh motor 95: Position sensor

Claims (4)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에 수직으로 세워진 수직지지대와, 상기 수직지지대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승강유니트와, 상기 승강유니트를 승강시키는 승강수단과, 상기 승강유니트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선단에 디스플레이가 결합되는 메인링크와, 상기 메인링크를 회동시켜서 상기 디스플레이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수단과, 전면에 상기 메인링크가 돌출되어 슬라이딩하는 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승강수단 및 각도조절수단을 수용하며 하단이 상기 받침대에 고정되는 하우징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위치 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0)의 좌우 양측에는 상기 디스플레이(T)로부터의 소리신호를 발산하는 스피커(S)가 마련되며,
상기 하우징(100)에 상기 스피커(S)가 출몰가능하게 마련되는 설치공(121)이 형성되고,
상기 스피커(S)를 직진 왕복이동시켜서 상기 하우징(100) 내부로 진입시키거나 외부로 돌출시키는 스피커출몰수단(80)(800);을 구비하며,
상기 스피커출몰수단(800)은,
상기 설치공(121)을 통하여 상기 하우징(100)의 내측 및 외측으로 출입되며, 상기 스피커(S)가 장착되고 가이드홈(820)이 형성되며 제2랙기어(840)가 마련된 슬라이딩부재(810)와; 상기 하우징(100)에 고정되며 상기 가이드홈(820)에 슬라이딩되는 가이드돌기(830)와, 상기 제2랙기어(840)와 맞물리는 제2피니언기어(850)가 마련된 고정플레이트(890)와; 상기 고정플레이트(890)에 장착되어 상기 제2피니언기어(850)를 회전시키는 제4모터(860); 를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딩부재(810)는 상기 하우징(100) 방향으로 개방되고 상기 제2랙기어(840) 및 상기 가이드홈(820)이 마련되는 가이드설치홈(811)과, 상기 가이드설치홈(811)의 측면에 형성되고 스피커(S)가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결합되는 스피커설치홈(812)과, 상기 슬라이딩부재(810)의 상면과 하면에 장착되어 상기 가이드설치홈(811)과 상기 스피커설치홈(812)의 상면과 하면을 막아주는 덮개(813)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4모터(860)의 구동으로 상기 슬라이딩부재(810)가 상기 하우징(100)의 외부로 돌출되었을 때 상기 슬라이딩부재(810)의 전면, 후면, 측면 및 상기 덮개(813)에 의해 상기 설치공(121)이 폐쇄되고,
상기 슬라이딩부재(810)가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로 진입되었을 때 상기 슬라이딩부재(810)의 측면이 상기 설치공(121)을 폐쇄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스피커가 구비된 디스플레이 위치 조절장치.
The vertical support unit includes a pedestal, a vertical support vertically installed on the pedestal, an elevation unit movably coupled to the vertical support, elevating means for elevating and lowering the elevation unit, and a display coupled to the elevation unit, An angle adjustment means for adjusting the angle of the display by pivoting the main link, a slot for protruding and sliding the main link is formed on the front side, a slot for receiving the elevation means and the angle adjustment means, A display position adjusting apparatus having a housing fixed to a pedestal,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housing 100, a speaker S for emitting sound signals from the display T is provided,
A mounting hole 121 is formed in the housing 100 to allow the speaker S to protrude and retract,
(80) (800) for reciprocating the speaker (S) linearly to enter into the housing (100) or to project it to the outside,
The speaker appearance and removal means (800)
And a sliding member 810 having a guide groove 820 and a second rack gear 840 installed in the housing 100 through the installation hole 121 and fitted to the speaker S, )Wow; A fixing plate 890 fixed to the housing 100 and having a guide protrusion 830 slidable in the guide groove 820 and a second pinion gear 850 engaged with the second rack gear 840, ; A fourth motor 860 mounted on the fixed plate 890 to rotate the second pinion gear 850; And,
The sliding member 810 includes guide mounting grooves 811 opened in the direction of the housing 100 and having the second rack gear 840 and the guide grooves 820, A speaker mounting groove 812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sliding member 810 and having a speaker S slidably coupled to the speaker mounting groove 812 And a cover 813 for covering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cover 813,
When the sliding member 810 protrudes out of the housing 100 by driving the fourth motor 860, the front, rear, and side surfaces of the sliding member 810 and the cover 813 The ball 121 is closed,
And a side surface of the sliding member (810) closes the mounting hole (121) when the sliding member (810) enters the inside of the housing (100) Device.
삭제delete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에 수직으로 세워진 수직지지대와, 상기 수직지지대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승강유니트와, 상기 승강유니트를 승강시키는 승강수단과, 상기 승강유니트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선단에 디스플레이가 결합되는 메인링크와, 상기 메인링크를 회동시켜서 상기 디스플레이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수단과, 전면에 상기 메인링크가 돌출되어 슬라이딩하는 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승강수단 및 각도조절수단을 수용하며 하단이 상기 받침대에 고정되는 하우징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위치 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0)의 좌우 양측에는 상기 디스플레이(T)로부터의 소리신호를 발산하는 스피커(S)가 마련되며,
상기 하우징(100)에 상기 스피커(S)가 출몰가능하게 마련되는 설치공(121)이 형성되고,
상기 스피커(S)를 직진 왕복이동시켜서 상기 하우징(100) 내부로 진입시키거나 외부로 돌출시키는 스피커출몰수단(80)(800);을 구비하며,
상기 스피커출몰수단(80)은,
상기 설치공(121)의 내측 하우징(100)에 고정되며, 제6피니언기어(85)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가이드돌기(83)가 구비된 고정플레이트(89)와;
일측이 개방된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 가이드설치홈(81a)에 상기 가이드돌기(83)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홈(82)과, 상기 제6피니언기어(85)가 치합되는 제6랙기어(84)가 마련된 슬라이딩부재(81)와;
상기 고정플레이트(89)에 탑재되어 상기 제6피니언기어(85)를 회전구동시키는 제6모터(86);를 구비하며,
상기 슬라이딩부재(81)에 상기 스피커(S)가 장착되는 스피커설치공(81b)을 상기 가이드설치홈(81a)과 연통되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스피커가 구비된 디스플레이 위치 조절장치.
The vertical support unit includes a pedestal, a vertical support vertically installed on the pedestal, an elevation unit movably coupled to the vertical support, elevating means for elevating and lowering the elevation unit, and a display coupled to the elevation unit, An angle adjustment means for adjusting the angle of the display by pivoting the main link, a slot for protruding and sliding the main link is formed on the front side, a slot for receiving the elevation means and the angle adjustment means, A display position adjusting apparatus having a housing fixed to a pedestal,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housing 100, a speaker S for emitting sound signals from the display T is provided,
A mounting hole 121 is formed in the housing 100 to allow the speaker S to protrude and retract,
(80) (800) for reciprocating the speaker (S) linearly to enter into the housing (100) or to project it to the outside,
The speaker appearance-and-appearance means (80)
A fixing plate 89 fixed to the inner housing 100 of the installation hole 121 and having a guide projection 83 and a sixth pinion gear 85 rotatably engaged;
A guide groove 82 in which the guide protrusion 83 is slidably engaged with the guide mounting groove 81a formed in a shape of a letter "C" with one side open and a sixth groove 82 in which the sixth pinion gear 85 is engaged A sliding member 81 provided with a rack gear 84;
And a sixth motor (86) mounted on the fixed plate (89) for rotationally driving the sixth pinion gear (85)
Wherein the speaker mounting hole 81b in which the speaker S is mounted is formed in the sliding member 81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guide mounting groove 81a.
청구항 3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T)의 온(on), 오프(off)를 감지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의 신호에 의해 상기 제6모터(86)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의 신호에 의해 디스플레이(T)의 전원이 켜졌을 때 상기 제6모터(86)를 제어하여 스피커(S)를 상기 하우징(100)의 외부로 돌출시키고, 상기 센서부의 신호에 의해 디스플레이(T)의 전원이 꺼졌을 때 상기 제6모터(86)를 제어하여 스피커(S)를 하우징(100)의 내부로 진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스피커가 구비된 디스플레이 위치조절장치.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claim 3, further comprising: a sensor unit for sensing on and off of the display;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sixth motor (86) by a signal of the sensor unit; Further comprising: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sixth motor 86 when the power of the display T is turned on by the signal of the sensor unit to project the speaker S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0, And controls the sixth motor (86) when the power of the display (T) is turned off so that the speaker (S) enters the inside of the housing (100).


KR1020150156807A 2015-11-09 2015-11-09 A position control apparatus for a television receiver having a sliding type speaker KR101605041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6807A KR101605041B1 (en) 2015-11-09 2015-11-09 A position control apparatus for a television receiver having a sliding type speaker
PCT/KR2016/012716 WO2017082600A1 (en) 2015-11-09 2016-11-07 Display position adjustment device having movable speak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6807A KR101605041B1 (en) 2015-11-09 2015-11-09 A position control apparatus for a television receiver having a sliding type speak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5041B1 true KR101605041B1 (en) 2016-03-21

Family

ID=55651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6807A KR101605041B1 (en) 2015-11-09 2015-11-09 A position control apparatus for a television receiver having a sliding type speaker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05041B1 (en)
WO (1) WO2017082600A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09891A (en) * 2018-09-27 2019-02-05 歌尔科技有限公司 A kind of audio frequency apparatus and its effect adjusting method
CN112150867A (en) * 2020-09-01 2020-12-29 郑州幼儿师范高等专科学校 Drill device is used in psychology teaching
KR20210003643A (en) * 2019-07-02 2021-01-12 주식회사 탑시스템 Control Unit for TV Receiver
CN112736849A (en) * 2020-12-16 2021-04-30 海南电网有限责任公司万宁供电局 Phase-failure tripping alarm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16102B (en) * 2020-12-30 2023-08-29 歌尔股份有限公司 Speaker module and electronic produc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5845A (en) * 1998-03-25 1999-10-15 김충환 Speaker access control device and method
KR20010047989A (en) * 1999-11-24 2001-06-15 구자홍 speaker device of televis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of speaker device the same
KR200335288Y1 (en) * 2003-02-07 2003-12-06 김성균 A side support of TV has function of a height control.
JP2005027117A (en) * 2003-07-03 2005-01-27 Toshiba Corp Speaker device for display stand
JP2007036192A (en) * 2005-06-24 2007-02-08 Sony Corp Lift
KR101556679B1 (en) * 2015-06-05 2015-10-01 주식회사 탑시스템 A position control apparatus for a television receiver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5845A (en) * 1998-03-25 1999-10-15 김충환 Speaker access control device and method
KR20010047989A (en) * 1999-11-24 2001-06-15 구자홍 speaker device of televis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of speaker device the same
KR200335288Y1 (en) * 2003-02-07 2003-12-06 김성균 A side support of TV has function of a height control.
JP2005027117A (en) * 2003-07-03 2005-01-27 Toshiba Corp Speaker device for display stand
JP2007036192A (en) * 2005-06-24 2007-02-08 Sony Corp Lift
KR101556679B1 (en) * 2015-06-05 2015-10-01 주식회사 탑시스템 A position control apparatus for a television receiver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09891A (en) * 2018-09-27 2019-02-05 歌尔科技有限公司 A kind of audio frequency apparatus and its effect adjusting method
CN109309891B (en) * 2018-09-27 2020-11-10 歌尔科技有限公司 Audio equipment and sound effect adjusting method thereof
KR20210003643A (en) * 2019-07-02 2021-01-12 주식회사 탑시스템 Control Unit for TV Receiver
KR102239838B1 (en) * 2019-07-02 2021-04-13 주식회사 탑시스템 Control Unit for TV Receiver
CN112150867A (en) * 2020-09-01 2020-12-29 郑州幼儿师范高等专科学校 Drill device is used in psychology teaching
CN112150867B (en) * 2020-09-01 2022-03-01 郑州幼儿师范高等专科学校 Drill device is used in psychology teaching
CN112736849A (en) * 2020-12-16 2021-04-30 海南电网有限责任公司万宁供电局 Phase-failure tripping alarm device
CN112736849B (en) * 2020-12-16 2023-01-10 海南电网有限责任公司万宁供电局 Phase-failure tripping alarm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82600A1 (en) 2017-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3920B1 (en) A position control apparatus for a television receiver
KR101600925B1 (en) A position control apparatus for a television receiver
KR101613929B1 (en) A position control apparatus for a television receiver
KR101600931B1 (en) A position control apparatus for a television receiver
KR101600927B1 (en) A position control apparatus for a television receiver
KR101605041B1 (en) A position control apparatus for a television receiver having a sliding type speaker
KR101556679B1 (en) A position control apparatus for a television receiver
KR101725118B1 (en) A position control apparatus for a television receiver
KR101729484B1 (en) A position control apparatus for a television receiver
CN105900011A (en) Movable table for projector
CN107882456B (en) System for sliding door
KR20130057977A (en) Mobile radiography unit having collapsible support column
KR101644801B1 (en) A position control apparatus for a television receiver having a swing type speaker
KR101667758B1 (en) Angle adjustment device of monitor of education desk
KR101969635B1 (en) A position control apparatus for a television receiver
KR101607917B1 (en) A position guide apparatus for a television receiver
KR100593059B1 (en) Elevation device of the display panel device
US6499816B1 (en) Grinding machine enclosure
CN107290919B (en) Portable angle-adjustable projector
JP6518703B2 (en) Surveillance camera unit
CN210446273U (en) Stand seat with reversible structure
KR101366276B1 (en) Camera apparatus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20110079229A (en) Projection screen apparatus and bed having the same
KR101674473B1 (en) Apparatus for adjusting height of desk
JP3778444B2 (en) Retractable home theater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