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4898B1 - Terminal block and connect the console appliance, containing electronic equipment and temperature controller - Google Patents

Terminal block and connect the console appliance, containing electronic equipment and temperature controll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4898B1
KR101604898B1 KR1020140016976A KR20140016976A KR101604898B1 KR 101604898 B1 KR101604898 B1 KR 101604898B1 KR 1020140016976 A KR1020140016976 A KR 1020140016976A KR 20140016976 A KR20140016976 A KR 20140016976A KR 101604898 B1 KR101604898 B1 KR 1016048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block
main body
parallel
protruding
connection mechanis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697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115946A (en
Inventor
타카히토 미즈에
시준 헤
Original Assignee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159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594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48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489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0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comprising a camming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Landscapes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미널 블럭과 본체의 연결기구, 이를 포함한 전자설비와 온도 조절계를 제공한다. 터미널 블럭과 본체의 연결기구에 있어서, 본체는 메인 하우징과 메인 하우징의 일단 측의 중앙부분에서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하고, 제1방향으로 평행된 돌출부의 양측 단면 상에 각각 걸림부가 설치되며, 제1방향은 돌출부가 일단 측에 상대적으로 돌출된 방향으로 평행된다. 터미널 블럭은 돌출부를 수용하는 수용실을 포함하고, 수용실은 제1방향으로 평행되는 양측 내표면 상에 각각 피걸림부를 형성하며, 또한 제1방향과 양측 내표면에 수직되는 제2방향 상에서, 수용실의 양측에는 각각 단자가 설치된다. 터미널 블럭과 본체가 일체로 걸림 접합될 경우, 돌출부는 수용실 내에 수용되고, 또한 각각의 걸림부는 대응되는 피걸림부와 일체로 걸림 접합된다. 또한, 터미널 블럭과 본체 사이에는 제2방향을 따라 외부로 개구된 홀이 형성되고, 단자는 홀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nection mechanism between a terminal block and a main body, electronic equipment including the same, and a temperature controller. The connecting structure of the terminal block and the main body includes a protruding portion protruding from a central portion of one end side of the main housing and the main housing and a latching portion provided on both end surfaces of the protruding portion parallel to the first direction, The one direction is parallel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projecting portion is relatively projected on one end side. The terminal block includes a receiving chamber for receiving protrusions, the receiving chamber defining a respective engaging portion on both inner side surfaces parallel to the first direction, and a second receiving portion for receiving the receiving portion in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and both inner surfaces, Terminals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seal. When the terminal block and the main body are engaged with each other, the projecting portion is received in the receiving chamber, and each of the engaging portions is engaged with the corresponding engaged portion integrally. Further, a hole is formed between the terminal block and the body along the second direction to open outward, and the terminal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hole.

Description

터미널 블럭과 본체의 연결기구, 이를 포함하는 전자설비와 온도 조절계{TERMINAL BLOCK AND CONNECT THE CONSOLE APPLIANCE, CONTAINING ELECTRONIC EQUIPMENT AND TEMPERATURE CONTROLLER}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rminal block and a main body,

본 발명은 터미널 블럭(단자대)과 본체의 연결기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설비와 온도 조절계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ion mechanism between a terminal block (terminal block) and a main body, and an electronic equipment and a temperature controller including the same.

기존의 기술 중에서 터미널 블럭과 제품 본체는 전문적인 잠금 부품을 통하여 서로 잠김으로써 분리를 방지한다. 이미 공지되어 있는 기존의 기술에 따르면,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부재(91)와 오목부(92)는 기존의 기술 중에서 사용되는 걸림 접합 디자인이다. 기존의 기술 중에서, 걸림부재(91)는 평평하고 일직선으로 형성된 부품이고, 또한 걸림부재(91)는 본체의 하우징 외측 표면상에 설치되어 있으며, 따라서 터미널 블럭의 배선부 내측에 대응되는 오목부(92)와 걸림 결합된다. 따라서, 본체의 사이즈는 터미널 블럭의 배선부 내측 사이즈의 제한을 받으며, 본체의 사이즈는 반드시 터미널 블럭 배선부의 내측 사이즈와 같거나 작게 설정되어야 하고, 제품의 공간을 최대로 이용할 수 없다. 이밖에도, 기존의 기술 중에서, 별도로 마련된 걸림 결합구조를 이용함으로써, 터미널 블럭과 제품 본체가 서로 일체로 고정되도록 하는 구조가 더 존재한다. 하지만, 이러한 구조는 별도의 걸림 결합구조를 제공하여야 할 뿐만 아니라, 조립 난이도를 대폭 증가시켰으며, 제품의 부피를 더욱 확대시켰다.
Among the existing technologies, the terminal block and the body of the product are locked with each other through professional locking parts to prevent separation. According to the already known conventional technique,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 the latching member 91 and the recessed portion 92 are latching joint designs used in conventional techniques. The latching member 91 i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of the main body so that the recessed portion 91 corresponding to the inside of the wiring portion of the terminal block 92, respectively. Therefore, the size of the main body is limited by the inner size of the wiring portion of the terminal block, and the size of the main body must be set to be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inner size of the terminal block wiring portion. In addition, among the existing techniques, there is a structure in which the terminal block and the product main body are integrally fixed to each other by using a separate engagement structure provided. However, this structure not only requires a separate latching structure, but also greatly increases the degree of assembly difficulty and further increases the volume of the product.

본 발명의 목적은 분해가 간편하고, 또한 터미널 블럭 사이즈의 제한을 받지 않고 터미널 블럭과 본체를 연결하는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터미널 블럭과 본체의 연결기구를 공개하고, 본체는 메인 하우징과 메인 하우징의 일단 측의 중앙부분에서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하며, 제1방향으로 평행되는 돌출부의 양측 단면 상에 각각 걸림부가 설치되어 있고, 제1방향은 돌출부가 일단 측에 상대적으로 돌출된 방향으로 평행된다. 터미널 블럭은 돌출부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포함하고, 수용실은 제1방향으로 평행되는 양측 내표면 상에 각각 피걸림부가 형성된다. 또한, 양측 내표면에 수직되는 제2방향 상에서, 수용실의 양측에는 각각 단자가 설치된다. 터미널 블럭과 본체가 일체로 걸림 접합될 경우, 돌출부는 수용실 내에 수용되며, 또한 각각의 걸림부는 대응되는 피걸림부와 일체로 걸림 접합된다. 또한, 터미널 블럭과 본체 사이에는 제2방향을 따라 외부로 개구된 홀이 형성되며, 단자는 홀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chanism for connecting a terminal block and a main body without being limited by the size of the terminal block.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connection mechanism between a terminal block and a main body, the main body including a protrusion protruding from a central portion of one end side of the main housing and the main housing, wherein protrusions, which are parallel to the first direction, And the first direction is parallel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protrusions are relatively protruded on one end side. The terminal block includes a receiving portion for receiving the projecting portion, and the receiving chamber is formed with the engagement portion on each of the inner surface on both sides parallel to the first direction. In addition, terminals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accommodating chamber in the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inner surface on both sides. When the terminal block and the main body are engaged with each other, the projecting portion is received in the receiving chamber, and each of the engaging portions is engaged with the corresponding engaged portion integrally. Further, a hole is formed between the terminal block and the body along the second direction, and the terminal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hole.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연결기구에 있어서, 터미널 블럭과 본체가 일체로 걸림 접합될 경우, 터미널 블럭의 외주 윤곽과 본체의 외주 윤곽이 제2방향 상에서의 사이즈가 일치한다.Preferably, in the connection mechanism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terminal block and the main body are integrally coupled to each other, the outer contour of the terminal block and the outer contour of the main body coincide in size in the second direction.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연결기구에 있어서, 터미널 블럭과 본체가 일체로 걸림 접할될 경우, 터미널 블럭과 본체로 구성된 조합체는 제2방향 상의 양측 단면 상에서 각각 홀을 형성한다.Preferably, in the connection mechanism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terminal block and the main body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the combination of the terminal block and the main body forms a hole on each side surface in the second direction.

이러한 구조를 구비하면, 돌출부 상에 설치된 걸림부와 대응되는 피걸림부를 포함하는 걸림구조를 통하여 본체와 터미널 블럭을 용이하게 일체로 걸림 접합시킬 수 있고, 본체가 제2방향 상에서의 사이즈가 터미널 블럭이 제2방향 상에서의 사이즈보다 작게 설치할 필요가 없으며, 공간의 수요에 따라 정하고, 최대한 합리적으로 공간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걸림부는 돌출부의 제1방향 상의 양측 단면 상에 설치되고, 또한 터미널 블럭의 단자는 터미널 블럭과 본체 사이에서 제2방향을 따라 외부로 개구되어 형성된 홀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될 수 있으며, 따라서 사용자는 홀을 통하여 제2방향 상에서 단자를 보는 동시에 접촉할 수 있으며, 부피를 감소시킨 상황하에서 편리하게 배선을 실현할 수 있다.With such a structure, the body and the terminal block can be easily and integrally engaged with each other through the engagement structure including the engagement portion provided on the projection and the engagement portion including the engagement portion, and the size of the body in the second direction, It is not necessary to set the size in the second direction to be smaller than the size in the second direction. The terminals of the terminal block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holes formed outwardly along the second direction between the terminal block and the body, The user can contact the terminal while viewing the terminal in the second direction through the hole, and the wiring can be conveniently realized in a situation where the volume is reduced.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연결기구에 있어서, 제1방향으로 평행된 돌출부의 양측 단면이 탄성 변형을 할 수 있다.Preferably, in the connection mechanism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both end faces of the projection parallel to the first direction can be elastically deformed.

이러한 구조를 구비하면, 본체와 터미널 블럭의 상호 분리가 필요할 경우, 제1방향으로 평행되는 돌출부의 양측 단면이 용이하게 탄성 변형을 발생시킬 수 있어, 그 위에 설치된 걸림부 또한 따라서 변위가 발생하여 대응되는 피걸림부와의 걸림결합을 이탈하며, 따라서 편리하게 본체와 터미널 블럭을 분리시킨다.With such a structure, when the main body and the terminal block need to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both end faces of the projecting portion parallel to the first direction can easily generate elastic deformation, And thus easily separates the main body and the terminal block from each other.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연결기구에 있어서, 메인 하우징은 제2방향 상의 양측 외단면 상에 각각 누름부를 더 설치하였고, 외력이 누름부를 누를 경우, 각각의 누름부가 제1방향으로 평행되는 돌출부의 상응한 일측 단면을 인도하여 탄성 변형을 발생시킨다. Preferably, in the connecting mechanism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housing further includes a pressing portion on both outer end faces in the second direction, and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pressing portion, each pressing portion is parallel to the first direction Leading to a corresponding one-side cross-section of the projecting portion to cause elastic deformation.

이러한 구조를 구비하면, 사용자가 누름부에 대한 누름동작을 통하여 돌출부의 측단면을 인도하여 변형을 발생시킬 수 있고, 따라서 그 위에 설치된 걸림부 또한 따라서 변위가 발생하여 대응되는 피걸림부와의 걸림결합을 이탈하며, 이러한 구조를 통하여 사용자는 수동으로 본체와 터미널 블럭을 분리시킬 수 있고, 따라서 전용부품이 필요없이 터미널 블럭과 본체 사이의 걸림 접합을 서로 이탈시킬 수 있다.When such a structure is provided, the user can cause deformation by guiding the side end face of the projecting portion through the pressing operation with respect to the pressing portion, so that the displacement is generated along with the engaging portion provided thereon, With this structure, the user can manually separate the main body and the terminal block, so that the engagement between the terminal block and the main body can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without the need for dedicated parts.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연결기구에 있어서, 메인 하우징 상에는 구동부가 더 설치되어 있고, 터미널 블럭과 본체가 일체로 걸림 접합될 경우, 구동부는 메인 하우징과 터미널 블럭 사이에 위치하며, 또한 외력이 누름부를 누를 경우, 누름부가 구동부를 인도하여, 본체와 터미널 블럭을 분리시키는 방향에 따라 본체를 떠민다.Preferably, in the connection mechanism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a driving portion is further provided on the main housing. When the terminal block and the main body are integrally coupled to each other, the driving portion is positioned between the main housing and the terminal block, When an external force pushes the pressing portion, the pressing portion guides the driving portion and pushes the main body along the direction separating the main body and the terminal block.

이러한 구조를 구비하면, 사용자가 누름부에 대한 누름동작을 통하여 구동부를 인도하여 변위를 발생시킬 수 있고, 따라서 메인 하우징과 터미널 블럭을 분리시키는 방향에 따라 본체를 떠밀어 본체와 터미널 블럭을 더욱 용이하게 이탈시킨다.With such a structure, the user can guide the driving part through the pushing operation to the pushing part to generate the displacement. Therefore, the main body and the terminal block can be easily moved by pivoting the main body along the direction separating the main housing and the terminal block .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연결기구에 있어서, 걸림부와 피걸림부 중의 한면은 돌출되고 다른 한면은 대응되는 오목홈이다.Preferably, in the connection mechanism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one of the engaging portion and the engaging portion protrudes and the other surface is a corresponding concave groove.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연결기구에 있어서, 돌출부는 제1방향 상의 양측 단면 상에 각각 적어도 하나의 돌기가 더 설치된다.Preferably, in the connection mechanism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each of the projections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protrusion on each of both side surfaces in the first direction.

이러한 구조를 구비하면, 터미널 블럭과 본체가 일체로 걸림 접합될 경우, 돌출부에 형성된 양측 단면 상에 각각 더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돌기를 이용하여 터미널 블럭의 수용부 내주면과 본체의 돌출부 외주면 사이의 간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하고 양자가 상대적인 흔들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수 있으며, 전체 전자설비의 작동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었다.With such a structure, when the terminal block and the main body are integrally fastened together, at least one protrusion provided on both end surfaces formed on the protruding portion is used to define the distance betwee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of the terminal block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main body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absorb and prevent relative shaking of the two, and to significantly improve the operational reliability of the entire electronic equipment.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목적은 일종의 전자설비를 제공하는 것이고, 당해 설비는 전술된 터미널 블럭과 본체를 포함하는 연결기구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kind of electronic equipment, which is a connection mechanism including the above-described terminal block and a main body.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일종의 온도 조절계를 제공하는 것이고, 당해 온도 조절계는 전술된 터미널 블럭과 본체를 포함하는 연결기구이다.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kind of temperature controller, which is a connection mechanism including the above-described terminal block and a main body.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터미널 블럭과 본체의 연결기구는 터미널 블럭과 본체를 구비한 각종 전자설비 중에 사용될 수 있어, 사용자가 터미널 블럭에 상대적으로 터미널 블럭을 분해 또는 설치하는데 편리를 도모해 준다. 더 나아가서,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터미널 블럭과 본체를 사용한 전자설비는 온도 조절계일 수 있고, 당해 온도 조절계의 터미널 블럭은 입력, 출력 전기회로를 연결하는 복수개의 단자를 포함하며, 또한 터미널 블럭의 수용실 중에는 본체에 설치된 돌출부 중의 핀을 수신할 수 있는 핀 수신 부품이 설치되고, 이러한 장치를 통하여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터미널 블럭과 본체의 연결기구를 이용하여 당해 온도 조절계의 터미널 블럭과 본체를 일체로 연결할 경우, 본체 내의 핀이 터미널 블럭 내의 핀 수신 부품에 삽입됨으로써 복수개의 단자와 연결된 입력, 출력 전기회로를 통하여 작동을 진행한다.
The connection mechanism between the terminal block and the main body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various electronic equipment including the terminal block and the main body so that the user can conveniently disassemble or install the terminal block relative to the terminal block. Further, the electronic equipment using the terminal block and the main body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temperature controller, and the terminal block of the temperature controller includes a plurality of terminals connecting input and output electric circuits, The terminal block and the main body of the temperature control system are integral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using a connection mechanism between the terminal block and the main body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such a device. When connected, the pins in the main body are inserted into the pin receiving parts in the terminal block, thereby operating the input / output electric circuit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terminals.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기존 기술 중에서 터미널 블럭과 본체의 연결기구에 대한 설명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터미널 블럭과 본체의 연결기구의 분해설명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체의 입체설명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터미널 블럭의 입체설명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터미널 블럭과 본체가 일체로 조합될 경우의 조합체의 설명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n explanatory view of a connection mechanism between a terminal block and a main body among existing technologies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is an exploded view of a connection mechanism between a terminal block and a main bod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three-dimensional explanatory view of a main bod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terminal block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n explanatory view of a combination of a terminal block and a main bod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터미널 블럭과 본체의 연결기구의 분해설명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체의 입체설명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터미널 블럭의 입체설명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터미널 블럭과 본체가 일체로 조합될 경우의 조합체의 설명도이다.2 is an exploded view of a connection mechanism between a terminal block and a main bod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three-dimensional explanatory view of a main bod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terminal block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n explanatory view of a combination of a terminal block and a main bod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구체적으로, 첨부한 도면의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일종의 터미널 블럭과 본체의 연결기구를 나타내었으며, 본체(1)는 메인 하우징(11)과 메인 하우징(11)의 일단 측의 중앙부분에서 돌출된 돌출부(12)를 포함하고, 제1방향으로 평행되는 돌출부(12)의 양측 단면(121) 상에는 각각 걸림부(13)가 마련되며, 제1방향은 메인 하우징(11)에 대응되는 돌출부(12)의 일단 측에 돌출된 방향(예를 들면 명세서의 도 2 중의 화살표 A가 가리키는 방향)으로 평행된다. 터미널 블럭(2)는 돌출부(12)를 수용하는 수용실(21)을 포함하고, 수용실(21)은 제1방향으로 평행되는 양측 내표면 상에 각각 피걸림부(22)가 형성된다. 또한, 수용실(21)에 수직되어 걸림부(22)의 양측 내표면의 제2방향(예를 들면 명세서의 도 2 중의 화살표 B가 가리키는 방향) 상에 형성되며, 수용실(21)의 양측에는 각각 단자(23)가 마련되고, 터미널 블럭(2)과 본체(1)가 일체로 걸립접합될 경우, 돌출부(12)는 수용실(21) 내에 수용되며, 또한 각각의 걸림부(13)는 대응되는 피걸림부(22)와 일체로 걸림 접합된다. 또한, 터미널 블럭(2)과 본체(1) 사이에 제2방향에 따라 외부로 개구된 홀(3)이 형성되고, 단자는 홀(3)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홀(3)을 통하여 제2방향 상에서 상기 단자를 확인하면서 동시에 접촉할 수 있다. 2 to 5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a main body 1 includes a main housing 11 and a main housing 11, And a protrusion 12 protruding from a central portion of one end of the protrusion 12. The protrusion 12 is provided on both side surfaces 121 of the protrusion 12 parallel to the first direction, (For example, the direction indicated by the arrow A in FIG. 2 of the specification) projected to one end side of the protruding portion 12 corresponding to the protruding portion 11. The terminal block 2 includes a receiving chamber 21 for receiving the protruding portion 12 and the receiving chamber 21 is formed with a piercing portion 22 on each of inner side surfaces parallel to the first direction. 2) of the inner surface of the engaging portion 22 perpendicular to the housing chamber 21 and formed on both sides of the housing chamber 21 in the second direction (for example, When the terminal block 2 and the main body 1 are integrally fastened to each other, the protruding portion 12 is received in the receiving chamber 21, and each of the engaging portions 13, Is engaged with the corresponding engaged portion 22 integrally. A hole 3 is formed between the terminal block 2 and the main body 1 and opens outward along the second direction. The terminal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hole 3. Thus, the user can simultaneously contact the terminal 3 in the second direction while checking the terminal.

더 나아가서,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터미널 블럭과 본체의 연결기구에 있어서, 예를 들면 첨부한 도면의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미널 블럭(2)과 본체(1)가 일체로 걸림 접합될 경우, 터미널 블럭(2)의 외주 윤곽과 본체(1)의 외주 윤곽이 제2방향 상에서의 사이즈가 일치한다. 또한, 터미널 블럭(2)과 본체(1)가 일체로 걸림 접합될 경우, 터미널 블럭(2)과 본체(1)로 구성된 조합체는 제2방향 상의 양측 단면 상에서 각각 홀(3)을 형성한다.2 to 5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terminal block 2 and the main body 1 are integrally formed as a single unit The outer contour of the terminal block 2 and the outer contour of the main body 1 coincide in size in the second direction. When the terminal block 2 and the main body 1 are engaged with each other, the combination of the terminal block 2 and the main body 1 forms the holes 3 on both side faces in the second direction.

이러한 구조를 구비하면, 돌출부(12) 상에 설치된 걸림부(13)와 대응되는 피걸림부(22)를 포함한 걸림구조를 통하여 본체와 터미널 블럭을 용이하게 걸림 접합시킬 수 있고, 본체(1)는 제2방향 상의 사이즈가 터미널 블럭(2)의 제2방향 상의 사이즈보다 작게 설치할 필요가 없으며, 공간수요에 따라 정함으로서, 최대한 합리적으로 공간을 이용할 수 있다. 더 나아가서, 걸림부(13)는 돌출부(12)의 제1방향 상의 양측 단면 상에 설치되고, 터미널 블럭(2)의 단자(23)는 단자와 본체 사이에서 제2방향을 따라 외부로 개구가 형성된 홀(3)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될 수 있으며, 따라서 사용자는 홀(3)을 통하여 제2방향 상에서 단자(23)를 확인하는 동시에 접촉할 수 있고, 부피를 감소시킨 상황하에서 편리하게 배선을 실현할 수 있다. With such a structure, the main body and the terminal block can be easily engaged with each other through the engaging structure including the engaging portion 13 provided on the projecting portion 12 and the engaged portion 22, It is not necessary to set the size in the second direction smaller than the size in the second direction of the terminal block 2, and it is possible to use the space as much as possible by defining it according to the space demand. Further, the latching portion 13 is provided on both side end faces of the protruding portion 12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terminal 23 of the terminal block 2 is provided with an opening extending outward along the second direction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main body Can be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formed hole 3 so that the user can contact the terminal 23 in the second direction at the same time as checking the hole 23, Can be realized.

보다 구체적으로, 첨부한 도면의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연결기구에 있어서, 걸림부(13)는 제1방향으로 평행된 돌출부(12)의 양측 단면(121) 상에 각각 돌출된 2쌍의 돌기를 형성하고, 피걸림부(22)는 제1방향으로 평행되는 수용실(21)의 양측 내표면 상에 각각 형성된 대응되는 오목홈을 형성한다. 이러한 구조를 통하여 돌기와 대응되는 오목홈 사이의 걸림결합을 용이하게 이용하여 걸림부(13)와 대응되는 피걸림부(22)의 직접적인 걸림 또는 이탈을 실현할 수 있다.2 to 5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connection mechanism provided in accordance with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atching portion 13 includes a protrusion 12 parallel to the first direction, Two projections protruding from both end faces 121 of the accommodating chamber 21 are formed and the engaging portion 22 is provided with a corresponding concave groove formed on both inner surfaces of the accommodating chamber 21 parallel to the first direction . With this structure, it is possible to easily engage or disengage the engaging portion 22 corresponding to the engaging portion 13 by using the engagement between the projections and the corresponding concave grooves with ease.

더 나아가서,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터미널 블럭과 본체의 연결기구에 있어서, 제1방향으로 평행되는 돌출부(12)의 양측 단면(121)은 탄성 변형을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구비하면, 본체(1)와 터미널 블럭(2)를 상호 분리시켜야 할 경우, 제1방향으로 평행되는 돌출부(12)의 양측 단면(121)으로 하여금 용이하게 탄성 변형을 발생하게 함으로써 그 위에 마련된 걸림부(13) 또한 따라서 변위가 발생되어 대응되는 피걸림부(22)와의 걸림 결합으로부터 이탈하게 하며, 따라서 본체(1)와 터미널 블럭(2)를 편리하게 분리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연결기구에 있어서, 걸림부(13)가 돌기로 형성되고, 피걸림부(22)가 오목부로 형성됨으로써 돌출부(12)의 양측 단면(121)에 변형이 발생할 경우, 그 위에 형성된 돌기 또한 따라서 변위가 발생하게 되어, 편리하게 오목부로 형성된 피걸림부(22)와의 걸림 접합을 이탈하여 본체(1)와 터미널 블럭(2)를 분리시킨다. Furthermore, in the connection mechanism of the terminal block and the main body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both end faces 121 of the protruding portion 12 parallel to the first direction can elastically deform. With such a structure, when the main body 1 and the terminal block 2 are to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it is possible to easily cause elastic deformation at both side end faces 121 of the protruding portion 12 parallel to the first direction, The engaging portion 13 provided on the terminal block 2 is also displaced so as to be disengaged from the engaging portion 22 with the corresponding engaging portion 22 so that the main body 1 and the terminal block 2 are separated easily. More specifically, in the connection mechanism provided by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ngaging portion 13 is formed as a projection, and the engaging portion 22 is formed as a concave portion, The protrusions formed thereon are also displaced to separate the terminal block 2 from the main body 1 by releasing the engagement with the to-be-gripped portion 22 formed by the recess.

더 나아가서,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연결기구에 있어서, 메인 하우징(11)은 제2방향 상의 양측 외단면 상에 각각 누름부(14)가 더 설치되고, 외력으로 누름부(14)를 누를 경우, 각각의 누름부(14)는 제1방향으로 평행되는 돌출부(12)의 상응한 일측 단면(121)을 인도하여 탄성 변형을 발생시킨다.Furthermore, in the connection mechanism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housing 11 is provided with the pressing portions 14 on both outer side surfaces in the second direction, and when the pressing portions 14 are pressed with an external force , Each of the pushing portions (14) guides a corresponding one end face (121) of the projection (12) parallel to the first direction to generate elastic deformation.

이러한 구조를 구비하면, 사용자가 누름부(14)에 대한 누름동작을 통하여 돌출부(12)의 측단면을 인도하여 변형을 발생시킬 수 있고, 따라서 그 위에 설치된 걸림부(13)를 인도하여 이 또한 따라서 변위를 발생시켜 대응되는 피걸림부(22)와의 걸림결합을 이탈하게 한다. 이러한 구조를 통하여 사용자는 수동으로 본체(1)와 터미널 블럭(2)를 분리시킬 수 있고, 따라서 전용부품이 필요없이 터미널 블럭(2)과 본체(1) 사이의 걸림 접합을 서로 이탈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연결기구에 있어서, 누름부(14)는 각각 메인 하우징(11)이 제2방향 상에서의 양측 외단면 상의 탄성 변형할 수 있는 부분에 형성되고, 사용자가 누름부(14)를 누를 경우, 당해 누름부(14)는 탄성 변형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누름부(14)의 탄선변형은 전달을 통하여 제1방향으로 평행되는 돌출부(12)의 상응한 일측 단면(121)을 인도하여 탄성 변형을 발생시킴으로써 걸림부(13)와 피걸림부(22)의 걸림결합을 이탈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연결기구에 있어서, 첨부한 도면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측의 누름부(14)와 제1방향으로 평행되는 돌출부(12)의 상응한 일측 단면(121) 사이에 연결판(15)을 구비하고, 당해 연결판(15)은 각 누름부(14)의 일단과 제1방향으로 평행되는 돌출부(12)의 상응한 일측 단면(121)의 일단 사이에 연결되며, 따라서 사용자가 누름부(14)를 눌러 누름부(14)에 탄성 변형이 발생할 경우, 당해 누름부(14)의 탄성 변형이 연결판(15)을 인도하여 운동을 발생시키는 동시에 연결판(15)의 운동을 통하여 대응되는 일측 단면(121)의 일단을 인도하여 운동을 발생시킴으로써 대응되는 당해 일측 단면(121)에 탄성 변형이 발생하는 것을 초래하고, 따라서 이 일측 단면(121)을 인도하여 탄성 변형을 발생시킨다.With such a structure, the user can guide the side end surface of the protruding portion 12 through the pressing operation with respect to the pressing portion 14 to cause the deformation, thereby guiding the locking portion 13 provided thereon, Therefore, displacement is caused to cause the engagement with the corresponding engaged portion 22 to be released. With this structure, the user can manually separate the main body 1 and the terminal block 2, thereby releasing the engagement between the terminal block 2 and the main body 1 from each other without requiring a dedicated part. More specifically, in the connection mechanism provided by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of the pushing portions 14 is formed in a portion where the main housing 11 is elastically deformable on both outer side faces in the second direction The pressing portion 14 can be elastically deformed when the user presses the pressing portion 14 and the bending deformation of the pressing portion 14 can be prevented from being applied to the protruding portion 12 parallel to the first direction And the corresponding one end face 121 is guided to generate elastic deformation, thereby releasing the engagement between the engagement portion 13 and the engagement portion 22. More specifically, in the connection mechanism provided by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3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otruding portion 12, which is parallel to the first direction, And a connection plate 15 is provided between one corresponding end surface 121 of the protruding portion 12 and the connecting plate 15. The connecting plate 15 has a corresponding one end surface of the protruding portion 12 parallel to the first direction, When the user depresses the pressing portion 14 to cause the pressing portion 14 to undergo elastic deformation, the elastic deformation of the pressing portion 14 guides the connecting plate 15 Movement is generated and at the same time, one end of the corresponding one end face 121 is guided through the movement of the connecting plate 15 to generate a motion, thereby causing elastic deformation to the corresponding one end face 121, So that one end face 121 is guided to generate elastic deformation.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연결기구에 있어서, 메인 하우징(11) 상에 구동부(16)가 더 설치되어 있고, 터미널 블럭(2)과 본체(1)가 일체로 걸림 접합될 경우 구동부(16)는 메인 하우징(11)과 터미널 블럭(2) 사이에 위치하며, 또한 외력이 누름부(14)를 누를 경우 누름부(14)는 구동부(16)를 인도하여 본체(1)와 터미널 블럭(2)이 분리되는 방향을 따라 본체(1)를 떠민다.More specifically, in the connection mechanism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ing unit 16 is further provided on the main housing 11. When the terminal block 2 and the main body 1 are integrally joined to each other, The pressing portion 14 is disposed between the main body 1 and the terminal block 2 and the pushing portion 14 guides the driving portion 16 when the external force pushes the pressing portion 14, The main body 1 is pivoted alo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block 2 is separated.

이러한 구조를 구비하면, 사용자가 누름부(14)에 대한 누름동작을 통하여 구동부(16)를 인도하여 변위를 발생시킬 수 있고, 본체(1)와 터미널 블럭(2)이 분리되는 방향에 따라 본체(1)를 떠밀어 본체(1)와 터미널 블럭(2)이 더욱 용이하게 이탈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연결기구에 있어서, 첨부한 도면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16)는 각각 각 측 연결판(15) 상에 설치된, 터미널 블럭(2)를 향해 돌출된 돌기이며, 따라서 사용자가 누름부(14)를 눌러 누름부(14)에 탄성 변형이 발생할 경우, 당해 누름부(14)의 탄성 변형은 연결판(15)을 인도하여 운동을 발생시키며, 더 나아가서, 연결판(15) 상에서 돌기로 형성된 구동부(16)를 인도하여 운동을 발생시키는 동시에 운동하는 당해 구동부(16)를 통하여 본체(1)와 터미널 블럭(2)가 서로 분리되는 방향상에서 본체(1) 상의 대응되는 구조를 떠밀게 함으로써 누름부(14)를 이용하여 걸림부(13)와 피걸림부(22)의 걸림 접합을 이탈시키는 과정에서 구동부(16)를 이용하여 본체(1)와 터미널 블럭(2)이 서로 분리되는 방향을 따라 운동하게 하며, 따라서 사용자가 본체(1)와 터미널 블럭(2)을 분리하는 것이 더욱 편리해진다. With such a structure, the user can guide the driving unit 16 through the pushing operation with respect to the pressing unit 14 to generate the displacement, and the main body 1 and the terminal block 2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main body 1 and the terminal block 2 are separated. So that the main body 1 and the terminal block 2 are more easily detached. More specifically, in the connection mechanism provided by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3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driving portion 16 includes a terminal block 15, When the user depresses the pressing portion 14 to cause the pressing portion 14 to undergo elastic deformation, the elastic deformation of the pressing portion 14 leads the connecting plate 15 And the main body 1 and the terminal block 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driving part 16 which generates the motion and simultaneously generates the motion by guiding the driving part 16 formed by the projection on the connecting plate 15 The corresponding structure on the main body 1 is released in the separating direction so that the engaging portion 13 and the engaged portion 22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the pressing portion 14 using the driving portion 16 The direction in which the main body 1 and the terminal block 2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the LA movement, and thus it becomes more convenient to the user and remove the main unit 1 and the terminal block (2).

또한,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연결기구에 있어서, 돌출부(12)는 제1방향 상의 양측 단면(121) 상에 각각 적어도 하나의 돌기를 더 설치한다.Further, in the connection mechanism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truding portion 12 further includes at least one protrusion on each of the opposite end faces 121 in the first direction.

이러한 구조를 구비하면, 터미널 블럭(2)과 본체(1)가 걸림 접합될 경우, 돌출부(12)의 양측 단면(121) 상에 각각 더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돌기를 이용하여 터미널 블럭(2)의 수용실(21) 내주면과 본체(1)의 돌출부(12)의 외주면 사이의 간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고, 양자가 상대적인 흔들림을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며, 전반적으로 전자설비의 작업 신뢰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With this structure, when the terminal block 2 and the main body 1 are engaged with each other, at least one protrusion provided on both side surfaces 121 of the protrusion 12 is used to fix the terminal block 2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absorb the gap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ccommodating chamber 21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rotruding portion 12 of the main body 1 and to prevent relative swinging between them, .

상기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그와 관련된 도면으로서, 바람직한 실시예 및 도면만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는 결코 본 발명의 기술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며, 무릇 동일한 기술수단 또는 특허청구범위의 구성 내용에 포괄되는 권리범위를 위해 실시하는 것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았으며, 출원인의 권리범위에 속해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taken by way of limita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예를 들면,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걸림부(13)는 제1방향으로 평행되는 돌출부(12)의 양측 단면(121) 상에서 각각 돌출된 2쌍의 돌기로 형성되고, 피걸림부(22)는 제1방향으로 평행되는 수용실(21)의 양측 내표면 상에 각각 형성된 대응되는 오목홈으로 형성된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는 실제 디자인과 사용 수요에 따라 걸림부(13)와 피걸림부(22)의 수량 및 구조형식을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걸림부(13)는 오목부로 형성될 수 있고, 피걸림부(22)는 돌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다만 양자가 본체(1)와 터미널 블럭(2)을 일체로 걸림 접합시킬 수만 있으면 된다.For example, in the above preferred embodiment, the engaging portion 13 is formed of two pairs of projections projecting on both side surfaces 121 of the projecting portion 12 parallel to the first direction, and the engaged portion 22 Are formed with corresponding concave grooves respectively formed on both inner surfaces of the accommodating chamber 21 parallel to the first direc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 person skilled in the art can arbitrarily select the quantity and the structure type of the latching portion 13 and the latching portion 22 according to actual design and use demand. For example, the latching part 13 may be formed as a recess, and the engaging part 22 may be formed as a protrusion, but both of them may be engaged with the body block 1 and the terminal block 2 in an integral manner Only a few.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누름부(14)와 제1방향으로 평행되는 돌출부(12)의 상응한 일측 단면(121) 사이에 연결판(15)을 구비하고, 당해 연결판(15)을 이용하여 누름부(14)의 탄성 변형을 상응한 일측 단면(121) 상에 전달한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는 실제 디자인과 사용 수요에 따라 각종 구조형식을 선택하여 누름부(14)의 탄성 변형을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누름부(14)와 대응되는 일측 단면(121) 사이에 기둥모양의 부품을 설치하거나 또는 직접 누름부(14) 또는 대응되는 일측 단면(121)을 경사면으로 형성하여 양자의 단부가 서로 연결되도록 하여, 누름부(14)의 탄성 변형을 대응되는 일측 단면(121)에 전달할 수만 있으면 된다.The connecting plate 15 is provided between one end surface 121 of the pressing portion 14 and the corresponding protruding portion 12 parallel to the first direction. To transmit the elastic deformation of the pressing portion (14) to the corresponding one end surface (121).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a person skilled in the art can select various structural types according to the actual design and use demand to transmit the elastic deformation of the pressing portion 14. For example, a columnar component may be provided between the pushing portion 14 and one end face 121 corresponding thereto, or the pushing portion 14 or the corresponding one end face 121 may be formed as an inclined face, So long as it is possible to transmit the elastic deformation of the pressing portion 14 to the corresponding one end face 121.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구동부(16)는 각각 연결판(15) 상에 설치된, 터미널 블럭(2)를 향해 돌출된 돌기이며, 연결판(15)의 운동을 이용하여 당해 돌기를 인도하여 본체(1)를 상대적으로 떠민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는 실제 디자인과 사용 수요에 따라 각종 구조형식을 임의로 선택하여 구동부로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누름부(14)의 하단에 직접 돌기를 설치하여 본체(1)의 상응한 구조를 떠밀거나 또는 당해 구동부(16)를 누름부(14)와 대응되는 일측 단면(121)을 연결하는 경사부품 등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당해 구동부(16)를 이용하여 터미널 블럭(2)에 상대적으로 본체(1)를 떠밀 수만 있으면 된다.
In the above embodiment, the driving unit 16 is a projection which is provided on the connecting plate 15 and protrudes toward the terminal block 2, and guides the projection using the movement of the connecting plate 15 Thereby relatively lifting the main body 1.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a person skilled in the art can arbitrarily select various structure types according to the actual design and use demand, thereby making the driving part. For example, protrusions may be provided directly on the lower end of the pressing portion 14 to hold the corresponding structure of the main body 1, or to connect the driving portion 16 to one end face 121 corresponding to the pressing portion 14 And it is sufficient that the main body 1 can be relatively hinged to the terminal block 2 by using the driving part 16. [

1 : 본체 2 : 터미널 블럭(단자대)
11 : 하우징 12 : 돌출부
13 : 걸림부 14 : 누름부
15 : 연결판 16 : 구동부
21 : 수용실 22 : 피걸림부
121 : 일측 단면
1: Main unit 2: Terminal block (terminal block)
11: housing 12:
13: engaging part 14:
15: connecting plate 16:
21: accommodating chamber 22:
121: one side section

Claims (10)

터미널 블럭과 본체의 연결기구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메인 하우징과 상기 메인 하우징의 일단 측의 중앙부분에서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하고, 제1방향으로 평행되는 상기 돌출부의 양측 단면 상에 각각 걸림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방향은 상기 돌출부가 상기 일단 측에 상대적으로 돌출된 방향으로 평행되며,
상기 터미널 블럭은 수용실을 포함하고, 상기 수용실은 상기 돌출부를 수용하며, 상기 수용실은 상기 제1방향으로 평행되는 양측 내표면 상에 각각 피걸림부가 형성되고, 또한, 상기 양측 내표면에 수직되는 제2방향 상에서, 상기 수용실의 양측에는 각각 단자가 설치되며,
상기 터미널 블럭과 상기 본체가 일체로 걸림 접합될 경우, 상기 돌출부는 상기 수용실 내에 수용되고, 또한 각각의 상기 걸림부는 대응되는 피걸림부와 일체로 걸림 접합되며, 또한 상기 터미널 블럭과 상기 본체 사이에는 상기 제2방향을 따라 외부로 개구된 홀이 형성되고, 상기 단자는 상기 홀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터미널 블럭의 외주 윤곽과 상기 본체의 외주 윤곽이 상기 제2방향 상에서의 사이즈가 일치하고, 상기 터미널 블럭과 상기 본체로 구성된 조합체는 상기 제2방향 상의 양측 단면 상에서 각각 상기 홀을 형성하고,
상기 제1방향으로 평행되는 상기 돌출부의 양측단면이 탄성 변형될 수 있고,
상기 메인 하우징은 상기 제2방향 상의 양측 외단면 상에 각각 누름부가 더 설치되고, 외력이 상기 누름부를 누를 경우, 각각의 상기 누름부가 상기 제1방향으로 평행되는 상기 돌출부의 상응한 일측 단면을 인도하여 탄성 변형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블럭과 본체의 연결기구.
In the connection mechanism between the terminal block and the main body,
Wherein the main body includes a main housing and a protruding portion protruding from a central portion of one end side of the main housing, and each of the engaging portions is provided on both end faces of the protruding portion parallel to the first direction, Is parallel to a direction protruding relatively to the one end side,
Wherein the terminal block includes a receiving chamber, and the receiving chamber receives the protruding portion, the receiving chamber being formed with a to-be-engaged portion on each of inner inner surfaces parallel to the first direction, Terminals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accommodating chamber in the second direction,
Wherein the projecting portion is received in the accommodating chamber when the terminal block and the main body are integrally joined to each other, and each of the engaging portions is engaged with the corresponding engaged portion integrally, Wherein the terminal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hole and the outer contour of the terminal block and the outer contour of the body are sized in the second direction Wherein the combination of the terminal block and the body forms the holes on both side faces in the second direction,
Both end faces of the protrusion parallel to the first direction can be elastically deformed,
Wherein the main housing is provided with pushing portions on both side outer end faces in the second direction, and when an external force pushes the pushing portion, each of the pushing portions pushes a corresponding one side end face of the protrusion parallel to the first direction Thereby causing elastic deformation of the terminal block.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하우징 상에는 구동부가 더 설치되어 있고, 상기 터미널 블럭과 상기 본체가 일체로 걸림 접합될 경우, 상기 구동부는 상기 메인 하우징과 상기 터미널 블럭 사이에 위치하며, 또한 외력이 상기 누름부를 누를 경우, 상기 누름부는 상기 구동부를 인도하여 상기 본체와 상기 터미널 블럭을 분리시키는 방향에 따라 상기 본체를 떠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블럭과 본체의 연결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ain housing is further provided with a driving part, and when the terminal block and the main body are integrally coupled to each other, the driving part is located between the main housing and the terminal block, and when an external force pushes the pressing part, Wherein the pushing part guides the driving part to move the main body in a direction to separate the main body and the terminal block.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와 상기 피걸림부 중의 한면은 돌출되고, 다른 한면은 대응되는 오목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블럭과 본체의 연결기구.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one of the engagement portion and the engagement portion is protruded and the other surface is a corresponding concave groove.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1방향 상의 양측 단면 상에 각각 적어도 하나의 돌기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블럭과 본체의 연결기구.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project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protrusion on both side faces in the first direction.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상기 터미널 블럭과 본체의 연결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설비.An electronic equipment comprising a connection mechanism of the terminal block and a main body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상기 터미널 블럭과 본체의 연결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 조절계.A temperature controller comprising the terminal block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and a connection mechanism between the terminal block and the main body.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40016976A 2013-03-22 2014-02-14 Terminal block and connect the console appliance, containing electronic equipment and temperature controller KR101604898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320136416.7 2013-03-22
CN2013201364167U CN203225381U (en) 2013-03-22 2013-03-22 Connection mechanism of terminal block and body, electronic equipment comprising connection mechanism, and temperature regulator comprising connection mechanis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5946A KR20140115946A (en) 2014-10-01
KR101604898B1 true KR101604898B1 (en) 2016-03-18

Family

ID=49252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6976A KR101604898B1 (en) 2013-03-22 2014-02-14 Terminal block and connect the console appliance, containing electronic equipment and temperature controller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217475B2 (en)
KR (1) KR101604898B1 (en)
CN (1) CN203225381U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97316A (en) 2001-12-26 2003-07-11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Plug connector, and receptacle connector coupled to the plug connector
JP2009009896A (en) 2007-06-29 2009-01-15 Hosiden Corp Connector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50297U (en) * 1982-04-02 1983-10-08 富士電機株式会社 Rail-mounted socket device with screw terminal
JP2855880B2 (en) * 1991-04-11 1999-02-10 富士電機株式会社 Socket with finger protector for electromagnetic relay
JP4767459B2 (en) * 2001-09-20 2011-09-07 音羽電機工業株式会社 Arrester device
DE102006034164B4 (en) * 2006-05-09 2008-07-31 Dehn + Söhne Gmbh + Co. Kg Multipole lightning current and / or surge arrester in terminal block desig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97316A (en) 2001-12-26 2003-07-11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Plug connector, and receptacle connector coupled to the plug connector
JP2009009896A (en) 2007-06-29 2009-01-15 Hosiden Corp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4187018A (en) 2014-10-02
KR20140115946A (en) 2014-10-01
JP6217475B2 (en) 2017-10-25
CN203225381U (en) 2013-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963431B (en) Electronic device
US9545027B2 (en) Clip and electronic device using same
KR101998077B1 (en) Connector Apparatus with CPA
KR101648720B1 (en) Half fitting detection apparatus of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using the same
TWI602362B (en) Carrier module and connector module
JP2018206566A (en) Connector installation structure and terminal block
JP2018010789A (en) Multiple optical axis photoelectric sensor
CN108110496B (en) Connector with a locking member
KR101423117B1 (en) Connector assembly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20140087420A (en) Connectors and connector assembly having the same
KR101604898B1 (en) Terminal block and connect the console appliance, containing electronic equipment and temperature controller
TW201925965A (en) Main board module
TWI473556B (en) Snap-engagement structure
WO2014175372A1 (en) Connector
KR20170078199A (en) Front Holder and Terminal Block having the same
TWM448074U (en) Thin wire to board connector assembly
JP4764769B2 (en) Electrical equipment connection structure
CN220710764U (en) Connector and automobile
CN110139520B (en) Electrical apparatus box and building control system
CN112817386B (en) Expansion card mounting structure and circuit assembly
KR20200043229A (en) Connector
KR20110038742A (en) Movable connector
KR101672520B1 (en) Apparatus for fixing motor of electric parking brake
KR100956541B1 (en) Assembling and disassembling apparatus for connectors
JPH1140266A (en) Lock structure of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