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2955B1 - 모바일 단말 장치를 사용하여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는 방법, 이를 사용한 헤드 유닛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모바일 단말 장치를 사용하여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는 방법, 이를 사용한 헤드 유닛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2955B1
KR101602955B1 KR1020140038121A KR20140038121A KR101602955B1 KR 101602955 B1 KR101602955 B1 KR 101602955B1 KR 1020140038121 A KR1020140038121 A KR 1020140038121A KR 20140038121 A KR20140038121 A KR 20140038121A KR 101602955 B1 KR101602955 B1 KR 1016029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dio data
mobile terminal
sound source
terminal device
head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81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13727A (ko
Inventor
민경오
이정석
한두현
김한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비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비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비고
Priority to KR10201400381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2955B1/ko
Publication of KR201501137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37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29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29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2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displays, e.g. cathodic tub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2213/0042Universal serial bus [USB]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2213/38Universal adapter
    • G06F2213/3806Mobile devic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11B2020/1062Data buffering arrangements, e.g. recording or playback buffers
    • G11B2020/1075Data buffering arrangements, e.g. recording or playback buffers the usage of the buffer being restricted to a specific kind of data
    • G11B2020/10787Data buffering arrangements, e.g. recording or playback buffers the usage of the buffer being restricted to a specific kind of data parameters, e.g. for decoding or encod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20/10935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wherein a time constraint must be met
    • G11B2020/10944Real-time recording or reproducing, e.g. for ensuring seamless playback of AV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헤드 유닛이 모바일 단말 장치를 사용하여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a) 모바일 단말 장치가 차량의 헤드 유닛에 연결되면, 상기 헤드 유닛은, 재생하고자 하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응되는 식별 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 및 (b) 상기 모바일 단말 장치가 상기 오디오 데이터에 대응되는 식별 정보를 참조로 하여 결정된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PCM 음원으로서 추출하면, 상기 헤드 유닛은, 상기 추출된 PCM 음원에 대한 데이터를 USB 벌크 채널(USB Bulk Channel)을 통해 전송 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의 헤드 유닛이 모바일 단말 장치를 사용하여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모바일 단말 장치의 액세서리 프로토콜에 관계없이, 모바일 단말 장치를 사용하여 차량의 헤드 유닛에 사운드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모바일 단말 장치를 사용하여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는 방법, 이를 사용한 헤드 유닛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METHOD FOR REPLAYING AUDIO DATA BY USING MOBILE TERMINAL AND HEAD UNIT AND COMPUTER-READABLE RECODING MEDIA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 장치를 사용하여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는 방법, 이를 사용한 헤드 유닛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모바일 단말 장치가 차량의 헤드 유닛에 연결되면, 상기 헤드 유닛은, 재생하고자 하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응되는 식별 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 장치에 전송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 장치가 상기 오디오 데이터에 대응되는 식별 정보를 참조로 하여 결정된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PCM 음원으로서 추출하면, 상기 헤드 유닛은, 상기 추출된 PCM 음원에 대한 데이터를 USB 벌크 채널(USB Bulk Channel)을 통해 전송 받아 재생하는 방법, 헤드 유닛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모바일 단말 장치를 사용하여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는 방법은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단말 장치를 차량의 헤드 유닛으로 USB 케이블 연결을 이용하여 차량의 헤드 유닛에서 인식할 수 있는 파일 시스템 형식의 이동식 저장매체로 접근하며, 모바일 단말 장치의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음원 파일들을 처리하는 구조는 USB 메모리와 동일한 파일 시스템 서비스 구조를 가진다. 이와 같은 USB 이동식 저장매체를 통한 음원 파일 서비스의 경우, 헤드 유닛에 별도의 음원 재생을 위한 디코더가 필요하며, 헤드 유닛의 시스템 자원의 사용이 급증하게 된다.
또한, USB 액세서리 프로토콜(USB Accessory Protocol)이 적용되어 모바일 단말 장치의 운영체제 및 종류에 따라서 USB 연결로 다른 장치에 사운드가 제공 되는 장치가 있으나, 반면에 USB 연결로 사운드가 전혀 제공 되지 않는 장치의 경우가 많다.
앞서 언급한, USB 연결로 사운드가 제공 되는 장치에는 iAP(iOS Accessory Protocol - iPod out)의 지원이 되는 아이폰과 AOAP(Android Open Accessory Protocol) 버전 2.0의 지원이 되는 안드로이드폰 등이 있으며, 일반적으로, USB 연결로 사운드가 제공되는 경우는 도 1에 도시된 구조와 같이 USB 등시성 채널(Isochronous Channel)을 통하여 사운드가 제공된다. 하지만, 현재 차량의 헤드 유닛에 탑재된 AOAP 프로토콜은 대부분 버전 1.0 기반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USB 연결로 사운드가 제공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종래기술로는 모바일 단말 장치를 사용하여 차량의 헤드 유닛에 사운드를 제공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모바일 단말 장치의 액세서리 프로토콜에 의존하지 않는, 모바일 단말 장치를 사용하여 차량의 헤드 유닛에 사운드를 제공하는 기술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모두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 장치의 액세서리 프로토콜에 관계없이, 모바일 단말 장치를 사용하여 차량의 헤드 유닛에 사운드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헤드 유닛에 별도의 음원 재생을 위한 디코더가 필요로 하지 않으며, 헤드 유닛의 시스템 자원의 사용이 급증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고, 후술하는 본 발명의 특징적인 효과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은 하기와 같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a) 모바일 단말 장치가 차량의 헤드 유닛에 연결되면, 상기 헤드 유닛은, 재생하고자 하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응되는 식별 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와 (b) 상기 모바일 단말 장치가 상기 오디오 데이터에 대응되는 식별 정보를 참조로 하여 결정된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PCM 음원으로서 추출하면, 상기 헤드 유닛은, 상기 추출된 PCM 음원에 대한 데이터를 USB 벌크 채널(USB Bulk Channel)을 통해 전송 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의 헤드 유닛이 모바일 단말 장치를 사용하여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모바일 단말 장치를 사용하여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는 차량의 헤드 유닛으로서, 모바일 단말 장치가 차량의 헤드 유닛에 연결되면, 재생하고자 하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응되는 식별 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 장치에 전송하는 재생 요청부;와 상기 모바일 단말 장치가 상기 오디오 데이터에 대응되는 식별 정보를 참조로 하여 결정된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PCM 음원으로서 추출하면, 상기 추출된 PCM 음원에 대한 데이터를 USB 벌크 채널을 통해 전송 받는 음원 획득부;를 포함하는 헤드 유닛이 제공된다.
이 외에도, 본 발명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더 제공된다.
본 발명은 USB 등시성 채널을 이용하지 않고 모바일 단말 장치의 사운드를 헤드 유닛에 제공하므로, 모바일 단말 장치의 액세서리 프로토콜에 관계없이, 모바일 단말 장치를 사용하여 차량의 헤드 유닛에 사운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헤드 유닛에 별도의 음원 재생을 위한 디코더가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디코더 사용으로 발생되는 헤드 유닛의 CPU와 같은 헤드 유닛의 시스템 자원의 사용이 급증되는 것을 방지하여 헤드 유닛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모바일 단말 장치를 사용하여 스피커 장치로 사운드를 출력하여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헤드 유닛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단말 장치를 사용하여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단말 장치를 사용하여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는 방법의 준비 단계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단말 장치를 사용하여 모바일 단말 장치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단말 장치를 사용하여 외부 저장소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것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차량 헤드 유닛의 내부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 유닛(200)은, 재생 요청부(210), 음원 획득부(220), 음원 재생 관리부(230), 템플릿 관리부(240), 통신부(250) 및 제어부(260) 등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 실시예의 경우에 따라서, 재생 요청부(210), 음원 획득부(220), 음원 재생 관리부(230), 템플릿 관리부(240), 통신부(250) 및 제어부(260)는 그 중 적어도 일부가 모바일 단말 장치(100)와 통신하는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로 헤드 유닛(200)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들은 운영 시스템, 응용 프로그램 모듈 및 기타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로 헤드 유닛(200)에 포함될 수 있으며, 물리적으로는 여러 가지 공지의 기억 장치 상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들은 헤드 유닛(200)과 통신 가능한 원격 기억 장치에 저장될 수도 있다. 한편,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들은 본 발명에 따라 후술할 특정 업무를 수행하거나 특정 추상 데이터 유형을 실행하는 루틴, 서브루틴, 프로그램, 오브젝트, 컴포넌트, 데이터 구조 등을 포괄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우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재생 요청부(210)는, 모바일 단말 장치(100)가 차량의 헤드 유닛(200)에 연결되면, 재생하고자 하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응되는 식별 정보를 모바일 단말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재생 요청부(210)가 모바일 단말 장치(100)에 전송하는 식별 정보는, 헤드 유닛(20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오디오 데이터의 목록 중에서 차량의 사용자가 선택한 오디오 데이터의 인덱스가 될 수 있으며, 오디오 데이터가 모바일 단말 장치(100)와 통신되는 외부의 저장소(600) - 도 6에 도시된 클라우드 서비스 또는 스트리밍 서비스 등과 같은 서비스로서 제공되는 외부 저장소 - 에 저장되어 있을 경우, 재생 요청부(210)는 모바일 단말 장치(100)가 상기 외부의 저장소(600)에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요청하는 것을 지원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음원 획득부(220)는, 모바일 단말 장치(100)가 재생 요청부(210)에 의해 전송된 오디오 데이터에 대응되는 식별 정보를 참조로 하여서 결정된 오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PCM 음원으로서 추출하면, 추출된 PCM 음원에 대한 데이터를 USB 벌크 채널(USB Bulk Channel, 300)을 통해 전송 받을 수 있다. 물론, 모바일 단말 장치(100)가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함과 동시에, 상기 음원 획득부(220)는 실시간으로, 모바일 단말 장치(100)가 추출하는 상기 PCM 음원에 대한 데이터를 USB 벌크 채널을 통해 전송 받을 수도 있을 것이다.
다른 예로서, 상기 오디오 데이터가 모바일 단말 장치(100)와 통신되는 외부의 저장소(600)에 저장되어 있을 경우, 모바일 단말 장치(100)가 외부의 저장소(600)에서 오디오 데이터를 전달 받아서 임시로 저장하고 이를 디코딩하여 PCM 음원으로서 추출하면, 상기 음원 획득부(220)는 상기 추출된 PCM 음원에 대한 데이터를 USB 벌크 채널(300)을 통해 전송 받을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임시 저장되는 오디오 데이터가 디코딩을 위하여 소정 크기(가령, 최소의 크기)의 단위로 지속적으로 제공되어 디코딩된다면, 상기 음원 획득부(220)는, 상기 임시 저장되는 오디오 데이터가 디코딩을 위한 최소의 크기의 단위로 지속적으로 제공되어 디코딩되어 추출된 PCM 음원에 대한 데이터를 USB 벌크 채널(300)을 통해 전송 받을 수도 있을 것이다. 물론, 상기 음원 획득부(220)는, 앞에서도 언급했듯이, 상기 모바일 단말 장치(100)가 상기 클라우드 서비스 또는 스트리밍 서비스 등의 서비스로서 제공되는 외부의 저장소(600)에서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전달 받아 임시 저장하고 이를 디코딩하여 추출된 PCM 음원에 대한 데이터를 USB 벌크 채널(300)을 통하여 전송 받을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음원 재생 관리부(230)는, USB 벌크 채널(300)을 통해 추출된 PCM 음원에 대한 데이터를 음원 획득부(220)가 전송 받으면, PCM 음원 데이터를 사운드 출력을 위한 시스템 버퍼로 기록하여, 상기 헤드 유닛의 스피커로 상기 PCM 음원이 재생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헤드 유닛(200)은 연동이 되는 애플리케이션들을 유형별로 분류하고, 동일한 유형의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류의 템플릿이 대응되도록 기록하여 관리하는 템플릿 관리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템플릿 관리부(240)는 헤드 유닛에 연동이 가능한 애플리케이션들을 음악 재생 형태의 애플리케이션류, 뉴스 제공 형태의 애플리케이션류, 내비게이션 형태의 애플리케이션류 등(뉴스나 내비게이션 서비스 등의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에도 오디오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음)의 여러 유형별로 분류하고 동일한 유형의 애플리케이션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류의 템플릿이 대응되도록 기록하여 관리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헤드 유닛(200)에 연동이 되는 애플리케이션들 중에서 음악 재생 형태의 애플리케이션류로 분류된 애플리케이션을 음악 재생 형태의 유형으로 분류된 템플릿에 대응되도록 기록하여 관리할 수 있으므로, 모바일 단말 장치(100)의 헤드 유닛(200)과 연동되어 음악 재생 형태의 애플리케이션류로 분류된 애프리케이션을 음악 재생 형태의 유형으로 분류된 템플릿에 대응되도록 기록하여 관리할 수 있겠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통신부(250)는 헤드 유닛(200)이 모바일 단말 장치(100)와 같은 외부 시스템과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제어부(260)는 재생 요청부(210), 음원 획득부(220), 음원 재생 관리부(230), 템플릿 관리부(240), 통신부(250) 간의 데이터의 흐름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제어부(260)는 외부로의/외부로부터의 또는 헤드 유닛(200)의 각 구성요소 간의 데이터의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재생 요청부(210), 음원 획득부(220), 음원 재생 관리부(230), 템플릿 관리부(240), 통신부(250)에서 각각 고유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단말 장치를 사용하여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는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USB 등시성 채널(Isochronous Channel)이 지원되지 않는 환경에서, 헤드 유닛(200)과 모바일 단말 장치(100) 사이의 USB 벌크 채널(300)을 통해 제어 정보 및 오디오 정보를 주고 받아, 차량의 헤드 유닛(200)이 모바일 단말 장치(100)를 사용하여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도록 서비스를 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을 이용하여 차량의 헤드 유닛이 모바일 단말 장치를 사용하여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은, 모바일 단말 장치(100), 헤드 유닛(200) 및 USB 벌크 채널(30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마트폰, 태블릿 등의 모바일 단말 장치(100)가 차량의 헤드 유닛(200)에 연결되면, 상기 헤드 유닛은, 재생하고자 하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응되는 식별 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 장치에 전송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 장치(100)가 상기 오디오 데이터에 대응되는 식별 정보를 참조로 하여 결정된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디코더(110)를 이용하여 디코딩하여 PCM 음원으로서 추출할 수 있으며, 상기 헤드 유닛(200)은, 상기 추출된 PCM 음원에 대한 데이터를 USB 벌크 채널(300)을 통해 전송 받을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헤드 유닛(200)은, 상기 PCM 음원 데이터를 사운드 출력을 위한 시스템 버퍼로 기록하여, 상기 헤드 유닛의 스피커로 상기 PCM 음원이 재생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 장치(100)를 사용하여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는 방법의 준비 단계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모바일 단말 장치(100)과 헤드 유닛(200) 간의 탐색 및 연결 과정과 오디오 데이터 목록이 전송되는 것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령,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단말 장치(100)는 저장되어 있는 음원 목록으로서 오디오 데이터 목록을 헤드 유닛(200)으로 전송(i)하고, 상기 헤드 유닛(200)은 오디오 데이터 목록을 이용하여 화면 구성을 모두 완료한 다음 Ready 제어 정보를 전송(ii)하여, 모바일 단말 장치(100)과 헤드 유닛(200) 간의 탐색 및 연결이 USB 벌크 채널(300)을 통하여 사전에 준비하여 완료된 것을 알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 장치(100)를 사용하여 모바일 단말 장치(10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USB 벌크 채널(300)을 통해 헤드 유닛(200)에서 모바일 단말 장치(100)의 음원을 재생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헤드 유닛(200)에서 재생하고자 하는 음악을 목록에서 선택하여 인덱스로서 재생될 오디오 데이터의 식별 정보를 모바일 단말 장치(100)에 전송(1)할 수 있으며, 모바일 단말 장치(100)는, 헤드 유닛(200)과 연동되는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선택된 음원 파일을 PCM 음원 추출을 위하여 디코더(110)을 이용하여 재생 오디오 데이터를 디코딩(2)하는 것을 시작할 수 있으며, 디코딩(2)을 수행하는 동시에 실시간으로 추출되는 PCM 음원 데이터를 USB 벌크 채널(300)을 통해서 헤드 유닛(200)으로 전송(3)할 수 있다. 또한, 헤드 유닛(200)에서는 실시간으로 전달되는 PCM 음원 데이터를 별도의 디코더를 사용하지 않고 사운드 출력이 가능한 시스템 버퍼로 기록하여, 헤드 유닛(200)의 스피커로 PCM 음원을 재생(4)할 수 있을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 장치를 사용하여 외부 저장소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단말 장치(100)에 저장되어 있는 로컬 파일 뿐만 아니라 클라우드 상에 저장되어 있거나 혹은 스트리밍 서비스를 통한 음원들도 동일하게 외부 저장소(600)에 저장된 데이터로서 처리하는 것을 지원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차량의 사용자가 헤드 유닛의 재생하고자 하는 음악을 목록에서 선택하면, 헤드 유닛(200)은 사용자가 선택한 오디오 데이터의 인덱스와 같은 식별 정보를 모바일 단말 장치(100)에 전송(1)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 장치가 상기 클라우드 서비스 또는 스트리밍 서비스로서 제공되는 외부의 저장소에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요청(2-1)하는 것을 지원하며, 상기 모바일 단말 장치(100)가 상기 클라우드 서비스 또는 스트리밍 서비스로서 제공되는 외부의 저장소(600)에서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전달 받아 임시 저장(2-2)하고 이를 디코딩하여 PCM 음원으로서 추출하면, 디코딩을 위한 최소의 크기의 단위로 지속적으로 제공되어 디코딩(2-3)되어 추출된 PCM 음원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헤드 유닛(200)은 USB 벌크 채널(300)을 통해 전송(3) 받을 수 있으며, 상기 헤드 유닛(200)의 스피커로 PCM 음원 재생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모바일 단말 장치
200: 헤드 유닛
210: 재생 요청부
220: 음원 획득부
230: 음원 재생 관리부
240: 템플릿 관리부
250: 통신부
260: 제어부
300: USB 벌크 채널

Claims (15)

  1. 차량의 헤드 유닛이 모바일 단말 장치를 사용하여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는 방법으로서,
    (a) 모바일 단말 장치가 차량의 헤드 유닛에 연결되면, 상기 헤드 유닛은, 재생하고자 하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응되는 식별 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
    (b) 상기 모바일 단말 장치가 상기 오디오 데이터에 대응되는 식별 정보를 참조로 하여 결정된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PCM 음원으로서 추출하면, 상기 헤드 유닛은, 상기 추출된 PCM 음원에 대한 데이터를 USB 벌크 채널(USB Bulk Channel)을 통해 전송 받는 단계; 및
    (c) 상기 헤드 유닛은, 상기 PCM 음원 데이터를 사운드 출력을 위한 시스템 버퍼로 기록하여, 상기 헤드 유닛의 스피커로 상기 PCM 음원이 재생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오디오 데이터가 상기 모바일 단말 장치와 통신되는 외부의 저장소에 저장되어 있을 경우,
    상기 (b) 단계는,
    상기 모바일 단말 장치가 상기 외부의 저장소에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요청하여 전달 받아 임시 저장하고 이를 디코딩하여 PCM 음원으로서 추출하면, 상기 헤드 유닛은, 상기 추출된 PCM 음원에 대한 데이터를 USB 벌크 채널을 통해 전송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유닛은, 상기 모바일 단말 장치가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함과 동시에 실시간으로 추출하는 상기 PCM 음원에 대한 데이터를 USB 벌크 채널을 통해 전송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 저장되는 오디오 데이터가 디코딩을 위한 소정 크기의 단위로 지속적으로 제공되어 디코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 장치와 통신되는 외부의 저장소는 클라우드 서비스 또는 스트리밍 서비스로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하고자 하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응되는 식별 정보는 상기 헤드 유닛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오디오 데이터의 목록 중 상기 차량의 사용자가 선택한 오디오 데이터의 인덱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모바일 단말 장치를 사용하여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는 차량의 헤드 유닛으로서,
    모바일 단말 장치가 차량의 헤드 유닛에 연결되면, 재생하고자 하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응되는 식별 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 장치에 전송하는 재생 요청부;
    상기 모바일 단말 장치가 상기 오디오 데이터에 대응되는 식별 정보를 참조로 하여 결정된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PCM 음원으로서 추출하면, 상기 추출된 PCM 음원에 대한 데이터를 USB 벌크 채널을 통해 전송 받는 음원 획득부; 및
    상기 PCM 음원 데이터를 사운드 출력을 위한 시스템 버퍼로 기록하여, 상기 헤드 유닛의 스피커로 상기 PCM 음원이 재생되도록 하는 음원 재생 관리부
    를 포함하고,
    상기 오디오 데이터가 상기 모바일 단말 장치와 통신되는 외부의 저장소에 저장되어 있을 경우, 상기 재생 요청부는 상기 모바일 단말 장치가 상기 외부의 저장소에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요청하는 것을 지원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 장치가 상기 외부의 저장소에서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전달 받아 임시 저장하고 이를 디코딩하여 PCM 음원으로서 추출하면, 상기 음원 획득부는 상기 추출된 PCM 음원에 대한 데이터를 USB 벌크 채널을 통해 전송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유닛.
  9. 삭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 장치가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함과 동시에, 상기 음원 획득부는, 실시간으로 추출하는 상기 PCM 음원에 대한 데이터를 USB 벌크 채널을 통해 전송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유닛.
  11. 삭제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요청부가 상기 모바일 단말 장치에 전송하는 식별 정보는, 상기 헤드 유닛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오디오 데이터의 목록 중 상기 차량의 사용자가 선택한 오디오 데이터의 인덱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유닛.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 저장되는 오디오 데이터가 디코딩을 위한 소정 크기의 단위로 지속적으로 제공되어 디코딩되면, 상기 음원 획득부는, 상기 임시 저장되는 오디오 데이터가 디코딩을 위한 소정 크기의 단위로 지속적으로 제공되어 디코딩되어 추출된 PCM 음원에 대한 데이터를 USB 벌크 채널을 통해 전송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유닛.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 장치와 통신되는 외부의 저장소가 클라우드 서비스 또는 스트리밍 서비스로서 제공되면,
    상기 재생 요청부는 상기 모바일 단말 장치가 상기 클라우드 서비스 또는 스트리밍 서비스로서 제공되는 외부의 저장소에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요청하는 것을 지원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 장치가 상기 클라우드 서비스 또는 스트리밍 서비스로서 제공되는 외부의 저장소에서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전달 받아 임시 저장하고 이를 디코딩하여 PCM 음원으로서 추출하면,
    상기 음원 획득부는, 상기 PCM 음원 - 상기 PCM 음원은, 상기 모바일 단말 장치가 상기 클라우드 서비스 또는 스트리밍 서비스로서 제공되는 외부의 저장소에서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전달 받아 임시 저장하고 이를 디코딩하여 추출된 음원임 - 에 대한 데이터를 USB 벌크 채널을 통해 전송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유닛.
  15. 제1항, 제3항,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40038121A 2014-03-31 2014-03-31 모바일 단말 장치를 사용하여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는 방법, 이를 사용한 헤드 유닛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16029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8121A KR101602955B1 (ko) 2014-03-31 2014-03-31 모바일 단말 장치를 사용하여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는 방법, 이를 사용한 헤드 유닛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8121A KR101602955B1 (ko) 2014-03-31 2014-03-31 모바일 단말 장치를 사용하여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는 방법, 이를 사용한 헤드 유닛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3727A KR20150113727A (ko) 2015-10-08
KR101602955B1 true KR101602955B1 (ko) 2016-03-11

Family

ID=54346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8121A KR101602955B1 (ko) 2014-03-31 2014-03-31 모바일 단말 장치를 사용하여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는 방법, 이를 사용한 헤드 유닛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295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04596B (zh) * 2020-06-29 2022-10-25 南斗六星系统集成有限公司 一种聚合多种车联网通信协议的数据接入方法和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7060B1 (ko) * 2005-09-27 2007-04-13 주식회사 케이티 홈 네트워크와 연동한 차량용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 및 그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3727A (ko) 2015-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21781B2 (en) Display apparatus, background music providing method thereof and background music providing system
CN101438348B (zh) 用于跨越设备来恢复内容再现的方法
KR20180050961A (ko) 멀티미디어 수신 장치에서 디코딩을 수행하는 방법 및 멀티미디어 장치
JP6056625B2 (ja) 情報処理装置、音声処理方法、及び音声処理プログラム
CN110832579A (zh) 最后一英里均衡
US2017028604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gnizing voice commands
CN103327021A (zh) 一种多设备互动方法及相关设备、系统
US20190288657A1 (en) Smart speakers with cloud equalizer
US10755707B2 (en) Selectively blacklisting audio to improve digital assistant behavior
WO2017043309A1 (ja) 音声処理装置および方法、符号化装置、並びにプログラム
KR20180122451A (ko) 대화형 오디오 메타데이터 취급
KR20150064785A (ko) 컨텐츠 재생 방법, 대사 구간 데이터 제공 방법 및 동영상 컨텐츠 재생 단말
US20140376885A1 (en) Method for playing video fil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JP2016005268A (ja) 情報伝送システム、情報伝送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602955B1 (ko) 모바일 단말 장치를 사용하여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는 방법, 이를 사용한 헤드 유닛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N112349303B (zh) 一种音频播放方法、装置及存储介质
US11557303B2 (en) Frictionless handoff of audio content playing using overlaid ultrasonic codes
CN105261384A (zh) 录音装置
CN105700835B (zh) 用于提供多流服务的音箱主机及其流控制方法
CN109120784B (zh) 音频播放方法以及电子设备
US11330029B2 (en) Sharing content with a detected device
US20150363156A1 (en) Media splitting and reduction in storage requirements based on common content
KR101336256B1 (ko) 음성 기반 멀티미디어 컨텐츠 태깅 방법 및 장치
WO2020024508A1 (zh) 语音信息的获取方法及装置
US20240176817A1 (en) Display apparatus, background music providing method thereof and background music provid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