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2808B1 - Method for investigating of submarine sementary layers - Google Patents
Method for investigating of submarine sementary layer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02808B1 KR101602808B1 KR1020140064168A KR20140064168A KR101602808B1 KR 101602808 B1 KR101602808 B1 KR 101602808B1 KR 1020140064168 A KR1020140064168 A KR 1020140064168A KR 20140064168 A KR20140064168 A KR 20140064168A KR 101602808 B1 KR101602808 B1 KR 10160280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ayer
- data
- surveyed
- area
- seismic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2
- 239000013049 sedime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6
- 238000013213 extrapol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8000011835 investig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CURLTUGMZLYLDI-UHFFFAOYSA-N Carbon dioxide Chemical compound O=C=O CURLTUGMZLYLDI-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44
- 229910002092 carbon di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9000001569 carbon dioxid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8000005553 dril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0000001678 irradi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00151 depos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021 depo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876 top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912 waste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699 permeabi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435 roc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795 ve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3323 beak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431 greenhouse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440 industrial was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416 organic mat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35 sea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11/00—Prospecting or detecting by methods combining technique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1V1/00 - G01V9/00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25/00—Apparatus for obtaining or removing undisturbed cores, e.g. core barrels or core extractors
-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49/00—Testing the nature of borehole walls; Formation testing; Methods or apparatus for obtaining samples of soil or well fluids, specially adapted to earth drilling or wells
- E21B49/02—Testing the nature of borehole walls; Formation testing; Methods or apparatus for obtaining samples of soil or well fluids, specially adapted to earth drilling or wells by mechanically taking samples of the soil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1/00—Seismology; Seismic or acoustic prospecting or detecting
- G01V1/38—Seismology; Seismic or acoustic prospecting or detecting specially adapted for water-covered area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9/00—Prospecting or detect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V1/00 - G01V8/00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phys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oi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Remote Sensing (AREA)
- Oceanography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Abstract
해저 퇴적층 조사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저 퇴적층 조사 방법은, (a1) 육지에 인접한 해양의 탐사 대상 지역을 선정하고 탄성파 탐사법을 이용하여 상기 탐사 대상 지역의 해저 퇴적층들에 대한 탄성파 자료를 얻는 단계; (b1) 육상의 적어도 일 지역에서 조사 대상 퇴적층의 육상 노두에 대한 주향 및 경사를 실제로 조사하여 상기 육상 노두에 대한 실제 조사 자료를 얻는 단계; (c1) 상기 실제 조사 자료를 적어도 상기 탐사 대상 지역에 도달할 때까지 외삽법에 의해 확대하여 상기 육상 노두에 대한 확대 자료를 얻는 단계; 및 (d1) 상기 육상 노두에 대한 확대 자료를 상기 탄성파 자료와 비교하여 상기 육상 노두에 대한 확대 자료에 가장 가깝게 매칭되는 경사 특성을 나타내는 탄성파 자료 상의 층준을 상기 조사 대상 퇴적층에 대응하는 층준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submarine sediment layer investigation method is disclosed. (A1) selecting an area to be surveyed of a marine adjacent to the land and obtaining seismic data for the sub-sea sediments of the survey area using the seismic wave method; (b1) obtaining the actual survey data for the onshore outcrops by actually surveying the inclination and inclination of the onshore outcrops of the sediment layer to be surveyed in at least one area of the land; (c1) enlarging the actual survey data by extrapolation until at least the area to be surveyed is reached to obtain enlarged data on the land off-road; And (d1) comparing the expansion data with respect to the onshore outcrop to the seismic data to determine a layer on the seismic data having a slope characteristic that is closest to the expansion data on the onshore outcrop as a layer corresponding to the layer to be surveyed Step.
Description
본 발명은 해저 퇴적층 조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특정적으로는, 이산화탄소 폐기 장소로 사용 가능한 해저 퇴적층을 찾기 위한 해저 퇴적층 조사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irradiating a submarine sedimentary lay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of irradiating a submarine sedimentary layer to find a submarine sedimentary layer usable as a carbon dioxide disposal site.
잘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퇴적층은 흙이나 암석에 기원하는 무기 물질들이나 생물체에 기원하는 유기 물질들이 물, 바람, 빙하 등에 의해 퇴적됨으로써 생성된 지층을 일컫는다.As is well known, a sedimentary layer is a layer formed by depositing inorganic substances originating in soil or rocks or organic matter originating from living organisms by water, wind, glaciers and the like.
퇴적층은 육지뿐만 아니라 해저에도 존재하는데, 해저 퇴적층의 기초가 되는 퇴적 물질들은 육지로부터 온 것이므로 일반적으로 해저 퇴적층은 연안 부근에서 주로 발달된다.Deposits occur not only on land but also on the seabed. The sedimentary materials underlying the subsoil deposits originate from land, and generally submarine sediments are developed predominantly near the coast.
이러한 해저 퇴적층은 산업 활동에서 비롯된 산업 폐기물을 폐기하는 장소로 활용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해저 퇴적층은 온실가스의 주범으로 여겨지는 이산화탄소 등의 폐기 가스를 저장하는 장소로 활용될 수 있다.These subsea sediments are also used as a place to dispose of industrial waste originating from industrial activities. For example, submarine sediments can be used as a place to store waste gas, such as carbon dioxide, which is considered to be the main cause of greenhouse gas emissions.
이에 대해 해저 퇴적층이 이산화탄소 폐기 장소로 활용되는 예를 보이는 도 1을 참조하여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1, which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the submarine sediment layer is used as a carbon dioxide disposal sit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저 퇴적층들 중에서 저장용 퇴적층에까지 주입관을 설치하고 액화시킨 이산화탄소를 그 주입관을 통해 주입하는 방식으로 저장용 퇴적층에 이산화탄소를 폐기할 수 있다. 이때, 여러 퇴적층들 중에서 이산화탄소를 다량 저장할 수 있도록 공극률과 투수율이 높은 퇴적층이 저장용 퇴적층으로 이용될 수 있으며, 특히 공급된 이산화탄소가 외부로 옆으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돔(dome) 형상으로 발달한 지역(돔 형태 지역)이 이산화탄소 폐기 장소로서 적합하다. 추가적인 요건으로서, 저장용 퇴적층 바로 위에는 주입된 이산화탄소가 위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불투수층이 존재할 것이 요구된다.As shown in FIG. 1, carbon dioxide can be disposed of in the storage layer by injecting carbon dioxide, which is supplied from a submarine sediment layer to a storage sediment layer, and injecting liquefied carbon dioxide through the injection pipe. In this case, sediments with high porosity and high permeability can be used as storage layers for storage of large amounts of carbon dioxide in the various sedimentary layers. Especially, the regions (dome) developed in the form of dome so that the supplied carbon dioxide does not escape to the outside Dome area) are suitable as carbon dioxide disposal sites. As an additional requirement, it is required that there is an impervious layer directly above the storage layer for storage so that injected carbon dioxide does not escape upward.
따라서, 이산화탄소를 해저 퇴적층에 주입하여 폐기하기 위해서는 선행적으로 불투수층이 상측에 배치되어 있고 돔 형태 지역을 가진 저장용 퇴적층을 찾아야 한다. 이러한 저장용 퇴적층 탐사는 탄성파 탐사법을 통해 돔 형태 지형을 가진 것으로 예측되는 여러 후보 지역들을 시추해 보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Therefore, in order to inject carbon dioxide into a subsea sediment layer and dispose of it, a storage sediment layer with a dome-shaped area must be found in advance, with the impervious layer located on the upper side. This storage sediment exploration can be performed by seawing several candidate areas that are predicted to have a dome - like topography by the seismic exploration method.
하지만, 탄성파 자료 만에 의존하는 탐사 방식에 의하면, 저장용 퇴적층 및 불투수층의 존재 여부를 인지하고 시추 작업을 진행하는 것이 아니므로, 한 번의 시추 작업으로 운 좋게 저장용 퇴적층 및 불투수층이 존재하는 곳을 발견하지 않는 이상, 시추 작업을 빈번하게 수행할 수 밖에 없는 단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어느 정도의 깊이까지 시추 작업을 진행해야 할지를 미리 예측하기 어려운 단점도 있다.However, according to the exploration method which depends only on the seismic data, since it is not recognized whether there is a sedimentary layer or an impervious layer for storage and drilling is carried out,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drilling operation must be frequently performed as long as it is not found, and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difficult to predict in advance to what extent the drilling operation should proceed.
따라서, 탄성파 자료 만에 의존하는 탐사 방식에 의할 경우 탐사의 효율성 및 정확성을 높이기 어려우며, 따라서 탐사에 많은 비용과 노력이 드는 것을 피하기 어렵다.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increase the efficiency and accuracy of the survey by using the surveying method which depends only on the seismic data.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avoid a lot of expense and effort in the exploration.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해저에 존재하는 저장용 퇴적층을 탐사함에 있어서 기존의 탐사 방식에 비하여 탐사의 효율성 및 정확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해저 퇴적층 탐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for exploring a sedimentary layer existing in the sea bed, which can increase the efficiency and accuracy of exploration compared to existing exploration method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a1) 육지에 인접한 해양의 탐사 대상 지역을 선정하고 탄성파 탐사법을 이용하여 상기 탐사 대상 지역의 해저 퇴적층들에 대한 탄성파 자료를 얻는 단계; (b1) 육상의 적어도 일 지역에서 조사 대상 퇴적층의 육상 노두에 대한 주향 및 경사를 실제로 조사하여 상기 육상 노두에 대한 실제 조사 자료를 얻는 단계; (c1) 상기 실제 조사 자료를 적어도 상기 탐사 대상 지역에 도달할 때까지 외삽법에 의해 확대하여 상기 육상 노두에 대한 확대 자료를 얻는 단계; 및 (d1) 상기 육상 노두에 대한 확대 자료를 상기 탄성파 자료와 비교하여 상기 육상 노두에 대한 확대 자료에 가장 가깝게 매칭되는 지질학적 특성을 나타내는 탄성파 자료 상의 층준을 상기 조사 대상 퇴적층에 대응하는 층준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해저 퇴적층 조사 방법을 제공한다.
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detecting seawater, comprising the steps of: (a1) selecting an area to be surveyed of an ocean adjacent to a land and obtaining seismic data for seafloor sediments of the area to be surveyed by using a seismic wave method; (b1) obtaining the actual survey data for the onshore outcrops by actually surveying the inclination and inclination of the onshore outcrops of the sediment layer to be surveyed in at least one area of the land; (c1) enlarging the actual survey data by extrapolation until at least the area to be surveyed is reached to obtain enlarged data on the land off-road; And (d1) comparing the expansion data of the onshore outcrop with the seismic data to determine the layer on the seismic data indicating the geological characteristic most closely matching the expansion data on the onshore outcrop to the layer corresponding to the layer to be surveyed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상기 조사 대상 퇴적층은 이산화탄소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용 퇴적층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해저 퇴적층 조사 방법은, (e1) 상기 조사 대상 퇴적층에 대응하는 것으로 결정된 층준에 대한 탄성파 자료에서 돔(dome) 형태 지역의 좌표를 획득하고, 획득된 좌표에서 시추를 수행하여 상기 조사 대상 퇴적층의 존재 여부를 검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해저 퇴적층 조사 방법은, (d2) 상기 육상 노두에 대한 확대 자료로부터 산출되는 탄성파의 평균 속도를 이용하여 상기 조사 대상 퇴적층에 대응하는 것으로 결정된 층준의 예상 심도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e1) 단계는 상기 (d2) 단계에서 산출된 예상 심도를 활용하여 시추를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deposition target layer may be a deposition layer for storing carbon dioxide. In this case, the submarine sedimentary layer irradiating method may include the steps of: (e1) acquiring coordinates of a dome-type area in the seismic wave data for the stratum determined to correspond to the sediment layer to be irradiated and performing drilling at the acquired coordinates, And verify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target deposit layer. In this case, the method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d2) calculating an expected depth of the stratum determined to correspond to the investigation target sediment layer using the average velocity of the seismic waves calculated from the enlargement data on the land overhang In step (e1), the drilling is preferably performed using the estimated depth calculated in step (d2).
상기 (c1) 단계에서 수행되는 외삽은 상기 (a1) 단계에서 파악된 조사 대상 퇴적층의 육상 노두의 경사 방향을 따라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The extrapolation performed in the step (c1) may be performed along the slanting direction of the onshore outcrops of the sediment layer to be surveyed obtained in the step (a1).
상기 (a1) 단계는 상기 (b1) 단계 이전에 수행되거나 상기 (c1) 단계와 상기 (d1) 단계 사이에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The step (a1) may be performed before the step (b1), or may be performed between the step (c1) and the step (d1).
본 발명에 따른 해저 퇴적층 조사 방법에 의하면, 저장용 퇴적층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해저 퇴적층을 찾기 위한 시추 작업을 진행하기에 앞서, 육상 노두 조사 및 그것의 외삽 확대를 통해 탄성파 자료의 어떤 층준이 저장용 퇴적층에 대응되는 것인지 결정할 수 있으므로, 탄성파 자료만 가지로 시추 작업을 진행하는 경우에 비하여 시추 작업의 효율성 및 정확성이 증대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저장용 퇴적층을 찾기 위한 해저 탐사에 드는 비용 및 노력을 크게 절감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method of irradiating the submarine sedimentary la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ior to drilling to find a submarine sedimentary layer suitable for use as a sedimentary layer for storage, The efficiency and accuracy of the drilling operation can be increased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drilling operation is performed with only the elastic wave data, and accordingly, the cost and effort for exploration for the sediment layer for storage can be increased Can be greatly reduc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해저 퇴적층 조사 방법에 의하면, 저장용 퇴적층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해저 퇴적층을 찾기 위한 시추 작업을 진행하기에 앞서, 외삽 확대를 통해 얻은 육상 노두의 확대 데이타를 통해 그 육상 노두에 대응하는 층준의 추정 깊이를 산출하여 활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저장용 퇴적층에 존재하는 돔 형태 지역까지의 깊이가 예측되므로 시추 작업을 보다 계획적으로 진행할 수 있으므로 해저 탐사에 드는 비용 및 노력을 보다 절감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method for surveying the submarine sedimentary la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efore proceeding with drilling to find a submarine sedimentary layer suitable for use as a storage sedimentary layer, It is possible to calculate and utilize the estimated depth of the corresponding stratum. In this case, since the depth to the dome-shaped region existing in the storage sediment layer is predicted, the drilling operation can be more planned, .
도 1은 해저 퇴적층이 이산화탄소 폐기 장소로 활용되는 예를 보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해저 퇴적층 조사 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은 도 2의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 탐사 대상 지역의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표시된 탐사 대상 지역에서 탄성파 탐사법을 적용하여 얻어지는 탄성파 자료의 예를 개략적으로 보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지형에서 X 방향에 따른 단면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6은 도 4에 예시된 탄성파 자료로부터 추출되어진 특정 층준(조사 대상 퇴적층에 대응하는 층준)의 등심선 지형도의 예를 개략적으로 보이는 도면이다.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submarine sediment layer is used as a carbon dioxide disposal site.
2 is a flowchart showing an embodiment of a method of irradiating a submarine sedimentary la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of a region to be surveyed to which the embodiment of FIG. 2 can be applied.
FIG. 4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example of an acoustic wave data obtained by applying the seismic wave method in the survey area shown in FIG.
5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along the X direction in the terrain shown in Fig.
FIG. 6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example of an isocenter topographic map of a specific stratum (stratum corresponding to a sediment layer to be irradiated) extracted from the seismic wave data illustrated in FIG.
본 발명에 따른 해저 퇴적층 조사 방법은 이산화탄소를 주입하여 폐기할 수 있는 저장용 퇴적층을 조사하는데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 다른 종류의 퇴적층을 조사하는데 적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아래에서 예시되는 실시예의 경우 이산화탄소 저장용 퇴적층이 조사 대상 퇴적층인 것으로 특정되지만, 본 발명에 따른 해저 퇴적층 조사 방법은 다른 종류의 퇴적층을 조사하는데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다.The method of irradiating the submarine sedimentary la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not only for irradiating a storage sedimentary layer which can be discarded by injecting carbon dioxide but also for investigating other kinds of sedimentary layers. Therefore, in the case of the embodiment illustrated below, it is specified that the deposit layer for storing carbon dioxide is a sediment layer to be irradiated. However, the submerged sediment layer irradiat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imilarly applied to irradiate other kinds of sediment layers.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해저 퇴적층 조사 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3은 도 2의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 탐사 대상 지역의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 표시된 탐사 대상 지역에서 탄성파 탐사법을 적용하여 얻어지는 탄성파 자료의 예를 개략적으로 보이는 도면이며,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지형의 X 방향에 따른 단면을 나타낸 개략도이다.FIG. 2 is a flow chart showing an embodiment of a method of irradiating a submarine sedimentary la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of a region to be surveyed to which the embodiment of FIG. 2 can be applied, FIG. 5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of the terrain of FIG. 3 along the X direction. FIG. 5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seismic wave data obtained by applying the seismic wave method in the region to be surveyed.
도 3 내지 5를 함께 참조하면서 도 2에 기재된 해저 퇴적층 조사 방법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An embodiment of the submarine sediment layer irradiating method described in Fig. 2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5. Fig.
먼저 S10 단계에서는, 육지에 인접한 해양의 탐사 대상 지역을 선정하고 탄성파 탐사법을 이용하여 그 탐사 대상 지역의 해저 퇴적층들에 대한 탄성파 자료를 얻는다. S10 단계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First, in step S10, an area to be surveyed is selected from adjacent areas of the land, and seismic data of the sub-sea sediments of the area to be surveyed are obtained using the seismic wave method. The step S1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s follows.
탐사 대상 지역으로는 육지에 인접한 해안에 퇴적층들이 발달되어 있으며 육지에 퇴적층들에 대한 노두(outcrop)가 발달되어 있는 지역을 선정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노두는 암석이나 지층이 토양 등에 의해 덮여 있지 않고 지표면 밖으로 직접 드러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그러한 탐사 대상 지역으로적합한 곳으로서 해저 퇴적층들과 그에 대한 노두가 인근 육지에 발단되어 있는 영일만을 대표적으로 꼽을 수 있다. 도 3에는 영일만과 유사한 지형에서 선정된 탐사 대상 지역(S), 및 그 탐사 대상 지역(S)의 퇴적층들에 대한 노두가 존재하는 육상의 노두 지역(O)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It is desirable to select an area in which the sediments are developed on the coast adjacent to the land and the outcrop of the sediments is developed on the land. Here, the outcrop means that rocks and strata are not covered by soil, but are exposed directly to the surface of the earth. In the case of Korea, Yeongil Bay, which is suitable for such an exploration target area, is located in the nearby land. FIG. 3 schematically shows the outcrop region O on the land where the outcrops of the exploration target area S and the sediment layers of the exploration target area S are selected from terrain similar to Youngil Bay.
탄성파 탐사법은 지표상이나 해상에서 인공적으로 지진파(seismic wave)를 발생시켜 지층들에 의해 되돌아오는 반사파 또는 굴절파의 시간과 파형을 분석하여 지질구조를 결정하는 방법을 의미한다. 이러한 탄성파 탐사법을 도 3의 탐사 대상 지역(S)에 적용함으로써 그 탐사 대상 지역(S)에 대한 탄성파 자료를 얻을 수 있다.The seismic wave method refers to a method of determining the geological structure by analyzing the time and waveform of reflected waves or refraction waves that are generated by seismic waves artificially on the surface or sea. By applying this seismic wave detection method to the area S to be surveyed in FIG. 3,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elastic wave data for the area S to be surveyed.
도 4는 탐사 대상 지역(S)에서 얻어진 탄성파 자료를 보이는 것인데, 보다 정확하게 도 4는 그러한 탄성파 자료로부터 추출된, 도 3의 X 방향을 따르는 단면 데이타를 보이는 것이다. 도 4에 나타나 있는 다수의 층준들(stratigraphic horizons)(B1,B2,B3,B4,B5,B6,B7)은 도 5에 도시된 다수의 실제 퇴적층들(A1,A2,A3,A4,A5,A6,A7)에 대응하는 것들이다. 그런데, 도 4의 층준들(B1,B2,B3,B4,B5,B6,B7)로부터 도 5의 실제 퇴적층들(A1,A2,A3,A4,A5,A6,A7)의 종류나 깊이는 파악할 수는 없다. 다만, 도 4의 층준들(B1,B2,B3,B4,B5,B6,B7)로부터 그에 대응하는 실제 퇴적층들(A1,A2,A3,A4,A5,A6,A7)의 윤곽을 비롯하여 상대적인 깊이 및 두께는 파악할 수 있다.
Fig. 4 shows the seismic data obtained in the area S to be surveyed. More precisely, Fig. 4 shows cross-sectional data along the X direction in Fig. 3 extracted from the seismic data. A plurality of stratigraphic horizons B1, B2, B3, B4, B5, B6 and B7 shown in FIG. 4 correspond to a plurality of actual deposit layers A1, A2, A3, A4, A5, A6, A7). The types and depths of the actual deposit layers A1, A2, A3, A4, A5, A6, and A7 of FIG. 5 can be determined from the layer bases B1, B2, B3, B4, B5, B6, There is no number. It should be noted that the outline of the actual deposited layers A1, A2, A3, A4, A5, A6, A7 corresponding thereto from the layer bases B1, B2, B3, B4, B5, B6, And thickness can be grasped.
다음으로 S20 단계에서는, 육상의 적어도 일 지역에서 조사 대상 퇴적층(저장용 퇴적층)의 육상 노두에 대한 주향 및 경사를 조사하여 그 육상 노두에 대한 실제 조사 자료를 얻는다. S20 단계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Next, in step S20, actual incidence data of the onshore outcrops are obtained by examining the inclination and inclination of the onshore outcrops of the sediment layer (storage sediment layer) to be surveyed in at least one region of the land. Step S2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s follows.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조사 대상 퇴적층은 이산화탄소 저장용 퇴적층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위로부터 다섯 번째 퇴적층(A5)이 그러한 이산화탄소 저장용으로 사용 가능한 퇴적층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따라서 저장용 퇴적층인 A5층은 이산화탄소의 저장에 적합하도록 높은 공극률 및 투수율을 갖는 층이다. 그리고, A5층 바로 위에는 불투수층인 A4층이 존재하는 것으로 가정한다.As mentioned above, in this embodiment, the deposit to be investigated is a deposit layer for storing carbon dioxide. Referring to FIG. 5, it is assumed that the fifth deposited layer A5 from the top is a sediment layer usable for storing such carbon dioxide. Therefore, the A5 layer as a storage layer is a layer having a high porosity and a permeability suitable for the storage of carbon dioxide. Immediately above the A5 layer, it is assumed that there is an A4 layer which is an impervious layer.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육지에는 조사 대상 퇴적층인 A5층이 지표면에 노출된 노두를 포함하는 노두 지역이 존재할 수 있다. 도 3 및 5에는 그러한 A5층의 육상 노두가 존재하는 노두 지역(O)이 예시적으로 표시되어 있다. S20 단계에서는 이러한 노두 지역(O)에 존재하는 A5층의 육상 노두에 대한 주향(strike) 및 경사(dip)를 조사함으로써 그 육상 노두의 지질학적 특성을 나타내는 실제 조사 자료를 얻는다. 도 3 내지 5에 표시된 X 방향은 노두 지역(O)에서 조사된 A5층의 경사 방향을 가리킨다. 본 명세서에서 경사 방향은 어떤 퇴적층이 갖는 경사(dip)의 수평 성분의 방향을 의미하는 것으로 정의하여 사용한다.As shown in FIG. 5, there may be an outcrop region in the land including an outcrop exposed on the ground surface of the A5 layer as a sediment layer to be surveyed. In Figs. 3 and 5, an outcrop region O in which such a five-layer onshore outcrop is present is exemplarily shown. In step S20, actual survey data showing the ge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onshore outcrops are obtained by examining the strike and dip of the onshore outcrop of the A5 layer existing in the outcrop region (O). The X direction shown in Figs. 3 to 5 indicates the inclination direction of the A5 layer irradiated from the outermost region (O). In this specification, the oblique direction is defined as meaning the direction of the horizontal component of a dip of a certain deposited layer.
도 5를 참조하면, 노두 지역에는 저장용 퇴적층(A5층)에 대한 노두가 있고 바로 그 위에는 불투수층(A4층)에 대한 노두가 존재한다. 따라서 노두 지역(O)에서 퇴적층들에 대한 육사 노두들을 조사함으로써, 상하로 배치된 불투수층(A4층)과 저장용 퇴적층(A5층)이 탐사 대상 지역(S)에까지 X 방향을 따라 발달되어 있음을 예측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there is an outcrop for the storage layer (A5 layer) in the outcrop region, and an outcrop for the impervious layer (A4 layer) immediately thereon. Therefore, by examining the outcrops of the sediments in the outcropping area (O), it can be seen that the impermeable layer (A4 layer) and the storage sediment layer (A5 layer) arranged up and down are developed along the X direction to the area Can be predicted.
다음으로 S30 단계에서는, S20 단계에서 얻어진 조사 대상 퇴적층(A5층)의 육상 노두에 대한 실제 조사 자료를 그것의 경사 방향(X 방향)을 따라 적어도 탐사 대상 지역(S)에 도달할 때까지 외삽법(extrapolation)에 의해 확대 추정함으로써 조사 대상 퇴적층(A5층)의 육상 노두에 대한 확대 자료(추정 데이타)를 얻는다. S30 단계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Next, in step S30, the actual survey data on the onshore outcrops of the deposit layer (A5 layer) to be surveyed obtained in step S20 is extrapolated to the survey area S at least along the oblique direction (X direction) (estimated data) for the onshore outcrop of the sediment layer (A5 layer) to be surveyed is obtained by extrapolation by extrapolation. Step S3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s follows.
S30 단계에서는 이전 S20 단계에서 얻어진 저장용 퇴적층(A5층)의 육상 노두에 대한 경사 데이타를 외삽법을 통해 탐사 대상 지역(S)이 시작되는 곳까지 또는 탐사 대상 지역(S)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복되게 확대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탐사 대상 지역(S)이 시작되는 곳까지만 수행하는 것으로 예시하며, 이러한 경우 도 3 및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두 지역(O)과 탐사 대상 지역(S) 사이의 영역이 외삽 지역(E)이 된다.In step S30, the inclination data of the land layer of the storage sediment layer (A5 layer) obtained in the previous step S20 is extrapolated to the area where the exploration target area S starts or at least partially overlapped with the exploration target area S . 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it is exemplified that only the region where the region S to be surveyed starts is performed. In this case, as shown in Figs. 3 and 5, the region between the outcrop region O and the region to be surveyed S is extrapolated Area (E).
S30 단계에서 적용되는 외삽법은 실제 파악된 데이타를 바탕으로 실제 데이타를 파악할 수 없는 구간에서의 추정 데이타를 산출하는 공지의 수치 해석적 방법이다. 따라서, S30 단계에서 얻어지는 저장용 퇴적층(A5층)에 대한 확대 자료라 함은 육상 노두의 실제 자료로부터 추정된 외삽 지역(E)에서의 추정 데이타를 의미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노두 지역(O)에서 얻어진 육상 노두에 대한 경사 데이타를 바탕으로 외삽법을 통해 외삽 지역(E)에서 저장용 퇴적층(A5층)의 경사에 대한 추정 데이타를 산출한다. 따라서, 외삽 지역(E)에서 조사 대상 퇴적층인 A5층에 대한 실제 경사 데이타를 얻을 수는 없지만, 외삽법에 의해 추정된 데이타를 가지고 외삽 지역(E)에 위치하는 A5층의 경사의 변화를 추정할 수 있다.
The extrapolation method applied in step S30 is a known numerical method for calculating the estimated data in the section where the actual data can not be grasped based on the actually grasped data. Therefore, the expanded data for the storage sediment layer (A5 layer) obtained in step S30 means the estimated data in the extrapolated area (E) estimated from the actual data of the onshore outcrops. In this embodiment, the estimation data for the inclination of the storage layer (A5 layer) is calculated in the extrapolation area (E) by extrapolation based on the slope data for the terrestrial outcrops obtained in the outcrop region (O). Therefore, although it is not possible to obtain the actual slope data for the A5 layer as the sediment layer to be surveyed in the extrapolation area (E), it is possible to estimate the slope change of the A5 layer located in the extrapolation area (E) can do.
다음으로 S40 단계에서는, 이전 S30 단계에서 얻어진 육상 노두에 대한 확대 자료(추정된 경사 데이타)를 이전 S10 단계에서 얻어진 도 4의 탄성파 자료와 비교한다. 그 비교 결과 육상 노두에 대한 확대 자료에 가장 가깝게 매칭되는 지질학적 특성을 나타내는 탄성파 자료 상의 층준을 조사 대상 퇴적층(A5층)에 대응하는 층준으로 결정한다. S40 단계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Next, in step S40, the enlarged data (estimated tilt data) for the terrestrial outcrop obtained in the previous step S30 is compared with the seismic data of FIG. 4 obtained in the previous step S10.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the stratigraphic layer on the seismic data, which indicates the geologic characteristics most closely matching the extensional data for the offshore outcrops, is determined as the stratum corresponding to the sediment layer (A5 layer). Step S4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s follows.
도 4에 도시된 탄성파 자료로부터 각 층준(B1,B2,B3,B4,B5,B6,B7)이 어떤 퇴적층에 대한 것인지는 알 수 없지만 각 층준(B1,B2,B3,B4,B5,B6,B7)이 탐사 대상 지역(S)에서 어떠한 지질학적 특성(주향 및 경사)을 나타내는지는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각 층준(B1,B2,B3,B4,B5,B6,B7)이 보이는 경사 데이타를 이전 S30 단계에서 얻어진 외삽 지역(E)에서의 추정 데이타와 비교하는 것은 가능하며, 그 비교 결과 추정 데이타와 가장 가깝게 매칭되는 지질학적 특성(예로써, 경사)을 나타내는 층준을 조사 대상 퇴적층(A5층)에 대응하는 층준으로 결정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도 4의 탄성파 자료 상에서 위로부터 다섯 번째에 배치된 층준(B5)이 조사 대상 퇴적층(A5층)에 대응되는 층준인 것으로 가정한다.B2, B3, B4, B5, B6, and B7 can not be determined from the seismic wave data shown in FIG. 4 for which layer layers B1, B2, B3, B4, ) Indicate which geological features (inclinations and slopes) are present in the area (S) to be survey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compare the gradient data showing each layer (B1, B2, B3, B4, B5, B6, B7) with the estimation data in the extrapolation area (E) obtained in the previous step S30, The layer line representing the geological characteristic (for example, slope) most closely matching with the layer to be irradiated is determined as the layer layer corresponding to the layer to be irradiated (layer A5). 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it is assumed that the layer B5 disposed at the fifth position from the top of the elastic wave data of FIG. 4 is a layer boundary corresponding to the deposition target layer (layer A5).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해저 퇴적층 조사 방법에 의하면, S40 단계까지 완료된 시점에서, 육상 노두로 지표에 드러난 조사 대상 퇴적층(A5층)이 탄성파 자료 상의 어느 층준에 대응되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method of irradiating the submarine sedimentary lay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determine, at the time when the step S40 is completed, the layer to be surveyed (A5 layer) exposed on the land by the onshore outcrops corresponds to which layer on the seismic wave data.
다음으로 S50 단계에서는, 이전 S30 단계에서 얻어진 육상 노두에 대한 확대 자료(추정된 경사 데이타)로부터 탄성파의 평균 속도를 산출한다. 그리고, 산출된 평균 속도를 이용하여 S40 단계에서 조사 대상 퇴적층(A5층)에 대응되는 층준으로 결정된 층준(B5)의 예상 심도를 산출한다. S50 단계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Next, in step S50, the average velocity of the seismic waves is calculated from the expanded data (estimated tilt data) for the onshore outcrop obtained in the previous step S30. Then, in step S40, the predicted depth of the layered line B5 determined as the layered line corresponding to the layer to be irradiated (layer A5) is calculated using the calculated average speed. Step S5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s follows.
도 5를 참조하면, 외삽 지역(E)과 탐사 대상 지역(S)의 경계(X=X1)에서 조사 대상 퇴적층(A5층)의 실제 깊이(d)를 알 수 없지만, S30 단계에서 얻어진 확대 자료(추정된 경사 데이타)로부터 외삽 지역(E)과 탐사 대상 지역(S)의 경계(X=X1)에서 조사 대상 퇴적층(A5층)의 추정 깊이(d')는 산출 가능하다. 그리고, 도 4를 참조하면, S40 단계에서 조사 대상 퇴적층(A5층)에 대응되는 것으로 결정된 층준(B5)에 대해, 상기 경계(X=X1) 지점에서 지진파가 그 층준(B5)에 도달하는데 소요된 시간(또는 지진파가 그 층준으로부터 되돌아오는데 걸리는 시간) Δt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추정 깊이(d')와 소요 시간(Δt)을 가지고 지진파가 조사 대상 퇴적층(A5층)에까지 진행할 때 그 지진파의 추정된 평균 속도 Vmin(= d'/Δt)을 산출할 수 있다.
5, the actual depth d of the deposition target layer (layer A5) can not be known at the boundary (X = X1) between the extrapolation area E and the exploration target area S, The estimated depth d 'of the layer to be surveyed (layer A5) can be calculated at the boundary (X = X1) between the extrapolated area E and the exploration target area S from the estimated inclination data. Referring to FIG. 4, in step S40, it is determined that a seismic wave reaches the layer B5 at the boundary (X = X1) with respect to the layer B5 determined to correspond to the layer A5 to be irradiated (Or the time it takes for the seismic wave to return from the stratum) Δt can be obtained. Therefore, the estimated average velocity Vmin (= d '/ t) of the seismic waves can be calculated when the seismic wave propagates to the target sedimentary layer (layer A5) with the estimated depth d' and the required time t.
다음으로 S60 단계에서는, 이전 S40 단계에서 조사 대상 퇴적층(A5층)에 대응하는 것으로 결정된 층준(B5)에 대한 탄성파 자료에서 돔(dome) 형태 지역의 좌표를 획득하고, 획득된 좌표 지점에서 전술한 S50 단계에서 산출된 예상 심도를 이용하여 시추를 수행함으로써 조사 대상 퇴적층(A5층)의 존재 여부를 검증한다. S60 단계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Next, in step S60, the coordinates of the dome-shaped area are obtained from the elastic wave data for the layer B5 determined to correspond to the layer to be irradiated (layer A5) in the previous step S40, The drilling is performed using the estimated depth calculated in step S50 to verify the existence of the sediment layer (A5 layer) to be surveyed. Step S6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s follows.
S10 단계에서 얻어진 탄성파 자료로부터, S40 단계에서 조사 대상 퇴적층(A5층)에 대응하는 것으로 파악된 층준(B5)에 대한 등심선 지형도를 추출할 수 있다. 도 6은 그러한 등심선 지형도의 일 예를 보이는 개략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탐사 대상 지역(S) 내의 층준(B5)에 대한 등심선 지형도에는 볼록하게 솟아있는 돔 형태 지역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물론 그러한 돔 형태 지역이 없을 수도 있으며, 그러한 경우에는 탐사 대상 지역(S)에 저장용 퇴적층(A5층)이 존재하더라도 그 퇴적층을 폐기 가스 저장용으로 사용할 수 없다.From the seismic wave data obtained in the step S10, it is possible to extract the topographic map of the bedrock (B5) identified as corresponding to the bedding layer (layer A5) to be surveyed in the step S40. Fig. 6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example of such a beak topography map. As shown in Fig. 6, the topographic map for the layer B5 in the area S to be surveyed may include a dome-shaped area having a convex shape. Of course, there may not be such a dome-shaped region, and even if there is a storage layer (A5 layer) in the exploration target area S, the deposit layer can not be used for waste gas storage.
반면, 층준(B5)에 대한 등심선 지형도를 분석한 결과 돔 형태 지역으로 보이는 곳이 하나 이상 존재하는 것으로 파악되는 경우, 그 돔 형태 지역의 좌표 지점에서 앞서 S50 단계에서 산출된 조사 대상 퇴적층(A5층)의 예상 심도를 사용하여 대략 그 심도까지 시추를 진행함으로써 해당 좌표 지점에 조사 대상 퇴적층(A5층)이 실제하는지 여부를 검증한다. 그 검증 결과, 해당 좌표 지점에 조사 대상 퇴적층(A5층)이 실제하는 경우 검증 시 사용된 시추공에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주입관을 매설하여 조사 대상 퇴적층(A5층)에 이산화탄소를 주입하는 방식으로 조사 대상 퇴적층(A5층)을 이산화탄소 폐기층으로 활용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more than one dome-shaped area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topography of the canopy (B5), it can be seen that at the coordinate point of the dome- ), The drilling is carried out to the depth of approximately the depth, and it is verified whether or not the sediment layer (A5 layer) to be investigated is actually located at the coordinate point. As a result of the verification, if the sediment layer (A5 layer) to be surveyed is actually located at the coordinate point, an injection pipe as shown in Fig. 1 is buried in the borehole used at the time of verification to inject carbon dioxide into the deposit layer (A5 layer) can be utilized as the carbon dioxide waste layer.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S50 단계에서 산출된 예상 심도를 S60 단계에서 활용한다. 이처럼 예상 심도를 사용하는 경우, 비록 그 예상 심도가 전술한 추정 깊이(d')에 기초한 것이어서 오차가 있을 수 있지만, 그 오차를 감안하더라도 조사 대상 퇴적층(A5층)의 확인을 위해 어느 깊이까지 시추할 것인지에 대한 계획(예측)을 가지고 시추 작업을 진행할 수 있으므로 탐사를 위한 시추 작업의 효율성이 증대될 수 있다. 하지만, 대안적인 다른 실시예의 경우, 예상 심도를 활용함 없이 S60 단계가 진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대안적인 실시예의 경우, 시추 작업이 효율성이 상대적으로 저하되는 점은 있어도 시추를 통한 조사 대상 퇴적층(A5층)의 검증이 불가능한 것은 아니다. 이러한 대안적인 실시예의 경우에는 예상 심도가 활용되지 않으므로 예상 심도를 산출하는 S50 단계가 생략된다.
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the estimated depth calculated in step S50 is utilized in step S60. If the estimated depth is used, although the estimated depth is based on the above-described estimated depth d ', there may be an error. However, even if the error is taken into account, The drilling operation can be carried out with a plan (prediction) on whether or not the drilling is to be carried out. However, in alternative alternative embodiments, step S60 may be performed without utilizing the expected depth. In this alternative embodiment, although the efficiency of the drilling operation is relatively reduced, it is not impossible to verify the sediment layer (A5 layer) to be surveyed through drilling. In this alternative embodiment, since the expected depth is not utilized, step S50 of calculating the expected depth is omitted.
이상 설명된 도 2의 실시예에 따른 해저 퇴적층 조사 방법의 경우, 탄성파 탐사법을 통해 탄성파 자료를 얻는 S10 단계가 조사 대상 퇴적층(A5층)의 육상 노두의 주향 및 경사를 조사하는 S20 단계 이전에 수행된다. 하지만, 대안적으로 S10 단계는 외삽을 통해 확대된 추정 데이타를 얻는 S30 단계와 외삽 데이타와 탄성파 자료를 비교하여 외삽 데이타에 매칭되는 층준을 결정하는 S40 단계 사이에 수행될 수도 있다.In the case of the submarine sediment layer surveying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2 described above, the step S10 for obtaining the seismic wave data through the seismic wave surveying method is performed before the step S20 for examining the incline and inclination of the land off- do. Alternatively, step S10 may be performed between step S30 for obtaining the estimated data magnified by extrapolation and step S40 for comparing the extrapolated data and the acoustic wave data to determine the layered level matching the extrapolated data.
또한, 이상 설명된 도 2의 실시예의 경우 폐기 대상 가스가 이산화탄소인 것으로 한정되었지만, 본 발명에 따른 해저 퇴적층 조사 방법은 그에 한정되지 않고, 해저 퇴적층에 저장 가능한 다른 폐기 가스를 저장하기 위한 탐사 목적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다.
In the embodiment of FIG. 2 described above, the gas to be decomposed is limited to carbon dioxide. However, the method for irradiating the submarine sediment la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for the purpose of storing other waste gas that can be stored in the submarine sediment layer The same can be applied.
전술한 실시예를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해저 퇴적층 조사 방법에 의하면, 저장용 퇴적층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해저 퇴적층을 찾기 위한 시추 작업을 진행하기에 앞서, 육상 노두 조사 및 그것의 외삽 확대를 통해 탄성파 자료의 어떤 층준이 저장용 퇴적층에 대응되는 것인지 결정할 수 있으므로, 탄성파 자료만 가지로 시추 작업을 진행하는 경우에 비하여 시추 작업의 효율성 및 정확성이 증대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저장용 퇴적층을 찾기 위한 해저 탐사에 드는 비용 및 노력을 크게 절감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method for irradiating the submarine sedimentary la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before proceeding with drilling to find a submarine sedimentary layer suitable for use as a storage sedimentary layer,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ich layer of the seismic data corresponds to the sedimentary layer for storage, so that the efficiency and accuracy of the drilling operation can be increased compared to the case where the seismic work is performed only with the elastic wave material, This can significantly reduce the cost and effort of exploration for the seab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해저 퇴적층 조사 방법에 의하면, 저장용 퇴적층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해저 퇴적층을 찾기 위한 시추 작업을 진행하기에 앞서, 외삽 확대를 통해 얻은 육상 노두의 확대 데이타를 통해 그 육상 노두에 대응하는 층준의 추정 깊이를 산출하여 활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저장용 퇴적층에 존재하는 돔 형태 지역까지의 깊이가 예측되므로 시추 작업을 보다 계획적으로 진행할 수 있으므로 해저 탐사에 드는 비용 및 노력을 보다 절감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method for surveying the submarine sedimentary la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efore proceeding with drilling to find a submarine sedimentary layer suitable for use as a storage sedimentary layer, It is possible to calculate and utilize the estimated depth of the corresponding stratum. In this case, since the depth to the dome-shaped region existing in the storage sediment layer is predicted, the drilling operation can be more planned, .
S : 탐사 대상 지역
O : 노두 지역
E : 외삽 지역
X : 육상 노두에서 조사된 조사 대상 퇴적층의 경사 방향
A1 ~ A7 : 탐사 대상 지역 내 실제 해저 퇴적층들
B1 ~ B7 : 탄성파 자료 상의 층준들S: Area to be explored
O: Outer area
E: extrapolated region
X: Direction of inclination of the sediment layer to be surveyed
A1 ~ A7: Actual seabed deposits in the exploration area
B1 to B7: Levels on seismic data
Claims (6)
(b1) 육상의 적어도 일 지역에서 조사 대상 퇴적층의 육상 노두에 대한 주향 및 경사를 조사하여 상기 육상 노두에 대한 실제 조사 자료를 얻는 단계;
(c1) 상기 실제 조사 자료를 적어도 상기 탐사 대상 지역에 도달할 때까지 외삽법에 의해 확대하여 상기 육상 노두에 대한 확대 자료를 얻는 단계;
(d1) 상기 육상 노두에 대한 확대 자료를 상기 탄성파 자료와 비교하여 상기 육상 노두에 대한 확대 자료에 가장 가깝게 매칭되는 지질학적 특성을 나타내는 탄성파 자료 상의 층준을 상기 조사 대상 퇴적층에 대응하는 층준(B5)으로 결정하고, 외삽법에 의해 확대된 지역과 탐사 대상 지역의 경계에서, 탄성파 자료로부터 탄성파가 결정된 층준(B5)에 도달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정보를 얻고, 외삽법에 의한 확대 자료로부터 결정된 층준(B5)의 추정 깊이 정보를 얻은 다음, 추정 깊이와 소요 시간에 따른 탄성파의 평균 속도를 산출하는 단계; 및
(d2) 산출된 탄성파의 평균 속도를 이용하여 상기 조사 대상 퇴적층에 대응하는 것으로 결정된 층준의 예상 심도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해저 퇴적층 조사 방법.
(a1) selecting an area to be surveyed adjacent to the land and obtaining seismic data for the sub-sea sediments of the area to be surveyed using the seismic wave method;
(b1) obtaining the actual survey data for the onshore outcrops by investigating the inclination and inclination of the onshore outcrops of the target sediment layer in at least one region of the land;
(c1) enlarging the actual survey data by extrapolation until at least the area to be surveyed is reached to obtain enlarged data on the land off-road;
(d1) comparing a magnified data on the onshore outcrop with the seismic data, and comparing the stratum on the seismic data showing the geologic characteristics most closely matching the magnified data on the on- And obtains the time information required to reach the layer B5 at which the seismic waves are determined from the seismic waves at the boundary between the region expanded by the extrapolation method and the region to be surveyed, ), Calculating an average velocity of the elastic waves according to the estimated depth and the required time, And
(d2) calculating an expected depth of the stratum determined to correspond to the investigation target sediment layer using the calculated average velocity of the seismic waves.
상기 조사 대상 퇴적층은 이산화탄소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용 퇴적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저 퇴적층 조사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diment layer to be irradiated is a sediment layer for storing carbon dioxide.
(e1) 상기 조사 대상 퇴적층에 대응하는 것으로 결정된 층준에 대한 탄성파 자료에서 돔(dome) 형태 지역의 좌표를 획득하고, 획득된 좌표에서 시추를 수행하여 상기 조사 대상 퇴적층의 존재 여부를 검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저 퇴적층 조사 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e1) acquiring coordinates of a dome-shaped area in the seismic wave data for the layered line determined to correspond to the layer to be investigated, and performing drilling at the obtained coordinates to verify presence of the layer to be investigated Further comprising the steps of:
상기 (e1) 단계는 상기 (d2) 단계에서 산출된 예상 심도를 활용하여 시추를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저 퇴적층 조사 방법.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drilling is performed using the estimated depth calculated in the step (d2).
상기 (c1) 단계에서 수행되는 외삽은 상기 (a1) 단계에서 파악된 조사 대상 퇴적층의 육상 노두의 경사 방향을 따라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저 퇴적층 조사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xtrapolation performed in the step (c1) is performed along a slanting direction of the land overhang of the sediment layer to be irradiated obtained in the step (a1).
상기 (a1) 단계는 상기 (b1) 단계 이전에 수행되거나 상기 (c1) 단계와 상기 (d1) 단계 사이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저 퇴적층 조사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ep (a1) is performed before the step (b1) or between the step (c1) and the step (d1).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64168A KR101602808B1 (en) | 2014-05-28 | 2014-05-28 | Method for investigating of submarine sementary layer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64168A KR101602808B1 (en) | 2014-05-28 | 2014-05-28 | Method for investigating of submarine sementary layer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36766A KR20150136766A (en) | 2015-12-08 |
KR101602808B1 true KR101602808B1 (en) | 2016-03-14 |
Family
ID=54872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64168A KR101602808B1 (en) | 2014-05-28 | 2014-05-28 | Method for investigating of submarine sementary layer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02808B1 (e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60563B1 (en) | 2005-09-30 | 2006-12-22 | (주)지 텍크 | Buoy-plate multi channel seismic survey system and method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519072B2 (en) * | 2006-05-11 | 2016-12-13 | Schlumberger Technology Corporation | Method and apparatus for locating gas hydrate |
KR101378898B1 (en) * | 2012-06-15 | 2014-03-28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Apparatus and method for creating a submarine topography map |
-
2014
- 2014-05-28 KR KR1020140064168A patent/KR101602808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60563B1 (en) | 2005-09-30 | 2006-12-22 | (주)지 텍크 | Buoy-plate multi channel seismic survey system and method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해상자력이상. 박찬홍 외5인, 지질학회지 제33권 제3호, p.117-126, 1997.9.*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36766A (en) | 2015-12-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Furre et al. | 20 Years of Monitoring CO2-injection at Sleipner | |
Dean et al. | A risk-based framework for Measurement, Monitoring and Verification (MMV) of the Goldeneye storage complex for the Peterhead CCS project, UK | |
Arts et al. | Ten years' experience of monitoring CO2 injection in the Utsira Sand at Sleipner, offshore Norway | |
Böttner et al. | Pockmarks in the witch ground basin, central North Sea | |
Gay et al. | Geological controls on focused fluid flow associated with seafloor seeps in the Lower Congo Basin | |
Cevatoglu et al. | Gas migration pathways, controlling mechanisms and changes in sediment acoustic properties observed in a controlled sub-seabed CO2 release experiment | |
Chand et al. | Multiple episodes of fluid flow in the SW Barents Sea (Loppa High) evidenced by gas flares, pockmarks and gas hydrate accumulation | |
Chadwick et al. | 4D seismic imaging of an injected C02 plume at the Sleipner Field, Central North Sea | |
Römer et al. | Assessing marine gas emission activity and contribution to the atmospheric methane inventory: A multidisciplinary approach from the D utch D ogger B ank seep area (N orth S ea) | |
Ali et al. | Gravity anomalies of the United Arab Emirates: Implications for basement structures and infra-Cambrian salt distribution | |
Lindhorst et al. | Sedimentary and tectonic evolution of lake Ohrid (Macedonia/Albania) | |
Chadwick et al. | Geophysical monitoring of the CO2 plume at Sleipner, North Sea | |
Chadwick | Offshore CO2 storage: Sleipner natural gas field beneath the North Sea | |
Roche et al. | Time-lapse imaging of CO2 migration within near-surface sediments during a controlled sub-seabed release experiment | |
Hutton | Geophysical modeling and structural interpretation of a 3D reflection seismic survey in Farnsworth Unit, TX | |
Landrø et al. | Gas flow through shallow sediments—A case study using passive and active seismic field data | |
Eiken | Twenty years of monitoring CO2 injection | |
Bachu et al. | Approach to evaluating the CO2 storage capacity in Devonian deep saline aquifers for emissions from oil sands operations in the Athabasca area, Canada | |
Hermanrud et al. | Petroleum column-height controls in the western Hammerfest Basin, Barents Sea | |
Rossi et al. | Seismic survey on an open pingo system in Adventdalen Valley, Spitsbergen, Svalbard | |
Wenau et al. | Cold seeps at the salt front in the Lower Congo Basin II: The impact of spatial and temporal evolution of salt-tectonics on hydrocarbon seepage | |
Rütters et al. | State-of-the-art of monitoring methods to evaluate storage site performance | |
Furre et al. | Sleipner 26 years: how well-established subsurface monitoring work processes have contributed to successful offshore CO2 injection | |
Marshall et al. | Goldeneye: Tomorrow Never Dies (or a field Only Lives Twice) | |
KR101602808B1 (en) | Method for investigating of submarine sementary layer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404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