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1910B1 - Switching Device for Contact Breaker providing safety function of On Mode change - Google Patents

Switching Device for Contact Breaker providing safety function of On Mode chang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1910B1
KR101601910B1 KR1020140112580A KR20140112580A KR101601910B1 KR 101601910 B1 KR101601910 B1 KR 101601910B1 KR 1020140112580 A KR1020140112580 A KR 1020140112580A KR 20140112580 A KR20140112580 A KR 20140112580A KR 101601910 B1 KR101601910 B1 KR 1016019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
mode
key knob
disposed
mov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258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025385A (en
Inventor
윤여관
Original Assignee
윤여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여관 filed Critical 윤여관
Priority to KR10201401125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1910B1/en
Publication of KR201600253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538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19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191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1/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in the form of a pivotable member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g. by a hand
    • H01H21/02Details
    • H01H21/04Cases;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1/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in the form of a pivotable member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g. by a hand
    • H01H21/02Details
    • H01H21/04Cases; Covers
    • H01H21/06Cases; Covers interlocked with operating mechanis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1/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in the form of a pivotable member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g. by a hand
    • H01H21/02Details
    • H01H21/18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21/22Operating parts, e.g. handle

Landscapes

  • Brea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부재의 일측에 솟은 형태로 형성되어 이동부재가 설정된 오프 모드 위치에서 오버 회동시 일단부를 밀어주게 되는 돌기; 이동부재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이동부재의 일부분을 가리는 형태로 지지 하우징과 결합되는 커버 플레이트; 커버 플레이트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 되며 회동 방향에 따라 일단부는 키노브가 오프 모드 표시부에 위치하게 될 때 돌기가 밀착될 수 있도록 돌기의 이동 경로 상에 배치되고 타단부는 지지 하우징의 일측 면에 형성되는 안내공을 통해 인출되는 상태로 배치되는 걸림부재; 커버 플레이트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 되며 회동 방향에 따라 걸림부는 일단부에 밀착된 돌기가 온 모드 방향으로 이동시 돌기의 이동을 저지하도록 돌기의 이동 경로 상에 배치되고 타단부는 지지 하우징의 일측 면에 형성되는 가이드공을 통해 인출되는 상태로 배치되는 안전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온 모드 전환 안전 기능이 구비된 차단기용 개폐 스위치장치가 제공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projection formed on one side of a moving member such that the moving member pushes one end of the moving member in an over-rotating state in a set off-mode position; A cover plate coupled with the support housing in such a manner as to cover a part of the movable member to prevent the shifting member from separating; One end of the key knob is disposed on the movement path of the protrusion so that the protrusion can be closely contacted when the key knob is positioned in the off mode display portion and the other end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support housing An engaging member disposed in a state of being drawn out through a guide hole which is formed in the guide groove; The cover is hinged to the cover plate so as to be rotatable. The latching part is disposed on the movement path of the projection so as to prevent the movement of the projection when it is moved in the on mode direction, and the other end is fixed to one side of the support housing And a safety means disposed in a state of being pulled out through a guide hole formed in the circuit breaker.

Description

온 모드 전환 안전 기능이 구비된 차단기용 개폐 스위치장치{Switching Device for Contact Breaker providing safety function of On Mode change}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witching device for a circuit breaker,

본 발명은 온 모드 전환 안전 기능이 구비된 차단기용 개폐 스위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단기 버튼을 온 또는 오프 모드로 이동시키는 개폐 스위치장치의 이동부재가 오프 모드 위치에서 온 모드 위치로 모드 전환을 위해 이동시 자동으로 동작하는 안전 수단에 의해 저지되도록 하고, 안전 수단을 해제 후 온 모드 방향으로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작업 또는 점검중 갑작스런 온 모드 전환에 따른 작업자 감전사고 및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n-off switch device for a circuit breaker having an on-mode switching safety func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n on-off switch device in which an on- By preventing the safety means from being automatically operated during the shifting and by moving the safety means in the direction of the on mode after releasing the safety mean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electric shock and safety accidents To be able to do.

일반적으로, 차단기용 개폐 스위치장치는 차단기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 되어 차단기 버튼에 대한 모드 전환 조작을 쉽고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장치이며, 아울러 온 모드 또는 오프 모드에 대한 모드 식별 기능도 제공하여 작업자가 혼동이나 착오 등에 의한 감전, 전력, 안전 사고 발생을 방지하는 기능도 발휘한다.In general, the switch-on / off switch device for a circuit breaker is detachably coupled to a circuit breaker to help easily and easily operate the mode switching operation of the circuit breaker button, and also provides a mode identification function for the on mode or the off mode And the worker also has the function of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electric shock, electric power, and safety accident due to confusion or error.

이러한 일 예로서,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10-2014-00087222(이하, "특허문헌1" 이라고 함)에 개시된 기술 내용을 살펴 보면, 키노브를 오프 모드로 회동시 차단기 버튼이 결합 된 이동부재는 이와 연동하여 온 모드 위치에서 오프 모드 위치로 이동하게 되고, 키노브를 온 모드로 회동시 이동부재는 오프 모드 위치에서 온 모드 위치로 이동하는 동작을 통해 차단기로 공급도는 전력을 개폐하게 된다.As an example of such an example, in a technique disclosed i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4-00087222 (hereinafter referred to as "Patent Document 1"), when the key knob is turned in the off mode, When the key knob is turned to the on mode, the movable member is moved from the off-mode position to the on-mode position to open and close the power supply to the circuit breaker.

위와 같이 구조로 구성되는 특허문헌1은, 예를 들어 차단기와 연결되는 장비 또는 설비 등에 대한 점검이나 전력 계통에 대한 부품 교체 작업을 진행시, 키노브를 오프 모드로 회동시켜 전력을 차단한 후 작업을 실시하게 된다. Patent Document 1 configured as above has a structure in which, for example, when checking equipment or equipment connected to a breaker or performing a component replacement operation for a power system, the key knob is turned in an off mode to cut off power, .

그런데, 위와 같은 작업을 실시하는 과정에서 특히, 차단기 주변에 배치되어 있는 전력 계통을 점검하거나 부품 교체 작업시, 작업자의 부주의로 인해 작업 공구나 작업자의 신체가 키노브에 접촉하는 상태로 힘이 가해지면서 오프 모드로 전환되어 있던 키노브가 온 모드로 전환되고, 그로 인해 전력이 재공급되어 감전 및 전력 사고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in the process of performing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in particular, when the electric power system disposed around the breaker is inspected or a part is replaced, force is applied to the work tool or the worker's body in contact with the key knob due to carelessness The key knob which has been switched to the off mode is switched to the on mode, and the electric power is supplied again to cause an electric shock and an electric power accident.

또한, 차단기용 개폐 스위치를 조작하는 작업자가 실수로 인해 오프 모드로 전환되어 있는 키노브를 온 모드로 전환시, 안전 기능 없이 그대로 모드 전환이 즉각 이루어짐으로써 사고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도 있었다.
In addition, there is also a problem that, when an operator operating the on-off switch for a circuit breaker accidentally switches the off-mode key knob to the on-mode, the mode is immediately switched without a safety function.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10-2014-00087222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4-0008722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차단기 버튼을 온 또는 오프 모드로 이동시키는 개폐 스위치장치의 이동부재가 오프 모드 위치에서 온 모드 위치로 모드 전환을 위해 이동시 자동으로 동작하는 안전 수단에 의해 저지되도록 하고, 안전 수단을 해제 후 온 모드 방향으로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작업 또는 점검중 갑작스런 온 모드 전환에 따른 작업자 감전사고 및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온 모드 전환 안전 기능이 구비된 차단기용 개폐 스위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afety device in which a movable member of an open / close switch device for moving a breaker button in an on- Mode switching safety function that prevents the occurrence of electric shock and safety accidents due to the sudden switch-on of the operation mode during operation or inspection by allowing the safe means to move in the on mode direction after the safing means is released And an opening / closing switch device for a circuit breaker.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지지 하우징의 전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 되는 힌지부를 구비하고 있는 키노브와, 상기 키노브의 힌지부와 연동 회전하도록 결합 되는 상태로 지지 하우징의 내에 배치되는 원기어와, 상기 원기어와 맞물리는 랙기어 및 차단기 버튼이 결합 되는 결합공을 형성하고 있는 이동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차단기용 개폐 스위치장치에 있어서, 이동부재의 일측에 솟은 형태로 형성되어 이동부재가 설정된 오프 모드 위치에서 오버 회동시 일단부를 밀어주게 되는 돌기; 이동부재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이동부재의 선단 일부분을 가리는 형태로 배치되며 지지 하우징과 결합되는 커버 플레이트; 커버 플레이트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 되며 회동 방향에 따라 일단부는 키노브가 오프 모드 표시부에 위치하게 될 때 돌기와 밀착될 수 있도록 돌기의 이동 경로 상에 배치되고 일단부와 대응하는 타단부는 지지 하우징의 일측 면을 통해 인출되는 상태로 배치되는 걸림부재; 커버 플레이트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 되며 회동 방향에 따라 걸림부는 일단부에 밀착된 돌기가 온 모드 방향으로 이동시 돌기의 이동을 저지하도록 돌기의 이동 경로 상에 배치되고 걸림부와 대응하는 타단부는 지지 하우징의 일측 면을 통해 인출되는 상태로 배치되는 안전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걸림부재의 타단부와 안전수단의 타단부 간에는 일단부와 걸림부가 돌기의 이동 경로 상에 항상 회동 배치될 수 있도록 탄성부재로 연결되는 온 모드 전환 안전 기능이 구비된 차단기용 개폐 스위치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돌기가 온 모드 방향에서 온 모드 방향으로 이동시 접촉하게 되는 걸림부의 일면은 각도를 가지는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온 모드 전환 안전 기능이 구비된 차단기용 개폐 스위치장치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key knob comprising a key knob having a hinge portion rotatably coupled to a front surface of a support housing, and a knob disposed in the support housing to be coupled to the hinge portion of the key knob, And a moving member which forms a coupling hole in which a gear and a rack gear and a breaker button which engage with the above-mentioned original gear are engaged,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switch device for a circuit breaker comprises: A protrusion that pushes one end of the lever in an over-rotating state at a set off-mode position; A cover plate disposed in such a manner as to cover a tip portion of the moving member to prevent the moving member from coming off and to be coupled with the supporting housing; One end of the key knob is disposed on the movement path of the projection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projection when the key knob is positioned in the off mode display portion and the other end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one end portion is disposed on the support housing An engaging member arranged to be drawn out through one side surface; The cover is hinged to the cover plate in such a manner that it can be pivotally connected to the cover plate, and the protrusion,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ne end portion of the locking portion in the rotating direction, is disposed on the movement path of the protrusion, And safety means arranged to be pulled out through one side face of the housing; Between the other end of the latching member and the other end of the safety means is connected by an elastic member so that the one end and the latching portion can always be pivoted on the movement path of the projection, do.
In addition, there is provided an on-off switch device for a circuit breaker provided with an on-mode switching safety function in which one surface of the latch portion,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protrusion when moving in the ON mode direction to the on mode, is formed as an inclined surface having an angle.

삭제delete

삭제delete

또한, 상기 이동부재에 탄력지지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탄력지지수단은 결합공의 일측 선단에 돌출 형성되어 차단기 버튼의 일측 면을 지지하는 지지돌기와, 상기 지지돌기와 마주하는 배치 구조로 이동부재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와 지지돌기 사이에 배치되어 차단기 버튼의 타측 면을 탄력 지지하는 밀대부재와, 상기 밀대부재와 고정부 간에 연결되는 탄성부재;로 이루어지는 온 모드 전환 안전 기능이 구비된 차단기용 개폐 스위치장치가 제공된다.Further, the movable member is provided with resilient supporting means, and the resilient supporting means is provided with a support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one end of the coupling hole to support one side surface of the circuit breaker button, and a fixing protrusion A toggle member which is disposed between the fixing portion and the support projection and elastically supports the other surface of the breaker button and an elastic member which is connected between the pusher member and the fixing portion, An open / close switch device for a circuit breaker is provided.

또한, 상기 커버 플레이트는 이동부재의 양측 선단을 각각 가리도록 양편에 나란히 배치되는 커버부와, 상기 커버부의 일단 사이에 배치되는 구조로 양편 커버부와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온 모드 전환 안전 기능이 구비된 차단기용 개폐 스위치장치가 제공된다.The cover plate includes a cover portion disposed on both sides so as to respectively cover both ends of the moving member, and a connection portion connected to both cover portions through a structure disposed between one ends of the cover portion. An open / close switch device for a circuit breaker having a safety function is provided.

또한, 상기 결합공을 중심으로 양편에는 가이드레일과 가이드공이 이동부재의 이동 방향으로 각각 나란히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밀대부재에는 가이드레일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 되는 가이드홈과 가이드공을 통과하는 상태로 이동부재에 이동 가능하게 걸림 되는 결착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온 모드 전환 안전 기능이 구비된 차단기용 개폐 스위치장치가 제공된다.Further, guide rails and guide holes are formed in parallel on both sides of the coupling hole i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moving member, and the pressing member has a guide groove slidably engaged with the guide rail, There is provided an on-off switch device for a circuit breaker provided with an on-mode switching safety function comprising a fastening protrusion movably engaged with a movable member.

또한, 상기 키노브의 테두리를 감싸는 구조로 결합 되는 표시 플레이트와; 상기 표시 플레이트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 되는 결합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수단은 표시 플레이트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 되는 프레임과, 이 프레임에 형성된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걸림부재의 타단부와 걸림되는 결착부재로 이루어지는 온 모드 전환 안전 기능이 구비된 차단기용 개폐 스위치장치가 제공된다.A display plate coupled to the key knob so as to surround the rim of the key knob; And the engaging means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display plate. The engaging means is rotatably coupled to the hinge portion formed on the frame, and the other end of the engaging member engages with the engaging member There is provided an on-off switch device for a circuit breaker provided with an on-mode switching safety function.

또한, 상기 프레임의 일측 선단에서 절곡 되는 구조로 안전수단의 타단부 일측 선단과 접촉하게 되는 위치설정부재가 형성되어 있는 온 모드 전환 안전 기능이 구비된 차단기용 개폐 스위치장치가 제공된다.
Also, there is provided an on / off switch device for a circuit breaker provided with a safety function for on-mode switching, in which a positioning member is formed to be bent at one end of the frame and to be in contact with one end of the other end of the safety means.

위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온 모드 전환 안전 기능이 구비된 차단기용 개폐 스위치장치를 사용하게 되면, 차단기에 연결되는 전력 계통을 점검하거나 또는 전력 부품을 교체 작업 중 작업자의 부주의로 인해 작업 공구나 작업자의 신체가 접촉되는 상태로 힘이 가해져 오프 모드로 전환되어 있는 키노브가 온 모드로 전환되고, 그로 인해 전력이 재공급되어 감전 및 전력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on-off switching device for a circuit breaker equipped with the on-mode switching safety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the power system connected to the circuit breaker is checked, or the power component is replaced It is expected that the key knob in which the force is applied in a state in which the body is in contact and is switched to the off mode is switched to the on mode so that the electric power is supplied again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electric shock and electric power accident.

또한, 온 모드 전환 안전 기능이 구비된 차단기용 개폐 스위치장치를 사용하게 되면, 차단기용 개폐 스위치를 조작하는 작업자가 실수로 인해 오프 모드로 전환되어 있는 키노브를 온 모드로 전환시, 안전 기능 없이 그대로 모드 전환이 이루어짐으로써 발생하는 사고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When the on-off switching device for a breaker provided with the on-mode switching safety function is used, an operator who operates the on-off switch for the circuit breaker switches the off-mode key knob to the on mode, It is possible to expect an effect of preventing an accident caused by switching the mode as it is.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차단기용 개폐 스위치장치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도 1a는 전면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1b는 배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2a 및 도 2b는 차단기용 개폐 스위치장치를 나타낸 부분 분리 사시도로서, 도 2a는 키노브와 록킹 수단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전면 사시도이고, 도 2b는 도 2a를 나타낸 배면 사시도이다.
도 2c는 원기어, 이동부재, 밀대부재, 커버 플레이트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배면 사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도 2c의 이동부재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도 3a는 이동부재를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3b는 뒤집어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온 모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4a는 키노브의 회동 위치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4b는 이동부재의 위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오프 모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5a는 키노브의 회동 위치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5b는 이동부재의 위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키노브가 오프 표시부로부터 오버 회동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6a는 키노브의 위치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6b는 이동부재의 위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이동부재가 안전수단에 의해 온 방향으로의 이동이 저지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7a는 평면도이고, 도 7b는 개략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이동부재가 안전수단으로부터 저지가 해제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8a는 평면도이고, 도 8b는 개략도이다.
도 9는 차단기 온 오프 스위치의 회동 구조를 나타낸 참고도이다.
1A and 1B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n open / close switch device for a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FIG. 1A is a front view and FIG. 1B is a rear view.
FIGS. 2A and 2B are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s showing an open / close switch device for a circuit breaker, FIG. 2A is a front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key knob and a locking means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FIG. 2B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FIG.
2C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riginal gear, the shifting member, the pressing member, and the cover plate are separated.
3A and 3B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moving member of FIG. 2C, wherein FIG. 3A is a top view of the moving member, and FIG. 3B is an inverted view.
FIGS. 4A and 4B show on-mode states. FIG. 4A is a plan view showing a pivotal position of the key knob, and FIG. 4B is a plan view showing a position of the movable member.
FIGS. 5A and 5B show an off-mode state, FIG. 5A is a plan view showing a pivotal position of the key knob, and FIG. 5B is a plan view showing a position of the movable member.
Figs. 6A and 6B show a state in which the key knob is over-rotated from the off-display unit, Fig. 6A is a plan view showing the position of the key knob, and Fig. 6B is a plan view showing the position of the moving member.
FIGS. 7A and 7B show a state in which the moving member is prevented from moving in the ON direction by the safety means, wherein FIG. 7A is a plan view and FIG. 7B is a schematic view.
8A and 8B show a state in which the shifting member is released from the safety means, wherein Fig. 8A is a plan view and Fig. 8B is a schematic view.
9 is a reference view showing a rotating structure of the circuit breaker on-off switch.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a 및 도 2b는 차단기용 개폐 스위치장치를 나타낸 부분 분리 사시도로서, 도 2a에서는 키노브와 록킹 수단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전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b에서는 도 2a를 나타낸 배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2c에서는 원기어, 이동부재, 밀대부재, 커버 플레이트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배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3a 및 도 3b는 도 2c의 이동부재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도 3a에서는 이동부재를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 도시되어 있고, 도 3b에서는 뒤집어서 바라본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2A and 2B are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s showing an open / close switch device for a circuit breaker, and FIG. 2A is a front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key knob and a locking means are separated, and FIG. 2B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FIG. have.
FIG. 2C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riginal gear, the shifting member, the pressing member, and the cover plate are separated. 3A and 3B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moving member of FIG. 2C. In FIG. 3A, the moving member is shown in a top view, and in FIG. 3B, an inverted view is shown.

도면에서 보듯이, 본 발명에 따른 개폐 스위치장치(100)는 차단기(S)와 결합되는 지지 하우징(102)과, 상기 지지 하우징(102) 상면 중앙에 형성되는 힌지공(104), 이 힌지공(104)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 되는 힌지부(108)를 일면에 구비하고 있는 키노브(106)를 포함하고 있다 (도 9참조).The switch 100 includes a support housing 102 coupled to the circuit breaker S, a hinge hole 104 form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housing 102, And a key knob 106 having a hinge portion 108 rotat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104 (see FIG. 9).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 하우징(102)의 내부에는 힌지공(104)의 위치에 맞추어 원기어(110)가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원기어(110)는 힌지공(104)의 걸림턱(112)에 걸림 되는 구조로 놓여져 있고, 이와 같이 놓인 원기어(110)는 체결부재(114)를 통해 힌지부(108)와 조임 결합되어 서로 연동 회전하도록 고정되어 있다. Specifically, in the interior of the support housing 102, a circular gear 110 is disposed to match the position of the hinge hole 104. The circular gear 110 placed in this manner is engaged with the hinge portion 108 of the hinge hole 104 through the fastening member 114, And are fixed so as to rotate interlockingly with each other.

또한, 상기 원기어(110)를 중심으로 지지 하우징(102)의 내부 양편에는 지지레일(116)이 나란히 배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지지레일(116)의 양 끝단은 지지 하우징(102)의 대응 면에 연결되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Support rails 116 are arranged side by side on the inside of the support housing 102 with the source gear 110 as a center and both ends of the support rails 116 are supported on the corresponding surfaces of the support housing 102 And has a structure to be connected.

또한, 지지 하우징(102)의 내부에는 이동부재(118)가 배치된다. 이러한 이동부재(118)는 지지레일(116)에 지지 되는 구조로 놓이게 되는데, 이때 이동부재(118)의 양측 선단이 해당 지지레일(116)에 각각 걸쳐지는 구조로 놓이게 된다.In addition, a moving member 118 is disposed inside the support housing 102. The moving member 118 is supported by the supporting rails 116 so that both ends of the moving member 118 are respectively disposed on the supporting rails 116.

상기 이동부재(118)의 일면에는 원기어(110)와 맞물리는 구조로 이동부재(118)를 이동시키게 되는 랙기어(120)가 형성되어 있고, 이동부재(118)의 중앙에는 차단기 버튼(12)이 삽입되는 구조로 끼워질 수 있는 결합공(122)이 형성되어 있다 (도 9참조).A rack gear 120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moving member 118 to move the moving member 118 in a structure to engage with the circular gear 110. A breaker button 12 (See Fig. 9). In Fig.

또한, 상기 랙기어(120)가 형성되는 면과 대응하는 이동부재(118)의 타면에는 키노브(106)가 오프 표시부(124)로부터 그 이상 오버 회동시 후술하는 걸림부재(126)의 일단부(127)를 밀어주기 위한 돌기(128)가 솟은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The other end of the moving member 118 corresponding to the surface on which the rack gear 120 is formed is provided with a locking member 126 having one end of a locking member 126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when the key knob 106 is rotated from the off- The protrusion 128 for pushing the protrusion 127 is formed in a raised shape.

상기 이동부재(118)에는 탄력지지수단(130)이 각각 구비되어 있다.The moving member 118 is provided with elastic force supporting means 130, respectively.

상기 탄력지지수단(130)은 결합공(122)을 중심으로 일측 선단에 솟은 형태로 형성되며 차단기 버튼(12)의 일측 면에 접촉 상태로 지지하는 지지돌기(134)와, 상기 지지돌기(134)와 마주하는 배치 구조로 이동부재(118)에 고정되는 고정부(136)와, 상기 고정부(136)와 지지돌기(134) 사이에 배치되는 밀대부재(138)와, 상기 밀대부재(138)와 고정부(136) 간에 탄력 지지 되는 탄성부재(140)로 구성된다.The elastic supporter 130 includes a support protrusion 134 formed to protrude from one side of the coupling hole 122 and to support the one side of the breaker button 12 in contact with the support protrusion 134, A fixing member 136 which is fixed to the moving member 118 in an arrangement structure facing the fixing member 136 and a pressing member 138 which is disposed between the fixing portion 136 and the supporting protrusion 134, And an elastic member 140 elastically supported between the fixing portion 136 and the fixing portion 136.

아울러, 서로 마주보고 있는 고정부(136)과 밀대부재(138)에는 취부돌기(142)와 수용홈부(144)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그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부재(140)의 일단은 고정부(136)의 취부돌기(142)에 결합 되는 구조를 취하고 있고 타단은 밀대부재(138)의 수용홈부(144)에 일부 삽입되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The fixing protrusion 142 and the receiving recess 144 are respectively formed in the fixing part 136 and the pressing member 138 facing each other and one end of the elastic member 140 disposed therebetween is fixed to the fixing part 136, And the other end thereof is partially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144 of the pushing member 138. The pushing projection 142 of the pushing member 136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144 of the pushing member 138,

또한, 상기 결합공(122)을 중심으로 하여 이동부재(118)의 양편에는 가이드레일(146)과 가이드공(148)이 지지레일(116)의 배치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되어 있다 (도 3a 참조). Guide rails 146 and guide holes 148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movable member 118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support rails 116 3a).

이러한 상기 가이드레일(146) 및 가이드공(148)과 각각 대응하는 밀대부재(138)에는 가이드레일(146)과 결합되는 가이드홈(150), 가이드공(148)에 결합되는 결착돌기(152)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The pushing member 138 corresponding to the guide rail 146 and the guide hole 148 is provided with a guide groove 150 to be engaged with the guide rail 146 and a coupling protrusion 152 to be coupled to the guide hole 148, Respectively.

구체적으로, 위와 같이 형성되는 가이드홈(150)에는 가이드레일(146)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구조로 결합 되고, 결착돌기(152)는 가이드공(148)을 통과하여 후크 모양의 단부가 이동부재(118)의 반대편에 이동 가능하게 걸림되는 구조를 취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밀대부재(138)의 결합 구조에 의해 밀대부재(138)의 위치 변화 또는 틀어짐이 방지된다 (도 3b 참조).Specifically, the guide rails 146 are slidably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s 150 formed as described above. The binding projections 152 pass through the guide holes 148, And is movably engag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member (118). Such a coupling structure of the plunger 138 prevents the position of the plunger 138 from being changed or shifted (see Fig. 3B).

따라서, 상기 탄력지지수단(130)에 의해 차단기 버튼(12)의 직선 회동 방향에 대한 차단기 버튼(12)과 결합공(122)의 내면 간에 유격 형성이 완전히 제거 될 수 있게 됨으로써 이러한 유격 형성으로 인해 발생하게 되는 제반 문제를 모두 해소할 수 있게 된다.The elastic support means 130 allows the clearance formation to be completely eliminated between the breaker button 12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engagement hole 122 in the direction of linear rotation of the breaker button 12, It is possible to solve all the problems that occur.

한편, 상기 지지 하우징(102)의 내부에는 커버 플레이트(162)가 배치된다. 이러한 커버 플레이트(162)는 나사인 체결부재의 체결을 통해 지지 하우징(102)에 고정되며 이동부재(118)의 이탈을 방지하는 기능도 발휘한다. Meanwhile, a cover plate 162 is disposed inside the support housing 102. The cover plate 162 is fixed to the support housing 102 through fastening of the fastening member, which is a screw, and also functions to prevent the shifting member 118 from coming off.

구체적으로, 상기 커버 플레이트(162)는 양편에 커버부(164)가 나란히 배치되어 있고, 이 커버부(164)의 일단 사이에는 연결부(166)가 배치된다. 이와 같이 배치되는 연결부(166)의 양단은 각각 대응하는 커버부(164)와 연결 고정되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 Specifically, the cover plate 162 is provided with cover portions 164 on both sides thereof, and a connection portion 166 is disposed between one ends of the cover portion 164. Both ends of the connecting portion 166 arranged as described above are connected and fixed to the corresponding cover portions 164, respectively.

따라서, 상기 커버 플레이트(162)가 지지 하우징(102)에 고정될 때, 커버부(164)는 지지레일(116)에 걸쳐져 있는 이동부재(118)의 양측 선단 상부에 배치되어 이동부재(118)의 양측 선단을 가리게 되는 구조를 취함으로써 이동부재(118)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When the cover plate 162 is fixed to the support housing 102, the cover portion 164 is disposed above both ends of the movable member 118 that is extended over the support rail 116, So that the movable member 118 can be prevented from being released.

특히, 상기 연결부(166)는 키노브(106)가 온 표시부(168)에 위치하게 될 때 이동부재(118)의 고정부(136)가 밀착되도록 하여 그 이상 오버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는 기능도 발휘함으로써 키노브(106)는 항상 온 표시부(168)에 정확하게 위치하게 된다.Particularly, the connecting portion 166 also has a function of preventing the fixing portion 136 of the moving member 118 from being closely contacted when the key knob 106 is positioned on the on- The key knob 106 is always positioned on the on-display portion 168 precisely.

또한, 상기 커버 플레이트(162)에서 한쌍의 커버부(164) 중 어느 하나의 커버부(164)의 상면에는 걸림부재(126)가 나선축(172)을 매개로 하여 힌지 결합 되어 있다. 이러한 걸림부재(126)의 일단부(127)는 커버플레이트(162)의 안쪽으로 진입하여 배치되어 있고, 타단부(174)는 지지 하우징(102)의 일측 면에 형성되어 있는 안내공(176)을 통해 외부로 인출되어 있다.An engaging member 126 is hinged to the upper surface of one of the pair of cover portions 164 of the cover plate 162 via a spiral shaft 172. One end 127 of the latching member 126 is inserted into the cover plate 162 and the other end 174 is connected to a guide hole 176 formed on one side of the support housing 102, As shown in Fig.

이러한 걸림부재(126)는 이동부재(118)에 구비된 돌기(128)가 일단부(127)를 미는 힘과, 후술하는 탄성부재(180)의 탄성력에 따라 나선축(172)를 중심으로 정, 역 회동하여 타단부(174)가 안내공(176)으로부터 인출되는 상태를 취하거나 또는 안내공(176)으로부터 인출되지 않는 상태를 취하게 된다. The engaging member 126 is provided so that the protrusion 128 provided on the moving member 118 is biased toward the center of the spiral shaft 172 in accordance with the force of pushing the one end 127 and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180 The other end portion 174 is pulled out from the guide hole 176 or is not pulled out from the guide hole 176.

상기 돌기(128)는 키노브(106)가 오프 표시부(124)에 위치하게 될 때 이와 연동하는 이동부재(118)의 이동을 통해 걸림부재(126)의 일단부(127)에 밀착되는 상태로 위치하게 된다. The protrusion 128 is in a state of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one end 127 of the engaging member 126 through the movement of the movable member 118 associated with the key knob 106 when the key knob 106 is positioned on the off- .

한편, 상기 나선축(172)에는 온 모드 전환시 안전 기능을 발휘하는 안전 수단(200)이 나선축(172)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안전수단(200)은 걸림부재(126)의 상면에 겹쳐지는 형태로 놓이며 아울러 걸림부재(126)과 안전수단(200)은 X형으로 배치되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piral shaft 172 is rotatably coupled to a safety means 200 that exhibits a safety function when the on mode is switched, around the spiral shaft 172. Specifically, the safety means 200 is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atching member 126, and the latching member 126 and the safety means 200 are arranged in the X-shape.

상기 안전수단(200)의 걸림부(202)는 일단부(127)와 같이 동일 선상에서 커버플레이트(162)의 안쪽으로 진입하여 배치되어 있고, 이 걸림부(202)와 대응하는 타단부(203)는 안내공(176)의 일 옆에 형성되는 가이드공(206)을 통해 외부로 인출되어 있다. The latching portion 202 of the safety means 200 is arranged to enter the inside of the cover plate 162 in the same line as the one end portion 127 and the other end portion 203 corresponding to the latching portion 202 Is drawn out to the outside through a guide hole 206 formed at one side of the guide hole 176. [

또한, 상기 안전수단(200)과 걸림부재(126) 간에서는 앞서 언급한 탄성부재(180)이 연결되는데, 이때 탄성부재(180)는 지지 하우징(102)의 내부에 배치되는 구조로 안전수단(200)의 타단부(203)와 걸림부재(126)의 타단부(174) 간에 일단이 각각 연결되어 있다. The aforementioned elastic member 180 is connected between the safety means 200 and the latching member 126. The elastic member 180 is disposed inside the support housing 102, One end is connected between the other end 203 of the engaging member 200 and the other end 174 of the engaging member 126.

따라서, 상기 탄성부재(180)의 탄성력에 의해 걸림부재(126)의 타단부(174)는 안내공(176)으로부터 인출되는 회동 상태를 항상 취하고 있고, 안전수단(200)의 타단부(203)도 가이드공(206)으로부터 인출되는 회동 상태를 항상 취하게 된다. 이러한 회동 상태에서 상기 타단부(174)는 후술하는 결착부재(182)과 각각 걸림 되는 상태를 항상 취하게 된다. The other end portion 174 of the engaging member 126 is always in a rotating state to be pulled out from the guide hole 176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180 and the other end portion 203 of the safety means 200 The guide hole 206 is in a pivoted state. In this pivoting state, the other end portion 174 is always engaged with the binding member 182 described later.

상기 키노브(106)가 오프 표시부(124)로터 벗어나는 오버 회동시에는 이와 연동하는 이동부재(118)도 오프 모드 방향에서 오버 이동을 하게 된다. 이때 걸림부재(126)에 맞닿고 있던 돌기(128)가 걸림부재(126)의 일단부(127)를 오므 모드 방향으로 더 밀게 되고, 그에 따라 걸림부재(126)는 나선축(172)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인출되어 있던 타단부(174)가 안내공(176)으로 들어가게 되면서 후술하는 결착부재(182)와 타단부(174) 간에 걸림이 해제된다. When the key knob 106 is rotated over the rotor off-display unit 124, the moving member 118 associated with the key knob 106 also moves in the off-mode direction. At this time, the projection 128 abutting the engaging member 126 further pushes the one end 127 of the engaging member 126 in the direction of the omnidirectional mode so that the engaging member 126 moves the spiral shaft 172 toward the center And the other end portion 174 that has been drawn out is inserted into the guide hole 176 to release the engagement between the binding member 182 and the other end portion 174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 키노브(106)에는 키노브(106)의 테두리를 감싸는 상태로 표시 플레이트(186)이 결합 되어 있고, 이와 같이 결합 되는 표시 플레이트(186)의 일측 선단 저면에는 결합돌기(210)가 돌출되어 있다.The display plate 186 is coupled to the key knob 106 so as to surround the edge of the key knob 106. A coupling protrusion 210 protrudes from the bottom surface of one side of the display plate 186, have.

이러한 상기 결합돌기(210)에는 결합수단(208)이 결합 된다. 이러한 결합수단(208)은 결합돌기(210)가 관통하는 구조로 결합 고정될 수 있도록 결합공(204)을 형성한 프레임(216)과, 이 프레임(216)에 힌지부(218)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착부재(182)와, 상기 프레임(216)의 일측 선단에서 절곡 되는 구조로 안전수단(200)의 타단부(203) 일측 선단에 접촉하게 되는 위치설정부재(220)로 이루어진다. A coupling means 208 is coupled to the coupling protrusion 210. The coupling means 208 includes a frame 216 having an engaging hole 204 formed therein so that the engaging projection 210 can be engaged with and fixed to the engaging projection 210. The frame 216 has a hinge portion 218 And a positioning member 220 which is bent at one end of the frame 216 to be in contact with one end of the other end 203 of the safety means 200 .

나아가, 상기 결착부재(182)의 걸림력을 강화하기 위해 결착부재(182)와 프레임(216)의 일 지점 간에는 탄성스프링(T)으로 연결되는 것이 좋다.Further, it is preferable that the binding member 182 and the frame 216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n elastic spring T in order to strengthen the binding force of the binding member 182.

상기 위치설정부재(220)는 안전수단(200)의 걸림부(202)가 커버플레이트(162)에서 이동부재(118) 방향으로 진입하는 정도를 정확하게 설정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가이드공(206)으로부터 회동 인출되는 타단부(203)의 회동 위치를 잡아주는 스톱퍼 기능을 발휘한다. The position setting member 220 is relatively rotated from the guide hole 206 to accurately set the degree to which the engaging portion 202 of the safety means 200 enters the moving member 118 from the cover plate 162 And serves as a stopper function for holding the pivotal position of the other end 203 to be drawn out.

예컨대, 상기 타단부(203)의 회동 각도 범위를 가이드공(148)의 절개 길이 로 설정 저지하도록 함으로써, 걸림부(202)가 커버플레이트(162)의 안쪽 즉, 이동부재(118) 방향으로 진입하는 정도를 설정할 수도 있지만, 이 경우 걸림부(202)가 커버플레이트(162)의 안쪽으로 진입하는 정도별로 설정하기 위해 제각각 절개 길이를 갖는 가이드공(148)이 형성된 지지 하우징(102)을 각각 제작하여야 함으로써 제작 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아울러, 제작 가공이 신속 용이하지 못한 문제가 있다. 이러한 점을 다소 해소하기 위해 제작과 비용이 저렴한 결합수단(208)을 교체 사용하게 된다. For example, the rotation angle range of the other end portion 203 is set to the length of the cutout of the guide hole 148, so that the engagement portion 202 enters the inside of the cover plate 162, that is, In this case, the support housing 102 having the guide hole 148 having the cut-away length formed therein is formed to set the degree to which the engaging portion 202 enters the inside of the cover plate 162 It takes a lot of manufacturing cost,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manufacturing process can not be performed quickly. In order to alleviate this problem, the coupling means 208, which is inexpensive to produce and cost, is used in replacement.

상기 위치설정부재(220)에는 타단부(203)가 위치설정부재(220)에 끼워지는 형태로 삽입 결합 될 수 있도록 선단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파진 구조를 취하는 걸림홈이 형성되는 구조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The position setting member 220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a latching groove is formed in the inward direction from the tip so that the other end 203 can be inserted into the positioning member 220 do.

따라서, 결합수단(208)의 결착부재(182)와 걸림부재(126)의 타단부(174) 간에 걸림이 해제되게 되면, 표시 플레이트(186)와 지지 하우징(102) 간에 분리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도 2a, 도 2b 참조).Therefore, when the engagement between the binding member 182 of the coupling means 208 and the other end 174 of the engaging member 126 is released, separation between the display plate 186 and the support housing 102 can be achieved (See Figs. 2A and 2B).

나아가, 상기 표시 플레이트(186)에는 키노브(106)의 회동 위치에 따라 온 모드 및 오프 모드가 시각적으로 확인될 수 있도록 온 및 오프 표시부(168, 124)가 각각 표시되어 있다. 이때, 온 및 오프 표시부(168, 124))는 키노브(106)가 수평 또는 수직으로 회동 배치되는 상태만으로도 모드 상태를 신속 정확게 인지할 수 있도록 서로 직각을 형성하는 지점에 각각 표시되어 있다. Further, on the display plate 186, on and off indicators 168 and 124 are displayed so that the on mode and the off mode can be visually confirmed according to the rotation position of the key knob 106, respectively. At this time, the ON and OFF display units 168 and 124 are respectively displayed at the positions forming a right angle to each other so that the key knob 106 can be quickly and accurately recognized even when the key knob 106 is rotated or horizontally disposed.

또한, 상기 온 및 오프 표시부(168. 124)의 일 옆에는 키노부(106)가 가리키는 모드에 따라 점등되도록 LED 램프(184)를 각각 구비되어 있으며, 이러한 LED 램프(184)의 점등을 통해 해당 모드를 즉각적으로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The LED lamp 184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on and off display units 168 and 124 so that the LED lamp 184 is lit in accordance with a mode indicated by the key knob 106, The mode can be confirmed immediately and accurately.

이러한 LED 램프(184)는 서로 점등 색상을 달리하여 사용자가 해당 모드를 혼동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LED lamps 184 are turned on and off so that the user does not confuse the mode.

본 발명에 따른 차단기용 개폐 스위치장치의 동작을 살펴보면, 먼저 개폐 스위치장치(100)를 차단기에 결합하게 되면, 차단기 버튼(12)은 이동부재(118)의 결합공(122)에 결합 되는 상태로 배치된다. When the switch device 100 is connected to the circuit breaker, the breaker button 12 is coupled to the connection hole 122 of the movable member 118 .

이때, 탄력지지수단(130)의 밀대부재(138)가 차단기 버튼(12)을 지지돌기(134)에 밀착됨으로써, 결과적으로 차단기 버튼(12)은 지지돌기(134) 및 밀대부재(138)와 유격이 형성되지 않는 상태로 결합공(122)에 결합 된다 (도 1b, 도 2c, 도 4a, 도 4b). At this time, since the pusher member 138 of the elastic support means 13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upport protrusion 134, the breaker button 12 is consequently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support protrusion 134 and the pusher member 138 (FIG. 1B, FIG. 2C, FIG. 4A, and FIG. 4B).

[온 모드시][On mode]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노브(106)는 온 표시부(168)에 위치하게 되고, 아울러 키노브(106)와 연동 회전하는 원기어(110)의 회전에 따라 랙기어(120)의 수평 이동을 통해 이동부재(118)도 온 모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4A and 4B, the key knob 106 is positioned at the ON display portion 168 and the rack gear 120 is rotated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original gear 110 rotating in conjunction with the key knob 106, The movable member 118 also moves in the on mode direction.

위와 같이 이동부재(118)가 설정된 위치로 이동하게 되면, 이동부재(118)에 구비된 고정부(136)는 커버 플레이트(162)의 연결부(166)의 내측 선단에 밀착 저지되어 상태가 결과적으로, 키노브(106)는 온 표시부(168)로부터 그 이상 오버 회동 되지 않게 된다 (도 1b 도 2b 도 2c 도 3a 도 3b 참조).
When the movable member 118 is moved to the predetermined position as described above, the fixed portion 136 of the movable member 118 is prevented from being closely contacted with the inner end of the connecting portion 166 of the cover plate 162, , The key knob 106 is not turned over any more than the ON display portion 168 (see FIG. 1B, FIG. 2B, FIG. 2C, FIG.

[오프 모드시][Off mode]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노브(106)는 오프 표시부(124)에 위치하게 되고, 이동부재(118)도 도 4a 및 도 4b 위치에서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여 위치하게 된다.5A and 5B, the key knob 106 is positioned on the off-display unit 124, and the movable member 118 is also moved in the opposite direction in the positions of FIGS. 4A and 4B.

위와 같이 이동부재(118)가 설정된 위치로 이동하게 되면, 이동부재(118)에 구비된 돌기(128)는 걸림부재(126)의 일단부(127) 선단에 밀착되는 상태가 된다 도 1b 도 2b 도 2c 도 3a 도 3b 참조.
When the movable member 118 is moved to the predetermined position as described above, the projection 128 provided on the movable member 118 is in a state of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tip of the end 127 of the engaging member 126. Fig. See Figures 2c, 3a, 3b.

[오프 표시부 방향으로 오버 회동시][When turning over in the off-display direction]

도 6a 및 도 6b는 키노브가 오프 표시부로부터 오버 회동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6a에서는 키노브의 위치를 나타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b에서는 이동부재의 위치를 나타낸 평면가 도시되어 있다.Figs. 6A and 6B show a state in which the key knob is over-rotated from the off-display portion. Fig. 6A shows a plan view showing the position of the key knob, and Fig. 6B shows a plane showing the position of the movable member.

도면에서 보듯이, 키노브(106)가 오프 표시부(124)로부터 오버 회동하면서 그와 연동하여 이동부재(118)가 오프 모드 방향으로 오버 이동을 하게 되면, 이동부재(118)에 구비된 돌기(128)가 걸림부재(126)의 일단부(127)를 밀게 된다.As shown in the drawing, when the key knob 106 over-rotates from the off-display unit 124 and the moving member 118 moves in the off-mode direction in conjunction with the over-rotating movement of the key knob 106, 128 push the one end 127 of the latching member 126.

그로 인해 걸림부재(126)는 타단부(174)가 안내공(176)으로 들어가는 방향으로 회동함과 동시에 결착부재(182)와의 결착이 해제된다 (도 1a, 도 1b 참조).Thereby, the latching member 126 is rotat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other end portion 174 enters the guide hole 176, and at the same time, the engagement with the binding member 182 is released (see Figs. 1A and 1B).

아울러, 안전수단(200)과 걸림부재(126) 간에서는 연결되어 있는 탄성부재(180)는 늘어나면서 상대적으로 압축력이 작용하게 된다. 이때, 키노브(106)가 오프 표시부(124)로부터 오버 회동하게 될 때, 탄성부재(180)가 늘어나는 탄성력은 차단기 버튼(12)이 오프 모드 방향으로 완전히 회동하려는 회동력과 동일한 힘을 유지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관리자가 표시 플레이트(186)를 지지 하우징(102)으로부터 분리시키고자 결착부재(182)와 걸림부재(126)의 타단부(174) 간 해제를 위해 강제적으로 오버 회동시키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동부재(118)의 오버 이동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In addition, the elastic member 180, which is connected between the safety means 200 and the latching member 126, is stretched and relatively compressive force acts. At this time, when the key knob 106 is over-rotated from the off-display portion 124,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180 is maintained such that the breaker button 12 maintains the same force as the turning force With the exception of the case where the manager forcibly overturns the display plate 186 from the support housing 102 to release between the engaging member 182 and the other end 174 of the engaging member 126 The movable member 118 does not move over.

다시 말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기(S)에서 차단기 버튼(12)의 오프 모드 회동 각도가 각도(θ1)를 가진다고 가정할 때, 오프 표시부(124)로부터 키노브(106)의 오버 회동량인 각도(θ2)만큼은 탄성부재(180)가 늘어나면서 상대적으로 형성되는 압축력으로 차단기 버튼(12)의 오버 회동량을 탄력 저지하는 상태로 유지하고 있게 됨으로써, 키노브(106)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강제적으로 오버 회동시키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항상 오프 표시부(124)에 위치하게 된다.9, when the off-mode rotation angle of the breaker button 12 in the circuit breaker S has an angle of? 1, the overshoot of the key knob 106 from the off- The elastic member 180 is stretched by the same amount of angle? 2 and the overcurrent amount of the breaker button 12 is maintained in the state of restraining the elasticity by the compressive force that is relatively formed, And is always located on the off-display unit 124 except for the case of forcibly over-rotating as shown in FIG.

아울러, 차단기 버튼(12)이 각도(θ2) 만큼 오프 모드 방향으로 회동하더라도 차단기(S)는 오프 모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In addition, even if the breaker button 12 rotates in the off mode direction by the angle [theta] 2, the breaker S maintains the off mode.

결과적으로는, 본 발명에 따른 개폐 스위치장치(100)는 키노브(106)가 온 표시부(168)에 위치하게 될 때는 수평으로 배치되고 오프 표시부(124)에 위치하게 될 때는 수직으로 배치되는 상태를 취하게 됨으로써, 관리자가 먼 거리에서 키노브(106)가 회동 배치되는 상태만으로도 온 및 오프 모드의 상태르 즉각적인 확인이 가능하고, 아울러 키노브(106)의 회동 배열이 명확하여 작업자가 혼동이나 착오 등을 일으키지 않게 된다. As a result, the opening and closing switch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rranged such that the key knob 106 is horizontally disposed when the key knob 106 is positioned on the on-display portion 168, and vertically disposed when the key knob 106 is positioned on the off- It is possible to promptly confirm the state of the on and off modes even in a state in which the key knob 106 is pivotally disposed at a long distance from the manager and the rotation arrangement of the key knob 106 is clear, Error or the like.

한편,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이동부재(118)가 오프 모드 위치에서 온 모드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모드 전환을 하게 될 때, 이와 같이 이동하게 되는 이동부재(118)는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플레이트(162)의 안쪽으로 진입하는 상태로 회동 배치되어 있는 안전수단(200)의 걸림부(202)에 이동부재(118)의 돌기(128)가 접촉하게 되면서 온 모드 방향으로의 이동이 저지됨으로써 안전 기능이 발휘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shifting member 118 is shifted from the off-mode position to the on-mode, as described above, the shifting member 118 to be shifted in this manner is shifted to the mode shown in Figs. 7A and 7B The protrusion 128 of the moving member 118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engaging portion 202 of the safety means 200 which is pivoted in the state of entering the inside of the cover plate 162, The safety function is exerted by blocking.

즉, 오프 모드 범위 내에서 안전수단(200)의 걸림부(202)가 이격 배치되어 있어 위와 같이 이동부재(118)를 저지하게 될 경우 온 모드로 전환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That is, when the locking part 202 of the safety means 200 is disposed apart from the off mode range and the moving member 118 is blocked as described above, the on mode is not switched.

여기서, 상기 걸림부(202)는 후크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돌기(128)가 오프 모드에서 온 모드 방향으로 이동시 밀착하게 되는 면에는 돌기(128)가 밀착시에 확실하게 저지될 수 있도록 미세하지만 홈(P1)이 형성되어 있다. 하지만, 홈(P1)이 반드시 형성될 필요는 없다.Here, the latching portion 202 is formed in a hook shape. That is, the surface on which the protrusion 128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hen moving from the off mode to the on mode is fine, but the groove P1 is formed so that the protrusion 128 can be surely blocked at the time of close contact. However, the groove P1 is not necessarily formed.

또한, 상기 홈(P1)과 대응하는 면은 홈(P1)면에서 폭이 점차 좁아지는 방향으로 각도를 가지는 경사면(P2)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돌기(128)가 온 모드 방향에서 오프 모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될 때, 돌기(128)는 경사면(P2)을 접촉하는 상태로 이동하게 되고 이러한 경사면(P)2의 경사구조에 의해 걸림부(202)가 뒤로 물러나는 형태로 안전수단(200)이 회동을 하게 된다.The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groove P1 is formed of an inclined surface P2 having an angl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width gradually narrows on the surface of the groove P1. Therefore, when the projection 128 is moved in the off-mode direction in the on-mode direction, the projection 128 is moved in a state in which the projection 128 contacts the inclined plane P2, The safeguarding means 200 is rotated in a state in which the main body 202 is retracted backward.

결론적으로, 상기 걸림부(202)의 구조로 인해 이동부재(118)는 온 모드 방향에서 오프 모드 방향으로의 원활한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지만 오프 모드 방향에서 온 모드 방향으로의 이동은 저지시켜 도 1b, 도4b와 같은 온 모드 전환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As a result, due to the structure of the latching portion 202, the movable member 118 can smoothly move from the ON mode direction to the OFF mode direction, but the movement from the OFF mode direction to the ON mode direction is prevented, The ON mode switching as shown in FIG. 4B is not performed.

따라서, 작업을 실시하는 과정에서 특히, 차단기에 연결되는 전력 계통을 점검하거나 또는 전력 부품을 교체 작업 중 작업자의 부주의로 인해 작업 공구나 작업자의 신체가 접촉되는 상태로 힘이 가해져 오프 모드로 전환되어 있는 키노브가 온 모드로 전환되고, 그로 인해 전력이 재공급되어 감전 및 전력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in the process of performing the operation, in particular, the power system connected to the breaker is checked, or when the power tool is replaced with the off-mode due to the carelessness of the worker during the replacement work, The key knob having the key knob is switched to the on mode, whereby the electric power is supplied again, thereby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electric shock and electric power accident.

또한, 차단기용 개폐 스위치를 조작하는 작업자가 실수로 인해 오프 모드로 전환되어 있는 키노브를 온 모드로 전환시, 안전 기능 없이 그대로 모드 전환이 이루어짐으로써 발생하는 사고도 방지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n operator who operates the on-off switch for a circuit breaker can prevent an accident caused by switching the mode of the key knob, which has been switched to the off mode by mistake, to the on mode without performing the safety function.

위와 같이 안전 기능이 발휘된 상태에서 이를 해제하기 위해서는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하우징(102)의 가이드공(206)으로부터 인출되어 안전수단(200)의 타단부(203)를 가이드공(206)으로 밀어 넣게 되면, 안전수단(200)은 나선축(172)를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저지하고 있던 걸림부(202)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뒤로 물러나면서 돌기(128)가 지나가는 선상으로부터 벗어나게 되고, 그로 인해 이동부재(118)는 온 모드 방향으로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는 상태가 된다.
In order to release the safety function as described above, the safety device 200 is pulled out from the guide hole 206 of the support housing 102, as shown in FIGS. 8A and 8B, The safety means 200 is rotated from the line passing through the protrusion 128 while the retaining portion 202 which has been blocked while rotating about the spiral shaft 172 is retracted as mentioned above So that the movable member 118 can be moved in the on-mode direction.

100 : 개폐 스위치장치
102 :지지 하우징
104 : 힌지공
106 : 키노브
108, 218 : 힌지부
110 : 원기어
112 : 걸림턱
114 : 체결부재
116 : 지지레일
118 : 이동부재
120 : 랙기어
122, 204 : 결합공
124 : 오프 표시부
126 : 걸림부재
127 : 일단부
128 : 돌기
130 : 탄력지지수단
134 : 지지돌기
136 : 고정부
138 : 밀대부재
140, 180 : 탄성부재
142 : 취부돌기
144 : 수용홈부
146 : 가이드레일
148 : 가이드공
150 : 가이드홈
152 : 결착돌기
162 : 커버 플레이트
164 : 커버부
166 : 연결부
168 : 온 표시부
172 : 나선축
174, 203 :타단부
176 : 안내공
182 : 결착부재
184 : LED
186 : 표시 플레이트
200 : 안전수단
202 : 걸림부
206 : 가이드공
208 : 결합수단
210 : 결합돌기
216 : 프레임
220 : 위치설정부재
100: opening / closing switch device
102: Support housing
104: Hinge ball
106: key knob
108, 218:
110: one gear
112:
114: fastening member
116: support rail
118: Movable member
120: Racks
122, 204: coupling ball
124: OFF indicator
126:
127:
128: projection
130: Elastic support means
134: support projection
136:
138:
140, 180: elastic member
142: Mounting projection
144: receiving groove
146: Guide rail
148: Guide ball
150: Guide groove
152:
162: Cover plate
164:
166:
168: ON display
172: helical axis
174, 203: the other end
176: Guide ball
182: Binding member
184: LED
186: Display plate
200: Safety means
202:
206: guide ball
208: coupling means
210: engaging projection
216: frame
220: Position setting member

Claims (8)

지지 하우징(102)의 전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 되는 힌지부(108)를 구비하고 있는 키노브(106)와, 상기 키노브(106)의 힌지부(108)와 연동 회전하도록 결합 되는 상태로 지지 하우징(102)의 내에 배치되는 원기어(110)와, 상기 원기어(110)와 맞물리는 랙기어(120) 및 차단기 버튼(12)이 결합 되는 결합공(122)을 형성하고 있는 이동부재(118)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차단기용 개폐 스위치장치에 있어서,
이동부재(118)의 일측에 솟은 형태로 형성되어 이동부재(118)가 설정된 오프 모드 위치에서 오버 회동시 일단부(127)를 밀어주게 되는 돌기(128);
이동부재(118)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이동부재(118)의 선단 일부분을 가리는 형태로 배치되며 지지 하우징(102)과 결합되는 커버 플레이트(162);
커버 플레이트(162)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 되며 회동 방향에 따라 일단부(127)는 키노브(106)가 오프 모드 표시부에 위치하게 될 때 돌기(128)와 밀착될 수 있도록 돌기(128)의 이동 경로 상에 배치되고 일단부(127)와 대응하는 타단부(174)는 지지 하우징(102)의 일측 면을 통해 인출되는 상태로 배치되는 걸림부재(126);
커버 플레이트(162)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 되며 회동 방향에 따라 걸림부(202)는 일단부(127)에 밀착된 돌기(128)가 온 모드 방향으로 이동시 돌기(128)의 이동을 저지하도록 돌기(128)의 이동 경로 상에 배치되고 걸림부(202)와 대응하는 타단부(203)는 지지 하우징(102)의 일측 면을 통해 인출되는 상태로 배치되는 안전수단(200)을 포함하고;
상기 걸림부재(126)의 타단부(174)와 안전수단(200)의 타단부(203) 간에는 일단부(127)와 걸림부(202)가 돌기(128)의 이동 경로 상에 항상 회동 배치될 수 있도록 탄성부재(180)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 모드 전환 안전 기능이 구비된 차단기용 개폐 스위치장치.
A key knob 106 having a hinge portion 108 rotatably coupl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support housing 102 and a key knob 106 coupled to the hinge portion 108 of the key knob 106, A moving member 110 which forms a coupling hole 122 to which a rack gear 120 and a breaker button 12 to be engaged with the circular gear 110 are engaged, 118), characterized in that:
A protrusion 128 which is formed in a shape rising on one side of the moving member 118 so that the moving member 118 pushes the one end 127 in the over-rotating state in the set off-mode position;
A cover plate 162 arranged to cover a part of the tip of the moving member 118 to prevent the moving member 118 from coming off and to be coupled with the supporting housing 102;
One end portion 127 of the protrusion 128 is hinged to the cover plate 162 in a rotatable manner so that one end portion 127 of the protrusion 128 can be in contact with the protrusion 128 when the key knob 106 is positioned in the off- An engaging member 126 disposed on the movement path and disposed at a state where the other end portion 174 corresponding to the one end portion 127 is drawn out through one side of the support housing 102;
The stopper portion 202 is rotatably hinged to the cover plate 162. The stopper portion 202 is engaged with the cover plate 162 so that the protrusion 128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ne end portion 127 prevents the movement of the protrusion 128, (200) disposed on the movement path of the support portion (128) and the other end portion (203) corresponding to the engagement portion (202) is arranged to be pulled out through one side of the support housing (102);
The one end portion 127 and the engaging portion 202 are always pivoted on the movement path of the projection 128 between the other end portion 174 of the engaging member 126 and the other end portion 203 of the safety means 200 And the switch is connected to an elastic member (180).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128)가 온 모드 방향에서 온 모드 방향으로 이동시 접촉하게 되는 걸림부(202)의 일면은 각도를 가지는 경사면(P2)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 모드 전환 안전 기능이 구비된 차단기용 개폐 스위치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one side of the latching part (202) in which the protrusion (128) is brought into contact when moving from the ON mode direction to the ON mode direction is formed of an inclined plane (P2) having an angle, Switching devi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118)에 탄력지지수단(130)이 구비되며,
상기 탄력지지수단(130)은 결합공(122)의 일측 선단에 돌출 형성되어 차단기 버튼(12)의 일측 면을 지지하는 지지돌기(134)와, 상기 지지돌기(134)와 마주하는 배치 구조로 이동부재(118)에 고정되는 고정부(136)와, 상기 고정부(136)와 지지돌기(134) 사이에 배치되어 차단기 버튼(12)의 타측 면을 탄력 지지하는 밀대부재(138)와, 상기 밀대부재(138)와 고정부(136) 간에 연결되는 탄성부재(14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 모드 전환 안전 기능이 구비된 차단기용 개폐 스위치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oving member 118 is provided with elastic force supporting means 130,
The elastic supporter 130 includes a support protrusion 134 protruding from one end of the coupling hole 122 and supporting one side of the breaker button 12 and a support protrusion 134 facing the support protrusion 134 A fixing member 136 fixed to the movable member 118 and a pressing member 138 disposed between the fixing portion 136 and the supporting protrusion 134 to elastically support the other surface of the breaker button 12, And an elastic member (140) connected between the fixing member (138) and the fixing portion (13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플레이트(162)는 이동부재(118)의 양측 선단을 각각 가리도록 양편에 나란히 배치되는 커버부(164)와, 상기 커버부(164)의 일단 사이에 배치되는 구조로 양편 커버부(164)와 연결되는 연결부(166);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 모드 전환 안전 기능이 구비된 차단기용 개폐 스위치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ver plate 162 includes a cover portion 164 disposed on both sides so as to respectively cover both ends of the moving member 118 and a cover portion 164 disposed between the ends of the cover portion 164, And a connection part 166 connected to the on-mode switching safety function.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공(122)을 중심으로 양편에는 가이드레일(146)과 가이드공(148)이 이동부재(118)의 이동 방향으로 각각 나란히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밀대부재(138)에는 가이드레일(146)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 되는 가이드홈(150)과 가이드공(148)을 통과하는 상태로 이동부재(118)에 이동 가능하게 걸림 되는 결착돌기(15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 모드 전환 안전 기능이 구비된 차단기용 개폐 스위치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Guide rails 146 and guide holes 148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oupling hole 122 i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moving member 118. Guide rails 146 are formed on the pressing member 138, And a coupling protrusion (152) movably engaged with the moving member (118) in a state of passing through the guide hole (148) Opening / closing switch device for circuit breaker with switching safety func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키노브(106)의 테두리를 감싸는 구조로 결합 되는 표시 플레이트(186)와;
상기 표시 플레이트(186)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 되는 결합수단(208)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수단(208)은 표시 플레이트(186)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 되는 프레임(216)과, 상기 프레임(216)에 형성된 힌지부(218)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걸림부재(126)의 타단부(174)와 걸림되는 결착부재(18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 모드 전환 안전 기능이 구비된 차단기용 개폐 스위치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display plate 186 coupled to the key knob 106 so as to surround the rim of the key knob 106;
And a coupling means 208 detachably coupled to the display plate 186. The coupling means 208 includes a frame 216 detachably coupled to the display plate 186, And a coupling member (182) rotatably coupled to the hinge portion (218) formed on the hinge portion (218) formed on the hinge portion (218) and engaged with the other end portion (174) of the engagement member (126) Switch device.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216)의 일측 선단에서 절곡 되는 구조로 안전수단(200)의 타단부(203) 일측 선단과 접촉하게 되는 위치설정부재(22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 모드 전환 안전 기능이 구비된 차단기용 개폐 스위치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The position setting member 220 is formed to be bent at one end of the frame 216 and to be in contact with one end of the other end 203 of the safety means 200. [ Closing switch device for a circuit breaker.
KR1020140112580A 2014-08-27 2014-08-27 Switching Device for Contact Breaker providing safety function of On Mode change KR10160191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2580A KR101601910B1 (en) 2014-08-27 2014-08-27 Switching Device for Contact Breaker providing safety function of On Mode chan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2580A KR101601910B1 (en) 2014-08-27 2014-08-27 Switching Device for Contact Breaker providing safety function of On Mode chang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5385A KR20160025385A (en) 2016-03-08
KR101601910B1 true KR101601910B1 (en) 2016-03-10

Family

ID=55534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2580A KR101601910B1 (en) 2014-08-27 2014-08-27 Switching Device for Contact Breaker providing safety function of On Mode chang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1910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47664B (en) * 2019-02-28 2020-12-01 广东欧文特电气有限公司 Lifting change-over switch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91300A (en) 2006-10-05 2008-04-17 Mitsubishi Electric Corp External operation handle device of switch
KR101387367B1 (en) * 2012-07-12 2014-04-22 윤여관 Switching Device for Contact Breaker
KR200474553Y1 (en) * 2013-01-11 2014-09-2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The outside operating handle system for circuit breaker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2398B1 (en) 2012-12-28 2014-11-19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ne particles filtering scrubb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91300A (en) 2006-10-05 2008-04-17 Mitsubishi Electric Corp External operation handle device of switch
KR101387367B1 (en) * 2012-07-12 2014-04-22 윤여관 Switching Device for Contact Breaker
KR200474553Y1 (en) * 2013-01-11 2014-09-2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The outside operating handle system for circuit break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5385A (en) 2016-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07167B1 (en) Key switch
JP5926410B2 (en) Switch device
US10690329B2 (en) Power supply box device
JP6031550B2 (en) Toggle combination configuration of switch devices
KR101387368B1 (en) Receiving unit assembly and motor control center with the same
TWI705750B (en) Anti-shock device and anti-shock casing
KR101601910B1 (en) Switching Device for Contact Breaker providing safety function of On Mode change
KR101168083B1 (en) Door lock apparatus and circuit breaker using the same
JP3991508B2 (en) switch
JP2021077617A (en) Air circuit breaker
KR101524539B1 (en) Key switch
KR102075124B1 (en) Switch disposal action indicator for power distribution
KR101742199B1 (en) Relay with improved test button function
JP6981396B2 (en) Pushbutton switch
KR20160007918A (en) A cutoff socket outlet for saving standby power
JP4523377B2 (en) Power tool switch mechanism
KR101387367B1 (en) Switching Device for Contact Breaker
KR101793543B1 (en) Lock Device for Air Circuit Breaker
JP2014212055A (en) Fuse holder cover and fuse holding unit
US20170186568A1 (en) Door monitoring contact switch device
KR101676736B1 (en) switch handle device for contact breaker
KR20160072568A (en) Connecter assembly
JP5088474B2 (en) Breaker lockout
KR101338128B1 (en) Switch handle device for contact breaker
JP2008218162A (en) Safety swit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