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1767B1 - Flushing apparatus for direct outlet type toilet bowl - Google Patents
Flushing apparatus for direct outlet type toilet bow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01767B1 KR101601767B1 KR1020150086196A KR20150086196A KR101601767B1 KR 101601767 B1 KR101601767 B1 KR 101601767B1 KR 1020150086196 A KR1020150086196 A KR 1020150086196A KR 20150086196 A KR20150086196 A KR 20150086196A KR 101601767 B1 KR101601767 B1 KR 10160176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lifting
- toilet bowl
- hole
- discharg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02—Water-closet bowls ; Bowls with a double odour seal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good siphonic action; siphons as part of the bowl
- E03D11/10—Bowls with closure elements provided between bottom or outlet and the outlet pipe; Bowls with pivotally supported insert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02—High-level flushing systems
- E03D1/14—Cisterns discharging variable quantities of water also cisterns with bell siphons in combination with flushing valves
- E03D1/141—Cisterns discharging variable quantities of water also cisterns with bell siphons in combination with flushing valves in cisterns with tube siphons and with tube siphons in combination with flushing valve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02—High-level flushing systems
- E03D1/14—Cisterns discharging variable quantities of water also cisterns with bell siphons in combination with flushing valves
- E03D1/142—Cisterns discharging variable quantities of water also cisterns with bell siphons in combination with flushing valves in cisterns with flushing valve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02—High-level flushing systems
- E03D1/14—Cisterns discharging variable quantities of water also cisterns with bell siphons in combination with flushing valve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30—Valves for high or low level cisterns; Their arrangement ; Flushing mechanisms in the cistern,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pre-or a post- flushing and for cutting off the flushing mechanism in case of leakage
- E03D1/34—Flushing valves for outlets; Arrangement of outlet valve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02—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mechanically or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also details such as push buttons, levers and pull-card therefor
- E03D5/09—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mechanically or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also details such as push buttons, levers and pull-card therefor directly by the hand
- E03D5/094—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mechanically or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also details such as push buttons, levers and pull-card therefor directly by the hand the flushing element, e.g. siphon bell, being actuated through a cable, chain or the lik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40—Protecting water re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다양한 용량을 갖는 직입식 양변기에 범용적으로 설치하여 용변을 세척할 수 있는 세척수의 사용량을 정량으로 최소화할 수 있도록 직입식 양변기의 수조 내부에 설치되어 세척수가 별도 저장되는 내부 하우징을 포함하는 직입식 양변기의 물 내림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ner housing installed in a water tank of a straight-on type toilet seat for storing washing water separately so that the amount of washing water that can be installed in a general purpose in a straight-mouth type toilet bowl having various capacities can be minimized To a water dropping device of a direct-entry type toilet.
일반적으로 화장실에 구비되는 양변기는 일정량의 물이 담긴 수조가 변기 본체(bowl) 후방에 구비되어, 용변 후레버 작동을 통해 수조에 담긴 세척수를 이용하여 용변을 세척하는 사이펀(siphon) 방식을 사용한다. Generally, a toilet bowl provided in a toilet uses a siphon system in which a water tank containing a predetermined amount of water is provided behind a bowl, and the bowl is washed using wash water contained in the water tank through a lever operation after use .
이와 같은 사이펀 방식은 양변기의 유로 구조가 단순하고 사용이 편리한 장점이 있어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Such a siphon system is most commonly used because it has a simple and easy-to-use structure of the flow path of a toilet.
그러나 사이펀 방식의 일반 양변기는 용변을 세척할 때 사이펀 효과에 따른 강한 방출력을 얻기 위하여, 수조에 담긴 세척수를 전부 배출하여야 하기 때문에 상당한 양의 물을 낭비하게 된다는 단점이 있다.However, the general siphon type toilet has a disadvantage in that a considerable amount of water is wasted because it is necessary to discharge all the washing water contained in the water tank in order to obtain strong discharge power according to the siphon effect when washing the toilet.
이에 물의 낭비를 줄이기 위해서, 수조 내부에 벽돌이나 무겁고 큰 부피의 물건 등을 넣어둠으로써 용변의 세척에 사용되는 세척수를 절약하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In order to reduce the waste of water, a method of saving the washing water used for cleaning the toilet by putting bricks or heavy and bulky objects in the water tank is used.
그러나 이와 같이 벽돌 등을 넣어 둘 경우, 물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으나, 사이펀 방식의 방출력은 저장된 물의 양에 비례하기 때문에 세척수의 방출력이 감소됨에 따라 예상치 못하게 양변기의 배관이 막히거나, 용변이 한 번에 세척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However, when the brick is placed in such a manner, the amount of water used can be reduced. However, since the discharge power of the washing water is decreased because the discharge power of the siphon type is proportional to the amount of stored water, the piping of the toilet can be unexpectedly blocked, It may not be cleaned at the same time.
또한 양변기의 수조에 벽돌 등을 넣게 되면, 이물질의 유입으로 인해 변기 본체의 분사공이 막히거나, 수조 내의 물의 오염으로 인한 이끼 발생 등 비위생적인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if bricks or the like are inserted into the water tank of the toile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jetting hole of the toilet bowl is clogged due to the inflow of foreign matter, or moss is generated due to water contamination in the water tank.
따라서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이는 동시에 양변기에서 사용되는 물을 절약하기 위하여, 사이펀 방식의 문제점을 원척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직입식 양변기의 설치가 늘고 있는 추세이다.Therefore, in order to increase the convenience of the user and to save the water used in the toilet, there is an increasing tendency to install the straight-on type toilet bowl which can solve the problems of the siphon method.
일반적인 사이펀 타입의 양변기의 배관 구조가 오물 배출구와, 변기 본체 사이의 배관이 "∩ "자형으로 이루어져 세척수가 사이펀 효과를 통해 배출되면서 용변의 세척이 이루어지는데 반하여, The piping structure of the general siphon type toilet bowl is composed of the pipe between the dirt discharge port and the toilet bowl body in the shape of "? "So that the washing water is discharged through the siphon effect,
등록실용신안 제20-0283481호(등록일자 2002.07.15.), 등록특허 제10-0942040호(2010.02.04.), 공개특허 10-2009-0085474(공개일자 2009.08.07.) 등에서 공개되어 있는 직입식 양변기는 변기 본체와 오물 배출구 사이의 배관이 하향 직선 타입으로 이루어지면서,레버 작동을 통해 오물 배출구를 직접 개폐하여 최소한의 물만으로 강한 세척력을 확보하는 방식을 말한다.(Registered trademark) No. 20-0283481 (registered on July 15, 2002), registered patent No. 10-0942040 (Feb. 4, 2010), published patent application No. 10-2009-0085474 Straight-line type toilet bowl refers to a system in which a pipeline between a toilet bowl and a dirt outlet is formed as a downward straight type, and a dirt outlet is directly opened and closed through a lever operation to secure a strong washing force with a minimum amount of water.
그런 상기 기술들과 같은 종래의 직입식 양변기는 양변기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수조에 물을 저장하여 세척수로 사용하는 바, 적은 양으로 세척이 가능한 직입식 양변기의 특징에도 불구하고 결국 사용되는 물의 양은 수조의 용량에 따라 비례하여 물 절약 효과를 극대화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Conventional straight-mouth type urinalies, such as the above-mentioned techniques, store water in a water tank integrally formed with a toilet seat and use it as wash water. Despi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raight water type toilet seat capable of washing with a small amoun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water saving effect can not be maximized in proportion to the capacity of the water tank.
즉, 종래의 직입식 양변기는 변기 본체의 크기에 따라 일체로 형성된 수조의 크기, 즉 저장되는 물의 용량이 달라지는데, 직입식 양변기의 특징을 활용하기 위해 수조의 용량을 작게 하면 변기 본체와 수조의 크기와 맞지 않아 사용이 불편하고, 이에 따라 수조를 일반 사이펀 방식의 양변기와 유사한 용량을 갖도록 제작하면 직입식 양변기 특유의 물 절약 효과가 반감되는 문제점이 있다.That is, in the conventional straight-on type toilet, the size of the water tank formed integrally with the body of the toilet varies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toilet bowl. In order to utili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raight water bowl, And thus the water tank is made to have a capacity similar to that of a general siphon type toile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water saving effect unique to the direct-type toilet can be reduced by half.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기존에 제안된 직입식 양변기에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직입식 양변기의 가장 큰 특징인 강한 세척력과 물의 절약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세척에 사용되는 물이 직입식 양변기의 수조가 아닌, 수조 내부에 장착되는 작은 용량의 별도의 내부 하우징에 저장되는 직입식 양변기의 물 내림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in the straight-mouth type toilet bowl proposed in the prior art, in order to maximize the strong washing force and the water saving effect, which are the most important features of the direct-type toilet,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ter dropping device for a direct-entry type toilet bowl which is stored in a separate internal housing of a small capacity mounted inside the water tub.
특히 본 발명은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직입식 양변기의 사양(크기, 수조의 용량 등)에 상관없이 범용적으로 물 내림 장치를 쉽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세척수를 보다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직입식 양변기의 물 내림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install and use the water dropping device in a universal manner regardless of the specifications (size, capacity of the water tank, etc.) of the existing straight-on toilet bowl,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ater lowering device for a toilet.
그리고 본 발명은 물 내림 장치의 부품 및 결합 구조를 간소화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저렴한 가격으로 보급 가능하며, 제품의 오작동을 방지하여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높일 수 있은 직입식 양변기의 물 내림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ater-dropping device for a straight-on type toilet bowl which can be supplied at a low cost by improving the productivity by simplifying the parts and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water lowering device and preventing the malfunction of the product, .
또한 본 발명은 양변기에 용변이 아닌 오수를 버릴 때마다 세척수를 배출할 필요 없이, 자동으로 오수만이 오물 배출구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물의 사용량을 획기적으로 절약할 수 있는 직입식 양변기의 물 내림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water dropping device for a direct-fit type toilet seat which can save water usage dramatically by automatically discharging the sewage to the dirt discharge port without having to discharge the washing water every time when the toilet water which is not the toilet is discharged to the toilet. .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직입식 양변기의 물 내림 장치는In order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object, the water-dropping device of the straight-
수조와 연결된 배수구, 상기 배수구와 변기 본체를 연결하는 림측 배관, 상기 변기 본체와 오물 배출구를 연결하는 관로 및 상기 오물 배출구와 상기 배수구를 연결하는 승강로를 구비한 직입식 양변기의 물 내림 장치에 있어서,A drain pipe connected to the water tank, a rim pipe connecting the drain pipe and the toilet body, a pipe connecting the toilet body and the dirt outlet, and a hoistway connecting the dirt outlet and the drain hole,
상기 수조 내부에 장착되는 것으로, 세척수가 저장되는 저장부와, 상기 배수구에 결합되며 상기 저장부에서 배출되는 세척수가 상기 림측 배관으로 배수되도록 하는 배출부를 구비한 내부 하우징;An inner housing having a storage part for storing wash water and a discharge part coupled to the drain hole and discharging the wash water discharged from the storage part to the rim side pipe;
물 내림 와이어의 당겨짐 또는 상기 저장부의 세척수 수위 하강에 따라, 상기 승강로 상에서 상승 또는 하강하여, 상기 오물 배출구를 개폐하는 승강부; 및A lifting unit for lifting or lowering the water on the hoistway in accordance with the pulling of the water lowering wire or the lowering of the water level of the washing water in the storage unit, And
상기 승강부의 상승 시 승강부를 지지하도록 걸림 작동하여 승강부의 하강을 제한하는 지지 레버와, 상기 지지 레버와 연결되며 상기 저장부의 세척수 수위 하강 시 상기 지지 레버의 걸림 작동을 해제하여 승강부가 하강하도록 하는 상부 부표를 포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support lever connected to the support lever for releasing the latching operation of the support lever when the wash water level of the storage unit is lowered to lower the lift unit, And a control unit including a buoy.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직입식 양변기의 물 내림 장치에서In the water-dropping device of the direct-fit type toilet sea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승강부는The elevating portion
상기 물 내림 와이어와 연결되어 물 내림 시 회동하는 작동 레버와,An operation lever connected to the water descender wire and rotating when the water is lowered,
상기 작동 레버의 회동에 의해 상승하거나 또는 상기 상부 부표의 하강에 의해 하강하는 승강 로드와,A lifting rod lifted by the rotation of the operating lever or lowered by the lowering of the upper buoy,
상기 승강 로드에 구비되어, 상기 승강 로드의 승하강에 따라 상기 제어부의 제1 승강홀 또는 상기 배출부의 유입공을 폐쇄하는 차폐부재와,A shielding member provided on the lifting rod to close the inflow hole of the first lift-up hole or the discharge portion of the control unit in accordance with the rising and falling of the lifting rod;
상기 승강 로드 하단에 연결되어 상기 승강 로드의 승하강에 따라 상기 오물 배출구를 개폐하는 개폐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n opening and closing member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lifting rod and opening and closing the dirt outlet according to the rising and falling of the lifting and lowering ro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직입식 양변기의 물 내림 장치에서Further, in the water dropping device of the direct-fit type toilet bow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개폐부재는The opening /
상기 승강 로드와 연결되며 하측 개구부를 갖는 외부 관체와,An outer tubular body connected to the lifting rod and having a lower opening,
상기 외부 관체의 내주면과 이격부를 갖도록 상기 하측 개구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며, 상기 이격부와 연통된 오수 배출홀을 구비한 내부 몸체와,An inner body inserted into the lower opening so as to have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a spacing portion of the outer tubular body and having a sewage discharge hole communicated with the spacing portion,
상기 내부 몸체 하단에 연결되어 상기 오물 배출구에 접촉하는 패킹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져,And a packing member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inner body and contacting the dirt outlet,
상기 변기 본체에 오수를 버릴 경우, 상기 직입식 양변기의 물 내림 작동 없이, 오수가 상기 이격부와, 상기 오수 배출홀을 통해 상기 오물 배출구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waste water is discharged to the dirt outlet through the separating part and the waste water discharge hole without the water dropping operation of the direct sewer type toilet.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직입식 양변기의 물 내림 장치에서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water dropping device of the straight-
상기 개폐부재는 하중 증가를 위한 중량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includes a weight member for increasing the load.
본 발명에 따른 직입식 양변기의 물 내림 장치는 수조 내부에 세척수 저장부를 갖는 별도의 내부 하우징을 마련하여, 상기 내부 하우징에 저장되는 물을 세척수로 활용함으로써, 직입식 양변기와 일체화되어 있는 수조의 용량에 상관없이 사용되는 세척수의 양을 정량으로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water-dropping device for a straight-mouth type toilet bow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separate inner housing having a washing water storage portion is provided in the water tank, and water stored in the inner housing is used as washing water, The amount of the washing water used can be minimiz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직입식 양변기의 물 내림 장치는 물 내림 시 내부 하우징으로 물이 역류하거나, 세척수의 수압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간단한 구조 설계를 통해 생산성을 향상시키면서,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직입식 양변기의 사양에 상관없이 범용적으로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고, 제품의 작동 안정성을 보장함으로써, 범용성 및 효용성이 매우 뛰어난 효과가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backflow of water to the inner housing when the water is lowered or the water pressure of the washing water to be lowered, and to improve the productivity through simple structure design, And can be installed and used universally regardless of the specifications of the direct-fit type toilet bowl, and the operation stability of the product is ensured, so that the versatility and utility are very excellent.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직입식 양변기의 물 내림 장치는 용변이 아닌 오수를 직입식 양변기로 버릴 때 물 내림을 작동을 통해 세척수를 사용할 필요 없이, 오수가 자동으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직입식 양변기 특유의 물 절약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dropping device of the straight-mouth type toilet can automatically discharge the sewage water without using the washing water by operating the water dropping operation when the sewage is discharged into the direct-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saving effec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직입식 양변기의 물 내림 장치의 설치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직입식 양변기의 물 내림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직입식 양변기의 물 내림 장치의 일부 분해 사시도.
도 5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직입식 양변기의 물 내림 장치를 작동 상태별로 도시한 단면도들.1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of a water dropping device of a straight-mouth type toilet bow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S. 2 and 3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water dropping device for a straight-mouth type toilet bow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water dropping device for a straight-mouth type toilet bow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S. 5 to 12 are sectional views of a water-dropping device for a straight-mouth type toilet se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certain embodiments, it is obvious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forms disclosed,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부재로 파악하면 된다.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in particular, the numerals of the tens and the digits of the digits, the digits of the tens, the digits of the digits and the alphabets are the same, Members referred to by reference numerals can be identified as members corresponding to these standards.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In the drawings, the components are expressed by exaggeratingly larger (or thicker) or smaller (or thinner) in size or thickness in consideration of the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etc. However, It should not be.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 " comprising " or " consisting of ", or the like, refers to the presence of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as either ideal or overly formal in the sense of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first to second aspec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merely referred to in order to distinguish between different components and are not limited to the order in which they are manufactured, It may not match.
본 발명에 따른 직입식 양변기의 물 내림 장치를 설명함에 있어 편의를 위하여 엄밀하지 않은 대략의 방향 기준을 도 2 를 참고하여 특정하면, 도 2에서 바라보는 방향을 정면으로 하고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을 하측으로 하여 보이는 방향 그대로 전후 및 상하좌우를 정하고, 다른 도면과 관련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도 다른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이 기준에 따라 방향을 특정하여 기술한다.In describing the water-dropping device of the straight-mouth type toilet bow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specified for the sake of convenience, the approximate direction reference is not strict, referring to FIG. 2, the direction in which the gravitational force acts The direction is specified in the direction of the lower side, and the direction is specified according to this standard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claims of the invention relating to the other drawings.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직입식 양변기의 물 내림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water dropping device for a straight-mouth type toilet bow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도 1을 참고하여 직입식 양변기의 구조를 간략하게 설명하면, 사용자가 용변을 보는 변기 본체(30)가 전방에 마련되고, 변기 본체(30)의 후방에 수조(33)가 구비되고, 수조(33)의 배수구(32)와 변기 본체(30)의 세척수 배수공(미도시)들은 림측 배관(34)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하부에 오물 배출구(31)가 구비되어 상기 변기 본체(30)와 상기 오물 배출구(31)는 후방을 향해 하향 경사진 배출로(35)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오물 배출구(31)와 배수구(32) 사이에 수직방향으로 연통된 승강로(36)가 구비되는 것으로, 수조(33)에 구비된 작동 스위치(37)에 의해 상기 승강로(36) 상에 배치된 승강부(100)가 승하강함에 따라 오물 배출구(31)가 개폐되어 오물의 배출 및 변기 본체(30)로의 세척수 유입이 이루어진다.Referring to FIG. 1, the structure of the straight-on type toilet can be briefly described. A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조의 직입식 양변기에 설치되는 물 내림 장치(10)에 관한 것으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내부 하우징(H), 승강부(100), 제어부(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S. 1 to 4, the
상기 내부 하우징(H)은 상기 수조(33) 내부에 장착, 설치되는 것으로, 상부가 개구된 세척수 저장부(S)와, 상기 배수구(32)에 결합되며 상기 저장부(S)에서 배출되는 세척수가 상기 림측 배관(34)으로 배수되도록 하는 배출부(300)를 포함한다.The inner housing H is installed in the
상기 내부 하우징(H)의 저장부(S)에는 일반적인 양변기에 설치되는 공지된 방식의 물 공급수단(미도시)이 구비되어 있으며, 수도와 연결된 물 공급수단을 통해 저장부(S)에 물이 저장되어 용변의 세척을 위한 세척수로 사용된다.The storage unit S of the inner housing H is provided with a water supply unit (not shown) in a known manner and installed in a general toilet bowl. Water is supplied to the storage unit S through a water supply unit, It is stored and used as washing water for cleaning of the toilet.
상기 승강부(100)는 물 내림 와이어(20)의 당겨짐 또는 상기 저장부(S)의 세척수 수위 하강에 따라, 상기 승강로(36) 상에서 상승 또는 하강하여, 상기 오물 배출구(31)를 개폐한다.The
상기 물 내림 와이어(20)는 변기의 수조(33) 외부로 노출되는 작동 스위치(37)와 연결되며, 사용자가 용변을 본 후 작동 스위치(37)를 작동하면(내리거나 누르면) 물 내림 와이어(20)가 당겨진다.The
이때 승강부(100)는 오물 배출구(31)를 개방시킴으로써 변기(30)에 있는 용변을 세척수와 함께 배출시킨다. At this time, the elevating
이후 저장부(S)의 세척수 수위가 하강하여 상기 물 공급수단을 통해 저장부(S)에 세척수가 보충되는 과정에서, 승강부(100)가 하강하여 오물 배출구(31)를 폐쇄시킨다.Thereafter, the wash water level of the storage unit S is lowered, and the
이러한 기능의 승강부(10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작동레버(110), 승강로드(120), 차폐부재(130), 개폐부재(140)를 포함할 수 있다. 2 to 4, the elevating
작동레버(110)는 물 내림 와이어(20)에 연결되는 것으로, 제어 몸체(220)의 힌지공(221)에 힌지 결합되어 물 내림 와이어(20)가 당겨질 경우 회동한다. The
상기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작동 스위치(37)를 내릴 때 물 내림 와이어(20)가 당겨짐에 따라 작동레버(110)가 회동하게 되며, 회동하는 작동레버(110)는 승강로드(120)를 밀어 올림으로써 개폐부재(140)가 상승하여, 오물 배출구(31)가 개방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user lowers the
승강로드(120)는 작동레버(110)에 의해 밀어 올려 지면서 상승하거나 또는 자중에 의해 하강된다. The lifting
이러한 승강로드(120)는 레버관통홀(122), 받침부(123), 스토퍼(124)가 형성된 제1 승강체(120A)와, 상단이 상기 제1 승강체(120A) 하단과 결합되며 하단이 개폐부재(140)와 연결되는 제2 승강체(120B) 및 상기 1, 제2 승강체(120A)(120B) 사이에 체결되어 제2 승강체(120B)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며 외측면에 단턱(121)이 구비되어 있는 조절볼트로(120C)로 이루어진다.The lifting
제1 승강체(120A)는 길이 방향을 따라 조절공(120a)이 마련되어 있으며, 하단에 후크부(120b)가 구비되고,The
제2 승강체(120B)는 양측 외주면에 나사부(120c)가 마련되어 상기 후크부(120b) 사이로 끼워져 조절공(120a)에 삽입되고,The
상기 조절볼트(120C)는 상기 후크부(120b) 외측에 끼워져 후크부(120b)를 가압하여 제2 승강체(120B)를 고정함과 아울러, 내주면에 상기 나사부(120c)와 대응하는 대응 나사부(미지칭)가 구비되어, 조절볼트(120C)를 양방향 회전시킴에 따라 제1 승강체(120A) 하부로 노출되는 제2 승강체(120B)의 길이가 조절된다.The adjusting
상기 제1 승강체(120A)의 레버관통홀(122)은 작동레버(110)가 회동 시 통과되도록 하는 것으로, 제1 승강체(120A)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작동레버(110)의 회동을 간섭하지 않도록 작동레버(140)의 폭보다 넓게 형성되어, 폭 보다 높이가 큰 직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The lever through
그리고 제1 승강체(120A)의 받침부(123)는 승강로드(120)의 상단 전방으로 돌출되며, 레버관통홀(122)을 통과하여 회동한 작동레버(110)에 의하여 힘을 받아 승강로드(120)가 상승되도록 한다.The bearing
상기 받침부(123)는 작동레버(110)에 의하여 쉽게 힘을 받을 수 있는 형태라면 어떠한 형태도 사용이 가능하며, 다만 사용자가 작동 스위치(37)를 많이 누르지 않더라도 받침부(123)에 의해 승강로드(120)가 상승되도록 해야 한다. The
또한 제1 승강체(120A)의 스토퍼(124)는 레버관통홀(122)의 하단 후방측에 하향으로 경사져서 돌출된 형태로 구비되며 제어부(200)에 의하여 걸림 작동되거나, 걸림 작동이 해제된다.Further, the
상기 스토퍼(124)는 승강로드(120)가 상승하면서 제어부(200)의 지지레버(210)에 접촉할 때 지지레버(210)를 지지부(210a; 도 4 참고.)를 밀어 올려 지지레버(210)가 하향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승강로드(120)의 상승을 간섭하지 않게 되고, 승강로드(120)의 상승 완료 후 지지레버(210)의 지지부(210a)가 원위치로 상향 회전함으로써, 스토퍼(124)의 하단이 지지된다.When the lifting
차폐부재(130)는 승강로드(120)(보다 엄밀하게는 제1 승강체(120A))에 끼워지며, 승강로드(120)의 승하강에 따라 제어부(200)의 제1 승강홀(223) 또는 배출부(300)의 유입공(311)을 폐쇄한다. The shielding
차폐부재(130)의 승하강 범위는 스토퍼(124) 하부에 구비된 승강로드(120)의 제1 패킹(120e)과 상기 조절볼트(120C)의 단턱(121) 사이가 되나, 승강부(100)가 내부 하우징(H)의 배출부(300)를 통과하므로, 차폐부재(130)의 실질적인 승하강 범위는 상기 제1 패킹(120e)과, 배출부(300)의 외통(310) 상단 사이가 된다.The upward and downward range of the shielding
차폐부재(130)는 하부가 개구된 실린더 형상으로, 측벽부가 배출부(300)의 외통(310)과 내통(340) 사이의 유입공(311)으로 삽입되며, 상단 외측면에 제2 패킹(130a)이 구비되어, 승하강에 따라 제1 승강홀(223)과, 제2 승강홀(331)을 폐쇄하게 된다.The side wall part is inserted into the
즉, 승강로드(120)가 하강한 상태에서는 제1 패킹(120e)에 의해 차폐부재(130)가 하강하여, 외통(310)과 내통(340) 사이에 형성된 유입공(311)에 제2 패킹(130a)이 밀착되고, 제1 패킹(120e)이 차폐부재(130)의 제2 승강홀(331)에 밀착되어 배출부(300)가 폐쇄되고,That is, when the lifting
승강로드(120)가 상승한 상태에서는 단턱(121)에 의해 차폐부재(130)가 상승하여, 차폐부재(130)의 가압에 의해 제1 패킹(120e)이 제어 몸체(220)의 제1 승강홀(223)에 밀착되어 폐쇄된다.When the lifting
따라서 승강로드(120)가 하강된 상태에서는, 차폐부재(130)가 배출부(300)를 폐쇄하여, 저장부(S)에 세척수의 보충 및 저장이 이루어지고,Therefore, when the lifting
승강로드(120)의 상승한 상태에서는, 차폐부재(130)에 의해 제1 패킹(120e)이 제1 승강홀(223)을 폐쇄하여, 배출부(300)로 배출되는 세척수가 림측 배관(34)이 아닌 제어부(200)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차폐부재(130) 및 승강로드(120)의 완벽한 밀폐를 구현하여 용변에서 세척하는 과정에서 사용되는 세척수량을 절감할 수 있다.The
개폐부재(140)는 승강로드(120)의 제2 승강체(120B) 하단에 연결되어 승강로드(120)의 승하강에 따라 오물 배출구(31)를 개폐한다. The opening and closing
사용자가 작동 스위치(37)를 내려서 승강로드(120)가 상승될 경우, 개폐부재(140)는 상승하여 오물 배출구(31)를 개방시키며, 자중에 의하여 승강로드(120)가 하강할 경우, 개폐부재(140) 역시 하강하여 오물 배출구(31)를 폐쇄시킨다.When the user lifts the
상기 개폐부재(140)와 제2 승강체(120B)는 각각 고리부(140a)(120f)를 구비하여 서로 걸림 결합되어, 개폐부재(140)의 유동성을 확보함으로써 오물 배출구(31)의 경사 구조나 형상에 맞게 개폐부재(140)의 폐쇄가 이루어지도록 한다.The opening and closing
상기 고리부(140a)(120f)는 각각 수직 방향으로 유격을 갖도록 형성되어 개폐부재(140)의 승하강 시 유동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또 개폐부재(140)는 상기 승강로드(120)의 제2 승강체(120B)에 연결되며 하측 개구부를 갖는 외부 관체(141)와,The opening and closing
상기 외부 관체(141)의 내주면과 이격부(140a)를 갖도록 상기 하측 개구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며, 상기 이격부(140a)와 연통되는 오수 배출홀(140b)을 구비한 내부 몸체(142)와,An
상기 내부 몸체(142)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오물 배출구(31)에 접촉하는 패킹부재(14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nd a packing
상기 패킹부재(143)의 중앙은 상기 오수 배출홀(140b)과 연통된 중공부(미지칭)가 구비된다.The center of the packing
우선 하측 개구부를 갖는 외부 관체(141)에 내부 몸체(142)가 이격부(140a)를 갖도록 결합되면, 직입식 양변기의 세척수가 상기 이격부(140a)에 차올라 배출로(35)와 오물 배출구(31) 사이를 폐쇄시켜 악취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When the
특히, 이격부(140a)와 오수 배출홀(140b) 구조를 통해 직입식 양변기의 물 내림 작동이 없더라도 변기 본체(30)에 버려지는 오수가 오물 배출구(31)로 배출되는 효과가 있다.Particularly, through the structure of the
즉, 식당이나 휴게소와 같은 대형 화장실의 경우 청소 등을 실시하고 발생하는 오수를 변기 본체(30)에 버려서 배출하는 경우가 있는데,That is, in the case of a large rest room such as a restaurant or a rest area, cleaning and the like are performed, and the generated wastewater is discharged to the
이렇게 변기 본체(30)에 오수를 버릴 때 마다 수조(33)의 세척수를 내려 배출하게 되면 세척수의 낭비를 초래하게 되나,When the washing water in the
본 발명은 버려진 오수가 자연적으로 배출되는 구조이므로, 대량의 오수를 버리더라도 변기 본체(30)에 오수가 차오를 때마다 오물 배출구(31) 개방을 위해 물 내림 작동을 할 필요가 없어, 세척수의 사용을 절감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eliminates the need for the water discharge operation for opening the
이러한 외부 관체(141)와, 내부 몸체(142)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패킹부재(143)는 탄성력이 있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outer
또한 승강부(100)의 상승 후 자중에 의해 다시 하강하여 개폐부재(140)가 오물 배출구(31)를 폐쇄할 때 패킹부재(143)가 오물 배출구(31)에 긴밀하게 밀착되어 폐쇄할 수 있도록 개폐부재(140)에는 하중 증가를 위한 중량부재(144)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opening and closing
상기 중량부재(144)는 무거운 중량의 납 또는 철재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세척수 접촉에 의해 녹이 스는 등의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도록, 링 형상의 중량부재를 이중 사출 방식 등을 통해 상기 패킹부재(143) 내부에 내삽되는 형태로 구비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The
이어서 제어부(200)는 승강로드(120)가 물 내림 와이어(20)에 의해 상승될 경우 승강로드(120)를 지지하여 세척수가 적절하게 배출되도록 하는 동시에, 세척수가 배출된 후 승강로드(120)를 하강시켜 저장부(S)에 물이 보충, 저장되도록 한다.The
이러한 제어부(200)는 크게 지지레버(210), 제어 몸체(220), 부표 지지대(230), 상부 부표(2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지지레버(210)는 승강로드(120)가 상승할 경우 스토퍼(124)의 경사진 면에 의해 접촉부(210a)가 후방측으로 밀리면서 힌지공(222)을 축으로 하향 회전하여 승강로드(120)의 상승을 간섭하지 않도록 하며, The
승강로드(120)가 지속적으로 상승함에 따라 스토퍼(124)와의 간섭이 해제된 경우 접촉부(210a)가 전방측으로 복귀하면서 힌지공(222)을 축으로 상향 회전하여 스토퍼(124)의 하단을 지지하도록 걸림 작동함으로써, 승강로드(120)의 하강을 방지한다.When the interference with the
승강로드(120)는 부력을 받을 수 없어, 세척수의 수위에 상관없이 자중에 의해 하강되도록 힘을 받으므로, 본 발명은 상기 지지레버(210)를 통해 승강로드(120)의 상승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세척수를 필요한 만큼 충분히 배출시킬 수 있다. Since the lifting
즉 사용자가 작동 스위치(37)를 내려서 승강로드(120)가 상승될 경우, 지지레버(210)는 승강로드(120)의 스토퍼(124)와 접촉하여 후방측으로 선(先) 하향 회전한 후에, 스토퍼(124)가 지지레버(210)를 지나쳐 높은 위치에 도달하면 접촉이 해제됨에 따라 지지레버(210)가 전방측으로 후(後) 상향 회전하면서 원위치로 복귀하여 스토퍼(124)의 하단을 받쳐서 지지하여 걸림 작동하게 된다.The
이를 위하여 지지레버(210)는 승강로드(120)가 통과될 수 있도록 내부가 관통된 형태로서, 접촉부(210a)의 양측단은 제어 몸체(220)의 힌지공(222)에 힌지 결합되어 고정되고, 전단은 부표 지지대(230)의 슬릿홈(230a)에 끼워져 전후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제어 몸체(220)에 고정되는 부분 내측에 접촉부(210a)가 제어 몸체(220)의 제1 승강홀(223)방향으로 돌출되어 승강로드(120)의 스토퍼(124)를 받쳐서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To this end, the
그리고 저장부(S; 보다 엄밀하게는 케이스(400) 내부)의 세척수 수위가 낮아짐에 따라 부표 지지대(230)가 하강하게 되면, 지지레버(210)는 하향 회전하여 스토퍼(124)의 걸림 작동이 해제되어, 자중에 의해 승강로드(120)가 하강하면서, 차폐부재(130)가 유입공(311)을 폐쇄하고, 개폐부재(140)가 오물 배출구(31)를 폐쇄함으로써 세척수의 배출을 차단하고 세척수가 저장부(S)에 저장되도록 한다.As the level of the wash water in the storage unit S (more strictly, inside the case 400) is lowered, when the
즉, 지지레버(210)가 스토퍼(124)를 계속 지지하게 된다면, 승강로드(120)는 계속 상승한 상태가 유지되어, 유입공(311) 및 오물 배출구(31)가 개방되므로, 상기한 구성을 통해 저장부(S)의 세척수가 끊임없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한다.That is, if the
제어 몸체(220)는 중앙에 제1 승강홀(223)이 형성되며, 작동레버(110)가 힌지 결합되는 힌지공(221)이 제1 승강홀(223)의 후면 지지대 상단에 형성되고, 지지레버(210)가 힌지 결합되는 힌지공(222)이 제1 승강홀(223)의 후면에 형성되며, 제1 승강홀(223)에서 승하강하는 승강로드(120)를 가이드한다. The
따라서 작동레버(110)는 지지레버(210)보다 높은 위치에서 지지레버(210)와 간섭되지 않도록 회동할 수 있으며, 승강로드(120)는 제어 몸체(220)의 중앙 부분에서 상승 또는 하강 할 수 있다. Therefore, the
이때 제어 몸체(220)의 제1 승강홀(223)에는 승강로드(120)의 승강을 원활하게 가이드 할 수 있도록 가이드 홈(224)이 형성되고, 승강로드(120)에는 가이드 홈(224)에 대응되도록 가이드 돌기(125)가 형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a
부표 지지대(230)는 상단이 상부 부표(240)의 결합홈(241)에 관통하여 케이스에 끼워지고, 하단이 제어 몸체(220)의 제1 승강홀(223)의 전면에 구비된 끼움홀(225)에 끼워지며, 후면에 지지레버(210)가 연결되는 슬릿홈(230a)을 구비하여, 지지레버(210)의 회동 또는 상부 부표(240)의 승하강에 따라 승하강한다. The upper portion of the
끼움 홀(225)의 깊이는 부표 지지대(230)가 최대 높이로 상승한 경우에 이탈되지 않도록 형성되어, 부표 지지대(230)의 이탈에 의해 오작동하여 세척수가 배출되어 낭비되는 것을 방지한다.The depth of the
상기 부표 지지대(230)와 결합하는 상부 부표(240)는 저장부(S)의 세척수가 배출되어 수위가 낮아짐에 따라 부표 지지대(230)와 함께 동반 하강하면서, 지지레버(210)를 하향 회전시켜, 스토퍼(124)의 걸림 작동이 해제되도록 함으로써, 승강부(100)가 하강하여 오물 배출구(31)가 폐쇄된다.The
즉 지지레버(210)의 걸림 작동을 통해 스토퍼(124)가 지지되어 승강부(100)의 상승 상태가 유지된 상태에서 저장부(S)의 세척수가 배출되면, 세척수의 수위가 낮아짐에 따라 상부 부표(240) - 부표 지지대(230)의 하강 및 지지레버(210)의 하향 회전으로 이어져서 결과적으로 승강부(100)의 승강로드(120)가 하강하여 오물 배출구(31)를 폐쇄시킬 수 있다.That is, when the
이러한 상부 부표(240)는 저장부(S)의 세척수로부터 발생하는 부력에 의해 승하강하며, 제어 몸체(220) 또는 승강로드(120)에 의하여 승하강이 방해받지 않도록 내부가 비어있는 형태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저장부(S)의 세척수에 의해 충분한 부력을 받을 수 있는 플라스틱 소재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이때 부표 지지대(230)는 일 측면 또는 양 측면이 요철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부 부표(240)는 부표 지지대(230)가 통과되는 결합 홈(241)의 내면에 부표 지지대(230)의 요철 형태에 맞물리도록 하는 후크(미도시)가 돌출된다.At this time, the
요철과 후크의 맞물림을 통해 상부 부표(240)는 부표 지지대(230)에 대하여 높이 조절이 가능하므로 배출되는 세척수량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Since the height of the
즉 상부 부표(240)를 부표 지지대(230)의 상단 쪽으로 높게 결합하면 저장부(S)의 세척수 수위가 조금만 낮아지더라도 상부 부표(240)와 결합된 부표 지지대(230)가 바로 하강함에 따라 지지레버(210)를 회동시켜 승강부(100)의 하강에 따른 유입공(311)과 오물 배출구(31)의 폐쇄가 이루어져 세척수량을 줄일 수 있고,That is, when the
반대로 상부 부표(240)를 부표 지지대(230)의 하단 쪽으로 낮게 결합하면 세척수 수위가 충분하게 낮아질 동안 상부 부표(240)는 부력에 의해 계속 상승한 상태가 유지되어 세척수량을 늘일 수 있으므로,Conversely, when the
사용자는 필요에 맞게 배출되는 세척수량을 쉽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The user can easily adjust the amount of washing water discharged according to needs.
이는 본 발명의 물 내림 장치를 통해 배출되는 세척수량은 유입공(311)의 개방 시간, 즉 승강부(100)의 상승 유지 시간에 의해 결정되므로, 상부 부표(240)의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하여, 유입공(311)의 개방시간을 조절함으로써 배출되는 세척수량을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This is because the washing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water lower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rmined by the opening time of the
이를 위해 상기 부표 지지대(230)의 전면에는 눈금이 표시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For this purpose, it is more preferable that a scale is display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상부 부표(240)와, 부표 지지대(230)의 견고한 고정을 위해 볼트 결합 등이 더 추가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a bolt connection or the like may be further added to secure the
다음으로 배출부(300)는 저장부(S)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부에 제어부(200)의 제어 몸체(220)가 결합 지지되며, 승강부(100)의 상승 시 배수되는 세척수가 림측 배관(34)으로 배출되도록 한다.The
이러한 배출부(300)는 크게, 외통(310), 오버플로 관(320), 내통(3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외통(310)과 내통(340)은 상하부가 개구된 파이프 형상으로, The
외통(310)은 수조(33)의 배수구(32)에 장착되며 저장부(S)의 바닥에서 돌출된 상단부에 복수개의 유입홀(310a)이 방사상으로 구비되어 있고, 내부 하우징(H)의 바닥 하부로 노출된 하단부에 복수개의 림측 배수공(312; 도면에서 배수공(312)을 점선으로 도시한 이유는 배수공(312)이 내통(340)으로 인해 단면도 구조상 실제로 보이지가 않기 때문임.)이 방사상으로 구비되어 있다.The
그리고 내통(340)은 외통(310)의 내부에 서로 이격하도록 결합되어 외통(310)과 내통(340) 사이의 상단부에 상기 림측 배수공(312)과 연통된 유입공(311)을 형성한다.The
이러한 외통(310)과 내통(340)이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유입공(311)은 외통(310)의 내주면 하단에 구비된 날개(310b)들로 형성되어, 유입홀(310a)-유입공(311)-배수공(312)이 서로 연통되는 구조를 갖는다.The
따라서 승강부(100)의 상승에 의해 차폐부재(130)가 상승되면 유입공(311)이 개방되어, 유입홀(310a)을 통해 저장부(S)의 세척수가 유입공(311)으로 유입되고, 이렇게 유입되는 세척수는 림측 배수공(312)으로 배출되어, 림측 배관(34)을 통해 변기 본체(30)로 배출되어, 용변의 세척이 이루어지고,Accordingly, when the shielding
상기한 지지레버(210)의 걸림 해제 작동을 통해 승강부(100)가 하강하여 오물 배출구(31)가 폐쇄되면, 배출되는 세척수는 변기 본체(30)에 보충, 저장되고,When the lifting
이 상태에서 저장부(S)의 세척수의 수위가 낮아짐에 따라 차폐부재(130)가 하강하면 유입공(311)이 폐쇄되어 변기 본체(30)로의 세척수 배출이 차단되어 저장부(S)에 세척수가 저장된다.When the shielding
외통(310)은 수조(33)의 바닥에 고정될 수 있으며, 고정 방식은 볼트 결합, 리벳 결합, 등을 적절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The
이때 세척수의 누수가 발생하지 않도록, 외통(310)의 하단에는 고무 등으로 제작한 패킹(313)이 구비될 수 있다. At this time, a packing 313 made of rubber or the like may be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또 외통(310) 내부에 연결되어 있는 내통(340)은 외통(310)과의 사이에 유입공(311)을 형성함과 아울러, 내부 공간을 통과하는 개폐부재(140)의 승하강을 가이드한다. The
오버플로관(320)은 내부 하우징(H)의 바닥, 외통(310)의 일측에 형성된다. The
오버플로관(320)은 저장부(S)에 보관되는 세척수의 양을 조절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일반적인 파이프 형태일 수 있고 높이는 내부 하우징(H)의 저장부(S) 부피에 따라 다르게 제작될 수 있다.The
또한 본 발명은 제어부(200) 및 승강부(100)를 덮어 보호하며 내부 하우징(H)의 저장부(S)에 고정되는 케이스(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상기 케이스(400)는 하단이 개방된 실린더 형태일 수 있으며, 와이어홀(410)및 세척수 유도홀(420)을 포함한다.The
와이어홀(410)은 케이스(400)의 상단에 형성되며 물 내림 와이어(20)가 통과되고,The
세척수 유도홀(420)은 케이스(400)의 측면에 형성되며 세척수가 유입되도록 한다. The washing
상기 세척수 유도홀(420)은 세척수의 충분한 유입을 위하여 방사상으로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으며, 최소한 세척수 유도 홀 중 어느 하나는 부표 지지대(230) 방향에 형성되어 부표 지지대(230)의 눈금을 사용자가 육안으로 확인하여 상부 부표(24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least one of the wash water induction holes may be formed in the direction of the
이하에서는 상기한 구성에 다른 직입식 양변기의 물 내림 장치의 작동 및 효과를 설명한다.Hereinafter, operations and effects of the water dropping device of the straight-mouth type toilet bowl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도 5a 내지 도 5f는 본 발명의 따른 직입식 양변기의 물 내림 장치의 작동을 단계별로 도시한 측면도들로써, FIGS. 5A to 5F are side views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water dropping device of the straight-on type toilet bow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가 변기 스위치(37)를 내리지 않은 상태인 경우, 승강부(100)가 자중에 의하여 하강하여 개폐부재(140)가 오물 배출구(31)를 폐쇄한 상태가 유지되고, 차폐부재(130)는 제1 패킹(120e)에 의해 하측 배출부(300)쪽으로 가압되어, 제1 패킹(120e)의 밀착으로 인해 차폐부재(130)의 제2 승강홀(331)이 폐쇄되고, 제2 패킹(130a)의 밀착으로 인해 배출부(300)의 유입공(311)이 폐쇄되어 있다.5A, when the user does not lower the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변기 본체(30)에 오수를 투입하면, 배출로(35)와 개폐부재(140)의 이격부(140a)에 채워진 세척수가 오수 배출홀(140b)을 통해 배출되며, 따라서 용기 본체의 용량을 넘는 대량의 오수를 버리더라도 물 내림 작동을 할 필요 없이 오수의 배출이 가능해져, 오부 배출 후 한 번의 물 내림으로 변기 본체(30)의 세척이 가능하여 세척수의 낭비를 줄일 수 있다. When the user inserts the wastewater into the
이어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용변 후 작동 스위치(37)를 내리기 시작하면, 물 내림 와이어(20)가 당겨짐에 따라 작동레버(110)가 회동하여, 작동레버(110)가 받침부(123)를 밀어 올려 승강로드(120)를 상승시키게 된다. 5B, when the user starts to lower the after-
승강로드(120)가 상승함에 따라 개폐부재(140)가 동반 상승하면서, 오물 배출구(31)가 개방되어 변기 본체(30)의 오물이 변기 본체(30)의 세척수와 함께 배출되고,As the lifting
동시에 제1 패킹(120e)이 상승하면서 차폐부재(130)의 제2 승강홀(331)이 개방되어 케이스(400)로 유입된 저장부(S)의 세척수는 제어 몸체(220)의 제1 승강홀(223)과, 차폐부재(130)의 제2 승강홀(331)을 통해 내통(340)의 내부 공간을 경유하여 배수구(32)로 배출된다.The
그리고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작동 스위치(37)를 계속 내리게 되면, 승강로드(120)가 도 5b에서의 높이보다 상승함에 따라 단턱(121)이 차폐부재(130)를 상승시켜, 배출부(300)의 유입공(311)이 개방됨과 동시에 상승한 제1 패킹(120e)과 차폐부재(130)의 밀착으로 인해 차폐부재(130)의 제2 승강홀(331)이 폐쇄된다.5C, when the user continues to lower the
따라서 배수구(32)로의 세척수 배출이 중단되면서, 외통(310) 외주면에 형성된 유입홀(310a)을 통해 저장부(S)의 세척수가 유입공(311)을 통과하여 림측 배수공(312)으로 배출되어 림측 배관(34)을 통해 변기 본체(30)의 용변을 세척한다.The discharge of the washing water to the
다음으로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작동 스위치(37)를 끝까지 내리면, 승강로드(120)가 계속 상승하면서 경사진 형태의 스토퍼(124)로 인하여 지지레버(210)가 회전하고, 회전되는 지지레버(210)는 부표 지지대(230) 및 부표 지지대(230)와 연결된 상부 부표(240)를 하강시킨 후, 5D, when the user fully lowers the
승강로드(120)가 상승함에 따라 승강로드(120)의 스토퍼(124)는 지지레버(210)보다 높은 위치에 자리하게 된다. The
이때 부표 지지대(230)는 상부 부표(240)가 부력을 받음에 따라 상승하며, 부표 지지대(230)에 연결된 지지레버(210)는 상향 회전하게 되고,At this time, the
상향 회전한 지지레버(210)는 승강로드(120)의 스토퍼(124)를 지지하여 걸림 작동함으로써, 승강로드(120)의 하강을 차단하여 세척수의 배출이 지속적으로 유지된다.The upwardly-supported
이때 제1 패킹(120e)은 제어 몸체(220)의 제1 승강홀(223)에 밀착되어 제1 승강홀(223)을 폐쇄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그리고 도 5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작동 스위치(37)를 놓게 되면, 물 내림 와이어(20)에 가해졌던 힘이 제거됨에 따라 작동레버(110)가 하향 회전하게 된다. As shown in FIG. 5E, when the user places the
이때 세척수가 일정량 배출되었기 때문에 수위가 낮아짐에 따라 상부 부표(240)는 하강하며, 부표 지지대(230) 또한 하강함에 따라 지지레버(210)는 다시 회전하여 스토퍼(124)의 걸림 작동이 해제된다.At this time, since the washing water has been discharged a certain amount, the
따라서 지지레버(210) 및 작동레버(110)에 의한 상승 상태가 유지되지 못하는 승강로드(120)는 자중에 의하여 하강하기 시작하여, 승강로드(120)의 하단에 연결된 개폐부재(140)가 하강한다.The lifting
이때 차폐부재(130)는 유입공(311)을 통해 림측 배관(34)으로 배출되는 세척수의 부력에 의하여 승강로드(120)의 하강과 별개로 계속 상승된 상태가 유지되어, 저장부(S)의 세척수가 충분하게 림측 배관(34)으로 배출되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shielding
그리고 도 5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로드(120)가 하강하면서 세척수가 충분히 배출되면, 하강하는 제1 패킹(120e)이 차폐부재(130)를 하측으로 가압하여 차폐부재(130)가 하강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배출부(300)의 유입공(311)이 폐쇄되어 세척수는 더 이상 변기(30)의 수조(33)로부터 배출되지 않는다.5F, when the lifting
이때 개폐부재(140) 역시 하강하여 오물 투입구를 폐쇄시킨다. At this time, the opening and closing
따라서 저장부(S)에 세척수가 다시 보충된 경우, 상부 부표(240)는 부력을 받음으로써 상승하게 되며, 상부 부표(240)에 연결된 부표 지지대(230) 역시 상승하게 된다. Accordingly, when the wash water is replenished to the storage unit S, the
이때 부표 지지대(230)와 연결된 지지레버(210)는 상향 회전하여 이전의 상태를 회복하게 된다. 이후 사용자가 용변을 세척하기 위하여 작동 스위치(37)를 내리면, 본 발명은 도 5a 내지 도 5f에 도시된 바와 같은 동작을 반복 수행하여 효율적인 세척을 수행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직입식 양변기의 물 내림 장치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Changes and substitutions are to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H : 내부 하우징 S : 저장부
100 : 승강부 110 : 작동레버
120 : 승강로드 130 : 차폐부재
140 : 개폐부재
200 : 제어부 210 : 지지레버
220 : 제어몸체 230 : 부표 지지대
240 : 상부 부표 300 : 배출부
310 : 외통 320 : 오버플로우관
340 : 내통 400 : 케이스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0002]
H: Inner housing S: Storage part
100: elevating part 110: operating lever
120: lifting rod 130: shielding member
140: opening / closing member
200: control unit 210: support lever
220: control body 230: buoy support
240: Upper buoy 300: Outlet
310: outer tube 320: overflow tube
340: inner cylinder 400: case
Claims (4)
상기 수조 내부에 장착되는 것으로, 세척수가 저장되는 저장부와, 상기 배수구에 결합되며 상기 저장부에서 배출되는 세척수가 상기 림측 배관으로 배수되도록 하는 배출부를 구비한 내부 하우징;
물 내림 와이어의 당겨짐 또는 상기 저장부의 세척수 수위 하강에 따라, 상기 승강로 상에서 상승 또는 하강하여, 상기 오물 배출구를 개폐하는 승강부; 및
상기 승강부의 상승 시 승강부를 지지하도록 걸림 작동하여 승강부의 하강을 제한하는 지지 레버와, 상기 지지 레버와 연결되며 상기 저장부의 세척수 수위 하강 시 상기 지지 레버의 걸림 작동을 해제하여 승강부가 하강하도록 하는 상부 부표를 포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부는
상기 물 내림 와이어와 연결되어 물 내림 시 회동하는 작동 레버와,
상기 작동 레버의 회동에 의해 상승하거나 또는 상기 상부 부표의 하강에 의해 하강하는 승강 로드와,
상기 승강 로드에 구비되어, 상기 승강 로드의 승하강에 따라 상기 제어부의 제1 승강홀 또는 상기 배출부의 유입공을 폐쇄하는 차폐부재와,
상기 승강 로드 하단에 연결되어 상기 승강 로드의 승하강에 따라 상기 오물 배출구를 개폐하는 개폐부재(140)를 포함하며,
상기 개폐부재(140)는
상기 승강 로드와 연결되며 하측 개구부를 갖는 외부 관체(141)와,
상기 외부 관체(141)의 내주면과 이격부(140a)를 갖도록 상기 하측 개구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며, 상기 이격부(140a)와 연통된 오수 배출홀(140b)을 구비한 내부 몸체(142)와,
상기 내부 몸체(142) 하단에 연결되어 상기 오물 배출구에 접촉하며, 중앙에 상기 오수 배출홀(140b)과 연통된 중공부를 갖는 패킹부재(143)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세척수가 상기 이격부(140a)에 차올라 배출로(35)와 오물 배출구(31) 사이를 폐쇄시켜 악취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변기 본체에 오수를 버릴 경우, 배출로(35)와 개폐부재(140)의 이격부(140a)에 채워진 세척수가 오수 배출홀(140b)을 통해 배출되면서, 상기 직입식 양변기의 물 내림 작동 없이, 오수가, 상기 이격부(140a)와 상기 오수 배출홀(140b)을 통해 상기 오물 배출구(31)로 배출되고,
상기 개폐부재(140)는 하중 증가를 위하여 링 형상의 중량부재(143)를 이중 사출방식으로 상기 패킹부재(143) 내부에 내삽된 중량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입식 양변기의 물 내림 장치.A drain pipe connected to the water tank, a rim pipe connecting the drain pipe and the toilet body, a pipe connecting the toilet body and the dirt outlet, and a hoistway connecting the dirt outlet and the drain hole,
An inner housing having a storage part for storing wash water and a discharge part coupled to the drain hole and discharging the wash water discharged from the storage part to the rim side pipe;
A lifting unit for lifting or lowering the water on the hoistway in accordance with the pulling of the water lowering wire or the lowering of the water level of the washing water in the storage unit, And
A support lever connected to the support lever for releasing the latching operation of the support lever when the wash water level of the storage unit is lowered to lower the lift unit, And a control unit including a buoy,
The elevating portion
An operation lever connected to the water descender wire and rotating when the water is lowered,
A lifting rod lifted by the rotation of the operating lever or lowered by the lowering of the upper buoy,
A shielding member provided on the lifting rod to close the inflow hole of the first lift-up hole or the discharge portion of the control unit in accordance with the rising and falling of the lifting rod;
And an opening / closing member (140) connected to a lower end of the lifting rod to open / close the dirt outlet according to a rising / falling of the lifting / lowering rod,
The opening / closing member (140)
An outer tubular body 141 connected to the lifting rod and having a lower opening,
An inner body 142 inserted into the lower opening so as to have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tubular body 141 and the spacing portion 140a and having a waste water discharge hole 140b communicated with the spacing portion 140a,
And a packing member 143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inner body 142 to contact the dirt discharge port and having a hollow portion communicated with the waste water discharge hole 140b at the center,
The washing water closes the gap between the discharge passage 35 and the dirt outlet 31 on the spacing portion 140a to prevent the odor from flowing backward,
When the waste water is discharged to the toilet bowl body, the washing water filled in the separation part 140a between the discharge passage 35 and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140 is discharged through the waste water discharge hole 140b, , Wastewater is discharged to the dirt outlet (31) through the spacing portion (140a) and the wastewater discharge hole (140b)
Wherein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140) includes a weight member that is inserted into the packing member (143) by a double injection method in order to increase a load. .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86196A KR101601767B1 (en) | 2015-06-17 | 2015-06-17 | Flushing apparatus for direct outlet type toilet bowl |
PCT/KR2016/005730 WO2016204425A1 (en) | 2015-06-17 | 2016-05-30 | Flushing device for direct-outlet type toilet bowl |
US15/737,291 US20180135283A1 (en) | 2015-06-17 | 2016-05-30 | Flushing device for direct-outlet type toilet bowl |
CN201680035133.XA CN107750294A (en) | 2015-06-17 | 2016-05-30 | The flushometer of straight-through toile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86196A KR101601767B1 (en) | 2015-06-17 | 2015-06-17 | Flushing apparatus for direct outlet type toilet bowl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01767B1 true KR101601767B1 (en) | 2016-03-10 |
Family
ID=555392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86196A KR101601767B1 (en) | 2015-06-17 | 2015-06-17 | Flushing apparatus for direct outlet type toilet bowl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20180135283A1 (en) |
KR (1) | KR101601767B1 (en) |
CN (1) | CN107750294A (en) |
WO (1) | WO2016204425A1 (en)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21696B1 (en) * | 2005-12-26 | 2006-09-07 | 조동선 | Auxiliary water tank for toilet bowel |
KR101108715B1 (en) * | 2010-11-17 | 2012-03-20 | 주식회사 렉스세라믹 | Flushing device of direct outlet typic toilet bowl |
KR101516697B1 (en) * | 2014-09-02 | 2015-05-04 | (주)흰여울누리 | The water saving mechanism of the toilet |
Family Cites Families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99333A (en) * | 1884-05-27 | James w | ||
US168613A (en) * | 1875-10-11 | Improvement in water-closets | ||
US3036313A (en) * | 1961-05-01 | 1962-05-29 | Mark H Jenkins | Water saving attachment for flush boxes |
JP3630494B2 (en) * | 1996-04-15 | 2005-03-16 | 旭物産株式会社 | Water-saving equipment for flush toilets |
JP2001262660A (en) * | 2000-03-22 | 2001-09-26 |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 Flush water closet |
US20060053542A1 (en) * | 2002-01-18 | 2006-03-16 | Hand Douglas P | Adjustable toilet valve assembly |
GB2402136B (en) * | 2003-05-24 | 2006-05-10 | Steadman William D | Toilet flushing arrangement |
KR100477981B1 (en) * | 2004-09-20 | 2005-03-23 | 전영세 | Moving mechanism of natual discharge as well as water saving a chamber pot |
CN100451253C (en) * | 2006-09-25 | 2009-01-14 | 王旭 | Hydraulic seal type water-saving toilet seat with kraut jar mouth |
KR100942041B1 (en) * | 2009-08-24 | 2010-02-11 | 주식회사 렉스세라믹 | Flushing device of direct outlet typic toilet bowl |
KR101163357B1 (en) * | 2012-03-29 | 2012-07-05 | 이재모 | Water-saving toilet |
-
2015
- 2015-06-17 KR KR1020150086196A patent/KR101601767B1/en active IP Right Grant
-
2016
- 2016-05-30 CN CN201680035133.XA patent/CN107750294A/en active Pending
- 2016-05-30 US US15/737,291 patent/US20180135283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6-05-30 WO PCT/KR2016/005730 patent/WO2016204425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21696B1 (en) * | 2005-12-26 | 2006-09-07 | 조동선 | Auxiliary water tank for toilet bowel |
KR101108715B1 (en) * | 2010-11-17 | 2012-03-20 | 주식회사 렉스세라믹 | Flushing device of direct outlet typic toilet bowl |
KR101516697B1 (en) * | 2014-09-02 | 2015-05-04 | (주)흰여울누리 | The water saving mechanism of the toilet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180135283A1 (en) | 2018-05-17 |
WO2016204425A1 (en) | 2016-12-22 |
CN107750294A (en) | 2018-03-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756652B1 (en) | Bidet with the function of automatic water dropping using of water pressure which is supplied to the baths of toilet bowls | |
KR100764836B1 (en) | Apparatus for automatic water drop of toilet bowls using of water pressure | |
KR100901186B1 (en) | A toilet stool having a check valve for preventing backflowing between bowl and water tank | |
EP0448092A1 (en) | Flush tank structure particularly for the controlled and differentiated washing of toilet bowls in sanitary fittings and the like | |
KR20150046978A (en) | Auto flushing device for a toilet bowl in a type of flapper | |
KR101601767B1 (en) | Flushing apparatus for direct outlet type toilet bowl | |
US4170049A (en) | Aqualock closet valve | |
CN109083240B (en) | Closestool blocks up pull throughs | |
KR200439595Y1 (en) | Bidet with the function of automatic water dropping using of water pressure which is supplied to the baths of toilet bowls | |
KR101256571B1 (en) | Drainage of the urinal | |
KR100705646B1 (en) | automatic flushing apparatus/methode of toilet/bidet having water-saveing function | |
KR100986216B1 (en) | waterway conversion device of toilet flasher valve for controlling water supply | |
KR101010343B1 (en) | a toilet | |
KR101582074B1 (en) | a toilet bowl for saving water | |
KR20090120163A (en) | Device for non-power auto-flush of chamber pot | |
CN218861685U (en) | Drainer of lifting platform basin and lifting platform basin | |
CN111794330A (en) | Splash-proof closestool | |
KR101108715B1 (en) | Flushing device of direct outlet typic toilet bowl | |
KR200437292Y1 (en) | Male urinal receptacle on toilet stool | |
KR101058551B1 (en) | Washing water supply shutoff device of toilet | |
KR20090101022A (en) | Apparatus for automatic water drop of toilet bowlsusing of water pressure | |
KR200440466Y1 (en) | device for cylinder pressure opening and shutting of automatic water dropping bidet | |
CN209538320U (en) | A kind of sanitary ware water control flushometer | |
KR102084159B1 (en) | Variable trap structure of toilet bowl | |
KR20150079045A (en) | A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water drawing in the chamber po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303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