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1608B1 - Loudspeaker - Google Patents

Loudspeak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1608B1
KR101601608B1 KR1020150122166A KR20150122166A KR101601608B1 KR 101601608 B1 KR101601608 B1 KR 101601608B1 KR 1020150122166 A KR1020150122166 A KR 1020150122166A KR 20150122166 A KR20150122166 A KR 20150122166A KR 101601608 B1 KR101601608 B1 KR 1016016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phragm
reflector
incident
sound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216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공관식
Original Assignee
공관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관식 filed Critical 공관식
Priority to KR10201501221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160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16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160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3Screens for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4Construction, mounting, or centering of coil
    • H04R9/046Construction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eaker for emitting a sound to the front side of a speaker without interference, superposition, and resonance. A unit of generating a sound is installed in the speaker. The unit is horizontally installed. The sound from the upper side of the unit is reflected by a front reflection plate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unit. Therefore, the sound is emitted to the front side of the speaker. A sound from the lower side of the unit passes through a first path and a second path, and is reflected by the front reflection plate. So, the sound is emitted to the front side of the speaker. The second path is longer than the first path. Also, a sound from the lower side of the unit is divided into the first path and the second path by a separation partition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unit.

Description

스피커{LOUDSPEAKER}Speaker {LOUDSPEAKER}

본 발명은 스피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피커 내부에 음의 통로를 마련하고, 음의 경로의 각도가 변화되는 부분에 반사판을 설치하여 스피커 유닛의 후측으로 나오는 음을 스피커의 외부로 완전히 나오게 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스피커에 대한 것이다.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udspeak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loudspeaker having a sound path in a loudspeaker, a reflection plate disposed at a portion where a sound path angle is changed, To a speaker having a structure that can be used.

일반적으로 스피커에서 나오는 소리는 음장감으로 평가되고 있다. 음장감은 실제 무대에서 연주되는 악기들로부터 청중이 있는 방향으로 나오는 소리와, 이와 더불어 무대의 후면과 측면으로부터 반사되어 청중으로 나아가는 소리가 합하여져 들리게 되는 종합적인 소리를 말한다.Generally speaking, the sound from the speaker is evaluated as the sound field. The sound field is a comprehensive sound that is heard from the instruments played on the actual stage in the direction of the audience and the sound coming from the back and sides of the stage reflected back to the audience.

이러한 음장감은 스피커의 설치 위치, 배치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실내에서 설치되는 스피커의 경우, 공간적인 제한으로 말미암아 자유로운 스피커의 위치, 배치 등은 한계가 있다.Such a sound field can be varied depending on the installation position and arrangement of the speaker, but in the case of a speaker installed in the room, there is a limit to the position and arrangement of the speaker freely due to the space limitation.

종래의 설계된 스피커는 내부에 덕트를 설치하고 유닛의 후측으로 나오는 소리를 덕트를 거쳐 스피커의 전측으로 나오게 하여 절단되는 소리의 차이를 사람이 들을 수 있도록 하여, 실제 무대에서 느끼는 것과 유사한 음장감을 느끼게 하고 있다.Conventionally designed speakers are equipped with a duct inside and the sound coming out to the rear side of the unit goes out through the duct to the front of the speaker so that people can hear the difference in the sound being cut, have.

그러나 종래의 대부분의 스피커에 설치된 덕트는 유닛의 후측으로 나오는 음이 완전히 전측으로 나오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이는 스피커 내부에 형성된 소리의 통로가 균일한 넓이로 이루어져 있지 않거나, 음을 반사시키는 반사판의 구조가 정밀하지 못하여 음의 왜곡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However, in a conventional duct installed in most speakers, the sound coming out to the rear side of the unit often does not completely go out to the front. This is because the sound path formed in the loudspeaker does not have a uniform width, or the structure of the reflection plate reflecting the sound is not precise, resulting in distortion of the sound.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05856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7-0005856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75260호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175260 US 4,512,434US 4,512,434

본 발명은 스피커의 내부에서 음의 간섭, 중첩, 공명없이 스피커의 전측으로 완전히 나오도록 하는 스피커를 제공하려는 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loudspeaker which allows the loudspeaker to fully emerge from a front side of a loudspeaker without interference, overlapping, and resonance of sound inside the loudspeaker.

본 발명은 유닛의 전측으로 나오는 소리와 함께, 유닛의 후측으로 나오는 소리가 스피커의 내부를 거쳐 시간적 차이를 두고 스피커의 외부로 나오도록 하여 듣는 이로 하여금 음장감을 느끼도록 한 스피커를 제공하려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ims at providing a speaker which allows a user to hear the sound coming out to the front side of the unit and the sound coming out to the rear side of the unit to the outside of the speaker with a time difference through the inside of the speaker .

또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는다. 아울러 언급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이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It is to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는 소리를 발생시키는 유닛이 내부에 설치되는 스피커로서, 상기 유닛은 수평으로 설치되고, 상기 유닛의 상측으로 나오는 소리는 유닛의 상측에 설치된 전면 반사판에 의해 반사되어 전측으로 나오게 되며, 상기 유닛의 하측으로 나오는 소리는 제1 경로와 제2 경로를 통과하여 상기 전면 반사판에 의해 반사되어 전측으로 나오게 되고, 상기 유닛의 상측으로 나오는 소리와, 상기 유닛의 하측으로 나와 제1 경로와 제2 경로를 통과하는 소리는 전면 반사판에 의해 반사되어 상기 스피커의 상부에 형성된 개구부(OP)를 통해 전측으로 나오게 되며, 상기 제2 경로는 제1 경로보다 길게 형성된다.
A speak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peaker in which a unit for generating a sound is installed inside, the unit is installed horizontally, and sound emitted to the upper side of the unit is reflected by a front reflector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unit And the sound emitted to the lower side of the unit passes through the first path and the second path, is reflected by the front reflector and is emitted to the front side, and the sound emitted to the upper side of the unit and the sound emitted toward the lower side The sound passing through the first path and the second path is reflected by the front reflector and is forwarded through the opening OP formed on the speaker, and the second path is longer than the first path.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는 소리를 발생시키는 유닛이 내부에 설치되는 스피커로서, 상기 유닛은 수평으로 설치되고, 상기 유닛의 상측으로 나오는 소리는 유닛의 상측에 설치된 전면 반사판에 의해 직각으로 반사되어 상부에 형성된 개구부(OP)를 통해 전측으로 나오게 되고, 상기 유닛의 하측으로 나와 제1 경로를 통과하는 소리는 전면 반사판에 의해 반사되어 상부에 형성된 개구부(OP)를 통해 전측으로 나오게 되며, 상기 유닛의 하측으로 나와 제2 경로를 통과하는 소리는 하부에 형성된 개구부(OP-S)를 통해 나오게 되고, 상기 제2 경로는 제1 경로보다 길게 형성된다.
The speak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peaker in which a unit for generating sound is installed therein. The unit is installed horizontally, and the sound emitted to the upper side of the unit is reflected by a front reflector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unit, So that the sound coming out from the lower side of the unit and passing through the first path is reflected by the front reflector and is forwarded through the opening OP formed in the upper part , Sound coming out from the lower side of the unit through the second path is emitted through the opening OP-S formed in the lower part, and the second path is longer than the first path.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는 소리를 발생시키는 유닛이 내부에 설치되는 스피커로서, 상부에 수직절개홈을 갖는 격판과 하부에 수직절개홈을 갖는 격판을 끼움 결합하여 4개의 영역으로 나뉘어 지도록 형성되되,The speake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peaker in which a unit for generating sound is installed therein. The speaker is divided into four regions by interposing a diaphragm having vertical incision grooves thereon and a diaphragm having vertical incision grooves therebetween Respectively,

상기 상부에 수직절개홈을 갖는 격판은 전측 부분격판과 후측 부분격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에 수직절개홈을 갖는 격판은 일측 부분격판과 타측 부분격판으로 이루어지고,Wherein the diaphragm having vertical cutout grooves is formed of a front partial diaphragm and a rear partial diaphragm, and the diaphragm having vertical cutout grooves at the lower portion is composed of one side partial diaphragm and the other side diaphragm,

상기 4개의 영역은 R-A 영역, R-B 영역, R-C 영역, R-D 영역이고, 상기 전측 부분격판과 일측 부분격판의 사이는 R-A 영역이 되고, 일측 부분격판과 후측 부분격판의 사이는 R-B 영역이 되며, 후측 부분격판과 타측 부분격판의 사이는 R-C 영역이 되고, 타측 부분격판과 전측 부분격판의 사이는 R-D 영역으로 형성되며, 상기 R-A 영역의 상부에는 중저역 유닛이 형성되고, R-A 영역의 하부에는 입사측 반사판이 형성되며, 상기 R-B 영역의 하부에는 출사측 반사판이 형성되고, R-B 영역의 상부에는 입사측 반사판이 형성되며, 상기 R-C 영역의 상부에는 출사측 반사판이 형성되고, R-C 영역의 하부에는 입사측 반사판이 형성되며, 상기 R-D 영역의 하부에는 출사측 반사판이 형성되고, R-D 영역의 상부에는 고역 유닛이 설치되고, 상기 고역 유닛과 중저역 유닛의 상부에는 전면 반사판이 형성되며, 상기 중저역 유닛은 수평으로 설치된다.
Wherein the four regions are an RA region, an RB region, an RC region, and an RD region, and an RA region is formed between the front partial partition and the one partial partition, an RB region is formed between the one partial partition and the rear partial partition, A middle area unit is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RA area, and an incident-side reflecting plate is formed on the lower part of the RA area, An incident-side reflector is form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RB region, an incident-side reflector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RB region, an outgoing-side reflector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RC region, An output-side reflector is form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RD region, a high-frequency unit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RD region, and a front reflector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high- Sex and the jungjeoyeok unit is installed horizontally.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는 내부에 격판과 반사판에 의해 유닛의 후측으로 나오는 모든 음이 완전히 스피커의 전측으로 나아가도록 설계되므로, 스피커의 내부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음의 왜곡이 일어나지 않는다.The sp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esigned so that all the sound coming out to the rear side of the unit by the diaphragm and the reflection plate is directed to the front side of the speaker completely, so that no distortion of the sound that may occur in the inside of the speaker occurs.

또한, 진동 에너지가 많이 발생하는 중저역 유닛을 수평으로 설치함으로써, 수직 설치시에 나타날 수 있는 스피커의 기계적 진동을 방지할 수 있다.Further, by horizontally installing the low-middle-frequency unit in which vibration energy is generated to a large exten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mechanical vibration of the speaker which may appear at the time of vertical installation.

또한, 일반적인 수직 설치 구조의 중저역 유닛은 전후 진동 운동을 하기 때문에 스피커통 전체의 전후 진동을 발생시키고 그 진동은 유닛에서 발생하는 음과 혼합되어 원래의 음을 왜곡시킨다. 본 발명은 중저역 유닛을 수평으로 설치함으로써 중저역 유닛이 상하 진동 운동을 하게 되어 스피커 바닥이 그 진동을 견고하게 받쳐 주며 진동을 흡수 시킨다. 따라서 중저역 유닛의 진동에 의한 스피커통의 진동이 발생하지 않게 되므로 음의 발생과 전달에 있어서 왜곡이 일어나지 않는다.Further, since the mid-range unit of a general vertical installation structure performs back and forth vibrating motion, the front and rear vibrations of the speaker barrel are generated, and the vibration is mixed with the sound generated in the unit to distort the original sound. In the present invention, by installing the low-middle-level unit horizontally, the low-middle-level unit vibrates upward and downward, so that the bottom of the speaker firmly supports the vibration and absorbs the vibration. Therefore, since the vibration of the speaker barrel due to the vibration of the low-middle-frequency unit is not generated, no distortion occurs in generation and transmission of sound.

또한, 유닛의 후측으로 나오는 소리의 진행 경로가 상대적으로 짧은 경로와 상대적으로 긴 경로로 이루어져 있어 이들 경로가 시간적 차이를 두고 스피커의 전측으로 나오게 되므로 현장감 있고 풍부한 음장감을 느낄 수 있다.
Also, since the path of the sound coming out to the rear side of the unit is composed of a relatively short path and a relatively long path, the path is shifted to the front side of the speaker with a time difference, so that a sense of presence and richness can be felt.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몸체를 이루는 복수 개의 반사판과 복수 개의 격판을 보조 플레이트에 결합하기 이전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보조 플레이트에 몸체를 결합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몸체의 사시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몸체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5(B)의 X로 표시된 원형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입사측 반사판과 출사측 반사판을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반사판과 격판에 의한 소리의 경로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중저역 유닛의 하측으로부터 나오는 소리의 경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에서 나오는 소리의 경로를 종합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11 내지 도 13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를 나타낸 것이다.
도 14 내지 도 16은 제3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를 나타낸 것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peak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peak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state before a plurality of reflectors and a plurality of diaphragms constituting a body are coupled to an auxiliary plate.
Fig. 4 shows the body coupled to the auxiliary plate.
5 (A) is a perspective view of a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B) is a front view of a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n enlarged view of the circular portion indicated by X in Fig. 5 (B).
7 shows an incident-side reflector and an exit-side refl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shows a sound path by the reflector and the diaphragm.
Fig. 9 shows a path of sound coming from the lower side of the middle-low-level unit.
FIG. 10 is a view showing a general path of sound emitted from a sp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to 13 show a speak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14 to 16 show a speake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도면에서 도시된 바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과장되거나 간략화하거나 생략되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스피커를 바닥에 놓았을 때 소리를 듣는 사람을 향하는 방향을 전측이라 하고, 그 반대 방향을 후측이라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addition, the drawing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simplified, or omitt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lso, when the speaker is placed on the floor, the direction toward the person who listens to the sound is referred to as the front side, and the opposite direction is referred to as the rear side.

그리고 스피커는 음을 발생시키는 유닛(unit)과, 전자회로로 이루어지는 네트워크(network)와, 유닛과 네트워크가 내장되는 인클로우져(enclosure)로 이루어져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네트워크는 생략하여 설명한다.The speaker is composed of a unit generating a sound, a network composed of electronic circuits, and an enclosure enclosing the unit and the network.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network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의 분해 사시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peak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peak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는 커버(100), 몸체(200), 전면판(300)로 이루어지는 인클로우져와, 고역 유닛(U-1)과 중저역 유닛(U-2)으로 이루어지는 유닛을 포함한다.The sp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ver 100, a body 200 and a front plate 300, and a unit including a high-frequency unit U-1 and a low-frequency unit U-2.

상기 커버(100)는 사각형상으로서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며 전측이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공간부에는 몸체가 개재되고, 상기 커버의 개방된 전측은 전면판(300)에 의해 하부가 폐쇄된다. 상기 커버와 전면판이 결합되면 스피커의 상부에는 유닛으로부터 나오는 소리가 나오는 개구부(OP)가 형성된다.The cover 100 has a rectangular shape, and is formed in a box shape in which a space is formed inside and the front side is opened. The body is interposed in the space portion, and the front side of the cover is closed by the front plate (300). When the cover and the front plate are coupled to each other, an opening (OP) through which the sound from the unit is output is formed on the speaker.

상기 몸체(200)는 격판(210)과 반사판(220)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몸체에는 고역 유닛(U-1) 및 중저역 유닛(U-2)이 결합된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고역 유닛과 중저역 유닛에는 네트워크가 결합되며, 상기 네트워크는 음향 신호를 고음 대역과 중저음 대역으로 필터링하여 각각 고역 유닛과 중저역 유닛으로 출력한다.The body 200 includes a diaphragm 210 and a reflector 220. And a high-frequency unit (U-1) and a low-frequency unit (U-2) are coupled to the body. Although not shown, a network is coupled to the high-frequency unit and the low-frequency unit, and the network filters the acoustic signals into the high-frequency band and the low-frequency band, and outputs them to the high-frequency unit and the low-

상기 몸체는 복수 개의 반사판과 복수 개의 격판으로 이루어진다. 이들의 정확한 위치 고정을 위해 보조 플레이트를 더욱 구비할 수 있다. 도 3은 몸체를 이루는 복수 개의 반사판과 복수 개의 격판을 보조 플레이트에 결합하기 이전을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보조 플레이트에 몸체를 결합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이 보조 플레이트(AU)에 몸체를 이루는 반사판과 격판을 우선하여 고정한 후 커버의 내측 공간부에 삽입고정할 수 있다.The body comprises a plurality of reflectors and a plurality of diaphragms. And an auxiliary plate may be further provided for fixing the precise position thereof. FIG. 3 is a view showing a state before coupling a plurality of reflectors and a plurality of diaphragms constituting a body to an auxiliary plate, and FIG. 4 shows a body coupled to an auxiliary plate. As described above, the reflector and the diaphragm constituting the body of the auxiliary plate AU may be first fixed and then inserted and fixed in the inner space of the cover.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몸체의 사시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몸체의 정면도이다.FIG. 5 (A) is a perspective view of a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B) is a front view of a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몸체는 복수 개의 반사판과 복수 개의 격판이 조합되어 유닛으로부터 나오는 소리의 통로를 형성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a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reflectors and a plurality of diaphragms combined to form a sound passage from the unit.

몸체에는 유닛이 결합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고역 유닛과 중저역 유닛이 몸체에 장착된다. 고역 유닛의 경우 발생되는 진동 에너지가 중저역 유닛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다. 상기 중저역 유닛은 스피커에서 나오는 대부분의 진동 에너지를 출력하게 된다. 중저역 유닛을 수평으로 설치하면 진동 에너지는 상하로 나오게 된다. 종래 기술에 따른 대부분의 중저역 유닛이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어, 전후로 움직이는 진동 에너지가 발생하게 된다. 이로 말미암아, 스피커가 움직이게 되어 기계적 진동이 발생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중저역 유닛을 수평으로 설치하여 기계적 진동을 방지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high-frequency unit and a low-frequency unit are mounted on a body. In the case of the high-frequency unit, the vibration energy generated is relatively small as compared with the low-frequency unit. The low-middle-unit outputs the most vibration energy coming from the speaker. When the mid-range unit is installed horizontally, the vibration energy comes out up and down. Most of the conventional middle and low-end units are vertically installed, and vibration energy moving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is generated. As a result, the speaker is moved and mechanical vibration is generated.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mechanical vibration by horizontally installing the low-middle-frequency unit.

또한 상기 중저역 유닛의 타측에는 고역 유닛이 수직으로 결합된다. 고역 유닛은 전측으로 소리를 나오게 한다. And the high-frequency unit is coupled vertically to the other side of the low-frequency unit. The high-frequency unit causes the sound to come out to the front.

도면을 참조하면, 복수 개로 조합된 격판의 상부에 중저역 유닛과 고역 유닛이 설치되어 있다. 중저역 유닛은 조합된 격판들의 일측 상단에 설치되며, 고역 유닛은 조합된 격판들의 타측 상부에 설치된다. 격판은 커버 및 전면판과 더불어 소리의 통로를 형성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a lower-end unit and a higher-stage unit are installed on an upper portion of a plurality of combined diaphragms. The low and mid-range units are installed at one upper end of the combined diaphragms, and the high-frequency units are installed at the other side of the combined diaphragms. The diaphragm forms a passage of sound with the cover and the front plate.

격판(210)은 일측에서 타측에 이르기까지 제1 격판(211), 분리 격판(212), 제2-1 격판(213), 제2-2 격판(214), 제2-3 격판(215)이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제1 격판(211), 제2-1 격판(213), 제2-3 격판(215)의 하단부는 반사판과 소정의 이격거리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분리 격판(212), 제2-2 격판(214)은 하단이 바닥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분리 격판의 상단은 중저역 유닛의 하부와 소정의 이격거리를 두고 있고, 상기 제2-2 격판의 상단은 반사판과 소정의 이격거리 두고 있다.The diaphragm 210 includes a first diaphragm 211, a second diaphragm 212, a second diaphragm 213, a second diaphragm 214, a second diaphragm 215, And the lower ends of the first diaphragm 211, the second diaphragm 213, and the second diaphragm 215 form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reflector. And the lower end of the separating partition plate 212 and the second-second partition plate 214 are coupled to the bottom. The upper end of the separation diaphragm has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middle-low-level unit, and the upper end of the second-second diaphragm is spaced apart from the reflection plat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반사판(220)은 소리의 진행 경로를 변화시킨다. 반사판은 몸체의 하부에서 일측에서부터 타측에 이르기까지 제1 출사측 반사판(221-2), 제1 입사측 반사판(221-1), 제2-1 입사측 반사판(222-1), 제2-1 출사측 반사판(222-2), 제2-3 입사측 반사판(222-5), 제2-3 출사측 반사판(222-6)이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The reflector 220 changes the course of the sound. The reflection plate includes a first emission-side reflection plate 221-2, a first incident-side reflection plate 221-1, a second-first incident-side reflection plate 222-1, a second- The first to third outgoing reflectors 222-2, the second to third incoming reflectors 222-5, and the second to third outgoing reflectors 222-6 are sequentially formed.

도면을 참조하면, 제1 격판의 아래에 제1 출사측 반사판과 제1 입사측 반사판이 형성되어 있고, 제2-1 격판의 아래에 제2-1 입사측 반사판과 제2-1 출사측 반사판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2-3 격판의 아래에 제2-3 입사측 반사판과 제2-3 출사측 반사판이 형성되어 있다.Referring to the drawings, a first exit-side reflector and a first incident-side reflector are formed under the first diaphragm, and a second-1 incident-side reflector and a second-1st exit- And a second-2-3 incident-side reflector and a second-2-3 outgoing-side reflector are formed under the second-third diaphragm.

또한 고역 유닛의 아래에 제2-2 입사측 반사판(222-3)과 제2-2 출사측 반사판(222-4)가 형성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제2-2 격판(214)의 상측 단부의 위에는 제2-2 입사측 반사판과 제2-2 출사측 반사판이 형성되어 있다.A second-second incident-side reflecting plate 222-3 and a second-second emitting-side reflecting plate 222-4 are formed below the high-frequency unit. In other words, the 2-2 incident-side reflector and the 2-2 outgoing-side reflector are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2-2 diaphragm 214.

또한 몸체의 상부(고역 유닛과 중저역 유닛의 상측)에는 전면 반사판(223)이 형성된다. 상기 전면 반사판은 중저역 유닛 상측과 하측으로부터 나오는 소리를 개구부(OP)를 통해 스피커의 전측으로 반사시킨다.
Also, a front reflector 223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upper side of the high-frequency unit and the middle-low-frequency unit). The front reflector reflects the sound coming from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of the middle-sized unit to the front side of the speaker through the opening part OP.

도 6은 도 5(B)의 X로 표시된 원형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입사측 반사판과 출사측 반사판을 나타낸 것이다.Fig. 6 is an enlarged view of a circular portion indicated by X in Fig. 5 (B), and Fig. 7 shows an incident-side reflector and an exit-side refl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반사판(220)은 중저역 유닛으로부터 나오는 소리의 진행 경로를 변경시키는 입사측 및 출사측 반사판과, 최종적으로 소리를 스피커 외부로 나오게 하는 전면 반사판으로 이루어진다. Referring to FIG. 7, the reflector 220 includes an incident side and an emission side reflector for changing the traveling path of the sound emitted from the low-end unit, and a front reflector for finally emitting sound to the outside of the speaker.

도 7(A)는 입사측 반사판을 나타낸 것인데, 직각으로 형성된 모서리에 안착되도록 반사되는 면이 곡면을 이루고 있는 쇄기 형상이다. 그리고 도 7(B)는 출사측 반사판을 도시한 것이다. 출사측 반사판은 반사되는 면이 곡면을 이루고 있는 쇄기 형상이다. 7 (A) shows an incidence-side reflector, which is a wedge-like shape in which a surface to be reflected is a curved surface so as to be seated on a corner formed at a right angle. And Fig. 7 (B) shows the outgoing reflector. The outgoing reflector is a wedge shape in which the reflecting surface is curved.

이와 같이 형성된 입사측 및 출사측 반사판은 소리의 경로가 변화되어야 하는 부분에 설치한다. The incident-side and emission-side reflectors thus formed are installed at a portion where the sound path is to be changed.

도 6은 소리의 진행 방향이 변화되는 영역에 입사측 반사판과 출사측 반사판을 설치한 것을 보여준다. FIG. 6 shows an incident-side reflector and an outgoing-side reflector provided in a region where sound propagation direction is changed.

상기 입사측 반사판과 출사측 반사판은 연이어 결합되며, 연이어 결합된 입사측 반사판과 출사측 반사판은 외측 부분이 높고 중앙 부분이 낮은 오목 형상을 갖는다. 도면을 참조하면, 입사측 반사판은 바닥면의 길이(WI)가 높이(HI) 보다 길게 형성되며, 출사측 반사판은 바닥면의 길이(WO) 보다 높이(HO)가 높게 형성된다. The incident-side reflector and the outgoing-side reflector are connected in series, and the incident-side reflector and the outgoing-side reflector, which are coupled in succession, have a concave shape with a high outside portion and a low center portion.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incident-side reflector is formed such that the length WI of the bottom surface is longer than the height HI, and the outgoing-side reflector has a height HO higher than the length WO of the bottom surface.

연이어 결합된 입사측 및 출사측 반사판과 마주하는 곳에는 격판의 단부가 위치한다. 원활한 소리의 반사를 위해 격판의 단부는 입사측 반사판의 높이와 같도록 형성된다. 상기 격판을 기준으로 격판의 일측은 입사되는 소리의 경로가 되며, 격판의 타측은 출사되는 소리의 경로가 된다.An end of the diaphragm is located at a position facing the incident side and the outgoing side reflector coupled to each other successively. The edge of the diaphragm is formed to be equal to the height of the incident-side reflection plate for smooth sound reflection. One side of the diaphragm on the basis of the diaphragm is a path of sound to be incident, and the other side of the diaphragm is a path of sound to be emitted.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반사판과 격판에 의해 소리의 경로가 변화되어 진행하는 것을 설명한다. 도 8은 반사판과 격판에 의한 소리의 경로를 나타낸 것이다.Hereinafter, it will be explained with reference to FIG. 8 that the sound path is changed by the reflection plate and the diaphragm. 8 shows a sound path by the reflector and the diaphragm.

도면을 참조하면, 입사측 반사판으로 들어오는 D1은 입사측 반사판의 최외측에서 반사된 다음 출사측 반사판의 중앙에서 다시 반사되어 S1으로 나아간다. 따라서 격판의 단부 높이는 적어도 입사측 반사판의 외측 높이와 적어도 동일한 위치에 형성하여야 한다.Referring to the drawing, D1 coming into the incident-side reflector is reflected from the outermost side of the incident-side reflector, then reflected again from the center of the outgoing-side reflector, and goes to S1. Therefore, the height of the edge of the diaphragm should be at least the same as the height of the outside of the incident-side reflector.

또한 입사측 반사판으로 들어오는 D2와 D3는 입사측 반사판의 낮은 부분에서 반사된 다음 출사측 반사판의 높은 부분에서 다시 반사되어 S2와 S3로 나아간다. 이와 같은 곡률 형상을 갖는 입사측 반사판의 초점(P)은 중앙에 형성된 격판 단부의 출사측 모서리 부분에 형성된다.D2 and D3 coming into the incident side reflector are reflected from the lower part of the incident side reflector and then reflected again from the higher part of the outgoing side reflector to S2 and S3. The focal point P of the incident-side reflection plate having such a curvature shape is formed at the exit-side corner portion of the diaphragm end formed at the center.

도 9는 중저역 유닛의 하측으로부터 나오는 소리의 경로를 나타낸 것이다.Fig. 9 shows a path of sound coming from the lower side of the middle-low-level unit.

도면을 참조하면, 중저역 유닛의 하측으로부터 나오는 소리는 분리 격판(212)에 의해 양측으로 분리되어 각각 서로 다른 경로를 갖고 나아가게 된다. 이러한 경로는 제1 경로와 제2 경로로 칭할 수 있는데, 제1 경로는 제2 경로 보다 짧게 형성된다.Referring to the drawing, sound emitted from the lower side of the low-middle-frequency unit is divided into two sides by the separation diaphragm 212 and travels with different paths. This path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path and a second path, wherein the first path is formed shorter than the second path.

상기 제1 경로(C)는 제1 격판과 분리 격판 사이에서 하강하고, 제1 입사측 반사판과 제1 출사측 반사판에서 진행방향을 되돌리도록 반사된 후에, 제1 격판(211)과 커버의 일측에 형성된 측판 사이에서 상승한다. The first path (C) descends between the first diaphragm and the separating diaphragm, and after being reflected to return the traveling direction from the first incident-side reflecting plate and the first emitting-side reflecting plate, the first path (C) As shown in Fig.

그리고 제2 경로(D)는 분리 격판과 제2-1 격판 사이에서 하강하고, 제2-1 입사측 반사판과 제2-1 출사측 반사판에서 반사된 다음 제2-1 격판과 제2-2 격판 사이에서 상승한다. 이어서, 제2-2 입사측 반사판과 제2-2 출사측 반사판에서 반사된 후 제2-2 격판과 제2-3 격판 사이에서 하강한 다음 제2-3 입사측 반사판과 제2-3 출사측 반사판에서 반사된 후 제2-3 격판과 커버의 타측에 형성된 측판 사이에서 상승한다.The second path (D) descends between the separation diaphragm and the second-1 diaphragm, and is reflected by the second-first incident-side reflector and the second-first emission- And rises between the diaphragms. Then, after being reflected by the second and third incident-side reflectors and the second and second outgoing reflectors, the light is lowered between the second and second diaphragms and the second and third diaphragms, and then the second and third incident- Side reflecting plate and then raised between the second and third diaphragms and the side plate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cover.

상기 제1 경로와 제2 경로의 길이를 비교하여 보면, 중저역 유닛으로부터 입사측 반사판 사이의 길이 또는 출사측 반사판에서 이어지는 입사측 반사판 사이의 길이를 단위 길이(SL)이라 할 때, 제1 경로는 2×SL이 되고, 제2 경로는 4×SL이 된다. 따라서 제2 경로는 제1 경로의 대략 2배가 된다. When the length between the first path and the second path is referred to as a unit length (SL), the length between the incident-side reflector and the incident-side reflector in the outgoing- 2 × SL, and the second path becomes 4 × SL. Thus, the second path is approximately twice the first path.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에서 나오는 소리의 경로를 종합적으로 나타낸 것이다.FIG. 10 is a view showing a general path of sound emitted from a sp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우선, 고역 유닛은 개구부(OP)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고역 유닛으로부터 나오는 소리는 스피커의 전측에 있는 사람에게 직접적으로 나아간다.First, the high-frequency unit is installed perpendicular to the opening (OP), and the sound from the high-frequency unit directly goes to the person in front of the speaker.

상기 중저역 유닛은 수평으로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수직 설치라 함은 유닛에서 소리가 나오는 면이 세워져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수평 설치라 함은 유닛에서 소리가 나오는 면이 상측을 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중저역 유닛의 상측으로부터 나오는 소리는 전면 반사판에서 반사되어 개구부를 통해 스피커의 전측으로 나아간다.The low-middle-level unit is installed horizontally. Here, the term "vertical installation" means that the sound output side of the unit is raised, and "horizontal installation" means that the sound output side of the unit is directed upward. The sound coming from the upper side of the medium-range unit is reflected by the front reflector and goes to the front side of the speaker through the opening.

그리고 중저역 유닛의 하측으로부터 나오는 소리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경로와 제2 경로를 나누어져 나아간다. 제1 경로와 제2 경로를 지나온 소리는 전면 반사판에 의해 반사되어 개구부를 통해 전측으로 나아간다.Then, the sound coming from the lower side of the middle-low-range unit goes through the first path and the second path as described above. Sound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paths is reflected by the front reflector and travels forward through the openings.

따라서 고역 유닛으로부터 나오는 소리는 직접적으로 스피커의 전측으로 나오게 되며, 중저역 유닛으로부터 나오는 소리는 3가지 경로를 형성하게 된다. 즉, 중저역 유닛의 상측으로 나오는 소리와, 중저역 유닛의 하측으로 나와서 제1 및 제2 경로를 통과해서 나오는 소리들이다. 이들 3가지 경로를 갖는 소리는 각각 서로 다른 길이를 형성한다. 스피커와 마주하는 사람은 고역 유닛으로부터 나오는 소리와 더불어 중저역 유닛으로부터 나오는 3가지 경로의 소리가 시간적 간격을 두고 혼합되어 들리게 되므로 음장감을 느낄 수 있다.
Thus, the sound from the high-end unit is directed directly to the front of the speaker, and the sound from the low-end unit forms three paths. That is, sounds coming out to the upper side of the middle-range unit and sounds coming out the lower side of the middle-level unit and passing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paths. Sounds with these three paths form different lengths. The person facing the speaker can feel the sound of the sound because the sound from the high-frequency unit and the sound of the three paths from the low-end unit are mixed and heard at a time interval.

도 11 내지 도 13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를 나타낸 것이다.11 to 13 show a speak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도 11(A)을 참조하면, 스피커의 배면 아래에 개구부(OP-S)가 형성되어 있다. 도 11(B)는 도 11(A)의 내부 모습인데, 앞서 설명한 제1 실시예와 같이 제1 경로는 동일하지만 제2 경로는 보다 짧게 형성되어 있다. 제2 실시예에 따른 제2 경로는 분리 격판과 제2-1 격판 사이에서 하강한 후, 제2-1 격판과 제2-2 격판 사이에서 상승한 다음, 제2-2 격판과 커버의 타측에 형성된 측판 사이에서 하강한 다음 최종적으로 커버의 배면 아래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소리가 나가게 된다. 도 12는 제2 경로를 통해 지나가는 소리가 커버의 배면에 설치된 개구부를 통해 나가는 것을 입체적으로 나타낸 것이다.Referring to Fig. 11 (A), an opening OP-S is formed below the back surface of the speaker. 11 (B) is an inner view of FIG. 11 (A). Like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first path is the same, but the second path is formed shorter. The second path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descends between the separation diaphragm and the second-1 diaphragm, then rises between the second-1 diaphragm and the 2-2 diaphragm, and then, on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The sound is emitted through the opening formed below the back surface of the cover after descending between the formed side plates. FIG. 12 is a three-dimensional view showing that the sound passing through the second path passes through an opening provid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cover.

통상 스피커는 벽과 밀접하게 설치되는게 보통이므로, 스피커의 배면 아래로부터 나오는 소리는 벽에 의해 반사되어 스피커의 전측으로 나아가게 된다.Normally, the speaker is usually installed closely to the wall, so that the sound coming from under the back of the speaker is reflected by the wall and goes to the front of the speaker.

도 13(A)을 참조하면, 전면판(300)의 하부 타측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도 13(B)는 커버(100) 측판의 하부 타측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다. 도 13에서 보여주는 실시예들은 도 11과 도 12에 나타낸 실시예와 비교하여 마지막 반사판의 설치 방향과 개구부의 위치가 상이하다.13 (A), an opening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lower side of the front plate 300, and Fig. 13 (B) shows an opening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lower side of the side plate of the cover 100. Fig.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3 differs from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1 and FIG. 12 in the installation direction of the last reflector and the position of the opening.

도 11 내지 도 13에서 보여주는 실시예들에 따르면, 중저역 유닛의 상측으로 나오는 소리와 중저역 유닛의 하측으로 나와 제1 경로를 지나는 소리는 전면 반사판에서 반사되어 상부에 형성된 개구부(OP)를 통해 스피커의 전측으로 나오게 되고, 중저역 유닛의 하측으로 나와 제2 경로를 지나는 소리는 별도로 마련된 개구부(OP-S)를 통해 나오게 된다.
11 to 13, the sound coming out of the upper side of the low-frequency unit and the sound passing through the first path outwardly of the low-frequency unit are reflected by the front reflector, And the sound coming out from the lower side of the low-middle-frequency unit and passing through the second path is outputted through the opening OP-S provided separately.

도 14 내지 도 16은 제3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를 나타낸 것이다.14 to 16 show a speake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상부 중앙에 수직절개홈을 갖는 격판(501)과 하부 중앙에 수직절개홈을 갖는 격판(502)이 수직으로 서로 끼워져 4개의 영역으로 나누어진다. 도 15(C)는 도 15(A)의 화살표 방향에서 바라본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5(C)를 참조하면, 상기 4개의 영역은 R-A 영역, R-B 영역, R-C 영역, R-D 영역이다. R-A 영역과 R-B 영역은 전측에 위치하고, R-C 영역과 R-D 영역은 후측에 위치한다. 도 15(A)와 도 15(B)를 살펴보면, 두 개의 격판(501, 502)이 서로 수직절개홈에 결합하면, 일부는 결합되고 일부는 결합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결합된 두 개의 격판을 세우게 되면 상측에 결합된 격판의 하측 단부와 지면 사이에는 소정의 간격을 형성하게 된다.14 and 15, a diaphragm 501 having vertical incision grooves at the upper center and a diaphragm 502 having vertical incision grooves at the lower center are vertically interdigitated and divided into four regions. Fig. 15 (C) is a plan view as view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in Fig. 15 (A). Referring to FIG. 15 (C), the four regions are R-A region, R-B region, R-C region, and R-D region. The R-A region and the R-B region are located on the front side, and the R-C region and the R-D region are located on the rear side. 15 (A) and 15 (B), when two diaphragms 501 and 502 are coupled to each other in the vertical cutout grooves, some are joined and some are not. Accordingly, when the two coupled diaphragms are installed, a predetermined gap is formed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diaphragm coupled to the upper side and the ground.

설명의 편의상 지면에 하측 단부가 닺는 격판(501)은 수직으로 반분하여(절반으로 나누어서) 전측 부분격판(501a)과 후측 부분격판(501b)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고, 상측에 끼워지는 격판(502)은 수직으로 반분하여 일측 부분격판(502a)과 타측 부분격판(502b)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하여 설명한다.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it is assumed that the diaphragm 501 having a lower end portion on the ground is divided into two parts vertically (divided in half) to form a front partial partition 501a and a rear partial partition 501b. Will be described as being composed of one side partial partition 502a and the other partial partial partition 502b vertically halved.

따라서 전측 부분격판(501a)과 일측 부분격판(502a)의 사이는 R-A 영역이 되고, 일측 부분격판(502a)과 후측 부분격판(501b)의 사이는 R-B 영역이 되며, 후측 부분격판(501b)과 타측 부분격판(502b)의 사이는 R-C 영역이 되고, 타측 부분격판(502b)과 전측 부분격판(501a)의 사이는 R-D 영역이 된다.Therefore, the area between the front partial partition plate 501a and the one partial partial partition plate 502a becomes the RA area, the area between the one partial partition plate 502a and the rear partial partition plate 501b becomes the RB area, The area between the other partial partition 502b is an RC area, and the area between the other partial partition 502b and the front partial partition 501a is an RD area.

도 16(a) 내지 도 16(c)를 참조하면, 상기 R-A 영역의 상부에는 중저역 유닛이 형성되고, R-A 영역의 하부에는 입사측 반사판(601)이 형성된다. 상기 R-B 영역의 하부에는 출사측 반사판(602)이 형성되고 R-B 영역의 상부에는 입사측 반사판(603)이 형성된다.Referring to FIGS. 16A to 16C, an intermediate unit is formed on the R-A region, and an incident-side reflection plate 601 is form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R-A region. An outgoing-side reflector 602 is formed under the R-B region and an incident-side reflector 603 is formed in an upper portion of the R-B region.

또한, 상기 R-C 영역의 상부에는 출사측 반사판(604)이 형성되고, R-C 영역의 하부에는 입사측 반사판(605)이 형성된다. 상기 R-D 영역의 하부에는 출사측 반사판(606)이 형성되며, R-D 영역의 상부에는 고역 유닛이 설치되어 있다.An outgoing reflector 604 is formed on the R-C region, and an incident-side reflector 605 is formed on the bottom of the R-C region. An output-side reflector 606 is formed under the R-D region, and a high-frequency unit is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R-D region.

그리고 상기 고역 유닛과 중저역 유닛의 상부에는 전면 반사판(607)이 형성되어 있다.A front reflector 607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high-frequency unit and the low-frequency unit.

도면을 살펴보면, 중저역 유닛의 상측으로 나오는 소리는 전면 반사판에 의해 반사되어 개구부(OP)를 거쳐 전측으로 나오게 되고, 중저역 유닛의 하측으로 나오는 소리는 R-A 영역에서 하강하고, R-B 영역에서 상승하며, R-C 영역에서 하강하고, R-D 영역에서 상승한 후, 최종적으로 전면 반사판에 반사되어 개구부(OP)를 거쳐 전측으로 나오게 된다.
Referring to the drawing, the sound coming out to the upper side of the low-middle-frequency unit is reflected by the front reflector and then exits to the front side through the opening part OP, the sound coming out to the lower side of the low- Area, rises in the RD area, is finally reflected on the front reflector, and then exits through the opening part OP to the front side.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커버
200 : 몸체
210 : 격판
211 : 제1 격판
212 : 분리격판
213 : 제2-1 격판
214 : 제2-2 격판
215 : 제2-3 격판
220 : 반사판
221-1 : 제1 입사측 반사판
221-2 : 제1 출사측 반사판
222-1 : 제2-1 입사측 반사판
222-2 : 제2-1 출사측 반사판
222-3 : 제2-2 입사측 반사판
222-4 : 제2-2 출사측 반사판
222-5 : 제2-3 입사측 반사판
222-6 : 제2-3 출사측 반사판
223 : 전면 반사판
300 : 전면판
U-1 : 고역 유닛
U-2 : 중저역 유닛
100: cover
200: Body
210: diaphragm
211: first diaphragm
212: separation diaphragm
213: 2-1 diaphragm
214: 2-2 diaphragm
215: 2nd and 3rd diaphragms
220: reflector
221-1: first incidence reflector
221-2: first outgoing reflector
222-1: 2-1 incidence side reflector
222-2: Reflector 2-1
222-3: Part 2-2 Incident reflection plate
222-4: 2-2 Outgoing reflector
222-5: 2-3 incident side reflector
222-6: Reflecting plate for the 2-3 outgoing side
223: Front reflector
300: front plate
U-1: High-frequency unit
U-2: BW unit

Claims (10)

내부에 공간부를 갖고 전측이 개방된 박스 형상의 커버(100)와, 상기 커버의 공간부에 개재되는 몸체(200)와, 상기 커버의 개방된 부분을 폐쇄하는 전면판(300)으로 이루어지는 스피커에 있어서,
상기 몸체(200)는 격판과 반사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격판은 일측에서 타측에 이르기까지 제1 격판(211), 분리 격판(212), 제2-1 격판(213), 제2-2 격판(214), 제2-3 격판(215)이 순차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분리 격판의 상부에는 중저역 유닛이 수평으로 설치되고,
상기 반사판은 몸체의 하부에 설치되되, 몸체의 일측에서부터 타측에 이르기까지 제1 출사측 반사판(221-2), 제1 입사측 반사판(221-1), 제2-1 입사측 반사판(222-1), 제2-1 출사측 반사판(222-2), 제2-3 입사측 반사판(222-5), 제2-3 출사측 반사판(222-6)이 순차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2 격판의 상부에는 제2-2 입사측 반사판(222-3)과 제2-2 출사측 반사판(222-4)이 형성되며,
상기 제1 격판(211)의 아래에는 제1 출사측 반사판(221-2)과 제1 입사측 반사판(221-1)이 형성되고, 상기 제2-1 격판(213)의 아래에는 제2-1 입사측 반사판(222-1)과 제2-1 출사측 반사판(222-2)이 형성되며, 상기 제2-3 격판(215)의 아래에는 제2-3 입사측 반사판(222-5)과 제2-3 출사측 반사판(222-6)이 형성되고,
상기 제2-2 격판(214)의 상측에는 제2-2 입사측 반사판(222-3)과 제2-2 출사측 반사판(222-4)이 형성되며,
상기 몸체의 상부에는 전면 반사판(223)이 형성되고,
상기 중저역 유닛의 상측으로 나오는 소리와, 상기 중저역 유닛의 하측으로 나오는 소리는 상기 전면 반사판에 반사되어 스피커의 상부에 형성된 개구부(OP)를 통해 전측으로 나오게 되며,
상기 중저역 유닛의 하측으로 나오는 소리는 제1 경로와 제2 경로를 갖는 소리이며, 상기 제1 경로는 제1 입사측 반사판, 제2 출사측 반사판에 의해 순차적으로 반사되는 소리의 경로이며, 상기 제2 경로는 제2-1 입사측 반사판, 제2-1 출사측 반사판, 제2-2 입사측 반사판, 제2-2 출사측 반사판, 제2-3 입사측 반사판, 제2-3 출사측 반사판에 의해 순차적으로 반사되는 소리의 경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And a front plate (300) for closing the open portion of the cover. The speaker (100)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ver (100) As a result,
The body 200 includes a diaphragm and a reflector,
The first diaphragm 211, the second diaphragm 212, the second diaphragm 213, the second diaphragm 214, and the second diaphragm 215 are sequentially arranged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of the diaphragm Respectively,
A lower-middle-level unit is horizontally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eparation diaphragm,
The first reflector plate 221-2, the first incident-side reflector 221-1, the second-1 incident-side reflector 222-2, the second incident-side reflector 222-1, 1, the second-1 outgoing-side reflecting plate 222-2, the second-third incoming-side reflecting plate 222-5, and the second-third outgoing-side reflecting plate 222-6 are sequentially formed, -2 The incident-side reflecting plate 222-3 and the 2-2nd emitting-side reflecting plate 222-4 are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diaphragm,
A first exit side reflector 221-2 and a first incident side reflector 221-1 are formed under the first diaphragm 211. A second incident side reflector 221-1 is formed below the second 1-1 diaphragm 213, 1 incident-side reflecting plate 222-1 and a second-1 emitting-side reflecting plate 222-2 are formed, and below the second-third reflecting plate 215, a second- And the second-third outgoing-side reflecting plate 222-6 are formed,
The second-2 incident-side reflecting plate 222-3 and the second-2 emitting-side reflecting plate 222-4 are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2-2 diaphragm 214,
A front reflector 223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The sound emitted to the upper side of the low-frequency unit and the sound emitted to the lower side of the low-frequency unit are reflected on the front reflector and are emitted to the front side through an opening (OP)
Wherein the sound emitted to the lower side of the low-middle-frequency unit is a sound having a first path and a second path, the first path is a path of sound sequentially reflected by the first incident-side reflector and the second outgoing- The second path includes a second-side incident-side reflector, a second-second outgoing-side reflector, a second-second incoming-side reflector, a second-second outgoing- Is a sound path that is sequentially reflected by the speak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닛의 하측으로부터 나오는 소리는 유닛의 하측에 형성된 분리 격판에 의해 제1 경로와 제2 경로로 나누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sound emitted from the lower side of the unit is divided into a first path and a second path by a separation diaphragm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unit.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격판의 단부와 소정의 이격거리를 두고 마주하는 곳에는 입사측 반사판과 출사측 반사판이 오목 형상이 되도록 연이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The method of claim 2,
And the incident-side reflector and the outgoing-side reflector are coupled to each other so as to have a concave shape at a place facing the end portion of the diaphragm with a predetermined distance therebetween.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입사측 반사판의 초점은 상기 격판의 단부 출사측 모서리 부분에 초점(P)이 형성되도록 곡률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The method of claim 3,
And the focal point of the incident-side reflector is formed so that a focal point (P) is formed at an edge-emitting side edge portion of the diaphragm.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격판(211), 제2-1 격판(213), 및 제2-3 격판(215)의 하단은 반사판과 소정의 이격거리를 형성하고,
상기 분리 격판(212)과 제2-2 격판(214)은 하단부는 바닥에 결합되며,
상기 분리 격판(212)의 상단에는 중저역 유닛이 구비되고,
상기 분리 격판(212)의 상단은 중저역 유닛의 하부와 소정의 이격거리를 형성하며,
상기 제2-2 격판의 상단은 제2-2 입사측 반사판(222-3)과 제2-2 출사측 반사판(222-4)과 소정의 이격거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ower ends of the first diaphragm 211, the second diaphragm 213, and the second diaphragm 215 form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reflector,
The separating partition plate 212 and the second separator plate 214 are coupled to the bottom at the lower end,
At the upper end of the separation diaphragm 212, a low-
The upper end of the separating partition plate 212 forms a predetermined separation distance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low-
And the upper end of the second-second diaphragm forms a predetermined separation distance from the second-second incident-side reflecting plate (222-3) and the second-second emitting-side reflecting plate (222-4).
삭제delete 내부에 공간부를 갖고 전측이 개방된 박스 형상의 커버(100)와, 상기 커버의 공간부에 개재되는 몸체(200)와, 상기 커버의 개방된 부분을 폐쇄하는 전면판으로 이루어지는 스피커에 있어서,
상기 몸체(200)는 격판과 반사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격판은 일측에서 타측에 이르기까지 제1 격판(211), 분리 격판(212), 제2-1 격판(213), 제2-2 격판(214)이 순차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분리 격판의 상부에는 중저역 유닛이 수평으로 설치되고,
상기 제2-2 격판(214)의 상측에는 제2-2 입사측 반사판(222-3)과 제2-2 출사측 반사판(222-4)이 형성되며,
상기 제1 격판(211)의 아래에는 제1 출사측 반사판(221-2)과 제1 입사측 반사판(221-1)이 형성되고, 상기 제2-1 격판(213)의 아래에는 제2-1 입사측 반사판(222-1)과 제2-1 출사측 반사판(222-2)이 형성되며,
상기 몸체의 하부에 설치되는 반사판은, 일측에서부터 타측에 이르기까지 제1 출사측 반사판(221-2), 제1 입사측 반사판(221-1), 제2-1 입사측 반사판(222-1), 제2-1 출사측 반사판(222-2), 제2-3 입사측 반사판(222-5)이 순차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상부에는 전면 반사판(223)이 형성되고,
상기 중저역 유닛의 상측으로 나오는 소리와, 상기 중저역 유닛의 하측으로 나와서 제1 입사측 반사판, 제1 출사측 반사판에 의해 순차적으로 반사되는 소리는 상기 전면 반사판에 의해 반사되어 스피커의 상부에 형성된 개구부(OP)를 통해 전측으로 나오게 되며,
상기 제2-1 입사측 반사판, 제2-1 출사측 반사판, 제2-2 입사측 반사판, 제2-2 출사측 반사판, 제2-3 입사측 반사판에 의해 순차적으로 반사되는 소리는 스피커의 하부에 형성된 개구부(OP-S)를 통해 나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1. A speaker comprising a box-shaped cover (100) having a space inside and having an open front, a body (200) interposed in the space of the cover, and a front plate for closing an open portion of the cover,
The body 200 includes a diaphragm and a reflector,
The first diaphragm 211, the second diaphragm 212, the second diaphragm 213, and the second diaphragm 214 are sequentially formed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of the diaphragm,
A lower-middle-level unit is horizontally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eparation diaphragm,
The second-2 incident-side reflecting plate 222-3 and the second-2 emitting-side reflecting plate 222-4 are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2-2 diaphragm 214,
A first exit side reflector 221-2 and a first incident side reflector 221-1 are formed under the first diaphragm 211. A second incident side reflector 221-1 is formed below the second 1-1 diaphragm 213, 1 incident-side reflecting plate 222-1 and the 2-1th emitting-side reflecting plate 222-2 are formed,
The first reflector 221-2, the first incident-side reflector 221-1, the second incidence-side reflector 222-1, and the second reflector 221-1 are disposed on the bottom of the body, The second-first exit-side reflector 222-2, and the second-third incident-side reflector 222-5 are sequentially formed,
A front reflector 223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The sound emitted to the upper side of the low-middle-frequency unit and the sound that is sequentially reflected by the first incident-side reflector and the first outgoing-side reflector are reflected by the front reflector, OP) to the front,
The sound sequentially reflected by the 2-1 incident side reflection plate, the 2-1 emission side reflection plate, the 2-2 incident side reflection plate, the 2-2 emission side reflection plate, And an opening (OP-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하부에 형성된 개구부(OP-S)는 하부 전면, 스피커의 하부 측면, 스피커의 하부 배면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개구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The method of claim 7,
And the opening OP-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is an opening formed in any one of the lower front surface, the lower surface of the speaker, and the lower rear surface of the speaker.
소리를 발생시키는 유닛이 내부에 설치되는 스피커에 있어서,
상부에 수직절개홈을 갖는 격판과 하부에 수직절개홈을 갖는 격판을 끼움 결합하여 4개의 영역으로 나뉘어 지도록 형성되되,
상기 상부에 수직절개홈을 갖는 격판은 전측 부분격판과 후측 부분격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에 수직절개홈을 갖는 격판은 일측 부분격판과 타측 부분격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4개의 영역은 R-A 영역, R-B 영역, R-C 영역, R-D 영역이고,
상기 전측 부분격판과 일측 부분격판의 사이는 R-A 영역이 되고, 일측 부분격판과 후측 부분격판의 사이는 R-B 영역이 되며, 후측 부분격판과 타측 부분격판의 사이는 R-C 영역이 되고, 타측 부분격판과 전측 부분격판의 사이는 R-D 영역으로 형성되며,
상기 R-A 영역의 상부에는 중저역 유닛이 형성되고, R-A 영역의 하부에는 입사측 반사판이 형성되며, 상기 R-B 영역의 하부에는 출사측 반사판이 형성되고, R-B 영역의 상부에는 입사측 반사판이 형성되며,
상기 R-C 영역의 상부에는 출사측 반사판이 형성되고, R-C 영역의 하부에는 입사측 반사판이 형성되며, 상기 R-D 영역의 하부에는 출사측 반사판이 형성되고, R-D 영역의 상부에는 고역 유닛이 설치되고,
상기 고역 유닛과 중저역 유닛의 상부에는 전면 반사판이 형성되며, 상기 중저역 유닛은 수평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1. A speaker in which a sound generating unit is installed,
A partition plate having a vertical cutout groove in an upper portion thereof and a partition plate having a vertical cutout groove in a lower portion thereof are fitted to each other to be divided into four regions,
Wherein the diaphragm having vertical cutout grooves is formed of a front partial diaphragm and a rear partial diaphragm, and the diaphragm having vertical cutout grooves at the lower portion is composed of one side partial diaphragm and the other side diaphragm,
The four areas are RA area, RB area, RC area and RD area,
And an area between the front partial partition and the one partial partition is an RA area, and an area between the one partial partition and the rear partial partition is an RB area, an RC area between the rear partial partition and the other partial partition is an RC area, The area between the front partial diaphragms is formed as an RD area,
An incident-side reflector is form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RA region, an outgoing-side reflector is form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RB region, an incident-side reflector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RB region,
An incident-side reflection plate is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RC region, an incident-side reflection plate is formed on a lower portion of the RC region, an emission-side reflection plate is formed below the RD region,
Wherein a front reflector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high-frequency unit and the low-frequency unit, and the low-frequency unit is horizontally installed.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중저역 유닛의 상측으로 나오는 소리는 전면 반사판에 의해 반사되어 개구부(OP)를 거쳐 전측으로 나오게 되고,
상기 중저역 유닛의 하측으로 나오는 소리는 R-A 영역에서 하강하고, R-B 영역에서 상승하며, R-C 영역에서 하강하고, R-D 영역에서 상승한 후, 최종적으로 전면 반사판에 반사되어 개구부(OP)를 거쳐 전측으로 나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The method of claim 9,
The sound emitted to the upper side of the low-middle-frequency unit is reflected by the front reflector and is emitted to the front side through the opening OP,
The sound emitted to the lower side of the above-mentioned low-level unit descends in the RA region, rises in the RB region, descends in the RC region, rises in the RD region, finally reflected on the front reflector, Features a speaker.
KR1020150122166A 2015-08-28 2015-08-28 Loudspeaker KR10160160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2166A KR101601608B1 (en) 2015-08-28 2015-08-28 Loudspeak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2166A KR101601608B1 (en) 2015-08-28 2015-08-28 Loudspeak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1608B1 true KR101601608B1 (en) 2016-03-09

Family

ID=55537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2166A KR101601608B1 (en) 2015-08-28 2015-08-28 Loudspeak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1608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12434A (en) 1983-05-10 1985-04-23 Yoo Sin Y Aerodynamic bass-reflex enclosure
KR200175260Y1 (en) 1999-10-12 2000-03-15 엘지전자주식회사 Speaker system
JP3358836B2 (en) * 1992-12-25 2002-12-24 株式会社東芝 Reflective speaker system
KR20070005856A (en) 2005-07-06 2007-0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Speaker
JP2010068116A (en) * 2008-09-09 2010-03-25 Kazuhiro Shibuya Internal structure of speaker cabinet, speaker cabinet and speaker system
KR101538770B1 (en) * 2015-05-27 2015-07-22 공관식 Speaker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12434A (en) 1983-05-10 1985-04-23 Yoo Sin Y Aerodynamic bass-reflex enclosure
JP3358836B2 (en) * 1992-12-25 2002-12-24 株式会社東芝 Reflective speaker system
KR200175260Y1 (en) 1999-10-12 2000-03-15 엘지전자주식회사 Speaker system
KR20070005856A (en) 2005-07-06 2007-0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Speaker
JP2010068116A (en) * 2008-09-09 2010-03-25 Kazuhiro Shibuya Internal structure of speaker cabinet, speaker cabinet and speaker system
KR101538770B1 (en) * 2015-05-27 2015-07-22 공관식 Speak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62084B9 (en) A compact wideband bass and midrange horn-loaded speaker system
RU2573037C2 (en) Loudspeaker device having circular funnel-like sound outlet opening
US5675131A (en) Speaker system and the same for television sets
GB2258365A (en) Speaker system with opposed drive units
KR20050084875A (en) Array speaker equipped with projection screen
US20030174851A1 (en) System and method to improve the low frequency performance of electro acoustic transducers
US20150110326A1 (en) Anti-diffraction and phase correction structure for planar magnetic transducers
US20050087392A1 (en) Loudspeaker enclosure
EP1874081A2 (en) Loudspeaker enclosure and loudspeaker system
US11647323B2 (en) Loudspeaker
JP2007304446A (en) Partition facility and partition
US6574344B1 (en) Directional horn speaker system
US10194238B2 (en) Baffle for line array loudspeaker
KR101601608B1 (en) Loudspeaker
JP4838846B2 (en) Audio output device and acoustic device accommodation device
KR20070070887A (en) Speaker
WO2012108667A2 (en) Speaker system
US10863263B2 (en) Acoustic lens and speaker system
KR101538770B1 (en) Speaker
KR101538771B1 (en) Speaker
JP2010093803A (en) Speaker system
CN110089128B (en) Multi-driver speaker with cross-coupled dual wavecolumns and method of outputting the same
JP2006060330A (en) Stereo reproducing apparatus
JPS61219293A (en) Sound field reproducing typed speaker system
JP2023122019A (en) Acoustic device with ventilation function and elevator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