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1291B1 - Knee bolster for vehicle - Google Patents

Knee bolster for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1291B1
KR101601291B1 KR1020100061373A KR20100061373A KR101601291B1 KR 101601291 B1 KR101601291 B1 KR 101601291B1 KR 1020100061373 A KR1020100061373 A KR 1020100061373A KR 20100061373 A KR20100061373 A KR 20100061373A KR 101601291 B1 KR101601291 B1 KR 1016012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cylinder
knee
bolster
fl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137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000874A (en
Inventor
김시열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613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1291B1/en
Publication of KR201200008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087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12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129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04Padded linings for the vehicle interior ; Energy absorbing structures associated with padded or non-padded linings
    • B60R21/045Padded linings for the vehicle interior ; Energy absorbing structures associated with padded or non-padded linings associated with the instrument panel or dash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ir Bag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차량 충돌시 탑승자의 두 무릎(10,20) 중 어느 하나에 하중이 편중될 경우 유체(140)의 완충 작용에 의해 편중된 하중이 다른 무릎쪽으로 분산되어 좌우 무릎하중의 불균형이 해소될 수 있게 되고, 두 무릎에 의해 균형된 하중이 일정 한도 이상으로 니볼스터 플레이트(200)에 가해질 경우 유체(140)의 압력이 해제되어 충돌시의 에너지 흡수 효율이 향상될 수 있는 차량용 니볼스터가 소개된다. 이러한 차량용 니볼스터는 차량의 로어패널의 내측에 위치되고 차체의 카울 크로스 바(1)에 설치되어 차량 충돌시 차량 탑승자의 무릎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는 니볼스터에 있어서, 한 쌍의 피스톤(110,120)이 실린더(130) 내부의 유체(140)에 의해 서로 연동되어 상반된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형성된 완충 실린더 장치(100)와, 상기 한 쌍의 피스톤(110,120)에 레볼루트 조인트(R)로 연결되어 상기 한 쌍의 피스톤(110,120)의 상반된 방향으로의 움직임에 따라 탑승자의 무릎 위치에서 좌우로 회동될 수 있는 니볼스터 플레이트(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n a load is applied to any one of the two knees 10 and 20 of a passenger in the event of a vehicle collision, the load biased by the cushioning action of the fluid 140 is dispersed toward the other knee so that the imbalance of the right and left knee loads can be solved A nie bolster for a vehicle is disclosed in which the pressure of the fluid 140 is released when the load balanced by the two knees is applied to the nub bolter plate 200 beyond a predetermined limit to improve energy absorption efficiency at the time of impact. The navy bolster for automobiles is disposed inside the lower panel of the vehicle and installed in the cow cross bar 1 of the vehicle body to mitigate the impact applied to the knees of the vehicle occupant in the event of a vehicle collision. A cushioning cylinder device 100 which is coupled to the pair of pistons 110 and 120 by means of a fluid 140 in the cylinder 130 so as to move in opposite directions, And a nib bolster plate (200) which can be pivoted right and left at the knee position of the occupant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pair of pistons (110, 120) in the opposite directions.

Description

차량용 니볼스터{KNEE BOLSTER FOR VEHICLE}{KNEE BOLSTER FOR VEHICLE}

본 발명은 좌우 무릎하중의 불균형을 해소할 수 있고, 충돌시 에너지 흡수 효율을 향상할 수 있는 차량용 니볼스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ib bolster for a vehicle which can eliminate an imbalance in lateral knee load and can improve energy absorption efficiency at the time of collision.

차량의 충돌 사고시, 운전석에 탑승한 운전자와 조수석에 탑승한 탑승자가 전방으로 이동하여 전방에 배치된 로어패널에 접속하게 된다. 이때 로어패널이 쉽게 변형되면 무릎이 많이 이동하게 되어 머리와 가슴이 뒤로 젖혀지는 현상이 발생하여 에어백이 승객을 제대로 보호하지 못하게 된다. 이를 예방하기 위하여 차량의 충돌 사고시 무릎이 로어패널의 안쪽으로 깊숙이 이동하지 못하게 하는 한편 충돌시의 충격을 흡수하는 니볼스터(knee bolster)가 운전석과 조수석 앞쪽에 위치한 로어패널의 내측에 설치된다.In the event of a vehicle collision, the driver of the driver's seat and the passenger of the passenger seat move forward to connect to the lower panel disposed at the front. At this time, when the lower panel is easily deformed, the knee is moved a lot and the head and the chest are bent backward, so that the airbag can not protect the passenger properly. In order to prevent this, a knee bolster which prevents the knee from moving deep inside the lower panel during a collision of the vehicle while absorbing the impact at the time of collision is installed inside the driver's seat and the lower panel located in front of the passenger seat.

이러한 니볼스터는 차량 충돌시 탑승자의 무릎 운동을 구속하여 충돌에너지가 승객의 상체 및 하체에 균형있게 배분되도록 자세를 제어하는 구속 장치라고 말할 수 있으며, 탑승자의 무릎 상해가 일정 한도를 넘지 않도록 유지하면서, 무릎이 로어패널의 안쪽으로 과다하게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여 에어백의 구속 성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는데, 차량 충돌시의 무릎 하중과 가슴 하중 및 가슴 변위의 한계치는 법규로 규정된다. 따라서 차량의 생산시 각 지역의 법규를 만족하도록 생산하는 것이 중요하며, 나아가 각 지역의 상품성 시험에 대비하여 상품성이 극대화될 수 있도록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 또한 중요한 과제이다.Such a navel bolster can be said to be a restricting device that restrains the passenger's knee motion in the event of a vehicle collision and controls the posture so that the collision energy is distributed to the upper and lower body of the passenger in a balanced manner. , Which prevents the knee from penetrating excessively into the lower panel, thereby improving the restraining performance of the airbag. The limit values of the knee load, the chest load and the chest displacement at the time of vehicle collision are regulated by the regulation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produce the vehicle in compliance with local regulations in the production of the vehicle. Furthermore, it is also important to improve the performance so as to maximize the merchantability in preparation for the merchantability test in each region.

한편, 도 1은 종래의 니볼스터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니볼스터의 구조는 카울 크로스 바(1) 상의 일측에 니볼스터 브라켓(2)이 결착되고, 니볼스터 브라켓(2)에 니볼스터 플레이트(3)가 설치되는 구조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navy bolster structure. As shown in FIG. 1, the structure of a conventional navy bolster is such that a navel bolster bracket 2 is attached to one side of a cow cross bar 1, And a nib bolster plate 3 is installed on the nib bolt bracket 2.

그런데, 차량의 충돌시 탑승자의 두 무릎은 동일한 하중으로 니볼스터에 부딪히기보다는 어느 한 쪽의 무릎이 먼저 니볼스터에 부딪히게 되는데, 종래와 같은 니볼스터 구조하에서는 차량의 충돌시 무릎하중이 어느 한 쪽으로만 편중되어 어느 한 쪽의 무릎 상해치(법규 만족 시험 또는 상품성 시험시 하중 피크값으로 표현됨)가 높아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event of a vehicle collision, the two knees of the occupant are hit by the knee bolster first rather than against the knee bolster under the same load. Under the conventional nie bolster structure, The knee injury value of either one of the knee injuries (represented by the load peak value in the legal satisfaction test or the commerciality test) is increased.

또한, 차량의 충돌시 니볼스터가 충격 에너지를 흡수함에 있어서, 니볼스터 브라켓(2)의 변형에 의존하였기에 충격 흡수 효율이 높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re has been a problem in that when the vehicle collides with the navel bolster, the shock absorbing efficiency is not high because it is dependent on the deformation of the navel bolt bracket 2 in absorbing impact energy.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들을 보완하여 점점 강화되고 있는 각 지역의 법규 만족은 물론 상품성 시험에도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니볼스터의 개발이 요구되었다. Therefore, it is required to develop the NB bolster which is able to cope with these problems and satisfy the increasingly strengthened local regulations as well as the merchantability tes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필요성을 충족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차량 충돌시 탑승자의 두 무릎 중 어느 하나에 하중이 편중될 경우 유체의 완충 작용을 이용하여 편중된 하중이 다른 무릎쪽으로 분산되도록 함으로써 좌우 무릎하중의 불균형을 해소하고, 두 무릎에 의해 균형된 하중이 일정 한도 이상으로 니볼스터 플레이트에 가해질 경우 유체의 압력을 해제하여 충돌시 에너지 흡수 효율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니볼스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to meet the necessity. When a load is applied to any one of two knees of a passenger in the event of a vehicle collision, the biased load is applied to the other knee So that the energy absorbing efficiency at the time of collision can be improved by releasing the pressure of the fluid when the load balanced by the two knees is applied to the navel bolster plate by a predetermined amount or more. And to provide the above-mentioned objects.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니볼스터는, 차량의 로어패널의 내측에 위치되고 차체의 카울 크로스 바에 설치되어 차량 충돌시 차량 탑승자의 무릎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는 니볼스터에 있어서, 한 쌍의 피스톤이 실린더 내부의 유체에 의해 서로 연동되어 상반된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형성된 완충 실린더 장치와, 상기 한 쌍의 피스톤에 레볼루트 조인트(revolute joint)로 연결되어 상기 한 쌍의 피스톤의 상반된 방향으로의 움직임에 따라 탑승자의 무릎 위치에서 좌우로 회동될 수 있는 니볼스터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nib bolster for a vehicle, which is located inside a lower panel of a vehicle and installed on a cow cross bar of a vehicle body to alleviate an impact applied to a knee of a vehicle occupant A cushioning cylinder device having a pair of pistons interlocked with each other by a fluid in the cylinder and moving in a direction opposite to each other, and a cushion cylinder device connected to the pair of pistons by a revolute joint, And a knee bolster plate which can be turned to the left and right at the knee position of the passenger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knee bolster.

상기 실린더는 U형으로 형성되어 양 단부가 차량의 실내를 향해 나란한 방향으로 배열되고, 상기 한 쌍의 피스톤은 상기 실린더의 양 단부에 설치되어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cylinders are formed in a U-shape so that both ends are arrang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interior of the vehicle, and the pair of pistons are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cylinder and arranged parallel to each other.

상기 실린더에는 바이패스 관이 연결되고, 이 바이패스 관은 서지 탱크에 연결되며, 상기 바이패스 관과 실린더와의 연결부에는 일정 압력 이상일 때 개방되어 실린더 내부의 유체가 바이패스 관을 통해 상기 서지 탱크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압력 스위치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 bypass pipe is connected to the cylinder, and the bypass pipe is connected to a surge tank. When the bypass pipe is connected to the cylinder at a predetermined pressure or more, the fluid in the cylinder flows through the bypass pipe, It is preferable that a pressure switch is provided.

상술한 바와 같은 차량용 니볼스터에 따르면, 차량 충돌시 탑승자의 두 무릎 중 어느 하나에 하중이 편중될 경우 유체의 완충 작용에 의해 편중된 하중이 다른 무릎쪽으로 분산되어 좌우 무릎하중의 불균형이 해소될 수 있게 되고, 두 무릎에 의해 균형된 하중이 일정 한도 이상으로 니볼스터 플레이트에 가해질 경우 유체의 압력이 해제되어 충돌시의 에너지 흡수 효율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navy bolster for a vehicle, when a load is applied to one of two knees of a passenger in a vehicle collision, the load biased by the cushioning action of the fluid is dispersed toward the other knee so that the imbalance of the right and left knee loads can be eliminated And when the load balanced by the two knees is applied to the navel bolster plate beyond a certain limit, the pressure of the fluid is released and the energy absorption efficiency at the time of impact can be improved.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니볼스터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니볼스터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니볼스터에 편중된 하중이 가해진 경우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니볼스터에 균형된 하중이 가해진 경우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니볼스터를 적용한 경우의 탑승자의 우측 무릎에 대한 F-T 선도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니볼스터를 적용한 경우의 탑승자의 좌측 무릎에 대한 F-T 선도를 나타낸 도면.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navy bolster structure for a vehicle. FIG.
2 is a view illustrating a nib bolst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in the case where a biased load is applied to a nib bolst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when a balanced load is applied to a nib bolst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n FT diagram of a right knee of a passenger when a nie bolst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6 is a view showing an FT diagram of a left knee of a passenger when a nie bolst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objectives, specific advantages and nove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FIG.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related arts will be omitt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nnecessarily obscured by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를 참조하되 앞서 설명된 도 1을 부분적으로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니볼스터는 차량의 로어패널의 내측에 위치되고 차체의 카울 크로스 바(1)에 설치되어 차량 충돌시 차량 탑승자의 무릎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고자 하는 장치이다.1, the nib bolst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inside the lower panel of the vehicle and installed in the cow cross bar 1 of the vehicle body, It is a device to alleviate the impact on the knees of a vehicle occupant.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니볼스터는 상기 카울 크로스 바(1)에 설치되는 완충 실린더 장치(100)와, 이 완충 실린더 장치(100)에 연결되는 니볼스터 플레이트(200)를 포함한다.The nibbolst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ushion cylinder device 100 mounted on the cow cross bar 1 and a nib bolster plate 200 connected to the cushion cylinder device 100.

상기 완충 실린더 장치(100)는 내부에 유체(140)가 채워진 실린더(130)와, 이 실린더(130)에 설치되는 한 쌍의 피스톤(110,120)를 포함하다. 여기서, 상기 유체(140)로는 유압을 형성할 수 있는 오일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공기 또는 가스를 유체(140)로 사용할 수도 있다.The cushioning cylinder device 100 includes a cylinder 130 filled with a fluid 140 and a pair of pistons 110 and 120 installed in the cylinder 130. Here, as the fluid 140, oil capable of forming a hydraulic pressure may be used, but air or gas may be used as the fluid 140.

상기 실린더(130)는 U형으로 형성되어 실린더(130)의 양 단부가 차량의 실내를 향해 나란한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이루어지고, 이러한 실린더(130)의 양 단부에는 상기 한 쌍의 피스톤(110,120)이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다.The cylinder 130 is formed in a U-shape so that both ends of the cylinder 130 are arrang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interior of the vehicle. At both ends of the cylinder 130, the pair of pistons 110 and 120 Are arrang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상기 실린더(130)의 양 단부가 차량의 실내를 향해 나란한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면 실린더(130)의 형상은 반드시 U형일 필요는 없으며, 다른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shape of the cylinder 130 does not have to be a U-shape, but can be a different shape as long as both ends of the cylinder 130 can be arrang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interior of the vehicle.

한편, 상기 한 쌍의 피스톤(110,120)은 실린더 내부의 유체에 의해 서로 연동되어 상반된 방향으로 움직인다. 즉, 제 1 피스톤(110)이 화살표(B) 방향으로 움직일 때 상기 제 1 피스톤(110)에 의해 유체(140)에 가해진 압력에 의해 제 2 피스톤(120)은 화살표(A) 방향으로 움직이게 되고, 이때 니볼스터 플레이트(200)는 화살표(D) 방향으로 회동된다. 반대로, 제 2 피스톤(120)이 화살표(B) 방향으로 움직일 경우 상기 제 1 피스톤은 화살표(A) 방향으로 움직이게 되고, 이때 니볼스터 플레이트(200)는 화살표(C) 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이와 같은 상기 한 쌍의 피스톤(110,120) 및 니볼스터 플레이트(200)에 대한 움직임의 설명은 단순히 작동 관계를 설명한 것이며, 실제로는 상기 니볼스터 플레이트(200)의 회동이 먼저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상기 한 쌍의 피스톤(110,120)의 상반된 방향으로의 이동이 이루어지게 된다.Meanwhile, the pair of pistons 110 and 120 ar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by the fluid inside the cylinder, and move in the opposite directions. That is, when the first piston 110 moves in the direction of arrow B, the second piston 120 moves in the direction of arrow A by the pressure applied to the fluid 140 by the first piston 110 At this time, the nibbler plate 200 is rotat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D. On the contrary, when the second piston 120 moves in the direction of arrow B, the first piston moves in the direction of arrow A, and the nib bolster plate 200 moves in the direction of arrow C at this time. The description of the movement of the pair of pistons 110 and 120 and the nib bolt plate 200 is merely a description of the operation of the pair of pistons 110 and 120. Actually, the rotation of the nib bolt plate 200 is performed first, The pair of pistons 110 and 120 move in opposite directions.

상기 니볼스터 플레이트(200)는 상기 한 쌍의 피스톤(110,120)에 레볼루트 조인트(revolute joint)(R)로 연결되어 상기 한 쌍의 피스톤의 상반된 방향으로의 움직임에 따라 탑승자의 무릎 위치에서 좌우로 회동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차량 충돌시 탑승자의 무릎(10,20) 중 왼쪽 무릎(10)이 먼저 니볼스터 플레이트(200)에 부딪히게 되더라도 유체(140)가 화살표 (E) 방향으로 이동하여 탑승자의 왼쪽 무릎(10)에 가해진 하중이 오른쪽 무릎(20)으로 분산됨으로써, 탑승자의 무릎 상해가 경감될 수 있게 된다.The navel bolster plate 200 is connected to the pair of pistons 110 and 120 by a revolute joint R so that the navel bolster plate 200 is pivotally moved from the knee position of the occupant to the left and right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pair of pistons in the opposite directions. So that it can be turned. 3, even if the left knee 10 of the passenger's knees 10 and 20 collides against the navel bolster plate 200 at the time of a vehicle collision, the fluid 140 moves in the direction of arrow E The load applied to the left knee 10 of the occupant is dispersed to the right knee 20, so that the knee injury of the occupant can be alleviated.

한편, 상기 실린더(130)의 중앙부에는 서지 탱크(400)에 연결된 바이패스 관(300)이 더 연결될 수 있고, 상기 바이패스 관(300)과 실린더(130)와의 연결부에는 일정 압력 이상일 때 개방되어 실린더(130) 내부의 유체(140)가 상기 바이패스 관(300)을 통해 상기 서지 탱크(400)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압력 스위치(500)가 설치될 수 있다.A bypass pipe 300 connected to the surge tank 400 may be further connected to a central portion of the cylinder 130 and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bypass pipe 300 and the cylinder 130 may be opened A pressure switch 500 may be installed to allow the fluid 140 in the cylinder 130 to be moved to the surge tank 400 through the bypass pipe 300.

상기 바이패스 관(300)과 서지 탱크(400)와 압력 스위치(500)의 추가적인 설치는 상기 한 쌍의 피스톤(110,120)에 균형된 하중이 가해질 경우에도 탑승자의 무릎에 가해지는 충격이 완화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차량 충돌시 탑승자의 무릎(10,20)이 동시에 니볼스터 플레이트(200)에 부딪혀 실린더(130) 내부의 유체(140)가 제 1 피스톤(110) 쪽에서는 화살표(F) 방향으로 이동하고 제 2 피스톤(120) 쪽에서는 화살표(E)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압력 스위치(500)가 설치된 실린더(130)의 중앙부는 단면이 작게 형성되었기에 실린더(130)의 중앙부에서의 유체(140)의 압력은 더욱 상승하게 되며, 이때 유체(140)에 미리 설정한 일정 압력 이상의 압력이 가해질 경우 실린더(130) 내부의 유체(140)는 상기 압력 스위치(500)를 통해 실린더(130) 외부로 유출되고, 유출된 유체(140)는 바이패스 관(300)을 따라 서지 탱크(400)로 이동되며, 결국 상기 한 쌍의 피스톤(110,120) 및 이에 연결된 니볼스터 플레이트(200)는 화살표(B) 방향으로 이동되어 탑승자의 양 무릎(10,20)에 가해진 충격이 완화될 수 있게 된다.The additional installation of the bypass pipe 300, the surge tank 400, and the pressure switch 500 may reduce the impact applied to the knee of the occupant even when a balanced load is applied to the pair of pistons 110 and 120 . 4, the knees 10 and 20 of the passenger collide with the nub bolter plate 200 at the time of a vehicle collision, so that the fluid 140 inside the cylinder 130 moves from the first piston 110 side to the arrow F) direction and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E from the second piston 120 side and the central portion of the cylinder 130 in which the pressure switch 500 is installed is formed to be small in cross section, The fluid 140 in the cylinder 130 flows into the cylinder 140 through the pressure switch 500 when the pressure of the fluid 140 in the cylinder 140 is further increased. And the outflowed fluid 140 is moved to the surge tank 400 along the bypass pipe 300 so that the pair of pistons 110 and 120 and the nie bolster plate 200 connected thereto Is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B to be applied to both knees 10 and 20 of the occupant The impact can be mitigated.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니볼스터를 차량에 적용한 효과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F-T선도로부터 확인할 수 있다.The effect of applying the nib bolst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vehicle can be confirmed from the F-T diagram shown in Figs. 5 and 6. Fig.

도 5를 참조하면, 동일한 실험 조건에서 종래의 오른쪽 무릎에 대한 F-T선도(S1)에서는 150kgf의 피크 값(무릎상해치)(P1)이 나타난 반면, 본 발명을 적용한 오른쪽 무릎에 대한 F-T선도(S3)에서는 피크 값이 50kgf 이하임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동일한 실험 조건에서 종래의 왼쪽 무릎에 대한 F-T선도(S2)에서는 90kgf의 피크 값(무릎상해치)(P2)이 나타난 반면, 본 발명을 적용한 왼쪽 무릎에 대한 F-T선도(S4)에서는 피크 값이 20kgf 이하임을 알 수 있다.5, a peak value (knee injure value) P1 of 150 kgf is shown on the FT diagram S1 for the right knee in the conventional experimental conditions, while an FT diagram S3 for the right kne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It can be seen that the peak value is 50 kgf or less. 6, a peak value (knee injured value) P2 of 90 kgf is shown on the FT line S2 for the conventional left knee under the same experimental conditions. On the other hand, the FT line for the left kne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S4), the peak value is 20 kgf or less.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니볼스터에 따르면, 차량 충돌시 탑승자의 두 무릎 중 어느 하나에 하중이 편중될 경우 유체의 완충 작용에 의해 편중된 하중이 다른 무릎쪽으로 분산되어 좌우 무릎하중의 불균형이 해소될 수 있게 되고, 두 무릎에 의해 균형된 하중이 일정 한도 이상으로 니볼스터 플레이트에 가해질 경우 유체의 압력이 해제되어 충돌시의 에너지 흡수 효율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nib bolst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load is applied to one of two knees of a passenger in a vehicle collision, the load biased by the buffer action of the fluid is dispersed toward the other knee, The load imbalance can be solved, and when the balanced load by the two knees is applied to the navel bolster plate over a certain level, the pressure of the fluid is released and the energy absorption efficiency at the time of impact can be improved.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자전거 캐리어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It will be apparent that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 : 카울 크로스 바 100 : 완충 실린더 장치
110 : 제 1 피스톤 120 : 제 2 피스톤
130 : 실린더 140 : 유체
200 : 니볼스터 플레이트 300 : 바이패스 관
400 : 서지 탱크 500 : 압력 스위치
1: cow cross bar 100: buffer cylinder device
110: first piston 120: second piston
130: cylinder 140: fluid
200: Nibbler plate 300: Bypass tube
400: Surge tank 500: Pressure switch

Claims (3)

차량의 로어패널의 내측에 위치되고 차체의 카울 크로스 바(1)에 설치되어 차량 충돌시 차량 탑승자의 무릎(10,20)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는 니볼스터에 있어서,
한 쌍의 피스톤(110,120)이 실린더(130) 내부의 유체(140)에 의해 서로 연동되어 상반된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형성된 완충 실린더 장치(100);
상기 한 쌍의 피스톤(110,120)에 레볼루트 조인트(R)로 연결되어 상기 한 쌍의 피스톤(110,120)의 상반된 방향으로의 움직임에 따라 탑승자의 무릎 위치에서 좌우로 회동될 수 있는 니볼스터 플레이트(200)를 포함하고;
상기 실린더(130)는 U형으로 형성되어 양 단부가 차량의 실내를 향해 나란한 방향으로 배열되고, 상기 한 쌍의 피스톤(110,120)은 상기 실린더(130)의 양 단부에 설치되어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니볼스터.
1. A nailing bolster which is located inside a lower panel of a vehicle and installed on a cow cross bar (1) of a vehicle body to alleviate an impact applied to a knee (10, 20) of a vehicle occupant in a vehicle collision,
A cushioning cylinder device 100 formed so that a pair of pistons 110 and 120 ar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by a fluid 140 inside a cylinder 130 and move in opposite directions;
A knee bolster plate 200 which is connected to the pair of pistons 110 and 120 by a revolute joint R and which can be pivoted in a knee position of a passenger in a lateral direction according to a movement of the pair of pistons 110 and 120 in opposite directions, );
The cylinders 130 are formed in a U shape and are arrang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vehicle interior, and the pair of pistons 110 and 120 are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cylinder 130 and are arrang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And the nib bolt for a vehicl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130)에는 바이패스 관(300)이 연결되고, 이 바이패스 관(300)은 서지 탱크(400)에 연결되며, 상기 바이패스 관(300)과 실린더(130)와의 연결부에는 일정 압력 이상일 때 개방되어 실린더(130) 내부의 유체(140)가 바이패스 관(300)을 통해 상기 서지 탱크(400)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압력 스위치(50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니볼스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bypass pipe 300 is connected to the cylinder 130. The bypass pipe 300 is connected to a surge tank 400.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bypass pipe 300 and the cylinder 130 is connected to a predetermined pressure And a pressure switch (500) for opening the cylinder (130) to allow the fluid (140) in the cylinder (130) to be moved to the surge tank (400) through the bypass pipe (300) .
KR1020100061373A 2010-06-28 2010-06-28 Knee bolster for vehicle KR10160129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1373A KR101601291B1 (en) 2010-06-28 2010-06-28 Knee bolster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1373A KR101601291B1 (en) 2010-06-28 2010-06-28 Knee bolster for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0874A KR20120000874A (en) 2012-01-04
KR101601291B1 true KR101601291B1 (en) 2016-03-08

Family

ID=45608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1373A KR101601291B1 (en) 2010-06-28 2010-06-28 Knee bolster for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1291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4563Y1 (en) * 2011-06-29 2013-01-11 임세희 a bad smell interception device for a water pip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32214A (en) * 1998-02-17 1999-08-27 Hitachi Ltd Processor for information processor and its controlling method
KR20050083348A (en) * 2004-02-23 2005-08-2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Apparatus to protect knee of a driver
KR20050101978A (en) * 2004-04-20 2005-10-2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otective device for passenger's kne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0874A (en) 2012-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33407B2 (en) Knee bolster for vehicles
CN100372701C (en) Vehicle door
KR101270058B1 (en) Spring device on a pivotable flap of a motor vehicle
RU150672U1 (en) INTEGRATED VEHICLE PASSENGER AIRBAG
US9327675B2 (en) Vehicle-body front structure of vehicle
CN103291158A (en) Hinge mechanism
US20090072585A1 (en) Pedestrian Safety Structure for a Motor Vehicle Body
CN101151169B (en) Device for protecting passengers in a motor vehicle in the event of an energy input caused by a collision and oriented towards a motor vehicle door
JP2008120256A (en) Shock absorbing structure for vehicle
JP2005306161A (en) Bumper device
JP2010503570A (en) Automotive equipment for occupant protection when impact energy is applied to the door of a car due to a collision
KR101601291B1 (en) Knee bolster for vehicle
JP5099526B2 (en) Battery mounting structure
CN106240642A (en) A kind of vehicle frame and the vehicle with this vehicle frame
CN106985776B (en) Guiding rigidity compensation device of anti-collision structure
JP5470743B2 (en) Vehicle seat structure
CN101289094B (en) Steering wheel automatic buckling device
CN206537117U (en) A kind of side door beams with multi-layer compound structure
CN213473039U (en) Front collision protection device and vehicle with same
CN206384039U (en) A kind of front open type hood of vehicle
CN111516632A (en) Cab anti-impact device, cab and engineering vehicle
CN108128274A (en) A kind of automobile fender buffer
CN205573855U (en) Automobile anti -collision device
JP4477978B2 (en) Reinforcing member mounting structure for securing a living space in the event of a collision
CN214930117U (en) Vehicle body front portion structure and have its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