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0857B1 - 이동국, 기지국, 기본 주파수 블록 지정방법 및 대역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이동국, 기지국, 기본 주파수 블록 지정방법 및 대역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0857B1
KR101600857B1 KR1020107019768A KR20107019768A KR101600857B1 KR 101600857 B1 KR101600857 B1 KR 101600857B1 KR 1020107019768 A KR1020107019768 A KR 1020107019768A KR 20107019768 A KR20107019768 A KR 20107019768A KR 101600857 B1 KR101600857 B1 KR 1016008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ic frequency
mobile station
frequency block
bandwidth
base 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97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7097A (ko
Inventor
요시히사 기시야마
모토히로 탄노
노부히코 미키
히데카즈 타오카
켄이치 히구치
마모루 사와하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ublication of KR201100070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70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08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08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1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terminal or device proper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3/00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3/02Details
    • H04J3/06Synchronis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7Inter-user or inter-terminal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4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allocation of payloa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8Allocation criteria
    • H04L5/006Quality of the received signal, e.g. BER, SNR, water fi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04L5/0092Indication of how the channel is divid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04W8/24Transfer of terminal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기지국은, 이동국으로부터 대역폭에 관한 이동기 능력을 수신하는 수신부; 및 시스템대역에 포함되는 복수의 기본 주파수 블록 중, 이동기 능력에 기초하여 이동국에 사용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기본 주파수 블록을 지정하는 지정부;를 갖는다.

Description

이동국, 기지국, 기본 주파수 블록 지정방법 및 대역 제어방법 {MOBILE STATION, BASE STATION, FUNDAMENTAL FREQUENCY BLOCK SPECIFYING METHOD, AND METHOD FOR CONTROLLING BANDWIDTH}
본 발명은, 이동국, 기지국 및 대역 할당방법에 관한 것이다.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 있어서, E-UTRA(Evolved UMTS Terrestrial Radio Access)의 무선 인터페이스의 표준화가 추진되고 있다. E-UTRA에서 표준화되고 있는 시스템 대역폭은, 최소 1.4MHz∼최대 20MHz이며, 하향의 최대 데이터 레이트는, 300Mbps이며, 상향의 최대 데이터 레이트는, 75Mbps이다.
E-UTRA에서의 최대 시스템 대역폭의 20MHz에 따라서, E-UTRA에 대응하는 이동국의 최대 송수신 대역폭은 20MHz이다.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스템 대역폭이 5MHz인 경우에는, 이동국은 5MHz의 대역폭에서 송수신할 수 있으며, 시스템 대역폭이 20MHz인 경우에는, 이동국은 20MHz의 대역폭에서 송수신할 수 있다.
향후 검토되는 IMT-Advanced(3GPP에서는 LTE-Advanced라고도 불림)와 같은 장래의 무선 액세스에서는, 더욱 데이터 레이트의 향상이 요구된다(예를 들면, 1Gbps의 하향의 최대 데이터 레이트). 이와 같은 데이터 레이트의 향상에 따라서, 더욱 시스템 대역폭의 증대가 요구된다(예를 들면, 100MHz의 최대 시스템 대역폭).
한편, E-UTRA와 같은 기존의 시스템으로부터의 원활(smooth)한 이행을 실현하기 위해서, E-UTRA 단말과 같은 기존의 단말을 완전히 서포트하는 것이 요구된다.
상기와 같은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서, 장래의 무선 액세스에서는, 복수의 최대 송수신 대역폭의 이동기 능력(UE Capability)을 서포트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100MHz의 대역폭(또는 그 일부)에서 송수신할 수 있는 이동국과, 20MHz의 대역폭에서 송수신할 수 있는 이동국을 서포트할 필요가 있다.
IMT-Advanced에서 E-UTRA 단말의 완전한 서포트를 전제로 하는 경우, 최소의 최대 송수신 대역폭은 20MHz가 되는 것이 상정된다. 따라서, IMT-Advanced에서는, 최대 20MHz까지 밖에 송수신할 수 없는 단말(E-UTRA 단말)과, 그 이상의 송신 또는 수신 대역폭에서 송수신할 수 있는 단말(IMT-A 단말 또는 IMT-Advanced 단말)을 동시에 서포트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E-UTRA 단말과 같은 기존의 단말과, IMT-A 단말과 같은 신규의 단말을 동시에 서포트하면서, 이들의 단말에 효율적으로 대역을 할당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의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기지국은,
이동국(mobile station)으로부터 대역폭에 관한 이동기 능력(UE capability)을 수신하는 수신부; 및
시스템대역에 포함되는 복수의 기본 주파수 블록 중, 이동기 능력에 기초하여 이동국에 사용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기본 주파수 블록을 지정하는 지정부;를 갖는 것을 특징의 하나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이동국은,
대역폭에 관한 이동기 능력을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송신부; 및
시스템대역에 포함되는 복수의 기본 주파수 블록 중, 이동기 능력에 기초하여 기지국에 의해 지정된 하나 이상의 기본 주파수 블록에 송신 또는 수신대역을 설정하는 제어부;를 갖는 것을 특징의 하나로 한다.
또, 본 발명의 기본 주파수 블록 지정방법은,
기지국에 있어서의 기본 주파수 블록 지정방법에 있어서:
이동국으로부터 대역폭에 관한 이동기 능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시스템대역에 포함되는 복수의 기본 주파수 블록 중, 이동기 능력에 기초하여 이동국에 사용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기본 주파수 블록을 지정하는 단계;를 갖는 것을 특징의 하나로 한다.
또, 본 발명의 대역 제어방법은,
이동국에 있어서의 대역 제어방법에 있어서:
대역폭에 관한 이동기 능력을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단계; 및
시스템 대역에 포함되는 복수의 기본 주파수 블록 중, 이동기 능력에 기초하여 기지국에 의해 지정된 하나 이상의 기본 주파수 블록에 송신 또는 수신대역을 설정하는 단계;를 갖는 것을 특징의 하나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E-UTRA 단말과 같은 기존의 단말과, IMT-A 단말과 같은 신규의 단말을 동시에 서포트하면서, 이들의 단말에 효율적으로 대역을 할당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E-UTRA의 시스템 대역폭 및 송수신 대역폭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무선 액세스 시스템의 시스템 대역폭 및 송수신 대역폭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무선 액세스 시스템에 있어서의 대역폭 구성의 개념도이다.
도 4는 기본 주파수 블록의 제1 결합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5는 기본 주파수 블록의 제2 결합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6은 기본 주파수 블록의 제3 결합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7은 기본 주파수 블록의 제4 결합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대역 할당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동기채널 및 알림채널의 제1 구성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동기채널 및 알림채널의 제2 구성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동기채널 및 알림채널의 제3 구성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동기채널 및 알림채널의 제4 구성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이동국의 구성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기지국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계층화 대역폭(Layered Bandwidth 또는 Layered OFDMA) 구성의 개념>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무선 액세스 시스템에 있어서의 대역폭 구성(계층화 대역폭 구성)의 개념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무선 액세스 시스템으로서, IMT-Advanced에 있어서의 요구조건을 상정한다. 더욱 시스템 대역폭의 증대에 대응하여, 무선 액세스 시스템이 예를 들면 100MHz의 시스템 대역폭을 갖는 경우를 상정한다. 이 경우, 전 시스템대역은, 5개의 20MHz의 주파수 블록으로 분할할 수 있다. 여기에서, E-UTRA 단말의 최대 송수신 대역폭에 상당하는 20MHz의 주파수 블록을, 기본 주파수 블록(기본 주파수 블록의 대역폭은 기본 대역폭이라고도 불림)이라 부른다. 즉, 기본 주파수 블록은, 무선 액세스 시스템이 서포트하는 단말(유저장치(UE:User Equipment), 이동국 또는 이동기라고도 불림)이 갖는 최대 송수신 대역폭 중, 최소의 것을 나타낸다. 도 3에서는, 전 시스템대역이 홀수개의 기본 주파수 블록으로 할당할 수 있기 때문에, 중앙의 기본 주파수 블록의 중심 주파수와 시스템대역의 중심 주파수는 동일해진다.
한편, 무선 액세스 시스템이 예를 들면 80MHz인 시스템 대역폭을 갖는 경우, 전 시스템대역은, 4개의 기본 주파수 블록으로 분할할 수 있다. 그러나,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앙의 기본 주파수 블록의 중심 주파수와 시스템대역의 중심 주파수가 동일해지도록 분할되어도 좋다. 이 경우, 전 시스템대역은, 복수의 기본 주파수 블록과 잉여(remaining) 서브캐리어에 의해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광대역의 시스템대역을, E-UTRA에서 서포트 가능한 복수의 기본 주파수 블록(및 잉여 서브캐리어)으로 구성함으로써, E-UTRA 단말을 완전히 서포트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동시에, E-UTRA의 시스템 대역폭(기본 주파수 블록의 대역폭)보다 큰 송수신 대역폭을 갖는 신규의 단말(IMT-A 단말)에 복수의 기본 주파수 블록(멀티신호 대역폭)을 할당함으로써, IMT-A 단말도 서포트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E-UTRA 단말은, 전 시스템대역의 일부인 기본 주파수 블록을 이용하여 통신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IMT-A 단말은, 이동기 능력(UE Capability)에 따라서, 복수의 기본 주파수 블록을 이용하여 통신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송수신 대역폭을 일정 이상으로 증대해도 주파수 다이버시티 효과를 얻을 수 없고, CQI(Channel Quality Indicator)의 보고를 위한 제어 정보의 오버헤드가 증대하기 때문에, 반드시 이동기 능력과 동일한 송수신 대역폭을 이용할 필요는 없다.
<기본 주파수 블록의 결합 예>
도 4∼도 7을 참조하여, 복수의 기본 주파수 블록을 결합할 때의 결합 예를 설명한다.
도 4는, 각 기본 주파수 블록에 가드밴드를 고려하여 기본 주파수 블록을 결합할 때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E-UTRA에서는, 20MHz의 시스템대역의 양측에 시스템간 간섭을 저감하기 위해서, 1MHz의 가드밴드가 마련된다. 즉, 18MHz가 신호 대역폭이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무선 액세스 시스템에 있어서도, 이와 같은 1MHz의 가드밴드를 마련하고 인접하는 기본 주파수 블록이 결합되어도 좋다.
도 5는, 인접하는 기본 주파수 블록간의 가드밴드를 저감하고, 기본 주파수 블록을 결합할 때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같은 무선 액세스 시스템 내에서는, 직교하는 무선리소스를 할당함으로써, 기본 주파수 블록간의 간섭은 저감 가능하다. 즉, 기본 주파수 블록간의 가드밴드는 저감 가능하다. 도 5에서는, 인접하는 기본 주파수 블록 중 일방의 가드밴드에 상당하는 1MHz를 신호대역으로서 사용한다. 인접하는 기본 주파수 블록간의 가드밴드의 저감에 따라서, 양단에 미사용의 대역이 발생한다. 이 미사용의 대역은, 가드밴드로서 사용되어도 좋으며, 신호대역으로서 사용되어도 좋다. 시스템대역의 양단의 가드밴드를 증대함으로써, 주변 시스템으로의 간섭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신호대역을 증대함으로써, 전송효율을 증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6은, 인접하는 기본 주파수 블록간의 가드밴드를 제거하고, 기본 주파수 블록을 결합할 때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같은 무선 액세스 시스템 내에서는, 직교하는 무선리소스를 할당함으로써, 기본 주파수 블록간의 간섭은 저감 가능하다. 따라서, 기본 주파수 블록간의 가드밴드는 제거 가능하다. 도 6에서는, 도 5에 비교하여, 양단에 미사용의 대역이 더 넓어진다. 이 미사용의 대역은, 가드밴드로서 사용되어도 좋으며, 신호대역으로서 사용되어도 좋다.
도 7은, 무선 액세스 시스템의 대역이 불연속이 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다른 시스템으로의 주파수 할당에 의해, 100MHz와 같은 광대역의 시스템대역을 연속하여 확보할 수 없는 경우가 존재한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인접하는 기본 주파수 블록간(기본 주파수 블록 #1과 #2와의 사이, 기본 주파수 블록 #2와 #3과의 사이)의 가드밴드를 저감 또는 제거할 수 있다. 한편, 기본 주파수 블록 #4는, 인접하는 기본 주파수 블록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가드밴드를 저감 또는 제거할 수는 없다.
또한, 도 7과 같은 불연속 시스템대역의 경우라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계층화 대역폭 구성의 개념은 적용 가능하다.
<대역 할당방법의 수순>
다음으로,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대역 할당방법의 흐름도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이동국은, 전원 투입시, 소프트 핸드오버 모드로 들어가기 전, 혹은 간헐수신 모드에 있어서, 통신해야 하는 셀을 찾기 위해서 초기 셀서치를 수행한다(S101). 초기 셀서치는, 기지국으로부터 동기채널(SCH:Synchronization Channel)에서 소정의 신호계열을 수신함으로써 수행된다. 이 초기 셀서치는, 시스템대역을 구성하는 복수의 기본 주파수 블록 중, 소정의 기본 주파수 블록에서 수행된다. 예를 들면, 초기 셀서치는, 시스템대역 중 중앙의 기본 주파수 블록에서 수행되어도 좋다. 셀을 검출한 후에, 이동국은, 알림채널에서 시스템대역 및 기본 주파수 블록에 관한 사전 정보를 수신한다(S103). 예를 들면, 이동국은, PBCH(Physical Broadcast Channel)(프라이머리 BCH라고도 불림)로부터 기본 주파수 블록의 대역 정보를 취득하고, D-BCH(Dynamic Broadcast Channel)(세컨드리 BCH라고도 불림)로부터 시스템 전체의 대역 정보 및/또는 각 기본 주파수 블록의 주파수위치에 관한 정보를 취득한다.
한편, 이동국이 대기상태(아이들 모드)가 되어 있는 경우에, 기지국으로부터 호출을 받으면, 액티브 모드로 이행한다. 이때에, 이동국은, 페이징 채널(PCH:Paging Channel)에서 호출을 받은 것을 인식한다(S105). PCH가 중앙의 기본 주파수 블록으로부터만 송신되는 경우에는, 페이징은 중앙의 기본 주파수 블록 내에서 수행된다. 페이징은 다른 기본 주파수 블록 내에서 수행되어도 좋다.
이동국은, 랜덤 액세스 채널(RACH:Random Access Channel)에서 RACH 프리앰블을 송신하고, 송수신 대역폭에 관한 이동기 능력을 RACH 메시지로 기지국으로 송신한다(S107). 또한, RACH 프리앰블이란, 랜덤 액세스 채널에서 송신되는 제어 정보를 말하며, RACH 메시지란, 기지국이 RACH 프리앰블을 수신했다는 응답(response)를 이동국에서 수신한 후에, 지정된 무선리소스에서 송신되는 제어 정보를 말한다. 또, 이동국 및 기지국에 있어서, RACH 프리앰블과 이동기 능력을 미리 대응지어두고, 이동국은, RACH 프리앰블을 송신함으로써, 이동기 능력을 기지국으로 송신해도 좋다.
다음으로, 기지국은, 이동기 능력에 따라서 하나 이상의 기본 주파수 블록을 할당하고, 이동국은, 기지국에 의해 할당된 하나 이상의 기본 주파수 블록을 포함하는 RRC(Radio Resource Control) 시그널링 정보를 수신한다(S109). S101∼S103 및 S107∼S109는, 시스템대역을 구성하는 복수의 기본 주파수 블록 중, 소정의 기본 주파수 블록(예를 들면, 중앙의 기본 주파수 블록)에서 수행된다.
이동국은, 상기 알림채널의 사전 정보 및 RRC 시그널링 정보에 기초하여, 할당된 하나 이상의 기본 주파수 블록의 주파수위치로 이행하고(S111), L1/L2 제어신호를 블라인드 검출(blind detection)한다(S113). 이동국은, L1/L2 제어신호로 지정된 정보에 기초하여, 공유 데이터 채널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예를 들면, 이동국은, 할당된 하나 이상의 기본 주파수 블록 중에서, 기지국의 스케줄러에 의해 할당된 리소스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또한, 이동국은, 데이터의 송수신이 종료된 후에, 같은 기본 주파수 블록에서 계속 통신(communication)(캠핑(camping))해도 좋으며, 소정의 기본 주파수 블록(예를 들면, 중앙의 기본 주파수 블록)으로 되돌아와 통신(캠핑)을 해도 좋다.
<동기채널 및 알림채널의 구성 예>
다음으로, 도 9∼도 12를 참조하여, 동기채널 및 알림채널의 구성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동기채널은, 초기 셀서치 및 주변 셀서치에 사용된다. 동기채널은, 소정 조건에 따라서 송신된다. 예를 들면, E-UTRA에서는, 동기채널은, 200kHz의 래스터(raster) 상에 존재해야 한다. 예를 들면, 동기채널은, 중앙의 기본 주파수 블록의 중심 주파수상에 배치된다. 또한, 다른 기본 주파수 블록에서는, 동기 채널은 200kHz의 래스터상에 존재하지 않아도 좋다. 동기채널은, E-UTRA와의 호환성을 만족시키기 위해, E-UTRA와 같은 요건으로 구성된다. 예를 들면, 동기채널은 5ms 간격으로 송신되고, 알림채널은 10ms 간격으로 송신된다.
알림채널은, PBCH와 D-BCH로부터 구성되고, 예를 들면, PBCH에서 기본 주파수 블록의 대역 정보가 송신되고, D-BCH에서 시스템 전체의 대역 정보 및/또는 각 기본 주파수 블록의 주파수위치에 관한 정보가 송신된다.
시스템대역(예를 들면, 100MHz)이 복수의 기본 주파수 블록(예를 들면, 20MHz)으로부터 구성되는 경우의 동기채널 및 알림채널의 제1 구성 예를 도 9에 나타낸다. 제1 구성 예에서는, 동기채널 및 알림채널은, 소정의 기본 주파수 블록(예를 들면, 중앙의 기본 주파수 블록)으로 맵핑된다. 이와 같은 채널 구성의 경우, 이동국은, 도 8의 S111에서 할당된 주파수 블록으로 이행하고, 데이터의 송수신을 수행한 후에, 동기채널 및 알림채널의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서, 원래의 소정 기본 주파수 블록으로 되돌아올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동기채널 및 알림채널을 하나의 기본 주파수 블록으로 맵핑함으로써, 동기채널 및 알림채널의 오버헤드의 증대를 막는 것이 가능해진다.
동기채널 및 알림채널의 제2 구성 예를 도 10에 나타낸다. 제2 구성 예에서는, 동기채널은, 소정의 기본 주파수 블록(예를 들면, 중앙의 기본 주파수 블록)으로 맵핑되고, 알림채널은 모든 기본 주파수 블록으로 맵핑된다. 이와 같은 채널 구성의 경우, 이동국은, 도 8의 S111에서 할당된 주파수 블록으로 이행하고, 데이터의 송수신을 수행한 후에, 동기채널의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서(주변 셀서치를 수행하기 위해서), 원래의 소정 기본 주파수 블록으로 되돌아올 필요가 있다. 한편, 알림채널의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서, 원래의 소정 기본 주파수 블록으로 되돌아올 필요가 없어진다.
동기채널 및 알림채널의 제3 구성 예를 도 11에 나타낸다. 제3 구성 예에서는, 동기채널은, 모든 기본 주파수 블록으로 맵핑되고, 알림채널은 소정의 기본 주파수 블록(예를 들면, 중앙의 기본 주파수 블록)으로 맵핑된다. 이와 같은 채널 구성의 경우, 이동국은, 도 8의 S111에서 할당된 주파수 블록으로 이행하고, 데이터의 송수신을 수행한 후에, 알림채널의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서, 원래의 소정 기본 주파수 블록으로 되돌아올 필요가 있다. 한편, 동기채널의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서, 원래의 소정 기본 주파수 블록으로 되돌아올 필요가 없어진다.
동기채널 및 알림채널의 제4 구성 예를 도 12에 나타낸다. 제4 구성 예에서는, 동기채널 및 알림채널은, 모든 기본 주파수 블록으로 맵핑된다. 이와 같은 채널 구성의 경우, 이동국은, 도 8의 S111에서 할당된 주파수 블록으로 이행하고, 데이터의 송수신을 수행한 후에, 동기채널 및 알림채널의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서, 원래의 소정 기본 주파수 블록으로 되돌아올 필요가 없어진다.
또한, 도 9∼도 12에서는, 소정의 기본 주파수 블록으로서 중앙의 기본 주파수 블록에 동기채널 또는 알림채널이 존재하는 경우는 나타내고 있으나, 하나 이상의 임의의 기본 주파수 블록에 동기채널 또는 알림채널이 존재해도 좋다.
<이동국의 구성>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이동국(10)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동국(10)의 수신측은, RF 수신회로(101)와, 대역 제어부(103)와, CP 제거부(105)와, FFT부(107)와, 역 다중부(109)와, 복호부(111)를 갖는다.
수신 안테나에서 수신된 하향신호는, RF 수신회로(101)에 입력된다. RF 수신회로(101)는, 대역 제어부(103)로부터 수신대역 정보를 수취하고, 그 수신대역에서 하향신호를 수신한다.
대역 제어부(103)는, 이동국의 수신대역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초기 셀서치의 경우, 대역 제어부(103)는, 소정의 기본 주파수 블록(예를 들면, 중앙의 기본 주파수 블록)에서 셀서치를 수행하도록, 수신대역을 제어한다. 또, 기지국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대역 제어부(103)는, 기지국에 의해 할당된 하나 이상의 기본 주파수 블록에서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수신대역을 제어한다. 동기채널 또는 알림채널이 소정의 기본 주파수 블록(예를 들면, 중앙의 기본 주파수 블록)에만 존재하는 경우, 대역 제어부(103)는, 동기채널 또는 알림채널의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서, 그 소정의 기본 주파수 블록에서 통신(캠핑)하도록 제어한다.
RF 수신회로(101)에서 수신된 하향신호는, CP 제거부(105)에서 가드 인터벌(CP:Cyclic Prefix)이 제거되고, FFT부(107)에서 고속 푸리에 변환(Fast Fourier Transform)되고, 주파수영역으로 변환된다. 주파수영역으로 변환된 하향신호는, 역 다중부(109)에서 각 채널의 정보로 역 다중되고, 복호부(111)에서 수신 데이터가 복호된다.
또, 이동국(10)의 송신측은, 부호화부(151)와, 다중부(153)와, IFFT부(155)와, CP 부여부(157)와, RF 송신회로(159)와, 대역 제어부(161)를 갖는다.
이동국으로부터의 송신 데이터는, 부호화부(151)에서 부호화되고, 다중부(153)에서 각 채널의 정보와 다중된다. 이동기 능력(UE Capability)이 RACH 메시지로 기지국으로 송신되는 경우에는, 이동기 능력도 송신 데이터와 마찬가지로, 부호화부(151)에서 부호화되고, 다중부(153)에서 각 채널의 정보와 다중된다. 다중된 상향신호는, IFFT부(155)에서 역 푸리에 변환(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되어, 시간영역으로 변환되고, CP 부여부(157)에서 가드 인터벌(CP:Cyclic Prefix)이 부여되고, RF 송신회로(159)로부터 송신된다. 대역 제어부(161)는, 기지국으로부터 할당된 하나 이상의 기본 주파수 블록에서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송신대역을 제어한다.
<기지국의 구성>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기지국(20)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기지국(20)은, RACH 수신부(201)와, UE 대역 할당부(203)와, 다중부(205)를 갖는다.
RACH 수신부(201)는, 기지국으로부터 대역폭에 관한 이동기 능력을 수신한다. UE 대역 할당부(203)는, 수신한 이동기 능력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기본 주파수 블록을 이동국에 할당한다. 예를 들면, 이동기 능력과 같은 대역폭을 할당할 수 있는 경우, UE 대역 할당부(203)는, 수신한 이동기 능력에 상당하는 대역을 할당한다. 또, 무선리소스에 빈 공간이 적은 경우에는, UE 대역 할당부(203)는, 수신한 이동기 능력보다 작은 대역을 할당해도 좋다. 다중부(205)는, 이동국에 할당한 대역 정보를 L2 제어 정보 또는 L3 제어 정보로서 다중하고, 또, 기본 주파수 블록의 대역 정보를 알림 정보로서 다중한다. 또, 시스템대역 정보도 알림정보로서 다중되어도 좋다. 이들 정보는, 이동국으로 송신된다.
또한, 도시하지 않으나, 본 발명의 이동국 및 기지국에서는, 동기채널에서 셀서치에 관한 처리가 수행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E-UTRA와 같은 기존의 무선 액세스 시스템으로부터 IMT-Advanced와 같은 신규의 무선 액세스 시스템으로 이행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기존의 단말을 완전히 서포트하면서, 더욱 대역폭의 증대를 구할 수 있는 무선 액세스 시스템에 적용 가능하다.
본 국제출원은 2008년 3월 28일에 출원한 일본국 특허출원 2008-088104호에 기초하는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이며, 2008-088104호의 전 내용을 본 국제출원에 원용한다.
10 이동국
101 RF 수신회로
103 대역 제어부
105 CP 제거부
107 FFT부
109 역 다중부
111 복호부
151 부호화부
153 다중부
155 IFFT부
157 CP 부여부
159 RF 송신회로
161 대역 제어부
20 기지국
201 RACH 수신부
203 UE 대역 할당부
205 다중부

Claims (12)

  1. 이동국으로부터 대역폭에 관한 이동기 능력을 수신하는 수신부; 및
    각각이 이동기 능력에 상관없이 통신 가능한 송수신 대역폭에 기초하여 당초로부터 형성된 기본 주파수 블록을 복수 결합함으로써 형성된 시스템대역이 이용되는 경우, 시스템대역에 포함되는 복수의 기본 주파수 블록 중, 이동기 능력에 기초하여 이동국에 사용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기본 주파수 블록을, 소정의 기본 주파수 블록에 있어서의 RRC 시그널링 정보를 이용하여 지정하는 지정부;를 갖고,
    상기 하나 이상의 기본 주파수 블록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과의 통신이 개시된 후, 상기 소정의 기본 주파수 블록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과의 통신이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2. 제 1항에 있어서,
    소정의 기본 주파수 블록에 동기채널을 다중하는 다중부;를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부는, 시스템대역의 중심 주파수가 존재하는 기본 주파수 블록에 동기채널을 다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4. 제 1항에 있어서,
    소정의 기본 주파수 블록에 알림채널을 다중하는 다중부;를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부는, 이동국의 최대 송수신 대역폭에 기초하여 시스템대역으로부터 분할된 복수의 기본 주파수 블록 중, 하나 이상의 기본 주파수 블록을 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부는, 서로 인접하는 기본 주파수 블록간의 가드밴드가 저감 또는 제거된 복수의 기본 주파수 블록 중, 하나 이상의 기본 주파수 블록을 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7. 대역폭에 관한 이동기 능력을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송신부; 및
    각각이 이동기 능력에 상관없이 통신 가능한 송수신 대역폭에 기초하여 당초로부터 형성된 기본 주파수 블록을 복수 결합함으로써 형성된 시스템대역이 이용되는 경우, 시스템대역에 포함되는 복수의 기본 주파수 블록 중, 이동기 능력에 기초하여 소정의 기본 주파수 블록에 있어서의 기지국으로부터의 RRC 시그널링 정보를 이용하여 지정된 하나 이상의 기본 주파수 블록에 송신 또는 수신대역을 설정하는 제어부;를 갖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기본 주파수 블록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과의 통신이 개시된 후, 상기 소정의 기본 주파수 블록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과의 통신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국.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동기채널의 정보를 수신할 때에, 소정의 기본 주파수 블록에 수신대역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국.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동기채널의 정보를 수신할 때에, 시스템대역의 중심 주파수가 존재하는 기본 주파수 블록에 수신대역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국.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알림채널의 정보를 수신할 때에, 소정의 기본 주파수 블록에 수신대역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국.
  11. 기지국에 있어서의 기본 주파수 블록 지정방법에 있어서:
    이동국으로부터 대역폭에 관한 이동기 능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각각이 이동기 능력에 상관없이 통신 가능한 송수신 대역폭에 기초하여 당초로부터 형성된 기본 주파수 블록을 복수 결합함으로써 형성된 시스템대역이 이용되는 경우, 시스템대역에 포함되는 복수의 기본 주파수 블록 중, 이동기 능력에 기초하여 이동국에 사용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기본 주파수 블록을, 소정의 기본 주파수 블록에 있어서의 RRC 시그널링 정보를 이용하여 지정하는 단계;를 갖고,
    상기 하나 이상의 기본 주파수 블록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과의 통신이 개시된 후, 상기 소정의 기본 주파수 블록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과의 통신이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본 주파수 블록 지정방법.
  12. 이동국에 있어서의 대역 제어방법에 있어서:
    대역폭에 관한 이동기 능력을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단계; 및
    각각이 이동기 능력에 상관없이 통신 가능한 송수신 대역폭에 기초하여 당초로부터 형성된 기본 주파수 블록을 복수 결합함으로써 형성된 시스템대역이 이용되는 경우, 시스템 대역에 포함되는 복수의 기본 주파수 블록 중, 이동기 능력에 기초하여 소정의 기본 주파수 블록에 있어서의 기지국으로부터의 RRC 시그널링 정보를 이용하여 지정된 하나 이상의 기본 주파수 블록에 송신 또는 수신대역을 설정하는 단계;를 갖고,
    상기 하나 이상의 기본 주파수 블록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과의 통신이 개시된 후, 상기 소정의 기본 주파수 블록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과의 통신이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역 제어방법.
KR1020107019768A 2008-03-28 2009-03-27 이동국, 기지국, 기본 주파수 블록 지정방법 및 대역 제어방법 KR1016008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088104 2008-03-28
JPJP-P-2008-088104 2008-03-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7097A KR20110007097A (ko) 2011-01-21
KR101600857B1 true KR101600857B1 (ko) 2016-03-21

Family

ID=41114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9768A KR101600857B1 (ko) 2008-03-28 2009-03-27 이동국, 기지국, 기본 주파수 블록 지정방법 및 대역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9088985B2 (ko)
EP (1) EP2262333B1 (ko)
JP (1) JP5266311B2 (ko)
KR (1) KR101600857B1 (ko)
CN (1) CN101978755B (ko)
AU (1) AU2009229803B9 (ko)
BR (1) BRPI0909832A2 (ko)
CA (1) CA2715214C (ko)
MX (1) MX2010009280A (ko)
RU (1) RU2504922C2 (ko)
WO (1) WO2009119834A1 (ko)
ZA (1) ZA20100760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40895B2 (ja) * 2006-01-18 2010-03-24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送信装置および送信方法
US8498249B2 (en) 2008-05-05 2013-07-30 Mediatek Inc. Method of network entry in OFDM multi-carrier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s
BRPI0916871B1 (pt) 2008-08-04 2020-11-24 Sun Patent Trust equipamento de usuário, método de recepção, circuito integrado, aparelho de estação base e método de transmissão
WO2010016222A1 (ja) 2008-08-04 2010-02-1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基地局、端末、バンド割り当て方法、及び下りデータ通信方法
JP4988043B2 (ja) * 2008-08-06 2012-08-01 シャープ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移動局装置、基地局装置及び通信方法
US8514793B2 (en) 2008-10-31 2013-08-20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and processing component carriers
CN102227932B (zh) * 2009-04-21 2013-01-3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载波汇聚的方法和装置
JP5379912B2 (ja) * 2009-04-24 2013-12-25 聯發科技股▲ふん▼有限公司 マルチキャリアofdmシステムのキャリア割り当ての方法及び装置
JP4740365B2 (ja) 2009-10-26 2011-08-03 シャープ株式会社 移動局装置、基地局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通信制御方法、通信制御プログラム、及びプロセッサ
CN104955108B (zh) 2009-11-12 2019-05-07 交互数字专利控股公司 无线发射/接收单元和接入点及其方法
ES2496291T3 (es) 2009-11-13 2014-09-18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étodo y aparato para soportar acciones de gestión para muy alto rendimiento en comunicaciones inalámbricas
JP5094896B2 (ja) 2010-02-26 2012-12-12 シャープ株式会社 移動局装置、基地局装置、通信制御方法及び集積回路
US9001750B2 (en) * 2010-04-05 2015-04-0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signaling user equipment capabilities
JP5633843B2 (ja) * 2010-07-08 2014-12-03 独立行政法人情報通信研究機構 Ofdm送信装置及び方法
US8861452B2 (en) 2010-08-16 2014-10-1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use of licensed spectrum for control channels in cognitive radio communications
CN102447546B (zh) * 2010-09-30 2019-05-24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数据的传输方法和设备
US9480031B2 (en) * 2011-05-03 2016-10-2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and network nodes in a telecommunication system
CN109921889B (zh) * 2012-01-30 2022-05-24 华为技术有限公司 用于通信系统中的公共控制信道的系统和方法
EP2627028B1 (en) * 2012-02-08 2020-11-04 Vodafone IP Licensing limited Resource allocation in an OFDM communication system
JP2013214831A (ja) * 2012-03-30 2013-10-17 Fujitsu Ltd 基地局装置、移動局装置、無線送信方法及び無線受信方法
JP6062742B2 (ja) * 2013-01-09 2017-01-18 株式会社Nttドコモ 基地局及び無線リソース割当方法
GB2510138A (en) 2013-01-24 2014-07-30 Sony Corp Allocating communications resources within different frequency ranges according to the relative capability of a communications device
JP5623595B2 (ja) * 2013-05-31 2014-11-12 シャープ株式会社 移動局装置、プロセッサ、無線通信システム、通信制御方法、通信制御プログラム、及び基地局装置
US10862634B2 (en) 2014-03-07 2020-12-08 Huawei Technologies Co., Ltd. Systems and methods for OFDM with flexible sub-carrier spacing and symbol duration
US9894547B2 (en) 2014-04-29 2018-02-13 Qualcomm Incorporated Dynamic update of UE capability for inter-frequency and inter-RAT measurements
US10647480B2 (en) 2014-06-16 2020-05-12 Blackhawk Molding Co., Inc. Closure with hinged lid
SG11201807231QA (en) * 2016-02-29 2018-09-27 Ntt Docomo Inc User terminal, radio base station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US10779277B2 (en) * 2016-07-07 2020-09-15 Qualcomm Incorporated General authorized access (GAA) primary channel assignment for multiple operators
WO2018135128A1 (ja) * 2017-01-17 2018-07-2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基地局、帯域幅割当方法、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端末
CN109803386B (zh) * 2017-11-16 2024-03-22 夏普株式会社 带宽配置方法和电子设备
US11013054B2 (en) * 2019-04-12 2021-05-18 Ofinno, Llc UE-assistance to support multiple systems based on frequency band combination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23613A1 (fr) * 2006-08-22 2008-02-28 Ntt Docomo, Inc. Station de base, station mobile, et procédé de réglage de cellule de destination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611425D0 (en) * 1996-05-31 1996-08-07 Tracker Network Uk Ltd Digital communications
DE19831569A1 (de) * 1998-07-14 2000-01-20 Siemens Ag Verfahren zur Informationsübertragung und Funkstation
US6721562B2 (en) * 2002-02-07 2004-04-13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band class acquisition and assignmen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1517456A4 (en) * 2002-06-25 2009-12-30 Fujitsu Ltd PERFORMANCE RULES AND DEVICE
US7873015B2 (en) * 2002-10-18 2011-01-18 Kineto Wireless, Inc. Method and system for registering an unlicensed mobile access subscriber with a network controller
JP4455389B2 (ja) * 2005-04-01 2010-04-21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KR100830163B1 (ko) * 2005-04-20 2008-05-20 삼성전자주식회사 주파수 오버레이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송수신 장치 및 방법
EP1838126B1 (en) * 2005-05-04 2009-09-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reporting inter-frequency measurement using RACH message in a mobile communicaiton system
JP4869724B2 (ja) 2005-06-14 2012-02-08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送信装置、送信方法、受信装置及び受信方法
JP4440831B2 (ja) * 2005-06-14 2010-03-24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基地局装置、送信方法及び通信システム
CN100431374C (zh) * 2005-06-28 2008-11-05 上海原动力通信科技有限公司 高速下行分组接入业务用户终端在多载波小区的工作方法
EP1799004A1 (en) * 2005-12-14 2007-06-20 Siemens Aktiengesellschaft Method and device thereof for scheduling transmissions for terminals having different bandwidth capabilities in a communications system
JP4440895B2 (ja) * 2006-01-18 2010-03-24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送信装置および送信方法
KR101203869B1 (ko) 2006-03-09 2012-11-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양한 대역폭 능력의 단말기 지원을 위한 다중 반송파전송 방식
JP4732967B2 (ja) * 2006-06-19 2011-07-27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基地局装置
JP4430052B2 (ja) * 2006-06-19 2010-03-10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システム、ユーザ装置及び送信方法
CN101132608A (zh) 2006-08-22 2008-02-27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指示信道资源分配信息的设备和方法
JP2008088104A (ja) 2006-10-02 2008-04-17 Nikko Chemical Co Ltd W/o/w型乳化物及び外用剤及び化粧料
JP4413934B2 (ja) * 2007-02-08 2010-02-10 株式会社東芝 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KR100911533B1 (ko) 2007-08-03 2009-08-10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Ofdm 통신 시스템 및 ofdm 통신 방법
US8160012B2 (en) * 2007-08-10 2012-04-17 Lg Electronics Inc. Methods of setting up channe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135359B2 (en) * 2008-01-04 2012-03-13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veying antenna configuration informa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23613A1 (fr) * 2006-08-22 2008-02-28 Ntt Docomo, Inc. Station de base, station mobile, et procédé de réglage de cellule de destin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119834A1 (ja) 2009-10-01
ZA201007605B (en) 2012-02-29
EP2262333A4 (en) 2016-05-25
CA2715214A1 (en) 2009-10-01
CN101978755B (zh) 2016-03-30
CA2715214C (en) 2016-11-15
US9088985B2 (en) 2015-07-21
EP2262333A1 (en) 2010-12-15
AU2009229803B8 (en) 2013-10-24
KR20110007097A (ko) 2011-01-21
EP2262333B1 (en) 2018-05-16
JPWO2009119834A1 (ja) 2011-07-28
AU2009229803A1 (en) 2009-10-01
US20110051711A1 (en) 2011-03-03
RU2010142261A (ru) 2012-05-10
CN101978755A (zh) 2011-02-16
RU2504922C2 (ru) 2014-01-20
MX2010009280A (es) 2010-09-24
BRPI0909832A2 (pt) 2015-10-06
JP5266311B2 (ja) 2013-08-21
AU2009229803B2 (en) 2013-10-17
AU2009229803B9 (en) 2014-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0857B1 (ko) 이동국, 기지국, 기본 주파수 블록 지정방법 및 대역 제어방법
KR102451082B1 (ko) Nr 시스템에서 광대역 동작 방법 및 장치
KR102128212B1 (ko) 광대역 enb와 협대역 ue 간의 무선 통신
EP3474621B1 (en) System and method for multi-carrier network operation
EP2327263B1 (en) Multi-carrier design for control and procedures comprising pairing of carriers
CN116234027A (zh) 用于唤醒信号设计和资源分配的技术和装置
KR101611268B1 (ko) 2개의 무선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레인징 수행 방법
TW202027525A (zh) 帶內非連續頻譜的有效寬頻操作方法及使用者設備
US10681623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cell access via anchor carrier
JP2015529425A (ja) 通信デバイス及び方法
JP2015529426A (ja) モバイル通信のシステム、ネットワークエレメント及び方法
KR101520710B1 (ko) 멀티 캐리어를 지원하는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효율적인 핸드오버/스캐닝 트리거 방법
CN114731635A (zh) 用于无线通信的方法及设备
CN111585692A (zh) 初始信号检测方法、装置
US20200344757A1 (en) Base station device, terminal device, communication system, and transmission method
US12010721B2 (en) Initial signal detection method and apparatus
US8958374B2 (en) Base station, mobile station and common information communicating method
CN116761256A (zh) 一种通信方法及装置
CN114765883A (zh) 用户设备及其随机接入方法和基站及其随机接入方法
CN117812716A (zh) 用于无线通信的方法及用户设备
WO2018082771A1 (en) Client device (sta) using wake-up packet for channel selection decis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