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0448B1 - 패션잡화 부착용 액세서리 - Google Patents

패션잡화 부착용 액세서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0448B1
KR101600448B1 KR1020150082371A KR20150082371A KR101600448B1 KR 101600448 B1 KR101600448 B1 KR 101600448B1 KR 1020150082371 A KR1020150082371 A KR 1020150082371A KR 20150082371 A KR20150082371 A KR 20150082371A KR 101600448 B1 KR101600448 B1 KR 1016004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electrode
lower housing
upper housing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23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언
박선순
Original Assignee
(주)아코플레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코플레닝 filed Critical (주)아코플레닝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04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04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5/00Miscellaneous fancy ware for personal wear, e.g. pendants, crosses, crucifixes, char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13/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built-in electric gen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21L4/08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 situ recharging of the batteries or ce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2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decorative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F21W2121/06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decorative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for personal w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패션잡화 부착용 액세서리에 관한 것으로서, 빛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태양전지; 상기 태양전지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변환된 전기에너지를 저장하는 축전지; 상기 축전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발광하는 발광소자; 상기 축전지가 안착되고 상기 축전지와 연결된 전극이 형성된 상부 하우징; 및 상기 발광소자가 안착되고 상기 발광소자와 연결된 전극이 형성된 하부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의 체결을 통해 상기 축전지의 전력을 상기 발광소자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패션잡화 부착용 액세서리를 이용하면 사용자의 개성을 표현하고 심미감과 장식미를 제고할 수 있으며, 발광소자를 조명기능으로 활용하여 어두운 환경에서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패션잡화 부착용 액세서리{ACCESSORY FOR FASHION GOODS}
본 발명은 패션잡화 부착용 액세서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태양전지와 발광소자를 활용한 패션잡화 부착용 액세서리에 관한 것이다.
가방 등과 같은 패션잡화는 사용자가 구입하여 그대로 사용하는 경우도 많지만, 사용자의 개성을 표현하기 위해 액세서리를 부착하여 사용하는 경우도 흔히 있다. 패션잡화에 부착하는 액세서리는 일반적으로 직물 소재, 플라스틱 소재, 메탈 소재 등으로 이루어지는데, 사용자에 따라서는 개성을 표현하고 주위 환기력을 높이기 위해 발광소자를 활용한 액세서리를 원할 수 있다. 발광소자는 조명기능으로도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발광소자를 활용한 액세서리의 적용범위는 매우 넓으며, 발광소자를 활용한 액세서리에 대한 사용자의 니즈는 점차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용자의 니즈에 부합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개성을 표현하고 심미감과 장식미를 제고할 수 있는 태양전지와 발광소자를 활용한 패션잡화 부착용 액세서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발광소자를 조명기능으로 활용하여 어두운 환경에서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태양전지와 발광소자를 활용한 패션잡화 부착용 액세서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션잡화 부착용 액세서리는 빛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태양전지; 상기 태양전지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변환된 전기에너지를 저장하는 축전지; 상기 축전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발광하는 발광소자; 상기 축전지가 안착되고 상기 축전지와 연결된 전극이 형성된 상부 하우징; 및 상기 발광소자가 안착되고 상기 발광소자와 연결된 전극이 형성된 하부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의 체결을 통해 상기 축전지의 전력을 상기 발광소자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상부 하우징은 상기 축전지가 안착되는 제1안착부; 및 상기 제1안착부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하부 하우징과의 결합을 위해 원형 관 형태로 형성되는 제1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 하우징은 상기 발광소자가 안착되는 제2안착부; 및 상기 제2안착부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상부 하우징과의 결합을 위해 원 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제2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결합부의 직경은 상기 제2결합부의 직경보다 크며, 상기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 결합 시, 상기 제1결합부 내에 상기 제2결합부가 삽입되어 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축전지와 연결된 두 개의 전극 중, 제1전극은 상기 제1안착부에 형성되며, 제2전극은 상기 제1결합부 및 제1안착부에 결쳐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발광소자와 연결된 두 개의 전극 중, 제1전극 및 제2전극은 모두 제2결합부 및 제2안착부에 걸쳐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패션잡화 부착용 액세서리는 상기 태양전지의 상부에 형성되는 투명렌즈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패션잡화 부착용 액세서리는 상기 발광소자의 하부에 형성되는 투명렌즈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패션잡화 부착용 액세서리는 상기 발광소자의 on/off 또는 밝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발광소자와 연결된 두 개의 전극 중, 제1전극은 상기 제2안착부의 상면, 제2결합부의 측면 및 상면에 형성되고, 제2전극은 제2안착부의 상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2결합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제2전극과 연결되는 스프링이 형성되고, 상기 제2결합부의 측면에 걸림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 결합 시,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제1안착부 및 제1결합부의 경계에 고정되어 상기 상부 하우징으로부터 상기 하부 하우징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결합부에는 암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제2결합부에는 수나사가 형성되어, 상기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 결합 시, 상기 암나사와 수나사의 체결을 통해 상기 상부 하우징으로부터 상기 하부 하우징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패션잡화 부착용 액세서리를 이용하면 사용자의 개성을 표현하고 심미감과 장식미를 제고할 수 있으며, 발광소자를 조명기능으로 활용하여 어두운 환경에서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션잡화 부착용 액세서리(100)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션잡화 부착용 액세서리(100)에서 상부 하우징(130)과 하부 하우징(140)이 결합되는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션잡화 부착용 액세서리(100)의 세부 구성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도이다.
도 4는 도 1의 [a]의 패션잡화 부착용 액세서리(100)를 I-I'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션잡화 부착용 액세서리(100)에서 상부 하우징(130)과 하부 하우징(140)이 결합되는 형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션잡화 부착용 액세서리(100)에서 상부 하우징(130)과 하부 하우징(140)이 결합되는 형태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션잡화 부착용 액세서리(100)에서 상부 하우징(130)과 하부 하우징(140)이 결합되는 형태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패션잡화 부착용 액세서리(200)의 세부 구성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도이다.
도 9는 가방(300)에 적용한 패션잡화 부착용 액세서리(100)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패션잡화 부착용 액세서리(100)가 다양한 형태의 가방(400, 500, 600, 700)에 적용된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조끼(800)에 적용한 패션잡화 부착용 액세서리(100)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션잡화 부착용 액세서리(100)의 사시도이다. 도 1의 [a]는 패션잡화 부착용 액세서리(100)가 정방향으로 위치할 때의 사시도이며, 도 1의 [b]는 패션잡화 부착용 액세서리(100)가 정방향과 180도 회전한 역방향으로 위치할 때의 사시도이다.
도 1의 [a]에는 패션잡화 부착용 액세서리(100)의 제1실리콘 렌즈(110), 태양전지(120), 상부 하우징(130), 하부 하우징(140) 및 제2실리콘 렌즈(150)가 도시되어 있다. 태양전지(120)는 상부 하우징(130)의 내부에 안착되어 있으며, 태양전지(120)의 상부에 태양전지(120)를 보호하기 위한 투명소재의 제1실리콘 렌즈(110)가 위치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태양전지(120)는 상부 하우징(130)의 내부에 안착될 수도 있고, 상부 하우징(130)의 외부에 위치하면서 상부 하우징(130)의 상부에 접촉하여 위치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1실리콘 렌즈(110)는 생략되고, 태양전지(120)의 보호를 위한 투명 소재의 박막이 태양전지(12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도 1의 [b]는 도 1의 [a]를 180도 회전시킨 형태로서 제1실리콘 렌즈(110), 상부 하우징(130), 하부 하우징(140), 제2실리콘 렌즈(150) 및 발광소자(160)가 도시되어 있다. 발광소자(160)는 하부 하우징(140) 내부에 안착되어 있으며, 발광소자(160)의 상부에는 발광소자(160)를 보호하기 위한 투명소재의 제2실리콘 렌즈(150)가 위치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발광소자(160)는 하부 하우징(140)의 내부에 안착될 수도 있고, 하부 하우징(140)의 외부에 위치하면서 하부 하우징(130)의 하부에 접촉하여 위치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2실리콘 렌즈(150)는 생략되고, 발광소자(160)의 보호를 위한 투명 소재의 박막이 발광소자(16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션잡화 부착용 액세서리(100)에서 상부 하우징(130)과 하부 하우징(140)이 결합되는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부 하우징(130)은 상부에 위치하는 제1안착부(131)와 하부에 위치하는 제1결합부(132)로 구성되며, 제1안착부(131)와 제1결합부(132)는 원형관 형태로 구성된다. 상부 하우징(130)은 제1안착부(131)의 직경이 제1결합부(132)보다 크게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ㅜ' 형태로 구성된다.
하부 하우징(140)은 하부에 위치하는 제2안착부(141)와 상부에 위치하는 제2결합부(142)로 구성되며, 제2안착부(141)는 원형관 형태로, 제2결합부(142)는 원기둥 형태로 구성된다. 하부 하우징(140)은 제2안착부(141)의 직경이 제2결합부(142)보다 크게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ㅗ' 형태로 구성된다.
제1결합부(132)의 직경은 제2결합부(142)의 직경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며 제1결합부(132)와 제2결합부(142)의 결합 시, 제2결합부(142)의 외측면이 제1결합부(132)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일정 크기 이상의 외압이 가해지지 않는 한, 분리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제1결합부(132)와 제2결합부(142)의 길이는 약 6mm~10mm로 구성되며, 제1결합부(132)와 제2결합부(142)의 직경은 약 2.5mm~4.5mm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션잡화 부착용 액세서리(100)의 세부 구성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도이다.
도 3은 패션잡화 부착용 액세서리(100)의 세부 구성요소로서, 제1실리콘 렌즈(110), 태양전지(120), 상부 하우징(130), 하부 하우징(140), 제2실리콘 렌즈(150), 발광소자(160), 축전지(170)를 도시하고 있다.
태양전지(120)와 축전지(170)는 상부 하우징(130)의 제1안착부(131) 내부에 위치하며, 제1실리콘 렌즈(110)는 상부 하우징(130)의 상부에 태양전지(120)와 접촉하여 위치한다. 태양전지(120)에는 축전지(170)와의 연결을 위한 태양전지 전극(121, 122)이 형성된다. 도 3은 태양전지 전극(121, 122)가 원형의 태양전지(120)의 원주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태양전지 전극(121, 122)은 태양전지(120)의 다른 소정의 영역에 위치할 수도 있다. 축전지(170)에는 태양전지(120) 및 상부 하우징(130)의 전극과의 연결을 위한 축전지 전극(171, 172)가 형성된다. 축전지 전극(171, 172)은 원판 형태의 축전지(170)의 상면, 측면, 하면에 모두 접하는 금속판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축전지 전극(171, 172)에서 상면에 위치하는 부분은 태양전지 전극(121, 122)과 연결되고, 하면에 위치하는 부분은 상부 하우징(130)의 전극과 연결된다. 태양전지(120)는 빛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축전지(170)를 충전시킨다.
상부 하우징(130)에는 상부 하우징 전극(133, 134)이 형성된다. 상부 하우징 전극(133, 134) 중 제1전극(133)은 양극(+) 또는 음극(-)이 될 수 있으며, 상부 하우징(130)의 제1안착부(131)에 형성된다. 제1전극(133)의 일단은 제1안착부(131)의 측면 또는 하면에, 타단은 제1안착부(131)의 하면에 형성되며, 상기 일단은 축전지 전극(171)과 연결된다. 상부 하우징 전극(133, 134) 중 제2전극(134)은 음극(-) 또는 양극(+)이 될 수 있으며, 상부 하우징(130)의 제1안착부(131)와 제1결합부(132)에 걸쳐서 형성된다. 제2전극(134)의 일단은 제1안착부(131)의 측면 또는 하면에, 타단은 제1결합부(132)의 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일단은 축전지 전극(172)과 연결된다.
하부 하우징(130)에는 하부 하우징 전극(143, 144)이 형성된다. 하부 하우징 전극(143, 144) 중 제1전극(143)은 양극(+) 또는 음극(-)이 될 수 있으며, 하부 하우징(140)의 제2안착부(141) 및 제2결합부(142)에 걸쳐서 형성된다. 제1전극(143)의 일단은 제2안착부(141)의 측면 또는 상면에, 타단은 제2결합부(142)의 상면에 형성되며, 상기 일단은 발광소자(160)의 전극과 연결된다. 하부 하우징 전극(143, 144) 중 제2전극(144)은 음극(-) 또는 양극(+)이 될 수 있으며, 제2안착부(141) 및 제2결합부(142)에 걸쳐서 형성된다. 제2전극(144)의 일단은 제2안착부(141)의 측면 또는 상면에, 타단은 제2결합부(142)의 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일단은 발광소자(160)의 전극과 연결된다.
발광소자(160)는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로 구성될 수 있으며, 회로기판과 방열기판이 부착된 LED 패키지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발광소자(160)는 LED 이외에 발광을 할 수 있는 반도체 소자로 구현될 수도 있다. 발광소자(160)는 발광소자 전극(161, 162)을 구비한다. 도 3은 발광소자 전극(161, 162)이 원형의 발광소자(160)의 원주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발광소자 전극(161, 162)은 발광소자(160)의 다른 소정의 영역에 위치할 수도 있다. 발광소자 전극(161, 162)은 하부 하우징(140)에 안착되어 하부 하우징 전극(143, 144)과 연결된다. 발광소자(160)는 아래 방향으로 빛을 조사하도록 하부 하우징(140) 내에 위치하며, 투명소재의 제2실리콘 렌즈(150)는 발광소자(160)와 접촉하도록 위치한다.
상부 하우징(130)과 하부 하우징(140)이 결합하면 상부 하우징 전극(133, 134)과 하부 하우징 전극(143, 144)이 접촉하게 되고, 상부 하우징 전극(133, 134)과 접촉하는 축전지(170)가 전력을 하부 하우징(140)으로 공급하고 발광소자(160)는 축전지(170)로부터 공급받은 전력을 통해 발광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태양전지 전극(121, 122)과 축전지 전극(171, 172)은 선형 타입의 전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축전지 전극(171, 172)과 발광소자 전극(161, 162)도 선형 타입의 전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축전지(170)는 상부 하우징(130)이 아닌 하부 하우징(140) 내에 위치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축전지(170)는 발광소자(160)의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 때, 태양전지 전극(121, 122)은 축전지 전극(171, 172)과 선형 타입의 전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션잡화 부착용 액세서리(100)는 발광소자(160)의 발광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하부 하우징(140) 또는 상부 하우징(130) 내에 위치할 수 있으며, 스위치 또는 가변 저항 형태로 구성되어 발광소자(160)의 발광을 on/off 하거나 밝기를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에는 버튼식 스위치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가 위치하는 하우징(상부 하우징(130) 또는 하부 하우징(140))의 일부에는 제어부의 버튼식 스위치가 노출될 수 있도록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는 발광소자(160)와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태양전지(120)와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발광을 on/off 하거나 밝기를 조절하는 스위치는 발광소자(160) 또는 태양전지(120)에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a]의 패션잡화 부착용 액세서리(100)를 I-I'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패션잡화 부착용 액세서리(100)의 세부 구성요소들이 모두 결합된 상태에서 연결 상태를 설명할 수 있다.
상부 하우징(130)의 상부에 제1실리콘 렌즈(110)가 위치하고 있으며, 태양전지(120)가 상부 하우징(130)의 내부에서 가장 상부에 위치하고 있다. 태양전지(120)의 하면에는 태양전지 전극(121, 122)이 부착되어 있고, 태양전지(120)의 하부에는 축전지(170)가 위치한다. 축전지 전극(171, 172)은 축전지(170)의 가장자리를 감싸는 형태로 구성되고 태양전지 전극(121, 122)과 각각 연결된다.
상부 하우징(130)은 제1안착부(131)에 제1전극(133)이 형성되어 있고, 제1안착부(131)와 제1결합부(132)를 걸쳐서 제2전극(134)이 형성되어 있다. 제1전극(133)은 제1안착부(131)의 하면을 따라 형성되며 90도로 꺽여지는 제1안착부(131)와 제1결합부(132)의 경계부근을 지나 제1결합부(132)의 중심까지 연장되어 형성된다. 제2전극(134)은 제1안착부(131)의 하면과 제1결합부(132)의 측면을 따라 형성된다.
하부 하우징(140)은 제2안착부(141)와 제2결합부(142)를 따라 제1전극(143)과 제2전극(144)이 형성되어 있다. 제1전극(143)은 제2안착부(141)의 상면, 제2결합부(142)의 측면을 거쳐 상면의 중심까지 형성된다. 제2전극(144)은 제2안착부(141)의 상면에서 시작하여 제2결합부(142)의 측면까지 연장되어 형성된다.
하부 하우징(140)의 제2안착부(141) 내에는 발광소자(160)가 위치하며, 발광부분이 아래를 향하도록 위치한다. 발광소자(160)에는 발광소자 전극(161, 162)이 형성되고 하부 하우징(140)의 제1전극(143) 및 제2전극(144)과 연결된다. 하부 하우징(140)의 하부에는 발광소자(140)의 보호를 위해 제2실리콘 렌즈(150)가 형성된다.
상부 하우징(130)과 하부 하우징(140)이 결합하면 상부 하우징 전극(133, 134)과 하부 하우징 전극(143, 144)이 접촉하게 되고, 상부 하우징 전극(133, 134)과 접촉하는 축전지(170)가 전력을 하부 하우징(140)으로 공급하고 발광소자(160)는 축전지(170)로부터 공급받은 전력을 통해 발광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션잡화 부착용 액세서리(100)에서 상부 하우징(130)과 하부 하우징(140)이 결합되는 형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부 하우징(130)은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한 형태로 구성되며, 제1안착부(131), 제1결합부(132), 제1전극(133) 및 제2전극(134)이 도시되어 있다.
하부 하우징(140)은 제2안착부(141), 제2결합부(142), 제1전극(143), 제2전극(144), 스프링(145) 및 걸림돌기(146) 및 버튼(147)을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제1전극(143)은 제2안착부(141)의 상면, 제2결합부(142)의 측면을 거쳐 상면의 중심까지 형성된다. 제2전극(144)은 제2안착부(141)의 상면에 형성된다.
스프링(145)은 제2결합부(142)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제2전극(144)과 연결된다. 제2결합부(142)의 상부의 측면에는 걸림돌기(146)가 형성되며, 제2안착부(141)의 측면에는 걸림돌기를 하부 하우징(140) 내에 노출/숨김을 할 수 있는 버튼(147)이 구비된다.
상부 하우징(130)과 하부 하우징(140)이 결합하면 상부 하우징(130)의 제1전극(133)은 하부 하우징(140)의 제1전극(143)과 연결되며, 상부 하우징(130)의 제2전극(134)은 스프링(145)과 연결된다. 스프링(145)은 제2전극(144)과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축전지(170)의 전력을 발광소자(160)로 공급할 수 있다. 걸림돌기(146)는 상부 하우징(130)의 제1안착부(131)와 제1결합부(132)의 경계 부근에 고정되어 상부 하우징(130)으로부터 하부 하우징(140)의 이탈을 방지한다. 상부 하우징(130)과 하부 하우징(140)을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 버튼(147)을 누르면 걸림돌기(146)가 하부 하우징(140) 내로 숨겨지며 스프링(145)의 탄성력으로 상부 하우징(130)과 하부 하우징(140)은 분리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션잡화 부착용 액세서리(100)에서 상부 하우징(130)과 하부 하우징(140)이 결합되는 형태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부 하우징(130)은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1안착부(131), 제1결합부(132), 제1전극(133) 및 제2전극(134)을 포함하며, 추가로 제1결합부(132)의 내측면에 암나사(135)가 형성된다. 제2전극(134)의 일단은 암나사(135) 상에 노출되어 형성된다.
하부 하우징(140)은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2안착부(141), 제2결합부(142), 제1전극(143), 제2전극(144)을 포함하며, 추가로 제2결합부(142)의 외측면에 수나사(148)가 형성된다. 제2전극(144)의 일단은 수나사(148) 상에 노출되어 형성된다.
상부 하우징(130)과 하부 하우징(140)은 암나사(135)와 수나사(148)의 체결로 결합되며, 암나사(135) 상에 노출된 상부 하우징(130)의 제2전극(134)과 수나사(148) 상에 노출된 하부 하우징(140)의 제2전극(144)은 연결되어, 축전지(170)의 전력을 발광소자(160)로 공급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션잡화 부착용 액세서리(100)에서 상부 하우징(130)과 하부 하우징(140)이 결합되는 형태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5와 마찬가지로 상부 하우징(130)과 하부 하우징(140)이 스프링(136) 결합하는데 도 5와 달리 스프링(136)은 상부 하우징(130)에 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부 하우징(130)의 제1결합부(132)가 하부 하우징(140)의 제2결합부(142) 내부에 삽입되는 특징에서 차이점이 있다. 제1결합부(132)의 하부에 걸림돌기(137)가 형성된다. 걸림돌기(137)는 상부 하우징(130)과 하부 하우징(140)의 결합 시, 하부 하우징(140)의 제2안착부(141)와 제2결합부(142)의 경계 부근에 고정되어 상부 하우징(130)으로부터 하부 하우징(140)의 이탈을 방지한다. 제1결합부(132)의 길이는 제2결합부(142)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상부 하우징(130)과 하부 하우징(140) 결합 시, 제1결합부(132)의 상부의 일정부분은 외부로 노출된다.
하부 하우징(140)의 제2안착부(141)에는 발광소자(160)의 제어를 담당하는 제어부(149)가 형성된다. 제1결합부(132)가 제2결합부(142)에 의해 완전히 가려지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상부 하우징(130)과 하부 하우징(140)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부 하우징(130)이 하부 하우징(140) 방향으로 일정거리 만큼 이동이 가능하며, 스프링(136)에 의해 위치는 원상복귀 된다. 제1안착부(131)가 제2결합부(142)에 접하도록 상부 하우징(130)을 최대한 이동시켰을 때 제1결합부(132)의 하단은 제어부(149)에 접촉하게 되고, 제어부(149)는 이를 입력신호로 인식하여 발광소자(160)를 제어하게 된다. 예를 들어, 1번 접촉은 레벨 1 밝기의 발광, 2번 접촉은 레벨 2 밝기의 발광, 3번 접촉은 점멸 등으로 구현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패션잡화 부착용 액세서리(200)의 세부 구성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도이다. 도 8은 발광소자와 축전지가 일체형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8은 패션잡화 부착용 액세서리(200)의 세부 구성요소로서, 제1실리콘 렌즈(210), 태양전지(220), 상부 하우징(230), 하부 하우징(240), 발광소자(250), 제2실리콘 렌즈(260)를 도시하고 있다.
태양전지(220)는 상부 하우징(230) 내부에 위치하며, 제1실리콘 렌즈(210)는 상부 하우징(230)의 상부에 태양전지(220)와 접촉하여 위치한다. 태양전지(220)에는 태양전지 전극(221, 222)이 형성되며, 태양전지 전극(221, 222)에는 발광소자(251, 252)와 의 연결을 위해 선형 타입 전선(223, 224)이 형성된다.
도 8의 실시예에서 발광소자(250)는 축전지와 일체형으로 구성된다. 태양전지 전극(221, 222)은 발광소자 전극(251, 252)과 연결되며, 태양전지에서 생성되는 전력은 발광소자(250)에 형성된 축전지를 충전시킨다. 발광소자(250)는 하부 하우징(240) 내에 형성되며, 발광소자(250)의 하부에는 제2실리콘 렌즈(260)가 형성된다.
발광소자(250)에는 발광을 on/off 하거나 밝기를 조절하는 제어부가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제어부에는 버튼식 스위치(253)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하부 하우징(240)의 일부에는 제어부의 버튼식 스위치가 노출될 수 있도록 개구부(241)가 형성된다.
사용자는 상부 하우징(230)과 하부 하우징(240)이 결합된 상태에서 하부 하우징(240)에 형성된 버튼식 스위치(253)를 눌러서 발광을 on/off 하거나 밝기를 조절한다. 예를 들어, 1번 누름은 레벨 1 밝기의 발광, 2번 누름은 레벨 2 밝기의 발광, 3번 누름은 점멸 등으로 구현할 수 있다.
도 9는 가방(300)에 적용한 패션잡화 부착용 액세서리(100)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션잡화 부착용 액세서리(100)는 리벳 기능을 할 수 있으며, 가방(300) 몸체와 손잡이를 부착하는 부분의 리벳으로 패션잡화 부착용 액세서리(100)를 사용할 수 있다. 가방(300)의 노출되는 부분에는 태양전지(120)가 형성되어 태양광을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축전지(170)에 저장한다. 가방(300)의 내부(노출되지 않는 부분)에는 발광소자(160)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어두운 환경에서 가방(300) 내에 들어있는 물건을 찾을 때 발광소자(160)의 빛을 이용하여 물건을 쉽게 찾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패션잡화 부착용 액세서리(100)에는 발광소자(160)의 on/off 또는 밝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제어부를 통해 사용자는 필요한 상황에서발광소자(160)를 동작시켜 사용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패션잡화 부착용 액세서리(100)가 다양한 형태의 가방(400, 500, 600, 700)에 적용된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패션잡화 부착용 액세서리(100)는 도 11 및 도 12과 같이 사각형 형태의 액세서리로도 구현될 수 있으며, 도 12와 같이 길쭉한 선형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4는 조끼(800)에 적용한 패션잡화 부착용 액세서리(100)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션잡화 부착용 액세서리(100)는 조명 기능을 갖기 때문에, 심미감을 위한 액세서리 기능 이외에도 조명 기능을 위해 본 발명의 패션잡화 부착용 액세서리(100)를 사용할 수 있다. 조끼(800)는 양면으로 착용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태양전지(120)가 노출되는 방향으로 조끼(800)를 착용하고 있을 때에는 태양전지(120)가 태양광을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축전지(170)에 저장한다. 사용자가 조끼(800)를 뒤집어 입으면, 발광소자(160)가 외부로 노출되며 발광소자(160)는 축전지(170)에 충전된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빛을 조사한다. 조명은 주위의 환기력을 높이는 기능 뿐만 아니라 위급 상황에서 사용자의 위치를 알리는 역할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패션잡화 부착용 액세서리를 이용하면 사용자의 개성을 표현하고 심미감과 장식미를 제고할 수 있으며, 발광소자를 조명기능으로 활용하여 어두운 환경에서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100, 200 : 패션잡화 부착용 액세서리 133 : 상부 하우징의 제1전극
110 : 제1실리콘 렌즈 134: 상부 하우징의 제2전극
120, 220 : 태양전지 143 : 하부 하우징의 제1전극
130, 230 : 상부 하우징 144 : 하부 하우징의 제2전극
140, 240 : 하부 하우징 121, 122, 221, 222 : 태양전지 전극
150, 260 : 제2실리콘 렌즈 161, 162, 251, 252 : 발광소자 전극
160, 250 : 발광소자 171, 172 : 축전지 전극
170 : 축전지 136, 145 : 스프링
131 : 제1안착부 137, 146 : 걸림돌기
132 : 제1결합부 147 : 버튼
141 : 제2안착부 148 : 수나사
142 : 제2결합부 135 : 암나사
149 : 제어부 223, 224 : 선형 타입 전선
253 : 버튼식 스위치 241 : 개구부
300, 400, 500, 600, 700 : 가방 800 : 조끼

Claims (10)

  1. 패션잡화 부착용 액세서리에 있어서,
    빛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태양전지;
    상기 태양전지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변환된 전기에너지를 저장하는 축전지;
    상기 축전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발광하는 발광소자;
    상기 축전지가 안착되는 제1안착부, 상기 제1안착부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1결합부 및 상기 축전지와 연결된 전극을 포함하는 상부 하우징;
    상기 발광소자가 안착되는 제2안착부, 상기 제2안착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2결합부 및 상기 발광소자와 연결된 전극을 포함하는 하부 하우징; 및
    상기 제2안착부에 형성되고 상기 발광소자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결합부에 스프링이 결합되며, 상기 상부 하우징과 상기 하부 하우징의 체결 시, 상기 제1결합부 및 스프링이 상기 제2결합부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제1결합부의 하단에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이 체결되며,
    상기 제1결합부의 길이는 상기 제2결합부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상기 상부 하우징과 상기 하부 하우징의 체결 시, 상기 제1결합부의 상부의 일정 부분이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제1안착부가 상기 제2결합부에 접하도록 상기 상부 하우징을 상기 하부 하우징 측으로 이동시켰을 때, 상기 제1결합부의 하단이 상기 제어부에 접촉하면, 상기 제어부는 이를 입력신호로 인식하여 발광소자를 제어하고,
    상기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의 체결을 통해 상기 패션잡화에 부착되면, 상기 패션잡화의 노출되는 부분에는 태양전지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발광소자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션잡화 부착용 액세서리.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전지와 연결된 두 개의 전극 중,
    제1전극은 상기 제1안착부에 형성되며, 제2전극은 상기 제1결합부 및 제1안착부에 결쳐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션잡화 부착용 액세서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소자와 연결된 두 개의 전극 중,
    제1전극 및 제2전극은 모두 제2결합부 및 제2안착부에 걸쳐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션잡화 부착용 액세서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전지의 상부에 형성되는 투명렌즈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션잡화 부착용 액세서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소자의 하부에 형성되는 투명렌즈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션잡화 부착용 액세서리.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50082371A 2015-04-15 2015-06-11 패션잡화 부착용 액세서리 KR1016004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053356 2015-04-15
KR1020150053356 2015-04-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0448B1 true KR101600448B1 (ko) 2016-03-09

Family

ID=55537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2371A KR101600448B1 (ko) 2015-04-15 2015-06-11 패션잡화 부착용 액세서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044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2390A (ko) * 2017-04-03 2018-10-12 이신열 사용편의성을 갖는 태양광 정원등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8031A (ko) * 2003-03-03 2004-09-08 이영기 Chip LED를 이용한 단추
KR20120106287A (ko) * 2011-03-18 2012-09-26 임병수 패션단추
KR20140008971A (ko) * 2012-07-13 2014-01-22 실버레이 주식회사 단추형 전기 및 통신용 커넥터
KR101437810B1 (ko) * 2014-01-27 2014-09-03 (주)아코플레닝 체인저블 핸드백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8031A (ko) * 2003-03-03 2004-09-08 이영기 Chip LED를 이용한 단추
KR20120106287A (ko) * 2011-03-18 2012-09-26 임병수 패션단추
KR20140008971A (ko) * 2012-07-13 2014-01-22 실버레이 주식회사 단추형 전기 및 통신용 커넥터
KR101437810B1 (ko) * 2014-01-27 2014-09-03 (주)아코플레닝 체인저블 핸드백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2390A (ko) * 2017-04-03 2018-10-12 이신열 사용편의성을 갖는 태양광 정원등
KR101991654B1 (ko) * 2017-04-03 2019-06-21 이신열 사용편의성을 갖는 태양광 정원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53260B1 (en) Convertible flashlight-headlamp
EP2811223B1 (en) Bicycle light
CN211526133U (zh) 具有可拆卸电筒的头灯
US7824062B2 (en) Illuminating device with optical element
US20170184260A1 (en) Portable Solar Light That Can Be Secured To Functional Accessories That Can Be Illuminated
US20110194276A1 (en) LED flashing annular ornament
US20150313329A1 (en) Proximity-Activated and Rechargeable Illuminated Jewelry
CN210241235U (zh) 可穿戴式照明装置
US20110164406A1 (en) Wearable article capable of illumination
EP1291577B2 (en) Small portable flashlight
US11802681B2 (en) Lighting system with detachable flashlight head
US20210215326A1 (en) Head lamp
US20160058102A1 (en) Luminous shoe
US6126291A (en) Umbrella having detachable illuminative grip
US10330295B1 (en) Swivel lamp
KR101600448B1 (ko) 패션잡화 부착용 액세서리
US20130083538A1 (en) Led lamp
JP2014094230A (ja) 発光ホックボタン
KR101433185B1 (ko) 헤드 램프
US6035447A (en) Halloween mask with flash device
JP3213864U (ja) 携帯型多機能発光装置
US10578258B1 (en) Removable illumination device for a button
US20170219191A1 (en) Clip light device for fitted mountings
CN204437721U (zh) 一种带usb电池包的手电筒
KR200481012Y1 (ko) 휴대용 led 조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