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9419B1 - Apparatus for dusting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dust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9419B1
KR101599419B1 KR1020150147199A KR20150147199A KR101599419B1 KR 101599419 B1 KR101599419 B1 KR 101599419B1 KR 1020150147199 A KR1020150147199 A KR 1020150147199A KR 20150147199 A KR20150147199 A KR 20150147199A KR 101599419 B1 KR101599419 B1 KR 1015994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main body
dust
passage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719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함장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리온햄프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리온햄프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리온햄프로
Priority to KR10201501471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941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94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941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0Domestic clean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3/00Cleaning footwear
    • A47L23/22Devices or implements resting on the floor for removing mud, dirt, or dust from footwear

Landscapes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usting device which makes pressure even lower than pressure of a conventional compressor in a high pressure blowing method to reduce a noise, which does not have to store air to rarely generate noise when the dusting device is not used, which freezes moisture to prevent an abnormal operation, and which installs a cooling device to effectively cool discharged 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usting device comprises: a high pressure air generating unit (100) which sucks external air from a first path (110) and discharges the air to a second path (120); a cooling unit (200) which cools the air discharged from the high pressure air generating unit (100); and an exhaust unit (300) through which the air cooled by the cooling unit (20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Description

먼지털이기{Apparatus for dusting}{Apparatus for dusting}

본 발명은 먼지털이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압축 공기의 힘을 이용하여 신발이나 의류 등에 붙은 흙먼지 등을 제거하는 데에 사용되는 먼지털이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ust hull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ust hull device used for removing dust and the like adhering to a shoe, clothing, or the like using the force of compressed air.

골프, 등산, 스키 또는 승마 등 야외 스포츠 활동을 한 후에는 의류나 신발 등에 각종 흙먼지와 이물질이 붙어 있어 그대로 다른 장소나 사람들에게 노출될 경우 오염물을 옮기게 되는 등 비위생적인 상황에 놓이게 된다.After an outdoor sports activity such as golf, mountain climbing, skiing or horse riding, various dusts and foreign matter are attached to clothing and shoes, so that when they are exposed to other places or people, they are moved to pollution.

따라서 등산로, 골프장, 스키장 또는 승마장 등의 출입구에는 몸에 붙은 이물질을 털어내기 위한 다양한 먼지털이기가 구비된다.Therefore, a variety of dust hairs are provided at the entrances of hiking trails, golf courses, ski slopes, or horse riding halls.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먼지털이기는 압축된 공기를 분사하는 방식이다.Generally, the dusty hairs that are widely used are injected compressed air.

여기에서 종래의 먼지털이기는 압축된 공기를 생성하기 위해 에어콤프레샤를 사용하게 되는데, 에어콤프레샤는 기계 특성상 작동소음이 심하고, 사용하지 않을 때에도 에어탱크의 압력이 설정압력 이하로 떨어지면 수시로 작동되어 지속적으로 소음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다.Here, a conventional dust hull uses an air compressor to generate compressed air. The air compressor has a high operating noise due to its mechanical characteristics. Even when not in use, when the pressure of the air tank drops below the set pressure, There is a problem that noise is generated.

또한, 종래의 먼지털이기는 공기를 압축하는 과정에서 수분이 발생하여 사용시 공기와 함께 물방울이 분사되는 경우가 빈번하여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주게되고, 겨울에는 에어라인에 수분이 동결되어 에어컨 사용을 하지 못하게 되는 상황이 빈번히 발생하게 된다.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dusty hairs, moisture is generated in the process of compressing air, and water droplets are often sprayed with air during use, which is uncomfortable to the user. In winter, the air is frozen in the air line, The situation occurs frequently.

물론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해 송풍기를 이용한 먼지털이기를 사용할 수 도 있다.Of course, to prevent this problem, a dust hovering machine using a blower may be used.

그러나 종래의 송풍기를 이용한 먼지털이기는 공기압축 과정에서 열이 심하게 발생하여 분사되는 공기가 너무 뜨겁고, 모터의 발열이 심해 장시간 사용이 어려우며, 고속회전 모터의 사용으로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dust blowing using a blower of the related art is severely heated in the air compression process, so that the air to be injected is too hot, the heat of the motor is so severe that it is difficult to use for a long time, and durability is deteriorated due to the use of a high-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58079호Korean Patent No. 10-1358079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고압 송풍기 방식으로 압력이 종래 콤프레샤에 비해 현저히 낮아 소음이 적으며, 에어를 저장할 필요가 없어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소음 발생이 거의 없고, 수분이 동결되어 작동 이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며, 냉각장치를 설치하여 토출 공기를 효과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는 먼지털이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 problems by providing a high pressure blower system in which the pressure i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a conventional compressor, So as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operation abnormality, and to provide a dust-removing device capable of effectively cooling the discharged air by providing a cooling devic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먼지털이기는, 제1통로(110)로부터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제2통로(120)로 배출시키는 고압공기생성수단(100); 상기 고압공기생성수단(100)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냉각시키는 냉각수단(200); 상기 냉각수단(200)에 의해 냉각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기수단(300); 을 포함한다.In order to attain the above object, the dust hul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high-pressure air generating means (100) for sucking outside air from a first passage (110) and discharging it to a second passage (120); Cooling means (200) for cooling air discharged from the high-pressure air generating means (100); An exhaust means (300) for exhausting the air cooled by the cooling means (200) to the outside; .

상기 냉각수단(200)은, 상기 제2통로(120)와 연결되어 내부로 공기가 이송되며, 나선형으로 절곡된 히트파이프(210);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히트파이프(210)로 배출시키는 냉각송풍기(220); 를 포함한다.The cooling unit 200 includes: a heat pipe 210 connected to the second passage 120 to transfer air to the inside thereof and spirally bent; A cooling blower 220 for sucking outside air and discharging the outside air to the heat pipe 210; .

상기 제2통로(120)와 연결되며, 상기 제2통로(120)로 이송되는 공기의 압력이 일정값 이상 상승하였을 때 개방되어 상기 제2통로(120)의 공기 압력을 낮추는 안전밸브(400); 를 더 포함한다.A safety valve 400 connected to the second passage 120 and opened when the pressure of the air delivered to the second passage 120 rises above a predetermined value to lower the air pressure of the second passage 120; ; .

하부에 상기 고압공기생성수단(100)이 수용되고, 상부에 상기 냉각수단(200)이 수용되는 본체(500); 상기 본체(500)의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본체(500)의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본체냉각기(600); 을 더 포함하되, 상기 본체(500)의 상부에는 상기 본체냉각기(600)의 작동시 외부 공기가 흡입되는 제1흡입구(510)가 형성되며, 상기 본체(500)의 내부에는 상기 본체냉각기(600)의 작동시 상기 제1흡입구(510)에서 흡입된 공기가 상기 본체(500)의 하부로 이동하여 상기 고압공기생성수단(100)을 지나 외부로 배출되도록 유도하는 분리판(550)이 구비된다.A main body 500 in which the high-pressure air generating means 100 is housed in a lower portion and the cooling means 200 is housed in an upper portion; A main body cooler 600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500 to discharge the air inside the main body 500 to the outside; A first suction port 510 through which external air is sucked in operation of the main body cooler 600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500 and the main cooler 600 A separator plate 550 for guiding the air sucked in the first suction port 510 to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500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high pressure air generating means 100 is provided .

바닥면에 지지되며, 하부로 먼지흡입구(710)가 개방 형성되는 발받침수단(700); 을 더 포함하되, 상기 발받침수단(700)의 상부에는 발디딤대(720)가 형성되고, 상기 먼지흡입구(710)의 하부에는 먼지유도판(730)이 경사지게 형성된다.A foot support means 700 supported on the bottom surface and having a dust inlet 710 opened to the bottom; And a dust guide plate 730 is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dust inlet 710 so that the dust guide plate 730 is inclined.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먼지털이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dust-hair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effects.

상기 고압공기생성수단(100)이 링브러워로 이루어져 소음이 적고, 상기 냉각수단(200)에 의해 상기 배기수단(300)으로 배출되는 공기를 상시 냉각시켜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공기의 온도가 높아지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안전밸브(400)에 의해 공기이송라인에 압력이 비정상적으로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발받침수단(700)의 하부에 먼지유도판(730)이 구비되어 먼지가 다시 위로 올라오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본체(500) 내부로 흡입된 공기가 적어도 한번 이상 방향을 전환하여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내부로 수분 및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발생 된다.The high-pressure air generating means 100 is made of a ring brush so that noises are small and the air discharged to the exhausting means 300 by the cooling means 200 is always cooled to prevent the temperature of the air from rising even if it is used for a long time And prevents the pressure of the air transfer line from rising abnormally by the safety valve 400. A dust guide plate 730 is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foot support means 700 so that dust And the air sucked into the main body 500 is moved at least once by shifting the direction to prevent moisture and foreign matter from being introduced into the insid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먼지털이기의 일방향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먼지털이기의 타방향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먼지털이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일방향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먼지털이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타방향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먼지털이기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밸브(400)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각수단(200)의 사시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ust-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other side of the dust-laden machin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one-direct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dust-laden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mbodiment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dust-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ust mo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safety valve 4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oling means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먼지털이기의 일방향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먼지털이기의 타방향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먼지털이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일방향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먼지털이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타방향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먼지털이기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밸브(400)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각수단(200)의 사시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ust-hair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ust-hair machin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ust mo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ust mo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oling unit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먼지털이기는 고압공기생성수단(100), 냉각수단(200), 배기수단(300), 안전밸브(400), 본체(500), 본체냉각기(600), 발받침수단(700), 방진수단(800) 및 제어수단(900)으로 이루어진다.1 to 6, a dust hu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igh-pressure air generating unit 100, a cooling unit 200, an exhaust unit 300, a safety valve 400, a main body 500 A main body cooler 600, a foot supporting means 700, a vibration preventing means 800, and a control means 900.

상기 고압공기생성수단(100)은 통상적인 링브로워(Ring Blower)로서, 공기를 흡입하여 고압으로 배출하는 기계장치이며, 구체적으로 모터의 힘을 이용해 임펠러를 회전시켜 저유량 및 고압력의 공기를 생성한다.The high-pressure air generating means 100 is a conventional ring blower, which is a mechanical device that sucks air and discharges the air at a high pressure. Specifically, the impeller is rotated using the force of a motor to generate air having a low flow rate and high pressure do.

이러한 상기 고압공기생성수단(100)은 후술할 상기 본체(500)의 하부에 수용되며, 일단이 외부 공기를 흡입하는 제1통로(110)와 연결되고, 타단이 생성된 고압의 공기를 배출하는 제2통로(120)와 연결된다.The high-pressure air generating means 100 is accommodated in a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500 to be described later. The high-pressure air generating means 100 is connected to a first passage 110 through which one end sucks external air, And is connected to the second passage 120.

여기에서 외부 공기를 흡입하는 상기 제1통로(110)는, 도 3 및 도 4에 도 시된 바와 같이, 외부 공기의 흡입시 이물질을 여과시키기 위해 후술할 상기 본체(500)의 흡입필터부(560)와 연결된다.3 and 4, the first passage 110 for sucking the outside air includes a suction filter unit 560 of the main body 5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for filtering foreign substances when sucking outside air, ).

또한, 상기 고압공기생성수단(100)에서는 공기를 생성하는 과정에 열이 발생하게 되어 생성된 공기의 온도가 상승하게 되며, 이러한 공기의 온도를 낮추기 위해 상기 냉각수단(200)이 구비된다.In addition, in the high-pressure air generating unit 100, heat is generated in the process of generating air, so that the temperature of the generated air is increased. In order to lower the temperature of the air, the cooling unit 200 is provided.

상기 냉각수단(20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압공기생성수단(100)의 상부에 배치되며, 구체적으로 히트파이프(210)와 냉각송풍기(220)로 이루어진다.3 and 4, the cooling unit 200 is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high-pressure air generating unit 100, and specifically includes a heat pipe 210 and a cooling blower 220.

상기 히트파이프(210)는 내부에 통로가 형성된 관이며, 일단이 상기 제2통로(120)와 연결되고 타단이 후술할 상기 배기수단(300)과 연결된다.One end of the heat pipe 210 is connected to the second passage 120 and the other end of the heat pipe 210 is connected to the exhaust means 3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또한, 상기 히트파이프(210)는 상하 방향으로 복수 회 나선형으로 절곡 형성된다. 즉, 일반 코일스프링과 같이 똬리를 튼 형태이며, 좌우로 긴 유선형의 나선을 따라 꼬인 형태이다.Further, the heat pipe 210 is formed in a spiral shape bending a plurality of times in the vertical direction. That is, it is shaped like a general coil spring, and it is twisted along a long streamline spiral to the left and right.

이러한 상기 히트파이프(210)는 열전달율이 높은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지며, 경우에 따라 철 또는 스텐리스 등 다양하게 사용 가능하다.The heat pipe 210 is made of an aluminum material having a high heat conductivity, and can be used in various ways such as iron or stainless steel depending on the case.

또한, 경우에 따라 상기 히트파이프(210)의 형상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의 나선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지그재그 형상으로 꼬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In some cases, the shape of the heat pipe 210 may be a circular spiral shape as shown in FIG. 7 or a twisted shape in a zigzag shape.

이와 같이 상기 히트파이프(210)는 나선형으로 복수 회 절곡 형성됨으로써, 내부를 통과하는 공기와의 접촉을 증가시켜 공기의 열을 신속하게 외부로 배출시키며, 온도를 신속하게 낮추도록 하는 효과가 발생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heat pipe 210 is formed by bending a plurality of times in a spiral manner, thereby increasing the contact with the air passing through the inside of the heat pipe 210 so that the heat of the air is quickly discharged to the outside and the temperature is rapidly lowered .

상기 냉각송풍기(220)는 상기 히트파이프(210)의 하부에 배치되며,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히트파이프(210)로 배출시켜 상기 히트파이프(210)의 열을 냉각시킨다.The cooling blower 220 is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the heat pipe 210. The cooling blower 220 sucks external air and discharges the heat to the heat pipe 210 to cool the heat pipe 210. [

이러한 상기 냉각송풍기(220)는 통상적인 팬 타입의 송풍기이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할 상기 본체(500)의 후방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상부로 배출하게 된다.The cooling blower 220 is a conventional fan-type blower. As shown in FIG. 5, the cooling blower 220 sucks air from the rear of the main body 500 to be described later and discharges the air to the upper side.

한편, 상기 배기수단(300)은 통상적인 에어호스(310)와 에어건(320)으로 이루어지며, 후술할 상기 제어수단(900)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히트파이프(210)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선택적으로 배출시키게 된다.The exhaust means 300 includes a conventional air hose 310 and an air gun 320. The exhaust means 300 selectively controls the air discharged from the heat pipe 21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means 900, .

여기에서 상기 에어호스(310)는 일단이 상기 히트파이프(210)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에어건(320)과 연결된다.The air hose 310 has one end connected to the heat pipe 210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air gun 320.

또한, 상기 에어호스(310)는 플렉시블한 재질로 구성되어 상기 에어건(320)을 사용자가 원하는 부위에 대고 사용할 수 있도록 방향 전환 및 이동이 용이하다.Also, the air hose 310 is made of a flexible material, and it is easy to change direction and move so that the air gun 320 can be used by a user.

한편, 상기 안전밸브(400)는 상기 제2통로(120)와 연결되어 상기 제2통로(120)로 이송되는 공기의 압력이 일정값 이상 상승하였을 때 개방되어 상기 제2통로(120)의 공기 압력을 낮추는 장치이다.The safety valve 400 is connected to the second passage 120 and opens when the pressure of the air delivered to the second passage 120 rises by a predetermined value or more, It is a pressure reducing device.

구체적으로 상기 안전밸브(400)는 상기 제2통로(120)의 중간 부분에서 분기되는 밸브통로(410)와, 상기 밸브통로(410)의 끝단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밸브추(420)로 이루어진다.Specifically, the safety valve 400 includes a valve passage 410 branched from an intermediate portion of the second passage 120, and a valve stem 420 mounted vertically movably at an end of the valve passage 410 .

상기 밸브통로(410)는 상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단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된다.The valve passage 410 is formed to be long in the upward direction and open at the top.

상기 밸브추(420)는 상기 공기이송장치가 정상적으로 작동할 때에는 상기 밸브통로(410)를 폐쇄하도록 일정한 무게를 갖으며, 상기 에어호스(310)가 막히는 등 상기 제2통로(120)의 내부 압력이 갑작스럽게 상승하게 되면, 상기 밸브추(420)는 공기 압력에 의해 상승하게 되어 상기 밸브통로(410)를 개방하게 된다.The valve stem 420 has a predetermined weight to close the valve passage 410 when the air conveyance apparatus is normally operated and the valve stem 420 is closed by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second passage 120, The valve stem 420 is lifted by the air pressure to open the valve passage 410.

이와 같이 상기 제2통로(120)의 내부 압력이 일정값 이상 상승할 때 상기 제2통로(120)를 개방시키는 상기 안전밸브(400)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고압공기생성수단(100)이 과부하에 의해 고장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발생 된다.The safety valve 400 opens the second passage 120 whe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second passage 120 rises by a predetermined value or more. As a result, the high-pressure air generating unit 100 is overload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malfunctions and to improve the durability.

또한, 상기 안전밸브(400)는 상기 밸브추(420)의 자체 무게에 의해 상기 밸브통로(410)를 개폐함으로써, 종래 스프링 방식의 밸브의 단점인 노후로 인한 오작동 발생과 이로 인한 이물질 유입으로 빈번한 고장 발생 문제를 해결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safety valve 400 opens and closes the valve passage 410 by the own weight of the valve stem 420, thereby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malfunction due to aging, which is a disadvantage of conventional spring type valves, There is an effect of solving the problem of occurrence of trouble.

한편, 상기 본체(500)는 대략 상하로 긴 직육면체 형상의 하우징으로, 내부에는 상기 고압공기생성수단(100), 상기 냉각수단(200), 상기 안전밸브(400)가 수용된다.The main body 500 is a vertically long rectangular parallelepiped housing, and the high-pressure air generating unit 100, the cooling unit 200, and the safety valve 400 are accommodated therein.

구체적으로 상기 본체(500)의 하부에는 상기 고압공기생성수단(100)이 수용되고, 상부에는 상기 냉각수단(200)이 수용된다.Specifically, the high-pressure air generating means 100 is accommodated in a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500, and the cooling means 200 is accommodated in an upper portion thereof.

여기에서 상기 본체(500)의 상부에는 상기 본체냉각기(600)의 작동시 외부 공기가 흡입되는 제1흡입구(510)가 형성되며, 중간부분에는 상기 냉각송풍기(220)의 작동시 외부 공기가 흡입되는 제2흡입구(520)가 형성된다.In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500, a first suction port 510 through which the outside air is sucked in operation of the main body cooler 600 is formed, and in the middle part, when the cooling blower 220 operates, The second suction port 520 is formed.

여기에서 상기 제2흡입구(520)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는 상기 제1통로(110)를 통해 상기 고압공기생성수단(100)으로 유입되는 공기와, 후술할 상기 본체냉각기(600)에 의해 상기 본체(500)의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이다.The air sucked through the second suction port 520 flows through the first passage 110 into the high pressure air generating means 100 and the main body cooler 600, (500).

또한, 상기 본체(500)의 하부에는 후슬할 상기 본체냉각기(600)의 작동시 내부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제1배출구(530)가 형성되고, 상기 제1흡입구(510)와 상기 제2흡입구(520) 사이에는 상기 냉각송풍기(220)의 작동시 상기 히트파이프(210)를 열을 흡수한 공기가 배출되는 제2배출구(540)가 형성된다.A first outlet 530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500 to discharge the internal air to the outside during operation of the main body cooler 600. The first inlet 510 and the second inlet A second outlet 540 through which the heat absorbed by the heat pipe 210 is discharged when the cooling blower 220 operates.

또한, 상기 본체(500)의 내부에는 상기 본체냉각기(600)의 작동시 상기 제1흡입구(510)에서 흡입된 공기가 상기 본체(500)의 하부로 이동하여 상기 고압공기생성수단(100)을 지나 외부로 배출되도록 유도하는 분리판(550)이 구비된다,The air sucked from the first suction port 510 moves to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500 during operation of the main body cooler 600 so that the high- And a separation plate 550 for guiding the liquid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상기 분리판(55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할 상기 본체냉각기(600)의 작동시 상기 제1흡입구(510)에서 흡입된 공기가 상기 냉각수단(200)을 거치지 않고 바로 상기 고압공기생성수단(100)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공기를 유도하고 공간을 분리하는 기능을 한다.5, when the main body cooler 6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operates, the air drawn in from the first suction port 510 flows into the separator 550 through the cooling unit 200, Pressure air generation means 100, and separates the space.

이와 같이 상기 본체(500)의 내부에 상기 고압공기생성수단(100)의 냉각을 위한 공기유로와 상기 히트파이프(210)의 냉각을 위한 공기 유로를 분리하기 위한 상기 분리판(550)이 구비됨으로써, 공기가 서로 간섭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효율적인 냉각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발생 된다.The separation plate 550 for separating the air flow path for cooling the high pressure air generating means 100 and the air flow path for cooling the heat pipe 210 is provided in the main body 500 , The air is minimized from interfering with each other, and efficient cooling is achieved.

또한, 상기 본체(500)에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흡입구(520)에 배치되어 상기 제2흡입구(520)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의 이물질을 여과하기 위한 흡입필터부(560)가 구비된다.3 and 4, the main body 500 is provided with a suction filter (not shown) disposed in the second suction port 520 for filtering foreign substances of air sucked through the second suction port 520, A portion 560 is provided.

상기 흡입필터부(560)는 철망 필터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통로(110)를 통해 상기 고압공기생성수단(100)으로 흡입되는 공기와 후술할 상기 본체냉각기(600)에 의해 상기 본체(500)의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를 필터링 한다.The suction filter unit 560 is formed of a wire mesh filter and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500 by the air sucked into the high pressure air generating unit 100 through the first passage 110 and the main body cooler 600 And the air is sucked into the inside of the filter.

상기 본체냉각기(600)는 통상적인 팬 타입의 송풍기로서, 상기 제1배출구(530)에 배치되며, 작동시 상기 제1흡입구(510)로 공기가 흡입되어 상기 고압공기생성수단(100)을 거쳐 상기 제1배출구(53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한다.The main body cooler 600 is a conventional fan-type blower, and is disposed at the first outlet 530. In operation, air is sucked into the first suction port 510, An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first outlet 530.

한편, 상기 발받침수단(700)은 사용자가 딛고 서 있을 수 있을 정도로 넓고 납작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본체(500)의 하부에 장착되고, 바닥면에 지지된다.On the other hand, the foot support means 700 is formed to have a wide and flat shape so that the user can stand on it, and is mount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500 and is supported on the floor.

이러한 상기 발받침수단(700)에는 하부로 먼지흡입구(710)가 개방 형성되어 상기 발받침수단(700)에 서서 먼지를 털 경우, 떨어진 먼지가 밑으로 빠지게 된다.When the dust receiving port 710 is opened to the bottom of the foot supporting means 700 and the dust is stood on the foot supporting means 700, the dropped dust falls downward.

또한, 상기 발받침수단(700)의 상부에는 발디딤대(720)가 형성된다.A footstock 720 is formed on the footrest unit 700.

상기 발디딤대(720)는 'ㄷ'자 형상으로 절곡된 봉 형상이며, 양 끝단이 상기 발받침수단(700)의 상부에 고정되어 세워지게 배치된다.The legrest base 720 is a rod bent in a 'C' shape, and both ends of the legrest base 720 are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ootrest unit 700 and are erected.

이러한 상기 발디딤대(720)는 한쪽 발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하여 신발 밑을 털 경우 사용을 편리하게 하는 효과가 발생 된다.The leg rest 720 can be used to put one leg on the foot so that the leg rest 720 can be easily used when the leg is worn under the shoes.

또한, 상기 먼지흡입구(710)의 하부에는 먼지유도판(730)이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발디딤대(720)의 후방으로는 먼지배출구(740)가 형성된다.A dust guide plate 730 is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dust inlet 710 and a dust outlet 740 is formed at a rear portion of the guide plate 720.

여기에서 상기 먼지유도판(730)은 상기 먼지배출구(740)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먼지흡입구(710)를 통해 밑으로 떨어지는 먼지가 상기 먼지배출구(740)로 이동하도록 유도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The dust guide plate 730 is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dust outlet 740 to guide the dust falling downward through the dust inlet 710 to the dust outlet 740 .

이와 같이 상기 먼지흡입구(710)의 하부에 상기 먼지유도판(730)이 구비됨으로써, 먼지를 상기 먼지배출구(74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여 주변을 깔끔하게 쉽게 정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발생 된다.The dust guide plate 730 is disposed below the dust inlet 710 so that the dust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ust outlet 740 to clean the surroundings neatly.

또한, 상기 배기수단(300)으로 상기 먼지를 아래로 불어내면 먼지가 상기 먼지유도판(730)을 따라 흘러 상기 먼지배출구(740)로 배출되며, 이로 인해 상기 발받침수단(700)의 하부에 먼지가 쌓여 불어낸 먼지가 다시 위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When the dust is blown down by the exhaust means 300, the dust flows along the dust guide plate 730 and is discharged to the dust outlet 740, whereby the dust is guid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oot support means 700 It has an effect of preventing the dust blown up by the accumulation of dust from being discharged upward again.

한편, 상기 고압공기생성수단(100)의 하부에는 상기 방진수단(800)이 구비된다.On the other hand, the dustproof means 800 is provided below the high-pressure air generating means 100.

상기 방진수단(800)은 고무 재질로 이루어지며,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4개로 이루어져 상기 고압공기생성수단(100)의 하부에 상호 이격되게 장착된다.The dust-proofing means 800 is made of a rubber material and has a cylindrical shape. The dust-proofing means 800 is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high-pressure air generating means 100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이러한 상기 방진수단(800)은 상기 고압공기생성수단(100)의 작동시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하여 외부로 소음 및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한다. The dust-proofing means 800 absorbs vibration generated during operation of the high-pressure air generating means 100 and minimizes the transmission of noise and vibration to the outside.

상기 제어수단(900)은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선택적으로 상기 고압공기생성수단(100)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쉽게 조작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500)의 상부 전방에 배치된다.The control means 900 selectively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high-pressure air generating means 100 by the operation of a switch, and is disposed in an upper front portion of the main body 500 so that the user can easily operate the device.

위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먼지털이기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수단(900)에 의해 상기 고압공기생성수단(100)이 작동되면, 상기 제1통로(110)로부터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제2통로(120)로 고압의 공기가 배출된다.4, when the high-pressure air generating means 100 is actuated by the control means 900, the dust hair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And the high-pressure air is discharged to the second passage 120. [0054]

고압공기는 상기 히트파이프(210)를 거쳐 상기 배기수단(30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Pressure ai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exhaust pipe (210) and the exhaust means (300).

여기에서 상기 고압공기생성수단(100)의 작동과 동시에 상기 히트파이프(210)의 하부에 배치된 상기 냉각송풍기(220)가 작동되며, 상기 제2흡입구(520)를 통해 흡입된 공기는 상기 히트파이프(210)의 하부에서 상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히트파이프(210)를 냉각시키고, 이후 상기 제2배출구(540)로 다시 배출된다.At the same time as the operation of the high-pressure air generating means 100, the cooling blower 220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the heat pipe 210 is operated, and the air sucked through the second suction port 520 is supplied to the heat- The heat pipe 210 is cooled while moving upwar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pipe 210, and then discharged to the second outlet 540 again.

여기에서 상기 제2흡입구(520)를 통해 흡입된 공기는 상기 히트파이프(210)로 바로 흡입되지 않고 상방향으로 방향을 전환하여 이동하게 되는데, 이는 공기의 이동시 외부의 이물질 및 수분이 내부로 흡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Here, the air sucked through the second suction port 520 is not directly sucked into the heat pipe 210 but is shifted upward to move. This is because foreign substances and moisture in the air are sucked in .

또한, 상기 고압공기생성수단(100)의 작동과 동시에 상기 압축공기생성수단 및 본체(500) 내부의 전체적인 온도를 낮추기 위하여 상기 본체냉각기(600)가 작동되며, 상기 본체냉각기(600)가 작동되면 상기 제1흡입구(510)를 통해 상부에서 외부 공기가 흡입되며, 흡입된 공기가 하부로 이동하면서 상기 본체(500) 내부를 냉각시키고, 이후 상기 고압공기생성수단(100)을 지나면서 상기 고압공기생성수단(100)을 냉각시킨 후 상기 제1배출구(530)로 배출된다.Also, the main body cooler 600 is operated to lower the overall temperature of the compressed air generating means and the main body 500 simultaneously with the operation of the high-pressure air generating means 100, and when the main cooler 600 is operated The outside air is sucked from the upper part through the first suction port 510 and the sucked air moves down to cool the inside of the main body 500 and then passes through the high pressure air generating means 100, After cooling the generating means 100, is discharged to the first outlet 530.

여기에서 상기 제1흡입구(510)를 흡입된 공기는 하방향으로 방향을 전환한 후 다시 후방으로 방향을 전환하여 상기 고압공기생성수단(100)을 지나가게 되는데, 이는 공기의 이동시 외부의 이물질 및 수분이 내부로 흡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In this case, the air sucked into the first suction port 510 is diverted to a downward direction, and then is switched backward to pass through the high-pressure air generating means 100, Thereby preventing moisture from being sucked into the inside.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먼지털이기는 상기 고압공기생성수단(100)이 링브러워로 이루어져 소음이 적고, 상기 냉각수단(200)에 의해 상기 배기수단(300)으로 배출되는 공기를 상시 냉각시켜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공기의 온도가 높아지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안전밸브(400)에 의해 공기이송라인에 압력이 비정상적으로 상승하는 것을방지하며, 상기 발받침수단(700)의 하부에 먼지유도판(730)이 구비되어 먼지가 다시 위로 올라오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본체(500) 내부로 흡입된 공기가 적어도 한번 이상 방향을 전환하여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내부로 수분 및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발생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dust-hood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high-pressure air generating means 100 is made of a ring brush so that the noise is small and the air discharged to the exhausting means 300 by the cooling means 200 is constantly And prevents the temperature of the air from being increased even if the air conditioner is used for a long period of time. The safety valve (400) prevents an abnormal rise of pressure on the air conveyance line, and a dust guide plate 730 are provided to prevent the dust from rising upward and the air sucked into the main body 500 is shifted at least once by shifting the direction to prevent moisture and foreign matter from being introduced in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500 .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부속 청구 범위의 사상 및 영역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여러 형태로 변형 실시될 수 있으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영역 내에 있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something to do.

100 : 고압공기생성수단 110 : 제1통로
120 : 제2통로 200 : 냉각수단
210 : 히트파이프 220 : 냉각송풍기
300 : 배기수단 310 : 에어호스
320 : 에어건 400 : 안전밸브
410 : 밸브통로 420 : 밸브추
500 : 본체 510 : 제1흡입구
520 : 제2흡입구 530 : 제1배출구
540 : 제2배출구 550 : 분리판
600 : 본체냉각기 700 : 발받침수단
710 : 먼지흡입구 720 : 발디딤대
730 : 먼지유도판 740 : 먼지배출구
800 : 방진수단 900 : 제어수단
100: high-pressure air generating means 110: first passage
120: second passage 200: cooling means
210: heat pipe 220: cooling blower
300: exhaust means 310: air hose
320: Airgun 400: Safety valve
410: valve passage 420: valve stem
500: main body 510: first intake port
520: second inlet port 530: first outlet port
540: Second outlet 550: Split plate
600: body cooler 700: footrest means
710: dust inlet 720: footstool
730: dust guide plate 740: dust outlet
800: Dustproofing means 900: Control means

Claims (5)

제1통로(110)로부터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제2통로(120)로 배출시키는 고압공기생성수단(100);
상기 고압공기생성수단(100)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냉각시키는 냉각수단(200;)
상기 냉각수단(200)에 의해 냉각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기수단(300);
하부에 상기 고압공기생성수단(100)이 수용되고, 상부에 상기 냉각수단(200)이 수용되는 본체(500);
상기 본체(500)의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본체(500)의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본체냉각기(600);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500)의 상부에는 상기 본체냉각기(600)의 작동시 외부 공기가 흡입되는 제1흡입구(510)가 형성되며,
상기 본체(500)의 내부에는 상기 본체냉각기(600)의 작동시 상기 제1흡입구(510)에서 흡입된 공기가 상기 본체(500)의 하부로 이동하여 상기 고압공기생성수단(100)을 지나 외부로 배출되도록 유도하는 분리판(55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털이기.
High-pressure air generating means 100 for sucking the outside air from the first passage 110 and discharging the outside air to the second passage 120;
A cooling means (200) for cooling air discharged from the high-pressure air generating means (100)
An exhaust means (300) for exhausting the air cooled by the cooling means (200) to the outside;
A main body 500 in which the high-pressure air generating means 100 is housed in a lower portion and the cooling means 200 is housed in an upper portion;
And a main cooler (600) mounted on a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500) and discharging the internal air of the main body (500) to the outside,
A first suction port 510 is formed in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500 to allow external air to be sucked in operation of the main body cooler 600,
The air sucked from the first suction port 510 moves to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500 during operation of the main body cooler 600 and flows into the main body 500 through the high- And a separating plate (550) for guiding the discharged air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단(200)은,
상기 제2통로(120)와 연결되어 내부로 공기가 이송되며, 나선형으로 절곡된 히트파이프(210);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히트파이프(210)로 배출시키는 냉각송풍기(2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털이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oling means (200)
A heat pipe 210 connected to the second passage 120 to transfer air into the first passage 120 and bent in a helical shape;
A cooling blower 220 for sucking outside air and discharging the outside air to the heat pipe 210; Wherein the dust-removing device compris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통로(120)와 연결되며, 상기 제2통로(120)로 이송되는 공기의 압력이 일정값 이상 상승하였을 때 개방되어 상기 제2통로(120)의 공기 압력을 낮추는 안전밸브(40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털이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safety valve 400 connected to the second passage 120 and opened when the pressure of the air delivered to the second passage 120 rises above a predetermined value to lower the air pressure of the second passage 120; ; Further comprising: a dust hull.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바닥면에 지지되며, 하부로 먼지흡입구(710)가 개방 형성되는 발받침수단(700); 을 더 포함하되,
상기 발받침수단(700)의 상부에는 발디딤대(720)가 형성되고, 상기 먼지흡입구(710)의 하부에는 먼지유도판(730)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털이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foot support means 700 supported on the bottom surface and having a dust inlet 710 opened to the bottom; , ≪ / RTI >
A footstool (720) is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foot support means (700), and a dust guide plate (730) is formed at an underside of the dust suction port (710).
KR1020150147199A 2015-10-22 2015-10-22 Apparatus for dusting KR10159941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7199A KR101599419B1 (en) 2015-10-22 2015-10-22 Apparatus for dust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7199A KR101599419B1 (en) 2015-10-22 2015-10-22 Apparatus for dust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9419B1 true KR101599419B1 (en) 2016-03-03

Family

ID=55535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7199A KR101599419B1 (en) 2015-10-22 2015-10-22 Apparatus for dust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9419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7322B1 (en) 2018-08-27 2019-11-21 김응국 Dust removing apparatus for outdoor
KR20200012569A (en) 2018-07-27 2020-02-05 김응진 Dust removing apparatus for outdoor
KR20220161524A (en) 2021-05-29 2022-12-06 이상익 Apparatus for removing dust from clothing and cleaning shoes for outdoor facilitie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85108A (en) * 1989-12-13 1991-08-13 Chisso Corp Polypropylene fiber and nonwoven cloth
JPH07866A (en) * 1993-06-17 1995-01-06 Marubeni Setsubi Kk Device for conveying and scattering particle of snow and ice
KR960011501U (en) * 1994-09-01 1996-04-15 Air Compressor with Air Gun
KR200373866Y1 (en) * 2004-06-25 2005-01-21 김현동 The moisture remove apparatus for air compressor
KR101358079B1 (en) 2013-11-04 2014-02-04 차순호 Blowe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85108A (en) * 1989-12-13 1991-08-13 Chisso Corp Polypropylene fiber and nonwoven cloth
JPH07866A (en) * 1993-06-17 1995-01-06 Marubeni Setsubi Kk Device for conveying and scattering particle of snow and ice
KR960011501U (en) * 1994-09-01 1996-04-15 Air Compressor with Air Gun
KR200373866Y1 (en) * 2004-06-25 2005-01-21 김현동 The moisture remove apparatus for air compressor
KR101358079B1 (en) 2013-11-04 2014-02-04 차순호 Blowe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2569A (en) 2018-07-27 2020-02-05 김응진 Dust removing apparatus for outdoor
KR102047322B1 (en) 2018-08-27 2019-11-21 김응국 Dust removing apparatus for outdoor
KR20220161524A (en) 2021-05-29 2022-12-06 이상익 Apparatus for removing dust from clothing and cleaning shoes for outdoor faciliti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9419B1 (en) Apparatus for dusting
US9095245B2 (en)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20190104898A1 (en) Hand vacuum cleaner
US20180087493A1 (en) Compression unit for a volumetric compressor without lubrification
US20100269288A1 (en) Upright type vacuum cleaner
CN107110526A (en) Dehydrating unit and the multi-function device for dehumidifying or humidifying
KR100934316B1 (en) Household dehumidifier wi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KR100597548B1 (en) Vacuum cleaner
CA2582354A1 (en) Fryer
US20130160800A1 (en) Air conditioner condenser coil cleaning: Method, combination, apparatus
US6105201A (en) Shoe cleaning device
RU2596962C1 (en) External unit for cooling device
KR20070112330A (en) Air conditioner
JP2002318051A (en) Cooling equipment
CN107642125A (en) Semiconductor-air water-making machine
CN104748274A (en) Outdoor air cooler
KR102074767B1 (en) A filterless cleaning apparatus for hot and cool air
CN208370840U (en) A kind of preserved fruit drains machine
CN110192808B (en) Vertical dust collector
CN208755852U (en) A kind of computer laboratory dust-extraction unit
CN102793515A (en) Cyclone dust collector flow channel structure
KR200373866Y1 (en) The moisture remove apparatus for air compressor
CN109224674B (en) Dust collector is used in processing of elasticity lining base cloth
KR20040035658A (en) The moisture remove apparatus for air compressor
CN110332737A (en) A kind of condenser of the central air-conditioning with automatic gas-liquid separ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