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8290B1 - Filtering system for wastewater - Google Patents

Filtering system for wastewa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8290B1
KR101598290B1 KR1020140103813A KR20140103813A KR101598290B1 KR 101598290 B1 KR101598290 B1 KR 101598290B1 KR 1020140103813 A KR1020140103813 A KR 1020140103813A KR 20140103813 A KR20140103813 A KR 20140103813A KR 101598290 B1 KR101598290 B1 KR 1015982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ration
filtrate
waste water
wastewater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381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019270A (en
Inventor
박성배
Original Assignee
박성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배 filed Critical 박성배
Priority to KR10201401038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8290B1/en
Publication of KR201600192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927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82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829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02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 B01D24/2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the filtering material being provided in an open contain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logical Treatment Of Waste Water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수 저장부, 상기 폐수 저장부의 폐수를 정화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여과부 및 상기 여과부를 통한 여과물이 보관되는 여과물 저장부를 포함하는 폐수 여과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stewater filtration apparatus including a wastewater storage section, a plurality of filtration sections for purifying wastewater in the wastewater storage section, and a filtrate storage section for storing filtrate through the filtration section.

Description

폐수 여과 장치{Filtering system for wastewater} {Filtering system for wastewater}

본 발명은 폐수 여과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축사폐수와 같은 각종 폐수를 여과 충진재를 통과하게 하여 정화시킬 수 있는 폐수 여과 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stewater filtration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wastewater filtration apparatus capable of purifying various wastewater such as housing wastewater through a filtration filler.

산업이 고도화됨에 따라 축산 농가의 대규모화가 증가하는 추세이며, 이에 따른 축산 농가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은 토양오염 및 수질오염을 일으키는 주된 요인으로 그 영향이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최근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에서도 축산분뇨처리시설을 설치하여 가동 중에 있으며, 축산 농가에서 발행하는 이러한 폐기물을 처리하기 위한 각종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As the industry becomes more sophisticated, large-scale increase of livestock farming is on the rise, and the wastes generated from livestock farming are the main factors causing soil pollution and water pollution. Recently,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the government has installed a livestock manure treatment facility and various devices for treating such waste produced by livestock farmers are being developed.

축산분뇨처리시설에 관한 선행기술로는 한국공개특허 제 2013-0065298호가 있다. 상기 선행문헌은 농축배양 슬러지를 이용한 하수 및 유기성 폐수의 무악취화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전처리수단, 생물학적 고도처리수단, 후처리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생물학적 고도처리수단은 생물반응조와 제1 농축기와 배양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농축기에 의해 생성된 농축슬러지는 상기 배양조에서 배양되어 농축배양 슬러지 형태로 공급되는 하수 및 유기성 폐수의 처리시스템에 관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축산분뇨처리시설은 설치 시 시설의 규모가 매우 커질 수밖에 없고 시공비와 유지관리 비용이 비싸다는 단점이 있다. A prior art related to an animal manure treatment facility is Korean Laid-Open Patent Application No. 2013-0065298. The prior art document relates to a system for treating municipal sewage and organic wastewater using enrichment culture sludge, comprising a pretreatment means, a biological altitude treatment means, and a post treatment means, wherein the biological altitude treatment means comprises a biological reactor and a first concentrator A concentrated sludge produced by the first concentrator is cultivated in the culture tank and supplied in the form of concentrated culture sludge. However, the above-mentioned livestock manure treatment facility has a disadvantage that the size of the facility is very large when installed, and the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costs are expensive.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첫 번째 과제는 축산농가에서 발생한 폐수를 처리하기 위한 장치로서 장치의 구성이 간단하여 설치가 용이하고, 장치의 규모를 소형화할 수 있는 폐수 여과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Therefore, a first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stewater filtration apparatus for treating wastewater generated in a livestock farm, which is simple in construction and easy to install, and capable of downsizing the scale of the apparatus.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두 번째 과제는 여과 충진재를 이용하여 폐수를 정화시키고, 정화된 여과물과 정화되지 못한 폐수를 분리하여 배출할 수 있는 폐수 여과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A second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stewater filtration apparatus capable of purifying wastewater by using a filtration filler and separating and purifying the purified filtrate and undissolved wastewater.

본 발명은 상기 첫 번째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폐수 저장부와, 상기 폐수 저장부의 폐수를 정화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여과부와, 상기 여과부를 통한 여과물이 보관되는 여과물 저장부를 포함하는 폐수 여과 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waste water filtration apparatus including a waste water storage unit, a plurality of filtration units for purifying wastewater in the waste water storage unit, and a filtrate storage unit for storing filtrate through the filtration unit. Lt; / RTI >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여과부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폐수가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거름통과, 상기 거름통 내부에 채워진 여과 충진재와, 상기 여과 충진재 내부에 상기 거름통의 길이 방향으로 삽입되고 상기 여과 충진재를 통과한 여과물이 이동하는 경로를 제공하는 통과할 수 있는 구멍이 구비된 여과물이 이동할 수 있는 여과물 이동관과, 상기 거름통의 일측에 형성되고 정화되지 못한 폐수를 상기 폐수 저장부 또는 다른 여과부로 재순환시키기 위한 폐수 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ltration unit includes a filtration tank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providing a space through which waste water can be moved, a filtration packing material filled in the filtration tank, A filtrate moving pipe through which a filtrate having a through hole for providing a path through which the filtrate passed through the filtration packing material can move can be moved and a wastewater which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filtration tank and is not purified, And a waste water discharge portion for recirculating the waste water to the filtration portion or other filtration portion.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거름통은 상기 폐수 배출부 쪽으로 기울어져 있을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lter can be inclined toward the waste water discharge por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여과물 이동관은 여과물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파이프와 상기 파이프의 하부에 형성되고, 여과물이 통과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구멍 및 상기 파이프의 외부면 또는 내부면을 둘러싸고 있는 거름망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ltrate moving pipe is provided with a pipe for providing a moving path of the filtrate and at least one hole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pipe through which the filtrate can pass, And a sieve surrounding the inner surface.

본 발명은 상기 두 번째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이물질이 포함된 폐수를 정화하기 위한 폐수 여과 장치에 있어서, 폐수가 여과 충진재가 채워진 소정의 공간을 통과하면서 여과가 이루어지고, 상기 여과 충진재가 채워진 소정의 공간에는 여과물이 선택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여과물 이동관이 충진재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으며, 여과가 이루어지지 못한 폐수와 여과가 이루어진 여과물이 분리되어 배출되고, 상기 여과가 이루어지지 못한 폐수는 다시 상기 여과 충진재가 채워진 소정의 공간으로 재투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 여과 장치를 제공한다. In order to accomplish the second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aste water filtration apparatus for purifying wastewater containing foreign matter, the waste water filtration apparatus comprising: a waste water filtration apparatus which performs filtration while passing waste water through a predetermined space filled with the filtration filler material, Wherein a filtrate moving pipe through which a filtrate can be selectively moved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filler material, and the wastewater which is not filtrated and the filtrate which has been filtered are separated and discharged, And the filtration filler is reintroduced into a predetermined space filled with the filtration filler.

본 발명의 폐수 여과 장치는 아래의 효과를 가진다. The waste water filtra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1. 본 발명은 장치의 구성이 간단하여 설치가 용이하다. 1. The present invention is easy to install because of its simple structure.

2. 적어도 하나의 여과부를 각각 높이가 다르게 하여 설치하기 때문에, 폐수가 별도의 동력없이 각각의 여과부를 통과할 수 있다. 2. Since at least one filtration unit is provided with different heights, the wastewater can pass through each filtration unit without any additional power.

3. 본 발명은 폐수의 정화가 이루어지는 공간에 여과 충진재를 채워 사용하는 장치로, 폐수의 오염도에 따라 여과 충진재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으며, 여과 충진재의 개수 또한 늘릴 수 있다.3.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for filling a space in which wastewater is purified by filling a filtration filler, and can select the type of filtration filler depending on the degree of contamination of wastewater, and the number of filtration fillers can also be increased.

4. 본 발명은 여과 충진재를 통과하여 정화된 여과물을 여과 충진재로부터 분리해내는 추가 작업 없이 여과 충진재 내부에 이동관을 삽입하고, 이동관에 구멍을 내고 거름망을 감싸 여과물이 자연스럽게 통과할 수 있도록 한다. 4.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moving tube is inserted into a filtration packing material without further work for separating purified filtrate from the filtration packing material through the filtration packing material and a hole is formed in the moving tube to allow the filtrate to pass naturally .

5. 본 발명은 폐수의 정화가 이루어지는 공간 내에서, 정화가 이루어진 여과물과 정화가 이루어지지 못한 폐수가 분리되어 배출될 수 있다.5.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ltered filtrate and the untreated wastewater can be separated and discharged in the space where the wastewater is purifi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폐수 여과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여과부의 단면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wastewater filt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filtra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폐수 저장부와, 상기 폐수 저장부의 폐수를 정화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여과부와, 상기 여과부를 통한 여과물이 보관되는 여과물 저장부를 포함하는 폐수 여과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stewater filtration apparatus including a wastewater storage unit, a plurality of filtration units for purifying wastewater in the wastewater storage unit, and a filtrate storage unit for storing filtrate through the filtration unit.

아래에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폐수 여과 장치 및 폐수의 여과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The filtration process of the waste water filtration apparatus and wastewat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폐수 여과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폐수 여과 장치는 폐수 저장부(120), 여과부(110a, 110b, 110c) 및 여과물 저장부(160)를 포함한다. 폐수 저장부(120)에 보관된 폐수(130)는 펌프(140)에 의해 이동하게 되는데 폐수 투입관(150)을 통해 여과부로 이동될 수 있다. 여과부는 저장부의 폐수의 정화가 이루어지는 곳으로, 복수 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각각의 여과부는 높이를 다르게 배치할 수 있다. 폐수는 펌프에 의해 폐수 투입관을 통해 가장 높은 위치에 있는 첫 번째 여과부(110a)로 이동되며, 첫 번째 여과부(110a)를 통과한 폐수는 여과부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여 순차적으로 각각의 여과부(110b, 110c)를 통과할 수 있다. 각각의 여과부를 통과하여 정화된 여과물은 여과물 저장부(160)로 이동된다. 폐수(130)는 축산 농가에서 발생하는 분뇨를 포함한 폐수일 수 있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wastewater filt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the waste water filtration apparatus includes a wastewater storage unit 120, filtration units 110a, 110b, and 110c, and a filtrate storage unit 160. [ The wastewater 130 stored in the wastewater storage unit 120 is moved by the pump 140 and can be moved to the filtration unit through the wastewater inlet pipe 150. The filtration part is a place where the wastewater in the storage part is purified, and the plurality of filtration parts can be arranged at different heights. The wastewater is moved by the pump to the first filtration part 110a located at the highest position through the waste water inlet pipe and the waste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rst filtration part 110a mov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ltration part, And can pass through the portions 110b and 110c. The purified filtrate passed through each filtration section is transferred to the filtrate storage section 160. The wastewater 130 may be wastewater containing manure generated in the livestock farm.

여과부는 거름통(111), 여과 충진재가 이루는 여과층(113, 114), 여과물 이동관(112), 및 폐수 배출부(117)를 포함한다. 거름통(111)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폐수가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고, 폐수가 거름통의 길이 방향에 따라 흘러가면서 폐수의 정화가 이루어진다. The filtration unit includes a filtration tank 111, filtration layers 113 and 114 formed by the filtration filler, a filtrate moving pipe 112, and a waste water discharge unit 117. The filtering cylinder 111 has a predetermined length and can provide a space through which the waste water can move, and the waste water is purified while the waste water flow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ltering cylinder.

거름통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여과 충진재가 채워져 있을 수 있으며, 각각의 여과 충진재는 층을 이룰 수 있다. 여과 충진재는 자갈, 모래, 제올라이트 등이 될 수 있다. 폐수가 여과부에 도달하여 먼저 접하는 여과 충진재가 이루고 있는 층을 제 1 여과층(114)이라 할 수 있다. 제 1 여과층 밑에 위치한 여과 충진재가 이루고 있는 층을 제 2 여과층(113)이라 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제 3 여과층, 제 4 여과층도 포함될 수 있다. 여과 충진재로는 자갈, 모래, 흙, 다공성 물질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제 1 여과층(114)은 입자의 크기가 큰 자갈로 이루어진 층일 수 있으며, 제 2 여과층(113)은 자갈보다 작은 입자인 모래로 이루어진 층일 수 있다. 자갈은 폐수에 포함된 부유물 중 상대적으로 큰 입자를 걸러낼 수 있으며, 모래층는 자갈층을 통과한 상대적으로 작은 입자를 걸러낼 수 있다. 제 1 여과층(114)은 제올라이트 여과 충진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올라이트는 다공성 물질로서 내부의 기공은 미생물이 서식할 수 있으며, 폐수에 포함된 유기물들이 제올라이트 내부의 기공으로 들어가서 미생물에 의하여 분해될 수 있고, 이와 같은 효과에 의하여 여과 충진재의 교체없이 폐수 여과 장치를 가동할 수 있다. 폐수가 여과부를 이동하면서 제올라이트를 통과하면 유기물 찌꺼기 등이 제거되며, 입자가 작아져서 제 2 여과층의 모래층을 쉽게 통과할 수 있다. The filter can be filled with at least one filter filler, and each filter filler can form a layer. The filtration filler can be gravel, sand, zeolite, and the like. The layer formed by the filtration filler contacting the wastewater to reach the filtration portion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filtration layer 114. The layer formed by the filtration filler located below the first filtration layer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filtration layer 113. The third filtration layer and the fourth filtration layer may be included as needed. As the filtration filler, gravel, sand, earth, porous materials and the like may be used. The first filtration layer 114 may be a layer of gravel having a large particle size and the second filtration layer 113 may be a layer of sand particles smaller than gravel. Gravels can filter out relatively large particles from the suspended matter contained in the waste water, and the sand layer can filter out relatively small particles passing through the gravel layer. The first filtration layer 114 may be made of a zeolite filtration filler. The zeolite is a porous material, and the inside pores can be inhabited with microorganisms. The organic substances contained in the wastewater can enter into the pores in the zeolite and can be decomposed by microorganisms. By this effect, the waste water filtration device Can be operated. When wastewater flows through the filtration part and passes through the zeolite, the organic matter and the like are removed, and the particles are small so that they can easily pass through the sand layer of the second filtration layer.

여과물 이동관(112)은 여과 충진재 내부에 거름통(111)의 길이 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고, 여과 충진재를 통과한 여과물이 이동하는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여과물 이동관(112)에는 구멍이 구비되어 여과물이 통과하여 경로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여과물 이동관(112)은 여과 충진재 내부에 적어도 1열로 배열될 수 있으며, 제 1 여과층(114)과 제 2 여과층(113)을 순차적으로 지나면서 폐수의 정화 정도가 향상되므로 여과물 이동관(112)은 거름통의 바닥면에 가깝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여과물 이동관은 거름통 외부로 연장될 수 있으며, 거름통 외부의 여과물 이동관은 최종적으로 여과물 저장부(160)로 연결될 수 있다. 각각의 여과부에 설치된 여과물 이동관은 거름통 외부에서 하나의 관으로 모아질 수 있고, 또는 하나로 모아지지 않고 각각의 여과물 이동관이 여과물 저장부(160)로 연결될 수 있다. 거름통 외부의 여과물 이동관이 하나의 관으로 모아지지 않는 경우, 여과물 저장부는 적어도 여과물 이동관의 개수만큼 존재하여 각각의 여과물 이동관으로부터 배출되는 여과물을 받을 수 있다. 여과물 저장부로 이동된 여과물은 추가의 여과 과정을 거칠 수 있다. 추가의 여과 과정은 도 2에 도시된 폐수 여과 장치와 유사한 구성을 가진 장치에 의하여 진행될 수 있다. 이때, 추가의 여과 과정에 이용되는 폐수 여과 장치의 제 2 여과층은 전단에 설치된 폐수 여과 장치의 제 2 여과층보다 상대적으로 입자의 크기가 작은 모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입자의 모래 크기가 작아지면 보다 작은 입자를 걸러내는데 유리하기 때문이다. 추가의 여과 과정에 이용되는 폐수 여과 장치의 구성은 폐수의 오염도, 처리 용량 등을 고려하여 여과부의 개수, 길이 등을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고, 추가의 여과 과정에 이용되는 폐수 여과 장치의 개수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The filtrate moving pipe 112 can be inserted into the filtration packing materia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ltration container 111 and can provide a path through which the filtrate passed through the filtration packing material moves. The filtrate moving pipe 112 is provided with a hole so that the filtrate can move along the path. The filtrate moving pipe 112 may be arranged in at least one row inside the filtration packing material. Since the degree of purification of the wastewater is improved by sequentially passing the first filtration layer 114 and the second filtration layer 113, 112 are preferably disposed close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filtering cylinder. Further, the filtrate moving tube may extend to the outside of the filter box, and the filter moving tube outside the filter box may be finally connected to the filtrate storage part 160. The filtrate moving pipes installed in the respective filtration units can be collected in a single pipe outside the filter box, or they can be connected to the filtrate storage unit 160 without collecting them. When the filtrate moving tube outside the filter tank is not collected by one tube, the filtrate storage section exists at least as many as the number of filtrate moving tubes and can receive the filtrate discharged from each filtrate moving tube. The filtrate transferred to the filtrate reservoir may undergo further filtration. The additional filtration process may be performed by an apparatus having a configuration similar to the waste water filtration apparatus shown in FIG. At this time, the second filtration layer of the wastewater filtration apparatus used for the additional filtration process may be made of sand having a relatively smaller particle size than the second filtration layer of the wastewater filtration apparatus installed at the previous stage. The smaller the sand size of the particles, the more advantageous it is to filter smaller particles. The configuration of the wastewater filtration apparatus used in the additional filtration process can be modified variously in consideration of the contamination degree and the treatment capacity of the wastewater, and the number of the wastewater filtration apparatuses used in the additional filtration process It can be adjusted freely.

폐수 배출부(117)는 거름통(111)의 일측에 형성되고, 정화되지 못한 폐수를 폐수 저장부(120) 또는 다른 여과부로 재순환시킬 수 있다. 폐수가 여과부에 도달하여 여과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충분히 흐른 뒤 폐수 저장부(120) 또는 다른 여과부(110b, 110c)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폐수 배출부(117)는 폐수가 여과부(110a, 110b, 110c)로 들어오는 지점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로 이격된 지점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거름통(111)을 폐수 배출부(117)쪽으로 기울어지도록 설치하여 폐수의 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폐수 배출부(117)는 거름통 밑면에 출구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폐수가 다른 여과부 또는 폐수 저장부로 이동하기가 용이할 수 있다. 또한 폐수가 여과부에 도달하여 폐수 배출부가 형성된 지점으로 흘러가게 되는데, 폐수 배출부 바로 이전에 분리막(116)을 설치할 수 있다. 분리막은 거름통 내부를 채우고 있는 여과 충진재의 유출을 막는 기능을 한다. 분리막은 여과 충진재가 이루는 여과층(113, 114)의 높이 만큼은 입자가 통과할 수 없는 소재로 이루어지고, 분리막의 그 나머지 윗부분은 다공성 소재로 이루어지거나 분리막이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또는 분리막의 전체가 다공성 소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분리막이 설치됨에 따라 거름통 내부에 여과 충진재가 채워지지 않은 폐수 배출 공간(115)이 형성될 수 있다. 폐수는 구멍이 형성된 분리막을 통과하여 폐수 배출 공간으로 이동할 수 있고, 또는 분리막의 높이를 넘어서 폐수 배출 공간으로 이동할 수 있다. 분리막의 높이를 넘어서 폐수 배출 공간으로 이동하는 경우에, 분리막의 높이를 조절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고, 분리막의 높이를 조절하여 폐수의 여과부 이동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는 분리막을 설치하지 않아 폐수 배출 공간(115)이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분리막을 설치하지 않을 경우 폐수 배출부(117)로 연결되는 거름통 바닥면에 메쉬망을 설치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폐수는 폐수 배출부를 통과하나 거름통 내부에 채워진 여과 충진재의 유출을 막을 수 있다. The wastewater discharge portion 117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filtering chamber 111 and can recycle the uncleaned wastewater to the wastewater storage portion 120 or another filtration portion. The wastewater discharge portion 117 discharges the wastewater to the filtration portion (110b, 110c) so that the wastewater can reach the filtration portion and sufficiently flow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ltration portion and then move to the wastewater storage portion 120 or other filtration portions 110a, 110b, and 110c,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filter box 111 is installed to be inclined toward the waste water discharge part 117, so that the movement of the wastewater can be smoothly performed. The waste water discharging portion 117 can form an outlet on the bottom of the filter box, and thus the waste water can be easily moved to another filtering portion or the waste water storage portion. In addition, the waste water reaches the filtration part and flows to the point where the waste water discharge part is formed. The separation membrane 116 can be installed immediately before the waste water discharge part. The separation membrane functions to prevent the outflow of the filtration filler filling the inside of the filter box. The separation membrane may be made of a material that particles can not pass through as much as the height of the filtration layers 113 and 114 formed by the filtration filler, and the remaining upper portion of the separation membrane may be made of a porous material or may not have a separation membrane. Or the entire separation membrane may be made of a porous material. As the separation membrane is installed, the waste water discharge space 115 in which the filtration filler is not filled can be formed in the filter case. The wastewater can move to the waste water discharge space through the perforated separation membrane or to the waste water discharge space beyond the height of the separation membrane. The height of the separation membrane can be adjusted so that the height of the separation membrane can be controlled and the moving speed of the filtration unit of the wastewater can be controlled by controlling the height of the separation membrane. Or the waste water discharge space 115 may not be formed without providing a separation membrane. When the separation membrane is not installed, a mesh net can be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iltration tank connected to the waste water discharge part 117, so that the waste water passes through the waste water discharge part but can prevent the filtration filler filled in the filtration tank from flowing out.

적어도 하나의 여과부 중 마지막으로 폐수가 통과하는 여과부의 폐수 배출부(117)는 폐수 재순환관(118)과 연결될 수 있다. 폐수 재순환관은 폐수 저장부(120)로 연결되는 통로로, 폐수 저장부에 도달한 정화되지 못한 폐수는 펌프에 의해 가장 높은 높이로 설치된 첫 번째 여과부(110a)로 다시 이동되어 동일한 여과 과정을 겪게 된다. 폐수 재순환관은 설치되지 않을 수 있다. 마지막 여과부의 폐수 배출부로부터 배출되는 폐수를 바로 폐수 저장부(120)로 받아내거나 또는 폐수 저장부(120)외에 별도의 저장부를 이용할 수 있다. The wastewater discharge portion 117 of the filtration portion through which the wastewater finally passes among the at least one filtration portion can be connected to the wastewater recycling pipe 118. The wastewater recirculation pipe is connected to the wastewater storage part 120. Uncoupled wastewater which has reached the wastewater storage part is moved back to the first filtration part 110a installed at the highest height by the pump to perform the same filtration process . The waste water recirculation pipe may not be installed. The wastewater discharged from the wastewater discharge portion of the final filtration portion may be immediately taken to the wastewater storage portion 120 or a separate storage portion may be used in addition to the wastewater storage portion 120.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여과부의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여과물 이동관(112)은 여과 충진재 내부에 적어도 1열로 배열될 수 있으며, 제 1 여과층(114)과 제 2 여과층(113)을 순차적으로 지나면서 폐수의 정화 정도가 향상되므로 여과물 이동관(112)은 거름통의 바닥면에 가깝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파이프(112a)는 여과물의 이동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파이프의 하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구멍(112c)이 형성될 수 있으며, 여과층(113, 114)을 지난 여과물이 구멍을 통과하여 파이프(112a) 내부로 들어올 수 있다. 구멍의 지름은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mm의 범위에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3.5 mm의 범위에 있다. 파이프에 형성된 구멍(112c)을 통해 여과물이 들어오기 때문에, 여과물을 여과 충진재로부터 분리해내는 추가 작업 없이 여과물 이동관(112)을 따라 여과물 저장부(160)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파이프 내부로 들어온 여과물이 구멍을 통하여 파이프 외부로 나갈 수도 있는데, 여과물은 파이프 하부에 형성된 구멍을 통하여 출입을 반복할 수 있으며, 전체적으로 여과물 이동관을 따라 이동한다. 거름망(112b)이 파이프의 외부면 또는 내부면을 둘러쌀 수 있다. 거름망은 파이프 내부로 통과하는 폐수에 남아 있는 이물질을 추가로 여과하는 기능을 한다. 거름망은 메쉬로 이루어질 수 있고, 메쉬 규격은 100 내지 600 메쉬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400 메쉬의 범위에 있을 수 있다.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filtra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2, the filtrate moving pipe 112 may be arranged in at least one row inside the filtration filler. The filtration fluid is sequentially passed through the first filtration layer 114 and the second filtration layer 113, It is preferable that the filtrate moving pipe 112 is disposed close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filter box. The pipe 112a may provide a path of movement of the filtrate. At least one hole 112c may be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pipe and the filtrate passing through the filtration layers 113 and 114 may pass through the hole and enter the pipe 112a. The diameter of the hole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1 to 5 mm,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2.5 to 3.5 mm. Since the filtrate is introduced through the hole 112c formed in the pipe, the filtrate can be moved to the filtrate storage 160 along the filtrate moving pipe 112 without any additional operation to separate the filtrate from the filtration filler. In addition, the filtrate entering the pipe may go out of the pipe through the hole. The filtrate can be repeatedly moved through the hole formed in the bottom of the pipe, and moves along the filter moving pipe as a whole. The screen 112b may surround the outer or inner surface of the pipe. The filter network further functions to filter foreign matter remaining in the wastewater passing through the pipe. The mesh can be made of mesh, the mesh size is preferably 100 to 600 mesh, more preferably 200 to 400 mesh.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일 구현예를 이용하여 설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설명된 구현 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런 구현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the most practical and preferred embodimen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폐수 여과 장치
110a: 여과부 110b: 여과부
110c: 여과부 111: 거름통
112: 여과물 이동관 112a: 파이프
112b: 거름망 112c: 구멍
113: 제 2 여과층 114: 제 1 여과층
115: 폐수 배출 공간 116: 분리막
117: 폐수 배출부 118: 폐수 재순환관
120: 폐수 저장부 130: 폐수
140: 펌프 150: 폐수 투입관
160: 여과물 저장부
100: Wastewater filtration device
110a: Filtration part 110b: Filtration part
110c: filtration unit 111: filter tank
112: filtrate moving pipe 112a: pipe
112b: filter net 112c: hole
113: second filtration layer 114: first filtration layer
115: waste water discharge space 116: separator
117: waste water discharging part 118: waste water recycling pipe
120: Wastewater storage part 130: Wastewater
140: Pump 150: Waste water inlet pipe
160: Filtrate storage part

Claims (5)

축산폐수의 폐수 저장부;
상기 폐수 저장부의 폐수를 정화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여과부; 및
상기 여과부를 통한 여과물이 보관되는 여과물 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여과부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폐수가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거름통; 상기 거름통 내부에 채워진 여과 충진재; 상기 여과 충진재 내부에 상기 거름통의 길이 방향으로 삽입되고, 상기 여과 충진재를 통과한 여과물이 이동하는 경로를 제공하는 통과할 수 있는 구멍이 구비된 여과물이 이동할 수 있는 여과물 이동관; 상기 거름통 내부 일측을 상하 방향으로 구획화하여 여과 충진재가 채워지지 않은 폐수 배출공간을 형성하는 분리막; 및 상기 폐수 배출공간의 하부에 위치하고, 폐수 배출공간의 정화되지 못한 폐수를 상기 폐수 저장부 또는 다른 여과부로 재순환시키기 위하여 폐수 배출공간 하부에 구비된 폐수 배출부;를 포함하는 폐수 여과 장치.
Wastewater storage of livestock wastewater;
A plurality of filtration units for purifying waste water in the waste water storage unit; And
And a filtrate storage part for storing the filtrate through the filtration part,
The filtration unit,
A barrel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providing a space through which the wastewater can move; A filtration filler filled in the filter case; A filtrate moving pipe inserted into the filtering and filling material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ltering filter and capable of moving a filtrate having a passage hole for providing a path through which the filtrate passed through the filtering and filling material moves; A separator for partitioning the one side of the filtration cylinder in a vertical direction to form a waste water discharge space not filled with the filtration filler; And a waste water discharge unit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the waste water discharge space and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waste water discharge space for recycling the uncleaned waste water in the waste water discharge space to the waste water storage unit or another filtration unit.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거름통은 상기 폐수 배출부 쪽으로 기울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 여과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filtration tube is inclined toward the waste water discharge por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물 이동관은,
여과물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파이프;
상기 파이프의 하부에 형성되고, 여과물이 통과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구멍; 및
상기 파이프의 외부면 또는 내부면을 둘러싸고 있는 거름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 여과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ltrate moving pipe may include:
A pipe providing a path of movement of the filtrate;
At least one hole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pipe, through which the filtrate can pass; And
And a sieve net surrounding the outer or inner surface of the pipe.
삭제delete
KR1020140103813A 2014-08-11 2014-08-11 Filtering system for wastewater KR10159829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3813A KR101598290B1 (en) 2014-08-11 2014-08-11 Filtering system for wastewa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3813A KR101598290B1 (en) 2014-08-11 2014-08-11 Filtering system for wastewa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9270A KR20160019270A (en) 2016-02-19
KR101598290B1 true KR101598290B1 (en) 2016-02-29

Family

ID=55448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3813A KR101598290B1 (en) 2014-08-11 2014-08-11 Filtering system for wastewa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8290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00736A (en) * 2003-06-09 2005-01-06 Ebara Corp Filter apparatus and activated carbon adsorbing device
KR100959945B1 (en) * 2008-02-13 2010-05-26 김원주 Filtration disposal plant for sewage purification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4238B1 (en) * 2003-04-25 2005-07-27 주식회사 대룡건설 Inclinated type water treatment apparatus
KR101039417B1 (en) * 2009-05-22 2011-06-07 이정주 under ground ater drainage apparatu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00736A (en) * 2003-06-09 2005-01-06 Ebara Corp Filter apparatus and activated carbon adsorbing device
KR100959945B1 (en) * 2008-02-13 2010-05-26 김원주 Filtration disposal plant for sewage purific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9270A (en) 2016-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6670B1 (en) Light filter type terraced artificial wetland
US20160083952A1 (en) Non-point pollutant source treatment apparatus
CN103764574A (en) System and method for wastewater treatment
KR20170021543A (en) Light filter type terraced filtering wetland
KR101942685B1 (en) Facilities for reducing non-point pollution
KR101556669B1 (en) Upward flow type terraced filtering wetland
JP2013113842A (en) Radioactive material separation removal method
RU143767U1 (en) INSTALLATION FOR COMPREHENSIVE CLEANING OF DRINKING WATER
KR100989049B1 (en) Filtering system for high class treatment of a river pollution source
CN101952015B (en) Wastewater treatment system and method for the treatment of wastewater
KR101147021B1 (en) Non-point source pollution treatment device
KR101598290B1 (en) Filtering system for wastewater
KR100719944B1 (en) Non-point sources treatment equipment
KR101025927B1 (en) Wastewater disposal plant for wastewater
KR101228564B1 (en) Clean water system and clean water method for subterrarean water and valley water
KR101748772B1 (en) The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Using the Flowing of Water
KR200392662Y1 (en) Non-point sources treatment equipment
KR101066993B1 (en) Device for filtering water
WO2011148029A1 (en) Unit for the advanced pretreatment of wastewater
KR102318251B1 (en) Sedimentation-filtration apparatus for livestock wastewater treatment facility
KR101352088B1 (en) Devide of filtering rainwater
KR101796774B1 (en) Wastewater and rainwater treatment system in the building
US10870589B2 (en) Filtering system for removing chemicals from fluids
JP6649550B2 (en) Oil-water soil particle separation and removal equipment
KR20150016770A (en) System for controlling ecological system of a pon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