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7917B1 - 부식산 및 블루베리 잎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사료첨가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부식산 및 블루베리 잎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사료첨가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7917B1
KR101597917B1 KR1020140190475A KR20140190475A KR101597917B1 KR 101597917 B1 KR101597917 B1 KR 101597917B1 KR 1020140190475 A KR1020140190475 A KR 1020140190475A KR 20140190475 A KR20140190475 A KR 20140190475A KR 101597917 B1 KR101597917 B1 KR 1015979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vestock
acid
blueberry leaf
feed
blueber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04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양일
조진호
이현진
최형규
최현수
Original Assignee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1904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79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79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7917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Fodder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료첨가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유효성분으로서 부식산 및 블루베리 잎을 포함하는 사료첨가제, 이를 포함하는 사료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고품질 기능성 육류의 생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사료첨가제 조성물은 가축의 일당증체량 및 일당사료섭취량을 증대시키고, 급여 대상 가축의 혈액 내 콜레스테롤 수치 감소와 더불어 HDL 콜레스테롤 증가 및 항산화 활성을 보임에 따라, 가축의 생산성 증대 효과를 가진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사료첨가제 조성물을 가축에 급여하는 경우, 가축의 육질 내 콜라겐 및 마이오글로빈의 함량을 증대시킬 수 있어, 육질 개선 효과를 가짐에 따라, 특수·기능성 고품질 브랜드육 생산에 기여할 수 있다.

Description

부식산 및 블루베리 잎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사료첨가제 조성물{A Feed additive composition comprising of humic acid and blueberry leaf}
본 발명은 사료첨가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유효성분으로서 부식산 및 블루베리 잎을 포함하는 사료첨가제, 이를 포함하는 사료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고품질 기능성 육류의 생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소비자들은 식생활이 고급화되고 다양해짐에 따라, 건강뿐만 아니라 맛도 좋은 고급 육류에 대한 인식 및 판매량이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소비자들의 요구에 의해서 생산자들은 다양한 방법으로 육류 제품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 많은 시험과 연구를 진행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특히 고급육을 생산하기 위해서 배합사료나 사료첨가제에 대한 연구가 끊임없이 진행되고 있으며, 그 예로서 황토를 이용하는 사료, 죽초액을 이용하는 사료, 녹차를 이용하는 사료, 현미를 이용하는 사료 등 다양한 사료 관련 제품이 연구되고 시판되고 있다.
또한, 가축의 육종 사업, 사료 산업의 발전과 더불어 항생제를 질병치료뿐만 아니라 질병의 예방과 성장 촉진 목적으로 사용되면서 가축 생산성이 크게 발전하였고, 대규모 사양 방식으로 전환이 가능하였으나, 생산성 위주의 육종으로 말미암아 가축은 스트레스 감수성이 증가하고 있으며, 시대의 흐름이 항생제 사용을 규제하면서 항생제의 대체물질 개발에 대한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천연물질을 이용하여 가축의 면역증진, 혈액특성 개선 등을 통한 생산성 증대의 중요성은 더욱 커지는 실정이다.
한편, 부식산은 용제에 의해 제거되지 않고 남아 있는 갈색 내지 흑색의 산성 유기물을 말하며, 토양의 수분을 유지하여 굳어지는 것을 막고, 일광의 흡수를 촉진시켜 온도를 조절하며 시비의 성숙과 축적을 실행한다. 또한, 토양의 유기물로부터 추출한 산불용해성(acid - insoluble)이며 알칼리-용해성(alkali - soluble)물질들의 복합체이며, 부식물질은 흙속 대부분의 유기물질을 구성하는데 식물체의 구성물질이 분해되어 화석으로 변해가는 단계의 물질이다(Stevenson, 1994).
블루베리(Blueberry; 학명 Vaccinium spp.)는 쌍떡잎식물 진달래목 진달래과의 관목성 식물로서 북아메리카 원산으로 20여 종이 알려져 있고 한국에도 야생블루베리가 분포되어 있다. 블루베리는 페놀산, 안토시아닌, 레스베라트롤(resvetratrol) 및 플라보노이드(flavonoid)와 같은 피토케미칼(pytochemical) 성분이 풍부하여 질병 예방 효능을 갖는 항산화 식품으로 알려져 있으며, 블루베리의 잎과 관련해서는 폴리페놀 화합물의 일종인 클로로겐산이 함유되어 있어 여러 효능이 있음이 보고된바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가축의 생산성을 효과적으로 증대시키면서 동시에 육질을 개선시킬 수 있는 사료첨가제를 발명하고자 노력하였으며, 그 결과 부식산과 블루베리 잎을 조합하여 비육돈(돼지)에 급여한 결과, 일반적인 기초사료만을 급여한 대조군 및 이들 각각을 급여한 처리군 대비, 부식산과 블루베리 잎을 함께 급여한 처리군에서 비돈육(돼지)의 생산성 증대 및 육질개선에 탁원한 시너지 효과가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137023호 한국등록특허 제10-1392108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가축의 생산성을 증대시키면서 동시에 육질개선 효과를 갖는 사료첨가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가축의 생산성을 증대시키면서 동시에 육질개선 효과를 갖는 기능성 배합사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사료첨가제 또는 배합사료를 이용하여 고품질 브랜드육으로 개발할 수 있는 가축의 생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부식산(humic acid) 및 블루베리 잎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가축의 생산성 증대 및 육질개선용 사료첨가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부식산 및 블루베리 잎 분말을 2:0.1 내지 2:1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축은 소, 돼지, 닭, 오리, 염소, 양 및 말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의 가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부식산 및 블루베리 잎은 가축에 급여시 가축의 일당사료섭취량을 증대시키고, 혈액 내 HDL 콜레스테롤 증가 및 항산화 활성을 통해 가축의 생산성 증대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부식산 및 블루베리 잎은 가축에 급여시 가축의 육질 내 콜라겐 및 마이오글로빈의 함량을 증대시킴으로써 육질을 개선시키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부식산 및 블루베리 잎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가축의 생산성 증대 및 육질개선용 기능성 배합사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기초사료 100중량부에 대하여 부식산 0.01 내지 2중량부 및 블루베리 잎 0.01 내지 1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초사료 100중량부에 대하여 부식산 0.01 내지 2중량부 및 블루베리 잎 분말 0.01 내지 1중량부를 첨가하여 가축에게 급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육질 내 콜라겐 및 마이오글로빈의 함량을 증대시키는 가축 생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축은 돼지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사료첨가제 조성물은 가축의 일당증체량 및 일당사료섭취량을 증대시키고, 급여 대상 가축의 혈액 내 콜레스테롤 수치 감소와 더불어 HDL 콜레스테롤 증가 및 항산화 활성을 보임에 따라, 가축의 생산성 증대 효과를 가진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사료첨가제 조성물을 가축에 급여하는 경우, 가축의 육질 내 콜라겐 및 마이오글로빈의 함량을 증대시킬 수 있어, 육질 개선 효과를 가짐에 따라, 특수·기능성 고품질 브랜드육 생산에 기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블루베리 분말 제조과정을 나타낸 사진이다.
본 발명은 부식산(humic acid) 및 블루베리 잎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가축의 생산성 증대 및 육질개선용 사료첨가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가축의 생산성 증대와 더불어 육질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부식산 및 블루베리 잎을 이용하는 것을 가장 큰 특징으로 한다.
‘부식산(humic acid)’은 알칼리에 의해 토양에서 추출되거나 산에 의해 침적된 유기물로서, 황갈색∼흑갈색의 중∼고분자의 산성 물질로서 무정형이며, 그 조성은 탄소 50∼60%, 수소 3∼5%, 질소 1.5∼6%, 황 1%내외, 회분 1%내외, 산소 30∼50%를 포함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부식산은 벤젠핵과 나프탈렌·피리딘·안드라센 등 방향족 고리를 가지고 있고 공역(共役) 2중 결합을 많이 가지고 있다.
이러한 부식산은 다양한 물리적, 화학적 및 생물학적 특성을 가지고 있는데, 물리적 특성으로는 토양 내 수분 함유량을 증가하게 하여 건조피해를 감소시키고, 토양 내 공기 증가로 뿌리를 튼튼하게 해주어 병충해에 강하게 하고, 토양 내 미생물의 활성화로 입자를 곱고 부드럽게 하며, 토양의 유실을 방지하고 종자의 발아를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물리화학적 특징으로는 토양잔류 염류를 유리시켜 염류장애를 해소하고 토양의 pH를 중성으로 유지시켜 작물이 잘 자라도록 도움을 주며, 토양 내 잔류농약을 제거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고; 생물학적 특징으로는 식물체의 생장점을 자극하여 세포분열을 촉진시키며, 각종 유용한 미생물의 활력을 증가시켜 주어 살아있는 토양으로 만들어 작물의 생육을 촉진하는 특징을 가진다.
부식산(humic acid)의 경우 상기와 같은 특징으로 인하여 일반적으로 토양개량이나 비료의 소재로 이용되고 있다.
한편, ‘블루베리 잎’은 블루베리 나무의 잎 부분으로서 안토시아닌을 비롯해 비타민 C 등 비타민류, 식이섬유인 펙틴, 미네랄인 칼슘, 철분, 망간 등을 함유하고 있으며, 특히 열매보다 높은 수준의 항산화 물질을 함유하고 있고, 항산화물질로서 안토시아닌과 클로로겐산은 열매보다 훨씬 높은 함량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블루베리 잎을 차로 마시는 경우 피를 맑게 하며, 시력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블루베리 잎은 간암 또는 간염 억제 효과, 당뇨조절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자는 가축의 생산성을 효과적으로 증대시키면서 동시에 육질을 개선시킬 수 있는 사료첨가제를 발명하고자 개발하고자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부식산 및 블루베리 잎을 이용하였으며, 실험결과 기본사료에 부식산 및 블루베리 잎을 첨가하여 가축에게 급여하는 경우 그렇지 않은 처리군 대비 가축의 일당사료섭취량을 증대시키고, 혈액 내 HDL 콜레스테롤 증가 및 항산화 활성을 통해 가축의 생산성 증대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와 더불어, 기본사료에 부식산 및 블루베리 잎을 첨가하여 가축에게 급여하는 경우 그렇지 않은 처리군 대비 가축의 육질 내 콜라겐 및 마이오글로빈의 함량을 증대시킴으로써 육질을 개선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가축의 생산성 증대 및 육질개선의 용도를 가지는 사료첨가제 조성물으로, 부식산(humic acid)과 더불어 블루베리 잎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에서 ‘기초사료’란 가축의 종류에 따라 급여되는 일반적인 사료조성물로 정의할 수 있다. 이러한 기초사료는 가축의 종류에 따라서 그 필요한 성분 및 조성 그리고 적합한 조성 비율이 모두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으며, 또한 시판되고 있기 때문에 당업자라면 누구나 매우 용이하게 이를 제조 또는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구체적으로 기초사료는 그 구성성분으로서 가축의 종류에 따라 적합한 전분함유 물질, 단백질 함유 물질, 지방 함유 물질, 비타민 함유 물질, 무기질 함유 물질, 산화 방지 물질, 항생제 등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분 함유 물질은 그것이 사육동물의 성장을 유지할 수 있는 한 모두 사육동물의 일반 사료에 포함될 수 있는데, 이러한 전분 함유 물질은 일반적으로 옥수수, 콩, 밀, 수수, 보리, 귀리 등으로부터 얻어진다. 적합한 전분 함유 물질로서는 옥수수 분쇄물이나 분말, 귀리 분쇄물이나 분말, 콩 분쇄물이나 분말, 밀 분쇄물이나 분 말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한 적합한 전분 함유 물질은 귀리 분말, 옥수수 분쇄물, 밀 분쇄물, 콩 분말 등이다. 이러한 전분 함유 물질은 사육동물의 성장을 효과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면, 가축의 기초사료에 포함되는 그것의 농도는 특정 범위로 제한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전분 함유 물질은 약 30 내지 약 80 중량 %, 바람직하게는 약 40 내지 약 70 중량 %, 가장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70 중량 %의 범위로 가축의 기초사료에 포함될 수 있다.
단백질 함유 물질도 사육동물의 성장을 유지시킬 수 있는 한, 가축의 기초사료에 포함될 수 있다. 경제적인 이유로 어분, 콩 분말 등과 같은 단백질 함유 물질이 사용되고 있는데, 다른 것들로서는 콩 단백질 농축물, 혈분, 혈장 단백질, 탈지유 건체물, 유(乳) 단백질 농축물, 옥수수 글루텐(Gluten) 분말, 밀 글루텐 분말, 이스트, 해바라기씨 분말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한 단백질 함유 물질은 어분, 혈분, 혈장 단백질, 콩 분말 등이다. 단백질 함유 물질도 사육동물의 성장을 효과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한, 사육동물의 일반 사료에 포함되는 그것의 농도는 중요하지 않다. 일반적으로, 단백질 함유 물질은 약 10 내지 약 50 중량 %, 바람직하게는 약 15 내지 약 40 중량 %, 가장 바람직하게는 18 내지 30 중량 %의 범위로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가축의 기초사료에는 지방 함유 물질도 포함될 수 있다. 적합한 지방 함유 물질로서는 라드(Lard), 우지, 콩기름, 레시틴, 코코넛유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바람직한 지방 함유 물질은 콩기름, 코코넛유 및 라드 등이다. 지방 함유 물질도 사육동물의 성장을 유지할 수 있는 한 사육동물의 일반 사료에 포함되는 그것의 농도는 중요하지 않다. 지방 함유 물질은 일반적으로 약 2 내지 약 20 중량 %, 바람직하게는 약 4 내지 약 15 중량 %, 가장 바람직하게는 6 내지 12 중량 %의 범위로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에 존재할 수 있다.
가축의 기초사료에는 또한 수용성·지용성 비타민과 미량의 무기물이 포함될 수 있다. 적합한 비타민으로서는 비타민 A, 비타민 D, 비타민 E, 비타민 K, 리보플라빈, 판토텐산(Pantothenic Acid), 나이아신, 비타민 B12, 엽산, 비오틴, 비타민 C 등을 들 수 있다. 적합한 미량의 무기물로서는 구리, 아연, 요오드, 셀렌, 망간, 철, 코발트, 등을 들 수 있다. 여기서 "미량"이 의미하는 바는 가축의 기초사료에 사용된 이들 성분들의 양이 다른 성분들의 양보다 실질적으로 적은 것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비타민이나 무기질이 미량으로 가축의 기초사료에 포함될 경우에 그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0.0001 내지 약 5 중량 %로 존재할 수 있다.
가축의 기초사료에는 또한 BHT(Butylated Hydroxytoluene), BHA(Butylated Hydroxyanisole), 비타민 E, 아스코르브산 등의 산화방지물질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들 산화방지물질은 극소량, 즉 약 0.0001 내지 약 1 중량 %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하기 실시예에서는 비육돈 기초사료로 NRC (2012) 요구량에 따라 배합한 옥수수-대두박 위주의 사료로 부국사료에서 구입한 내츄럴 육성돈 사료를 기초사료로 사용하였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부식산 및 블루베리 잎은 분말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사료첨가제 조성물은 부식산 및 블루베리 잎 분말을 2:0.1 내지 2:1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축은 소, 돼지, 닭, 오리, 염소, 양 및 말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의 가축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돼지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하기 실시예에서는 가축으로 비육돈을 이용하였다.
또한, 본 발명은 부식산 및 블루베리 잎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가축의 생산성 증대 및 육질개선용 기능성 배합사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은 기초사료 100중량부에 대하여 부식산 0.01 내지 2중량부 및 블루베리 잎 0.01 내지 1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기초사료 100중량부에 대하여 부식산 2중량부 및 블루베리 잎 0.01 내지 1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기초사료 100중량부에 대하여 부식산 2중량부 및 블루베리 잎 0.1 내지 0.2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초사료 100중량부에 대하여 부식산 0.01 내지 2중량부 및 블루베리 잎 분말 0.01 내지 1중량부를 첨가하여 가축에게 급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육질 내 콜라겐 및 마이오글로빈의 함량을 증대시키는 가축 생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축은 돼지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비육돈일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
통계분석
본 시험의 모든 성적은 SAS(Statistical analysis system : The SAS system Release 9.01, 2002)의 General Liner Model를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Duncan's multiple range test를 사용하여 유의성 5% 수준에서 검정하였다.
< 실시예 1>
비육돈 급여를 위한 배합사료 및 시험설계
<1-1> 기초사료 및 사료첨가제 준비
본 발명자는 비육돈 사료 내 부식산 및 블루베리잎 분말 첨가에 따른 생산성, 도체특성 및 돈육품질에 미치는 효능평가를 위하여, 하기 표 1의 조성비를 가진 기초사료를 준비하였다. 이때, 기초사료는 부국사료에서 공급받아 사용하였다. 한편, 사료 내 첨가한 부식산은 녹십자수의약품에서 구입한 분말상 형태의 부식산G-5(지 화이브)을 사용하였으며; 블루베리잎 분말은 직접 제조하여 사용하였다.
본 시험에 사용된 부식산 G-5(지 화이브)는 토양에 존재하는 유기물이 미생물에 의하여 분해되면서 변형 또는 암갈색의 물질로서 부식산과 킬레이트화 된 미량원소가 다량함유하고 있으며, 특징적으로 이산화규소(Si0₂)가 약 40%를 함유하고 있는 녹십자수의약품주식회사에서 개발한 제품으로 본 연구를 위해 공급받아 시험사료에 첨가하였다.
한편, 블루베리 잎은 충북 음성군 대소면에서 2014년 5월 말에 채취하였다. 채취한 시료는 건조 오븐에서 55℃의 온도조건에서 48시간 동안 건조시킨 후, 분쇄기를 이용하여 분쇄하여 사용하였다.
비육돈용 기초사료
구성원료 조성비(중량%)
기초사료 Corn (옥수수) 61.18
Soybean meal (대두박)(44% CP) 32.28
Molasses(당밀) 2.00
Tallow (우지) 2.10
Dicalcium phosphate 1.17
Limestone (석회석) 0.73
Salt (소금) 0.34
Vitamin premix1 0.10
Trace mineral premix2 0.10
ME (대사에너지), Mcal/kg : 3.40
Chemical composition, %
- Crude protein (조단백질): 19.00
- Lysine (라이신): 1.02
- Methionine (메치오닌): 0.30
- Calcium (칼슘): 0.70
- Phosphorus (인): 0.58
<1-2> 시험동물 및 시험설계
3원 교잡종 [(Landrace×Yorkshire)×Duroc] 비육돈 160두를 공시하였고, 시험 개시시 체중은 60 kg이었으며, 사양시험은 7주간 실시하였다. 시험설계는 2×4 실험 디자인 구성하여 1) T1 (기초사료), 2) T2 (기초사료 + 0.1% 블루베리잎), 3) T3 (기초사료 + 0.2% 블루베리잎), 4) T4 (기초사료 + 0.5% 블루베리잎), 5) T4 (기초사료 + 2% 부식산), 6) T5 (기초사료 + 2% 부식산 + 0.1% 블루베리잎), 7) T6 (기초사료 + 2% 부식산 + 0.2% 블루베리잎) 및 T8 (기초사료 + 0.5% 블루베리잎)로 6처리, 처리당 20두씩 배치하였다.
시험설계
배합원료
(중량% as-fed)
처리구
T1 T2 T3 T4 T5 T6 T7 T8
기초사료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첨가물질 부식산 - - - - 2 2 2 2
블루베리잎 분말 - 0.1 0.2 0.5 - 0.1 0.2 0.5
* 참고: 기초사료에 첨가되는 부식산 및 블루베리 잎 분말은 기초사료 100중량%를 기준 대비 중량%의 수치를 의미함
<1-3> 시험사료와 사양관리
사양시험은 충북 한돈 조합 시험농장에서 실시하였다. 시험사료는 NRC (2012) 요구량에 따라 배합한 옥수수-대두박 위주의 사료로 자유 채식토록 하였다. 물은 자동급수기를 이용하여 자유로이 먹을 수 있도록 조절하였다.
< 실시예 2>
비육돈에 있어 부식산 블루베리잎 분말 첨가에 따른 생산성 조사
상기 실시예1을 통해 T1~T8 처리구 각각의 사료 급여에 따른 비육돈에서의 일당증체량, 일당사료섭취량 및 사료효율을 분석하였다.
증체량은 개시시, 4주, 종료시 (7주)에 처리구별로 체중을 측정하였다. 사료 섭취량은 체중 측정시 사료 급여량에서 잔량을 제하여 계산하였고, 사료효율은 증체량을 사료섭취량으로 나누어 산출하였다.
자세한 결과는 하기 표 3에서 나타내었다.
비육돈에 있어 부식산 및 블루베리잎 분말 첨가가 생산성에 미치는 효과
평가항목 처리구 표준
편차
T1 T2 T3 T4 T5 T6 T7 T8
체중, kg
개시 60.4 60.3 60.1 60.3 60.2 60.4 60.5 60.4 2.5
4주차 83.4 83.6 83.1 82.5 84.3 84.6 84.3 82.2 2.5
종료시 (7주차) 102.9 105.5 103.9 98.1 105.4 106.2 106.0 100.1 2.3
0~4주
일당증체량, kg 0.820 0.832 0.822 0.818 0.860 0.865 0.849 0.820 0.036
일당사료섭취량, kg 2.610c 2.674c 2.477d 2.522d 2.795b 2.807b 3.052a 2.982a 0.027
사료효율 0.341ab 0.314ab 0.336a 0.324a 0.308ab 0.308ab 0.278b 0.274b 0.014
5~7주
일당증체량, kg 0.928 1.043 0.993 0.955 1.006 1.025 1.039 0.958 0.041
일당사료섭취량, kg 3.232d 3.498abc 3.658a 3.508a 3.475bc 3.347cd 3.555ab 3.302ab 0.039
사료효율 0.288 0.306 0.278 0.272 0.286 0.310 0.292 0.290 0.012
0~7주
일당증체량, kg 0.867 0.922 0.895 0.875 0.922 0.934 0.930 0.850 0.031
일당사료섭취량, kg 2.876c 3.012b 2.988bc 2.954bc 3.086b 3.038b 3.268a 3.102a 0.029
사료효율 0.301 0.307 0.303 0.296 0.299 0.307 0.285 0.274 0.011
T1 : 대조구(무첨가)
T2 : 부식산 0%, 블루베리잎 0.1%,
T3 : 부식산 0%, 블루베리잎 0.2%,
T4 : 부식산 0%, 블루베리잎 0.5%,
T5 : 부식산 2%, 블루베리잎 0%,
T6 : 부식산 2%, 블루베리잎 0.1%,
T7 : 부식산 2%, 블루베리잎 0.2%
T8 : 부식산 2%, 블루베리잎 0.5%
a, b, c, d 각 처리구 내 서로 다른 머릿글자는 유의적인 차이가 있음 (P<0.05).
상기 표 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0~4주 동안 일당사료섭취량에서는 T7이 다른 처리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높았다 (p<0.05).
사료효율에서는 T4가 T7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결과를 보였다 (P<0.05). 5~7주 동안 일당사료섭취량에서는 T3 및 T7이 T1, T5, T6과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높았다 (p<0.05).
전체 사양시험기간 동안 일당사료섭취량에서는 T7이 전체 처리구에서 유의적으로 가장 높은 결과를 보였다 (p<0.05).
< 실시예 3>
비육돈에 있어 부식산 블루베리 잎 분말 첨가에 따른 혈액 특성 조사
상기 실시예1을 통해 T1~T8 처리구 각각의 사료 급여에 따른 비육돈에서의 혈액 특성을 조사하였다.
혈액 내 콜레스테롤 (total, HDL, LDL cholesterol) 및 중성지방 (trigliceride) 분석은 시험 종료시 (7주)에 경정맥에서 Vacuum tube (Becton Dickinson Vacutainer Systems, Franklin Lakes, NJ)를 이용하여 혈액 5mL 채취 후 4℃에서 3,000 rpm으로 15분간 원심분리하여 얻은 혈청을 자동 생화학 분석기 (HITACHI 747, Japan)를 이용하였고 혈액 내 백혈구 (WBC: white blood cell), 적혈구 (RBC :red blood cell) 및 대식세포 (lymphocyte) 분석은 시험 종료시 (7주)에 경정맥 (Jugular vein)에서 K3 EDTA Vacuum tube (Becton Dicknson Vacutainer Systems, Franklin Lakes, NJ)를 이용하여 혈액을 2 mL 채취하여 분석하였고, 자동 혈액분석기 (ADVID 120, Bayer, USA)를 이용하였으며, 글루타치온 (glutathione) 함량은 ELISA test kit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자세한 결과는 하기 표 4에서 나타내었다.
비육돈에 있어 부식산 및 블루베리 잎 분말 첨가가 혈액특성에 미치는 효과
평가항목 처리구 표준
편차
T1 T2 T3 T4 T5 T6 T7 T8
콜레스테롤,
mg/dL
86.6a 83.3ab 80.8ab 78.5ab 78.0ab 75.8ab 74.8b 74.0ab 2.6
중성지방,
mg/dL
38.5 35.9 37.7 35.0 38.7 38.1 34.3 34.5 3
고밀도지단백질/C, mg/dL 42.5c 43.4bc 48.7ab 48.5ab 42.6c 43.0c 50.3a 49.4a 1.3
저밀도지단백질/C, mg/dL 44.2 39.9 39.1 38.8 40.7 40.8 38.4 38.5 2.5
백혈구,
10³/㎕
19.2a 19.0a 18.9a 18.9a 15.9ab 16.3ab 15.1b 15.2b 0.8
적혈구,
106/㎕
6.5 6.6 6.5 6.5 6.8 7.0 6.7 6.8 0.1
림프구,
%
48.8 44.2 43.4 43.5 44.6 43.4 43.7 43.2 4.1
글루타치온,
uM
0.24 0.29 0.35 0.35 0.23 0.27 0.31 0.33 0.01
T1 : 대조구(무첨가)
T2 : 부식산 0%, 블루베리잎 0.1%,
T3 : 부식산 0%, 블루베리잎 0.2%,
T4 : 부식산 0%, 블루베리잎 0.5%,
T5 : 부식산 2%, 블루베리잎 0%,
T6 : 부식산 2%, 블루베리잎 0.1%,
T7 : 부식산 2%, 블루베리잎 0.2%
T8 : 부식산 2%, 블루베리잎 0.5%
a, b, c 각 처리구 내 서로 다른 머릿글자는 유의적인 차이가 있음 (P<0.05).
상기 표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혈액 내 콜레스테롤 함량에서는 T1(대조군)이 다른 처리구 대비 유의적으로 높았고 (p<0.05) HDL 콜레스테롤 함량은 T7이 T1, T2, T5, T6 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결과를 보였다 (p<0.05).
참고로,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출 수 있는 방법 중, Pectin, soluble gum, alginate 등과 같은 수용성이면서 점성이 있는 식이성 섬유질은 콜레스테롤을 흡수하거나 결합하는 성질이 있어서 이런 물질이나 이를 포함한 식품은 혈중 콜레스테롤, 특히 LDL 콜레스테롤을 저하시키는 것으로 보고된다. 위의 실험에서도 블루베리 잎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콜레스테롤의 수치도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보아, 식이성 섬유질이 콜레스테롤 수치를 저하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혈액 내 백혈구 함량에서는 T7 및 T8이 T1, T2, T3 보다 유의적으로 낮은 결과를 나타내었다(p<0.05).
혈액 내 글루타치온 함량에서는 T3 및 T4가 T1, T2, T5,T6 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다(p<0.05).
< 실시예 4>
비육돈에 있어 부식산 블루베리 잎 분말 첨가에 따른 도체특성 조사
상기 실시예1을 통해 T1~T8 처리구 각각의 사료 급여에 따른 비육돈에서의 도체특성을 조사하였다.
개체의 도체등급 및 등지방두께는 축산물등급판정소에서 실시하는 온도체·등급판정을 적용하여 작성된 자료를 토대로 사용하였으며, 도체장은 좌반도체의 6번 경추부터 H-bone까지의 길이를 측정하였다.
비육돈에 있어 부식산 및 블루베리 잎 분말 첨가가 도체성적에 미치는 효과
평가항목 처리구
T1 T2 T3 T4 T5 T6 T7 T8
도체장(cm) 89.92
±2.72
89.72
±2.55
90.37
±2.62
89.35
±2.35
91.21
±2.05
90.44
±3.44
91.70
±2.84
91.25
±2.05
체중(Kg) 85.28
±7.40
80.22
±4.71
81.62
±3.77
80.00
±3.77
80.71
±6.34
81.22
±4.17
80.70
±6.27
80.10
±4.20
등지방두께(mm) 20.85
±0.69
18.77
±4.35
19.12
±1.80
18.80
±0.78
20.57
±3.86
20.88
±2.89
20.20
±4.56
20.01
±2.54
도체등급(%) 1+ 58 - 25 25 - 11 18 17
1 14 45 50 52 42 33 36 40
2 28 55 25 23 58 56 46 43
T1 : 대조구(무첨가)
T2 : 부식산 0%, 블루베리잎 0.1%,
T3 : 부식산 0%, 블루베리잎 0.2%,
T4 : 부식산 0%, 블루베리잎 0.5%,
T5 : 부식산 2%, 블루베리잎 0%,
T6 : 부식산 2%, 블루베리잎 0.1%,
T7 : 부식산 2%, 블루베리잎 0.2%
T8 : 부식산 2%, 블루베리잎 0.5%
a, b, c 각 처리구 내 서로 다른 머릿글자는 유의적인 차이가 있음 (P<0.05).
상기 표 5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도체장은 부식산과 블루베리 잎을 함께 급여한 처리구 (T6, T7, T8)가 다소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고, 체중의 경우 무첨가구 (T1)가 가장 높았다. 등지방두께는 부식산과 블루베리 잎을 첨가한 처리구가 다소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 실시예 5>
비육돈에 있어 부식산 블루베리 잎 분말 첨가에 따른 돈육의 품질
<5-1> 일반성분 및 육질특성 분석
각 처리구별 돈육 샘플 육질의 일반성분 분석은 수분, 단백질, 지방 및 회분(%)은 AOAC방법(1990)에 따라 측정하였다.
보수력(Water holding capacity)은 Laakkonen 등(1970)의 방법에 따라 원심분리법을 이용하였다. 자세하게는, 분쇄된 시료 0.5±0.05g을 원심분리관의 상부 필터관에 넣고 80℃ water-bath에 넣고 20분간 가열한 후 10분간 방냉시켰다. 상부 필터관을 원심분리관 하부에 넣고 2000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였다. 원심분리한 후 남은 시료를 가열 전 시료무게 비율로 표시하였다.
육즙손실(Drip loss)은 2㎝ 두께의 돈육 슬라이스를 원형(중량 100±5g)으로 정형한 후 폴리프로필렌 백(Polypropylene bag)에 넣고 진공 포장하여 4℃ 냉장고에서 24시간 보관하면서 발생된 드립 감량을 측정하여 초기시료의 무게비율(%)로 측정하였다.
가열감량을 조사하기 위하여 3㎝ 두께의 돈육 슬라이스를 원형(중량 150±5g)으로 정형한 후 폴리프로필렌 백(Polypropylene bag)에 넣고 진공 포장하여 70℃ water-bath에 넣고 40분간 가열한 후 30분간 방냉시킨 후, 가열 후 감량된 무게를 초기시료의 무게비율(%)로 측정하였다.
자세한 결과는 하기 표 6에서 나타내었다.
비육돈에 있어 부식산 및 블루베리 잎 분말 첨가가 일반성분 및 육질특성에 미치는 효과
평가항목 처리구
T1 T2 T3 T4 T5 T6 T7 T8
일반성분
(%)
수분 72.29
±2.02b
72.52
±2.72ab
72.53
±1.81ab
72.50
±2.50ab
73.06
±2.31ab
73.89
±3.09a
72.85
±2.51ab
72.50
±1.50ab
단백질 20.58
±1.39b
21.69
±1.83b
20.67
±0.97b
20.98
±1.40b
22.87
±1.77a
22.93
±1.57a
23.83
±0.99a
22.98
±1.85a
지방 6.72
±1.23a
5.57
±2.24b
6.43
±1.36ab
6.22
±2.20ab
3.94
±1.21c
3.21
±0.95c
2.98
±0.57c
2.88
±0.57c
회분 1.16
±0.08b
1.12
±0.13b
1.11
±0.08b
1.11
±0.08b
1.18
±0.13b
1.27
±0.11a
1.32
±0.13a
1.32
±0.13a
육질특성 보수력 58.92
±9.07a
62.99
±6.35a
61.57
±4.07a
61.58
±4.07a
62.67
±9.31a
65.29
±10.24a
51.94
±3.96b
51.88
±8.22b
육즙손실
(%)
3.02
±0.65
4.26
±8.92
2.61
±0.84
3.10
±1.82
2.98
±0.77
2.13
±0.7
3.52
±1.36
3.80
±0.52
가열감량
(%)
22.53
±2.51ab
21.44
±3.33ab
20.36
±7.51b
20.34
±2.51b
23.58
±2.57a
20.01
±3.16ab
22.22
±2.65ab
22.01
±3.05ab
T1 : 대조구(무첨가)
T2 : 부식산 0%, 블루베리잎 0.1%,
T3 : 부식산 0%, 블루베리잎 0.2%,
T4 : 부식산 0%, 블루베리잎 0.5%,
T5 : 부식산 2%, 블루베리잎 0%,
T6 : 부식산 2%, 블루베리잎 0.1%,
T7 : 부식산 2%, 블루베리잎 0.2%
T8 : 부식산 2%, 블루베리잎 0.5%
a, b, c 각 처리구 내 서로 다른 머릿글자는 유의적인 차이가 있음 (P<0.05).
일반성분 중 수분은 72.29~73.89%, 단백질은 20.58~23.83%, 지방은 2.98~6.72%수준이었으며, 회분은 1.11~1.32%의 함량이었다. 지방은 블루베리 잎 함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부식산과 블루베리 잎을 함께 급여한 처리구가 더 낮은 수치를 보였다. 보수력은 T6이 유의적으로 가장 높은 수준을 나타내었으며 (p<0.05), 육즙손실에서도 T6이 유의적으로 가장 낮은 수준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참고로, 보수력(water holding capacity)이란 축육이나 어육 등이 수분을 유지하는 능력을 보수력이라고 하며 그 성질을 보수성이라고 한다. 따라서 보수력이 나쁜 고기는 가만히 놓아두면 표면에 물기가 흘러나오게 되며 많은 양의 육즙이 빠져나와 조리시 다즙성이 약해져 맛이 좋지 않게 된다. 보수력은 고기의 육질을 판단하는 가장 근본적인 요소 중의 하나이며, 보수력이 높은 경우 육질이 개선된 것으로 볼 수 있다.
<5-2> 주관적 판정
주관적 판정은 5인의 판정요원이 가열한 돈육(각 처리구별 샘플 돈육)을 주관적으로 육색, 조직감, 돈육특성의 3개 항목을 평가하였으며, 각각의 배점은 1점(육색이 매우 창백하다, 조직감이 매우 나쁘다, 외관이 매우 나쁘다)에서 5점(육색이 매우 암적색이다, 조직감이 매우 우수하다, 외관이 매우 우수하다)으로 평가하였다.
주관적 판정 분석 결과는 하기 표 7에서 나타내었다.
비육돈에 있어 부식산 및 블루베리 잎 분말 첨가가 주관적 판정에 미치는 효과
평가항목 처리구
T1 T2 T3 T4 T5 T6 T7 T8
주관적판정1 ) 마블링 2.88
±0.68a
2.11
±0.89b
1.97
±0.65b
1.98
±0.08b
2.16
±1.01b
2.05
±0.88b
1.80
±0.66b
1.80
±1.06b
육색 3.42
±0.88a
3.00
±0.87ab
2.97
±0.61ab
2.97
±0.01b
2.90
±0.70b
2.88
±0.59b
2.91
±0.83b
2.89
±0.65b
조직감 3.45
±0.49
3.59
±0.67
3.35
±0.49
3.55
±0.50
3.50
±0.67
3.48
±0.70
3.40
±0.49
3.42
±0.78
우육특성 3.35
±0.83
3.46
±0.64
3.22
±0.65
3.23
±0.88
3.23
±0.68
3.09
±0.69
3.11
±0.71
3.10
±0.80
T1 : 대조구(무첨가)
T2 : 부식산 0%, 블루베리잎 0.1%,
T3 : 부식산 0%, 블루베리잎 0.2%,
T4 : 부식산 0%, 블루베리잎 0.5%,
T5 : 부식산 2%, 블루베리잎 0%,
T6 : 부식산 2%, 블루베리잎 0.1%,
T7 : 부식산 2%, 블루베리잎 0.2%
T8 : 부식산 2%, 블루베리잎 0.5%
1) 1=마블링이 거의 없다, 매우 창백하다, 매우 나쁘다, 심한 PSE육이다.
5=마블링이 매우 많다, 매우 암적색이다, 매우 우수하다, 심한 DFD육이다.
a, b, c 각 처리구 내 서로 다른 머릿글자는 유의적인 차이가 있음 (P<0.05).
상기 표7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주관적 판정에서 마블링은 무첨가구가 유의적으로 높은 수준을 나타내었으며 (p<0.05), 육색은 부식산 첨가구가 낮은 수준을 나타내었다. 조직감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마블링은 1.80~2.88, 육색은 2.88~3.42, 조직감은 3.45~3.59, 돈육특성은 3.09~3.35수준이었다.
<5-3> 관능평가
관능평가는 5인의 관능검사요원이 주관적으로 풍미, 연도, 다즙성, 전체기호도의 4개 항목을 평가하였으며, 각각의 배점은 1점(풍미가 가장 나쁘다, 가장 질기다, 가장 건조하다, 전체기호도가 가장 나쁘다)에서 5점(풍미가 가장 우수하다, 가장 연하다, 가장 다즙하다, 전체기호도가 가장 우수하다)으로 평가하였다.
관능평가 결과는 하기 표 8에서 나타내었다.
비육돈에 있어 부식산 및 블루베리 잎 분말 첨가가 관능평가에 미치는 효과
평가항목 처리구
T1 T2 T3 T4 T5 T6 T7 T8
연도 2.50
±1.04b
3.05
±0.89a
3.06
±0.68a
3.05
±0.98a
3.54
±0.80a
3.20
±0.83a
3.03
±0.96a
3.02
±0.52a
풍미 3.09
±0.88ab
2.94
±1.10b
3.18
±0.81ab
3.19
±0.05b
3.64
±0.79a
3.05
±1.09ab
2.80
±1.13b
2.80
±0.05b
다즙성 2.26
±0.75c
2.74
±1.03bc
2.98
±0.85ab
2.95
±1.80ab
3.22
±0.93a
3.45
±0.97ab
3.03
±1.19ab
3.01
±0.85ab
전체
기호도
2.88
±0.97b
3.09
±0.94ab
3.14
±0.75ab
3.10
±0.98ab
3.57
±0.85a
3.22
±0.99ab
2.98
±1.17ab
2.88
±0.98a
T1 : 대조구(무첨가)
T2 : 부식산 0%, 블루베리잎 0.1%,
T3 : 부식산 0%, 블루베리잎 0.2%,
T4 : 부식산 0%, 블루베리잎 0.5%,
T5 : 부식산 2%, 블루베리잎 0%,
T6 : 부식산 2%, 블루베리잎 0.1%,
T7 : 부식산 2%, 블루베리잎 0.2%
T8 : 부식산 2%, 블루베리잎 0.5%
a, b, c 각 처리구 내 서로 다른 머릿글자는 유의적인 차이가 있음 (P<0.05).
상기 표 8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관능평가항목 중 연도 및 풍미는 T5가 유의적으로 가장 높은 결과를 보였다 (p<0.05). 다즙성은 부식산과 블루베리 잎을 함께 급여한 첨가구가 다소 높았으며 그중 T6이 유의적으로 높은 결과를 보였다 (p<0.05). 전체기호도에서는 T5 및 T6이 다른 처리구보다 높은 수준을 나타내었다.
<5-4> pH 전단력
각 처리구별 돈육 샘플의 pH는 시료 10g에 증류수 100㎖을 가한 후 측정하였다. 모든 시료는 Homogenizer(Bihon seiki, Ace, Japan)로 7000rpm으로 30초간 균질 시킨 후, pH meter(Mteeler Delta 340, Mettler-tolede, Ltd, UK)로 측정하였다. 한편, 전단력 측정을 위해서 시료를 70℃ water-bath에 넣고 40분간 가열한 후 30분간 방냉시킨 후 시료를 가로×세로×높이를 각각 1×2×1㎝가 되도록 절단하여 Rheo meter(Model Compac-100, SUN SCIENTIFIC Co., LTD.)의 Shearing, Cutting Test로 Max weight를 측정하였다. 사용 프로그램은 R.D.S(Rheology Data System) Ver 2.01을 이용하였다. Table Speed는 110mm/min, Graph Interval은 20msec, Load cell(max)는 10㎏의 조건으로 하였다.
pH 및 전단력 평가 결과는 하기 표 9에서 나타내었다.
비육돈에 있어 부식산 및 블루베리 잎 분말 첨가가 pH 및 전단력에 미치는 효과
평가항목 처리구
T1 T2 T3 T4 T5 T6 T7 T8
pH 1일 5.95
±0.17a
5.75
±0.14b
5.70
±0.09b
5.70
±0.09b
5.61
±0.11c
5.61
±0.10c
5.59
±0.12c
5.59
±0.12c
7일 5.77
±0.19a
5.63
±0.13b
5.58
±0.06bcd
5.60
±0.10b
5.56
±0.04cd
5.61
±0.05bc
5.52
±0.11d
5.52
±0.98d
14일 5.92
±0.2a
5.78
±0.05b
5.65
±0.01c
5.71
±0.03c
5.55
±0.06cd
5.60
±0.02c
5.43
±0.08d
5.40
±0.05d
전단력(g) 2215.93
±690.96
2107.45
±483.1
2253.54
±815.58
2250.01
±011.5
2054.59
±434.36
2173.48
±541.66
1984.50
±559.78
2130.10
±435.01
T1 : 대조구(무첨가)
T2 : 부식산 0%, 블루베리잎 0.1%,
T3 : 부식산 0%, 블루베리잎 0.2%,
T4 : 부식산 0%, 블루베리잎 0.5%,
T5 : 부식산 2%, 블루베리잎 0%,
T6 : 부식산 2%, 블루베리잎 0.1%,
T7 : 부식산 2%, 블루베리잎 0.2%
T8 : 부식산 2%, 블루베리잎 0.5%
a, b, c, d 각 처리구 내 서로 다른 머릿글자는 유의적인 차이가 있음 (P<0.05).
저장기간 중 pH의 변화를 살펴본 결과, 모든 저장 기간에서 T1이 높은 결과를 보였다 (p<0.05). 부식산 첨가구인 T5, T6, T7 및 T8의 경우 저장일이 길어질수록 pH가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블루베리 잎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pH가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저장 14일에서는 T7 및 T8이 다른 처리구들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은 수준을 나타내었다 (p<0.05). 전단력은 T7이 가장 낮은 결과를 보였다.
참고로 평가항목 중 pH는 고기의 산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신선육의 산도는 도축 후 45분(pH 45min) 또는 1시간(pH 1h) 뒤, 24시간 뒤(pH 24h)를 측정하여 pH 45min의 범위는 5.56~6.62, pH 24h의 범위는 5.16~6.15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 표 9에서 나타낸 각각의 처리구별 고기의 산도는 상기 기준에 부합하는 신선육으로 평가될 수 있다. 한편, 전단력은 고기의 질긴 정도를 기계적으로 측정한 수치이다.
<5-5> 육색과 콜레스테롤
각 처리구별 돈육의 표면육색은 백색판(L*, 89.39; a*, 0.13; b*,-0.51)으로 표준화시킨 Spectro Colormeter(Model JX-777, Color Techno. System Co., japan)로 측정하였는데, 이때 광원은 백색형광등(D65)을 사용하여 Hunter Lab 표색계의 L*, a*, b*값으로 나타냈다(L*=명도, a*=적색도, b*=황색도). 한편, 콜레스테롤 분석을 위해 샘플을 동결 건조하여 0.3g을 취한 후 클로로포름과 메탄올을 2:1로 혼합한 Folch solution 25ml을 튜브에 첨가한 후 4℃에서 24시간동안 방치하였다. 여기에 3차 증류수를 10ml를 첨가하여 잘 혼합한 후에 3,000 rpm에서 20분간 원심분리를 하였다. 원심분리시킨 샘플의 하층부(Lower phase)를 주사기를 이용하여 취하여 Hood 안에서 24시간정도 두어 Folch solution이 완전히 날아가도록 한 후, glacial acetic acid 3ml을 넣고 O-phthaldehyde reagent 2ml과 Conc. H2SO4 1ml을 첨가한 후 잘 혼합하여 10분 후 스펙트로포터미터(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530nm에서 고정파장(흡광도)을 측정하였다. 표준곡선은 Cholesterol standard stock solution을 10, 20, 30, 40, 50ml과 glacial acetic acid 40, 30, 20, 10, 0ml과 혼합하여 위와 같은 측정 과정을 거쳐 흡광도를 측정한 후 회귀식을 구하였다. 표준곡선에 의하여 측정되어진 양에 glacial acetic acid첨가량과 희석배수를 곱해준 값에 total lipid weight(mg)을 곱해주고, 그 값을 다시 시료무게로 나눠 cholesterol 함량(mg/100g, dry wt.)을 분석하였다.
육색 및 콜레스테롤 분석 결과는 하기 표 10에서 나타내었다.
비육돈에 있어 부식산 및 블루베리 잎 분말 첨가가 육색과 콜레스테롤 함량에 미치는 효과
평가항목 처리구
T1 T2 T3 T4 T5 T6 T7 T8
육색 L 61.01
±3.95a
61.54
±4.22a
60.08
±4.44ab
60.01
±3.40a
61.42
±3.52a
61.85
±4.61a
58.94
±3.99b
59.80
±4.01b
a 5.89
±1.83a
5.23
±1.86a
5.16
±1.48a
5.11
±1.88a
5.16
±1.3a
5.27
±1.57a
4.11
±1.39b
4.10
±1.88b
b 9.86
±1.12a
9.60
±1.16a
9.11
±1.04b
9.15
±1.42b
8.92
±0.96bc
8.51
±0.86cd
8.30
±0.94d
8.51
±0.41a
콜레스테롤
(mg/100g)
55.46
±18.03d
57.04
±17.12bc
59.92
±17.01cd
57.08
±18.50bc
77.19
±26.55a
57.71
±26.55ab
64.96
±19.36a
65.88
±25.02a
T1 : 대조구(무첨가)
T2 : 부식산 0%, 블루베리잎 0.1%,
T3 : 부식산 0%, 블루베리잎 0.2%,
T4 : 부식산 0%, 블루베리잎 0.5%,
T5 : 부식산 2%, 블루베리잎 0%,
T6 : 부식산 2%, 블루베리잎 0.1%,
T7 : 부식산 2%, 블루베리잎 0.2%
T8 : 부식산 2%, 블루베리잎 0.5%
a, b, c, d 각 처리구 내 서로 다른 머릿글자는 유의적인 차이가 있음 (P<0.05).
육색의 변화를 살펴본 결과, 명도는 블루베리 잎 함량이 증가할수록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적색도에서는 T7 및 T8이 유의적으로 낮은 수준을 나타내었다 (p<0.05). 황색도에서는 블루베리 잎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낮은 황색도를 보였으며, 부식산과 블루베리 잎을 함께 첨가한 처리구에서 더 낮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콜레스테롤은 T5가 유의적으로 높은 결과를 보였다 (p<0.05).
특히, 부식산 미첨가구(T1 내지 T4) 대비 부식산을 급여한 처리구에서 콜레스테롤 수치가 다소 높게 나타났으나, 이러한 부식산 처리에 따른 콜레스테롤 수치의 증가는 블루베리 잎 분말을 함께 급여함으로써 콜레스테롤 수치를 유의하게 낮출 수 있었다. 다만, 부식산과 함께 블루베리 잎을 급여하는 처리구에서 블루베리 잎의 급여량에 의존적으로 콜레스테롤 수치가 낮아지는 것은 아니며, 따라서 일정량의 블루베리 잎 분말의 첨가에 의미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상기 표 10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부식산을 급여한 처리구 중 T6 처리구에서 유의적으로 낮은 콜레스테롤 수치를 나타내었다.
참고로, 콜레스테롤이 높은 축산식품의 잦은 섭취 및 과잉섭취는 혈액 내 유해 콜레스테롤로서 알려진 저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low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LDL-C)함량을 증가시킨다. 혈액 LDL-C의 증가는 심장혈관계질환을 일으킬 수 있는 주원인으로 밝혀졌으며, 높은 사망률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식육 내 콜레스테롤의 함량이 낮을수록 좋다고 할 수 있다.
<5-6> 콜라겐 및 마이글로빈
각 처리구별 돈육 샘플의 콜라겐 함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삼각플라스크에 시료 약 4g을 넣고 30ml의 sulfuric acid solution을 첨가한 후, 뚜껑을 덮고 105℃ 드라이 오븐에서 16시간동안 가열한 것을 500ml의 볼륨 플라스크에 넣고 3차 증류수로 희석하여 균질시켜 Whatman No. 2 φ150mm 여과지를 이용해 여과하였다. 여과액 5ml을 넣고 100ml로 희석한 후, test tube에 희석액 2ml을 넣고, oxidant 용액 1ml을 첨가하여 흔들어 준 후 상온에서 20분간 방치하였다. 그리고 각 시험관에 발색시약(color reagent) 1ml을 첨가하고 혼합 한 후 60℃ water bath에 15분간 담근 후 3분이상 흐르는 물에 식혀 스펙트로포터미터(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558nm에서 고정파장(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표준곡선은 working standard 용액 2ml을 발색과 측정 과정을 거쳐 흡광도를 측정한 후에 회귀식에 대입하여 콜라겐 함량(g/100g)을 분석하였다. 한편, 마이오글로빈 함량 분석을 위하여 분쇄한 시료 2g을 팔콘 튜브에 담아 차가운(4℃)40mM 인산 버퍼(pH 6.8)용액을 튜브에 18ml씩 넣은 다음 휴대 호모게나이져(Homogenizer)로 30초 동안 균질화한 다음 5,200rpm, 10분간 원심분리한다. 원심분리된, 전체용출물을 Whatman No. 2 φ150mm 여과지를 이용해 여과하였다. 여과액을 스펙트로포터미터(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700nm와 525nm에서의 고정파장(흡광도)을 측정하였다.
자세한 결과는 하기 표 11에서 나타내었다.
비육돈에 있어 부식산 및 블루베리 잎 분말 첨가가 콜라겐과 마이오글로빈 함량에 미치는 효과
평가항목 처리구
T1 T2 T3 T4 T5 T6 T7 T8
콜라겐 11.25
±0.57c
11.80
±0.49d
12.10
±0.60b
12.09
±0.55b
12.48
±0.43a
12.54
±0.42a
12.28
±0.32ab
12.20
±0.20a
마이오글로빈 2.14
±0.39c
2.43
±0.55ab
2.59
±0.28ab
2.58
±0.51ab
2.60
±0.57ab
2.86
±0.77a
2.80
±1.13b
2.81
±0.50b
T1 : 대조구(무첨가)
T2 : 부식산 0%, 블루베리잎 0.1%,
T3 : 부식산 0%, 블루베리잎 0.2%,
T4 : 부식산 0%, 블루베리잎 0.5%,
T5 : 부식산 2%, 블루베리잎 0%,
T6 : 부식산 2%, 블루베리잎 0.1%,
T7 : 부식산 2%, 블루베리잎 0.2%
T8 : 부식산 2%, 블루베리잎 0.5%
a, b, c, d 각 처리구 내 서로 다른 머릿글자는 유의적인 차이가 있음 (P<0.05).
상기 표 1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처리구별 돈육의 콜라겐 함량은 T5 및 T6이 유의적으로 높은 결과를 보였고 (p<0.05), 마이오글로빈은 부식산과 블루베리 잎을 함께 급여한 처리구(T6, T7, T8)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결과를 보였다 (p<0.05).
참고로, 마이오글로빈은 근육 육색소의 80~90%를 차지하는 물질로서 glodin 단백질과 heme ring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heme ring의 중심부에 질소원자들이 철분과 결합되어 있다. 고기가 선홍색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은 마이오글로빈의 구성성분인 철 성분 때문이며, 근육 내 마이오글로빈 함량이 감소하면 육색이 연해지고 창백해진다. 고기색이 짙은 부분은 pH가 높고 물과 결합성과 보수성이 높고 유화성이 좋지만, 고기색이 옅으면 pH가 낮고 보수성이나 유화성이 좋지 못하여 맛이 없는 고기가 되기 때문에 마이오글로빈 함량은 육질특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다.
콜라겐은 피부를 부드럽게 해주며 세포와 세포사이를 연결하는 섬유성 단백질, 특히 뼈를 구성하는 칼슘의 접착제로서의 기능과 주름의 원인인 진피층의 구성요소로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콜라겐은 근원섬유 단백질보다 약 100배 강한 인장강도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콜라겐 함량이 높은 부위의 근육은 일반적으로 질긴 것으로 이해되고 있다. 그러나 도축 후 사후강직 전 근육을 냉각할 때 발생되는 저온단축 현상을 방지하면 콜라겐 함량은 연도와 큰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더욱이 콜라겐은 열에 의해 펩타이드 결합이 절단되어 가용성으로 젤라틴화 되므로 오랫동안 가열하는 조리방법에서는 콜라겐함량과 연도는 상관관계가 높지 않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상기 실험을 요약하면, 각 처리구별 비육돈의 생산성 및 혈액 특성은 전체 시험 기간 동안 일당증체량에서 2% 부식산과 0.1% 블루베리 잎을 급여한 T6이 수치상으로 높은 결과를 보였고 일당사료섭취량에서는 T7이 전체 처리구에서 유의적으로 가장 높은 결과를 보였다. 각 처리구별 비육돈의 혈액 내 콜레스테롤 함량에서는 대조군이(T1) 부식산 및 블루베리 잎을 함께 급여한 처리군(T6, T7, T8)보다 유의적으로 높았고, HDL 콜레스테롤 함량은 T7이 T1, T2, T5, T6 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결과를 보였고, 혈액 내 백혈구 함량에서는 T7이 T1, T2, T3, T4 보다 유의적으로 낮은 결과를 나타났으며, 항산화 효과 지표인 글루타치온은 T3, T4, T7 및 T8이 다른 처리구에 비해 수치상으로 높은 결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비육돈 사료 내 부식산 및 블루베리잎의 급여는 생산성 개선, 혈액 내 HDL 콜레스테롤 증가 및 항산화 효과 가능성 등 긍정적인 효과를 보인 것으로 사료된다.
한편, 각 처리구별 돈육 샘플의 품질을 분석한 결과, 일반성분에서 단백질은 부식산을 추가로 급여한 처리구(T5, T6, T7, T8)가 대조구에 비해 단백질함량이 높았으며, 지방은 유의적으로 낮은 수준을 나타내었다. 보수력은 T6이 유의적으로 가장 높은 수준을 나타내었으며, 육즙손실에서는 T6이 유의적으로 가장 낮은 수준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관능평가에서 T5가 연도, 풍미 및 전체기호도의 항목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으며, 다즙성 항목에서는 T6이 가장 높은 점수를 보여주었다. 또한, 저장기간 중 pH의 변화를 살펴본 결과, 모든 저장 기간에서 T1이 높은 결과를 보였으며, 전단력은 T7이 가장 낮은 결과를 보여주었다. 한편, 콜라겐 및 마이오글로빈은 T6이 유의적으로 높은 수준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부식산과 더불어 블루베리 잎의 급여가 돈육의 지방함량을 감소시키고 조직감과 관능평가에서 나쁜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육질 내 콜라겐 및 마이오글로빈 함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종합적으로, 비육돈 사료 내 부식산 및 블루베리잎의 급여는 비돈육의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돈육의 육질 내 지방감소, 콜라겐 및 마이오글로빈과 같은 기능성 물질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어, 비돈육의 육질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사료첨가제로서 부식산 및 블루베리잎의 급여가 육색에 커다란 변화를 주지 않으며, 콜레스테롤을 다소 낮추며, 저장특성분석에도 나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생각되어, 이러한 발명을 통해 궁극적으로 건강기능성 브랜드 돈육 개발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부식산(humic aicd) 및 블루베리 잎을 2:0.1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의 생산성 증대 및 육질개선용 사료첨가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식산 및 블루베리 잎은 분말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첨가제 조성물.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축은 소, 돼지, 닭, 오리, 염소, 양 및 말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의 가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첨가제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식산 및 블루베리 잎은 가축에 급여시 가축의 일당사료섭취량을 증대시키고, 혈액 내 HDL 콜레스테롤 증가 및 항산화 활성을 통해 가축의 생산성 증대 효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첨가제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식산 및 블루베리 잎은 가축에 급여시 가축의 육질 내 콜라겐 및 마이오글로빈의 함량을 증대시킴으로써 육질을 개선시키는 효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첨가제 조성물.
  7. 기초사료 100중량부에 대하여 부식산 2중량부 및 블루베리 잎 0.1중량부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가축의 생산성 증대 및 육질개선용 배합사료 조성물.
  8. 삭제
  9. 기초사료 100중량부에 대하여 부식산 0.01 내지 2중량부 및 블루베리 잎 분말 0.01 내지 1중량부를 첨가하여 가축에게 급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육질 내 콜라겐 및 마이오글로빈의 함량을 증대시키는 가축 생산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축은 돼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 생산방법.
KR1020140190475A 2014-12-26 2014-12-26 부식산 및 블루베리 잎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사료첨가제 조성물 KR1015979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0475A KR101597917B1 (ko) 2014-12-26 2014-12-26 부식산 및 블루베리 잎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사료첨가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0475A KR101597917B1 (ko) 2014-12-26 2014-12-26 부식산 및 블루베리 잎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사료첨가제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7917B1 true KR101597917B1 (ko) 2016-02-25

Family

ID=55446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0475A KR101597917B1 (ko) 2014-12-26 2014-12-26 부식산 및 블루베리 잎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사료첨가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791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0028A (ko) * 2002-12-02 2003-01-03 서희동 사료첨가제 제조 및 이용방법
KR20050117660A (ko) * 2004-06-11 2005-12-15 진주산업대학교 산학협력단 천연 항산화물을 포함하는 가축의 사료첨가제
KR20110137023A (ko) 2010-06-16 2011-12-22 제주특별자치도(농업기술원) 탐라오갈피를 포함하는 양돈용 기능성 사료 조성물
KR101392108B1 (ko) 2013-04-17 2014-05-12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산세수 및 게껍질을 포함하는 돼지 사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0028A (ko) * 2002-12-02 2003-01-03 서희동 사료첨가제 제조 및 이용방법
KR20050117660A (ko) * 2004-06-11 2005-12-15 진주산업대학교 산학협력단 천연 항산화물을 포함하는 가축의 사료첨가제
KR20110137023A (ko) 2010-06-16 2011-12-22 제주특별자치도(농업기술원) 탐라오갈피를 포함하는 양돈용 기능성 사료 조성물
KR101392108B1 (ko) 2013-04-17 2014-05-12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산세수 및 게껍질을 포함하는 돼지 사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ifonzo et al. Functional compounds from olive pomace to obtain high‐added value foods–a review
Florou-Paneri et al. Oregano herb versus oregano essential oil as feed supplements to increase the oxidative stability of turkey meat
Dongmeza et al. Effects of dehydrated methanol extracts of moringa (Moringa oleifera Lam.) leaves and three of its fractions on growth performance and feed nutrient assimilation in Nile tilapia (Oreochromis niloticus (L.))
Kim et al. Effects of dietary Chlorella ellipsoidea supplementation on growth, blood characteristics, and whole‐body composition in juvenile Japanes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KR100930146B1 (ko) 알칼로이드를 함유한 사료 첨가제, 이를 포함하는 가축 사료 및 그 용도
Cook et al. Evaluation of various cottonseed products on the growth and digestibility performance in Florida pompano Trachinotus carolinus
Alarcon-Rojo et al. Use of apple pomace in animal feed as an antioxidant of meat
Šulcerová et al. Effect of addition of pollen and propolis to feeding mixtures during the production of broiler chickens ROSS 308 to the colour of thigh and breast muscle and pH determination
Azor et al. Utilization of African Star Apple (Chrysophyllum albidum) kernel meal in broiler diets
Hou et al.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 of mulberry leaf (Morus alba) on growth and meat quality in rabbits
WO2006047416A2 (en) Garcinia mangostana l. enhanced animal food product
Ojediranemiola et al. Effects of processing methods and levels of inclusion of Jatropha curcas kernel meal on performance, organ characteristics, haematology and serum chemistry of finisher broiler chickens
KR101597917B1 (ko) 부식산 및 블루베리 잎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사료첨가제 조성물
Kim et al. Effects of humic acid and blueberry leaf powder supplementation in feeds on the productivity, blood and meat quality of finishing pigs
Ayoade et al. Effects of different processing operations on chemical composition and functional properties of African breadfruit (Treculia africana) seed
Aderemi et al. Evaluation of fermented Locust Bean Meal (Parkia biglobosa) as a replacement to soybean meal on production performance, blood profile and gut morphology of broiler chicken
Akpe et al. Haematological and serum biochemical indices of broiler chickens fed diets containing graded levels of biodegraded sweet orange (Citrus sinensis) Peel
KR101484274B1 (ko) 밤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사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879596B1 (ko) 가금류 사료 조성물
Saeidi et al. Potential of oak acorn with and without polyethylene glycol as an alternative to corn in broiler diets
Khan et al. Changes in lipid profile and some blood biochemical parameters in Karadi lambs receiving different levels of pomegranate peels.
Cornescu et al. USAGE OF FOOD INDUSTRY BY PRODUCTS (FLAXSEED AND GRAPESEED MEAL) IN FATTENING PIGS'DIET.
Badawy et al. Utilization of olive cake by-product for improvement of shelf life and quality of chicken meat
CN107751619A (zh) 一种宠物猫的专用日粮
Signor et al. Organic Soybean Meal in Diet for Nile Tilapi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