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5128B1 - 데이터 중심의 통신 서비스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데이터 중심의 통신 서비스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5128B1
KR101595128B1 KR1020090092029A KR20090092029A KR101595128B1 KR 101595128 B1 KR101595128 B1 KR 101595128B1 KR 1020090092029 A KR1020090092029 A KR 1020090092029A KR 20090092029 A KR20090092029 A KR 20090092029A KR 101595128 B1 KR101595128 B1 KR 1015951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terminal
communication service
media data
call medi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20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34495A (ko
Inventor
황진경
서정민
최은호
권순종
백은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900920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5128B1/ko
Publication of KR201100344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44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51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51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Q50/50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6Arrangements for connecting several subscribers to a common circuit, i.e. affording conference facilities
    • H04M3/567Multimedia conference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04W8/20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Abstract

데이터 중심의 데이터 분배 방식을 이용한 통신 서비스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기술이 개시된다. 이러한 기술에 따르면, 데이터 중심의 통신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제1단말기로부터 통화 미디어 데이터를 포함하는 게시(publish)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제2단말기로부터 관심 데이터에 대한 등록(subscribe)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통화 미디어 데이터와 상기 관심 데이터의 부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통화 미디어 데이터를 상기 제2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등록 메시지는, 상기 제2단말기로부터 요청된 통신 서비스 종류 정보 또는 통신 환경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서비스 방법은, 상기 통신 서비스 종류 정보 또는 통신 환경 정보에 따라 상기 통화 미디어 데이터를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데이터 분배, 데이터 중심, 등록, 게시

Description

데이터 중심의 통신 서비스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DATA ORIENTED COMMUNICATION SERVICE}
본 발명은 데이터 중심의 통신 서비스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데이터 중심의 데이터 분배 방식을 이용한 통신 서비스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통신(통화) 서비스는 클라이언트-서버 방식으로서, 서비스 요청자인 송신자의 요청에 따라 서버가 수신자에게 요청하는 송신자 중심의 방식이다. 따라서 수신자가 송신자의 요청에 응답하지 않을 경우에 통신 서비스는 이루어지지 않는다. 또한, 수신자는 원하지 않는 송신자로부터의 통신에 대해서도 통신 요청을 받을 수밖에 없다. 즉, 송신자가 수신자의 주소를 아는 경우, 송신자가 원하는대로 통신 요청이 성공되기 때문에 수신자는 스팸 전화 등에 노출되기 쉽다.
그리고 인터넷 기반의 음성서비스(VoIP)의 경우, 음성 미디어 패킷이 TCP/IP 또는 UDP/IP 등의 프로토콜 기반으로 전달됨에 따라 음성 패킷 전달 오버헤드가 큰 편이다. 또한, 종래 통신 서비스 프로토콜인 IP/UDP/TCP/RTP/SDP/SIP 상에서 오류처리, 유효성 처리 등의 절차가 이루어져, 인터넷 기반의 음성서비스(VoIP)는 실시간 서비스에 적합하지 않다.
그리고 종래의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기반의 PoC(Push To Talk over Cellular) 서비스는 착신자 번호나 버디 리스트를 기반으로 해당 착신자에게 푸쉬버튼을 눌러 음성이나 영상 등의 데이터를 보내어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로서, 이벤트를 수집 및 분배하는 서버가 중앙 집중적이다. 또한, SIP 기반의 PoC 서비스는, 서버 및 클라이언트가 각각의 주소에 따라 통신하는 모델의 서비스로서, 버디들간에 사전 세션 설정 과정이 필요하며, 서버 및 클라이언트가 통신 상대 각각의 물리적인 주소를 알아야만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클라이언트-서버 방식의 통신 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의 통신 서비스 시스템은 사용자(user agent client)와 서버(user agent server) 사이의 요청(request)에 대해 응답(response)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운용된다. 서버는 프락싱(proxying)하거나 back-to-back user agent로서 통화 요청에 응답해 단말 간에 세션을 설정하여 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즉, 도 1의 통신 서비스 시스템에 따른 통신 서비스는 송신자가 요청을 개시하고 수신자는 요청에 대해 수동적으로 응답함으로써 이루어지는, 송신자 중심의 통신 서비스이다. 클라이언트-서버 방식의 특성상 사용자의 요청과 서버의 응답이 동기화되어야, 즉 사용자의 요청에 서버가 응답하여야 통신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서버측의 응답 지연에 따라 실시간 서비스가 제공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전술된 인터넷 프로토콜(IP) 기반에서 구축된 통신 서비스들의 문제점 및 단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새로운 네트워크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종래의 클라이언트-서버 방식이 아닌, 데이터 중심 또는 이벤트 드리븐(event driven) 수신자 중심의 새로운 통신 패러다임이 등장하였다.
데이터 중심 서비스를 실시간으로 제공하기 위한 표준으로는 OMG(object management group, www.omg.org)에서 정의한 DDS(data distribution service)가 있으며, DDS는 군사용 시스템과 같은 실시간 시스템을 위한 데이터 분배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 중심 통신 모델(Data Distribution Service for Real-time Systems Version 1.2, OMG specification)을 규정하고 있다. 또한, 서로 다른 벤더가 구현한 DDS 시스템 간에 상호 운영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규격으로서 RTPS(The Real-time Publish-Subscribe Wire Protocol DDS Interoperability Wire Protocol Specification Version 2.1, OMG specification)가 있다.
그리고 이벤트 및 데이터 중심 통신 라우팅 패러다임에 대한 연구로서, 미래 인터넷 관련 유럽 연구과제인 EU(European Union) FP-7(Framework Program)에서 PSIRP(Publish-subscribe internet routing paradigm)가 진행되고 있으며, 종전의 송신자 중심의 통신 패러다임이 아닌, 수신자 중심의 패러다임을 통해, 스팸 메일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장점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된 규격 및 연구는 텍스트 메시징이나 증권 정보 등과 같은 데이터의 크기가 문자열 수준으로 매우 작은 경우에 대해서만 적용되고 있다. 상기된 클라이언트-서버 방식의 문제점을 해결하면서, 동시에 대용량의 음성, 영상 미디어 데이터 송수신을 통해 서비스가 이루어지는 통화 서비스 및 회의통화 서비스 등에 적용될 수 있는 통신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종래 클라이언트-서버 방식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대용량의 통화 미디어 데이터가 사용되는 통화 서비스 또는 회의 서비스와 같은 통신 서비스에서 수신자 중심의 데이터 중심 통신 서비스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데이터 중심의 통신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제1단말기로부터 통화 미디어 데이터를 포함하는 게시(publish)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제2단말기로부터 관심 데이터에 대한 등록(subscribe)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통화 미디어 데이터와 상기 관심 데이터의 부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통화 미디어 데이터를 상기 제2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등록 메시지는, 상기 제2단말기로부터 요청된 통신 서비스 종류 정보 또는 통신 환경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서비스 방법은, 상기 통신 서비스 종류 정보 또는 통신 환경 정보에 따라 상기 통화 미디어 데이터를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삭제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데이터 중심의 통신 서비스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단말기로부터 통화 미디어 데이터를 포함하는 게시 메시지 또는 관심 데이터에 대한 등록 메시지를 수신하는 메시지 수신부; 상기 통화 미디어 데이터와 상기 관심 데이터의 부합 여부를 판단하는 데이터 판단부; 및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등록 메시지를 전송한 단말기로 상기 통화 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부를 포함하되, 상기 등록 메시지는, 상기 등록 메시지를 전송한 단말기로부터 요청된 통신 서비스 종류 정보 또는 통신 환경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서비스 장치는, 상기 통신 서비스 종류 정보 또는 상기 통신 환경 정보에 따라 상기 통화 미디어 데이터를 처리하는 서비스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게시된 데이터와 등록된 관심 데이터의 부합 여부에 따라 등록자에게 게시된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수신자 중심의 통신 서비스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통신 서비스 이용자는 통신 상대의 응답 또는 물리적인 주소와 관계없이 통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서비스 방법에 대한 개념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서비스 방법은 DDS 및 RTPS 표준에 따른 등록(subscribe) 및 게시(publish) 방식에 기반한다. 등록 및 게시의 통신 방식에서 송수신되는 데이터는 메시지 구조체인 토픽(topic)으로 정의된다. 등록 및 게시의 통신 방식은 특정 영역(domain) 내의 데이터에 대해 등록자(subscriber)가 데이터의 수신 의향을 등록하고, 게시자(publisher)가 데이터를 게시하며, 게시된 데이터가 등록자의 수신 의향에 따른 데이터인 경우, 즉 게시된 데이터가 수신 의향에 부합(match)하는 경우 게시된 데이터가 등록자에게 전송되도록 하는 방식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단말기(201)는 게시자로서, 통화 미디어 데이터를 데이터 분배부(207)를 통해 전송하여 통화 미디어 데이터를 게시한다. 즉, 제1단말기(201)에 의해 게시되는 통화 미디어 데이터는 데이터 분배부(207)를 통해 제2 및 제3단말기(203, 205)에 게시 즉, 제2 및 제3단말기(203, 205)로 전송된다. 데이터 분배부(207)는 단말기 각각에 데이터를 분배하여 전송하는 전송 경로로서, 일반적으로 IP 멀티캐스트(multicast) 방식에 따라 데이터를 분배한다.
제2 및 제3단말기(203, 205)는 등록자로서, 관심 데이터에 대한 등록 메시지를 데이터 분배부(207)로 전송하여 관심 데이터에 대한 수신 의향을 등록한다. 즉, 제2단말기(203)의 등록 메시지는 데이터 분배부(207)를 통해 제1 및 제3단말기(201, 205)로 전송되며, 제3단말기(205)의 등록 메시지는 데이터 분배부(207)를 통해 제1 및 제2단말기(201, 203)로 전송된다. 제1 내지 제3단말기(201, 203, 205) 각각은 게시된 통화 미디어 데이터와 관심 데이터의 부합 여부를 판단하고, 게시된 통화 미디어 데이터와 관심 데이터의 부합할 경우에 게시되는 데이터를 수신한다.
도 2는 제3단말기(205)에 대한 관심 데이터가 통화 미디어 데이터와 부합하는 경우로서, 제3단말기(205)는 제1단말기(201)에 의해 게시된 통화 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한다. 그러나 제2단말기(203)는 제1단말기(201)에 의해 게시된 통화 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하지 않는다. 도 2에서는 이해를 돕기 위해, 등록 메시지의 수신은 표현하지 않았으며, 게시된 통화 미디어의 수신만을 표시하였다. 또한, 도 2에서 제1 내지 제3단말기(201, 203, 205) 각각은 모두 게시 및 등록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클라이언트-서버 방식과 달리 수신자(등록자) 중심의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통화 미디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즉, 본 발명은 게시자(송신자)의 요청에 관계없이 수신자(등록자)는 수신을 희망하는 관심 데이터에 대한 등록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수신을 희망하는 관심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수신자(등록자)는 장소와 시간에 구애됨이 없이 관심 데이터를 등록하고, 게시된 데이터를 수신함으로써, 통신 상대의 응답에 관계없이 비동기식 통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으며, 게시된 데이터와 관심 데이터가 부합할 경우에 게시된 데이터를 즉시 수신할 수 있으므로 실시간으로 상대방과 통신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수신자(등록자)는 수신 의향이 있는 데이터만을 수신할 수 있으므로 자신이 원하는 대상과만 통화할 수 있으며, 원하지 않는 대상과는 통화하지 않을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르면, 통화 미디어 데이터와 관심 데이터에 포함된 통화 상대의 이름만으로 서비스가 수행될 수 있기 때문에 통화를 희망하는 상대의 물리적인 주소(예를 들어 전화번호)를 알지 못하더라도 통신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보안성 측면에서 우수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통화 미디어 데이터와 관심 데이터의 부합 여부 판단 방법은 도 3에서 보다 자세히 설명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 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서비스 시스템은 통신 서비스 장치(301), 제1단말기(311) 및 제2단말기(313)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서비스 시스템은 복수의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는데, 도 3에서는 제1 및 제2단말기(311, 313)가 통신 서비스 시스템을 구성하는 경우가 일실시예로서 설명되며, 통신 서비스 장치(301), 제1단말기(311) 및 제2단말기(313)는 현재 IP 망 또는 보다 발전된 차세대 네트워크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도 2에서 전술된 바와 같이, 통신 서비스 장치(301), 제1단말기(311) 및 제2단말기(313)는 등록 및 게시 기능을 제공한다.
제1단말기(311)는 통화 미디어 데이터를 게시하기 위해 통화 미디어 데이터를 통신 서비스 장치(301)로 전송한다. 제1단말기(201)는 통화 미디어 데이터를 포함하는 게시 메시지를 통신 서비스 장치(301)로 전송함으로써, 통화 미디어 데이터를 통신 서비스 장치(301)에 게시할 수 있다. 여기서, 통화 미디어는 양자 또는 다자 간의 통신을 위한 음성 또는 영상 미디어 데이터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양자 또는 다자 간의 통화를 위한 음성 또는 영상 미디어 데이터일 수 있다.
제2단말기(313)는 관심 데이터에 대한 등록 메시지를 통신 서비스 장치(301)로 전송한다. 즉, 제2단말기(313)는 수신 의향이 있는 데이터에 대한 메시지를 통신 서비스 장치(301)에 등록한다.
통신 서비스 장치(301)는 게시된 통화 미디어 데이터와 등록된 관심 데이터의 부합 여부를 판단하고, 부합할 경우에 제2단말기(313)로 통화 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 때, 통신 서비스 장치(301)는 제2단말기(313)로부터 요청되는 서비스의 종류에 따라 통화 미디어 데이터를 믹싱(mixing)하거나 또는 트랜스 코딩하는 등의 처리를 수행하고 처리된 통화 미디어 데이터를 제2단말기(313)로 전송할 수 있다.
즉, 통신 서비스 장치(301)는 통신 서비스 가입자의 요청에 따라 다양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데, 제2단말기(313)로부터 요청된 서비스가 회의 서비스일 경우에 통신 서비스 장치(301)는 복수의 단말기에 의해 게시된 다수의 통화 미디어 데이터를 믹싱하여 제2단말기(313)로 전송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회의 서 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통신 서비스 장치(301)에 대해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서비스 장치(301)는 메시지 수신부(303), 데이터 판단부(305) 및 데이터 전송부(307)를 포함한다.
메시지 수신부(303)는 복수의 단말기로부터 통화 미디어 데이터를 포함하는 게시 메시지 또는 관심 데이터에 대한 등록 메시지를 수신한다. 도 3에서는 상기된 바와 같이, 복수의 단말기 중 제1단말기(311)가 게시 메시지를 전송하고, 제2단말기(313)가 등록 메시지를 전송하는 경우가 일실시예로 설명된다.
데이터 판단부(305)는 통화 미디어 데이터와 관심 데이터의 부합 여부를 판단한다. 데이터 판단부(305)는 통화 미디어 데이터의 토픽(topic)과 관심 데이터의 토픽을 비교하여 데이터의 부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토픽은 데이터에 설정된 이름 자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통화 미디어 데이터의 토픽(주제)이 '회의 통화'이며, 관심 데이터의 토픽 역시 '회의 통화'인 경우에 데이터 판단부(305)는 통화 미디어 데이터의 토픽과 관심 데이터의 토픽이 부합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토픽에는 애트리뷰트(attribute) 값이 설정될 수 있으며, 데이터 판단부(305)는 토픽에 설정된 애트리뷰트 값에 따라 토픽의 부합여부를 구체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토픽은 관심 데이터의 대상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대상자에 대한 정보는 단말기 사용자, 즉 통신 서비스 가입자의 이름(name)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관심 데이터의 토픽이 'from A(제1단말기(311) 사용자의 이름) to B(제2단말기(313) 사용자의 이름) 회의 통화'이며, 게시된 통화 미디어 데이터의 토픽은 'from A 회의 통화'인 경우에, 데이터 판단부(305)는 복수의 통화 미디어 중에서 제2단말기의 관심 데이터가 제1단말기(311)에 의해 게시된 통화 미디어 데이터임을 판단할 수 있다.
즉, 2개 이상의 단말기가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통신 서비스 장치(301)는 관심 데이터의 대상자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토픽 및 가입자 정보 데이터 베이스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제2단말기(313)의 사용자는 제1단말기(311)에 대한 물리적 주소, 예를 들어 전화번호 등을 알지 못할지라도, 제1단말기(311)에 의해 게시된 데이터를 전송받을 수 있다.
데이터 전송부(307)는 데이터 판단부(305)의 판단 결과에 따라, 등록 메시지를 전송한 단말기로 통화 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통보)한다. 상기된 바와 같이, 제2단말기(313)로부터 등록 메시지가 전송되었으므로 데이터 전송부(307)는 제2단말기(313)로 통화 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한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서비스 장치(301)는 서비스 제어부(30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등록 메시지는, 등록 메시지를 전송한 단말기로부터 요청된 통신 서비스 종류 정보 또는 통신 환경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서비스 제어부(309)는 통신 서비스 종류 정보 또는 통신 환경 정보에 따라 통화 미디어 데이터를 처리한다. 예를 들어, 통신 서비스 종류가 회의 서비스인 경우, 서비스 제어부(309)는 복수의 단말기에 의해 게시된 다수의 통화 미디어 데이터를 믹싱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어부(309)는 QoS(품질 파라미터) 정보 등의 통신 환경 정보에 따라 통화 미디어 데이터의 비트율 등을 변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서비스 장치(301)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유연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이와 함께, 데이터 전송부(307)는 통신 환경 정보에 따라 통화 미디어 데이터를 패킷화하여 제2단말기(313)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 전송부(307)는 가입자 정보가 저장된 가입자 정보 데이터 베이스를 이용하여, 통화 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즉, 가입자 정보 데이터 베이스는 토픽에 포함된 이름과 제2단말기(313)의 물리적인 주소를 매핑시켜 데이터 전송부(307)로 전송하고, 데이터 전송부(307)는 제2단말기(313)의 물리적 주소를 이용하여 제2단말기(313)로 통화 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도 2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단말기(311, 313)는 등록 및 게시 기능을 포함하며, 일대일로 게시 메시지와 등록 메시지를 송수신하고, 토픽의 부합 여부를 판단하면서,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보다 많은 수의 단말기와 통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시스템 설계에 따라, 제1 및 제2단말기(311, 313)가 통신 서비스 장치(301)로 기능하여,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통신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서비스 방법은 단계 S401로부터 시작된다. 도 4에서는 제1 및 제2단말기(311, 313)가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서 비스에 가입된 단말기인 경우가 일실시예로서 설명된다.
단계 S401에서 통신 서비스 장치(301)는 제1단말기(311)로부터 통화 미디어 데이터를 포함하는 게시 메시지를 수신한다. 여기서, 통화 미디어는 양자 또는 다자 간의 통신을 위한 음성 또는 영상 미디어 데이터일 수 있다.
단계 S403에서 통신 서비스 장치(301)는 제2단말기(313)로부터 관심 데이터에 대한 등록 메시지를 수신한다. 상기된 바와 같이, 제2단말기(313)는 등록 메시지를 통신 서비스 장치(301)로 전송함으로써 수신 의향이 있는 메시지에 대한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단계 S405에서 통신 서비스 장치(301)는 통화 미디어 데이터와 관심 데이터의 부합 여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통신 서비스 장치(301)는 게시 메시지와 등록 메시지를 저장하고, 통화 미디어 데이터의 토픽과 관심 데이터의 토픽을 비교하여 데이터의 부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405에서 통신 서비스 장치(301)는 단계 S405의 판단 결과에 따라, 통화 미디어 데이터를 제2단말기(313)로 전송한다. 토픽은 관심 데이터의 대상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대상자에 대한 정보는 단말기 사용자의 이름일 수 있다. 단계 S405에서 통신 서비스 장치(301)는 가입자 정보 데이터 베이스를 이용하여 이름과 단말기의 물리적인 주소를 매핑시켜 통화 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서비스 방법은 수신자(제2단말기(313)) 중심의 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제2단말기(313)는 등록 메시지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수신함으로써, 제1단말기(311)가 제2단말기(313)의 요청에 응답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없이, 비동기적으로 제1단말기(311)에 의해 게시된 통화 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1단말기(311)에 의해 게시된 통화 미디어 데이터가 존재할 경우 제2단말기(313)는 등록 메시지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통화 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르면, 통화 미디어 데이터와 관심 데이터에 포함된 통화 상대의 이름만으로 서비스가 수행될 수 있기 때문에 통화를 희망하는 상대의 물리적인 주소(예를 들어 전화번호)를 알지 못하더라도 통신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등록 메시지는 등록 메시지를 전송한 단말기로부터 요청된 통신 서비스 종류 정보 또는 통신 환경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서비스 방법은 통신 서비스 종류 정보 또는 통신 환경 정보에 따라 통화 미디어 데이터를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서, 통신 서비스 종류가 회의 서비스인 경우, 통신 서비스 장치(301)는 복수의 단말기에 의해 게시된 다수의 통화 미디어 데이터를 믹싱할 수 있다. 통신 서비스 종류가 일반 통화 서비스인 경우, 통신 서비스 장치(301)는 별도의 믹싱 없이, 통신 환경 정보에 따라 통화 미디어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서는 제1단말기(311)가 게시 메시지를 전송하고 제2단말기(313)가 등록 메시지를 전송하는 경우가 일실시예로서 설명되었지만, 제2단말기(313)가 게시 메시지를 전송하고 제1단말기(311)가 등록 메시지를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도 3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서비스 방법은 복수의 단말기로부터 게시 메시지 또는 등록 메시지를 수신하여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통신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로서 도 5에서는 도 4의 제2단말기(313)의 통신 서비스 방법이 설명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서비스 방법은 단계 S501로부터 시작된다.
단계 S501에서 제2단말기(313)는 관심 데이터에 대한 등록 메시지를 통신 서비스 장치(301)로 전송한다. 그리고 단계 S503에서 제2단말기(313)는 통신 서비스 장치(301)에 게시된 제1통화 미디어 데이터와 관심 데이터가 부합하는 경우에 통신 서비스 장치(301)로부터 전송되는 제1통화 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한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서비스 방법은 제2단말기(313)가 통신 서비스 장치(301)로 제2통화 미디어 데이터를 포함하는 게시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임의의 단말기가 제2통화 미디어 데이터를 관심 데이터로 하는 등록 메시지를 이용하여, 제2통화 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서 전술된 바와 같이, 제2단말기(313)와 제1단말기(311)는 일대일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통신 서비스 장치(301)는 제1단말기(311)와 대응된다고 할 수 있다. 즉, 제2단말기(313)는 제1단말기(311)로 게시 및 등록 메시지를 전송하고, 제1단말기(311)에 의해 게시된 통화 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에 따른 회의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6은 회의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며, 도 7은 3개의 단말기에 회의 서비스가 제공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6에 대해 설명하면, 통신 서비스 장치(301)는 회의 서비스 가입자로부터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고, 가입자 인증 및 자원 할당 등의 초기화 과정을 수행한다(S601). 그리고 통신 서비스 장치(301)는 회의 서비스 가입자 중 등록자 및 게시자로부터 등록 및 게시 메시지를 수신하여 저장한다(S603, S605).
통신 서비스 장치(301)는 게시 메시지에 포함된 통화 미디어 데이터를 믹싱하는 등 통화 서비스 종류 정보 또는 통신 환경 정보에 따라 통화 미디어 데이터를 처리한다(S607). 그리고 통화 미디어 데이터와 관심 데이터의 토픽이 부합할 경우(S609) 등록자에게 믹싱된 통화 미디어 데이터를 통보 메시지를 이용하여 전송한다(S611). 토픽이 부합되지 않을 경우(S609), 통신 서비스 장치(301)는 등록자 및 게시자로부터 등록 및 게시 메시지를 수신 및 저장하고, 다시 토픽의 부합 여부를 판단한다.
회의 서비스에 신규 참여자가 참여하는 경우(S613) 상기 과정이 반복되어 수행될 수 있으며, 통화 서비스 장치(301)는 회의 서비스 가입자로부터 회의 서비스 종료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S615) 회의 서비스를 종료한다.
이하, 도 7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에서는 토픽이 부합하는 것으로 가정하고, 토픽의 부합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의 설명없이 데이터의 흐름이 중심이 되어 설명된다. 그리고 도 7의 데이터 송수신부(709)는 도 3의 메시지 수신부(303)와 데이터 전송부(307)가 함께 구성된 것을 나타낸다. 또한, 제1 내지 제3단말기(701, 703, 711)는 회의 서비스 가입 단말기로서, 도 7에서 등록 메시지에는 제1 내지 제3단말기(701, 703, 711) 가입자 이름이 버디 리스트로서 포함된 경우가 일실시예로서 설명된다. 그리고 도 7의 제1 내지 제3단말기(701, 703, 711)와 통신 서비스 장치(705)는 도 3의 통신 서비스 시스템과 대응된다.
제1 및 제2단말기(701, 703)의 회의 서비스 요청에 따라 통신 서비스 장치(705)는 네트워크 등록 및 인증 절차를 수행하며, 회의 서비스 제공을 위한 초기화 과정을 수행한다(S701). 회의 서비스 요청은 회의 서비스에 대한 ID가 이용되어 수행될 수 있다.
제1 및 제2단말기(701, 703)는 회의 서비스에 대한 통화 미디어 데이터를 관심 데이터로 하여 등록 메시지를 데이터 송수신부(709)로 전송(S703, S705)하며, 자신의 통화 미디어 데이터를 포함하는 게시 메시지를 데이터 송수신부(709)로 전송, 즉 게시한다(S707, S709).
서비스 제어부(707)는 게시된 통화 미디어 데이터를 믹싱(S711)하고, 데이터 송수신부(709)는 믹싱된 통화 미디어 데이터를 제1 및 제2단말기(701, 703)로 전송, 즉 게시한다(S713, S715).
이후 제3단말기(711)가 추가로 회의 서비스를 요청하는 경우 통신 서비스 장치(705)는 네트워크 등록 및 인증 절차를 수행하며, 회의 서비스 제공을 위한 초기화 과정을 수행한다(S717).
제3단말기(711)는 회의 서비스에 대한 통화 미디어 데이터를 관심 데이터로 하여 등록 메시지를 데이터 송수신부(709)로 전송(S719)하며, 데이터 송수신부(709)는 믹싱된 통화 미디어 데이터를 제3단말기(711)로 전송, 즉 게시한다(S721). 그리고 제3단말기(711)는 자신의 통화 미디어 데이터를 데이터 송수신부(709)로 전송, 즉 게시한다(S723).
서비스 제어부(707)는 믹싱된 통화 미디어 데이터에 제3단말기(711)에 의해 게시된 통화 미디어 데이터를 믹싱(S725)하고, 믹싱된 데이터를 제1 내지 제3단말기(701, 703, 711)로 전송, 즉 게시한다(S727, 729, 731).
도 8은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에 따른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에서 제1단말기(311)의 등록 메시지의 토픽은 제2단말기(313)에 의해 게시된 통화 미디어 데이터를 관심 데이터로 하는 토픽이며, 제1단말기(311)의 게시 메시지의 토픽은 자신의 통화 미디어 데이터를 나타내는 토픽이다. 그리고 제2단말기(313)의 등록 메시지의 토픽은 제1단말기(311)에 의해 게시된 통화 미디어 데이터를 관심 데이터로 하는 토픽이며, 제2단말기(313)의 게시 메시지의 토픽은 자신의 통화 미디어 데이터를 나타내는 토픽이다.
제1 및 제2단말기(311, 313)는 통신 서비스 장치(301)로 통화 서비스를 요청한다(S801, S803). 즉, 여기서의 통화 서비스 요청은 종래의 클라이언트-서버 방식에서 발신 호를 요청하는 것과 대응되는 것으로서, 제1 및 제2단말기(311, 313)는 수신 의향을 나타내는 등록 메시지를 이용하여 통화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단말기(311, 313)는 통화 서비스(예를 들어, ID:call-svc) 및 버디 리스트를 등록함으로써 통화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다. 여기서, 버디 리스트는 제1 및 제2단말기(311, 313)를 포함하며, 즉 제1 및 제2단말기(311, 313)의 등록 메시지의 토픽은 상기된 바와 같이, 버디 리스트에 포함된 단말기에 의해 게시된 통화 미디어 데이터를 관심 데이터로 하는 토픽이다.
제1 및 제2단말기(311, 313)는 자신의 통화 미디어 데이터를 포함하는 게시 메시지를 통신 서비스 장치(301)로 전송(S805, S807)하고, 통신 서비스 장치(301)는 QoS(품질 파라미터) 정보 등의 통신 환경에 따라 통화 미디어 데이터의 비트율 등을 변환하는 등의 처리를 수행한다(S809).
통신 서비스 장치(301)는 제1단말기(311)로부터 전송된 통화 미디어 데이터를 제2단말기(313)로 전송(S811)하고, 제2단말기(313)로부터 전송된 통화 미디어 데이터를 제1단말기(311)로 전송(S813)한다. 즉, 제1 및 제2단말기(311, 313) 각각에 의해 게시된 데이터는 제2 및 제1단말기(313, 311) 각각에 게시된다.
제1 및 제2단말기(311, 313)는 등록 메시지를 이용하여, 토픽의 부합 여부를 판단하고, 부합할 경우 게시된 데이터를 수신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1단말기(311) 사용자 및 제2단말기(313) 사용자는 상대방과 통화할 수 있다.
이후, 제1단말기(311)로부터 종료 메시지가 통신 서비스 장치(301)로 전송(S815)되면, 통신 서비스 장치(301)는 종료 메시지를 제2단말기(313)로 전 송(S817)하고 통화호를 종료한다. 제2단말기(313) 및 통신 서비스 장치(301)는 종료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제1 및 제2단말기(311, 313)로부터 게시 또는 등록되는 메시지는 통신 서비스 장치(301)를 경유하지 않을 수 있으며, 제1 및 제2단말기(311, 313)가 일대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제1 및 제2단말기(311, 313) 사용자는 통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중심의 통신 서비스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작성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는 당해 분야의 컴퓨터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성된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정보저장매체)에 저장되고, 컴퓨터에 의하여 판독되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방법을 구현한다. 그리고 상기 기록매체는 컴퓨터가 판독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기록매체(CD, DVD와 같은 유형적 매체뿐만 아니라 반송파와 같은 무형적 매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일반적인 클라이언트-서버 방식의 통신 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서비스 방법에 대한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 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통신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통신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에 따른 회의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에 따른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Claims (15)

  1. 삭제
  2. 데이터 중심의 통신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제1단말기로부터 통화 미디어 데이터를 포함하는 게시(publish)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제2단말기로부터 관심 데이터에 대한 등록(subscribe)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통화 미디어 데이터와 상기 관심 데이터의 부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통화 미디어 데이터를 상기 제2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등록 메시지는, 상기 제2단말기로부터 요청된 통신 서비스 종류 정보 또는 통신 환경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서비스 방법은,
    상기 통신 서비스 종류 정보 또는 통신 환경 정보에 따라 상기 통화 미디어 데이터를 처리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중심의 통신 서비스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 미디어 데이터를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제2단말기로부터 요청된 통신 서비스가 회의 서비스인 경우, 상기 제1단말로부터 수신된 통화 미디어 데이터와 상기 제2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통화 미디어 데이터를 믹싱하는, 데이터 중심의 통신 서비스 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 미디어 데이터와 상기 관심 데이터의 부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통화 미디어 데이터의 토픽(topic)과 상기 관심 데이터의 토픽을 비교하여 데이터의 부합 여부를 판단하는, 데이터 중심의 통신 서비스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토픽은,
    상기 관심 데이터의 대상자에 대한 정보
    를 포함하는 데이터 중심의 통신 서비스 방법.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 미디어 데이터는,
    양자 또는 다자 간의 통신을 위한 음성 또는 영상 미디어 데이터
    를 포함하는 데이터 중심의 통신 서비스 방법.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데이터 중심의 통신 서비스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단말기로부터 통화 미디어 데이터를 포함하는 게시 메시지 또는 관심 데이터에 대한 등록 메시지를 수신하는 메시지 수신부;
    상기 통화 미디어 데이터와 상기 관심 데이터의 부합 여부를 판단하는 데이터 판단부; 및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등록 메시지를 전송한 단말기로 상기 통화 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부를 포함하되,
    상기 등록 메시지는, 상기 등록 메시지를 전송한 단말기로부터 요청된 통신 서비스 종류 정보 또는 통신 환경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서비스 장치는,
    상기 통신 서비스 종류 정보 또는 상기 통신 환경 정보에 따라 상기 통화 미디어 데이터를 처리하는 서비스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중심의 통신 서비스 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어부는,
    상기 통신 서비스 종류가 회의 서비스인 경우, 상기 통화 미디어 데이터를 믹싱하는, 데이터 중심의 통신 서비스 장치.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송부는,
    상기 통신 서비스 환경 정보에 따라 상기 통화 미디어 데이터를 패킷화하여 상기 등록 메시지를 전송한 단말기로 전송하는, 데이터 중심의 통신 서비스 장치.
  15.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송부는, 가입자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 베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통화 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 중심의 통신 서비스 장치.
KR1020090092029A 2009-09-28 2009-09-28 데이터 중심의 통신 서비스 방법 및 장치. KR1015951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2029A KR101595128B1 (ko) 2009-09-28 2009-09-28 데이터 중심의 통신 서비스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2029A KR101595128B1 (ko) 2009-09-28 2009-09-28 데이터 중심의 통신 서비스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4495A KR20110034495A (ko) 2011-04-05
KR101595128B1 true KR101595128B1 (ko) 2016-02-18

Family

ID=44043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2029A KR101595128B1 (ko) 2009-09-28 2009-09-28 데이터 중심의 통신 서비스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512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6729B1 (ko) * 2012-03-14 2013-02-28 삼성탈레스 주식회사 데이터 분배 서비스를 위한 패킷 전송방식의 자동 선택 장치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33128B1 (en) 2005-10-18 2009-05-12 Real-Time Innovations, Inc. Data distribution service and database management systems bridge
JP2009152995A (ja) 2007-12-21 2009-07-09 Toshiba Corp 通信システム、通信システムに用いられる送信端末、通信システムに用いられる中継端末、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通信方法及び通信システムに用いられる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33128B1 (en) 2005-10-18 2009-05-12 Real-Time Innovations, Inc. Data distribution service and database management systems bridge
JP2009152995A (ja) 2007-12-21 2009-07-09 Toshiba Corp 通信システム、通信システムに用いられる送信端末、通信システムに用いられる中継端末、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通信方法及び通信システムに用いられる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논문(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2009)*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4495A (ko) 2011-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309211B1 (en) System and method for notifying a user of the status of other mobile terminals
US7983201B2 (en) Coordinated invitations to a conference call
KR101292506B1 (ko) 통신중인 사용자와 관련된 역할을 식별하고 전달하는 방법
KR100966959B1 (ko) 단말기 디바이스, 네트워크 디바이스, 메시지 검색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저장 제품
US20080281971A1 (en) Network multimedia communication using multiple devices
EP2055023B1 (en) Method of securing privacy in automatic answer mode of push-to service
JP5550627B2 (ja) 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グループ通信
CN101374118A (zh) 一种消息互连的方法、系统及装置
EP2560329B1 (en) Method and processing system for routing a message request
KR20070100819A (ko) Poc 시스템과 인스턴트 메시징(im) 시스템 사이의상호 연동을 위한 방법 및 장치
EP2453681A1 (en) System and method for routing session initiation protocol conversation
TW200922242A (en) Method and device for handling different addressing schemes in session initiation protocol communication
US990035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abling communications between users
US9398107B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aggregating and distributing contact and presence information
WO2009082097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message including a list of recipient user devices to each recipient user device
CN111279662A (zh) 消息传递资源功能
KR101595128B1 (ko) 데이터 중심의 통신 서비스 방법 및 장치.
JP4887366B2 (ja) インターネット通信ネットワークコアに属するサービス装置における機能の実施を制御するための装置
WO2009036689A1 (fr) Procédé d'association de message, terminal d'utilisateur et serveur
KR100475539B1 (ko) 무선 인스턴트 메신저를 이용한 실시간 음성정보 전송 방법 및 이를 구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EP195265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pt server having controlling function
Garcia-Luna-Aceves Experience with Collaborative Conferencing Applications in NamedData Networks
Ahonen Implementing a Multi-access Push to Talk System and Analysing User Experience
Ahonen Moniliityntäisen pikayhteys-järjestelmän toteuttaminen ja käyttäjäkokemuksen analysointi
KR20060068986A (ko) 이기종 프리젠스 시스템간의 친구목록 정보를 교환할 수있는 네트워크 제어 방법 및 네트워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