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4677B1 - 음악에 대한 감성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음악에 대한 감성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4677B1
KR101594677B1 KR1020140070992A KR20140070992A KR101594677B1 KR 101594677 B1 KR101594677 B1 KR 101594677B1 KR 1020140070992 A KR1020140070992 A KR 1020140070992A KR 20140070992 A KR20140070992 A KR 20140070992A KR 101594677 B1 KR101594677 B1 KR 1015946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ue
music
happiness
excitement
chang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09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42353A (ko
Inventor
임영환
림빈
김은영
김종근
심근호
심근정
심근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븐지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븐지엔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븐지엔씨
Priority to KR10201400709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4677B1/ko
Publication of KR201501423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23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46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46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Z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6Z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Landscapes

  • Auxiliary Devices For Music (AREA)

Abstract

음악에 대한 감성 제어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음악에 대한 감성을 제어하는 방법은 (a) 2차원 감성 모델상에 표시된 대상 음악에 대한 감성 확률 분포 영역을 이동시키는 단계-상기 감성 확률 분포 영역은 상기 대상 음악에 대한 행복도값과 흥분도값을 포함함; 및 (b) 상기 이동에 따라 변경된 행복도값 및 흥분도값 중 적어도 하나의 값에 일치하도록 상기 대상 음악에 대한 음악 특징 요소의 값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음악에 대한 감성 제어 방법 및 그 장치{Emotion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of music}
본 발명은 시각적으로 출력된 2차원 감성 모델상에서 터치 또는 드래그 동작만으로 대상 음악의 감성 확률을 변경함으로써 음악에 대한 감성을 변경할 수 있는 음악에 대한 감성 제어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음악 시장의 성장에 따라 개인은 수많은 음악들을 쉽게 접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매일 매일 쏟아지는 엄청난 양의 음악들로 인해 사용자는 정작 자신이 원하는 음악을 찾기가 매우 어려운 현실에 직면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음악 정보를 검색할 수 있는 시스템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이 높아지게 되었으며, 사람들은 음악 정보 검색 시스템을 통해 특정 가수, 제목 등의 키워드를 기반으로 음악을 검색하고 있다.
종래의 음악 정보 검색 시스템은 단순 키워드 기반으로 음악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데 그치지 않고, 장르, 스타일, 정서 등과 같이 음악이 가지고 있는 콘텐트(content)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음악을 검색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안이 연구되고 있다. 그러나, 정확하게 음악의 복합 의미를 인식하여 음악 정보를 제공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발명은 시각적으로 출력된 2차원 감성 모델상에서 터치 또는 드래그 동작만으로 대상 음악의 감성 확률을 변경함으로써 음악에 대한 감성을 변경할 수 있는 감성 제어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2차원 감성 모델상에서 터치 또는 드래그 동작에 따라 변경된 대상 음악의 감성 확률에 맞춰 자동으로 음악의 구성 요소들을 변경하여 음악에 대한 감성을 변경할 수 있는 음악에 대한 감성 제어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시각적으로 출력된 2차원 감성 모델상에서 터치 또는 드래그 동작만으로 대상 음악의 감성 확률을 변경함으로써 음악에 대한 감성을 변경할 수 있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a) 2차원 감성 모델상에 표시된 대상 음악에 대한 감성 확률 분포 영역을 이동시키는 단계-상기 감성 확률 분포 영역은 상기 대상 음악에 대한 행복도값과 흥분도값을 포함함; 및 (b) 상기 이동에 따라 변경된 행복도값 및 흥분도값 중 적어도 하나의 값에 일치하도록 상기 대상 음악에 대한 음악 특징 요소의 값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음악에 대한 감성 제어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음악 특징 요소는 상기 대상 음악에서 추출되는 템포, 역동성, 음악의 밝기, 진폭변화 및 잡음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2차원 감성 모델은 X축이 행복도를 나타내고, Y축이 흥분도를 나타내며, 상기 X축 및 상기 Y축은 각각 최소값이 0이고, 최대값이 100인 2차원 좌표계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2차원 감성 모델은 복수의 감정 영역을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감정 영역은 상기 2차원 좌표계에서 동일한 크기의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감성 확률 분포 영역은 상기 대상 음악의 행복도값과 흥분도값을 원점으로 하여 형성된 영역이되, 상기 (b) 단계는, 상기 변경된 행복도값과 흥분도값 중 적어도 하나의 값으로 일치되도록 상기 이동에 따른 이동 방향을 고려하여 상기 대상 음악에 대한 상기 음악 특징 요소의 값을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이동 방향에 따라 음악 특징 요소 각각에 대한 변경 우선 순위가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이동에 따라 변경된 행복도값 및 흥분도값 중 적어도 하나의 값에 일치하는 상기 대상 음악에 대한 상기 변경된 음악 특징 요소의 값의 조합은 복수이되, 상기 변경된 음악 특징 요소의 값에 따른 각 대상 음악을 출력한 후 어느 하나를 선택받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시각적으로 출력된 2차원 감성 모델상에서 터치 또는 드래그 동작만으로 대상 음악의 감성 확률을 변경함으로써 음악에 대한 감성을 변경할 수 있는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2차원 감성 모델상에 표시된 대상 음악에 대한 감성 확률 분포 영역을 이동시키는 입력 인터페이스부-상기 감성 확률 분포 영역은 상기 대상 음악에 대한 행복도값과 흥분도값을 포함함; 및 상기 이동에 따라 변경된 행복도값 및 흥분도값 중 적어도 하나의 값에 일치하도록 상기 대상 음악에 대한 음악 특징 요소의 값을 변경하는 조정부를 포함하는 음악에 대한 감성 제어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부는 터치 또는 드래그된 위치로 상기 행복도값과 흥분도값을 위치시켜 상기 감성 확률 분포 영역을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감성 확률 분포 영역은 상기 대상 음악의 행복도값과 흥분도값을 원점으로 하여 형성된 영역이되, 상기 조정부는, 상기 변경된 행복도값과 흥분도값 중 적어도 하나의 값으로 일치되도록 상기 이동에 따른 이동 방향을 고려하여 상기 대상 음악에 대한 상기 음악 특징 요소의 값을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이동에 따라 변경된 행복도값 및 흥분도값 중 적어도 하나의 값에 일치하는 상기 대상 음악에 대한 상기 변경된 음악 특징 요소의 값의 조합은 복수이되, 상기 변경된 음악 특징 요소의 값에 따른 각 대상 음악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출력된 각 대상 음악 중 어느 하나를 선택받고, 상기 조정부는 상기 선택된 대상 음악에 대응하는 상기 변경된 음악 특징 요소의 값으로 변경을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악에 대한 감성 제어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시각적으로 출력된 2차원 감성 모델상에서 터치 또는 드래그 동작만으로 대상 음악의 감성 확률을 변경함으로써 음악에 대한 감성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2차원 감성 모델상에서 터치 또는 드래그 동작에 따라 변경된 대상 음악의 감성 확률에 맞춰 자동으로 음악의 구성 요소들을 변경하여 음악에 대한 감성을 변경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악의 감성을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악에 대한 2차원 감성 모델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차원 감성 모델상에 음악에 대한 감성 확률 분포 영역을 표시한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차원 감성 모델에서 감성을 변경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악에 대한 감성을 제어하는 장치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악의 감성을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악에 대한 2차원 감성 모델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차원 감성 모델상에 음악에 대한 감성 확률 분포 영역을 표시한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차원 감성 모델에서 감성을 변경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단계 110에서 감성 제어 장치(100)는 2차원 감성 모델상에 대상 음악에 대한 감성 확률 분포 영역을 표시한다.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원 감성 모델에 대해 도 2를 참조하여 우선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차원 감성 모델은 2차원 좌표계로 형성되며, X축은 행복도를 나타내고, Y축은 흥분도를 나타낸다. X축(행복도)와 Y축(흥분도)는 각각 최소값이 0이고, 최대값이 100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2차원 감성 모델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감성 영역을 포함한다. 예를들어, 복수의 감성 영역은 행복한 감성 영역, 경쾌한 감성 영역, 긴장되는 감성 영역, 무서운 감성 영역, 울고싶은 감성 영역, 우울한 감성 영역, 잔잔한 감성 영역 및 편안한 감성 영역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또한, 2차원 감성 모델에 포함된 복수의 감성 영역은 2차원 감성 모델상에서 각각 동일한 크기의 영역으로 구분되는 것을 알 수 있다.
2차원 감성 모델상에서 대상 음악에 대한 감성 확률 분포 영역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클(circle)로 표시된다. 감성 확률 분포 영역은 대상 음악에 상응하여 도출되는 행복도값과 흥분도값을 2차원 감성 모델상에 표시한 후 해당 행복도값과 흥분도값을 원점으로 하여 2차원 감성 모델에 포함된 모든 감성 영역이 포함되도록 서클(circle)을 생성하여 형성될 수 있다.
대상 음악에 대한 행복도값과 흥분도값은 대상 음악에서 추출되는 복수의 음악 특징 요소들을 이용하여 도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상 음악에 대한 행복도값과 흥분도값을 도출하기 위해 대상 음악에서 추출되는 복수의 음악 특징 요소들은 표 1과 같다.
음악 특징 요소 특징
템포(bpm) 1분에 몇 개의 박자가 나오는지 측정
역동성(RMS) 신호의 파워를 측정
제1 음색 특징(Centroid) 평균 에너지 분포 주파수를 측정
제2 음색 특징(Roll Off) 주파수의 진폭 변화를 측정
제3 음색 특징(Zero Crossing) 잡음의 양을 측정
표 1에서 음악의 밝기를 나타내는 제1 음색 특징은 Centroid로 추출되며, 주파수의 진폭 변화를 나타내는 제2 음색 특징은 Roll Off로 추출되고, 잡음의 양을 나타내는 제3 음색 특징은 Zero Crossing으로 추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추출된 음악 특징 요소들을 정규분포를 사용하여 데이터 단위와 범위를 통일시킨 후 행복도와 흥분도에 대해 각 음악 특징 요소별 설정된 가중치를 반영하여 대상 음악에 대한 행복도값과 흥분도값이 도출될 수 있다.
추출된 음악 특징 요소들을 정규화하는 과정은 샘플 데이터를 이용하여 도출된 평균값과 표준편차를 이용하여 추출된 각 음악 특징 요소들을 정규분포의 확률값이 도출될 수 있다. 이어, 각 음악 특징 요소들의 확률값을 행복도에 따른 각 음악 특징 요소들의 가중치를 곱한후 모두 합산하여 행복도값이 도출될 수 있다. 또한, 각 음악 특징 요소들의 확률값에 흥분도에 따라 설정된 각 음악 특징 요소별 가중치를 곱한 후 모두 합산하여 흥분도값이 도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출된 대상 음악에 대한 행복도값과 흥분도값을 2차원 감성 모델에 기준점으로 표시한 후 감성 제어 장치(100)는 기준점을 원점으로 하는 2차원 감성 모델에 포함된 모든 감성 영역을 커버하는 서클(circle)을 생성하여 대상 음악에 대한 감성 확률 분포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물론, 감성 제어 장치(100)는 기준점을 원점으로 하되, 2차원 감성 모델의 좌표계를 벗어나지 않는 서클(circle)을 생성하여 대상 음악에 대한 감성 확률 분포 영역을 형성할 수도 있다.
단계 115에서 감성 제어 장치(100)는 2차원 감성 모델상에서 표시된 감성 확률 분포 영역을 사용자가 터치 또는 드래그한 위치로 이동시킨다.
보다 상세하게, 감성 제어 장치(100)는 2차원 감성 모델에 표시된 감성 확률 분포 영역의 원점(즉, 대상 음악에 대한 행복도값과 흥분도값)을 사용자가 터치 또는 드래그한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감성 확률 분포 영역을 이동시킬 수 있다.
도 4에 감성 확률 분포 영역을 이동시킨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상 음악에 대한 감성 확률 분포 영역의 원점(즉, 행복도값과 흥분도값)이 Y축 방향으로 30정도 아래로 이동한 것을 알 수 있다. 즉, 이는 대상 음악에 대한 행복도값과 흥분도값 중에서 Y축값에 해당하는 흥분도값이 30정도 감소된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단계 120에서 감성 제어 장치(100)는 2차원 감성 모델상에서 감성 확률 분포 영역의 이동에 따라 변경된 행복도값과 흥분도값 중 적어도 하나의 값에 일치하도록 대상 음악의 음악 특징 요소의 값을 변경한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상 음악의 (행복도값=65.54, 흥분도값=54.65)에서 감성 확률 분포 영역의 이동에 따라 대상 음악의 행복도값은 그대로 65.54이나 흥분도값이 30 감소하여 24.65라고 가정하자.
감성 제어 장치(100)는 변경된 흥분도값 24.65에 일치되도록 음악 특징 요소의 값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흥분도값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 특징 요소가 템포, 역동성(RMS), 잡음(Zero Crossing), 진폭변화(Roll off) 및 밝기(Centroid)라고 가정하자. 감성 제어 장치(100)는 흥분도값을 도출하기 위해 각 음악 특징 요소에 대해 설정된 가중치 조합을 참조하여 흥분도값의 총합이 변경된 흥분도값(24.65)에 일치하도록 각 음악 특징 요소, 즉 템포, 역동성, 잡음, 진폭변화 및 밝기의 값을 조정하여 대상 음악의 감성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감성 제어 장치(100)는 2차원 감성 모델에서 대상 음악의 감성 확률 분포 영역이 이동된 방향을 고려하여 각 음악 특징 요소의 값을 차등적으로 조정할 수도 있다.
즉, 감성 제어 장치(100)는 대상 음악의 감성 확률 분포 영역이 2차원 감성 모델에서 X축 및 Y축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이동시, 이동에 따라 행복도값 및 흥분도값 중 적어도 하나의 값이 증가 또는 감소하였는지 여부에 따라 각 음악 특징 요소의 값을 조정함에 있어 우선순위를 부여하여 차등적으로 조정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감성 제어 장치(100)는 대상 음악의 감성 확률 분포 영역이 2차원 감성 모델에서 이동됨에 따라 변경된 행복도값 및 흥분도값 중 적어도 하나에 일치하도록 대상 음악의 각 음악 특징 요소의 값을 변경하는 경우, 변경된 행복도값 및 흥분도값 중 적어도 하나에 일치하는 변경 가능한 각 음악 특징 요소의 값의 조합은 복수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감성 제어 장치(100)는 변경된 행복도값 및 흥분도값 중 적어도 하나에 일치하는 변경 가능한 각 음악 특징 요소의 값의 조합에 따라 감성이 변경된 각 대상 음악을 각각 사용자에게 오디오 형식으로 출력한 후 어느 하나를 선택받아 최종적으로 각 음악 특징 요소의 값의 변경을 확정(결정)할 수도 있다.
또한, 감성 제어 장치(100)는 대상 음악의 감성 확률 분포 영역이 2차원 감성 모델에서 이동됨에 따라 변경된 행복도값 및 흥분도값 중 적어도 하나에 일치하도록 대상 음악의 각 음악 특징 요소의 값을 변경시, 변경 가능한 각 음악 특징 요소의 값의 범위를 설정한 후 해당 범위내에서 각 음악 특징 요소의 값이 변경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로 인해, 감성 제어 장치(100)는 복수의 음악 특징 요소의 값 중 어느 하나의 값이 과도하게 증가 또는 감소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악에 대한 감성을 제어하는 장치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성 제어 장치(100)는 입력 인터페이스부(510), 조정부(515), 디스플레이부(520), 음향 출력부(525), 메모리(530) 및 제어부(53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입력 인터페이스부(510)는 사용자로부터 감성 제어 장치(100)의 제어를 위한 명령 등을 입력받기 위한 기능을 한다.
예를 들어, 입력 인터페이스부(510)는 사용자로부터 디스플레이부(520)를 통해 표시된 2차원 감성 모델상에 대상 음악에 대한 감성 확률 분포 영역을 2차원 감성 모델내에서의 이동을 위한 터치 또는 드래그 동작을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입력 인터페이스부(510)는 2차원 감성 모델상에서의 터치 또는 드래그 동작에 따른 위치로 2차원 감성 모델상에 표시된 대상 음악에 대한 감성 확률 분포 영역을 이동시킬 수도 있다.
조정부(515)는 입력 인터페이스부(510)를 통해 2차원 감성 모델상에서 감성 확률 분포 영역이 이동되면, 이동에 따라 변경된 행복도값 및 흥분도값 중 적어도 하나의 값에 일치하도록 대상 음악에 대한 음악 특징 요소의 값을 변경하기 위한 기능을 한다. 이에 대해서는 이미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디스플레이부(520)는 입력 인터페이스부(510)에 의해 2차원 감성 모델상에서 감성 확률 분포 영역이 이동되면, 이동에 상응하여 2차원 감성 모델상에서의 감성 확률 분포 영역을 출력하는 기능을 한다. 즉, 디스플레이부(520)는 다양한 데이터를 시각 정보의 형태로 출력하기 위한 기능을 하며, 예를 들어, 액정화면(LCD)일 수 있다.
음향 출력부(525)는 대상 음악을 아날로그 형태로 출력하기 위한 기능을 한다. 예를 들어, 음향 출력부(525)는 스피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음향 출력부(525)는 2차원 감성 모델상에서 감성 확률 분포 영역의 이동에 따라 변경된 행복도값 및 흥분도값 중 적어도 하나의 값에 일치하도록 대상 음악에 대한 음악 특징 요소의 값이 변경된 대상 음악을 각각 오디오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
메모리(53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성 제어 장치(100)를 운용하기 위해 필요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알고리즘, 데이터 등을 저장하는 기능을 한다.
제어부(53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성 제어 장치(100)의 내부 구성 요소들(예를 들어, 입력 인터페이스부(510), 조정부(515), 디스플레이부(520), 음향 출력부(525), 메모리(530) 등)을 제어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제어부(535)는 2차원 감성 모델상에서 감성 확률 분포 영역의 이동에 따라 변경된 행복도값 및 흥분도값 중 적어도 하나의 값에 일치하도록 변경된 대상 음악에 대한 음악 특징 요소의 값의 조합이 복수인 경우, 어느 하나를 선택받기 위한 정보를 디스플레이부(520)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535)는 2차원 감성 모델상에서 감성 확률 분포 영역의 이동에 따라 변경된 행복도값 및 흥분도값 중 적어도 하나의 값에 일치하도록 변경된 대상 음악에 대한 음악 특징 요소의 값의 조합이 복수인 경우, 각 변경된 대상 음악을 순차적으로 음향 출력부(525)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악에 대한 감성을 제어하는 방법은 다양한 전자적으로 정보를 처리하는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저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저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저장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소프트웨어 분야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저장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전자적으로 정보를 처리하는 장치, 예를 들어,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감성 제어 장치
510: 입력 인터페이스부
515: 조정부
520: 디스플레이부
525: 음향 출력부
530: 메모리
535: 제어부

Claims (12)

  1. (a) 2차원 감성 모델상에 표시된 대상 음악에 대한 감성 확률 분포 영역을 이동시키는 단계-상기 감성 확률 분포 영역은 상기 대상 음악에 대한 행복도값과 흥분도값을 포함함; 및
    (b) 상기 이동에 따라 변경된 행복도값 및 흥분도값 중 적어도 하나의 값에 일치하도록 상기 대상 음악에 대한 음악 특징 요소의 값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감성 확률 분포 영역은 상기 대상 음악의 행복도값과 흥분도값을 원점으로 하여 형성된 영역이되,
    상기 (b) 단계는,
    상기 변경된 행복도값과 흥분도값 중 적어도 하나의 값으로 일치되도록 상기 이동에 따른 이동 방향을 고려하여 상기 대상 음악에 대한 상기 음악 특징 요소의 값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음악에 대한 감성 제어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악 특징 요소는 상기 대상 음악에서 추출되는 템포, 역동성, 음악의 밝기, 진폭변화 및 잡음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에 대한 감성 제어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2차원 감성 모델은 X축이 행복도를 나타내고, Y축이 흥분도를 나타내며, 상기 X축 및 상기 Y축은 각각 최소값이 0이고, 최대값이 100인 2차원 좌표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에 대한 감성 제어 방법.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2차원 감성 모델은 복수의 감정 영역을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감정 영역은 상기 2차원 좌표계에서 동일한 크기의 영역으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에 대한 감성 제어 방법.
  5. 삭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방향에 따라 음악 특징 요소 각각에 대한 변경 우선 순위가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에 대한 감성 제어 방법.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에 따라 변경된 행복도값 및 흥분도값 중 적어도 하나의 값에 일치하는 상기 대상 음악에 대한 상기 변경된 음악 특징 요소의 값의 조합은 복수이되,
    상기 변경된 음악 특징 요소의 값에 따른 각 대상 음악을 출력한 후 어느 하나를 선택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음악에 대한 감성 제어 방법.
  8. 제1 항 내지 제4항, 제6항 또는 제7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기록한 기록매체 제품.
  9. 2차원 감성 모델상에 표시된 대상 음악에 대한 감성 확률 분포 영역을 이동시키는 입력 인터페이스부-상기 감성 확률 분포 영역은 상기 대상 음악에 대한 행복도값과 흥분도값을 포함함; 및
    상기 이동에 따라 변경된 행복도값 및 흥분도값 중 적어도 하나의 값에 일치하도록 상기 대상 음악에 대한 음악 특징 요소의 값을 변경하는 조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감성 확률 분포 영역은 상기 대상 음악의 행복도값과 흥분도값을 원점으로 하여 형성된 영역이되,
    상기 조정부는,
    상기 변경된 행복도값과 흥분도값 중 적어도 하나의 값으로 일치되도록 상기 이동에 따른 이동 방향을 고려하여 상기 대상 음악에 대한 상기 음악 특징 요소의 값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에 대한 감성 제어 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부는 터치 또는 드래그된 위치로 상기 행복도값과 흥분도값을 위치시켜 상기 감성 확률 분포 영역을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에 대한 감성 제어 장치.
  11. 삭제
  12.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에 따라 변경된 행복도값 및 흥분도값 중 적어도 하나의 값에 일치하는 상기 대상 음악에 대한 상기 변경된 음악 특징 요소의 값의 조합은 복수이되,
    상기 변경된 음악 특징 요소의 값에 따른 각 대상 음악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출력된 각 대상 음악 중 어느 하나를 선택받고,
    상기 조정부는 상기 선택된 대상 음악에 대응하는 상기 변경된 음악 특징 요소의 값으로 변경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에 대한 감성 제어 장치.
KR1020140070992A 2014-06-11 2014-06-11 음악에 대한 감성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KR1015946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0992A KR101594677B1 (ko) 2014-06-11 2014-06-11 음악에 대한 감성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0992A KR101594677B1 (ko) 2014-06-11 2014-06-11 음악에 대한 감성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2353A KR20150142353A (ko) 2015-12-22
KR101594677B1 true KR101594677B1 (ko) 2016-02-16

Family

ID=55081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0992A KR101594677B1 (ko) 2014-06-11 2014-06-11 음악에 대한 감성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467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79400A (ja) * 2005-12-28 2007-07-12 Fujitsu Ten Ltd コンテンツ情報検索装置及び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7968A (ko) * 1996-08-29 1998-06-05 김광호 자동감성 표현장치
KR101456570B1 (ko) * 2007-12-21 2014-10-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이퀄라이저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157744B1 (ko) * 2010-05-06 2012-06-25 윤진호 취향 요소에 기초한 상품 추천 방법과 추천된 상품들을 표시하는 방법 및 이들을 이용한 상품 추천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79400A (ja) * 2005-12-28 2007-07-12 Fujitsu Ten Ltd コンテンツ情報検索装置及び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2353A (ko) 2015-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413798A1 (en) Playlist configuration and preview
DK179760B1 (en) Intelligent automated media exploration assistant
US8583615B2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 playlist from a mood gradient
TWI534648B (zh) 將幻燈片事件與音訊同步化之方法
US20090063971A1 (en) Media discovery interface
US9570091B2 (en) Music playing system and music playing method based on speech emotion recognition
US2014032540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musical content based on graphical user inputs
CN104050974B (zh) 声音信号分析设备以及声音信号分析方法和程序
WO2016144550A1 (en) Generating motion data stories
US20130131849A1 (en) System for adapting music and sound to digital text, for electronic devices
JP2023143970A (ja) バイオメトリックの個人化オーディオ処理システム
KR101949493B1 (ko)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101594677B1 (ko) 음악에 대한 감성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JP2014067148A (ja) 手書き文書処理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582746B1 (ko) 음악에 대한 감성 결정 방법 및 그 장치
CN107564553B (zh) 一种音频播放列表的控制方法、系统及一种音频播放系统
Kolhoff et al. Content-based icons for music files
JP6188370B2 (ja) オブジェクト分類方法、装置及びプログラム。
Engeln et al. Multi-Touch Enhanced Visual Audio-Morphing.
US20170330544A1 (en) Method and system for creating an audio composition
KR101823274B1 (ko) 음악 감성 변경 방법 및 그 장치
LEHMANN SEARCHING FOR SOUNDS
Norowi Human-Centred Artificial Intelligence in Concatenative Sound Synthesis
Li et al. Multi-Functional Music Auxiliary System Based on Voice Recognition on Tablet PC
GB2614576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udio data analysi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