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3327B1 - Smartphone case equipped with self shooting handle - Google Patents

Smartphone case equipped with self shooting hand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3327B1
KR101593327B1 KR1020140132439A KR20140132439A KR101593327B1 KR 101593327 B1 KR101593327 B1 KR 101593327B1 KR 1020140132439 A KR1020140132439 A KR 1020140132439A KR 20140132439 A KR20140132439 A KR 20140132439A KR 101593327 B1 KR101593327 B1 KR 1015933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phone
photographing
extension
self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243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시우
Original Assignee
이시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시우 filed Critical 이시우
Priority to KR10201401324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332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33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332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C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F
    • A45F2200/05Holder or carrier for specific articles
    • A45F2200/0516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Studio Devic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smartphone case having a self-recording han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martphone case, which has the self-recording handle, includes: a smartphone fixing unit which fixes a smartphone and has a housing for an extension unit formed on one side to store the extension unit; the extension unit which is coupled to the smartphone fixing unit to be able to rotate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in a vertical direction and is formed to be drawn out in multiple stages from the housing for the extension unit of the smartphone fixing unit; a handle which is installed on an end of the extension unit to be grabbed by a hand of a user; and a switch unit which is connected to the smartphone to receive a photographing signal from the user in order to output the photographing signal of a preset format to the smartphone.

Description

자가 촬영용 손잡이를 구비한 스마트폰 케이스{Smartphone case equipped with self shooting handle}[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phone case having a self-photographing handle,

본 발명은 자기 촬영용 손잡이를 구비하는 스마트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는 스마트폰 카메라를 이용한 자가 촬영시 자가 촬영 거리를 연장할 수 있고 손잡이에 설치된 촬영 스위치를 이용하여 자가 촬영이 가능한 자가 촬영용 손잡이를 구비하는 스마트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phone case having a self-photographing knob. And more particularly, to a smartphone case having a self-photographing knob capable of self-photographing by self-photographing using a photographing switch installed on a handle, which can extend a self-photographing distance during self-photographing using a smartphone camera.

최근 스마트폰에는 카메라가 내장되어 있으며, 스마트폰 카메라를 이용한 자가 촬영(즉, 셀프카메라)이 하나의 문화로서 자리 잡고 있다. Recently, smart phones have built-in cameras, and self-portraits (ie, self-cameras) using smartphone cameras are becoming a culture.

자가 촬영은 가정에서뿐만 아니라 여행 중에도 다른 사람에게 부탁하지 않고 자유롭게 자신만의 사진을 찍을 수 있는 장점이 있기 때문에 활용도가 더욱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Self-photographing is not only at home, but also because it has the advantage of taking your own pictures freely without asking other people while traveling.

스마트폰에는 자가 사진 촬영을 위한 카메라 렌즈와 일반 촬영을 위한 렌즈가 서로 반대 방향에 설치되어 있다. The smart phone has a camera lens for self-photographing and a lens for general photography in opposite directions.

카메라를 작동시키기 위하여는 반드시 스마트폰의 특정 스위치를 손 또는 손을 이용한 도구로 물리적인 조작을 해야만 촬영을 수행할 수 있다. In order to operate the camera, it is necessary to physically operate the specific switch of the smart phone with a hand or a hand tool to perform the shooting.

따라서 자가 촬영을 할 경우 자신의 손이 뻗을 수 있는 근거리 촬영만 가능하고, 근거리 촬영 시에는 렌즈의 특성상 얼굴이 일그러지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사진에 자신의 얼굴이 항상 크게 찍히며 그 거리에서 가족 사진 등 여러 명을 대상으로 한 촬영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Therefore, when the self-photographing is performed, only the close-up photographing is possible where the user's hand can be extended. In addition, not only is the face of the lens distorted due to the nature of the lens at the close-up photographing,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impossible to shoot a plurality of persons such as photographs.

더욱이 최근의 스마트폰은 스위치 기능을 버튼식에서 진전된 단계인 스크린 터치식으로 장착하고 있으며, 이러한 스크린 터치식은 스크린에 가하는 압력을 감지하여 작동되는 감압식과 스크린에 접촉하는 정전기의 변화를 감지하여 작동되는 정전기식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Furthermore, recent smart phones are equipped with a switch function, which is an advanced step from the button type, which is a screen touch type. Such a screen touch type senses the pressure applied to the screen and detects the change of static electricity in contact with the screen. Electrostatic discharge is commonly used.

또한 이러한 터치 스크린을 손으로 작동할 때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스크린 터치펜이 개발 되어 있기도 하다.In addition, a screen touch pen has been developed to solve the inconvenience of operating the touch screen by hand.

이러한 터치 스크린의 스위치 기능 또한 사람의 손 또는 사람의 손을 이용한 도구를 직접 이용해야만 작동되는 한계를 극복하지 못하고 있어서 핸드폰 자가 촬영시의 기존 문제점은 개선되지 않는 실정이다.Such a switch function of the touch screen can not overcome the limitation of operation only by using the tool using the human hand or the human hand, so that the existing problem of the self-photographing of the mobile phone is not improved.

한국 공개특허번호 제10-2012-0082110호(발명의 명칭: 핸드폰 카메라 자가촬영 원격 제어 장치)에서는 핸드폰 카메라 자가 촬영시 손으로 핸드폰 카메라의 스위치를 작동시켜야 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자가 촬영 한계 거리를 확대시키기 위하여 적외선과 전자석을 이용하여 무선으로 핸드폰의 카메라 스위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핸드폰 카메라 자가 촬영 원격 제어 장치가 제안되었다.I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2-0082110 (titled as a mobile phone camera self-photographing remote control device), when a mobile phone camera is self-photographing, a switch of a mobile phone camera must be operated by hand. In order to operate a camera switch of a mobile phone wirelessly using infrared rays and electromagnets, a self-photographing remote control device for a mobile phone camera has been proposed.

그러나 종래의 자가 촬영 원격 제어 장치는 적외선 수신모듈과 연결되어 작동하는 전자석과 상기 전자석의 자력에 감응하는 자성판을 이용하여 카메라 스위치 터치봉을 동작시킴으로써 카메라 스위치가 작동하도록 구성되어 구성이 매우 복잡한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self-photographing remote control device, the camera switch is operated by operating the electromagnet connected to the infrared ray receiving module and the magnetic plate sensitive to the magnetic force of the electromagnet, .

대한민국특허청, 특허공개번호 제10-2012-0082110호 "핸드폰 카메라 자가촬영 원격 제어 장치"Korea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Patent No. 10-2012-0082110 "Mobile phone camera self-photographing remote control device"

본 발명은 스마트폰 카메라를 이용한 자가 촬영시 자가 촬영 거리를 연장할 수 있고 손잡이에 설치된 촬영 스위치를 이용하여 자가 촬영이 가능한 자가 촬영용 손잡이를 구비하는 스마트폰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martphone case having a self-photographing handle capable of self-photographing using a photographing switch provided on a handle, which can extend a self-photographing distance during self-photographing using a smartphone camera.

본 발명은 스마트폰을 고정하고, 일측에 확장부가 수납되는 확장부 하우징을 형성한 스마트폰 고정부; 상기 스마트폰 고정부와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스마트폰 고정부의 확장부 하우징에서 다단식으로 인출되도록 형성한 확장부; 상기 확장부의 말단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손에 파지되도록 하는 손잡이; 및 상기 스마트폰과 접속하여 사용자의 촬영 신호를 입력받아 미리 설정된 포맷의 사진 촬영 신호를 상기 스마트폰으로 출력하는 스위치부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phone fixing device for fixing a smartphone and forming an extension housing in which an extension is housed at one side; An extension part coupled to the smartphone fixing part so as to be rotatable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a vertical direction and to be drawn out in a multi-step fashion from an extension part housing of the smartphone fixing part; A handle installed at a distal end of the extension to be gripped by a user's hand; And a switch unit connected to the smartphone and receiving a user's photographing signal and outputting a photographing signal of a predetermined format to the smartphon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스마트폰 고정부는 스마트폰과 억지끼움 결합하여 고정한다.In addition, the smartphone fix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ly coupled with a smartphon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스마트폰 고정부는 일측에 스마트폰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USB 단자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the smartphone fix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USB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martphone on one sid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스마트폰 고정부는 배면에 보조 전원부를 설치하는 제 1 수납부와, 스위치부를 설치하는 제 2 수납부를 추가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martphone fix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first receiving portion for providing an auxiliary power source on a back surface thereof, and a second receiving portion for providing a switch por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스마트폰 고정부는 스마트폰의 크기에 따라 신축되어 고정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smartphone fix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tretched and fix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smartphon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확장부 하우징은 하부가 개방되고, 상기 하부의 측벽에는 내부에 수납된 손잡이의 인출을 위한 절개홈과, 확장부와 치합하여 상기 확장부가 일정 거리 이상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한 걸림홈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extension hou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lower opening, a lower side wall formed with a cutout groove for pulling out a handle received therein, And an engaging groove formed therei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확장부는 단면 형상이 원형상 또는 다각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하고, 바람직하게는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진다.Further, the extension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a shape of a circular or polygonal cross-sectional shape, and preferably has a rectangular shap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확장부는 확장부 본체; 상기 확장부 본체의 내부에 수납되거나 또는 인출되도록 하는 제 1 확장부; 및 상기 제 1 확장부의 내부에 수납되거나 또는 인출되도록 하는 제 2 확장부를 포함한다.Further, the exten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extender body; A first expanding portion for accommodating or pulling out the expanding portion main body; And a second extension portion that is accommodated or withdrawn within the first extension por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확장부 본체는 상측 일부가 확장부 하우징과 결합되도록 설치한 상부 몸체; 상기 상부 몸체의 하부에 샤프트를 통해 결합하여 수직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한 회동 몸체; 및 상기 회동 몸체의 하부에 수평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한 하부 몸체를 포함한다.Further, the extension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upper body installed at an upper part thereof to be coupled to the extension housing; A rotating body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body through a shaft to be rotatable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lower body rotatably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rotating body in a horizontal direc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확장부는 확장부 본체, 제 1 확장부 및 제 2 확장부가 임의로 회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확장부 본체, 제 1 확장부 및 제 2 확장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홈을 형성한다.Further, the extension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guide groov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xtension part main body, the first extension part and the second extension part to prevent the extension part main body, the first extension part and the second extension part from arbitrarily rotating do.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스위치부는 손잡이에 설치되어 사용자로부터 촬영 신호를 입력받아 출력하는 촬영 스위치; 상기 촬영 스위치의 촬영 신호를 검출하여 스마트폰으로 출력되도록 하는 제어부; 상기 스마트폰과 데이터 송수신을 통해 상기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촬영 신호가 상기 스마트폰으로 전송되도록 하는 통신부; 및 상기 제어부 및 통신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switch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photographing switch installed on a handle to input and output a photographing signal from a user, A control unit for detecting a photographing signal of the photographing switch and outputting the photographing signal to a smartphone;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 photographing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 unit to the smartphone through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with the smartphone; And a power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control unit and the communication uni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통신부는 블루투스, 지그비, 와이파이, WUSB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 무선 통신 또는 USB 케이블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해 스마트폰과 접속한다.Further, the communication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nected to a smart phone through at least one of a wireless communic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Bluetooth, Zigbee, Wi-Fi, and WUSB or a USB cabl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전원부는 접속된 스마트폰에서 공급하는 전원 또는 스마트폰 고정부에 미리 설치된 배터리에서 공급하는 전원 중 어느 하나이다.Further, the power source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y one of a power source supplied from a connected smartphone or a power source supplied from a battery pre-installed in a smartphone fixed uni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스위치부는 손잡이에 설치되어 상기 손잡이가 확장부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되면 스마트폰으로 사진 촬영 프로그램의 구동 신호가 출력되도록 하는 손잡이 스위치를 더 포함한다.Further, the switch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handle switch installed on the handle to output a driving signal of the photographing program with the smartphone when the handle is separated from the extension housing.

본 발명은 스마트폰 카메라를 이용한 자가 촬영시 자가 촬영 거리를 연장할 수 있고 손잡이에 설치된 촬영 스위치를 이용하여 자가 촬영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that the self-photographing distance can be extended when the self-photographing using the smartphone camera and the self-photographing can be performed using the photographing switch installed on the handle.

또한, 본 발명은 사진 촬영을 위한 별도의 리모컨 없이 설치된 촬영 스위치를 통해 사진 촬영하는 것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월등히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photographing through an installed photographing switch without a separate remote controller for photographing, which is advantageous in enhancing user's convenienc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가 촬영용 손잡이를 구비하는 스마트폰 케이스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자가 촬영용 손잡이를 구비하는 스마트폰 케이스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따른 자가 촬영용 손잡이를 구비하는 스마트폰 케이스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4는 도 1에 따른 자가 촬영용 손잡이를 구비하는 스마트폰 케이스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가 촬영용 손잡이를 구비하는 스마트폰 케이스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가 촬영용 손잡이를 구비하는 스마트폰 케이스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smartphone case having a self-photographing kno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smartphone case having a self-photographing handle according to FIG. 1,
FIG.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smartphone case having a self-photographing knob according to FIG. 1,
FIG. 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use state of a smartphone case having a self-photographing knob according to FIG. 1,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smartphone case having a self-photographing kno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other embodiment of a smartphone case having a self-photographing kno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함을 전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당해 구성요소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아니하며,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mprising" another element in the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or in the claims, it is not to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only that element, And the like.

또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수단", "~부", "~모듈", "~블록"으로 명명된 구성요소들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들 각각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Also, in the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or the claims, the components named as "means", "parts", "modules", "blocks" refer to units that proces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Each of which may be implemented by software or hard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이하에서는 자가 촬영용 카메라 고정 장치가 구현된 일 예를 특정한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n example in which the self-photographing camera fixing device is implemente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specific embodiments.

(제 1 실시예)(Embodiment 1)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가 촬영용 손잡이를 구비하는 스마트폰 케이스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자가 촬영용 손잡이를 구비하는 스마트폰 케이스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따른 자가 촬영용 손잡이를 구비하는 스마트폰 케이스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4는 도 1에 따른 자가 촬영용 손잡이를 구비하는 스마트폰 케이스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smartphone case having a self-photographing han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smartphone case having a self-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smartphone case having a self-photographing knob according to FIG. 1, and FIG. 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use state of a smartphone case having a self-photographing knob according to FIG.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자가 촬영용 손잡이를 구비하는 스마트폰 케이스(100)는 스마트폰 고정부(110)와, 확장부 하우징(120)과, 확장부(130)와, 손잡이(140)와, 촬영 제어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1 to 4, a smartphone case 100 having a self-photographing knob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martphone fixing unit 110, an extension housing 120, A handle 140, and a photographing control unit 150. The photographing unit 150 includes a photographing unit 130,

상기 스마트폰 고정부(110)는 스마트폰(200)을 고정하는 사각 형상의 구성으로서, 일측에는 고정 대상인 스마트폰(200)의 크기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된 스마트폰 삽입부(111)가 설치되고, 타측에는 확장부(130)가 수납되는 확장부 하우징(120)이 형성된다.The smartphone fixing unit 110 has a rectangular shape for fixing the smartphone 200. The smartphone fixing unit 110 includes a smartphone insertion unit 111 formed at one side thereof and having a size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the smartphone 200 to be fixed And an extension housing 120 in which the extension 130 is housed is formed on the other side.

또한, 상기 스마트폰 고정부(110)는 고무, 실리콘 또는 가요성 플라스틱 수지로 구성되어 스마트폰 삽입부(111)에 고정되는 스마트폰(200)과 억지끼움 결합되도록 하여 상기 스마트폰(200)이 스마트폰 고정부(110)에 고정되도록 한다.The smartphone fixing part 110 is tightly coupled with the smartphone 200 that is made of rubber, silicone, or a flexible plastic resin and is fixed to the smartphone insertion part 111, And fixed to the smartphone fixing unit 110.

상기 확장부 하우징(120)은 스마트폰 고정부(110)의 배면 일측 또는 중앙부에 설치되고, 내부에 수납공간을 형성하여 확장부(130) 및 손잡이(140)가 설치될 수 있게 하며 하부가 개방되어 구성됨으로써, 상기 수납공간에 설치된 확장부(130) 및 손잡이(140)가 상기 확장부 하우징(120)의 하부로 인출될 수 있게 한다.The extension housing 120 is installed at one side or a central portion of the back surface of the smartphone fixing portion 110 and has a storage space therein to allow the extension portion 130 and the handle 140 to be installed, So that the extension part 130 and the handle 140 installed in the storage space can be drawn out to the lower portion of the extension part housing 120. [

또한, 상기 확장부 하우징(120)은 개구된 하부의 측벽에 사용자가 상기 확장부 하우징(120)의 수납공간에 설치된 손잡이(140)를 쉽게 인출할 수 있도록 일정 크기의 절개홈(121)이 형성된다.The extension housing 120 is formed with a cutout groove 121 having a predetermined size so that the user can easily pull the handle 140 install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of the extension housing 120 on the opened lower side wall do.

또한, 상기 확장부 하우징(120)은 수납공간에 설치된 확장부(130)와 치합하여 상기 확장부(130)가 인출될 경우 상기 확장부 하우징(120)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일정 거리 이상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홈(122)이 형성된다.The extension housing 120 is coupled with the extension 130 installed in the storage space and is extended or withdrawn over a predetermined distance to prevent the extension 13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extension housing 120 when the extension 130 is drawn out. The engaging groove 122 is formed.

또한, 상기 확장부 하우징(120)의 내측면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된 가이드부(123)를 형성하여 상기 확장부 하우징(120)의 내측에 수납된 확장부(130)의 가이드홈(133)과 치합되도록 한다.A guide part 123 protru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extension part housing 120 is formed so that the guide groove 133 of the extension part 130 accommodated inside the extension part housing 120 .

상기 확장부(130)는 스마트폰 고정부(110)의 확장부 하우징(120)에 설치되고, 상기 확장부 하우징(120)에서 다단식으로 인출되도록 확장부 본체(131)와, 상기 확장부 본체(131)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확장부 본체(131)의 내부에 수납되거나 또는 인출되는 제 1 확장부(131')와, 상기 제 1 확장부(131')의 내부에 수납되거나 또는 인출되는 제 2 확장부(131")를 포함한 다수의 확장 부재가 설치된다.The extension unit 130 is installed in the extension housing 120 of the smartphone fixing unit 110 and includes an extension main body 131 and an extension main body 131 to be pulled out of the extension housing 120 in a multi- A first extension 131 'install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extension 131' and accommodated in or drawn out of the extension body 131, and a second extension 131 ' 2 extension portions 131 ".

또한, 상기 확장부(130)는 단면 형상이 원형상 또는 다각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하고, 확장부 본체(131)를 통해 스마트폰 고정부(110)와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이를 위해 상부 몸체(131a)와, 회동 몸체(131b)와, 하부 몸체(131c)와, 샤프트(132)와, 가이드홈(13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extension 130 is formed in a circular or polygonal cross-sectional shape and is rotatable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with the smartphone fixing part 110 through the extension part main body 131 And includes a top body 131a, a rotating body 131b, a lower body 131c, a shaft 132, and a guide groove 133. [

상기 상부 몸체(131a)는 상측 일부가 확장부 하우징(120)의 내측과 결합하여 설치되고, 샤프트(132)가 관통하는 상부 몸체 관통공(131a')과, 상기 상부 몸체(131a)의 측면으로 돌출되어 확장부 하우징(120)의 걸림홈(122)과 치합하여 상기 확장부 본체(131)가 일정 거리 이상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확장부 하우징(120)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차단하는 스토퍼(131a")와, 상기 상부 몸체 관통공(131a')의 둘레에 일정 간격으로 돌출시켜 형성한 다수의 걸림돌기(131a'")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upper body 131a has an upper body through-hole 131a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upper body 131a in engagement with an inner side of the expansion body housing 120 and through which the shaft 132 passes, A stopper 131a for preventing the extension body 131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extension housing 120 by preventing the extension body 131 from moving beyond a predetermined distance by mating with the engagement groove 122 of the extension housing 120, And a plurality of locking protrusions 131a ''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round the upper body through-hole 131a '.

상기 회동 몸체(131b)는 상부 몸체(131a)의 하부에 샤프트(132)를 통해 결합하여 상기 샤프트(132)를 중심으로 수직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샤프트(132)가 관통하는 회동 몸체 관통공(131b')과, 상기 회동 몸체(131b)의 하부로 일정 길이 돌출하여 설치한 수평 회전축(131b")과, 상기 회동 몸체 관통공(131b')의 둘레에 일정 간격으로 돌출하여 형성한 다수의 걸림돌기(131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rotating body 131b is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body 131a through a shaft 132 and is vertically rotatable around the shaft 132. The rotating body 131b is rotatably mounted on a rotating body A horizontal rotation shaft 131b "protruding from the lower end of the rotary body 131b by a predetermined length and a plurality of protrusions 131b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round the rotary body through-hole 131b' And a plurality of locking protrusions 131b '' '.

상기 회동 몸체(131b)에 설치된 걸림돌기(131b'")는 상부 몸체(131a)에 설치된 걸림돌기(131a'")와 치합하여 상기 상부 몸체(131a)와 회동 몸체(131b)가 샤프트(132)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형성한 위치(일정 각도)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The locking protrusion 131b '' provided on the rotating body 131b is engaged with the locking protrusion 131a '' provided on the upper body 131a so that the upper body 131a and the rotating body 131b are engaged with the shaft 132, (At a constant angle) formed by rotating about the center of rotation.

상기 하부 몸체(131c)는 회동 몸체(131b)의 하부에 설치된 수평 회전축(131b")과 결합하여 상기 수평 회전축(131b")을 중심으로 수평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The lower body 131c is coupled to a horizontal rotation shaft 131b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rotation body 131b so as to be rotatabl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round the horizontal rotation axis 131b'.

또한, 상기 하부 몸체(131c)는 상기 회동 몸체(131b)의 수평 회전축(131b")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하부 몸체 결합홈(131c')과, 상기 하부 몸체 결합홈(131c')의 둘레에 일정 간격으로 돌출한 다수의 걸림돌기(131c")를 형성하여 상기 수평 회전축(131b")의 둘레에 설치한 걸림돌기(미도시)와 치합함으로써, 상기 회동 몸체(131b)가 수평방향으로 회전한 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The lower body 131c includes a lower body coupling groove 131c 'which rotatably engages with the horizontal rotation shaft 131b' of the rotary body 131b and a lower body coupling groove 131c 'which is formed around the lower body coupling groove 131c' (Not shown) formed around the horizontal rotation shaft 131b "by forming a plurality of locking protrusions 131c" protruding at regular intervals so that the rotation body 131b is rota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reby maintaining the position.

상기 가이드홈(133)은 확장부 본체(131)와, 제 1 확장부(131')와, 제 2 확장부(131")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말단부가 서로 치합되도록 구성하여 상기 확장부 본체(131), 제 1 확장부(131') 및 제 2 확장부(131")가 임의로 회동하는 것을 방지한다.The guide groove 133 i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xtension part main body 131, the first extension part 131 'and the second extension part 131' so that the distal end part is engaged with each other, Thereby preventing the body 131, the first extension 131 'and the second extension 131' from rotating arbitrarily.

상기 손잡이(140)는 확장부(130)의 말단 즉 제 2 확장부(131")의 내측에 삽입 또는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거나 또는 제 2 확장부(131")의 말단에 설치되고, 상기 확장부(130)에서 인출되면 사용자의 손에 파지되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표면에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그립부(141)가 설치되며, 말단에는 손잡이 플랜지(142)가 설치되어 사용자가 인출홈(121)을 통해 확장부 하우징(120)으로부터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도록 한다.The handle 140 may be inserted into or pulled out from the distal end of the extension 130, that is, inside the second extension 131 ", or may be provided at the end of the second extension 131" A grip portion 141 is provided on the surface so as to be easily grasped by a user and a handle flange 142 is provided at a distal end of the grip portion so that a user can pull the grip portion from the pull- So that it can be easily withdrawn from the extension housing 120.

상기 촬영 제어부(150)는 스마트폰 고정부(110) 또는 손잡이(140)의 내측에 설치되어 스마트폰(200)과 접속하고, 사용자의 촬영 신호를 입력받아 미리 설정된 포맷의 사진 촬영 신호를 상기 스마트폰(200)으로 출력하는 구성으로서, 촬영 스위치(151)와, 제어부(152)와, 통신부(153)와, 전원부(154)와, 손잡이 스위치(15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photographing control unit 150 is installed inside the smartphone fixing unit 110 or the handle 140 and is connected to the smart phone 200. The photographing control unit 150 receives the photographing signal of the user, A control unit 152, a communication unit 153, a power supply unit 154, and a knob switch 155. The photographing switch 151, the control unit 152, the communication unit 153,

상기 촬영 스위치(151)는 손잡이(140)에 설치되어 사용자로부터 촬영 신호를 입력받아 출력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손잡이(140)의 일측 상부에 설치된다.The photographing switch 151 is installed on the knob 140 to receive a photographing signal from a user and to output the photographing signal. The photographing switch 151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knob 140.

상기 제어부(152)는 촬영 스위치(151)에서 출력되는 촬영 신호를 검출하여 스마트폰(200)으로 출력되도록 한다.The control unit 152 detects a photographing signal output from the photographing switch 151 and outputs the photographing signal to the smart phone 200.

또한, 상기 제어부(152)는 손잡이 스위치(155)가 출력하는 분리 신호가 검출되면, 스마트폰(200)으로 사진 촬영 프로그램의 구동(즉 카메라를 이용한 촬영 요청)을 요청하는 신호가 출력되도록 한다.The control unit 152 outputs a signal for requesting the smartphone 200 to drive a photographing program (that is, a photographing request using a camera) when a separation signal output from the knob switch 155 is detected.

상기 통신부(153)는 스마트폰(200)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통해 제어부(152)에서 출력되는 촬영 신호가 상기 스마트폰(200)으로 전송되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블루투스, 지그비, 와이파이, WUSB 중 적어도 하나의 무선 통신 포맷을 이용하고, 바람직하게는 블루투스를 이용한다.The communication unit 153 is configured to transmit a photographing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 unit 152 to the smartphone 200 through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with the smart phone 200 and includes at least one of Bluetooth, Zigbee, Wi- , And preferably uses Bluetooth.

상기 전원부(154)는 제어부(152)와 통신부(153)에 전원을 공급하는 구성으로서, 일정 전압을 공급하는 1차 전지 또는 2차 전지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배터리이다.The power supply unit 154 is a battery configured to supply power to the control unit 152 and the communication unit 153 and is composed of either a primary battery or a secondary battery that supplies a constant voltage.

상기 손잡이 스위치(155)는 손잡이(140)에 설치되어 상기 손잡이(140)가 확장부 하우징(120)으로부터 분리되면, 제어부(152)가 스마트폰(200)으로 사진 촬영 프로그램의 구동 신호를 출력하도록 분리 신호를 제어부(152)로 출력한다.The handle switch 155 is installed on the handle 140 so that the control unit 152 outputs a driving signal of the photographing program to the smartphone 200 when the handle 140 is separated from the extension housing 120 And outputs the separated signal to the control unit 152.

상기 스마트폰(200)은 공지의 스마트폰(200)으로서, 촬영 제어부(150)와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페어링되고, 상기 촬영 제어부(150)의 신호에 따라 사진 촬영 프로그램을 구동시키거나 카메라가 촬영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촬영 프로그램이 설치된다.
The smart phone 200 is a known smart phone 200 and is paired with the image capturing control unit 150 using Bluetooth. The smart phone 200 is used to drive a photo photographing program in accordance with a signal of the photographing control unit 150, A photographing program is installed.

다음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자가 촬영용 손잡이를 구비하는 스마트폰 케이스의 동작 과정을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e smartphone case having the self-photographing knob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will now be described.

사용자가 촬영 프로그램이 설치된 스마트폰(200)을 스마트폰 고정부(110)의 스마트폰 삽입부(111)에 억지끼움 결합하여 고정시킨다.The user presses and fixes the smartphone 200 installed with the photographing program to the smartphone insertion unit 111 of the smartphone fixing unit 110 and fixes them.

상기 스마트폰(200)의 고정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스마트폰(200)에 설치된 촬영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사진 촬영을 위한 카메라의 동작을 실행시키고,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여 촬영 제어부(150)와 상호 연동되도록 한다.When the fixing of the smart phone 200 is completed, the user executes a photographing program installed in the smart phone 200 to execute a camera operation for photographing, performs Bluetooth communication, and interacts with the photographing control unit 150 .

사용자는 손잡이(140)를 확장부 하우징(120)에서 인출하여 확장부(130)를 다단식으로 연장하여 확장시킨다.The user pulls the handle 140 out of the extension housing 120 to extend and extend the extension 130 in a multistage manner.

이때, 스마트폰(200)에서 촬영 프로그램이 실행되지 않은 상태인 경우 손잡이(140)가 확장부 하우징(120)에서 인출됨에 따라 손잡이 스위치(155)는 분리 신호를 제어부(152)로 출력하여 상기 제어부(152)가 스마트폰(200)으로 상기 촬영 프로그램의 실행을 요청하는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when the photographing program is not executed in the smartphone 200, as the handle 140 is drawn out from the extension housing 120, the handle switch 155 outputs a separation signal to the control unit 152, The controller 152 may output a signal to the smartphone 200 requesting execution of the photographing program.

이후 사용자가 상부 몸체(131a)와 회동 몸체(131b)를 조작하여 스마트폰(200)이 설치된 스마트폰 고정부(110)가 일정 위치에 위치되도록 조작한 다음 고정시킨다.Then, the user manipulates the upper body 131a and the rotating body 131b to manipulate the smartphone fixing unit 110 installed in the smartphone 200 to be position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nd fix the same.

사용자가 촬영 스위치(151)를 눌러 촬영 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152)는 상기 입력된 촬영 신호를 스마트폰(200)으로 전송하여 촬영 프로그램을 통한 사진 촬영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When the user presses the photographing switch 151 to input a photographing signal, the control unit 152 transmits the inputted photographing signal to the smartphone 200 to photograph the photographing through the photographing program.

(제 2 실시예)(Second Embodiment)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가 촬영용 손잡이를 구비하는 스마트폰 케이스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smartphone case having a self-photographing kno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우선,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한다.First, repetitive explanations of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are omitted,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자가 촬영용 손잡이를 구비하는 스마트폰 케이스(100')는 스마트폰 고정부(110')와, 확장부 하우징(120)과, 확장부(130)와, 손잡이(140)와, 촬영 제어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스마트폰 고정부(110')의 구성에서 제 1 실시예와 구별된다.A smartphone case 100 'having a self-photographing hand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martphone fixing part 110', an extension part housing 120, an extension part 130, a handle 140 and an imaging control unit 150 ', and is distinguished from the first embodiment in the configuration of the smartphone fixing unit 110'.

상기 스마트폰 고정부(110')는 스마트폰(200)을 고정하는 사각 형상의 구성으로서, 전면에는 고정 대상인 스마트폰(200)의 크기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된 스마트폰 삽입부(111')가 설치되고, 배면에는 보조 전원부(154')가 설치되는 제 1 수납부(111a')와, 확장부(130)가 수납되는 확장부 하우징(120)과, 촬영 제어부(150')가 설치되는 제 2 수납부(111b')가 형성된다.The smartphone fixing unit 110 'has a rectangular shape for fixing the smartphone 200, and a smartphone insertion unit 111' formed at a size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the smartphone 200 to be fixed A first housing section 111a 'in which an auxiliary power source section 154' is installed, an extension housing 120 in which the extension section 130 is housed, and a second housing section 120 in which a photographing control section 150 ' 2 accommodating portion 111b 'is formed.

또한, 상기 스마트폰 고정부(110')는 고무, 실리콘 또는 가요성 플라스틱 수지로 구성되어 스마트폰 삽입부(111')에 고정되는 스마트폰(200)과 억지끼움 결합되도록 하여 상기 스마트폰(200)이 스마트폰 고정부(110')에 고정되도록 한다.The smartphone fixing part 110 'is made of rubber, silicone or a flexible plastic resin and is tightly coupled to the smartphone 200 fixed to the smartphone insertion part 111' Is fixed to the smartphone fixing unit 110 '.

또한, 상기 스마트폰 고정부(110')의 일측에는 스마트폰 삽입부(111')에 설치되는 스마트폰(200)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USB 단자(156)가 설치되고, 상기 USB 단자(156)는 USB 케이블(미도시)을 통해 스마트폰(200)과 촬영 제어부(150')가 연결되도록 하며, 상기 스마트폰(200)의 전원이 촬영 제어부(150')로 전원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A USB terminal 156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martphone 200 installed in the smartphone insertion unit 111 'is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smartphone fixing unit 110' The smartphone 200 and the photographing control unit 150 'are connected through a USB cable (not shown), and the power of the smart phone 200 can be supplied to the photographing control unit 150'.

또한, 상기 USB 단자(156)는 연결된 USB 케이블을 통해 촬영 제어부(150')의 촬영 신호 또는 분리 신호가 스마트폰(200)으로 송신될 수 있도록 한다.Also, the USB terminal 156 can transmit a photographing signal or a separation signal of the photographing control unit 150 'to the smartphone 200 through a USB cable.

상기 제 1 수납부(111a')에 설치된 보조 전원부(154')는 USB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스마트폰(200)으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며, 상기 보조 전원부(154')의 전원은 촬영 제어부(150')로도 공급될 수 있다.The auxiliary power supply unit 154 'provided in the first storage unit 111a'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USB terminal to supply power to the smartphone 200. The power of the auxiliary power supply unit 154 ' 150 '.

따라서 촬영 제어부(150')가 USB 단자(156)를 통해 연결된 스마트폰(200) 또는 보조 전원부(154')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여 사용자가 촬영 스위치(151)를 통해 입력하는 촬영 신호를 스마트폰(200)으로 전송하여 자가 사진 촬영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the photographing control unit 150 'receives power from the smartphone 200 or the auxiliary power supply unit 154' connected through the USB terminal 156, and transmits the photographing signal, which the user inputs through the photographing switch 151, Phone 200 so that self-photographing can be performed.

(제 3 실시예)(Third Embodiment)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가 촬영용 손잡이를 구비하는 스마트폰 케이스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other embodiment of a smartphone case having a self-photographing kno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우선,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한다.First, repetitive explanations of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are omitted,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자가 촬영용 손잡이를 구비하는 스마트폰 케이스(100")는 스마트폰 고정부(110")와, 확장부 하우징(120')과, 확장부(130)와, 손잡이(140)와, 촬영 제어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스마트폰 고정부(110")의 구성에서 제 1 실시예와 구별된다.A smartphone case 100 "having a self-photographing handl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martphone fixing part 110", an extension part housing 120 ', an extension part 130, And a photographing control unit 150, and is distinguished from the first embodiment in the configuration of the smartphone fixing unit 110 ".

상기 스마트폰 고정부(110")는 스마트폰(200)의 크기에 따라 스마트폰 삽입부(111")와의 거리가 가변되도록 신축되어 상기 스마트폰(200)이 고정장치(100")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The smartphone fixing part 110 'is extended and expanded to vary the distance from the smartphone insertion part 111'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smartphone 200 so that the smart phone 200 is fixed to the fixing device 100 ' .

즉 확장부 하우징(120')의 상방향으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어 스마트폰(200)의 크기에 상관없이 고정될 수 있게 한다.That is, in the upward direction of the extension housing 120 'so as to be fixed regardless of the size of the smartphone 200.

상기 스마트폰 고정부(110")는 확장부 하우징(120')의 내측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미도시)에 의해 일정 위치를 유지하며, 스마트폰(200)을 고정하기 위해 상기 스마트폰 고정부(110")가 신장되는 경우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스마트폰(200)은 스마트폰 삽입부(111")와의 사이에 고정된다.
The smartphone fixing part 110 '' maintains a predetermined position by a spring (not shown) that provides an elastic force to the inside of the extension part housing 120 ' The smartphone 200 is fixed to the smartphone insertion portion 111 "by the spring force of the spring 110 ".

이상 몇 가지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살펴보았다.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through several embodiments.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재사항으로부터 상기 살펴본 실시예를 다양하게 변형하거나 변경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from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비록 명시적으로 도시되거나 설명되지 아니하였다 하여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재사항으로부터 본 발명에 의한 기술적 사상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자명하며, 이는 여전히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 상기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술된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러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아니한다.Further, although not explicitly shown or describe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includ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sti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100, 100', 100" : 스마트폰 케이스 110, 110', 110" : 스마트폰 고정부
111, 111', 111" : 스마트폰 삽입부 111a' : 수납부 1
111b' : 수납부 2 120 : 확장부 하우징
121 : 인출홈 122 : 걸림홈
123 : 가이드부 130 : 확장부
131 : 확장부 본체 131a : 상부 몸체
131a' : 상부 몸체 관통공 131a" : 스토퍼
131a'" : 걸림돌기 131b : 회동 몸체
131b' : 회동 몸체 관통공 131b" : 수평 회전축
131b'": 걸림돌기 131c : 하부 몸체
131c' : 하부 몸체 결합홈 131c" : 걸림돌기
131' : 제 1 확장부 131" : 제 2 확장부
132 : 샤프트 133 : 가이드홈
140 : 손잡이 141 : 그립부
142 : 손잡이 플랜지 150 : 스위치부
151 : 촬영 스위치 152 : 제어부
153 : 통신부 154 : 전원부
155 : 손잡이 스위치 156 : USB 단자
200 : 스마트폰
100, 100 ', 100 ": smartphone case 110, 110', 110"
111, 111 ', 111 ": smartphone insertion unit 111a': storage unit 1
111b ': storage part 2 120: extension part housing
121: drawing-out groove 122:
123: guide part 130: extension part
131: extender body 131a: upper body
131a ': Upper body through hole 131a': Stopper
131a '': Locking protrusion 131b:
131b ': rotating body through hole 131b': horizontal rotating shaft
131b ''': a locking projection 131c: a lower body
131c ': lower body coupling groove 131c'':
131 ': first expanding part 131'':
132: shaft 133: guide groove
140: handle 141: grip part
142: handle flange 150: switch part
151: photographing switch 152:
153: communication unit 154:
155: Knob switch 156: USB terminal
200: Smartphone

Claims (14)

스마트폰(200)을 고정하고, 일측에 확장부(130)가 수납되는 확장부 하우징(120)을 형성한 스마트폰 고정부(110, 110', 110");
상기 스마트폰 고정부(110, 110', 110")와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스마트폰 고정부(110, 110', 110")의 확장부 하우징(120)에서 다단식으로 인출되도록 형성한 확장부(130);
상기 확장부(130)의 말단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손에 파지되도록 하는 손잡이(140); 및
상기 스마트폰(200)과 접속하여 사용자의 촬영 신호를 입력받아 미리 설정된 포맷의 사진 촬영 신호를 상기 스마트폰(200)으로 출력하는 촬영 제어부(150, 150')를 포함하며,

상기 확장부(130)는,
확장부 본체(131);
상기 확장부 본체(131)의 내부에 수납되거나 또는 인출되도록 하는 제 1 확장부(131'); 및
상기 제 1 확장부(131')의 내부에 수납되거나 또는 인출되도록 하는 제 2 확장부(131")를 포함하며,

상기 확장부 본체(131)는,
상측 일부가 확장부 하우징(120)과 결합되도록 설치한 상부 몸체(131a);
상기 상부 몸체(131a)의 하부에 샤프트(132)를 통해 결합하여 수직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한 회동 몸체(131b); 및
상기 회동 몸체(131b)의 하부에 수평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한 하부 몸체(131c)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몸체(131a)의 상부 몸체 관통공(131a')의 둘레에 일정 간격으로 돌출시켜 형성한 다수의 걸림돌기(131a'")와 상기 회동 몸체(131b)의 회동 몸체 관통공(131b')의 둘레에 일정 간격으로 돌출하여 형성한 다수의 걸림돌기(131b'")가 치합되어 상기 상부 몸체(131a)의 회동에 따라 형성된 각도가 유지되며,
상기 회동 몸체(131b)의 수평 회전축(131b")의 둘레에 설치한 걸림돌기와 상기 하부 몸체(131c)의 하부 몸체 결합홈(131c')의 둘레에 일정 간격으로 돌출한 다수의 걸림돌기(131c")가 치합되어 상기 회동 몸체(131b)의 회동에 따라 형성된 각도가 유지되며,

상기 촬영 제어부(150)는 손잡이(140)에 설치되어 상기 손잡이(140)가 확장부 하우징(120)으로부터 분리되면 스마트폰(200)으로 사진 촬영 프로그램의 구동 신호가 출력되도록 하는 손잡이 스위치(155)를 포함하는 자가 촬영용 손잡이를 구비하는 스마트폰 케이스.
A smartphone fixing unit 110, 110 ', 110 "having an extension housing 120 for fixing the smartphone 200 and accommodating the extension 130 at one side thereof;
110 ', 110 "are rotatably coupled to the smartphone fixing portions 110, 110', 110"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An extension part 130 formed to extend outwardly from the base 110;
A handle 140 installed at a distal end of the extension 130 to be gripped by a user's hand; And
And a photographing control unit (150, 150 ') connected to the smartphone (200) for receiving a photographing signal of a user and outputting a photographed signal of a predetermined format to the smartphone (200)

The expansion unit 130 includes:
An extension part main body 131;
A first extension part 131 'which is accommodated in or drawn out of the extension part main body 131; And
And a second extension part 131 " for accommodating or pulling out the first extension part 131 '

The extension portion main body 131 is provided with an opening /
An upper body 131a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thereof to be engaged with the extension housing 120;
A rotating body 131b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body 131a through a shaft 132 so as to be vertically rotatable; And
And a lower body 131c rotatably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rotating body 131b in a horizontal direction,

A plurality of locking protrusions 131a '' protruding around the upper body through-hole 131a 'of the upper body 131a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a rotating body through hole 131b' of the rotating body 131b. Are engaged with a plurality of locking protrusions 131b '"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round the upper body 131a to maintain an angle formed by the rotation of the upper body 131a,
A plurality of locking protrusions 131c 'protruding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round the engaging protrusion around the horizontal rotation axis 131b''of the rotating body 131b and the lower body engaging groove 131c' of the lower body 131c. And the angle formed by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body 131b is maintained,

The photographing control unit 150 is provided with a handle switch 155 installed on the handle 140 and outputting a driving signal of the photographing program to the smart phone 200 when the handle 140 is separated from the extension housing 120, And a self-photographing knob.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 고정부(110, 110')는 스마트폰(200)과 억지끼움 결합하여 고정하는 자가 촬영용 손잡이를 구비하는 스마트폰 케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martphone fixing part (110, 110 ') has a self-photographing knob for fixing and fixing the smartphone (200) by interference fi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 고정부(110')는 일측에 스마트폰(200)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USB 단자(156)를 더 포함하는 자가 촬영용 손잡이를 구비하는 스마트폰 케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martphone case includes a self-photographing handle, further comprising a USB terminal (156)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martphone (200) on one side of the smartphone fixing unit (110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 고정부(110')는 배면에 보조 전원부(154')를 설치하는 제 1 수납부(111a')와, 스위치부(150')를 설치하는 제 2 수납부(111b')를 추가 형성한 자가 촬영용 손잡이를 구비하는 스마트폰 케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martphone fixing part 110 'includes a first receiving part 111a' for providing an auxiliary power source part 154 'and a second receiving part 111b' for installing a switch part 150 ' And the self-photographing handle is form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 고정부(110")는 스마트폰(200)의 크기에 따라 신축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자가 촬영용 손잡이를 구비하는 스마트폰 케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martphone case 110 '' has a self-photographing handle that is stretched and fix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smartphone 20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 하우징(120)은 하부가 개방되고, 상기 하부의 측벽에는 내부에 수납된 손잡이(140)의 인출을 위한 절개홈(121)과, 확장부(130)와 치합하여 상기 확장부가 일정 거리 이상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한 걸림홈(122)을 포함하는 자가 촬영용 손잡이를 구비하는 스마트폰 케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extension housing 120 is opened at its lower portion and the lower side wall is engaged with a cutout groove 121 for pulling out the knob 140 received therein and the extension portion 130, And a latching groove (122) formed to prevent overdrawing of the self-photographing hand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130)는 단면 형상이 원형상 또는 다각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한 자가 촬영용 손잡이를 구비하는 스마트폰 케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extension part (130) has a self-photographing handle formed in a shape of a circular or polygonal cross-sectional shap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130)는 확장부 본체(131), 제 1 확장부(131') 및 제 2 확장부(131")가 임의로 회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확장부 본체(131), 제 1 확장부(131') 및 제 2 확장부(131")의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홈(133)을 형성한 자가 촬영용 손잡이를 구비하는 스마트폰 케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extension part 130 may be formed to extend from the extension main body 131 to the first extension part 131 'to prevent the extension part main body 131, the first extension part 131' and the second extension part 131 ' And a guide groove (133) i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extension part (131 ') and the second extension part (13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제어부(150)는 손잡이(140)에 설치되어 사용자로부터 촬영 신호를 입력받아 출력하는 촬영 스위치(151);
상기 촬영 스위치(151)의 촬영 신호를 검출하여 스마트폰(200)으로 출력되도록 하는 제어부(152);
상기 스마트폰(200)과 데이터 송수신을 통해 상기 제어부(152)에서 출력되는 촬영 신호가 상기 스마트폰(200)으로 전송되도록 하는 통신부(153); 및
상기 제어부(152) 및 통신부(153)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54)를 포함하는 자가 촬영용 손잡이를 구비하는 스마트폰 케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hotographing control unit 150 includes a photographing switch 151 installed on the handle 140 for receiving a photographing signal from a user and outputting the photographing signal;
A controller 152 for detecting a photographing signal of the photographing switch 151 and outputting the photographing signal to the smartphone 200;
A communication unit 153 for transmitting a photographing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 unit 152 to the smartphone 200 through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with the smartphone 200; And
And a power supply unit (154) for supplying power to the control unit (152) and the communication unit (15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153)는 블루투스, 지그비, 와이파이, WUSB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 무선 통신 또는 USB 케이블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스마트폰(200)과 접속하는 자가 촬영용 손잡이를 구비하는 스마트폰 케이스.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communication unit 153 has a self-photographing knob that is connected to the smartphone 200 through any one of wireless communic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Bluetooth, Zigbee, Wi-Fi, and WUSB, or USB cable.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154)는 접속된 스마트폰(200)에서 공급하는 전원 또는 스마트폰 고정부에 미리 설치된 배터리에서 공급하는 전원 중 어느 하나인 자가 촬영용 손잡이를 구비하는 스마트폰 케이스.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power supply unit 154 includes a self-photographing knob that is any one of a power supplied from the connected smart phone 200 or a power supplied from a battery pre-installed in the smart phone fixing unit.
삭제delete
KR1020140132439A 2014-10-01 2014-10-01 Smartphone case equipped with self shooting handle KR10159332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2439A KR101593327B1 (en) 2014-10-01 2014-10-01 Smartphone case equipped with self shooting hand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2439A KR101593327B1 (en) 2014-10-01 2014-10-01 Smartphone case equipped with self shooting hand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3327B1 true KR101593327B1 (en) 2016-02-15

Family

ID=55357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2439A KR101593327B1 (en) 2014-10-01 2014-10-01 Smartphone case equipped with self shooting hand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3327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17945A (en) 2005-05-10 2006-11-24 Wayne G Fromm Apparatus for supporting camera and method for using apparatus
KR101176301B1 (en) * 2011-01-13 2012-08-22 기 연 김 A remote controller for self-shooting photograph
US20140146193A1 (en) * 2012-11-28 2014-05-29 Jinrong Yang Handle for handheld terminal
KR101441888B1 (en) * 2013-05-23 2014-09-23 이미화 A smartphone case structrue for photographing function of self camera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17945A (en) 2005-05-10 2006-11-24 Wayne G Fromm Apparatus for supporting camera and method for using apparatus
KR101176301B1 (en) * 2011-01-13 2012-08-22 기 연 김 A remote controller for self-shooting photograph
US20140146193A1 (en) * 2012-11-28 2014-05-29 Jinrong Yang Handle for handheld terminal
KR101441888B1 (en) * 2013-05-23 2014-09-23 이미화 A smartphone case structrue for photographing function of self camera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181610A1 (en) Handheld device, photograph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US9055144B2 (en) Handle for handheld terminal
US8988603B2 (en) Imaging unit and installation device
US10101639B2 (en) Low-profile lens mount
EP2840772A2 (en) Imaging device
US9723196B2 (en) Imaging device and associated methodology for establishing a Wi-Fi connection with another device
EP2840773A2 (en) Imaging device
CN107436627B (en) Electronic device having sealing member
US9769362B2 (en) Mounting adapter
US20210181611A1 (en) Handheld gimbal
EP3160114B1 (en) Mobile terminal and camera assembly thereof
KR20120082110A (en) A remote controller for self-shooting photograph
TW201108918A (en) Portable electronic system with a detachable camera module
US20160248962A1 (en) Handle-Type Photo Shooting Remote Control Device
US20130286226A1 (en) Modular peripheral digital camera system connectable to portable computing devices
US20240163541A1 (en) Modular camera with interchangeable image head and sub-system bases
WO2019061163A1 (en) Imaging device, cradle head and camera main body
KR101593327B1 (en) Smartphone case equipped with self shooting handle
KR101633865B1 (en) Self Camera Photographing Device For Smart-phone
KR20170048752A (en) Head Mount Display
KR20160137325A (en) Mobile terminal case comprising selfie stick
CN103345033A (en) Mobile phone lens amplifier
KR20130102721A (en) Phone case
WO2023000336A1 (en) Photographing device and system, carrier apparatus, control system, and expansion component
KR101718113B1 (en) Portable terminal case able to take selfi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