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2190B1 - 전기콘센트 - Google Patents

전기콘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2190B1
KR101592190B1 KR1020150044381A KR20150044381A KR101592190B1 KR 101592190 B1 KR101592190 B1 KR 101592190B1 KR 1020150044381 A KR1020150044381 A KR 1020150044381A KR 20150044381 A KR20150044381 A KR 20150044381A KR 101592190 B1 KR101592190 B1 KR 1015921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unit
outlet
length
usb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43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원
Original Assignee
박정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원 filed Critical 박정원
Priority to KR10201500443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21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21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21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본 전기콘센트는, 본체, 본체의 전면에 결합되며, 전기기기의 플러그가 접속되는 플러그 연결부를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콘센트 유닛, 및 본체의 후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전원 콘센트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 플러그를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콘센트 유닛은 각각 아코디언식 접이를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접혀 형성된 신축 구조를 사용함으로써, 콘센트 유닛의 길이 방향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아코디언식 접이를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접혀 형성된 신축 구조를 사용함으로써, 사용자는 사용 환경에 따라 임의로 길이를 조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기콘센트{Electrical outlet}
본 발명은 전기콘센트에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아코디언식 접이를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접혀 형성된 신축 구조를 사용함으로써 길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전기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콘센트는 전기를 공급받기 위한 일종의 어댑터로, 전기기기의 케이블에 형성된 플러그를 전기콘센트에 끼워서 전자기기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해 사용한다.
전기콘센트는 국가별 전원 전압이나 주파수, 및 사용처 등에 따라 그 형태가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전기콘센트의 종류에는 접지 2구 콘센트, 비접지 2구 콘센트, 누전차단 2구 콘센트, 20A 접지형 2구 콘센트, 30A 240V 콘센트 등이 있으며, 대기전력 차단이나 타이머 기능 등과 같이 기본적인 전원 공급 외에 특수한 기능이 부가된 제품도 존재한다.
그런데, 전원 공급을 위한 전기콘센트는 통상적으로 건물의 벽이나 천장 등에 설치되므로, 전기콘센트로부터 먼 곳에 위치하는 전기기기에 전기를 공급하거나, 여러 개의 전기기기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해서는, 멀티탭(multi-tap)이나 기타 연장이나 확장을 위한 콘센트를 사용해야 한다.
이에 따라, 전기를 공급받아야 하는 전기기기의 개수가 증가하게 되면, 전기기기의 케이블이 서로 엉겨서 복잡할 뿐만 아니라, 누전이나 합선이 발생할 염려도 있다. 또한, 사용자가 바닥에 흩어져 있는 전기기기의 케이블이 걸려서 전기기기에 전원 공급이 차단되거나, 전기기기에 손상을 초래하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면서, 동시에 전기기기에 안정적으로 전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전기콘센트를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아코디언식 접이를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접혀 형성된 신축 구조를 사용함으로써 임의의 길이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전기콘센트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콘센트는, 본체, 상기 본체의 전면에 결합되며, 전기기기의 플러그가 접속되는 플러그 연결부를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콘센트 유닛, 및 상기 본체의 후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전원 콘센트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 플러그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콘센트 유닛은 각각 아코디언식 접이를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접혀 형성된 신축 구조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콘센트 유닛의 길이 방향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플러그 연결부에 전기를 공급 및 차단하는 전원 스위치와, 동작 모드의 설정과 동작 상태의 표시를 위한 LED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콘센트 유닛은, 상기 전원 플러그를 통해 입력되는 전원을 정류한 직류 전원을 제공하는 USB 단자를 더 포함하며, 상기 USB 단자를 통해 출력되는 전류의 크기는, 상기 콘센트 유닛의 길이를 조절하여 선택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기콘센트에서 아코디언식 접이를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접혀 형성된 신축 구조를 사용하여 임의로 길이를 조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전기기기에 전기 공급을 위한 배선 구조를 간단히 하면서, 안정적으로 전기기기에 전기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휴대용 기기의 충전을 위한 USB 단자나, 전원 차단을 위한 스위치 등을 설치하여 다양한 기능을 부가적으로 제공할 수도 있으며, USB 단자를 통해 출력되는 전류의 크기는 콘센트 유닛의 길이를 조절하거나 스위치 조작에 의해 선택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기콘센트의 외형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전기콘센트에서 콘센트 유닛 중 하나를 잡아당긴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에에 따른 전기콘센트의 외형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기콘센트의 외형을 나타낸 도면,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전기콘센트의 외형을 나타낸 도면, 그리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전기콘센트의 블럭 구성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기콘센트의 외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콘센트(100)는 본체(101), 본체(101)의 전면에 일측이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콘센트 유닛(110a, 110b, 110c, 110d)을 포함하며, 각각의 콘센트 유닛(110a, 110b, 110c, 110d)은 전기기기의 플러그가 접속되는 플러그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는 플러그 연결부(111a, 111b, 111c, 111d)를 구비한다.
본체(101)의 후면에는 벽이나 천정에 배치된 전원 콘센트에 꼽아서, 콘센트 유닛(110a, 110b, 110c, 110d)에 전기를 공급할 있도록 하는 전원 플러그(120)가 배치되어 있다. 전원 플러그(120)는 본체(101)의 후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사용 환경에 따라 전기 콘센트(100)를 가로나 세로로 전원 콘센트에 꼽아서 사용할 수 있다.
전기콘센트(100)에서 각각의 콘센트 유닛(110a, 110b, 110c, 110d)의 윗면부, 아랫면부, 및 좌우측면부을 포함하는 둘레는, 아코디언식 접이를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접혀 형성된 신축 구조(112a, 112b, 112c, 112d)를 사용함으로써, 콘센트 유닛(110a, 110b, 110c, 110d)의 길이방향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하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전기콘센트에서 콘센트 유닛 중 하나를 잡아당긴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전기콘센트(100)는 아코디언식 접이를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접혀 형성된 신축 구조를 사용함으로써, 콘센트 유닛(110a, 110b, 110c, 110d) 중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것을 잡아당겨 길이를 늘이거나, 혹은 밀어넣어 길이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사용 환경에 따라, 원하는 콘센트 유닛의 길이를 임의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기콘센트의 외형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콘센트(200)의 구조 및 기능은 기본적으로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콘센트(200)는 각각의 콘센트 유닛에 배치된 전원 스위치(213a, 213b, 213c, 213d)를 더 포함한다. 전원 스위치(213a, 213b, 213c, 213d)의 동작에 따라 각각의 콘센트 유닛에 배치된 플러그 연결부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전기콘센트(200)에서 과열이나 누전 등이 탐지된 경우, 전원 스위치(213a, 213b, 213c, 213d)가 동작하여 플러그 연결부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의 수행을 위해 전기콘센트(200) 내부에 과열이나 누전을 검색할 수 있는 센싱부를 더 설치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기콘센트의 외형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콘센트(300)의 구조 및 기능도 기본적으로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콘센트(300)는 휴대용 기기의 동작 전원이나 충전 등을 위한 직류 전원을 제공하는 USB 단자(314a, 314b, 314c, 314d)를 더 포함한다. USB 단자(314a, 314b, 314c, 314d)로는 일반적인 규격의 USB 단자 외에 micro-USB 규격의 단자를 사용할 수도 있다.
USB 단자(314a, 314b, 314c, 314d)를 통해 직류 전원을 제공하기 위해서, 전기콘센트(300)의 본체내에 교류-직류 변환 회로가 설치된다. USB 단자(314a, 314b, 314c, 314d)를 통해 출력되는 전류의 크기는 연결되는 휴대 기기의 특성에 따라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예컨대, 특정 스위치의 동작에 따라, USB 단자(314a, 314b, 314c, 314d)를 통해 500mA, 1A, 2A 등과 같은 직류 전원을 선택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콘센트 유닛의 길이에 따라 USB 단자(314a, 314b, 314c, 314d)를 통해 출력되는 직류 전원의 전류 크기가 변경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전기콘센트의 외형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콘센트(400)의 구조 및 기능도 기본적으로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콘센트(400)는 LED 스위치(415a, 415b, 415c, 415d, 416a, 416b, 416c, 416d)를 더 포함한다. LED 스위치(415a, 415b, 415c, 415d, 416a, 416b, 416c, 416d)는 동작에 따라 미리 설정된 기능이 작동되도록 하는 스위치 역활과, 현재 스위치 상태에 따라 LED 색상이 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부에 설치된 LED 스위치(415a, 415b, 415c, 415d)는 전기콘센트(400)의 동작 설정 및 동작 상태 표시를 위해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누전이나 과열 등을 표시하고, 이러한 상태에서 LED 스위치(415a, 415b, 415c, 415d)의 동작에 따라 전원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
하부에 설치된 LED 스위치(416a, 416b, 416c, 416d)는 충전 동작과 관련된 설정 및 표시를 위해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기본적으로 USB 단자를 통해 500mA로 전류를 공급하지만, 하부에 설치된 LED 스위치(416a, 416b, 416c, 416d)를 동작시켜 이보다 높은 전류가 공급되도록 하여 충전 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의 일측에 연결 설치되어 콘센트 유닛을 둘러싸는 케이스(403)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 유닛의 블럭 구성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전기콘센트(400)는 콘센트 유닛(410), 전원 플러그(420), 교류-직류 변환부(430), 및 센싱부(440)를 포함할 수 있다. 콘센트 유닛(410)은 플러그 연결부(411), USB 단자(414), 및 LED 스위치(416)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요소들은 실제 응용에서 구현될 때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센싱부(440)는 콘센트 유닛(410)의 길이를 감지하여, 감지된 길이에 따라 USB 단자(414)로 출력되는 전류의 크기가 조절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예컨대, 콘센트 유닛(410)이 제1 기준 길이 이하인 경우에는 500mA 직류 전원이 출력되고, 제1 기준 길이 이상이고 제2 기준길이 이하인 경우에는 1A 직류 전원을 출력하며, 제2 기준 길이 이상인 경우에는 500mA 직류 전원이 출력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콘센트 유닛(410)의 길이가 한계 길이 이상이 된 경우에는, 센싱부(440)는 LED 스위치(416)에 신호를 보내, LED 스위치의 색상을 변경하도록 하고, 동시에 교류-직류 변환부(430)로 신호를 보내 USB(414)로 출력되는 전원이 차단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USB 단자(414)에 연결된 기기의 충전이 완료된 것으로 감지된 경우에도, 이에 대응하여 LED 스위치(416)의 색상을 변경하고, USB(414)로 출력되는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센싱부(440)는 누전이나 과열 등이 감지된 경우에는, 전원 스위치(413)로 감지 신호를 전송하고, 이에 의해 전원 스위치(413)가 동작하여 플러그 연결부(411)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전기콘센트는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10a ~ 110d : 콘센트 유닛 111a ~ 111d : 플러그 연결부
120 : 전원 플러그

Claims (8)

  1. 본체;
    상기 본체의 후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전원 콘센트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 플러그;
    상기 본체의 전면에 결합되며, 전기기기의 플러그가 접속되어 상기 전원을 공급받는 플러그 연결부와 상기 전원 플러그를 통해 입력되는 전원을 정류한 직류 전원을 제공하는 USB 단자를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콘센트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콘센트 유닛은 각각 아코디언식 접이를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접혀 형성된 신축 구조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콘센트 유닛의 길이 방향으로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본체의 전면으로부터 상기 플러그 연결부 및 상기 USB 단자까지의 거리를 상기 콘센트 유닛별로 조절 가능하며,
    상기 콘센트 유닛의 길이가 제1 기준 길이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USB 단자로 제1 크기의 직류 전원이 출력되고, 상기 콘센트 유닛의 길이가 상기 제1 기준 길이 이상이고 상기 제1 기준 길이보다 긴 제2 기준 길이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USB 단자로 제2 크기의 직류 전원이 출력되며, 상기 콘센트 유닛의 길이가 상기 제2 기준 길이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USB 단자로 제3 크기의 직류 전원이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콘센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센트 유닛은, 상기 플러그 연결부에 전기를 공급 및 차단하는 전원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전기콘센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센트 유닛은, 동작 모드의 설정과 동작 상태의 표시를 위한 LED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전기콘센트.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USB 단자를 통해 출력되는 전류의 크기를 선택하기 위한 LED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전기콘센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USB 단자에 연결된 기기의 충전 상태를 표시하는 LED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전기콘센트.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일측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콘센트 유닛을 수용하는 케이스를 더 포함하는 전기콘센트.
KR1020150044381A 2015-03-30 2015-03-30 전기콘센트 KR1015921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4381A KR101592190B1 (ko) 2015-03-30 2015-03-30 전기콘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4381A KR101592190B1 (ko) 2015-03-30 2015-03-30 전기콘센트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2089A Division KR101681539B1 (ko) 2016-02-01 2016-02-01 전기콘센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2190B1 true KR101592190B1 (ko) 2016-02-15

Family

ID=55357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4381A KR101592190B1 (ko) 2015-03-30 2015-03-30 전기콘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219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93920A (zh) * 2017-06-30 2017-10-24 诺梵(上海)家具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改良型多变插座系统
KR20200000975U (ko) * 2018-11-07 2020-05-1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길이 조절이 가능한 커넥터 어뎁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88392A (ja) 2003-03-19 2004-10-14 Hiroaki Tanaka テーブルタップ
KR200372436Y1 (ko) 2004-10-18 2005-01-14 김남현 Usb포트를 내장한 열쇠고리형 휴대용 외부전원공급장치
US20150048792A1 (en) 2013-08-15 2015-02-19 John William Alford Cord Reel Variable Current Thermal Management and Damage Detectio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88392A (ja) 2003-03-19 2004-10-14 Hiroaki Tanaka テーブルタップ
KR200372436Y1 (ko) 2004-10-18 2005-01-14 김남현 Usb포트를 내장한 열쇠고리형 휴대용 외부전원공급장치
US20150048792A1 (en) 2013-08-15 2015-02-19 John William Alford Cord Reel Variable Current Thermal Management and Damage Detectio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93920A (zh) * 2017-06-30 2017-10-24 诺梵(上海)家具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改良型多变插座系统
KR20200000975U (ko) * 2018-11-07 2020-05-1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길이 조절이 가능한 커넥터 어뎁터
KR200497988Y1 (ko) 2018-11-07 2024-05-08 한화오션 주식회사 길이 조절이 가능한 커넥터 어뎁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19564U (ja) スマートテーブル
AU2009277093B2 (en) Power strip with input plug
US9463564B2 (en) Electrical power cord with supplemental socket
US20140335919A1 (en) Electronic charging device
US7426126B1 (en) Charge apparatus of an extension cord plug
WO2013106297A1 (en) Usb wall plate charger
KR101681539B1 (ko) 전기콘센트
JP3153794U (ja) 壁式スイッチusb充電器構造
KR101592190B1 (ko) 전기콘센트
KR20100042174A (ko) 유에스비 포트를 구비한 탁상용 멀티탭
US20170346244A1 (en) Receptacle Relocator
WO2007143610A3 (en) Device for converting ac power to multiple dc outputs with retractable cords and multiple adapter tips
US20180331478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providing electrical power
ITPO20090012A1 (it) Dispositivo intelligente di spegnimento per prese multiple
KR101741329B1 (ko) 확장형 콘센트 모듈
TWI558036B (zh) 電源擴充裝置
US9071022B2 (en) Power plug having a universal serial bus port for an electrical appliance
TW201817115A (zh) 可提供不同供電模式的供電裝置
KR20220034127A (ko) Usb 충전기가 있는 케이블 스위치
KR20160054917A (ko)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한 멀티탭
TWM563576U (zh) 電源分享器
CN203839583U (zh) 排插组件、母模块及子模块
US20100285689A1 (en) Power strip with 110 and 220 volt outlets
KR20170024738A (ko) 스마트 기기 연동형 자동 인출입 멀티콘센트
US11550280B2 (en) Multiple location electrical control system with synchronizing butt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