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2122B1 - Apparatus for destroying mit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destroying mit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2122B1
KR101592122B1 KR1020140161503A KR20140161503A KR101592122B1 KR 101592122 B1 KR101592122 B1 KR 101592122B1 KR 1020140161503 A KR1020140161503 A KR 1020140161503A KR 20140161503 A KR20140161503 A KR 20140161503A KR 101592122 B1 KR101592122 B1 KR 1015921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unit
power supply
electric
electric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150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서영기
Original Assignee
서영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영기 filed Critical 서영기
Priority to KR10201401615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212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21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212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7/00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7/00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 A47L7/02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with driven tools for special purposes

Landscapes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removing a mite which is driven in a roller form to use an electric load to electrocute a mite to remove the mite. The apparatus for removing a mite comprises: an apparatus main body; a power supply unit installed and fixed in the apparatus main body to supply power of a battery or a rechargeable battery; a roller connection unit integrated into or mounted on inner surfaces of both sides of the apparatus main body to drive the apparatus main body by rolling and transfer the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and an electric roller unit wherein both ends thereof are connected to the roller connection unit to use the roller connection unit as a center shaft to rotate and form an electric load using the power transferred from the roller connection unit to electrocute a mite.

Description

진드기 제거 장치{Apparatus for destroying mite}Apparatus for destroying mite

본 발명은 진드기 제거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롤러 방식으로 구동하면서 전기 부하를 이용하여 진드기를 감전시켜 제거할 수 있도록 구현한 진드기 제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ite removal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ite removal device that can be removed by electrically discharging a mite using an electric load while being driven in a roller manner.

사람들이 생활하고 있는 침대 위에는 진드기 등의 많은 기생충들이 기생하고 있는데, 이들은 침대 표면의 조직 틈새 속에 박혀 알을 낳고 이를 부화시켜 애벌레를 기르기까지 하며 번식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각종 피부질환은 물론 질병의 전염까지 많은 피해를 끼치고 있다. 특히, 진드기는 대부분 0.4∼1mm의 길이를 가지며, 이 중 가정에서 주로 서식하는 것은 집 먼지 진드기로 섬유에 기생하며 사람의 피부 각질 등을 영양원으로 서식하고 있으며, 또한 진드기로부터 발생되는 배설물이나 사체에서 배출된 미세한 구아닌(Guanin)성 유해 단백질은 매우 중요한 알레르기 원인물질로, 흡입하면 알레르기성 비염, 천식을 일으키고, 피부와 접촉하면 아토피 피부염 등 각종 알레르기성 피부염을 유발시키기 때문에 진드기를 제거하지 않으면 안 된다.Many parasites, such as ticks, are parasitic on the beds where people live. They lay eggs in the tissue crevices on the surface of the bed, hatch eggs and breed them to nourish the larvae. Thus, various skin diseases as well as diseases Has caused much damage. In particular, the mites have a length of 0.4 to 1 mm, and most of them live in the house. They are house dust mites, parasitic on the fibers, and live in the nutrient horns of human skin. Also, Guanin is a very important allergen causing allergic rhinitis and asthma when inhaled, and allergic dermatitis such as atopic dermatitis when it comes into contact with skin. .

집안의 진드기를 제거할 때에는 의류나 침구를 살균하는 방식으로 의류나 침구를 삶거나 햇볕에 말리는 방법을 많이 사용하고 있는데, 이러한 방식은 날씨에 영향을 받아 매우 불편하고 카펫의 경우에는 크기가 매우 커서 삶거나 끓일 수 없어서 화학 약품으로 세탁해야 한다. 이에, 기존의 진공청소기를 사용하기도 하는데, 이러한 진공청소기로는 섬유의 틈새 속에 박혀 기생하는 진드기들을 제거하기가 어려웠다.When removing the ticks in the house, the clothes or bedding are sterilized by boiling clothes or bedding or drying in the sun. This method is very uncomfortable due to the weather, and the size of the carpet is very large It can not be boiled or boiled and should be washed with chemicals. Therefore, a conventional vacuum cleaner may be used. In such a vacuum cleaner, it is difficult to remove parasitic mites that are embedded in the gaps between the fibers.

한국공개특허 제10-2010-0137123호(2010.12.30 공개)는 침대 위의 틈새 속에 끼어 기생하는 진드기와 그의 애벌레, 알 등의 위해물질을 털어내어서 흡입 제거하는 장치의 청소기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는데, 침대 위의 진드기 등 각종 제거하기 힘든 분진물의 제거방법에 있어서, 전기맴돌이 운동의 응용으로 타격하여 털어내어 제거하는 장치로서, 전기접점과 전자석의 중간에 타격봉을 설치하여 그 타격봉이 전기접점과 전자석의 사이를 약 15회/sec의 빠른 속도로 반복 왕복하도록 하여 그 힘으로 대상 물체(침대, 매트리스, 이불 등)를 타격하여 털어내며, 타격봉을 다갈래로 하여 타격 효과를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타격하여서 털어내는 제거방법이기 때문에 실올털을 움켜잡고 있는 진드기들까지 털어내어서 완전하게 제거를 할 수 있다.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10-0137123 (published Dec. 30, 2010) discloses a vacuum cleaner for a device for removing harmful substances such as mites, parasitic mites and eggs, , A mite on a bed, and the like, and is a device for removing and blowing off by application of electric eddy motion, wherein a striking rod is provided between an electrical contact and an electromagnet, And the electromagnet is repetitively reciprocated at a high speed of about 15 times / sec. By this force, the object (bed, mattress, quilt, etc.) is hit and shaken with the force, do. According to the disclosed technique, since it is a method of removing the hitting by blowing, it is possible to completely remove the mites grasping the yarn holding the yarn.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16717호(2006.05.12 등록)는 진공청소기에서 먼지를 흡입할 수 있는 흡입관에 삽입되는 이동안내롤러와 흡입관의 중앙에서 연결관을 착탈할 수 있는 커버에 요철과 분지발생회전봉을 형성함으로써, 섬유표면을 미끄러지지 않고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어 섬유에 있는 진드기를 포함하는 이물질은 물론 깊숙이 숨어 있는 먼지와 세균까지도 외부로 노출시켜서 깨끗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진공청소기의 진드기 흡입장치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하부에 흡입공이 형성된 원통형의 흡입관과, 흡입관의 양측 외주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진드기를 흡입하는 통공이 전체 면에 형성되고 좌우측에 요철이 형성된 이동안내롤러를 포함하고, 흡입관의 중앙에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커버의 고정핀에 각이진 돌출부를 다수 형성하고 있는 분진발생회전봉이 고정되게 설치되어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416717 (registered on May 12, 2006) discloses a vacuum cleaner comprising a moving guide roller inserted into a suction pipe for sucking dirt from a vacuum cleaner and a cover capable of removing and connecting the connecting pipe from the center of the suction pipe, By forming the rotating rod, it is possible to freely move the fiber surface without slipping, so that it is possible to expose even the dust and germs hidden deeply, as well as foreign substances including mites in the fiber, to the outside, Lt; / RTI > According to the disclosed technology, there is provided a suction device comprising: a cylindrical suction pipe having a suction hole formed at a lower portion thereof; a moving guide roller rotatably installed on both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suction pipe and having a through hole for sucking the mite, And a dust generating rotation bar having a plurality of angular protrusions formed on a fixing pin of a cover detachably coupled to a center thereof is fixedly installed and rotatable.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진드기 제거 장치는, 대부분 타격 방식으로 이루어져 있어 타격 시에 먼지를 많이 발생시킬 뿐만 아니라 진드기를 다른 곳으로 튀게 만들어 다른 곳을 오염시키는 단점을 가지고 있으며, 타격 구동에 필요한 전력이 많이 소모되어 전기 소모가 많은 단점도 가지고 있다. 이에, 타격 방식을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다른 곳으로의 오염 전달을 방지하고 먼지를 많이 발생시키지 않으면서 적은 전력량으로도 진드기를 제거할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할 것이다.
The conventional mite removal device as described above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largely generates dust at the time of hitting and also splashes the mites to other places to contaminate other places, But also consumes a lot of electric power. Therefore, it would be necessary to develop a device that can prevent the transmission of pollution to other places by not using the striking method, and to remove the ticks even with a small amount of power without generating a lot of dust.

한국공개특허 제10-2010-0137123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0-0137123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16717호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416717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단점 내지는 필요성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롤러 방식으로 구동하면서 전기 부하를 이용하여 진드기를 감전시켜 제거할 수 있도록 구현한 진드기 제거 장치를 제공한다.
Disclosure of Invention Technical Problem [8]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drawbacks and other problems, and provides a mite removing device that can be removed by electrically discharging a mite using an electric load while driving in a roller system.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장치본체부; 상기 장치본체부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어, 배터리 또는 충전지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 상기 장치본체부의 양 측부 내부 면에 일체형 또는 결합형으로 각각 형성되어, 롤링 구동시켜 줌과 동시에,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전달하기 위한 롤러연결부; 및 양단부가 상기 롤러연결부에 각각 연결 설치되어, 상기 롤러연결부를 중심축으로 하여 롤링 구동하면서 상기 롤러연결부로부터 전달되는 전원으로 전기 부하를 형성하여 진드기를 감전시키기 위한 전기롤러부를 포함하는 진드기 제거 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ower supply unit fixedly installed in the apparatus main body and supplying power to the battery or the rechargeable battery; A roller connecting part formed integrally or in combination with the inner side surfaces of both sides of the apparatus main body part for rolling and driving and supplying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part; And an electric roller portion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middles to the roller connection portion, the electric roller portion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roller connection portion, the electric roller portion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roller connection portion, to provide.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장치본체부는, 양 측부의 내부 면에 상기 롤러연결부를 일체형 또는 결합형으로 형성하며, 내부에 상기 전원공급부를 고정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apparatus main body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oller connecting portion is integrally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both side portions or in a coupled manner, and the power supply portion is fixed to the inside of the apparatus main body portion.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장치본체부는, 상부에 덮개부를 형성하며, 후부에 손잡이부를 형성하며, 후부 상면이나 후부면에 전원스위치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apparatus main body portion is provided with a lid portion at the upper portion, a handle portion at the rear portion, and a power switch portion at the rear upper surface or rear surface.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기 전원스위치부의 구동 또는 정지 제어에 따라 상기 롤러연결부로 전원을 공급하거나 중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power supply unit supplies or stops the power to the roller connection unit according to the drive or stop control of the power switch unit.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전원공급부는, 배터리 또는 충전지의 플러스(+) 전원을 상기 롤러연결부의 일측에 연결 형성시켜 주며, 배터리 또는 충전지의 마이너스(-) 전원을 상기 롤러연결부의 다른 일측에 연결 형성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power supply unit connects a positive (+) power source of a battery or a rechargeable battery to one side of the roller connection unit, and connects a minus (-) power source of the battery or rechargeable battery to the other side of the roller connection unit .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전원공급부는, 배터리 또는 충전지의 전원을 순간적으로 전압을 증폭시키는 전압증폭기, 및 상기 전압증폭기에서 증폭된 전압을 저장하였다가 상기 롤러연결부를 통해 상기 전기롤러부에 공급하는 콘덴서를 포함한 전압변환회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power supply unit includes a voltage amplifier for instantaneously amplifying a voltage of a battery or a rechargeable battery, and a capacitor for storing a voltage amplified by the voltage amplifier and supplying the amplified voltage to the electric roller unit via the roller connection unit. And a voltage conversion circuit including the voltage conversion circuit.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콘덴서는, 진드기가 상기 전기롤러부에 접촉되는 경우에 전원을 상기 롤러연결부를 통해 상기 전기롤러부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condenser is characterized in that power is supplied to the electric roller portion via the roller connection portion when the mite contacts the electric roller portion.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롤러연결부는, 일측이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플러스(+) 전원에 연결 형성됨과 동시에, 다른 일측이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마이너스(-) 전원에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roller connection portion is formed so that one side is connected to a positive (+) power source supplied from the power source,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a negative (-) power source supplied from the power source. do.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전기롤러부는, 일단부가 상기 롤러연결부의 일측에 플러스(+) 전원 연결 형성됨과 동시에, 다른 일단부가 상기 롤러연결부의 다른 일측에 마이너스(-) 전원 연결 형성되어, 전기 부하를 형성하여 진드기를 감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electric roller portion has one end formed with a positive power supply at one side of the roller connection portion and the other end formed with a negative power supply at the other side of the roller connection portion, So that the mites are electrically charged.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진드기 제거 장치는, 상기 장치본체부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롤러연결부 및 상기 전기롤러부를 보호하기 위한 덮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mite removal device further comprises a cover portion formed on the apparatus main body to protect the roller connection portion and the electric roller portion.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진드기 제거 장치는, 상기 장치본체부의 후부에 상부 방향 또는 후부 방향으로 형성되어, 진드기 제거 시에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손잡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mite removal device further comprises a handle formed in the rear portion of the apparatus main body portion in an upward direction or a rearward direction to allow the user to hold the mite when the mite is removed.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진드기 제거 장치는, 상기 장치본체부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스위치 온/오프에 따라 상기 전원공급부의 전원 공급 동작을 구동시키거나 정지시키기 위한 전원스위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mite removal device further includes a power switch unit installed in the apparatus main body unit for driving or stopping the power supply operation of the power supply unit in response to switch on / off of the user do.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롤러연결부는, 일측이 상기 장치본체부의 일 측부 내부 면에 일체형 또는 결합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전기롤러부의 일단부 내부로 삽입 설치되는 제1고정바; 상기 제1고정바의 외부 면에 형성되며,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플러스(+) 전원을 상기 전기롤러부의 일단부 내부면에 전달하는 플러스전원편; 일측이 상기 제1고정바의 다른 일측에 일체형 또는 결합형으로 형성되는 제1연결바; 내측이 상기 제1연결바의 다른 일측에 고정 설치되며, 외측이 상기 전기롤러부의 일단부 내부로 삽입 고정 설치되어, 상기 제1연결바를 중심축으로 하여 상기 전기롤러부를 롤링 구동시켜 주는 제1회전체; 일측이 상기 장치본체부의 다른 일 측부 내부 면에 일체형 또는 결합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전기롤러부의 다른 일단부 내부로 삽입 설치되는 제2고정바; 상기 제2고정바의 외부 면에 형성되며,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마이너스(-) 전원을 상기 전기롤러부의 다른 일단부 내부면에 전달하는 마이너스전원편; 일측이 상기 제2고정바의 다른 일측에 일체형 또는 결합형으로 형성되는 제2연결바; 및 내측이 상기 제2연결바의 다른 일측에 고정 설치되며, 외측이 상기 전기롤러부의 다른 일단부 내부로 삽입 고정 설치되어, 상기 제2연결바를 중심축으로 하여 상기 전기롤러부를 롤링 구동시켜 주는 제2회전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roller connecting portion includes a first fixing bar formed integrally or coupled to one side of an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of the apparatus, one side of which is inserted into one end of the electric roller portion; A positive power supply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first fixing bar and transmitting a positive (+)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to an inner surface of one end of the electric roller; A first connecting bar, one side of which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other side of the first fixing bar; A first connection bar fixedly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connection bar and an outer side inserted and fixed into one end of the electric roller part to roll the electric roller part with the first connection bar as a center axis, all; A second fixing bar formed integrally or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other side of the apparatus main body and inserted into the other end of the electric roller; A minus power supply part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second fixing bar and transmitting a negative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part to an inner surface of the other end of the electric roller part; A second connecting bar having one side integrally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fixing bar or in an engaging manner; And an inner side fixed to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connecting bar and having an outer side fixedly inserted into the other end of the electric roller portion and rolling the electric roller portion about the second connecting bar And includes two full rotations.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1고정바는, 상기 전기롤러부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의 크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first fixing bar has an outer diameter smaller than an inner diameter of the electric roller portion.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플러스전원편은, 상기 제1고정바의 외부 면 중 하부에 일정한 넓이만큼만 형성되어, 상기 전기롤러부의 하부에만 전기 부하를 형성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positive power source piece is formed only at a predetermined width in the lower part of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fixing bar, and forms an electric load only in the lower part of the electric roller part.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2고정바는, 상기 전기롤러부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의 크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second fixing bar has an outer diameter smaller than an inner diameter of the electric roller portion.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마이너스전원편은, 상기 제2고정바의 외부 면 중 하부에 일정한 넓이만큼만 형성되어, 상기 전기롤러부의 하부에만 전기 부하를 형성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negative power supply part is formed only at a predetermined width in the lower part of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fixing bar, so that an electric load is formed only in the lower part of the electric roller part.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롤러연결부는, 상기 제1회전체 및 상기 제2회전체의 외부 면에 형성되어, 상기 전기롤러부의 내부면에 고정 설치되기 위한 다수 개의 고정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roller connecting portion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fixing protrusions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first rotating body and the second rotating body, and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electric roller portion. do.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전기롤러부는, 외부 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길이 방향으로 고정 형성되며, 상기 롤러연결부의 일측으로부터 플러스(+) 전원을 전달받아 플러스 전기 부하를 형성시켜 주는 다수 개의 플러스전원부하; 및 상기 플러스전원부하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길이 방향으로 고정 형성되며, 상기 롤러연결부의 다른 일측으로부터 마이너스(-) 전원을 전달받아 마이너스 전기 부하를 형성시켜 주는 다수 개의 마이너스전원부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electric roller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positive power loads fix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regular intervals on the outer surface, and receiving a positive (+) power from one side of the roller connection unit to form a positive electric load; And a plurality of negative power loads fix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th a predetermined gap between the positive power loads and forming a negative electrical load by receiving a negative power from another side of the roller connection part .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전기롤러부는, 상기 제1회전체 및 상기 제2회전체의 외부 면을 고정 설치하기 위한 다수 개의 고정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electric roller unit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fixing grooves for fixing the outer surfaces of the first rotating body and the second rotating body.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전기롤러부는, 상기 플러스전원부하 및 상기 마이너스전원부하를 삽입 고정하기 위한 다수 개의 라인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electric roller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line grooves for inserting and fixing the positive power load and the negative power load.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라인홈은, 상기 플러스전원부하 및 상기 마이너스전원부하의 반지름보다 더 긴 깊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line groove has a depth longer than a radius of the positive power load and the negative power load.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전기롤러부는, 상기 플러스전원부하 또는 상기 마이너스전원부하 중 하나를 외부 면에 그물망 형태로 형성된 라인홈 내에 삽입 고정되며, 나머지 하나를 그 하나 위에 교차되도록 배치하며, 상기 플러스전원부하와 상기 마이너스전원부하가 교차되어 접촉되는 부분에 비전도체를 구비시켜 서로 통전되지 않도록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electric roller portion is inserted and fixed in one of the line grooves formed in the form of a mesh on the outer surface of the positive power load or the negative power load, and the other is arranged to cross over the other, And a nonconductive body is provided at a portion where the load and the negative power load intersect to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so as not to be energized with each other.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진드기 제거 장치는, 상기 전기롤러부의 후측에 일체형 또는 결합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전기롤러부에 의해 전기 감전된 진드기나 미처 감전 제거되지 못한 진드기를 살균하기 위한 살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mite removal device is integrally or conjointly formed on the rear side of the electric roller unit, and is provided with a mite that is electrically powered by the electric roller unit after being supplied with power from the power supply unit, And a sterilizing unit for sterilizing the sterilizing gas.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살균부는,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빛을 발생시키면서 광촉매 반응을 유발시켜 상기 전기롤러부에 의해 전기 감전된 진드기나 미처 감전 제거되지 못한 진드기를 살균하기 위한 램프 형태의 광촉매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sterilizing unit may include a lamp-shaped unit for sterilizing a mite that has been electrically electrified by the electric roller unit or a mite that has not been removed by causing the photocatalytic reaction while generating light by receiving power from the power supply unit And is a photocatalyst device.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진드기 제거 장치는, 상기 살균부의 후측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살균부에 의해 살균 처리된 진드기 또는 상기 전기롤러부에 의해 전기 감전된 진드기를 진공 흡입하여 청소하기 위한 진공청소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mite removal device includes a vacuum cleaner fixedly installed on the rear side of the sterilizing part, for cleaning the mite sterilized by the sterilizing part or the mite electrically electrified by the electric roller, And further comprising: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진드기 제거 장치는, 상기 장치본체부의 후부 하부면에 롤링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전기롤러부의 롤링 구동과 함께 롤링 구동하기 위한 바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ne embodiment, the mite removal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wheel portion formed to be rollable on a rear lower surface of the apparatus main body portion, for rolling motion of the electric roller portion.

본 발명에 의하면, 롤러 방식으로 구동하면서 전기 부하를 이용하여 진드기를 감전시켜 제거할 수 있도록 구현한 진드기 제거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타격 방식을 사용하지 않아 먼지를 많이 발생시키지 않고 진드기를 다른 곳으로 튀게 만들지 않아 다른 곳으로의 오염 전달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기 부하에 필요한 전력의 소모가 많지 않아 경제적인 효과도 가진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mite removing device that is driven by a roller system and can remove a mite by electric shock using an electric loa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mite from being blown It is possible not only to prevent pollution from being transmitted to other places but also to economize because electric power required for electric load is not consumed much.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진드기 제거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롤러연결부 및 전기롤러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있는 플러스전원부하 및 마이너스전원부하를 일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있는 플러스전원부하 및 마이너스전원부하를 다른 일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진드기 제거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mite removal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roller connecting portion and the electric roller portion in Fig. 1. Fig.
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positive power load and the negative power load in FIG. 2 as an example.
FIG. 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positive power load and the negative power load in FIG. 2 as another example.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mite removal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erely an example for structural or functional explana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text. That is, the embodiments are to be construed as being variously embodied and having various forms, so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capable of realizing technical ideas. Also, the purpose or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it does not mean that a specific embodiment should include all or only such effect.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The meaning of the terms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as follows.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terms "first "," second ", and the like are intended to distinguish one element from another, and the scope of the right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For example,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there may be other elements in between.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On the other hand, other expressions that describe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such as "between" and "between" or "neighboring to" and "directly adjacent to" should be interpreted as well.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singular " include "or" have "are to be construed as including a stated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combination is intended to specify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All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Commonly used predefined terms should be interpreted to be consistent with the meanings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can not be interpreted as having ideal or over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진드기 제거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Now, a mite remov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진드기 제거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1 is a view for explaining a mite removal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진드기 제거 장치(100)는, 장치본체부(110), 전원공급부(120), 롤러연결부(130), 전기롤러부(14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a mite removal device 100 includes a main body unit 110, a power supply unit 120, a roller connection unit 130, and an electric roller unit 140.

장치본체부(110)는, 양 측부의 내부 면에 롤러연결부(130)를 일체형 또는 결합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에 전원공급부(120)를 고정 설치해 준다.The apparatus main body 110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roller connecting portion 130 on the inner surfaces of both side portions, and the power supply portion 120 is fixed to the inside of the apparatus main body portion 110.

일 실시 예에서, 장치본체부(110)는, 상부에 덮개부(150)를 더 형성할 수도 있으며, 후부에 손잡이부(160)를 더 형성할 수도 있으며, 또한 특정 위치(예를 들어, 후부 상면, 후부면 등)에 전원스위치부(170)를 더 설치해 줄 수도 있다.In one embodiment, the device body 110 may further include a lid 150 at the top, a handle 160 at the rear, and may also include a handle (not shown) The power switch unit 170 may be further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the rear surface, or the like.

전원공급부(120)는, 배터리 또는 충전지(예를 들어, 플러그 등을 통해 외부의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할 수 있는 충전지)를 구비하여, 장치본체부(110)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며, 롤러연결부(130)의 양측에 각각 전원 연결 형성되어, 배터리 또는 충전지로부터 전원을 전달받아 해당 전달받은 전원을 전기롤러부(140)에 필요한 전원으로 롤러연결부(130)로 공급해 준다.The power supply unit 120 includes a battery or a rechargeable battery (for example, a rechargeable battery that can be charged by receiving external power through a plug), is fixedly installed inside the apparatus main body 110, And the power is supplied from the battery or the rechargeable battery to the roller connection unit 130 through a power source necessary for the electric roller unit 140.

일 실시 예에서, 전원공급부(120)는, 전원스위치부(170)의 구동 또는 정지 제어에 따라 롤러연결부(130)로 전원을 공급하거나 중단해 줄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ower supply unit 120 may supply or stop the power supply to the roller connection unit 130 according to the driving or stopping control of the power switch unit 170.

일 실시 예에서, 전원공급부(120)는, 배터리 또는 충전지로부터 전달되는 플러스(+) 전원을 롤러연결부(130)의 일측에 연결 형성시켜 줌과 동시에, 배터리 또는 충전지로부터 전달되는 마이너스(-) 전원을 롤러연결부(130)의 다른 일측에 연결 형성시켜 줌으로써, 전기롤러부(140)에 필요한 전원으로 롤러연결부(130)로 공급해 줄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ower supply unit 120 connects the positive (+) power supplied from the battery or the rechargeable battery to one side of the roller connection unit 130 and connects the negative power source To the other end of the roller connection part 130, thereby supplying the electric power to the roller connection part 130 by a power source necessary for the electric roller part 140.

일 실시 예에서, 전원공급부(120)는, 전압증폭기 및 콘덴서를 포함한 전압변환회로(설명의 편의상으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전압증폭기는 배터리 또는 충전지로부터 전달되는 전원을 순간적으로 전압을 증폭시켜 해당 증폭된 고전압을 콘덴서로 입력할 수 있으며, 콘덴서는 전압증폭기로부터 고전압을 입력받아 저장하였다가 롤러연결부(130)를 통해 전기롤러부(140)에 공급해 줄 수 있다. 이때, 진드기가 전기롤러부(140)에 접촉되면, 이 순간에 콘덴서에서는 전기롤러부(140)로 고전압을 공급해 주게 되며, 이에 전기롤러부(140)는 콘덴서로부터 공급되는 고전압으로 접촉된 진드기를 통전(전기 감전)시켜 제거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ower supply unit 120 may further include a voltage conversion circuit including a voltage amplifier and a capacitor (not shown in the drawings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Here, the voltage amplifier amplifies the voltage instantaneously to the power supplied from the battery or the rechargeable battery and inputs the amplified high voltage to the capacitor. The capacitor receives and stores the high voltage from the voltage amplifier, And supplies it to the electric roller unit 140. At this time, when the mite comes into contact with the electric roller part 140, the capacitor supplies a high voltage to the electric roller part 140, and the electric roller part 140 causes the mite contacted with the high voltage supplied from the capacitor It can be removed by electrification (electric shock).

롤러연결부(130)는, 장치본체부(110)의 양 측부 내부 면에 일체형 또는 결합형으로 각각 형성되며, 전기롤러부(140)의 양단부를 회동 가능하도록 각각 연결 설치함과 동시에, 전원공급부(120)와 전기롤러부(140) 사이의 전원 연결을 형성시켜, 전기롤러부(140)를 롤링 구동시켜 줌과 동시에, 전원공급부(12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전기롤러부(140)로 전달해 준다.The roller connection part 130 is integrally or integrally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both side parts of the apparatus main body part 110. The roller connection part 130 is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electric roller part 140 so as to be rotatable, 120 and the electric roller unit 140 so that the electric roller unit 140 is rolled and the electric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120 is transmitted to the electric roller unit 140 .

일 실시 예에서, 롤러연결부(130)는, 일측이 전원공급부(120)로부터 공급되는 플러스(+) 전원에 연결 형성됨과 동시에, 다른 일측이 전원공급부(120)로부터 공급되는 마이너스(-) 전원에 연결 형성되어, 전원공급부(120)로부터 공급되는 플러스(+) 전원을 전기롤러부(140)의 일단부에 전달해 줌과 동시에, 전원공급부(120)로부터 공급되는 마이너스(-) 전원을 전기롤러부(140)의 다른 일단부에 전달해 줄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roller connection portion 130 is formed so that one side is connected to a positive (+) power source supplied from a power supply 120 and the other is connected to a negative (-) power source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120 A positive power source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120 is transmitted to one end of the electric roller unit 140 and a negative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120 is supplied to the electric roller unit 140. [ To another end of the body 140.

전기롤러부(140)는, 양단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롤러연결부(130)에 각각 연결 설치됨과 동시에, 롤러연결부(130)의 양측에 각각 전원 연결 형성되어, 롤러연결부(130)를 중심축으로 하여 롤링 구동하면서 롤러연결부(130)로부터 전달되는 전원으로 전기 부하를 형성하여 진드기를 감전시켜 제거해 준다.The electric roller 140 is connected to the roller connecting portion 130 so that the both ends thereof can rotate and is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roller connecting portion 130 so that the electric roller 140 rotates about the roller connecting portion 130 An electric load is formed from the electric power transmitted from the roller connecting part 130 while driving to remove the electric mites.

일 실시 예에서, 전기롤러부(140)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전기 부하를 형성하는 부분 외에는 플라스틱 등과 같은 비전도체로 이루어지며, 일단부가 롤러연결부(130)의 일측에 플러스(+) 전원 연결 형성됨과 동시에 다른 일단부가 롤러연결부(130)의 다른 일측에 마이너스(-) 전원 연결 형성됨으로써, 일단부를 통해 롤러연결부(130)의 일측으로부터 플러스(+) 전원을 전달받음과 동시에 다른 일단부를 통해 롤러연결부(130)의 다른 일측으로부터 마이너스(-) 전원을 전달받아 전기 부하를 형성시켜 줄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electric roller portion 14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is made of a non-conductive material such as plastic or the like other than the portion forming the electric load, and has one end connected to the positive (+) Power supply from one side of the roller connecting part 130 through one end and a positive (+) power source is received from the other side of the roller connecting part 130, and at the same time, A negative power may be received from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on part 130 to form an electrical load.

일 실시 예에서, 전기롤러부(140)는, 타원형의 형태로 양단부가 롤러연결부(130)의 양측에 각각 고정 설치될 수도 있다.In one embodiment, the electric roller portion 140 may be fixed to both sides of the roller connecting portion 130 at both ends in an elliptical shape.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진드기 제거 장치(100)는, 덮개부(150) 및 손잡이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ite removal device 100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may further include a lid 150 and a handle 160.

덮개부(150)는, 장치본체부(110)의 상부에 형성되어, 내부의 롤러연결부(130) 및 전기롤러부(140)가 사용자 손에 닿지 않도록 하여 전기 감전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서, 장치본체부(110)의 상부를 덮어 롤러연결부(130) 및 전기롤러부(140)를 보호하도록 한다.The cover unit 150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apparatus main body unit 110 so as to prevent the internal roller connection unit 130 and the electric roller unit 140 from touching the user's hand, And covers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110 to protect the roller connecting portion 130 and the electric roller portion 140.

손잡이부(160)는, 진드기 제거 시에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장치본체부(110)의 후부에 상부 방향(또는, 후부 방향)으로 형성된다.The handle 160 is formed in an upward direction (or a rear direction) on the rear portion of the apparatus main body 110 so that the user can grip the handle 160 when the mite is removed.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진드기 제거 장치(100)는, 전원스위치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ite removal apparatus 100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may further include a power switch unit 170. [

전원스위치부(170)는, 장치본체부(110)(또는, 손잡이부(160))의 특정 위치(예를 들어, 전부, 측부, 후부 상면, 후부면 등)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스위치 온/오프에 따라 전원공급부(120)의 전원 공급 동작을 구동시키거나 정지시켜 준다.The power switch unit 170 is provided at a specific position (for example, front, side, rear top, rear surface, etc.) of the apparatus main body 110 (or the handle 160) And turns on or off the power supply operation of the power supply unit 120 according to the ON / OFF state.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진드기 제거 장치(100)는, 장치본체부(110)의 양 측부 내부 면에 형성된 롤러연결부(130)를 통해서, 전기롤러부(140)가 롤링 구동되면서 전원 또한 공급받아 전기 부하를 형성하여 진드기를 감전시켜 제거할 수 있도록 제공함으로써, 타격 방식을 사용하지 않아 먼지를 많이 발생시키지 않고 진드기를 다른 곳으로 튀게 만들지 않아 다른 곳으로의 오염 전달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기 부하에 필요한 전력의 소모가 많지 않아 경제적이다.The mite removal device 100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is also supplied with power while the electric roller portion 140 is being rolled and driven through the roller connecting portion 130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both side portions of the apparatus main body portion 11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mite from being scattered to other places without generating a lot of dust without using the striking method and to prevent the contamination from being transmitted to other places, It is economical because there is not much consumption of electric power required for electric load.

다르게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진드기 제거 장치(100)는, 롤러연결부(130) 및 전기롤러부(140) 대신에, 장치본체부(110)의 양 측부 내부 면에 일체형 또는 결합형으로 각각 형성된 연결체, 및 해당 연결체의 양측에 각각 전원 연결 형성되어 연결체를 통해 전달되는 전원으로 전기 부하를 형성하여 진드기를 감전시켜 제거하기 위한 전기부하체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때, 전기부하체는 대상 물체(침대, 매트리스, 이불 등)에 잘 밀릴 수 있도록 타원형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Alternatively, instead of the roller connecting portion 130 and the electric roller portion 140, the mite removing device 100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may be integrally or in combination with the inner surface of both side portions of the apparatus main body portion 110 And an electrical load body for electrically removing and removing the mite by forming an electric load with a power source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connected body and being transmitted through the connecting body. At this time, the electric lower body may be formed in an elliptic shape so as to be easily pressed against a target object (bed, mattress, futon, etc.).

도 2는 도 1에 있는 롤러연결부 및 전기롤러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roller connecting portion and the electric roller portion in Fig. 1. Fig.

롤러연결부(1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고정바(131), 플러스전원편(132), 제1연결바(133), 제1회전체(134), 제2고정바(135), 마이너스전원편(136), 제2연결바(137), 제2회전체(138)를 포함한다.2, the roller connecting portion 130 includes a first fixing bar 131, a positive power supply piece 132, a first connecting bar 133, a first rotating member 134, a second fixing bar 131, A minus power supply piece 136, a second connection bar 137,

제1고정바(131)는, 비전도체로서, 일측이 장치본체부(110)의 일 측부 내부 면에 일체형 또는 결합형으로 형성되며, 다른 일측이 제1연결바(133)를 일체형 또는 결합형으로 형성하며, 외부 면(특히, 하부)에 플러스전원편(132)을 형성하며, 전기롤러부(140)(즉, 전기롤러부(140)의 일단부)의 내부로 삽입 설치된다.The first fixing bar 131 is a nonconductive body which is formed integrally or in an integral manner on the inner surface of one side of the apparatus main body 110 and the other side of which is integrally or in combination with the first connecting bar 133. [ And a positive power supply piece 132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particularly, the lower portion) and inserted into the interior of the electric roller unit 140 (that is, one end of the electric roller unit 140).

일 실시 예에서, 제1고정바(131)는, 전기롤러부(140)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외경의 크기가 전기롤러부(140)의 내경보다 작도록 형성할 수 있다.The first fixing bar 131 may be formed such that the outer diameter of the first fixing bar 131 is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electric roller 140 so that the electric roller 140 can be rotated.

플러스전원편(132)은, 전도체로서, 제1고정바(131)의 외부 면에 형성되며, 전원공급부(120)로부터 공급되는 플러스(+) 전원에 연결 형성되며, 전기롤러부(140)의 일단부 내부면(즉, 다수 개의 플러스전원부하(141))에 접촉 형성되어, 전원공급부(120)로부터 공급되는 플러스(+) 전원을 전기롤러부(140)의 일단부 내부면(즉, 다수 개의 플러스전원부하(141))에 전달해 준다.The positive power supply part 132 is a conductor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fixing bar 131 and connected to a positive power supply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part 120, (+)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120 to the inner surface of one end of the electric roller unit 140 (that is, the plurality of positive power supplies 141) Positive power load 141).

일 실시 예에서, 플러스전원편(132)은, 제1고정바(131)의 외부 면 전체에 형성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전기롤러부(140)(즉, 다수 개의 플러스전원부하(141))의 하부에만 전기 부하를 형성시켜 주기 위해서, 제1고정바(131)의 외부 면 중 하부에 일정한 넓이만큼만 형성될 수도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ositive power supply piece 132 may be formed on the entire outer surface of the first fixing bar 131, but preferably the electric roller part 140 (i.e., the plurality of positive power loads 141) The first fixing bar 131 may be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width at the lower portion of the outer surface thereof.

제1연결바(133)는, 비전도체로서, 일측이 제1고정바(131)의 다른 일측에 일체형 또는 결합형으로 형성되며, 다른 일측이 회전 가능하도록 제1회전체(134)에 연결 형성된다.The first connecting bar 133 is connected to the first rotating body 134 so as to be rotatable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fixing bar 131, do.

제1회전체(134)는, 베어링 등과 같은 회전체로서, 내측이 제1연결바(133)의 다른 일측에 고정 설치되며, 외측이 전기롤러부(140)의 일단부 내부로 삽입되어 전기롤러부(140)의 일단부 내부면에 고정 설치되어, 롤러연결부(130)(즉, 제1연결바(133))를 중심축으로 하여 전기롤러부(140)를 롤링 구동시켜 준다.The first rotating member 134 is rotatably mount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connecting bar 133 and has an outer side inserted into one end of the electric roller 140, The roller 140 is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one end of the first roller 140 so that the electric roller 140 can be driven to roll by the roller connecting part 130 (i.e., the first connecting bar 133)

제2고정바(135)는, 비전도체로서, 일측이 장치본체부(110)의 다른 일 측부 내부 면에 일체형 또는 결합형으로 형성되며, 다른 일측이 제2연결바(137)를 일체형 또는 결합형으로 형성하며, 외부 면(특히, 하부)에 마이너스전원편(136)을 형성하며, 전기롤러부(140)(즉, 전기롤러부(140)의 다른 일단부)의 내부로 삽입 설치된다.The second fixing bar 135 is a nonconductive body which is integrally or jointly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other side portion of the apparatus main body 110 and the other side is formed integrally or in combination with the second connecting bar 137 And a negative power supply piece 136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particularly, the lower surface) and inserted into the electric roller portion 140 (i.e., the other end portion of the electric roller portion 140).

일 실시 예에서, 제2고정바(135)는, 전기롤러부(140)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외경의 크기가 전기롤러부(140)의 내경보다 작도록 형성할 수 있다.The second fixing bar 135 can be formed such that the outer diameter is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electric roller portion 140 so that the electric roller portion 140 can be rotated.

마이너스전원편(136)은, 전도체로서, 제2고정바(135)의 외부 면에 형성되며, 전원공급부(120)로부터 공급되는 마이너스(-) 전원에 연결 형성되며, 전기롤러부(140)의 다른 일단부 내부면(즉, 다수 개의 마이너스전원부하(142))에 접촉 형성되어, 전원공급부(120)로부터 공급되는 마이너스(-) 전원을 전기롤러부(140)의 다른 일단부 내부면(즉, 다수 개의 마이너스전원부하(142))에 전달해 준다.The negative power supply member 136 is a conductor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fixing bar 135 and connected to a negative power supply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120, (-) power source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120 to the inner surface of the other end of the electric roller unit 140 (that is, the inner surface of the other end of the electric roller unit 140 And a plurality of negative power loads 142).

일 실시 예에서, 마이너스전원편(136)은, 제2고정바(135)의 외부 면 전체에 형성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전기롤러부(140)(즉, 다수 개의 마이너스전원부하(142))의 하부에만 전기 부하를 형성시켜 주기 위해서, 제2고정바(135)의 외부 면 중 하부에 일정한 넓이만큼만 형성될 수도 있다.In one embodiment, the negative power supply piece 136 may be formed on the entir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fixing bar 135, but preferably the electric roller 140 (i.e., the plurality of negative power load 142) The second fixing bar 135 may be formed to have only a predetermined width at the lower portion of the outer surface thereof.

제2연결바(137)는, 비전도체로서, 일측이 제2고정바(135)의 다른 일측에 일체형 또는 결합형으로 형성되며, 다른 일측이 회전 가능하도록 제2회전체(138)에 연결 형성된다.The second connection bar 137 is formed as a nonconductive one which is integrally or jointly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fixing bar 135 and is connected to the second rotating body 138 so as to be rotatable on the other side do.

제2회전체(138)는, 베어링 등과 같은 회전체로서, 내측이 제2연결바(137)의 다른 일측에 고정 설치되며, 외측이 전기롤러부(140)의 다른 일단부 내부로 삽입되어 전기롤러부(140)의 다른 일단부 내부면에 고정 설치되어, 롤러연결부(130)(즉, 제2연결바(137))를 중심축으로 하여 전기롤러부(140)를 롤링 구동시켜 준다.The second rotating body 138 is fixed to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connecting bar 137 and the inside is inserted into the other end of the electric roller 140, And is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other end of the roller unit 140 so that the electric roller unit 140 is driven to roll by the roller connection unit 130 (i.e., the second connection bar 137) as a central axis.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롤러연결부(130)는, 다수 개의 고정돌기(139)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roller connecting portion 130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fixing protrusions 139. [

고정돌기(139)는, 제1회전체(134) 및 제2회전체(138)의 외부 면에 형성되어 전기롤러부(140)의 내부면(즉, 고정홈(143))에 고정 설치된다. 다르게는, 롤러연결부(130)는, 다수 개의 고정돌기(139) 대신에 다수 개의 고정홈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The fixing projections 139 are formed on the outer surfaces of the first rotating body 134 and the second rotating body 138 and are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electric roller portion 140 (i.e., the fixing grooves 143) . Alternatively, the roller connection portion 130 may be formed of a plurality of fixing grooves instead of the plurality of fixing protrusions 139. [

전기롤러부(1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 개의 플러스전원부하(141), 다수 개의 마이너스전원부하(142)를 포함한다.The electric roller unit 140 includes a plurality of positive power loads 141 and a plurality of negative power loads 142, as shown in FIG.

플러스전원부하(141)는, 전도체로서, 전기롤러부(140)의 외부 면에 일정한 간격(예를 들어, 0.2~2mm)으로 길이 방향으로 고정 형성되며, 전기롤러부(140)의 일단부를 거쳐 롤러연결부(130)의 일측(즉, 플러스전원편(132))에 접촉하는 만큼에 해당하는 내부 면으로 연장 형성되며, 롤러연결부(130)의 일측(즉, 플러스전원편(132))에 플러스(+) 전원 연결(접촉)되어, 롤러연결부(130)의 일측(즉, 플러스전원편(132))으로부터 플러스(+) 전원을 전달받아 플러스 전기 부하를 형성시켜 준다.The positive power load 141 is a conductor and fix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a predetermined interval (for example, 0.2 to 2 mm) on the outer surface of the electric roller portion 140, And extends to the inner surface corresponding to one side of the roller connecting portion 130 (that is, the positive power supply piece 132), and is connected to one side (i.e., the positive power supply piece 132) (+) Power supply (contact), and receives a positive (+) power supply from one side of the roller connection part 130 (i.e., the positive power supply part 132) to form a positive electrical load.

마이너스전원부하(142)는, 전도체로서, 플러스전원부하(141)와 일정한 간격(예를 들어, 0.1~1mm)을 두고 플러스전원부하(141) 사이에 해당하는 외부 면에 길이 방향으로 고정 형성되며, 전기롤러부(140)의 다른 일단부를 거쳐 롤러연결부(130)의 다른 일측(즉, 마이너스전원편(136))에 접촉하는 만큼에 해당하는 내부 면으로 연장 형성되며, 롤러연결부(130)의 다른 일측(즉, 마이너스전원편(136))에 마이너스(-) 전원 연결(접촉)되어, 롤러연결부(130)의 다른 일측(즉, 마이너스전원편(136))으로부터 마이너스(-) 전원을 전달받아 마이너스 전기 부하를 형성시켜 준다.The negative power load 142 is formed as a conductor and is fix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the outer surface between the plus power load 141 and the positive power load 141 with a constant gap (for example, 0.1 to 1 mm) And the other end of the roller connection part 130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roller connection part 130 (that is, the negative power supply part 136) through the other end of the electric roller part 140, (-) power source is connected (contacted) to the other side (that is, the negative power source part 136) and the minus (-) power is transmitted from the other side of the roller connecting part 130 It accepts a negative electrical load.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전기롤러부(140)는, 다수 개의 고정홈(143)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electric roller 140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fixing grooves 143. [

고정홈(143)은, 제1회전체(134) 및 제2회전체(138)를 전기롤러부(140)의 내부로 삽입할 때에 제1회전체(134) 및 제2회전체(138)가 위치하는 내부면에 형성되어, 제1회전체(134) 및 제2회전체(138)의 외부 면(즉, 고정돌기(139))을 고정 설치해 준다. 다르게는, 전기롤러부(140)는, 다수 개의 고정홈(143) 대신에 다수 개의 고정돌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The fixing grooves 143 are formed in the first rotating body 134 and the second rotating body 138 when the first rotating body 134 and the second rotating body 138 are inserted into the electric roller portion 140, And the outer surfaces of the first rotating body 134 and the second rotating body 138 (i.e., the fixing protrusions 139) are fixedly installed. Alternatively, the electric roller portion 140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fixing protrusions instead of the plurality of fixing grooves 143. [

도 3은 도 2에 있는 플러스전원부하 및 마이너스전원부하를 일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positive power load and the negative power load in FIG. 2 as an example.

플러스전원부하(141) 및 마이너스전원부하(142)는, 전선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전기롤러부(140)의 외부 면에 돌출 형성됨으로써, 요철 역할을 수행해서 섬유 표면을 미끄러지지 않고 밀착하여 회전함과 동시에, 다져진 섬유 표면을 끌어당겨서 보플을 일으키게 하여, 섬유 표면 깊숙이 숨어 있는 진드기를 밖으로 빠져나오게 해 전기 감전시킬 수 있다.The positive power load 141 and the negative power load 142 are formed in the form of electric wires and protrude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electric roller portion 140 so that they function as concave and convex portions to rotate the fiber surface closely At the same time, it pulls out the chopped fiber surface to cause the boppel, so that the tick that is hidden deep inside the fiber surface can be pulled out and electric shock can be done.

일 실시 예에서, 플러스전원부하(141) 및 마이너스전원부하(14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롤러부(140)의 외부 면에 형성된 다수 개의 라인홈(144) 내에 삽입 고정될 수도 있다. 여기서, 플러스전원부하(141) 및 마이너스전원부하(142)는, 라인홈(144)의 내부에 접착제 등으로 접착될 수도 있다. 다르게는, 라인홈(144)은, 플러스전원부하(141) 및 마이너스전원부하(142)의 반지름보다 더 긴 깊이를 가질 수도 있다.
3, the positive power load 141 and the negative power load 142 are inserted and fixed in a plurality of line grooves 144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electric roller portion 140 It is possible. Here, the positive power load 141 and the negative power load 142 may be bonded to the inside of the line groove 144 with an adhesive or the like. Alternatively, the line grooves 144 may have a depth that is longer than the radius of the positive power load 141 and the negative power load 142. [

도 4는 도 2에 있는 플러스전원부하 및 마이너스전원부하를 다른 일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FIG. 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positive power load and the negative power load in FIG. 2 as another example.

도 4를 참조하면, 플러스전원부하(141) 및 마이너스전원부하(142)는, 그물망의 형태로 이루어짐으로써, 그물망이 요철 역할을 수행해서 섬유 표면을 미끄러지지 않고 밀착하여 회전함과 동시에, 다져진 섬유 표면을 끌어당겨서 보플을 일으키게 하여, 섬유 표면 깊숙이 숨어 있는 진드기를 밖으로 빠져나오게 해 전기 감전시킬 수 있다.4, the plus power supply load 141 and the minus power supply load 142 are formed in the form of a net, so that the net serves as a concavo-convex function to rotate the fiber surface closely and without slipping, Pulling out the biceps to pull out the mites that are deeply hidden on the surface of the fiber to make electric shocks.

플러스전원부하(141) 또는 마이너스전원부하(142) 중 하나는 전기롤러부(140)의 외부 면에 그물망 형태로 형성된 라인홈(설명의 편의상으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 내에 삽입 고정되며, 나머지 하나는 그 하나 위에 교차되도록 배치된다.One of the positive power load 141 and the negative power load 142 is inserted and fixed in a line groove formed in the form of a mesh on the outer surface of the electric roller portion 140 (not shown in the drawings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re arranged so as to intersect on the one.

일 실시 예에서, 플러스전원부하(141)가 라인홈에 삽입 고정된 경우에, 마이너스전원부하(142)는, 플러스전원부하(141) 위에 교차되도록 배치되며, 플러스전원부하(141)와 교차되어 접촉되는 부분에 비전도체(145)를 구비시켜 플러스전원부하(141)와 서로 통전되지 않도록 설치해 줄 수 있다.In one embodiment, when the positive power load 141 is inserted and fixed in the line groove, the negative power load 142 is disposed to intersect the positive power load 141 and intersects the positive power load 141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nonconductive member 145 at the contacted portion so as not to be energized with the positive power load 141.

일 실시 예에서, 플러스전원부하(141)는 라인홈(144)의 내부에 접착제 등으로 접착될 수도 있다. 다르게는, 라인홈은, 플러스전원부하(141)의 반지름보다 더 긴 깊이를 가질 수도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ositive power load 141 may be adhered to the inside of the line groove 144 with an adhesive or the like. Alternatively, the line grooves may have a depth that is longer than the radius of the plus power load 141.

일 실시 예에서, 비전도체(145)는 플러스전원부하(141)와 마이너스전원부하(142)가 교차되어 접촉되는 부분 사이에 접착제 등으로 접착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nonconductive conductor 145 can be adhered with an adhesive or the like between portions where the positive power load 141 and the negative power load 142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플러스전원부하(141) 및 마이너스전원부하(142)는, 2층의 격자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3개 층 이상의 격자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음을 잘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3개 층 이상의 격자형으로 이루어는 경우에는, 플러스전원부하(141), 마이너스전원부하(142), 플러스전원부하(141) 순으로 교차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Although the positive power load 141 and the negative power load 142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have been described as being of a two-layer lattice typ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but may be a three or more lattice type You must understand that. For example, in the case of three or more lattice types, it may be arranged so as to intersect with the positive power load 141, the negative power load 142, and the positive power load 141 in this order.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진드기 제거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5 is a view for explaining a mite removal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진드기 제거 장치(200)는, 장치본체부(210), 전원공급부(220), 롤러연결부(230), 전기롤러부(240), 살균부(250), 진공청소부(260), 바퀴부(270)를 포함한다. 여기서, 장치본체부(210), 전원공급부(220), 롤러연결부(230), 전기롤러부(240)는 도 1에 도시된 구성 요소와 유사하므로 그 동일한 설명은 생략하고 이하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도록 한다.5, the mite removal device 200 includes a main body unit 210, a power supply unit 220, a roller connection unit 230, an electric roller unit 240, a sterilizing unit 250, a vacuum cleaning unit 260 , And a wheel portion 270. [ Here, the apparatus main body 210, the power supply unit 220, the roller connecting unit 230, and the electric roller unit 240 are similar to those shown in FIG. 1, so that the sam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

장치본체부(210)는, 하부(전기롤러부(240)의 후측)에 살균부(250)를 일체형 또는 결합형으로 형성하며, 내부(살균부(250)의 후측)에 진공청소부(260)를 고정 설치해 주며, 후부 하부면(손잡이부(설명의 편의상으로 도면에는 부호로 표시하지 않음)의 하측)에 바퀴부(270)를 롤링 가능하도록 형성해 준다.The apparatus main body 210 includes a sterilizing unit 250 integrally or combined with a lower portion of the electric roller 240 and a vacuum cleaner 260 disposed inside the sterilizing unit 250, And the wheel portion 270 is formed so as to be rollable on the lower surface of the rear portion (the lower side of the handle portion (not shown in the drawings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전원공급부(220)는, 전원스위치부(설명의 편의상으로 도면에는 부호로 표시하지 않음)의 구동 또는 정지 제어에 따라 배터리 또는 충전지로부터 전원을 전달받아 해당 전달받은 전원을 살균부(250) 및 진공청소부(260)에 필요한 전원으로 살균부(250) 및 진공청소부(260)로 공급해 준다.The power supply unit 220 receives the power from the battery or the rechargeable battery according to the drive or stop control of the power switch unit (not shown in the drawing for the sake of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supplies the received power to the sterilizer 250 and the vacuum And supplies the sterilizing unit 250 and the vacuum cleaning unit 260 with the power required for the cleaning unit 260.

살균부(250)는, 적외선살균기, 자외선살균기 등과 같은 살균장치로서, 장치본체부(210)의 하부(전기롤러부(240)의 후측)에 일체형 또는 결합형으로 형성되며, 전원공급부(12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전달받아 구동하며, 전기롤러부(240)에 의해 전기 감전된 진드기나 미처 감전 제거되지 못한 진드기를 살균해 준다.The sterilizing unit 250 is a sterilizing device such as an infrared sterilizer or an ultraviolet sterilizer or the like and is integrally or combined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apparatus main body 210 (rear side of the electric roller 240) And sterilizes the mites electrically charged by the electric roller unit 240 and the mites that have not been removed.

일 실시 예에서, 살균부(250)는, 전원공급부(12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전달받아 빛을 발생시키면서 광촉매 반응을 유발시켜 전기롤러부(240)에 의해 전기 감전된 진드기나 미처 감전 제거되지 못한 진드기를 살균하기 위한 적외선램프 또는 자외선램프 등과 같은 램프 형태의 광촉매장치를 장치본체부(210)의 하부(전기롤러부(240)의 후측)에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해 줄 수 있으며, 또한 광촉매장치를 보호하면서 광촉매장치로부터 발생되는 빛을 투과시켜 주기 위한 투명 또는 반투명의 커버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여기서, 자외선 램프의 경우에는, 투명한 직선 형태의 유리관의 양단에 장착되는 베이스의 내측에 히팅 필라멘트가 장착되며, 히팅 필라멘트와 연결되어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램프 핀을 형성하며, 광촉매가 코팅된 코팅섬유를 유리관의 외부 면에 감싸도록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코팅섬유는 이산화티탄(TiO2)을 주성분으로 나노세라믹, 삼산화텅스텐(WO3), 산화아연(ZnO), 이산화주석(SnO2), 산화철(Fe2O3) 등과 같은 반도체 성분이 혼합되어 만들어진 혼합액이 코팅되어 광촉매 코팅 막을 형성하며, 광촉매 코팅막이 형성된 유리섬유에 팔라듐(Pd), 금(Au), 백금(Pt), 은(Ag) 등과 같은 산화촉매, 또는 몰리브덴(Mo), 니오브(Nb), 붕소(B), 세륨(Ce), 크롬(Cr) 등과 같은 전이금속을 침투시켜 형성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terilizing unit 250 receives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120, generates light, induces a photocatalytic reaction, removes mites electrically charged by the electric roller unit 240, A photocatalytic device such as an infrared lamp or an ultraviolet lamp for sterilizing a mite that can not be removed can be installed to be detachable on the lower portion of the apparatus main body 210 (the rear side of the electric roller portion 240) And a transparent or semitransparent cover for transmitting light generated from the photocatalytic device while protecting the photocatalyst device. In the case of an ultraviolet lamp, a heating filament is mounted on the inside of a base mounted on both ends of a transparent linear glass tube, and a lamp pin connected to the heating filament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erminal is formed. The fiber can be formed so as to sur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glass tube. The coating fiber is coated with a mixed solution mainly made of titanium dioxide (TiO2) mixed with semiconductor components such as nanoceramics, tungsten trioxide (WO3), zinc oxide (ZnO), tin dioxide (SnO2), iron oxide (Fe2O3) A photocatalyst coating film is formed and an oxidation catalyst such as palladium (Pd), gold (Au), platinum (Pt), silver (Ag) or the like or a metal oxide such as molybdenum (Mo), niobium (Nb), boron B), cerium (Ce), chromium (Cr), or the like.

진공청소부(260)는, 장치본체부(210)의 내부(살균부(250)의 후측)에 고정 설치되어, 살균부(250)에 의해 살균 처리된 진드기(또는, 전기롤러부(240)에 의해 전기 감전된 진드기)를 진공 흡입하여 청소해 준다.The vacuum cleaner 260 is fixed to the inside of the apparatus main body 210 (the rear side of the sterilizing unit 250) and is attached to the mower (or the electric roller unit 240) sterilized by the sterilizing unit 250 The electric mattress which is electrically charged by the vacuum cleaner).

일 실시 예에서, 진공청소부(260)는, 살균부(250)에 의해 살균 처리된 진드기(또는, 전기롤러부(240)에 의해 전기 감전된 진드기)를 진공 흡입하기 위한 일 자 형태의 흡입구를 살균부(250)의 후측 하부에 형성할 수 있으며, 회전날개를 구비하여 진공 흡입 구동하기 위한 모터 및 진드기를 저장하기 위한 진드기저장함을 장치본체부(210)의 내부에 내장시켜, 흡입구를 통해 진드기를 흡입하여 진드기저장함으로 안내하기 위한 흡입통로와 연결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필터를 통해 깨끗한 공기만 외부로 배출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vacuum cleaner 260 includes a suction port for sucking a mite (or a mite electrically electrified by the electric roller 240) sterilized by the sterilizing unit 250 A motor for driving vacuum suction with a rotary blade and a mite storing box for storing a mite are installed inside the apparatus main body 210 and a mite And may be formed so as to discharge only clean air to the outside through a filter.

바퀴부(270)는, 장치본체부(210)의 후부 하부면(손잡이부의 하측)에 롤링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전기롤러부(240)의 롤링 구동과 함께 롤링 구동한다.The wheel portion 270 is formed so as to be capable of rolling on the rear lower surface (lower side of the handle portion) of the apparatus main body portion 210 and is rolled together with the rolling motion of the electric roller portion 240.

일 실시 예에서, 바퀴부(270)는, 상부에 회동체를 구비하여 장치본체부(210)의 후부 하부면(손잡이부의 하측)에서 360도 회전(시계 방향 또는 역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전기롤러부(240)의 롤링 방향을 조정할 수도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wheel portion 270 is provided with a rotary body at the upper portion thereof, and rotates 360 degrees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rotation) from the rear lower surface (lower side of the handle portion) of the apparatus main body portion 210 So that the rolling direction of the electric roller portion 240 can be adjusted.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술한 장치 및/또는 운용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apparatus and / or method, but may be implemented by a program for realizing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recording medium on which the program is recorded And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implemen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belongs to the scope of right.

100, 200: 진드기 제거 장치
110, 210: 장치본체부
120, 220: 전원공급부
130, 230: 롤러연결부
131: 제1고정바
132: 플러스전원편
133: 제1연결바
134: 제1회전체
135: 제2고정바
136: 마이너스전원편
137: 제2연결바
138: 제2회전체
139: 고정돌기
140, 240: 전기롤러부
141: 플러스전원부하
142: 마이너스전원부하
143: 고정홈
144: 라인홈
145: 비전도체
150: 덮개부
160: 손잡이부
170: 전원스위치부
250: 살균부
260: 진공청소부
270: 바퀴부
100, 200: Mite removal device
110 and 210:
120, 220: Power supply
130, and 230:
131: first fixing bar
132: Plus power supply
133: First connection bar
134: 1st whole
135: second fixed bar
136: Negative power supply
137: Second connection bar
138: 2nd whole
139: Fixing projection
140, 240: electric roller portion
141: Plus power load
142: Negative power load
143: Fixing groove
144: Line groove
145: Nonconductor
150:
160: Handle portion
170: Power switch section
250: sterilizing unit
260: Vacuum cleaner
270:

Claims (10)

장치본체부;
상기 장치본체부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어, 배터리 또는 충전지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
상기 장치본체부의 양 측부 내부 면에 일체형 또는 결합형으로 각각 형성되어, 롤링 구동시켜 줌과 동시에,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전달하기 위한 롤러연결부; 및
양단부가 상기 롤러연결부에 각각 연결 설치되어, 상기 롤러연결부를 중심축으로 하여 롤링 구동하면서 상기 롤러연결부로부터 전달되는 전원으로 전기 부하를 형성하여 진드기를 감전시키기 위한 전기롤러부를 포함하되,
상기 전기롤러부는,
외부 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길이 방향으로 고정 형성되며, 상기 롤러연결부의 일측으로부터 플러스(+) 전원을 전달받아 플러스 전기 부하를 형성시켜 주는 다수 개의 플러스전원부하; 및
상기 플러스전원부하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길이 방향으로 고정 형성되며, 상기 롤러연결부의 다른 일측으로부터 마이너스(-) 전원을 전달받아 마이너스 전기 부하를 형성시켜 주는 다수 개의 마이너스전원부하를 포함하는 하는 진드기 제거 장치.
An apparatus body portion;
A power supply unit fixedly installed in the apparatus main body and supplying power to the battery or the rechargeable battery;
A roller connecting part formed integrally or in combination with the inner side surfaces of both sides of the apparatus main body part for rolling and driving and supplying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part; And
And an electric roller unit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mites by forming an electric load from a power source transmitted from the roller connection unit while being rolled while being driven by the roller connection unit as a center axis,
The electric roller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positive power loads fix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regular intervals on the outer surface and receiving a positive power from one side of the roller connection portion to form a positive electrical load; And
A plurality of negative power loads fix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a predetermined interval between the positive power loads and forming a negative electrical load by receiving a negative power from another side of the roller connection part;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롤러부는,
일단부가 상기 롤러연결부의 일측에 플러스(+) 전원 연결 형성됨과 동시에, 다른 일단부가 상기 롤러연결부의 다른 일측에 마이너스(-) 전원 연결 형성되어, 전기 부하를 형성하여 진드기를 감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드기 제거 장치.
The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one end is formed with a positive power supply connection to one side of the roller connection portion and the other end portion is formed with a negative power supply connection to the other side of the roller connection portion so as to form an electric load, Mite removal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본체부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롤러연결부 및 상기 전기롤러부를 보호하기 위한 덮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드기 제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lid part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apparatus body part to protect the roller connection part and the electric roller pa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본체부의 후부에 상부 방향 또는 후부 방향으로 형성되어, 진드기 제거 시에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손잡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드기 제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grip portion formed at an upper portion or a rear portion of the rear portion of the apparatus main body portion so that the grip portion can be held by a user at the time of removing the mi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본체부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스위치 온/오프에 따라 상기 전원공급부의 전원 공급 동작을 구동시키거나 정지시키기 위한 전원스위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드기 제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power switch unit installed in the apparatus main body for driving or stopping the power supply operation of the power supply unit in response to switch on / off of the us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연결부는,
일측이 상기 장치본체부의 일 측부 내부 면에 일체형 또는 결합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전기롤러부의 일단부 내부로 삽입 설치되는 제1고정바;
상기 제1고정바의 외부 면에 형성되며,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플러스(+) 전원을 상기 전기롤러부의 일단부 내부면에 전달하는 플러스전원편;
일측이 상기 제1고정바의 다른 일측에 일체형 또는 결합형으로 형성되는 제1연결바;
내측이 상기 제1연결바의 다른 일측에 고정 설치되며, 외측이 상기 전기롤러부의 일단부 내부로 삽입 고정 설치되어, 상기 제1연결바를 중심축으로 하여 상기 전기롤러부를 롤링 구동시켜 주는 제1회전체;
일측이 상기 장치본체부의 다른 일 측부 내부 면에 일체형 또는 결합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전기롤러부의 다른 일단부 내부로 삽입 설치되는 제2고정바;
상기 제2고정바의 외부 면에 형성되며,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마이너스(-) 전원을 상기 전기롤러부의 다른 일단부 내부면에 전달하는 마이너스전원편;
일측이 상기 제2고정바의 다른 일측에 일체형 또는 결합형으로 형성되는 제2연결바; 및
내측이 상기 제2연결바의 다른 일측에 고정 설치되며, 외측이 상기 전기롤러부의 다른 일단부 내부로 삽입 고정 설치되어, 상기 제2연결바를 중심축으로 하여 상기 전기롤러부를 롤링 구동시켜 주는 제2회전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드기 제거 장치.
2. The apparatus of claim 1,
A first fixing bar formed integrally or coupled to one side of an inner surface of the apparatus main body and inserted into one end of the electric roller;
A positive power supply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first fixing bar and transmitting a positive (+)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to an inner surface of one end of the electric roller;
A first connecting bar, one side of which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other side of the first fixing bar;
A first connection bar fixedly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connection bar and an outer side inserted and fixed into one end of the electric roller part to roll the electric roller part with the first connection bar as a center axis, all;
A second fixing bar formed integrally or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other side of the apparatus main body and inserted into the other end of the electric roller;
A minus power supply part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second fixing bar and transmitting a negative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part to an inner surface of the other end of the electric roller part;
A second connecting bar having one side integrally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fixing bar or in an engaging manner; And
A second connecting bar fixedly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connecting bar and having an outer side inserted and fixed into the other end of the electric roller portion, And a rotating body.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롤러부는,
상기 플러스전원부하 또는 상기 마이너스전원부하 중 하나를 외부 면에 그물망 형태로 형성된 라인홈 내에 삽입 고정되며, 나머지 하나를 그 하나 위에 교차되도록 배치하며, 상기 플러스전원부하와 상기 마이너스전원부하가 교차되어 접촉되는 부분에 비전도체를 구비시켜 서로 통전되지 않도록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드기 제거 장치.
The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one of the positive power load and the negative power load is inserted and fixed in a line groove formed in the form of a net on the outer surface and the other is arranged to cross over the one line, Wherein the non-conductive material is provided so as not to be energized with each oth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롤러부의 후측에 일체형 또는 결합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전기롤러부에 의해 전기 감전된 진드기나 미처 감전 제거되지 못한 진드기를 살균하기 위한 살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드기 제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sterilizing unit which is integrally or jointly formed on the rear side of the electric roller unit and sterilizes a mite that has been electrically charged by the electric roller unit or a mite that has not been removed by electric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부의 후측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살균부에 의해 살균 처리된 진드기 또는 상기 전기롤러부에 의해 전기 감전된 진드기를 진공 흡입하여 청소하기 위한 진공청소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드기 제거 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Further comprising a vacuum cleaner fixed to a rear side of the sterilizing unit to clean the sterilizing mites by the sterilizing unit or the mites electrically charged by the electric roller unit by vacuum suction.
KR1020140161503A 2014-11-19 2014-11-19 Apparatus for destroying mite KR10159212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1503A KR101592122B1 (en) 2014-11-19 2014-11-19 Apparatus for destroying mit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1503A KR101592122B1 (en) 2014-11-19 2014-11-19 Apparatus for destroying mit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2122B1 true KR101592122B1 (en) 2016-02-04

Family

ID=55356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1503A KR101592122B1 (en) 2014-11-19 2014-11-19 Apparatus for destroying mit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2122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1619B1 (en) 2005-09-22 2006-12-26 주식회사 부강샘스 Sterilizer for bed clothes
KR101019040B1 (en) 2010-07-21 2011-03-03 김영식 Electric shock device for a vacuum cleaner,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and device for capturing bugs
KR101249691B1 (en) 2010-01-23 2013-04-05 김유신 Electroshock type insecticidal apparatu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1619B1 (en) 2005-09-22 2006-12-26 주식회사 부강샘스 Sterilizer for bed clothes
KR101249691B1 (en) 2010-01-23 2013-04-05 김유신 Electroshock type insecticidal apparatus
KR101019040B1 (en) 2010-07-21 2011-03-03 김영식 Electric shock device for a vacuum cleaner,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and device for capturing bug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91016B1 (en) Rechargeable facial brush with sterilization
KR20050076471A (en) A sterilizing brush for a pet
CN106343922B (en) mite-killing dust collector
CN104545685B (en) Vacuum cleaning appliance annex with sterilizing function
Rai et al. Autonomous disinfection robot
CN208600263U (en) A kind of novel keyboard disinfecting device
KR100444717B1 (en) Brush type cleaner having ultraviolet rays sterilizing action
KR20170097938A (en) Mask with electrostatic precipitator
KR20130019755A (en) Hot blast sterilization bedclothes cleaner
KR101592122B1 (en) Apparatus for destroying mite
CN105496328B (en) A kind of portable domestic electrostatic deinsectization dust-collector
CN103999840B (en) A kind of acaricide machine
US9603689B2 (en) Electronic toothbrush
JP6405023B1 (en) toothbrush
KR20180000416U (en) Vacuum comb for pet
CN105123650A (en) Ultraviolet lamp tube rotating dust mite killing instrument
CN211484340U (en) Mite removing instrument
CN214855043U (en) Disinfection toothbrush
CN205758005U (en) A kind of toothbrush sanitizing frame
KR200486020Y1 (en) Brush device for pet
CN212015452U (en) Mite killing device and cleaning equipment with same
CN211657602U (en) Household simulated electrostatic dust absorption and sterilization cleaning device
CN111759513A (en) Telescopic ultraviolet sterilization brush head cover for electric toothbrush
CN104665690B (en) A kind of Dispenser
CN113090109B (en) Universal finger vein handl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