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1873B1 - 정화블록 및 이의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정화블록 및 이의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1873B1
KR101591873B1 KR1020150055476A KR20150055476A KR101591873B1 KR 101591873 B1 KR101591873 B1 KR 101591873B1 KR 1020150055476 A KR1020150055476 A KR 1020150055476A KR 20150055476 A KR20150055476 A KR 20150055476A KR 101591873 B1 KR101591873 B1 KR 1015918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body
block
water
vegetation
purif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54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50548A (ko
Inventor
심재경
영 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카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카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카멜
Priority to KR10201500554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1873B1/ko
Publication of KR201500505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05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18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18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A01G1/00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urification Treatments By Anaerobic Or Anaerobic And Aerobic Bacteria Or Animals (AREA)
  • Revetment (AREA)
  • Biological Treatment Of Waste Water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화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수로에 고정되게 설치되고 그 표면에는 물이 유동할 수 있도록 유수공이 천공되어 있고, 평면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그 외주면에는 결합돌부와 결합홈부가 형성되어 있는 블록체, 상기 블록체 내에 구비되고 미생물이 부착되어 구비되는 한편 중금속을 흡착하는 접촉부재 및 상기 블록체에 구비되어 접촉부재의 유실을 방지하는 한편 수생식물이 식생되는 식생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식생부재는, 상기 블록체 내부에 배치되어 그 하면이 상기 접촉부재와 접하며 수생식물의 식생 기반이 되는 식생토가 담겨 있는 식생매트, 상기 블록체의 상부측에 배치되어 있고 그 하면이 상기 식생매트의 상면과 접하며 상기 식생매트를 지지하는 덮개 및 상기 블록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일측이 상기 덮개의 하면과 연결되어 있고 타측이 상기 블록체 외측방향으로 구부러져 상기 유수공에 걸려 고정되는 고정돌부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돌부가 상기 블록체의 외주 일면에서 돌출 형성되면, 이웃하는 외주 다면에서 결합홈부가 함몰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부 돌출량과 상기 결합홈부의 함몰량은 같고, 상기 고정돌부가 상기 블록체에 고정되면 상기 덮개는 상기 식생매트를 눌러 상기 수생식물과 접촉부재의 이탈을 막는다.

Description

정화블록 및 이의 설치구조{THE BLOCK FOR PURIFICATION}
본 발명은 정화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천, 호수, 연못, 습지, 저수지 등에 설치되어 수중의 각종 오염물질을 제거하여 수질을 정화하는 정화블록 및 이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천, 호소, 연못, 습지, 저수지(이하, 본 발명에서는 "하천"으로 통칭한다)는, 식물 플랑크톤 등의 미생물 및 원생동물 등의 활동에 의해 하천에 포함되어 있는 오염물질인 질소와 인이 미생물 등에 의해 흡착되거나 침전, 분해, 여과되는 자체 정화 능력을 가진다.
또, 하천변의 수생식물 역시 생산, 분해, 흡수의 과정을 통하여 하천수의 오염물질에 대한 정화능력을 가진다.
이러한 미생물과 수생식물을 활용한 수질정화 방법은 친환경적이며 경제적인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은 하천에 습지를 만들어 수질을 정화하는 방법으로 많이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계절에 따라 유속이 빠르고 수량의 변화가 많은 우리나라 하천의 특성 때문에, 습지를 만들어 정화하는 방법은 실제 적용이 어려운 실정이다.
이러한 습지를 만들어 수질정화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물의 흐름이 다양한 하천수에 미생물이 지속적으로 접촉되어 하천수를 정화할 수 있도록 하고, 미생물이 하천수에 의해 흘러내려 가지 않아야 하며, 미생물과 하천수의 접촉면적을 넓혀 수질 정화효율을 높여주어야 하고, 수생식물을 식생시켜 미생물의 영양분으로 자랄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하며, 수생식물 역시도 하천수의 유수압에 의해 떠내려가지 않도록 해야 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한편, 이러한 수질정화방법은 널리 알려진 기술로서 특히 아래의 선행기술문헌에 자세히 기재되어 있어,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과 도시는 생략한다.
한국 공개특허 제2003-0009799호 한국 등록특허 제10-0828222호 한국 등록특허 제10-0288049호 한국 등록특허 제10-0976262호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하천이나 호소, 연못, 습지, 저수지 등에 미생물과 수생식물이 떠내려가지 않도록 식생시켜 줌으로써 수질 정화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친환경적이며, 경제성 있는 정화블록 및 이의 설치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정화블록은, 수로에 고정되게 설치되고 그 표면에는 물이 유동할 수 있도록 유수공이 천공되어 있고, 평면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그 외주면에는 결합돌부와 결합홈부가 형성되어 있는 블록체, 상기 블록체 내에 구비되고 미생물이 부착되어 구비되는 한편 중금속을 흡착하는 접촉부재 및 상기 블록체에 구비되어 접촉부재의 유실을 방지하는 한편 수생식물이 식생되는 식생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식생부재는, 상기 블록체 내부에 배치되어 그 하면이 상기 접촉부재와 접하며 수생식물의 식생 기반이 되는 식생토가 담겨 있는 식생매트, 상기 블록체의 상부측에 배치되어 있고 그 하면이 상기 식생매트의 상면과 접하며 상기 식생매트를 지지하는 덮개 및 상기 블록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일측이 상기 덮개의 하면과 연결되어 있고 타측이 상기 블록체 외측방향으로 구부러져 상기 유수공에 걸려 고정되는 고정돌부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돌부가 상기 블록체의 외주 일면에서 돌출 형성되면, 이웃하는 외주 다면에서 결합홈부가 함몰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부 돌출량과 상기 결합홈부의 함몰량은 같고, 상기 고정돌부가 상기 블록체에 고정되면 상기 덮개는 상기 식생매트를 눌러 상기 수생식물과 접촉부재의 이탈을 막는다.
상기 블록체는, 다수의 블록체를 평면 및 입체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그 상하면에 단차진 연결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홈은, 블록체의 두께보다 2배 이상 큰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촉부재는, 제올라이트 40∼60중량%와, 일라이트계열의 점토 40∼60중량%을 혼합하여 850∼900℃로 저온 소성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접촉부재는, 그 표면에 미세기공을 갖는 다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정화블록의 설치구조는 위와 같이 기재된 정화블록을 물이 흐르는 수중에 평면 및 입체적으로 연결하여 설치하되, 상기 정화블록 전방의 수로 바닥면에 함몰된 모래퇴적층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정확블록 설치구조는 위와 같이 기재된 정화블록을 물이 고여 있는 수중에 평면 및 입체적으로 연결하여 설치하되, 상기 정화블록을 관통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한편 그 상단부는 수면 위에 구비되고 하단부는 수중에 구비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풍력에 의해 회전되는 동력회전체 및 상기 회전축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회전되면서 와류를 형성하는 와류발생팬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정화블록 및 이의 설치구조에 따르면, 다수의 정화블록을 하천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형태와 구조로 조립할 수 있고, 정화블록에는 미생물이 부착된 접촉부재가 구비되는 한편 수생식물이 식생하여, 정화블록을 통과하는 하천수 등의 수질에 포함된 중금속, 질소, 인 등의 오염물질을 생물학적으로 정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정화블록의 분리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정화블록의 결합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정화블록의 평면 및 입체적 조립 예시도이다.
도 4는 도 3과 같이 조립된 정화블록의 결합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정화블록에 의한 정화 계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정화블록을 하천에 설치한 설치 단면도이다.
도 7a 내지 도 7c은 도 6에서와 같이 하천에 설치되는 정화블록의 설치 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정화블록을 저수지에 설치한 설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해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하천이나 호소, 연못, 습지(이하에서는 '하천'과 '저수지'로 나누어 설명한다)는 미생물과 수생식물로 자연정화 기능을 갖고 있는데, 이러한 자연정화 기능을 높이기 위해 하천수가 미생물과 수생식물에 많이 접촉할 수 있도록 하고, 미생물과 수생식물이 생육하기에 적합한 환경을 조성하고자 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정화블록 및 이의 설치구조를 보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정화블록(10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로에 고정되게 설치되고 그 표면에는 물이 유동할 수 있도록 유수공(111)이 천공되어 있는 블록체(110)와, 상기 블록체(110) 내에 구비되고 미생물이 부착되어 구비되는 한편 중금속을 흡착하는 복수의 접촉부재(120)와, 상기 블록체(110)에 구비되어 접촉부재(120)의 유실을 방지하는 한편 수생식물(30)이 식생되는 식생부재(130)를 포함한다.
상기 블록체(110)는 그 상,하면이 개구된 철근콘크리트 또는 세라믹으로 만들어진 육면체로서, 전 외주면에는 물이 유동할 수 있는 다수의 유수공(111)이 천공되어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다수의 블록체(110)는 평면 및 입체적으로 연결되어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블록체(110)를 평면적 즉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연속하여 연결하기 위해, 블록체(110)의 외주면에 결합돌부(112)와 결합홈부(113)를 반복 형성하되, 상기 블록체(110)의 일면에 결합돌부(112)가 돌출 형성되면, 이웃하는 다른 면에는 결합홈부(113)가 함몰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결합돌부(112)의 돌출량과 결합홈부(113)의 함몰량을 동일하고, 상기 결합돌부(112)와 결합홈부(113)는 통상의 암수 구조로서 결합될 수 있으며, 또는 도브테일(dovetail) 구조로 결합되어 양 블록체(110) 간의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블록체(110)를 입체적 즉 상하방향으로 연속하여 연결하기 위해, 블록체(110)의 상,하면 테두리 중앙부에 단차진 연결홈(114)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홈(114)은 블록체(110)의 테두리 두께(t)보다 2배 이상 큰 간격(d)으로 형성된다(d≥2t). 따라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블록체(110) 하면의 연결홈(114)에 하부의 연결된 두 블록체(110)의 상면 연결홈(114)이 서로 교차되는 방향으로 끼워져 결합된다. 이때, 상기 연결홈(114)은 블록체(110)의 결합돌부(112)와 결합홈부(113)의 상,하단부에 각각 형성되는데, 결합돌부(112)의 돌출량과 결합홈부(113)의 함몰량이 동일하기 때문에, 결합돌부(112)와 결합홈부(113)의 결합 시 두께(t)는 연결된 양 블록체(110)의 양 테두리 두께(t)(이하 "테두리 두께"로 통칭한다)두와 동일하므로 상부의 블록체(110)는 하부의 연결된 양 블록체(110) 위에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로 설치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적층되어 입체적으로 설치되는 블록체(110)는 각각의 자중이 합쳐져 홍수 시 강한 유수압에도 견딜 수 있으며, 다양한 하천(10)의 형상에 맞추어 조립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접촉부재(120)는 사각 블록 형태로 복수 형성되어 있으며,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천(10)의 자연적 정화작용을 인위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는 기능을 갖는다. 즉, 상기 접촉부재(120)는 제올라이트 40∼60중량%와, 일라이트계열의 점토 40∼60중량%을 혼합하여 850∼900℃로 저온 소성함으로써, 그 표면에 많은 미세기공(121)을 갖는 다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올라이트와 일라이드계열의 점토는 5:5의 비율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소성온도는 850℃ 미만에서는 탄화가 잘 일어나지 않으며, 900℃를 초과하는 고온에서는 접촉부재가 소결되어 미세기공(121)이 형성되지 않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접촉부재(120)는 그 표면에 형성되는 미세기공(121)에 의해 많은 미생물 및 원생동물이 부착됨으로써 식물 플랑크톤 등의 미생물 및 원생동물이 하천수와 넓은 접촉면적으로 접촉됨으로써 수질 정화효율이 향상될 뿐 아니라 호기성 및 혐기성 환경을 만들어 효율적으로 질소, 인, 부형물 등의 수질 오염 물질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접촉부재(120)에 부착된 미생물들은 하천수의 부형물을 흡착하고, 슬러지를 침전시키며, 유기 오염물질을 분해하고, 오염물질을 생물 여과시켜 수질을 정화하게 된다.
특히, 상기 접촉부재(120)는 많은 미세기공(121)을 가지고 있을 뿐 아니라 탈취 항균 성능을 지니고 있는 제오라이트와 일라이트를 주성분으로 함으로써 수질 속에 있는 중금속을 정화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접촉부재(120)는 다면체 형상으로 저온 소성을 함으로써 다면체 형상에 의해 그 표면적이 넓어질 뿐 아니라 다면체의 표면에 많은 미세기공(121)이 형성되어 표면적이 극대화되어, 미생물과 중금속의 부착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저온 소성은 세라믹에서 초벌구이 온도로서 유기물질을 탄화시켜 생기는 미세기공(121)을 갖게 하면서 소재의 응집력을 지닐 수 있는 온도를 말하며, 고온 소성을 하면 세라믹이 소결되어 미세기공(121)이 형성되지 않으므로 반드시 본 발명의 접촉부재(120)는 저온 소성을 통해서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식생부재(130)는 수생식물(30)의 식생 기반이 되는 식생토가 담겨져 있는 식생매트(131)와, 상기 식생매트(131) 상부에 배치되어 블록체(110)에 결합 고정되고 식생매트(131) 및 수생식물(30)을 지지하는 덮개(132)를 포함한다.
상기 식생매트(131)는 식생토를 갖은 상태에서 다수의 공극이 형성되어 있어, 토양생물 및 토착 미생물의 배양과 증식이 활성화되는 서식처가 되고, 수생식물(30)이 정착할 수 있게 된다.
식생매트(131)는 블록체(110)의 내부에 위치하여 접촉부재(120) 위에 놓여 있다. 식생매트(131)의 식생토에 서식하는 수생식물(30)은 도 5에서와 같이, 접촉부재(120)에 미생물을 지속적으로 공급하여 고착 및 성장되고, 오염물질을 제거하게 된다. 수생식물(30)은 하천수의 오염물질에 대해 생물 공학적인 생산, 분해, 흡수과정을 거쳐 정화가 이루어지는데, 특히 수생식물(30)의 뿌리부분은 접촉부재(120)의 미생물과 함께 유기물질의 분해를 촉진하며, 유기물 분해를 통해 생성된 영양염류는 수생식물(30)의 영양원으로 흡수되고, 이와 함께 잔류 중금속까지도 흡수되어 제거된다. 또한, 수생식물(30)은 종류마다 분해, 흡수하는 성분이 다르므로 하천(10)의 특성에 따라 수생식물(30)의 구성을 달리할 수 있다.
상기 덮개(132)는 블록체(110)의 상부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그 일면에 돌출된 다수의 고정돌부(132a)가 블록체(110)의 유수공(111)에 걸림되어 고정되는 망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덮개(132)는 한변에 2개 이상의 고정돌부(132a)가 돌출 형성되되, 보다 바람직하게는 블록체(110)에 가로방향으로 나열되는 유수공(111)의 개수만큼 즉 3개 이상으로 형성되어, 블록체(110)와의 결합력을 견고히 할 수 있다.
고정돌부(132a)는 블록체(110)의 내부면에 밀착되며 일측은 덮개(132)와 연결되고 타측은 블록체(110)의 외측면 방향으로 구부러져 유수공(111)에 걸려 고정된다.
이러한 덮개(132)는 식생부재(130)가 유수력과 양력에 대한 강한 저항력을 갖도록 하여 하천수에 의한 접촉부재(120)의 침식방지 기능으로 수생식물(30)의 뿌리와 줄기를 단단히 눌러 수생식물(30)과 접촉부재(120)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여기서, 도 4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정화블록(100)을 입체적 즉 적층할 시에는 상부 정화블록(100)에 의해 하부 정화블록(100) 내에 구비된 접촉부재(120)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하부 정화블록(100)에서는 상기한 식생부재(130)를 생략할 수도 있지만, 하부 정화블록(100)에도 식생부재(130)를 설치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정화블록(100)은 식생매트(131)의 식생토에 서식하는 수생식물(30)이 도 5에서와 같이, 접촉부재(120)에 미생물을 지속적으로 공급하여 고착 및 성장시키게 된다. 즉, 접촉부재(120)의 미생물을 수생식물(30)에 영양분을 공급하고, 수생식물(30)은 접촉부재(120)에 미생물을 공급하게 됨으로써 지속적인 수질 정화효율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하천수가 정화블록으로 유입되면, 하천수에 포함되어 있는 부형물, 슬러지, 유기물질(P,N), 미량의 중금속 등이 수생식물(30)에 의해 생물 공학적인 생산, 분해, 흡수과정을 거쳐 정화가 이루어지는데, 수생식물(30)의 뿌리부분은 접촉부재(120)의 미생물과 함께 유기물질의 분해를 촉진하고, 유기물 분해를 통해 생성된 영양염류는 수생식물(30)의 영양원으로 흡수되며, 이와 함께 잔류 중금속까지도 흡수되어 제거된다. 이와 같이 정화된 물은 BOD 10㎎/L 이하로 정수 되어 유출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정화블록의 설치구조를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정화블록(10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이 흐르는 하천(10)에 블록체(110)의 결합돌부(112)와 결합홈부(113)에 의한 결합으로 평면적으로 연결되고, 상, 하면의 연결홈(114)에 의한 결합으로 입체적으로 연결되어 설치된다.
이때,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정화블록(100)의 전방 즉 물이 흐르는 상류 측의 수로 바닥면에 함몰된 모래퇴적층(11)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모래퇴적층(11)에 의해서 블록체(110)의 유수공(111)이 모래에 의해 막히게 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정화블록(100)은 도 7a 내지 도 7c에서와 같이, 하천(10)의 특성과 형상에 따라 하천(10)을 가로질러 설치하는 방법(도 7a 참조), 하천(10)의 방향 즉 물이 흐르는 방향에 따라 설치하는 방법(도 7b 참조), 하천(10) 변에 설치하는 방법(도 7c 참조)으로 다양하게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천(10)에 설치되는 정화블록(100)은 도 7a에서와 같이, 하천(10)의 하류와 호소, 연못, 습지처럼 유수압이 적은 곳에서는 하천(10)을 가로질러 설치된다.
그리고 도 7b에서와 같이, 홍수와 건기의 유수량 차이가 매우 큰 하천(10)에서는 하천(10)의 방향 즉 물이 흐르는 방향에 따라 설치하고, 설치된 정화블록(100)의 상부(상류)와 하부(하류)에는 방파블록(12)을 설치한다.
따라서, 하천(10)의 유수량이 적은 경우에는 하천수(물)가 방파블록(12)을 넘지 못하고 우회하여 정화블록(100)을 통하여 흐르게 됨으로써 수질을 정화할 수 있고, 하천(10)의 유수량이 많은 경우에는 하천수가 정화블록(100)을 통하지 않고 방파블록(12)을 넘어 흐르게 됨으로써 큰 유수압에 의해 정화블록(100)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7c에서와 같이, 정화블록(100)을 하천(10) 변에 설치할 수도 있는바, 이와 같이 하천(10) 변에 설치된 정화블록(100)은 하천수를 정화하면서도 유수압에 의한 하천(10) 변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정화블록(100)을 도 8에서와 같이, 물이 고여 있는 저수지(20) 등에 평면 및 입체적으로 연결하여 설치할 수도 있다.
이때, 저수지(20)의 물은 거의 흐르지 않기 때문에, 물을 강제로 순환시켜 정화블록(100)을 통과시키도록 해야만 수질정화가 이루어지게 되므로, 유수발생수단이 더 구성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상기 유수발생수단은, 정화블록(100)을 관통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한편 그 상단부는 수면 위에 구비되고 하단부는 수중에 구비되는 회전축(22)과, 상기 회전축(22)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풍력에 의해 회전되는 동력회전체(21) 및 상기 회전축(22)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회전되면서 와류를 형성하는 와류발생팬(23)을 포함한다.
상기 회전축(22)은 저수지(20)에 적층된 정화블록(100)을 관통한 상태로서, 저수지(20)의 바닥면과 정화블록(100)에 별도의 브라켓이나 베어링 등을 매개로 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동력회전체(21)는 판 형태로서 수면 위에 위치된 회전축(22)의 상단부에 방사상으로 설치되어, 회전축(22)과 같이 일체로 회전된다. 이와 같은 동력회전체(21)는 풍력에 의해서 회전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별도의 구동부 즉 모터와 축전지, 태양전지판 등을 구비하여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켜 저장하였다가 동력회전체(21)를 일정시간마다 주기적으로 회전시킬 수도 있다.
상기 와류발생팬(23)은 수중에 위치한 회전축(22)의 하단부에 다단의 구조로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22)과 같이 회전되면서 수중에서 와류를 발생시켜 물이 정화블록(100)을 통과하도록 한다. 이때, 다단으로 설치되는 와류발생팬(23)은 크기가 서로 다른 프로펠러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와류발생팬(23)에 의해서 수중에 와류가 발생되면, 수중의 산소농도가 높아져 상기 접촉부재(120)에 부착된 미생물의 정화작용을 활성화시켜 저수지(20)의 수질정화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을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10 : 하천 11 : 모래퇴적층
12 : 방파(防波)블록 20 : 저수지
21 : 동력회전체 22 : 회전축
23 : 와류발생팬 30 : 수생식물
100 : 정화블록 110 : 블록체
111 : 유수공 112 : 결합돌부
113 : 결합홈부 114 : 연결홈
120 : 접촉부재 121 : 미세기공
130 : 식생부재 131 : 식생매트
132 : 덮개 132a : 고정돌부
t : 블록체의 테두리 두께
d : 연결홈의 간격

Claims (7)

  1. 하천 바닥에 설치되고 그 표면에는 물이 유동할 수 있도록 유수공(111)이 천공되어 있으며 평면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그 외주면에는 결합돌부(112)와 결합홈부(113)가 형성되어 있고 내부가 수직하게 상하 관통되어 있는 블록체(110),
    상기 블록체(110) 내에 위치하여 상기 하천 바닥과 접할 수 있으며 미생물이 부착될 수 있고 중금속을 흡착하는 접촉부재(120) 및
    상기 블록체(110)의 내부 상부측에 배치되고 상기 접촉부재(120)의 유실을 방지하는 한편 수생식물이 식생되는 식생부재(130)
    를 포함하고,
    상기 식생부재(130)는,
    상기 블록체(110) 내부에 배치되어 그 하면이 상기 접촉부재(120)와 접하며 수생식물의 식생 기반이 되는 식생토가 담겨 있는 식생매트(131),
    망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블록체(110)의 상부측에 배치되어 있고 그 하면이 상기 식생매트(131)의 상면과 접하며 상기 식생매트(131)를 지지하는 덮개(132) 및
    상기 블록체(110)의 내부면과 상기 식생매트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일측이 상기 덮개(132)의 가장자리와 연결되어 있고 타측이 상기 블록체(110) 외측방향으로 구부러져 상기 유수공(111)의 둘레면에 걸려 고정되어 상기 덮개(132)를 상기 블록체(110)에 고정하는 고정돌부(132a)
    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돌부(112)가 상기 블록체(110)의 외주 일면에서 돌출 형성되면 이웃하는 외주 타면에서 결합홈부(113)가 함몰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부(112) 돌출량과 상기 결합홈부(113)의 함몰량은 같으며, 상기 고정돌부(132a)가 상기 블록체(110)에 고정되면 상기 덮개(132)는 상기 식생매트(131)를 눌러 상기 수생식물과 접촉부재(120)의 이탈을 막는
    정화블록.
  2. 제1항에서,
    상기 블록체(110)는, 다수의 블록체를 평면 및 입체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그 상하면에 단차진 연결홈(114)이 형성되는 정화블록.
  3. 제2항에서,
    상기 연결홈(114)은, 상기 블록체(110)의 두께보다 2배 이상 큰 간격으로 형성되는 정화블록.
  4. 제1항에서,
    상기 접촉부재(120)는, 제올라이트 40∼60중량%와, 일라이트계열의 점토 40∼60중량%을 혼합하여 850∼900℃로 저온 소성하여 형성하는 정화블록.
  5. 제4항에서,
    상기 접촉부재(120)는, 그 표면에 미세기공을 갖는 다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정화블록.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정의되어 있는 정화블록(100)을 물이 흐르는 수중에 평면 및 입체적으로 연결하여 설치하되, 상기 정화블록(100) 전방의 하천 바닥면에 함몰된 모래퇴적층을 형성하는 정화블록의 설치구조.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정의되어 있는 정화블록(100)을 물이 고여 있는 수중에 평면 및 입체적으로 연결하여 설치하되,
    상기 정화블록(100)을 관통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한편 그 상단부는 수면 위에 구비되고 하단부는 수중에 구비되는 회전축(22),
    상기 회전축(22)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풍력에 의해 회전되는 동력회전체(21) 및
    상기 회전축(22)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회전되면서 와류를 형성하는 와류발생팬(23)
    을 포함하는 정화블록의 설치구조.
KR1020150055476A 2015-04-20 2015-04-20 정화블록 및 이의 설치구조 KR1015918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5476A KR101591873B1 (ko) 2015-04-20 2015-04-20 정화블록 및 이의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5476A KR101591873B1 (ko) 2015-04-20 2015-04-20 정화블록 및 이의 설치구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3587A Division KR20140118152A (ko) 2013-03-28 2013-03-28 정화블록 및 이의 설치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0548A KR20150050548A (ko) 2015-05-11
KR101591873B1 true KR101591873B1 (ko) 2016-02-05

Family

ID=53388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5476A KR101591873B1 (ko) 2015-04-20 2015-04-20 정화블록 및 이의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187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7123B1 (ko) * 2020-02-21 2020-06-09 주식회사 동일기술공사 하천의 수질 정화기능을 갖는 수중보 및 그의 시공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8968Y1 (ko) * 2001-12-28 2002-03-18 이상은 하천 시공용 다기능블록
KR100777597B1 (ko) * 2006-12-14 2007-11-20 이현섭 하천 바닥 세굴방지용 블록
KR101080039B1 (ko) * 2009-05-27 2011-11-07 이용인 풍력을 이용한 유압식 열변환장치와 물탱크 수질 정화장치가 결합된 하이브리드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8968Y1 (ko) * 2001-12-28 2002-03-18 이상은 하천 시공용 다기능블록
KR100777597B1 (ko) * 2006-12-14 2007-11-20 이현섭 하천 바닥 세굴방지용 블록
KR101080039B1 (ko) * 2009-05-27 2011-11-07 이용인 풍력을 이용한 유압식 열변환장치와 물탱크 수질 정화장치가 결합된 하이브리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0548A (ko) 2015-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803827B (zh) 一种菌藻填料强化组合式生态浮床及其净化水质的方法
US11459256B2 (en) Tower-shape integrated ecological purification device for domestic sewage in small town
CN103739079A (zh) 一种河道水体生态修复和水质保持的方法
CN103723820A (zh) 太阳能曝气增氧-植物床载带生物膜装置
CN203668098U (zh) 一种太阳能曝气增氧-植物床载带生物膜装置
AU2018100344A4 (en) Biological module and assembled subsurface flow wetland system using the same
CN105800771B (zh) 生物滤墙系统
CN101585607B (zh) 一种垂直流人工湿地基质的制备方法
JP2000246283A (ja) 有用植物を用いた水質浄化方法及びその装置
CN113105070B (zh) 生态过滤水处理系统及其制造方法
KR101591873B1 (ko) 정화블록 및 이의 설치구조
KR101065814B1 (ko) 생태복원형 고효율자연정화습지
CN211198968U (zh) 农村污水处理的土壤渗滤系统
JP2002166292A (ja) 多機能ブロック及び水質浄化システム
CN108147564B (zh) 用于河道中的曝气净化器
KR101441668B1 (ko) 여과용 식생토양을 이용한 식생매트
KR100453199B1 (ko) 기능성세라믹에 의한 호수 수질정화장치 및 방법
KR100647811B1 (ko) 평여울의 수질정화시스템
KR20140118152A (ko) 정화블록 및 이의 설치구조
KR101152430B1 (ko) 기능성세라믹 수질정화부도
CN211644767U (zh) 一种多级曝气氧化池-砾石床-人工湿地尾水高效处理装置
CN210928951U (zh) 一种用于砾间接触氧化的植物种植装置
CN204824365U (zh) 一种复合型生物净水装置
KR101048806B1 (ko) 생물여과장치 및 이를 이용한 호소수질의 개선방법
CN211198938U (zh) 一种复合式生物膜过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