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1289B1 - 사물통신에서 원격 소프트웨어를 분리 업그레이드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사물통신에서 원격 소프트웨어를 분리 업그레이드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1289B1
KR101591289B1 KR1020110044469A KR20110044469A KR101591289B1 KR 101591289 B1 KR101591289 B1 KR 101591289B1 KR 1020110044469 A KR1020110044469 A KR 1020110044469A KR 20110044469 A KR20110044469 A KR 20110044469A KR 101591289 B1 KR101591289 B1 KR 1015912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ftware
object communication
upgrade
gateway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44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11852A (ko
Inventor
김상언
허성필
정한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US14/004,453 priority Critical patent/US20140007076A1/en
Priority to PCT/KR2012/001856 priority patent/WO2012134080A2/ko
Priority to EP12764644.6A priority patent/EP2677440A4/en
Publication of KR201201118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18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12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12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7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fault, e.g. fault tolerance
    • G06F11/14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data by redundancy in operation
    • G06F11/1402Saving, restoring, recovering or retrying
    • G06F11/1415Saving, restoring, recovering or retrying at system level
    • G06F11/1433Saving, restoring, recovering or retrying at system level during software upgra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사물통신에서 원격 소프트웨어의 분리 업그레이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업그레이드 하는 방법은 사물통신 장치(M2M Device) 또는 사물통신 게이트웨이(M2M Gateway)의 펌웨어 업그레이드시 통신사업자영역 및 제조사영역을 분리하여 업그레이드 한다.

Description

사물통신에서 원격 소프트웨어를 분리 업그레이드하는 방법 및 장치{A Methods and Apparatus of separated software upgrade of Device and Gateway by over the air in the Machine to machine communication}
사물통신 (MTC, "Machine to machine communication" 또는 M2M, "Machine type communication" 또는 스마트 디바이스 통신 "Smart Device communication" 또는 "Machine oriented communication")은 사람이 통신 과정에 개입하지 않고 통신이 이루어지는 방식의 모든 통신 방식을 지칭한다. 이러한 통신 기능을 수행하는 단말 또는 게이트웨이의 소프트웨어에 대해 원격으로 업그레이드하는 방법 및 장치가 필요하다.
종래에는 사물통신 기능을 수행하는 단말 또는 게이트웨이 등의 소프트웨어를 원격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를 수행하기 위하여, 통상 펌웨어 업그레이드(Firmware Upgrade) 방식을 사용한다. 펌웨어(Firmware 또는
Figure 112011035052304-pat00001
)는 모든 소프트웨어의 기능을 하나의 실행파일로 만든 이진(binary) 형식의 파일로서, 사물통신 기능을 수행하는 단말 또는 게이트웨이의 소프트웨이다. 펌웨어의 업그레이드는 하나의 단일 실행파일 중에서 변경된 부분만 원격으로 전송하여 업그레이드 하는 방법을 임베디드 장치의 업그레이드 방법으로 종래에 사용하고 있다. 이는 통상적으로 CPU, 메모리 등의 컴퓨팅 자원이 매우 제한된 센서나 제어 장치 등에서 사용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사물통신 기능을 수행하는 단말 또는 게이트웨이의 펌웨어를 나누어보면 통신사업자의 검증이 필요한 소프트웨어, 제조사에서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그리고, 제3의 응용서비스 제공자가 제공하는 소프트웨어로 구성된다. 현재의 펌웨어 업그레이드 방식은 하나의 단일 소프트웨어로 구성된 펌웨어를 업그레이드 하는 경우, 통신 사업자의 검증이 필요하여, 통신 사업자의 검증이 필요하지 않은 제조사의 소프트웨어나 제3의 응용서비스 제공자의 소프트웨어도 통신 사업자의 검증을 하게 된다.
전술한 펌웨어 업그레이드 방법은 통신 사업자의 검증이 필요하지 않은 소프트웨어의 업그레이드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통신사업자가 검증을 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제조사에서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또는 제3의 응용서비스 제공자가 제공하는 통신 사업자의 검증이 필요하지 않은 소프트웨어를 업그레이드를 제조사나 응용서비스 제공자가 독자적으로 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한정된 CPU, 메모리 등의 자원을 가진 사물통신 기능을 수행하는 단말이나 게이트웨이 등의 소프트웨어를 통신사업자, 제조사, 제3의 응용서비스 제공자 등 관련 당사자가 수정이 필요한 소프트웨어를 필요한 부분을 분리하여 원격으로 업그레이드하거나 수정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본 발명은 사물통신 기능을 수행하는 단말 또는 게이트웨이의 펌웨어를 통신 사업자의 검증이 필요한 소프트웨어는 통신 사업자가 원격으로 소프트웨어를 수정하고, 제조사에서 제공하는 소프트웨어는 제조사에서 원격으로 소프트웨어를 수정하고, 제3의 응용서비스 제공자가 제공하는 소프트웨어는 제3의 응용서비스 제공자가 원격으로 소프트웨어를 수정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사물통신에서 원격 소프트웨어를 분리 업그레이드하는 방법은 하나 이상의 사물 통신 장치 또는 사물 통신 게이트웨이에 설치된 제 1 소프트웨어의 수정 또는 업그레이드를 위한 제 2 소프트웨어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사물 통신 장치 또는 사물 통신 게이트웨이에 상기 제 2 소프트웨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수정 또는 업그레이드는 상기 사물 통신 장치 또는 사물 통신 게이트웨이에 설치된 제 3 소프트웨어와 분리되어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사물통신에서 원격 소프트웨어를 분리 업그레이드하는 방법은 사물 통신을 수행하는 사물 통신 장치 또는 게이트웨어 기능을 수행하는 사물 통신 게이트웨이에 설치된 제 1 소프트웨어의 수정 또는 업그레이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소프트웨어의 수정 또는 업그레이드를 위한 제 2 소프트웨어를 상기 통신 사업자용 원격 소프트웨어 제어 서버 또는 응용 서비스용 원격 소프트웨어 제어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한 제 2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소프트웨어를 수정 또는 업그레이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수정 또는 업그레이드는 상기 사물 통신 장치 또는 사물 통신 게이트웨이에 설치된 제 3 소프트웨어와 분리되어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장치는 하나 이상의 사물 통신 장치 또는 사물 통신 게이트웨이에 설치된 제 1 소프트웨어의 수정 또는 업그레이드를 위한 제 2 소프트웨어를 저장하는 업그레이드/수정 저장부, 상기 저장된 제 1 소프트웨어의 수정 또는 업그레이드를 위하여 권한 제어 서버에 상기 수정 또는 업그레이드의 권한을 확인하는 인증부, 및 상기 사물 통신 장치 또는 사물 통신 게이트웨이에 상기 제 2 소프트웨어를 송신하는 통신 처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정 또는 업그레이드는 상기 사물 통신 장치 또는 사물 통신 게이트웨이에 설치된 제 3 소프트웨어와 분리되어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장치는 제 1 소프트웨어가 설치되며, 사물 통신을 수행하거나 또는 게이트웨어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에 있어서, 통신 사업자용 원격 소프트웨어 제어서버 또는 응용소프트웨어 원격소프트웨어 제어서버로부터 상기 제 1 소프트웨어의 수정 또는 업그레이드를 위한 제 2 소프트웨어를 수신하는 업그레이드/수정 제어부, 및 상기 수신한 제 2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소프트웨어를 수정 또는 업그레이드하는 업그레이드/수정 처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정 또는 업그레이드는 상기 사물 통신 장치 또는 사물 통신 게이트웨이에 설치된 제 3 소프트웨어와 분리되어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사물통신 장치 및 사물통신 게이트웨이의 소프트웨어를 통신 사업자와 독립적으로, 즉 통신사업자와 무관하게 제조사 또는 제 3의 소프트웨어 제공자가 소프트웨어의 기능을 업그레이드하거나, 새로운 응용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통신 사업자는 사업자 인증이 필요한 통신 기능 소프트웨어 가입 인증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등 필요한 소프트웨어 만을 업그레이드하거나 수정할 수 있으므로, 통신 사업자의 업그레이드 부하와 같은 업무 및 무선 자원의 사용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사물통신 장치 및 사물통신 게이트웨이의 소프트웨어의 예를 보여주고 있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사물통신 장치 및 사물통신 게이트웨이의 소프트웨어 분리 업그레이드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사물통신 장치 및 사물통신 게이트웨이의 분리 업그레이드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사물 통신 장치 또는 사물통신 게이트웨이의 소프트웨어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각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소프트웨어를 분리하여 업그레이드 하기 위한 물리적 저장매체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소프트웨어를 분리하여 업그레이드 하기 위한 물리적 저장매체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명세서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소프트웨어를 분리하여 업그레이드 하기 위한 물리적 저장매체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원격 소프트웨어 제어 서버에서 특정 소프트웨어의 업그레이드 또는 수정을 진행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사물 통신을 수행하는 사물 통신 장치 또는 게이트웨어 기능을 수행하는 사물 통신 게이트웨이에서 특정 소프트웨어의 업그레이드 또는 수정을 진행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사물 통신의 경우, 다양한 사업자들이 개발한 소프트웨어가 디바이스에 설치될 수 있으므로, 디바이스 시스템 전체를 업그레이드 시키는 것은 여러가지 부하를 가져올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디바이스에 포함된 다수의 소프트웨어들의 업그레이드를 수행함에 있어, 부분적으로 소프트웨어를 원격으로 하는 방법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사물통신 장치 및 사물통신 게이트웨이의 소프트웨어의 예를 보여주고 있다. 여기서 펌웨어는 하드웨어와 일체적으로 구현되어 전체 시스템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즉, 종래에는 펌웨어만을 업그레이드할 수 있었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사물통신 장치 및 사물통신 게이트웨이의 소프트웨어 분리 업그레이드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2에서는 소프트웨어의 기능별로 실행 파일을 만들어 실행 파일이 동작할 수 있는 운영체제라고 하는 환경과 각 응용 소프트웨어 및 라이브러리 등을 부분적으로 업그레이드 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도이다.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도 2의 서비스 구성에서 사물통신 장치(M2M Device) 및 사물통신 게이트웨이(M2M Gateway)의 소프트웨어는 원격으로 부분적인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를 할 수 있다. 즉, 사물통신 장치 및 사물통신 게이트웨이의 소프트웨어를 부분적으로 분리하여 업그레이드 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진 당사자가 다른 소프트웨어에 영향을 주지 않고 업그레이드 하는 방법과 구현에 관한 것이다.도 2를 살펴보면, 사물통신장치(2100, 2110), 사물통신 게이트웨이(2200, 2250), 사물(2210, 2220, 2260, 2270), 무선통신망(2300), 인터넷(2310), 원격소프트웨어 제어 서버(2400, 2410), 사물통신 서버(2510), 권한 제어 서버(2500)으로 구성된다.
사물통신장치(2100, 2110)는 무선통신 장치가 있는 사물(M2M Device)로서 센서, 제어기 등에서 생성하거나 제어하는 정보를 무선통신장치를 이용하여 사물통신서버(2510)와 사람이 개입하지 않고 통신한다.
사물통신 게이트웨이(2200, 2250)(M2M Gateway)는 2210, 2220, 2260, 2270 등의 장치(사물, 센서 또는 액추에이터)가 사물통신서버(2510)와 사람이 개입하지 않고 통신하도록 중계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사물(2210, 2220, 2260, 2270)은 사물통신 게이트웨이(2200, 2250)와 통신한다.
무선통신망(2300)은 사물통신장치(2100, 2110)과 사물통신 게이트웨이(2200, 2250)가 사물통신서버(2510)와 통신하는데 필요한 무선 통신 기능을 제공한다. 무선통신망(2300)은 2세대 무선 이동통신망, 3세대 무선 이동통신망, WiBro 네트워크, WiFi 네트워크, LTE/LTE-A 네트워크 등 다양한 이동통신망을 포함한다.
인터넷(2310)은 사물통신장치(2100, 2110)와 사물통신 게이트웨이(2200, 2250)가 사물통신서버 (2510)와 통신하는데 필요한 인터넷 통신 기능을 제공한다.
원격소프트웨어 제어 서버(2400)는 통신사업자용 원격소프트웨어 제어서버이며, 원격소프트웨어 제어 서버(2410)은 응용소프트웨어 원격소프트웨어 제어서버이며 사물통신장치(2100, 2110)과 사물통신 게이트웨이(2200, 2250)의 부분적인 소프트웨어를 원격으로 업그레이드 하는 것을 제어하는 장치이다.
권한 제어 서버(2500)는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또는 수정을 위한 적법한 권한을 확인하는 관련 기능을 처리하는 서버이다. 사물통신 서버(2510)는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이외의 이외의 사물통신 기능을 처리하는 서버이다. 물리적으로 2400, 2410과 2500, 2510은 하나의 장치에서 수행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사물통신 장치 및 사물통신 게이트웨이의 분리 업그레이드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의 구성 및 도 3의 실시예에서 사물통신 장치 및 사물통신 게이트웨이의 소프트웨어를 부분적으로 각각의 관련 당사자들이 관련된 소프트웨어만 원격으로 업그레이드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2의 사물통신장치(2100, 2110)와 사물통신 게이트웨이(2200, 2250)의 소프트웨어는 도 4와 같이 구성되는데, 이는 기존의 도 1의 구성과는 다른 구조이다.
도 4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면,
도4의 소프트웨어는 장치 드라이버(4510, 4520), 어플리케이션(4520, 4530) 등으로 분리하여 구성한다. 예를 들어 4520은 통신사업자용 원격소프트웨어 제어 서버(2400)의 제어를 통하여 업그레이드 또는 수정을 하고, 4530은 응용 서비스용 원격소프트웨어 제어 서버(2410)의 제어를 통하여 업그레이드를 한다.
4520의 성능 향상을 위하여 소프트웨어가 변경되는 경우, 새로운 소프트웨어를 통신사업자용 원격소프트웨어 제어 서버(2400)에 저장하고, 사물통신장치(2100, 2110) 또는 사물통신 게이트웨이(2200, 2250)의 장치를 원격으로 업그레이드 한다.
이때 새롭게 변경된 부분적인 소프트웨어는 통신사업자용 원격소프트웨어 제어 서버(2400)에 저장하여 사물통신 서버(2510)의 제어에 따라 업그레이드 시간, 업그레이드 대상이 되는 사물통신장치(2100, 2110) 또는 사물통신 게이트웨이(2200, 2250)의 장치를 대상으로 부분적으로 소프트웨어를 업그레이드한다.
도 4와 같은 소프트웨어의 부분적 변경을 위하여, 도 3에서는 소프트웨어의 업그레이드/수정과 관련한 상세한 동작 과정이 제시되어 있다. 도 3에서는 도 2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권한제어서버(2500), 원격소프트웨어 제어 서버(2400, 2410), 그리고 장치(2900)가 포함된다. 장치(2900)는 도 2의 사물통신장치(2100, 2110) 또는 사물통신 게이트웨이(2200, 2250), 또는 상기 사물통신 게이트웨이에 결합한 사물(2210, 2220, 2260, 2270)등이 장치(2900)가 될 수 있다. 또한, 원격소프트웨어 제어서버(2400, 2410)를 사물통신서버(2510)가 제어하여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를 수행할 수 있다.
업그레이드가 필요한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고 시험을 통하여 배포가 결정되면 새로운 소프트웨어를 업그레이드 하는 기관에서 운영하는 서버(도2의 2400, 2410)에 저장하고(S3110), 권한제어서버(2500)에 업그레이드가 필요하다는 정보를 통지한다(S3120). 이때 통지하는 정보의 일 실시예는 업그레이드 소프트웨어의 명칭, 배포 기준일, 배포자 등이 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는 네트워크의 상황을 감안하여 트래픽을 분산하여 수행하여야 하므로 권한제어서버(2500)는 배포자가 해당 소프트웨어를 업그레이드 할 권한이 있는지를 확인한다(S3200). 업그레이드 권한을 확인하는 방법은 도4의 510, 520, 530의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를 변경할 수 있는 권한이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을 통하여 가능하다. 펌웨어나 소프트웨어는 후술할 도6, 7, 8과 같이 물리적인 저장공간을 분할하여 해당 권한을 가진 정보를 이용하여 접근과 제어가 가능하다.
펌웨어나 소프트웨어의 업그레이드 권한을 확인하고, 해당 소프트웨어를 변경하거나 업그레이드 할 권한이 있는 경우 장치(2900)에 대한 업그레이드를 하기 위하여 통신이 가능한 상태에 있는지 확인한다 (S3210단계). 예를 들어 도 4의 4520과 관련된 펌웨어를 업그레이드 할 수 있고, 이 펌웨어는 후술할 도6의 분할된 저장 공간을 사용한다고 할 때, 도1의 2400 장치는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의 명칭, 변경일자, 크기 및 도6의 분할된 저장 공간의 읽기 및 쓰기 기능을 확인한다.
한편, 업그레이드 권한이 없는 경우, 발생시각, 시도한 IP 주소, 관련 접속 정보 등을 기록하고 (S3240), 종료한다.
S3210 단계에서 M2M 장치나 게이트웨이가 통신을 할 수 없는 휴면 상태에 있는 경우, 업그레이드를 위하여 통신이 가능한 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장치(2900)에게 보낼 수 있다(S3220).
이후, 권한제어서버(2400)는 업그레이드가 가능한 상태임을 2400, 2410, 2900에게 알린다.
업그레이드할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를 가지고 있는 서버(2400 또는 2410)는 장치(2900)에게 새로운 소프트웨어나 펌웨어의 업그레이드를 시작한다(S3130 단계). 이때 서버(2400, 2410)는 사물통신 장치 또는 사물통신 게이트웨이의 소프트웨어나 펌웨어의 명칭, 크기, 최종 수정일시 등의 정보를 확인후 해당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서버(2400 또는 2410)에서 새로운 소프트웨어나 펌웨어를 업그레이드하기 위하여 소프트웨어 등을 전송하면(S3140 단계), 장치(2900)는 새로운 소프트웨어를 후술할 도5의 5551에 수신하여(S3310단계), 새로운 소프트웨어를 모두 받을 때까지 에러제어와 흐름 제어를 수행한다(S3150, S3320).
서버(2400 또는 2410)는 송신이 완료되면, 완료 시각, 소프트웨어 명칭과 버전 정보를 권한제어서버(2500)에 통지한다(S3190). 또한 장치(2900)는 새로운 소프트웨어를 모두 수신하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를 새로운 것으로 대체하고, 재부팅 등과 같은 프로세스를 진행할수 있다. 재부팅 이후 정상적으로 기능을 수행하면, 완료 시각, 소프트웨어 명칭과 버전 정보를 권한제어서버(2500)에 통지한다(S3380). 그러나 재부팅 이후에 정상적인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이전의 소프트웨나 펌웨어로 복귀하고, 그 결과를 권한제어서버(2500)에 통지할 수 있다(S3340).
동일한 방법으로 도 4의 어플리케이션(45300)의 성능 향상을 위하여 소프트웨어가 변경되는 경우, 새로운 소프트웨어를 응용 서비스용 원격소프트웨어 제어 서버(2410)에 저장하여 사물통신 서버(2510)의 제어에 따라 사물통신장치(2100, 2110) 또는 사물통신 게이트웨이(2200, 2250)의 장치를 대상으로 부분적으로 소프트웨어를 업그레이드한다.
도 4의 소프트웨어 중에서 부분적인 업그레이드를 어느 제어 서버가 수행할 것인지, 즉 통신사업자용 원격소프트웨어 제어 서버(2400)가 제어할지, 아니면, 응용 서비스용 원격소프트웨어 제어 서버(2410)가 제어할지는 권한 제어 서버(2500)가 정할 수 있다.
상기 도 2, 3의 과정 및 구성에서 살펴본 방식은 소프트웨어를 분리하여 업그레이드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도 2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사물통신 장치는 사업자의 인증이 필요한 소프트웨어와 사업자의 인증이 필요하지 않은 소프트웨어로 구성되는데, 이를 종래의 펌웨어 방식으로 업그레이드를 하는 경우, 통신 사업자는 통신 사업자의 인증이 필요하지 않은 응용 소프트웨어에 대해서도 인증을 수행하게 되어 비효율적이다. 또한, 응용 개발자 등 다른 소프트웨어 관련 당사자는 독자적으로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를 하지 못하고, 통신 사업자의 인증 절차에 따라 업그레이드를 하여야 하므로, 적시에 업그레이드를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도 2, 3의 구성 및 소프트웨어를 적용할 경우, 분리 업그레이드를 가능하게 하며, 업그레이드의 범위를 특정한 소프트웨어에 한정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사물 통신 장치 또는 사물통신 게이트웨이의 소프트웨어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4520은 통신과 직접 관련된 부분으로, 앞서 도 2, 3의 통신 사업자용 원격소프트웨어 제어 서버(2400)가 제어할 수 있는 영역이다. 한편 4530은 일반적인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로, 응용 서비스용 원격소프트웨어 제어 서버(2410)가 제어할 수 있는 영역이다. 4520과 4530의 제어가 반드시 통신 사업자/어플리케이션 제공자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통신 사업자용 원격소프트웨어 제어 서버(2400)도 530을 제어할 수 있고, 응용 서비스용 원격소프트웨어 제어 서버(2410)도 통신 사업자용 원격소프트웨어 제어 서버(2400)와의 협업을 통하여 4520을 제어할 수 있다.
도 2, 3, 4의 구성을 통하여 사물 통신 장치 또는 사물 통신 게이트웨이의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는 무선통신(OTA, Over the air)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M2M application software)와 통신 사업자가 관리하거나 인증한 소프트웨어(Mobile Network Operator Certified software)는 각각 독립적으로 업그레이드가 될 수 있다.
도 3,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소프트웨어의 분리 업그레이드는 다른 영역의 소프트웨어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즉 도 4의 4530에는 다수의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는데, 이들 어플리케이션의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가 각각의 어플리케이션들의 다른 구성 요소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분리되어 업그레이드가 된다. 따라서 통신 사업자는 어플리케이션(4530)의 업그레이드를 보안 또는 시스템 보호의 차원에서 인증을 수행할 필요가 없다.
이하 설명하게 되는 도6, 7, 8은 소프트웨어를 분리하여 업그레이드 하기 위하여 하나의 물리적인 저장매체를 다른 영역으로 구분한 것을 구현한 예시이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저장 공간의 구분은 도4의 4510을 도6과 같이 분할한 영역에서 사용하고, 도4의 520을 도7과 같이 분할한 영역에서 사용하고, 도4의 4530을 도8과 같이 분할한 영역에서 사용할 수 있다. 도 6, 7, 8의 내용은 예시일 뿐이며, 분할한 영역의 용량이나 구분 형태를 다르게 구성할 수 있다. 분할 형태(partition type)는 분할 식별정보(Partition identifier)를 이용하여 구분한다. 도6, 7, 8의 분할 식별정보는 각각 0x07, 0x83, 0x83이다. 또한 도6, 7, 8의 각 분할 영역에서도 동일한 분할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다시 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6의 HPFS/NTFS 분할 영역을 하나의 파일 시스템으로 사용하거나 두 개 또는 세 개의 파일 시스템으로 나누어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4의 4510번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는 도6의 분할된 저장 공간에 소프트웨어를 저장한다. 이 소프트웨어는 소프트웨어가 있는 경로정보와 소프트웨어 이름 및 버전 정보를 이용하여 구분하며, 소프트웨어가 변경된 일자와 시간 정보, 크기 등의 정보를 이용하여 업그레이드 여부를 판단한다.
마찬가지로, 통신사업자가 도 4의 네트워킹(4520)과 같은 영역을 업그레이드 할 경우에도 어플리케이션(4530)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전체 어플리케이션을 재설치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도 4에서도 4520 또는 4510과 같이 인증이 필요하거나 시스템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영역과 530의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의 영역을 분리하여 업그레이드 시킬 경우에는 통신 사업자가 개입할 필요 없이 업그레이드가 진행될 수 있도록 한다.
도 2, 4의 사물 통신 장치 또는 사물 통신 게이트웨이는 업그레이드할 소프트웨어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업그레이드할 소프트웨어가 통신 사업자용 소프트웨어인지 응용 소프트웨어인지에 따라 통신 사업자용 원격 소프트웨어 제어서버 또는 응용소프트웨어 원격소프트웨어 제어서버로부터 새로운 소프트웨어를 수신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수신한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부분적으로 소프트웨어를 업그레이드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사물 통신 장치 또는 사물 통신 게이트웨이는 기존의 사물통신을 위한 구성요소 외에 업그레이드 제어부 및 업그레이드 수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업그레이드 제어부 및 업그레이드 수행부는 기존의 사물통신을 위한 구성요소에 부가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각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주요 구성요소에 대해 살펴보면, 업그레이드 수정/제어부(5510)는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업그레이드할 소프트웨어가 통신 사업자용 소프트웨어인지 응용 소프트웨어인지에 따라 통신 사업자용 원격 소프트웨어 제어서버 또는 응용소프트웨어 원격소프트웨어 제어서버로부터 새로운 소프트웨어를 수신하는 기능을 한다. 사물통신을 위한 송수신 구성 요소에 결합될 수 있다.
업그레이드/수정 처리부(5520)는 상기 수신한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부분적으로 소프트웨어를 업그레이드 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은 5800에서 확인할 수 있다.
5800은 사물통신장치 또는 사물통신 게이트웨이의 구성을 보여준다. 통신처리부(5500)는 사물통신을 위한 송수신부이며, 도 2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한다.
5900은 원격소프트웨어 제어 서버의 구성을 보여준다. 5900에서 통신 처리부(5700)는 도 2의 통신사업자용 또는 응용 서비스용 원격 소프트웨어 제어 서버가 인터넷 또는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통신을 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업그레이드/수정 저장부(5710)은 사물 통신 장치 또는 사물통신 게이트웨이에 제공할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를 저장하며, 요청에 의해 또는 자체적인 판단에 의해 업그레이드 파일을 제공할 수 있다.
인증부(5720)는 선택적으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조사 또는 제 3의 응용 서비스 제공자용 원격소프트웨어 제어 서버인 경우에는 인증부(5720)에서 도 2의 권한제어서버(500)와 해당 소프트웨어의 업그레이드나 수정 할 수 있는 권한을 확인한다.. 그러나, 통신 사업자의 원격소프트웨어 제어 서버인 경우에는 인증 과정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인증부(5720)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원격 소프트웨어 제어 서버에서 특정 소프트웨어의 업그레이드 또는 수정을 진행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하나 이상의 사물 통신 장치 또는 사물 통신 게이트웨이에 설치된 제 1 소프트웨어의 수정 또는 업그레이드를 위한 제 2 소프트웨어를 저장한다(S9010). 상기 제 2 소프트웨어는 상기 사물 통신에 적용된 통신망의 통신 사업자가 생성하거나, 상기 사물 통신 장치 또는 사물 통신 게이트웨이를 제조한 제조사가 생성하거나, 또는 상기 제 1 소프트웨어를 생성한 제 3의 응용 제공자가 생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2 소프트웨어는 펌웨어를 포함한다.
이후, 상기 저장된 제 1 소프트웨어의 수정 또는 업그레이드를 위하여 권한 제어 서버에 상기 수정 또는 업그레이드의 권한을 확인한다(S9020). 앞서 도 3에서의 권한 확인과정의 실시예를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권한이 확인된 경우, 즉, 수정 또는 업그레이드의 권한이 있는 경우(S9030), 상기 사물 통신 장치 또는 사물 통신 게이트웨이에 상기 제 2 소프트웨어를 송신한다(S9040). 여기서 상기 수정 또는 업그레이드는 상기 사물 통신 장치 또는 사물 통신 게이트웨이에 설치된 제 3 소프트웨어와 분리되어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도 9의 제 1 소프트웨어는 상기 사물 통신 장치 또는 사물 통신 게이트웨이에 설치된 소프트웨어 중 일부의 소프트웨어가 될 수 있으며, 제 2 소프트웨어를 통한 업그레이드/수정은 제 1 소프트웨어에만 영향을 미치게 된다.
상기 제 2 소프트웨어가 상기 사물 통신 장치 또는 사물 통신 게이트웨이의 네트워킹의 성능 향상을 위한 소프트웨어인 경우, 통신 사업자의 승인이 필요하므로, 상기 제 2 소프트웨어를 통신사업자용 원격소프트웨어 제어 서버에 저장하고, 상기 통신 사업자용 원격 소프트웨어 제어 서버에서 상기 제 2 소프트웨어를 상기 사물통신장치 또는 상기 사물통신 게이트웨이에 송신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 2 소프트웨어를 상기 통신사업자용 원격소프트웨어 제어 서버에 저장한 이후에 사물통신서버의 제어에 따라 업그레이드 시간, 업그레이드 대상이 되는 특정한 사물통신장치 또는 사물통신 게이트웨이에 대하여 상기 제 2 소프트웨어를 송신할 수 있는데, 이는 통신사업자용 원격소프트웨어 제어 서버의 부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소프트웨어가 상기 사물 통신 장치 또는 사물 통신 게이트웨이의 어플리케이션의 성능 향상을 위한 소프트웨어인 경우, 상기 제 2 소프트웨어는 응용소프트웨어 원격소프트웨어 제어서버에 저장되며, 상기 응용소프트웨어 원격 소프트웨어 제어 서버가 사물통신서버의 제어를 받아 상기 제 2 소프트웨어를 상기 사물통신장치 또는 상기 사물통신 게이트웨이에 송신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수정/업그레이드는 제 1 소프트웨어의 일부 교체 뿐만 아니라, 제 2 소프트웨어가 상기 제 1 소프트웨어를 완전히 대체하는 방식 까지도 포함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사물 통신을 수행하는 사물 통신 장치 또는 게이트웨어 기능을 수행하는 사물 통신 게이트웨이에서 특정 소프트웨어의 업그레이드 또는 수정을 진행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장치(사물 통신 장치 또는 사물 통신 게이트웨이)는 저장된 제 1 소프트웨어의 수정 또는 업그레이드를 위하여 권한 제어 서버에 상기 수정 또는 업그레이드의 권한을 확인하는 메시지를 수신한다(S10010).
수신한 메시지를 확인한 결과, 수정 또는 업그레이드의 권한이 있는 경우(S10020), 상기 제 1 소프트웨어의 수정 또는 업그레이드를 위한 제 2 소프트웨어를 통신 사업자용 원격 소프트웨어 제어 서버 또는 응용 서비스용 원격 소프트웨어 제어 서버로부터 수신하게 된다(S10030). 그리고 상기 수신한 제 2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소프트웨어를 수정 또는 업그레이드한다(S10040).
여기서 상기 수정 또는 업그레이드는 상기 사물 통신 장치 또는 사물 통신 게이트웨이에 설치된 제 3 소프트웨어와 분리되어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도 10의 제 1 소프트웨어는 상기 사물 통신 장치 또는 사물 통신 게이트웨이에 설치된 소프트웨어 중 일부의 소프트웨어가 될 수 있으며, 제 2 소프트웨어를 통한 업그레이드/수정은 제 1 소프트웨어에만 영향을 미치게 된다.
상기 제 2 소프트웨어가 상기 사물 통신 장치 또는 사물 통신 게이트웨이의 네트워킹의 성능 향상을 위한 소프트웨어인 경우, 통신 사업자의 승인이 필요하므로, 상기 통신 사업자용 원격 소프트웨어 제어 서버로부터 상기 제 2 소프트웨어를 상기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 2 소프트웨어의 수신 방식은 장치가 사물통신서버의 제어에 따라 업그레이드 시간, 업그레이드 대상이 되는 특정한 사물통신장치 또는 사물통신 게이트웨이에 해당할 경우 상기 제 2 소프트웨어를 송신할 수 있는데, 이는 통신사업자용 원격소프트웨어 제어 서버의 부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소프트웨어가 상기 사물 통신 장치 또는 사물 통신 게이트웨이의 어플리케이션의 성능 향상을 위한 소프트웨어인 경우, 사물통신서버의 제어를 받는 상기 응용소프트웨어 원격 소프트웨어 제어 서버로부터 상기 제 2 소프트웨어를 수신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수정/업그레이드는 제 1 소프트웨어의 일부 교체 뿐만 아니라, 제 2 소프트웨어가 상기 제 1 소프트웨어를 완전히 대체하는 방식 까지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업그레이드 방식은 M2M 통신과 관련하여 NREM(Network Remote Entity Management), GREM(Gateway Remote Entity Management), 및 DREM(Device Remote Entity Management)에서 진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NREM의 경우,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는 통신 사업자(MNO)의 인증이 수행된 소프트웨어와 응용 소프트웨어가 독립적으로 업그레이드 될 수 있다.
또한, GREM의 경우, M2M 네트워크(M2M area network)내의 M2M 게이트웨이, M2M 디바이스가 업그레이드를 할 수 있도록 하는 펌웨어의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파일 또는 관리 데이터(management data, including bootstrap related)를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수신한 파일들에 기반하여 로컬 펌웨어의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파일 및 관리 데이터를 이용하여 업그레이드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GREM은 M2M 게이트웨이 관리 클라이언트(M2M Gateway management client)로 기능할 수 있는데, CM(Configuration Management)/PM(Performance Management)/FM(Fault Management) 및 소프트웨어 모듈/펌웨어 업그레이드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DREM의 경우, M2M 디바이스 관리 클라이언트(M2M Device management client)로 기능할 수 있는데, 역시, CM(Configuration Management)/PM(Performance Management)/FM(Fault Management) 및 소프트웨어 모듈/펌웨어 업그레이드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100, 2110: 사물통신장치
2200, 2250: 사물통신 게이트웨이
2210, 2220, 2260, 2270: 사물
2300: 무선통신망
2310: 인터넷
2400, 2410: 원격소프트웨어 제어 서버
2500: 권한제어서버
2510: 사물통신 서버

Claims (22)

  1. 둘 이상의 사물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사물 통신(Machine to Machine Communication)의 기능을 수행하는 사물 통신 장치(M2M Device) 또는 상기 사물 통신에서 게이트웨이 기능을 수행하는 사물 통신 게이트웨이(M2M Gateway)에 설치된 소프트웨어의 업그레이드를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사물 통신 장치 또는 사물 통신 게이트웨이에 설치된 제 1 소프트웨어의 수정 또는 업그레이드를 위한 제 2 소프트웨어를 제 1 서버가 상기 사물 통신 장치 또는 사물 통신 게이트웨이에게 송신하는 단계;
    제 2 서버가 업그레이드를 수행하는 상기 사물 통신 장치 또는 상기 사물 통신 게이트웨이에 설치된 제 3 소프트웨어와 분리되어 상기 제 1 소프트웨어의 상기 수정 또는 업그레이드가 진행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서버가 상기 제 2 소프트웨어를 상기 사물 통신 장치 또는 사물 통신 게이트웨이에게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소프트웨어의 기능에 따라 통신사업자용 원격소프트웨어 제어 서버 또는 응용소프트웨어 원격소프트웨어 제어서버에 구분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통신 사업자용 원격 소프트웨어 제어 서버 또는 응용소프트웨어 원격소프트웨어 제어서버에서 상기 제 2 소프트웨어를 상기 사물통신장치 또는 상기 사물통신 게이트웨이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통신에서 원격 소프트웨어를 분리 업그레이드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서버가 상기 사물 통신에 적용된 통신망의 통신 사업자(M2M Service Provider)인 경우, 상기 제 2 서버는 상기 사물 통신 장치 또는 사물 통신 게이트웨이를 제조한 제조사(Manufacturer), 또는 상기 제 1 소프트웨어를 생성한 응용 제공자(Application Provider)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통신에서 원격 소프트웨어를 분리 업그레이드하는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서버가 상기 사물 통신 장치 또는 사물 통신 게이트웨이를 제조한 제조사(Manufacturer), 또는 상기 제 1 소프트웨어를 생성한 응용 제공자(Application Provider) 중 어느 하나인 경우, 상기 제 2 서버는 상기 사물 통신에 적용된 통신망의 통신 사업자(M2M Service Provid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통신에서 원격 소프트웨어를 분리 업그레이드하는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사물 통신 장치 또는 상기 사물 통신 게이트웨이는 상기 제 1 소프트웨어의 수정 또는 업그레이드를 위하여 권한 제어 서버에 상기 수정 또는 업그레이드의 권한을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물통신에서 원격 소프트웨어를 분리 업그레이드하는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소프트웨어가 상기 사물 통신 장치 또는 사물 통신 게이트웨이의 네트워킹의 성능 향상을 위한 소프트웨어인 경우, 상기 제 1 서버가 상기 제 2 소프트웨어를 상기 통신사업자용 원격소프트웨어 제어 서버에 저장하며,
    상기 통신 사업자용 원격 소프트웨어 제어 서버는 상기 제 2 소프트웨어를 상기 사물통신장치 또는 상기 사물통신 게이트웨이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통신에서 원격 소프트웨어를 분리 업그레이드하는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소프트웨어를 상기 통신사업자용 원격소프트웨어 제어 서버에 저장하는 단계 이후에 사물통신서버의 제어에 따라 업그레이드할 시간 또는 업그레이드할 대상이 되는 상기 사물통신장치 또는 상기 사물통신 게이트웨이에 상기 제 2 소프트웨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물통신에서 원격 소프트웨어를 분리 업그레이드하는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소프트웨어가 상기 사물 통신 장치 또는 사물 통신 게이트웨이의 어플리케이션의 성능 향상을 위한 소프트웨어인 경우, 상기 제 1 서버가 상기 제 2 소프트웨어를 상기 제 2 소프트웨어를 응용소프트웨어 원격소프트웨어 제어서버에 저장하며,
    상기 응용소프트웨어 원격 소프트웨어 제어 서버는 사물통신서버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 2 소프트웨어를 상기 사물통신장치 또는 상기 사물통신 게이트웨이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통신에서 원격 소프트웨어를 분리 업그레이드하는 방법.
  8. 둘 이상의 사물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사물 통신(Machine to Machine Communication)의 기능을 수행하는 사물 통신 장치(M2M Device) 또는 상기 사물 통신에서 게이트웨이(M2M Gateway) 기능을 수행하는 사물 통신 게이트웨이에 설치된 제 1 소프트웨어의 수정 또는 업그레이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소프트웨어의 수정 또는 업그레이드를 위한 제 2 소프트웨어를 제 1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한 제 2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소프트웨어를 수정 또는 업그레이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수정 또는 업그레이드는 상기 사물 통신 장치 또는 사물 통신 게이트웨이에 설치된 제 3 소프트웨어와 분리되어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 1 서버는 상기 제 3 소프트웨어의 업그레이드를 수행하는 제 2 서버와 상이한 개체이고,
    상기 제 2 소프트웨어가 상기 사물 통신 장치 또는 사물 통신 게이트웨이의 네트워킹의 성능 향상을 위한 소프트웨어인 경우, 상기 제 2 소프트웨어를 상기 제 1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는
    통신 사업자용 원격 소프트웨어 제어 서버로부터 상기 제 2 소프트웨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통신에서 원격 소프트웨어를 분리 업그레이드하는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서버가 상기 사물 통신에 적용된 통신망의 통신 사업자(M2M Service Provider)인 경우, 상기 제 2 서버는 상기 사물 통신 장치 또는 사물 통신 게이트웨이를 제조한 제조사(Manufacturer), 또는 상기 제 1 소프트웨어를 생성한 응용 제공자(Application Provider)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통신에서 원격 소프트웨어를 분리 업그레이드하는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서버가 상기 사물 통신 장치 또는 사물 통신 게이트웨이를 제조한 제조사(Manufacturer), 또는 상기 제 1 소프트웨어를 생성한 응용 제공자(Application Provider) 중 어느 하나인 경우, 상기 제 2 서버는 상기 사물 통신에 적용된 통신망의 통신 사업자(M2M Service Provid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통신에서 원격 소프트웨어를 분리 업그레이드하는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사물 통신 장치 또는 상기 사물 통신 게이트웨이는 상기 제 1 소프트웨어의 수정 또는 업그레이드를 위하여 권한 제어 서버에 상기 수정 또는 업그레이드의 권한을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물통신에서 원격 소프트웨어를 분리 업그레이드하는 방법.
  12. 삭제
  13.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소프트웨어가 상기 사물 통신 장치 또는 사물 통신 게이트웨이의 어플리케이션의 성능 향상을 위한 소프트웨어인 경우, 상기 제 2 소프트웨어를 상기 제 1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는
    사물통신서버의 제어에 따라 응용소프트웨어 원격 소프트웨어 제어 서버로부터 상기 제 2 소프트웨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물통신에서 원격 소프트웨어를 분리 업그레이드하는 방법.
  14.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소프트웨어를 상기 제 1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통신 가능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물통신에서 원격 소프트웨어를 분리 업그레이드하는 방법.
  15.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소프트웨어를 수정 또는 업그레이드한 결과를 원격 소프트웨어 제어 서버 또는 권한 제어 서버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물통신에서 원격 소프트웨어를 분리 업그레이드하는 방법.
  16. 둘 이상의 사물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사물 통신(Machine to Machine Communication)의 기능을 수행하는 사물 통신 장치(M2M Device) 또는 사물 통신에서 게이트웨이 기능을 수행하는 사물 통신 게이트웨이(M2M Gateway)에 설치된 소프트웨어의 업그레이드를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사물 통신 장치 또는 사물 통신 게이트웨이에 설치된 제 1 소프트웨어의 수정 또는 업그레이드를 위한 제 2 소프트웨어를 저장하는 업그레이드/수정 저장부;
    상기 저장된 제 1 소프트웨어의 수정 또는 업그레이드를 위하여 권한 제어 서버에 상기 수정 또는 업그레이드의 권한을 확인하는 인증부; 및
    상기 사물 통신 장치 또는 사물 통신 게이트웨이에 상기 제 2 소프트웨어를 송신하는 통신 처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정 또는 업그레이드는 상기 사물 통신 장치 또는 사물 통신 게이트웨이에 설치된 제 3 소프트웨어의 업그레이드를 수행하는 장치와 상이한 장치에서 진행되며,
    상기 통신 처리부는,
    상기 제 2 소프트웨어의 기능에 따라 통신사업자용 원격소프트웨어 제어 서버 또는 응용소프트웨어 원격소프트웨어 제어서버로 구분하여 상기 제 2 소프트웨어를 송신하며, 상기 통신 사업자용 원격 소프트웨어 제어 서버 또는 응용소프트웨어 원격소프트웨어 제어서버에서 상기 제 2 소프트웨어를 상기 사물통신장치 또는 상기 사물통신 게이트웨이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7. 둘 이상의 사물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사물 통신(Machine to Machine Communication)의 기능을 수행하는 사물 통신 장치 또는 사물 통신에서 게이트웨이 기능을 수행하는 사물 통신 게이트웨이에 설치된 소프트웨어의 업그레이드를 수행하기 위하여,
    제 1 소프트웨어가 설치되며, 사물 통신을 수행하거나 또는 게이트웨이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에 있어서,
    제 1 서버로부터 상기 제 1 소프트웨어의 수정 또는 업그레이드를 위한 제 2 소프트웨어를 수신하는 업그레이드/수정 제어부; 및
    상기 수신한 제 2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소프트웨어를 수정 또는 업그레이드하는 업그레이드/수정 처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서버는 상기 사물 통신 장치 또는 사물 통신 게이트웨이에 설치된 제 3 소프트웨어의 업그레이드를 수행하는 제 2 서버와 상이한 개체이고,
    상기 업그레이드/수정 제어부는,
    상기 제 2 소프트웨어의 기능에 따라 통신사업자용 원격소프트웨어 제어 서버 또는 응용소프트웨어 원격소프트웨어 제어서버 중 어느 하나의 제어서버로부터 상기 제 2 소프트웨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업그레이드/수정 처리부는 소프트에어 저장 공간의 분할 식별정보(Partition identifier), 경로 정보, 소프트웨어 변경 일자 또는 시간 정보, 소프트웨어의 크기, 소프트웨어의 이름 또는 버전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업그레이드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9. 둘 이상의 사물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사물 통신(Machine to Machine Communication)의 기능을 수행하는 사물 통신 장치(M2M Device) 또는 상기 사물 통신에서 게이트웨이 기능을 수행하는 사물 통신 게이트웨이(M2M Gateway)에 설치된 소프트웨어의 업그레이드를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사물 통신 장치와 상기 사물 통신 게이트웨이와 서버로 구성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사물 통신 장치 또는 상기 사물 통신 게이트웨이에 설치된 제 1 소프트웨어의 수정 또는 업그레이드를 위한 제 2 소프트웨어를 제 1 서버가 상기 사물 통신 장치 또는 사물 통신 게이트웨이에게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물 통신 장치 또는 상기 사물 통신 게이트웨이는 상기 수신한 제 2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소프트웨어를 수정 또는 업그레이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서버는 상기 사물 통신 장치 또는 상기 사물 통신 게이트웨이에 설치된 제 3 소프트웨어의 업그레이드를 수행하는 제 2 서버와 상이한 개체이며,
    상기 제 1 서버가 상기 제 2 소프트웨어를 상기 사물 통신 장치 또는 사물 통신 게이트웨이에게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소프트웨어의 기능에 따라 통신사업자용 원격소프트웨어 제어 서버 또는 응용소프트웨어 원격소프트웨어 제어서버에 구분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통신 사업자용 원격 소프트웨어 제어 서버 또는 응용소프트웨어 원격소프트웨어 제어서버에서 상기 제 2 소프트웨어를 상기 사물통신장치 또는 상기 사물통신 게이트웨이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물통신에서 원격 소프트웨어를 분리 업그레이드하는 방법.
  20. 하나 이상의 사물 통신 장치 또는 사물 통신 게이트웨이에 설치된 제 1 소프트웨어의 수정 또는 업그레이드를 위한 제 2 소프트웨어를 저장하는 업그레이드/수정 저장부;
    상기 저장된 제 1 소프트웨어의 수정 또는 업그레이드를 위하여 권한 제어 서버에 상기 수정 또는 업그레이드의 권한을 확인하는 인증부; 및
    상기 사물 통신 장치 또는 사물 통신 게이트웨이에 상기 제 2 소프트웨어를 송신하는 통신 처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정 또는 업그레이드는 상기 사물 통신 장치 또는 사물 통신 게이트웨이에 설치된 제 3 소프트웨어와 분리되어 진행되고,
    상기 통신 처리부는,
    상기 제 2 소프트웨어의 기능에 따라 통신사업자용 원격소프트웨어 제어 서버 또는 응용소프트웨어 원격소프트웨어 제어서버로 구분하여 상기 제 2 소프트웨어를 송신하며, 상기 통신 사업자용 원격 소프트웨어 제어 서버 또는 응용소프트웨어 원격소프트웨어 제어서버에서 상기 제 2 소프트웨어를 상기 사물통신장치 또는 상기 사물통신 게이트웨이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1. 제 1 소프트웨어가 설치되며, 사물 통신을 수행하거나 또는 게이트웨어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에 있어서,
    통신 사업자용 원격 소프트웨어 제어서버 또는 응용소프트웨어 원격소프트웨어 제어서버로부터 상기 제 1 소프트웨어의 수정 또는 업그레이드를 위한 제 2 소프트웨어를 수신하는 업그레이드/수정 제어부; 및
    상기 수신한 제 2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소프트웨어를 수정 또는 업그레이드하는 업그레이드/수정 처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정 또는 업그레이드는 상기 사물 통신 장치 또는 사물 통신 게이트웨이에 설치된 제 3 소프트웨어와 분리되어 진행되고,
    상기 업그레이드/수정 제어부는,
    상기 제 2 소프트웨어의 기능에 따라 통신사업자용 원격소프트웨어 제어 서버 또는 응용소프트웨어 원격소프트웨어 제어서버 중 어느 하나의 제어서버로부터 상기 제 2 소프트웨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업그레이드/수정 처리부는 소프트에어 저장 공간의 분할 식별정보(Partition identifier), 경로 정보, 소프트웨어 변경 일자 또는 시간 정보, 소프트웨어의 크기, 소프트웨어의 이름 또는 버전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업그레이드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110044469A 2011-03-30 2011-05-12 사물통신에서 원격 소프트웨어를 분리 업그레이드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5912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004,453 US20140007076A1 (en) 2011-03-30 2012-03-14 Separate upgrade/modification of remote software in machine to machine communication
PCT/KR2012/001856 WO2012134080A2 (ko) 2011-03-30 2012-03-14 사물 통신에서 원격 소프트웨어를 분리 업그레이드하는 방법 및 장치
EP12764644.6A EP2677440A4 (en) 2011-03-30 2012-03-14 METHOD AND APPARATUS FOR SEPARATION TO UPGRADE REMOTE SOFTWARE IN M2M COMMUNIC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029115 2011-03-30
KR1020110029115 2011-03-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1852A KR20120111852A (ko) 2012-10-11
KR101591289B1 true KR101591289B1 (ko) 2016-02-04

Family

ID=47282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4469A KR101591289B1 (ko) 2011-03-30 2011-05-12 사물통신에서 원격 소프트웨어를 분리 업그레이드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128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39740A1 (en) * 2017-08-22 2019-02-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UPDATE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SAID METHOD
WO2023229058A1 (ko) * 2022-05-24 2023-1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홈 어플라이언스 및 그 동작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8787A (ko) 2012-11-05 2015-08-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특정 리소스에 대한 정보 갱신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2029285B1 (ko) * 2013-04-01 2019-10-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센서네트워크의 대규모 데이터 수집 장치 및 방법
CN105409189B (zh) * 2013-06-24 2019-07-30 中兴通讯(美国)公司 用于在m2m节点上支持多个m2m服务供应商的方法和装置
CN109683934A (zh) * 2018-12-21 2019-04-26 北京电子工程总体研究所 一种返回式卫星的星上软件参数远程固化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73779A1 (en) 1996-06-07 2005-12-08 William Cheng Automatic updating of diverse software products on multiple client computer system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73779A1 (en) 1996-06-07 2005-12-08 William Cheng Automatic updating of diverse software products on multiple client computer system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39740A1 (en) * 2017-08-22 2019-02-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UPDATE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SAID METHOD
US10805293B2 (en) 2017-08-22 2020-10-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update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WO2023229058A1 (ko) * 2022-05-24 2023-1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홈 어플라이언스 및 그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1852A (ko) 2012-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77440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parating in order to upgrade software remotely in m2m communication
RU2595904C2 (ru) Способы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рупномасштабного распространения электронных клиентов доступа
KR101591289B1 (ko) 사물통신에서 원격 소프트웨어를 분리 업그레이드하는 방법 및 장치
EP3337219B1 (en) Carrier configuration processing method, device and system, and computer storage medium
US20190181901A1 (en) Local profile assistant and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US20150220319A1 (en) Method and System for Updating a Firmware of a Security Module
KR102557240B1 (ko) 보안 요소에 프로파일을 로딩하기 위한 방법, 관리자 및 개인맞춤화가능한 보안 요소
CN105302563A (zh) 移动应用服务的插件化方法及系统
CN109716805A (zh) 一种签约数据集的安装方法、终端及服务器
KR102510403B1 (ko) Capif 코어 기능 엔티티에 api 제공자 도메인 기능 엔티티들을 등록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N112514328B (zh) 通信系统、提供商节点、通信节点以及用于向客户节点提供虚拟网络功能的方法
US1196326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vering profile in case of device change failure
US11272370B2 (en) Method for managing profiles in embedded universal integrated circuit cards
US11930558B2 (en) Method for providing subscription profiles, subscriber identity module and subscription server
JP2023519997A (ja) 端末パラメータ更新を保護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通信装置
US7502367B2 (en) Method for providing a program module in a communications system
KR101901802B1 (ko) IoT 기반의 다운로드 OTA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N101917399B (zh) 一种智能卡应用的部署方法、系统及安全模块
CN111418181B (zh) 共享数据处理方法、通信装置及通信设备
KR101518165B1 (ko) Nsrm 제공 시스템, 영업전산서버, 단말관리서버, 및 그 nsrm 정책 처리방법
KR101602186B1 (ko) 푸시 서버 클라우드 및 이를 이용한 통신 서비스 제공 방법
CN105554145A (zh) 信息共享方法、装置和系统
CN116709280A (zh) 蓝牙mesh网关的处理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15529143A (zh) 通信方法、装置、相关设备及存储介质
US20150033284A1 (en)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multiple-drm ser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