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1249B1 - 단위 집광 모듈의 테스트 장치 - Google Patents

단위 집광 모듈의 테스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1249B1
KR101591249B1 KR1020140137385A KR20140137385A KR101591249B1 KR 101591249 B1 KR101591249 B1 KR 101591249B1 KR 1020140137385 A KR1020140137385 A KR 1020140137385A KR 20140137385 A KR20140137385 A KR 20140137385A KR 101591249 B1 KR101591249 B1 KR 1015912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rod
lens
rail
toot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73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식
강성원
유상열
Original Assignee
(주) 비제이파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비제이파워 filed Critical (주) 비제이파워
Priority to KR10201401373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12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12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12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50/00Monitoring or testing of PV systems, e.g. load balancing or fault identification
    • H02S50/10Testing of PV devices, e.g. of PV modules or single PV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단위 집광 모듈의 테스트 장치가 개시된다. 수직 방향으로 고정되어 세워지는 높이 조절 막대; 단위 집광 모듈의 초점 거리를 mm 단위로 조정할 수 있도록 상기 높이 조절 막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며 체결되는 체결 부재; 상기 체결 부재로부터 일측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구비되는 렌즈; 상기 높이 조절 막대의 하단으로부터 일측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렌즈의 하방 바닥면에 구비되며 상기 단위 집광 모듈을 결합 고정하는 단위 집광 모듈 고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단위 집광 모듈 고정 부재는, 상기 결합 고정된 단위 집광 모듈의 위치를 전, 후, 좌 또는 우의 수평 방향으로 이동 조정하여 상기 렌즈에 의해 집광되는 태양광의 초점을 조절하도록 구성된다. 상술한 구성에 의하면, 렌즈와 단위 집광 모듈간의 초점 거리를 조정하고 단위 집광 모듈과 렌즈간의 정확한 위치 조정을 통해 최적의 발전 효율을 갖는 거리와 위치를 찾아내고 테스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간단하고 편리한 기구적 구조물에 의해 실내는 물론 실외에서도 테스트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으며, 직달 일사량계를 설치하여 일사량과 셀의 I-V 곡선을 산출하고 최적의 발전 효율을 얻을 수 있는 설치 조건을 찾아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단위 집광 모듈의 테스트 장치{TEST APPARATUS OF UNIT SOLAR CONDENSATION MODULE}
본 발명은 테스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단위 집광 모듈의 테스트 장치에 관한 것이며, 좀 더 구체적으로는 태양 광을 집중하는 단위 집광 모듈의 최적의 초점 거리와 성능을 테스트하기 위한 단위 집광 모듈의 테스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에너지 부족 문제와 환경 문제가 국내외 모두 심각하게 대두되면서 탄소의 배출이 없이 부족함없이 얻을 수 있는 태양 전지 모듈이 점점 각광을 받고 있다.
태양 전지 모듈은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기 에너지를 생성하는 것으로서, 태양 전지 모듈의 다중 셀(cell)에 태양광을 직접 입사시키는 방식과 다중 셀의 전단에 반사체 등을 설치하여 태양광을 집광하는 방식이 있다.
집광형 태양 전지의 경우 그 발전 효율이 직사형 태양 전지보다는 낮은 편인데, 그러한 이유는 집광형 태양 전지의 발전 효율은 원래의 발전 효율에 투과율이라든가 반사율을 적용하여 그 발전 효율이 낮아지기 때문이다.
직사형 태양 전지의 발전 효율이 약 15% 수준이라고 할 때 집광형 태양 전지의 발전 효율은 투과율이나 반사율이 90% 정도가 되더라도 그 발전 효율이 13.5%에 그치게 된다. 이러한 집광형 태양 전지는 설치물의 구조적인 특성이나 여러가지 필요에 따라 많이 사용되고 있는 편이다.
집광형 태양 전지인데, 이러한 발전 효율을 조금이라도 더 높이기 위해 집광형 태양 전지의 상부에 프레넬 렌즈(Fresnel Lenses)를 설치하여 태양광을 500배 이상으로 집중하는 방식을 이용하기도 한다.
프레넬 렌즈를 이용하는 경우 집광형 태양 전지의 성능은 프레넬 렌즈와 태양 전지와의 높이 간격에 따라 좌우되는 문제점이 있다. 프레넬 렌즈의 초점이 태양 전지와 맞지 않아 집광 효율이 떨어지거나 태양 전지에 균일하게 태양광이 조사되지 않는 등의 문제로 인해 프레넬 렌즈를 효과적으로 사용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그러므로, 프레넬 렌즈와 집광형 태양 전지간에 발전 효율을 최적화시킬 수 있는 높이 간격과 집광형 태양 전지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고 테스트할 수 있는 수단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태양 전지 검사 장치들은 이러한 초점 거리와 위치에 따른 발전 효율을 고려하지 않고 있다.
공개특허공보 10-2010-0010984 또는 10-2014-0103100은 태양 전지 모듈을 테스트하는 장치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으나, 그 어떤 테스트 장비도 태양 전지의 집광 효율을 높이기 위한 초점 거리라든가 정확한 위치의 설정에 대해서는 전혀 개시하거나 암시하고 있지 않다.
10-2010-0010984 10-2014-0103100
본 발명의 목적은 단위 집광 모듈의 테스트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에 따른 단위 집광 모듈의 테스트 장치는, 수직 방향으로 고정되어 세워지는 높이 조절 막대; 단위 집광 모듈의 초점 거리를 mm 단위로 조정할 수 있도록 상기 높이 조절 막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며 체결되는 체결 부재; 상기 체결 부재로부터 일측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구비되는 렌즈; 상기 높이 조절 막대의 하단으로부터 일측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렌즈의 하방 바닥면에 구비되며 상기 단위 집광 모듈을 결합 고정하는 단위 집광 모듈 고정 부재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단위 집광 모듈 고정 부재는, 상기 결합 고정된 단위 집광 모듈의 위치를 전, 후, 좌 또는 우의 수평 방향으로 이동 조정하여 상기 렌즈에 의해 집광되는 태양광의 초점을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위 집광 모듈 고정 부재는, 상기 높이 조절 막대의 하단으로부터 일측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바닥면에 구비되는 하부 고정판; 상기 하부 고정판의 중앙 상부에 구비되며 일측면에 제1 톱니 형상 레일이 구비되는 사각형 중간판; 하부면이 상기 사각형 중간판의 일측면에 구비된 제1 톱니 형상 레일을 따라 mm 단위로 이동하여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상부 이동; 일측면에 제2 톱니 형상 레일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 이동판의 상부면에 슬라이드 결합되어 상기 제2 톱니 형상 레일을 따라 mm 단위로 이동하여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부면 중앙에 상기 단위 집광 모듈을 끼워 고정하기 위한 단위 집광 모듈 설치홈이 형성되는 단위 집광 모듈 설치판; 상기 상부 이동판을 수직 관통하여 결합되며, 상기 상부 이동판이 상기 제1 톱니 형상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제1 톱니 형상 레일과 맞물려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제1 톱니 바퀴와, 상기 상부 이동판이 상기 제2 톱니 형상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제2 톱니 형상 레일과 맞물려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제2 톱니 바퀴를 구비하는 수평 방향 조절 막대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평 방향 조절 막대는, 상기 제1 톱니 바퀴를 회전시키기 위해 상단에 구비되는 제1 손잡이; 상기 제2 톱니 바퀴를 회전시키기 위해 상단에 구비되는 제2 손잡이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평 방향 조절 막대는, 상기 제1 톱니 바퀴 및 상기 제1 손잡이가 제1 봉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제2 톱니 바퀴 및 상기 제2 손잡이가 제2 봉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제2 봉인 내부가 빈 상태로서 상기 제1 봉을 감싸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봉과 상기 제2 봉의 사이에는 볼 베어링(ball bearing)이 구비되어 상기 제1 봉과 상기 제2 봉이 서로 독립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단위 집광 모듈의 테스트 장치에 의하면, 렌즈와 단위 집광 모듈간의 초점 거리를 조정하고 단위 집광 모듈과 렌즈간의 정확한 위치 조정을 통해 최적의 발전 효율을 갖는 거리와 위치를 찾아내고 테스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간단하고 편리한 기구적 구조물에 의해 실내는 물론 실외에서도 테스트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으며, 직달 일사량계를 설치하여 일사량과 셀의 전류-전압 곡선을 산출하여 최적의 발전 효율을 얻을 수 있는 설치 조건을 찾아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 집광 모듈의 테스트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 집광 모듈의 테스트 장치에서 체결 부재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 집광 모듈의 테스트 장치에서 단위 집광 모듈 고정 부재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 집광 모듈의 테스트 장치에서 수평 방향 조절 막대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 집광 모듈의 테스트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 집광 모듈의 테스트 장치(100)는 높이 조절 막대(110), 체결 부재(120), 렌즈(130), 단위 집광 모듈 고정 부재(140)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단위 집광 모듈의 테스트 장치(100)는 집광 방식의 태양 전지 모듈에 이용되는 테스트 장치로서, 렌즈(130)와 단위 집광 모듈(10) 간의 초점 거리 조정이라든가 집광 효율을 높여 발전 효율을 최대화할 수 있는 정확한 두 구성간의 위치 조정을 하여 테스트하도록 구성된다.
단위 집광 모듈의 테스트 장치(100)는 매우 간단한 기구적 구성에 의해 단위 집광 모듈(10)의 집광 효율 및 발전 효율을 테스트할 수 있으며, 실내는 물론 실외에서도 쉽게 테스트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직달 일사량계를 설치하여 현재 일사량을 측정하고 동시에 단위 집광 모듈(10)의 전압-전류(V-I) 곡선을 산출하여 일사량 대비 단위 집광 모듈(10)의 발전 효율과의 관계를 파악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단위 집광 모듈(10)의 성능 개발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렌즈(130)와 단위 집광 모듈(10) 간의 거리 조정에 의한 초점 조절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단위 집광 모듈(10)과 렌즈(130) 간의 정확한 위치 조정에 의해 최적의 발전 효율을 테스트하고 그 정확한 위치도 파악할 수 있다.
이하, 세부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높이 조절 막대(110)는 바닥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고정되어 세워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높이 조절 막대(110) 하단은 도 1에서 보듯이 납작한 넓은 면이 구비될 수 있다.
체결 부재(120)는 높이 조절 막대(110)에 렌즈(130)를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바닥면으로부터 렌즈(130)의 높이를 조절하여 높이 조절 막대(110)에 체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체결 부재(120)는 단위 집광 모듈(10)의 초점 거리를 mm 단위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높이 조절 막대(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며 체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렌즈(130)는 체결 부재(120)로부터 일측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구비될 수 있다.
렌즈(130)는 프레넬 렌즈가 이용될 수 있다. 태양광을 500배정도 집중할 수 있어 발전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단위 집광 모듈 고정 부재(140)는 높이 조절 막대(110)의 하단으로부터 일측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렌즈(130)의 하방 바닥면에 구비될 수 있다.
단위 집광 모듈 고정 부재(140)는 단위 집광 모듈(10)을 결합 고정하거나 그 위에 놓아 단위 집광 모듈(10)이 렌즈(130)와 대향하여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단위 집광 모듈 고정 부재(140)는 결합 고정된 단위 집광 모듈(10)의 위치를 전, 후, 좌 또는 우의 수평 방향으로 이동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단위 집광 모듈 고정 부재(140)는 수평 방향의 미세 이동 조정에 의해 렌즈(130)에 의해 집광되는 단위 집광 모듈(10)의 태양광 초점을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초점 거리가 적정하게 유지되고 렌즈(130)와 단위 집광 모듈(10) 간의 위치가 맞아야 집광 효율이 높아지고 최적의 발전 효율을 가질 수 있다. 테스트 단계에서는 이러한 테스트를 통해 단위 집광 모듈(10)의 물리적인 특성과 효율을 알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 집광 모듈의 테스트 장치에서 체결 부재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체결 부재(120)는 높이 조절 막대(110)를 감싸는 형태로 구성된다.
체결 부재(120)는 수직 방향 조절 막대(121)를 구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수직 방향 조절 막대(121)를 돌려가면서 체결 부재(120) 전체 바디(body)가 높이 조절 막대(110)를 따라 상하로 움직여지면서 고정될 수 있다.
수직 방향 조절 막대(121)의 중간에는 회전 톱니 바퀴(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으며, 높이 조절 막대(110)의 일부 옆면은 회전 톱니 바퀴와 맞물리는 톱니 바퀴 레일(미도시)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에, 수직 방향 조절 막대(121)를 손으로 잡아 회전시키면 회전 톱니 바퀴가 톱니 바퀴 레일과 맞물려 돌아가면서 그 회전 방향에 따라 체결 부재(120)가 상방으로 옮겨가면서 고정되기도하고 하방으로 옮겨가면서 고정되기도 한다.
수직 방향 조절 막대(121)의 수동 조작에 따라 체결 부재(120)가 아래 위로 움직여가면서 고정되며, 궁극적으로는 체결 부재(120)에 연결된 렌즈(130)가 상하로 움직이면서 초점 거리가 조절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 집광 모듈의 테스트 장치에서 단위 집광 모듈 고정 부재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단위 집광 모듈 고정 부재(140)는 하부 고정판(141), 사각형 중간판(142), 상부 이동판(143), 단위 집광 모듈 설치판(144), 수평 방향 조절 막대(145)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 세부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하부 고정판(141)은 높이 조절 막대(110)의 하단으로부터 일측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바닥면에 구비될 수 있다.
사각형 중간판(142)은 하부 고정판(141)의 중앙 상부에 구비되며 일측면에 제1 톱니 형상 레일(142a)이 구비되고 그 타측면에는 슬라이드 결합편(142b)이 구비될 수 있다.
상부 이동판(143)은 그 하부면이 사각형 중간판(142)의 일측면에 구비된 제1 톱니 형상 레일(142a)을 따라 mm 단위로 이동하여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부 이동판(143)은 그 하부면이 사각형 중간판(142)의 타측면에 구비된 슬라이드 결합편(142b)과 결합 가능하도록 슬라이드 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단위 집광 모듈 설치판(144)은 단위 집광 모듈(10)을 그 상부면에 고정시킬 수 있는 구성으로서, 단위 집광 모듈(10)과 렌즈(130)와의 초점 거리나 그 대향하는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구성이다.
단위 집광 모듈 설치판(144)은 그 일측면에 제2 톱니 형상 레일(144a)이 형성되며 그 타측면에는 슬라이드 결합편(144b)이 형성될 수 있다.
단위 집광 모듈 설치판(144)은 상부 이동판(143)의 상부면에 슬라이드 결합편(144b)을 통해 슬라이드 결합되고 제2 톱니 형상 레일(144a)을 따라 mm 단위로 이동하여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단위 집광 모듈 설치판(144)의 상부면 중앙에는 단위 집광 모듈(10)을 끼워 고정하기 위한 단위 집광 모듈 설치홈(144c)이 형성될 수 있다. 단위 집광 모듈 설치홈(144c)에 단위 집광 모듈(10)이 끼워져 고정될 수 있으며, 단위 집광 모듈(10)이 단위 집광 모듈 설치홈(144c)에 고정되면 단위 집광 모듈 설치판(144)과 일체가 되어 전,후,좌,우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된다.
이처럼 상부 이동판(143)의 이동과 단위 집광 모듈 설치판(144)의 이동에 다라 단위 집광 모듈(10)도 전, 후, 좌, 우의 수평 방향으로 모두 미세 이동 가능할 수 있다.
수평 방향 조절 막대(145)는 상부 이동판(143)을 수직 관통하여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수평 방향 조절 막대(145)의 구성 중에서 제1 손잡이(145c)와 제2 손잡이(145d)가 상단에 구비되어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손잡이(145c)와 제2 손잡이(145d)를 각각 손으로 잡아 회전시키면 상부 이동판(143)과 단위 집광 모듈 설치판(144)이 각각 미세 조정되어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 집광 모듈의 테스트 장치에서 수평 방향 조절 막대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평 방향 조절 막대(145)는 제1 톱니 바퀴(145a), 제2 톱니 바퀴(145b), 제1 손잡이(145c), 제2 손잡이(145d), 제1 봉(145e), 제2 봉(145f)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톱니 바퀴(145a)와 제1 손잡이(145c) 그리고 이들을 연결하는 제1 봉(145e)이 하나의 일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2 톱니 바퀴(145b)와 제2 손잡이(145d) 그리고 이들을 연결하는 제2 봉(145f)이 또 하나의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봉(145e)은 제2 봉(145f)보다 그 지름이 작고 제1 봉(145e)은 제2 봉(145f)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1 봉(145e)과 제2 봉(145f) 사이에는 볼 베어링이 다수 구비되어 있어, 제1 봉(145e)과 제2 봉(145f)이 각각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가 제1 손잡이(145c)를 수동으로 회전시키면 제1 봉(145e)과 연결된 제1 톱니 바퀴(145a)가 회전하게 되며 제2 손잡이(145d)를 수동으로 회전시키면 제2 봉(145f)과 연결된 제2 톱니 바퀴(145b)가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톱니 바퀴(145a)가 회전하면 제1 톱니 바퀴(145a)와 맞물린 제1 톱니 형상 레일(142a)을 따라 제1 톱니 바퀴(145a)가 이동하면서 상부 이동판(144)이 미세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톱니 바퀴(145b)가 회전하면 제2 톱니 바퀴(145b)와 맞물린 제2 톱니 형상 레일(144a)을 따라 제2 톱니 바퀴(145b)가 이동하면서 단위 집광 모듈 설치판(144)이 미세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높이 조절 막대 120: 체결 부재
121: 수직 방향 조절 막대 130: 렌즈
140: 단위 집광 모듈 고정 부재 141: 하부 고정판
142: 사각형 중간판 142a: 제1 톱니 형상 레일
142b: 슬라이드 결합편 143: 상부 이동판
144: 단위 집광 모듈 설치판 144a: 제2 톱니 형상 레일
144b: 슬라이드 결합편 144c: 단위 집광 모듈 설치홈
145: 수평 방향 조절 막 145a: 제1 톱니 바퀴
145b: 제2 톱니 바퀴 145c: 제1 손잡이
145d: 제2 손잡이 145e: 제1 봉
145f: 제2 봉

Claims (4)

  1. 수직 방향으로 고정되어 세워지는 높이 조절 막대(110);
    단위 집광 모듈(10)의 초점 거리를 mm 단위로 조정할 수 있도록 상기 높이 조절 막대(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며 체결되는 체결 부재(120);
    상기 체결 부재(120)로부터 일측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구비되는 렌즈(130);
    상기 높이 조절 막대(110)의 하단으로부터 일측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렌즈(130)의 하방 바닥면에 구비되며 상기 단위 집광 모듈(10)을 결합 고정하는 단위 집광 모듈 고정 부재(140)를 포함하고,
    상기 단위 집광 모듈 고정 부재(140)는,
    상기 결합 고정된 단위 집광 모듈(10)의 위치를 전, 후, 좌 또는 우의 수평 방향으로 이동 조정하여 상기 렌즈(130)에 의해 집광되는 태양광의 초점을 조절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단위 집광 모듈 고정 부재(140)는,
    상기 높이 조절 막대(110)의 하단으로부터 일측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바닥면에 구비되는 하부 고정판(141);
    상기 하부 고정판(141)의 중앙 상부에 구비되며 일측면에 제1 톱니 형상 레일(142a)이 구비되는 사각형 중간판(142);
    하부면이 상기 사각형 중간판(142)의 일측면에 구비된 제1 톱니 형상 레일(142a)을 따라 mm 단위로 이동하여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상부 이동판(143);
    일측면에 제2 톱니 형상 레일(144a)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 이동판(143)의 상부면에 슬라이드 결합되어 상기 제2 톱니 형상 레일(144a)을 따라 mm 단위로 이동하여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부면 중앙에 상기 단위 집광 모듈(10)을 끼워 고정하기 위한 단위 집광 모듈 설치홈(144c)이 형성되는 단위 집광 모듈 설치판(144);
    상기 상부 이동판(143)을 수직 관통하여 결합되며, 상기 상부 이동판(143)이 상기 제1 톱니 형상 레일(142a)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제1 톱니 형상 레일(142a)과 맞물려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제1 톱니 바퀴(145a)와, 상기 상부 이동판(143)이 상기 제2 톱니 형상 레일(144a)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제2 톱니 형상 레일(143a)과 맞물려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제2 톱니 바퀴(145b)를 구비하는 수평 방향 조절 막대(145)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 방향 조절 막대(145)는,
    상기 제1 톱니 바퀴(145a)를 회전시키기 위해 상단에 구비되는 제1 손잡이(145c);
    상기 제2 톱니 바퀴(145b)를 회전시키기 위해 상단에 구비되는 제2 손잡이(145d)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수평 방향 조절 막대(145)는,
    상기 제1 톱니 바퀴(145a) 및 상기 제1 손잡이(145c)가 제1 봉(145e)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제2 톱니 바퀴(145b) 및 상기 제2 손잡이(145d)가 제2 봉(145f)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제2 봉(145f)인 내부가 빈 상태로서 상기 제1 봉(145e)을 감싸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봉(145e)과 상기 제2 봉(145f)의 사이에는 볼 베어링(ball bearing)이 구비되어 상기 제1 봉(145e)과 상기 제2 봉(145f)이 서로 독립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체결 부재(120)는 상기 높이 조절 막대(110)를 감싸는 형태로 구성되고, 수직 방향 조절 막대(121)를 구비하며, 상기 수직 방향 조절 막대(121)를 돌려가면서 상기 체결 부재(120)가 높이 조절 막대(110)를 따라 상하로 움직여지면서 고정되고,
    상기 수직 방향 조절 막대(121)의 중간에는 회전 톱니바퀴가 구비되고, 높이 조절 막대(110)의 일부 옆면은 상기 회전 톱니바퀴와 맞물리는 톱니바퀴 레일이 형성되며,
    상기 수직 방향 조절 막대(121)를 손으로 잡아 회전시키면 상기 회전 톱니바퀴가 상기 톱니바퀴 레일과 맞물려 돌아가면서 그 회전 방향에 따라 체결 부재(120)가 상방 또는 하방으로 옮겨가면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위 집광 모듈의 테스트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40137385A 2014-10-13 2014-10-13 단위 집광 모듈의 테스트 장치 KR1015912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7385A KR101591249B1 (ko) 2014-10-13 2014-10-13 단위 집광 모듈의 테스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7385A KR101591249B1 (ko) 2014-10-13 2014-10-13 단위 집광 모듈의 테스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1249B1 true KR101591249B1 (ko) 2016-02-04

Family

ID=55356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7385A KR101591249B1 (ko) 2014-10-13 2014-10-13 단위 집광 모듈의 테스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124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57220A (zh) * 2016-10-12 2017-01-25 福州大学 一种分布式光伏组串及组件iv特性曲线在线测量系统
KR101783032B1 (ko) * 2016-02-16 2017-11-06 고광대 태양광 증류수 제조 시스템
KR101850915B1 (ko) * 2017-01-04 2018-04-23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직달일사 관측용 태양추적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2330B1 (ko) * 2011-03-02 2012-05-17 (주) 비제이파워 태양 집광 장치의 성능 시험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2330B1 (ko) * 2011-03-02 2012-05-17 (주) 비제이파워 태양 집광 장치의 성능 시험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3032B1 (ko) * 2016-02-16 2017-11-06 고광대 태양광 증류수 제조 시스템
CN106357220A (zh) * 2016-10-12 2017-01-25 福州大学 一种分布式光伏组串及组件iv特性曲线在线测量系统
KR101850915B1 (ko) * 2017-01-04 2018-04-23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직달일사 관측용 태양추적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5158149U (zh) 一种太阳能追踪装置
Helwa et al. Maximum collectable solar energy by different solar tracking systems
US8592738B1 (en) Alignment device for use with a solar tracking photovoltaic array
KR101591249B1 (ko) 단위 집광 모듈의 테스트 장치
US20140192186A1 (en) Solar heat power generation system and detection device for condenser reflecting surface thereof
US20150022915A1 (en) Dish-type solar concentration device
CN108540063A (zh) 一种角度可调的太阳能光伏板支架
KR101322965B1 (ko) 태양집광판의 각도조절장치
CN101871811B (zh) 聚光集热管的辐照测量装置及其扫描分析方法
MY152704A (en) Electricity generating apparatus using solar power
CN101609845B (zh) 可调式太阳能电池板支架
CN101922999B (zh) 一种室内光路测试系统
KR101652243B1 (ko) 태양광 감지장치 및 이를 갖는 태양광 트랙커
CN105043537A (zh) 户用光伏组件跟踪的平顶三棱锥形传感器
CN112880819A (zh) 一种单传感器多功能太阳辐射测量装置及其测量方法
CN111781957A (zh) 一种太阳自动跟踪装置及控制方法
CN208143151U (zh) 可调节的太阳能光伏板安装架
CN211720508U (zh) 一种太阳能光伏发电装置
CN205748647U (zh) 红外成像光学调试装置
CN105322873B (zh) 一种带光检测的太阳能板
CN212343696U (zh) 一种适用于多种地形的太阳能光伏板
CN210469201U (zh) 一种适用性广泛的光伏发电安装用底座
CN105048963B (zh) 一种低倍聚光组件的室内测试系统
CN217159600U (zh) 一种光伏发电场建设施工用支撑装置
Simfukwe et al. Using structured aluminum reflectors in flux scattering on module performa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