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0752B1 - 신발 밑창 - Google Patents

신발 밑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0752B1
KR101590752B1 KR1020150115389A KR20150115389A KR101590752B1 KR 101590752 B1 KR101590752 B1 KR 101590752B1 KR 1020150115389 A KR1020150115389 A KR 1020150115389A KR 20150115389 A KR20150115389 A KR 20150115389A KR 101590752 B1 KR101590752 B1 KR 1015907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ikes
elastic member
elastic
outsole
mids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53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호동
Original Assignee
성호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호동 filed Critical 성호동
Priority to KR10201501153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07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07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07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22Soles made slip-preventing or wear-resisting, e.g. by impregnation or spreading a wear-resisting laye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42Filling materials located between the insole and outer sole; Stiffening materials

Abstract

본 발명은 신발 밑창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밑창은 중창 본체와 상기 중창 본체에 함몰 형성된 복수의 수용부를 포함하는 중창, 상기 중창 본체와 접합된 겉창 본체와 상기 겉창 본체로부터 연장되어 하방으로 돌출되며 단단한 지면과 접촉하여 가압되면 상기 복수의 수용부에 전부 또는 일부가 독립적으로 수용되는 복수의 스파이크를 포함하는 겉창, 및 상기 복수의 수용부와 상기 복수의 스파이크 사이에 각각 배치된 복수의 다중 탄성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신발 밑창{SHOES SOLES}
본 발명은 신발 밑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접지력과 그립력을 향상시키면서 동시에 반발 탄성력도 함께 향상시킨 신발 밑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발은 사람의 발을 보호하는 것으로, 신발은 사람이 걷거나 달릴 때 발을 외부의 환경으로부터 보호한다. 그런데 사람이 걷거나 달릴 때 발에 걸리는 하중은 상당하다. 압력판을 이용하여 달리기 중의 지면 반발력을 분석해 보면, 지면과 발 사이에서의 수직 압력의 크기는 대략 체중의 2배 내지 3배로 나타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신발 밑창에는 발바닥에 전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키는 기능이 요구되고 있다. 사람이 걷거나 달리기 중에 지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신발 밑창이 충분히 흡수하지 못한다면, 관절에 퇴행적인 변화가 일어나거나 요통의 원인이 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걷거나 달릴 때에 발바닥에 가해지는 상당한 충격을 골격근계에 무리가 가지 않을 정도로 충분히 흡수하기 위하여 신발 밑창은 다양한 완충 부재들을 이용하거나, 신발 밑창 자체의 경도를 낮추어 충격을 흡수하였다.
하지만, 신발 밑창에는 지면에 발을 디딜 때 감소시켜야 하는 충격 흡수성과 지면으로부터 발을 들 때 증대시켜야 하는 반발 탄성이 함께 요구되고 있다. 그런데 신발 밑창이 충격을 흡수할수록 지면 반발력은 감소되므로, 충격 흡수성과 반발 탄성은 이율배반적인 특성이다.
종래의 신발 밑창은 소재가 갖는 충격 흡수성에 의존하여 단순히 완충 역할을 수행하므로, 충격 흡수성이 우수한 소재를 사용하여 신발 밑창을 제조할 경우 신발 밑창의 반발 탄성과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모래, 자갈, 풀 등이 있는 지면의 경우에는 겉창의 그립이 돌출되어야 보행에 도움이 되지만, 반대로 돌출된 그립이 보도블록, 아스팔트, 대리석, 타일 바닥 등과 같이 단단한 지면에서는 오히려 보행에 방해가 되는 요소가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충격 흡수성과 반발 탄성을 동시에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다양한 지면 환경에서도 접지력과 그립력을 향상시킨 신발 밑창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신발 밑창은 중창 본체와 상기 중창 본체에 함몰 형성된 복수의 수용부를 포함하는 중창, 상기 중창 본체와 접합된 겉창 본체와 상기 겉창 본체로부터 연장되어 하방으로 돌출되며 단단한 지면과 접촉하여 가압되면 상기 복수의 수용부에 전부 또는 일부가 독립적으로 수용되는 복수의 스파이크를 포함하는 겉창, 및 상기 복수의 수용부와 상기 복수의 스파이크 사이에 각각 배치된 복수의 다중 탄성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다중 탄성 부재는 상기 복수의 스파이크가 상기 복수의 수용부에 수용되는 정도에 따라 상기 복수의 스파이크에 가해지는 탄성력의 강도를 단계적으로 증감시킬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다중 탄성 부재는 각각 상기 복수의 수용부와 상기 복수의 스파이크에 접촉되어 상기 복수의 스파이크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 탄성 부재와, 상기 복수의 스파이크가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수용부와 상기 복수의 스파이크 중 하나 이상과 이격되며 상기 복수의 스파이크가 상기 복수의 수용부에 전부 또는 일부 수용되면 상기 복수의 스파이크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 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탄성 부재는 중공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 탄성 부재는 상기 제1 탄성 부재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1 탄성 부재와 상기 제2 탄성 부재는 단면이 각각 원형 또는 반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탄성 부재와 상기 제2 탄성 부재는 서로 상이한 탄성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탄성 부재는 상기 제1 탄성 부재보다 상대적으로 고탄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신발 밑창은 충격 흡수성과 반발 탄성을 동시에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다양한 지면 환경에서도 접지력과 그립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밑창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신발 밑창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2의 신발 밑창의 동작 상태를 순차로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적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일러둔다. 도면에 있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치수 및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감소되어 도시되었으며 임의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그리고 둘 이상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구조물, 요소 또는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밑창(101)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밑창은 골프화를 포함한 각종 스포츠화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신발 밑창(101)은 중창(200)과, 중창(200)의 하부에 접합되어 지면과 접지하는 겉창(300), 그리고 중창(200)과 겉창(300) 사이에 마련된 다중 탄성 부재(500)를 포함한다.
중창(200)과 겉창(300)은 각각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Thermoplastic Polyurethane), 열가소성 고무(TPR; Thermo Plastic Rubber), 페백스(PEBAX; Poly(ether-block-amide), 폴리우레탄(PU; Polyurethane),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 Ethylene-Vinyl Acetate), 및 파일론(Phylon; Molded EVA) 중 하나 이상의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즉, 중창(200)과 겉창(300)은 탄성 변형 가능한 소재로 만들어진다.
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전술한 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중창(200)과 겉창(300)은 해당 기술분야의 종사자에게 공지된 다양한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중창(200)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창 본체(250)와, 중창 본체(250)에 함몰 형성된 복수의 수용부(220)를 포함한다.
겉창(300)은 겉창 본체(380)와 복수의 스파이크(310)를 포함한다. 겉창 본체(380)는 중창 본체(250)와 접합된다. 복수의 스파이크(310)는 복수의 수용부(220)에 각각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스파이크(310)는 겉창 본체(380)로부터 연장되어 하방으로 돌출되며 단단한 지면과 접촉하여 가압되면 복수의 수용부(220)에 전부 또는 일부가 독립적으로 수용된다.
또한, 복수의 스파이크(310)는 모래 또는 잔디와 같은 상대적으로 소프트한 지면에서는 돌출된 그립의 역할을 수행한다.
스파이크(310)는 접지력과 그립력을 향상시킨다. 즉, 스파이크(310)는 지면을 파고들어가 미끄러짐을 방지한다. 반면, 스파이크(310)는 예를 들어 골프장의 잔디나 보행용 통로의 노면 등을 손상시킬 수도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스파이크(310)가 단단한 지면과 접촉하여 가압되면 수용부(220)에 전부 또는 일부가 수용되므로, 지면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스파이크(310)는 탄성력을 갖는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이에 스파이크 자체가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스파이크(310)는 원뿔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전술한 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스파이크(310)는 원기둥, 타원기둥, 타원뿔대, 다각뿔대, 다각면체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중 탄성 부재(500)는 중창(200)의 복수의 수용부(220)와 겉창(300)의 복수의 스파이크(310) 사이에 각각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다중 탄성 부재(500)는 스파이크(310)에 상시 탄성력을 제공하여 지면에 발을 디딜 때의 충격 흡수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다중 탄성 부재(500)는 충격 흡수성을 위해 제공되는 탄성력과 구분되는 차별화된 탄성력도 제공하여 지면으로부터 발을 들 때 증대시켜야 하는 반발 탄성을 크게 향상시킨다. 즉, 이율배반적 특성인 충격 흡수성과 반발 탄성을 모두 향상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는 충격을 흡수할수록 지면 반발력은 감소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밑창(101)은 충격 흡수성과 반발 탄성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다중 탄성 부재(500)는 각각 제1 탄성 부재(510)와 제2 탄성 부재(520)를 포함한다. 제1 탄성 부재(510)는 복수의 수용부(220)와 복수의 스파이크(310)에 각각 접촉되어 복수의 스파이크(310)에 탄성력을 상시 제공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경우에 따라 제1 탄성 부재(510)는 복수의 수용부(220)와 복수의 스파이크(310) 중 어느 하나와 접촉하고 다른 하나와는 이격될 수도 있다.
제2 탄성 부재(520)는 복수의 스파이크(310)가 돌출된 상태에서 복수의 수용부(220)와 복수의 스파이크(310) 중 하나 이상과 이격된다. 즉, 제2 탄성 부재(520)는 복수의 수용부(220)와 복수의 스파이크(310) 모두와 이격되거나 어느 하나와 이격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스파이크(310)가 복수의 수용부(220)에 전부 또는 일부 수용되면 복수의 스파이크(310)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탄성 부재(510)는 속이 빈 중공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탄성 부재(520)는 제1 탄성 부재(510)의 속이 빈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제1 탄성 부재(510)와 제2 탄성 부재(520)는 단면이 각각 원형 또는 반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탄성 부재(510)와 제2 탄성 부재(520)는 모두 원형이거나 반원형일 수 있으며, 제1 탄성 부재(510)와 제2 탄성 부재(520) 중 어느 하나는 원형이고 다른 하나는 반원형일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전술한 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탄성 부재(510)와 제2 탄성 부재(520)는 마름모, 평행사변형, 또는 그 밖에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신발의 용도에 따라 하나의 스파이크(310) 마다 대응하여 설치되는 제1 탄성 부재(510)와 제2 탄성 부재(520)의 수가 가감될 수 있으며, 2개 이상 중복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탄성 부재(510)와 제2 탄성 부재(520)는 서로 상이한 탄성력을 가질 수 있다. 특히, 제2 탄성 부재(520)는 제1 탄성 부재(510)보다 상대적으로 고탄성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탄성 부재(510)는 주로 지면에 발을 디딜 때의 충격 흡수성을 제공하고, 제2 탄성 부재(520)는 주로 지면으로부터 발을 들 때 증대시켜야 하는 반발 탄성을 제공한다. 또한, 제2 탄성 부재(520)는 복수의 스파이크(310)가 단단한 지면과 접촉하면서 가압되어 복수의 수용부(220)에 전부 또는 일부가 독립적으로 수용된 후 발을 들 때에 수용부(220)에 수용된 스파이크(310)를 강하고 빠르게 복원시키는 복원력도 제공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밑창(101)은 충격 흡수성과 반발 탄성을 동시에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접지력과 그립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탄성 부재(500)는 상황에 따라 탄성력을 다단계로 제공할 수 있다. 이에, 충격 흡수성과 반발 탄성을 동시에 효과적으로 제공할 뿐만 아니라 가압되어 중창(200)의 수용부(220)에 수용된 겉창(300)의 스파이크(310)를 가압이 해제되는 순간 강하고 빠르게 복원시킬 수 있다.
이하, 도 3 및 도 4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밑창(101)의 동작 원리를 설명한다.
먼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단단한 지면에 발을 디딜 때 겉창(300)의 스파이크(310)가 중창(200)의 수용부(220)에 전부 또는 일부 수용된다. 그리고 다중 탄성 부재(500)의 제1 탄성 부재(510)가 1차적으로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 이후, 가압이 더 강하게 진행되면 제1 탄성 부재(510)보다 상대적으로 더 강한 탄성력을 갖는 제2 탄성 부재(520)가 2차적으로 충격을 흡수한다.
다음,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발을 들면, 제2 탄성 부재(520)는 강하고 빠르게 스파이크(310)를 원위치로 복원시키면서 동시에 사용자의 발에 반발 탄성을 제공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1: 신발 밑창
200: 중창
220: 수용부
250: 중창 본체
300: 겉창
310: 스파이크
380: 겉창 본체
500: 다중 탄성 부재
510: 제1 탄성 부재
520: 제2 탄성 부재

Claims (7)

  1. 중창 본체와, 상기 중창 본체에 함몰 형성된 복수의 수용부를 포함하는 중창;
    상기 중창 본체와 접합된 겉창 본체와, 상기 겉창 본체로부터 연장되어 하방으로 돌출되며 단단한 지면과 접촉하여 가압되면 상기 복수의 수용부에 전부 또는 일부가 독립적으로 수용되는 복수의 스파이크를 포함하는 겉창; 및
    상기 복수의 수용부와 상기 복수의 스파이크 사이에 각각 배치된 복수의 다중 탄성 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다중 탄성 부재는 각각,
    상기 복수의 수용부와 상기 복수의 스파이크에 접촉되어 상기 복수의 스파이크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 탄성 부재와;
    상기 복수의 스파이크가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수용부와 상기 복수의 스파이크 중 하나 이상과 이격되며 상기 복수의 스파이크가 상기 복수의 수용부에 전부 또는 일부 수용되면 상기 복수의 스파이크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신발 밑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다중 탄성 부재는 상기 복수의 스파이크가 상기 복수의 수용부에 수용되는 정도에 따라 상기 복수의 스파이크에 가해지는 탄성력의 강도를 단계적으로 증감시키는 신발 밑창.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성 부재는 중공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 탄성 부재는 상기 제1 탄성 부재의 내부에 삽입된 신발 밑창.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성 부재와 상기 제2 탄성 부재는 단면이 각각 원형 또는 반원형으로 형성된 신발 밑창.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성 부재와 상기 제2 탄성 부재는 서로 상이한 탄성력을 갖는 신발 밑창.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탄성 부재는 상기 제1 탄성 부재보다 상대적으로 고탄성인 신발 밑창.
KR1020150115389A 2015-08-17 2015-08-17 신발 밑창 KR1015907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5389A KR101590752B1 (ko) 2015-08-17 2015-08-17 신발 밑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5389A KR101590752B1 (ko) 2015-08-17 2015-08-17 신발 밑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0752B1 true KR101590752B1 (ko) 2016-02-01

Family

ID=55354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5389A KR101590752B1 (ko) 2015-08-17 2015-08-17 신발 밑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075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6148A (ko) * 2001-06-18 2002-12-31 임성조 신발창용 충격흡수부재
KR101418672B1 (ko) * 2013-03-11 2014-07-10 삼성에버랜드 주식회사 신발 밑창
KR200476146Y1 (ko) * 2014-04-02 2015-02-02 성호동 골프화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6148A (ko) * 2001-06-18 2002-12-31 임성조 신발창용 충격흡수부재
KR101418672B1 (ko) * 2013-03-11 2014-07-10 삼성에버랜드 주식회사 신발 밑창
KR200476146Y1 (ko) * 2014-04-02 2015-02-02 성호동 골프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34484B2 (en) Sole structure with bottom-loaded compression
US10244821B2 (en) Sole structure for an artricle of footwear
EP2353425A1 (en) Footwear including a self-adjusting midsole
KR101991168B1 (ko) 신발
KR100887625B1 (ko) 충격흡수와 반발탄성이 이루어지는 탄성바닥재 및 이를구비한 신발
KR20070106577A (ko) 접선방향으로 변형가능한 밑창
KR101380100B1 (ko) 신발 밑창
KR101980092B1 (ko) 다중경도 힐 쿠션을 구비한 신발용 인솔
KR100780556B1 (ko) 에어백 및 터널부가 형성된 마사이워킹 전문 롤링신발장착용 미드솔
KR100825435B1 (ko) 소프트 감지체가 내장된 마사이워킹용 전문신발의 밑창구조
KR101298196B1 (ko) 보행 안정성을 강화시킨 기능성 신발창.
US20140109444A1 (en) Shoe outsole
KR101590752B1 (ko) 신발 밑창
KR102063360B1 (ko) 접지력이 향상된 다목적 신발밑창
CN104256997A (zh) 运动鞋及其鞋底
KR20170002540U (ko) 미끄럼 방지 가능한 신발
KR101418672B1 (ko) 신발 밑창
CN210611183U (zh) 一种两用高性能的防水安全鞋
KR20130122357A (ko) 미끄럼방지 기능을 갖는 신발 밑창 및 이러한 밑창을 갖는 신발.
KR101241422B1 (ko) 다중 경도에 의한 구름보행 기능을 갖는 신발 중창 및 그 중창이 설치된 신발
JP7115860B2 (ja) シューズ用ソールの衝撃緩衝部材およびそれを備えるシューズ
KR200489122Y1 (ko) 등산화 밑창
KR102049408B1 (ko) 쿠션기능을 갖는 신발
KR200412015Y1 (ko) 기능성 신발밑창
KR200436521Y1 (ko) 신발용 바닥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