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9266B1 - 원호 형상 접힘이 가능한 스택형 기판 지지 장치 - Google Patents

원호 형상 접힘이 가능한 스택형 기판 지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9266B1
KR101589266B1 KR1020140112951A KR20140112951A KR101589266B1 KR 101589266 B1 KR101589266 B1 KR 101589266B1 KR 1020140112951 A KR1020140112951 A KR 1020140112951A KR 20140112951 A KR20140112951 A KR 20140112951A KR 101589266 B1 KR101589266 B1 KR 1015892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frame
substrate support
support frame
adjac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29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우
이상훈
우성현
임종민
문귀원
Original Assignee
한국항공우주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항공우주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항공우주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1129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92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92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92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061Tools for holding the circuit boards during processing; handling transport of printed circuit boards
    • H05K13/0069Holders for printed circuit boar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8Monitoring manufacture of assembl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판을 장착할 수 있는 지지 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기판이 장착되는 스택형 지지 장치로서 원호 형상으로 펼침이 가능하도록 하여 다수 장의 기판을 보다 용이하게 교체하면서 시험할 수 있는 원호 형상 접힘이 가능한 스택형 기판 지지 장치이다.

Description

원호 형상 접힘이 가능한 스택형 기판 지지 장치{STACK TYPE FOLDERBLE SUPPORTING APPARATUS FOR SUBSTITUTE}
본 발명은 기판을 장착할 수 있는 지지 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기판이 장착되는 스택형 지지 장치로서 원호 형상으로 펼침이 가능하도록 하여 다수 장의 기판을 보다 용이하게 교체하면서 시험할 수 있는 원호 형상 접힘이 가능한 스택형 기판 지지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인공위성에 사용되는 전자 부품 박스의 경우 1개의 박스에 여러 장의 PCB(이하 기판이라 함)가 반도체 칩 등이 장착된 상태로 스택 즉, 다수 층 적층된 형태로 설치된다.
이는 인공 위성 본체에 부착되는 부품 수를 감소시키기 위해 상술한 바와 같이 1개의 박스에 여러 장의 기판을 적재하는 것이다. 이렇게 기판이 스택 형태로 적재되고 기판과 기판 사이에 배선이 연결된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경우 상기 기판과 기판 사이에 연결 배선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기판을 분리하여 시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상기 기판은 인공 위성에 장착하기 전 테스트를 해야 하는 데,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경우 기판을 분리한 후 다양한 기판을 교체하면서 시험하기가 어려워 작업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여러 장의 기판을 보다 용이하게 교체하면서 시험할 수 있는 원호 형상 접힘이 가능한 스택형 기판 지지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기판(S)이 고정되는 다수 개의 기판 지지 프레임(110)과, 다수 개의 기판 지지 프레임(110) 중 인접하는 기판 지지 프레임(110)의 일 방향 단부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인접하는 지판 지지 프레임(110)의 타 방향 단부측이 원호 형상으로 각각 펼쳐지도록 하는 연결부(C)를 포함하되, 상기 기판 지지 프레임(110)의 타 방향 단부 상하 사이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기판(S)의 앞면 또는 상기 기판(S)에 설치되는 커넥터(CN)가 고정되는 고정 프레임(120)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 프레임(120)의 일 부분은 원호 방향으로 절곡되되 인접하는 고정 프레임(120) 상호간에 암수 결합하도록 형성된 것을 더 포함하며, 상기 다수 개의 기판 지지 프레임(100) 일 측에 상호 인접하게 설치되는 간격 조절 블록(130)을 포함하고, 상기 간격 조절 블록(130)의 원호 방향 길이는 상기 기판 지지 프레임(110)에 장착된 기판(S) 및 상기 기판(S)에 장착된 부품의 두께에 비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호 형상 접힘이 가능한 스택형 기판 지지 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연결부(C)는 하나의 기판 지지 프레임(110) 단부와 상기 기판 지지 프레임(110)에 일 방향 인접하는 또 하나의 지지 프레임(110)의 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각각 설치되는 제1연결판(150)과, 상기 제1연결판(150)의 일 측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하나의 기판 지지 프레임(110) 단부와, 타 방향 인접하는 또 다른 지지 프레임(110)의 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연결판(160)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연결부(C) 및 기판 지지 프레임(110) 단부에 장착되는 고정구(F)를 더 포함하되, 상기 고정구(F)는 전도성 재질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기판 지지 프레임(110)은 기판(S)의 상하면이 각각 고정되는 상부 프레임(111) 및 하부 프레임(112)와, 상기 상부 프레임(111) 및 하부 프레임(112) 일 측에 형성되어 상기 기판(S)이 고정되는 기판 고정부(113)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삭제
삭제
또한, 상기 고정 프레임(120)의 하단부는 일 방향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고정 프레임(120)에 인접하는 다른 고정 프레임(120)의 하단부는 동일 방향 요홈되게 형성되어 상호 암수 결합하도록 형성된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간격 조절 블록(130)의 일 측은 요철로 형성되어 인접하는 간격 조절 블록(130)과 암수 결합하도록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간격 조절 블록(130)은 상기 기판 지지 프레임(110)의 상부 프레임(111) 및 하부 프레임(112)에 각각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삭제
또한, 상기 기판 지지 프레임(110)의 상부 프레임(111) 또는 하부 프레임(112)의 일 측에 높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상부 프레임(111)의 일 측 상면에서 상부 방향으로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거나 또는 하부 프레임(112)의 일 측 저면에서 저면 방향으로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바아 형상의 높이 조절부(170)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라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수 장의 기판을 보다 용이하게 교체하면서 시험할 수 있어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 장치로서, 기판 지지 프레임과 연결부와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일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 장치로서, 기판 지지 프레임과 고정 프레임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 장치로서, 간격 조절 블록과 연결부와의 관계를 도시한 일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 장치로서, 인접하는 간격 조절 블록의 크기에 대해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아울러,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 장치로서, 기판 지지 프레임과 연결부와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일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 장치로서, 기판 지지 프레임과 고정 프레임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 장치로서, 간격 조절 블록과 연결부와의 관계를 도시한 일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 장치로서, 인접하는 간격 조절 블록의 크기에 대해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실시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택형 기판 지지 장치(100)는 원호 형상으로 펼침이 가능한 것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S)이 고정되는 다수 개의 기판 지지 프레임(110)과 상기 기판 지지 프레임(110) 일 측에 설치되는 연결부(C)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연결부(C)는 다수 개의 기판 지지 프레임(110) 중 인접하는 기판 지지 프레임(110)의 일 방향 단부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도 1에 도시된 경우 도면상 좌측과 중앙 측에 배치되는 기판 지지 프레임(110)의 도면상 우측단에 연결부(C)가 걸쳐서 설치된다. 이 때, 상기 연결부(C)는 상기 기판 지지 프레임(11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므로 상기 인접하는 기판 지지 프레임(110)의 도면상 좌측 부분이 상기 연결부(C)를 중심으로 원호 형상으로 펼쳐지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해 상기 기판 지지 프레임(110)이 원호 형상으로 펼쳐진 경우 보다 용이하게 기판(S)을 장착하거나 교체할 수 있게 되고 이에 의해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시험을 마치고 인공 위성에 탑재하는 경우 원호 형상으로 펼쳐진 부분을 다시 접히게 하여 스택 형상으로 형성한 후 소정의 금속 박스에 적재하면 된다.
한편, 상기 연결부(C)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인접하는 기판 지지 프레임(110) 사이에 설치되어 기판 지지 프레임(110)이 원호 형상으로 펼쳐지도록 하는 것으로서 이를 위해 다양한 구성을 이용할 수 있으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연결판(150)과 제2연결판(16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연결판(150)은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기판 지지 프레임(110) 단부와 상기 기판 지지 프레임(110)에 일 방향 인접하는 또 하나의 지지 프레임(110)의 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각각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2연결판(160)은 상기 제1연결판(150)의 일 측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하나의 기판 지지 프레임(110) 단부와, 타 방향 인접하는 또 다른 지지 프레임(110)의 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도 1에 도시된 경우 상기 제1연결판(150)은 하나의 기판 지지 프레임(110) 즉, 중앙 측에 배치되는 기판 지지 프레임(110B) 단부와, 일 방향 즉, 도면상 좌측 방향에 인접하는 기판 지지 프레임(110A)의 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제2연결판(160)은 상기 기판 지지 프레임(110) 즉, 중앙 측의 기판 지지 프레임(110B) 단부와 타 방향 즉, 도면상 우측에 배치되는 기판 지지 프레임(110C) 단부에 각각 설치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도면상 좌측에 배치되는 기판 지지 프레임(110A)과 중앙 측에 배치되는 기판 지지 프레임(110B)는 상기 제1연결판(150)을 중심으로 원호 형상으로 펼쳐지게 된다.
또한, 상기 중앙 측에 배치되는 기판 지지 프레임(110B)과 도면상 우측에 배치되는 기판 지지 프레임(110C)는 상기 제2연결판(160)을 중심으로 원호 형상으로 펼쳐지게 된다.
이때, 상기 제2연결판(160)의 일 측에 또 다른 제1연결판(150) 또는 제2연결판(160)을 연이어 설치하면 다수 개의 기판 지지 프레임(110)이 상술한 바와 같이 원호 형상으로 펼쳐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연결판(C)은 도시된 바와 같이 장방형 형상으로서 양 측단에 고정공이 형성되어 상기 기판 지지 프레임(110)의 끝단에 핀 결합 등의 방식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고 별도의 고정구(F, 후술함)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연결판(C)은 상술된 바와 같이 인접하는 기판 지지 프레임(110)의 일 측단에 걸쳐서 설치되어 반대편이 원호 형상으로 펼쳐지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바,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는 한, 상기 연결판(C)이 다른 형상을 가지는 경우라도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함은 당연하다.
또한, 상기 연결판(C)의 제1연결판(150)과 제2연결판(160) 상호간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연결판(150)의 일 측 상면에 제2연결판(160)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 것으로서 예를 들어 상기 제2연결판(160)이 제1연결판(150) 저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고정구(F)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C) 및 기판 지지 프레임(110) 단부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상기 고정구(F)는 전도성 재질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기판(S)에는 전원이 공급되어야 하므로 상기 고정구(F)를 일종의 전극으로 이용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고정구(F)는 널리 알려진 볼트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이 연결부(C) 및 기판 지지 프레임(110) 단부에 장착되며, 상기 연결부(C)와 기판 지지 프레임(110)은 상호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야 하므로, 상기 고정구(F) 장착 시, 체결력을 조정할 필요는 있다.
즉, 상기 기판 지지 프레임(110)을 원호 형상으로 펼치고자 하거나 접히게 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고정구(F)의 체결력을 다소 약화시켜 기판 지지 프레임(110)과 연결부(C)를 상호 회동 가능하게 하고, 펼쳐진 기판 지지 프레임(110)이 움직이지 않고 고정하기 위해서는 상기 고정구(F)의 체결력을 높여 상호 고정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기판 지지 프레임(110)은 상술한 바와 같이 기판(S)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를 위해 다양한 구성을 이용할 수 있으나,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판 지지 프레임(110)은 기판(S)의 상하면이 각각 고정되는 상부 프레임(111) 및 하부 프레임(112)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바아 형상으로서 높이 방향으로 배치된 상부 프레임(111) 및 하부 프레임(112)사이에 상기 기판(S)의 상하면이 각각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기판(S)의 상하면을 상부 프레임(111) 및 하부 프레임(112)에 고정하기 위해 다양한 구성을 이용할 수 있으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프레임(111) 및 하부 프레임(112) 일 측에 형성되어 상기 기판(S)이 고정되는 기판 고정부(113)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판체 형상을 가지는 기판 고정부(113)를 상기 상부 프레임(111)의 저면 및 하부 프레임(112)의 상면에 각각 형성한 후 상기 기판 고정부(113)에 기판(S)을 부착 고정하거나 별도의 고정구(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기판(S)을 상기 기판 고정부(113)에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판 지지 프레임(110)의 타 방향 즉, 연결부(C) 반대방향의 기판 지지 프레임(110) 단부 상하 사이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고정 프레임(120)을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고정 프레임(120)에 의해 상기 기판(S) 또는 상기 기판(S)에 설치되는 커넥터(CN)를 고정할 수 있다.
즉, 전체적으로 ㄷ자 형상으로 형성하여 상하 방향 내부 공간에 기판(S)을 설치하고 상기 고정 프레임(120)에 기판(S) 또는 커넥터(CN)를 고정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고정 프레임(120)의 일 부분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호 방향으로 절곡되되 인접하는 고정 프레임(120) 상호간에 암수 결합하도록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지지 장치(100)는 시험이 끝난 후 스택형상으로 접어서 금속 박스에 설치하게 되는데, 이 때, 접힌 후의 체적을 줄이기 위해 상기 인접하는 고정 프레임(120)이 상호간에 암수 결합을 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 프레임(120)의 하단부는 일 방향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고정 프레임(120)에 인접하는 다른 고정 프레임(120)의 하단부는 동일 방향 요홈되게 형성되어 상호 암수 결합하도록 하여 접힐 때의 체적을 감소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고정 프레임(120)은 상기 기판 지지 프레임(110)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볼트 등과 같은 착탈 가능한 고정구(도시되지 않음)를 이용하여 상기 고정 프레임(120)을 기판 지지 프레임(110)에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판 지지 장치(100)에 의해 기판(S)이 고정되는 한편, 상기 기판(S)이 고정되는 기판 지지 프레임(110)은 원호 형상으로 펼침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기판(S)에는 다양한 크기와 높이를 가지는 부품들이 장착되는 관계로 상기 기판 지지 프레임(110)사이의 간격을 상기 부품들에 맞추어 조정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수 개의 기판 지지 프레임(110) 일 측에 각각 설치되어 상호 인접되는 간격 조절 블록(13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기판 지지 프레임(110)사이의 간격이 감소하는 경우라도 상기 인접하는 간격 조절 블록(130)의 상호 결합에 의해 상기 기판 지지 프레임(110)사이의 간격이 특정 간격 이하로 좁혀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간격 조절 블록(130)의 일 측은 요철로 형성되어 인접하는 간격 조절 블록(130)과 암수 결합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스 형상의 본체(131) 일 측에 돌출부(132)를 형성하고 인접하는 간격 조절 블록(130)의 본체(132)에는 요홈부(133)를 형상하여 상기 돌출부(132)와 요홈부(133)가 상호 암수 결합하게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간격 조절 블록(130)의 원호 방향 길이는 상기 기판 지지 프레임(110)에 장착된 기판(S) 및 상기 기판(S)에 장착된 부품의 두께에 비례하도록 형성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기판 지지 프레임(110)사이의 간격이 감소하는 경우라도 상기 인접하는 간격 조절 블록(130)의 상호 결합에 의해 상기 기판 지지 프레임(110)사이의 간격이 특정 간격 이하로 좁혀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높은 높이를 갖는 부품이 장착되는 경우 원호 방향 길이가 긴 L1을 가지도록 간격 조절 블록(130)을 형성할 수 있고,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를 갖는 부품이 장착되는 경우 상대적으로 짧은 원호 방향 길이의 L2를 갖도록 상기 간격 조절 블록(130)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간격 조절 블록(130)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판 지지 프레임(110)의 상부 프레임(111) 상면 및 하부 프레임(112) 저면에 각각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프레임(111)의 상면 및 하부 프레임(112)의 저면에 간격 조절 블록(130)이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간격 조절 블록(130)에 의해 본 발명의 기판 지지 장치(100)가 상기 간격 조절 블록(130)의 높이만큼 기울게 배치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판 지지 프레임(110)의 상부 프레임(111) 또는 하부 프레임(112)의 일 측에 높이 방향으로 설치되되 상기 간격 조절 블록(130)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 조절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높이 조절부(170)는 상기 상부 프레임(111)의 일 측 상면에서 상부 방향으로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물론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프레임(112)의 일 측 저면에서 저면 방향으로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높이 조절부(170)에 의해 상기 간격 조절 블록(130)과 함께 본 발명의 지지 장치(100)가 기울어지지 않고 평탄하게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높이 조절부(170)는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상기 상부 프레임(111) 또는 하부 프레임(112)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높이 조절부(170)의 회전에 의해 탈부착 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스택형 기판 지지 장치(100)를 이용하여 기판을 시험하는 방법에 대해 도 1 내지 도 4를 다시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상기 다수 개의 기판 지지 프레임(110) 중 상기 연결부(C)의 반대측 단부를 원호 형상으로 펼친다.
즉, 도 1에 도시된 경우 도면상 좌측 부분을 원호 형상으로 펼치는 것이다.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기판 지지 프레임(110)의 도면상 우측 부분이 연결부(C)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구성에 의한다.
이후, 상기 다수 개의 지지 프레임(110)에 기판(S)을 장착하거나 교체하여 시험하게 된다.
종래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기판(S)을 높이 방향으로 적층하는 스택 타입으로 쌓은 후 금속 박스에 투입하게 되는데,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기판(S)사이에 연결되는 배선에 의해 상기 기판(S)을 교체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한 것으로서 시험 시, 상기 기판(S)이 장착되는 기판 지지 프레임(110)을 원호 형상으로 펼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기판(S)을 보다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게 되어 시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기판(S)에 장착되는 부품의 높이나 두께가 상이할 수 있으므로 상기 기판 지지 프레임(110)을 접은 경우 부품간의 간섭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술한 바와 같은 간격 조절 블록(130)을 포함하며, 이러한 간격 조절 블록(130)은 상기 펼쳐진 기판 지지 프레임(110)을 상호 인접하도록 접은 경우 간격 조절 블록(130)이 상호 암수 결합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기판 지지 프레임(110)에 장착된 기판(S) 및 상기 기판(S)에 장착된 부품이 상호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간격 조절 블록(130)의 원호 방향 길이를 기판(S) 및 상기 기판(S)에 장착된 부품의 두께에 비례하도록 하는 것이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품의 높이나 두께 등이 상대적으로 높거나 두꺼운 경우 이에 비례하여 원호 방향 길이L1을 상대적으로 길게 하고 반대인 경우 이에 비례하여 원호 방향 길이L2를 상대적으로 짧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해 인접하는 간격 조절 블록(130)이 상호 결합한 후 상기 부품의 상호 간섭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기판 지지 프레임(110)에 설치되는 고정 프레임(120)과 높이 조절부(170)는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하여 시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다수 개의 기판 지지 프레임(110)을 펼쳐서 시험 한 후 스택으로 접어서 금속 박스에 담게 되는데, 이때, 상기 고정 프레임(120)과 높이 조절부(170)를 제거한 후, 상기 펼쳐진 기판 지지 프레임(110)을 상호 인접하도록 접어 스택 형상으로 하면 부피를 소형화하여 금속 박스에 투입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을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110 : 기판 지지 프레임 111 : 상부 프레임
112 : 하부 프레임 113 : 기판 고정부
120 : 고정 프레임 130 : 간격 조절 블록
150 : 제1연결판 160 : 제2연결판
170 : 높이 조절부

Claims (14)

  1. 기판(S)이 고정되는 다수 개의 기판 지지 프레임(110)과,
    다수 개의 기판 지지 프레임(110) 중 인접하는 기판 지지 프레임(110)의 일 방향 단부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인접하는 지판 지지 프레임(110)의 타 방향 단부측이 원호 형상으로 각각 펼쳐지도록 하는 연결부(C)를 포함하되,
    상기 기판 지지 프레임(110)의 타 방향 단부 상하 사이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기판(S)의 앞면 또는 상기 기판(S)에 설치되는 커넥터(CN)가 고정되는 고정 프레임(120)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 프레임(120)의 일 부분은 원호 방향으로 절곡되되 인접하는 고정 프레임(120) 상호간에 암수 결합하도록 형성된 것을 더 포함하며,
    상기 다수 개의 기판 지지 프레임(100) 일 측에 상호 인접하게 설치되는 간격 조절 블록(130)을 포함하고,
    상기 간격 조절 블록(130)의 원호 방향 길이는 상기 기판 지지 프레임(110)에 장착된 기판(S) 및 상기 기판(S)에 장착된 부품의 두께에 비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호 형상 접힘이 가능한 스택형 기판 지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C)는 하나의 기판 지지 프레임(110) 단부와 상기 기판 지지 프레임(110)에 일 방향 인접하는 또 하나의 지지 프레임(110)의 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각각 설치되는 제1연결판(150)과,
    상기 제1연결판(150)의 일 측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하나의 기판 지지 프레임(110) 단부와, 타 방향 인접하는 또 다른 지지 프레임(110)의 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연결판(1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호 형상 접힘이 가능한 스택형 기판 지지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C) 및 기판 지지 프레임(110) 단부에 장착되는 고정구(F)를 더 포함하되,
    상기 고정구(F)는 전도성 재질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호 형상 접힘이 가능한 스택형 기판 지지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지지 프레임(110)은 기판(S)의 상하면이 각각 고정되는 상부 프레임(111) 및 하부 프레임(112)와,
    상기 상부 프레임(111) 및 하부 프레임(112) 일 측에 형성되어 상기 기판(S)이 고정되는 기판 고정부(1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호 형상 접힘이 가능한 스택형 기판 지지 장치.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프레임(120)의 하단부는 일 방향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고정 프레임(120)에 인접하는 다른 고정 프레임(120)의 하단부는 동일 방향 요홈되게 형성되어 상호 암수 결합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호 형상 접힘이 가능한 스택형 기판 지지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 조절 블록(130)의 일 측은 요철로 형성되어 인접하는 간격 조절 블록(130)과 암수 결합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호 형상 접힘이 가능한 스택형 기판 지지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 조절 블록(130)은 상기 기판 지지 프레임(110)의 상부 프레임(111) 및 하부 프레임(112)에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호 형상 접힘이 가능한 스택형 기판 지지 장치.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지지 프레임(110)의 상부 프레임(111) 또는 하부 프레임(112)의 일 측에 높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상부 프레임(111)의 일 측 상면에서 상부 방향으로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거나 또는 하부 프레임(112)의 일 측 저면에서 저면 방향으로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바아 형상의 높이 조절부(1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호 형상 접힘이 가능한 스택형 기판 지지 장치.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140112951A 2014-08-28 2014-08-28 원호 형상 접힘이 가능한 스택형 기판 지지 장치 KR1015892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2951A KR101589266B1 (ko) 2014-08-28 2014-08-28 원호 형상 접힘이 가능한 스택형 기판 지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2951A KR101589266B1 (ko) 2014-08-28 2014-08-28 원호 형상 접힘이 가능한 스택형 기판 지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9266B1 true KR101589266B1 (ko) 2016-01-27

Family

ID=55309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2951A KR101589266B1 (ko) 2014-08-28 2014-08-28 원호 형상 접힘이 가능한 스택형 기판 지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926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6094U (ko) * 1988-09-20 1990-04-02 김주찬 수목 지지구
JPH1029609A (ja) * 1996-07-15 1998-02-03 Shikoku Kakoki Co Ltd 容器成形装置
JPH1029610A (ja) * 1996-07-15 1998-02-03 Shikoku Kakoki Co Ltd 容器搬送コンベ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6094U (ko) * 1988-09-20 1990-04-02 김주찬 수목 지지구
JPH1029609A (ja) * 1996-07-15 1998-02-03 Shikoku Kakoki Co Ltd 容器成形装置
JPH1029610A (ja) * 1996-07-15 1998-02-03 Shikoku Kakoki Co Ltd 容器搬送コンベ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95358B1 (ja) 電気コネクタレセプタクル
EP2110837A3 (en) Secondary circuit terminal block design for fixed type circuit breakers
KR101589266B1 (ko) 원호 형상 접힘이 가능한 스택형 기판 지지 장치
EP1748519A2 (en) Power connector with integrated decoupling
RU2663939C1 (ru) Удерживающая рамка для электрических соединительных модулей и/или штекерных соединителей
CN106370893A (zh) 一种pcb板夹持工装
CN203872481U (zh) 磁环固定装置
CN103034299B (zh) 承载装置
US7990243B1 (en) Gull wing surface mount magnetic structure
TWI305130B (en) Module supporting device
CN207505229U (zh) 一种线路板组件
CN206146967U (zh) 一种pcb板夹持工装
CN207854313U (zh) 一种安装板固定件
US20160372869A1 (en) Assisting apparatus
CN207858314U (zh) 夹具装置
US8888523B2 (en) Extension apparatus for power outlet
CN218162205U (zh) 电气组件、控制器及变频器
CN108366496A (zh) 一种通用性回流焊夹边治具及其使用方法
KR101799097B1 (ko) 기판실장형 커넥터
US9167734B2 (en) Circuit board and connector shielding apparatus
CN211630490U (zh) 一种WiFi模组
CN202549908U (zh) 用于固晶机的pcb板夹具结构
CN209125714U (zh) 螺母组件锁紧工装
CN213816706U (zh) 一种接头固定装置
CN218368489U (zh) 一种包装机用推烟排以及包装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