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9177B1 - Controlling method of display unit and display unit enabling of the method - Google Patents

Controlling method of display unit and display unit enabling of the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9177B1
KR101589177B1 KR1020090075734A KR20090075734A KR101589177B1 KR 101589177 B1 KR101589177 B1 KR 101589177B1 KR 1020090075734 A KR1020090075734 A KR 1020090075734A KR 20090075734 A KR20090075734 A KR 20090075734A KR 101589177 B1 KR101589177 B1 KR 1015891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inter
area
specific activation
region
user inte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573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18106A (en
Inventor
이경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757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9177B1/en
Publication of KR201100181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810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91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917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12Specific keyboard arrangements
    • H04N21/42213Specific keyboard 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data entry
    • H04N21/42215Specific keyboard 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data entry by measuring the time interval during which a key is pressed, e.g. for inputting sequences of digits when selecting a television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기기의 제어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영상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영상기기에서 출력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내의 활성화 영역에 포인터가 소정 시간 이상 위치하는 경우, 활성화 영역과 관련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전과정 중 일부과정을 선처리하여 영상기기의 반응 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영상기기의 제어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영상기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controlling a video apparatus and a video apparatus employing the method.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deo apparatus having a function related to an active area when a pointer is positioned over an active area in a user interfac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controlling an image device for increasing the reaction speed of the image device and a video device employing the method.

영상기기, 방송 수신기, 포인터, 활성화 영역, 반응 속도 Video device, broadcast receiver, pointer, activation area, reaction rate

Description

영상기기의 제어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영상기기{CONTROLLING METHOD OF DISPLAY UNIT AND DISPLAY UNIT ENABLING OF THE METHOD}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rol method of a video apparatus and a video apparatus employing the method. [0002]

본 발명은 영상기기의 제어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영상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영상기기에서 출력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내의 활성화 영역에 포인터가 소정 시간 이상 위치하는 경우, 활성화 영역과 관련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전과정 중 일부 과정을 선처리하여 영상기기의 반응 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영상기기의 제어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영상기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controlling a video apparatus and a video apparatus employing the method.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deo apparatus having a function related to an active area when a pointer is positioned over an active area in a user interfac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controlling an image device for increasing the reaction speed of the image device and a video device employing the method.

오늘날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영상기기들이 늘어가면서, 다양한 기능 수행에 따른 시스템 부하가 증가되고 있는 실정인데, 종래 기술의 텔레비전의 경우, 기능 수행에 대한 대응 시간이 길어져 사용자가 불편함을 느끼는 문제점이 있었다. Background Art [2] As the number of video devices providing various functions is increasing, the system load due to various functions is increasing. However, 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television, there is a problem that a response time for performing a function becomes long and the user feels inconvenience .

도 1은 종래 기술의 영상기기에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기능을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providing a function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in a conventional video apparatus.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기는 단계(S101)에서 원하는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해 리모컨 등의 외부 입력 수단을 조작한다.Referring to FIG. 1, a broadcast recei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an external input means such as a remote controller to execute a desired function in step S101.

단계(S102)에서 리모컨의 조작에 따라 영상기기에 출력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위로 포인터(지시자)가 이동하게 된다. In step S102, a pointer (indicator) is moved on the user interface output to the video apparatus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remote controller.

단계(S103)에서 포인터가 사용자 인터페이스 중 특정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소정 영역에서 이동을 멈추면, 영상기기는 아이들(idle) 상태로 사용자의 선택 키입력을 수신하기 위해 대기한다. In step S103, when the pointer stops moving in a predetermined area of the user interface for executing a specific function, the video apparatus waits to receive the user's selection key input in an idle state.

단계(S104)에서 영상기기는 선택 키입력이 수신되는지를 판단하고, 선택 키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단계(S105)에서 선택된 영역에 해당하는 기능을 실행한다. In step S104, the video apparatus determines whether a selection key input is received, and executes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area selected in step S105 when a selection key input is received.

예를 들어, 사용자가 채널 브라우저 기능을 선택하는 경우, 채널 브라우저 로딩을 위한 과정을 수행하고 채널 브라우저를 출력한다. For example, when the user selects the channel browser function, the user performs a process for loading the channel browser and outputs the channel browser.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의 영상기기는 해당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시간 소요가 길어져, 사용자 선택에 대한 반응 속도가 느려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어, 사용자가 불편함을 느끼게 되고, 급기야는 해당 기능을 사용하지 않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However, such a conventional video apparatus has a problem that it takes a long time to perform the corresponding function, and the response speed to the user selection is slowed, so that the user feels inconvenience, .

따라서,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사용자가 영상기기에서 제공되는 기능을 선택할 때, 영상기기의 시스템 반응 속도를 현저히 증가시킴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영상기기의 제어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영상기기의 개발 필요성이 절실히 요청되고 있다. 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control method and a method of a video apparatus which can increase user convenience by significantly increasing a system response speed of a video apparatus when a user selects a function provided in the video apparatus The need for the development of a video device is urgently required.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소정 영역에 소정 기간 이상 포인터를 위치시키면, 선처리 과정을 수행하여 영상기기의 반응 속도를 현저히 증가시킬 수 있는 영상기기의 제어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영상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related art as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ideo display device capable of significantly increasing a reaction speed of a video apparatus by performing a preprocessing process when a user places a pointer in a predetermined area for a predetermined period or more, And a video apparatus employing the method.

본 발명의 일실예에 따른 영상기기의 제어 방법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중 소정의 활성화 영역에 포인터가 위치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포인터가 상기 활성화 영역에 소정 시간 이상 위치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포인터가 상기 활성화 영역에 소정 시간 이상 위치하면, 상기 활성화 영역과 관련하여 수행되는 기능의 전 과정 중 일부 과정을 선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controlling a video apparatus, including: determining whether a pointer is located in a predetermined active area of a user interface; Determining whether the pointer is located in the activation area for a predetermined time or longer; And pre-processing some of the functions performed in association with the activation region when the pointer is located in the activation region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이 때, 상기 활성화 영역과 관련하여 수행되는 기능은 상기 활성화 영역이 선택될 경우 수행되는 기능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function performed in association with the activation region may be a function performed when the activation region is selected.

또한, 상기 영상기기의 제어 방법은 상기 활성화 영역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전과정 중 나머지 과정을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method of the video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processing the remaining part of the life course when the activation area is selected.

또한, 상기 영상기기의 제어 방법은 상기 포인터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위치한 다른 활성화 영역으로 이동할 경우, 상기 일부 과정의 선처리를 중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 method may further include stopping the pre-processing of the partial process when the pointer moves to another active area located in the user interface.

또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중 소정의 활성화 영역에 포인터가 위치하는 지 판단하는 단계는, 외부 입력 수단으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 위치한 포인터의 좌표값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좌표값이 상기 활성화 영역에 포함되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a pointer is located in a predetermined active area of the user interface includes analyzing a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external input unit to calculate a coordinate value of a pointer located on the user interface, And determining whether the coordinate value is included in the activation area.

또한, 상기 영상기기의 제어 방법은 상기 활성화 영역별로 선처리될 일부 과정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 수단에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포인터가 상기 활성화 영역에 소정 시간 이상 위치하면, 상기 활성화 영역과 관련하여 수행되는 기능의 전 과정 중 일부 과정을 선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저장 수단을 참조하여, 상기 활성화 영역과 관련하여 수행되는 기능의 전 과정 중 일부과정을 선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 method further includes the step of storing data on a part of the process to be pre-processed for each activation area, when the pointer is positioned over the activation area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And pre-processing a part of the entire process of the functions performed in relation to the activation area with reference to the storage unit.

또한, 상기 활성화 영역이 채널 선택 영역인 경우, 상기 일부 과정은 상기 영상기기에 포함된 튜너의 세팅 과정, 상기 채널에서 수신되는 방송 신호의 디모듈레이팅 과정, 상기 디모듈레이팅된 방송 신호의 디코딩 과정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active region is a channel selection region, the partial process includes a setting process of a tuner included in the video apparatus, a demodulating process of a broadcast signal received in the channel, a decoding process of the demodulated broadcast signal ≪ / RTI >

또한, 상기 활성화 영역이 외부 입력 선택 영역인 경우, 상기 일부 과정은 상기 영상기기에 포함된 외부 입력 포트의 신호 유무을 판단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If the active region is an external input selection region, the process may include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 signal in an external input port included in the video apparatus.

또한, 상기 활성화 영역이 채널 브라우저 선택 영역인 경우, 상기 일부 과정은 소정의 저장 수단에 저장된 채널 데이터의 로딩 과정, 채널 이미지의 로딩 과정, 튜너의 세팅 과정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If the activation area is a channel browser selection area, the partial process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loading process of channel data stored in a predetermined storage unit, a loading process of a channel image, and a tuner setting process.

또한, 상기 활성화 영역이 블루투스 선택 영역인 경우, 상기 일부 과정은 상 기 영상기 기기와 블루투스 연결 가능한 외부 기기를 검색하는 과정 및 상기 검색된 외부 기기를 등록하는 과정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If the activation area is a Bluetooth selection area, the part of the process may include at least one of searching for an external device capable of Bluetooth connection with the image device, and registering the searched external devic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기기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중 소정의 활성화 영역에 포인터가 위치하는지 판단하고,상기 포인터가 상기 활성화 영역에 소정 시간 이상 위치하는지 판단하는 포인터 디텍팅 모듈; 및 상기 포인터가 상기 활성화 영역에 소정 시간 이상 위치하면, 상기 활성화 영역과 관련하여 수행되는 기능의 전 과정 중 일부 과정을 선처리하는 선처리 모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video device including: a pointer detecting module for determining whether a pointer is located in a predetermined active area of a user interface and determining whether the pointer is located in the active area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And a preprocessing module for pre-processing some of the functions performed in association with the activation region when the pointer is located in the activation region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이 때, 상기 활성화 영역과 관련하여 수행되는 기능은 상기 활성화 영역이 선택될 경우 수행되는 기능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function performed in association with the activation region may be a function performed when the activation region is selected.

이 때, 상기 영상기기는 상기 활성화 영역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전과정 중 나머지 과정을 처리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display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ler for processing the rest of the life cycle when the activation area is selected.

또한, 상기 선처리 모듈은 상기 포인터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위치한 다른 활성화 영역으로 이동할 경우, 상기 일부 과정의 선처리를 중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processing module may stop the pre-processing of the partial process when the pointer moves to another active area located in the user interface.

또한, 상기 포인터 디텍팅 모듈은, 외부 입력 수단으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 위치한 포인터의 좌표값을 계산하고, 상기 좌표값이 상기 활성화 영역에 포함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The pointer detection module may analyze a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external input unit to calculate coordinate values of a pointer located on the user interface, and determine whether the coordinate value is included in the activation area.

또한, 상기 영상기기는 상기 활성화 영역별로 선처리될 일부 과정에 대한 데이터를 유지하는 저장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선처리 모듈은, 상기 저장 수단을 참조하여, 상기 활성화 영역과 관련하여 수행되는 기능의 전 과정 중 일부 과정 을 선처리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video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storage unit for storing data on a part of the process to be pre-processed for each activation area, and the preprocessing module refers to the storage unit, You can pre-process some of the processes.

또한, 상기 활성화 영역이 채널 선택 영역인 경우, 상기 일부 과정은 상기 영상기기에 포함된 튜너의 세팅 과정, 상기 채널에서 수신되는 방송 신호의 디모듈레이팅 과정, 상기 디모듈레이팅된 방송 신호의 디코딩 과정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when the active region is a channel selection region, the partial process includes a setting process of a tuner included in the video apparatus, a demodulating process of a broadcast signal received in the channel, a decoding process of the demodulated broadcast signal Or more.

또한, 상기 활성화 영역이 외부 입력 선택 영역인 경우, 상기 일부 과정은 상기 영상기기에 포함된 외부 입력 포트의 신호 유무을 판단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when the active area is an external input selection area, the part process may include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 signal of an external input port included in the video equipment.

또한, 상기 활성화 영역이 채널 브라우저 선택 영역인 경우, 상기 일부 과정은 소정의 저장 수단에 저장된 채널 데이터의 로딩 과정, 채널 이미지의 로딩 과정, 튜너의 세팅 과정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If the activation area is a channel browser selection area, the partial process includes at least one of a loading process of channel data stored in a predetermined storage unit, a loading process of a channel image, and a tuner setting process.

또한, 상기 활성화 영역이 블루투스 선택 영역인 경우, 상기 일부 과정은 상기 영상기기와 블루투스 연결 가능한 외부 기기를 검색하는 과정 및 상기 검색된 외부 기기를 등록하는 과정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when the activation area is a Bluetooth selection area, the partial process includes at least one of searching for an external device capable of Bluetooth connection with the image device, and registering the searched external device.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소정 영역에 소정 기간 이상 포인터를 위치시키면, 선처리 과정을 수행하여 영상기기의 반응 속도를 현저히 증가시킬 수 있는 영상기기의 제어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영상기기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related art as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ideo display device capable of significantly increasing a reaction speed of a video apparatus by performing a preprocessing process when a user places a pointer in a predetermined area for a predetermined period or more, And a video apparatus employing the method can be provided.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공간 리모컨을 사용하여 포인터를 이동시키는 경 우에 적용되어, 사용자가 영상기기에서 제공되는 기능들을 더욱 빠르고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case where a user moves a pointer using a space remote controller, so that a user can use the functions provided by a video device more quickly and effectively.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영상기기의 제어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영상기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method of controlling a video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video apparatus using the metho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기기의 제어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controlling an imag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외부 입력 수단 등을 조작하여 영상기기에 출력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 출력된 포인터를 이동시킨다. Referring to FIG. 2, a user manipulates an external input means or the like to move a pointer output on a user interface output to a video device.

이 때, 포인터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소정의 영역을 지시하기 위한 것으로 커서, 화살표, 지시자 등일 수 있다. At this time, the pointer is for indicating a predetermined area in the user interface, and may be a cursor, an arrow, an indicator, and the like.

이 때, 외부 입력 수단은 일례로, 리모트 컨트롤러(이하, 리모컨) 또는 공간 리모트 컨트롤러(이하, 공간 리모컨) 등일 수 있다. In this case, the external input means may be, for example, a remote controll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remote controller) or a spatial remote controll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pace remote controller).

리모컨은 사용자 선택에 대응하는 키 코드를 무선 방식으로 영상기기로 전송하여 포인터를 이동시킬 수 있으며, 공간 리모컨의 경우 내부에 포함된 이동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공간 리모트 컨트롤러의 이동을 감지하고, 감지된 이동 방향, 이동 각도, 이동 속도 등에 따른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영상기기로 전송함으로써, 영상기기에 출력된 포인터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The remote controller can move the pointer by transmitting the key code corresponding to the user selection to the video device in a wireless manner. In the case of the space remote controller, the movement of the SPC is detected using the movement sensor included therein, The movement of the pointer output to the video device can be controlled by generating a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moving direction, the moving angle, the moving speed, and the like, and transmitting the control signal to the video device.

단계(S202)에서 영상기기는 외부 입력 수단에서 전송된 제어 신호를 수신한다.In step S202, the video apparatus receives the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external input means.

단계(S203)에서 영상기기는 수신된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상 포인터의 위치를 계산한다. In step S203, the video device calculates the position of the pointer on the user interface using the received control signal.

예를 들어, 영상기기는 수신된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 전체 좌표 중 포인터가 위치한 좌표값을 계산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video device can calculate the coordinate value at which the pointer is located in the entire coordinates of the user interface using the received control signal.

단계(S204)에서 영상기기는 계산된 포인터의 위치가 소정의 활성화 영역 내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한다. In step S204, the imaging device determines whether the position of the calculated pointer is within a predetermined activation area.

본 발명에서 활성화 영역이란, 영상기기에 출력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중 사용자가 선택할 경우, 특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영역을 의미한다. 영상기기는 각각의 활성화 영역에 대한 좌표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포인터의 위치가 활성화 영역 내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ctive area means an area where a user can select a user interface among the user interfaces output to the video apparatus, and can perform a specific function. The video device stores coordinate information for each active area and determines whether the position of the pointer is within the active area.

예를 들어, 활성화 영역은 사용자가 소정의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영역, 위치, 아이콘, 메뉴 중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사용자 인터페이스 중 특정 영역에 배치되어 출력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activation area may be at least one of an area, a location, an icon, and a menu for the user to select a predetermined function, and may be disposed and output in a specific area of the user interface.

다음으로, 포인터가 소정의 활성화 영역에 내에 위치할 경우, 영상기기는 단계(S205)에서 포인터가 활성화 영역 내에 위치하는 시간이 소정 시간 이상인지를 판단한다. Next, when the pointer is positioned within the predetermined activation area, the imaging device determines whether the time at which the pointer is located within the activation area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time in step S205.

소정 시간은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는데, 짧게 설정될 수록 영상기기의 반응속도가 빠르게 개선될 수 있다.The predetermined time may be variously se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nd the shorter the set time, the faster the reaction speed of the video equipment can be.

예를 들어, 소정 시간을 최소로 설정하는 경우, 포인터가 활성화 영역 내로 진입하자 마자 영상기기는 해당 활성화 영역과 관련된 기능 중 일부 과정을 선처리 한다. For example, if the predetermined time is set to a minimum, the video device pre-processes some of the functions related to the active area as soon as the pointer enters the active area.

단계(S206)에서 영상기기는 포인터가 상기 활성화 영역에 소정 시간 이상 위치하면, 상기 활성화 영역과 관련하여 수행되는 기능의 전 과정 중 일부 과정을 판단하고, 단계(S207)에서 상기 일부 과정을 선처리한다.In step S206, if the pointer is located in the activation area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the video device determines some of the processes performed in relation to the activation area, and pre-processes the partial process in step S207 .

활성화 영역과 관련하여 수행되는 기능은 상기 활성화 영역이 선택될 경우 수행되는 기능일 수 있다. The function performed in association with the active area may be a function performed when the active area is selected.

활성화 영역이 선택될 경우, 영상기기가 수행하는 동작들은 미리 정의되어 있으므로, 영상기기는 활성화 영역별로 선처리될 일부 과정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 수단에 미리 저장하고 있다가, 포인터가 상기 활성화 영역에 소정 시간 이상 위치하면, 상기 활성화 영역과 관련하여 수행되는 기능의 전 과정 중 일부 과정을 저장 수단에서 판단하여 선처리할 수 있다.When the activation area is selected, the operations performed by the video device are predefined. Therefore, the video device stores data for a part of the process to be pre-processed for each activation area in advance in the storage device, If it is abnormal, it is possible to preliminarily process some of the functions performed in relation to the activation region in the storage means.

예를 들어, 활성화 영역이 채널 선택 영역인 경우, 상기 일부 과정은 상기 영상기기에 포함된 튜너의 세팅 과정, 상기 채널에서 수신되는 방송 신호의 디모듈레이팅 과정, 상기 디모듈레이팅된 방송 신호의 디코딩 과정일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active region is a channel selection region, the process may include a tuner setting process included in the video apparatus, a demodulating process of a broadcast signal received in the channel, a decoding process of the demodulated broadcast signal Process.

영상기기는 포인터가 채널 선택 영역에 소정 시간 이상 위치하는 경우, 사용자가 채널 선택 영역을 선택하지 않더라도, 튜너를 세팅하고, 채널에서 수신되는 방송 신호를 디모듈레이팅하고, 디모듈레이팅된 방송 신호를 디코딩할 수 있다. If the pointer is located in the channel selection region for a predetermined time or longer, the video apparatus sets the tuner even if the user does not select the channel selection region, demodulates the broadcast signal received in the channel, and outputs the demodulated broadcast signal It can be decoded.

또한, 활성화 영역이 채널 브라우저 선택 영역인 경우, 상기 일부 과정은 채널 브라우저를 출력하기 위한 소정의 전과정 중 일부 과정일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저장 수단에 저장된 채널별 데이터들을 로딩하는 과정, 서브 튜너를 셋팅하는 과정, 서브 튜너에서 수신되는 채널별 방송 신호에서 썸네일 이미지를 추출하고, 로딩하는 과정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If the activation area is a channel browser selection area, the partial process may be a part of a predetermined entire process for outputting the channel browser. For example, the process of loading channel-specific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 And a process of extracting and loading a thumbnail image from a broadcast signal for each channel received by the sub tuner.

선처리되는 일부 과정은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Some processes to be pre-processed can be variously se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일부 과정이 전과정 중 많은 부분을 차지할 경우 선처리에 소요되는 부하가 커지게 되지만 사용자가 활성화 영역을 선택할 경우 수행되는 나머지 과정에 소요되는 부하가 적게 되어 해당 기능을 수행하는데 걸리는 반응 시간이 짧게 된다. If a process occupies a large part of the entire process, the load required for the pre-process increases. However, when the user selects the activation area, the load required for the remaining processes to be performed is reduced.

또한, 일부 과정이 전과정 중 작은 부분을 차지할 경우 선처리에 소요되는 부하는 적어지지만, 사용자가 활성화 영역을 선택할 경우, 수행되는 나머지 과정에 소요되는 부하가 크게 되어 해당 기능을 수행하는데 걸리는 반응 시간이 다소 길어지게 된다. In addition, if a process occupies a small portion of the entire process, the load required for the pre-process is small. However, when the user selects the activation region, the load on the remaining process is large, It becomes longer.

단계(S208)에서 영상기기는 활성화 영역이 선택되는지를 판단하고, 활성화 영역이 선택되는 경우 단계(S209)에서 상기 전과정 중 나머지 과정을 처리할 수 있다.In step S208, the video apparatus determines whether the active area is selected. If the active area is selected, the video device can process the remaining part of the entire process in step S209.

한편, 단계(S208)의 판단 결과, 상기 활성화 영역이 선택되지 않고, 상기 포인터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위치한 다른 활성화 영역으로 이동할 경우, 상기 일부 과정의 선처리를 중단한다. 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208 that the activation area is not selected and the pointer moves to another activation area located in the user interface, pre-processing of the partial process is stopped.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활성화 영역에 포인터를 위치시키는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locating a pointer in an active are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며, 사용자는 외부 입력 수단(301)을 이동시켜, 영상기기에 출력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채널 브라우저)상에서 포인터(302)를 이동시킨 다. 3, the user moves the external input means 301 to move the pointer 302 on a user interface (for example, a channel browser) output to the video apparatus.

포인터(302)가 복수의 활성화 영역 중 하나의 활성화 영역(303)에 위치할 경우, 영상기기는 이를 판단하고, 소정 시간 이상 위치하는지 판단한다. When the pointer 302 is located in one of the plurality of activation areas 303, the imaging device determines whether the pointer 302 is positioned longer than a predetermined time.

포인터(302)가 활성화 영역(303)에 소정 시간 이상 위치할 경우, 영상기기는 해당 활성화 영역(303)이 선택될 경우 수행되는 기능의 전 과정 중 일부 과정을 선처리한다. When the pointer 302 is located in the activation area 303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the video device preprocesses some of the processes of the function performed when the activation area 303 is selected.

예를 들어, 활성화 영역(303)이 채널 선택 영역인 경우, 일부 과정은 상기 영상기기에 포함된 튜너의 세팅 과정, 상기 채널에서 수신되는 방송 신호의 디모듈레이팅 과정, 상기 디모듈레이팅된 방송 신호의 디코딩 과정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activation area 303 is a channel selection area, a process of setting a tuner included in the video equipment, demodulating a broadcast signal received in the channel, / RTI > and / or < / RTI >

도 4는 본 발명의 영상기기에서 활성화 영역이 선택될 경우 수행되는 전과정 중 일부 과정을 선처리하는 과정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pre-processing a part of the life course performed when an activation region is selected in the video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영상기기는 채널 선택 영역이 선택될 경우 수행하는 전과정(단계(S401) 내지 단계(S404)) 중 일부 과정(단계(S401) 내지 단계(S403))를 포인터가 활성화 영역 내에 위치한 후 소정의 시간이 지난 후부터 활성화 영역이 선택되기 전까지 수행한다. 다음으로, 사용자가 활성화 영역을 선택할 경우 나머지 과정(단계(S404))를 수행한다. Referring to FIG. 4, the video apparatus displays a part of the processes (steps S401 to S403) during the entire process (steps S401 to S404) performed when the channel selection area is selected, Until the active area is selected after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after the position is selected. Next, when the user selects the activation area, the user performs the remaining process (step S404).

예를 들어, 예를 들어, 사용자가 'ch 255'를 선택하는 채널 선택 영역(303)에 포인터(302)를 소정 시간 이상 위치시키는 경우, 영상기기는 해당 채널에서 수신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튜너를 세팅하고, 상기 채널에서 수신되는 방송 신호를 디모듈레이팅하고, 상기 디모듈레이팅된 방송 신호의 디코딩한다. For example, when the pointer 302 is positioned over a predetermined time in the channel selection area 303 where the user selects 'ch 255', the video apparatus receives the broadcast signal received on the channel Sets a tuner, demodulates a broadcast signal received on the channel, and decodes the demodulated broadcast signal.

이러한 과정은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활성화 영역(303)이 선택될 경우, 수행되는 전과정 중 일부 과정으로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음은 이미 설명한 바와 같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activation area 303 is selected as described above, it can be variously set to some of the processes to be performed.

사용자가 해당 활성화 영역(303)을 선택하는 경우, 영상기기는 나머지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활성화 영역이(303) 선택될 경우, 수행되는 전과정의 수행을 완료한다. When the user selects the active area 303, the video device performs the remaining process, thereby completing the execution of the entire process when the active area 303 is selected.

예를 들어, 사용자가 'ch 255'를 선택하는 채널 선택 영역(303)을 선택하는 경우, 영상기기는 디코딩된 방송 신호(비디오/오디오 신호)를 출력한다. For example, when the user selects the channel selection area 303 in which 'ch 255' is selected, the video equipment outputs the decoded broadcast signal (video / audio signal).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활성화 영역이 외부 입력 선택 영역인 경우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in which the active reg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xternal input selection region.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기기에서 외부 입력을 선택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500)를 출력한 후, 외부 입력 선택 영역(501)에 포인터(502)가 소정 시간 이상 위치하는 경우, 영상기기는 영상기기에 포함된 외부 입력 포트의 신호 유무을 판단하는 과정을 선처리한다. 5, after outputting a user interface 500 for selecting an external input in the video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pointer 502 is placed in the external input selection region 501 for a predetermined time or longer The video equipment pre-processes the process of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 signal of an external input port included in the video equipment.

이 때, 영상기기는 외부 입력 기기와 연결된 외부 입력 포트를 체크하여 신호의 수신 상태가 하이인 경우, 외부 입력 기기와 연결되었음을 판단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video apparatus checks the external input port connected to the external input apparatus, and can determine that the connection with the external input apparatus is made when the signal receiving state is high.

사용자가 외부 입력 선택 영역(501)을 선택하는 경우, 영상기기는 사용자 인터페이스(510)을 출력한다. 영상기기는 외부 입력 연결 상태를 나타내는 기능의 나머지 과정을 수행한다. When the user selects the external input selection area 501, the video device outputs the user interface 510. [ The video apparatus performs the remaining process of the function indicating the external input connection state.

예를 들어, 외부 입력 기기의 연결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510)을 출력한다. For example, a user interface 510 indicating the connection state of the external input device is output.

사용자 인터페이스(510)에는 각각의 외부 입력 기기(511, 512, 513, 514)를 나타내는 영역을 포함하고, 각각의 영역들은 각각의 외부 입력 기기들이 연결 가능한 상태인지가 표시될 수 있다. The user interface 510 may include an area representing each of the external input devices 511, 512, 513, and 514, and each area may indicate whether or not each of the external input devices is connectable.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활성화 영역이 블루투스 선택 영역인 경우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6 is a view illustrating an embodiment in which the activation are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Bluetooth selection area.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기기는 블루투스 기능을 선택할 수 있는 블루투스 선택 영역(601)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600)을 출력한 후, 블루투스 선택 영역(601)에 포인터(602)가 소정 시간 이상 위치하는지를 판단한다. 6, a video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utputs a user interface 600 including a Bluetooth selection area 601 for selecting a Bluetooth function, (602) is located for a predetermined time or longer.

블루투스 선택 영역(601)에 포인터(602)가 소정 시간 이상 위치하는 경우, 영상기기는 영상기 기기와 블루투스 연결 가능한 외부 장치를 검색하는 과정 및 상기 검색된 외부 기기를 등록하는 과정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하고, 사용자가 블루투스 선택 영역(601)을 선택하는 경우, 영상기기는 블루투스 기능을 수행을 위한 나머지 과정을 수행한 후, 사용자 인터페이스(610)를 출력한다. When the pointer 602 is located in the Bluetooth selection area 601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the video device performs at least one of searching for an external device capable of Bluetooth connection with the video device and registering the searched external device When the user selects the Bluetooth selection area 601, the video device performs the remaining process for performing the Bluetooth function, and then outputs the user interface 610.

이 때, 사용자 인터페이스(610)는 블루투스 연결 가능한 외부 기기들에 관한 정보(611)를 포함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user interface 610 may include information 611 on external devices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Bluetooth.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활성화 영역과 관련된 기능 수행을 위한 선처리 과정과 나머지 과정을 기록한 저장 수단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e-processing process for performing a function related to an active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storage unit storing the remaining process.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영상기기는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서 제공되는 활성화 영역(701)별로 포인터가 소정 시간 이상 위치할 경우 수행되는 선처리 과정(702), 및 사용자가 활성화 영역을 선택할 경우 수행되는 나머지 과정(703)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Referring to FIG. 7, the video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eprocessing process 702 performed when a pointer is positioned over an activation region 701 ove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provided on various user interfaces, and when a user selects an activation region And stores data for the remaining process 703.

영상기기는 각각의 활성화 영역에 포인터가 소정 기간 이상 위치할 경우, 저장 수단에서 선처리 과정에 관한 데이터를 판독하여 선처리 과정을 수행하고, 사용자가 활성화 영역을 선택할 경우 나머지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When the pointer is positioned over a predetermined period or longer in each active area, the video apparatus reads the data related to the pre-processing in the storage unit and performs the preprocessing process. When the user selects the active area, the video apparatus can perform the remaining process.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활성화 영역은 영상기기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선택될 수 있는 영역을 포함하고, 선처리 과정 및 나머지 과정 또한 활성화 영역이 선택되어 수행되는 과정이라면 어떠한 것이든 포함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activation area includes an area that can be selected to perform various functions provided by the imaging device, and the preprocessing process and the rest of the process may include any process as long as the activation area is selected and executed.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소정의 활성화 영역에 소정 기간 이상 포인터를 위치시키면, 이를 인식한 후, 선처리 과정을 미리 수행하여 영상기기의 반응 속도를 현저히 증가시킬 수 있는 영상기기의 제어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영상기기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ntrol method of a video apparatus capable of remarkably increasing a reaction speed of a video apparatus by performing a preprocessing process in advance after a user places a pointer for a predetermined period or longer in a predetermined activation region in a user interface, And a video apparatus employing the method can be provided.

특히, 본 발명은 사용자가 공간 리모컨을 사용하여 포인터를 이동시키는 경우에 적용되어, 사용자가 더욱 빠르고 효과적으로 영상기기에서 제공되는 기능들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case where a user moves a pointer using a space remote controller, thereby enabling a user to use functions provided in a video device more quickly and effectively.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 리모컨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8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space remote con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 리모컨은, 공간 리모컨의 움직임을 센싱하 고, 센싱된 센서 데이터를 적외선을 통해 송신하여 영상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하는 것으로, 공간 리모컨 내부에 구비되어 공간 리모컨의 이동을 감지하는 이동 감지 센서부(840)와, 이동 감지 센서부(840)에 의해 공간 리모컨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공간 리모컨의 이동 방향을 검출하고, 검출된 공간 리모컨의 이동 방향에 의해 영상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820)와, 제어부(820)의 제어하에 영상 기기의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적외선 송신부(810)로 구성된다. The space remote con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nses the motion of the spatial remote controller and transmits the sensed sensor data through infrared rays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video equipment. When the movement of the spatial remote controller is detected by the movement detection sensor 840 and the movement sensor 840, the moving direction of the spatial remote controller is detected, And an infrared ray transmitter 810 for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of the video equipment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820. [

이동 감지 센서부(840)는 공간 리모컨의 내부에 구비되어 사용자에 의해 공간 리모컨이 상/하 또는 좌/우 움직일 경우, 공간 리모컨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감지된 데이터를 제어부(820)에 제공한다. 이때, 이동 감지 센서부(840)는 자이로 센서 또는 가속도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어, 공간 리모컨의 움직임에 따른 방향 감지뿐만 아니라, 이동 속도, 가속도 또는 이동 각도 등을 함께 감지하여 이를 제어부(820)에 제공할 수 있다.The movement detecting sensor unit 840 is provided inside the space remote controller and detects movement of the space remote controller when the space remote controller is moved up / down or left / right by the user, and provides the sensed data to the controller 820 . At this time, the movement detection sensor unit 840 may include a gyro sensor or an acceleration sensor so as to detect movement speed, acceleration, or movement angle as well as direction detection according to movement of the space remote controller, As shown in FIG.

제어부(820)는 공간 리모컨의 모든 동작을 제어하고, 이동 감지 센서부(840)로부터 움직임이 감지되면, 공간 리모컨의 이동에 따라 영상 기기에 제어 신호를 적외선 송신부(810)를 통해 영상기기로 전송한다. The control unit 820 controls all the operations of the spatial remote control and transmits a control signal to the video equipment through the infrared transmission unit 810 to the video equipment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spatial remote control when the motion detection unit 840 detects motion do.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기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FIG. 9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video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기기는 포인터 디텍팅 모듈(905), 선처리 모듈(906), 제어부(907), 저장 수단(908)을 포함하고, 그 밖에, 튜너(901) 및 서브 튜너(도시되지 않음), 디모듈레이터(902), 디코더(903), 디스플레이부(909), 외부 입력부(910), 무선 통신부(920)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9, the video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inter detection module 905, a preprocessing module 906, a control unit 907, and a storage unit 908. In addition, A demodulator 902, a decoder 903, a display unit 909, an external input unit 910,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920, and the like.

포인터 디텍팅 모듈(905)는 디스플레이부(909)에 출력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중 소정의 활성화 영역에 포인터가 위치하는지 판단하고,상기 포인터가 상기 활성화 영역에 소정 시간 이상 위치하는지 판단한다.The pointer detection module 905 determines whether a pointer is located in a predetermined activation area of the user interface output to the display unit 909 and determines whether the pointer is located in the activation area for a predetermined time or longer.

포인터 디텍팅 모듈(905)은, 외부 입력 수단(800)으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신호를 분석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 위치한 포인터의 좌표값을 계산하고, 상기 좌표값이 상기 활성화 영역에 포함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제어 신호는 수신부(904)를 통해 수신되고, 필요한 경우 디코딩될 수 있다. The pointer detection module 905 may analyze the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external input means 800 to calculate the coordinate value of the pointer located on the user interface and determine whether the coordinate value is included in the activation area . The control signal is received via the receiver 904 and can be decoded if necessary.

선처리 모듈(906)은 상기 포인터가 상기 활성화 영역에 소정 시간 이상 위치하면, 상기 활성화 영역과 관련하여 수행되는 기능의 전 과정 중 일부 과정을 선처리하도록 제어한다.The preprocessing module 906 controls the pre-processing of some of the functions performed in association with the activation area when the pointer is located in the activation area for a predetermined time or longer.

또한, 선처리 모듈(906)은 저장 수단(908)을 참조하여, 상기 활성화 영역과 관련하여 수행되는 기능의 전 과정 중 일부 과정을 선처리하도록 제어한다. Also, the preprocessing module 906 refers to the storage means 908 and controls the pre-processing of some of the functions performed in relation to the activation area.

또한, 선처리 모듈(906)은 상기 포인터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위치한 다른 활성화 영역으로 이동할 경우, 상기 일부 과정의 선처리를 중단할 수 있다.Also, the preprocessing module 906 may stop pre-processing of the partial process when the pointer moves to another active area located in the user interface.

이 때, 상기 활성화 영역과 관련하여 수행되는 기능은 상기 활성화 영역이 선택될 경우 수행되는 기능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function performed in association with the activation region may be a function performed when the activation region is selected.

제어부(907)는 상기 활성화 영역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전과정 중 나머지 과정을 처리한다.When the activation area is selected, the control unit 907 processes the rest of the entire process.

저장 수단(908)은 상기 활성화 영역별로 선처리될 일부 과정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The storage means 908 stores data on some processes to be pre-processed for each activation region.

이 때, 활성화 영역이 채널 선택 영역인 경우, 상기 일부 과정은 상기 영상기기에 포함된 튜너(901)의 세팅 과정, 상기 채널에서 수신되는 방송 신호의 디모듈레이팅 과정, 상기 디모듈레이팅된 방송 신호의 디코딩 과정일 수 있음은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이미 설명한 바 있다. In this case, if the active region is a channel selection region, the partial process includes a setting process of the tuner 901 included in the video apparatus, a de-modulating process of the broadcast signal received in the channel, The decoding process of FIG. 3 and FIG. 4 has been described above.

방송 신호의 디모듈레이팅 과정은 디모듈레이터(902)에서 수행될 수 있고, 상기 디코딩 과정은 디코더(903)에서 수행될 수 있다. The demodulating process of the broadcast signal can be performed in the demodulator 902, and the decoding process can be performed in the decoder 903. [

또한, 상기 활성화 영역이 외부 입력 선택 영역인 경우, 상기 일부 과정은 상기 영상기기에 포함된 외부 입력 포트의 신호 유무을 판단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음은 도 5를 참조하여 이미 설명한 바 있다. 외부 입력 포트의 신호 유무를 판단하는 과정은 외부 입력부(910)에서 수행될 수 있다. In addition, if the active area is an external input selection area, the process may include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 signal of an external input port included in the video apparatus, referring to FIG. The process of determin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signal of the external input port may be performed in the external input unit 910. [

또한, 상기 활성화 영역이 채널 브라우저 선택 영역인 경우, 상기 일부 과정은 소정의 저장 수단에 저장된 상기 일부 과정은 소정의 저장 수단에 저장된 채널별 데이터의 로딩 과정, 상기 채널 브라우저의 출력을 위한 서브 튜너를 셋팅하는 과정, 상기 서브 튜너에서 수신되는 채널별 방송 신호에서 썸네일 이미지를 추출하고, 로딩하는 과정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When the activation region is a channel browser selection region, the partial process stored in the predetermined storage means is a process of loading data per channel stored in a predetermined storage means, a sub tuner for outputting the channel browser And a process of extracting and loading a thumbnail image from a broadcast signal for each channel received by the sub tuner.

또한, 활성화 영역이 블루투스 선택 영역인 경우, 상기 일부 과정은 상기 영상기 기기와 블루투스 연결 가능한 외부 장치를 검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블루투스 연결 가능한 외부 기기를 검색하는 과정은 무선 통신부(910)에서 수행될 수 있다. In addition, if the activation area is a Bluetooth selection area, the partial process may include searching for an external device capable of Bluetooth connection with the imaging device. At this time, the process of searching for an external device connectable to the Bluetooth can be performed 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910.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영상기기에 대해서 설명하였고, 앞서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기술적 내용들이 도 9의 영상기기에서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으므로 그 상세한 내용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The video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so far, and the technical contents described in the preceding embodiments can be applied to the video device of FIG. 9 as it is. Therefor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below.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Modification is possible. Accordingl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only in accordance with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equivalents or equivalent variations thereof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종래 기술의 영상기기에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기능을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FIG.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providing a function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in a conventional video apparatus.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기기의 제어 과정을 도시한 도면.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controlling a video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활성화 영역에 포인터를 위치시키는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Figure 3 illustrates one embodiment of locating a pointer in an active area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영상기기에서 활성화 영역이 선택될 경우 수행되는 전과정 중 일부 과정을 선처리하는 과정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FIG. 4 illustrates a process of pre-processing a part of the life course performed when an activation region is selected in the imag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활성화 영역이 외부 입력 선택 영역인 경우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FIG. 5 illustrates an embodiment in which the active are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xternal input selection area; FIG.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활성화 영역이 블루투스 선택 영역인 경우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6 is a view illustrating an embodiment in which an activation are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Bluetooth selection area;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활성화 영역과 관련된 기능 수행을 위한 선처리 과정과 나머지 과정을 기록한 저장 수단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FIG. 7 illustrates a pre-processing process for performing a function related to an active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 리모컨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8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pace remote con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기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9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video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901: 튜너 902: 디모듈레이터901: Tuner 902: Demodulator

903: 디코더 904: 수신부903: Decoder 904: Receiver

905: 포인터 디텍팅 모듈905: Pointer Detection Module

906: 선처리 모듈906: preprocessing module

907: 제어부907:

908: 저장 수단908: Storage means

909: 디스플레이부909:

910: 외부 입력부910: External input unit

920: 무선 통신부920:

Claims (21)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활성화 영역별로, 각 활성화 영역에 대응하는 기능의 전 과정 중 선처리될 일부 과정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 수단에 저장하는 단계;Storing data on a part of a process to be pre-processed among all processes of functions corresponding to each active area in a storage means for each active area of the user interface; 사용자 인터페이스 중 특정 활성화 영역에 포인터가 위치하는지 판단하는 단계;Determining whether a pointer is located in a specific activation area of the user interface; 상기 포인터가 상기 특정 활성화 영역에 소정 시간 이상 위치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Determining whether the pointer is located in the specific activation area for a predetermined time or longer; And 상기 포인터가 상기 특정 활성화 영역에 소정 시간 이상 위치하면, 상기 저장 수단에 저장된 상기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활성화 영역과 관련하여 수행되는 기능의 전 과정 중 일부 과정을 선처리하는 단계Pre-processing some of the processes of the functions performed in relation to the specific activation area based on the data stored in the storage means when the pointer is located in the specific activation area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의 제어 방법.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video devic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특정 활성화 영역과 관련하여 수행되는 기능은 상기 특정 활성화 영역이 선택될 경우 수행되는 기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의 제어 방법.Wherein the function performed in association with the specific activation region is a function performed when the specific activation region is selected.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특정 활성화 영역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전과정 중 나머지 과정을 처리하는 단계When the specific activation region is selected, processing the remaining process of the entire process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의 제어 방법.Further comprising the steps of: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포인터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위치한 다른 활성화 영역으로 이동할 경우, 상기 일부 과정의 선처리를 중단하는 단계Stopping the pre-processing of the partial process when the pointer moves to another active area located in the user interface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의 제어 방법.Further comprising the steps of: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사용자 인터페이스 중 특정 활성화 영역에 포인터가 위치하는지 판단하는 단계는,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a pointer is located in a specific activation area of the user interface, 외부 입력 수단으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 위치한 포인터의 좌표값을 계산하는 단계; 및Analyzing a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an external input means and calculating a coordinate value of a pointer located on the user interface; And 상기 포인터의 좌표값이 상기 특정 활성화 영역에 포함되는지 판단하는 단계Determining whether a coordinate value of the pointer is included in the specific activation area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의 제어 방법.Further comprising the steps of: 제5항에 있어서,6. 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외부 입력 수단은 공간 리모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의 제어 방법. Wherein the external input means is a spatial remote control.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특정 활성화 영역이 채널 선택 영역인 경우, 상기 일부 과정은 상기 영상기기에 포함된 튜너의 세팅 과정, 상기 채널에서 수신되는 방송 신호의 디모듈레이팅 과정, 상기 디모듈레이팅된 방송 신호의 디코딩 과정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의 제어 방법. If the specific activation region is a channel selection region, the partial process may include a process of setting a tuner included in the video apparatus, a process of demodulating a broadcast signal received in the channel, a process of decoding the demodulated broadcast signal Wherein the at least one video device comprises at least one video devic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특정 활성화 영역이 외부 입력 선택 영역인 경우, 상기 일부 과정은 상기 영상기기에 포함된 외부 입력 포트의 신호 유무을 판단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리모콘을 구비한 영상기기의 제어 방법. Wherein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specific active area is an external input selection area comprises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 signal of an external input port included in the video apparatus.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특정 활성화 영역이 채널 브라우저 선택 영역인 경우, 상기 일부 과정은 소정의 저장 수단에 저장된 채널별 데이터의 로딩 과정, 상기 채널 브라우저의 출력을 위한 서브 튜너를 셋팅하는 과정, 상기 서브 튜너에서 수신되는 채널별 방송 신호에서 썸네일 이미지를 추출하고, 로딩하는 과정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의 제어 방법.In the case where the specific activation area is a channel browser selection area, the partial process includes a process of loading data per channel stored in a predetermined storage unit, a process of setting a sub tuner for outputting the channel browser, And extracting and loading a thumbnail image from the broadcast signal.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특정 활성화 영역이 블루투스 선택 영역인 경우, 상기 일부 과정은 상기 영상 기기와 블루투스 연결 가능한 외부 기기를 검색하는 과정 및 상기 검색된 외부 기기를 등록하는 과정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의 제어 방법.Wherein the predetermined process includes a process of searching for an external device capable of Bluetooth connection with the image device and a process of registering the searched external device when the specific activation area is a Bluetooth selection area. Control method.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활성화 영역별로, 각 활성화 영역에 대응하는 기능의 전 과정 중 선처리될 일부 과정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 수단;Storage means for storing data on a part of processes to be pre-processed among all processes of functions corresponding to each active region, for each active region of the user interface; 사용자 인터페이스 중 특정 활성화 영역에 포인터가 위치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포인터가 상기 특정 활성화 영역에 소정 시간 이상 위치하는지 판단하는 포인터 디텍팅 모듈; 및A pointer detecting module for determining whether a pointer is located in a specific activation area of the user interface and determining whether the pointer is located in the specific activation area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And 상기 포인터가 상기 특정 활성화 영역에 소정 시간 이상 위치하면, 상기 저장 수단에 저장된 상기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활성화 영역과 관련하여 수행되는 기능의 전 과정 중 일부 과정을 선처리하도록 제어하는 선처리 모듈A preprocessing module that preprocesses some of the processes of the functions performed in relation to the specific activation area based on the data stored in the storage device when the pointer is located in the specific activation area for a predetermined time or longer,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And a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the image. 제12항에 있어서,13. 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특정 활성화 영역과 관련하여 수행되는 기능은 상기 특정 활성화 영역이 선택될 경우 수행되는 기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Wherein the function performed in association with the specific activation region is a function performed when the specific activation region is selected. 제12항에 있어서,13. 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특정 활성화 영역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전과정 중 나머지 과정을 처리하는 제어부When the specific activation area is selected, a control unit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Further comprising: a display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isplay unit. 제12항에 있어서,13. 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선처리 모듈은 상기 포인터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위치한 다른 활성화 영역으로 이동할 경우, 상기 일부 과정의 선처리를 중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Wherein the preprocessing module stops pre-processing of the partial process when the pointer moves to another active area located in the user interface. 제12항에 있어서,13. 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포인터 디텍팅 모듈은, Wherein the pointer detec- tion module comprises: 외부 입력 수단으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 위치한 포인터의 좌표값을 계산하고, 상기 좌표값이 상기 특정 활성화 영역에 포함되는지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Wherein the control unit analyzes the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external input unit to calculate a coordinate value of a pointer located on the user interface, and determines whether the coordinate value is included in the specific activation area. 삭제delete 제12항에 있어서,13. 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특정 활성화 영역이 채널 선택 영역인 경우, 상기 일부 과정은 상기 영상기기에 포함된 튜너의 세팅 과정, 상기 채널에서 수신되는 방송 신호의 디모듈레이팅 과정, 상기 디모듈레이팅된 방송 신호의 디코딩 과정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 If the specific activation region is a channel selection region, the partial process may include a process of setting a tuner included in the video apparatus, a process of demodulating a broadcast signal received in the channel, a process of decoding the demodulated broadcast signal Wherein the at least one video device comprises at least one video device. 제12항에 있어서,13. 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특정 활성화 영역이 외부 입력 선택 영역인 경우, 상기 일부 과정은 상기 영상기기에 포함된 외부 입력 포트의 신호 유무을 판단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 If the specific activation region is an external input selection region,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signal is present in the external input port included in the video apparatus. 제12항에 있어서,13. 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특정 활성화 영역이 채널 브라우저 선택 영역인 경우, 상기 일부 과정은 소정의 저장 수단에 저장된 상기 일부 과정은 소정의 저장 수단에 저장된 채널별 데이터의 로딩 과정, 상기 채널 브라우저의 출력을 위한 서브 튜너를 셋팅하는 과정, 상기 서브 튜너에서 수신되는 채널별 방송 신호에서 썸네일 이미지를 추출하고, 로딩하는 과정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Wherein when the specific activation region is a channel browser selection region, the partial process stored in the predetermined storage means is a process of loading data per channel stored in a predetermined storage means, setting a sub tuner for outputting the channel browser, And extracting and loading a thumbnail image from a broadcast signal for each channel received by the sub tuner. 제12항에 있어서, 13. 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특정 활성화 영역이 블루투스 선택 영역인 경우, 상기 일부 과정은 상기 영상 기기와 블루투스 연결 가능한 외부 기기를 검색하는 과정 및 상기 검색된 외부 기기를 등록하는 과정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If the specific activation area is a Bluetooth selection area, the partial process includes at least one of searching for an external device capable of Bluetooth connection with the image device, and registering the searched external device.
KR1020090075734A 2009-08-17 2009-08-17 Controlling method of display unit and display unit enabling of the method KR10158917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5734A KR101589177B1 (en) 2009-08-17 2009-08-17 Controlling method of display unit and display unit enabling of the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5734A KR101589177B1 (en) 2009-08-17 2009-08-17 Controlling method of display unit and display unit enabling of the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8106A KR20110018106A (en) 2011-02-23
KR101589177B1 true KR101589177B1 (en) 2016-02-12

Family

ID=43775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5734A KR101589177B1 (en) 2009-08-17 2009-08-17 Controlling method of display unit and display unit enabling of the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917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5811B1 (en) * 2011-11-10 2019-06-11 엘지전자 주식회사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81951A (en) 2005-09-15 2007-03-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Mobile terminal and activating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72640B2 (en) * 1997-04-18 1999-11-08 神戸日本電気ソフトウェア株式会社 Window system object program preload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recording program for the method
KR20080010898A (en) * 2006-07-28 2008-01-31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preprocessing contents and contents providing apparatus using the metho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81951A (en) 2005-09-15 2007-03-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Mobile terminal and activating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8106A (en) 2011-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6272B1 (en) Apparatas and method of user based using for grip sensor in a portable terminal
KR101832761B1 (en) Display device, method for remotely controlling display device
US9757861B2 (en) User interface device of remote control system for robot device and method using the same
US20090285443A1 (en) Remote Control Based on Image Recognition
JP5327017B2 (en) Remote operation device, remote operation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ing remote operation device
US20090174653A1 (en) Method for providing area of image displayed on display apparatus in gui form using electronic apparatus, and electronic apparatus applying the same
EP3117622B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8106883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moving a cursor and executing a menu function using a navigation key
KR20110027244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ating user input pattern in portable terminal
US11372538B2 (en) Detection device and detection method
KR10187227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of electronic device using a control device
CN102750811A (en) Misoperation-preventing remote control component, intelligent system and method
KR20140085061A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apparatus thereof
US20160054860A1 (en) Input device
US20120146901A1 (en) Operation control device, operation control method, and input device
US20140152563A1 (en) Apparatus operation device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KR101589177B1 (en) Controlling method of display unit and display unit enabling of the method
TR201610746A2 (en) MULTI-POINT MOTION DETECTION AND USER MONITORING SYSTEM USED IN A MONITORING DEVICE
KR20110109341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ating user input pattern in portable terminal
JP201552592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display device
US8780279B2 (en) Television and control device having a touch unit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television using the control device
JP6265839B2 (en) INPUT DISPLAY DEVICE, ELECTRONIC DEVICE, ICON DISPLAY METHOD, AND DISPLAY PROGRAM
US20150029099A1 (en) Method for controlling touch and motion sensing pointing device
KR20130125209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KR20110032365A (en) Image display system and method for the controll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