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8436B1 - 가시광과 적외선을 혼용하여 제어하는 조명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가시광과 적외선을 혼용하여 제어하는 조명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8436B1
KR101588436B1 KR1020140024026A KR20140024026A KR101588436B1 KR 101588436 B1 KR101588436 B1 KR 101588436B1 KR 1020140024026 A KR1020140024026 A KR 1020140024026A KR 20140024026 A KR20140024026 A KR 20140024026A KR 101588436 B1 KR101588436 B1 KR 1015884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ource
visible light
signal
unit
infra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40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02300A (ko
Inventor
노정규
김기윤
서재상
Original Assignee
현대이엔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이엔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이엔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240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8436B1/ko
Publication of KR201501023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23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84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84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7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Landscapes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시광과 적외선을 혼용하여 제어하는 조명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수광부를 통해 수신된 제어신호에 따라 조명등의 구동을 제어하는 조명유니트가 상호 이격되게 복수개 마련되어 있고, 조명유니트들의 구동을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된 원격 조정기를 구비하고, 원격 조정기는 적외선 신호를 송출하는 적외선 광원과, 가시광선 대역의 가시광 신호를 송출하는 가시광원부와, 적외선 광원과 가시광원부 중 어느 하나를 선택 구동할 수 있도록 된 조작부와, 조작부의 조작신호에 따라 적외선 광원 또는 가시광원부를 구동하는 원격 조정부를 구비하고, 조명유니트는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는 적외선 수광센서와, 가시광 신호를 수신하는 가시광 수광센서와, 적외선 수광센서에서 출력되는 신호와 가시광 수광센서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조명등의 구동을 제어하는 조명 제어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가시광과 적외선을 혼용하여 제어하는 조명제어 시스템{light controlling system}
본 발명은 가시광과 적외선을 혼용하여 제어하는 조명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조명 유니트들에 대한 그룹제어와 개별제어를 파장대역이 다른 광을 이용하여 제어할 수 있도록 된 조명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조명 시스템은 백열전구, 방전등, 형광등과 같은 광원들을 주로 사용하여, 가정용, 경관용, 산업용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이용되었다.
광원들 중 백열전구는 효율이 낮고 발열 문제가 있으며, 방전등의 경우에는 높은 가격과 높은 전압으로 인한 문제가 있고, 형광등의 경우 수은 사용에 의한 환경문제가 있다.
최근에는 효율, 색 다양성, 디자인의 자율성 등에 장점이 있는 발광 다이오드가 조명용 광원으로 대체되고 있다.
발광 다이오드는 순방향으로 전압을 가했을 때 발광하는 반도체소자로서, 수명이 길고, 소비 전력이 낮으며, 대량 생산에 적합한 전기적, 광학적, 물리적 특성들을 갖고 있다.
한편, 빌딩이나 공장과 같은 대형 건물에는 넓은 영역에 걸쳐 조명기구들이 설치되고 있고, 이러한 조명기구들에 대해 필요에 따라 복수개의 조명기구를 동시에 제어하거나, 개별적으로 조명기구를 제어하는 방식이 요구되고 있다.
국내 등록특허 제10-0921755호에는 조명기마다 독립적인 어드레스를 부여하여 제어할 수 있는 조명제어 시스템이 게시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어드레스 부여방식은 구조가 복잡해지고, 그룹제어가 용이하지 않은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적외선광과 가시광선광을 이용하여 그룹제어와 개별제어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가시광과 적외선을 혼용하여 제어하는 조명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시광과 적외선을 혼용하여 제어하는 조명제어 시스템은 수광부를 통해 수신된 제어신호에 따라 조명등의 구동을 제어하는 조명유니트가 상호 이격되게 복수개 마련되어 있고, 상기 조명유니트들의 구동을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된 원격 조정기를 구비하는 조명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원격 조정기는 적외선 신호를 송출하는 적외선 광원과; 가시광선 대역의 가시광 신호를 송출하는 가시광원부와; 상기 적외선 광원과 상기 가시광원부 중 어느 하나를 선택 구동할 수 있도록 된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의 조작신호에 따라 상기 적외선 광원 또는 상기 가시광원부를 구동하는 원격 조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조명유니트는 상기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는 적외선 수광센서와; 상기 가시광 신호를 수신하는 가시광 수광센서와; 상기 적외선 수광센서에서 출력되는 신호와 상기 가시광 수광센서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조명등의 구동을 제어하는 조명 제어부;를 구비한다.
상기 가시 광원부는 적색광을 출사하는 적색광원과, 녹색광을 출사하는 녹색광원과, 청색광을 출사하는 청색광원과 백색광을 출사하는 백색광원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조작부는 상기 적외선 광원을 구동하는 그룹모드와, 상기 가시광원부를 구동하는 개별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모드 선택키와, 상기 모드 선택키에 의해 선택된 모드에서 상기 조명유니트에서 조사되는 광의 색상, 휘도, 색온도, 상기 조명등의 온 또는 오프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조명조정키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원격조정기는 상기 적외선 광원과 상기 가시광원부가 탑재되어 있고, 상기 조작부의 수행을 지원하는 조명제어모듈이 탑재된 이동통신 단말기가 적용된다.
상기 원격조정기는 상기 가시광선부의 구동에 의해 상기 조명유니트를 구동하는 제어신호는 상호 다른 색상의 광의 조합에 의해 코드화된 신호를 송출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조명유니트는 상기 가시광선부로부터 출력되는 코드화된 신호를 디코딩하여 처리할 수 있도록 구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시광과 적외선을 혼용하여 제어하는 조명제어시스템에 의하면, 적외선광은 그룹제어용으로 이용하고, 가시광선광은 개별제어용으로 활용할 수 있어 그룹제어와 개별제어를 위한 구축이 용이한 장점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명제어 시스템을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원격조정기의 제어계통을 나타내 보인 블록도이고,
도 3은 도 1의 조명 유니트의 제어계통을 나타내 보인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원격조정기로 적용된 이동통신 단말기를 나타내 보인 블록도이고,
도 5는 도 4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나타내 보인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가시광과 적외선을 혼용하여 제어하는 조명제어 시스템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명제어 시스템을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조명제어 시스템(100)은 원격조정기(110)와 다수개의 조명유니트(200)를 구비한다.
원격 조정기(110)는 다수개의 조명유니트(200)들의 구동을 적외선 또는 가시광선으로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원격 조정기(100)는 휴대할 수 있는 크기의 본체(101) 상에 적외선 신호를 송출하는 적외선 발광다이오드(121)와 , 가시광선 대역의 가시광 신호를 송출하는 가시광원부(130)와, 적외선 광원(121)과 가시광원부(130) 중 어느 하나를 선택 구동할 수 있도록 된 조작부(140)와, 조작부(140)의 조작신호에 따라 적외선 발광다이오드(121) 또는 가시광원부(130)를 구동하는 원격 조정부(137)를 구비한다.
적외선 발광다이오드(121)는 적외선 광원으로 적용된 것으로서, 넓은 영역에 걸쳐 광이 조사됨으로써 다수의 조명유니트(200)를 동시 제어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가시광선부(130)는 가시광선 대역의 가시광 신호를 송출하며 도시된 예에서는 적색광을 출사하는 적색발광다이오드(131)와, 녹색광을 출사하는 녹색 발광다이오드(132)와, 청색광을 출사하는 청색 발광다이오드(133) 및 백색광을 출사하는 백색발광다이오드(134)가 적용되어 있다.
도시된 예와 다르게 가시광선부(130)는 적색발광다이오드(131)와, 녹색광을 출사하는 녹색 발광다이오드(132)와, 청색광을 출사하는 청색 발광다이오드(133) 및 백색광을 출사하는 백색발광다이오드(134)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적용되어도 된다.
조작부(140)는 적외선 발광다이오드(131)을 구동하는 그룹모드와, 가시광원부(130)를 구동하는 개별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모드 선택키(141)와, 모드 선택키(141)에 의해 선택된 모드에서 조명유니트(200)에서 조사되는 광의 색상, 휘도, 색온도, 조명등의 온 또는 오프를 조작할 수 있는 조명조정키(143)들이 마련되어 있다.
원격조정부(137)는 조작부(140)로부터 수신된 조작 신호에 대응되는 표시정보를 표시부(135)를 통해 표시되게 제어하는 송신 제어부(138)와, 송신 제어부(138)로부터 출력되는 구동제어신호에 따라 적외선 발광다이오드(121) 또는 가시광원부(130)를 구동하는 송신 구동부(139)로 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원격조정부(137)는 가시광원부(130)의 구동에 의해 조명유니트(200)를 구동하는 제어신호는 상호 다른 색상의 광의 조합에 의해 코드화된 신호를 송출하도록 구축되어 있다.
여기서 코드화된 신호는 일 예로서, 휘도를 현재 설정값보다 한 단계 레벨업시키라는 제어신호에 대해 적색광과 녹색광이 반복적으로 송출되게 설정되는 방식 등 다양한 색의 조합에 의해 코드화하는 것을 말한다.
한편, 도시된 예와 다르게,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외선 발광다이오드(121)와 가시광원부(130)가 탑재되어 있고, 이동통신을 지원하는 이동통신단말기(310)가 원격조정기로 적용될 수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310)는 이동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통신부(312), 조작부(314), 표시부(315), 스피커(317), 마이크로폰(318), 통신제어부(320), 기억부(321)를 구비한다.
조작부(314)와 표시부(315)는 터치스크린(316) 방식으로 구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310)는 통신 제어부(320)에 의해 구동이 제어되는 적외선 발광다이오드(121)와 가시광원부(130)가 마련되어 있고, 기억부(321)에는 조명제어모듈(322)이 탑재되어 있다.
조명제어모듈(322)은 실행아이콘 형태로 실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실행되면, 앞서 원격 조정기(110)를 통해 설명된 조작부에서 지원되는 키 및 키의 조작에 따라 적외선 발광다이오드(121) 또는 가시광원부(130)를 통신 제어부(320)에 의해 제어할 수 있도록 된 응용프로그램이다.
한편, 조명 유니트(200)는 수광부(210)를 통해 수신된 제어신호에 따라 조명등(25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조명유니트(200)는 수광부(210), 조명제어부(220), 조명등(250), 인체감지센서(261), 조도센서(263), 마이크로폰(265), 음향출력부(267)를 구비한다.
수광부(210)는 적외선 수광센서(211), 적색 수광센서(212), 녹색 수광센서(213), 청색 수광센서(214)를 구비한다.
여기서, 적색 수광센서(212), 녹색 수광센서(213), 청색 수광센서(214)는 가시광 수광센서에 해당한다.
적색 수광센서(211)는 원격조정기(110)로부터 수신된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 제어부(220)에 출력한다.
적색 수광센서(212)는 원격조정기(110)로부터 수신된 적색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 제어부(220)에 출력한다.
녹색 수광센서(213)는 원격조정기(110)로부터 수신된 녹색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 제어부(220)에 출력한다.
청색 수광센서(214)는 원격조정기(110)로부터 수신된 청색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 제어부(220)에 출력한다.
조명제어부(220)는 적외선 수광센서(211)에서 출력되는 신호와 가시광 수광센서(212 내지 214)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조명등(250)의 구동을 제어한다.
조명제어부(220)는 적외선 수광센서(211)에서 출력되는 신호와 가시광 수광센서(212 내지 214)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대응되게 조명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수신제어부(221)와, 수신 제어부(221)로부터 출력되는 조명구동제어신호에 따라 조명등(250)을 구동하는 조명 구동부로 되어 있다.
인체감지센서(261)는 인체 감지 유무를 검출하고, 검출결과를 수신 제어부(221)에 출력한다.
조도센서(263)는 주변조도를 검출하고, 검출결과를 수신제어부(221)에 출력한다.
마이크로폰(265)는 수신된 음향신호를 수신제어부(221)에 출력한다.
음향 출력부(267)는 수신제어부(221)에 제어되어 음향을 출력한다.
조명등(250)은 조명구동부(223)에 구동이 제어되며, 적색 발광다이오드(251), 녹색 발광다이오드(252), 청색 발광다이오드(253), 백색발광다이오드(254)를 구비한다.
도시된 예와 다르게 단색 광만 출력하도록 조명등(250)이 구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수신 제어부(220)는 가시광선부(130)로부터 출력되는 코드화된 신호를 디코딩하여 처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수신 제어부(220)는 원격조정기(110)로부터 자동모드로 설정된 신호가 수신되면 조도센서(263)로부터 수신된 조도가 설정된 조도 이하이면서 인체감지센서(261)로부터 인체가 감지되면 설정된 유지시간 동안 조명등(250)이 구동온되게 제어하고, 수동모드로 설정된 신호가 수신되면 인체감지센서(261)와 조도센서(263)에서 수신되는 정보는 무시하고, 원격 조정기(110)에 의해 설정된 조건에 따라 조명등(250)을 제어하도록 하도록 구축될 수 있다.
또한, 수신제어부(221)은 음성명령신호를 마이크로폰(265)을 통해 수신하면, 수신된 음성명령에 대응되게 조명등(250)의 구동을 제어하고, 음성명령 실행 결과를 음향출력부(267)를 통해 출력하도록 구축될 수 있다.
이러한 조명제어 시스템(100)에 의하면, 적외선 광에 비해 상대적으로 광출사 각이 좁은 가시광선광은 조명유니트(200)를 향하도록 지향시키면 해당 조명유니트(200)에만 제어신호가 도달되게 할 수 있어 개별제어용으로 활용하고, 다수의 조명유니트(200)를 제어하고자 하는 경우 적외선 광을 이용하면 그룹제어가 가능하다.
또한, 조명등(250)의 제어시 상호 다른 색상의 가시광들이 조합된 코드신호를 이용하여 제어하도록 구축하면 보안성을 확보할 수 있다.
110: 원격조정기 200: 조명유니트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수광부를 통해 수신된 제어신호에 따라 조명등의 구동을 제어하는 조명유니트가 상호 이격되게 복수개 마련되어 있고, 상기 조명유니트들의 구동을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된 원격 조정기를 구비하는 조명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원격 조정기는
    적외선 신호를 송출하는 적외선 광원과;
    가시광선 대역의 가시광 신호를 송출하는 가시광원부와;
    상기 적외선 광원과 상기 가시광원부 중 어느 하나를 선택 구동할 수 있도록 된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의 조작신호에 따라 상기 적외선 광원 또는 상기 가시광원부를 구동하는 원격 조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조명유니트는
    상기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는 적외선 수광센서와;
    상기 가시광 신호를 수신하는 가시광 수광센서와;
    상기 적외선 수광센서에서 출력되는 신호와 상기 가시광 수광센서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조명등의 구동을 제어하는 조명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가시 광원부는
    적색광을 출사하는 적색광원과, 녹색광을 출사하는 녹색광원과, 청색광을 출사하는 청색광원과 백색광을 출사하는 백색광원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며,
    상기 조작부는
    상기 적외선 광원을 구동하는 그룹모드와, 상기 가시광원부를 구동하는 개별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모드 선택키와, 상기 모드 선택키에 의해 선택된 모드에서 상기 조명유니트에서 조사되는 광의 색상, 휘도, 색온도, 상기 조명등의 온 또는 오프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조명조정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시광과 적외선을 혼용하여 제어하는 조명 제어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조정기는 상기 적외선 광원과 상기 가시광원부가 탑재되어 있고, 상기 조작부의 수행을 지원하는 조명제어모듈이 탑재된 이동통신 단말기가 적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시광과 적외선을 혼용하여 제어하는 조명 제어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조정기는
    상기 가시광원부의 구동에 의해 상기 조명유니트를 구동하는 제어신호는 상호 다른 색상의 광의 조합에 의해 코드화된 신호를 송출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조명유니트는 상기 가시광원부로부터 출력되는 코드화된 신호를 디코딩하여 처리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시광과 적외선을 혼용하여 제어하는 조명 제어 시스템.
KR1020140024026A 2014-02-28 2014-02-28 가시광과 적외선을 혼용하여 제어하는 조명제어 시스템 KR1015884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4026A KR101588436B1 (ko) 2014-02-28 2014-02-28 가시광과 적외선을 혼용하여 제어하는 조명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4026A KR101588436B1 (ko) 2014-02-28 2014-02-28 가시광과 적외선을 혼용하여 제어하는 조명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2300A KR20150102300A (ko) 2015-09-07
KR101588436B1 true KR101588436B1 (ko) 2016-02-12

Family

ID=54243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4026A KR101588436B1 (ko) 2014-02-28 2014-02-28 가시광과 적외선을 혼용하여 제어하는 조명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843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6217B1 (ko) * 2017-11-30 2023-04-03 서울반도체 주식회사 발광 다이오드들을 포함하는 발광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0129B1 (ko) * 2009-05-20 2011-03-07 김경남 가시광선 통신을 통해 조도 제어가 가능한 등기구를 이용한 실내 조명 제어 방법
KR20130116406A (ko) * 2012-03-12 2013-10-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가시광무선통신을 기반으로 한 led 조명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20130127243A (ko) * 2012-05-14 2013-1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명장치 및 조명장치의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2300A (ko) 2015-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1946B1 (ko) 조명 시스템
JP2011249062A (ja) 照明器具の電源制御装置および照明システム
RU2011145024A (ru) Эффективное назначение адресов в системах кодированного освещения
WO2006091932A8 (en) Road marker with remotely controllable display
ATE532384T1 (de) Verbessertes beleuchtungssystem
US20110181201A1 (en) LED Display System and Method for Use with an Audio System
US20110286211A1 (en) Luminaire
JP2015177213A (ja) 照明光通信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照明光通信システム
KR20130017298A (ko) Led 조명의 전원 제어 장치 및 조명 시스템
JP5299677B2 (ja) 照明制御システム
KR101698757B1 (ko) 무선 조명 및 스피커 기능을 갖는 조명 장치
JP2013258101A (ja) 照明システム
KR101225745B1 (ko) 감성조명 시스템
KR101588436B1 (ko) 가시광과 적외선을 혼용하여 제어하는 조명제어 시스템
JP2018005977A (ja) 照明装置制御システム及び照明装置制御方法
KR101045976B1 (ko) 오토 디밍 시스템
KR20120110073A (ko) 천장 조명 시스템
KR101835424B1 (ko) 조명 제어 방법 및 조명기기
JP4989091B2 (ja) 照明装置
KR200415017Y1 (ko) 무선원격제어 간판
JP2008205917A (ja) 可視光通信リモコンシステム
US8405315B2 (en) Energy-saving lamp
KR20160136641A (ko) 조명 제어 방법 및 시스템
JP6038579B2 (ja) 調光システム、調光方法、および、照明装置
JP2010251152A (ja) 照明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