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8284B1 - 공포탄 어댑터 - Google Patents

공포탄 어댑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8284B1
KR101588284B1 KR1020150116993A KR20150116993A KR101588284B1 KR 101588284 B1 KR101588284 B1 KR 101588284B1 KR 1020150116993 A KR1020150116993 A KR 1020150116993A KR 20150116993 A KR20150116993 A KR 20150116993A KR 101588284 B1 KR101588284 B1 KR 1015882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nket
adapter
muzzle
slot
plu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69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범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501169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82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82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82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21/00Barrels; Gun tubes; Muzzle attachments; Barrel mounting means
    • F41A21/26Barrels; Gun tubes; Muzzle attachments; Barrel mount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recoil reinforcement, e.g. for training purp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21/00Barrels; Gun tubes; Muzzle attachments; Barrel mounting means
    • F41A21/32Muzzle attachments or gla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33/00Adaptations for training; Gun simul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GWEAPON SIGHTS; AIMING
    • F41G3/00Aiming or laying means
    • F41G3/26Teaching or practice apparatus for gun-aiming or gun-laying

Abstract

경량화를 위한 내부 결합 방식이 구비되고, 부식 및 발청을 개선한 재질로 구성되고, 자동·반자동 사격을 위한 최적의 압력을 유지 가능하고, 마일즈 장비 장착 시에도 원활한 훈련이 가능한 공포탄 어댑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공포탄 어댑터는, 일측이 소염공에 삽입되는 총구마개부재와, 소염공을 통해 가스가 배출되는 것을 막는 수용부와, 공포탄이 발사됨에 따라 나오는 탄매를 분산시켜 소염기의 슬롯으로 배출시키는 탄매분산부와, 소염기의 슬롯과 결합되며 공포탄 어댑터를 소염기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포탄 어댑터{Blank Ammunition Firing Adapter}
본 발명은 공포탄 어댑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전투훈련 간 공포탄 사격으로 자동/반자동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사용되는 공포탄 어댑터의 기존 문제점을 해결하고 마일즈 장비 장착 및 사용이 용이하도록 개발된 공포탄 어댑터에 관한 것이다.
공포탄 어댑터는 실탄을 사용하지 않고 실화기의 성능과 전장효과를 묘사하여 실전과 같은 전투훈련을 가능하게 하는 장비이다.
마일즈 장비는 실탄 사격과 유사한 효과를 묘사하고 공포탄의 발사를 인지하여 레이저가 나가는 실전적 훈련장비로 군의 실전적 훈련에 중요한 장비이다. 구체적으로, 실전과 같은 무기 효과 및 전장 효과를 묘사하기 위해 레이저 빔 특성을 이용하여 사격을 모의하고, 화기 사용의 시청각적 효과를 묘사한다.
공포탄 어댑터 중에서 외부 프레임으로 고정하는 방식을 사용하는 것으로는 대한민국 특허 등록 제10-0654480호의 “공포탄장치 및 자동화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공포탄 어댑터는 소염기 외부에 프레임으로 고정하는 방식이어서, 크기가 크고 무거워서 장시간 임무 수행 시 전투 중량에 의한 전술적 기동력과 사격 시 명중률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기존의 군에서 사용하는 공포탄 어댑터는 어댑터의 프레임과 토출봉의 재질이 동일한 강으로 되어있어서 공포탄 사격 시 열에 의한 부식 및 발청에 의한 고착으로 분리가 잘 되지 않아 실화기의 손상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토출봉의 토출구 구멍이 커서 자동 및 반자동 사격을 위한 노리쇠 후퇴 압력 부족으로 잦은 탄 걸림 및 기능 고장이 발생하여 원활한 훈련에 있어 제약이 있었다.
그리고 마일즈 장비를 장착한 후 훈련을 할 때, 탄매가 마일즈 장비 쪽으로도 배출되어서 탄매에 의한 레이저 전면부 오염으로 사격 시에도 레이저가 발사되지 않아 원활한 훈련에 있어 제약이 있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공포탄 어댑터의 결합방식을 소염기 내부 결합방식으로 하여, 어댑터의 경량화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외부 프레임이 아닌 내부 결합 방식에 의하더라도 훈련 도중에 공포탄 어댑터가 소염기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정확히 토출봉으로 공포탄의 탄압이 배출되도록 토출봉이 총열의 중심축에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열에 의한 부식 및 발청을 방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최적 크기의 토출구를 사용하여, 자동/반자동 사격을 장애 없이 구현할 수 있도록 최적의 노리쇠 후퇴 압력을 유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탄매가 마일즈 장비의 레이저 전면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마일즈 장비를 장착한 경우에도 탄매에 의해 기능이 저하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소염기에서의 슬롯의 위치에 맞게 공포탄 어댑터가 결합될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소총에도 호환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공포탄이 발사됨에 따라 소염기(300)의 소염공(302)을 통해 가스가 배출되는 것을 막아서, 상기 공포탄 발사 후 상기 총기의 공포탄 재장전을 가능하게 하는 공포탄 어댑터(100)에 있어서, 일측이 상기 소염공(302)에 삽입되는 총구마개부재(102), 상기 소염공(302)에 삽입되는 상기 총구마개부재(102)의 상기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소염공(302)을 통해 상기 가스가 배출되는 것을 막는 수용부(104), 상기 총구마개부재(102)와 결합되며, 상기 공포탄이 발사됨에 따라 나오는 탄매를 분산시켜 상기 소염기(300)의 슬롯(304)으로 배출시키는 탄매분산부(105), 상기 소염기(300)의 슬롯(304)과 결합되며, 상기 공포탄 어댑터(100)를 상기 소염기 (300)에 고정시키는 고정부(108)를 포함하되, 상기 탄매분산부(105)는 상기 소염공으로 삽입되는 측면의 단면이 상기 단면의 아랫방향으로 향하게 되어있고, 상기 탄매분산부(105)에 상기 소염기의 하측 이외의 슬롯 방향으로 덮개가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탄매가 하측 슬롯(306)으로 배출되도록 분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108)는 상기 슬롯 중 하측 이외의 슬롯과 결합되는 걸림부(109) 및 상기 걸림부(109)와의 간격(200)을 조절하여 상기 공포탄 어댑터(100)를 상기 소염기(300)에 밀착 결합시키는 잠금부(110)로 구성되되, 상기 걸림부(109)는 상기 소염기(300)의 내부에서 외부 방향으로 상기 하측 이외의 슬롯과 결합되며, 상기 잠금부(110)와 상기 걸림부(109)와의 간격(200)은 상기 소염기의 횡 방향 축을 기준으로 한 간격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매분산부(105)의 상기 소염공(302)으로 삽입되는 측면의 탄매분산부 단면(106)이 상기 단면의 아랫방향으로 향하게 되어있어서, 상기 탄매를 상기 소염기(300)의 하측면 슬롯(306)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부(104)가 배출되는 것을 막은 상기 가스의 일부를 배출시키는 토출구(111)를 더 포함하되, 상기 토출구(111)의 지름은 1.6mm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총구마개부재(102)가 상기 소염공(302)에 삽입되는 상기 일측과의 타측에 결합되는 손잡이부(1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총구마개부재(102), 상기 고정부(108), 상기 탄매분산부(105)의 재질은 스테인리스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잠금부(110)는 상기 탄매분산부(105)와 결합되어, 상기 어댑터(100)와 상기 소염기(300)를 밀착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잠금부(110)는 상기 총구마개부재(102)와 결합되어, 상기 어댑터(100)와 상기 소염기(300)를 밀착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탄매분산부(105)의 일측에는 나선형 홈(107)이 있으며, 상기 잠금부(110)는 상기 탄매분산부(105)를 회전축으로 하여 상기 탄매분산부(105)의 상기 나선형 홈(107)을 따라 회전하여 상기 탄매분산부(105)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총구마개부재(102)의 타측에는 나선형 홈(103)이 있으며, 상기 잠금부(110)는 상기 총구마개부재(102)를 회전축으로 하여 상기 총구마개부재(102)의 상기 나선형 홈(103)을 따라 회전하여 상기 총구마개부재(102)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총구마개부재(102)의 타측에 나선형 홈(103)이 있으며, 상기 총구마개부재(102)를 회전축으로 하여 상기 탄매분산부(105)가 상기 나선형 홈(103)을 따라 회전하여 상기 총구마개부재(102)와 결합되어, 상기 걸림부(109)와 상기 수용부(104)와의 간격(202)의 조절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포탄 어댑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본 발명은 총구마개부재가 소염공에 삽입되고 고정부에 의해 공포탄 어댑터가 소염기에 고정되어 전투중량을 감소시켜, 전술적 행동절차에 제한사항을 사전에 제거하여 훈련 효과를 보장할 수 있다.
(2) 본 발명은 외부 프레임이 아닌 소염기의 내부에 결합시켜 공포탄 어댑터의 부피를 감소시켜, 전술적 훈련 시 기동성 증대를 보장할 수 있다.
(3) 본 발명은 잠금부를 이용하여 정확히 공포탄 어댑터를 고정하여 총구마개부재가 총열의 중심에 위치 및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공포탄 탄압이 정확히 수용부로 배출되도록 중심축 유지기능을 보완할 수 있다.
(4) 본 발명은 총구마개부재, 고정부와 탄매분산부의 재질이 스테인리스여서, 부식 및 고착에 의한 기능 장애 및 실화기 손상을 방지하고 반영구적으로 사용함으로써 훈련 예산을 절감할 수 있다.
(5) 본 발명은 최적 크기의 토출구를 사용하여 자동 및 반자동 사격을 위한 최적의 노리쇠 후퇴 압력을 제공함으로써, 탄 걸림 및 기능 고장을 방지하여 원활한 훈련을 보장할 수 있다.
(6) 본 발명은 탄매분산부에 의해 소염기의 하측면 슬롯으로 탄매를 분산 및 배출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마일즈 장비를 장착하고 훈련할 때 탄매에 의해 마일즈 장비의 기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여 원활한 훈련을 보장할 수 있다.
(7) 본 발명은 총구마개부재를 축으로 하여 고정부의 위치를 이동할 수 있게 함으로써, 다양한 소총에 호환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공포탄 어댑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공포탄 어댑터의, 수용부 쪽에서 바라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인 공포탄 어댑터의, 측면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인 공포탄 어댑터의 측면 실물 사진.
도 5는 본 발명인 공포탄 어댑터와 마일즈 장비를 소염기에 결합한 모습의 측면 실물 사진.
도 6은 본 발명인 공포탄 어댑터의 탄매분산부에 의해 탄매가 분산되는 방향과 탄압이 수용부에 가해지는 방향을 보여주는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인 공포탄 어댑터의 탄매분산부에 의해 탄매가 분산되는 방향과 탄압이 수용부에 가해지는 방향을 보여주는 저면도.
도 8은 ‘도 6에서 B-B’선에 따른 단면도.
도 9는 종래의 공포탄 어댑터와 본 발명인 공포탄 어댑터의 크기, 무게와 재질을 비교하는 사진.
도 10은 소염기에 종래의 공포탄 어댑터 및 마일즈 장비를 결합한 모습과 본 발명인 공포탄 어댑터와 마일즈 장비를 결합한 모습을 크기 면에서 비교하는 사진.
도 11은 종래의 공포탄 어댑터의 나사결합부와 토출봉이 부식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진.
도 12는 종래의 K-1 소총용 공포탄 어댑터의 토출구 모습과 K-1 소총과 K-2 소총의 재장전을 위한 탄압의 원리 및 K-1 소총용 공포탄 어댑터의 지름 변경사항을 나타내는 사진.
도 13은 소염기, 소염공과 슬롯을 나타내는 사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공포탄 어댑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공포탄 어댑터의 사시도, 도 3은 공포탄 어댑터의 측면 단면도, 도 4는 공포탄 어댑터의 측면 사진, 도 8은 ‘도 6에서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 3, 4 및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공포탄 어댑터(100)는 총구마개부재(102), 수용부(104), 탄매분산부(105) 및 고정부(108)를 포함할 수 있다.
총구마개부재(102)는 도 3, 13을 참조하면, 일측이 소염공(302)에 삽입되어 상기 일측에 존재하는 수용부(104)를 소염기(300) 내부에 밀착 시켜서, 공포탄 발사로 발생하여 배출되는 가스를 수용부(104)가 효과적으로 소염공(302)으로의 배출을 막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총구마개부재(102)의 타측에는 나선형 홈(103)이 존재할 수 있다. 도 4, 6을 참조하면, 총구마개부재(102)를 회전축으로 하여 탄매분산부(105)가 회전하여 총구마개부재(102)와 결합되어, 걸림부(109)와 수용부(104)와의 간격(202)을 조절할 수 있다. 간격(202)을 조절할 수 있음으로써, 공포탄 어댑터(100)는 동일한 제품으로도 다양한 소총에 호환이 가능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선형 홈(103)이 존재함으로써, 잠금부(110)가 총구마개부재(102)와 결합될 수 있는데, 이는 잠금부(110)를 설명할 때 후술하도록 한다.
수용부(104)는 총구마개부재(102)의 일측에 위치하며, 공포탄이 발사됨에 따라 발생하는 가스가 소염공(302)을 통해 배출되는 것을 막는다. 도 2, 3, 6, 7, 8, 13을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총구마개부재(102)가 소염공(302)을 통해 깊숙하게 삽입되어, 상기 가스의 배출을 막을 수 있다. 다만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수용부(104)는 반드시 길쭉한 모양일 필요는 없으며, 공포탄의 탄압을 막아낼 수 있을 정도면 충분하다.
탄매분산부(105)는 도 1, 5, 6, 7을 참조하면, 총구마개부재(102)와 결합되며, 공포탄이 발사됨에 따라 나오는 탄매를 분산시켜 소염기(300)의 슬롯(304, 306)으로 배출시킨다.
도 4를 참조할 때, 이러한 탄매분산부(105)의 단면(106)은 상기 단면(106)의 아랫방향으로 향하게 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탄압이 가해지면서 탄매가 나올 때, 소염기(300) 내부에서 아랫방향으로 분산되게 할 수 있게 되어 공포탄 어댑터(100)를 이용한 훈련에 있어 더욱 효과적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공포탄 어댑터(100)는 마일즈 장비(400)가 결합된 상태에서도 사용이 가능한데, 슬롯(304) 중 상측으로 탄매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하측 슬롯(306)으로 배출되게 하여, 탄매가 마일즈 장비(400)의 레이저 전면부를 가리는 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만일 탄매가 마일즈 장비(400)의 레이저 전면부를 가리게 된다면, 레이저 빔이 굴절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여, 마일즈 장비(400)를 이용한 훈련에 있어 지장이 생길 수 있다.
도 4를 참조할 때, 탄매분산부(105)의 일측에는 나선형 홈(107)이 존재함으로써, 잠금부(110)가 탄매분산부(105)와 결합될 수 있는데, 이는 잠금부(110)를 설명할 때 후술하도록 한다.
고정부(108)는 소염기(300)의 슬롯(304)과 결합되며, 공포탄 어댑터(100)를 소염기(300)에 고정시킨다. 외부 프레임 고정방식이 아닌 소염기(300)의 슬롯(304)과 결합되어 고정시키는 내부 결합 방식으로 소염기(300)에 공포탄 어댑터(100)를 고정시킬 수 있다. 도 4를 참조할 때, 고정부(108)는 걸림부(109)와 잠금부(110)로 구성될 수 있다.
우선, 걸림부(109)는 도 4를 참조할 때, 소염기(300)의 슬롯(304)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걸림부(109)는 소염기(300)의 슬롯(304) 중 어느 하나 이상과 결합될 수 있으며, 다만, 소총 또는 소염기(300)의 종류에 따라서 그 위치는 달라질 수 있다. 상기 도 4에 나타난 공포탄 어댑터(100)의 모형은 K-1 소총에 관한 것이다. 소총의 종류나 소염기의 종류에 따라서 걸림부(109)의 위치를 다르게 설계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며, 도 4에 나타난 것처럼, 탄매분산부(105)에 걸림부(109)가 위치하게 설계된 경우에는, 탄매분산부(105)의 위치가 이동 가능하게 설계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내용은 전술한 바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이하 후술한다.
걸림부(109)는 도 4, 6을 참조할 때, 총구마개부재(102)의 타측에 나선형 홈(103)이 있으며, 상기 총구마개부재(102)를 회전축으로 하여 상기 탄매분산부(105)가 나선형 홈(103)을 따라 회전하여 상기 총구마개부재(102)와 결합되어, 걸림부(109)와 수용부(104)와의 간격(202)이 조절될 수 있다. 이렇게 탄매분산부(105)에 걸림부(109)가 위치하는 경우에는, 탄매분산부(105)가 총구마개부재(102)의 나선형 홈(103)을 따라 회전하여 탄매분산부(105) 및 걸림부(109)의 위치가 이동하여, 수용부(104)를 기준으로 할 때 걸림부(109)의 깊이(202)를 변경이 가능하게 설계함으로써, 소총의 종류나 소염기의 종류에 맞춰서 걸림부(109)로 고정가능하게 설계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총구마개부재(102)에 의해 수용부(104)가 밀착하여 탄압을 받아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고정부(108)는 잠금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잠금부(110)는 도 3, 4, 6을 참조할 때, 걸림부(109)의 결합에 더하여, 걸림부(109)와의 간격(200)을 조절하여 공포탄 어댑터(100)와 상기 소염기(300)를 밀착 결합시킬 수 있다. 잠금부(110)는 소염기(300)의 입구에 평행하게 설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소염공(302)에 접하게 결합됨으로써, 공포탄 어댑터(100)를 흔들림 없이 2차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이러한 잠금부(100)를 통해 공포탄 어댑터(100)의 흔들림을 방지함으로써, 총구마개부재(102)를 정확히 총열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유지하여 공포탄의 탄압을 정확히 총구마개부재(102)의 수용부(104)로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잠금부(110)는 탄매분산부(105)와 결합될 수도 있고, 총구마개부재(102)와 결합될 수도 있으며, 어디든 공포탄 어댑터(100)의 흔들림을 억제할 수 있는 위치에서 결합할 수 있으면 충분하다. 그 결합은 나사 형태의 결합일 수도 있으며, 구체적으로, 탄매분산부(105)의 일측에 있는 나선형 홈(107) 또는 총구마개부재(102)의 타측(소염공(302)에 삽입되는 일측의 반대측면)에 있는 나선형 홈(103)을 이용하여, 탄매분산부(105) 또는 총구마개부재(102)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하여 결합할 수 있다.
토출구(111)는 도 3, 12를 참조할 때, 공포탄 어댑터(100)에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토출구(111)는 수용부(104)에 의해 배출이 제한된 상기 가스의 일부를 배출시킨다. K-2 소총과 같이 가스조절기가 있는 소총의 경우에는 상기 토출구(111)가 없어도 탄압을 조절할 수 있어서 공포탄 어댑터(100)에 있어서 불필요할 수도 있으나, K-1 소총과 같이 가스 조절기가 없는 소총의 경우에는 공포탄 어댑터(100)에 의해서 탄압이 결정되기에 필요할 수 있다.
토출구(111)의 지름은 도 12를 참조할 때, 1.6mm일 수 있다. K-1 소총과 같이 가스조절기가 없는 소총의 경우, 수용부(104)로 가해진 탄압을 적절히 외부로 배출해서 공포탄이 발사된 후 소총의 자동·반자동 사격을 위한 노리쇠 후퇴 압력을 조정하여야 한다. 기존의 공포탄 어댑터의 토출구는 지름이 2.2mm이었는데, 상기 노리쇠 후퇴 압력이 충분치 않아서, 잦은 탄 걸림 및 기능 고장의 문제가 있었다. 지름을 1.6mm로 변경하여, 충분하면서도 과하지 않는 노리쇠 후퇴 압력을 유지할 수 있다.
손잡이부(112)는 도 4를 참조할 때, 총구마개부재(102)가 소염공(302)에 삽입되는 부분의 반대 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손잡이부(112)는 상기 총구마개부재(102)를 나사결합으로 회전할 때, 그 회전을 도와줄 수 있다. 이러한 손잡이부(112)는 도 4, 5와 같이 고리 형태일 수도 있으며, 막대의 형태이든, 공포탄 어댑터(100)를 결합 등을 할 때 도움이 되는 형태이면 충분하다.
이하에서는, 기존의 문제점 및 본 발명인 공포탄 어댑터(100)를 통해 개선한 사항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9, 10을 참조할 때, 기존의 공포탄 어댑터는 200g, 205g, 225g 등 200g가 넘는 무게였으며, 크기는 110mm X 65mm 등 이었다. 이는 외부 고정 방식에 의해 발생하는 문제로써, 공포탄 어댑터를 고정하기 위해 외부 프레임과 같이 비교적 큰 구조를 사용하였기 때문이었다. 이 때문에, 장시간 전투 훈련 및 임무 수행 시 전술적 기동력과 명중률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하지만, 본 발명처럼 고정부(108)에 의한 내부 고정 방식에 의해 외부 프레임이 필요 없어진다면, 무게(약 65g) 및 부피(내부 고정 방식) 면에서 개선되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도 9, 11을 참조할 때, 기존의 공포탄 어댑터는 일반 강 재질로 되어있었다. 이러한 경우, 공포탄 사격 시 나사 결합부 및 토출봉(본 발명에서는 총구마개부재)이 열에 의해 부식되거나 발청에 의한 고착으로, 공포탄 어댑터가 소염기(300)에서 잘 분리가 되지 않아, 소염기(300)에 손상이 생기는 일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처럼, 공포탄 어댑터(100)의 구성들을 열팽창계수가 적고 발청이 발생하지 않는 스테인리스(특히, SUS 303)로 사용한다면, 가격 면·성능 면에서 우수한 공포탄 어댑터(100)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할 때, 기존의 공포탄 어댑터의 토출구 지름은 2.2mm이었다. 토출구(111)를 설명할 때 전술한 바와 같이, 가스조절기가 없는 소총의 경우에는 토출구(111)에 의해 노리쇠 후퇴 압력을 조절하여야 하는데, 기존의 토출구 지름에 의하면 발생하는 노리쇠 후퇴 압력 부족에 의한 탄 걸림 및 기능 고장 문제를 1.6mm로 변경함으로써 개선할 수 있다.
도 5, 6, 7을 참조할 때, 기존의 공포탄 어댑터와 달리, 탄매분산부(105)의 단면(106)을 상기 단면(106)의 아랫방향으로 향하게 함으로써, 공포탄 발사로 발생한 탄매가 소염기(300)의 슬롯(304) 중 하측면 슬롯(306)으로 배출되게 설계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전술한 바와 같이 마일즈 장비(400)를 장착한 후에도 탄매에 의해 마일즈 장비(400)의 레이저부가 가려지지 않아서, 마일즈 장비(400)를 장착하면서 훈련을 할 때에도 원활한 훈련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 공포탄 어댑터
102 : 총구마개부재
103 : 총구마개부재의 나선형 홈
104 : 수용부
105 : 탄매분산부
106 : 탄매분산부의 단면
107 : 탄매분산부의 나선형 홈
108 : 고정부
109 : 걸림부
110 : 잠금부
111 : 토출구
112 : 손잡이부
200 : 잠금부와 걸림부의 간격
202 : 걸림부와 수용부의 간격
300 : 소염기
302 : 소염공
304 : 슬롯
306 : 하측면 슬롯
400 : 마일즈 장비

Claims (11)

  1. 공포탄이 발사됨에 따라 소염기의 소염공을 통해 가스가 배출되는 것을 막아서, 상기 공포탄 발사 후 총기의 공포탄 재장전을 가능하게 하는 공포탄 어댑터(100)에 있어서,
    일측이 상기 소염공에 삽입되는 총구마개부재(102);
    상기 소염공에 삽입되는 상기 총구마개부재(102)의 상기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소염공을 통해 상기 가스가 배출되는 것을 막는 수용부(104);
    상기 총구마개부재(102)와 결합되며, 상기 공포탄이 발사됨에 따라 나오는 탄매를 분산시켜 상기 소염기의 슬롯으로 배출시키는 탄매분산부(105); 및
    상기 소염기의 슬롯과 결합되며, 상기 공포탄 어댑터(100)를 상기 소염기에 고정시키는 고정부(108)를 포함하되,
    상기 탄매분산부(105)는 상기 소염공으로 삽입되는 측면의 단면이 상기 단면의 아랫방향으로 향하게 되어있고, 상기 탄매분산부(105)에 상기 소염기의 하측 이외의 슬롯 방향으로 덮개가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탄매가 하측 슬롯으로 배출되도록 분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포탄 어댑터(10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108)는,
    상기 슬롯 중 하측 이외의 슬롯과 결합되는 걸림부(109); 및
    상기 걸림부(109)와의 간격을 조절하여, 상기 공포탄 어댑터(100)를 상기 소염기에 밀착 결합시키는 잠금부(110)로 구성되되,
    상기 걸림부(109)는 상기 소염기의 내부에서 외부 방향으로 상기 하측 이외의 슬롯과 결합되며,
    상기 잠금부(110)와 상기 걸림부(109)와의 간격은 상기 소염기의 횡 방향 축을 기준으로 한 간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포탄 어댑터(100).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104)가 배출되는 것을 막은 상기 가스의 일부를 배출시키는 토출구(111)를 더 포함하되, 상기 토출구(111)의 지름은 1.6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포탄 어댑터(100).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총구마개부재(102)가 상기 소염공에 삽입되는 상기 일측을 기준으로 타측에 결합되는 손잡이부(11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포탄 어댑터(100).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총구마개부재(102), 상기 고정부(108), 상기 탄매분산부(105)의 재질은 스테인리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포탄 어댑터(100).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110)는 상기 탄매분산부(105)와 결합되어, 상기 어댑터(100)와 상기 소염기를 밀착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포탄 어댑터(100).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110)는 상기 총구마개부재(102)와 결합되어, 상기 어댑터(100)와 상기 소염기를 밀착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포탄 어댑터(100).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탄매분산부(105)의 일측에는 나선형 홈이 있으며, 상기 잠금부(110)는 상기 탄매분산부(105)를 회전축으로 하여 상기 탄매분산부(105)의 상기 나선형 홈을 따라 회전하여 상기 탄매분산부(105)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포탄 어댑터(100).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총구마개부재(102)의 타측에는 나선형 홈이 있으며, 상기 잠금부(110)는 상기 총구마개부재(102)를 회전축으로 하여 상기 총구마개부재(102)의 상기 나선형 홈을 따라 회전하여 상기 총구마개부재(102)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포탄 어댑터(100).
  11.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총구마개부재(102)의 타측에 나선형 홈이 있으며, 상기 총구마개부재(102)를 회전축으로 하여 상기 탄매분산부(105)가 상기 나선형 홈을 따라 회전하여 상기 총구마개부재(102)와 결합되어, 상기 걸림부(109)와 상기 수용부(104)와의 간격의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포탄 어댑터(100).

KR1020150116993A 2015-08-19 2015-08-19 공포탄 어댑터 KR1015882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6993A KR101588284B1 (ko) 2015-08-19 2015-08-19 공포탄 어댑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6993A KR101588284B1 (ko) 2015-08-19 2015-08-19 공포탄 어댑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8284B1 true KR101588284B1 (ko) 2016-01-28

Family

ID=55309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6993A KR101588284B1 (ko) 2015-08-19 2015-08-19 공포탄 어댑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828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2492A (ko) 2016-12-21 2018-06-29 주식회사 케이.에이.티 공포탄 어댑터
KR101936683B1 (ko) 2018-06-21 2019-01-17 대한민국(방위사업청장) 공포탄 어댑터
KR101989040B1 (ko) 2019-04-04 2019-06-13 고려화공 주식회사 전장효과를 제공하는 가스후방배출형 공포탄
KR20230018559A (ko) * 2021-07-30 2023-02-07 대한민국(육군참모총장) 공포탄 어댑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0327A (en) * 1900-10-24 1901-08-13 William G Hay Colt gun.
US5325758A (en) * 1993-04-15 1994-07-05 Compton David W Blank firing attachment
US6848208B1 (en) * 2002-07-10 2005-02-01 Neal A. Kirschner Replaceable blank firing barrel
KR20130031449A (ko) * 2011-09-21 2013-03-29 김영준 자동소총용 공포탄을 발사하기 위한 어댑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0327A (en) * 1900-10-24 1901-08-13 William G Hay Colt gun.
US5325758A (en) * 1993-04-15 1994-07-05 Compton David W Blank firing attachment
US6848208B1 (en) * 2002-07-10 2005-02-01 Neal A. Kirschner Replaceable blank firing barrel
KR20130031449A (ko) * 2011-09-21 2013-03-29 김영준 자동소총용 공포탄을 발사하기 위한 어댑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2492A (ko) 2016-12-21 2018-06-29 주식회사 케이.에이.티 공포탄 어댑터
KR101936683B1 (ko) 2018-06-21 2019-01-17 대한민국(방위사업청장) 공포탄 어댑터
KR101989040B1 (ko) 2019-04-04 2019-06-13 고려화공 주식회사 전장효과를 제공하는 가스후방배출형 공포탄
KR20230018559A (ko) * 2021-07-30 2023-02-07 대한민국(육군참모총장) 공포탄 어댑터
KR102566011B1 (ko) * 2021-07-30 2023-08-11 대한민국 공포탄 어댑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53740B1 (en) Rapid adjust muzzle system
KR101588284B1 (ko) 공포탄 어댑터
US7836809B2 (en) Flash suppression system
US10830550B2 (en) Firearm accessory mounting system
US9395137B2 (en) Flash suppressing muzzle brake
US11112200B2 (en) Suppressor
US10845138B2 (en) Mini magwell for semi-automatic pistols of multiple calibers
US10018440B2 (en) Small caliber suppressor
US9777981B1 (en) Blank-firing device with anti-tampering features
US20160010936A1 (en) Firearm Compensator Assembly
US20200025477A1 (en) Adjustable gas block assembly for a gas operated semi-automatic firearm
US11187509B2 (en) Bullet and casing projectile for rifled barrel
US8683728B2 (en) Barrel safety device
RU2674917C1 (ru) Тренировочная насадка
US7832136B2 (en) Safety devices for firearms
US6408556B1 (en) Breech block firearm safety device
US4440062A (en) Reversible bolt for firearms
US2075837A (en) Blank ammunition firing attachment for automatic guns
US5153375A (en) Ammunition cartridge for simulated firing using a laser beam
EP0923700B1 (en) Training weapon system
KR20130031449A (ko) 자동소총용 공포탄을 발사하기 위한 어댑터
US20160061546A1 (en) Firearm magazine capacity limiter
US10451373B2 (en) Firearm barrel
US4418488A (en) Pistol and removable cartridge shaped barrel insert
US20140216292A1 (en) Replaceable bullet cartrid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