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7182B1 - 휴대용 키보드 및 휴대용 키보드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휴대용 키보드 및 휴대용 키보드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7182B1
KR101587182B1 KR1020140136047A KR20140136047A KR101587182B1 KR 101587182 B1 KR101587182 B1 KR 101587182B1 KR 1020140136047 A KR1020140136047 A KR 1020140136047A KR 20140136047 A KR20140136047 A KR 20140136047A KR 101587182 B1 KR101587182 B1 KR 1015871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g
portable keyboard
contact
mobile terminal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6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현석
양경태
박시영
한신
유태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360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71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71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71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키보드 및 이를 이용한 휴대용 키보드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각기둥 형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와 연결되고 복수의 키배열을 갖는 키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는 일 지점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거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거치부는 회전에 의해 상기 몸체와 거치부 사이에 이동 단말기가 수용되는 공간을 마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키보드와, 상기 휴대용 키보드 및 지지대를 포함하는 휴대용 키보드 어셈블리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휴대용 키보드 및 휴대용 키보드 어셈블리{PORTABLE KEYBOARD AND PORTABLE KEYBOARD ASSEMBLY}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를 거치할 수 있는 휴대용 키보드 및 지지대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ed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최근에, 인터넷 및 멀티미디어의 빠른 발전과 함께 이를 응용한 다양한 휴대용 기기 또는 멀티미디어 제품들이 사용자들의 요구에 따라 시판되고 있다. 이러한, 휴대용 기기 또는 멀티미디어 제품들은 휴대를 간편하게 하고 원하는 정보를 자유로이 입력함과 아울러 다양한 기능을 유기적으로 접목시켜 사용의 효율을 극대화시키기 위하여 소형화 및 복합화되는 추세이다.
이와 같은, 휴대용 기기 또는 멀티미디어 제품들의 문자 입력을 위해서는 별도의 무선 키보드, 별도의 입력 장치 등이 필요하게 된다. 그러나, 무선 키보드 등의 입력장치는 비교적 부피가 크기 때문에 휴대가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의 휴대용 키보드는 기본적으로 접히지 않는 구조로 부피가 커서 이동시 불편하며, 다른 제품과 유선으로 연결되는 제품이 대부분이어서, 거치도 불편하였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휴대성이 용이한 접는 방식의 키보드에 전자기기를 위한 별도의 거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각기둥 형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와 연결되고 복수의 키배열을 갖는 키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는 일 지점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거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거치부는 회전에 의해 상기 몸체와 거치부 사이에 이동 단말기가 수용되는 공간을 마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키보드를 제공한다.
상기 거치부는 상기 몸체와 거치부를 연결하는 축에 의해 회전할 수 있고, 상기 거치부는 회전에 의해 바닥면에 접촉하는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와 교차되어 상기 몸체의 일부를 덮도록 형성되는 덮개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평부 및 덮개부는 상기 휴대용 키보드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수평부에는 상기 거치부의 회전을 안내하는 가이드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는 상기 수평부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수평부를 가로질러 형성되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와 교차 형성되고, 상기 수평부의 회전시에 상기 몸체에 삽입되는 교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교차부는 상기 몸체를 가로질러 형성되는 가이드홀을 따라 회전할 수 있고, 상기 거치부는 상기 몸체의 외관을 형성하고, 상기 몸체의 외주면과 동일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휴대용 키보드와, 상기 몸체에 체결되어 이동 단말기를 지지하는 지지대를 포함하는 휴대용 키보드 어셈블리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지지대는 상기 휴대용 키보드가 끼워지며, 상기 휴대용 키보드가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몸체의 외측면에 체결되어 이동 단말기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외측면 및 상기 지지대가 상기 외측면과 접촉하는 접촉면에는 체결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외측면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홈과, 상기 접촉면에 형성되어 상기 홈에 삽입되는 돌기일 수 있고, 상기 홈은 점 또는 선형일 수 있다.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외측면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레일부와, 상기 접촉면에 형성되고 상기 레일부를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레일 접촉부일 수 있다.
상기 레일부 및 레일 접촉부는 수직 방향 또는 수평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레일 접촉부는 상기 접촉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연결부보다 큰 단면을 갖는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레일부는 상기 외측면의 외부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가 삽입되는 제1 부분과, 상기 제1 부분보다 큰 단면을 가지며, 상기 체결부가 삽입되는 제2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몸체에 구비되는 제1 접촉부재와, 상기 제1 접촉부재와 자력(磁力)에 의해 상기 몸체와 지지대가 접촉하도록 하는 제2 접촉부재일 수 있다.
상기 제1 접촉부재가 자기부재(magnetic material)인 경우에는 상기 제2 접촉부재는 자기부재 또는 금속부재이고, 상기 제1 접촉부재가 금속부재(metal material)인 경우에는 상기 제2 접촉부재는 자기부재일 수 있다.
상기 지지대는 제1 날개와, 상기 제1 날개와 일 단부가 결합되는 제2 날개와, 상기 제1 날개 및 제2 날개의 일 단부를 고정하여 상기 제1 날개 및 제2 날개가 소정의 각을 이루도록 하는 힌지축을 포함하고, 상기 힌지축은 상기 몸체의 상측면 및 하측면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지지대는 제1 날개와, 상기 제1 날개의 일 단부를 고정하는 제1 힌지축과, 상기 제1 날개와 소정의 각을 이루는 제2 날개, 및 상기 제2 날개의 일 단부를 고정하는 제2 힌지축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힌지축 및 제2 힌지축은 상기 몸체의 상측면 및 하측면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날개 및 제2 날개에는 각각 제1 그루브 및 제2 그루브가 형성되며, 상기 제1 그루브 및 제2 그루브에 이동 단말기가 안착될 수 있다.
상기 몸체의 외부에는 리세스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대는 상기 리세스부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휴대가 편리하고, 이동 단말기의 거치가 쉽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폭을 가변할 수 있는 지지대에 의하여 다양한 크기를 갖는 이동 단말기를 간단하게 거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같은 특정 실시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용 키보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용 키보드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용 키보드를 전개한 상태에서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A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용 키보드에 이동 단말기가 결합된 상태에서의 측면도이다.
도 6a는 도 1의 B 부분의 확대 사시도이고, 도 6b는 도 6a의 단면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용 키보드 및 지지대를 나타내는 휴대용 키보드 어셈블리의 결합 전 사시도이고, 도 7b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용 키보드에 지지대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8a 내지 도 8d는 본 발명과 관련된 다양한 지지대의 형상을 나타낸 것이다.
도 9a 내지 도 9e는 본 발명과 관련된 지지대가 결합되기 위한 휴대용 키보드의 형상을 나타낸 것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대의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도 11 및 도 12는 도 10의 지지대가 휴대용 키보드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디지털 사이니지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사각 형상의 휴대용 키보드(100)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휴대용 키보드(100)를 권취한 상태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휴대용 키보드를 전개한 상태의 평면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200)에는 블루투스가 지원되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전자책(E-book), 내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휴대용 키보드(100)를 다각 형상으로 할 수 있는데,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각 형상 또는 오각 형상으로 할 수 있으며, 외형만 상이할 뿐 내부 구성은 동일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사각 형상으로 권취되는 경우를 위주로 설명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할 것은 아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키보드(100)는, 내부에 내장 배터리(미도시)가 구비되어 있고, 다각 기둥 형상인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와 연결되고 복수의 키배열을 갖는 키조립체(120) 및 상기 키조립체(120)와 몸체(110)를 연결하면서 상기 키조립체(120)의 하부에까지 연장 형성되는 플렉시블(flexible)한 연결부(13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연결부(135)는 연성회로기판(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일 수 있고, 상기 키조립체(120) 중 적어도 하나의 키배열(121 또는 125)은 터치에 의해 정보가 입력되며, 상기 키조립체(120)가 권취되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키조립체(120)의 일부를 터치식 키보드를 적용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일부의 키배열에 정전식 또는 정압식 키보드를 적용하였다. 상기 연결부(135)를 얇은 부재로 형성함으로써,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10)를 키조립체(120)가 감싸면서 권취될 수 있다. 이때, 키배열(121,122,123,124)은 상기 몸체(110)에 맞닿아 있다.
상기 키조립체(120)는 복수의 배열을 가지며, 도 3에서는 제1 내지 제5 키배열(121,122,123,124,125)이 구비됨을 도시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네 개의 키배열만 구비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3에서는 제1 키배열(121)이 터치식인 것을 도시한 것인데, 주로 제1 키배열(121)을 터치식으로 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제5 키배열(125)을 터치식으로 할 수도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10)의 외면에는 터치 패드(105)가 구비되는데, 상기 터치 패드(105)는 터치 방향에 따라 커서(cursor) 또는 마우스 화살표를 이동시키는 기능을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특정 방향을 따라 터치를 하면, 페어링된 이동 단말기(200)에서의 커서 또는 마우스 화살표 등의 위치가 변경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키보드 방식이 기계식과 터치식(정전식 또는 정압식)을 혼합한 방식이 적용되는데, 상기 정전식은 멤브레인이나 기계식과는 달리 전압의 차이를 감지하여 신호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키를 살짝만 눌러도 인식이 되며, 정압식은 압력차를 감지하여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4는 도 3의 A부분을 확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몸체(110) 끝단 부위의 일부 사시도인데,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키보드(100)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몸체(110)의 일측에는 전원 키(111), 충전 포트(112), 페어링 키(113)(pairing key) 및 스피커(129)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전원 키(111)는 상기 휴대용 키보드(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충전 포트(112)는 상기 휴대용 키보드(100)에 내장되어 있는 내장 배터리(101)를 충전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페어링 키(113)는 상기 이동 단말기(200)와 휴대용 키보드(100)를 페어링(pairing)시킬 때 사용하는 버튼이다. 즉, 상기 페어링 키(113)를 누르면, 근처에 있는 이동 단말기(200)를 찾아 무선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스피커(129)는 상기 이동 단말기(200)와 휴대용 키보드(100)가 페어링되어 음악 등을 재생하고자 할 때, 이동 단말기(200)에 구비된 스피커 외에 휴대용 키보드(100)에 형성된 스피커(129)를 통해 음악 등을 들을 수 있도록 한다.
이동 단말기(200)와 휴대용 키보드(100)가 페어링된 상태에서, 키조립체(120)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키 입력을 하게 되면, 이동 단말기(200)에서 음악 또는 동영상 등을 재생하면서 휴대용 키보드(100)에 신호를 전송하여 스피커(129)에서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즉, 휴대용 키보드(100)에서 이동 단말기(200)에 키 입력 신호를 전송하면, 이를 받은 이동 단말기(200)에서 음악 또는 동영상을 재생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몸체(110)의 일측에는 휴대용 키보드(100)의 배터리 상태부(114), 배터리 충전 표시부(115), 무선 연결 표시부(116), 대/소문자 변환 표시부(117) 등이 배치된다.
즉, 배터리 표시(114a) 및 배터리 충전 상태를 알려주는 충전상태 표시등(114b), 블루투스 표시(116a) 및 블루투스와의 연결 여부를 알려주는 블루투스 연결 표시등(116b) 및 배터리 충전시 충전 표시(115a) 및 충전 여부를 알려주는 충전 표시등(115b)이 형성된다. 또한, 대문자와 소문자의 변환을 확인할 수 있도록 변환표시(117a) 및 이를 알 수 있도록 하는 표시등(117b)이 형성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10)의 각 면에는 홈(161)이 형성되고, 키조립체(120)의 각각의 키배열(121,122,123,124,125)의 끝단에는 상기 홈(161)과 대응되는 돌기(162)가 형성되어 요철 결합에 의해 용이하게 권취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용 키보드(100)에 이동 단말기(200)가 결합된 상태에서의 측면도이고, 도 6a는 도 1의 B부분을 확대한 것으로,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용 키보드의 거치부(130)가 펼쳐진 상태에서의 사시도이고, 도 6b는 도 6a의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6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휴대용 키보드(100)는 각기둥 형상의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와 연결되고 복수의 키배열(121,122,123,124,125)을 갖는 키조립체(120)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110)는 일 지점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거치부(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거치부(130)는 회전에 의해 상기 몸체(110)와 거치부(130) 사이에 이동 단말기(200)가 수용되는 공간을 마련하여 이동 단말기(200)가 수용되도록 한다.
상기 몸체(110)는 외부를 향하여 펼쳐져 이동 단말기(200)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부(130)를 포함하는데, 상기 거치부(130)는 상기 몸체(110)와 거치부(130)를 연결하는 축(136)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상기 거치부(130)는 몸체(110)의 내부에 은폐되어 있다가 이동 단말기(200)와 같은 전자기기를 거치하고자 할 경우에는 외부에 노출되도록 형성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거치부(130)는 회전에 의해 바닥면에 접촉하는 수평부(139)와, 상기 수평부(139)와 교차되어 상기 몸체(110)의 상면을 덮도록 형성되는 덮개부(138)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수평부(139)에는 가이드(134)가 형성되어 상기 덮개부(138)가 상기 몸체(110)에 어긋나지 않고 정위치에 삽입되도록 한다. 상기 가이드(134)는 상기 수평부(139)에 형성되는 바닥부(131)와 상기 바닥부(131)와 교차 형성되는 교차부(133)를 포함하는데, 상기 몸체(110)가 사각 기둥 형상인 경우에는 상기 수평부(139)와 덮개부(138)는 대략 수직을 이루고, 상기 바닥부(131)와 교차부(133)도 대략 수직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만약, 몸체(110)가 삼각 기둥 형상인 경우에는 상기 수평부(139)와 덮개부(138), 상기 바닥부(131)와 교차부(133)는 대략 120°를 이루고, 상기 몸체(110)가 오각 기둥 형상인 경우에는 상기 수평부(139)와 덮개부(138), 상기 바닥부(131)와 교차부(133)는 대략 108°를 이루게 된다. 즉, 상기 거치부(130)는 상기 몸체(110)의 외관을 형성하고, 상기 몸체(110)의 외주면과 동일 평면을 형성하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10)의 외주 일부에는 리세스부(140,recess portion)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134)에 의해 상기 거치부(130)가 상기 몸체(110)를 용이하게 덮을 수 있으며, 상기 몸체(110)에는 상기 교차부(133)가 가로질러 삽입될 수 있는 가이드홀(14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홀(141)은 상기 교차부(133)가 회전할 수 있는 공간으로, 상기 거치부(130)를 열고 닫을 때 틀어지지 않도록 한다. 이때, 상기 교차부(133)의 안쪽에는 홈(132)이 형성되어 이동 단말기(200)의 하단부가 미끄러지지 않고 교차부(133)에 거치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휴대용 키보드(100)를 사용시에 이동 단말기(200)를 용이하게 거치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지지대를 포함하는 휴대용 키보드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도 7a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용 키보드(100) 및 지지대(150a,150b)를 나타내는 휴대용 키보드 어셈블리의 결합 전 사시도이고, 도 7b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용 키보드(100)에 지지대(150a,150b)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인데,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상술한 휴대용 키보드(100)에서 몸체(110)에 결합되어 이동 단말기(200)를 지지하는 지지대(150a,150b)를 추가적으로 포함하여 휴대용 키보드 어셈블리를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대(150a,150b)의 외곽 단면은 대략 몸체(110)의 단면과 유사한 형상을 갖도록 한다. 예를 들면,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10)가 사각 기둥인 경우에는 상기 지지대(150a,150b)의 대략적인 형상은 사각형이 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휴대용 키보드(100)를 보관시에는 상기 지지대(150a,150b)의 내부에 권취된 상태로 삽입되도록 한다. 상기에서는 지지대(150a,150b)를 한 쌍으로 형성하여 휴대용 키보드(100)의 양단에서 삽입되도록 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할 것은 아니고, 지지대(150a 또는 150b)를 도 7a에 도시된 것보다 길게 형성함으로써 하나의 지지대(150a 또는 150b)만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도 7b에서와 같이 한 쌍의 지지대(150a,150b)가 휴대용 키보드(100)의 양단에서 결합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휴대용 키보드(100)의 가운데 정도에 위치하도록 단일의 지지대(150a 또는 150b)로 이동 단말기(200)를 지지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지지대(150a, 150b)는 휴대용 키보드(100)가 끼워지며, 상기 휴대용 키보드(100)가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몸체(110)의 외측면(110b)에 체결되어 이동 단말기(200)를 지지할 수 있으면 충분하다.
이때, 상기 몸체(110)는 키조립체(120)를 전개한 상태에서 상부를 향하는 상측면(110a), 외부를 향하는 외측면(110b) 및 하부를 향하는 하측면(110c)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대(150a 또는 150b)는 상기 외측면(110b)와 접촉하는 접촉면(153), 하부를 향하는 하측면(152), 및 상기 지지대(150a 또는 150b)가 몸체(110)에 체결시 외부에 노출되는 노출면(151)을 구비한다.
상기 외측면(110b) 및 상기 지지대(150a 또는 150b)가 상기 외측면(110b)과 접촉하는 접촉면(153)에는 상기 지지대(150a 또는 150b) 및 몸체(110)를 결합하는 체결수단이 형성되는데, 이하에서는 상기 체결수단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8a 내지 도 8d는 본 발명과 관련된 다양한 지지대(150)의 형상을 나타낸 것이고, 도 9a 내지 도 9e는 본 발명과 관련된 지지대(150)가 결합되기 위한 휴대용 키보드(100)의 형상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수단은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형상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즉, 도 8a 및 도 9a는 상기 외측면(110b)에 형성되는 홈(154a)과, 상기 접촉면(153)에 형성되어 상기 홈(154a)에 삽입되는 돌기(154)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돌기(154)가 상기 홈(154a)에 삽입 고정됨으로써 상기 지지대(150)가 몸체(110)에 체결될 수 있는 구조이다. 이때, 상기 외측면(110b)에는 도 9a에 도시된 점 형상의 홈(154a)과는 달리 도 9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선형의 홈(154b)이 길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홈(154b)이 길게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지지대(150)의 체결 위치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상기 홈(154a,154b)은 점 또는 선형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지지대(150)를 한 쌍으로 형성할 수도 있고, 단일의 지지대(150)로 형성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외측면(110b)에 형성되는 오목하게 형성되는 레일부(154c,154d)와, 상기 접촉면(153)에 형성되고 상기 레일부(154c,154d)를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레일 접촉부(155)가 형성되어 상기 지지대(150)가 몸체(110)에 체결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레일부(154c,154d)와 상기 접촉 레일부(155)는 수직 방향 또는 수평 방향으로 체결될 수 있다. 도 8b 및 도 9b를 참조하면, 상기 외측면(110b)에는 상기 지지대(150)가 상하 방향으로 체결될 수 있도록 레일부(154c)가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레일부(154c)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이 상기 지지대(150)의 접촉면(153)에 형성되어 상기 레일부(154c)의 위치에 상기 지지대(150)가 삽입 장착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레일부(154c)가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지정된 위치에만 지지대(150)가 삽입될 수 있어, 이동 단말기(200)의 다양한 크기에 대응하기가 곤란한 경우가 발생한다.
도 8c 및 도 9c에서는 이동 단말기(200)의 다양한 크기에도 용이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상기 레일부(154d) 및 레일 접촉부(155)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는 앞서 설명한 도 8a 및 도 9e에서의 체결수단과 동일한 목적을 갖는다. 즉, 상기 지지대(150)가 몸체(110)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도록 형성되어 다양한 크기를 갖는 이동 단말기(200)를 거치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레일부(154c,154d)와 상기 접촉 레일부(155)가 슬라이딩 이동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레일 접촉부(155)는 상기 접촉면(153)으로부터 돌출되는 연결부(155a,155a')와, 상기 연결부(155a,155a')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연결부(155a,155a')보다 큰 단면을 갖는 체결부(155b,155b')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레일부(154c,154d)는 상기 외측면(110b)의 외부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155a,155b')가 삽입되는 제1 부분(1541,1541')과, 상기 제1 부분(1541,1541')보다 큰 단면을 가지며, 상기 체결부(155b,155b')가 삽입되는 제2 부분(1542,1542')을 포함한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몸체(110)의 내부와 상기 지지대(150)의 내부에 자기부재 또는 금속부재를 구비하도록 함으로써 자력(磁力)에 의해 몸체(110)와 지지대(150)가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외측면(110b)에 형성되는 부재를 제1 접촉부재(156a)라고 하고, 상기 접촉면(153)에 형성되는 부재를 제2 접촉부재(156b)라고 명명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150)의 접촉면(153)에는 금속부재(metal material) 또는 자기부재(magnetic material)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110)의 외측면(110b)에 금속부재 또는 자기부재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제1 접촉부재(156a)가 자기부재이면 상기 제2 접촉부재(156b)는 금속부재 또는 자기부재일 수 있으나, 상기 제1 접촉부재(156a)가 금속부재이면 상기 제2 접촉부재(156b)는 반드시 자기부재이어야 한다. 이때, 상기 제1 접촉부재(156a)는 상기 몸체(110)의 외측면(110b)에 형성될 수도 있으나, 상기 몸체(110)의 내측면 또는 내부에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몸체(110)에 삽입될 수 있는 지지대(160)가 사용될 수 있는데, 상기 지지대(16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이동 단말기(200)가 안착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지지대(160)는 평상시에는 상기 몸체(110)와 분리되어 있다가, 이동 단말기(200)를 거치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몸체(110)에 형성되는 홈(미도시)에 삽입되어 사용되는 경우가 있고, 상기 지지대(160)가 상기 몸체(110)에 항시 고정되어 있다가 이동 단말기(200)를 거치하고자 하는 경우에만 V형으로 펼쳐지고, 상기 지지대(160) 상에 형성된 그루브(163,164)에 이동 단말기(200)가 안착되도록 할 수 있는 경우가 있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대(160)의 형상을 도시한 것이고,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대(160)가 휴대용 키보드(100)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지지대(160)는 제1 날개(161)와, 상기 제1 날개(161)와 일 단부가 결합되어 소정의 각도(θ)를 형성하는 제2 날개(162)와, 상기 제1 날개(161) 및 제2 날개(162)의 일 단부를 고정하여 상기 제1 날개(161) 및 제2 날개(162)가 소정의 각도(θ)를 이루도록 하는 힌지축(16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1 날개(161) 및 제2 날개(162)에는 각각 제1 그루브(163) 및 제2 그루브(164)가 형성되며, 상기 제1 그루브(163) 및 제2 그루브(164)에 이동 단말기(200)가 안착된다.
도 10은 평상시에는 상기 몸체(110)와 분리되어 있다가, 이동 단말기(200)를 거치하고자 하는 경우에만 상기 몸체(110)에 형성되는 홈에 삽입되는 지지대(160)을 도시한 것이고, 도 11 및 도 12는 상기 몸체(110)에 항시 고정되어 있다가 이동 단말기(200)를 거치하고자 하는 경우에만 V형으로 펼쳐지고, 상기 지지대(160) 상에 형성된 그루브(163,164)에 이동 단말기(200)가 안착되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 및 도 12의 경우, 평상시에는 상기 제1 날개(161) 및 제2 날개(162)는 몸체(110) 내에서 대략 180°정도로 펼쳐진 상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몸체(110)에서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결합되고, 이에 의해 키조립체(120)가 용이하게 권취되도록 한다.
이때, 힌지축(165,165')은 상기 몸체(110)의 상측면(110a) 및 하측면(110c)에 체결된다.
도 11에서는 하나의 힌지축(165)에 제1 날개(161) 및 제2 날개(162)가 서로에게 방해가 되지 않으면서 결합되도록 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예를 들면, 제1 날개(161)의 아랫 부분이 상기 힌지축(165)과 결합되고, 제2 날개(162)의 윗 부분이 상기 힌지축(165)과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하나의 힌지축(165)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 12는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제1 날개(161) 및 제2 날개(162)가 구비되고, 상기 제1 날개(161) 및 제2 날개(162)가 각각 제1 힌지축(165a) 및 제2 힌지축(165b)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형성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이 한 쌍의 힌지축(165')을 이용하여 지지대(160)를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도, 상기 지지대(160)가 외부에 돌출되지 않고, 상기 몸체(110)의 외주면과 동일 평면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즉,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몸체(110)의 외부에는 리세스부(17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대(160)가 상기 리세스부(170)에 형성되어 있어, 상기 휴대용 키보드(100)가 권취시에도 돌출되는 부분이 없이 권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힌지축(165,165')은 상기 몸체(110)의 상측면(110a) 및 하측면(110c)에 체결된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20)

  1. 각기둥 형상의 몸체; 및
    상기 몸체와 연결되고 복수의 키배열을 갖는 키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는 일 지점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몸체와 거치부 사이에 이동 단말기가 수용되는 공간을 마련하는 거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거치부는 회전에 의해 바닥면에 접촉하는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와 교차되어 상기 몸체의 일부를 덮도록 형성되는 덮개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평부 및 덮개부는 휴대용 키보드의 외관을 형성하고, 몸체의 외주 일부에는 리세스부가 형성되어 상기 거치부가 상기 몸체의 외주면과 동일 평면을 형성하며,
    상기 수평부에는 상기 거치부의 회전을 안내하는 가이드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는,
    상기 수평부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수평부를 가로질러 형성되는 바닥부; 및
    상기 바닥부와 교차 형성되고, 상기 수평부의 회전시에 상기 몸체에 삽입되는 교차부를 포함하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키보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상기 몸체와 거치부를 연결하는 축에 의해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키보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차부는,
    상기 몸체를 가로질러 형성되는 가이드홀을 따라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키보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상기 몸체의 외관을 형성하고, 상기 몸체의 외주면과 동일 평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키보드.
  7. 제1항, 제2항, 제5항 및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휴대용 키보드; 및
    상기 몸체에 체결되어 이동 단말기를 지지하는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대는,
    상기 휴대용 키보드가 끼워지며, 상기 휴대용 키보드가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몸체의 외측면에 체결되어 이동 단말기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키보드 어셈블리.
  8. 삭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면 및 상기 지지대가 상기 외측면과 접촉하는 접촉면에는 체결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키보드 어셈블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외측면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홈과, 상기 접촉면에 형성되어 상기 홈에 삽입되는 돌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키보드 어셈블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점 또는 선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키보드 어셈블리.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외측면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레일부와, 상기 접촉면에 형성되고 상기 레일부를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레일 접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키보드 어셈블리.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부 및 레일 접촉부는 수직 방향 또는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키보드 어셈블리.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 접촉부는 상기 접촉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연결부보다 큰 단면을 갖는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레일부는 상기 외측면의 외부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가 삽입되는 제1 부분과, 상기 제1 부분보다 큰 단면을 가지며, 상기 체결부가 삽입되는 제2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키보드 어셈블리.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몸체에 구비되는 제1 접촉부재; 및
    상기 제1 접촉부재와 자력(磁力)에 의해 상기 몸체와 지지대가 접촉하도록 하는 제2 접촉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키보드 어셈블리.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촉부재가 자기부재(magnetic material)인 경우에는 상기 제2 접촉부재는 자기부재 또는 금속부재이고, 상기 제1 접촉부재가 금속부재(metal material)인 경우에는 상기 제2 접촉부재는 자기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키보드 어셈블리.
  17.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제1 날개;
    상기 제1 날개와 일 단부가 결합되는 제2 날개; 및
    상기 제1 날개 및 제2 날개의 일 단부를 고정하여 상기 제1 날개 및 제2 날개가 소정의 각을 이루도록 하는 힌지축을 포함하고, 상기 힌지축은 상기 몸체의 상측면 및 하측면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키보드 어셈블리.
  1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제1 날개;
    상기 제1 날개의 일 단부를 고정하는 제1 힌지축;
    상기 제1 날개와 소정의 각을 이루는 제2 날개; 및
    상기 제2 날개의 일 단부를 고정하는 제2 힌지축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힌지축 및 제2 힌지축은 상기 몸체의 상측면 및 하측면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키보드 어셈블리.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날개 및 제2 날개에는 각각 제1 그루브 및 제2 그루브가 형성되며, 상기 제1 그루브 및 제2 그루브에 이동 단말기가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키보드 어셈블리.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외부에는 리세스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대는 상기 리세스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키보드 어셈블리.
KR1020140136047A 2014-10-08 2014-10-08 휴대용 키보드 및 휴대용 키보드 어셈블리 KR1015871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6047A KR101587182B1 (ko) 2014-10-08 2014-10-08 휴대용 키보드 및 휴대용 키보드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6047A KR101587182B1 (ko) 2014-10-08 2014-10-08 휴대용 키보드 및 휴대용 키보드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7182B1 true KR101587182B1 (ko) 2016-02-02

Family

ID=55354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6047A KR101587182B1 (ko) 2014-10-08 2014-10-08 휴대용 키보드 및 휴대용 키보드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718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9430B1 (ko) * 2016-04-14 2017-10-10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키보드
WO2017179771A1 (en) * 2016-04-14 2017-10-19 Lg Electronics Inc. Portable keyboard
WO2018026111A1 (ko) * 2016-08-03 2018-0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롤리 키보드
US9990051B2 (en) 2016-04-14 2018-06-05 Lg Electronics Inc. Portable keyboard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3191928U (zh) 2012-12-31 2013-09-11 郑天祥 一种键盘
CN203241925U (zh) 2013-05-02 2013-10-16 孔凡文 一种带推拉支脚式键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3191928U (zh) 2012-12-31 2013-09-11 郑天祥 一种键盘
CN203241925U (zh) 2013-05-02 2013-10-16 孔凡文 一种带推拉支脚式键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9430B1 (ko) * 2016-04-14 2017-10-10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키보드
WO2017179771A1 (en) * 2016-04-14 2017-10-19 Lg Electronics Inc. Portable keyboard
US9990051B2 (en) 2016-04-14 2018-06-05 Lg Electronics Inc. Portable keyboard
WO2018026111A1 (ko) * 2016-08-03 2018-0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롤리 키보드
US11366530B2 (en) 2016-08-03 2022-06-21 Lg Electronics Inc. Rolly keyboar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85198B2 (en) Hinge configuration for an electronic device
US10198090B2 (en) Electronic apparatus with touch screen, pen for touch screen and pen retention method
US10452101B2 (en) Alignment structure
KR102104141B1 (ko) 플럭스 분수
US10551878B2 (en) Input device attachment
KR101587182B1 (ko) 휴대용 키보드 및 휴대용 키보드 어셈블리
US9268373B2 (en) Flexible hinge spine
US20190258295A1 (en) Flexible device
CN210091604U (zh) 柔性设备
US20140132550A1 (en) Electrical Contacts and Connectors
KR20160139424A (ko) 이동단말기
KR102121989B1 (ko) 휴대용 키보드 및 스피커 어셈블리
US9674335B2 (en) Multi-configuration input device
EP2951893A1 (en) Electrical contacts and connectors
JPWO2015045132A1 (ja) 電子機器及びヒンジユニット
KR20150013439A (ko) 입력 디바이스 제조 기법
US9853469B2 (en) Charging system
US20130306457A1 (en) Multi-directional key assembly
US20140153748A1 (en) Electronic device
CN204595682U (zh) 一种手写笔固定机构及移动终端
CN115793870A (zh) 可拆卸皮套键盘及使用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