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6991B1 - 임베디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삭제방지 방법, 임베디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삭제방지를 위한 컨트롤서버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임베디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삭제방지 방법, 임베디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삭제방지를 위한 컨트롤서버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6991B1
KR101586991B1 KR1020140144473A KR20140144473A KR101586991B1 KR 101586991 B1 KR101586991 B1 KR 101586991B1 KR 1020140144473 A KR1020140144473 A KR 1020140144473A KR 20140144473 A KR20140144473 A KR 20140144473A KR 101586991 B1 KR101586991 B1 KR 1015869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erminal
communication
information
live signal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44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형배
강경태
Original Assignee
플러스기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플러스기술주식회사 filed Critical 플러스기술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444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69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69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69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는 임베디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삭제방지 방법 및 시스템은 스타트 앱이 설치된 이후에도, 삭제가 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스타트 앱을 공급한 통신사가 지속적으로 마케팅이나 공지 등을 알릴 수 있게 하여, 지속적인 영업을 가능케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컨트롤서버의 간단한 동작만으로도, 모든 단말기에 해당 통신사의 삭제불능 임베디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구현할 수 있어, 비용과 마케팅 및 계약 등에 따르는 수고를 줄이면서 종래의 애플리케이션 임베딩과 동일한 효과를 거둘 수 있다.

Description

임베디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삭제방지 방법, 임베디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삭제방지를 위한 컨트롤서버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METHOD, CONTROL SERVER AND COMPUTER RECORDING READABLE MEDIUM FOR PREVENTING FROM DELETING EMBEDDED MOBILE APPLICATION }
본 발명은 임베디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삭제방지 방법, 임베디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삭제방지를 위한 컨트롤서버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 단말에 임베딩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사용자가 임의로 삭제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임베디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삭제방지 방법, 임베디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삭제방지를 위한 컨트롤서버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통신기술의 발전과 휴대폰 기능의 고도화에 따라 무선통신 가능한 스마트 단말기(예를 들어,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의 보급이 일반화되어 오고 있다. 특히, 스마트폰의 경우, 남녀노소 모두가 소지할 정도로 보급률이 상당히 높기 때문에, 각 통신사에게는 스마트폰을 활용한 마케팅이나 판매 전략 등이 상당히 높은 수익을 가져다 줄 수 있는 수단이 되고 있다.
한국의 경우, 스마트폰과 통신사의 유심이 함께 구매되어 보급되기 때문에, 각 통신사는 자신의 통신사로 보급되는 모든 스마트폰의 출고 시에 자신의 통신사 관련 애플리케이션이 미리 임베디드되어 있도록 소비자들에게 판매하는데, 임베디드된 애플리케이션은 운영체제의 권한 하에 설치된 것이므로, 소비자에 의한 삭제가 불가능하여, 통신사 입장에서는 임베디드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통신사 관련 상품을 각 소비자들에게 수시로 광고하거나 알림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영업을 수행하고 있다.
외국의 경우, 한국과 달리 스마트폰과 유심의 별도 구매가 가능하기 때문에, 통신사가 자신의 회사의 애플리케이션이 임베디드된 스마트폰을 판매하더라도 소비자가 다른 통신사의 유심을 이용할 경우, 임베디드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마케팅이 불가능하게 되므로, 일반적으로 출고되는 스마트폰에는 통신사에 관한 스타트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지 않다.
최근 한국의 경우도 선불제 요금을 도입하고, 유심의 별도 구매를 가능하게 하여, 유심을 스마트폰 구매와 별도로 구매하여 이용하는 소비자들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흐름에 있어서, 각 통신사의 입장에서는 기존의 스마트폰에 임베디드 환경을 구축하기가 어렵고 구축한다고 하더라도 영업 이익을 보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한편, 종래기술인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32295호 (공개일 : 2013.12.04)는 단말기 개통시 SIM 프로파일 애플리케이션을 사용자가 다운받게 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직접 스타트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받도록 하는 내용을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은 사용자가 추후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삭제하더라도, 이를 확인하거나 삭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없게 구성되어 있어, 근본적인 임베디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구현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통신사의 영업을 위해 사용자 단말에 임베딩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삭제시에 사용자 단말의 통신을 차단함으로써, 상기 임베디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이 사용자에 의해 임의로 제거되는 경우를 방지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르는 컨트롤서버에 의하여 수행되는 임베디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삭제방지 방법은, (a) 이미 통신이 개통된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 내에 설치된 스타트 애플리케이션의 라이브 신호가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마다 수신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b) 상기 라이브 신호가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마다 수신되지 않는 경우, 메시지 송수신 서버로 상기 사용자 단말이 가입된 통신사에 대한 스타트 애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것을 명령하는 제 2 메시지 송신 명령정보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식별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c) 데이터서버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식별정보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통신을 차단할 것을 명령하는 제 2 통신차단 명령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d)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스타트 애플리케이션의 라이브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데이터서버로 상기 사용자 단말의 통신을 허용할 것을 명령하는 제 2 통신허용 명령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a)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 내에 설치된 복수의 스타트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라이브 신호가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수신되는지 판단하고, 상기 (b) 단계는, 상기 복수의 스타트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의 스타트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라이브 신호가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라이브 신호가 수신되지 않은 적어도 하나의 스타트 애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것을 명령하는 제 2 메시지 송신 명령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2 통신차단 명령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가입된 통신사에 대한 스타트 애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 위치에 접근하기 위한 상기 사용자 단말의 통신은 허용할 것을 명령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2 통신차단 명령정보는, 상기 데이터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임의의 IP 주소에 대한 접근을 요청하는 패킷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패킷이 상기 IP 주소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고, 상기 스타트 애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 위치정보로 리다이렉션시키는 차단 패킷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도록 명령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따르는 임베디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삭제방지를 위한 컨트롤서버는, 이미 통신이 개통된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 간격마다 설치된 스타트 애플리케이션의 라이브 신호가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수신되는지 판단하는 라이브 신호 수신부; 상기 라이브 신호가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마다 수신되지 않는 경우, 메시지 송수신 서버로 상기 사용자 단말이 가입된 통신사에 대한 스타트 애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것을 명령하는 제 2 메시지 송신 명령정보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식별정보를 전송하는 제 2 메시지 송신 명령부; 데이터서버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식별정보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통신을 차단할 것을 명령하는 제 2 통신차단 명령정보를 전송하는 제2 통신차단 명령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스타트 애플리케이션의 라이브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데이터서버로 상기 사용자 단말의 통신을 허용할 것을 명령하는 제 2 통신허용 명령정보를 전송하는 제 2 통신허용 명령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라이브 신호 수신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 내에 설치된 복수의 스타트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라이브 신호가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수신되는지 판단하고, 상기 제 2 메시지 송신 명령부는, 상기 복수의 스타트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의 스타트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라이브 신호가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라이브 신호가 수신되지 않은 적어도 하나의 스타트 애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것을 명령하는 제 2 메시지 송신 명령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상기 제 2 통신차단 명령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가입된 통신사에 대한 스타트 애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 위치에 접근하기 위한 상기 사용자 단말의 통신은 허용할 것을 명령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2 통신차단 명령정보는, 상기 데이터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임의의 IP 주소에 대한 접근을 요청하는 패킷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패킷이 상기 IP 주소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고, 상기 스타트 애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 위치정보로 리다이렉션시키는 차단 패킷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도록 명령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 3 측면에 따르면, 컨트롤서버, 데이터서버, 메시지 송수신 서버를 포함하는 임베디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삭제방지를 위한 시스템에 의하여 수행되는 임베디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삭제방지 방법은, 상기 컨트롤서버에서 이미 통신이 개통된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 내에 설치된 스타트 애플리케이션의 라이브 신호가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마다 수신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컨트롤서버에서 상기 라이브 신호가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마다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컨트롤서버의 제어에 의해, 상기 메시지 송수신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이 가입된 통신사에 대한 스타트 애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컨트롤서버의 제어에 의해, 상기 데이터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이 가입된 통신사에 대한 스타트 애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 위치를 제외한 다른 위치에 대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접근을 차단하는 단계; 및 상기 컨트롤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스타트 애플리케이션의 라이브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컨트롤서버의 제어에 의해, 상기 데이터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의 통신 접근을 허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 4측면에 따르는 컨트롤서버에 의하여 수행되는 임베디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삭제방지 방법은, (a) 유심인증서버로부터 통신개통 프로세스를 시작한 후 유심인증이 완료된 사용자 단말의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b) 메시지 송수신 서버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유심에 대응하는 통신사에 대한 스타트 애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것을 명령하는 제 1 메시지 송신 명령정보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식별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c) 상기 데이터서버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식별정보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통신을 차단할 것을 명령하는 제 1 통신차단 명령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d)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스타트 애플리케이션의 라이브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데이터서버로 상기 사용자 단말의 통신을 허용할 것을 명령하는 제 1 통신허용 명령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통신개통 프로세스를 완료시키는 단계; (e)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 내에 설치된 스타트 애플리케이션의 라이브 신호가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마다 수신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f) 상기 라이브 신호가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마다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메시지 송수신 서버로 상기 사용자 단말이 가입된 통신사에 대한 스타트 애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것을 명령하는 제 2 메시지 송신 명령정보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식별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g) 상기 데이터서버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식별정보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통신을 차단할 것을 명령하는 제 2 통신차단 명령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h)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스타트 애플리케이션의 라이브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데이터서버로 상기 사용자 단말의 통신을 허용할 것을 명령하는 제 2 통신허용 명령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e)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 내에 설치된 복수의 스타트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라이브 신호가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수신되는지 판단하고, 상기 (f) 단계는, 상기 복수의 스타트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의 스타트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라이브 신호가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라이브 신호가 수신되지 않은 적어도 하나의 스타트 애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것을 명령하는 제 2 메시지 송신 명령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통신차단 명령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가입된 통신사에 대한 스타트 애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 위치에 접근하기 위한 상기 사용자 단말의 통신은 허용할 것을 명령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통신차단 명령정보는, 상기 데이터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임의의 IP 주소에 대한 접근을 요청하는 패킷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패킷이 상기 IP 주소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고, 상기 스타트 애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 위치정보로 리다이렉션시키는 차단 패킷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도록 명령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 5측면에 따르면, 상술한 임베디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삭제방지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 6 측면에 따르면, 임베디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삭제방지를 위한 컨트롤서버는, 유심인증서버로부터 통신개통 프로세스를 시작한 후 유심인증이 완료된 사용자 단말의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유심인증완료정보 수신부; 메시지 송수신 서버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유심에 대응하는 통신사에 대한 스타트 애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것을 명령하는 제 1 메시지 송신 명령정보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식별정보를 전송하는 제 1 메시지 송신 명령부; 상기 데이터서버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식별정보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통신을 차단할 것을 명령하는 제 1 통신차단 명령정보를 전송하는 제 1 통신차단 명령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스타트 애플리케이션의 라이브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데이터서버로 상기 사용자 단말의 통신을 허용할 것을 명령하는 제 1 통신허용 명령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통신개통 프로세스를 완료시키는 제 2 통신허용 명령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 내에 설치된 스타트 애플리케이션의 라이브 신호가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마다 수신되는지 판단하는 라이브 신호 수신부; 상기 라이브 신호가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마다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메시지 송수신 서버로 상기 사용자 단말이 가입된 통신사에 대한 스타트 애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것을 명령하는 제 2 메시지 송신 명령정보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식별정보를 전송하는 제 2 메시지 송신 명령부; 상기 데이터서버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식별정보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통신을 차단할 것을 명령하는 제 2 통신차단 명령정보를 전송하는 제 2 통신차단 명령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스타트 애플리케이션의 라이브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데이터서버로 상기 사용자 단말의 통신을 허용할 것을 명령하는 제 2 통신허용 명령정보를 전송하는 제 2 통신허용 명령부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는 임베디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삭제방지 방법 및 시스템은 스타트 앱이 설치된 이후에도, 삭제가 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스타트 앱을 공급한 통신사가 지속적으로 마케팅이나 공지 등을 알릴 수 있게 하여, 지속적인 영업을 가능케 한다. 아울러, 단말기 출고 시에 미리 스타트 앱을 설치하게 할 경우, 현존하는 수십 가지의 단말기 제조회사와 계약을 맺고 스타트 앱을 단말기 제조회사로 공급해야만 삭제불능의 임베디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구현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컨트롤서버의 간단한 동작만으로도, 모든 단말기에 해당 통신사의 삭제불능 임베디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구현할 수 있어, 비용과 마케팅 및 계약 등에 따르는 수고를 줄이면서 종래의 애플리케이션 임베딩과 동일한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임베딩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임베딩을 구현하기 위한 컨트롤서버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임베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a 내지 도4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개통절차가 수행되는 사용자 단말의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는 임베디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삭제방지를 위한 컨트롤서버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임베디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삭제방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구체적인 설명에 앞서, 본 명세서에서 주로 이용되는 용어들을 미리 정의한다.
“개통”이란 사용자 단말이 어느 하나의 통신사의 통신망을 이용하여 다른 단말이나 서버와 통신할 수 있도록 사용자 단말에 IP를 최초로 할당한 상태 또는 사용자 단말의 유심(USIM)이 교체되거나 사용자 단말의 종류가 교체되어, 해당 사용자 단말에 대하여 IP를 재할당해야하는 상태를 의미한다.
또한, “임베디드 애플리케이션(Embedded Application)”이란 사용자나 제조사의 설치에 의하여 사용자 단말에 내장되어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의미한다.
또한, “스타트 앱(Start App)” 또는 “스타트 애플리케이션(Start Application)” 이란 각 통신사들이 영업용 또는 고객 관리용으로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된 세트를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자 단말이 개통되기 전 단말 내에 설치되고, 개통 후 통신사 서버와 연계되어 수시로 통신사의 마케팅이나 공지 등을 전달하는 임베디드 애플리케이션이다.
임베디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삭제 방지에 관한 실시예는 사용자가 삭제 가능한 스타트 애플리케이션이 사용자 단말에 설치하는 실시예를 전제로 하므로, 먼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임베딩을 구현하는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임베딩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상기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100), 유심인증서버(200), 컨트롤서버(300), 데이터서버(400) 및 메시지 송수신 서버(500)를 포함한다. 유심인증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의 개통시 장착된 유심이 등록된 제품인지 인증하는 서버이고, 데이터서버(400)는 사용자 단말(100)의 데이터 통신 및 음성 통신 중 적어도 하나를 관리하는 서버이며, 메시지 송수신 서버(500)는 사용자 단말(100)로 수신되거나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송신되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서버이고, 컨트롤서버(300)는 상기 서버들을 제어하여 스타트 앱을 사용자 단말(100)에 임베딩시키는 서버이다.
이들 각 구성은 네트워크(N)를 통하여 서로 통신하며, 네트워크(N)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개인 근거리 무선통신(Personal Area Network; PAN),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Mobile 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또는 위성 통신망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유/무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
먼저, 사용자 단말(100)에 장착된 유심(USIM : 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은 사용자 단말(100)과는 별도로 구매된 것으로서, 여러 통신사 중 사용자가 이용하고자 하는 통신사에서 판매한 유심일 수 있다. 이하의 예에서는, 제조공장에서 금방 출고된 단말기나 유심이 변경된 단말기 등 단말기에 새롭게 IP를 할당해야 함에 따라 개통 절차가 진행되는 경우를 가정한다.
사용자 단말(100)에 유심이 장착된 후, 전원이 켜짐에 따라 사용자 단말(100)은 개통 프로세스를 수행하게 되며, 먼저 유심인증서버(200)로 사용자 단말(100)의 고유기기정보와 유심정보를 전송하여 유심인증을 요청한다.
유심인증서버(200)는 유심인증을 완료한 후, 사용자 단말 식별정보를 컨트롤서버(300)로 전송한다. 이어서, 컨트롤서버(300)는 데이터서버(400)를 제어하여 사용자 단말(100)이 데이터 통신 및 음성 통신 중 적어도 하나가 수행되지 않도록 하여 사용자 단말(100)의 통신 개통을 차단한다.
이후, 컨트롤서버(300)의 제어 하에, 메시지 송수신 서버(500)는 개통 완료 전 사용자 단말(100)의 유심을 보급한 통신사에 대응하는 스타트 앱을 사용자 단말(100)에 설치할 것을 유도하는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한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00)에 스타트 앱을 반드시 다운받고 설치해야만 개통 절차를 완료할 수 있게 되며, 만약 스타트 앱을 설치하지 않는 경우, 데이터 통신 및 음성 통신 중 적어도 하나가 계속 불능인 상태로 머물게 된다. 스타트 앱이 모두 설치된 경우, 컨트롤서버(300)는 통신 개통 차단을 해제하도록 데이터서버(400)를 제어하여, 사용자 단말(100)을 통한 통신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 단말(100)의 통신 개통시, 유심 정보를 통하여 어느 통신사의 스타트 앱이 설치되어야 하는지 확인하고, 확인된 스타트 앱이 반드시 설치되어야만 개통 절차를 완료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단말 출고 시 해당 통신사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사용자 단말의 운영체제의 권한 하에서 사용자 단말 내에 임베딩한 것과 같은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한편, 여기서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N)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에 접속하거나, 타 단말 및 서버와 연결 가능한 컴퓨터나 휴대용 단말기, 텔레비전,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등을 포함하고, 휴대용 단말기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스마트폰(Smart Phone), 모바일 WiMAX(Mobile 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텔레비전은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인터넷 TV(Internet Television), 지상파 TV, 케이블 TV 등을 포함할 수 있다.나아가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시계, 안경, 액세서리, 의복, 신발 등 인체에 직접 착용 가능한 타입의 정보처리장치로서, 직접 또는 다른 정보처리장치를 통해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원격지의 서버에 접속하거나 타 단말과 연결될 수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컨트롤서버(300)의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유심인증 완료정보 수신부(310)는 유심인증서버(200)로부터 유심인증이 완료된 사용자 단말 식별정보와 사용자 단말(100)이 가입된 통신사의 정보를 수신한다. 사용자가 새로운 단말을 구매하거나 유심을 변경함으로써, 사용자 단말(100)의 개통절차가 시작되는 경우, 먼저 유심인증 절차부터 진행된다. 이때의 유심인증은, 사용자 단말(100)이 고유기기정보(예를 들어, 제품일련번호)와 유심정보(또는 개통키워드)를 장착된 유심에 대응하는 통신사의 유심인증서버(200)로 전송할 경우, 유심인증서버(200)가 해당 고유기기정보와 유심정보가 미리 등록되어 있는 것인지 확인하는 절차를 수행한 후, 해당 고유기기정보에 IP(Internet Protocol) 주소를 할당함으로써 완료된다. 유심인증 완료정보 수신부(310)가 수신하는 사용자 단말 식별정보는 사용자 단말(100)의 고유기기정보 및 IP 주소를 포함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이 가입된 통신사 정보는 유심인증서버(200)로부터 직접 수신되거나, 유심인증서버(200)는 각 통신사마다 독립적으로 보유된 서버이므로 유심인증서버(200)의 IP 주소나 기타 식별정보를 통하여 파악될 수 있다.
제 1 통신차단 명령부(320)는 데이터서버(400)로 사용자 단말(100)의 통신개통을 차단할 것을 명령한다. 구체적으로, 제 1 통신차단 명령부(320)는 통신차단 대상을 식별시키기 위하여 사용자 단말 식별정보를 데이터서버(400)로 전송한다. 또한, 제 1 통신차단 명령부(320)는 식별정보가 전송된 사용자 단말(100)의 통신을 차단할 것을 명령하는 제 1 통신차단 명령정보를 생성하여 데이터서버(400)로 전송한다. 또한, 제 1 통신차단 명령정보는 사용자 단말(100)의 데이터 통신은 차단시키도록 하되 음성 통신은 경우에 따라 선택적으로 차단되도록 하는 명령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제 1 통신차단 명령정보는 사용자 단말(100)이 가입된 통신사의 스타트 앱의 다운로드 페이지로 사용자 단말(100)이 접근하기 위한 통신은 차단하지 않도록 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통신차단 명령부(320)는 사용자 단말(100)의 통신사 정보를 확인하여, 통신사에 대응하는 스타트 앱의 종류를 식별하고, 사용자 단말 식별정보를 참고하여 사용자 단말(100)의 운영체제를 확인한 뒤 스타트 앱의 다운로드 위치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00)이 안드로이드 폰인 경우에는 구글 플레이 스토어에 제공된 스타트 앱의 다운로드 위치정보를 식별하고, 아이폰인 경우에는 앱 스토어에 제공된 스타트 앱의 다운로드 위치정보를 식별함) 그리고 제 1 통신차단 명령부(320)는 제 1 통신차단 명령정보를 생성할 때, 스타트 앱의 다운로드 위치정보는 접근차단 목록에서 제외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스타트 앱 다운로드 위치정보는 앱 마켓 서버(예를 들어, 구글 플레이 스토어 서버나 iOS 앱 다운을 위한 앱 스토어 서버나 기타 다른 종류의 앱 다운을 제공하는 제3의 서버 등)에 의해 제공되는 스타트 앱의 설치파일을 다운로드 할 수 있는 웹 페이지나 모바일 페이지에 대한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을 의미한다.
제 1 메시지 송신 명령부(330)는 메시지 송수신 서버(500)로 스타트 앱 다운로드 위치정보를 포함한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할 것을 명령한다. 구체적으로, 제 1 메시지 송신 명령부(330)는 메시지를 보낼 대상을 식별시키기 위하여 사용자 단말 식별정보를 전송한다. 또한, 제 1 메시지 송신 명령부(330)는 상기 스타트 앱 다운로드 위치정보가 링크 형태로 포함되는 SMS(Short Message Service), MMS(Multi Message Service)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할 것을 명령하는 제 1 메시지 송신 명령정보를 생성하고 메시지 송수신 서버(500)로 전송한다.
메시지 송수신 서버(500)는 제 1 메시지 송신 명령정보를 수신함에 따라, 사용자 단말(100)로 상기 스타트 앱 다운로드 위치정보가 링크 형태로 포함된 메시지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한다. 사용자 단말(100)은 상기 메시지를 수신함에 따라, 스타트 앱 다운로드 페이지로 접속할 수 있고, 스타트 앱 설치파일을 다운하여 사용자 단말(100) 내에 설치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100)의 스타트 앱은 설치가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설치완료정보를 컨트롤서버(300)로 전송한다.
한편, 사용자 단말(100)에 이미 스타트 앱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예를 들어, 자신의 단말기를 다른 사람이 사용하던 것으로 교체하였는데 스타트 앱이 이미 설치되어 있는 경우), 메시지에 포함된 스타트 앱 다운로드 링크를 통하여 스타트 앱을 다운로드하지 않더라도, 이미 설치되어 있는 스타트 앱이 컨트롤서버(300)로 이미 설치되어 있음을 알리는 설치완료정보를 컨트롤서버(3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제 1 통신허용 명령부(34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스타트 앱 설치완료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에 설치되어야 할 스타트 앱들의 목록과 설치완료정보에 포함된 앱들의 목록을 비교하여 모든 스타트 앱이 설치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제 1 통신허용 명령부(340)는 모든 앱이 설치된 것으로 확인된 경우, 제 1 통신허용 명령정보를 생성하고, 제 1 통신허용 명령정보와 사용자 단말 식별정보를 데이터서버(400)로 전송하여, 해당 식별정보를 갖는 사용자 단말(100)의 통신을 허용할 것을 데이터서버(400)에 명령한다. 다르게 표현하면, 통신차단 설정을 해제하는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 단말(100)의 개통 프로세스는 완료되며, 사용자 단말(100)은 자유롭게 데이터 통신이나 음성 통신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만약 사용자 단말(100) 내에 스타트 앱이 설치되지 않는다면, 스타트 앱 설치완료정보가 컨트롤서버(300)로 전송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 단말(100)의 통신이 제한된 채 개통 프로세스가 완료되지 않는다. 즉, 사용자는 반드시 스타트 앱을 설치해야만 온전히 사용자 단말(100)의 통신을 이용할 수 있게 되므로, 컨트롤서버(300)는 통신 개통 전 스타트 앱을 사용자 단말(100) 내에 임베딩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고 볼 수 있다.
이어서, 도 3 및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임베딩 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방법은 도 2에 도시된 컨트롤서버(30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에서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컨트롤서버(300)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내용은 도 3에 도시된 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에 새로운 유심이 장착되며, 전원이 켜짐에 따라 개통 프로세스가 시작된다(S101).
먼저, 사용자 단말(100)은 유심인증 요청을 유심인증서버(200)에 전송한다(S102). 사용자 단말(100)은 고유기기정보와 유심정보를 해당 유심을 발급한 통신사의 유심인증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00)의 전원이 켜진 후, 도 4a와 같이 개통키워드를 입력함으로써, 유심인증을 요청할 수도 있다.
유심인증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의 고유기기정보와 유심정보가 유심인증서버(200) 내에 등록되어 있는 정보인 것으로 확인되면, 사용자 단말(100)에 대하여 새로운 IP 주소를 할당함으로써 유심인증을 완료한다(S103).
한편, 유심인증이 완료된 후, 사용자 단말(100)에서는 활성화(activation) 절차가 진행될 수 있다. 활성화 절차는 선불요금제의 경우, 선불요금 식별정보(사용자가 미리 결제한 한 달 간 데이터/음성 사용량에 대한 식별정보)를 입력받고 통신사 서버(미도시)를 통하여 인증하는 절차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활성화 절차는 후술하는 스타트 앱 다운로드 및 설치 절차를 포함한다.
유심인증서버(200)는 고유기기정보와 IP 주소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식별정보와 통신사 정보를 전송한다(S104). 유심인증서버(200)는 각 통신사마다 구성되는 것이므로, 통신사 정보로서 유심인증서버(200)의 식별정보가 전송되더라도, 컨트롤서버(300)는 유심인증서버(200)의 식별정보를 통해 유심인증된 사용자 단말(100)이 가입된 통신사를 식별할 수 있다.
컨트롤서버(300)는 사용자 단말 식별정보를 저장한다(S105). 그리고 컨트롤서버(300)는 통신사 정보를 통하여 여러 가지 스타트 앱들 중 사용자 단말(100)에 설치되어야 할 스타트 앱을 결정하며, 사용자 단말 식별정보를 참고하여 사용자 단말(100)의 운영체제를 확인한 뒤 스타트 앱의 다운로드 위치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드로이드 폰의 경우에는 구글 플레이 스토어의 다운로드 페이지 정보를 식별하고, 아이폰의 경우에는 앱 스토어의 다운로드 페이지 정보를 식별함) 또한, 컨트롤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의 음성 통신 및 데이터 통신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을 제한하되, 스타트 앱의 다운로드 위치로의 접근은 허용하는 제 1 통신차단 명령정보를 생성한다.
컨트롤서버(300)는 사용자 단말 식별정보와 제 1 통신차단 명령정보를 데이터서버(400)로 전송한다(S106).
이어서, 데이터서버(400)는 제 1 통신차단 명령정보와 사용자 단말 식별정보를 매칭 저장한다(S107).
만약 사용자 단말(100)이 활성화 절차에서 스타트 앱 다운로드 및 설치를 수행하지 않은 채 임의의 IP 주소로의 접근 요청을 하는 경우(S108), 데이터서버(400)는 접근 요청을 거부하고, 차단 패킷을 전송할 수 있다(S109).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00)이 www.plustech.co.kr이라는 웹사이트에 접속하고자 하는 경우, 해당 사이트의 IP 주소는 제 1 통신차단 명령정보에 포함된 스타트 앱 다운로드 위치정보와 일치하지 않으므로, 데이터서버(400)는 사용자 단말(100)의 임의의 IP 주소로의 접근요청 패킷을 하이재킹하여 목적지로의 전송을 차단하고, 차단 패킷을 사용자 단말(1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차단 패킷이 수신된 사용자 단말(100)에서는 도 4b와 같은 페이지가 표시될 수 있다. 또는, 차단 패킷이 스타트 앱 다운로드 위치로의 리다이렉션 명령을 포함하는 경우, 스타트 앱 다운로드 페이지가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될 수도 있다.
그리고 컨트롤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의 스타트 앱 다운로드를 유도하는 제 1 메시지 송신 명령정보를 생성하고, 제 1 메시지 송신 명령정보와 사용자 단말 식별정보를 메시지 송수신 서버(500)로 전송한다(S110).
메시지 송수신 서버(500)는 사용자 단말 식별정보에 포함된 사용자 단말(100)의 IP 주소로 제 1 메시지 송신 명령정보에 포함된 스타트 앱 다운로드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전송한다(S111). 그에 따라, 사용자 단말(100)에서는 도 4c와 같은 형태로 메시지가 표시될 수 있다. 메시지 내에는 스타트 앱 다운로드 페이지의 URL이 링크 형태로 포함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메시지에 포함된 스타트 앱 다운로드 위치에 접근하여, 스타트 앱을 다운로드하고 설치할 수 있다(S112). 사용자 단말(100)은 자신의 운영체제에 부합하는 앱 마켓 서버에 접속하여(예를 들어, 아이폰은 앱 스토어 서버에 접속하며, 안드로이드 폰은 구글 플레이 스토어 서버에 접속하여), 스타트 앱 다운로드 위치에 접근할 수 있으며, 접근 위치에서 스타트 앱을 다운로드 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에 설치된 스타트 앱은 설치완료정보를 컨트롤서버(300)로 전송한다(S113). 이때의 설치완료정보는 스타트 앱의 라이브 신호가 될 수도 있다.
컨트롤서버(300)는 제 1 통신허용 명령정보를 생성하여 데이터서버(400)에 전송함으로써, 스타트 앱이 설치된 사용자 단말(100)에 대한 통신차단을 해제할 것을 명령한다(S114).
그에 따라, 사용자 단말(100)은 데이터 통신과 음성 통신이 가능한 상태가 되어 사용자는 자신의 단말을 통하여 자유롭게 웹이나 문자메시지 등을 이용할 수 있게 되고, 개통 프로세스는 종료된다(S115).
한편, 제조공장에서 금방 출고된 단말기의 경우, 도 3과 같은 방법으로 개통 프로세스가 진행되어야만 스타트 앱이 설치될 수 있으나, 다른 사람이 사용하는 단말기를 자신의 단말기로 변경하였는데 스타트 앱이 이미 설치가 되어 있는 경우에는 도 3과 같은 프로세스를 진행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추가 실시예로서, 개통 프로세스가 시작될 때 사용자 단말(100) 내에 해당 유심에 대응하는 통신사의 스타트 앱이 설치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모듈이 유심 내에 탑재될 수도 있다. 만약, 사용자 단말(100) 내에 스타트 앱이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 도 3과 같은 컨트롤서버(300)에 의해 제어되는 절차를 거치지 않고 바로 개통될 수도 있다.
다만, 이와 같이 스타트 애플리케이션이 사용자 단말(100)에 스타트 앱을 통신 개통시 강제로 설치하도록 하더라도, 스타트 앱이 운영체제 하의 권한에서 설치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사용자는 언제든지 스타트 앱을 삭제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100)을 초기화할 경우 스타트 앱도 삭제될 수 있고, 사용자 단말(100)을 다른 단말기로 교체할 경우, 스타트 앱이 존재하지 않는 상태가 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스타트 앱의 설치를 통한 통신사의 마케팅 목적을 달성할 수 없으므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스타트 앱의 삭제를 방지하기 위한 구성을 추가로 포함하며, 이는 아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는 컨트롤서버(300)의 추가 구성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는 컨트롤서버(300)는 스타트 앱 삭제 방지를 위해 라이브 신호 수신부(350), 제 2 통신차단 명령부(360), 제 2 메시지 송신 명령부(370), 제 2 통신허용 명령부(38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 2 통신차단 명령부 내지 제 2 통신허용 명령부(360~380)은 각각 제 1 통신차단 명령부 내지 제 1 통신허용 명령부(320~340)에 포함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는 스타트 앱은 주기적으로(예를 들어, 5분마다) 라이브 신호를 컨트롤서버(300)로 전송하도록 프로그램된다. 스타트 앱이 복수로 구성되는 경우, 각각의 앱이 라이브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복수의 앱의 라이브 정보를 포함한 하나의 라이브 신호만이 전송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라이브 신호 수신부(350)는 사용자 단말(100)에 설치된 스타트 앱의 라이브 신호를 수신하며,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마다 스타트 앱의 라이브 신호가 수신되는지 판단한다. 라이브 신호는 사용자 단말 식별정보와 스타트 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만약 라이브 신호 수신부(350)가 사용자 단말(100)에 설치된 복수의 스타트 앱들 중 적어도 하나의 스타트 앱에 관한 라이브 신호를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마다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해당 스타트 앱이 삭제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 2 통신차단 명령부(360)는 삭제된 것으로 판단된 스타트 앱의 다운로드 위치정보를 제외한 위치로 사용자 단말(100)이 통신 접근하는 것을 차단시키는 명령을 포함하는 제 2 통신차단 명령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 식별정보와 함께 데이터서버(400)로 전송한다. 통신 차단의 대상은 데이터 통신이나 음성 통신 중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제 2 통신차단 명령부(360)는 사용자 단말(100)이 다른 위치에 대한 접근요청패킷을 데이터서버(400)로 전송할 경우, 데이터서버(400)가 접근요청패킷을 미러링하거나 하이재킹하고, 스타트 앱 다운로드 위치로의 리다이렉션 명령을 포함하는 차단 패킷을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하도록 제 2 통신차단 명령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사용자 단말(100)은 웹 접속을 하려고 하더라도, 항상 스타트 앱 다운로드 페이지가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스타트 앱이 재설치되지 않는 한 인터넷 이용을 할 수 없음을 사용자에게 각인시킬 수 있다.
제 2 메시지 송신 명령부(370)는 스타트 앱 다운로드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할 것을 명령하는 제 2 메시지 송신 명령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 식별정보와 함께 메시지 송수신 서버(500)로 전송한다. 메시지 송수신 서버(500)는 제 2 메시지 송신 명령정보에 응답하여, 도 4c와 같은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제 2 통신허용 명령부(38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수신한 메시지나 차단 패킷에 의한 리다이렉션 명령을 통하여 스타트 앱 다운로드 페이지로 접속하여 삭제된 스타트 앱이 재설치된 경우,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재설치된 앱에 대한 라이브 신호(또는 설치완료정보)를 수신한다. 이때, 제 2 통신허용 명령부(380)는 라이브 신호에 포함된 스타트 앱의 정보와 사용자 단말(100)에 설치되어야 할 전체 스타트 앱의 목록를 비교하여, 삭제된 스타트 앱이 모두 설치되었다고 판단하는 경우, 제 2 통신허용 명령정보를 생성하여 데이터서버(400)로 전송한다. 그에 따라, 데이터서버(400)는 사용자 단말(100)의 데이터 통신과 음성 통신에 대한 차단을 해제하여 사용자 단말(100)의 통신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는 임베디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삭제방지 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 단말(100)은 설치되어 있는 스타트 앱의 라이브 신호를 주기적으로 컨트롤서버(300)로 전송한다(S201).
컨트롤서버(300)는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스타트 앱의 라이브 신호가 수신되었는지 지속적으로 판단한다(S202). 여기서, 컨트롤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에 설치된 복수의 스타트 앱 전체에 대한 라이브 신호가 수신되어야 정상적인 상태로 판단한다.
이후, 사용자가 일부의 스타트 앱을 삭제하거나, 사용자 단말(100)을 스타트 앱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다른 기기로 교체하는 이벤트가 발생할 수 있다(S203).
컨트롤서버(300)는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일부 또는 전부 스타트 앱에 대한 라이브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것을 확인하고, 해당 스타트 앱들이 삭제된 것으로 판단하여(S202), 제 2 통신차단 명령정보와 함께 사용자 단말 식별정보를 데이터서버(400)로 전송한다(S204).
데이터서버(400)는 제 2 통신차단 명령정보와 사용자 단말 식별정보를 매칭 저장한다(S205).
이후,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임의의 IP 주소에 대한 접근 요청을 데이터서버(400)가 수신하는 경우(S206), 해당 IP 주소가 삭제된 스타트 앱의 다운로드 위치정보와 일치하는지 판단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상기 접근 요청 패킷을 하이재킹하거나 미러링하고, 스타트 앱 다운로드 위치로의 리다이렉션 명령을 포함한 차단 패킷을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한다(S207).
그리고 컨트롤서버(300)는 스타트 앱 다운로드를 위한 제 2 메시지 송신 명령정보를 사용자 단말 식별정보와 함께 메시지 송수신 서버(500)로 전송한다(S208).
메시지 송수신 서버(500)는 제 2 메시지 송신 명령정보에 따라 스타트 앱 다운로드 위치정보를 포함한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한다(S209).
사용자는 어떠한 방식으로든 통신이 불가하다는 것을 깨닫게 되며, 메시지에 포함된 URL 주소를 클릭하여, 스타트 앱 다운로드 페이지에 접속하여, 삭제된 스타트 앱을 다운로드하고 설치할 수 있다(S210).
재설치된 스타트 앱은 미리 프로그래밍된 바에 따라 라이브 신호를 컨트롤서버(300)로 전송하며(S211), 이에 응답하여 컨트롤서버(300)는 제 2 통신허용 명령정보를 데이터서버(400)로 전송한다(S212). 그에 따라, 사용자 단말(100)의 데이터 통신과 음성 통신에 대한 차단이 해제되어 사용자는 다시 통신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는 임베디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삭제방지 방법 및 시스템은 스타트 앱이 설치된 이후에도, 삭제가 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스타트 앱을 공급한 통신사가 지속적으로 마케팅이나 공지 등을 알릴 수 있게 하여, 지속적인 영업을 가능케 한다. 아울러, 단말기 출고 시에 미리 스타트 앱을 설치하게 할 경우, 현존하는 수십 가지의 단말기 제조회사와 계약을 맺고 스타트 앱을 단말기 제조회사로 공급해야만 삭제불능의 임베디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구현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컨트롤서버(300)의 간단한 동작만으로도, 모든 단말기에 해당 통신사의 삭제불능 임베디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구현할 수 있어, 비용과 마케팅 및 계약 등에 따르는 수고를 줄이면서 종래의 애플리케이션 임베딩과 동일한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도 3및 도 6을 통해 설명된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임베딩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임베딩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처리되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기계 명령어를 포함하고, 고레벨 프로그래밍 언어(High-level Programming Language),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언어(Object-oriented Programming Language), 어셈블리 언어 또는 기계 언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유형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예를 들어, 메모리, 하드디스크, 자기/광학 매체 또는 SSD(Solid-State Drive) 등)에 기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임베딩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퓨팅 장치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컴퓨팅 장치는 프로세서와, 메모리와, 저장 장치와, 메모리 및 고속 확장포트에 접속하고 있는 고속 인터페이스와, 저속 버스와 저장 장치에 접속하고 있는 저속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들 각각은 다양한 버스를 이용하여 서로 접속되어 있으며, 공통 머더보드에 탑재되거나 다른 적절한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는 컴퓨팅 장치 내에서 명령어를 처리할 수 있는데, 이런 명령어로는, 예컨대 고속 인터페이스에 접속된 디스플레이처럼 외부 입력, 출력 장치상에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제공하기 위한 그래픽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메모리나 저장 장치에 저장된 명령어를 들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다수의 프로세서 및(또는) 다수의 버스가 적절히 다수의 메모리 및 메모리 형태와 함께 이용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독립적인 다수의 아날로그 및(또는) 디지털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칩들이 이루는 칩셋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사용자 단말 200 : 유심인증서버
300 : 컨트롤서버 400 : 데이터서버
500 : 메시지 송수신 서버

Claims (15)

  1. 컨트롤서버에 의하여 수행되는 임베디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삭제방지 방법에 있어서,
    (a) 이미 통신이 개통된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 내에 설치된 스타트 애플리케이션의 라이브 신호가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마다 수신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b) 상기 라이브 신호가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마다 수신되지 않는 경우, 메시지 송수신 서버로 상기 사용자 단말이 가입된 통신사에 대한 스타트 애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것을 명령하는 제 2 메시지 송신 명령정보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식별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c) 데이터서버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식별정보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통신을 차단할 것을 명령하는 제 2 통신차단 명령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d)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스타트 애플리케이션의 라이브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데이터서버로 상기 사용자 단말의 통신을 허용할 것을 명령하는 제 2 통신허용 명령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임베디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삭제방지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 내에 설치된 복수의 스타트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라이브 신호가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수신되는지 판단하고,
    상기 (b) 단계는,
    상기 복수의 스타트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의 스타트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라이브 신호가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라이브 신호가 수신되지 않은 적어도 하나의 스타트 애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것을 명령하는 제 2 메시지 송신 명령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임베디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삭제방지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통신차단 명령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가입된 통신사에 대한 스타트 애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 위치에 접근하기 위한 상기 사용자 단말의 통신은 허용할 것을 명령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임베디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삭제방지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통신차단 명령정보는,
    상기 데이터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임의의 IP 주소에 대한 접근을 요청하는 패킷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패킷이 상기 IP 주소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고, 상기 스타트 애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 위치정보로 리다이렉션시키는 차단 패킷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도록 명령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임베디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삭제방지 방법.
  5. 이미 통신이 개통된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 간격마다 설치된 스타트 애플리케이션의 라이브 신호가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수신되는지 판단하는 라이브 신호 수신부;
    상기 라이브 신호가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마다 수신되지 않는 경우, 메시지 송수신 서버로 상기 사용자 단말이 가입된 통신사에 대한 스타트 애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것을 명령하는 제 2 메시지 송신 명령정보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식별정보를 전송하는 제 2 메시지 송신 명령부;
    데이터서버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식별정보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통신을 차단할 것을 명령하는 제 2 통신차단 명령정보를 전송하는 제2 통신차단 명령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스타트 애플리케이션의 라이브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데이터서버로 상기 사용자 단말의 통신을 허용할 것을 명령하는 제 2 통신허용 명령정보를 전송하는 제 2 통신허용 명령부;
    를 포함하는, 임베디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삭제방지를 위한 컨트롤서버.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브 신호 수신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 내에 설치된 복수의 스타트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라이브 신호가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수신되는지 판단하고,
    상기 제 2 메시지 송신 명령부는,
    상기 복수의 스타트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의 스타트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라이브 신호가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라이브 신호가 수신되지 않은 적어도 하나의 스타트 애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것을 명령하는 제 2 메시지 송신 명령정보를 생성하는, 임베디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삭제방지를 위한 컨트롤서버.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통신차단 명령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가입된 통신사에 대한 스타트 애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 위치에 접근하기 위한 상기 사용자 단말의 통신은 허용할 것을 명령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임베디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삭제방지를 위한 컨트롤서버.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통신차단 명령정보는,
    상기 데이터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임의의 IP 주소에 대한 접근을 요청하는 패킷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패킷이 상기 IP 주소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고, 상기 스타트 애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 위치정보로 리다이렉션시키는 차단 패킷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도록 명령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임베디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삭제방지를 위한 컨트롤서버.
  9. 컨트롤서버, 데이터서버, 메시지 송수신 서버를 포함하는 임베디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삭제방지를 위한 시스템에 의하여 수행되는 임베디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삭제방지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서버에서 이미 통신이 개통된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 내에 설치된 스타트 애플리케이션의 라이브 신호가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마다 수신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컨트롤서버에서 상기 라이브 신호가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마다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컨트롤서버의 제어에 의해, 상기 메시지 송수신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이 가입된 통신사에 대한 스타트 애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컨트롤서버의 제어에 의해, 상기 데이터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이 가입된 통신사에 대한 스타트 애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 위치를 제외한 다른 위치에 대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접근을 차단하는 단계; 및
    상기 컨트롤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스타트 애플리케이션의 라이브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컨트롤서버의 제어에 의해, 상기 데이터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의 통신 접근을 허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임베디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삭제방지 방법.
  10. 컨트롤서버에 의하여 수행되는 임베디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삭제방지 방법에 있어서,
    (a) 유심인증서버로부터 통신개통 프로세스를 시작한 후 유심인증이 완료된 사용자 단말의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b) 메시지 송수신 서버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유심에 대응하는 통신사에 대한 스타트 애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것을 명령하는 제 1 메시지 송신 명령정보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식별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c) 데이터서버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식별정보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통신을 차단할 것을 명령하는 제 1 통신차단 명령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d)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스타트 애플리케이션의 라이브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데이터서버로 상기 사용자 단말의 통신을 허용할 것을 명령하는 제 1 통신허용 명령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통신개통 프로세스를 완료시키는 단계;
    (e)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 내에 설치된 스타트 애플리케이션의 라이브 신호가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마다 수신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f) 상기 라이브 신호가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마다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메시지 송수신 서버로 상기 사용자 단말이 가입된 통신사에 대한 스타트 애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것을 명령하는 제 2 메시지 송신 명령정보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식별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g) 상기 데이터서버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식별정보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통신을 차단할 것을 명령하는 제 2 통신차단 명령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h)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스타트 애플리케이션의 라이브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데이터서버로 상기 사용자 단말의 통신을 허용할 것을 명령하는 제 2 통신허용 명령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임베디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삭제방지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 내에 설치된 복수의 스타트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라이브 신호가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수신되는지 판단하고,
    상기 (f) 단계는,
    상기 복수의 스타트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의 스타트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라이브 신호가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라이브 신호가 수신되지 않은 적어도 하나의 스타트 애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것을 명령하는 제 2 메시지 송신 명령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임베디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삭제방지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통신차단 명령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가입된 통신사에 대한 스타트 애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 위치에 접근하기 위한 상기 사용자 단말의 통신은 허용할 것을 명령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임베디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삭제방지 방법.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통신차단 명령정보는,
    상기 데이터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임의의 IP 주소에 대한 접근을 요청하는 패킷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패킷이 상기 IP 주소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고, 상기 스타트 애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 위치정보로 리다이렉션시키는 차단 패킷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도록 명령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임베디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삭제방지 방법.
  14. 제 1 항 내지 제 4 항 및 제 10항 내지 제 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르는 임베디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삭제방지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15. 유심인증서버로부터 통신개통 프로세스를 시작한 후 유심인증이 완료된 사용자 단말의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유심인증완료정보 수신부;
    메시지 송수신 서버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유심에 대응하는 통신사에 대한 스타트 애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것을 명령하는 제 1 메시지 송신 명령정보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식별정보를 전송하는 제 1 메시지 송신 명령부;
    데이터서버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식별정보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통신을 차단할 것을 명령하는 제 1 통신차단 명령정보를 전송하는 제 1 통신차단 명령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스타트 애플리케이션의 라이브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데이터서버로 상기 사용자 단말의 통신을 허용할 것을 명령하는 제 1 통신허용 명령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통신개통 프로세스를 완료시키는 제 2 통신허용 명령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 내에 설치된 스타트 애플리케이션의 라이브 신호가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마다 수신되는지 판단하는 라이브 신호 수신부;
    상기 라이브 신호가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마다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메시지 송수신 서버로 상기 사용자 단말이 가입된 통신사에 대한 스타트 애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것을 명령하는 제 2 메시지 송신 명령정보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식별정보를 전송하는 제 2 메시지 송신 명령부;
    상기 데이터서버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식별정보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통신을 차단할 것을 명령하는 제 2 통신차단 명령정보를 전송하는 제 2 통신차단 명령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스타트 애플리케이션의 라이브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데이터서버로 상기 사용자 단말의 통신을 허용할 것을 명령하는 제 2 통신허용 명령정보를 전송하는 제 2 통신허용 명령부;
    를 포함하는, 임베디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삭제방지를 위한 컨트롤서버.
KR1020140144473A 2014-10-23 2014-10-23 임베디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삭제방지 방법, 임베디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삭제방지를 위한 컨트롤서버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15869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4473A KR101586991B1 (ko) 2014-10-23 2014-10-23 임베디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삭제방지 방법, 임베디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삭제방지를 위한 컨트롤서버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4473A KR101586991B1 (ko) 2014-10-23 2014-10-23 임베디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삭제방지 방법, 임베디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삭제방지를 위한 컨트롤서버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6991B1 true KR101586991B1 (ko) 2016-01-20

Family

ID=55308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4473A KR101586991B1 (ko) 2014-10-23 2014-10-23 임베디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삭제방지 방법, 임베디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삭제방지를 위한 컨트롤서버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699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78200A1 (ko) * 2015-11-05 2017-05-11 주식회사 수산아이앤티 임베디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삭제방지 방법, 임베디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삭제방지를 위한 컨트롤서버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1740314B1 (ko) * 2016-04-26 2017-05-29 주식회사 와이앤케이이노베이션 무선통신시스템의 통신제어방법
KR20230100964A (ko) * 2021-12-29 2023-07-06 주식회사 비에스티코리아 소프트웨어 무력화를 방지하기 위한 컴퓨팅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9055A (ko) * 2001-08-29 2003-03-06 박정수 유해사이트의 접속차단용 장치
KR20090047701A (ko) * 2007-11-08 2009-05-1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심 카드를 이용한 이동통신 서비스 팩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224366B1 (ko) * 2012-09-21 2013-01-21 주식회사 안랩 휴대 단말에서의 어플리케이션 삭제 방지 방법 및 장치와 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KR20130132295A (ko) * 2012-05-24 2013-12-04 주식회사 케이티 eUICC 환경에서 SIM 프로파일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9055A (ko) * 2001-08-29 2003-03-06 박정수 유해사이트의 접속차단용 장치
KR20090047701A (ko) * 2007-11-08 2009-05-1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심 카드를 이용한 이동통신 서비스 팩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30132295A (ko) * 2012-05-24 2013-12-04 주식회사 케이티 eUICC 환경에서 SIM 프로파일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224366B1 (ko) * 2012-09-21 2013-01-21 주식회사 안랩 휴대 단말에서의 어플리케이션 삭제 방지 방법 및 장치와 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78200A1 (ko) * 2015-11-05 2017-05-11 주식회사 수산아이앤티 임베디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삭제방지 방법, 임베디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삭제방지를 위한 컨트롤서버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1740314B1 (ko) * 2016-04-26 2017-05-29 주식회사 와이앤케이이노베이션 무선통신시스템의 통신제어방법
KR20230100964A (ko) * 2021-12-29 2023-07-06 주식회사 비에스티코리아 소프트웨어 무력화를 방지하기 위한 컴퓨팅 장치
KR102658239B1 (ko) * 2021-12-29 2024-04-18 주식회사 비에스티코리아 소프트웨어 무력화를 방지하기 위한 컴퓨팅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60853B2 (en) Configuring captive portals with a cloud service
US11876794B2 (en) Managed domains for remote content and configuration control on mobile information devices
US9204300B2 (en) Method for providing SIM profile in eUICC environment and devices therefor
JP5785615B2 (ja) 無線ネットワークにおいて加入者idデータをプロビジョニング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US8966383B2 (en) Graphical user interface and method for mobile device activation
CA2958872C (en) Using a wireless beacon to provide access credentials to a secure network
US9363622B1 (en) Separation of client identification composition from customization payload to original equipment manufacturer layer
WO2016130266A1 (en) Dynamic subscriber identity module
AU2018220050A1 (en) Enforcing policies based on information received from external systems
US9143886B1 (en) Pre-provisioning and de-provisioning functions for a mobile system
EP2954409A1 (en) Pervasive service providing device-specific updates
EP2538641A1 (en) Secure tag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US9626174B2 (en) Cancelling device over the air software update
US10623583B2 (en) Wireless account management application for a wireless device
KR101586991B1 (ko) 임베디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삭제방지 방법, 임베디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삭제방지를 위한 컨트롤서버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US10715996B1 (en) Transparent provisioning of a third-party service for a user device on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US20200099680A1 (en) System and method of inter-account resource access management
US20140122614A1 (en) Cooperation In An Application Store Environment
US8437746B1 (en) Contact information rights management
KR101612871B1 (ko)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임베딩 방법,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임베딩을 구현하기 위한 컨트롤서버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US11416841B2 (en) Device and process for purchasing electronic content using multimedia messaging service messaging
KR101782539B1 (ko) 스타트 애플리케이션의 모바일 임베딩 방법, 스타트 애플리케이션의 모바일 임베딩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170006128A (ko) Dsp 연동 시 로그 처리를 위한 광고 송출 서비스 제공 장치, 사용자 장치, 중개 서비스 제공 장치, dsp 서비스 제공 장치, 그를 포함하는 광고 시스템, 그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US11038987B2 (en) Automatic activation of the configuration of a communication terminal
KR20160080118A (ko) 스타트 애플리케이션의 모바일 임베딩 방법, 스타트 애플리케이션의 모바일 임베딩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 및 컴퓨터 프로그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