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6729B1 - 생체신호 모니터링 장치 및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생체신호 모니터링 방법 - Google Patents

생체신호 모니터링 장치 및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생체신호 모니터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6729B1
KR101586729B1 KR1020140035674A KR20140035674A KR101586729B1 KR 101586729 B1 KR101586729 B1 KR 101586729B1 KR 1020140035674 A KR1020140035674 A KR 1020140035674A KR 20140035674 A KR20140035674 A KR 20140035674A KR 101586729 B1 KR101586729 B1 KR 1015867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o
signal
monitoring
battery
low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56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33419A (ko
Inventor
김흥수
조영욱
손종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모두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모두시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모두시스
Publication of KR201401334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34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67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67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0/00Constructional details of operational features of apparatus; Accessories for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61B2560/02Operational features
    • A61B2560/0204Operational features of power management
    • A61B2560/0209Operational features of power management adapted for power sav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0/00Constructional details of operational features of apparatus; Accessories for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61B2560/02Operational features
    • A61B2560/0204Operational features of power management
    • A61B2560/0214Operational features of power management of power generation or suppl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체신호 모니터링 장치 및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생체신호 모니터링 방법을 제공한다. 생체신호 모니터링 장치는 전력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한 모니터링 방식에 따라 생체신호를 측정하기 위해 배터리를 감시한 결과에 기초하여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생체신호 모니터링부 및 생체신호 모니터링부의 제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생체신호 측정센서의 동작을 결정하여 심전도를 측정하는 생체신호 측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생체신호 모니터링 장치 및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생체신호 모니터링 방법{System and apparatus for measureing vital signal, and method for monitoring of vital signal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생체신호 모니터링 장치 및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생체신호 모니터링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력소모가 최소화된 모니터링 방식에 따라 측정된 생체신호를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모바일 단말의 전용 애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하여 생체신호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착용 가능한 피트니스용 생체신호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장치 및 시스템, 이를 이용한 생체신호 모니터링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일상생활 속에서 보다 간편하게 심전도(Electrocardiogram, ECG), 혈압(Blood Pressure) 등의 생체 신호(Vital Sign)들을 모니터링 하는 기술들은 발전되어 왔다.
특히, 생체신호 중 심전도는 심장의 박동에 따라 심근에서 발생하는 활동 전류를 체표면의 적당한 2개소로 유도하여 전류계로 기록하는 것이다. 즉, 심전도는 심장근육의 수축 및 이완 시 발생되는 활동전위가 심장으로부터 전신으로 퍼지는 전류를 일으키며, 이러한 전류가 신체의 위치에 따라 전위차를 발생시키게 되고, 이러한 전위차를 인체의 피부에 부착된 표면전극(surface electrode)을 통해 검출하여 기록하는 방식으로 심전도가 측정된다. 측정된 심전도는 심장의 이상유무 확인에 이용되며, 협심증, 심근경색, 부정맥 등과 같은 심장질환계 질환을 진단하기 위해 필수 요소이다.
이처럼 심전도 모니터링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병원이 아닌 일상생활 속에서도 심전도를 측정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휴대 가능한 심전도 측정 장치들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 결과 등록번호 제10-0356421호(휴대용 심전도 측정장치) 및 공개번호 제2006-0091187호(착용가능한 휴대용 심전도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심전도측정시스템) 등과 같은 기술이 출원되고 있으나, 심전도 측정을 위해 사용자는 항상 심전도측정장치를 휴대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한국 공개 특허 제2006-0091187호("착용가능한 휴대용 심전도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심전도측정시스템", 주식회사 바이오넷, 2006.08.18 공개)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전력소모가 최소화된 모니터링 방식에 따라 측정된 생체신호를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사용자가 항상 휴대하고 있는 모바일 단말의 전용 애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하여 생체신호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생체신호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체신호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전력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한 모니터링 방식에 따라 생체신호를 측정하기 위해 배터리를 감시한 결과에 기초하여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생체신호 모니터링부; 및 상기 생체신호 모니터링부의 제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생체신호 측정센서의 동작을 결정하여 심전도를 측정하는 생체신호 측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터리를 이용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부; 블루투스(Bluetooth) 통신을 통해 심전도 측정결과를 모바일 단말로 전달하는 근거리 통신부; 및 상기 심전도 측정결과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생체신호 모니터링부는, 상기 배터리를 감시하여 획득한 배터리 잔량과 미리 결정한 설정값을 비교한 결과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생체신호 측정센서를 제어하기 위한 동작 모드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생체신호 모니터링부는, 상기 배터리 잔량과 제1 설정값을 비교한 결과에 따라 상기 동작 모드 결정을 위한 배터리 감시 정보를 생성하는 배터리 감시부; 및 상기 배터리 감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동작 모드를 제1 저전력 모드 또는 비저전력 모드로 결정하는 모니터링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터리 감시부는, 상기 배터리 잔량이 상기 제1 설정값 이하인 경우 상기 제1 저전력 모드로 동작할 수 있도록 저전력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며, 상기 배터리 잔량이 상기 제1 설정값 큰 경우 상기 비저전력 모드로 동작할 수 있도록 비전력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니터링 제어부는, 상기 비전력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비저전력 모드로 동작해야 함을 상기 생체신호 측정부로 알리며, 상기 저전력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제1 저전력 모드로 동작해야 함을 상기 생체신호 측정부로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생체신호 측정부는, 상기 배터리 감시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생체신호 측정센서의 동작을 결정하여 상기 심전도 이외의 다른 생체신호를 측정하며, 상기 비저전력 모드인 경우 사용자가 선택한 생체신호 측정센서 모두를 턴온시키며, 상기 제1 저전력 모드인 경우 사용자가 설정한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생체신호 측정센서만 턴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생체신호 모니터링부는, 상기 제1 저전력 모드로 동작하는 중 상기 배터리 잔량과 상기 제1 설정값보다 작은 제2 설정값을 비교한 결과에 따라 상기 동작 모드 결정을 위한 배터리 감시 정보를 생성하는 배터리 감시부; 및 상기 배터리 감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동작 모드를 상기 제1 저전력 모드 또는 제2 저전력 모드로 결정하는 모니터링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터리 감시부는, 상기 배터리 잔량이 상기 제2 설정값 이하인 경우 상기 제2 저전력 모드로 동작할 수 있도록 저전력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며, 상기 배터리 잔량이 상기 제2 설정값보다 큰 경우 상기 제1 저전력 모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모드 유지 메시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니터링 제어부는, 상기 제1 저전력 모드로 동작하는 중 저전력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제2 저전력 모드로 동작해야 함을 상기 생체신호 측정부로 알리며, 상기 모드 유지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제1 저전력 모드를 유지해야 함을 상기 생체신호 측정부로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생체신호 측정부는, 상기 제2 저전력 모드인 경우 사용자가 설정한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생체신호 측정센서의 측정 주기를 상기 제1 저전력 모드에서의 측정 주기보다 길게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생체신호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전력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해 배터리 잔량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생체신호 측정센서의 동작을 제어하여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생체신호 모니터링 장치; 및 상기 생체신호 모니터링 장치와의 근거리 통신을 통해 전달된 생체신호 측정결과를 표시하는 모바일 단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생체신호 모니터링 장치는, 상기 배터리 잔량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생체신호 측정센서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동작 모드를 결정하는 생체신호 모니터링부; 및 상기 동작 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생체신호 측정센서의 동작을 결정하여 심전도를 측정하는 생체신호 측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생체신호 모니터링 장치는, 상기 생체신호 모니터링 장치의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부; 블루투스(Bluetooth) 통신을 통해 심전도 측정결과를 상기 모바일 단말로 전달하는 근거리 통신부; 및 상기 심전도 측정결과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바일 단말은, 상기 생체신호 측정결과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생체신호 모니터링앱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생체신호 모니터링앱은, 사용자가 설정한 디스플레이 모드에 따라 운동 시 측정된 생체신호 측정결과를 표시하거나 또는 비운동 시 측정된 생체신호 측정결과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생체신호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전력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한 모니터링 방식에 따라 생체신호를 측정하기 위해 배터리를 감시한 결과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생체신호 측정센서의 제어를 위한 동작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동작 모드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생체신호 측정센서의 동작을 결정하여 심전도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생체신호 모니터링 장치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는 모바일 단말로 심전도 측정결과를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동작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배터리를 감시하여 획득한 배터리 잔량과 제1 설정값을 비교한 결과에 따라 상기 동작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배터리 잔량이 상기 제1 설정값 이하인 경우 상기 제1 저전력 모드로 동작할 수 있도록 저전력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배터리 잔량이 상기 제1 설정값 큰 경우 상기 비저전력 모드로 동작할 수 있도록 비전력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심전도를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동작 모드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생체신호 측정센서의 동작을 결정하여 상기 심전도 이외의 다른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른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비저전력 모드인 경우 사용자가 선택한 생체신호 측정센서 모두를 턴온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1 저전력 모드인 경우 사용자가 설정한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생체신호 측정센서만 턴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동작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저전력 모드로 동작하는 중 상기 배터리 잔량과 상기 제1 설정값보다 작은 제2 설정값을 비교한 결과에 따라 상기 동작 모드 결정을 위한 배터리 감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배터리 잔량이 상기 제2 설정값 이하인 경우 상기 제2 저전력 모드로 동작할 수 있도록 저전력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배터리 잔량이 상기 제2 설정값 보다 큰 경우 상기 제1 저전력 모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모드 유지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른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저전력 모드인 경우 사용자가 설정한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생체신호 측정센서의 측정 주기를 상기 제1 저전력 모드에서의 측정 주기보다 길게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른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저전력 모드인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생체신호 측정센서 각각에 대한 측정 주기를 미리 설정된 비율로 증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심전도 측정결과를 전달하는 단계는, 블루투스(Bluetooth) 통신을 통해 심전도 측정결과를 상기 모바일 단말의 생체신호 모니터링앱으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생체신호 모니터링앱은, 사용자가 설정한 디스플레이 모드에 따라 운동 시 측정된 생체신호 측정결과를 표시하거나 또는 비운동 시 측정된 생체신호 측정결과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생체신호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생체신호를 모니터링할 때 배터리 잔량에 따라 전력소모가 최소화된 모니터링 방식을 적용하여 생체신호를 측정함에 따라 종래와 달리 장시간 사용 시에도 배터리 충전을 위한 충전주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 부족에 따라 발생하던 생체신호 측정결과의 부정확한 문제를 해소하여 보다 정확한 생체신호 측정결과를 제공함에 따라 생체신호 모니터링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생체신호 모니터링 장치에서 저전력 모니터링 방식으로 블루투스 기능을 이용함에 따라 저전력 하드웨어를 이용할 수 있어 모니터링 장치 자체의 무게를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종래 블루투스 기능 적용시 하드웨어 무게로 인해 발생하던 휴대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체신호 모니터링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생체신호 모니터링부의 블록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모바일 단말의 블록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체신호 모니터링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의 프레임워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체신호 모니터링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생체신호 모니터링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체신호 모니터링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생체신호 모니터링부의 블록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모바일 단말의 블록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체신호 모니터링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의 프레임워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체신호 모니터링 시스템(10)은 생체신호 모니터링 장치(100) 및 모바일 단말(200)을 포함한다.
생체신호 모니터링 장치(100)는 사용자가 신체에 착용하여 생체신호를 측정할 수 있으며, 근거리 통신을 통해 모바일 단말과 연동하여 최소화된 전력소모로 생체신호를 모니터링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통신은 블루투스(Bluetooth)를 이용한 통신방법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생체신호 모니터링 장치(100)와 모바일 단말(200)이 근거리에서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는 와이파이(WiFi), 지그비(Zibee) 등과 같은 다른 통신방법이 포함될 수 도 있다. 생체신호 모니터링 장치(100)는 블루투스 4.0 저에너지(Low Energy) 지원 하드웨어, 배터리의 라이프 타임 최대화를 위한 저전력 하드웨어, 동작 환경 온도(예를 들어, -10도 ~ 50도)를 고려하여 설계된 하드웨어 등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생체신호 모니터링 장치(100)는 생체신호 모니터링부(110), 생체신호 측정부(120), 배터리부(130), 표시부(140) 및 근거리 통신부(150)를 포함한다.
생체신호 모니터링부(110)는 도 2와 같이 배터리 감시부(111), 모니터링 제어부(112) 및 설정 관리부(113)를 포함한다.
배터리 감시부(111)는 배터리부(130)의 배터리의 상태를 감시한다. 배터리 감시부(111)는 배터리 잔량이 설정값 이하인지의 여부를 판단한 배터리 감시 정보를 모니터링 제어부(112)로 전달한다. 여기서, 배터리 감시 정보는 저전력 동작을 위한 저전력 알림 메시지 및 일반적인 정상 동작, 즉 비저전력 상태임을 알리기 비저전력 알림 메시지를 포함한다.
일례를 들면, 배터리 감시부(111)는 배터리 잔량이 제1 설정값 이하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배터리 감시부(111)는 배터리 잔량이 제1 설정값 이하인 경우, 제1 저전력 모드로 동작할 수 있도록 저전력 알림 메시지를 생성한다. 여기서, 제1 저전력 모드는 생체신호 측정부(120)의 복수의 측정센서(121) 중 사용자가 설정한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측정센서만이 턴온(turn on)되고, 나머지 측정센서는 턴오프(turn off)되어 동작하는 모드이다. 한편, 배터리 감시부(111)는 배터리 잔량이 제1 설정값 보다 큰 경우, 비저전력 모드로 동작할 수 있도록 비저전력 알림 메시지를 생성한다. 여기서, 비저전력 모드는 사용자가 설정한 모든 측정센서가 턴온하여 동작하는 모드이다. 배터리 감시부(111)는 저전력 알림 메시지 또는 비저전력 알림 메시지를 포함하는 배터리 감시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모니터링 제어부(112)로 전달한다.
모니터링 제어부(112)는 배터리 감시부(111)로부터 배터리 감시 정보를 전달받으며, 배터리 감시 정보에 기초하여 생체신호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동작 모드를 결정한다. 그리고, 모니터링 제어부(112)는 동작 모드를 생체신호 측정부(120)로 알린다. 모니터링 제어부(112)는 동작 모드에 따라 생체신호 측정부(120)로부터 생체신호 측정결과가 전달되면, 이를 표시부(140)로 전달하여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모니터링 제어부(112)는 배터리 감시 정보를 분석한 결과 비저전력 알림 메시지가 검출되면, 비저전력 모드로 동작해야 함을 생체신호 측정부(120)로 알린다. 또한, 모니터링 제어부(112)는 배터리 감시 정보를 분석한 결과 저전력 알림 메시지가 검출되면, 제1 저전력 모드로 동작해야 함을 생체신호 측정부(120)로 알린다. 그리고, 모니터링 제어부(112)는 설정 관리부(113)로부터 측정센서 우선순위정보를 전달받으며,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측정센서만이 동작할 수 있도록 측정센서 우선순위정보를 생체신호 측정부(120)로 전달한다. 한편, 모니터링 제어부(112)는 동작 모드에 따라 생체신호 측정부(120)로부터 전달되는 생체신호 측정결과를 수신한다. 모니터링 제어부(112)는 생체신호 측정결과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표시부(140)로 전달한다. 모니터링 제어부(112)는 근거리 통신부(150)를 통해 생체신호 측정결과를 모바일 단말(200)로 전달하여 생체신호 모니터링앱을 통해 표시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체신호 모니터링앱은 실시간 및 비실시간으로 생체신호 모니터링을 위한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이다.
설정 관리부(113)는 생체신호 모니터링을 위해 생체신호 모니터링 장치(100) 및 모바일 단말(200) 사이에서 설정되는 모든 정보를 저장한다. 예를 들어, 설정 관리부(113)는 복수의 측정센서(121)에 대해 사용자가 설정한 측정센서 우선순위정보를 저장하며, 요청 시 측정센서 우선순위정보를 모니터링 제어부(112)로 전달한다.
다시 도 1을 참고하면, 생체신호 측정부(120)는 복수의 측정센서(121)를 포함하며, 심전도(Electrocardiogram, ECG), 혈압, 체온, 혈당 등과 같이 착용하여 측정할 수 있는 모든 생체신호를 측정한다. 복수의 측정센서(121)는 사용자가 착용할 수 있는 형태의 구조이며, 생체로부터 전달되는 미세 전류를 감지하여 증폭 및 시그널 처리한 후 생체신호 모니터링부(110)로 전달한다. 즉, 생체신호 측정부(120)는 복수의 측정센서(121)에서 측정된 생체신호를 다용도 입출력 포트(general purpose input/output, GPIO)를 통해 생체신호 모니터링부(110)로 전달한다. 한편, 생체신호 측정부(120)는 동작 모드에 따라 복수의 측정센서(121) 중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측정센서만을 동작시켜 생체신호를 측정한다. 예를 들어, 생체신호 측정부(120)는 동작 모드가 제1 저전력 모드이고, 사용자가 설정한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측정센서가 심전도 측정센서인 경우, 심전도 측정센서만을 턴온(turn on)시키고 나머지 측정센서는 턴오프(turn off)시켜 소모전력이 최소화되도록 한다. 또한, 생체신호 측정부(120)는 동작 모드가 비저전력 모드이면, 사용자가 선택한 측정센서 모두를 턴온(turn on)시켜 생체신호를 측정한다.
배터리부(130)는 생체신호 모니터링 장치(100)의 동작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한다.
표시부(140)는 모니터링 제어부(112)로부터 생체신호 측정결과를 전달받는다. 표시부(140)는 설정 관리부(113)로부터 전달된 디스플레이 설정정보에 기초하여 생체신호 측정결과를 디스플레이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표시부(140)가 생체신호 측정결과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하는 생체신호 모니터링앱에서의 디스플레이와 동일하게 운동 표시 모드 및 비운동 표시 모드로 구분하여 피트니스 측정결과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부(150)는 근거리 통신을 통해 모바일 단말(200)과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구체적으로, 근거리 통신부(150)는 모바일 단말(200)을 통해 사용자가 설정한 모든 설정값을 수신하고, 이를 생체신호 모니터링부(110)로 전달한다. 또한, 근거리 통신부(150)는 생체신호 모니터링부(100)로부터 전달되는 생체신호 측정결과를 모바일 단말(200)로 전달한다.
한편, 모바일 단말(200)은 생체신호 모니터링 장치(100)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휴대 단말이며, 생세신호 모니터링앱을 다운받아 실행한다. 이러한 모바일 단말(200)은 도 3과 같이 앱 설치부(210) 및 근거리 통신부(220)를 포함한다.
앱 설치부(210)는 사용자 휴대 단말에 탑재되어 있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및 자이로스코프(gyroscope) 센서 등을 이용하여 생체신호 모니터링앱을 설치한다.
근거리 통신부(220)는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생체신호 모니터링 장치(1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구체적으로, 근거리 통신부(210)는 사용자가 생체신호 모니터링앱을 통해 전달하는 모든 설정값을 모바일 단말(200)로 전달한다. 또한, 근거리 통신부(210)는 생체신호 모니터링부(100)로부터 전달되는 생체신호 측정결과를 생체신호 모니터링앱으로 전달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체신호 모니터링앱(300)은 도 4과 같이 UI 처리계층(310), 멀티미디어 핸들링 계층(320), 코어 서비스 계층(330) 및 커널 계층(340)을 포함한다.
UI 처리계층(310)은 Cocoa Touch 계층이며, 터치, 모션 기반 이벤트 등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를 핸들링하는 UIKit 프레임워크를 포함한다.
멀티미디어 핸들링 계층(320)은 Media 계층이며, 그래픽과 오디오를 핸들링하는 멀티미디어 기능을 포함하는 Core Graphics, Open GL ES, Core Animation 등의 프레임워크를 포함한다.
코어 서비스 계층(330)은 Core Service 계층이며, 커널 계층(340)을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스토리지 기술(SQLite) 및 기본적인 서비스 API(Foundation)를 제공하는 프레임워크를 포함한다. 여기서, 스토리지 기술(SQLite)은 근거리 통신부(220)를 통해 생체신호 모니터링부(100)로부터 전달되는 생체신호 측정결과를 저장한다.
커널 계층(340)은 Core OS 계층이며, 운영체제 하단의 커넬 레벨에서 제공하는 커널 API를 제공하는 프레임워크를 포함한다.
이러한 생체신호 모니터링앱(300)은 초기 UI가 표시된 후 사용자의 제어에 따른 이벤트들(예를 들어, 버튼 태핑 등)에 의해 동작하며, 운영체제를 통해 이벤트들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는다. 생체신호 모니터링앱(300)은 사용자 소스코드와 전술한 프레임워크로 구성되어 이벤트 및 이벤트에 따른 UI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또한, 생체신호 모니터링앱(300)은 이벤트를 받아 UI의 일부분을 모바일 단말(200)의 화면에 표시한다. 생체신호 모니터링앱(300)은 앱의 시작시점부터 종료시점까지 사용자에 제어에 따른 이벤트들 및 타이머 등과 같은 이벤트들을 차례로 처리하며, 다음 이벤트를 위해 대기한다. 생체신호 모니터링앱(300)은 이벤트를 수신하고 이에 대응할 때 메인 이벤트 루프(Main Event Loop)를 메커니즘으로 이용한다. 여기서, 메인 이벤트 루프는 코어 오브젝트 그룹에 있는 글로벌 애플리케이션 오브젝트에서 수행하며, 이벤트를 수신하여 처리할 수 있는 오브젝트로 전달하고 다음 이벤트를 위해 수신한다.
예를 들어, 생체신호 모니터링앱(300)은 생체신호 측정결과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사용자가 설정한 디스플레이 모드를 저장한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모드는 운동 시 측정된 결과를 표시하는 운동 표시 모드 및 비운동 시 측정결과를 표시하는 비운동 표시 모드를 포함한다. 생체신호 모니터링앱(300)은 생체신호 모니터링 장치(100)로부터 생체신호 측정결과가 전달되면 디스플레이 모드가 운동 표시 모드인지 비운동 표시 모드인지를 판단한다. 생체신호 모니터링앱(300)은 운동 표시 모드인 경우, 생체신호 측정결과에 기초하여 생체신호 이상 패턴 감지, 운동시간, 운동거리, 심박수, 소모한 칼로리, 운동경로, 목표운동량, 최대 심박수 제한 및 알람 기능 등을 숫자, 그래프 및 영상 등을 이용하여 피트니스 측정결과를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서, 피트니스 측정결과는 생체신호 측정결과에 기초하여 모바일 단말(200)에 탑재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및 자이로스코프(gyroscope) 센서 등을 이용하여 측정된다. 한편, 생체신호 모니터링앱(300)은 비운동 표시 모드인 경우 운동을 하지 않는 일반적인 상황에서 측정된 생체신호 측정결과를 숫자, 그래프 및 영상 등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체신호 모니터링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에서는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에 생체신호 모니터링앱이 설치된 상태에서 생체신호 모니터링 장치를 이용하여 생체신호를 모니터링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체신호 모니터링 장치(100)의 생체신호 모니터링부(110)는 배터리의 상태를 감시하기 위해 배터리부(130)로부터 소정의 주기로 배터리 잔량값을 전달받는다(S100). 생체신호 모니터링부(110)는 배터리 잔량값이 제1 설정값 이하 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101).
S101 단계의 판단결과, 배터리 잔량값이 제1 설정값 이하이면, 생체신호 모니터링부(110)는 동작 모드를 제1 저전력 모드로 설정한다(S102). 생체신호 모니터링부(110)는 제1 저전력 모드로 동작해야 함을 모드 생체신호 측정부(120)로 알린다(S103). 생체신호 모니터링부(110)는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측정센서만이 동작할 수 있도록 측정센서 우선순위정보를 생체신호 측정부(120)로 전달한다(S104).
생체신호 측정부(120)는 측정센서 우선순위정보를 전달받으며, 제1 저전력 모드로 동작해야 함을 인지한다. 생체신호 측정부(120)는 측정센서 우선순위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측정센서(121) 중 사용자가 설정한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측정센서만을 턴온(turn on)시키고, 나머지 측정센서는 턴오프(turn off)시킨다(S105). 생체신호 측정부(120)는 턴온된 측정센서를 이용하여 생체신호를 측정(S106)하고, 생체신호 측정결과를 생체신호 모니터링부(110)로 전달한다(S107).
생체신호 모니터링부(110)는 생체신호 측정부(120)로부터 생체신호 측정결과를 전달받는다. 생체신호 모니터링부(110)는 생체신호 측정결과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표시부(140)로 전달한다(S108).
표시부(140)는 생체신호 측정결과를 전달받는다. 표시부(140)는 생체신호 측정결과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사용자가 설정한 디스플레이 설정정보에 기초하여 생체신호 측정결과를 디스플레이한다(S109).
또한, 생체신호 모니터링부(110)는 생체신호 측정결과를 근거리 통신부(150)로 전달한다(S110). 근거리 통신부(150)는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여 생체신호 측정결과를 모바일 단말(200)로 전달한다(S111).
모바일 단말(200)은 근거리 통신부(150)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여 생체신호 측정결과를 전달받는다. 모바일 단말(200)은 생체신호 모니터링앱을 통해 생체신호 측정결과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S112).
한편, S101 단계의 판단결과, 배터리 잔량값이 제1 설정값보다 크면, 생체신호 모니터링부(110)는 동작 모드를 비저전력 모드로 설정한다(S113). 생체신호 모니터링부(110)는 비저전력 모드임을 생체신호 측정부(120)로 알리고, 비저전력 모드에서 S106 단계 이후의 과정이 수행되도록 하여 생체신호를 모니터링한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저전력 모드로 동작하는 중 생체신호 모니터링 방법을 도 2 및 도 6을 참고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생체신호 모니터링부(110)의 구성은 도 2와 동일하므로 도 2를 참고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생체신호 모니터링부(110)의 배터리 감시부(111)는 제1 저전력 모드로 동작하는 중 배터리 잔량이 전술한 제1 설정값보다 작은 제2 설정값 이하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배터리 감시부(111)는 배터리 잔량이 제2 설정값 이하인 경우, 제2 저전력 모드로 동작할 수 있도록 저전력 알림 메시지를 생성한다. 여기서, 제2 저전력 모드는 사용자가 설정한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측정센서의 측정 주기를 길게 설정하여 동작하는 모드이다. 한편, 배터리 감시부(111)는 배터리 잔량이 제2 설정값 보다 큰 경우, 제1 저전력 모드로 유지할 수 있도록 모드 유지 메시지를 생성한다. 배터리 감시부(111)는 저전력 알림 메시지 또는 모드 유지 메시지를 포함하는 배터리 감시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모니터링 제어부(112)로 전달한다.
모니터링 제어부(112)는 배터리 감시부(111)로부터 배터리 감시 정보를 전달받는다. 모니터링 제어부(112)는 배터리 감시 정보를 분석하여 모드 유지 메시지가 검출되면, 제1 저전력 모드를 유지해야 함을 생체신호 측정부(120)로 알린다. 모니터링 제어부(112)는 배터리 감시 정보를 분석한 결과 저전력 알림 메시지가 검출되면, 제2 저전력 모드로 동작해야 함을 생체신호 측정부(120)로 알린다. 그리고, 모니터링 제어부(112)는 제1 저전력 모드에서의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측정센서의 측정 주기보다 제2 저전력 모드에서의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측정센서의 측정 주기를 길게 설정하고, 설정된 측정 주기에 따라 생체신호가 모니터링될 수 있도록 측정주기 설정정보를 생체신호 측정부(120)로 전달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생체신호 모니터링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생체신호 모니터링 장치(100)의 생체신호 모니터링부(110)는 제1 저전력 모드로 동작하는 중 배터리의 상태를 감시하기 위해 배터리부(130)로부터 소정의 주기로 배터리 잔량값을 전달받는다(S200).
생체신호 모니터링부(110)는 배터리 잔량값이 제1 설정값보다 작은 제2 설정값 이하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201).
S201 단계의 판단결과, 배터리 잔량값이 제2 설정값 이하이면, 생체신호 모니터링부(110)는 동작 모드를 제2 저전력 모드로 설정한다(S202). 생체신호 모니터링부(110)는 제2 저전력 모드로 동작해야 함을 생체신호 측정부(120)로 알린다(S203). 생체신호 모니터링부(110)는 제1 저전력 모드에서의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측정센서의 측정 주기보다 제2 저전력 모드에서의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측정센서의 측정 주기를 길게 설정하여 측정주기 설정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생체신호 측정부(120)로 전달한다(S204).
생체신호 측정부(120)는 측정주기 설정정보를 전달받으며, 제2 저전력 모드로 동작해야 함을 인지한다. 생체신호 측정부(120)는 측정주기 설정정보에 기초하여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측정센서의 측정 주기를 변경한다(S205). 생체신호 측정부(120)는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측정센서의 측정 주기에 도달하면 생체신호를 측정(S206)하고, 생체신호 측정결과를 생체신호 모니터링부(110)로 전달한다(S207).
생체신호 모니터링부(110)는 생체신호 측정부(120)로부터 생체신호 측정결과를 전달받는다. 생체신호 모니터링부(110)는 생체신호 측정결과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표시부(140)로 전달한다(S208). 표시부(140)는 생체신호 측정결과를 전달받는다. 표시부(140)는 생체신호 측정결과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사용자가 설정한 디스플레이 설정정보에 기초하여 생체신호 측정결과를 디스플레이한다(S209). 또한, 생체신호 모니터링부(110)는 생체신호 측정결과를 근거리 통신부(150)로 전달한다(S210). 근거리 통신부(150)는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여 생체신호 측정결과를 모바일 단말(200)로 전달한다(S211). 모바일 단말(200)은 근거리 통신부(150)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여 생체신호 측정결과를 전달받는다. 모바일 단말(200)은 생체신호 모니터링앱을 통해 통해 생체신호 측정결과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S212).
한편, S201 단계의 판단결과, 배터리 잔량값이 제2 설정값보다 크면, 생체신호 모니터링부(110)는 동작 모드를 제1 저전력 모드로 유지한다(S213). 생체신호 모니터링부(110)는 제1 저전력 모드를 유지함을 생체신호 측정부(120)로 알리고, 제1 저전력 모드에서 S206 단계 이후의 과정이 수행되도록 하여 생체신호를 모니터링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2 저전력 모드인 경우 사용자가 설정한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측정센서의 측정 주기를 길게 설정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전력소모가 최소화된 모니터링 방식에 따라 생체신호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복수의 측정센서 각각에 대한 측정 주기를 미리 설정된 소정의 비율로 증가시켜 측정센서별 측정 주기를 설정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으며, 이하에서 기술되는 특허 청구 범위에 의해 판단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10: 생체신호 모니터링 시스템 100: 생체신호 모니터링 장치
110: 생체신호 모니터링부 120: 생체신호 측정부
130: 배터리부 140: 표시부
150: 근거리 통신부 200: 모바일 단말

Claims (25)

  1. 생체신호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전력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한 모니터링 방식에 따라 생체신호를 측정하기 위해 배터리를 감시한 결과에 기초하여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생체신호 모니터링부; 및
    상기 생체신호 모니터링부의 제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생체신호 측정센서의 동작을 결정하여 심전도를 측정하는 생체신호 측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생체신호 모니터링부는,
    상기 배터리를 감시하여 획득한 배터리 잔량과 미리 설정한 제1 설정값을 비교한 결과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생체신호 측정센서를 제어하기 위한 동작 모드 결정을 위한 배터리 감시 정보를 생성하는 배터리 감시부; 및
    상기 배터리 감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동작 모드를 제1 저전력 모드 또는 비저전력 모드로 결정하는 모니터링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생체신호 측정부는,
    상기 비저전력 모드인 경우 사용자가 선택한 생체신호 측정센서 모두를 턴온시키며, 상기 제1 저전력 모드인 경우 사용자가 설정한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생체신호 측정센서만 턴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신호 모니터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를 이용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부;
    블루투스(Bluetooth) 통신을 통해 심전도 측정결과를 모바일 단말로 전달하는 근거리 통신부; 및
    상기 심전도 측정결과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신호 모니터링 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감시부는,
    상기 배터리 잔량이 상기 제1 설정값 이하인 경우 상기 제1 저전력 모드로 동작할 수 있도록 저전력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며, 상기 배터리 잔량이 상기 제1 설정값보다 큰 경우 상기 비저전력 모드로 동작할 수 있도록 비저전력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신호 모니터링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제어부는,
    상기 비저전력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비저전력 모드로 동작해야 함을 상기 생체신호 측정부로 알리며, 상기 저전력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제1 저전력 모드로 동작해야 함을 상기 생체신호 측정부로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신호 모니터링 장치.
  7. 삭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신호 모니터링부는,
    상기 제1 저전력 모드로 동작하는 중 상기 배터리 잔량과 상기 제1 설정값보다 작은 제2 설정값을 비교한 결과에 따라 상기 동작 모드 결정을 위한 배터리 감시 정보를 생성하는 배터리 감시부; 및
    상기 배터리 감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동작 모드를 상기 제1 저전력 모드 또는 제2 저전력 모드로 결정하는 모니터링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신호 모니터링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감시부는,
    상기 배터리 잔량이 상기 제2 설정값 이하인 경우 상기 제2 저전력 모드로 동작할 수 있도록 상기 저전력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며, 상기 배터리 잔량이 상기 제2 설정값보다 큰 경우 상기 제1 저전력 모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모드 유지 메시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신호 모니터링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제어부는,
    상기 제1 저전력 모드로 동작하는 중 상기 저전력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제2 저전력 모드로 동작해야 함을 상기 생체신호 측정부로 알리며, 상기 모드 유지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제1 저전력 모드를 유지해야 함을 상기 생체신호 측정부로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신호 모니터링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신호 측정부는,
    상기 제2 저전력 모드인 경우 사용자가 설정한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생체신호 측정센서의 측정 주기를 상기 제1 저전력 모드에서의 측정 주기보다 길게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신호 모니터링 장치.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생체신호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전력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한 모니터링 방식에 따라 생체신호를 측정하기 위해 배터리를 감시한 결과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생체신호 측정센서의 제어를 위한 동작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동작 모드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생체신호 측정센서의 동작을 결정하여 심전도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생체신호 모니터링 장치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는 모바일 단말로 심전도 측정결과를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동작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배터리를 감시하여 획득한 배터리 잔량과 미리 설정한 제1 설정값을 비교한 결과에 따라 상기 동작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배터리 잔량이 상기 제1 설정값 이하인 경우 제1 저전력 모드로 동작할 수 있도록 저전력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배터리 잔량이 상기 제1 설정값 보다 큰 경우 비저전력 모드로 동작할 수 있도록 비저전력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심전도를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비저전력 모드인 경우 사용자가 선택한 생체신호 측정센서 모두를 턴온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1 저전력 모드인 경우 사용자가 설정한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생체신호 측정센서만 턴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신호 모니터링 방법.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저전력 모드로 동작하는 중 상기 배터리 잔량과 상기 제1 설정값보다 작은 제2 설정값을 비교한 결과에 따라 상기 동작 모드 결정을 위한 배터리 감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배터리 잔량이 상기 제2 설정값 이하인 경우 제2 저전력 모드로 동작할 수 있도록 상기 저전력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배터리 잔량이 상기 제2 설정값 보다 큰 경우 상기 제1 저전력 모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모드 유지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신호 모니터링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모드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생체신호 측정센서의 동작을 결정하여 상기 심전도 이외의 다른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저전력 모드인 경우 사용자가 설정한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생체신호 측정센서의 측정 주기를 상기 제1 저전력 모드에서의 측정 주기보다 길게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신호 모니터링 방법.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모드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생체신호 측정센서의 동작을 결정하여 상기 심전도 이외의 다른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저전력 모드인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생체신호 측정센서 각각에 대한 측정 주기를 미리 설정된 비율로 증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신호 모니터링 방법.
  24.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심전도 측정결과를 전달하는 단계는,
    블루투스(Bluetooth) 통신을 통해 심전도 측정결과를 상기 모바일 단말의 생체신호 모니터링앱으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신호 모니터링 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신호 모니터링앱은,
    사용자가 설정한 디스플레이 모드에 따라 운동 시 측정된 생체신호 측정결과를 표시하거나 또는 비운동 시 측정된 생체신호 측정결과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신호 모니터링 방법.
KR1020140035674A 2013-05-10 2014-03-27 생체신호 모니터링 장치 및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생체신호 모니터링 방법 KR1015867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3008 2013-05-10
KR20130053008 2013-05-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3419A KR20140133419A (ko) 2014-11-19
KR101586729B1 true KR101586729B1 (ko) 2016-02-02

Family

ID=524540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5674A KR101586729B1 (ko) 2013-05-10 2014-03-27 생체신호 모니터링 장치 및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생체신호 모니터링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672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X2018011544A (es) * 2016-03-23 2019-06-24 Canary Medical Inc Procesador de informacion implantable para implante de alerta.
KR102048528B1 (ko) * 2019-02-27 2019-11-25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웨어러블 기기의 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52261A (ja) 2010-01-27 2011-08-11 Nippon Koden Corp 携帯型生体信号測定・送信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52261A (ja) 2010-01-27 2011-08-11 Nippon Koden Corp 携帯型生体信号測定・送信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3419A (ko) 2014-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ukhopadhyay Wearable sensors for human activity monitoring: A review
KR102463383B1 (ko) 생체 신호 측정을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착용형 전자 장치
US9019098B2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6277716B2 (ja) 生体情報計測機器、生体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10066081A1 (en) Sensor-Based Health Monitoring System
WO2016161152A1 (en) Wearable cardiac elecrophysiology measurement devices, software, systems and methods
EP3261520B1 (en) Device for detecting heart rate and heart rate variability
GB2436721A (en) Automated method for adapting the settings of a patient monitor
JP2006130310A (ja) 生体信号測定装置及び方法
EP310608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valuating physiological aging level
CN105249943A (zh) 一种智能衣服控制系统及其控制方法
KR102532412B1 (ko) 생체 정보에 기반한 건강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180158542A1 (en) Sensor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health care
US20150157278A1 (en) Electronic device, method, and storage medium
WO2018030125A1 (ja) 疲労度判定装置、疲労度判定方法、疲労度判定プログラム、及び、生体情報測定装置
KR101869238B1 (ko) 생체정보센싱단말 및 이를 이용하는 환자관리 방법
KR101586729B1 (ko) 생체신호 모니터링 장치 및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생체신호 모니터링 방법
CN204500690U (zh) 手表型智能身体机能检测器
JP2015112205A (ja) 情報提供システム、電子機器、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241796B1 (ko) 심전도 측정 장치, 심전도의 부분 별로 다른 보상값을 적용하여 신호를 증폭시키는 방법
KR20160062576A (ko) 생체신호 모니터링 장치 및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생체신호 모니터링 방법
Meng et al. Wearable systems and applications for healthcare
US20210121077A1 (en) Physical parameter measuring devices
US20220313137A1 (en) A portable ecg device and an ecg system comprising the portable ecg device
Au et al. CARER: Efficient dynamic sensing for continuous activity monitor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