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6412B1 - 공중합 폴리에스터와 폴리락트산을 포함하는 수지 블렌드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공중합 폴리에스터와 폴리락트산을 포함하는 수지 블렌드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6412B1
KR101586412B1 KR1020140010489A KR20140010489A KR101586412B1 KR 101586412 B1 KR101586412 B1 KR 101586412B1 KR 1020140010489 A KR1020140010489 A KR 1020140010489A KR 20140010489 A KR20140010489 A KR 20140010489A KR 101586412 B1 KR101586412 B1 KR 1015864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ester
resin blend
polylactic acid
acid
fdc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04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89628A (ko
Inventor
남병욱
박준서
박지수
김해리
김연희
임승복
민경덕
Original Assignee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104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6412B1/ko
Publication of KR201500896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96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64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64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8L67/03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the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having the carboxyl- and the hydroxy groups directly linked to aromat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4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e.g. lacton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Processes Of Treat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 Biological Depolymerization Polym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지 블렌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계적 물성, 열적 안정성 및 친환경적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2, 5 퓨란 디카르복실산(furandicarboxylic acid, FDCA) 잔기가 포함된 공중합 폴리에스터와 폴리락트산(polylactic acid)을 혼합한 수지 블렌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공중합 폴리에스터와 폴리락트산을 포함하는 수지 블렌드 및 그 제조방법{Resine blend including copolymerized polyester and polylactic aci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수지 블렌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계적 물성, 열적 안정성 및 친환경적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공중합 폴리에스터(polyester)와 폴리락트산(polylactic acid)을 포함하는 수지 블렌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 세계적으로 산업혁명을 거치면서 석유의 수요가 급증하게 되었고, 여러 가지 산업분야에서 석유로부터 유래하는 고분자 물질을 원료로 하는 제품들이 발달하였다.
그러나, 석유로부터 유래하는 고분자 물질들은 발암물질을 포함할 수 있어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미칠 수 있고, 재활용이 어렵고 자연적으로 분해되는데 오랜 시간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환경 오염의 주범이 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 중에 하나는 바이오매스로부터 유래하는 물질을 원료로 하는 고분자 소재를 개발하는 것인데, 이러한 바이오 기반의 원료 중 2, 5 퓨란 디카르복실산(furandicarboxylic acid, FDCA)는 바이오 기반의 방향족 이산(diacid) 단량체로서, 산촉매를 이용한(acid-catalyzed) 가수분해와 탈수에 의해 다당류(polysaccharide) 또는 설탕과 같은 바이오매스로부터 얻어지는 5-HMF(5-hydroxymethylfurfural)의 선택적 산화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비특허문헌 0001).
이러한 FDCA는 여러 가지 산업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폴리에스터(polyester)의 제조에 사용되는 테레프탈산(terephthalic acid)을 대체할 수 있는 물질로 주목받고 있는데, 예를 들어, FDCA를 이용해 제조된 폴리에스터인 폴리에틸렌 퓨란디카르복실레이트(poly(ethylene furandicarboxylate, PEF)는 플라스틱 병(bottle)으로서의 용도에 있어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의 대체 소재로서 여겨지고 있다.
그러나, 상기 PEF 등과 같이 FDCA를 이용해 제조된 폴리에스터는 아직까지는 그 물리적, 화학적 특성들이 취약하고, 비용 측면에서의 문제 또한 걸림돌이 되어 상업화를 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한편, 최근 주목받고 있는 바이오 기반의 화합물인 폴리락트산(polylactic acid, PLA)은 옥수수, 사탕수수, 카사바(cassava)와 같은 재생 가능한 원료로부터 만들어지는 지방족 폴리에스터의 한 종류이다.
상기 폴리락트산은 바이오 플라스틱 대비 비교적 우수한 기계적 특성과 생분해 능력을 가지고 있어 음식 등에 대한 포장재로서는 물론 의학 분야에서도 사용될 수 있는 등 광범위한 적용 가능성을 가지고 있으며, 생분해 가능한 특성으로 인해 친환경적이다(비특허문헌 0002).
그러나, 전술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깨지기 쉬운 성질과 낮은 결정화 속도, 낮은 충격 강도, 낮은 유리전이 온도 및 취약한 열적 안정성 등의 약점들로 인해 폴리락트산을 대중적으로 적용하는데 있어서 한계가 있다.
Ma J., Pang Y., Wang M., Xu J., Mab H. & Nieb X., The copolymerization reactivity of diols with 2,5-furandicarboxylic acid for furan-based copolyester materials. Journal of Materials Chemestry, 22, pp. 3457-3461,2012. Ulrici A, Serranti S., Ferrari C., Cesare D., Foca G. & Bonifazi G., Efficient chemometric strategies for PET-PLA discrimination in recycling plants using hyperspectral imaging. Chemometrics and Intelligent Laboratory Systems, 122. pp. 31-39,2013.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2, 5 퓨란 디카르복실산(furandicarboxylic acid, FDCA) 잔기가 포함된 공중합 폴리에스터 및 폴리락트산을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수지 블렌드로서, 기존의 석유화학 기반의 플라스틱 소재를 대체할 수 있는 수지 블렌드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에 의한 공중합된 폴리에스터와 폴리락트산을 포함하는 수지 블렌드는 FDCA(furandicarboxylic acid)가 중합된 폴리에스터(polyester) 및 폴리락트산(poly(lactic acid))이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공중합된 폴리에스터와 폴리락트산을 포함하는 수지 블렌드는, 상기 폴리에스터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butylene terephthalate)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중합된 폴리에스터와 폴리락트산을 포함하는 수지 블렌드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공중합된 폴리에스터와 폴리락트산을 포함하는 수지 블렌드는, 상기 폴리락트산이 바이오매스로부터 합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중합된 폴리에스터와 폴리락트산을 포함하는 수지 블렌드는, 상기 FDCA가 중합된 폴리에스터와 상기 폴리락트산이 75:25 내지 25:75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중합된 폴리에스터와 폴리락트산을 포함하는 수지 블렌드는, 상기 FDCA가 중합된 폴리에스터와 상기 폴리락트산이 75:25 내지 50:50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중합된 폴리에스터와 폴리락트산을 포함하는 수지 블렌드는, 상기 FDCA가 중합된 폴리에스터와 폴리락트산이 75:25 내지 50:50의 중량비로 혼합되어 있는 경우, 30 내지 45℃의 범위에서 적어도 1.8x109 Pa의 저장 탄성률(storage modulus)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중합된 폴리에스터와 폴리락트산을 포함하는 수지 블렌드는, 88℃ 내지 110 ℃의 범위의 유리전이온도(Tg)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FDCA(furandicarboxylic acid)가 공중합된 폴리에스터(polyester)와 폴리락트산(polylactic acid)을 포함하는 수지 블렌드 제조방법은, 건조된 FDCA가 공중합된 폴리에스터와 폴리락트산을 특정 중량비로 용해하여 블렌드의 용해액을 준비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용해액과 메탄올을 혼합하여 수지 블렌드의 석출물을 제조하는 제 2 단계와, 상기의 석출물을 메탄올로 세척한 후 건조시키는 제 3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중합된 폴리에스터와 폴리락트산을 포함하는 수지 블렌드 제조방법은, 상기 FDCA가 공중합된 폴리에스터와 폴리락트산이 75:25 내지 25:75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중합된 폴리에스터와 폴리락트산을 포함하는 수지 블렌드 제조방법은, 상기 FDCA가 공중합된 폴리에스터와 폴리락트산이 75:25 내지 50:50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공중합된 폴리에스터와 폴리락트산을 포함하는 수지 블렌드를 압출 성형함으로써 제조되는 수지 블렌드 성형제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지 블렌드는 PET-co-PEF와 같이 2, 5 퓨란 디카르복실산(furandicarboxylic acid, FDCA) 잔기가 포함된 공중합 폴리에스터 및 폴리락트산을 함께 포함함으로써 향상된 기계적 물성 및 열적 안정성을 가지며, 생분해 특성을 가지고 있어 친환경적 효과까지 함께 가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지 블렌드를 압출 성형함으로써 향상된 열적 안정성과 생분해 특성을 가지는 성형제품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2, 5 퓨란 디카르복실산(furandicarboxylic acid, FDCA) 잔기가 포함된 폴리에스터 및 테레프탈산(terephthalic acid) 잔기가 포함된 폴리에스터가 공중합된 폴리에스터(polyester); 및 폴리락트산(polylactic acid, PLA)을 포함하는 수지 블렌드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PET-co-EF(polyethylene terephthalate-co-ethylene furandicarboxylate)와 PLA의 함량을 달리하는 수지 블렌드의 FE-SEM(field emission-scanning electron microscopy) 이미지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PET-co-EF와 PLA의 함량을 달리하는 수지 블렌드의 XRD(x-ray diffraction)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PET-co-EF와 PLA의 함량을 달리하는 수지 블렌드의 DMA(dynamic mechanical analysis)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PET-co-EF와 PLA의 함량을 달리하는 수지 블렌드의 유리전이온도(glass transition temperature)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PET-co-EF와 PLA의 함량을 달리하는 수지 블렌드의 저장 탄성률의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PET-co-EF와 PLA의 함량을 달리하는 수지 블렌드의 TGA(thermogravimetrci analysis)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수지 블렌드를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로, 도 1을 참고하면, 우선, 2, 5 퓨란 디카르복실산(furandicarboxylic acid, FDCA) 잔기가 포함된 폴리에스터 및 테레프탈산(terephthalic acid) 잔기가 포함된 폴리에스터가 공중합된 폴리에스터(polyester) 및 폴리락트산(polylactic acid)이 용해된 혼합 용액을 준비한다(S10).
여기서, 상기 2, 5 퓨란 디카르복실산(furandicarboxylic acid, FDCA) 잔기가 포함된 폴리에스터는 그 종류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폴리에틸렌 퓨란디카르복실레이트(poly(ethylene furandicarboxylate, PEF)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테레프탈산(terephthalic acid) 잔기가 포함된 폴리에스터로서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butylene terephthalate) 등을 그 구체적인 예로서 들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일 수 있다.
전술한 2, 5 퓨란 디카르복실산(furandicarboxylic acid, FDCA) 잔기가 포함된 폴리에스터를 테레프탈산(terephthalic acid) 잔기가 포함된 폴리에스터와 공중합시켜 형성되는 공중합 폴리에스터는 바람직하게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코-에틸렌 퓨란디카르복실레이트) (poly(ethylene terephthalate-co-ethylene furandicarboxylate, PET-co-EF)일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14009191739-pat00001

한편, 본 단계에서 상기 공중합 폴리에스터와 폴리락트산은 특정 중량비에 따라 혼합되어 혼합 용액을 형성하는데, 바람직하게는 공중합 폴리에스터와 폴리락트산이 75:25 내지 25:75의 중량비로 혼합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75:25 내지 50:50의 중량비로 혼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 2 단계에서는 상기 공중합 폴리에스터와 폴리락트산의 혼합 용액과 메탄올을 혼합하여 수지 블렌드를 석출시킨다(S200).
그 다음으로, 제 3 단계에서는 상기 석출된 수지 블렌드를 메탄올 등으로 세척한 후 건조한다(S300).
상기의 과정을 거쳐 제조된 수지 블렌드는 88 내지 110℃ 범위의 유리전이온도를 가질 수 있으며, 30 내지 45℃의 온도에서 적어도 1.8×109 Pa의 저장 탄성률(storage modulus)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수지 블렌드는 예를 들어, 압출 등을 통해 성형하여 2, 5 퓨란 디카르복실산(furandicarboxylic acid, FDCA) 잔기가 포함된 공중합 폴리에스터와 폴리락트산을 포함하는 수지 블렌드 성형품을 제조할 수 있다.
<실시예>
본 실시예에서는 2, 5 퓨란 디카르복실산(furandicarboxylic acid, FDCA) 잔기가 포함된 공중합 폴리에스터로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코-에틸렌 퓨란디카르복실레이트)(이하, PET-co-EF)와, 폴리락트산(이하, PLA)을 준비하였다.
상기의 재료들은 용액 블렌딩(solution blending)을 이용해 수지 블렌드를 제조하기에 앞서 미리 60℃에서 12시간 동안 건조시켜 준비해 두었다.
수지 블렌드를 제조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우선, PET-co-EF와 PLA를 혼합 중량비를 75;25, 50:50 및 25:75로 달리하여 80℃에서 테트라클로로에탄(tetrachloroethane)에 용해시켜 10g/dL의 혼합 용액을 제조하였다.
그리고나서, 상기 혼합 용액을 메탄올과 혼합하여 수지 블렌드를 석출시키고, 상기 수득된 석출물을 메탄올로 세척한 후, 80℃에서 12시간 동안 건조시킴으로써, PET-co-EF 와 PLA의 중량비가 각각 75;25인 수지 블렌드(PET-co-EF75/PLA25), 50:50인 수지 블렌드(PET-co-EF50/PLA50), 25:75인 수지 블렌드(PET-co-EF25/PLA75)를 최종적으로 얻었다.
그리고, 수지 블렌드의 특성 분석을 위해 상기 각각의 수지 블렌드를 이용해 450kgf/cm2의 압력으로 3분 동안 235℃에서 1mm 두께의 시트(sheet) 형태로 금형 압축한 후, 60℃에서 24시간 동안 건조하여 수지 블렌드 시편을 제조하였다.
상기 수지 블렌드 시편의 특성에 대한 분석은 FE-SEM(field emission-scanningg electron microscopy), XRD(x-ray diffraction), DMA(dynamic mechanical analysis), TGA(thermogravimetric analysis)를 통해 수행하였다.
(1) 수지 블렌드의 형태(morphology) 분석
상기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수지 블렌드 시편의 미세구조를 분석하기 위하여 FE-SEM을 이용하여 단면을 관찰하였다.
수지 블렌드 시편은 액체 질소에 담근 후 파쇄한 후 백금으로 코팅하였으며, 도 2는 왼쪽부터 PET-co-EF 와 PLA가 75:25, 50:50, 25:75의 중량비로 혼합되어 있는 수지 블렌드 시편의 FE-SEM 이미지(스케일 바=1㎛)를 나타낸다.
도 2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수지 블렌드 시편은 전형적인 matrix-droplet의 미세구조를 보여주고, 부성분(minor component)의 입자가 주성분(major component)의 기지(matrix) 내에 잘 분산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모든 조성에서 상이 분리된 미세구조를 나타내지만 서브 마이크론 크기의 구형 도메인의 분산은 PET-co-EF/PLA 수지 블렌드의 구성 성분 간 상용성이 좋음을 의미한다.
(2) 수지 블렌드의 결정구조 분석
도 3은 각각 PET-co-EF, PLA 및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각 PET-co-EF/PLA 수지 블렌드의 XRD 패턴을 보여준다.
도 3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순수한 PET-co-EF의 경우에는 20°부근에서 폭이 넓은 회절 피크를 가지고, 순수한 PLA의 경우에는, 2θ=15.5°, 32° 및 43° 부근에서 강한 피크가 발견되었다.
반면, PET-co-EF75/PLA25 및 PET-co-EF25/PLA75 수지 블렌드의 회절피크는 각 수지 블렌드의 주요 성분의 피크만을 포함하는 것으로 보이는 한편 15.5°에서의 피크의 중첩에 의해 20°에서의 피크가 간섭받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는 PLA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PET-co-EF의 피크가 점점 낮은 각도 쪽으로 천이(shift)함을 의미한다.
특히, PET-co-EF75/PLA25 및 PET-co-EF50/PLA50 수지 블렌드는 회절 피크에서의 큰 천이에 기인하는 상이한 조성을 가져 물성에 있어서 차이를 가질 것으로 예상된다.
(3) 수지 블렌드의 유리전이온도와 저장 탄성률 측정
상기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수지 블렌드 시편의 유리전이온도(Tg)와 강성(stiffness)을 측정하기 위하여 1Hz의 진동수로 2℃/min의 승온률로 가열하여 0에서 160℃의 온도범위에서 DMA(dynamic mechanical analysis)를 수행하였다.
DMA는 tanδ의 최대 피크값이 나타나는 온도를 관찰하여 이를 바탕으로 유리전이 온도를 측정하는 방법으로서, 도 4는 PET-co-EF, PLA 및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각 PET-co-EF/PLA 수지 블렌드의 tanδ 값의 온도 의존성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그리고, 도 5는 DMA를 이용하여 각각 PET-co-EF, PLA 및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각 PET-co-EF/PLA 수지 블렌드의 유리전이온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유리전이온도의 값은 PET-co-EF/PLA 블렌드의 경우 PET-co-EF 함량의 증가와 함께 증가한다. 또한 PET-co-EF/PLA 블렌드 시편들의 유리전이온도는 순수 PET-co-EF나 순수 PLA의 유리전이온도의 범위보다 높았으며, 단일 유리전이온도(singl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수지 블렌드 중 PET-co-EF75/PLA25, PET-co-EF50/PLA50인 경우, 유리전이온도가 상대적으로 월등히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6은 DMA를 이용하여 본 실시예에 의한 수지 블렌드의 강성(stiffness)와 관련성을 가지는 저장 탄성률(storage modulus)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여기에서 강성도는 수지 블렌드가 응력을 받았다가 응력이 제거되었을 때 원래의 형태로 돌아가는 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저장 탄성률이 클수록 강성도도 크게 나타난다.
도 6으로부터 수지 블렌드 중 PET-co-EF75/PLA25, PET-co-EF50/PLA50의 저장 탄성률이 다른 시편들에 비하여 2배 가까이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크게 증가된 강성도를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4) 수지 블렌드의 열적 안정성 측정
상기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수지 블렌드 시편의 열적 안정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10℃/min의 승온률로 30 에서 800℃까지 가열하면서 TGA를 수행하였다.
도 7은 PET-co-EF, PLA 및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각 PET-co-EF/PLA 수지 블렌드의 TGA 그래프이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PLA는 낮은 열적 안정성을 가지기 때문에 열 분해온도(thermal degradation temperature)가 가장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PLA와 혼합되는 PET-co-EF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열 분해온도가 점점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내용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2)

  1. 2, 5 퓨란 디카르복실산(furandicarboxylic acid, FDCA) 잔기가 포함된 폴리에스터 및 테레프탈산(terephthalic acid) 잔기가 포함된 폴리에스터가 공중합된 폴리에스터(polyester); 및 폴리락트산(polylactic acid)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블렌드.
  2. 제1항에 있어서, 2, 5 퓨란 디카르복실산(furandicarboxylic acid, FDCA) 잔기가 포함된 폴리에스터는 폴리에틸렌 퓨란디카르복실레이트(poly(ethylene furandicarboxylate, PEF)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블렌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레프탈산(terephthalic acid) 잔기가 포함된 폴리에스터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 또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butylene terephthalat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블렌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2, 5 퓨란 디카르복실산(furandicarboxylic acid, FDCA) 잔기가 포함된 폴리에스터 및 테레프탈산(terephthalic acid) 잔기가 포함된 폴리에스터가 공중합된 폴리에스터(polyester)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코-에틸렌 퓨란디카르복실레이트) (poly(ethylene terephthalate-co-ethylene furandicarboxylate, PET-co-EF)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블렌드:
    [화학식 1]
    Figure 112014009191739-pat00002
    .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된 폴리에스터와 상기 폴리락트산은 75:25 내지 25:75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블렌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된 폴리에스터와 상기 폴리락트산은 75:25 내지 50:50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블렌드.
  7. 제 6 항에 있어서, 30 내지 45℃의 온도에서 1.8×109 Pa 이상의 저장 탄성률(storage modulus)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블렌드.
  8. 제 1 항에 있어서, 88 내지 110 ℃의 유리전이온도(Tg)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블렌드.
  9. 2, 5 퓨란 디카르복실산(furandicarboxylic acid, FDCA) 잔기가 포함된 폴리에스터 및 테레프탈산(terephthalic acid) 잔기가 포함된 폴리에스터가 공중합된 폴리에스터(polyester) 및 폴리락트산(polylactic acid)이 용해된 혼합 용액을 준비하는 제 1 단계;
    상기 혼합 용액과 메탄올을 혼합하여 수지 블렌드를 석출시키는 제 2 단계; 및
    상기 석출물을 세척한 후 건조시키는 제 3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블렌드의 제조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된 폴리에스터와 폴리락트산은 75:25 내지 25:75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블렌드의 제조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된 폴리에스터와 폴리락트산은 75:25 내지 50:50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블렌드의 제조방법.
  12. 제 9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항에 의한 수지 블렌드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수지 블렌드를 압출 성형함으로써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블렌드 성형품.
KR1020140010489A 2014-01-28 2014-01-28 공중합 폴리에스터와 폴리락트산을 포함하는 수지 블렌드 및 그 제조방법 KR1015864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0489A KR101586412B1 (ko) 2014-01-28 2014-01-28 공중합 폴리에스터와 폴리락트산을 포함하는 수지 블렌드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0489A KR101586412B1 (ko) 2014-01-28 2014-01-28 공중합 폴리에스터와 폴리락트산을 포함하는 수지 블렌드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9628A KR20150089628A (ko) 2015-08-05
KR101586412B1 true KR101586412B1 (ko) 2016-01-18

Family

ID=53886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0489A KR101586412B1 (ko) 2014-01-28 2014-01-28 공중합 폴리에스터와 폴리락트산을 포함하는 수지 블렌드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641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503125A (ja) 2009-08-28 2013-01-31 エボニック オクセノ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2,5−フランジカルボン酸のエステル誘導体及び可塑剤としてのその使用
JP2013510213A (ja) 2009-11-06 2013-03-21 ノバモント・ソシエタ・ペル・アチオニ 生分解性脂肪族−芳香族ポリエステル
US20130171397A1 (en) 2012-01-04 2013-07-04 Pepsico, Inc. 2,5-furan dicarboxylic acid-based polyesters prepared from biomas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503125A (ja) 2009-08-28 2013-01-31 エボニック オクセノ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2,5−フランジカルボン酸のエステル誘導体及び可塑剤としてのその使用
JP2013510213A (ja) 2009-11-06 2013-03-21 ノバモント・ソシエタ・ペル・アチオニ 生分解性脂肪族−芳香族ポリエステル
US20130171397A1 (en) 2012-01-04 2013-07-04 Pepsico, Inc. 2,5-furan dicarboxylic acid-based polyesters prepared from biomass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FE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9628A (ko) 2015-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oos et al. A perspective on PEF synthesis, properties, and end-life
Peelman et al. Heat resistance of new biobased polymeric materials, focusing on starch, cellulose, PLA, and PHA
Hu et al. Fully bio-based poly (propylene succinate-co-propylene furandicarboxylate) copolyesters with proper mechanical, degradation and barrier properties for green packaging applications
Hu et al. Modification of poly (butylene 2, 5-furandicarboxylate) with lactic acid for biodegradable copolyesters with good mechanical and barrier properties
Wu et al. High molecular weight poly (butylene succinate-co-butylene furandicarboxylate) copolyesters: from catalyzed polycondensation reaction to thermomechanical properties
Long et al. Tensile property balanced and gas barrier improved poly (lactic acid) by blending with biobased poly (butylene 2, 5-furan dicarboxylate)
Chebbi et al. Synthesis, characterization, and biodegradability of novel fully biobased poly (decamethylene-co-isosorbide 2, 5-furandicarboxylate) copolyesters with enhanced mechanical properties
Hu et al. Toward biobased, biodegradable, and smart barrier packaging material: Modification of poly (neopentyl glycol 2, 5-furandicarboxylate) with succinic acid
US11518878B2 (en) Biodegradable polymer composition for the manufacture of articles having a high heat deflection temperature
WO2017182576A1 (en) New polyester and compositions containing it
Zheng et al. Poly (butylene 2, 5-furandicarboxylate-e-caprolactone): A new bio-based elastomer with high strength and biodegradability.
EP3625284A1 (en) Polyester copolymer
JP2010202757A (ja) 樹脂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成形品
Hu et al. Toughening biosourced poly (lactic acid) and poly (3-hydroxybutyrate-co-4-hydroxybutyrate) blends by a renewable poly (epichlorohydrin-co-ethylene oxide) elastomer
DK3030616T3 (en) BIODEGRADABLE POLYMER COMPOSITION FOR THE MANUFACTURING OF ARTICLES THAT HAVE A HIGH HEAT DEFENDING TEMPERATURE
Siracusa et al. On the Selective Enzymatic Recycling of Poly (pentamethylene 2, 5-furanoate)/Poly (lactic acid) Blends and Multiblock Copolymers
KR101586412B1 (ko) 공중합 폴리에스터와 폴리락트산을 포함하는 수지 블렌드 및 그 제조방법
Jiang et al. An environmentally sustainable isosorbide-based plasticizer for biodegradable poly (butylene succinate)
Schneider Design of biobased and biodegradable-compostable engineered plastics based on poly (lactide)
WO2018211132A1 (en) Polyester copolymer
Dong et al. High performance and water‐degradable poly (neopentyl terephthalate‐co‐neopentyl succinate) copolymers: Synthesis, properties, and hydrolysis in different aquatic bodies
JP2007070412A (ja) ポリ乳酸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김태호 The polymerization of biodegradable polyester and biobased elastomer: Effects of nanocellulose crystal to improve mechanical properties as reinforced fillers
Al-Ashor Sustainable food packaging based on polyhydroxyalkanoate
ELKHODARY Approaches to the thermally stable poly (lactide) s with stereocomplex as a unique crystalline compon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