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6026B1 - device and method of calculating coverage of camera in video surveillance system - Google Patents
device and method of calculating coverage of camera in video surveillance syste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86026B1 KR101586026B1 KR1020140087279A KR20140087279A KR101586026B1 KR 101586026 B1 KR101586026 B1 KR 101586026B1 KR 1020140087279 A KR1020140087279 A KR 1020140087279A KR 20140087279 A KR20140087279 A KR 20140087279A KR 101586026 B1 KR101586026 B1 KR 10158602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rveillance
- camera
- unit
- monitoring
- area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영상감시 시스템을 위한 카메라 감시 영역 산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핀홀 카메라 모델을 이용하여 산출된 카메라 감시 영역을 위도, 경도, 고도 좌표로 변환하여 공간 정보 오픈 플랫폼 기반의 가상 3D 지도에서 감시 영역을 확인할 수 있는 영상감시 시스템을 위한 카메라 감시 영역 산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alculating a camera surveillance area for a surveillance system.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mera surveillance area for a video surveillance system capable of confirming a surveillance area on a virtual 3D map based on a spatial information open platform by converting a camera surveillance area calculated using a pinhole camera model into latitude, longitude, And more particularly,
날로 증가하는 각종 강력 범죄들로 인해 안전에 대한 사람들의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최근의 범죄들은 그 수법이 더욱 지능화되고 다양해지고 있으며 때와 장소를 가리지 않는 예측 불가능한 특징으로 인해 보다 지능적이고 체계적인 보안 솔루션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다수의 감시 장비로 넓은 지역을 실시간으로 감시하며 여러 지역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사건들에 대해 상호 연관성을 파악하여 대처할 수 있는 대규모 종합 감시시스템은 이러한 위협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수단으로 각광받으며 학교나 주거단지 및 지자체 등에서 그 수요와 설치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People are increasingly demanding safety because of the increasing number of violent crimes. Recent crimes have become more intelligent and diverse, and more and more intelligent and systematic security solutions have become necessary due to unpredictable features, both time and place. As a result, a large-scale comprehensive surveillance system capable of monitoring large areas in real time with a large number of surveillance devices and correlating the events that may occur in various regions can be effectively used as a means of effectively suppressing such threats. The demand and installation cases are increasing in the residential complexes and local governments.
설치된 종합 감시시스템은 적게는 수십에서 많게는 수천 대의 감시 카메라를 통합하여 운용하는 등 그 규모가 다양하고 설치 목적도 범죄 예방뿐 아니라 쓰레기 무단 투기나 재난경보까지 포함하는 등 사회 문제의 여러 부분을 책임지게 된다.
The installed comprehensive monitoring system has various sizes such as integrating several dozens to many thousands of surveillance cameras, and the purpose of installation is not only to prevent crime but also to cover various parts of social problems including waste disposal and disaster warning. do.
그러나 이러한 대규모 감시 시스템을 체계적으로 운용하고 설계하기 위한 기준이나 경험이 부족하여 큰 비용을 들여 구축한 감시 시스템이 무용지물이 되는 사례가 발생하고 있다.
However, there is a case that the surveillance system constructed with high cost is useless due to lack of standard or experience for systematically operating and designing such a large - scale surveillance system.
가장 큰 원인은 감시 카메라의 잘못된 설치로 인해 발생하게 되는 감시 영역의 오차이다. 잘못 설치된 감시 카메라는 범죄 현장을 놓칠 수 있으며, 시스템의 신뢰도를 떨어뜨리고 뒤늦은 설치 교정으로 인한 비용의 낭비를 일으킨다.
The biggest cause is the error of the surveillance area caused by erroneous installation of the surveillance camera. Incorrectly installed surveillance cameras can miss crime scenes, degrade system reliability, and cause waste of cost due to late installation calibration.
현재 감시 카메라설치를 시뮬레이션 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CCTV-CAD, CCTV Design Tool, Archispace Video, FLIR Raven Security Site Planning Tool)들이 상용화되어 제공되고 있지만 대부분 시뮬레이션을 위해 모델링 된 건축물의 3D 공간정보와 실내 전용의 좌표를 사용하기 때문에 주거단지나 마을과 같은 복잡하고 넓은 지형에 적용하지 못한다. 실외용 시뮬레이션 기능을 제공하더라도 2차원 맵 상에 표현되며 정확히 계산된 감시 영역을 제공하지 않는다.
Currently, software (CCTV-CAD, CCTV Design Tool, Archispace Video, and FLIR Raven Security Site Planning Tool) that simulates the installation of surveillance cameras is commercially available but most of them are 3D spatial information of buildings modeled for simulation, Because it uses coordinates, it does not apply to complex and wide terrain such as residential complexes and villages. Even if the outdoor simulation function is provided, it is expressed on a two-dimensional map and does not provide a precisely calculated surveillance area.
이와 같이 감시 카메라의 특성뿐 아니라 설치 위치, 감시 방향, 주변 지형까지 고려하여 설치 예정인 감시 카메라가 어떠한 감시 영역을 가지는지 파악할 수 있는 방법은 실외 감시 카메라설치에 있어서 제공되는 사례가 존재하지 않았다. 대안으로 경험적 판단에 의존하거나, 오차를 감수하면서 간단한 계산 방법을 통해 대략적인 설치 조건을 결정하는 방법이 선택되고 있는 실정이다.
In this way, there is no case in which an outdoor surveillance camera is installed in a way that can observe the surveillance area of a surveillance camera scheduled to be installed considering the installation location, the surveillance direction, and the surrounding terrain as well as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rveillance camera. As a alternative, a method of determining the approximate installation condition by a simple calculation method is selected depending on empirical judgment or taking an error.
하지만 적게는 수십, 많게는 수천 대의 감시 카메라가 유기적으로 연동되어야 하는 종합 감시시스템에 있어 이러한 기존의 방법은 잘못 설계된 감시시스템을 바로잡는 등의 불필요한 비용 낭비를 발생시키며 체계적인 감시계획의 수립을 어렵게 하여 감시시스템의 신뢰도와 활용 효율을 저하시키게 된다. 또한 앞으로 더욱 지능적으로 발전하게 될 감시시스템에 있어서도 가장 기본이 되는 감시 영역의 부정확성은 치명적인 문제가 될 수 있다.
However, in the case of an integrated surveillance system in which dozens or even thousands of surveillance cameras have to be linked organically, this conventional method causes unnecessary expenditure such as correcting a wrongly designed surveillance system and makes it difficult to establish a systematic surveillance plan Thereby reducing the reliability and utilization efficiency of the system. In addition, the inaccuracy of the surveillance area, which is the most basic in the surveillance system that will be developed more intelligently in the future, can be a fatal problem.
따라서, 체계적인 감시계획 설계와, 정확한 감시 현황 파악을 통한 감시시스템의 신뢰성 및 비용 효율성 증대를 위해 실외 감시 카메라 설치에 있어서, 직접 설치하기 전에 감시 카메라의 정확한 감시 영역을 계산할 수 있는 방법 및 감시 영역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요구되고 있다.
Therefore, in order to increase the reliability and cost efficiency of the surveillance system through the systematic monitoring plan design and the accurate monitoring status, it is necessary to set up the surveillance area and the method of calculating the accurate surveillance area of the surveillance camera before installing the outdoor surveillance camera There is a demand for an application that can be visually confirmed.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감시 카메라 설치 전에 핀 홀 카메라 모델을 이용하여 감시 카메라의 정확한 감시 영역을 산출하는 카메라 감시 영역 산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alculating a camera surveillance area using a pinhole camera model before the installation of a surveillance camera.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감시 영역 산출 장치는 카메라 제품 정보 및 상기 카메라 설치 정보를 입력 받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에서 입력된 정보를 이용하여 3차원 지도상에 감시 카메라 설치 시, 예상되는 감시 영역을 형성하는 제어부, 상기 입력부에서 입력된 정보 및 상기 제어부에서 형성된 감시 영역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3차원 지도상에 상기 형성된 감시 영역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감시 영역의 형성에 대한 사용자 명령을 지시하는 사용자 조치를 감지하는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pparatus for calculating camera surveillance regions, the apparatus comprising: an input unit for receiving camera product information and camera installation information;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surveillance area on the three-dimensional map,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surveillance area on the three-dimensional map, And an interface unit for sensing a user action indicating a user comman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따른 카메라 감시 영역 산출 방법은 카메라가 설치될 위치를 추정하는 단계, 상기 추정된 위치를 기초로 감시 영역을 위/경도 좌표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변환된 위/경도 좌표를 연결하여 폴리곤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형성된 폴리곤을 이용하여 상기 3차원 지도상에 감시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calculating a camera surveillance region, comprising the steps of: estimating a position where a camera is to be installed; converting a surveillance region into positional / longitudinal coordinates based on the estimated position; To form a polygon; And forming a surveillance region on the three-dimensional map using the formed polygon.
본 발명에 따른 제목에 의하면, 실외 감시 카메라를 설치하기 전에, 카메라의 감시 영역을 산출하여 카메라가 설치될 위치를 설정하여 감시 시스템의 효율성을 증대시키고,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title of the present invention, before the outdoor surveillance camera is installed, the surveillance area of the camera can be calculated to set the location where the camera is installed, thereby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the surveillance system and reducing the cost.
또한, 감시 대상의 정확한 좌표를 계산하는 지능형 영상 보안 분야에 응용될 수 있으며, 감시 카메라의 설계 결과를 빠르게 예상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can be applied to intelligent video security field that calculates accurate coordinates of a surveillance target, and the design result of surveillance camera can be predicted quickl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감시 영역 산출 장치가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감시 영역 산출 장치의 제어부가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감시 영역 산출 장치의 좌표 변환 모듈이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효 감시 거리 산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피라미드 형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피라미드의 각 꼭지점 산출 및 위/경도 좌표로 변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 영역 산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의 구동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 목적 선택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감시 영역 산출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며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의 실험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FIG.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amera surveillance area calcul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trol unit of the camera surveillance zone calcul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ordinate transformation module of the camera surveillance region calcul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for explaining calculation of effective monitoring dist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formation of a three-dimensional pyrami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calculation of each vertex of a 3D pyramid and the conversion of the vertex / longitude coordinat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surveillance area calcul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view showing a driving screen of an appl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for explaining a monitoring purpose selec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amera surveillance area calcul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perimental result of an appl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할 수 있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당업자에게 자명하거나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signate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throughout the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obvious or understanda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감시 영역 산출 장치가 도시된 블록도이다. FIG.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amera surveillance area calcul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카메라감시 영역 산출 장치(1)는 입력부(100), 제어부(200), 디스플레이부(30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400) 및 저장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the camera surveillance
입력부(100)는 감시 카메라 제품 특징인 수평 및 수직 FOV(Field of View), 감시 거리를 사용자 명령에 의해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100)는 설치할 위치의 위도, 경도, 고도, 수직 기울기 각도 및 수평 기울기 각도를 입력할 수 있다. 입력부(100)의 입력 방식에는 사용자가 위도, 경도 및 고도를 직접 입력하는 방식이 있을 수 있으며, 임의의 지점을 터치하거나 클릭하여 위도 및 경도가 자동으로 입력되는 방식이 있을 수 있다. 이 때, 임의의 지점을 터치하거나 클릭하여 위도 및 경도를 자동으로 입력되게 하는 방식에서 고도는 사용자가 설정한다.
The
제어부(200)는 입력부(100)에서 입력된 수평 및 수직 FOV(Field of View), 감시 거리, 위도, 경도, 고도, 수직 기울기 각도 및 수평 기울기 각도를 이용하여 지도상에 감시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지도는 공간정보 오픈 플랫폼을 포함할 수 있다. 공간 정보 오픈 플랫폼은 개인과 기업이 자유롭게 활용하여 2차, 3차 공간정보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도록 다양한 방법을 제공하는 플랫폼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구글의 구글 어스, 국토교통부의 VworldVWorld 서비스를 들 수 있다.
The
디스플레이부(300)는 3차원 지도 영상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300)는 제어부(200)에서 지도상에 형성한 감시 영역의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00)는 터치스크린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The
사용자 인터페이스부(400)는 제어부(200)와 사용자를 연결해 줄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400)는 사용자 명령을 감지하고 감지한 사용자 명령을 제어부(200)로 출력할 수 있다.
The
저장부(500)는 카메라감시 영역 산출 과정을 수행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500)에 저장된 정보는 제어부(200)의 제어를 통해서 업데이트 될 수 있다. 또한, 저장부(500)는 입력부(100)에서 입력된 정보 및 제어부(200)에서 형성된 감시 영역을 저장할 수 있다.
The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감시 영역 산출 장치의 제어부가 도시된 블록도이다.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trol unit of the camera surveillance zone calcul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제어부(200)는 카메라설치 위치 추정 모듈(210), 좌표 변화 모듈(220), 폴리곤 형성 모듈(230) 및 감시 영역 형성 모듈(240)을 포함할 수 있다.
2, the
감시 카메라설치 위치 추정 모듈(210)은 입력부(100)에서 입력받은 카메라정보를 내부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카메라설치 위치 추정 모듈(210)은 변환된 내부 데이터를 이용하여 카메라설치 위치를 추정할 수 있다. 카메라설치 위치 추정 모듈(210)은 추정된 카메라설치 위치를 이용하여, 설치될 카메라의 촬영이 예상되는 영역을 디스플레이부(300)에 생성할 수 있다. 즉, 카메라설치 위치 추정 모듈(210)은 설치될 카메라의 위치에 따라 촬영되는 각각의 영역을 디스플레이부가 디스플레이 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surveillance camera installation
이 때, 입력부(100)에서 입력받은 카메라정보는 위도, 경도, 고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설치 위치 추정 모듈(210)은 위도, 경도 및 고도 세 가지로 나눠진 변수를 하나의 객체로 결합한 내부 데이터 타입으로 변환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camera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좌표 변환 모듈(220)은 감시 목적을 선택한 뒤, 유효 감시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좌표 변환 모듈(220)은 산출된 유효 감시 거리를 기초로 3차원 피라미드를 형성할 수 있으며, 형성된 3차원 피라미드의 꼭지점을 이용하여 지면과 교차하는 점을 추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좌표 변환 모듈(220)은 3차원 피라미드와 지면과 교차하는 점을 위/경도 좌표로 변환할 수 있다.
The coordinate
폴리곤 형성 모듈(230)은 좌표 변화 모듈(220)에서 변환한 위/경도 좌표를 연결하여 폴리곤을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폴리곤은 3차원 컴퓨터 그래픽에서 입체형상을 표현할 때 사용하는 가장 작은 단위인 다각형을 의미하며, 빠른 계산이 필요한 3차원 컴퓨터그래픽이나 3차원 캐드(3D CAD)에서 많이 이용된다.
The
감시 영역 형성 모듈(240)은 폴리곤 형성 모듈(230)에서 형성한 폴린곤을 이용하여 지도상에 감시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감시 영역 형성 모듈(140)은 폴리곤 형성 모듈(230)에서 형성한 폴린곤의 색과 테두리 속성을 지정하여 감시 영역을 지도상에 표현될 수 있도록 한다.
The surveillance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감시 영역 산출 장치의 좌표 변환 모듈이 도시된 블록도이다.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ordinate transformation module of the camera surveillance region calcul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좌표 변환 모듈(220)은 감시 목적 선택 유닛(221), 유효 감시 거리 산출 유닛(222), 3차원 피라미드 형성 유닛(223) 및 위/경도 좌표 변환 유닛(224)을 포함할 수 있다.
3, the coordinate
감시 목적 선택 유닛(221)은 감시 목적을 선택할 수 있다. 감시 목적 선택 유닛(221)은 감시 목적에 따라 카메라의 유효 감시 영역이 달라지므로, 사람의 신원 확인이 목적인지, 단순히 사람의 탐지가 목적인지 정할 수 있다. 감시 목적 선택 유닛(221)은 목적에 따라 영상의 높이와 사람의 배율을 다르게 형성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감시 목적 선택 유닛(221)은 감시 목적에 따라 사람에 해당하는 영역의 화소수는 달라져야 하므로,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의 높이를 100%라고 할 때, 사람의 신원을 확인하기 위한 경우는 영상의 높이에 100%에 해당하는 크기만큼 사람이 위치되도록 하며, 단순 관찰이 목적인 경우는 영상 높이의 25%에 해당하는 크기만큼 사람이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감시 목적 선택 유닛(221)은 사용자 명령에 의해 영상 높이의 퍼센트를 설정할 수 있다.
The monitoring
유효 감시 거리 산출 유닛(222)은 핀홀 카메라 모델을 이용하여 유효 감시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유효 감시 거리 산출 유닛(222)의 산출과정은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The effective monitoring
3차원 피라미드 형성 유닛(223)은 3차원 피라미드를 형성하기 위한 삼각형을 형성할 수 있다. 3차원 피라미드 형성 유닛(223)은 감시 영역을 3차원 피라미드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카메라에 따라 다른 감시 영역을 가지므로, 설치 위치, 높이, 감시방향, FOV(field of view)은 감시 영역을 설정하는 변수가 될 수 있다. 카메라의 설치 위치, 높이, 감시방향, FOV(field of view)은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The three-dimensional
위/경도 좌표 변환 유닛(224)은 3차원 피라미드를 이용하여 각 꼭지점을 추출할 수 있으며, 3차원 피라미드와 땅이 만나는 지점을 추출할 수 있다. 위/경도 좌표 변환 유닛(224)은 3차원 피라미드와 땅이 만나는 지점을 위/경도 좌표로 변환할 수 있다.
The position / hardness coordinate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효 감시 거리 산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4 is a view for explaining calculation of effective monitoring dist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감시 목적 선택 유닛(221)이 목적에 맞게 설정한 배율을 기초로 유효 감시 거리 산출 유닛(222)은 핀홀 카메라 모델을 이용하여 유효 감시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유효 감시 거리 산출 유닛(222)은 도 4를 기초로 수학식 1 및 수학식 2를 이용하여 유효 감시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the effective monitoring
이 때, 는 카메라의 초점거리이고, 는 화소 크기이며, 는 배율(scale factor)이다. 또한, 는 물체의 크기이며, 은 영상의 높이가 100%인 경우의 감시 거리이며, 는 유효 감시 거리이다.
At this time, Is the focal length of the camera, Is a pixel size, Is a scale factor. Also, Is the size of the object, Is a monitoring distance when the height of the image is 100% Is the effective monitoring distance.
카메라 초점 거리()는 카메라 캘리브레이션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으며, 배율()은 감시 목적에 따라 정할 수 있다. 우선, 영상의 높이의 100%에 해당하는 거리에서 영상을 촬영하고, 그 때의 감시 거리()를 기록한다. 그 후, 원하는 목적에 따라 배율()을 정하고, 수학식 1을 이용하여 를 구한다. 마지막으로, 수학식 2를 이용하여 유효 감시 거리()를 산출한다.
Camera focus distance ( ) Can be obtained using camera calibration, and the magnification ( )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surveillance. First, an image is taken at a distance corresponding to 100% of the height of the image, and the monitoring distance ). Thereafter, the magnification ( ) Is determined, and using Equation (1) . Finally, using the equation (2), the effective monitoring distance ( ).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피라미드 형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 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formation of a three-dimensional pyrami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카메라를 측면에서 바라본 경우로, 는 수직 FOV를 나타내며, 는 수평 FOV를 나타낸다. 또한, 는 카메라의 수직 기울기 각도(Tilt angle), 는 카메라의 높이를 나타낸다.
Referring to FIG. 5, when the camera is viewed from the side, Lt; / RTI > represents the vertical FOV, Represents the horizontal FOV. Also, The vertical tilt angle of the camera, Represents the height of the camera.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피라미드의 각 꼭지점 산출 및 위/경도 좌표로 변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 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calculation of each vertex of a 3D pyramid and the conversion of the vertex / longitude coordinat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감시 영역을 3차원 지도상에 나타내기 때문에 카메라의 수직 기울기 각도(Tilt angle)에 따라서 모양도 변하게 된다. 지도상에서 좌표의 표현은 위도, 경도, 고도를 이용하여 나타내기 때문에 위에서 바라본 시점에서 삼각형의 모양 변화를 직접 계산해 주어야 한다. 따라서, 도 6의 변화한 삼각형 모양은 수학식 3내지 수학식 7을 이용하여 산출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since the surveillance region is displayed on the three-dimensional map, the shape changes according to the vertical angle of the camera. Since the representation of coordinates on the map is expressed by using latitude, longitude and altitude, it is necessary to directly calculate the shape change of the triangle at the above viewpoint. Therefore, the changed triangular shape of FIG. 6 can be calculated using Equations (3) to (7).
이 때, 은 수직 기울기 각도가 90도 일 때, 추가 높이이다.
At this time, Is an additional height when the vertical tilt angle is 90 degrees.
이 때, 는 수직 기울기 각도가 90도 일 때, 최소 수평 거리이다.
At this time, Is the minimum horizontal distance when the vertical tilt angle is 90 degrees.
이 때, 는 수직 기울기 각도에 따른 수평 거리이다.
At this time, Is the horizontal distance along the vertical tilt angle.
이 때, 는 수직 기울기 각도에 따른 추가 높이이다.
At this time, Is an additional height according to the vertical tilt angle.
이 때, 는 수직 기울기 각도에 따른 수평 보정각이다.
At this time, Is the horizontal correction angle according to the vertical tilt angle.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 영역 산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 7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surveillance area calcul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도 7은카메라의 측면에서 바라본 모델을 나타내며, 도 7을 기초로 수학식 8 및 수학식 9를 이용하여3차원 피라미드와 땅이 만나는 지점에 생긴 면을 구할 수 있다. 즉, 감시 영역을 계산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FIG. 7 shows a model viewed from the side of the camera. Using FIG. 7, Equation 8 and Equation 9 can be used to find the plane at which the 3D pyramid meets the ground. That is, the surveillance area can be calculated.
이 때, 는 카메라로부터 3차원 피라미드와 땅이 만나는 지점()까지의 거리이다.
At this time, Is a point from the camera where the 3D pyramid meets the ground ).
이 때, 는 카메라로부터 3차원 피라미드와 땅이 만나는 지점()까지의 거리이다.
At this time, Is a point from the camera where the 3D pyramid meets the ground ).
도 8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의 구동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FIG. 8 is a view showing a driving screen of an appl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어플리케이션의 구동 화면(80)은 국토교통부에서 제공하는 공간정보 오픈 플랫폼인 VworldVWorld를 기반으로 하고, 카메라설치 각도와 높이를 입력하면 감시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입력된 카메라설치 각도와 높이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의 구동 화면(80)에 형성되는 감시 영역을 기초로 최적의 감시 카메라설치 각도와 높이를 추출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 the
보다 상세하게, 위도(Latitude)(81), 경도(Longitude)(82), 감시거리(Distance)(83), 고도(Altitude)(84), 수평 기울기 각도(pan angle)(85), 수직 기울기 각도(Tilt angle)(86), hFov(87), vFOV(88)을 설정할 수 있다. 이 때, 수평 기울기 각도(pan angle)(85)은 동서남북 방향이며, 수직 기울기 각도(Tilt angle)(86)는 상하각이다.
More specifically, a
또한, 수평 기울기 각도(pan angle)(81) 및 수직 기울기 각도(Tilt angle)(86)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으며, IMU센서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또한, hFov(87)는 수직 FOV 를 나타내며, vFOV(88)는 수평 FOV를 나타낸다. 이 때, hFov(87) 및 vFOV(88)는 카메라의 제원이다.
Further, the
또한, 임의의 지점을 터치 또는 클릭 했을 때, 터치 또는 클릭한 지점을 좌표로 인식하여 위도(81) 및 경도(82)를 표시하여 줄 수 있다. 이 때, 임의의 높이값인 고도(84)는 사용자가 미리 설정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ouching or clicking an arbitrary point, it is possible to display the
또한, 어플리케이션의 구동 화면(80)은 감시영역이 잘 보이도록 편집될 수 있다.
Further, the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 목적 선택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9 is a view for explaining a monitoring purpose selec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도 9의 이미지들은 감시 목적 선택 유닛(211)이 감시 목적을 선택할 때, 감시 목적에 따른 영상의 높이와 사람의 비율을 보여주고 있다. 9, the images of FIG. 9 show the height of the image and the ratio of the person according to the monitoring purpose when the monitoring purpose selection unit 211 selects the monitoring purpose.
제 2 이미지(92)는 단순 관찰을 목적으로 배율을 선택한 경우며, 영상 높이의 25%에 해당하는 크기만큼 사람이 위치하고 있다. 제 4 이미지(94)는 사람의 신원을 확인하기 위한 목적으로 배율을 선택한 경우며, 영상의 높이의 100%에 해당하는 크기만큼 사람이 위치하고 있다. 또한, 제 1 이미지(91)는 영상 높이의 10%에 해당하는 크기만큼 사람이 위치하도록 설정한 경우의 이미지이며, 제 3 이미지(93)는 영상 높이의 50%에 해당하는 크기만큼 사람이 위치하도록 설정한 경우의 이미지이다.
The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감시 영역 산출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FIG. 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amera surveillance area calcul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면, 카메라설치 위치 추정 모듈(210)은 카메라가 설치될 위치를 추정한다(S110).
Referring to FIG. 10, the camera installed
다음, 좌표 변환 모듈(220)은 카메라설치 위치 추정 모듈(210)이 추정한 위치를 기초로 감시 영역을 위/경도 좌표로 변환한다(S120). 보다 상세하게, 카메라감시 목적을 선택하고, 감시 목적에 따라 유효 감시 거리를 산출하며, 유효 감시 거리를 기초로 3차원 피라미드를 형성하고, 3차원 피라미드의 꼭지점을 이용하여 지면과 교차하는 점을 추출하고, 추출된 교차하는 점을 위/경도 좌표로 변환할 수 있다.
Next, the coordinate
다음, 폴리곤 형성 모듈(230)은 좌표 변환 모듈(220)이 변환한 위/경도 좌표를 연결하여 폴리곤을 형성한다(S130).
Next, the
마지막으로, 감시 영역 형성 모듈(240)은 폴리곤 형성 모듈(230)이 형성한 폴리곤을 이용하여 상기 3차원 지도상에 감시 영역을 형성한다(S140).
Finally, the surveillance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의 실험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perimental result of an appl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을 참조하면, 도 11(a)의 상단 이미지는 실제 촬영한 영상이며, 하단 이미지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Vworld에 생성한 감시 영역이다. 상단 이미지의 사각형 구역(11) 및 하단 이미지의 사각형 구역(12)을 보면, 도로의 코너 부분이 거의 일치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1, the upper image in FIG. 11 (a) is the actually photographed image, and the lower image is the surveillance region generated in Vworld using the application. It can be seen that the corner portions of the road almost coincide when the square section 11 of the upper image and the
또한, 도 11(b) 의 상단 이미지는 실제 촬영한 영상이며, 하단 이미지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Vworld에 생성한 감시 영역이다. 상단 이미지의 사각형 구역(13) 및 하단 이미지의 사각형 구역(14)을 보면, 주차장 지역이 거의 일치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11 (b) is the actually photographed image, and the lower image is the surveillance region created in Vworld using the application. The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taken by way of limitation in the embodiment in which said invention is directed.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0: 입력부
200: 제어부
210: 카메라 설치 위치 추정 모듈
220: 좌표 변환 모듈
221: 감시 목적 선택 유닛
222: 유효 감시 거리 산출 유닛
223: 3차원 피라미드 형성 유닛
224: 위/경도 좌표 변환 유닛
230: 플리곤 형성 모듈
240: 감시 영역 모듈
300: 디스플레이부
40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500: 저장부100: Input unit
200:
210: camera installation position estimation module
220: Coordinate transformation module
221: Monitoring target selection unit
222: Effective monitoring distance calculating unit
223: 3D pyramid forming unit
224: position / hardness coordinate conversion unit
230: Flickon forming module
240: Surveillance zone module
300:
400: user interface unit
500:
Claims (10)
상기 입력부에서 입력된 정보를 이용하여 3차원 지도상에 감시 카메라 설치 시, 예상되는 감시 영역을 형성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에서 입력된 정보를 이용하여 설치될 감시 카메라의 위치에 따라 촬영될 영역을 디스플레이부가 디스플레이 하도록 제어하여 감시 카메라가 설치될 위치를 추정하는 감시 카메라 설치 위치 추정 모듈;
상기 감시 영역을 위/경도 좌표로 변환하는 좌표 변환 모듈;
상기 변환된 위/경도 좌표를 연결하여 폴리곤을 형성하는 폴리곤 형성 모듈;
상기 형성된 폴리곤을 이용하여 상기 3차원 지도상에 감시 영역을 형성하는 감시 영역 형성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좌표 변환 모듈은,
상기 카메라의 감시 목적을 선택하는 감시 목적 선택 유닛;
상기 감시 목적에 따라 유효 감시 거리를 산출하는 유효 감시 거리 산출 유닛;
상기 유효 감시 거리를 기초로 3차원 피라미드를 형성하는 3차원 피라미드 형성 유닛; 및
상기 3차원 피라미드의 꼭지점을 이용하여 지면과 교차하는 점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교차하는 점을 위/경도 좌표로 변환하는 위/경도 좌표 변환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감시 시스템을 위한 카메라 감시 영역 산출 장치.
An input unit for inputting the surveillance camera product information and the surveillance camera installation information to set a position where the surveillance camera is installed before installing the surveillance camera;
When a surveillance camera is installed on a three-dimensional map using information input from the input unit, a control unit
Lt; / RTI >
Wherein,
A surveillance camera installation position estimation module for controlling a display unit to display an area to be photographed according to a position of the surveillance camera to be installed using the information input from the input unit, thereby estimating a location where the surveillance camera is to be installed;
A coordinate conversion module for converting the surveillance area into up / down coordinates;
A polygon forming module for forming a polygon by connecting the converted stiffness / hardness coordinates;
And a monitoring area forming module for forming a monitoring area on the three-dimensional map by using the formed polygon,
Wherein the coordinate transformation module comprises:
A monitoring purpose selecting unit for selecting a monitoring purpose of the camera;
An effective monitoring distance calculating unit for calculating an effective monitoring distance according to the monitoring purpose;
A three-dimensional pyramid-forming unit for forming a three-dimensional pyramid based on the effective monitoring distance; And
And a stomach / hardness coordinate conversion unit for extracting points intersecting the ground using the vertices of the three-dimensional pyramid and converting the extracted intersection points into stomach / hardness coordinates. Camera surveillance area computing device.
상기 입력부에서 입력된 정보 및 상기 제어부에서 형성된 감시 영역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3차원 지도상에 상기 형성된 감시 영역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감시 영역의 형성에 대한 사용자 명령을 지시하는 사용자 조치를 감지하는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는 영상감시 시스템을 위한 카메라 감시 영역 산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storage unit for storing information input from the input unit and a monitoring area formed in the control unit;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monitoring area formed on the three-dimensional map; And
Further comprising an interface unit for sensing a user action indicating a user command for forming the surveillance region.
상기 감시 카메라 제품 정보는 수평 및 수직 FOV(Field of View) 및 감시 거리을 포함하며, 상기 카메라 설치 정보는 상기 카메라 설치될 위치의 위도, 경도, 고도, 수직 기울기 각도 및 수평 기울기 각도를 포함하는 영상감시 시스템을 위한 카메라 감시 영역 산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urveillance camera product information includes a horizontal and vertical field of view (FOV) and a surveillance distance, and the camera installation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video surveillance information including latitude, longitude, altitude, vertical inclination angle, A camera surveillance area calculation device for a system.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에서 입력되는 정보에 따라 다른 감시 영역을 형성하며, 상기 형성된 감시 영역을 추출하도록 감시 카메라 설치 위치를 추정하는 영상감시 시스템을 위한 카메라 감시 영역 산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nd forms a monitoring area according to information input from the input unit and estimates a surveillance camera installation position to extract the surveillance area.
상기 유효 감시 거리 산출 유닛은,
상기 감시 목적에 따라 다른 배율을 적용하고, 핀홀 카메라 모델을 이용하여 유효 감시 거리를 산출하는 영상감시 시스템을 위한 카메라 감시 영역 산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effective monitoring distance calculating unit calculates,
A camera surveillance area calculation device for a video surveillance system applying different magnifications according to the surveillance purpose and calculating an effective surveillance distance using a pinhole camera model.
상기 유효 감시 거리 산출 유닛은,
하기의 수학식을 이용하여 유효 감시 거리를 산출하는 영상감시 시스템을 위한 카메라 감시 영역 산출 장치:
여기서, 는 카메라의 초점거리이고, 는 화소 크기이고, 는 배율(scale factor)이고, 는 물체의 크기이고, 은 영상의 높이가 100%인 경우의 감시 거리이며, 는 유효 감시 거리이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effective monitoring distance calculating unit calculates,
A camera surveillance area calculation device for a surveillance system for calculating an effective surveillance distance using the following equation:
here, Is the focal length of the camera, Is the pixel size, Is a scale factor, Is the size of the object, Is a monitoring distance when the height of the image is 100% Is the effective monitoring distance.
상기 추정된 위치를 기초로 감시 영역을 위/경도 좌표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변환된 위/경도 좌표를 연결하여 폴리곤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형성된 폴리곤을 이용하여 3차원 지도상에 감시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위/경도 좌표로 변환하는 단계는,
상기 카메라 감시 목적을 선택하고, 상기 감시 목적에 따라 유효 감시 거리를 산출하며, 상기 유효 감시 거리를 기초로 3차원 피라미드를 형성하고, 상기 3차원 피라미드의 꼭지점을 이용하여 지면과 교차하는 점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교차하는 점을 위/경도 좌표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감시 시스템을 위한 카메라 감시 영역 산출 방법.Estimating a position at which a surveillance camera is to be installed;
Converting the surveillance region into up / down coordinates based on the estimated position;
Forming a polygon by connecting the converted stomach / hardness coordinates; And
Forming a surveillance region on the three-dimensional map using the formed polygon
Lt; / RTI >
The step of converting to the up /
A camera monitoring object is selected, an effective monitoring distance is calculated in accordance with the monitoring purpose, a three-dimensional pyramid is formed based on the effective monitoring distance, and a point intersecting the ground is extracted using the vertex of the three-dimensional pyramid And converting the extracted intersection points into up / down co-ordinate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87279A KR101586026B1 (en) | 2014-07-11 | 2014-07-11 | device and method of calculating coverage of camera in video surveillance syste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87279A KR101586026B1 (en) | 2014-07-11 | 2014-07-11 | device and method of calculating coverage of camera in video surveillance system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86026B1 true KR101586026B1 (en) | 2016-01-18 |
Family
ID=55305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87279A KR101586026B1 (en) | 2014-07-11 | 2014-07-11 | device and method of calculating coverage of camera in video surveillance system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86026B1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230257A (en) * | 2020-09-04 | 2021-01-15 | 勤上光电股份有限公司 | Positioning monitoring method based on PTZ camera |
US10922554B2 (en) | 2019-01-21 | 2021-02-16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CN113076822A (en) * | 2021-03-18 | 2021-07-06 | 视云融聚(广州)科技有限公司 | Method and device for identifying detection area of spherical camera,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
US11587418B2 (en) | 2021-06-11 | 2023-02-21 | Motorola Solutions, Inc. | System, device, and method for camera placement based on access tier attributes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023472A (en) * | 2009-08-31 | 2011-03-08 | 주식회사 이미지넥스트 | Apparatus and method for tracking object based on ptz camera using coordinate map |
KR20130130544A (en) * | 2012-05-22 | 2013-12-02 |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 Method and system for presenting security image |
-
2014
- 2014-07-11 KR KR1020140087279A patent/KR101586026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023472A (en) * | 2009-08-31 | 2011-03-08 | 주식회사 이미지넥스트 | Apparatus and method for tracking object based on ptz camera using coordinate map |
KR20130130544A (en) * | 2012-05-22 | 2013-12-02 |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 Method and system for presenting security image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922554B2 (en) | 2019-01-21 | 2021-02-16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CN112230257A (en) * | 2020-09-04 | 2021-01-15 | 勤上光电股份有限公司 | Positioning monitoring method based on PTZ camera |
CN113076822A (en) * | 2021-03-18 | 2021-07-06 | 视云融聚(广州)科技有限公司 | Method and device for identifying detection area of spherical camera,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
US11587418B2 (en) | 2021-06-11 | 2023-02-21 | Motorola Solutions, Inc. | System, device, and method for camera placement based on access tier attributes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935288B2 (en) |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of 3D information on a user display from processing of sensor data for objects, components or features of interest in a scene and user navigation thereon | |
US11216663B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of 3D information on a user display from processing of sensor data for objects, components or features of interest in a scene and user navigation thereon | |
JP6741009B2 (en) | Monitoring information generation device, shooting direction estimation device, monitoring information generation method, shooting direction estimation method, and program | |
US8390617B1 (en) | Visualizing oblique images | |
CN106931945B (en) | Robot navigation method and system | |
US12033289B2 (en) | Method and system for visualizing overlays in virtual environments | |
US20230258463A1 (en) | Methods and systems for response vehicle deployment | |
US20140152651A1 (en) | Three dimensional panorama image generation systems and methods | |
WO2021113268A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of 3d information on a user display from processing of sensor data | |
JP2012133471A (en) | Image composer, image composition program and image composition system | |
JP5535025B2 (en) | Outdoor feature detection system, program for outdoor feature detection system, and recording medium for program for outdoor feature detection system | |
KR20180132183A (en) | Mobile terminal, management server for underground facility and system for managing underground facility based on 3d spatial information | |
JP6310149B2 (en) | Image generation apparatus, image generation system, and image generation method | |
US11682168B1 (en) | Method and system for virtual area visualization | |
KR101586026B1 (en) | device and method of calculating coverage of camera in video surveillance system | |
US10733777B2 (en) | Annotation generation for an image network | |
CN102957895A (en) | Satellite map based global mosaic video monitoring display method | |
WO2020040277A1 (en) | Mixed reality system, program, mobile terminal device, and method | |
KR101992662B1 (en) | Gis 3 cctv 3 cctv | |
EP2476999A1 (en) | Method for measuring displacement, device for measuring displacement, and program for measuring displacement | |
Liu et al. | Image-based semantic construction reconstruction | |
KR101700651B1 (en) | Apparatus for tracking object using common route date based on position information | |
US20160349409A1 (en) | Photovoltaic shade impact prediction | |
KR101559739B1 (en) | System for merging virtual modeling and image data of cameras | |
KR101572800B1 (en) | System for controlling camera on the 3d virtual modeling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204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230 Year of fee payment: 5 |